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807B1 -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 - Google Patents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807B1
KR101663807B1 KR1020150011085A KR20150011085A KR101663807B1 KR 101663807 B1 KR101663807 B1 KR 101663807B1 KR 1020150011085 A KR1020150011085 A KR 1020150011085A KR 20150011085 A KR20150011085 A KR 20150011085A KR 101663807 B1 KR101663807 B1 KR 101663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ackrest
wing
connec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025A (ko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주)넥스트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트메디텍 filed Critical (주)넥스트메디텍
Priority to KR1020150011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8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61G2005/12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축; 등받이축을 따라 한 쌍으로 대칭 배열되는 복수의 날개; 및 등받이축에 인접한 날개의 종단에 연결되며, 연결핀이 삽입되어 복수의 제1 연결홀을 구비하여 등받이축에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날개는 종단에 제1 연결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관통홀; 및 제1 관통홀에 삽입되는 회전핀을 구비하고 회전핀이 연결핀에 연결되어 날개가 회동도록 제1 관통홀의 일영역에 절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축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날개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장애자 및 허리에 불편함이 있는 환자의 등을 편안하게 감쌀 수 있어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 {Back support of module type}
본 발명은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여 등을 편안하게 감쌀 수 있는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신체장애자, 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휠체어는 인력에 의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타입과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타입 등으로 구분되어진다.
휠체어는 전체 뼈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측방에는 주바퀴가 장착되고, 선단양측에는 보조바퀴를 구비하며, 환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등받이는 환자가 자신의 등 부분을 기대는 곳으로서, 등받이의 형상 및 구조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등의 회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국공개특허 제2012-0096118호에 수동 및 전동 겸용 휠체어가 개시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96118호에 개시되어 있는 휠체어는 등받이부가 얇은 천으로 구성되어 있어, 환자의 등 형상에 대한 제한은 적으나, 환자의 등을 충분히 지지하면서 편안하게 감싸기가 곤란한 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환자가 휠체어의 등받이에 오랜 시간 앉아 있게 되면,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어 환자의 등과 허리에 무리를 줄 수 있으며, 특히, 척추 측만증과 같이 허리가 많이 휜 환자는 이러한 천으로 된 휠체어에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척추 측만증을 악화시키거나 치료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등받이축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날개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연결하여, 장애자 또는 허리에 불편함이 있는 환자의 등을 편안하게 감쌀 수 있는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휠체어에 장착되며, 등받이가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공간효율 및 이동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는 등받이축, 복수의 날개 및 연결판을 포함한다. 복수의 날개는 등받이축을 따라 한 쌍으로 대칭 배열된다. 연결판은 등받이축에 인접한 날개의 종단에 연결되며, 연결핀이 삽입되어 복수의 제1 연결홀을 구비하여 등받이축에 연결된다. 여기서 날개는 종단에 제1 연결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관통홀 및 제1 관통홀에 삽입되는 회전핀을 구비하고, 회전핀이 연결핀에 연결되어 날개가 회동도록 제1 관통홀의 일영역에 절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연결판은 조절핀을 구비한다. 조절핀은 제1 연결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2 연결홀 및 제2 연결홀에 삽입되어 연장 형성된다. 날개는 고정홈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홈은 제2 연결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관통홀 및 조절핀이 삽입되도록 제2 관통홀의 내주면에서 조절핀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조절핀은 요철홈을 구비한다. 요철홈은 제2 연결홀에 삽입된 종단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날개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돌출부는 제2 관통홀에 삽입되어, 요철홈과 요철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날개는 보조 지지홀을 구비한다. 보조 지지홀은 등을 감싸도록 곡률 성형되며, 날개의 양측면 사이에서 제1 관통홀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날개는 보조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지지대는 보조 지지홀에 삽입되어 복수의 날개가 일체 거동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날개는 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은 삽입구가 형성되어 삽입구에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는 등받이축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날개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장애자 및 허리에 불편함이 있는 환자의 등을 편안하게 감쌀 수 있어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는 휠체어에 장착되어 등받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어 공간효율을 높이고, 협소한 공간에도 보관하기가 용이하며, 이동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등받이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날개와 연결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연결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날개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날개와 연결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날개의 연결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가 휠체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연결판과 날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날개와 연결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연결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날개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는 등받이축(100), 날개(200) 및 연결판(300)을 포함한다.
