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561B1 - 분기회로반 모듈 및 이를 채용한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분기회로반 모듈 및 이를 채용한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561B1
KR101667561B1 KR1020150038031A KR20150038031A KR101667561B1 KR 101667561 B1 KR101667561 B1 KR 101667561B1 KR 1020150038031 A KR1020150038031 A KR 1020150038031A KR 20150038031 A KR20150038031 A KR 20150038031A KR 101667561 B1 KR101667561 B1 KR 101667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circuit
main
main bus
bus line
circui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465A (ko
Inventor
임채현
Original Assignee
대진전기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전기 (주) filed Critical 대진전기 (주)
Publication of KR20160106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분기회로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이 개시된다. 분기회로부 모듈은, 판상의 프레임, 프레임 상에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주모선, 주모선 상에 놓여지는 절연용 플레이트, 주모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입력될 각 상의 단자가 주모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는 분기회로부,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일단이 각 상별 주모선에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의 분기회로부의 각 단자에 인접된 위치까지 연장된 복수의 연결부재, 및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분기회로부의 각 단자와 각각의 연결부재를 체결시키는 복수의 체결부재로 구성된다. 분기회로부가 모듈화되므로 어느 하나의 분기회로부의 고장 시의 교체나 분기회로부 증설의 필요성이 발생하였을 때 모듈화된 분기회로부 전체를 분리하고 새로운 모듈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분기회로부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분기회로반 모듈 및 이를 채용한 수배전반 {MCDB Module and Power Distributing Boar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모듈화된 분기회로반 및 이를 채용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개별 세대나 산업설비에 공급하기 위하여 분배하는 수배전반 및 이러한 수배전반에 설치되는 모듈화된 분기회로반에 관한 것이다.
수배전반은 유입되는 외부 전력을 저압기중차단기와 낙뢰서지보호기, 변류기 등을 거쳐 원하는 시설물에 분배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 과 같이 ACB(Air Circuit Board : 저압기중차단기)(10), CT(변류기)(20), 메인 MCCB(메인 분기회로부)(30), 및 MCCB(분기회로부)(40)를 구비한다. ACB(10)는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고전압 고전류 전력에 대해 이상 발생시 차단을 하는 기능을 하고, 메인 MCCB(20)는 ACB(10)로부터의 전력을 설비에 공급하기 전에 이상 발생시 1차로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MCCB(30)는 메인 MCCB(20)로부터의 전력이 각 실별로 공급되기 전에 이상 발생시 2차로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ACB(10), CT(20), 메인 분기회로부(30), 및 분기회로부(40)는 각각 주모선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회로 구성의 수배전반은 도 2 와 같은 물리적 구성을 갖는다. 즉, 수배전반은 케이싱(50) 내에 설치되며 케이싱(50)의 상부에는 ACB(10)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분기회로부(30, 40)가 설치된다. 이때, 메인 분기회로부(30)의 주모선은 메인 분기회로부(3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분기회로부(40)는 이 주모선의 양측방에 설치되어 주모선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버스바들에 의해 주모선과 연결되도록 결선되어 있다. 도 2 는 R,S,T 3상의 전원의 수배전반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모선은 3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물리적 구성에 대해 회로적으로 도시하면 도 3 과 같은 결선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수배전반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주모선의 측방에 분기회로부(40)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배치 상태에서 버스바를 통해 주모선들과 분기회로부(40)를 결선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배전반의 전체적인 폭(W1)이 증가한다. 이는 도 2 의 종래 방식에서는 주모선들의 좌측과 우측에 분기회로부(40)가 배치되어야만 주모선과 분기회로부(40)간의 결선이 가능하므로 종래 기술에서는 불가피하다. 즉, 좌측의 분기회로부(40)는 주모선 중 좌측에 있는 R상의 주모선보다 좌측에 배치되고 우측의 분기회로부(40)는 주모선 중 우측에 있는 T상의 주모선보다 우측에 배치되어야만 도 2 와 같은 물리적 구조의 결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수배전반은, 분기회로부(40)의 교체가 매우 어렵다. 예컨대 하나의 분기회로부(4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분기회로부(40)의 교체를 위해서는 감전을 막기 위해 수배전반의 정전시켜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장난 분기회로부에 대해 각 주모선과의 체결을 해제시켜 분리하고 다시 새로운 분기회로부(40)를 체결시키는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교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정전 상태인 시간이 오래 지속될 수밖에 없다.
