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544B1 -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544B1
KR101666544B1 KR1020100065754A KR20100065754A KR101666544B1 KR 101666544 B1 KR101666544 B1 KR 101666544B1 KR 1020100065754 A KR1020100065754 A KR 1020100065754A KR 20100065754 A KR20100065754 A KR 20100065754A KR 101666544 B1 KR101666544 B1 KR 101666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area
touch
screen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153A (ko
Inventor
채혜조
이주영
김민이
허은석
최경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5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5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서 직관적이고 간단한 분할 터치입력을 통해 메모영역을 생성하여 자유롭게 메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가 메모 입력 시 터치 면을 변경하여 다양한 터치입력 모드를 선택/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재생장치는, 소정 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재생화면 상에서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터치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하여 상기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면, 상기 분할 터치입력에 따른 분할 선을 중심으로 상기 재생화면의 분할된 분할화면을 이동시켜 메모영역을 생성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CONTENTS PLAY EQUIPMENT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서 직관적이고 간단한 분할 터치입력을 통해 메모영역을 생성하여 자유롭게 메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가 메모 입력 시 터치 면을 변경하여 다양한 터치입력 모드를 선택/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화면을 출력수단인 동시에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널리 도입되고 있다. 물론 오래 전부터 이러한 기술이 부분적으로 도입되어 왔지만 최근에 들어서는 보다 섬세한 동작이 요구되는 모바일장치에까지 터치 입력기술이 적용됨으로써 기계화된 버튼을 점차 제거하여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기술이 전개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화면과는 별도로 작은 터치패드 공간을 따로 두어 터치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한편, 이동 시간이 많아지는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은 이동 시간을 이용하여 외국어를 공부하거나 책을 읽는 경우가 많다. 이에, 사람들은 자신이 소지한 모바일장치를 통해 학습컨텐츠 또는 전자서적컨텐츠를 재생함으로써 공부하거나 책을 읽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헌데, 모바일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중에 학습 또는 독서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순간적으로 느끼는 의문점이나 생각들은 메모하고 싶은 욕구를 느낄 수 있지만 이동 중이라는 상황, 및 재생 중인 컨텐츠의 재생화면으로 인한 메모 기능 활성화의 번거로움 등으로 인해 적시에 메모를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소정 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재생화면 상에서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터치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하여 상기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면, 상기 분할 터치입력에 따른 분할 선을 중심으로 상기 재생화면의 분할된 분할화면을 이동시켜 메모영역을 생성하는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서 직관적이고 간단한 분할 터치입력을 통해 메모영역을 생성하여 자유롭게 메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인지하는 터치인지부; 및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상기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면, 상기 분할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재생화면의 분할된 분할화면을 이동시켜 메모영역을 생성하는 UI(User Interface)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I제어부는,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상기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선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이 인지되면, 상기 분할 터치입력으로 인지하여 상기 분할 선을 중심으로 상기 재생화면의 분할된 각 분할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화면을 상기 분할이동입력에 대응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I제어부는, 상기 메모영역 상에서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이용한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I제어부는, 기 설정된 터치 면의 면적 별로 상이한 터치입력 모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영역 상에서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에 대응하는 해당 터치입력 모드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입력 모드정보는, 일반펜 입력모드와 형광펜 입력모드와, 지우개 입력모드와, 붓글씨 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영역 상에서 상기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메모내용을 재생 중인 상기 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 및/또는 메모위치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하는 메모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은,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 디스플레이단계; 상기 재생화면 상에서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터치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하는 분할 터치입력 인지단계; 및 상기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면, 상기 분할 터치입력에 따른 분할 선을 중심으로 상기 재생화면의 분할된 각 분할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화면을 상기 분할이동입력에 대응하여 이동시켜 메모영역을 생성하는 UI(User Interface)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영역 상에서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이용한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영역 상에서 상기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메모내용을 재생 중인 상기 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 및/또는 메모위치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터치 면의 면적 별 상이한 터치입력 모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영역 상에서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에 대응하는 해당 터치입력 모드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입력 모드정보는, 일반펜 입력모드와 형광펜 입력모드와, 지우개 입력모드와, 붓글씨 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서 직관적이고 간단한 분할 터치입력을 통해 메모영역을 생성하여 자유롭게 메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가 메모 입력 시 터치 면을 변경하여 다양한 터치입력 모드를 선택/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에서의 분할 터치입력이 존재하는 예시 및 메모영역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인지하는 터치인지부(120)와,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상기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면, 상기 분할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재생화면의 분할된 분할화면을 이동시켜 메모영역을 생성하는 UI(User Interface)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부이다.
