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522B1 - Aerodynamic garment with applied surface roughness and method of manufacture - Google Patents

Aerodynamic garment with applied surface roughness and method of manufa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522B1
KR101664522B1 KR1020127001796A KR20127001796A KR101664522B1 KR 101664522 B1 KR101664522 B1 KR 101664522B1 KR 1020127001796 A KR1020127001796 A KR 1020127001796A KR 20127001796 A KR20127001796 A KR 20127001796A KR 101664522 B1 KR101664522 B1 KR 101664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garment
sportswear
texture
surface roug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7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89625A (en
Inventor
매튜 디. 노드스트롬
조지 이. 주니어 카보
브라운라이 레오나드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8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6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5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41D31/185Elastic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4Reducing drag or turbulence in air o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텍스쳐가 적용된 구역을 포함하는 공기역학적 의복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구역은 운동 활동 동안 공기를 통해 각각의 구역과 관련된 의복의 이동에 기초하는 성질 및 특성과 관련될 수도 있다. 각각의 구역의 텍스쳐는 프린팅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제조된 공기역학적 의복은 운동 활동의 수행 동안 겪게 되는 공기 항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공기역학적 의복을 착용하고 있는 운동선수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odynamic garment comprising a region to which a texture is applied. Each zone may be associated with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movement of the garment associated with each zone through the air during exercise activities. The texture of each zone may be applied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printing. The aerodynamic garments produced improve the performance of an athlete wearing aerodynamic clothing by reducing the air drag experienced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athletic activity.

Description

표면 거침부가 적용되어 있는 공기역학적 의복 및 제조 방법{AERODYNAMIC GARMENT WITH APPLIED SURFACE ROUGHNESS AND METHOD OF MANUFACTUR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odynamic garment,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Cross reference of related application

본 출원은 2009년 6월 24일자로 출원된 "표면 거침부가 적용되어 있는 공기역학적 의복 및 제조 방법"이란 표제의 미국 가출원 번호 제61/220,184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This application claims benefit of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1 / 220,184 entitled " Aerodynamic Cloth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th Surface Roughing Apparatus ", filed June 24, 2009.

본 발명은 운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풀바디 슈트(full-body suit)와 같은 공기역학적 의복 및 공기역학적 의복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역학적 의복은 공기역학적 의복을 착용하고 있는 운동선수 주위의 공기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최적화하여 운동선수에 대한 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핵심 위치에서 의복에 적용되는 표면 거침부(surface roughness)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erodynamic garment and an aerodynamic garment, such as a full-body suit, to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the aerodynamic garment has a surface roughness applied to the garment at the core position to more effectively optimize the air flow around the athlete wearing the aerodynamic garment to reduce drag to the athlete, .

몸에 밀착되는 셔츠, 바지 및 풀바디 슈트와 같은 공기역학적 의복은 운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기를 얻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의복은 의복을 착용하고 있는 운동선수에 대한 공기 항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운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항력은 공기와 같은 유체가 물체 주위로 유동하여 와류를 형성할 때 발생된다. 와류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종래의 방법은 의복을 착용하고 운동 활동 중인 운동선수에 대한 항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운동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선택에 집중하여 왔다. 이러한 의복은 통상 두 가지 방식으로 항력을 감소시키도록 기능을 하고 있다. 첫째, 의복은 운동선수의 신체에 밀착되고 운동선수의 신체의 바람에 직면하는 부분을 향해 원활한 무주름 직물 표면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둘째, 의복은 운동선수가 의복을 착용하고 이동할 때의 일반적인 속도에서 바람을 최적으로 직면하는 것으로 공지된 특정 표면 텍스쳐(texture)를 제공하는 특정 직물(들)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두 방법에선, 의복에 대한 항력은 의복을 생성하는데 이용된 직물의 선택에 기초한다. Aerodynamic apparel such as shirts, pants and full body suits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has gained popularity as a means to improve exercise performance. Generally, these garments improve the athletic performance by reducing air drag on the athlete wearing the garment. The drag is generated when a fluid such as air flows around an object to form a vortex. Conventional methods for solving the vortex problem have focused on the selection of materials used to form the sportswear to minimize the drag on the athlete wearing the garment. These garments usually serve to reduce drag in two ways. First, the garments are designed to provide a smooth, non-wrinkled fabric surface against the athlete's body and toward the athlete's body's wind. Second, garments are being made with specific fabric (s) that provide a specific surface texture known to optimally face wind at a general rate when an athlete wears and moves. In both of these methods, the drag to the garment is based on the selection of the fabric used to create the garment.

특정 스포츠 경기를 위해 공기역학적 의복의 최적의 표면 텍스쳐를 정량화하고 선택하려는 엔지니어와 디자이너의 노력은 제한적인 성공을 가져왔다. 예컨대, "스포츠 의류의 공기역학적 특성"(저자: 레오나드 더블유. 브라운라이, 시몬 프레이저 대학, 1993년 4월 14일, 신체운동학과, 개시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됨)이라는 표제의 공개된 박사 학위 논문에서, 박사 학위 후보 레오나드 더블유. 브라운라이 문헌은, 풍동 내의 실린더에 착용시켰을 때 각각 상이한 표면 텍스쳐를 갖는 다양한 신축성 직물의 항력 감소 효과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The efforts of engineers and designers to quantify and select the optimal surface texture of aerodynamic apparel for a specific sporting event have been of limited success. For example, a published doctoral degree entitled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sports apparel" (author: Leonard W. Brownlee, Simon Fraser University, April 14, 1993, Department of Physical Exercise, In thesis, doctoral candidate Leonard W. The Brownlee literature has conducted experiments to determine the drag reduction effect of various stretch fabrics having different surface textures when worn on cylinders in wind tunnels.

브라운라이는 "몇몇 신축성 직물의 표면 거침부 성질은 다양한 운동 시도에서 인간 형태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러한 직물을 이용할 수 있다"(요약서 3페이지 참조)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브라운라이의 실험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직물에 제한되었으며, 기성품 운동복에 있어서는 특정 운동 경기를 위해 최적의 표면 텍스쳐를 선택하는 방법을 충분히 설명해 주지 못한다.Brownlay concluded that "the properties of the surface roughness of some stretch fabrics can be exploited to reduce [resistance] to human form in various athletic attempts" (see abstract page 3). However, the Brownleigh test is limited to commercially available fabrics and does not adequately describe how to choose the best surface texture for a particular athletic sportswear.

보다 최근에, 발명자들은 특정 운동 경기 동안 최적의 공기 항력 감소를 제공하기 위한 표면 거침부를 갖는 직물을 선택하는 시스템을 정량화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예컨대, 개시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맥도날드 등의 미국 특허 제6,438,755호에서, 발명자들은 소정의 운동 활동 동안 운동선수 신체의 일부분에 걸쳐 이동하는 공기의 속도 및 운동선수 신체의 일부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운동선수 신체의 일부분의 레이놀즈수를 결정하고 최적화하는 방법을 교시하고 있다. 운동선수 신체의 일부분 각각에 대해 계산된 레이놀즈수에 기초하여, 상이한 표면 거침부를 갖는 상이한 직물이 각각의 신체 일부분을 위해 선택된다. 이 결과, 상이한 직물이 함께 합쳐진 운동복이 제조되는데, 각각의 상이한 직물은 운동복을 착용하고 있는 운동선수의 전체 운동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슈트 상의 최적 위치에 위치설정된다. More recently, the inventors are attempting to quantify a system for selecting fabrics having surface roughnesses to provide optimal air drag reduction during specific athletic events. For example, in U. S. Patent No. 6,438, 755 to McDonald et al., The disclosure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inventors have determined that the rate of air moving over a portion of an athlete's body and the size of a portion of the athlete's body during a given athletic activity It teaches how to determine and optimize the Reynolds number of a part of athletic body. Based on the calculated Reynolds number for each part of the athlete's body, a different fabric with different surface roughness is selected for each body part. As a result, a sportswear with different fabrics joined together is produced, wherein each different fabric is positioned at an optimum position on the chute to optimize the overall athletic performance of the athlete wearing the sportswear.

맥도날드 등은 공기역학적 의복 설계에 있어서 상당한 진보성을 제공하였지만, 복수의 상이한 직물이 함께 고정될 필요가 있어 제조 비용이 증가되고, 선택된 직물에 따라 착용자의 편안함 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맥도날드 등이 제시한 공기역학적 의복 제조 방법은 선택된 직물(들)이 신축성, 유연성, 통기성 등과 같은 다른 바람직한 특성이 있는지와는 관계없이 직물의 특성적인 항력 계수에 주로 기초한 직물의 선택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맥도날드 등이 제시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의복은 공기역학적으로는 유리할 수도 있지만, 제조된 의복은 편안함, 열역학, 발한 관리, 중량, 및 의복에 대한 다른 편안함 및/또는 성능 특성에 대해서는 최적화되지 않을 것이다. Although McDonald et al. Have provided considerable advances in aerodynamic garment design, a plurality of different fabrics need to be secured together, which increases manufacturing costs and may reduce the wearer's comfort, etc., depending on the selected fabric. In addition, the aerodynamic garment manufacturing method proposed by McDonald et al. Is based on the selection of fabrics based primarily on the characteristic drag coefficient of the fabric, regardless of whether the selected fabric (s) has other desirable characteristics such as elasticity, flexibility, have. Thus, garments made by the methods proposed by McDonald et al. May be aerodynamically advantageous, but the manufactured garments are not optimized for comfort, thermodynamics, perspiration management, weight, and other comfort and / o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for the garment I will not.

따라서, 공지된 운동복의 개선안에도 불구하고, 선택적인 표면 거침부의 공기역학적 항력 감소 효과가 보다 효과적으로 최적화되면서 운동선수에 의해 마모되는 직물의 추가적인 성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의복을 제조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관련된 방법도 제공되어야 한다. 편안함 및/또는 비공기역학적 성능 인자에 대해 최적화되는 기초 직물을 선택함으로써, 바람직한 공기역학적 성질을 달성하여 공기역학적 의복을 착용하는 동안 운동선수의 최상의 성능에 일조하면서 공기역학적 의복의 전체 실효성을 최적화하도록 텍스쳐 처리된 표면이 기초 직물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보다 충실히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와 다른 요구를 충족시킨다. Therefore, despite the improvements of the known sportswea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additional properties of the worn fabric by the athlete while the aerodynamic drag reducing effect of the selective surface roughness is more effectively optimized. Also, an efficient and economically relevant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garments should be provided. By choosing a base fabric that is optimized for comfort and / or non-aerodynamic performance factors, it is possible to achieve desirable aerodynamic properties to optimiz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he aerodynamic garment while contributing to the athlete's best performance while wearing aerodynamic garments The textured surface may optionally be applied to the base fabric. As more fully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esent invention meets these and other needs.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복은 일 유형의 직물로 또는 단일 편의 직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이한 표면 거침부를 갖는 부분은 의복 상의 영역에 적용되는 텍스쳐를 적용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스포츠 의류의 직물은 표면 거침부 이외의 다른 이유로 기능적으로 또는 심미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예컨대, 유리한 수분 처리 특성을 갖지만 불리한 공기역학적 성질을 갖는 직물이, 유리한 공기역학적 성질 또는 성질들을 생성하도록 텍스쳐가 직물에 적용된 상태로, 의복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은 유리한 공기역학적 성질을 가지면서 달리 달성될 수 없는 다른 바람직한 기능적 및/또는 심미적 성질도 또한 가질 수 있다. The sports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made of one type of fabric or of a single piece of fabric and the portion having different surface roughnesses may be formed by applying a texture applied to the area of the garment. As a result, the fabric of the sportswear may be functionally or aesthetically selected for reasons other than surface roughness. For example, a fabric having advantageous moisture treatment properties but having adverse aerodynamic properties may be used for clothing, with the texture applied to the fabric to produce advantageous aerodynamic properties or properties. Thus,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have other desirable functional and / or aesthetic properties that have advantageous aerodynamic properties and can not otherwise be achieved.