등받이축(100)은 척추 방향을 따라 판상으로 형성되며, 곡률부(110)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날개(2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곡률부(110)는 환자의 척추 상태에 따라서 규격화된 것이 이용되거나 또는 주문제작품이 이용될 수 있다. 주문제작품이 이용되는 경우, 환자의 척추 휨 각도와 정도를 고려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곡률부(110)는 사용자의 허리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형상이 도시된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볼트홀(120)은 등받이축(100)이 후술하는 연결판(3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등받이축(100)과 연결판(300)은 볼트결합으로 체결되었으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으며, 결합 방식이 도시된 도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등받이축(100)은 등을 지지할 때 탄성을 유지해야 하며, 신체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어야 하므로, 가볍고 부식되지 않는 카본(carbon)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판(300)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등받이축(100)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날개(200)의 종단(210)과 연결된다. 연결판(300)은 등받이축(100)과 결합될 때, 등받이축(100)의 볼트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홀(35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등받이축(100)과 접촉되는 연결판(300)의 접촉면에는 슬라이딩 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311)은 등받이축(100)과 연결판(300)을 밀착시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등받이축(100)에 연결된 연결판(300)은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연결판(300)은 대칭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연결홀(310) 및 제1 연결홀(31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2 연결홀(33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홀(310) 및 제2 연결홀(330)은 등받이축(100)을 따라 2열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었으나 제1 연결홀(310) 및 제2 연결홀(330)의 배열방법 및 형성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연결홀(310) 및 제2 연결홀(330)에는 각각 연결핀(320) 및 조절핀(340)이 삽입되어 후술하는 날개(200)에 연결된다. 연결핀(320) 및 조절핀(340)은 후술하는 날개(200)를 설명 시, 그 특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연결판(30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 재질은 연결판(300)을 다양한 형상을 제작하기에 용이하고, 부식에 대한 저항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연결판(300)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판(300)의 가공성을 향상시켜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표면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연결판(300)의 항 부식성 향상을 위해, 연결판(300)은 아노다이징 처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연결판(300)의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막을 이용하여 연결판(300)의 항 부식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연결판(300)을 경량으로 형성하고, 항 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연결판(300)은 마그네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날개(200)는 등받이축(10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판면(211)으로 형성된다. 연결판(300)에 연결되는 날개(200)의 종단(210)은 판면(211)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날개(200)는 등받이축(100)을 중심으로 한 쌍으로 대칭 배열되고, 등받이축(100)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므로 환자가 등을 지지할 때 하중 분산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이때, 날개(200)는 등을 감싸는 방향으로 곡률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200)가 곡률 성형되면, 환자는 등을 날개(200)에 지지하며 기댈 수 있으며, 곡률 성형된 날개(200)가 환자의 등을 감쌀 수 있으므로 환자의 하중이 날개(200)에 균일하게 전달되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날개(200)의 판면(211)에는 등받이축(10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홀(290)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홀(280)은 날개(20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범위 내에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날개(20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성을 가짐에 따라, 환자가 날개(200)에 기대었을 때, 날개(200)의 위치는 슬롯홀(290)의 가변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환자의 체형에 맞게 그 위치가 재 조정되어 환자의 체형과 자세에 맞추어 환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슬롯홀(280)은 환자의 신체와 날개(200)가 접촉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환자가 날개(200)에 기대었을 때, 날개(200)와 등이 접촉하는 면적은 슬롯홀(280)의 크기만큼 줄어들게 되므로, 슬롯홀(280)이 통기구 역할을 하여 환자의 등에서 땀이 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발생된 땀을 슬롯홀(290)을 통하여 방출할 수도 있다.
