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450B1 -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450B1
KR101668450B1 KR1020150135994A KR20150135994A KR101668450B1 KR 101668450 B1 KR101668450 B1 KR 101668450B1 KR 1020150135994 A KR1020150135994 A KR 1020150135994A KR 20150135994 A KR20150135994 A KR 20150135994A KR 101668450 B1 KR101668450 B1 KR 101668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nail
gesture input
user terminal
thumbnails
digit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승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키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키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키캐스트
Priority to KR1020150135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에 기초하여 임시 저장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제스처 입력에 따라 임시 저장 공간 내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거나,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을 임시 저장 공간에서 삭제하거나,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의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PROVIDING DIGITAL CONTENS AND APPARATUS THEREOF}
이하의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이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의 사용이 일반화 됨에 따라 시간과 장소 등의 여건에 구애 받지 않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Multimedia Contents)의 제공이 가능해 졌다.
디지털 기기들에서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의해 사용자와 디지털 기기 간의 인터랙션(interaction)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스처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의 락 스크린(Lock Screen)에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열람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스처에 기반하여 락 스크린으로 제공되는 썸네일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삭제하거나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의 오프라인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한다.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썸네일들에 기초하여 임시 저장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임시 저장 공간 내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입력이 제1 방향의 제스처 입력 또는 제2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입력이 제3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을 상기 임시 저장 공간에서 삭제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입력이 제4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의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저장 공간 내 잔여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측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제4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을 상기 임시 저장 공간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내지 상기 제4 방향은, 상하좌우 방향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미리 정해진 수의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을 수신하여 상기 임시 저장 공간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들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대표하는 그래픽 정보 및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드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 공간 내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락 스크린(Lock Screen)에 상기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락 스크린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락 해제 버튼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락 해제 버튼의 해제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온라인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의 락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앤 드래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기울이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비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서 감지되는 모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입력이 제1 방향의 제스처 입력 또는 제2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의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응하는 스토리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카드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카드는, 사진, 플래시,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 오프라인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들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썸네일 중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썸네일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대응하는 스토리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온라인으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온라인으로 전환된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입력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서버에 동기화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스처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의 락 스크린(Lock Screen)에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열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스처에 기반하여 락 스크린으로 제공되는 썸네일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삭제하거나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의 오프라인에서 열람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행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가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이 제공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을 제공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락 스크린의 락 해제 버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가 보관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카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스처 입력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환경은 네트워크(50), 사용자 단말(110), 및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50)는, 예를 들면, 인터넷, 인트라넷들, 익스트라넷들, 광역 네트워크들(WANs), 근거리 네트워크들(LANs), 유선 네트워크들, 무선 네트워크들, 혹은 그외 적합한 네트워크들, 등 혹은 상기 네트워크들의 둘 이상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예를 들어, 터미널(terminal),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태블릿(tablet) 컴퓨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130)는 예를 들어, 단일의 서버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시스템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뱅크들(server banks) 또는 그외 다른 배열들로 배열되는 복수의 서버들일 수 있다. 서버(130)는 단일 시설에 놓일 수도 있고, 혹은 많은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들 간에 분산된 서버 "클라우드(cloud)"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네트워크 망(50)을 통해 서버(130)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에서는 다양한 주제들에 관련된 디지털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과 함께, 사용자 단말(110)에서는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가 제공될 수 있다.
서버(130)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10)에서 제공되는 화면의 일 예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스토리들(210, 220, 230, 240)이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이 도시된다.
여기서, '스토리(story)'는 미리 정해진 다양한 주제(topic)들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2의 화면에 표시된 "나랑 똑 같은 신입사원 혼내야 해 말아야 해", "실제 겪은 가장 소름 끼치는 이야기", "자연 제대로 즐기는 방법", 및 "안드로이드 안에 숨겨진 게임이 있다고" 등의 주제가 각각의 스토리에 해당할 수 있다.