표면 거침부 및/또는 표면 거침부들은 잉크젯 또는 다른 프린팅, 실크 크리닝, 열전달, 오버몰딩 및/또는 유사 기술과 같은 하나 이상의 종래의 전이 기술로 적용될 수 있다. 표면 거침부는 소정의 운동 경기 동안 신체 부위에서 겪게 될 수 있는 공기 속도를 위해 각각의 신체 부위에 가장 적절한 텍스쳐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의 복수의 직물 편으로 구성되는 경우, 직물 편을 결합하는 시임에서 표면 거침부를 직물에 적용하는 것이 시임에서의 공기 항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컨대, 텍스쳐는 공기 프로파일에 대한 시임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시임의 상부 및/또는 시임을 둘러싸는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실리콘 또는 다른 재료가 단(hem)을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직물의 에지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며, 손목, 발목 및/또는 목 근방의 단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에 실리콘 또는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탄성을 추가하면서 단의 다른 형태의 중량 및/또는 벌크(bulk)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직물의 마모를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의복의 단에 실리콘 또는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또 다른 선택권은 플록 가공(flocking)이 단에서 공기 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단의 일부분 또는 전체에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The surface roughness and / or surface roughnesses can be applied with one or more conventional transfer techniques such as ink jet or other printing, silk cleaning, heat transfer, overmolding and / or the like. The surface roughness may be selected to provide the most appropriate texture for each body part for the air velocity that can be experienced at the body part during a given sporting event. When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abric pieces of the same or different types, application of the surface roughness to the fabric in the seam joining the fabric pieces can minimize air drag in the seam. For example, the texture may be disposed in an area surrounding the top and / or seam of the seam to reduce the effect of seams on the air profile. Silicone or other materials may also be used to form the hem and / or to treat the edges of the fabric, and also to the edges near the wrist, ankle and / or neck. The use of silicone or other materials in this stage may reduce the weight and / or bulk of other types of stalks while adding elasticity while at the same time preventing wear of the fabric. Another option to use silicone or other materials on the ends of the gar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flocking may be applied to some or all of the stages to reduce air drag at this stage.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은 일체형 바디 슈트를 포함한다. 일체형 바디 슈트는 단일 유형의 직물 또는 복수의 유형의 직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일체형 바디 슈트를 구성하는데 사용된 임의의 시임은 하나 이상의 운동 활동 동안 항력을 최소화하도록 위치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바디 슈트는 의복의 임의의 장소에 위치설정되는 개구를 통해 착용될 수도 있다. 일체형 바디 슈트를 착용하는 개구는 지퍼(들), 후크 및 루프 시스템, 버튼, 스냅 등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체결부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폐쇄될 수도 있다. 폐쇄 기구가 사용되는 경우, 표면 거침부는 폐쇄 기구의 공기 항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의복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바디 슈트의 일례는 운동선수의 목 및 선택적으로 등의 일부분을 위한 개구를 제공하면서 운동선수가 이러한 개구를 통해 의복을 착용할 수 있는 충분한 탄성을 갖는 직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로서, 개구와 관련된 공기 항력은 폐쇄 기구의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전방을 향한 이동을 위해 감소될 수도 있다. 폐쇄 기구는 직물의 탄성을 이용하여 허용가능한 밀착을 유지함으로써 제거될 수도 있으며, 통풍 장치가 운동하는 동안의 냉각 및 편안함을 위해 운동선수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tegral body suit. The integral body suit may consist of a single type of fabric or a plurality of types of fabrics. Any seam used to construct such an integral body suit may be positioned to minimize drag during one or more athletic activities. The integral body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orn through an opening positioned at any location of the garment. The opening to wear the integral body suit may optionally be closed using any type of fastener such as zipper (s), hook and loop system, button, snap, and the like. When a closing mechanism is used, the surface roughing portion may be applied to the garment as disclosed herein to minimize the air drag of the closing mechanism. One example of an integral body sui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ist of a fabric having sufficient resilience to allow an athlete to wear the garment through such an opening while providing an opening for the throat of the athlete and optionally the back part. As an example, the air drag associated with the opening may be reduced for forward movement 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closure mechanism. The closure mechanism may be removed by maintaining the allowable tightness using the elasticity of the fabric, and the aerator may be provided to the athlete for cooling and comfort during movement.

의복에 텍스쳐를 적용하는 것은 운동 활동 동안 의복이 운동선수에 의해 마모될 때 의복의 항력 성질에 영향을 준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항력은 공기와 같은 유체가 물체 주위로 유동할 때 발생된다. 물체 주위로 유동하는 공기는 물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분리되어 와류를 생성한다. 공기 유동이 와류를 개시하는 물체 상의 위치는 물체의 형상 및 물체에 대한 공기의 이동 속도에 따른다. 예컨대, 저속 이동 실린더 주위로 유동하는 공기는 비교적 작은 와류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저속 이동 실린더와 동일한 크기의 고속 이동 실린더 주위로 유동하는 공기는 비교적 큰 와류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Applying textures to clothing affects the drag properties of clothing when clothing is worn by athletes during athletic activities. As described above, drag is generated when a fluid such as air flows around an object. The air flowing around the object is separated at any location on the object to create a vortex. The position on the object where the air flow initiates the vortex depends on the shape of the object and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air relative to the object. For example, air flowing around the slow moving cylinder may produce relatively small eddy currents. However, the air flowing around a fast moving cylinder of the same size as the slow moving cylinder may produce a relatively large eddy current.

고속 이동 실린더와 같은 물체의 항력을 감소시키는 하나의 방법은 물체 주위로 유동하는 공기의 트리핑(tripping)을 촉진하는 것이다. 공기 유동의 트리핑은 층류를 유발시키기 위해 물체 외부의 텍스쳐를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원활한 실린더 주위로 유동하는 공기는 텍스쳐를 실린더의 표면에 추가함으로써 트리핑될 수도 있다. 텍스쳐는 실린더의 표면 근방에 공기를 보유하여, 공기가 추가 텍스쳐가 없는 실린더의 경우보다 실린더의 더 큰 영역(들) 주위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공기가 실린더 주위로 층류로 유동하는 시간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와류의 세기는 실린더 주위로의 공기 유동이 이탈하는 경우 더 작아질 수도 있다. 이런 방식으로, 텍스쳐를 물체의 표면에 적용하는 것은 물체 주위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항력의 양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물체는 운동선수가 착용하는 공기역학적 의복일 수도 있다. 운동선수의 신체의 상이한 부분은 운동하는 동안 상이한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이한 텍스쳐가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여 공기역학적 의복에 걸쳐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텍스쳐를 공기역학적 의복의 영역에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의복에 대한 항력이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운동복 이외의 물품에 대한 항력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텍스쳐를 적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볼, 스포츠 장비, 차량, 구조체 등 주위로의 공기 유동으로부터 유발되는 항력은 텍스쳐를 적용함으로써 감소될 수도 있다. One way to reduce the drag of an object, such as a fast moving cylinder, is to facilitate tripping of air flowing around the object. Tripping of the air flow involves changing the texture outside the object to induce laminar flow. For example, air flowing around a smooth cylinder may be tripped by adding a texture to the surface of the cylinder. The texture retains air near the surface of the cylinder, allowing the air to flow around the larger area (s) of the cylinder, as compared to a cylinder without additional textures. By increasing the amount of time the air flows into the laminar flow around the cylinder, the strength of the vortex may become smaller as the air flow around the cylinder deviates. In this way, applying a texture to the surface of an object may affect the amount of drag generated by the air flowing around the object. An object may be an aerodynamic garment worn by an athlete. Since different parts of the athlete's body move at different speeds during movement, different textures need to be applied across aerodynamic garments in view of these changes. As such, by selectively applying the texture to the area of the aerodynamic garment, the drag to the garment may be controlled. In addition, various textures may be applied to control the drag on an article other than a sportswear. For example, the drag resulting from air flow around the ball, sports equipment, vehicles, structures, etc. may be reduced by applying a texture.

과제의 해결 수단 섹션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의 대략적인 요약을 제공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구성요소나 전체 범주를 포괄적으로 개시하는 것이 아니다. 추가적인 적용 분야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요약의 개시 내용 및 특정 예는 단지 예시가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The solution section of the task is merely to provide a rough summary of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be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of all elements or the entir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areas of applicability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provided herein. The disclosure and specific examples in this summary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운동복의 전방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복의 선택된 영역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예시적인 텍스쳐 패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운동 활동 동안 운동선수가 대기에 대해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자세의 예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에 따라 운동 활동 동안 운동선수가 대기에 대해 취할 수 있는 자세의 범위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의 텍스쳐 처리된 부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의 플록 가공된 부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바디 슈트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복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개방형 후방부를 도시한다.
도 13a 내지 13d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의복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4a 내지 14c는 본 발명에 따른 의복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텍스쳐 및/또는 직물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의복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1 is a front view of an exemplary sports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6 illustrate a plurality of exemplary texture patterns that may be used in selected areas of the sports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n example of a plurality of stances that an athlete can take against the atmosphere during a sport a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8D illustrate another example of a range of postures the athlete can take with respect to the atmosphere during a sport a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n example of a textured portion of a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an example of a flocked portion of a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show an example of an integral body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hows an open rear part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3A-13D show views of other appar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A-14C illustrate another example of textures and / or textiles that can be used with gar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llustrates a method of forming gar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도면은 선택된 실시예만의 예시적인 설명일 뿐, 모든 가능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의도도 아니다.The drawings disclosed herein are illustrative only of selected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ations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all possible embodiments.

대응하는 도면 부호는 일부 도면에서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denote corresponding elements in some figures.

도 1을 참조하면, 표면 거침부(112) 섹션이 적용된 운동복(110)의 예시적인 실시예(100)가 도시되어 있다. 운동복(110)은 몸통부(120), 다리부(122) 및 팔부(124)를 갖는 슈트이다. 각각의 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선수(130)의 각각의 대응 부분을 딱 맞게 덮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성된다. 각각의 부분(120, 122, 124)은 덮고 있는 신체의 구역에 대해 최적의 신축성, 편안함 및/또는 성능 효과를 제공하는 직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표면 거침부(112) 섹션은 슈트의 항력 감소 성질과 같은 슈트의 공기역학적 성질을 추가로 최적화하기 위해 슈트의 안감 직물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의복(110)의 각각의 부분(120, 122, 124)은 최적의 공기역학적 성질을 위해 반드시 선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 재료의 시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이러한 성질은 운동복(110)을 따라 최적의 위치에 표면 거침부(112)를 적용함으로써 최적화될 수도 있다. 예컨대, 텍스쳐가 공기 유동을 트리핑하여 의복에 대한 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의복에 적용될 수도 있다. 표면 거침부(112)는 의복의 공기역학적 성질과는 관계없이 의복의 공기역학적 성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의복(110)과 같은 운동복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표면 거침부(112)는 준최적 공기역학적 성질을 갖는 의복뿐만 아니라 열악한 공기역학적 성질을 갖는 의복에도 추가로 그리고/또는 대안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exemplary embodiment 100 of a sportswear 110 to which a surface roughness 112 section is applied is shown. The sportswear 110 is a suit having a body portion 120, a leg portion 122, and an arm portion 124. Each portion is sized and shaped to fit snugly to each corresponding portion of athlete 130 as shown. Each of the portions 120, 122, 124 may be formed of a fabric that provides optimal stretchability, comfort, and / or performance benefits over the area of the covering body. The surface roughness 112 section may be applied to the lining fabric of the suit to further optimize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the suit, such as the drag reduction properties of the suit. As such, each portion 120, 122, 124 of the garment 110 may be formed from a sheet of material that is not necessarily selected for optimum aerodynamic properties. More precisely, this property may be optimized by applying the surface roughness portion 112 to the optimum position along the running cloth 110. [ For example, the texture may be applied to the garment to reduce the drag on the garment by tripping the air flow. The surface roughness 112 may be applied to a sportswear, such as the garment 110, to optimize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the garment, regardless of the aerodynamic nature of the garment. As such, surface roughness 112 may be additionally and / or alternatively applied to garments having poor aerodynamic properties as well as garments having sub-optimal aerodynamic properties.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운동복의 선택된 구역에 사용되는 복수의 예시적인 텍스쳐 패턴(200 내지 600)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패턴을 직물에 적용함으로써, 안감 슈트에 사용된 특정 직물의 표면 거침부에 전적으로 의존하기보다는, 표면 거침부의 크기, 밀도, 배열, 플록 가공 및/또는 형태가 최적화될 수도 있다. 예컨대, 증가된 표면 거침부의 공기역학적 이익은 더 빠른 공기 속도에서 증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표면 거침부(즉, 텍스쳐 처리된 패턴의 크기, 밀도, 배열, 플록 가공 및/또는 형태)는 많은 운동 경기 동안 가장 빨리 이동하는 다리부(122) 및 팔부(124)의 말단부(140)에 근접하는 부분에서 최대가 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 프로파일에 노출되는 공기역학적 의복의 각 영역은 의복에 적용되는 텍스쳐에 의해 향상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공기역학적 의복의 각 영역에 적용된 텍스쳐는 운동 경기의 수행시 가장 발생하기 쉬운 조건에서 기능하도록 최적화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프린터용으로 설계된 공기역학적 의복은 100미터 달리기, 400미터 달리기 등과 같은 단거리 경기의 성능을 최적화하도록 향상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대략 마일당 5분의 달리기 조건에 대해 최적인 텍스쳐에 의해 향상되는 공기역학적 의복이 마라톤 주자용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마일당 10분, 마일당 8분 등의 달리기 시간을 갖는 달리기가 취미인 사람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텍스쳐가 적용된 의복이 설계될 수도 있다. 100미터 달리기를 달리는데 사용되는 의복을 설계하는데 사용된 장치 배치 및 텍스쳐는 마라톤 주자의 의복을 설계하는데 사용된 것들과는 아주 다를 수도 있다. 2-6, a plurality of exemplary texture patterns 200-600 for use in selected areas of a sportswear are illustrat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pattern to the fabric, the size, density, arrangement, flocking, and / or shape of the surface roughness may be optimized rather than entirely dependent upo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particular fabric used in the lining chute. For example, the aerodynamic benefits of increased surface roughness may be increased at higher air velocities. Thus, the surface roughness (i.e., the size, density, arrangement, flocking and / or shape of the textured pattern) The maximum value may be obtained at a portion close to < RTI ID = 0.0 > Also, each area of the aerodynamic garment exposed to the air profile may be enhanced by the texture applied to the garment. In this case, the texture applied to each area of the aerodynamic garment may be optimized to function under the most likely to occur conditions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athletic event. For example, aerodynamic apparel designed for a sprinter may be enhanced to optimize the performance of short-range events such as 100-meter running, 400-meter running, and the like. Alternatively, an aerodynamic garment improved by a texture that is optimal for a running condition of approximately five minutes per mile may be designed for marathon runners. Also, textured clothing may be designed to optimize the performance of a running hobby who has running times such as 10 minutes per mile and 8 minutes per mile. The device layout and textures used to design the garments used to run the 100 meter run may be quite different from those used to design marathon runners' apparel.