나아가, 이러한 종래의 수배전반은, 예컨대 수배전반이 담당하여야 하는 실내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분기회로부(40)를 증설해야 하는 필요 등이 발생할 때에도 별도의 추가 분기회로부(4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교체 시의 문제점과 동일한 문제점을 겪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기회로부를 모듈화하여 구성하되 그 크기가 종래의 수배전반에서의 분기회로부의 구성에 비해 작게 구성함으로써, 수배전반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켜 사이즈의 콤팩트화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기회로부의 고장이나 증설을 위한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시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전 상태의 지속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교류 전류의 각 상별로 마련되는 복수의 주모선; 상기 주모선 상에 놓여지는 절연용 플레이트; 상기 주모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입력될 각 상의 단자가 상기 주모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는 복수의 분기회로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일단이 각 상별 상기 주모선에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의 상기 분기회로부의 각 단자에 인접된 위치까지 연장된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분기회로부의 상기 각 단자와 각각의 상기 연결부재를 체결시키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분기회로부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분기회로부는 상기 주모선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쌍을 이루는 상기 분기회로부는 상기 각 단자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모선의 길이 방향 상의 일 단부 영역의 상기 플레이트 상에는 메인 분기회로부가 놓여질 수 있다.
상기 메인 분기회로부는, 상기 주모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입력될 각 상의 단자가 상기 주모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놓여진다.
각각의 상기 주모선은 그 단부가 상기 메인 분기회로부의 대응되는 각 상의 단자에 인접한 위치까지 각기 상이한 길이로 연장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분기회로부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기회로부가 모듈화되므로 어느 하나의 분기회로부의 고장 시의 교체나 분기회로부 증설의 필요성이 발생하였을 때 모듈화된 분기회로부 전체를 분리하고 새로운 모듈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분기회로부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주모선과 분기회로부가 중첩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분기회로부의 폭을 줄일 수 있으므로 수배전반의 전체 크기가 매우 작아지게 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수배전반의 회로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2 은 도 1 의 수배전반의 실제 제품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은 도 2 의 분기회로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기회로부 모듈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
도 5 는 도 4 에서 프레임과 주모선만을 결합된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6 은 도 5 의 상태에서 연결부재가 추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 은 도 6 의 상태에서 플레이트 및 메인 분기회로부와 분기회로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은 도 7 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 제 1 실시예의 도 8 및 도 6 과 유사한 도면.
도 11 및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 제 2 실시예의 도 9 및 도 10 과 유사한 도면.
도 13 및 도 14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 제 3 실시예의 도 11 및 도 12 와 유사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회로부 모듈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분기회로부가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되어 분기회로부 모듈의 조립 상태에서 단일의 전장품 형태로 수배전반 내에 결합되거나 수배전반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본 발명의 분기회로부 모듈은 프레임(110), 주모선(120), 다수의 각종 연결부재(130)(연결부재는 도 4 에서는 세세히 도시되지 않음), 플레이트(140), 메인 분기회로부(150), 분기회로부(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10)은 본 발명의 분기회로부가 모듈화되기 위한 기본 설치용 틀을 제공하며, 대략 사각형의 판 형태로 제작된다. 프레임(110)에는 다수의 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112)은 주모선(120)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도록 위치를 설정하여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주모선(120)은 메인 분기회로부(150)의 2차측(출력단)과 분기회로부(160)의 1차측(입력단)을 연결시키는 배선으로서, 메인 분기회로부(150)로부터의 전력을 다수의 분기회로부(160)로 전달하는 전력선로이다. 주모선(120)은 프레임(110) 상에 일 방향(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교류 전류의 각 상별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배전반이 4상의 전류용 설비로서 제작되어 주모선(120)이 R,S,T,N 의 4상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한다. 이때, 주모선(120)의 길이는 각기 상이하다.
연결부재(130)는 다수의 버스바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 에서는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고 세부 구성은 도 6 에 도시되어 있다.
