KR101670901B1 - Apparatus for harvesting watermel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arvesting watermel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901B1
KR101670901B1 KR1020150002139A KR20150002139A KR101670901B1 KR 101670901 B1 KR101670901 B1 KR 101670901B1 KR 1020150002139 A KR1020150002139 A KR 1020150002139A KR 20150002139 A KR20150002139 A KR 20150002139A KR 101670901 B1 KR101670901 B1 KR 10167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melon
connecting rod
handle
clamp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1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5135A (en
Inventor
김창재
박명서
Original Assignee
김창재
박명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재, 박명서 filed Critical 김창재
Priority to KR102015000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901B1/en
Publication of KR20160085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1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9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밭에서 경작되는 수박을 적은 노동력으로 수확할 수 있고 운반까지 일체로 이루어지게 구성되어 수박의 수확을 편리하게 하는 수박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박 수확기는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수박이 적재되는 수레부, 수레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수박이 파지되는 집게부, 수레부의 후상방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집게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손잡이에 구성되는 구동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melon harvester which can harvest a watermelon cultivated in a field with a low labor force, and is constructed to be integrated with the harvesting, thereby facilitating the harvesting of watermelons.
The watermelon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melon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rvester having a wheel in a lower part and a watermelon in an upper part, a grip part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wheel part to grip a watermelon, As shown in Fig.

Description

수박 수확기 {Apparatus for harvesting watermelon}Apparatus for harvesting watermelon

본 발명은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풀의 열매인 수박을 수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용 수레 및 수박을 수확하는 집게를 일체로 하는 수박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harvesting watermelon, which is a fruit of a year-old vine seedlings, with a fo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melon harvester incorporating a harness for harvesting a cart and a watermelon.

일반적으로 밭에서 경작하는 수박은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풀로 줄기의 길이는 4~6미터이고 땅 위를 기며, 잎은 어긋나고 3~4개로 깊게 갈라진다. 여름에 연한 누런색 꽃이 피고, 열매는 크고 둥글며 무게는 5~6kg까지 나가는 것이 보통이다.Generally, Watermelon cultivated in a field is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with a length of 4 ~ 6 meters, and it grows on the ground. Leaves are alternate and are deeply divided into 3 ~ 4. In summer, light yellow flowers bloom, the fruit is large and round, and the weight is usually 5 ~ 6kg.

수박의 파종은 늦서리의 피해가 없는 4월 중순 살구꽃이 필 무렵에 하고, 수확은 8월 초순 이전에 한다.Watermelon sowing is done at the time of apricot flowers in mid April and no harvest is done before the beginning of August.

토심이 깊고, 통기와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생육이 잘되는 특성상 밭의 이랑을 높고 넓게 쌓아 파종을 하고 짚이나 농업용 비닐등을 덮어 열매가 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부피가 크고 무게가 있는 수박을 수확하기 위해선, 밭의 고랑에 수레를 준비하고 지면에서 줄기에 달려있는 수박을 허리를 굽혀 하나씩 수확하여 수레에 담아 운반하여 나오게 된다.It is deep, deep and ventilated and drained well in the nature of the well-grown soil, the soil is high and wide stacked, sowing, straw and agricultural vinyl cover to prevent the fruit is broken. In order to harvest a bulky and heavy watermelon, a wagon is prepared in the furrows of the field, and the watermelon hanging on the stem from the ground is harvested one by one and transported in a cart.