또한, 표면 거침부 패턴은 의복의 부분들 사이에서 원활하게 전이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120)는 소량의 표면 거침부를 갖거나 표면 거침부가 없을 수도 있으며, 의복의 다리부(122) 및 팔부(124)의 표면 거침부 각각은 몸통에 인접하는 부분에서는 표면 거침부가 없거나 거의 없는 상태에서 팔부 및 다리부 각각의 말단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상태로 원활하게 전이될 수도 있다. Also, the surface roughness pattern may smoothly transition between portions of the gar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trunk portion 120 may have a small surface roughness portion or no surface roughness portion, and each of the surface roughness portions of the leg portion 122 and the arm portion 124 of the garment It may be smoothly transferred to a state of gradually increasing toward the distal end of each of the arm portion and the le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rough surface portion in the adjacent portion.

표면 거침부(112)는 착용자의 신체와 결합되는 공기역학적 의복의 바람 부는 쪽을 향하는, "웨트 에지(wet edge)"라고도 종종 지칭되는, 선단 에지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의복을 착용한 운동선수에 의해 수행되는 운동 활동은 운동 활동 동안의 운동선수의 복수의 자세에 기초하는 웨트 에지를 가질 수도 있다. 운동 활동 동안의 운동선수의 복수의 자세는 도 7에서 추가로 기술될 것이다. 적용된 표면 거침부(112)는, 웨트 에지가 운동 활동 동안 이동하는 운동선수의 모든 고속 이동 부분 주위, 예컨대 주자의 팔뚝 또는 종아리 주위로 전체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적용된 표면 거침부(112)는 운동 활동과 관련된 공기 프로파일에 의해 영향을 받는 운동복의 임의의 부분에 부착될 수도 있다. The surface roughness 112 may also be applied to a leading edge, sometimes referred to as a "wet edge ", toward the wind side of an aerodynamic garment associated with the wearer ' s body. The athletic activity performed by the athlete wearing the garment may have a wet edge based on the athlete's multiple postures during the athletic activity. The athlete's multiple posture during athletic activity will be further described in Fig. The applied surface roughening portion 112 may extend entirely around any fast moving portion of the athlete during which the wet edge is moving during movement, such as around the forearm or calf of the runner. In addition, the applied surface roughness 112 may be attached to any portion of the sportswear affected by the air profile associated with the athletic activity.

운동복의 구역은 운동 활동 중인 운동선수의 신체 자세에 기초하여 한정될 수도 있다. 추가로 그리고/또는 대안적으로, 운동복 상의 구역은 운동 활동 동안 운동복을 착용하고 있는 운동선수의 크기, 비율 및/또는 신체 구성에 기초할 수도 있다. 또한, 운동복의 각 구역에 적용되는 텍스쳐의 형태 및 패턴은 운동선수의 다양한 형태, 크기 및/또는 신체 구성에 기초할 수도 있다. The area of the sportswear may be limited based on the physical posture of the athlete during the exercise. Additionally and / or alternatively, the area on the sportswear may be based on the size, proportion and / or body composition of the athlete wearing the sportswear during athletic activity. Also, the shape and pattern of the texture applied to each zone of the sportswear may be based on various forms, sizes, and / or body composition of the athlete.

운동 활동 동안 착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운동복은 제1 구역 및 제2 구역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구역은 제1 공기역학적 특성을 유발하는 제1 성질을 갖는 제1 적용된 텍스쳐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구역은 착용자의 극단부의 일부분(들)을 덮을 수도 있다. 제2 구역은 제2 공기역학적 특성을 유발하는 제2 성질을 갖는 제2 적용된 텍스쳐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구역은 착용자의 몸통을 사실상 덮을 수도 있다. 또한, 중간 구역이 제1 구역과 제2 구역 사이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중간 구역은 제1 적용된 텍스쳐에서 제2 적용된 텍스쳐로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텍스쳐를 가질 수도 있다. The sportswear worn by the wearer during athletic activities may have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The first zone may have a first applied texture having a first property that causes a first aerodynamic characteristic. The first zone may also cover a portion (s) of the wearer's extremity. The second zone may have a second applied texture with a second property that results in a second aerodynamic characteristic. The second zone may effectively cover the torso of the wearer. The intermediate zone may also extend betwee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The intermediate region may have a texture that gradually changes from a first applied texture to a second applied texture.

텍스쳐는 운동 활동 동안 의복을 착용하고 있는 운동선수의 대기에 대한 이동 및 신체 자세로부터 유발되는 공기 유동에 기초하여 의복의 구역을 확인함으로써 의복에 적용될 수도 있다. 확인된 구역은 착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극단부에 대응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극단부 주위로의 공기 유동으로부터 발생된 항력을 감소시키는 성질을 갖는 텍스쳐가 결정될 수도 있다. 적용된 텍스쳐의 일례는 의복의 일부분에 적용되는 원활하고 얇은 실리콘 디스크이다. 실리콘 디스크 또는 다른 형상부는 의복 내에 형성되도록 의복 및/또는 직물 상에 실리콘을 프린팅함으로써 적용될 수도 있다. 임의의 프린팅 프로세스가 실리콘을 의복의 표면에 적용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적용된 텍스쳐의 다른 예는 플록 가공된 노듈(nodule)이다. 플록 가공된 노듈은 상술된 바와 같이, 액체 실리콘과 같은 액체 접착제를 의복에 도포한 다음, 섬유를 액체 접착제에 적용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액체 접착체는 의복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로질러 도포될 수도 있다. 액체 접착제가 건조되거나 섬유에 충분히 접합된 다음, 접착제와 접촉되지 않았던 잉여 섬유는 셰이킹(shaking), 블로잉(blowing) 등에 의해 제거될 수도 있다. 노듈의 섬유는 균일한 배향 및 임의의 배향을 포함하는 많은 방식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예컨대, 나일론 섬유는 플록 가공된 노듈 내에 섬유의 균일한 배향을 형성하도록 정전식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플록 가공된 노듈 및 플록 가공 안 된 노듈 양자 모두는 원형, 사각형, 타원형, 다이아몬드형, 다양한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형태가 동일한 의복 및/또는 의복의 일부분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플록 가공된 노듈 및 플록 가공 안 된 노듈 양자 모두는 동일한 의복 및/또는 의복의 일부분에 사용될 수도 있다.The texture may be applied to the garment by identifying the area of the garment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athlete wearing the garment during the activity and the air flow induced from the body posture. The identified zone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extremity of the wearer. A texture may be determined that has the property of reducing the drag force generated from the air flow around at least one extremity. An example of the applied texture is a smooth, thin silicon disk that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garment. A silicone disc or other feature may be applied by printing the silicone on the garment and / or fabric to be formed within the garment. Any printing process may be used to apply silicone to the surface of the garment. Another example of an applied texture is a flocked nodule. The flocked nodules may be formed by applying a liquid adhesive, such as liquid silicone, to the garment and then applying the fibers to the liquid adhesive, as described above. The liquid adhesive may be applied across at least a portion of the garment. After the liquid adhesive is dried or sufficiently bonded to the fibers, the excess fiber that has not been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may be removed by shaking, blowing, or the like. The fibers of nodules may be oriented in many ways including uniform orientation and any orientation. For example, the nylon fibers may be electrostatically aligned to form a uniform orientation of the fibers in the flocked nodules. Both the flocked nodules and the non-flocked nodules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circular, square, oval, diamond, various polygons, and the like. Various forms may be used for the same garment and / or part of the garment. In addition, both flocked nodules and non-flocked nodules may be used in the same garment and / or part of the garmen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을 착용하고 운동 활동을 하고 있는 운동선수의 자세의 범위(700)를 도시한다. 특히, 도 7은 달리는 동안의 운동선수의 왼 팔 및 왼 다리의 이동의 범위(7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은 운동 활동 동안 운동선수가 취하는 모든 또는 일부 자세에서 공기 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텍스쳐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달리고 있는 운동선수의 팔 및 다리의 이동은 일반적으로 운동선수(705)의 전방 위치에서 운동선수(705) 후방 위치까지의 범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는 동안 커버되는 팔꿈치 범위(710)는 동일한 활동을 수행하는 동안의 팔뚝 범위(720)보다 상당히 짧다. 이와 같이, 운동선수(705)의 팔뚝은 운동선수(705)의 팔꿈치보다 더 격렬하게 가속 및 감속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는, 달리는 동안 커버되는 넓적 다리 범위(730)는 무릎 범위(740) 및 하퇴 범위(750)보다 상당히 짧다. 이와 같이, 운동선수(705)의 넓적 다리는 운동선수(705)의 무릎 및 하퇴보다 낮은 가속도 및/또는 감속도를 겪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넓적 다리의 가속도 및/또는 감속도 사이의 차이는 운동선수의 공기 프로파일의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 FIG. 7 shows a range 700 of an athlete wearing a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ing athletic activities. In particular, Figure 7 shows the range 700 of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legs of the athlete during running.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texture to reduce air drag in all or some of the postures the athlete takes during athletic activity. The movement of the arms and legs of the running athlete is generally in the range from the forward position of the athlete 705 to the aft position of the athlete 705. As shown, the elbow range 710 covered during running i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forearm range 720 during performing the same activity. As such, the forearm of the athlete 705 may be accelerated and decelerated more vigorously than the elbow of the athlete 705. [ Similarly, the thigh range 730 covered during running i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knee range 740 and the lowered range 750. As such, the thigh of an athlete 705 may experience a lower acceleration and / or deceleration than the knees and legs of the athlete 705. Thu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celeration and / or deceleration of the thigh affects the shape of the athlete's air profile.

