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270B1 - 접합 테이프 - Google Patents

접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270B1
KR101659270B1 KR1020140186963A KR20140186963A KR101659270B1 KR 101659270 B1 KR101659270 B1 KR 101659270B1 KR 1020140186963 A KR1020140186963 A KR 1020140186963A KR 20140186963 A KR20140186963 A KR 20140186963A KR 101659270 B1 KR101659270 B1 KR 10165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op portion
solid
patterns
height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666A (ko
Inventor
박종대
우진태
임종윤
전일호
Original Assignee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2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접합 테이프가 제공된다. 접합 테이프는 지지층, 및 지지층의 일면에 배치된 접합층을 포함하되, 접합층의 일면에는 복수의 제1 입체 패턴이 형성되고, 지지층의 타면에는 복수의 제2 입체 패턴이 형성되며, 각 제1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1 정상부, 제1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이 제1 골부를 포함하고, 각 제2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2 정상부, 제2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이 제2 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합 테이프{Adhesive tape}
본 발명은 접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접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접합 테이프는 다양한 분야에서 부재를 결합하게 위해 사용되어 왔다. 최근 들어서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 LED TV, OLED TV 등의 디지털 TV,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서도 부재를 고정시키거나, 충격 흡수, 차광, 전자파 차폐 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필요가 대두되었고,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이 복합화된 접합 테이프가 개발되고 있다.
그만큼, 접합 테이프의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고, 피부착 물체도 다양해지고 있다. 그에 따라 접합 테이프가 피부착 표면이 매끄럽지 않거나, 절곡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되는 경우도 늘어날 수 있다. 그런데, 피부착 물체가 절곡되어 있고, 절곡면에 접합 테이프를 붙이게 되면, 절곡 부위 접합 테이프의 내측과 외측에서 응력과 인장력의 상이로 인하여 접합 테이프가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고, 들뜨거나 파단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030397호, 대한민국 특허 제132030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절곡 구조물에도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한 접합 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배치된 접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접합층의 일면에는 복수의 제1 입체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층의 타면에는 복수의 제2 입체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각 제1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1 정상부, 상기 제1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이 제1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2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2 정상부, 상기 제2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이 제2 골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제1 지지층, 상기 제1 지지층의 일면에 배치된 제2 지지층, 및 상기 제2 지지층의 일면에 배치된 접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접합층의 일면에는 복수의 제1 입체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층의 타면에는 복수의 제2 입체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각 제1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1 정상부, 상기 제1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이 제1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2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2 정상부, 상기 제2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이 제2 골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접합층, 및 상기 지지층의 타면에 배치된 제2 접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접합층의 일면에는 복수의 제1 입체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합층의 타면에는 복수의 제2 입체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각 제1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1 정상부, 상기 제1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이 제1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2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2 정상부, 상기 제2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이 제2 골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일면에는 복수의 제1 입체 패턴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복수의 제2 입체 패턴이 형성된 접합층을 포함하되, 상기 각 제1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1 정상부, 상기 제1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이 제1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2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2 정상부, 상기 제2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이 제2 골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접합 테이프의 양 외측에 입체 패턴을 구비함으로써, 절곡된 피부착 물체에도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입체 패턴이 섬형으로 형성되고, 제1 방향과 제2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배열된 경우, 제1 방향 뿐만 아니라 제2 방향으로도 접혀서 쉽게 부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합층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합층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합층과 지지층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양 외측면에 입체 패턴을 갖지 않는 접합 테이프를 절곡된 피부착면에 부착시킨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접합 테이프를 절곡된 피부착면에 부착시킨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합층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합층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합층과 지지층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1)는 지지층(200) 및 지지층(200)의 일면에 배치된 접합층(100)을 포함한다. 접합층(100)의 일면에는 이형 필름(30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층(200)은 접합층(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층(200)은 기재 또는 기능성층일 수 있다. 지지층(200)으로 적용될 수 있는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접합층(100)은 지지층(200)의 일면에 배치된다. 접합층(100)은 접착력을 갖는 접착제 또는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층(100)은 러버계, 폴리우레탄계, 변성실리콘계, 아크릴계 등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합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합 물질의 점도는 10~100,000cps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0~3,000cps,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2,000cps일 수 있다.
접합층(100)의 일면은 피부착 물체에 부착되는 면으로서, 표면에 복수의 제1 입체 패턴(11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입체 패턴(110)의 하단에는 완화부(120)가 형성되어 각 제1 입체 패턴(110)의 하단을 연결할 수 있다. 지지층(200)을 기준으로 완화부(120)가 제1 입체 패턴(110)보다 더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각 제1 입체 패턴(11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피치로 배열될 수 있다.
