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584B1 -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584B1
KR101665584B1 KR1020160100998A KR20160100998A KR101665584B1 KR 101665584 B1 KR101665584 B1 KR 101665584B1 KR 1020160100998 A KR1020160100998 A KR 1020160100998A KR 20160100998 A KR20160100998 A KR 20160100998A KR 101665584 B1 KR101665584 B1 KR 101665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inutes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종현
Original Assignee
남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종현 filed Critical 남종현
Priority to KR1020160100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584B1/ko
Priority to US16/324,538 priority patent/US10993468B2/en
Priority to CN201680079370.6A priority patent/CN108471794B/zh
Priority to JP2018537640A priority patent/JP6446162B1/ja
Priority to PCT/KR2016/011950 priority patent/WO2018030581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등록특허 제181168호로 등록된 오리나무 추출물과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보다 in vivo 실험(동물실험 및 인체실험)에서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며 여러 숙취증상을 크게 완화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Description

숙취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eliminating hangover}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음주를 하면 처음 식도 및 구강 점막에서 알코올은 소량 흡수된다. 이후 약 90%의 알코올이 위장에서 흡수되며 10%는 소장에서 흡수되게 된다. 체내로 흡수된 알코올은 폐, 소변, 땀으로 10% 정도 배설되며 90%는 간에서 대사되고 산화된다.
혈액을 통해 간으로 이동한 알코올은 간에서 생성되는 여러 효소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대사되며 생성된 아세트알데히드는 다시 효소에 의해 신체에 무해한 아세테이트로 대사된다. 이후 아세테이트는 혈액에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된다.
간에서의 에탄올 대사는 ADH(alcohol dehydrogenase)와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ADH는 주로 혈중 에탄올 농도가 낮을 때 에탄올의 산화를 담당하고 높은 농도에서는, 특히 장기간의 에탄올 섭취 시에는 상대적으로 유용하지 않다.
여러 가지 숙취 증상에 대한 보고에서는 갈증, 피곤함과 두통이 잔류 알코올의 효과로서 나타나며, 탈수 현상과 체내 전해질의 불균형, 위장 관계의 장애, 저혈당 및 수면과 생체 리듬의 이상이 보고되어 있다. 이외에도 구토 및 설사 등으로 인해 수분의 손실이 더욱 악화될 수 있고, 알코올은 위장 내벽과 소장 등에 직접적으로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알코올은 위산 생성을 증가시키고 이자액과 소장 내의 분비를 증가시키므로 상복부의 통증이나 오심 및 구토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알코올로 인해 간과 다른 장기에서 나타나는 대사 상태의 변화로 인해 저혈당이 초래될 수 있으며, 알코올 대사로 인해 나타나는 지방간과 중간 대사 산물인 젖산의 축적 현상은 모두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게 된다. 포도당은 뇌의 주된 에너지원이며 저혈당 증상은 피로, 무기력증 및 기분 장애 등의 숙취 증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기억이 끊기는 현상은 알코올이 뇌에 새로운 사실을 기억시키는 특정한 신경 수용체의 활동을 차단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이상 한국약학대학 협의회 위생약학분과회 편저, 질환별로 본 건강기능식품학, 신일북스, 2009, 제137쪽 내지 제145쪽에서 발췌).
울금, 갈근, 갈화, 국화, 오리나무, 헛개나무 등은 숙취해소 효과가 오래 전부터 동의보감 등에 알려져 왔으며, 아스파라긴산, 비타민C도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문관심 저, 1999, 과학백과사전출판사)에는 차나무, 가래, 타래붓꽃, 녹두, 칡, 싸리버들옻, 헛개나무, 마름, 백두구에 숙취해소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정보원 자료에는 시금치, 칡에 숙취해소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상기 ‘질환별로 본 건강기능식품학’에는 임상시험을 통해 숙취해소에 대한 효능을 평가한 것으로 BIOZYME, 노근추출물, Mildronate, Liv.52, 칡, 타우린, 홍국 색소 추출물, 알로에, 인삼 사포닌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오리나무 추출물과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천연차의 발명을 하여 1997. 3. 19. 출원, 1998. 12. 5. 등록특허 제181168호로 등록한 바 있다.
오리나무(Alnus japonica steud)는 수백 년 전부터 간에 쌓인 독을 푸는데 활용되어 왔으며, 특히 술독을 푸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는데, 오리나무는 숙취를 없애고 알코올 중독을 풀며 간 기능을 좋게 하는 데 뛰어난 효과가 있는 나무이다. 오리나무는 잎과 잔가지 껍질을 약으로 쓰는데, 성질은 서늘하고 맛은 떫고 매우며, 열을 내리고 독을 푸는 작용이 있다. 오리나무 잔가지나 껍질을 알려서 마시면 숙취해소와 간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마가목(Sorbus commixta)은 열매를 괴혈병과 기침에 쓰고 폐결핵에 효과가 있으며, 중풍, 고혈압, 위장병, 신경통, 류머티즘, 관절염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는데, 마가목에서 약재로 쓰는 부위는 줄기의 껍질과 열매로서, 마가목의 수피, 잎, 줄기 및 열매에는 수분, 단백질, 탄수화물, 회분과 같은 일반성분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마가목은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바 없었는데, 본 발명의 발명자는 등록특허 제181168호에서 최초로 오리나무 추출물과 마가목 추출물의 혼합 시 숙취해소에 상승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오리나무 추출물과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천연차의 발명을 등록특허 제181168호로 등록하였다.
