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398B1 -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398B1
KR101659398B1 KR1020140043745A KR20140043745A KR101659398B1 KR 101659398 B1 KR101659398 B1 KR 101659398B1 KR 1020140043745 A KR1020140043745 A KR 1020140043745A KR 20140043745 A KR20140043745 A KR 20140043745A KR 101659398 B1 KR101659398 B1 KR 101659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mounting portion
fixing
safety device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882A (ko
Inventor
권중곤
Original Assignee
권중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중곤 filed Critical 권중곤
Publication of KR2015001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는 장착부 및 블라인드 줄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장착부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를 상기 장착부에 결합하면 상기 블라인드 줄은 팽팽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블라인드 줄과 연결된 고정부를 대상물에 고정된 장착부에 결합하면 블라인드 줄은 팽팽한 상태가 된다. 팽팽해진 블라인드 줄 사이로 유아, 어린이들이 머리를 넣을 수 없어 줄을 만지면서 발생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safety apparatus for blind line and blind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햇빛을 가릴 목적으로 유리창에 설치하는 것으로 말아 올림 블라인드(롤 차양막), 베네티언 블라인드, 가로 끌기 블라인드(버티컬)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블라인드는 통상적으로 천장 또는 벽면 등에 고정되는 프레임, 프레임에 연결되고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본체, 본체와 프레임을 연결하고 본체를 펼치거나 접는 구동부로 이루어져 있다. 구동부의 경우, 프레임에 동작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본체가 연결된 작동 릴, 폐루프 형태로 형성되어 작동 릴에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블라인드 줄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는 폐루프의 블라인드 줄을 당기게 되면 작동 릴이 작동하여 본체를 펼치거나 접게 된다. 한편, 블라인드 줄의 경우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바닥방향으로 길게 늘어져 있다.
유아, 어린이들이 놀면서 블라인드 줄을 몸에 감는 경우가 있다. 이때 블라인드 줄이 목 등을 조일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아이들이 블라인드 줄을 만지지 못하도록 블라인드 줄을 끌어올려 묶어놓거나, 보호 부재로 감싸놓게 된다. 보호 부재의 경우 작은 힘으로도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블라인드 줄을 묶어 놓을 경우 블라인드 줄 조작 시 다시 풀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7526호 (2012.10.31)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3780호 (2013.01.09)
본 발명은 아이들이 쉽게 조작할 수 없는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는,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는 장착부 및 블라인드 줄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장착부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를 상기 장착부에 결합하면 상기 블라인드 줄은 팽팽해진다.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고정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블라인드 줄이 통과하는 리턴공간이 형성된 리턴부재, 일측이 상기 리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결합홈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부에 결합된 결합부재, 그리고 상기 리턴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부에 결합된 중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리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레버 및 상기 회전레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걸리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의 끝은 구부러져 장착부의 배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는 상기 장착부를 상기 대상물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양면 테이프, 벨크로 및 상기 장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나사못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는 차양막, 일측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블라인드 줄, 그리고 상기 기재된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의 고정부는 상기 블라인드 줄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부는 대상물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라인드 줄과 연결된 고정부를 대상물에 고정된 장착부에 결합하면 블라인드 줄은 팽팽한 상태가 된다. 팽팽해진 블라인드 줄을 당겨도 쉽게 벌어지지 않으므로 블라인드 줄 사이로 유아, 어린이들이 머리, 몸 등을 넣을 수 없어 블라인드 줄을 만지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설치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블라인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장착부와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VI-VI선을 따라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한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배면도.
도 8은 도 도 4에 도시한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블라인드 줄 안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블라인드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가 적용된 블라인드 위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블라인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100)는 프레임(2), 구동부(3), 차양막(4), 블라인드 줄(5), 그리고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6)를 포함한다.
프레임(2)은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프레임(2)에는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되며, 브래킷은 창틀(200)이 설치된 벽체(400), 천장 등의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3)는 프레임(2)의 양측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릴(31, 32) 및 릴(31, 32)을 연결하는 샤프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차양막(4)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차양 역할을 한다. 차양막(4)의 일측은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다. 릴(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차양막(4)은 샤프트에 감기거나 샤프트에서 풀릴 수 있다. 차양막(4)의 타측에 기설정된 무게를 갖는 차양바(41)를 결합하여, 차양막(4)이 풀릴 때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차양막(4)을 당기도록 한다. 이에 풀린 차양막(4)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다. 차양막(4)은 직물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차양막(4)에는 다양한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차양막(4)을 롤스크린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차양막(4)은 세로로 된 버티컬, 나무로 된 우드블라인드, 두 겹으로 되어 있어 차단 또는 개방 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콤비블라인드, 세련이 넘치는 허니콤과 플리티드 스크린, 트리플쉐이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차양막(4)의 구조에 따라 구동부(3)의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블라인드 줄(5)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양단이 연결된 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블라인드 줄(5) 일측은 릴(31)에 연결되어 있다. 블라인드 줄(5)을 당기는 방향을 따라 릴(31)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다. 블라인드 줄(5)은 와이어에 볼을 간격을 두고 결합한 것이나 와이어만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블라인드 줄(5)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릴(31)에 연결된 상태에서 길게 늘어져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장착부와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한 V-V선을 따라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한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배면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6)는 늘어진 블라인드 줄(5)을 고정하여 유아, 어린이들이 블라인드 줄(5)을 만지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장착부(61) 및 고정부(62)를 포함한다.