여기서, 재생되는 컨텐츠는, 학습전용의 학습 컨텐츠, 전자서적 컨텐츠 등과 같이 텍스트(text)를 포함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터치인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인지하여 인지된 터치 입력을 UI제어부(130)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여 UI제어부(130)로 제공한다.
UI제어부(130)는,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재생화면의 분할된 분할화면을 이동시켜 메모영역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UI제어부(130)는,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선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이 인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분할 선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이 인지되면, UI제어부(130)는, 이를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UI제어부(130)는,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을 중심으로 재생화면의 분할된 각 분할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화면을 분할이동입력에 대응하여 이동시키고, 분할화면이 이동한 공백영역을 메모영역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컨텐츠를 재생함에 따라 재생화면(10)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재생화면을 가로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선(1)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1)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2)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분할 선(1)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분할이동입력으로 기 설정된 경우일 것이다.
이에, UI제어부(130)는, 재생화면(10)을 분할하는 분할 선(1)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예 : 분할 선(1)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1)을 중심으로 재생화면(10)의 분할된 각 분할화면(10a, 10b)을 이동시키고, 각 분할화면(10a, 10b)이 이동한 공백영역을 메모영역(20)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컨텐츠를 재생함에 따라 재생화면(10)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재생화면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선(3)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3)을 중심으로 우측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4)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3)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을 터치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할 선(3)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분할이동입력으로 기 설정된 경우일 것이다.
이에, UI제어부(130)는, 재생화면(10)을 분할하는 분할 선(3)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예 : 분할 선(3)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3)을 중심으로 재생화면(10)의 분할된 분할화면(10d)을 이동시키고, 분할화면(10d)이 이동한 공백영역 즉 이동하지 않은 분할화면(10c) 및 이동된 분할화면(10d) 사이의 공백영역을 메모영역(30)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컨텐츠를 재생함에 따라 재생화면(10)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곡선으로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선(5)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5)을 중심으로 우측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7)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5)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을 터치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할 선(5)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분할이동입력으로 기 설정된 경우일 것이다.
이에, UI제어부(130)는, 재생화면(10)을 분할하는 분할 선(5)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예 : 분할 선(5)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5)을 중심으로 재생화면(10)의 분할된 분할화면(10f)을 이동시키고, 분할화면(10f)이 이동한 공백영역 즉 이동하지 않은 분할화면(10e) 및 이동된 분할화면(10f) 사이의 공백영역을 메모영역(40)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UI제어부(130)는, 메모영역 상에서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이용한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UI제어부(130)는, 메모영역(20,30,40) 상에서 사용자가 터치펜(미도시) 또는 손가락를 이용하여 터치함에 따라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30,4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30,4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UI제어부(130)는, 메모영역(20,30,40) 상에서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메모내용(예 : 문자 등)을 재생 중인 해당 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 및/또는 메모위치에 대응하여 메모저장부(140)에 저장/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영역(20,30,40) 상에서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메모(예 : 문자 등)를 입력하는 중 사용자에 의해 메모저장기능이 선택되거나 또는 재생중인 컨텐츠의 재생화면이 전환(예 : 페이지 전환)되는 경우, UI제어부(130)는, 입력된 메모내용(예 : 문자 등)을 재생 중인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식별정보(예 : 컨텐츠번호) 및 해당 재생구간(예 : 페이지정보) 및 해당 메모위치(예 : 페이지 내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칭시켜 메모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메모저장부(140)는, 메모영역 상에서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입력된 메모내용을 해당 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 및/또는 메모위치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할 것이다.
