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778B1 - Modified Helix Antenna for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fer - Google Patents

Modified Helix Antenna for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f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778B1
KR101659778B1 KR1020150028526A KR20150028526A KR101659778B1 KR 101659778 B1 KR101659778 B1 KR 101659778B1 KR 1020150028526 A KR1020150028526 A KR 1020150028526A KR 20150028526 A KR20150028526 A KR 20150028526A KR 101659778 B1 KR101659778 B1 KR 101659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antenna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5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5183A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50028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778B1/en
Publication of KR2016010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1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7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08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2J17/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용 안테나가 나사산 모양의 안테나를 변형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하여 스마트폰이나 몸에 부착하는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경우에 무선전력전송용 안테나의 변형한 형태에 따라 충전이 필요한 기기의 모든 방향에서 효율적으로 무선충전이 가능한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코일의 중심부가 돌출된 형태의 나사산 모양으로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외주면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감아서 내려온 후 최하부에서는 상기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과는 대응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감아서 올라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tenna in which a screw-shaped antenna is modified so that a smart phone or an electronic device attached to the body is charged, To a modified screw linear antenna for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apable of efficient wireless charging in all directions of an antenn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the coil is formed as a protruded thread-like shape and is inclined downward. The coil is wound around the coi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n wound dow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ownward inclination So as to rise up.

Description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Modified Helix Antenna for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f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ified Helical Antenna for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용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전력전송용 안테나가 나사산 모양의 안테나를 변형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하여 스마트폰이나 몸에 부착하는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경우에 무선전력전송용 안테나의 변형한 형태에 따라 충전이 필요한 기기의 모든 방향에서 효율적으로 무선충전이 가능한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tenna in whic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tenna is configured to have a thre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ified screw-type linear antenna for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apable of efficiently wirelessly charging in all directions of a device requiring charging according to a modified form of a transmission antenna.

최근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의 사용성이 매우 커져가고 있으며, 특히,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를 위한 M-commerce(Mobile commerce)의 개발이 주목되면서 이동단말기에 장착되는 RFID 안테나(RFID antenna), RFID 리더(RFID reader), RFID 태그(RFID tag) 등에 대한 개발이 역시 주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recent years, the use of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has been greatly increas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Particularly, development of an M-commerce (mobile commerce) , RFID readers (RFID readers), and RFID tags (RFID tags).

이러한 추세에 따라 대부분의 스마트 폰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장착되고 있으며, NFC는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FID 기술을 응용해 근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말한다. According to this trend, most of the smart phones are equipped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unction, and NFC uses RFID technology using frequency of 13.56MHz to transmit data at a low power in a short distance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이러한, NFC 기술은 10㎝ 이내의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424kbps급)할 수 있다. NFC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 없이도 두 개 이상의 단말기를 근접시키면 전화번호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는 물론 MP3 파일이나 사진 등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Such NFC technology can transmit data at a low power within a distance of 10 cm (424 kbps). With NFC, if two or more terminals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without human intervention, basic data such as a telephone number, as well as data such as MP3 files and pictures can be exchanged.

또한, NFC를 이용하면 신용 카드나 교통 카드를 대체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제조 업체 및 통신사들은 이와 같은 NFC를 이동 단말기에 내장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하거나, 혹은 전자 지갑을 구현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은 안테나에 의하여 구현이 가능하다.In addition, NFC can be used to replace credit cards or transportation card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move by manufacturers and communication companies to embed such NFC in a mobile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or to implement an electronic wallet. Such short-range communication can be implemented by an antenna.