플레이트(140)는 주모선(120)의 상부를 덮도록 프레임(110) 상에 놓여져 체결된다. 이에 따라, 주모선(120)과 연결부재(130)는 프레임(110)과 플레이트(130) 사이에 위치된다. 플레이트(140)는 절연 재질로 제조되어 그 상부에 놓여지는 메인 분기회로부(150) 및 분기회로부(160)를 그 하부의 주모선(120) 및 연결부재(130)에 대해 절연시키는 기능을 한다. 플레이트(140)의 판면에는 다수의 체결공(142)이 형성되어, 이 체결공(142)을 통해 체결부재(170)가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연결부재(130)가 메인 분기회로부(150) 및 분기회로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체결된다.
메인 분기회로부(150)와 분기회로부(160)는 플레이트(140) 상에 배치된다. 이때, 이들은 주모선(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입력될 각 상의 단자(R,S,T,N 단자)가 주모선(120)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놓여진다. 즉, 주모선(120)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각 단자가 상하 방향으로 순차 놓여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분기회로부(160)는 주모선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또한 쌍을 이루는 분기회로부는 각 단자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130)와 분기회로부(160)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의 구성이 가장 짧고 간결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5 내지 7 은 도 4 의 각 부품들을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상태를 전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도 4 에서 프레임과 주모선만을 결합된 상태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먼저 프레임(110)의 홈(112)에 주모선(120)들이 삽입됨으로써 프레임(110)과 주모선(120)이 결합된다. 도 5 와 같이, 주모선(120)은 그 길이 순서가 R,S,T,N 순서가 되도록 구성되며, 주모선(120)의 하단부는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하여 주모선(120)의 상단부의 위치가 순차적으로 다른 위치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주모선(120)은 그 단부가 메인 분기회로부(150)의 대응되는 각 상의 단자에 인접한 위치까지 각기 상이한 길이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6 은 도 5 의 상태에서 연결부재가 추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연결부재(130)는 분기회로부(160) 중 좌측에 배열된 세 개의 분기회로부(160)에 대한 연결부재(131)와 우측에 배열된 세 개의 분기회로부(160)에 대한 연결부재(132) 및 상부에 배치된 메인 분기회로부(150)에 대한 연결부재(133)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의 연결부재(133)는 4상의 주모선(120) 각각에 결선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각기 다른 길이로 연장되어 있고, 연장된 단부가 대략 주모선(120) 중 맨 우측의 N상의 상방에 놓이도록 연장된다.
좌측의 연결부재(131)는 4상의 주모선(120) 각각에 결선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각기 다른 길이로 연장되어 있고, 연장된 단부가 대략 주모선(120) 중 두 번째의 S상과 중첩된 위치에 놓이도록 연장된다. 우측의 연결부재(132)는 4상의 주모선(120) 각각에 결선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각기 다른 길이로 연장되어 있고, 연장된 단부가 대략 주모선(120) 중 세 번째의 T상과 중첩된 위치에 놓이도록 연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연결부재(131, 132)는 플레이트(140)의 하부에서, 일단이 각 상별 주모선(120)에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의 분기회로부(160)의 각 단자에 인접된 위치까지 연장된다.
도 7 은 도 6 의 상태에서 플레이트 및 메인 분기회로부와 분기회로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의 상태에서 플레이트(140)가 먼저 결합되고 그 위에 메인 분기회로부(150)와 분기회로부(160)가 놓여지므로 도 6 의 상태에서는 주모선(120)과 연결부재(130)는 보이지 않으나, 모든 연결부재(130)의 단부는 메인 분기회로부(150)와 분기회로부(160)의 각 상의 단자(도 7 에서 각각 R,S,T,N)으로 표기된 부분)와 동일한 위치에서 플레이트(140)를 사이에 두고 놓여진다. 즉, 메인 분기회로부(150)는 주모선(120)의 길이 방향 상의 상단부 영역의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되, 주모선(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입력될 각 상의 단자가 주모선(120)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보다 구체적으로는 R,S,T,N 각 상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도록)놓여지며, 이에 따라 연결부재(133)의 단부들이 플레이트(140)를 사이에 두고 메인 분기회로부(150)의 각 단자들에 인접되도록 놓여지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분기회로부(160)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부재(131, 132)의 단부들이 플레이트(140)를 사이에 두고 분기회로부(150)의 각 단자들에 인접되도록 놓여지게 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40)에는 다수의 체결공(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공(142)의 형성 위치를 따라 메인 분기회로부(150)와 분기회로부(160)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이와 같은 위치 선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체결부재(170)를 체결함으로써, 플레이트(140)를 관통하여 메인 분기회로부(150)와 분기회로부(160)의 각 단자와 각각의 대응되는 연결부재(130)가 체결된다. 