장착부(61)는 블라인드 줄(5) 타측에 위치하며, 창문(300), 창문(300)이 설치된 창틀(200), 창틀(200)이 설치된 벽체(400) 등의 대상물에 고정수단(614)으로 고정된다. 장착부(61)를 대상물에 고정할 때 블라인드 줄(5)을 하측방향으로 당겨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한다. 장착부(61)가 고정되는 대상물은 블라인드, 건축물 등의 구조에 따라 그 위치는 다르다. 이에 장착부(61)는 창틀, 벽체, 창문 등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수단(614)은 나사못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수단(614)은 나사못 이외에 양면테이프, 벨크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양면테이프, 벨크로 등의 고정수단(614)은 장착부(61)의 배면에 형성된 홈(614a)(도 6 참조)에 수용되어 대상물에 고정된다. 양면테이프 또는 벨크로와 나사못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면 장착부(61)의 고정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장착부(61)의 정면 상부측에는 원기둥형태의 결합턱(611)이 돌출되어 있으며, 결합턱(611)의 배면은 개방되어 있다. 결합턱(611)의 배면이 개방되지 않고, 내부가 공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턱(611)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길이로 결합홈(611a)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611a)은 결합턱(611)을 관통한다. 결합홈(611a)은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 결합홈(611a)을 두 개로 도시하였으나, 결합홈(611a)은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61)의 정면 하부측에는 외곽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된 격벽(612)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612)에 의해 장착부(61)에는 개방부를 가지는 수용공간(612a)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61)에는 결합턱(611)과 떨어져 있는 받침턱(613)이 돌출되어 있으며, 받침턱(613)의 돌출 정도는 결합턱(611)의 돌출 정도와 같다.
고정부(62)는 리턴부재(621), 결합부재(622), 그리고 중량부재(628)를 포함하며, 블라이드 줄(5)과 연결되어 장착부(61)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리턴부재(621)는 드럼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외부둘레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내부방향으로 함몰되어 블라인드 줄(5)이 통과하는 리턴공간(621a)이 형성되어 있다. 리턴부재(621)의 중앙에는 내부를 관통한 회전공간(621b)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622)는 회전레버(623) 및 돌기(627)를 포함하며, 고정부(62)가 장착부(6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회전레버(623)는 손잡이(624), 회전체(625) 및 돌기(627)를 포함하며, 리턴부재(621)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손잡이(624)와 회전체(625)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624)는 리턴부재(621) 정면에 위치하고, 회전체(625)는 리턴부재(621)의 배면에 위치하여 결합턱(611)과 마주한다. 손잡이(624)와 회전체(625)가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샤프트(624a, 625a)가 돌출되어 있으며, 샤프트(624a, 625a)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리턴부재(621)의 회전공간(621b)에 위치한다. 회전레버(623)가 회전할 때 리턴부재(621) 내부면과 마찰되지 않도록 샤프트(624a, 625a)의 외부둘레면과 리턴부재(621)의 내부면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624)와 회전체(625)는 볼트(626)로 결합되어 있다. 볼트(626)는 결합턱(611)과 회전체(625) 사이에서 손잡이(624) 방향으로 삽입되어 그 끝 부분이 손잡이(624)의 샤프트(624a)에 고정되어 있다. 볼트(626)의 머리부분은 회전체(625)의 샤프트(625a) 부분에 걸려 있다. 볼트(626)의 결합으로 손잡이(624)와 회전체(625)를 리턴부재(621)에 결합할 수 있다.