따라서, 이후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해당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는 경우, UI제어부(130) 또는 별도의 재생기능부가 디스플레이되는 재생화면에 대응하여 과거 대응/저장된 메모내용을 메모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여 재생화면의 해당 메모위치에 함께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해당 컨텐츠 재생 시 과거에 입력한 메모내용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서 직관적이고 간단한 분할 터치입력을 통해 메모영역을 생성하여 자유롭게 메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UI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터치 면의 면적 별로 상이한 터치입력 모드정보를 저장하고, 메모영역 상에서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에 대응하는 해당 터치입력 모드정보에 따라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UI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터치 면의 면적 별로 상이한 터치입력 모드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터치입력 모드정보는, 일반펜 입력모드와 형광펜 입력모드와, 지우개 입력모드와, 붓글씨 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UI제어부(130)는, 터치 면의 제1면적에 대응하여 일반펜 입력모드, 터치 면의 제2면적에 대응하여 형광펜 입력모드, 터치 면의 제3면적에 대응하여 지우개 입력모드, 터치 면의 제4면적에 대응하여 붓글씨 입력모드를 설정한 터치입력 모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UI제어부(130)는, 메모영역(20) 상에서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1면적인 경우, 일반펜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일반펜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UI제어부(130)는, 메모영역(20) 상에서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2면적인 경우, 형광펜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형광펜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UI제어부(130)는, 메모영역(20) 상에서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3면적인 경우, 지우개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지우개로 지우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UI제어부(130)는, 메모영역(20) 상에서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4면적인 경우, 붓글씨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붓글씨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펜 머리의 기울임 정도에 따라 접촉 면적이 전술한 제1면적, 제2면적, 제4면적을 갖고 펜 뒷부분의 접촉 면적이 전술한 제3면적을 갖는 하나의 멀티터치펜(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멀티터치펜(미도시)을 이용하여 컨텐츠재생장치(100)의 터치인지부(120)에 접촉하는 기울임 정도에 따라 사용자는 멀티터치펜(미도시)을 이용하여 일반펜, 형광펜, 붓글씨 등 다양한 효과의 펜 이용 효과를 느낄 수 있고, 멀티터치펜(미도시)의 펜 뒷부분을 이용하여 컨텐츠재생장치(100)의 터치인지부(120)에 접촉함에 따라 사용자는 멀티터치펜(미도시)을 이용하여 지우개 효과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서 직관적이고 간단한 분할 터치입력을 통해 메모영역을 생성하여 자유롭게 메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가 메모 입력 시 터치 면을 변경하여 다양한 터치입력 모드를 선택/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소정 컨텐츠를 재생하여(S100),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화면 상에서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터치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한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선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이 인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분할 터치입력 존재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분할 선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이 인지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이를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분할 터치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일반적인 컨텐츠 재생에 따른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S11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을 중심으로 재생화면의 분할된 분할화면을 이동시키고, 분할화면이 이동한 공백영역을 메모영역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컨텐츠를 재생함에 따라 재생화면(10)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재생화면을 가로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선(1)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1)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2)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분할 선(1)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분할이동입력으로 기 설정된 경우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화면(10)을 분할하는 분할 선(1)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예 : 분할 선(1)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1)을 중심으로 재생화면(10)의 분할된 각 분할화면(10a, 10b)을 이동시키고, 각 분할화면(10a, 10b)이 이동한 공백영역을 메모영역(20)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재생화면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선(3)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3)을 중심으로 우측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4)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3)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을 터치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할 선(3)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분할이동입력으로 기 설정된 경우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화면(10)을 분할하는 분할 