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462B1 - 혈액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혈액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462B1
KR101668462B1 KR1020150026931A KR20150026931A KR101668462B1 KR 101668462 B1 KR101668462 B1 KR 101668462B1 KR 1020150026931 A KR1020150026931 A KR 1020150026931A KR 20150026931 A KR20150026931 A KR 20150026931A KR 101668462 B1 KR101668462 B1 KR 101668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ucoma
cells
extract
present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217A (ko
Inventor
김윤배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46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9Platelets; Megacary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Zo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핵구 추출액 또는 혈소판 추출액을 녹내장이 유발된 안구에 직접 주입할 경우, 녹내장으로 인한 안압상승을 완화하고 망막신경절세포의 손상을 보호하며 시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혈액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녹내장의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혈액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Glaucoma Comprising Blood Components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혈액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녹내장은 만성 시신경 병변으로, 시신경의 점진적 변성, 망막신경절세포(retinal ganglionic cells, RGC)의 진행성 소실 및 시야결손에 따른 시력상실을 초래하는 중증 난치성 질환이다. 국내 녹내장 환자수는 약 48만 명으로 추산되며, 전 세계적으로는 약 7천만 명에 이른다.
녹내장의 위험요소로는 연령, 인종, 성별, 고혈압 등 다양하지만, 안압(intraocular pressure, IOP) 상승이 여러 가지 녹내장, 특히 일차성 개방각 녹내장(open angle glaucoma, OAG)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녹내장은 안구 내 지주그물(trabecular meshwork, TM)의 세포 사멸로 세포 외 기질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지주그물을 통한 안방수(aqueous humor, AH) 배출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여 안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일어난다(Alvarado et al., 1981; Grierson and Howes, 1987; Caballero et al., 2003; Tamm and Fuchshofer, 2007; Acott and Kelley, 2008; Baleriola et al., 2008; Tamm, 2009). 즉, 안압상승은 녹내장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소로서 안압 항상성의 변화는 시신경 손상을 초래하므로 안압조절이 녹내장 완화를 위해 가장 우선시되는 관리방법이다(Kwon et al., 2009; Chauhan et al., 2010).
평생 동안 지속되어야 할 녹내장 관리를 위해서는 안방수 생성을 감소시키는 약물을 처방하거나, 지주그물이 일시적으로 안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레이저를 조사하거나, 수술적으로 새로운 안방수 배출 경로를 만들어 주는 방법 등이 있다(Leske et al., 2007, 2008; McKinnon et al., 2008; Robert et al., 2013). 하지만 레이저 지주그물 성형수술(laser trabeculoplasty) 외에는 지주그물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이 시도된 바가 없다. 따라서 안압조절 기능을 회복시켜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지주그물 재생방법의 개발은 녹내장 치료에 있어 획기적인 해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양한 뇌질환 연구에서 줄기세포(stem cells, SC)가 세포대체, 뇌보호 및 염증억제를 통해 비가역적 뇌손상을 개선시켜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신경줄기세포(neural stem cells, NSC)와 지방줄기세포(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ASC)는 염증을 억제하여 뇌세포를 보호하고, 손상된 세포를 대체하며, 더 나아가서는 신경세포 재생을 통해 뇌질환 및 뇌의 노화에 따른 중추기능 이상을 개선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ark et al., 2012a, 2013a, 2013b). 이러한 뇌세포 보호 및 재생에는 줄기세포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성장인자(Growth Factors, GF)와 신경영양인자(Neurotrophic Factors, NF)가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ark et al., 2013a, 2013b). 