또한, 최근에는 접촉 없이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공급받기 위한 여러 방법이 있으나, 대표적으로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과 특정한 주파수의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한 자기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Magnetic Resonance) 방식이 있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달을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도 안테나가 이용되고 있다.Recently, a method of wirelessly supplying electric energy without contact has been proposed.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supplying or supplying electric energy wirelessly. However, inductive coupling based on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and resonance based on self-resonance phenomenon based on a specific frequency radio power signal have. An antenna is also used as a method for suc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무선 충전을 위한 안테나는 자기장에서 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자기장 형태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수동 소자인데, 스마트 카드, 휴대폰 및 무선 인식 태그에 있어서는 소형 박막 요구성을 만족하면서 효과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루프 안테나(loop antenna), 바람직하게는 루프 안테나의 다양한 유형 중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형태의 루프 안테나가 주로 사용된다. 인쇄 회로 기판 형태의 루프 안테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레진(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또는 폴리이미드(PI, Polyimide) 등의 박막 필름인 기판 상에 형성된 금속 피막을 에칭하거나 금속 박막을 프린팅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Such an antenna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less charging is a passive element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a magnetic field signal according to the magnetic induction principle in a magnetic field. In a smart card, a cellular phone, and a wireless tag, In order to effective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 loop antenna, typically a loop antenna in the form of a printed circuit board among various types of loop antennas, is mainly used. The loop antenna in the form of a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obtained by etching a metal film formed on a substrate which is a thin film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ET) or polyimide (PI, polyimide) or by printing a metal thin film .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무선 전력 전달용 루프 안테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loop antenna apparatus for powe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안테나(10)는 PET나 PI 등을 이용한 박막 필름(11) 상에 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하여 수 회 권선되는 평면 코일(12)을 형성하며, 양 단부는 박막 필름(1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접속단자(13a, 13b)를 형성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oop antenna 10 forms a plane coil 12 wound several tim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edge on the thin film 11 made of PET or PI,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s 13a and 13b are formed.

이때, 코일(12)의 내 측 단부는 절연을 위하여 관통 홀(via hole)을 통하여 박막 필름(11)의 배면에서 외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코일(12)을 따라 전류가 흐르는 경우 수직 방향의 자기장이 발생하고, 발생된 자기장은 타 측의 루프 안테나에 대하여 전자기 발생을 유도한다.At this time, the inner end of the coil 1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thin film 11 through a via hole for insulation. When a current flows along the coil 12 due to the above structure, a magnetic fiel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magnetic field induces electromagnetic generation to the other loop antenna.

이러한 종래의 루프 안테나(10)는 권선되는 코일(12)이 동일한 폭을 이룬다. 즉, 루프 안테나(10)는 중앙부 측의 코일과 가장자리 측의 코일이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직경이 좁은 중앙부에서 강하게 발생하고 가장자리 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발생한다. 즉, 평면 코일 구조의 루프 안테나는 구조적인 특성상 중앙부와 가장자리에서 다른 세기의 자기장을 나타낸다. 이때, 수신 측에서 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위치에 따른 이러한 자기장 세기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 자기장 유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this conventional loop antenna 10, the coils 12 to be wound have the same width. That is, in the loop antenna 10, the coil on the center side and the coil on the edge side ar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such a structure is strongly generated in the narrow central portion and relatively weak in the peripheral portion. That is, the loop antenna having the planar coil structure exhibits a magnetic field having a different intensity at the central portion and the edge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this case, when receiving the magnetic field signal at the receiving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gnetic field induction can not be efficiently performed without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depending on the position.

또한, 송신 측 안테나와 수신 측 안테나가 서로 다른 크기(루프의 직경)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수신 측에서의 발생 자기장 분포와 송신 측에서의 유도 자기장 분포가 달라지므로, 자기장 유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transmitting-side antenna and the receiving-side antenna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sizes (the diameter of the loop), the induced magnetic field distribution on the receiving side and the induced magnetic field distribution on the transmitting side are different.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무선 전력 전달용 루프 안테나는 자기장을 집속 또는 확산시킬 수가 없어, 자기장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거나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 loop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an not focus or spread the magnetic field, and the magnetic field can not be efficiently transmitted or utilized.

다시 말하면 기존 무선전력전송용 표준 안테나들은 평면형 구조로써 무선전력전송용 Rx 안테나를 평행으로 놓을 수 있는 구조에 적합하나 몸에 부착하는 스마트 기기들은 인체에 고정하기 위한 줄이나 기타 부품에 의해서 기존 표준형 안테나에 안테나를 평행으로 놓을 수 없었다. 따라서 무선전력전송용으로 개발된 종래의 Tx 안테나들은 스마트폰이나 몸에 부착하는 전자기기들의 전용으로 개발되어 있어 이들 기기 모두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은 각각에 맞게 무선충전용 Tx를 보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문제가 있다.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tandard antennas are suitable for a structure in which the Rx antenna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an be placed in parallel with a planar structure, but smart devices attached to the body are formed by strings or other parts for fixing to the human body, The antenna could not be placed in parallel. Therefore, the conventional Tx antennas develop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have been developed to be dedicated to smart phones or electronic devices attached to the body, so that users having all of these devices need to have a wireless charging Tx for each of them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용 안테나가 나사산 모양의 안테나를 변형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하여 스마트폰이나 몸에 부착하는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경우에 무선전력전송용 안테나의 변형한 형태에 따라 충전이 필요한 기기의 모든 방향에서 효율적으로 무선충전이 가능한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tenna in which, when a smartphone or an electronic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dified screw-type linear antenna for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apable of efficiently charging wirelessly in all directions of a device requiring charging according to a modified form of th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는 코일의 중심부가 돌출된 형태의 나사산 모양으로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외주면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감아서 내려온 후 최하부에서는 상기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과는 대응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감아서 올라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dified screw linear antenna for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 coil having a central portion protruding in a thread-like shape inclined downward, And at a lowermost portion thereof, is wound u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ownward inclination.