하나의 스토리는 해당 스토리가 다루고자 하는 대상과 관련된 복수의 페이지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해당 스토리가 다루고자 하는 대상은 예를 들어, 인문, 사회, 과학, 철학, 여행, 문화, 역사, 경제, 의학, 문학, IT, 쇼핑, 및 만화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대한 것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하에서 하나의 스토리를 구성하는 페이지 각각을 '카드(card)'라고 부르기로 한다. 하나의 카드는 예를 들어, 정지 영상, 동영상, 비디오 클립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디지털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210)이 6개의 카드로 구성된 경우, 1번 카드부터 3번 카드까지는 정지 영상이고, 4번 카드는 20초짜리 동영상이며, 5번 카드는 3초짜리 비디오 클립, 6번 카드는 정지 영상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카드는 동일한 종류의 디지털 컨텐츠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반한 동영상 제어는 미리 정해진 주제에 대응하여 생성된 복수의 카드들 중 어느 하나의 카드에 해당하는 동영상(즉, 인터랙티브 동영상 카드)에 대한 제어일 수 있다.
복수의 스토리들(210, 220, 230, 240)마다에 포함된 복수의 카드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스토리가 선택된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반응하여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스토리들(210, 220, 230, 240)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토리(230)가 선택된 경우에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는 스토리(230)에 포함된 복수의 카드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301)에서, 사용자 단말은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을 수신한다.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은 서버로부터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 디지털 컨텐츠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스토리에 대응하는 복수에 카드들을 포함하며, 썸네일은 실시예에서 특정 스토리를 대표하는 그래픽 정보, 예컨대 사진, 플래시, 동영상 등이거나 스토리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수신되는 썸네일의 디지털 컨텐츠는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컨대 인기 상위 랭크의 디지털 컨텐츠나 최신 디지털 컨텐츠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미리 정해진 수만큼 예컨대 15개의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인기 상위 랭크가 변경되거나 최신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서 수신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이 일부 또는 전체가 변경될 수 있다.
단계(302)에서,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썸네일들에 기초하여 임시 저장 공간을 설정한다.
실시예에서, 임시 저장 공간은 사용자 단말의 임시 메모리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썸네일들에 대해서 임시 메모리 중 사용 가능한 공간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들을 수신하기 위한 임시 저장 공간을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을 미리 정해진 주기 마다 수신하는데, 수신되는 썸네일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썸네일을 수신하면 임시 저장 공간에 사라진 썸네일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고, 새로 수신된 썸네일의 정보를 입력하는 등 임시 저장 공간을 재설정할 수 있다. 또는, 썸네일을 수신하기 위한 임시 공간을 미리 비워둘 수 있다.
단계(303)에서, 사용자 단말은 임시 저장 공간 내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단말의 터치 디스플레이 등의 스크린을 통해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서버로부터 썸네일이 수신될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순서에 대해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락 스크린(Lock Screen)에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락 스크린에 제스처를 입력함으로써 썸네일들의 움직임 및 디스플레이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락 스크린은 사용자 단말의 락 해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락 해제 버튼의 해제 방향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락 해제 버튼이 이동되어 락이 해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락을 해제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온라인으로 표시할 수 있고, 반대 방향으로 락 해제 버튼이 이동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일반적인 실시예로 락을 해제할 수 있다.
단계(304)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스처 입력을 수신한다.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제스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되는 터치 앤 드래그의 입력이거나 사용자 단말 자체의 움직임 또는 기울임 등의 동작에 대해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제스처 입력일 수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의 전면부나 측면부 등에 구비된 비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서 감지되는 모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제스처 입력에 대해서 그 방향을 분석하여 방향에 대응하도록 썸네일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305)에서, 제스처 입력이 제1 방향의 제스처 입력 또는 제2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지 확인할 수 있다.