날개(200)의 종단(210)은 연결판(300)의 제1 연결홀(31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관통홀(220)과 제1 관통홀(220)에 삽입되는 회전핀(2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관통홀(220)은 일영역이 노출되도록 절개부(240)가 형성된다. 회전핀(230)은 제1 관통홀(220)에 삽입되어 노출되는 영역에 체결홀(231)이 형성된다. 연결핀(320)의 외주면과 제1 연결홀(310)의 내주면은 나사산이 형상되어 서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연결핀(320)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이용되도록 일자홈 또는 십자홈 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연결핀(320)의 종단(321)은 돌출 형성되고, 체결홀(231)에 삽입되어 회전핀(230)과 연결되어 날개(2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종단(210)은 라운딩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단(210)에 접촉되는 연결판(300)은 종단(210)의 라운딩 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률성형 되는 접촉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날개(200)가 회전핀(230)을 중심으로 절개부(240)를 따라 회동할 때, 라운딩 형성된 종단(210)이 연결판(300)의 라운딩 형성된 접촉부(312)를 따라 회전하면서 날개(200)가 접혀질 수 있게 되어 휠체어에 장착되었을 때 휠체어와 함께 접히는 접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관통홀(250)은 날개(200)의 종단(210)에서 제1 관통홀(220)에 인접하여 이 형성된다. 고정홈(251)은 제2 관통홀(250)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조절핀(340)은 제2 연결홀(330)과 고정홈(251)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조절핀(340)의 외주면에는 나사홈(342)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연결홀(330)의 외주면에도 나사홈이 형성되어 조절핀(340)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절핀(340)은 일단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이용되도록 홈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요철홈(341)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핀(340)은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날개(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절핀(340)이 제2 연결홀(330)에 깊게 삽입되면, 날개(200)가 등을 감싸는 방향으로 좁혀져서 오므려지게 되며, 조절핀(340)의 삽입 깊이가 작아지게 되면, 날개(200)는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절핀(340)은 삽입 깊이를 통하여 날개(20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신체의 조건에 따라 날개(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날개(200)는 양측면 사이에서 제1 관통홀(220)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보조 지지홀(270)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날개(200)가 등받이축(100)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될 때, 보조 지지홀(270)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보조 지지대(271)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지지대(271)는 복수의 날개(200)가 일체 거동하도록 날개(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하여, 보조 지지대(271)는 날개(200)에 등을 지지할 때, 등에서 전달되는 하중분배를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특정 날개(200)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등받이축(100)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는 날개(200)는 서로 다른 크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날개(200)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날개(200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작은 날개(200a)는 허리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은 날개(200a)가 허리측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면, 어깨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허리를 편안하게 감싸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은 날개(200a)가 한 개가 적용되었으나 두 개 이상 적용되거나 동일한 크기의 날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날개의 크기에 따른 조합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날개(200)는 등을 지지할 때 탄성을 유지하여 신체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으면서, 가볍고 부식되지 않는 카본(carbon), 또는 티타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재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날개(200)의 판면(211)에서 등을 지지하는 바깥쪽에는 제1 관통홀(220)의 축방향을 따라 보조 지지홀(270)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지지홀(270)은 판면(211)보다 단면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지지홀(270)의 단면이 날개(200)의 판면(211)보다 증가되면, 날개(200)의 단면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날개(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200)의 양측면 사이에서 하나의 보조 지지홀(270)이 형성되었으나 보조 지지홀(270)의 두 개 이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보조 지지홀(270)은 등받이축(100)을 따라 복수로 배열된 보조 지지대(271)에 의해서 연결된다. 보조 지지대(271)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보조 지지홀(270)을 관통하여 복수의 날개(200)가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연결함으로써, 날개(200)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하중을 날개(200)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등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보조 지지대(271)는 수직 방향으로 불규칙적으로 배치된 보조 지지홀(270)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등이 지지되는 날개(200)의 배면에는 브라켓(28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280)은 등받이축(100)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날개(200) 중에서 상단에 위치하는 날개(200)에만 구비되었으나 복수의 날개(200)에 모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결합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브라켓(280)은 날개(200)에 형성된 슬롯홀(290)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28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볼트결합으로 날개(200)에 연결되어 삽입구(281)를 형성한다. 형성된 삽입구(281)에는 지지대(282)가 삽입되며, 삽입구(281)의 형상은 지지대(282)의 단면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브라켓(280)은 한 쌍으로 형성되므로 지지대(282)의 단면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조절하기가 용이하여 지지대(282)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대(282)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부식이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휠체어의 손잡이가 연결된 수직부재가 지지대로 활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날개와 연결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연결판과 날개의 연결 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는 등받이축(100), 날개(200) 및 연결판(300)을 포함한다.
등받이축(100), 날개(200) 및 연결판(300)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며, 이때 중복되는 내용은 도 1 내지 5를 참조한다. 이하에서는 고정핀(260)에 대한 구성만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핀(260)은 돌출부(261)가 구비되어 제2 관통홀(250)에 삽입되며, 제2 관통홀(250)에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하여 나사홈(262)이 형성되어 제2 관통홀(250)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2 관통홀(250)에는 고정홈(251)을 통해 배치된 요철홈(341)이 위치하며, 돌출부(261)는 조절핀(340)의 요철홈(341)에 끼워져 요철 결합될 수 있다.