또한, 운동선수(705)의 신체상의 상이한 지점에서의 가속도 및/또는 감속도의 변화뿐만 아니라, 범위(700)는 달리는 동안의 운동선수(705)의 배향의 차이를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무릎 범위(740)에 걸쳐 운동선수(705)의 무릎은 대략 90° 내지 대략 180°로 구부러진다(일정한 비율로 도시되진 않음). 이러한 운동선수(705)의 무릎의 구부러짐은 운동선수(705)의 넓적 다리 및 하퇴의 근육의 길이 및 배향에 영향을 미쳐, 이들 영역 주위로의 공기 유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이, 운동선수(705)의 신체 부위 주위로 유동하는 공기의 공기 프로파일은 신체 부위의 속도, 가속 및/또는 감속의 차이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활동(들)을 수행하는 동안의 운동선수(705)의 신체 부위의 상이한 배향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In addition, range 700 shows the difference in orientation of athletes 705 during running, as well as changes in acceleration and / or deceleration at different points on the body of athlete 705. Fig. For example, the knee of the athlete 705 over the knee range 740 is bent from about 90 degrees to about 180 degrees (not shown at a constant rate). The knee flexion of this athlete 705 affects the length and orientation of the muscles of the thigh and lower leg of the athlete 705 and affects the air flow around these areas. Thus, the air profile of the air flowing around the body part of the athlete 705 is not only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in velocity, acceleration and / or deceleration of the body part, but also the motion during exercise (s) But also by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body part of the bow (705).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활동과 관련된 운동선수의 복수의 자세(800)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8a 내지 도 8d는 장대 높이 뛰기 운동선수(800)의 복수의 자세를 도시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운동선수를 향해 이동하는 공기는 활동 수행 전체에 걸쳐 운동선수의 신체 자세 및 이동에 기초하여 다른 방식으로 운동선수가 착용하고 있는 운동복의 상이한 영역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공기 유동의 방향은 공기 프로파일 표시(840)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특히, 신체 자세(810, 820, 830)는 공기역학적 의복의 상이한 위치에 대한 별개의 공기 프로파일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장대 높이 뛰기의 운동 활동과 관련된 신체 자세 프로파일이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되어 있지만, 구역을 지정하는 기초로서 임의의 운동 활동과 관련된 복수의 신체 자세와 관련된 공기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8A-8D illustrate a plurality of postures 800 of an athlete associated with athletic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8D illustrate a plurality of postures of the pole-high jump athlete 800. FIG. As shown in FIG. 8A, the air moving toward the athlete performing the activity may be moved to a different area of the athlete worn by the athlete in a different manner based on the athlete's body posture and movement throughout the activity It will have an impact.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is indicated by the air profile indicia 840. In particular, the body postures 810, 820, 830 are affected by a distinct air profile for different locations of the aerodynamic garment. Although the body posture profile associated with the exercise of the pole height jumps is shown in Figs. 8a-8d, using an air profile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body postures associated with any exercise activity as a basis for specifying the zone is an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d in the example.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의복을 착용하고 있는 동안의 운동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자세의 운동선수(800)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예에서, 운동선수(800)는 장대 높이 뛰기 선수이지만, 다른 운동 활동도 본 발명에 따른 의복으로부터 이익을 취할 수도 있다. 운동선수(800)가 달릴 때, 공기 유동은 다양한 각도로 운동선수의 의복의 영역에 충돌할 것이다. 공기 유동의 방향은 공기 프로파일 표시(840)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특히, 구역(810, 820, 830) 각각은 공기 유동에 대한 운동선수(800)의 사제가 변화될 때 공기 프로파일 표시(840)에 의해 상이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다. 구역(810, 820, 830)과 같이, 운동선수(800)가 착용하고 있는 의복의 상이한 부분에 사용되는 텍스쳐는 상이한 자세에서 공기 항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변화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선수의 몸통에 위치된 구역(810)은 달리는 동안 큰 선회와 같이 이동되지는 않는다. 운동선수의 넓적 다리의 상부에 위치된 구역(820)도 마찬가지다. 유사하게는, 구역(830)은 운동선수(800)의 하퇴에 위치되지만 큰 선회를 겪게 된다. 이와 같이, 구역(830)은 논의된 구역들 중 최말단부이기 때문에, 운동선수(800)가 달릴 때 운동선수의 넓적 다리의 상부보다 더 격렬하게 가속 및/또는 감속될 것이다. Figures 8A-8D illustrate athletes 800 in various postures associated with exercise activities while wear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8A-8D, the athlete 800 is a pole-high jump player, but other athletic activities may also benefit from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thlete 800 is running, the airflow will hit the athlete's garment area at various angles.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is shown by the air profile indicator 840. In particular, each of zones 810, 820, 830 will be affected in a different manner by air profile indication 840 when a prize of athlete 800 for air flow is changed. The textures used in different parts of the garment worn by athlete 800, such as areas 810, 820, 830, may be changed to minimize air drag in different postur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B, the area 810 located in the torso of the athlete does not move like a large turn during running. The same is true for the area 820 located at the top of the thigh of the athlete. Similarly, zone 83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athlete 800 but undergoes a large turn. As such, zone 830 will be accelerated and / or decelerated more vigorously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athlete's thigh when the athlete 800 is running, since it is the farthest of the zones discussed.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을 착용하고 운동 활동 중인 운동선수(800)의 제2 자세를 도시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선수(800)는 장대 높이 뛰기 바를 향해 도약을 개시하고 있다. 운동선수(800)가 도약할 때, 공기 유동은 운동선수의 의복의 영역에 다양한 각도로 충돌한다. 공기 유동의 방향은 공기 프로파일 표시(840)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구역(810, 820, 830)은 각각 공기 프로파일 표시(840)에 의해 상이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는다. FIG. 8C shows the second posture of the athlete 800 during exercise with a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C, the athlete 800 is starting to leap toward the pole-height run bar. When the athlete 800 is leaping, the airflow collides with the athlete's garment area at various angles.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is shown by the air profile indicia 840. In particular, zones 810, 820, 830 are affected in different ways by air profile indicia 840, respectively.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을 착용하고 운동 활동 중인 운동선수(800)의 제3 자세를 도시한다. 도 8d의 운동선수(800)는 바를 뛰어 넘을 높이를 달성하기 위해 장대 높이 뛰기 바를 향해 상승하고 있다. 운동선수(800)가 바에 접근할 때, 공기 유동은 여전히 다양한 각도로 운동선수의 의복의 영역에 충돌한다. 공기 유동의 방향은 공기 프로파일 표시(840)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구역(810, 820, 830)은 각각 공기 프로파일 표시(840)에 의해 상이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는다. FIG. 8D shows a third posture of an athlete 800 in motion with wear of a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hlete 800 of Figure 8d is rising towards the pole-height run bar to achieve a height above the bar. When the athlete 800 approaches the bar, the airflow still strikes the athlete's garment area at various angles.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is shown by the air profile indicia 840. In particular, zones 810, 820, 830 are affected in different ways by air profile indicia 840, respectively.

구역(810, 820, 830)들 중 하나 이상 구역은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예시적인 자세들 중 하나의 자세와 같이, 운동 경기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 동안 공기 항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텍스쳐 처리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구역(810, 820, 830)들 중 하나 이상의 구역은 운동 경기의 복수의 스테이지에서 공기 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텍스쳐 처리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구역은 운동 경기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를 위해 최적화되면서, 다른 구역 또는 구역들은 운동 경기의 다른 스테이지를 위해 최적화될 수도 있다. 물론, 장대 높이 뛰기는 운동 경기 중 단지 하나의 예일 뿐이며, 임의의 유형의 운동 경기 중인 운동선수는 본 발명의 따른 의복으로부터 이익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은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구역(810, 820, 830)과 다른 그리고/또는 구역(810, 820, 830)에 추가된 구역을 사용할 수도 있다. One or more of the zones 810, 820, 830 may be textured to minimize air drag during one or more stages of an athletic event, such as one of the postures shown in FIGS. 8A-8D have. Alternatively, one or more of the zones 810, 820, 830 may be textured to reduce air drag at a plurality of stages of the athletic event. Further, while one or more zones are optimized for one or more stages of an athletic event, other zones or zones may be optimized for other stages of the athletic event. Of course, the pole height run is only one example of an athletic event, and an athlete in any type of athletic event may benefit from the appar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use the zones added to zones 810, 820, 830 and / or zones 810, 820, 830 as shown in Figures 8A-8D.

운동복의 임의의 영역에 적용되는 적절한 텍스쳐의 선택은 공기 프로파일의 특성과 관련된 운동복의 영역과 관련된 레이놀즈수와 같은 성질에 기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특정 공기 프로파일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각각의 영역은 운동복과 관련된 항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유의 적용된 텍스쳐와 결합될 수도 있다. 풍동 분석과 같은 공기역학적 분석 방법이 운동 활동 동안 겪게 될 공기역학적 조건하에서 텍스쳐의 다른 바람직한 공기역학적 성질 또는 레이놀즈수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texture to be applied to any area of the sportswear may be based on properties such as the number of Reynolds numbers associated with the area of the sportswear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r profile. As such, each area affected by a particular air profile may be combined with a unique applied texture to minimize drag associated with the sportswear. Aerodynamic analysis methods such as wind tunnel analysis may be used to measure other desirable aerodynamic properties or Reynolds number of textures under aerodynamic conditions to undergo during athletic activity.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의 텍스쳐 처리된 부분(900)을 도시한다. 예컨대, 텍스쳐 처리된 부분(900)은 텍스쳐가 적용된 구역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적용된 텍스쳐 처리된 부분(900)은 의복에 대한 항력을 감소시키는 공기역학적 특성을 유발하는 트리핑 성질을 가질 수도 있다. 구역의 경계부는 상술된 도면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운동 활동의 공기 프로파일에 대한 구역의 노출에 기초하여 한정될 수도 있다. 도 9의 적용된 텍스쳐는 의복에 적용된 도넛 형상의 노듈(910) 및 다이아몬드 형상의 노듈(920)을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노듈은 원형, 육각형,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복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노듈(910, 920)과 같은 노듈은 의복으로 형성될 직물 또는 의복 상에 실리콘과 같은 재료를 프린팅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Figure 9 shows a textured portion 900 of a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textured portion 900 may be part of an area to which the texture is applied. The applied textured portion 900 may have tripping properties that caus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to reduce drag on the garment. The boundaries of the zones may be defined based on the exposure of the zones to the air profile of the athletic activity as described in the above figures. The applied texture of FIG. 9 includes a donut shaped nodule 910 and a diamond shaped nodule 920 applied to the garment. As described above, the nodule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hapes such as a circle, a hexagon, a triangle, a square, and the like. A nodule, such as nodules 910 and 920, may be formed by printing a material such as silicon on a fabric or garment to be formed into a garment.

플록 가공이 필요한 경우, 노듈은 액체 접착제 및/또는 섬유가 액체에 도포된 액체 아플리케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직물의 섬유는 균일하게 배향되지만, 다른 배향을 또한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나일론 섬유가 균일한 방향으로 정전식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섬유는 임의의 정렬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나일론 이외의 섬유도 사용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유형의 섬유가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섬유의 길이는 균일하거나 변화될 수도 있고, 사용된 노듈의 길이 및/또는 폭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사용된 노듈의 길이 및/또는 폭보다 길거나, 사용된 노듈의 길이 및/또는 폭보다 짧을 수도 있다. 다양한 길이의 섬유가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When flocking is required, the nodules may be formed by liquid adhesives and / or liquid applica- tions in which the fibers are applied to the liquid. The fibers of the fabric are uniformly oriented, but may also have other orientations. For example, the nylon fibers may be electrostatically aligned in a uniform direction. Alternatively, the fibers may have any alignment. Also, fibers other than nylon may be used, and one or more types of fibers may be used at the same time. The length of the fibers may be uniform or varied, may be equal to the length and / or width of the nodule used,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and / or width of the nodule used, or may be less than the length and / have. Various lengths of fibers may be used at the same time.

적용된 텍스쳐는 의복 착용자의 극단부 주위로의 공기 유동의 트리핑에 기초하여 와류 형성을 촉발시킴으로써 의복에 대한 항력을 감소시키는 공기역학적 특성을 유발하는 트리핑 성질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텍스쳐 처리된 부분(90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텍스쳐는 시임에서 항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시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텍스쳐 처리된 부분(90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텍스쳐는 시임을 둘러싸는 영역 및/또는 시임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텍스쳐 처리된 부분(900)은 운동복 이외의 물품에 적용되어 이들 물품에 대한 항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포츠 장비 및 다른 구조체 주위로의 공기 유동으로 인해 유발되는 항력은 텍스쳐를 적용함으로써 감소될 수도 있다. The applied texture may have tripping properties that caus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that reduce drag to the garment by triggering vortex formation based on tripping of the air flow around the extremities of the wearer. In addition, the texture as shown in the textured portion 900 may be applied to the seam such that the drag in the seam is minimized. For example, a texture such as shown in the textured portion 900 may be disposed on an area surrounding the seam and / or on top of the seam. The textured portion 900 may also be applied to an article other than a sportswear to control drag on those articles. For example, the drag caused by air flow around sports equipment and other structures may be reduced by applying textures.