허리를 굽혀 5~6kg에 이르는 수박을 따고 수레에 담는 과정으로 수박을 수확하는 속도가 늦어지고,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어왔다.The process of taking a watermelon from 5 to 6 kilograms by bending the waist and putting it in a wagon slows down the speed of harvesting watermelons, and there has been a problem of getting stronger.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72307 '과일 수확기'에서 다단 신축 구조와 커팅수단을 구비하여 과일나무의 높은 곳에 있는 과일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확할 수 있는 수확기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으나, 일정한 높이를 갖는 과실수의 가지에 달려있는 과실수확과 지면에서 덩쿨줄기에 달려 있는 수박과의 수확과정에 차이가 있어 상기된 기술을 수박에 적용하기 어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4-0004694 '과일 수확기'에서 과실을 수확하기 위한 집게구조와 수확된 과실이 저장되는 주머니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 또한 공중에 달려 있는 과실에 적용되는 기술로 수박에 적용하여 사용될 순 없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72307 discloses a harvesting machine capable of quickly and conveniently harvesting fruit located at a high place of a fruit tree by providing a multi-stage stretching structure and cutting means in a 'fruit harvester'.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harvesting process between fruit harvest depending on the number of branches and watermelon hanging from the ground,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above technique to watermelon. In the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20-2014-0004694 'fruit harvesting machine' And a pouch in which harvested fruits are stored. However, this technique is also applied to fruits in the air, and could not be applied to watermelon.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확기에 이른 수박을 수확하고 수레에 담는 과정을 단순화하여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가벼운 작동만으로 수박을 수확할 수 있는 수박수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melon harvester capable of harvesting watermelons harvested at harvest time and simplifying the process of harvesting watermelons harvested at harvest time and harvesting watermelons only with light operation without having to turn their backs.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박수확기는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수박이 적재되는 수레부, 수레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수박이 파지되는 집게부, 수레부의 후상방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집게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손잡이에 구성되는 구동바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wagon which is provided with a wheel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watermel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gripper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gon portion to grip a watermelon; And a drive bar configured on the handle so that the handle and the grip portion to be formed are driven.

바람직하게는, 집게부는 수박의 양 측면을 구속하게 되는 집게형태의 제 1집게편과 제 2집게편, 제 1집게편 및 제 2집게편의 일단이 각각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 힌지결합부와 탄성부재로 연결되고 제 1집게편 및 제 2집게편의 내측과 제 1로드 및 제 2로드로 힌지결합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clamping unit includes a first clamping member in the form of a clamp and a second clamping member, a first clamping member and a second clamping member, the hinge coupling portion being hinged to one end of the clamping member, the hinge coupling portion, And an oper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and hing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clamp piece and the second clamp piece and the first and second rods.

바람직하게는, 작동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힌지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바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connector includes a connec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ctuat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bar through the hinge coupling part.

바람직하게는, 수레부는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디퍼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wagon portion includes a diper which is formed to extend forward from the front portion.

바람직하게는, 수레부와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it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handle portion and the handle.

바람직하게는, 연결부는 상기 힌지결합부의 후면과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센터연결봉, 수레부에 형성된 바퀴 축의 양측방으로 각기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센터연결봉에 타단이 연결되어 지지되는 제 1연결봉 및 제 2연결봉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center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and the handle, a first connecting ro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enter connecting rod and the other connecting end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wheel shaft, And a connecting rod.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의 덩쿨에서 자라는 수박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 그 줄기를 절단하고 들어올려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으나, 5~6kg에 달하는 무게에다 둥근형태를 띄고 있어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들었던 수박의 수확에 있어, 바퀴가 달린 수레를 이용하여 운반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수레와 일체로 구성되는 집게편을 활용하여 허리를 숙이지 않고 수박을 바로 지면에서 파지하여 수레에 담을 수 있어 수박수확에 드는 힘을 줄이고 허리를 굽히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되며, 운반까지 일체로 작업 되기에 시간을 절약하고 노동력을 아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inconvenient to harvest the watermelon growing in the ground of the ground and to cut and lift the stem and to carry it, but it is rounded to a weight of 5 ~ 6 kg, In the harvest of watermelon that I heard, it is possible to plan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by using a wheel with wheels, and it is possible to hold watermelon directly from the ground without putting on the waist by utilizing the clamp piece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wag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to harvest watermelons and to skip the work of bending the waist, and it is possible to save time and labor force because the work to be carried out is carried out all toge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박 수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박 수확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박 수확기 집게부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melon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melon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operation of a watermelon harvester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does not mean anything.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수박 수확기는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The water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박 수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박 수확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박 수확기 집게부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mainer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박 수확기는 하부에 바퀴(120)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수박이 적재되는 수레부(100), 수박이 수레부(100)에 적재된 채로 파지되는 집게부(400), 손으로 잡고 조향과 이동을 하게 되는 손잡이(200) 및 상기 집게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바(500)로 구성된다.
1 and 2, a water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heelbarrow unit 100 having a wheel 120 at a lower portion and a watermel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driving bar 5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ripper unit 400. The gripper unit 400 includes a handle 400,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를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 2,

수레부(100)는 하부에 바퀴(120)가 구비되어 수박이 재배되는 경작지 사이로 이동이 편리하게 하고, 상부에는 수박이 적재될 수 있도록 오목한 공간이 형성된 적재부(110)가 형성된다. 적재부(110)의 전면으로는 수박을 수확하기 위하여 경작지의 지면위에 위치하고 있는 수박의 하단으로 수월하게 진입하기 위한 디퍼(140)가 구비된다.The carriage unit 100 is provided with a wheel 120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is formed with a loading unit 110 having a concave space formed therein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between cultivated lands where the watermelons are grown and watermarks can be loaded there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ading unit 110 is provided with a dipper 140 for easily entering the lower end of the watermelon located on the ground of the cultivated land in order to harvest the watermelon.