선(3)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예 : 분할 선(3)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3)을 중심으로 재생화면(10)의 분할된 분할화면(10d)을 이동시키고, 분할화면(10d)이 이동한 공백영역 즉 이동하지 않은 분할화면(10c) 및 이동된 분할화면(10d) 사이의 공백영역을 메모영역(30)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곡선으로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선(5)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5)을 중심으로 우측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7)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5)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을 터치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할 선(5)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분할이동입력으로 기 설정된 경우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화면(10)을 분할하는 분할 선(5)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예 : 분할 선(5)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5)을 중심으로 재생화면(10)의 분할된 분할화면(10f)을 이동시키고, 분할화면(10f)이 이동한 공백영역 즉 이동하지 않은 분할화면(10e) 및 이동된 분할화면(10f) 사이의 공백영역을 메모영역(40)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 상에서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이용한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20) 상에서 사용자가 터치펜(미도시)를 이용하여 터치함에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터치 면의 면적 별로 상이한 터치입력 모드정보를 저장하고, 메모영역 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인지하고(S130),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에 대응하는 해당 터치입력 모드정보에 따라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140).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터치 면의 면적 별로 상이한 터치입력 모드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터치입력 모드정보는, 일반펜 입력모드와 형광펜 입력모드와, 지우개 입력모드와, 붓글씨 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터치 면의 제1면적에 대응하여 일반펜 입력모드, 터치 면의 제2면적에 대응하여 형광펜 입력모드, 터치 면의 제3면적에 대응하여 지우개 입력모드, 터치 면의 제4면적에 대응하여 붓글씨 입력모드를 설정한 터치입력 모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20) 상에서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1면적인 경우, 일반펜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일반펜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20) 상에서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2면적인 경우, 형광펜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형광펜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20) 상에서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3면적인 경우, 지우개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지우개로 지우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20) 상에서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4면적인 경우, 붓글씨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붓글씨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펜 머리의 기울임 정도에 따라 접촉 면적이 전술한 제1면적, 제2면적, 제4면적을 갖고 펜 뒷부분의 접촉 면적이 전술한 제3면적을 갖는 하나의 멀티터치펜(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멀티터치펜(미도시)을 이용하여 컨텐츠재생장치(100)의 터치인지부(120)에 접촉하는 기울임 정도에 따라 사용자는 멀티터치펜(미도시)을 이용하여 일반펜, 형광펜, 붓글씨 등 다양한 효과의 펜 이용 효과를 느낄 수 있고, 멀티터치펜(미도시)의 펜 뒷부분을 이용하여 컨텐츠재생장치(100)의 터치인지부(120)에 접촉함에 따라 사용자는 멀티터치펜(미도시)을 이용하여 지우개 효과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20,30,40) 상에서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메모내용(예 : 문자 등)을 재생 중인 해당 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 및/또는 메모위치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S150).
예를 들어, 메모영역(20,30,40) 상에서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메모(예 : 문자 등)를 입력하는 중 사용자에 의해 메모저장기능이 선택되거나 또는 재생중인 컨텐츠의 재생화면이 전환(예 : 페이지 전환)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입력된 메모내용(예 : 문자 등)을 재생 중인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식별정보(예 : 컨텐츠번호) 및 해당 재생구간(예 : 페이지정보) 및 해당 메모위치(예 : 페이지 내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 상에서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입력된 메모내용을 해당 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 및/또는 메모위치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할 것이다.
따라서, 이후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해당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되는 재생화면에 대응하여 과거 대응/저장된 메모내용을 이용하여 재생화면의 해당 메모위치에 함께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해당 컨텐츠 재생 시 과거에 입력한 메모내용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서 직관적이고 간단한 분할 터치입력을 통해 메모영역을 생성하여 자유롭게 메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가 메모 입력 시 터치 면을 변경하여 다양한 터치입력 모드를 선택/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인지하는 터치인지부(120)와,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상기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면, 상기 분할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재생화면의 분할된 분할화면을 이동시켜 메모영역을 생성하는 UI(User Interface)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부이다.