수신된 제스처 입력이 제1 방향의 제스처 입력 또는 제2 방향의 제스처 입력에 해당하는 경우, 단계(306)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은 왼쪽, 오른쪽 방향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썸네일들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쪽 방향으로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을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음 순서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썸네일을 이동시키되, 제스처 입력의 속도, 예를 들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터치 앤 드래그하는 속도에 따라 썸네일의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썸네일을 한꺼번에 이동시킬 수 있다.
단계(305)의 판단 결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제스처 입력이 아닌 경우, 단계(307)에서, 수신된 제스처 입력이 제3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지 확인할 수 있다.
수신된 제스처 입력이 제3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단계(308)에서, 사용자 단말은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을 임시 저장 공간에서 삭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 방향의 제스처 입력은 위 방향의 제스처 입력에 해당할 수 있고, 제3 방향의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제3 방향의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을 스크린 상에서 삭제하되, 임시 저장 공간에서도 삭제할 수 있다.
단계(307)의 판단 결과, 수신된 제스처 입력이 제3 방향의 제스처 입력이 아닌 경우,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제스처 입력이 제4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309)에서, 제4 방향의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의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4 방향의 제스처 입력은 아래 방향의 제스처 입력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방향의 제스처 입력을 수신한 단말은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의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되, 서버로 요청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에 대응하는 스토리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카드를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복수 개의 카드는 각각 사진, 정지 영상, 동영상, 비디오 클립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면, 이후 다운로드가 완료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은 임시 저장 공간에서 삭제될 수 있다. 또는, 해당 썸네일에 대해서 다운로드 완료에 대응하는 마크, 텍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310)에서, 사용자 단말은 임시 공간 내의 잔여 썸네일들 중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3 방향의 제스처를 통해 삭제되거나 제4 방향의 제스처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후 삭제된 썸네일에 대해서 다음 순서의 썸네일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스처 입력에 대한 실시예는 스크린에 대해 터치 앤 드래그를 입력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이 제공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은 락 스크린(400)에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4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썸네일(410)은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에 해당하고, 예컨대 가장 인기 많은 디지털 컨텐츠이거나 최신 디지털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썸네일(4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스토리를 대표하는 그래픽 정보, 예컨대 사진, 플래시, 동영상 등이나 스토리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썸네일(410)의 스토리는 "무조건 성공하는 특급 레시피"에 관한 주제가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썸네일(41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움직임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썸네일(410)이 삭제되거나 썸네일(410)의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방향(401)으로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면, 썸네일(401)은 제스처 입력의 방향(401)대로 이동하며, 방향(401)의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썸네일(401)을 락 스크린(400)에서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썸네일(401)을 락 스크린(400)에서 삭제하면서, 사용자 단말 내의 임시 저장 공간에서도 삭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방향(402)으로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면, 썸네일(401)은 방향(401)으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 썸네일(401)에 대응하는 스토리에 포함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썸네일(401)의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되,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운로드하며, 디지털 컨텐츠가 다운로드된 썸네일(401)은 락 스크린(400)에서 삭제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은 썸네일(401)을 락 스크린(400)에서 삭제하면서, 사용자 단말 내의 임시 저장 공간에서도 삭제할 수 있다.
썸네일(401)이 삭제된 이후,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잔여 썸네일들 중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다른 썸네일이 락 스크린(4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을 제공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은 락 스크린(500)에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510)을 디스플레이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썸네일(510) 이외에 다음 썸네일(520)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썸네일들의 일부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썸네일들은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에 해당하고, 예컨대 가장 인기 많은 디지털 컨텐츠이거나 최신 디지털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썸네일(51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움직임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501)이나 방향(502)의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썸네일(510)이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에 따른 실시예는 방향(501)의 제스처 입력이 입력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썸네일(510)을 방향(501)의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다음 썸네일(520)의 일부를 락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 썸네일(520)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방향(502)의 제스처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썸네일(510)은 도 5에 도시된 바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다음 썸네일(520)이 아닌 다른 썸네일이 나타나거나, 다음 썸네일(520)이 반대 방향에서 나타날 수도 있다.