적재부(110)는 측면과 후면에 일정 높이를 지닌 벽면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있어 수박이 전면을 통하여 적재부(110)로 진입토록하고 측면 및 후면을 구성하고 있는 벽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수박이 적재 되도록 하는 것으로, 수박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해야 하며, 빈번하게 요철이 많은 농로를 이동하여야 하므로 알루미늄등의 철재로 형성되거나, 플라스틱등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부(110)의 형상은 전면부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하여 수박이 놓여 있는 밑면으로의 진입을 용이하도록 형성한다.The loading part 110 is formed by a wall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side surface and a rear surface and a wall surface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to allow the watermelon to enter the loading part 110 through the front surface and constituting the sid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It is necessary to sufficiently support the weight of the watermelon by means of loading the watermelon in the space and it is necessary to move the heavy road with frequent irregularities so that it is formed of steel such as aluminum o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plastic etc. And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aterials applicable in the field. Preferably, the shape of the loading unit 110 is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loading unit 110 decreases toward the front part, so that entry into the bottom surface where the watermelon is placed is facilitated.

바퀴(120)는 상기 적재부(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박 수확기의 이동편의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회전축(130)에 연결되는 두 개의 바퀴(120)로 구성되며, 회전축(130)의 길이를 짧게하여 두 바퀴(120)간의 간격을 좁게하여 상기 적재부(110)의 이동시 조향성을 높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바퀴(120)로 구성하여 밭두렁 사이의 좁은 통로를 적은 힘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wheels 120 ar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unit 110 to increase the moving distance of the waterm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wheels 120 is narrowed b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rotary shaft 130 to increase the steering property when the loading unit 110 is moved. Preferably one wheel 120, so that a narrow passage between the troughs can be moved with a small force.

디퍼(140)는 상기 적재부(110)의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형성되어 적재부(110)로 지면에 있는 수박을 수월하게 올릴 수 있도록 수박의 하단 지면을 떠 올릴수 있도록 상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삽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The dipper 140 is curved upwar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melon can be lifted up so that the watermelon on the ground can be easily raised by the loading unit 110 formed at the front part of the loading unit 110, It is composed like a shovel.

손잡이(200)는 상기 된 수레부(100)의 후상방으로 형성되어 수레부(100)를 이동시키고 조향할 수 있도록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둥근 관체로 형성되고 이는 후방으로 손잡이(200)를 끌거나 좌우 방향으로의 조향성을 높이기 위한 형태이다.
The handle 200 is formed at a position above and behind the wheelbarrow 100 so that it can be gripped by a hand so that the wheelbarrow 100 can be moved and steer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200 is formed as a round tubular body that forms a rectangular shape to draw the handle 200 backward or increase the steering capability in the left-right direction.

도 2를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 2,

연결부(300)는 상기 손잡이(200)와 수레부(100)의 사이를 연결하여 주는 구성으로 수레부(100)의 후방에서 손잡이(200)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센터연결봉(310), 손잡이(200)의 일측에서 우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바퀴(120)가 연결된 회전축(130)의 우측 끝단과 연결되는 제 1연결봉(320) 및 손잡이(200)의 일측에서 좌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바퀴(120)가 연결된 회전축(130)의 좌측 끝단과 연결되는 제 2연결봉(330)으로 형성되고, 이때, 센터연결봉(310)은 내부에 관로가 형성되어 있어 후기 될 커넥터(510)가 관입 된다. 연결부(300)는 손잡이(200)와 수레부(100)를 연결하고 손잡이(200)에서 가해지는 운동을 수레부(100)에 전달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충분한 강성을 지니고 변형이 적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portion 300 connects the handle 200 with the handle 100 and includes a center connecting rod 310 connected to the handle 200 in a straight line from the rear of the handle 100, A first connecting rod 320 curved rightward from one side of the handle 200 and connected to a right end of a rotary shaft 130 connected to the wheel 120 and a second connecting rod 320 bent to one side of the handle 200 to connect the wheel 120 And a second connecting rod 330 connected to the left end of the rotary shaft 130. At this time, the center connecting rod 310 has a channel formed therein to penetrate the connector 510 to be later. The connecting portion 300 connects the handle 200 and the cart 100 and transmits the motion applied by the handle 200 to the cart 100. The connecting portion 30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sufficient rigidity .