등록특허 제181168호에는 실험방법으로 “본 발명의 천연차에 의한 숙취해소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배합비의 천연차 0.1리터를 1리터의 30% 및 50%의 에틸알코올 중에 첨가하여 실온 및 대기접촉 개방상태에서 에틸알코올의 분해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알코올농도의 축정은 알코올 비중계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자는 에틸알코올의 분해율을 본 발명의 효과의 지표로서 제시하는 것이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등록특허 제181168호의 등록 이후 등록특허 제181168호를 실시하면서 등록특허 제181168호의 숙취해소용 조성물보다 숙취해소 효과가 뛰어난 숙취해소 조성물 발명을 위해 오리나무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에 수많은 식용이 가능한 식물들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승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 왔으며, 등록특허 제181168호의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해 오다가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과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의 혼합 시 숙취해소에 상승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개암나무(Corylus heterophylla Fisher)의 열매는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쓰고 위장병, 만성 대장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으며, 동의치료에서 열매는 소화가 잘되게 하고 밥맛을 돋우는 약, 자양강장약, 기침약으로 쓰였으며, 익은 열매를 밤처럼 과실로 먹거나 기름을 짜서 먹는다.
개암나무는 숙취해소 효과가 전혀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원재료에 포함된 적도 없는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최초로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과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의 혼합 시 숙취해소에 상승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등록특허 제181168호의 실험방법으로 가능성을 확인한 후 본 발명에서는 등록특허 제181168호의 실험방법보다 훨씬 정밀한 in vivo 실험(동물실험 및 인체실험)을 거쳐 숙취해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등록특허 제181168호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1998. 12. 5. 등록)
본 발명은 등록특허 제181168호로 등록된 오리나무 추출물과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발명보다 숙취해소 효과가 뛰어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유효성분 100중량%에 대하여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50~70중량%,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10~20중량%, 마가목 열매 추출물 10~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과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식품원료 및 식품첨가물을 포함하는 식품으로서, 배합수를 제외한 식품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0.1중량% 내지 99.9중량%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등록특허 제181168호로 등록된 오리나무 추출물과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보다 in vivo 실험(동물실험 및 인체실험)에서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며 여러 숙취증상을 크게 완화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추출”은 용매 또는 시약 등을 사용하여 고체 또는 액체 속에서 특정물질만을 꺼내는 조작으로 예컨대 식물 등의 약용성분을, 물·에탄올(에틸알코올)·에테르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해 추출하는 등 혼합물 속에서 특정성분만을 용해·분리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추출물”은 목적하는 원료로부터 상기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추출 과정에 의해 분리된 물질로서, 추출용매를 이용한 추출액 또는 이의 농축물 또는 이를 분말화한 것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 과정 수회 반복될 수 있고, 그 이후 통상적인 농축 과정을 거칠 수도 있으며,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에 감초, 대추 등 식용이 가능한 식물 추출물이나 천연 감미료인 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숙취해소를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식품에 첨가되는 경우, 식품원료 및 식품첨가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에 의하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한 식품을 말하며, "기능성"이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음료, 수프, 엑기스, 젤리, 사탕, 초콜릿, 껌 등 식품류가 될 수 있고, 이에는 감미료, 산미료, 향료 등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첨가물이 첨가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에 오리나무, 마가목은 식품에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료로 명시되어 있으며, 식품에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료에 속하는 원료를 혼합할 경우, 혼합성분의 총량이 제품의 50% 미만(배합수는 제외한다)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식품에 포함할 경우, 배합수(정제수)를 제외한 식품 전체 중량(100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0.1중량% 내지 99.9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이 음료일 경우, 그 음료는 유효성분으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정제수와 감미료, 산미료, 향료 등의 식품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구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구분 구성요소 조성비(중량%)
구성요소 1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50~70
구성요소 2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10~20
구성요소 3 마가목 열매 추출물 10~30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조성비(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숙취해소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숙취해소에 역효과가 나며, 다른 추출물과의 맛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표 3, 4, 6, 7 참조).
대법원은 “특허등록된 발명이 그 출원 전에 공지된 발명이 가지는 구성요소의 범위를 수치로써 한정하여 표현한 경우에 있어, 그 특허발명의 과제 및 효과가 공지된 발명의 연장선상에 있고 수치한정의 유무에서만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그 한정된 수치범위 내외에서 현저한 효과의 차이가 생기지 않는다면 그 특허발명은 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이고 반복적인 실험을 통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정도의 단순한 수치한정에 불과하여 진보성이 부정된다. 다만, 그 특허발명에 진보성을 인정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가 부가되어 있어서 그 특허발명에서의 수치한정이 보충적인 사항에 불과하거나, 수치한정을 제외한 양 발명의 구성이 동일하더라도 그 수치한정이 공지된 발명과는 상이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수단으로서의 의의를 가지고 그 효과도 이질적인 경우라면, 수치한정의 임계적 의의가 없다고 하여 특허발명의 진보성이 부정되지 아니한다.”라고 판시한 바 있습니다(대법원 2010. 8.19. 선고 2008후4998 판결).