최근 망막세포 보호에 있어서도 신경줄기세포, 골수줄기세포(bone marrow-derived stem cells, BMSC), 망막전구세포(retinal progenitor cells, RPC) 등의 이식이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는데(Park et al., 2012b; Hu et al., 2013; Lu et al., 2013; Luo et al., 2014), 이와 같은 효능에 있어서도 성장인자와 신경영양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기능성 성장인자나 신경영양인자 유전자를 발현하는 자가 줄기세포 (Autologous Stem cell)및 전구세포의 확립 및 이의 임상적용을 위해서는 동물과 인체에서의 효능은 물론, 다양한 항목의 안전성 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흥미롭게도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선택적 레이저 지주그물 성형수술 후 지주그물 내로 단핵구(monocytes)가 유입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단핵구의 세포유래 사이토카인(cytokines) 등에 의해 안방수 유출(aqueous outflow)이 촉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Alvarado et al., 2010). 또한, 단핵구 유인단백질-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CCL2)을 안구 내에 주사하는 경우, 망막신경절세포가 보호되는 것으로 밝혀졌다(Chiu et al., 2010).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안구 내의 망막신경절세포가 조직재생에 필요한 산소와 성장/영양인자를 공급해 주는 혈액이 도달할 수 없는 고립된 부위에 존재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혈액성분을 직접 안구 내로 주입하였고, 결과적으로 혈액성분이 녹내장으로 인한 안압상승과 시력저하를 개선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녹내장으로 인한 안압상승, 시력저하 및 망막신경절세포의 손상을 보호할 수 있는 조성물을 발굴하고자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인간 혈액 내의 단핵구 추출액 또는 혈소판 추출액을 직접 안구에 주입하는 경우, 녹내장으로 인한 안압상승과 시력저하가 개선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백혈구 또는 혈소판의 성분(componen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혈액 내의 백혈구 또는 혈소판의 성분(componen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백혈구(leukocyte, White Blood Cell, WBC)는 혈액에서 적혈구를 제외한 나머지 세포들로서, 적혈구와 달리 종류가 다양하다. 세포질의 특이 과립의 존재 여부에 따라 크게 과립성 백혈구(granulocyte)와 무과립성 백혈구(agranulocyte)로 나눈다. 과립성 백혈구에는 호산구(eosinophil), 호염기구(basophil) 및 호중구(neutrophil)가 있으며, 무과립성 백혈구에는 림프구(lymphocyte)와 단핵구(monocyte)가 있다. 비율은 호중구가 54-62%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에는 림프구가 25-45%, 단핵구 4-8%, 호산구와 호염기구가 약 5% 정도를 차지한다. 백혈구 내에는 여러 종류의 성장인자/영양인자와 같은 단백질과 다양한 사이토카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백혈구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백혈구 중 단핵구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백혈구의 단핵구를 파쇄하여 얻어진 용해성(soluble)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 따르면, 사람의 혈액에서 백혈구를 분리하고, 다시 여기서 단핵구를 분리한 다음, 이를 파쇄하여 얻어진 용해성 성분을 녹내장이 유발된 동물모델의 안구에 직접 주입하는 경우, 녹내장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혈소판(Platelet, Thrombocyte)은 혈액 응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형 성분의 하나로서, 골수 안에 있는 거핵 세포의 세포질이 찢어져 혈액 속에 나온 것이다. 따라서 핵은 없으며, 1개의 거핵세포가 약 400~8000개 정도의 혈소판을 생성한다. 혈소판 내에는 여러 종류의 성장인자/영양인자와 같은 단백질과 다양한 사이토카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혈소판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혈소판을 파쇄하여 얻어진 용해성(soluble)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 따르면, 사람의 혈액에서 혈소판을 분리하고, 이를 파쇄하여 얻어진 용해성 성분을 녹내장이 유발된 동물모델의 안구에 직접 주입하는 경우, 녹내장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혈소판을 파쇄하여 얻어진 용해성 성분은 단핵구를 파쇄하여 얻어진 용해성 성분보다 더 효과적으로 녹내장 증상을 완화하는데, 이는 혈소판 내에 단핵구와 다른 성장/영양인자가 존재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백혈구 또는 혈소판의 성분은 녹내장 환자의 안구에 직접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녹내장 환자의 초자체강내 직접 주입(intravitreal injectioi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상적인 안구의 초자체내에는 부유 상태의 세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위적으로 세포를 주입하는 경우 주입된 세포가 이동하여 시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세포 자체보다는 혈청또는 세포 추출액을 사용하는 편이 훨씬 더 안전하다. 