돌기(627)는 회전체(625)에서 결합턱(611) 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홈(611a)을 관통하며 끝 부분은 결합턱(611)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있다. 돌기(627)의 구부러져 있는 부분(이하, 걸림턱(627a)이라 함)이 결합홈(611a)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체(625)의 회전방향에 따라 결합턱(611)의 배면(611b)(도 7 참조) 부분에 걸린다. 걸림턱(627a)의 걸림으로 고정부(62)를 장착부(61)에 고정할 수 있다. 걸림턱(627a)이 결합턱(611)의 배면에 걸려 있지 않으면 고정부(62)는 장착부(6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중량부재(628)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며 내부가 채워져 있는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리턴부재(621)에 연결되어 있다. 중량부재(628)와 리턴부재(622)는 각각 성형하여 서로 결합하거나 성형 시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재(622)를 결합홈(611a)에 결합할 때 중량부재(628)는 수용공간(612a)에 수용된다. 중량부재(628)의 외부둘레면이 격벽(612)에 지지되고, 배면은 받침턱(613)에 지지된다. 이에 고정부(62)를 장착부(61)에 움직이지 않게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격벽(612)과 중량부재(628) 사이에는 중량부재(628)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부는 돌기와 돌기홈, 스프링과 볼, 버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부의 고정에 의해 중량부재(628)는 장착부(61)에서 들뜨거나 떨어지지 않는다.
이처럼 고정부(62)를 장착부(61)에 고정하면 블라인드 줄은 팽팽한 상태가 된다. 이에 유아, 어린이들이 블라인드 줄을 당겨도 벌어지지 않으며, 머리, 몸 등을 넣을 수 없어 블라인드 줄에 의한 유아, 어린이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62)가 장착부(61)에서 분리된 경우 중량부재(628)의 중량에 의해 블라인드 줄(5)은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늘어져 꼬이지 않는다.
위와 같은 블라인드의 작용은 창문이 설치된 창틀 또는 벽체에 블라인드(100)가 설치되어 있으며, 블라인드 줄(5)은 블라이드(100)의 위치에 따라 늘어진 상태에서 창문틀, 창틀(200) 또는 벽체(400) 등의 대상물에 위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가 적용된 블라인드(시료명:(창문 블라인드(콤비블라인드 1)))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안전성 시험을 의뢰(2014.01.06)하였으며,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는 안전 품질 표시기준 부속서35 창문블라인드[기술표준원고시 2013-0350호(2013.08.08)] 기준으로 시험하여 도면 도 10, 도 11, 도 1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성적서를 발급(2014.01.13)하였으며, 시험결과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유아, 어린이들의 팽팽하게 고정된 블라인드 줄(5)을 당기거나 블라인드 줄(5) 사이로 머리, 몸통 등을 넣을 수 없어, 안전 품질 표시기준 부속서35 창문블라인드[기술표준원고시 2013-0350호(2013.08.08)]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즉, 안전성이 확인 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블라인드 줄(5)과 연결된 고정부(62)를 장착부(61)에 결합하면, 블라인드 줄(5)은 팽팽한 상태가 된다. 팽팽한 블라인드 줄(5)은 유아, 어린이들이 당겨도 쉽게 벌어지지 않으므로 블라인드 줄(5) 사이로 유아, 어린이들이 머리를 넣을 수 없어 목 졸림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도 도 4에 도시한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블라인드 줄 안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는 장착부(71) 및 고정부(72)를 포함한다.
장착부(71)는 창문, 창문이 설치된 창틀, 창틀이 설치된 벽체 등의 대상물에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된다. 고정수단은 도 3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614)이 적용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장착부(71)의 내부에는 상면이 개방된 결합홈(711a)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71)의 양측에는 개방부(711b)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711a)은 개방부(711b)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고정부(72)는 결합부재(722) 및 리턴부재(721)를 포함한다.
결합부재(722)는 제1 부재(722a) 및 제2 부재(722b)를 포함하며, 제1 부재(722a)와 제2 부재(722b)는 리턴부재(721)의 하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결합부재(722)는 결합홈(711a)에 삽입되며, 이때, 결합부재(722)의 제1 부재(722a)와 제2 부재(722b)가 장착부(71)의 내부면에 접하게 되면서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삽입된다. 제1 부재(722a)와 제2 부재(722b)가 삽입되면서 개방부(711b) 부분에 위치하면 휘어진 제1 부재(722a)와 제2 부재(722b)는 원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제1 부재(722a)와 제2 부재(722b)의 외측은 개방부(711b)를 통해 장착부(71) 외부로 노출되면서 장착부(71)에 걸리게 된다.