본 발명에는 공지된 구성요소인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에 공지되지 않은 구성요소인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이 부가되어 있어서 수치한정의 임계적 의의가 없다고 하여 본 발명의 진보성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치한정의 범위 내외에서의 동물실험 및 인체실험 데이터를 제시한다.
< 실시예 1>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1-1) 개암나무 열매를 취하여 물기를 없애고 분쇄한 후 80% 에탄올에 침지시키고 12시간 동안 70℃의 온도로 추출한 후 추출 잔사를 제거하고 감압농축하고 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을 얻었다.
1-2) 개암나무 열매를 취하여 물기를 없애고 분쇄한 후 70℃ 열수에 침지시키고 12시간 동안 80~95℃의 온도로 추출한 후 추출 잔사를 제거하고 감압농축하여 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2>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의 제조
2-1) 오리나무 줄기를 취하여 물기를 없애고 분쇄한 후 80% 에탄올에 침지시키고 12시간 동안 70℃의 온도로 추출한 후 추출 잔사를 제거하고 감압농축하여 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을 얻었다.
2-2) 오리나무 줄기를 취하여 물기를 없애고 분쇄한 후 70℃ 열수에 침지시키고 12시간 동안 80~95℃의 온도로 추출한 후 추출 잔사를 제거하고 감압농축하여 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3> 마가목 열매 추출물의 제조
3-1) 마가목 열매를 취하여 물기를 없애고 분쇄한 후 80% 에탄올에 침지시키고 12시간 동안 70℃의 온도로 추출한 후 추출 잔사를 제거하고 감압농축하여 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얻었다.
3-2) 마가목 열매를 취하여 물기를 없애고 분쇄한 후 70℃ 열수에 침지시키고 12시간 동안 80~95℃의 온도로 추출한 후 추출 잔사를 제거하고 감압농축하여 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마가목 줄기 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4> 액상 조성물의 제조
4-1) 동물실험을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표 2에 기재된 실시예 a~e, 비교예 a~f의 조성비에 따른 조성물 100g에 증류수 1,000cc를 더하여 액상으로 제조하였다.
4-2) 인체실험을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표 2에 기재된 실시예 a~e, 비교예 a~f의 조성비에 따른 조성물 100g에 증류수 1,000cc를 더하여 제조한 액상 조성물 80중량%에 꿀 2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액상 조성물의 실시예 a~e, 비교예 a~f의 조성비는 다음 표 2와 같다.
(단위 : 중량%)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


a 70 10 20
b 70 20 10
c 60 10 30
d 60 20 20
e 50 20 30


a 80 10 10
b 40 20 40
c - 30 70
d - 40 60
e - 50 50
f - 60 40
< 실험예 1> 동물실험
동물실험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과 김종대 교수팀에 의뢰하여 실험하였다.
1-1) 실험내용
실험동물 : 숫컷 흰쥐(260g 내외)를 처리군당 10마리씩 배치
실험처리군 : 11가지 액상 조성물 시료 투여군
시험주정 : Chivas Regal (알코올 농도 40%)
주정투여량 : 단회성 급성주정 중독량(4g ethanol/1kg body wt.)
액상 조성물 시료 투여량 : 체중 kg당 2.5g
채혈간격 : 알코올 투여 후 60, 90, 150, 240분
분석시료 : 혈액은 안구채혈법으로 채취하고, 혈청(serum)을 분리
분석방법 : 혈중 알코올 농도를 enzyme method로 분석
1-2) 실험동물 및 처리
실험동물은 생후 수컷 Sprague Dawley 계통 흰쥐(체중 250~260g)를 ㈜대한바이오링크로부터 구매하여 1주간 강원대학교 실험동물센터(온도 22 ±2℃, 습도, 50~55%, 명암주기 12시간)에서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전 실험기간 동안 물과 사료의 양은 자유로이 공급하였다.
상기와 같이 적응시킨 흰쥐를 처리군당 10마리씩 공시하고 시험주정은 Chivas Regal(알코올 농도 40%)로 흰쥐에게 체중 기준으로 경구투여 하였으며, 주정투여 30분 전 또는 주정투여 30분 후에 실시예 4-1의 액상 조성물 시료를 경구투여 하였다.
1-3) 1차 실험 (Pre-treatment)
알코올 투여 30분 전에 액상 조성물 시료를 투여하고 알코올 투여 후 60분, 90분, 150분, 240분 경과 시 채혈하여 혈중 알코올농도를 측정하였다.
1-4) 2차 실험 (Post-treatment)
1차 실험종료 후 3주 경과한 다음 시행하였으며, 알코올 투여 30분 후에 액상 조성물 시료를 투여하고 알코올 투여 후 90분, 150분, 240분 경과 시 채혈하여 혈중 알코올농도를 측정하였다.