또한, 타인의 줄기세포(allogeneic stem cells)나 이종줄기세포(heterologous or xenogeneic stem cells)의 경우 항체생성으로 인한 염증 및 쇼크 가능성이 있으며(Pigott et al., 2013),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s, ESC)의 경우 종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Germain et al., 2012)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자가 유래 혈액 또는 세포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사용하는 경우, 부작용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 따르면, 사람의 혈액에서 분리한 단핵구 또는 혈소판을 파쇄하여 얻어진 용해성 성분을 녹내장이 유발된 동물모델의 초자체강내 직접 주입하는 경우, 현저하게 녹내장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녹내장을 치료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인 또는 타인 유래 혈액 내의 백혈구나 혈소판으로부터 얻어진 성분을 혈류가 도달하지 못하는 안구 내로 직접 주입함으로써 녹내장으로 인한 안압상승과 그에 따른 망막세포 소실 및 시력저하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는 녹내장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도 1은 혈청(Serum), 단핵구 추출액(Monocyte extract, ME) 및 혈소판 추출액(Platelet extract, PE)의 안압 강하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혈청(Serum), 단핵구 추출액(Monocyte extract, ME) 및 혈소판 추출액(Platelet extract, PE)의 시력 개선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혈청(Serum), 단핵구 추출액(Monocyte extract, ME) 및 혈소판 추출액(Platelet extract, PE)에 의한 대표적인 망막신경절세포 보호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혈청(Serum), 단핵구 추출액(Monocyte extract, ME) 및 혈소판 추출액(Platelet extract, PE)에 의한 망막신경절세포 보호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실험동물의 준비
암컷 Sprague-Dawley 랫트(Rat, 10주령, 240-260 g)를 코아텍(대한민국, 평택)으로부터 공급받아 약 1주간 실험실 순화과정을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을 랫트용 케이지에 2마리씩 수용하고, 동물실험실의 환경을 온도 23± 2℃, 상대습도 55± 10%, 환기횟수 12회/시간, 조명주기 12시간(07:00-19:00), 조도 150-300 lux로 조절하였다. 실험동물용 펠렛형 고형사료(Purina Rat Chow, 바이오피아, 대한민국)를 급여하였으며, 음료수는 멸균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본 실험은 충북대학교 실험동물연구지원센터의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의 승인 하에 동 기관의 표준작업지침서(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SOP)에 따라 수행되었다.
실시예 2 : 시험물질-단핵구 추출액, 혈소판 추출액의 준비
51세 정상인 남성의 혈액을 정맥으로부터 채혈하여 4 ℃에 30분간 방치한 후 12,000 rpm으로 원심분리 하여 혈청(serum)을 얻었다. 채혈 과정에서 일부의 혈액은 0.8% 시트르산(citric acid, Sigma-Aldrich, St. Louis, USA), 2.2% 시트르산삼나트륨(trisodium citrate, Sigma-Aldrich, St. Louis, USA) 및 2% 덱스트로오스(dextrose, Sigma-Aldrich, St. Louis, USA)가 함유된 항응고 용액(citrate-dextrose)에 채혈한 다음, 다음의 방법에 따라 단핵구 추출액 및 혈소판 추출액을 얻었다.
단핵구 추출액을 얻기 위하여, 우선 Percoll 농도경사 원심분리를 통해 말초혈액 단핵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를 분리하였다(Waschbisch et al., 2014). 분리한 단핵구를 1분간 초음파로 파쇄하고, 모세관(capillary tube) 내에서 5분간 원심분리 하여 단핵구 추출액(monocyte extract, ME)을 얻었다.
혈소판 추출액을 얻기 위하여, 항응고 용액(citrate-dextrose)에 채혈한 혈액을 230 g로 10분간 원심분리 하여 혈소판 함유 혈장(platelet-rich plasma, PRP)을 얻었다(Jang et al., 2013). 이 PRP를 다시 800 g로 15분간 원심분리 하여 혈소판을 얻었다. 얻어진 혈소판을 HEPES 버퍼(pH 7.4)로 세척한 후 1분간 초음파로 파쇄하고, 모세관(capillary tube) 내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소판 추출액(platelet extract, PE)을 얻었다.