또한, 도 9는 영역(930)과 영역(940) 사이의 밀도의 범위를 도시하는데, 영역(940)보다 영역(930)에 더 적은 노듈이 존재한다. 또한, 도 9는 도넛 형상의 노듈과 다이아몬드 형상의 노듈 사이의 혼합 비율의 범위를 도시하고 있다. 노듈의 밀도, 노듈의 형상(들), 노듈의 크기, 노듈의 플록 처리 및/또는 적용된 텍스쳐의 혼합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의복에 대한 항력은 상술된 바와 같이 변화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복수의 노듈의 배열은 운동 활동 동안 통상 접하는 공기 프로파일에 기초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복수의 노듈은 전력 질주하는 동안 겪게 되는 공기 프로파일에 비례하는 밀도 범위로 의복 상에 배열될 수도 있는데, 운동선수의 극단부에 더 많은 텍스쳐가 적용되고 운동선수의 몸통에는 더 적은 텍스쳐가 적용될 수도 있다. 9 also shows a range of densities between regions 930 and 940 where there are fewer nodules in region 930 than in region 940. [ 9 shows the range of mixing ratios between donut-shaped nodules and diamond-shaped nodules. By varying the density of the nodule, the shape (s) of the nodule, the size of the nodule, the flocking of the nodule and / or the blending ratio of the applied texture, the drag on the garment may be chang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nodules may be based on an air profile that is typically tangential during a movement activity. For example, a plurality of nodules may be arranged on a garment in a density range that is proportional to the air profile experienced during sprinting, with more textures applied to the extremes of the athlete and fewer textures applied to the athlete's torso It is possibl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의 확대된 플록 가공된 부분(1000)을 도시한다. 플록 가공된 부분(1000)은 플록 가공된 노듈, 특히 도넛 형상의 플록 가공된 노듈(1010) 및 다이아몬드 형상의 플록 가공된 노듈(1020)로 구성되는 적용된 텍스쳐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듈(1010, 1020)은 실리콘과 같은 안감 접착 재료에 걸쳐 균일한 방식으로 배열되는 섬유(1005)로 제조된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섬유는 의복의 표면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의복의 표면에 평행한 배향, 의복의 표면에 대해 각진 배향, 섬유 배향들의 혼합 또는 임의의 섬유 배향과 같은 모든 다른 섬유 배향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Figure 10 shows an enlarged flocked portion 1000 of a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cked portion 1000 has an applied texture consisting of a flocked nodule, especially a donut-shaped flocked nodule 1010 and a diamond-shaped flocked nodule 1020. As shown in Fig. 10, nodules 1010 and 1020 are made of fibers 1005 that are arranged in a uniform manner over lining adhesive materials such as silic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the fibers are oriented so as to exten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garment. All other fiber orientations, such as orienta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garment, angled orientation relative to the surface of the garment, blend of fiber orientations, or any fiber orientation,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표면 거침부는 실크 스크리닝, 프린팅, 열 접착(heat sealing), 오버몰딩 등과 같은 종래의 프로세스 및 재료를 이용하여 의복의 소정 부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전사체를 직물 기판에 적용하는 프로세스의 예가, 개시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미국 특허 제5,544,581호 및 제5,939,00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프로세스는 2차원 그래픽 이미지를 직물 상으로 전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전사체는 의복의 외부면에 비행기 날개의 리블렛(riblet)과 유사한 소정의 공기역학적 어레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3차원 형상(두께), 패턴 및 밀도를 갖는다. The surface roughness may be applied to certain portions of the garment using conventional processes and materials such as silk screening, printing, heat sealing, overmolding, and the like. Examples of processes for applying a transfer body to a fabric substrate are disclosed in U.S. Patent Nos. 5,544,581 and 5,939,004, the disclosure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se processes are used to transfer a two-dimensional graphic image onto a fabric. The transcrip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three-dimensional shape (thickness), pattern and density to form a predetermined aerodynamic array pattern similar to a riblet of an airplane w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arment.

도 11a 및 도 11b를 이제 참조하면, 전력 질주와 같은 운동 활동 동안 착용되는 일체형 의복(11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체형 의복(1100)은 제1 팔부(1120), 제2 팔부(1122), 제1 다리부(1130) 및 제2 다리부(1132)를 포함한다. 의복(1100)은 몸통(11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텍스쳐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의복(1100)의 다양한 구역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적용된 텍스쳐의 조도는 제1 팔부(1120) 및 제2 팔부(1122)의 손목 근방과 같이 의복(1100)의 말단부에서 가장 클 수도 있다. 유사하게는, 텍스쳐는 몸통(1140)의 측부에서와 같이 전력 질주 동안 공기 유동을 향해 제공되는 운동선수 신체의 주연부에서 더 거칠어질 수도 있다. 한편, 표면 거침부는 몸통(1140)의 중심 구역과 같이 전력 질주 동안 공기 항력을 보다 적게 발생시키는 구역에선 더 적어질 수도 있다. 의복(1100)은 (도시되지 않은)운동선수의 신체에 딱 맞춰질 수 있도록 고탄성 직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의복(1100)은 추가로 그리고/또는 대안적으로 양호한 수분 처리, 냉각 또는 다른 성질을 갖는 직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용이한 밀착 맞춤을 위해, 제1 팔부(1120)는 섬 홀(thumbhole; 1124)을 포함하는 부분에서 종결되고 제2 팔부(1122)는 섬 홀(1126)을 포함하는 부분에서 종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다리부(1130) 및 제2 다리부(1132)는 의복(1100)의 극단부를 의복(1100)을 착용하고 있는 운동선수의 발 및/또는 발목 주위에 고정시키기 위해 발 부분, 스터럽(stirrup) 또는 다른 장치(미도시)에서 종결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지퍼(1190) 또는 임의의 다른 폐쇄 기구가 의복(1100)의 용이한 착용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된 임의의 폐쇄 기구는 폐쇄 기구에 의해 발생된 공기 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폐쇄 기구에 결합되는 텍스쳐를 가질 수도 있다. 추가로 그리고/또는 대안적으로, 의복(1100)은 운동선수가 넥 홀(neck hole; 1150)을 이용하여 의복을 착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신축가능할 수도 있다. 넥 홀(1150)을 이용하여 의복을 착용하는 것은 추가적인 공기 항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는 지퍼(1190) 또는 다른 폐쇄 기구를 제거하기 때문에 공기역학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넥 홀(1150)을 통해 의복을 착용하는 것은 또한 지퍼(1190) 또는 임의의 다른 폐쇄 기구가 착용을 위해 의복(1100)의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개방한 후에 의복을 폐쇄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운동선수에게 충분히 귀찮을 수도 있다. 지퍼(1190) 또는 다른 체결구는 의복(1100) 상의 어떤 부분에도 위치될 수 있으며, 의복(1100)을 착용해야 하는 특정 운동 활동 동안 체결구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항력을 최소화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now to Figs. 11A and 11B, an example of an integrated garment 1100 is shown worn during exercise activities such as sprinting. The integrated garment 1100 includes a first arm portion 1120, a second arm portion 1122, a first leg portion 1130, and a second leg portion 1132. The garment 1100 may further include a torso 1140. One or more textures may be applied to various areas of the garment 1100 as described herein. The roughness of the applied texture may be greatest at the distal end of the garment 1100, such as near the wrists of the first arm 1120 and the second arm 1122. Similarly, the texture may be more roughened at the periphery of the athletic body provided toward the air flow during sprinting, such as at the side of the body 1140. [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roughness portion may be smaller in an area where less air drag is generated during power running, such as the central area of the body 1140. [ The garment 1100 may be constructed of a high-elastic fabric so as to fit the body of an athlete (not shown). The garment 1100 may additionally and / or alternatively be composed of a fabric having good moisture treatment, cooling or other properties. The first arm portion 1120 may terminate at a portion including the thumbhole 1124 and the second arm portion 1122 may terminate at a portion including the island hole 1126. [ The first leg portion 1130 and the second leg portion 1132 may also be used to secure the extremity of the garment 1100 around the foot and / or ankle of the athlete wearing the garment 1100, may be terminated in a stirrup or other device (not shown). Optionally, a zipper 1190 or any other closing mechanism may be used for easy wear of the garment 1100. [ Any closure mechanism used may have a texture that is coupled to the closure mechanism to reduce air drag generated by the closure mechanism. Additionally and / or alternatively, the garment 1100 may be stretchable enough to allow the athlete to wear the garment using a neck hole 1150. Wearing the garment using the neck hole 1150 can improve aerodynamic properties by eliminating the zipper 1190 or other closing mechanism that may generate additional air drag, Wearing garments may also be annoying to an athlete in that zippers 1190 or any other clos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to close the garment after temporarily opening a portion of garment 1100 for wear . A zipper 1190 or other fastener may be positioned on any portion of the garment 1100 and may be positioned to minimize air drag generated by the fasteners during certain movement activities requiring wear of the garment 1100. [

도 11b를 참조하면, 일체형 의복(1100)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부, 본 예에선 의복(1100)의 후방에 있는 후방 매시부(1160)가 의복(1100)을 착용하고 있는 (도시되지 않은)운동선수에 대해 통풍 및 냉각을 제공할 수도 있다. 후방 메시부(1160)는 임의의 형태의 메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의복(1100)의 후방에 대해 가변 크기일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은)다른 메시부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의 후방 이외의 위치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메시부(1160) 및/또는 (이하에서 기술될 추가적인 예와 같은)다른 통풍부는 본 발명에 따른 의복에서 완전히 제외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1B, a rear view of the integrated garment 1100 is shown. As shown in FIG. 11B, a barbed section, in this example rear mash section 1160 at the rear of the garment 1100, provides ventilation and cooling for athlete (not shown) wearing garment 1100 . The rear mesh portion 1160 may be composed of any type of mesh and may be of variable size relative to the rear of the garment 1100. [ Other mesh portions (not shown) may be used at locations other than the rear of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mesh portion 1160 and / or other venting portions (such as additional examples described below) may be entirely excluded from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이제 참조하면, 통풍부의 다른 예, 본 예에선 절결 통풍부(cutout ventilation portion; 1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 통풍부(1200)는 직물(1210) 내에 절결부(1240)를 갖는 단일 편의 직물(1210)을 포함한다. 각각의 절결부(1240)의 에지는 필요에 따라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또는 다른 재료로 처리될 수도 있다. 에지 처리부는, 사용되는 경우, 절결부(1240)의 하나 이상의 에지에 프린팅되고, 열 전사되고, 접합되거나 달리 적용될 수도 있다. 절결부(1240)는 직물(1210)의 전체 스레드(thread)가 절결부(1240)에서 절단되지 않고 직물(1210)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도록 직물(1210)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개별 스레드는 구조적 강성을 직물(1210)에 제공하기 위해 라인(1220) 및 라인(1230)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절결 통풍부(1200)는 본 발명의 의복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 통풍부의 일례일 뿐이다. 도 11b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메시부가 또한 통풍부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풍부는 예컨대, 통풍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를 제공하기 위해 조립된 복수 편의 직물 또는 스트래핑(strapping)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은 통풍부를 완전히 제외할 수도 있다. 또한, 통풍부는 의복의 후방부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의 다양한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now to Fig. 12, another example of a vent, in this example a cutout ventilation portion 1200, is shown. 12, cutout communicator 1200 includes a single piece of fabric 1210 having cutouts 1240 in fabric 1210. As shown in FIG. The edge of each cutout 1240 may be treated with silicone or other material to prevent wear if desired. The edge processing portion, if used, may be printed, thermally transferred, bonded or otherwise applied to one or more edges of the cutout 1240. The cutout 1240 may be positioned on the fabric 1210 such that the entire thread of the fabric 1210 extends across the fabric 1210 without being cut at the cutout 1240. [ For example, an individual thread may extend along line 1220 and line 1230 to provide structural stiffness to fabric 1210. The cut-out communicating portion 1200 is only one example of the ventilation portion that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Fig. 11B, the mesh portion may also be used as a conduit. The ven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fabrics or strapping assembled to provide, for example, one or more openings for ventilation. Further,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letely exclude the ventilation portion. In addition, the vent may be located at various locations of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rear of the garment.

또한, 도 12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된 일례의 절결 통풍부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공기역학적 의복 이외의 의복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다른 의복은, 착용자의 피부를 대기에 노출시키지만 복수의 편으로 구성된 통풍부의 추가적인 중량 및/또는 벌크 없이 직물의 강도 및 탄성을 또한 유지할 수 있는 절결 통풍부로부터 이익을 취할 수도 있다. 절결 통풍부는 복수의 스레드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결되지 않도록 위치설정되는 복수의 스레드 및 절결부를 갖는 일편의 직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절결부는 다이 커팅, 레이저 커팅 또는 다른 커팅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절결부 에지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절결부 에지에 적용될 수도 있는 에지 처리부를 수용할 수도 있다. 절결 통풍부는 의복을 형성하기 위해 착용자의 몸통의 상당한 부분 및/또는 극단부를 덮는 직물에 부착될 수도 있다. 직물은 착용자에게 꼭 끼워 맞춰지는데 충분한 탄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절결 통풍부는 경량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에게 냉각을 제공할 수도 있다. Also, an exemplary cut-out vent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may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garment other than the aerodynamic garment described herein. For example, other garments may benefit from a cutout that exposes the wearer ' s skin to the atmosphere, but may also maintain the strength and elasticity of the fabric without the additional weight and / or bulk of the vente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ieces. The cutout vent may include a piece of fabric having a plurality of threads and cutouts position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threads is not cut. The notch may be formed using die cutting, laser cutting or other cutting techniques. The cutaway edge may also accommodate an edge treatment portion, which may be applied to the cutaway edge to prevent wear, as described herein. The cut-out portion may be attached to the fabric covering a substantial portion and / or the extreme end of the wearer's torso to form the garment. The fabric may have sufficient resilience to fit tightly to the wearer. In this way, the cut vent may provide cooling to the user while maintaining a light weight.