방향(501) 및 방향(502)의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은 썸네일(510)을 이동시키고, 썸네일(510)의 다음 썸네일(520)을 락 스크린(5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방향(501) 또는 방향(502)의 제스처 입력이 입력되기 이전의 썸네일(510)은 도 4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락 스크린의 락 해제 버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은 락스크린(600)에 제공될 수 있는데, 락 스크린(600) 내에 포함되는 락 해제 버튼(610)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락 해제 버튼(610)은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등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락 해제 버튼(610)의 입력 후 이동 방향에 따라서 다른 형태의 락 해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 해제 버튼(610)의 입력 후의 이동은 터치 앤 드래그 형태에 해당할 수 있고, 터치 앤 드래그에 따라 락 해제 버튼(610)이 이동하는 방식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 해제 버튼(610)을 아이콘(620)까지 방향(601)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락이 해제되면서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고, 별다른 조작 없이,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썸네일에 대응하는 스토리로 연결함으로써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에 대응하는 스토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온라인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락 스크린에 썸네일로 제공되던 "무조건 성공하는 특급 레시피"에 대한 스토리에 대한 디지털 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열람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락 해제 버튼(610)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아이콘(630)까지 방향(602)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썸네일과는 전혀 무관하게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의 락이 해제되는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의 락을 해제할 수 있다. 아이콘(630)을 이용한 락 해제 시, 사용자 단말은 최근에 디스플레이하고 있던 컨텐츠 또는 바탕화면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가 보관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의 보관에 대한 예시이다. 사용자 단말 내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오프라인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는 오프라인에서도 열람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보관함에 보관되는 디지털 컨텐츠들은 락 스크린에서 제공되는 썸네일에 제스처 입력을 통해 다운로드되거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들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내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들을 보관하는 저장소를 보관함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7(a)에 의하면, 보관함(710)에는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들이 앨범(Album)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각 디지털 컨텐츠들은 썸네일로 제공되는 카드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를 대표하는 그래픽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많은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스크롤을 통해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다운로드된 순서나, 랭킹, 최신 순서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가 나열될 수 있다.
도 7(b)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들은 보관함(7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 방식으로 저장되는 디지털 컨텐츠들은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좌우 스크롤을 통해서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들의 열람이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다운로드된 순서나, 랭킹, 최신 순서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가 나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는 복수 개의 카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카드의 구성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카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에서 어느 하나의 스토리가 선택된 경우에 화면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카드들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토리(800)에 포함된 제1 카드(810), 제2 카드(820) 및 제3 카드(830)가 도시된다. 이때, 제1 카드(810), 제2카드(820) 및 제3 카드(830)는 스토리(800)와 관련하여 생성 혹은 편집된 것들일 수 있다. 제1 카드(310) 및 제2 카드(320)는 정지 영상이고, 제3 카드(330)는 동영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더 많은 수의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드(810), 제2 카드(820) 및 제3 카드(830)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디스플레이(또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깅(dragging)에 의해 재생되거나, 혹은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이때, 제1 카드(310), 제2 카드(320) 및 제3 카드(330)에는 사용자 피드백(811, 821, 831)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제1 카드(810), 제2 카드(820) 및 제3 카드(830)에는 음악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영상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피드백(811, 821, 8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다수의 사용자들이 각 카드(810, 820, 830)에 대하여 작성한 사용자 댓글, 미리 정해진 코멘트, 아이콘, 스탬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카드(810, 820, 830)에 대해서 작성된 사용자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토리(800) 전체에 대응하는 사용자 피드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오프라인으로 동작하는 경우, 온라인에서 작성된 사용자 피드백들(811, 821, 831)이 함께 다운로드되어, 각 카드(810, 820, 830)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들(811, 821, 831) 또한 열람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오프라인으로 이용하면서 스토리 내의 어느 하나의 카드에 대해서 사용자 피드백을 남길 수 있다. 