실시예 3 : 녹내장 유발 및 안압 측정
랫트에 케타민-자일라진(ketamine-xylazine, Bayer, Toronto, Canada)을 복강 내로 주사하여 마취하고, 좌측 안구 내의 상공막정맥(episcleral veins) 내로 50 ㎕의 1.8 M 고장성 식염수(hypertonic saline)를 주사하여 지주그물에 반흔(scar)을 유발함으로써 안방수 배출경로의 저항성에 의한 안압상승을 유도하였다(He et al., 2013). 우측 안구를 대조부위로 하였고, Tonolab tonometer(Icare Finland Oy, Espoo, Finland)를 사용하여 녹내장 유발 전 및 유발 후 2일 간격으로 2주 동안 좌측과 우측 안구의 안압을 측정하였다(Chiu et al., 2009, 2010). 시간차 및 마취에 의한 안압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안압측정은 오전 10시경, 마취제 투여 15-30분 내에 이루어졌으며, 5회 측정 후 평균값을 계산하여 제시하였다. 시험물질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녹내장 유발 4일 후 시험물질(2 ㎕)을 초자체(vitreous cavity) 내로 주사한 다음, 일정한 간격으로 안압을 측정하였다.
이후의 모든 시험결과는 mean± SEM으로 표시하였고, 집단 간 차이는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SPSS 12.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 value < 0.05 미만일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녹내장 유발 전 랫트의 안압은 50-70 mmHg로 정상범위(40-80 mmHg) 내에 있었다(도 1). 하지만 고장액(1.8 M)의 식염수를 지주그물 내로 주사하여 녹내장을 유발했을 때, 주사 4일 후에 안압이 약 110 mmHg로 상승하였고, 6일 후에는 약 138 mmHg의 최고치에 도달하여 14일 이후까지 높게 유지되었다.
시험물질을 주사한 경우 이와 같은 안압증가가 완화되었다. 즉, 녹내장 유발 4일째에 2 ㎕의 혈청(serum)을 초자체 내로 주사한 경우, 안압증가가 다소 완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말초혈액 단핵구 추출액(ME)을 주사한 경우, 안압이 서서히 떨어져 8일 후인 12일째에는 정상범위 이내로 회복되었다. 특히, 혈소판 추출액(PE)을 주사한 경우, 안압이 급속히 강하하여 혈소판 추출액 주사 4일 후인 시험 8일째에 이르기 전에 안압이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실시예 4 : 시력 측정
동물의 시력을 Morris water-maze system (Smart v2.5; Panlab Technology, Barcelona, Spain)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즉, 직경 1.8 m의 수조에 22± 2℃의 물을 채우고 수조를 네 구역으로 나눈 후, 한 구역에 수면 위 5 cm 높이(직경 10 cm)의 플랫폼을 설치하였다. 시험 종료 시점인 녹내장 유도 후 14일째에 플랫폼의 반대편 구역에 동물을 수조의 벽쪽을 향하도록 넣어 스스로 플랫폼을 찾아갈 때까지의 시간(latency time)을 측정하였으며, 5회 반복 실험하고 평균값을 계산하여 제시하였다(Hu et al., 2013; Park et al., 2013a).