도 13a를 이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복(1300)이 운동선수(1310)가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의복(1300)은 텍스쳐가 거의 적용되지 않은 또는 전혀 적용되지 않은 전방 몸통 구역(136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방 몸통 구역(1360)은 예컨대, 비교적 원활한 직물일 수도 있다. 의복(1300)은 좌측 텍스쳐 구역(1320)을 더 포함한다. 좌측 텍스쳐 구역은 운동선수(1300)의 발목에서부터 또는 발목 근방으로부터 운동선수의 다리 위까지 그리고 운동선수(1310)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몸통 위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는, 우측 다리 텍스쳐 구역(1340)은 운동선수(1310)의 우측 발목에서부터 또는 우측 발목 근방으로부터 운동선수(1310)의 몸통의 측부의 적어도 일부분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좌측 팔부(1330)는 텍스쳐 처리될 수도 있으며 운동선수(1310)의 좌측 허리에서부터 또는 허리 근방으로부터 운동선수(1310)의 팔꿈치를 지나 그리고 어깨를 넘어서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는, 우측 팔 텍스쳐 부분(1350)은 운동선수(1310)의 팔꿈치에서부터 또는 팔꿈치 근방으로부터 운동선수(1310)의 팔꿈치를 넘어 그리고 심지어는 어깨를 지나서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Referring now to FIG. 13A, garment 1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worn by athlete 1310. The garment 1300 may include a front body region 1360 with little or no texture applied. The front body region 1360 may be, for example, a relatively smooth fabric. The garment 1300 further includes a left texture zone 1320. The left texture area may extend from the ankle of the athlete 1300 or from near the ankle to the upper leg of the athlete and at least partially over the torso of the athlete 1310. [ Similarly, the right footed texture area 1340 may extend from the right ankle of the athlete 1310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body of the athlete 1310 from near the right ankle. The left arm 1330 may be textured and extend from the left waist of the athlete 1310 through the elbow of the athlete 1310 and beyond the shoulder from the vicinity of the waist. Similarly, the right arm portion 1350 may extend from the elbow of the athlete 1310, or from the vicinity of the elbow, beyond the elbow of the athlete 1310 and even beyond the shoulder.

도 13b를 이제 참조하면, 운동선수(1310)가 착용하고 있는 의복(1300)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b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중심 구역(1370)은 운동선수(1310)의 후방 몸통의 일부분을 덮고 운동선수(1310)의 목 위로, 운동선수(1310)의 팔의 후방부 아래로 연장되고, 운동선수(1310)의 다리의 후방의 일부분 아래로도 연장될 수도 있다. 구역(1370)은 중심 몸통 구역(1360)과는 유사하게 또는 다르게 비교적 원활한 직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풍부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의복(1300)의 후방에 포함될 수도 있다. Referring now to FIG. 13B, a rear view of garment 1300 worn by athlete 1310 is shown. 13b, the rear central region 1370 covers a portion of the rear torso of the athlete 1310 and extends over the neck of the athlete 1310, below the rear portion of the arm of the athlete 1310 And may extend below a portion of the rear of the leg of the athlete 1310. [ Zone 1370 may be composed of a relatively smooth fabric similar or different to central body zone 1360. The ventilation portion as shown in Fig. 12 may be included behind the garment 1300 as shown in Fig. 13B.

도 13c를 이제 참조하면, 의복(1300)을 착용하고 있는 운동선수(1310)의 좌측 팔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팔 텍스쳐 구역(1330)은 운동선수(1310)의 손(1311)으로부터 운동선수(1310)의 어깨(1314)까지 변화하는 적용된 가변 텍스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의복(1300)은 운동선수(1310)의 손목(1312), 팔꿈치(1313) 및 어깨(1314)에 꼭 끼워 맞춰질 수도 있다. 후방 구역(1370)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는 후방 패널(1335)이 운동선수(1310)를 위한 통풍을 제공하기 위해 메시 재료로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now to FIG. 13C, a diagram of the left arm of an athlete 1310 wearing a garment 1300 is shown. The left arm texture area 1330 may include an applied variable texture that varies from the hand 1311 of the athlete 1310 to the shoulder 1314 of the athlete 1310 as shown in Figure 13C. The garment 1300 may fit snugly against the wrist 1312, elbow 1313 and shoulder 1314 of the athlete 1310. [ A rear panel 1335, which may include a portion of the rear section 1370, may optionally be configured with a mesh material to provide ventilation for the athlete 1310.

도 13d를 이제 참조하면, 예시적인 의복(1300)의 다른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d는 운동선수(1310)의 우측 손의 그리고 우측 손 근방의 의복(1300)의 일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도넛 형태의 노듈(1351)이 본 명세서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의복 상에 프린팅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플록 가공될 수도 있다. 의복(1300)은 의복(1300)이 운동선수(1310)의 손(1380) 및 엄지손가락(1381)에 대해 고정될 수 있도록 섬 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의복(1300)의 단(1390)은 프린팅 노듈(1351)에 사용된 것과 유사하게 절결되고 실리콘으로 프린팅될 수도 있다. 그 후, 단(1390)은 본 명세서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공기역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록 가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3d는 운동선수가 엄지손가락(1381)을 이용하여 의복을 신체에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도 있도록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는 단(1390) 상의 정렬 도트(1357)를 도시하고 있다. 추가적인 정렬 도트(1355)가 운동선수(1310)에 대한 의복 정렬의 시각적인 표시를 제공하도록 의복(1300)의 프린팅된 텍스쳐에 포함될 수도 있다. 유사한 정렬 표식이 운동선수가 최적의 공기역학적 성능 및 편안함을 위해 의복(1300)을 적절하게 정렬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의복(1300)의 팔 및 의복(1300)의 다리 양자 모두에 제공될 수도 있다. Referring now to FIG. 13D, another embodiment of an exemplary garment 1300 is shown. 13D shows a portion of the garment 1300 in the vicinity of the right hand and right hand of the athlete 1310. Fig. As shown in FIG. 13D, a plurality of donut-shaped nodules 1351 may be printed on the garment and optionally flocked, as described hereinabove. The garment 1300 may include an island hole so that the garment 1300 can be secured against the hand 1380 and the thumb 1381 of the athlete 1310. [ In addition, the end 1390 of the garment 1300 may be cut and printed with silicone similar to that used for the printing nodule 1351. The stage 1390 may then be flocked to improve aerodynamic performance as described herein above. Figure 13d also shows alignment dots 1357 on an end 1390 that may optionally be included so that an athlete can use the thumb 1381 to easily align the garment with the body. Additional alignment dots 1355 may be included in the printed texture of the garment 1300 to provide a visual indication of the garment alignment for the athlete 1310. [ Similar alignment marks may be provided on both the arms of garment 1300 and the legs of garment 1300 to help the athlete properly align garment 1300 for optimum aerodynamic performance and comfort.

도 1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따른 의복의 시임에 의해 사용되고 그리고 결합될 수도 있는 다양한 텍스쳐 및 직물이 도시되어 있다. 구역(141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는 복수의 플록 가공된 도넛 형상의 노듈을 포함한다. 구역(142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플록 가공 안 될 수도 있는 복수의 프린팅된 디스크 형상의 노듈을 포함한다. 구역(1430)은 예컨대, 의복의 배면 부분에 사용되는 제1의 사실상 원활한 직물일 수도 있다. 구역(1440)은 구역(1430)과 동일한 또는 상이한 직물을 이용할 수도 있는 추가의 원활한 직물 부분일 수도 있다. 구역(1440)은 예컨대,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된 의복(1300)과 같은 의복의 중심 몸통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4A, various textures and fabrics are shown that may be used and joined by seaming of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Zone 1410 includes a plurality of flocked donut-shaped nodules, which may be formed as described herein. Zone 1420 includes a plurality of printed disk shaped nodules that may not be flocked as described herein. Zone 1430 may be, for example, the first substantially seamless fabric used on the back portion of the garment. Zone 1440 may be an additional smooth fabric portion that may use the same or a different fabric as zone 1430. Zone 1440 may include the central torso of a garment, such as garment 1300 shown in Figures 13A-13D, for example.

도 14b 및 도 14c를 이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직물 상에 프린팅될 수도 있는 추가적인 텍스쳐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b는 복수의 플록 가공된 도넛 노듈을 갖는 구역(1450)을 도시한다. 도 14c는 본 발명에 따른 의복 상에 텍스쳐를 제공하기 위해 프린팅될 수도 있는 3개의 추가적인 밀도 및 크기를 도시하고 있다. 구역(1460)은 밀집되게 프린팅된 복수의 비교적 대형인 도트를 도시한다. 구역(1470)은 중형 도트를 갖는 비교적 희박한 텍스쳐를 도시한다. 한편, 구역(1480)은 중간 정도로 희박한 비교적 소형인 도트의 패턴을 도시한다. 도 14b 및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개수의 패턴이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를 제공하기 위해 프린팅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4b 및 도 14c에 도시된 대칭적인 원 및 도트 이외의 형상도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도 있다. 14B and 14C, there is shown an additional texture that may be printed on the fabric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4B shows a zone 1450 having a plurality of flocked donut nodules. Figure 14C shows three additional densities and sizes that may be printed to provide a texture on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Zone 1460 shows a plurality of relatively large dots printed densely. Zone 1470 illustrates a relatively sparse texture with medium dots. Zone 1480, on the other hand, shows a pattern of relatively small dots that are medium-lean. As shown in FIGS. 14B and 14C, any number of patterns may be printed to provide a te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shapes other than the symmetrical circles and dots shown in Figs. 14B and 14C may also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이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의복을 형성하는 방법(1500)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1510에서, 의복의 구역의 경계부가 공기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단계 1510에서 사용된 공기 프로파일은 운동 활동 동안 운동선수가 착용할 때 의복의 일부분이 겪는 공기 프로파일일 수도 있다. 공기 프로파일은 대기에 대한 운동선수의 신체 자세 및/또는 이동에 따를 수도 있다. 겪게 되는 공기 프로파일은 운동 활동 또는 의복을 착용하고자 하는 운동선수에도 기초하여 변화될 수도 있다. 단계 1520에서, 결정된 구역에서 항력을 감소시키는 공기역학적 특성을 유발하는 성질을 갖는 텍스쳐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520은 단계 1510에서 고려된 공기 프로파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계 1520에서 결정된 텍스쳐는 기하학적 형상, 플록 가공된 노듈, 플록 가공 안 된 노듈 또는 의복에 적용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텍스쳐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들 중 임의의 하나 일수도 있다. 단계 1510 및/또는 단계 1520은 풍동 및/또는 다른 유형의 공기역학적 분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단계 1530에서, 단계 1520에서 결정된 텍스쳐는 단계 1520에서 결정된 구역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단계 1530은 예컨대, 텍스쳐를 의복에 통합되도록 의복의 표면 또는 직물에 적용하기 위해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1540에서, 의복 상의 추가 구역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추가 구역이 요구되거나 필요한 경우, 방법(1500)은 다른 구역의 결정을 위해 단계 1510으로 그리고 다른 텍스쳐의 결정을 위해 단계 1520으로 복귀할 수도 있다. 단계 1540은 복수의 텍스쳐를 갖는 복수의 구역이 사실상 동시에 적용될 수 있도록 단계 1530 이전에 발생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단계 1540이 어떠한 추가 구역도 필요하거나 요구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방법(1500)은 단계 1550으로 진행하고, 이 시점에서 의복은 운동 활동 동안 운동선수에 의해 착용될 수도 있다. 단계 1510, 1520, 1530 및 1540 중 하나 이상의 단계가 단계 1550에서 착용된 의복의 제조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단계 1530은 예컨대, 후속하여 의복으로 형성되는 직물 부분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Referring now to FIG. 15, a method 1500 of forming gar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t step 1510, the boundary of the area of the garme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air profile. The air profile used in step 1510 may be an air profile experienced by a portion of the garment when the athlete wears during athletic activity. The air profile may be subject to the athlete's body posture and / or movement to the atmosphere. The air profile experienced may vary based on athletic activity or the athlete wishing to wear the garment. At step 1520, a texture having properties that caus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to reduce drag in the determined area may be determined. Step 1520 may use the air profile considered in step 1510. The texture determined in step 1520 may be any one of those described herein, such as geometric shape, flocked nodule, unfrowned nodule, or any other texture that may be applied to the garment. Steps 1510 and / or 1520 may utilize wind tunnel and / or other types of aerodynamic analysis. At step 1530, the texture determined at step 1520 may be applied to the area determined at step 1520. Step 1530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usin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texture to the surface or fabric of the garment to be incorporated into the garment. At step 154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dditional areas on the garment are needed. If an additional space is required or required, the method 1500 may return to step 1510 for determination of another area and to step 1520 for determination of another texture. It should be noted that step 1540 may occur prior to step 1530 such that a plurality of zones having a plurality of textures may be appli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If step 1540 determines that no additional zones are required or required, method 1500 proceeds to step 1550, at which point the garment may be worn by an athlete during athletic activities. One or more of steps 1510, 1520, 1530, and 1540 may be performed prior to the manufacture of the garment worn in step 1550, and step 1530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fabric portion subsequently formed into garment.