이에 따라 모든 분기회로부(150, 160)가 도 8 에 도시된 회로도와 같은 회로 상태로 플레이트(140)를 사이에 두고 결선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분기회로부(160)가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주모선(120)의 배치 위치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종래기술에서 도 3과 같은 결선 방식에 따라 도 2 와 같은 기구적 구성을 구비하도록 수배전반이 구성될 경우에는 주모선(120)의 배치 위치보다 더 좌측 및 더 우측에 분기회로부(160)가 위치되어야 하므로 수배전반의 폭(W1)이 넓어지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도 8 과 같은 결선 방식에 따라 플레이트(140)를 사이에 두고 분기회로부(160)를 주모선(120)과 중첩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수배전반의 폭(W2)이 종래기술에서의 폭(W1)보다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수배전반 자체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고 콤팩트한 사이즈의 수배전반 구성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110)과 플레이트(140) 사이에 주모선(120)과 연결부재(130)가 모두 배치되고 플레이트(140) 상에 분기회로부(160)가 체결부재(17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분기회로부 전체가 하나의 전장품 모듈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만약 분기회로부(160)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 도 2 의 종래 기술에서는 수배전반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고장난 분기회로부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다시 새 것으로 교체하여 체결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분기회로부 모듈 전체를 한 번에 인출하여 새 분기회로부 모듈로 바로 교체하므로 별도의 결선 해체 및 재 결선을 위한 작업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작업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된다. 나아가, 예컨대 분기회로부(160)가 6개만 존재하는 기존의 설비에서 분기회로부(160)를 증설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분기회로부(160)가 더 구비된 전체 모듈을 수배전반에 끼우기만 하면 곧바로 증설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증설에 필요한 작업 시간 또한 현저하게 단축된다.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 제 1 실시예의 도 8 및 도 6 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9 는 회로도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8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로 관계가 각 MCCB 의 R,S,T 의 위치 관계와 주모선의 배치 관계에서 갯수와 순서가 함께 표시되도록 도시하였다.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주모선이 3개의 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5개의 주모선이 T,S,R,S,T 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각 MCCB 는 3개의 단자를 구비하며 이들은 위에서 아래로 R,S,T 순서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좌우 한 쌍의 MCCB 에 대해 세 개의 연결부재만이 사용되어 수직 방향의 주모선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가운데 R상의 주모선에 맨 위의 연결부재가 결선되고, 그 양측의 두 개의 S상의 주모선에 대해 좌우의 MCCB 가 각각 결선되고, 그 양측의 두 개의 T상의 주모선에 대해 좌우의 MCCB 가 각각 결선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세 개의 긴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양측의 한 쌍의 MCCB 가 결선된다. 이는 도 6 및 8 의 실시예와는 달리 MCCB 의 R,S,T 상 단자들이 각각 마주보도록 선대칭으로 배치됨에 따라 가능하게 된다. 물론, 도시되지 않은 메인 MCCB 로부터는 다섯 개의 주모선이 인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서는, 주모선은 도 9 및 10 과 같이 5개가 아닌 3개만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도 9 및 10 과 같이 5개의 주모선을 인출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용량(사이즈)의 MCCB 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 및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 제 2 실시예의 도 9 및 도 10 과 유사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MCCB 가 4상으로 구성되어 N상이 추가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주모선은 가운데 R 상의 주모선을 중심으로 두 개씩의 S상, T상, 및 N상으로 구성되어 총 7개가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결선 구성은 제 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도 13 및 도 14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 제 3 실시예의 도 11 및 도 12 와 유사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와 제 3 실시예의 차이점은 좌우 한 쌍의 MCCB 의 R,S,T 상은 마주보도록 그 순서가 배열되어 있고, 좌측 MCCB 는 N상이 맨 아래에 그리고 우측 MCCB 는 N상이 맨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는 점이다. 주모선 중 R,S,T 상에 대해서는 3 개의 연결부재가 각각 좌우 MCCB 의 R,S,T 단자에 연결되도록 결선되고, 주모선 중 N 상에 대해서는 두 개의 연결부재가 각각 좌우의 MCCB 의 N상의 접점에 결선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발명의 명칭이나 특허청구범위에서의 청구 대상 물건이 "수배전반"으로 기재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배전반은 고압배전반인 수배전반과 분전반 등으로 구성되어 고압 배전반에 대해 "수배전반"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분전반 등과 같은 것도 그 회로적, 기구적 동작은 실질적으로 수배전반과 등가적으로 구성되며 다만 그 대상이 상대적으로 저전압이라는 점과 수배전반의 후단에 통상적으로 배치되는 점만이 상이하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 "수배전반"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고압을 대상으로 하는 고압배전반에 대해서만 국한되어 명명된 것이 아니라 "분전반"도 포함되는 의미로서 사용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의 해석에 있어서는 "수배전반"이라는 명칭으로 호칭되는 기기뿐만아니라 분전반 및 그와 등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를 일반적으로 명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수배전반용 분기회로부 모듈로서,