여기서, 재생되는 컨텐츠는, 학습전용의 학습 컨텐츠, 전자서적 컨텐츠 등과 같이 텍스트(text)를 포함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터치인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인지하여 인지된 터치 입력을 UI제어부(130)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여 UI제어부(130)로 제공한다.
UI제어부(130)는,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재생화면의 분할된 분할화면을 이동시켜 메모영역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UI제어부(130)는,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선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이 인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분할 선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이 인지되면, UI제어부(130)는, 이를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UI제어부(130)는,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을 중심으로 재생화면의 분할된 각 분할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화면을 분할이동입력에 대응하여 이동시키고, 분할화면이 이동한 공백영역을 메모영역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컨텐츠를 재생함에 따라 재생화면(10)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재생화면을 가로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선(1)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1)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2)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분할 선(1)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분할이동입력으로 기 설정된 경우일 것이다.
이에, UI제어부(130)는, 재생화면(10)을 분할하는 분할 선(1)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예 : 분할 선(1)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1)을 중심으로 재생화면(10)의 분할된 각 분할화면(10a, 10b)을 이동시키고, 각 분할화면(10a, 10b)이 이동한 공백영역을 메모영역(20)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컨텐츠를 재생함에 따라 재생화면(10)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재생화면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선(3)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3)을 중심으로 우측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4)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3)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을 터치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할 선(3)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분할이동입력으로 기 설정된 경우일 것이다.
이에, UI제어부(130)는, 재생화면(10)을 분할하는 분할 선(3)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예 : 분할 선(3)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3)을 중심으로 재생화면(10)의 분할된 분할화면(10d)을 이동시키고, 분할화면(10d)이 이동한 공백영역 즉 이동하지 않은 분할화면(10c) 및 이동된 분할화면(10d) 사이의 공백영역을 메모영역(30)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컨텐츠를 재생함에 따라 재생화면(10)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곡선으로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선(5)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5)을 중심으로 우측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7)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5)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을 터치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할 선(5)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분할이동입력으로 기 설정된 경우일 것이다.
이에, UI제어부(130)는, 재생화면(10)을 분할하는 분할 선(5)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예 : 분할 선(5)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5)을 중심으로 재생화면(10)의 분할된 분할화면(10f)을 이동시키고, 분할화면(10f)이 이동한 공백영역 즉 이동하지 않은 분할화면(10e) 및 이동된 분할화면(10f) 사이의 공백영역을 메모영역(40)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UI제어부(130)는, 메모영역 상에서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이용한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UI제어부(130)는, 메모영역(20,30,40) 상에서 사용자가 터치펜(미도시) 또는 손가락를 이용하여 터치함에 따라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30,4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30,4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UI제어부(130)는, 메모영역(20,30,40) 상에서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메모내용(예 : 문자 등)을 재생 중인 해당 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 및/또는 메모위치에 대응하여 메모저장부(140)에 저장/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영역(20,30,40) 상에서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메모(예 : 문자 등)를 입력하는 중 사용자에 의해 메모저장기능이 선택되거나 또는 재생중인 컨텐츠의 재생화면이 전환(예 : 페이지 전환)되는 경우, UI제어부(130)는, 입력된 메모내용(예 : 문자 등)을 재생 중인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식별정보(예 : 컨텐츠번호) 및 해당 재생구간(예 : 페이지정보) 및 해당 메모위치(예 : 페이지 내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칭시켜 메모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메모저장부(140)는, 메모영역 상에서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입력된 메모내용을 해당 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 및/또는 메모위치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할 것이다.