1-5) 혈중 알코올 농도 분석
혈액은 알코올 투여 후 60분, 90분, 150분, 240분 경과 시 안구채혈법으로 채취하고 혈청 분리관에 넣어 원심분리(15,000rpm, 10min, 4℃)하여 혈청시료를 분리하였으며, 알코올의 정량은 alcohol assay kit(Komabiotech,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리된 혈청(10ul)에 2 x yellow reaction mixture(90ul)를 가한 후 37℃에서 30분 incubation 후에 나타나는 발색도를 570nm에서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를 alcohol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알코올의 농도(mM)를 측정하였으며, 표준곡선은 10mM 표준용액을 2,000, 1,000, 500, 250, 125, 62.5, 31.25, 0 uM으로 희석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6) 통계처리
실험성적은 평균값±표준편차 (mean ±S.D)로 표시하였고 실험군 간의 통계적인 유의성 검정은 GraphPad InStat software를 이용하여 one way ANOVA test(Bonferroni test for post hoc multiple comparison)에 의해 유의확률 P<0.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1-7) 1차 실험(알코올 투여 30분 전 시료 투여)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
조성비(중량%) 혈중 알코올 농도(평균값±표준편차)
[단위 : μM]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오리나무줄기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알코올 투여
60분 후
알코올 투여
90분 후
알코올 투여
150분 후
알코올 투여
240분 후
실시예 a 70 10 20 579±52 442±38 323.6±26 315±35
b 70 20 10 464±37 389±39 385±40 310±44
c 60 10 30 576.3±122 477.9±37 308.5±50 309.7±62
d 60 20 20 471±21 459±20 415±16 389±20
e 50 20 30 597.8±53 492.1±117 437.4±76 415.7±70
비교예 a 80 10 10 686±100 568.3±78 498.6±81 442.8±54
b 40 20 40 671.4±29 622.3±27 571.3±34 549.6±37
c - 30 70 656±53 648±54 588±53 568±53
d - 40 60 692.8±40 669.4±111 592.4±116 542.3±80
e - 50 50 695.5±43 582.9±55 579.8±60 535.7±56
f - 60 40 673±89 669±89 609±87 581±85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조성비의 비교예 a 내지 b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알코올 투여 30분 전 액상 조성물 시료를 투여하고 알코올 투여 60분 후부터 비교예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알코올 투여 60분 후에는 최저 11.0%(실시예 e/비교예 b = 597.8/671.4), 최고 32.4%(실시예 b/비교예 a = 464/686), 알코올 투여 90분 후에는 최저 13.4%(실시예 e/비교예 a = 492.1/568.3), 최고 37.5%(실시예 b/비교예 b = 389/622.3), 알코올 투여 150분 후에는 최저 12.3%(실시예 e/비교예 a = 437.4/498.6), 최고 46.0%(실시예 c/비교예 b = 308.5/571.3), 알코올 투여 240분 후에는 최저 6.1%(실시예 e/비교예 a = 415.7/442.8), 최고 43.6%(실시예 c/비교예 b = 309.7/549.6)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b를 등록특허 제181168호와 같은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로만 구성되는 비교예 c 내지 f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알코올 투여 30분 전 액상 조성물 시료를 투여하고 알코올 투여 60분 후부터 비교예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알코올 투여 60분 후에는 최저 8.9%(실시예 e/비교예 c = 597.8/656), 최고 33.3%(실시예 b/비교예 e = 464/695.5), 알코올 투여 90분 후에는 최저 15.6%(실시예 e/비교예 e = 492.1/582.9), 최고 41.9%(실시예 b/비교예 d = 389/669.4), 알코올 투여 150분 후에는 최저 24.6%(실시예 e/비교예 e = 437.4/579.8), 최고 49.3%(실시예 c/비교예 f = 308.5/609), 알코올 투여 240분 후에는 최저 22.4%(실시예 e/비교예 e = 415.7/535.7), 최고 46.7%(실시예 c/비교예 f = 309.7/581)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를 등록특허 제181168호의 발명을 실시하여 시판되고 있는 여명808에 가장 가까운 조성비를 갖는 비교예 d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알코올 투여 30분 전 액상 조성물 시료를 투여하고 알코올 투여 60분 후부터 비교예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알코올 투여 60분 후에는 최저 13.7%(실시예 e/비교예 d = 597.8/692.8), 최고 33.0%(실시예 b/비교예 d = 464/692.8), 알코올 투여 90분 후에는 최저 26.5%(실시예 e/비교예 d = 492.1/669.4), 최고 41.9%(실시예 b/비교예 d = 389/669.4), 알코올 투여 150분 후에는 최저 26.2%(실시예 e/비교예 d = 437.4/592.4), 최고 48.0%(실시예 c/비교예 d = 308.5/592.4), 알코올 투여 240분 후에는 최저 23.3%(실시예 e/비교예 d = 415.7/542.3), 최고 42.9%(실시예 c/비교예 d = 309.7/542.3)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1-8) 2차 실험(알코올 투여 30분 후 시료 투여)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조성비(중량%) 혈중 알코올 농도(평균값±표준편차)