사용자 피드백은 어플리케이션이 온라인인 상태에서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이 오프라인으로 동작하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을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온라인으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이 온라인으로 전환된다는 판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서버에 동기화 요청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될 때에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태에서 입력한 사용자 피드백이 어플리케이션 내의 디지털 컨텐츠에 동기화되어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스처 입력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서 제스처 입력은 터치 스크린으로 터치 앤 드래그 하는 방식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a)와 같이, 사용자 단말(910) 자체에서 기울임을 감지하여 제스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도 9(b)와 같이 단말의 주변에서 감지되는 모션을 통해 제스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 9(a)의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 단말(910) 자체의 움직임 또는 기울임 등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해 단말은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고, 도 9(b)의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 단말(920)의 주변에서 감지되는 모션에 대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920)의 전면부나 측면부 등에 비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910, 920)은 락 스크린이 켜진 상태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고 있으며, 수신된 제스처 입력에 대해서 그 방향을 분석하여 제스처 입력의 방향에 대응하도록 썸네일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a)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향(911)으로 사용자 단말(910)이 기울어지면, 썸네일은 왼쪽으로 이동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다음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반대 방향인 방향(912)으로 사용자 단말(910)이 기울어지면, 썸네일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이전 썸네일 또는 다음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방향(911) 및 방향(912)의 제스처 입력에 대해서 썸네일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방향(913)으로 사용자 단말(910)이 기울어지는 제스처 입력에 대해서 사용자 단말(910)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을 임시 저장 공간에서 삭제하고, 사용자 단말(910)의 락 스크린 상에서 삭제할 수 있고, 방향(914)으로 사용자 단말(910)이 기울어지는 제스처 입력에 대해서, 사용자 단말(910)은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 내로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는 이후, 어플리케이션이 오프라인으로 동작하는 중에도 열람 가능하다.
도 9(b)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향(921)으로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면, 즉 사용자 단말(920)의 주변에서 손 등의 객체가 방향(921)으로 이동하는 제스처 입력이 발생하게 되면, 썸네일은 왼쪽으로 이동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다음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반대 방향인 방향(922)으로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면, 썸네일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이전 썸네일 또는 다음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방향(921) 및 방향(922)으로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스처 입력에 대해서 썸네일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방향(923)의 제스처 입력에 대해서 사용자 단말(920)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을 임시 저장 공간에서 삭제하고, 사용자 단말(920)의 락 스크린 상에서 삭제할 수 있고, 방향(924)의 제스처 입력에 대해서 사용자 단말(920)은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 내로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는 이후, 어플리케이션이 오프라인으로 동작하는 중에도 열람 가능하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1000)의 블록도이다.
통신부(1010)는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을 수신한다.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은 서버로부터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 디지털 컨텐츠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스토리에 대응하는 복수에 카드들을 포함하며, 썸네일은 실시예에서 특정 스토리를 대표하는 그래픽 정보, 예컨대 사진, 플래시, 동영상 등이거나 스토리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수신되는 썸네일의 디지털 컨텐츠는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컨대 인기 상위 랭크의 디지털 컨텐츠나 최신 디지털 컨텐츠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미리 정해진 수만큼 예컨대 15개의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인기 상위 랭크가 변경되거나 최신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서 수신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이 일부 또는 전체가 변경될 수 있다.
설정부(1020)는 수신된 썸네일들에 기초하여 임시 저장 공간을 설정한다.