따라서, 이후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해당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는 경우, UI제어부(130) 또는 별도의 재생기능부가 디스플레이되는 재생화면에 대응하여 과거 대응/저장된 메모내용을 메모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여 재생화면의 해당 메모위치에 함께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해당 컨텐츠 재생 시 과거에 입력한 메모내용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서 직관적이고 간단한 분할 터치입력을 통해 메모영역을 생성하여 자유롭게 메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UI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터치 면의 면적 별로 상이한 터치입력 모드정보를 저장하고, 메모영역 상에서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에 대응하는 해당 터치입력 모드정보에 따라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UI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터치 면의 면적 별로 상이한 터치입력 모드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터치입력 모드정보는, 일반펜 입력모드와 형광펜 입력모드와, 지우개 입력모드와, 붓글씨 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UI제어부(130)는, 터치 면의 제1면적에 대응하여 일반펜 입력모드, 터치 면의 제2면적에 대응하여 형광펜 입력모드, 터치 면의 제3면적에 대응하여 지우개 입력모드, 터치 면의 제4면적에 대응하여 붓글씨 입력모드를 설정한 터치입력 모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UI제어부(130)는, 메모영역(20) 상에서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1면적인 경우, 일반펜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일반펜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UI제어부(130)는, 메모영역(20) 상에서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2면적인 경우, 형광펜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형광펜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UI제어부(130)는, 메모영역(20) 상에서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3면적인 경우, 지우개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지우개로 지우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UI제어부(130)는, 메모영역(20) 상에서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4면적인 경우, 붓글씨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붓글씨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펜 머리의 기울임 정도에 따라 접촉 면적이 전술한 제1면적, 제2면적, 제4면적을 갖고 펜 뒷부분의 접촉 면적이 전술한 제3면적을 갖는 하나의 멀티터치펜(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멀티터치펜(미도시)을 이용하여 컨텐츠재생장치(100)의 터치인지부(120)에 접촉하는 기울임 정도에 따라 사용자는 멀티터치펜(미도시)을 이용하여 일반펜, 형광펜, 붓글씨 등 다양한 효과의 펜 이용 효과를 느낄 수 있고, 멀티터치펜(미도시)의 펜 뒷부분을 이용하여 컨텐츠재생장치(100)의 터치인지부(120)에 접촉함에 따라 사용자는 멀티터치펜(미도시)을 이용하여 지우개 효과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서 직관적이고 간단한 분할 터치입력을 통해 메모영역을 생성하여 자유롭게 메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가 메모 입력 시 터치 면을 변경하여 다양한 터치입력 모드를 선택/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소정 컨텐츠를 재생하여(S100),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화면 상에서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터치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한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선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이 인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분할 터치입력 존재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분할 선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이 인지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이를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분할 터치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일반적인 컨텐츠 재생에 따른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S11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을 중심으로 재생화면의 분할된 분할화면을 이동시키고, 분할화면이 이동한 공백영역을 메모영역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컨텐츠를 재생함에 따라 재생화면(10)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재생화면을 가로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선(1)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1)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2)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분할 선(1)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분할이동입력으로 기 설정된 경우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화면(10)을 분할하는 분할 선(1)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예 : 분할 선(1)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1)을 중심으로 재생화면(10)의 분할된 각 분할화면(10a, 10b)을 이동시키고, 각 분할화면(10a, 10b)이 이동한 공백영역을 메모영역(20)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재생화면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선(3)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3)을 중심으로 우측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4)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3)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을 터치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할 선(3)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분할이동입력으로 기 설정된 경우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화면(10)을 분할하는 분할 선(3)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예 : 분할 선(3)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3)을 중심으로 재생화면(10)의 분할된 분할화면(10d)을 이동시키고, 분할화면(10d)이 이동한 공백영역 즉 이동하지 않은 분할화면(10c) 및 이동된 분할화면(10d) 사이의 공백영역을 메모영역(30)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곡선으로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선(5)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5)을 중심으로 우측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7)을 터치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할 선(5)을 중심으로 각 분할화면을 양 방향으로 미는 듯한 동작을 터치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할 