제1 부재(722a)와 제2 부재(722b)가 장착부(71)에 걸리면 고정부(72)와 장착부(71)는 분리되지 않는다. 리턴부재(721)에는 블라인드 줄(5)이 통과하는 리턴홀(721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위 설명과 도 8 및 도 9에서 제1 부재(722a)와 제2 부재(722b)가 결합부재(722)의 하면에 직접 연결된 것으로 하였으나, 제1 부재(722a)와 제2 부재(722b)의 상측이 패널(도시하지 않음)로 서로 연결되고, 패널이 리턴부재(721)에 힌지(도시하지 않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결합부재(722)와 리턴부재(721)는 서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72)를 장착부(71)에 결합하면, 블라인드 줄(5)은 팽팽한 상태가 된다. 팽팽한 블라인드 줄(5)은 유아, 어린이들이 당겨도 쉽게 벌어지지 않으므로 블라인드 줄(5) 사이로 유아, 어린이들이 머리를 넣을 수 없어 목 졸림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블라인드 2: 프레임
3: 구동부 31, 32: 릴
4: 차양막 41: 차양바
5: 블라인드 줄 6: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61, 71: 장착부 611: 결합턱
611a, 711a: 결합홈 612: 격벽
612a: 수용공간 613: 받침턱
614: 고정수단 614a: 홈
62: 고정부 621: 리턴부재
621a, 721a: 리턴공간 621b: 회전공간
622: 결합부재 623: 회전레버
624: 손잡이 624a, 625a: 샤프트
625: 회전체 626: 볼트
627: 돌기 627a: 걸림턱
628: 중량부재

Claims (6)

  1.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는 장착부 그리고
    블라인드 줄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장착부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블라인드 줄이 통과할 수 있는 리턴공간을 가지는 리턴부재,
    상기 리턴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 및
    상기 리턴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중량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장착부에 결합하면 상기 블라인드 줄이 당겨지면서 팽팽해질 수 있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장착부에서 분리되면 상기 중량부재는 상기 블라이드 줄에 하중을 가하는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중량부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결합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걸리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3. 삭제
  4. 제2항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리턴부재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회전레버 및
    상기 회전레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부에 걸리는 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의 끝은 구부러져 상기 장착부의 배면에 걸리는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장착부를 상기 대상물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양면 테이프, 벨크로 및 상기 장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나사못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6.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는 차양막,
    일측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블라인드 줄, 그리고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의 고정부는 상기 블라인드 줄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부는 대상물에 고정되는
    블라인드.
KR1020140043745A 2013-08-05 2014-04-11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KR101659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2841 2013-08-05
KR1020130092841 2013-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882A KR20150016882A (ko) 2015-02-13
KR101659398B1 true KR101659398B1 (ko) 2016-09-23

Family

ID=5257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745A KR101659398B1 (ko) 2013-08-05 2014-04-11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3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039A (ko) 2020-10-20 2022-04-27 권중곤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303B1 (ko) * 2017-07-20 2018-08-29 이호기 롤 블라인드 전동장치
JP7219655B2 (ja) * 2019-03-28 2023-02-08 トーソー株式会社 コード規制部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6Y1 (ko) 2005-08-19 2005-11-15 (주) 코인씨앤엠 버티컬 블라인드의 조정줄 가이드 웨이트
KR101283990B1 (ko) 2012-10-10 2013-07-09 홍문기 안전사고 방지용 블라인드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721B1 (ko) 2011-07-01 2013-09-10 주식회사 윈플러스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
KR20120007526U (ko) 2012-09-28 2012-10-31 김명진 유아 보호용 블라인드 줄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6Y1 (ko) 2005-08-19 2005-11-15 (주) 코인씨앤엠 버티컬 블라인드의 조정줄 가이드 웨이트
KR101283990B1 (ko) 2012-10-10 2013-07-09 홍문기 안전사고 방지용 블라인드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039A (ko) 2020-10-20 2022-04-27 권중곤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882A (ko) 2015-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2300B2 (en) Window blind
US6957680B2 (en) Framed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
US6328090B1 (en) Framed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
TWI625456B (zh) No exposed drawstring horizontal blinds
JP3163685U (ja) ブラインドシステム
KR102275092B1 (ko) 코드 없는 직물 베네치안 창 가리개 조립체
KR100905665B1 (ko) 롤블라인드용 권취롤장치
US9341020B1 (en) Single pull-cord controller of roman shade
US20110247765A1 (en) Window Covering
KR101659398B1 (ko)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CA3050759A1 (en) Enclosure for blind
US20070000618A1 (en) Roman blind assembly
KR20140000217U (ko) 위치 결정 효과가 있는 커튼용 싱글 당김 로프 구동 장치
TWM428992U (en) Track type sunshade device
KR20120100472A (ko) 스토퍼를 구비한 롤 스크린
KR20160012418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차양장치
KR200476979Y1 (ko) 차양막 처짐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장치
KR200427481Y1 (ko) 롤브라인드의 권취장치
KR101283990B1 (ko) 안전사고 방지용 블라인드 조절장치
ITMI20060435A1 (it) Schermo per proiezione acvvolgibile
KR102629236B1 (ko)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TWM561724U (zh) 窗簾用之拉動繩隱藏裝置
TWM461553U (zh) 遮陽簾
KR101703481B1 (ko) 블라인드 조작 장치
JPH025927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