집게부(400)는 상기 수레부(100)의 상부에서 적재부(110)에 적재된 수박을 양측면에서 조여 파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힌지결합부(410)의 양단에서 힌지결합되어 전방으로 전개되어 있는 제 1집게편(420) 및 제 2집게편(430)과 상기 제 1집게편 및 제 2집게편의 중단부 내측에 각각 연결되어 집게부(400)가 개방됨과 조여지는 동작을 하게하는 작동부(440) 및 탄성부재(450)로 구성된다.The clamping unit 400 is hinged at both ends of the hinge coupling part 410 to fasten the watermelon loaded on the loading unit 110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100, The first clamping piece 420 and the second clamping piece 430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clamping piece and the second clamping piece interlocking part to respectively open and close the clamping part 400 440 and an elastic member 450.

힌지결합부(410)는 상기 손잡이(200)에 일단이 결합 된 센터연결봉(310)의 타단과 결합되어 집게부(400) 동작의 중심이 되는 구성으로 양단에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공(470)이 형성되고, 정면과 후면이 관통되어 있는 관통공(411)이 구비된다.The hinge engaging portion 41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enter connecting rod 310 coupled to the handle 200 so as to be the center of the operation of the clamping portion 400. The hinge engaging portion 410 includes a hinge hole 470 for hinge- And a through hole 411 through which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are penetrated.

제 1집게편(420) 및 제 2집게편(430)은 상기 힌지결합부(410)의 힌지공(470)에 각각 일단이 힌지핀(460)으로 결합되어 힌지결합부(41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된다. 힌지결합부(410)와 힌지결합된 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형성되며, 제 1집게편(420) 및 제 2집게편(430)이 마주보는 내측면이 일정한 면적을 지니고 편평하게 형성되거나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와 같은 마찰부재가 덧대어져 형성되어 수박을 양측면에서 파지시에 수박의 외측면과 닿는 지점에서 파지되는 힘의 전달을 높인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집게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lamp pieces 420 and 430 are coupled to the hinge holes 470 of the hinge coupling part 410 by hinge pins 460 at one end thereof, And is rotated. The first and second clamp pieces 420 and 430 are formed to be long from the one end hinged to the hinge coupling part 410.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clamp piece 420 and the second clamp piece 430 are formed to be flat with a certain area, A friction material such as a high rubber is padded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of the force gripped at the point where it touches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melon when gripping the watermelon from both sides. Which are illustrativ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various clamps applicable in the 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to which the invention is applied.

작동부(440)는 양단에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공(470)이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수박의 외측과 접촉되는 면이 형성되며, 배면으로는 후기 될 탄성부재(450)와 결합된다. 작동부(440)의 양단에 형성되는 힌지공(470)은 각기 길이를 지닌 막대형태로 양단에 힌지공(470)이 형성된 제 1로드(441) 및 제 2로드(442)의 일단과 힌지핀(460)으로 결합되고, 제 1로드(441) 및 제 2로드(442)의 타단은 각기 제 1집게편(420) 및 제 2집게편(430)의 마주보는 내측에 형성된 힌지공(470)과 힌지핀(460)으로 결합 된다.A hinge hole 470 for hinge connec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operation part 440. A surface of the operation part 44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watermelon is formed on the front part and coupled with the elastic member 450 to be later. The hinge holes 470 formed at both ends of the actuating part 440 include a first rod 441 having hinge holes 470 formed at both ends thereof in the form of rods having respective lengths and a first rod 442 having one end of the second rod 442,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rod 441 and the second rod 442 are coupled to a hinge hole 470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lamping piece 420 and the second clamping piece 430, And the hinge pin 460.