[단위 : μM]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
알코올
투여
90분 후
알코올
투여
150분 후
알코올
투여
240분 후
실시예 a 70 10 20 567±45 501±32 399±62
b 70 20 10 458±45 416±35 360±39
c 60 10 30 451±53 426±49 301±51
d 60 20 20 476±48 434±44 387±39
e 50 20 30 546±42 504±45 455±48
비교예 a 80 10 10 605±57 537±60 470±56
b 40 20 40 588±45 544±46 504±50
c - 30 70 643±50 601±53 551±56
d - 40 60 628±90 586±94 567±97
e - 50 50 614±57 571±57 540±51
f - 60 40 613±87 524±75 514±74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조성비의 비교예 a 내지 b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알코올 투여 30분 후 액상 조성물 시료를 투여하고 알코올 투여 90분 후부터 비교예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알코올 투여 90분 후에는 최저 3.6%(실시예 a/비교예 b = 567/588), 최고 25.5%(실시예 c/비교예 a = 451/605), 알코올 투여 150분 후에는 최저 6.1%(실시예 e/비교예 a = 504/537), 최고 23.5%(실시예 b/비교예 b = 416/544), 알코올 투여 240분 후에는 최저 3.2%(실시예 e/비교예 a = 455/470), 최고 40.3%(실시예 c/비교예 b = 301/504)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를 등록특허 제181168호와 같은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로만 구성되는 비교예 c 내지 f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알코올 투여 30분 후 액상 조성물 시료를 투여하고 알코올 투여 90분 후부터 비교예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알코올 투여 90분 후에는 최저 7.5%(실시예 a/비교예 f = 567/613), 최고 29.9%(실시예 c/비교예 c = 451/643), 알코올 투여 150분 후에는 최저 3.8%(실시예 e/비교예 f = 504/524), 최고 30.8%(실시예 b/비교예 c = 416/601), 알코올 투여 240분 후에는 최저 11.5%(실시예 e/비교예 f = 455/514), 최고 46.9%(실시예 c/비교예 d = 301/567)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를 등록특허 제181168호의 발명을 실시하여 시판되고 있는 여명808에 가장 가까운 조성비를 갖는 비교예 d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알코올 투여 30분 후 액상 조성물 시료를 투여하고 알코올 투여 90분 후부터 비교예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알코올 투여 90분 후에는 최저 9.7%(실시예 a/비교예 d = 567/628), 최고 28.2%(실시예 c/비교예 d = 451/628), 알코올 투여 150분 후에는 최저 14.0%(실시예 e/비교예 d = 504/586), 최고 29.0%(실시예 b/비교예 d = 416/586), 알코올 투여 240분 후에는 최저 19.8%(실시예 e/비교예 d = 455/567), 최고 46.9%(실시예 c/비교예 d = 301/567)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 실험예 2> 인체실험
인체실험은 실험참가자의 동의를 받은 후 실험참가자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소재 서울외과 입원실에 체류하면서 음주 시작 전 액상 조성물 시료 섭취, 또는 음주 종료 후 액상 조성물 시료 섭취를 하고 간호사가 음주 종료 후 시간 경과에 따라 혈액을 채취하고 (주)녹십자에 의뢰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2-1) 실험내용
실험참가자 : 다음 표 5와 같다.
실험참가자
성별 성명 연령(세) 몸무게(kg)
실시예 a 한** 33 54
b 이** 36 90
c 김** 38 57
d 김** 34 67
e 이** 39 90
비교예 a 박** 39 93
b 임** 50 66
c 조** 38 65
d 유** 39 77
e 송** 47 88
f 김** 43 71
3일간 금주한 후 저녁 6시에 음주 시작 : 30분간 음주하고 안주로는 육포 170g, 복숭아 200g 섭취
알코올 섭취 : 체중 kg당 Chivas Regal (알코올 농도 40%) 3g
실시예 4-2의 액상 조성물 시료는 체중 kg당 2.5g 섭취
채혈간격 : 음주 종료 후 60, 90, 150, 240분
2-2) 1차 실험
음주 시작 30분 전에 액상 조성물 시료를 섭취하고 음주 종료 후 60분, 90분, 150분, 240분 경과 시 채혈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2-3) 2차 실험
1차 실험 후 3일간 금주한 다음 시행하였으며, 음주 종료 30분 후에 액상 조성물 시료를 섭취하고 음주 종료 후 90분, 150분, 240분 경과 시 채혈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2-4) 1차 실험(음주 시작 30분전 시료 섭취) 결과는 다음 표 6과 같다.