여기서 코일의 중심부는 상기 코일의 외곽부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a central portion of the coil is formed higher than an outer portion of the coil.

또한 코일의 중심부가 돌출된 형태의 나사산 모양 중심의 돌출부는 원형이나 다각형 또는 구형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thread-like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il is protruded is characterized by being one of circular, polygonal or spherical.

여기서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의 코일면에 동선이나 동박 또는 FPCB를 이용하여 중심이 돌출된 그릇형상의 충전케이스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charging c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 bowl-shaped charging case whose center is protruded by using a copper wire, a copper foil or an FPCB on the coil surface of the modified screw linear antenna for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한 코일의 자력선은 상기 코일 중심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면서 최하부에서는 다시 상기 코일의 최외곽의 외주면을 통해 상기 코일의 중심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magnetic force lines of the coils are formed as a lower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coil, and at the lowermost portion, the coil is formed as a central portion of the coil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coil.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안테나가 나사산 모양의 안테나를 변형한 형태를 갖기 때문에 스마트폰이나 몸에 부착하는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경우에 무선충전이 필요한 기기가 모든 방향에서 무선으로 전력전송을 받아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enna for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has a form in which a screw-shaped antenna is modified, when a smart phone or an electronic device attached to the body is charg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harged by receiving the transmiss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전력 전달용 루프 안테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를 중심이 돌출된 그릇형상의 케이스로 형성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에 형성된 자력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loop antenna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modified screw linear antenna for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eformed screw linear antenna for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hown in Figs. 2 and 3 is formed as a bowl-shaped case protruding from the center;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magnetic force lines formed in a modified screw linear antenna for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as a general term that is widely used at present, there are some terms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a specific case. In this case, sinc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as a meaning of a term that is not a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mitting the unnecessary explana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modified screw linear antenna for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1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100)의 중심부가 돌출된 형태에 나사산 모양으로 중심의 돌출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외주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감아서 내려온 후 최하부에서는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과는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감아서 올라가도록 구성된다.2 and 3, the modified screw-type linear antenna 100 for a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ified screw linear antenna 100 for a magnetic resonanc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which a central portion of a coil 100 protrudes in a thread-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at the lowermost portion.

여기서, 코일(100)의 중심부는 코일의 외곽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il 100 is preferably formed higher than the outer portion of the coil.

또한 코일(100)간의 소정의 이격거리는 3mm에서 10mm 이내 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coils 100 is within 10 mm from 3 mm.

이때,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중심부의 돌출되는 부분과 바깥쪽 부분에 올라온 구조를 가짐으로써 자기공진형 무선충전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이나 몸에 부착하는 전자기기가 놓여지는 방향에 상관없이 무선충전이 가능하다. 다만 충전하고자 하는 수신(Rx) 기기에 차폐시트가 사용되는 경우 차폐면 쪽으로는 에너지 전송이 되지 않는다.
2 and 3,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martphone having a self-resonant wireless charging function or an electronic device attached to the body is placed in a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However, if a shielding sheet is used in a receiving (Rx) device to be charged, no energy is transferred to the shielding side.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를 중심이 돌출된 그릇형상의 충전케이스로 형성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modified screw linear antenna for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hown in Figs. 2 and 3 is formed as a bowl-shaped charging case protruding from the center.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안테나 코일(100)은 중심부가 돌출된 그릇 모양의 충전케이스(200) 형태에 나사산 모양으로 코일(100)면에 동선이나 동박 또는 FPCB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때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나사산 모양의 안테나를 변형한 형태를 갖기 때문에 스마트폰이나 몸에 부착하는 전자기기를 동시에 무선전력전송을 하는데 최적화된 안테나이다.
The antenna coil 100 shown in Figs. 2 and 3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owl-shaped charging case 200 having a center portion protruding in the form of a thread, using copper wire, copper foil or FPCB on the coil 100 surface.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ntenna having a thread shape is modified, it is an antenna optimized for simultaneou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a smart phone or an electronic device attached to the body.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에 형성된 자력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magnetic force lines formed in a modified screw linear antenna for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에 형성된 자력선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100)의 중심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면서 최하부에서는 다시 코일(100)의 최외곽의 외주면을 통해 코일(100)의 중심부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중심부의 돌출되는 부분과 바깥쪽 부분에 서로 대응되는 방향의 경사구조를 가짐으로써 자기공진형 무선충전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이나 몸에 부착하는 전자기기가 놓여지는 방향에 상관없이 무선충전이 가능하다.
5, the magnetic force lines formed in the modified screw linear antenna for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at the lower part from the center of the coil 100, and at the lowermost par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coil 100 To the center of the coil 100. Thus, by having the inclin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wireless charging can be performed irrespective of the direction in which a smartphone having a self-resonant wireless charging function or an electronic device attached to the body is placed Do.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fall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by alteration, substitution, substitution, Range. In addition, it should be clarified that some configurations of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more clearly and are provided in an exaggerated or reduced size than the actual configuration.