구동바(500)는 상기 손잡이(200)에 형성되는 T자 형태의 바로, 커넥터(510)의 일단이 구동바(500)의 하단과 연결되고 센터연결봉(310) 및 힌지결합부(410)의 내측으로 관통된 관로를 경유하여 커넥터(510)의 타단이 작동부(440)의 배면과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구동바(500)는 커넥터(510)로 작동부(440)와 연결이 되고 커넥터(510)는 구동바(500)와 작동부(440)의 사이에서 센터연결봉(310), 힌지결합부(410) 및 탄성부재(450)의 내측을 경유하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200)에 구성되는 상기 구동바(500)를 당기게 되면 커넥터(510)가 작동부(440)에 힘을 전달하여 작동부(440)가 후퇴하게 되고 이때, 탄성부재(450)는 작동부(440) 및 힌지결합부(410)의 사이에서 탄성압축 된다.
One end of the connector 51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riving bar 50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310 and the hinge coupling part 4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510 is engaged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operation portion 440 via a channel penetrating inward. Specifically, the driving bar 500 is connected to the actuating part 440 by the connector 510, and the connector 510 is connected between the driving bar 500 and the actuating part 440 by the center connecting rod 310, 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engaging portion 410 and the elastic member 450.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bar 500 formed in the handle 200 is pulled, the connector 510 transmits the force to the actuating part 440, causing the actuating part 440 to retract. At this time, And is elastically compressed between the operating portion 440 and the hinge engaging portion 410. [

상기와 같은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박 수확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watermelon harves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높고 넓게 쌓은 이랑 위에 맺는 수박을 수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박 수확기를 수확하고자 하는 수박이 위치한 곳으로 손잡이(200)를 제어함으로 이동하여 위치시키고, 수레부(100)의 전면이 수박을 향하도록 하여 수박이 놓여있는 지면으로 손잡이(200)를 전진시켜 수레부(100)의 전면에 형성된 디퍼(140)가 수박의 하단으로 진입하여 적재부(110)로 수박을 올려놓음과 함께 손잡이(200)에 구성된 구동바(500)를 당겨 집게부(400)의 제 1집게편(420) 및 제 2집게편(430)이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수박이 적재부(110) 상단으로 자리를 잡았을때 당겼던 구동바(500)를 놓아주면 탄성부재(450)에 의하여 작동부(440)가 전면으로 복귀하며 수박의 일면과 접촉하게 되고, 양쪽으로 벌어져 있던 제 1집게편(420) 및 제 2집게편(430)이 조여지며 수박을 양측면에서 파지하게 된다. 수박이 적재부(110)의 위에서 집게부(400)에 의하여 파지 된 상태로 손잡이(200)를 조향하여 수확된 수박을 허리를 구부리거나 들어올리는 작업이 없이 적은 노동력으로 간편하게 수확하여 운반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harvest high and wide watermelons on the ridges, the watermelon to be harves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watermelon is to be harvested, and the front of the wagon 100 is moved The dipper 140 formed on the front of the wagon portion 100 enters the lower end of the watermelon so that the watermelon is placed on the loading portion 110 The driving bar 500 formed on the handle 200 is pulled so that the first clamp piece 420 and the second clamp piece 430 of the clamp assembly 400 are opened to both sides. When the watermelon is placed at the upper end of the loading unit 110, if the driving bar 500 pulled is released, the operation unit 440 returns to the front surface by the elastic member 45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watermelon, The first clamping piece 420 and the second clamping piece 430 which have been opened are tightened to hold the watermelon from both sides. The watermelon can be easily harvested and transported with less labor without sewing the harvested watermelon by bending or lifting the waist with the watermelon held by the clamping unit 400 on the loading unit 110 do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수레부 110 : 적재부
120 : 바퀴 130 : 회전축
140 : 디퍼 200 : 손잡이
300 : 연결부 310 : 센터연결봉
320 : 제 1연결봉 330 : 제 2연결봉
400 : 집게부 410 : 힌지결합부
411 : 관통공 420 : 제 1집게편
430 : 제 2집게편 440 : 작동부
441 : 제 1로드 442 : 제 2로드
450 : 탄성부재 460 : 힌지핀
470 : 힌지공 500 : 구동바
510 : 커넥터
100: a cart portion 110: a loading portion
120: wheel 130: rotary shaft
140: Dipper 200: Handle
300: connection part 310: center connecting rod
320: first connecting rod 330: second connecting rod
400: clamping part 410: hinge coupling part
411: Through hole 420: 1st clamp
430: second forceps 440: operating part
441: first load 442: second load
450: elastic member 460: hinge pin
470: Hinge ball 500: Driving bar
510: Connector