실시예에서, 임시 저장 공간은 사용자 단말의 임시 메모리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썸네일들에 대해서 임시 메모리 중 사용 가능한 공간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들을 수신하기 위한 임시 저장 공간을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통신부(1010)는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을 미리 정해진 주기 마다 수신하는데, 수신되는 썸네일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설정부(1020)는 썸네일을 수신하면 임시 저장 공간에 사라진 썸네일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고, 새로 수신된 썸네일의 정보를 입력하는 등 임시 저장 공간을 재설정할 수 있다. 또는, 썸네일을 수신하기 위한 임시 공간을 미리 비워둘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30)는 임시 저장 공간 내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단말의 터치 디스플레이 등의 스크린을 통해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서버로부터 썸네일이 수신될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순서에 대해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락 스크린(Lock Screen)에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락 스크린에 제스처를 입력함으로써 썸네일들의 움직임 및 디스플레이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030)는 사용자 단말의 락 해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락 해제 버튼의 해제 방향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락 해제 버튼이 이동되어 락이 해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락을 해제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온라인으로 표시할 수 있고, 반대 방향으로 락 해제 버튼이 이동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일반적인 실시예로 락을 해제할 수 있다.
입력부(1040)는 사용자로부터 제스처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되는 터치 앤 드래그의 입력이거나 사용자 단말 자체의 움직임 또는 기울임 등의 동작에 대해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제스처 입력일 수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의 전면부나 측면부 등에 구비된 비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서 감지되는 모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제스처 입력에 대해서 그 방향을 분석하여 방향에 대응하도록 썸네일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50)는 제스처 입력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을 제어한다.
수신된 제스처 입력이 제1 방향의 제스처 입력 또는 제2 방향의 제스처 입력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050)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은 왼쪽, 오른쪽 방향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썸네일들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쪽 방향으로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을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음 순서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썸네일을 이동시키되, 제스처 입력의 속도, 예를 들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터치 앤 드래그하는 속도에 따라 썸네일의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썸네일을 한꺼번에 이동시킬 수 있다.
수신된 제스처 입력이 제3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제어부(105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을 임시 저장 공간에서 삭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 방향의 제스처 입력은 위 방향의 제스처 입력에 해당할 수 있고, 제3 방향의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제3 방향의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을 스크린 상에서 삭제하되, 임시 저장 공간에서도 삭제할 수 있다.
수신된 제스처 입력이 제4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050)는 제4 방향의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의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4 방향의 제스처 입력은 아래 방향의 제스처 입력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방향의 제스처 입력을 수신한 단말은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의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되, 서버로 요청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에 대응하는 스토리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카드를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복수 개의 카드는 각각 사진, 정지 영상, 동영상, 비디오 클립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면, 이후 다운로드가 완료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은 임시 저장 공간에서 삭제될 수 있다. 또는, 해당 썸네일에 대해서 다운로드 완료에 대응하는 마크, 텍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내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오프라인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는 오프라인에서도 열람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부(1030)는, 제3 방향의 제스처를 통해 삭제되거나 제4 방향의 제스처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후 삭제된 썸네일에 대해서 다음 순서의 썸네일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시스템(1100)은 프로세서(1110), 메모리(1120), 디스플레이(1130), 및 센서(11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10), 메모리(1120), 디스플레이(1130), 및 센서(1140)는 버스(115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도 1 내지 도 10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10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전자 시스템(110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1120)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시스템(1100)은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30)는 메모리(1120)의 특정 영역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센서(1140)는 잘 알려진 방식(예를 들어, 광학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 등)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1130)와 센서(1140)가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1130)와 센서(1140)는 터치 디스플레이 등의 형태로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 시스템(1100)은 이동 전화, 스마트 폰, PDA,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등 모바일 장치,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등 컴퓨팅 장치, 또는 텔레비전, 스마트 텔레비전, 게이트 제어를 위한 보안 장치 등 전자 제품 등 다양한 전자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썸네일들에 기초하여 임시 저장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임시 저장 공간 내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입력이 제1 방향의 제스처 입력 또는 제2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입력이 제3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을 상기 임시 저장 공간에서 삭제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입력이 제4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의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저장 공간 내 잔여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제4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을 상기 임시 저장 공간에서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내지 상기 제4 방향은,