선(5)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분할이동입력으로 기 설정된 경우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화면(10)을 분할하는 분할 선(5)이 인지되고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예 : 분할 선(5)을 중심으로 분할화면을 미는 듯한 동작의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분할 선(5)을 중심으로 재생화면(10)의 분할된 분할화면(10f)을 이동시키고, 분할화면(10f)이 이동한 공백영역 즉 이동하지 않은 분할화면(10e) 및 이동된 분할화면(10f) 사이의 공백영역을 메모영역(40)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 상에서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이용한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20) 상에서 사용자가 터치펜(미도시)를 이용하여 터치함에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터치 면의 면적 별로 상이한 터치입력 모드정보를 저장하고, 메모영역 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인지하고(S130),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에 대응하는 해당 터치입력 모드정보에 따라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140).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터치 면의 면적 별로 상이한 터치입력 모드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터치입력 모드정보는, 일반펜 입력모드와 형광펜 입력모드와, 지우개 입력모드와, 붓글씨 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터치 면의 제1면적에 대응하여 일반펜 입력모드, 터치 면의 제2면적에 대응하여 형광펜 입력모드, 터치 면의 제3면적에 대응하여 지우개 입력모드, 터치 면의 제4면적에 대응하여 붓글씨 입력모드를 설정한 터치입력 모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20) 상에서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1면적인 경우, 일반펜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일반펜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20) 상에서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2면적인 경우, 형광펜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형광펜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20) 상에서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3면적인 경우, 지우개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지우개로 지우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20) 상에서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 즉 터치 면의 면적이 기 설정된 제4면적인 경우, 붓글씨 입력모드로 동작하여 금번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메모영역(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영역(20)에 메모(예 : 문자 등)를 붓글씨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펜 머리의 기울임 정도에 따라 접촉 면적이 전술한 제1면적, 제2면적, 제4면적을 갖고 펜 뒷부분의 접촉 면적이 전술한 제3면적을 갖는 하나의 멀티터치펜(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멀티터치펜(미도시)을 이용하여 컨텐츠재생장치(100)의 터치인지부(120)에 접촉하는 기울임 정도에 따라 사용자는 멀티터치펜(미도시)을 이용하여 일반펜, 형광펜, 붓글씨 등 다양한 효과의 펜 이용 효과를 느낄 수 있고, 멀티터치펜(미도시)의 펜 뒷부분을 이용하여 컨텐츠재생장치(100)의 터치인지부(120)에 접촉함에 따라 사용자는 멀티터치펜(미도시)을 이용하여 지우개 효과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20,30,40) 상에서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메모내용(예 : 문자 등)을 재생 중인 해당 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 및/또는 메모위치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S150).
예를 들어, 메모영역(20,30,40) 상에서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메모(예 : 문자 등)를 입력하는 중 사용자에 의해 메모저장기능이 선택되거나 또는 재생중인 컨텐츠의 재생화면이 전환(예 : 페이지 전환)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입력된 메모내용(예 : 문자 등)을 재생 중인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식별정보(예 : 컨텐츠번호) 및 해당 재생구간(예 : 페이지정보) 및 해당 메모위치(예 : 페이지 내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메모영역 상에서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입력된 메모내용을 해당 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 및/또는 메모위치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할 것이다.
따라서, 이후 컨텐츠재생장치(100)에서 해당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되는 재생화면에 대응하여 과거 대응/저장된 메모내용을 이용하여 재생화면의 해당 메모위치에 함께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해당 컨텐츠 재생 시 과거에 입력한 메모내용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서 직관적이고 간단한 분할 터치입력을 통해 메모영역을 생성하여 자유롭게 메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가 메모 입력 시 터치 면을 변경하여 다양한 터치입력 모드를 선택/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100 : 컨텐츠재생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터치인지부 130 : UI제어부
140 : 메모저장부

Claims (11)

  1.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인지하는 터치인지부; 및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상기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선 및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이 포함된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면, 상기 분할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재생화면에서 상기 분할 선을 중심으로 분할된 각 분할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화면을 상기 분할이동입력에 대응하여 이동시켜, 메모영역을 생성하는 UI(User Interface)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I제어부는,
    상기 메모영역 상에서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이용한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UI제어부는,
    기 설정된 터치 면의 면적 별로 상이한 터치입력 모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영역 상에서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에 대응하는 해당 터치입력 모드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 모드정보는,
    일반펜 입력모드와 형광펜 입력모드와, 지우개 입력모드와, 붓글씨 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영역 상에서 상기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메모내용을 재생 중인 상기 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 및/또는 메모위치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하는 메모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장치.