실시예에 대한 상술된 기재는 예시와 설명을 위해 제공되었다. 이는 완전하거나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특정 실시예의 개별 요소 또는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상호교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시되거나 기술되지 않더라도 선택된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표면 거침부(12)는 직물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기의 패턴으로서 기술된다. 그러나, 열 시어링(heat searing) 또는 다른 방법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직물 내에 리세스의 패턴 및/또는 리세스와 돌기의 조합체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등가물도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을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하여선 안되며, 이러한 모든 변경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has been presen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It is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invention. The individual elements or components of a particular embodiment are not generally limited to a particular embodiment, but may be interchanged as needed and may be used in selected embodiments,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or described. For example, surface roughness 12 is described as a pattern of protrusions extending from the surface of the fabric. However, heat searing or other methods may be used to form a pattern of recesses and / or recesses and protrusions within the fabric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valents can also be varied in a variety of ways. Such variations are intended to be regarded as deviating from the invention, and all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운동복
112 : 표면 거침부
200 내지 600 : 텍스쳐 패턴
1300 : 의복
1310 : 운동선수
1320 : 좌측 텍스쳐 구역
1330 : 좌측 팔부
1340 : 우측 다리 텍스쳐 구역
1350 : 우측 팔 텍스쳐 부분
110: Sportswear
112: Surface roughness part
200 to 600: texture pattern
1300: Apparel
1310: Athletes
1320: Left Texture Zone
1330: left arm
1340: Right leg texture area
1350: Right arm portion of the texture

Claims (34)

운동 활동 동안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운동복에 있어서,
직물에 적용되는 제1 적용 텍스쳐를 갖고, 착용자의 사지의 일부분을 덮으며, 제1 공기 역학적 특성을 유발하는 표면 거침부를 포함하는 제1 구역으로서, 상기 표면 거침부는 직물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3차원 형상 노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적용 텍스쳐는 상기 제1 구역의 몸통부위에서 균일한 표면 거침부를 갖고, 상기 제1 적용 텍스쳐는 제1 구역의 말단부에서 균일한 표면 거침부를 갖고, 상기 표면 거침부는 상기 제1 구역의 몸통부위에서 상기 제1 구역의 말단부까지 균일하게 증가하는 것인, 제1 구역; 및
직물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 공기 역학적 특성을 유발하는 표면 거침부를 갖는 제2 적용 텍스쳐를 포함하고, 착용자의 몸통을 덮는 제2 구역;을 포함하고,
운동복의 제1 구역 및 제2 구역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운동복.
In sportswear worn by a wearer during athletic activities,
A first region having a first application texture applied to the fabric and covering a portion of the wearer ' s limbs and including a surface roughness inducing a first aerodynamic characteristic, the surface roughness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urface of the fabric Wherein the first application texture has a uniform surface roughness at the torso portion of the first zone, the first application texture has a uniform roughness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zone, Wherein the surface roughness increases uniformly from a torso portion of the first zone to a distal end of the first zone; And
And a second region covering the body of the wearer, the second region including a second application texture having a surface roughness that extends outwardly from the surface of the fabric to cause a second aerodynamic characteristic,
Where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of the sportswear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3차원 형상 노듈은 제1 밀도 범위로 의복에 적용되는
운동복.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haped nodules are applied to the garment in a first density range
Sportswear.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3차원 노듈은 플록 가공되는,
운동복.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nodules are flocked,
Sportswea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3차원 형상 노듈의 형상은 긴 원형 형상을 포함하는,
운동복.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haped nodules comprises a long circular shape,
Sportswear.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3차원 형상 노듈의 형상은 도넛 형상을 포함하는,
운동복.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haped nodules comprises a donut shape,
Sportswear.
제1항에 있어서, 제2 적용 텍스쳐는 디스크 형상의 복수의 노듈을 포함하는,
운동복.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application texture comprises a plurality of disc-
Sportswear.
제1항에 있어서, 노듈은 운동복 상에 프린팅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운동복.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dule comprises silicon printed on the sportswear,
Sportswear.
제9항에 있어서, 노듈은 플록 가공되는,
운동복.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nodule is flocked,
Sportswe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역 및 제2 구역은 의복이 착용될 때 운동 활동과 관련된 공기 프로파일에 대한 각 구역의 노출에 기초하여 의복 상에 위치되고, 운동복은 제1 구역과 제2 구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구역을 더 포함하고, 중간 구역은 제1 적용 텍스쳐의 표면 거침부에서 제2 적용 텍스쳐의 표면 거침부로 표면 거칠기가 균일하게 증가하는 텍스쳐를 갖는,
운동복.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re located on the garment based on exposure of each zone to an air profile associated with athletic activity when the garment is worn and the sportswear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Wherein the intermediate zone has a texture in which surface roughness uniformly increases from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first application texture to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econd application texture,
Sportswear.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역과 제2 구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구역을 더 포함하고, 중간 구역은 제1 구역에 인접한 균일 텍스쳐 및 제2 구역에 인접한 균일 텍스쳐를 갖고, 중간 구역은 제1 적용 텍스쳐에서 제2 적용 텍스쳐로 균일하게 변화하는,
운동복.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zone extending betwee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wherein the intermediate zone has a uniform texture adjacent the first zone and a uniform texture adjacent the second zone, Uniformly varying from the applied texture to the second applied texture,
Sportswear.
운동 활동 동안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운동복에 있어서,
직물에 적용되는 제1 적용 텍스쳐를 갖고, 착용자의 사지의 일부분을 덮으며, 표면 거침부를 포함하는 제1 구역으로서, 상기 표면 거침부는 직물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3차원 형상의 노듈을 포함하고, 제1 구역의 경계부는 운동 활동의 제1 공기 프로파일에 대한 제1 구역의 노출에 기초하여 구획되고, 상기 제1 적용 텍스쳐는 상기 제1 구역의 몸통부위에서 균일한 표면 거침부를 갖고, 상기 제1 적용 텍스쳐는 제1 구역의 말단부에서 균일한 표면 거침부를 갖고, 상기 제1 구역의 표면 거침부는 착용자의 사지의 몸통부위를 덮는 구역의 일부분으로부터 착용자의 사지의 말단부를 덮는 구역의 일부분까지 표면 거칠기가 균일하게 증가하는 것인, 제1 구역;
직물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 공기 역학적 특성을 유발하는 제2 적용 텍스쳐를 포함하는 제2 구역으로서, 상기 제2 구역의 경계부는 운동 활동의 제2 공기 프로파일에 대한 제2 구역의 노출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제2 구역; 및
제3 적용 텍스쳐를 갖고, 제1 구역과 제2 구역 사이의 중간에 인접하게 배치된 의복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중간 구역을 포함하는 운동복.
In sportswear worn by a wearer during athletic activities,
A first region, having a first application texture applied to the fabric, covering a portion of the wearer ' s limbs, including a surface roughness, the surface roughness comprisi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haped nodule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urface of the fabric Wherein the boundary of the first zone is partitioned based on exposure of the first zone to a first air profile of motion activity, the first application texture having a uniform surface roughness at the torso portion of the first zone, The first application texture has a uniform surface roughness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zone an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first zone extends from a portion of the area covering the torso of the wearer's limb to a portion of the area covering the distal end of the wearer's limb The surface roughness being uniformly increased;
A second zone comprising a second application textur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urface of the fabric and causing a second aerodynamic characteristic, the boundary of the second zone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zone of exposure A second zone formed on the basis of the first zone; And
And an intermediate zone having a third application texture and including a portion of the garment disposed adjacent the middle betwee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제16항에 있어서, 통풍부를 더 포함하는,
운동복.
17. The apparatus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a vent,
Sportswear.
삭제delete 제17항에 있어서, 복수의 노듈은 플록 가공된 노듈을 포함하는,
운동복.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lurality of nodules comprise flocked nodules,
Sportswear.
제19항에 있어서, 복수의 플록 가공된 노듈의 배치는 제1 공기 프로파일에 기초하는,
운동복.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flocked nodules is based on a first air profile,
Sportswear.
제20항에 있어서, 복수의 플록 가공된 노듈은 제1 공기 프로파일에 비례하는 밀도 범위로 배치되는,
운동복.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plurality of flocked nodules are disposed in a density range that is proportional to the first air profile,
Sportswear.
제16항에 있어서, 제2 적용 텍스쳐는 디스크 형상을 갖는 제2 복수의 노듈을 포함하는,
운동복.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econd application texture comprises a second plurality of nodules having a disc shape.
Sportswear.
제22항에 있어서, 제2 복수의 노듈의 각각의 크기는 제2 구역을 가로질러 변화하는,
운동복.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size of each of the second plurality of nodules varies across a second zone,
Sportswear.
제23항에 있어서, 제2 복수의 노듈의 각각의 크기는 제2 공기 프로파일에 기초하는,
운동복.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size of each of the second plurality of nodules is based on a second air profile,
Sportswear.
운동 활동 동안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운동복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운동 활동의 공기 프로파일에 대한 의복의 노출에 기초하여 의복의 제1 구역의 경계부를 결정하는 단계와,착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사지를 덮는 의복의 일부분 주위로의 공기 유동으로부터 발생된 항력을 감소시키는 공기역학적 특성을 유발하는 성질을 갖고 복수의 3차원 노듈을 포함하는, 텍스쳐를 결정하는 단계와,착용자의 사지를 덮는 의복의 제1 구역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1 텍스쳐를 적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텍스쳐는 표면 거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거침부는 직물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3차원 형상 노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텍스쳐는 상기 제1 구역의 몸통부위에서 균일한 표면 거침부를 갖고, 상기 제1 텍스쳐는 상기 제1 구역의 말단부에서 균일한 표면 거침부를 가지며, 상기 표면 거침부는 상기 제1 구역의 몸통부위로부터 상기 제1 구역의 말단부까지 균일하게 증가하는 것인, 제1 텍스쳐를 적용하는 단계와,
의복의 제2 구역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2 텍스쳐를 적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의복의 제1 구역 및 제2 구역은 서로 인접하는 것인, 제2 텍스쳐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복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of improving an aerodynamic characteristic of a sportswear worn by a wearer during a sport activity, comprising: determining a boundary of a first zone of a garment based on exposure of the garment to an air profile of a sport activity; Dimensional nodule having properties that caus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to reduce drag generated from air flow around a portion of the garment covering the limbs of the wearer's limbs, Applying a first texture to at least a portion of a first zone of the fabric, the first texture comprising a surface roughness, the surface roughness comprisi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haped nodules extending outwardly from a surface of the fabric, Wherein the first texture has a uniform surface roughness in the body region of the first zone, 1 has parts of a uniform surface roughness at the distal end of the zone, wherein the surface roughness of that portion applied to the first texture which increases uniformly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region from the torso portion of the first zone and,
Applying a second texture to at least a portion of a second area of the garmen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reas of the garment are adjacent to each other.
A method of improving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sportswear.
제25항에 있어서, 복수의 3차원 형상 노듈은 운동 활동 동안 착용자의 사지를 덮는 의복의 일부분 주위의 공기 유동에 기초하는 밀도 범위로 의복에 적용되는,
운동복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haped nodules are applied to the garment in a density range based on air flow around a portion of the garment covering the wearer '
A method of improving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sportswear.
제25항에 있어서, 복수의 3차원 노듈은 플록 가공되는,
운동복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nodules are flocked,
A method of improving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sportswear.
운동 활동 동안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운동복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착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사지에 기초하여 상호 인접한 의복의 제1 구역 및 제2 구역을 확인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사지 주위의 공기 유동으로부터 발생된 항력을 감소시키는 성질을 갖는 텍스쳐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텍스쳐의 성질은 플록 가공된 형상을 포함하는, 텍스쳐를 결정하는 단계와,
의복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로질러 액체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플록 가공된 3차원 형상을 생성하기 위해 의복 상의 액체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분에 직물의 섬유를 적용하는 단계에 있어서, 플록 가공된 3차원 형상의 표면 거침부는 의복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플록 가공된 3차원 형상은 상기 제1 구역의 몸통부위에서 균일한 표면 거침부를 갖고, 플록 가공된 3차원 형상은 상기 제1 구역의 말단부에서 균일한 표면 거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제1 구역의 몸통부위로부터 상기 제1 구역의 말단부까지 표면 거칠기가 균일하게 증가하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고,
운동복의 제1 구역 및 제2 구역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운동복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A method of improving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sportswear worn by a wearer during a sport activity,
Identifying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of clothing adjacent to each other based on at least one limb of the wearer,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 texture having a property of reducing drag generated from an air flow around at least one limb, the nature of the texture including a flocked shape;
Applying a liquid adhesive across at least a portion of the garment,
In applying the fibers of the fabric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liquid adhesive on the garment to create a flocked three-dimensional shap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flocked three-dimensional shape extends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garment,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shape has a uniform surface roughness at the torso of the first zone and the flocked three-dimensional shape has a uniform surface roughness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zone, Wherein the surface roughness is uniformly increased from the body region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zone,
The first and second zones of the sportswear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 method of improving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sportswear.
제28항에 있어서, 직물의 섬유는 균일하게 배향되는,
운동복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fibers of the fabric are uniformly oriented,
A method of improving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sportswear.
제28항에 있어서, 직물의 섬유는 나일론을 포함하는,
운동복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fibers of the fabric comprise nylon,
A method of improving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sportswear.
제28항에 있어서, 액체 접착제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운동복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liquid adhesive comprises silicon,
A method of improving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sportswear.
제28항에 있어서, 의복은 하나의 유형의 직물을 포함하는,
운동복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29. The article of claim 28, wherein the garment comprises one type of fabric,
A method of improving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sportswear.
직물에 적용되는 제1 적용 텍스쳐를 포함하는 제1 구역으로서, 상기 제1 구역은 착용자의 사지를 덮고, 상기 제1 적용 텍스처는 의복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3차원 형상 노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적용 텍스처는 상기 제1 구역의 몸통부위에서 균일한 표면 거침부를 갖고, 상기 제1 적용 텍스처는 상기 제1 구역의 말단부에서 균일한 표면 거침부를 가지며, 상기 표면 거침부는 상기 제1 구역의 몸통부위로부터 상기 제1 구역의 말단부까지 균일하게 증가되는 상기 제1 구역;
제2 공기 역학적 특성을 유발하는 제2 표면 거침부를 포함하는 제2 구역으로서,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2 구역;
착용자의 몸통과 사지 부분을 덮도록 탄성을 가지는 직물; 및
상기 직물에 부착되는 통풍부로서, 상기 통풍부는 복수의 스레드를 갖는 직물편과 상기 직물편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거되는 절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복수의 스레드의 일부분이 절단되지 않도록 위치 설정되는 통풍부;를 포함하는 의복.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first region comprising a first application texture applied to a fabric, said first region covering a limb of a wearer, said first application tex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haped nodule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urface of the garment Wherein the first application texture has a uniform surface roughness at the torso of the first zone and the first application texture has a uniform roughness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zone, The first region being uniformly increased from a body portion of the first region to a distal portion of the first region;
A second zone comprising a second surface roughness inducing a second aerodynamic characteristic,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being adjacent to each other;
A fabric having elasticity to cover the torso and the limb of the wearer; And
A venting portion attached to the fabric, the venting portion including a fabric piece having a plurality of threads and a cutout portion from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abric piece is removed, wherein the cutout portion is positioned A garment comprising:
제33항에 있어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절결부의 에지에 적용되는 에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의복.34. The garment of claim 33, further comprising an edge treatment portion applied to an edge of the cutout to prevent wear.
KR1020127001796A 2009-06-24 2010-06-24 Aerodynamic garment with applied surface roughnes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6645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018409P 2009-06-24 2009-06-24
US61/220,184 2009-06-24
PCT/US2010/039840 WO2010151684A1 (en) 2009-06-24 2010-06-24 Aerodynamic garment with applied surface roughness and method of manufa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625A KR20120089625A (en) 2012-08-13
KR101664522B1 true KR101664522B1 (en) 2016-10-24