각 제1 입체 패턴(110)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는 정상부(110h), 정상부(100h)로부터 하향 경사진 경사부(110s),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인 골부(110v)를 포함한다.
정상부(110h)는 소정 넓이를 갖는 면을 이룬다. 정상부(110h)는 지지층(200)의 일면 또는 완화부(120)에 대하여 평행할 수 있다. 정상부(110h)는 평탄할 수 있다. 정상부(110h)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부(110h)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과 같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정상부(110h)의 평면 형상이 정사각형인 경우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부(110s)는 정상부(110h)로부터 하향 경사진 영역이다. 경사부(110s)는 정상부(110h)의 각 변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정상부(110h)의 평면 형상이 정사각형인 경우, 경사부(110s)는 4개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4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경사면은 각각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경사부(110s)의 하단은 골부(110v)로 정의된다. 이웃하는 제1 입체 패턴(110) 사이의 인접한 경사부(110s)가 만나 골부(110v)를 형성한다. 골부(110v)는 평면상 선분 형상으로 정의된다. 경사부(110s)의 경사면이 4개이므로, 하나의 제1 입체 패턴(110)에 4개의 선분으로 이루어진 골부(110v)가 정의될 수 있다. 4개의 선분을 연결하면, 정상부(110h)와 닮은꼴로서 정상부(110h)보다 확대된 정사각형이 정의될 수 있다. 모든 골부(110v)를 연결하면 바둑판 모양이 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입체 패턴(110)은 제1 방향(X1) 및 제2 방향(X2)을 따라서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X1)은 정상부(110h)의 2개의 선분에 평행하고, 제2 방향(X2)은 정상부(110h)의 다른 2개의 선분에 평행한 방향이다. 복수의 제1 입체 패턴(110)은 평면상 매트릭스 형상 또는 체스판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입체 패턴(110)의 골부(110v)는 제1 방향(X1) 및 제2 방향(X2)을 따라 일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합층(100)에서 두께가 가장 작은 부분은 제1 입체 패턴(110)의 골부(110v)이다. 따라서, 접합 테이프(11)가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1 입체 패턴(110)의 정상부(110h)나 경사부(110s)보다는 두께가 얇은 제1 입체 패턴(110)의 골부(110v)에서 주로 꺾이게 된다. 이웃하는 골부(110v)가 연장되어 있으므로, 접합 테이프(11)는 골부(110v)의 연장 방향인 제1 방향(X1) 또는 제2 방향(X2)으로 꺾일 수 있다.
정상부(110h), 경사부(110s)와 골부(110v)에 의해 정의되는 제1 입체 패턴(110)의 단면은 윗변(정상부의 폭)과 아래변(골부 사이의 폭)이 평행한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단면에서 정상부(110h)의 폭(w1)은 골부(110v) 사이의 폭(w2)보다 작다. 사다리꼴을 기준으로 양쪽에 위치하는 경사부의 경사각(θ1, θ2)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양 경사각(θ1, θ2)의 합은 90°이거나 90°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실제로 부착되는 면이 되는 정상부(110h)의 상대적인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양 경사각의 합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합층(100)의 타면은 지지층(200)에 결합되어 있는 면으로서, 평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접합층(100)의 일면에는 이형 필름(30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형 필름(300)은 접합 테이프(11)가 피부착 물체에 부착될 때 제거되는 부분이다. 이형 필름(300)은 실리콘 박리 코팅을 갖는 중합체 코팅 종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폴리에틸렌 코팅된 PET 필름, 또는 종이 재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형 필름(300)의 일면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인쇄층(미도시)이 추가로 구비 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문자, 그림, 기호, 로고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인쇄층의 상기 패턴은 접합 테이프(11)의 굽힘 특성이 최적화 되는 방향을 표시하는 형상일 수 있다. 섬형의 입체 패턴을 채용하는 경우, 제1 방향(X1) 및 제2 방향(X2)이 모두 인쇄될 것이다. 굽힘 방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이형 필름(300)의 타면에는 접합층(100) 일면의 제1 입체 패턴(110)에 상응하는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접합층(100) 일면의 제1 입체 패턴(110)은 이형 필름(300) 타면의 요철 구조가 가압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형 필름(300)의 일면은 평탄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합층(100)의 타면에 배치되는 지지층(200)의 일면은 접합층(100)의 타면 형상에 형합하며, 평탄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층(200)의 타면은 표면에 복수의 제2 입체 패턴(210)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입체 패턴(210)은 상술한 제1 입체 패턴(110)과 닮은꼴로 형성될 수 있고, 나아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입체 패턴(210)의 경우에도 정상부(210h), 경사부(210s) 및 골부(210v)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배치와 크기는 제1 입체 패턴(110)의 그것과 동일할 수 있다. 아울러, 펴진 상태에서 제1 입체 패턴(110)과 제2 입체 패턴(210)의 평면 위치는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입체 패턴(110)의 골부(110v)와 제2 입체 패턴(210)의 골부(110v)는 상호 완전히 오버랩될 수 있다.