조성비(중량%) 혈중 알코올 농도(%)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오리나무줄기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음주
종료
60분 후
음주
종료
90분 후
음주
종료
150분 후
음주
종료 240분 후
실시예 a 70 10 20 0.118 0.090 0.048 0.020
b 70 20 10 0.112 0.073 0.030 0.013
c 60 10 30 0.100 0.051 0.022 0.011
d 60 20 20 0.107 0.064 0.024 0.012
e 50 20 30 0.115 0.079 0.045 0.019
비교예 a 80 10 10 0.127 0.096 0.058 0.039
b 40 20 40 0.118 0.090 0.048 0.027
c - 30 70 0.127 0.101 0.067 0.047
d - 40 60 0.126 0.099 0.060 0.040
e - 50 50 0.120 0.098 0.050 0.030
f - 60 40 0.125 0.094 0.061 0.045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조성비의 비교예 a 내지 b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주 시작 30분 전 액상 조성물 시료를 섭취하고 음주 종료 60분 후부터 비교예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음주 종료 60분 후에는 최고 21.3%(실시예 c/비교예 a = 0.100/0.127), 음주 종료 90분 후에는 최고 46.9%(실시예 c/비교예 a = 0.051/0.096), 음주 종료 150분 후에는 최고 62.1%(실시예 c/비교예 a = 0.022/0.058), 음주 종료 240분 후에는 최저 25.9%(실시예 a/비교예 b = 0.020/0.027), 최고 71.8%(실시예 c/비교예 a = 0.011/0.039)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를 등록특허 제181168호와 같은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로만 구성되는 비교예 c 내지 f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주 시작 30분 전 액상 조성물 시료를 섭취하고 음주 종료 60분 후부터 비교예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음주 종료 60분 후에는 최저 1.7%(실시예 a/비교예 e = 0.118/0.120), 최고 21.3%(실시예 c/비교예 c = 0.100/0.127), 음주 종료 90분 후에는 최저 4.3%(실시예 a/비교예 f = 0.090/0.094), 최고 49.5%(실시예 c/비교예 c = 0.051/0.101), 음주 종료 150분 후에는 최저 4.0%(실시예 a/비교예 e = 0.048/0.050), 최고 67.2%(실시예 c/비교예 c = 0.022/0.067), 음주 종료 240분 후에는 최저 33.3%(실시예 a/비교예 e = 0.020/0.030), 최고 76.6%(실시예 c/비교예 c = 0.011/0.047)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를 등록특허 제181168호의 발명을 실시하여 시판되고 있는 여명808에 가장 가까운 조성비를 갖는 비교예 d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주 시작 30분 전 액상 조성물 시료를 섭취하고 음주 종료 60분 후부터 비교예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음주 종료 60분 후에는 최저 6.3%(실시예 a/비교예 d = 0.118/0.126), 최고 20.6%(실시예 c/비교예 d = 0.100/0.126), 음주 종료 90분 후에는 최저 9.1%(실시예 a/비교예 d = 0.090/0.099), 최고 48.5%(실시예 c/비교예 d = 0.051/0.099), 음주 종료 150분 후에는 최저 20.0%(실시예 a/비교예 d = 0.048/0.060), 최고 63.3%(실시예 c/비교예 d = 0.022/0.060), 음주 종료 240분 후에는 최저 50.0%(실시예 a/비교예 d = 0.020/0.040), 최고 72.5%(실시예 c/비교예 d = 0.011/0.040)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2-4) 2차 실험(음주 종료 30분 후 시료 섭취) 결과는 다음 표 7과 같다.
조성비(중량%) 혈중 알코올 농도(%)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
음주
종료
90분 후
음주
종료
150분 후
음주
종료
240분 후
실시예 a 70 10 20 0.094 0.050 0.025
b 70 20 10 0.080 0.032 0.019
c 60 10 30 0.065 0.024 0.014
d 60 20 20 0.072 0.026 0.017
e 50 20 30 0.088 0.045 0.023
비교예 a 80 10 10 0.101 0.067 0.038
b 40 20 40 0.097 0.052 0.029
c - 30 70 0.109 0.069 0.047
d - 40 60 0.104 0.065 0.033
e - 50 50 0.101 0.054 0.030
f - 60 40 0.106 0.067 0.049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조성비의 비교예 a 내지 b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주 종료 30분 후 액상 조성물 시료를 섭취하고 음주 종료 90분 후부터 비교예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음주 종료 90분 후에는 최저 3.1%(실시예 a/비교예 b = 0.094/0.097), 최고 35.6%(실시예 c/비교예 a = 0.065/0.101), 음주 종료 150분 후에는 최저 3.8%(실시예 a/비교예 b = 0.050/0.052), 최고 64.2%(실시예 c/비교예 a = 0.024/0.067), 음주 종료 240분 후에는 최저 13.8%(실시예 a/비교예 b = 0.025/0.029), 최고 63.2%(실시예 c/비교예 a = 0.014/0.038)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를 등록특허 제181168호와 같은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로만 구성되는 비교예 c 내지 f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주 종료 30분 후 액상 조성물 시료를 섭취하고 음주 종료 90분 후부터 비교예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음주 종료 90분 후에는 최저 6.9%(실시예 a/비교예 e = 0.094/0.101), 최고 40.4%(실시예 c/비교예 c = 0.065/0.109), 음주 종료 150분 후에는 최저 7.4%(실시예 a/비교예 e = 0.050/0.054), 최고 65.2%(실시예 c/비교예 c = 0.024/0.069), 음주 종료 240분 후에는 최저 16.7%(실시예 a/비교예 e = 0.025/0.030), 최고 71.4%(실시예 c/비교예 f = 0.014/0.049)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를 등록특허 제181168호의 발명을 실시하여 시판되고 있는 여명808에 가장 가까운 조성비를 갖는 비교예 d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주 종료 30분 후 액상 조성물 시료를 섭취하고 음주 종료 90분 후부터 비교예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음주 종료 90분 후에는 최저 9.6%(실시예 a/비교예 d = 0.094/0.104), 최고 37.5%(실시예 c/비교예 d = 0.065/0.104), 음주 종료 150분 후에는 최저 23.1%(실시예 a/비교예 d = 0.050/0.065), 최고 63.1%(실시예 c/비교예 d = 0.024/0.065), 음주 종료 240분 후에는 최저 24.2%(실시예 a/비교예 d = 0.025/0.033), 최고 57.6%(실시예 c/비교예 d = 0.014/0.033)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 실험예 3> 숙취증상 완화 효과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
인체실험 다음 날 오전 9시에 실험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평가토록하였다.