    상하좌우 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미리 정해진 수의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을 수신하여 상기 임시 저장 공간을 재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들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대표하는 그래픽 정보 및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드 형식으로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 공간 내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락 스크린(Lock Screen)에 상기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락 스크린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락 해제 버튼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락 해제 버튼의 해제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온라인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의 락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앤 드래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기울이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비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서 감지되는 모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입력이 제1 방향의 제스처 입력 또는 제2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의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응하는 스토리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카드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카드는,
    사진, 플래시,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 오프라인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들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썸네일 중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썸네일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대응하는 스토리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온라인으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온라인으로 전환된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입력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서버에 동기화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15.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썸네일들에 기초하여 임시 저장 공간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임시 저장 공간 내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스처 입력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입력이 제1 방향의 제스처 입력 또는 제2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스처 입력이 제3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을 상기 임시 저장 공간에서 삭제하며,
    상기 제스처 입력이 제4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의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임시 저장 공간 내 잔여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입력이 상기 제4 방향의 제스처 입력인 경우,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을 상기 임시 저장 공간에서 삭제하는,
    사용자 단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미리 정해진 수의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들을 수신하고 임시 저장 공간을 재설정하는,
    사용자 단말.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썸네일의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시,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응하는 스토리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카드를 다운로드 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오프라인 상태에서 열람 가능한,
    사용자 단말.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락 스크린(Lock Screen)에 상기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50135994A 2015-09-25 2015-09-25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668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994A KR101668450B1 (ko) 2015-09-25 2015-09-25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994A KR101668450B1 (ko) 2015-09-25 2015-09-25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450B1 true KR101668450B1 (ko) 2016-11-24

Family

ID=5770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994A KR101668450B1 (ko) 2015-09-25 2015-09-25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4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710B1 (ko) * 2017-08-08 2018-01-03 주식회사 훌라캐스트 슬라이드 콘텐츠 제작 및 제공방법
KR102061532B1 (ko) * 2018-05-02 2020-01-02 주식회사 카카오 피드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710B1 (ko) * 2017-08-08 2018-01-03 주식회사 훌라캐스트 슬라이드 콘텐츠 제작 및 제공방법
KR102061532B1 (ko) * 2018-05-02 2020-01-02 주식회사 카카오 피드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9142B2 (ja) ユーザ介入なくレイアウトに従った画像識別及び編成
US10008015B2 (en) Generating scenes and tours in a spreadsheet application
KR102050127B1 (ko) 첨부 노트를 갖는 상호작용 슬라이드 표현을 위한 읽기 모드
US20170097935A1 (en) Presenting Images of Multiple Media Entities
US8983237B2 (en) Non-destructive collaborative editing
US20140013212A1 (en) Dynamic template galleries
EP3442238A1 (en) Video frame capturing method and device
US837034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facilitating content updates for a user device
US20170315790A1 (en) Interactive multimodal display platform
CN105359094A (zh) 可扩展应用表示
CN109905592B (zh) 根据用户的交互控制或者合成的内容的提供方法及装置
US20140237357A1 (en) Two-dimensional document navigation
KR20160140932A (ko)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및 콘텐트 전송
TW201545042A (zh) 暫態使用者介面元素
WO2017032078A1 (zh) 一种界面控制方法及移动终端
WO2017100020A1 (en) Extensibility of collectable data structures
US11803993B2 (en) Multiplane animation system
US20170075534A1 (en) Method of presenting content to the user
WO2017100022A1 (en) Enhanced management capabilities for collectable data structures
KR101668450B1 (ko)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9292151B1 (en) Mobile computing device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electronic works
WO2022143337A1 (zh) 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5739715A (zh) 一种在输入应用中进行信息分享的方法和装置
KR101699909B1 (ko) 삽입형 광고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10333872B2 (en) Linking screens and content in a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