100 : 코일 200 : 충전 케이스100: coil 200: charging case

Claims (5)

코일의 중심부가 돌출된 형태의 나사산 모양으로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외주면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감아서 내려온 후 최하부에서는 상기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과는 대응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감아서 올라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
The center portion of the coil is formed as a protruded thread-like shape and is inclined downwardly. The coil is woun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wound up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ownward inclination at the lowermost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elem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중심부는 상기 코일의 외곽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enter of the coil is formed higher than the outer portion of the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중심부는 원형이나 다각형 또는 구형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er of the coil is one of a circular, polygonal, or spheric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의 코일면에 동선이나 동박 또는 FPCB를 이용하여 중심이 돌출된 그릇형상의 충전케이스를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ging case further comprises a bowl-shaped charging case protruding from the coil surface of the modified screw-type linear antenna for self-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a copper wire, a copper foil, or an FPCB. Threaded linear antenn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자력선은 상기 코일 중심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면서 최하부에서는 다시 상기 코일의 최외곽의 외주면을 통해 상기 코일의 중심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용 변형된 나사선형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force line of the coil is formed as a lower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coil and at the lowermost portion is formed as a center portion of the coil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coil.
KR1020150028526A 2015-02-27 2015-02-27 Modified Helix Antenna for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fer KR1016597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526A KR101659778B1 (en) 2015-02-27 2015-02-27 Modified Helix Antenna for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f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526A KR101659778B1 (en) 2015-02-27 2015-02-27 Modified Helix Antenna for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183A KR20160105183A (en) 2016-09-06
KR101659778B1 true KR101659778B1 (en) 2016-09-26

Family

ID=5694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526A KR101659778B1 (en) 2015-02-27 2015-02-27 Modified Helix Antenna for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f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7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514A1 (en) * 2017-04-07 2018-10-11 (주)오라컴디스플레이 Wireless three-dimensional char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226A (en) * 2012-04-03 2013-10-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Hybrid coil antenna and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the same
KR20130123857A (en) * 2012-05-04 2013-11-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183A (en)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7120B2 (en) Inductive power re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with inductive power receiver
JP5737426B2 (en) ANTENN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40306656A1 (en) Non-contact charging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WO2014002373A1 (en) Mobile terminal
JP2018029475A (en) Portable terminal
US20150171519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dual mode antennas, dual mode antenna and user device
KR20140108958A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vechicle,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CN105405578B (en) Shel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hell
US10505257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0679060A (en) Transmission assembly for universal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07043535A (en) Antenna for rf-id reader/writer device, rf-id reader/writer device using the same, and rd-id system
KR20150051922A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KR102194806B1 (en) Wirel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US9755309B2 (en) Resonant compensating loop for shielding of metal for magnetically coupled NFC and/or RFID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14002372A1 (en) Mobile terminal
KR101577425B1 (en)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of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Shielding unit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KR20140061131A (en) A receiving coil of wireless power receiver including a coil unit for nfc and a coil unit for wireless power charging
KR101485569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for mobile handset with metallic case
KR20160063191A (en) Antenna devic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491472B1 (en) Antenna Apparatusfor Wireless Power Transfer
CN101867083B (en) Antenna device
US1122808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structure for both heat dissipation and radiation
KR102348411B1 (en) Shielding unit for complex-antenna unit and complex-transmission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101659778B1 (en) Modified Helix Antenna for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fer
JP2013219136A (en) Coil unit and electric power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coil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