3-1) 숙취증상 완화 효과 평가
설문지는 어지러움 완화 효과, 갈증 완화 효과, 피로감 완화 효과, 집중 곤란 완화 효과, 졸음 완화 효과, 두통 완화 효과, 구토증 완화 효과의 7개 항목에 대해 5점 구획 척도(효과가 매우 강함 : 5점, 효과가 약간 강함 : 4점, 효과가 보통임 : 3점, 효과가 약간 약함 : 2점, 효과가 매우 약함 : 1점)에 따라 평가하도록 하였다.
3-2) 1차 설문조사
1차 인체실험(음주 시작 30분 전 시료 섭취) 후 다음 날 오전 9시에 실험참가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평가하였다.
3-3) 2차 설문조사
2차 인체실험(음주 종료 30분 후 시료 섭취) 후 다음 날 오전 9시에 실험참가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평가하였다.
3-4) 1차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 표 8과 같다.
숙취증상 완화효과(설문조사 값)
어지러움 완화 효과 갈증
완화 효과
피로감
완화 효과
집중 곤란
완화
효과
졸음 완화 효과 두통 완화
효과
구토증 완화 효과 평균
실시예 a 4 4 4 4 4 3 4 3.86
b 4 5 4 4 4 4 4 4.14
c 4 5 4 4 4 5 5 4.43
d 4 5 4 4 4 4 4 4.14
e 4 4 4 4 4 4 4 4.00
비교예 a 3 3 3 3 3 3 3 3.00
b 3 4 4 3 3 3 3 3.29
c 3 3 3 2 3 3 3 2.86
d 3 3 3 3 3 3 3 3.00
e 3 3 3 3 3 4 3 3.14
f 3 2 3 3 3 3 3 2.86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의 숙취증상 완화효과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조성비의 비교예 a 내지 b와 비교하면, 비교예 a 내지 b는 5점 만점에 3.00 ~ 3.29의 값을 나타낸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5점 만점에 3.86 ~ 4.43의 값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의 숙취증상 완화효과를 등록특허 제181168호와 같은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로만 구성되는 비교예 c 내지 f와 비교하면, 비교예 c 내지 f는 5점 만점에 2.86 ~ 3.14의 값을 나타낸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5점 만점에 3.86 ~ 4.43의 값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의 숙취증상 완화효과를 등록특허 제181168호의 발명을 실시하여 시판되고 있는 여명808에 가장 가까운 조성비를 갖는 비교예 d와 비교하면, 비교예 d는 5점 만점에 3.00의 값을 나타낸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5점 만점에 3.86 ~ 4.43의 값을 나타내었다.
3-5) 2차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 표 9와 같다.
숙취증상 완화효과(설문조사 값)
어지러움 완화 효과 갈증
완화 효과
피로감
완화 효과
집중 곤란
완화
효과
졸음 완화 효과 두통 완화
효과
구토증 완화 효과 평균
실시예 a 4 4 3 4 4 3 4 3.71
b 4 4 4 4 4 4 4 4.00
c 4 5 4 4 4 4 4 4.14
d 4 4 4 4 4 4 4 4.00
e 4 4 4 4 4 3 4 3.86
비교예 a 3 3 3 3 3 3 3 3.00
b 3 4 3 3 3 3 3 3.14
c 3 3 3 2 3 3 3 2.86
d 3 3 3 3 3 3 3 3.00
e 3 3 3 3 3 3 3 3.00
f 3 3 3 3 3 3 2 2.86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의 숙취증상 완화효과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조성비의 비교예 a 내지 b와 비교하면, 비교예 a 내지 b는 5점 만점에 3.00 ~ 3.14의 값을 나타낸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5점 만점에 3.71 ~ 4.14의 값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의 숙취증상 완화효과를 등록특허 제181168호와 같은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로만 구성되는 비교예 c 내지 f와 비교하면, 비교예 c 내지 f는 5점 만점에 2.86 ~ 3.00의 값을 나타낸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5점 만점에 3.71 ~ 4.14의 값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a 내지 e의 숙취증상 완화효과를 등록특허 제181168호의 발명을 실시하여 시판되고 있는 여명808에 가장 가까운 조성비를 갖는 비교예 d와 비교하면, 비교예 d는 5점 만점에 3.00의 값을 나타낸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5점 만점에 3.71 ~ 4.14의 값을 나타내었다.