정상동물에서 수영을 통해 눈에 보이는 플랫폼을 찾아가는 데에는 약 11초가 소요되었으나 녹내장 유발 후 14일이 지난 동물에서는 플랫폼 도달시간이 약 44초가 소요되었다(도 2). 시험물질을 주사한 경우에는 플랫폼 도달시간이 단축되었다. 즉, 녹내장 유발 4일 후 초자체 내로 혈청을 주사한 경우, 약 35초가 소요되었으며, 단핵구 추출액 투여군에서는 약 23초, 그리고 혈소판 추출액 투여군에서는 약 18초로 플랫폼 도달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혈액성분에 의해 시력이 상당한 수준으로 개선되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5 : 망막신경절세포수 측정
망막신경절세포수를 측정하기 위해 동물을 부검하기 4일 전 상구(superior colliculus, SC) 표면에 fluorogold(Fluorochrome, Denver, CO, USA)를 적용하여 역행성으로 표식(retrograde labeling)을 하였다(Chiu et al., 2008, 2009, 2010). 즉, 랫트의 두피를 정중선에서 절개하고, 두개골의 시상봉합(sagittal suture)과 횡봉합(transverse suture)으로부터 0.5 mm 거리를 두고 좌우 두정골(parietal bone)에 치과용 드릴을 사용하여 직경 2 mm의 구멍을 내었다. 대뇌피질(cerebral cortex)를 제거한 후 수술용 현미경을 통해 네 개의 상구 변연부를 확인한 후 6% fluorogold로 적신 얇은 젤라틴 스폰지(UpJohn, Kalamazoo, MI, USA)를 상구 위에 얹음으로써 fluorogold가 망막신경절세포의 축삭말단으로 흡수되어 역행성으로 양측 망막 내의 신경절세포체로 전달되도록 하였다(Chiu et al., 2008; Hu et al., 2013). 두개골 피부를 봉합하고 5일간 진통제 bupreorphine (100 mg/kg)를 경구로 투여하였다.
부검일에 안구를 적출하고, 60분간 포르말린액에 고정한 후 위아래 안배(eyecups)를 수평으로 절단하였다. 온전한 시신경을 가지고 있는 위쪽 안배를 고정하여 파라핀 절편을 만들었다. 아래쪽 안배에서 밑에 있는 공막(sclera)으로부터 망막을 분리하고, 초자체쪽을 위로 하여 납작하게 압착한 후 fluorescent mounting medium (Dako, Carpentaria, CA, USA)을 사용하여 슬라이드에 부착하였다(Chiu et al., 2009, 2010). Fluorogold 표식 망막신경절세포(세포질 내 fluorogold 과립 확인)를 UV-385 filter (Nikon, Kawasaki, Japan)가 장착된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정상동물의 망막신경절세포층에서는 강한 fluorogold 양성반응을 보이는 망막세포들이 명확히 관찰되었으나, 녹내장 유발 동물에서는 형광반응이 현저히 감소하여 망막세포들이 상당 부분 소실되었음을 보여주었다(도 3). 이러한 세포소실은 시험물질 중 혈청을 주사한 경우, 어느정도 약간 회복되었다. 단핵구 추출액 또는 혈소판 추출액을 주사한 경우, 망막세포가 현저하게 보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망막신경절 내 세포 수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도 4), 녹내장을 유발한 경우, 세포수가 정상인 경우 세포 수의 약 51%를 나타내어 50% 가까운 세포들이 소실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혈청을 주사한 경우, 세포수가 정상인 경우 세포수가 약 61%를 나타내어 녹내장만을 유발한 경우에 비해 망막세포가 어느 정도 보호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단핵구 추출액을 주사한 경우, 세포수가 정상인 경우 세포수의 약 81%를 나타내었다. 혈소판 추출액을 주사한 경우, 세포수가 정상인 경우 세포수의 약 89%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핵구 추출액 또는 혈소판 추출액에 의한 망막세포 보호효과가 현저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어떤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Acott TS, Kelley MJ. Extracellular matrix in the trabecular meshwork. Exp Eye Res 2008; 86: 543561.
Alvarado J et al. Age-related changes in trabecular meshwork cellularity.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1; 21: 714727.
Alvarado JA et al. Monocyte modulation of aqueous outflow and recruitment to the trabecular meshwork following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Arch Ophthalmol 2010; 128: 731-737.
Baleriola J et al. Apoptosis in the trabecular meshwork of glaucomatous patients. Mol Vis 2008; 14: 15131516.
Caballero M et al. Proteasome inhibition by chronic oxidative stress in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3; 308: 346352.