Claims (4)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수박이 적재되는 수레부;
상기 수레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적재된 수박을 협지하는 집게부;
상기 수레부의 일측 상방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집게부의 협지작동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는 구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는
수박의 양 측면을 협지하는 제 1집게편;과 제 2집게편;
상기 제 1집게편 및 제 2집게편의 일단이 각각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
상기 힌지결합부와 탄성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제 1집게편 및 제 2집게편의 내측과 제 1로드 및 제 2로드로 힌지결합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힌지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바와 연결되는 커넥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수확기.
A cart having a wheel at a lower portion and a watermel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clamping unit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rt to hold the watermelon loaded thereon;
A handle formed above one side of the wheelbarrow; And
And a drive bar formed on the handle to drive the gripping operation of the gripper unit
The clamp
A first clamping member for clamping both sides of the watermelon;
A hinge coupling part in which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clamping piece and the second clamping piece is hinged;
An oper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hinge coupling portion and the elastic member and hing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 pieces and the first and second rods; And
A connec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ctuat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bar through the hinge coupling part;
Wherein the watermelon harvester comprise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레부는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디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wheel includes a dipper extending forward from a front portion thereof;
Wherein the watermelon harvester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레부와 손잡이를 연결하는 센터연결봉, 상기 수레부에 형성된 바퀴 축의 양측방으로 각기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센터연결봉에 타단이 연결되어 지지되는 제 1연결봉 및 제 2연결봉으로 구성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ing rod having a center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wheelbarrow and the handle, a connecting rod having a first connecting rod and a second connecting rod, one end of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a wheel shaft formed on the wheelbarrow,
Wherein the watermelon harvester comprises:


KR1020150002139A 2015-01-07 2015-01-07 Apparatus for harvesting watermelon KR1016709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139A KR101670901B1 (en) 2015-01-07 2015-01-07 Apparatus for harvesting watermel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139A KR101670901B1 (en) 2015-01-07 2015-01-07 Apparatus for harvesting watermel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135A KR20160085135A (en) 2016-07-15
KR101670901B1 true KR101670901B1 (en) 2016-11-03

Family

ID=5650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139A KR101670901B1 (en) 2015-01-07 2015-01-07 Apparatus for harvesting watermel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90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5304A (en) * 2018-04-15 2018-09-28 浙江师范大学 Folder top secondary linkage plucks cherry tool
EP3923698A4 (en) * 2019-02-15 2022-11-23 Appharvest Technology, Inc. Gripper tools for object grasping and manipulation
CN110089268B (en) * 2019-04-25 2020-11-13 江苏乐虎安全技术发展有限公司 Preset full-retention non-Newtonian fluid wrapped wing-shaped anti-rolling watermelon car
KR102424195B1 (en) * 2020-03-10 2022-07-26 카고텍 파텐터 에이비 Device for harvesting palm fruit
KR102424615B1 (en) * 2021-07-29 2022-07-27 (주)신성엔지니어링 Multifunctional structural traction device for sewage pip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071B1 (en) * 2008-02-04 2010-02-08 김보영 Transporting devicr of flower pot
KR20110002900U (en) * 2009-09-16 2011-03-23 염우람 Pollen floats moved
KR20120001988U (en) * 2010-09-09 2012-03-19 정현중 wheelbarr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135A (en) 2016-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901B1 (en) Apparatus for harvesting watermelon
US6125951A (en) Hole drilling apparatus for tree farms
ES2241260T3 (en) HYDRAULIC GRIPPER FOR TRACTOR.
CN105519307A (en) Harvester
KR101716947B1 (en) Manual walk-agricultural working machine
US6401831B2 (en) Tine structure for bare root tree and stump extracting tool
KR101108645B1 (en) Carrier for moving the ridge and furrow
US9301437B1 (en) Hedge separato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208490461U (en) A kind of arbor transplantation device
JP3123489U (en) Takaeda pruning shears combined with fruit harvester
FI127863B (en) Planting Device
JP3137849U (en) Takaeda pruning shears combined with fruit harvester
US7168230B1 (en) Apparatus for gathering, picking up and carrying loose materials
KR102143725B1 (en) Seedling removing machine
KR101132037B1 (en) Cart for moving box
KR200488824Y1 (en) Tuber harvester
CN207803019U (en) Sapling soil-carried transplanter
KR101313216B1 (en) Crop harvesting device
KR20140076766A (en) A scissors with tongs for agriculture
CN216437953U (en) Transplanting seedling excavating gear of usefulness is planted in gardens
KR102321034B1 (en) Seedling removing machine
KR102153785B1 (en) Farm equipment for Crop harvesting
CN207573897U (en) A kind of seedling replanting device
KR101493153B1 (en) Vehicle for farm work
KR102321035B1 (en) Seedling remov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