    판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교류 전류의 각 상별로 마련되는 복수의 주모선;
    상기 주모선 상에 놓여지는 절연용 플레이트;
    상기 주모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입력될 각 상의 단자가 상기 주모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는 복수의 분기회로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일단이 각 상별 상기 주모선에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의 상기 분기회로부의 각 단자에 인접된 위치까지 연장된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분기회로부의 상기 각 단자와 각각의 상기 연결부재를 체결시키는 복수의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분기회로부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회로부는 상기 주모선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분기회로부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상기 분기회로부는 상기 각 단자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분기회로부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모선의 길이 방향 상의 일 단부 영역의 상기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는 메인 분기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분기회로부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분기회로부는, 상기 주모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입력될 각 상의 단자가 상기 주모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분기회로부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주모선은 그 단부가 상기 메인 분기회로부의 대응되는 각 상의 단자에 인접한 위치까지 각기 상이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분기회로부 모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을 갖는 분기회로부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KR1020150038031A 2015-03-02 2015-03-19 분기회로반 모듈 및 이를 채용한 수배전반 KR101667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179 2015-03-02
KR20150029179 2015-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465A KR20160106465A (ko) 2016-09-12
KR101667561B1 true KR101667561B1 (ko) 2016-10-19

Family

ID=5695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031A KR101667561B1 (ko) 2015-03-02 2015-03-19 분기회로반 모듈 및 이를 채용한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5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3713A (ja) 2002-05-10 2003-11-21 Shinohara Electric Co Ltd 支線分岐装置
KR200403567Y1 (ko) 2005-09-29 2005-12-09 박관우 분전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397B1 (ko) * 2004-12-13 2007-08-10 박기주 초박형 속결구조 디지털 분전반
KR20080003842U (ko) * 2007-03-08 2008-09-11 홍권기 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3713A (ja) 2002-05-10 2003-11-21 Shinohara Electric Co Ltd 支線分岐装置
KR200403567Y1 (ko) 2005-09-29 2005-12-09 박관우 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465A (ko) 201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512B1 (ko) 개별적으로 차단가능한 기능영역을 갖는 배전 시스템
EP2553781B1 (en) Plug-in circuit breaker assembly
SG182112A1 (en) Switchgear
US7924550B2 (en) Multiphase line fuse module
MX2012006533A (es) Tablero con un alimentador de barras de distribucion en paralelo.
JP2006271021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176626B1 (ko) 컴팩트 분전반
KR100973944B1 (ko) 분전반용 플러그
US8921701B2 (en) Modular insulator for busbar support and method of assembling
EP2400610B1 (en) Supporting bars and an electrical distribution module comprising said bars.
KR101667561B1 (ko) 분기회로반 모듈 및 이를 채용한 수배전반
KR101584296B1 (ko) 배전반
CN113875110A (zh) 用于经由断路器使第一和第二层叠汇流排的侧向连接部分电耦合的耦合元件和包括这样的元件的组件
WO2017183175A1 (ja) 直流給電用分電盤
KR20160144026A (ko) 모선 구조 및 이것을 이용한 배전반
DK1964222T3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INDIVIDUALLY INSULABLE FUNCTIONAL SECTIONS
CN109193443B (zh) 包括中性点连接装置的配电***及其组装方法
JP2010206894A (ja) 配電盤
JP6538588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6704648B2 (ja) 分電盤
JP2008271710A (ja) ブレーカユニット
JP6628590B2 (ja) スイッチギヤ
JP2006149118A (ja) 低圧配電用しゃ断装置
JP6433336B2 (ja) 分電盤
KR20130021066A (ko)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