Chauhan BC et al. Canadian Glaucoma Study: 3. Impact of risk factors and intraocular pressure reduction on the rates of visual field change. Arch Ophthalmol 2010; 128: 12491255.
Chiu K et al. Modulation of microglia by Wolfberry on the survival of retinal ganglion cells in a rat ocular hypertension model. J Ocul Biol Dis Inform 2009; 2: 4756.
Chiu K et al. Modulation of morphological changes of microglia and neuroprotection by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in experimental glaucoma. Cell Mol Immunol 2010; 7: 6168.
Chiu K et al. Retrograde labeling of retinal ganglion cells by application of fluoro-gold on the surface of superior colliculus. J Vis Exp 2008; 16: 1-2.
Clark AF, Yorio T. Ophthalmic drug discovery. Nat Rev Drug Discov 2003; 2: 448459.
Germain ND et al. Teratocarcinoma formation in embryonic stem cell-derived neural progenitor hippocampal transplants. Cell Transplant 2012; 21: 16031611.
Grierson I, Howes RC. Age-related depletion of the cell population in the human trabecular meshwork. Eye 1987; 1(pt 2): 204210.
He S et al. Involvement of AP-1 and C/EBPb in upregulation of endothelin B (ETB) receptor expression in a rodent model of glaucoma. PLoS One 2013; 11: e79183.
Hu Y et al.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protect against retinal ganglion cell lossin aged rats with glaucoma. Clin Intervent Aging 2013; 8: 14671470.
Jang JY et al. Nattokinase improves blood flow by inhibiting platelet aggregation and thrombus formation. Lab Anim Res 2013; 29: 221-225.
Kwon YH et al. Primary open-angle glaucoma. New Engl J Med 2009; 360: 11131124.
Leske MC et al. Nine-year incidence of open-angle glaucoma in the Barbados Eye Studies. Ophthalmology 2007; 114: 10581064.
Leske MC et al. Risk factors for incident open-angle glaucoma: The Barbados Eye Studies. Ophthalmology 2008; 115: 8593.
Lu B et al. Neural stem cells derived by small molecules preserve vision. Transl Vis Sci Technol 2013; 2: 1.
Luo J et al. Human retinal progenitor cell transplantation preserves vision. J Biol Chem 2014; 289: 6362-6371.
McKinnon SJ et al. Current management of glaucoma and the need for complete therapy. Am J Manag Care 2008; 14: S20S27.
Park D et al. Human neural stem cells over-expressing choline acetyltransferase restore cognition in rat model of cognitive dysfunction. Exp Neurol 2012a; 234: 521-526.
Park D et al.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activity of ageing mice by human neural stem cells over-expressing choline acetyltransferase. Neurobiol Aging 2013a; 34: 2639-2646.
Park D et al. Transplantation of human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restores the neurobehavioral disorders of rats with neonatal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Cell Med 2013b; 5: 17-28.
Park HYL et al. Stem cell-based delivery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gene in the rat retina. Brain Res 2012; 1469: 10-23.
Pigott JH et al. Inflammatory effects of autologous, genetically modified autologous, allogeneic, and xenogeneic mesenchymal stem cells after intra-articular injection in horses. Vet Comp Orthop Traumatol. 2013; 26: 453-460.
Quigley E et al. Quantitative studies of elastin in the optic nerve heads of persons with primary open-angle glaucoma. Ophthalmology 1996; 103: 16801685.
Quigley H. Number of people with glaucoma worldwide. Br J Ophthalmol 1996; 80: 389393.
Quigley HA. Open-angle glaucoma. New Engl J Med 1993; 328: 10971106.
Robert MC et al. Persistent leak after glaucoma aqueous shunt implantation. J Glaucoma 2013; 22: 647-651.
Tamm ER, Fuchshofer R. What increases outflow resistance in primary open-angle glaucoma? Survey Ophthalmol 2007; 52(suppl 2): S101S104.
Tamm ER. The trabecular meshwork outflow pathways: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Exp Eye Res 2009; 88: 648655.