Claims (3)

  1.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로서,
    상기 유효성분 100중량%에 대하여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 50~70중량%,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10~20중량%, 마가목 열매 추출물 10~30중량%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 제1항의 숙취해소용 조성물과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식품원료 및 식품첨가물을 포함하는 식품으로서,
    배합수를 제외한 식품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0.1중량% 내지 99.9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60100998A 2016-08-09 2016-08-09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665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998A KR101665584B1 (ko) 2016-08-09 2016-08-09 숙취해소용 조성물
US16/324,538 US10993468B2 (en) 2016-08-09 2016-10-24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s
CN201680079370.6A CN108471794B (zh) 2016-08-09 2016-10-24 解酒用组成物
JP2018537640A JP6446162B1 (ja) 2016-08-09 2016-10-24 二日酔い解消用組成物
PCT/KR2016/011950 WO2018030581A1 (ko) 2016-08-09 2016-10-24 숙취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998A KR101665584B1 (ko) 2016-08-09 2016-08-09 숙취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584B1 true KR101665584B1 (ko) 2016-10-12

Family

ID=5717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998A KR101665584B1 (ko) 2016-08-09 2016-08-09 숙취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93468B2 (ko)
JP (1) JP6446162B1 (ko)
KR (1) KR101665584B1 (ko)
CN (1) CN108471794B (ko)
WO (1) WO201803058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2330A (zh) * 2017-07-11 2017-09-08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业研究所 利用核its序列进行榛种质鉴定的方法
WO2018030581A1 (ko) * 2016-08-09 2018-02-15 남종현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10068967A (ko) 2019-12-02 2021-06-10 이수호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7627A1 (ja) 2020-02-04 2021-08-12 株式会社東洋新薬 経口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168B1 (ko) 1996-11-07 1999-02-01 남종현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22B1 (ko) * 1999-12-20 2003-11-21 주식회사 조선내츄럴 숙취해소용 건강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3770A (ko) * 2001-12-17 2002-03-29 김규안 오리나무를 이용한 숙취해소제
EP1781239A2 (en) * 2003-11-17 2007-05-09 Patus Ltd Compositions effective in altering the perception of malodor
JP2006347926A (ja) * 2005-06-14 2006-12-28 Ichimaru Pharcos Co Ltd ファゴサイトーシス抑制剤
KR20100080972A (ko) 2009-01-05 2010-07-14 김선일 나무수액 발효물과 그 이용방법.
KR101101759B1 (ko) 2009-07-10 2012-01-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KR20110022882A (ko) * 2009-08-28 2011-03-08 남종현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CN102178229B (zh) * 2011-04-18 2012-07-25 云南植物药业有限公司 一种具有解酒功能的保健食品
CN102370174B (zh) * 2011-10-11 2013-03-27 汪甬伟 一种解酒的保健食品
CN103999978B (zh) * 2014-04-24 2016-04-06 杜仁波 一种预防酒精肝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3989719B (zh) * 2014-05-23 2017-02-15 吉林农业大学 一种人参脂溶性部位及其解酒防酔用途
CN104430908A (zh) * 2014-11-26 2015-03-25 青岛基恒饲料有限公司 一种健脾豆浆及其制备方法
CN105561006B (zh) * 2015-02-10 2018-09-28 魏嵋 一种具有治疗酒精性肝病功能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665584B1 (ko) 2016-08-09 2016-10-12 남종현 숙취해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168B1 (ko) 1996-11-07 1999-02-01 남종현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개암나무 열매의 효능 및 복용법, 네이버 블로그(2014.10.17.)(출처 http://blog.naver.com/hebavepo/220153519449)*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581A1 (ko) * 2016-08-09 2018-02-15 남종현 숙취해소용 조성물
US10993468B2 (en) 2016-08-09 2021-05-04 Jong-Hyun Nam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s
CN107142330A (zh) * 2017-07-11 2017-09-08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业研究所 利用核its序列进行榛种质鉴定的方法
CN107142330B (zh) * 2017-07-11 2020-06-02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业研究所 利用核its序列进行榛种质鉴定的方法
KR20210068967A (ko) 2019-12-02 2021-06-10 이수호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66896A1 (en) 2019-06-06
JP2019502721A (ja) 2019-01-31
JP6446162B1 (ja) 2018-12-26
WO2018030581A1 (ko) 2018-02-15
CN108471794B (zh) 2020-05-08
CN108471794A (zh) 2018-08-31
US10993468B2 (en)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3903B2 (en) Medicinal composition of amaranth extract origin having enriched nitrate content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20200352206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mushroom mycelial compound and botanical mixture
TWI500391B (zh) 解酒與預防宿醉的組合物及包含組合物的飲料
KR101665584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07387B1 (ko)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1601947B1 (ko) 땅콩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0530262A (ja) 腸内吸収率を高めたビートジュースと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CN104560576B (zh) 玛卡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101461165B1 (ko)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371143B1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10518B1 (ko) 니파야자와 재거리를 이용한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및 그 기능성 환
CN107397091B (zh) 一种抗疲劳的苣荬菜运动饮料
KR101237215B1 (ko) 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2238009B1 (ko) 노니가 함유된 홍삼 가공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192342A (ja) ステビア濃縮液剤および成熟ざくろ混合物の製造方法
KR101930026B1 (ko)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CN105124076A (zh) 一种滋咽润喉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90116003A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A021203B1 (ru)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корицы и базилика для лечения или профилактики инфекций мочевыводящих путей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WO2010128949A1 (en) A nutraceutical composition
KR20170014236A (ko) 발효 흑마늘 및 흑양파가 포함된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1952B1 (ko) 목근근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식품
RU2562520C2 (ru) Соста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езалкогольного напи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