지지층(200)의 타면은 접합 테이프(11)의 최외측면일 수 있다. 이 경우, 접합 테이프(11)는 부착을 위해 이형 필름(300)이 제거된 상태에서 양쪽 외측면(일측은 접합층(100)의 일면이고, 타측은 지지층(200)의 타면)에 동일한 형상의 입체 패턴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접합 테이프(11)는 제1 입체 패턴(110)의 정상부(110h)와 제2 입체 패턴(210)의 정상부(210h)가 오버랩되는 최대 두께 영역과 제1 입체 패턴(110)의 골부(110v)와 제2 입체 패턴(210)의 골부(210v)가 오버랩되는 최소 두께 영역을 포함한다. 최대 두께 영역과 최소 두께 영역은 각각 일정한 피치를 가지며 반복될 수 있다.
지지층(200)은 예를 들어, 기재, 쿠션층, 차광층, 색상층, 방열층, 전자파 차폐층 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층(200)은 접합층(100)과 동일한 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층(200)이 기재일 경우, 상기 기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메틸 메탈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층(200)이 쿠션층일 경우, 상기 쿠션층은 발포제로부터 발포되어 형성된 복수의 미세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 기공은 폐쇄 기공일 수 있다. 쿠션층 전체의 체적에 대한 복수 미세 기공의 공극률은 20% 내지 80%일 수 있다. 각 미세 기공의 크기(직경)는 10㎛ 내지 7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쿠션층의 두께는 100㎛ 내지 300㎛일 수 있다.
지지층(200)이 차광층일 경우, 상기 차광층은 차광 물질, 예컨대 블랙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안료의 예로는 카본 블랙, CNT, 산화철 등을 들 수 있으며, 차광층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블랙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 내의 블랙 안료 비율은 차광층을 구성하는 전체 조성물 대비 약 5 내지 15중량% 이거나, 약 10중량%일 수 있다.
지지층(200)이 색상층일 경우, 상기 차광층의 블랙 안료 대산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안료나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200)이 전자파 차폐층일 경우, 금속 박막이나 금속 코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박막층은 Cu, Ni, Au, Ag, Zn, Sn 이들의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CNT, 금속 나노 와이어, 도전성 폴리머, 그래핀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전자파 차폐층은 표면 최대 저항(Surface Resistivity Max)이 약 10Ω/□ 이하이고, 최소 차폐 효능(Shielding Effectiveness Min)이 약 60dB 이상일 수 있다.
그 밖에도 방열층이나 기타 다른 기능성층이 지지층(200)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양 외측면에 입체 패턴을 갖지 않는 접합 테이프를 절곡된 피부착면에 부착시킨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접합 테이프를 절곡된 피부착면에 부착시킨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90°로 절곡되어 있는 피부착 물체(600)의 바닥면(610)과 측벽(620) 전체에 입체 패턴을 갖지 않는 접합 테이프(710)를 부착하면, 접합 테이프(710)의 상면인 지지층(712) 또는 접합층은 과도한 응력을 가지고, 접합 테이프(710)의 하면인 접합층(711)은 과도한 인장력을 갖게 된다. 이처럼, 접합 테이프(710)의 상면과 하면에 과도한 응력과 인장력이 발생하면 접합 테이프(710)에 파단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BP) 안쪽 끝단에 접합 테이프(710)의 들뜸 현상이 발생하여 파단 불량이 더욱 가중될 수 있고, 접합 테이프(710)의 접합 불량이 나타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90°로 절곡되어 있는 피부착 물체(600)의 바닥면(610)과 측벽(620) 전체에 도 1의 접합 테이프(11)를 부착하면, 절곡부(BP)에서 접합 테이프(11)의 외측, 다시 말해 접합면 측에 위치하는 제1 입체 패턴(110)은 골부(110v)가 더욱 펴지고,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입체 패턴(210)은 골부(210v)를 중심으로 접히게 된다. 절곡부(BP)에 인접한 제1 입체 패턴(110)은 골부(110v)가 완전히 펴지면, 그에 이웃하는 경사부(110s)까지는 피부착 물체(600)로부터 들뜨더라도, 인접한 정상부(110h)는 피부착 물체(600)의 바닥면(610)과 측벽(6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는 접합 테이프(11)의 하면인 접합층(100)과 접합 테이프(11)의 상면인 지지층(200)의 응력과 인장력이 상호 유사해지므로, 파단 불량이 억제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1)에 의하면, 접합 테이프(11)의 양 외측에 입체 패턴(110, 210)을 구비함으로써, 절곡된 피부착 물체(600)에도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입체 패턴(110, 210)이 섬형으로 형성되고, 제1 방향(X1)과 제2 방향(X2)을 따라 균일하게 배열된 경우, 제1 방향(X1) 뿐만 아니라 제2 방향(X2)으로도 접혀서 쉽게 부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입체 패턴(110)과 제2 입체 패턴(210)이 제1 방향(X1)을 따라 연장된 라인 타입이고, 제2 방향(X2)을 따라서 균일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합 테이프(11)가 하나의 방향으로만 쉽게 접히게 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는 제1 입체 패턴(110)의 정상부(110h)의 면적이 제1 입체 패턴(110) 연장 방향을 따라 길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부착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결합력이 더욱 증가할 수 있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2)는 제1 입체 패턴(110)과 제2 입체 패턴(210)의 평면 배치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고 엇갈린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입체 패턴(110)의 골부(110v)는 제2 입체 패턴(210)의 정상부(210h)의 중심에 오버랩되고, 제1 입체 패턴(110)의 정상부(110h)의 중심은 제2 입체 패턴(210)의 골부(210v)와 오버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절곡된 피부착 물체에 부착될 때, 제1 입체 패턴(110)의 골부(110v)가 펴지고, 그를 중심으로 좌우로 엇갈려 인접 배치된 2개의 제2 입체 패턴(210)의 골부(210v)가 접히게 될 것이다. 