고정핀(260)이 제2 관통홀(250)에 삽입되면, 날개(200)는 회동이 억제되어 날개가 접히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핀(260)은 날개(200)의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의 회동이 불필요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요철홈(341)을 제거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가 휠체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연결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는 휠체어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대(282)는 휠체어에 있는 손잡이를 따라 형성되는 수직봉(10)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별도로 구성되어 휠체어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는 일반 의자에도 지지대(282)를 삽입되어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적용성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등받이축 110 : 곡률부
120 : 볼트홀 200 : 날개
210 : 종단 220 : 제1 관통홀
230 : 회전핀 240 : 절개부
250 : 제2 관통홀 260 : 고정핀
300 : 연결판 310 : 제1 연결홀
320 : 연결핀 330 : 제2 연결홀
340 : 조절핀 350 : 연결홀

Claims (5)

  1. 등받이축;
    상기 등받이축을 따라 한 쌍으로 대칭 배열되는 복수의 날개; 및
    상기 등받이축에 인접한 상기 날개의 종단에 연결되며, 연결핀이 삽입되어 복수의 제1 연결홀을 구비하여 상기 등받이축에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날개는,
    종단에 상기 제1 연결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는 회전핀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핀이 상기 연결핀에 연결되어 상기 날개가 회동도록 상기 제1 관통홀의 일영역에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제1 연결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2 연결홀 및 상기 제2 연결홀에 삽입되어 연장 형성되는 조절핀을 구비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제2 연결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관통홀 및 상기 조절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관통홀의 내주면에서 상기 조절핀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핀은,
    상기 제2 연결홀에 삽입된 종단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요철홈을 구비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요철홈과 요철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고정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등을 감싸도록 곡률 성형되며, 상기 날개의 양측면 사이에서 상기 제1 관통홀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보조 지지홀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지지홀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날개가 일체 거동하도록 연결하는 보조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적어도 한 쌍의 날개 배면에 연결되는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삽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

KR1020150011085A 2015-01-23 2015-01-23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 KR101663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085A KR101663807B1 (ko) 2015-01-23 2015-01-23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085A KR101663807B1 (ko) 2015-01-23 2015-01-23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025A KR20160091025A (ko) 2016-08-02
KR101663807B1 true KR101663807B1 (ko) 2016-10-10

Family

ID=5670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085A KR101663807B1 (ko) 2015-01-23 2015-01-23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0330A1 (en) * 2022-07-18 2024-01-25 Thinks Works, Llc External spinal br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9636A (zh) 2018-02-23 2019-08-30 Lg电子株式会社 高效传递辅助力的可穿戴辅助装置
US10603786B2 (en) 2018-03-16 2020-03-31 Lg Electronics Inc. Belt for effective wearing and wearable assistive device having the same
WO2020141632A1 (ko) * 2019-01-02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로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4181A (ja) * 2005-08-23 2007-03-08 Pigeon Tahira Kk 車椅子
KR101135969B1 (ko) 2009-12-28 2012-04-18 김수렬 의자용 등받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1320A (ko) * 2012-06-15 2013-12-26 국은지 손목과 척추 보호기능이 포함된 다기능 사무용 의자
KR20130141827A (ko) * 2012-06-18 2013-12-27 박성훈 의자에 탈착되는 보조 등받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4181A (ja) * 2005-08-23 2007-03-08 Pigeon Tahira Kk 車椅子
KR101135969B1 (ko) 2009-12-28 2012-04-18 김수렬 의자용 등받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0330A1 (en) * 2022-07-18 2024-01-25 Thinks Works, Llc External spinal br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025A (ko)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807B1 (ko) 모듈형 등받이 거치대
EP2693993B1 (en) Adjustable brace apparatus
EP2724701B1 (en) Head support for operating tables
US7784871B2 (en) Occupational support system
US8567863B2 (en) Back support, orientation mechanism and method
US20060135890A1 (en) Adjustable goggle for eye massagers
US8622410B2 (en) Wheelchair legrest assembly
US9433298B2 (en) Ergonomic seat assembly
EP2999440B1 (fr) Dispositif modulaire de protection dorsale
JP7354462B2 (ja) 身体の正しい姿勢及び脊椎疾患予防のための姿勢矯正補助装置
ES2969254T3 (es) Unidad de ajuste electromotriz para ajustar la inclinación de una parte de apoyo de un mueble de asiento y mueble de asiento con una unidad de ajuste electromotriz
US20120133186A1 (en) Adjustable back pad
JP2746799B2 (ja) 身体障害者用の杖
NO343283B1 (en) Back rest to be used with seat or chair
US20100038943A1 (en) Ergonomic seat assembly
BR102017012534A2 (pt) Adjustable rear holder for a seat surface
JP3223462U (ja) 着座補助器具
KR19990046590A (ko) 의자등받이
KR101165345B1 (ko) 무릎지지대가 구비된 교구용 책상
KR20120003466U (ko) 자세 교정용 벨트가 부착된 의자
KR102226216B1 (ko) 휴대용 경추 교정장치
CN219646234U (zh) 颈部按摩装置
KR200269736Y1 (ko) 의자용 등받이연결구
CN217611597U (zh) 一种腰椎舒缓器
KR102182578B1 (ko) 탈부착형 가슴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