Family

ID=4338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796A KR101664522B1 (en) 2009-06-24 2010-06-24 Aerodynamic garment with applied surface roughness and method of manufactur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131720A1 (en)
EP (2) EP3335582A1 (en)
JP (1) JP5873015B2 (en)
KR (1) KR101664522B1 (en)
CN (2) CN105852272B (en)
CA (1) CA2766898C (en)
WO (1) WO201015168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2863B2 (en) * 2011-12-27 2014-09-16 Jae Young Yang Sports taping tights
JP6211274B2 (en) * 2012-03-08 2017-10-11 美津濃株式会社 Sports wear
CA2913668C (en) * 2014-03-01 2016-09-27 Puma SE Sports garment with venting capacity
US10238156B2 (en) 2015-01-13 2019-03-26 Under Armour, Inc. Suit for athletic activities
US10188164B2 (en) * 2015-02-10 2019-01-29 Nike, Inc. Vented cooling garment
GB2537816B (en) * 2015-04-20 2018-06-20 Endura Ltd Low drag garment
GB2537815A (en) 2015-04-20 2016-11-02 Smart Aero Tech Ltd Low drag garment
US10716340B2 (en) * 2015-05-27 2020-07-21 Nike, Inc. System and device for affecting drag properties of an object
GB2541642A (en) * 2015-07-28 2017-03-01 Endura Ltd Method of and system for providing a low drag garment
TWI663925B (en) * 2015-12-31 2019-07-01 采和原創有限公司 Manufacturing method and structure of sportswear for reducing wind resistance
US11284651B2 (en) * 2016-01-11 2022-03-29 Nike, Inc. Engineered surface for increased drag on article
US10264834B2 (en) * 2016-03-25 2019-04-23 Nike, Inc. Foam nodes for creating stand off on apparel items
US10548358B2 (en) 2016-08-16 2020-02-04 Under Armour, Inc. Suit for athletic activities
EP3525611B1 (en) 2016-09-28 2023-10-25 Under Armour, Inc. Apparel for athletic activities
GB2555570A (en) * 2016-10-18 2018-05-09 Smart Aero Tech Limited Low drag garment
US11019855B2 (en) * 2017-05-31 2021-06-01 Nike, Inc. Vortex-generator device
USD928456S1 (en) 2017-08-16 2021-08-24 Under Armour, Inc. Athletic suit
CN109938425B (en) * 2017-12-20 2021-01-26 财团法人纺织产业综合研究所 Bicycle sports wear
TWM567571U (en) * 2018-07-13 2018-10-01 紅崴科技股份有限公司 Acupressure oversleeve providing with both far infrared and negative ion energy
CA3120024A1 (en) * 2018-12-06 2020-06-11 Puma SE Method for monitoring or visualizing the running speed of an athlete and athletic garment
TWI787953B (en) * 2021-08-12 2022-12-21 財團法人成大研究發展基金會 A clothing based on the anti-drag of bicycle exercise flow field and the configuration method of its rough element
CN115153120B (en) * 2022-07-11 2023-08-25 高梵(浙江)信息技术有限公司 Down jacket made of seamless wind-resistant fabric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5608A (en) 2001-09-28 2003-04-09 Mizuno Corp Wear for skate competition
JP2006037311A (en) 2004-07-30 2006-02-09 Descente Ltd Wear having decreased fluid resistance added small protrusion arranged on textile material surface
JP2008517176A (en) 2004-10-14 2008-05-22 ナイキ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Clothing incorporating flocked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43635A (en) * 1934-06-27 1936-02-27 Thomas Lewis Shepher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multi-ply fabric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4180606A (en) * 1977-07-25 1979-12-25 M. Lowenstein & Sons, Inc. Fabrics having flocked corduroy ribs
DE3021039A1 (en) * 1980-06-03 1981-12-10 Kufner Textilwerke KG, 8000 München INSERTS FOR CLOTHING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H0233305A (en) * 1988-07-23 1990-02-02 Mizuno Corp Sports wear
JPH03137204A (en) * 1989-10-20 1991-06-11 Mizuno Corp Sports wear
US5544581A (en) 1994-10-12 1996-08-13 Haji; Abudulcadir A. Garment silkscreening apparatus
US5887280A (en) * 1995-03-10 1999-03-30 Waring; John Wearable article for athlete with vortex generators to reduce form drag
US5939004A (en) 1995-11-30 1999-08-17 Harrison; Donald G. Molding thermosetting polymers onto substrates
US6029282A (en) * 1998-04-14 2000-02-29 Buschman; Thomas W. Cyclist's wind noise limiting device
GB9929867D0 (en) * 1999-12-17 2000-02-09 Speedo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s of clothing
JP2001270019A (en) * 2000-03-22 2001-10-02 Shingii Kk Stretchable flocked sheet material, and protective clothing and accessory for sports using the same
US6438755B1 (en) * 2000-09-15 2002-08-27 Nike, Inc. Aerodynamic garment for improved athletic performanc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081435U (en) * 2001-04-27 2001-11-02 株式会社デサント Sports clothing
US6977023B2 (en) * 2001-10-05 2005-12-20 High Voltage Graphics, Inc. Screen printed resin film applique or transfer made from liquid plastic dispersion
US20050268407A1 (en) * 2004-05-26 2005-12-08 Abrams Louis B Process for high and medium energy dye printing a flocked article
US7708708B2 (en) * 2004-07-22 2010-05-04 Nordt Development Co., Ltd. Donning potentiating support with expandable framework fastened to garment
US7378043B2 (en) * 2005-01-12 2008-05-27 Ansell Healthcare Products Llc Latex gloves and articles with geometrically defined surface texture providing enhanced grip and method for in-line processing thereof
ATE482630T1 (en) * 2005-01-27 2010-10-15 Sympatex Technologies Gmbh OUTERWEAR WITH INCREASED BREATHABILITY
US7636950B2 (en) * 2005-09-30 2009-12-29 Nike, Inc. Article of apparel with zonal stretch resistance
US7941869B2 (en) * 2007-02-09 2011-05-17 Nike, Inc. Apparel with reduced drag coefficient
US8225427B2 (en) * 2007-11-30 2012-07-24 Nike, Inc. Glove with gripping surf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5608A (en) 2001-09-28 2003-04-09 Mizuno Corp Wear for skate competition
JP2006037311A (en) 2004-07-30 2006-02-09 Descente Ltd Wear having decreased fluid resistance added small protrusion arranged on textile material surface
JP2008517176A (en) 2004-10-14 2008-05-22 ナイキ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Clothing incorporating flocked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5363A4 (en) 2013-10-30
KR20120089625A (en) 2012-08-13
US20120131720A1 (en) 2012-05-31
CN102595944A (en) 2012-07-18
JP2012531535A (en) 2012-12-10
CA2766898C (en) 2017-11-07
WO2010151684A1 (en) 2010-12-29
JP5873015B2 (en) 2016-03-01
CA2766898A1 (en) 2010-12-29
EP2445363B1 (en) 2018-02-21
EP3335582A1 (en) 2018-06-20
CN105852272B (en) 2018-10-09
EP2445363A1 (en) 2012-05-02
CN105852272A (en)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522B1 (en) Aerodynamic garment with applied surface roughnes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90142082A1 (en) Aerodynamic Garment With Applied Edge Treatments
US7856668B2 (en) Article of apparel for resistance training
US10918141B2 (en) Drag-reducing exercise equipment
US7941869B2 (en) Apparel with reduced drag coefficient
US11812800B2 (en) Suit for athletic activities
US6438755B1 (en) Aerodynamic garment for improved athletic performanc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547163B2 (en) Apparel for athletic activities
US8341765B2 (en) Garment for training swimmers
US20100077527A1 (en) Workout garment
EP3311686B1 (en) Low drag garment
EP3402580B1 (en) Apparel item
TWI663925B (en) Manufacturing method and structure of sportswear for reducing wind resistance
JPH08246209A (en) Athletic clot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