  7.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 디스플레이단계;
    상기 재생화면 상에서, 상기 재생화면을 분할하는 분할 선 및 기 설정된 소정의 분할이동입력이 포함된 분할 터치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하는 분할 터치입력 인지단계; 및
    상기 분할 터치입력이 인지되면, 상기 분할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재생화면에서 상기 분할 선을 중심으로 분할된 각 분할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화면을 상기 분할이동입력에 대응하여 이동시켜, 메모영역을 생성하는 UI(User Interface)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영역 상에서 인지되는 터치 입력을 이용한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영역 상에서 상기 사용자 메모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메모내용을 재생 중인 상기 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 및/또는 메모위치에 대응하여 저장/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터치 면의 면적 별 상이한 터치입력 모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영역 상에서 인지되는 터치 입력의 면적에 대응하는 해당 터치입력 모드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 모드정보는,
    일반펜 입력모드와 형광펜 입력모드와, 지우개 입력모드와, 붓글씨 입력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00065754A 2010-07-08 2010-07-08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KR101666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754A KR101666544B1 (ko) 2010-07-08 2010-07-08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754A KR101666544B1 (ko) 2010-07-08 2010-07-08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53A KR20120005153A (ko) 2012-01-16
KR101666544B1 true KR101666544B1 (ko) 2016-10-24

Family

ID=4561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754A KR101666544B1 (ko) 2010-07-08 2010-07-08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957B1 (ko) * 2012-05-21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1526B2 (ja) * 1999-09-20 2006-12-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入力指示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361B1 (ko) * 2008-05-26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센서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01490A (ko) * 2008-06-27 2010-01-06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메모 입력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1526B2 (ja) * 1999-09-20 2006-12-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入力指示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53A (ko) 201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9871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KR102084041B1 (ko)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
CN102473066B (zh) 在多功能手持设备上显示、导航和选择电子方式存储内容的***和方法
US20180239512A1 (en) Context based gesture delineation for user interaction in eyes-free mode
JP4179269B2 (ja) 携帯型電子機器、表示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表示操作装置
AU2013271849B2 (en) Multi-word autocorrection
US9761277B2 (en) Playback state control by position change detection
US8264455B2 (en) Mapping of physical controls for surface computing
US20100182264A1 (en) Mobile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KR101921203B1 (ko) 녹음 기능이 연동된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20150067582A1 (en) Content navigation structure and transition mechanism
WO2020010775A1 (zh) 电子白板的界面元素操作方法、装置及交互智能设备
CN104683850A (zh) 视频设备及其控制方法和包括其的视频***
JP2013540330A (ja) ディスプレイでジェスチャを認識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2185323A (ja) 再生装置、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758921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40210729A1 (en) Gesture based user interface for use in an eyes-free mode
KR101666544B1 (ko)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069909A (ko) 전자칠판장치 및 그 장치를 위한 기록매체
Naji Mobile electronic literature
KR20100033658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17138918A (ja) コンテンツ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表示制御装置
JP2008176035A (ja) 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Çalışkan et al. Mobile Accessibility in Touchscreen Devices: Implications from a Pilot Study with Blind Users on iOS Applications in iPhone and iPad
Wood-Kofonow et al. The Search for Joy and the Realities of Wounds in Early Litera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