Waschbisch A et al. Interferon beta and vitamin D sSynergize to induce immunoregulatory receptors on peripheral blood monocytes of multiple sclerosis patients. PLoS One 2014; 9: e115488.

Claims (6)

  1. 혈소판을 파쇄하여 얻어진 혈소판의 용해성(soluble) 성분(componen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녹내장 환자의 안구에 직접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녹내장 환자의 안구의 초자체강내 직접 주입(intravitreal injecti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안압강하 및 망막신경절세포의 보호를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50026931A 2015-02-26 2015-02-26 혈액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68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931A KR101668462B1 (ko) 2015-02-26 2015-02-26 혈액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931A KR101668462B1 (ko) 2015-02-26 2015-02-26 혈액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217A KR20160104217A (ko) 2016-09-05
KR101668462B1 true KR101668462B1 (ko) 2016-10-24

Family

ID=5693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931A KR101668462B1 (ko) 2015-02-26 2015-02-26 혈액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4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227A (ko) 2021-09-27 2023-04-05 (주) 씨드모젠 AAV2-Trx2-C3 융합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6228A (ko) 2021-09-27 2023-04-05 (주) 씨드모젠 Aav2-f1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92308A (ko) 2022-12-14 2024-06-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걱 펄프 추출물을 포함하는 녹내장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8407A (ja) * 2009-02-20 2012-08-16 ザ スクリプス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単離された単球集団及び関連した治療応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Arch Soc Esp Oftalmol. (2007)
논문2:Nippon Ganka Gakkai Zasshi. (201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227A (ko) 2021-09-27 2023-04-05 (주) 씨드모젠 AAV2-Trx2-C3 융합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6228A (ko) 2021-09-27 2023-04-05 (주) 씨드모젠 Aav2-f1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217A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11085T3 (es) Composiciones, usos y preparación de lisados de plaquetas
US20210236656A1 (en) Methods for screening human blood products comprising plasma using immunocompromised rodent models
JP7022994B2 (ja) 眼炎症および目の化学的損傷を細胞外小胞で処置する方法
US20200352994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ging-associated conditions
KR101859124B1 (ko) 눈 손상 및 질환 치료용 성체 줄기 세포/전구 세포 및 줄기 세포 단백질
JP2009500297A (ja) 眼の変性についての細胞療法
Yu et al. 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m ameliorates dry eye disease by inhibiting antigen-presenting cell maturation and T helper 17 cell activation
CA2984645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ging-associated impairments
JP7089603B2 (ja) 眼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脱メチル化
KR20180071030A (ko)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8462B1 (ko) 혈액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4210454A1 (en) Treatment and diagnosis of ocular disease
Ng et al. Thrombospondin-1–mediated regulation of microglia activation after retinal injury
KR102257163B1 (ko) 안질환 및 장애의 치료를 위한 인간 단핵구 하위집단
Yang et al. Alpha 1-antitrypsin inhibits microglia activation and facilitates the survival of iPSC grafts in hypertension mouse model
US11433090B2 (en) mTOR-inhibitor-containing medicine for treating or preventing ophthalmic symptoms, disorders, or diseases, and application thereof
EP2908910A2 (en) Treatment of brain injury or trauma with tsg-6 protein
CN116492462B (zh) Pad4抑制剂在防治角膜移植术后免疫排斥反应中的应用
US20230077811A1 (en) Activation of neuropeptide receptors on plasmacytoid dendritic cells to treat or prevent ocular diseases associated with neovascularization and inflammation
WO2023212417A1 (en) Treatment of diseases and conditions of the eye
Sharif Inflammatory and immunological aspects of glaucoma, optic neuritis, and neuromyelitis optica impacting eyesight
WO2021072595A1 (zh) 间充质干细胞在治疗听力障碍上的医药用途
US2015037473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gulating cell growth and development
WO2019064164A1 (en) PERGOLID FOR USE IN THE TREATMENT OF OCULAR DISEASES ASSOCIATED WITH A HIGH RATE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ERGOLID
KR20180096767A (ko) 망막 줄기 세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