이 경우에도, 제1 입체 패턴(110) 측의 인장력과 제2 입체 패턴(210)의 응력이 각각 줄어들게 되므로, 절곡된 피부착 물체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입체 패턴(110)과 제2 입체 패턴(210)이 반주기(T/2) 만큼 엇갈린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엇갈린 정도가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3)는 접합층(100)의 타면에 복수개의 층이 배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접합층(100)의 타면에 기재(150)가 배치되고, 기재(150)의 타면에 기능성층(201), 예컨대 쿠션층, 차광층, 색상층, 방열층, 전자파 차폐층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최외곽에 위치하는 기능성층(201)의 타면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제2 입체 패턴(211)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기능성층 대신 제2 접합층(202)이 배치된 점이 도 8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제2 접합층(202)의 타면에는 제2 이형 필름(30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합층(100)은 도 8의 접합층(100)과 동일하고, 제1 이형 필름(300)은 도 8의 이형 필름(300)과 동일하다.
제2 접합층(202)은 제1 접합층(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2 이형 필름(302)은 제1 이형 필름(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기재(150)의 양면에 각각 접합층(100, 202)이 배치되어 있어, 양면 접합 테이프로 적용가능하다. 피부착 물체에 부착될 때 제1 이형 필름(300)과 제2 이형 필름(302)은 모두 박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90°로 절곡되어 있는 피부착 물체의 바닥면과 측벽 전체에 도 9의 접합 테이프(14)를 부착하면 절곡부에서 접합 테이프(14)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입체 패턴(110)은 골부가 더욱 펴지고,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입체 패턴(212)은 골부를 중심으로 접히게 된다. 제1 접합층(100)의 경우에는 도 6을 참조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제2 접합층(202)의 경우에는 제2 입체 패턴(212)은 골부를 중심으로 접히면서, 인접한 경사부끼리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착 물체에 대한 더욱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제2 입체 패턴(212)의 경우 양 경사각의 합이 90° 이상인 것이, 접합 테이프(14)가 절곡될 때, 이웃하는 양 경사면이 맞닿아 상호 결합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므로, 안정적인 결합에 유리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1)는 무기재 타입의 접합 테이프(15)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9의 실시예에서 기재가 생략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도 9의 제1 접합층(100)과 제2 접합층(202)이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접합층(350)으로 통합된다. 접합층(350)의 일면에는 제1 입체 패턴(351)이 형성되고, 접합층(350)의 타면에는 제2 입체 패턴(35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입체 패턴(351)과 제2 입체 패턴(352)은 단위 면적 당 접합력이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9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기재
110: 제1 입체 패턴
200: 지지층
210: 제2 입체 패턴
300: 이형 필름

Claims (15)

  1.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배치된 접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접합층의 일면에는 복수의 제1 입체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층의 타면에는 복수의 제2 입체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각 제1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1 정상부, 상기 제1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인 제1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2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2 정상부, 상기 제2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인 제2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체 패턴은 양쪽에 위치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입체 패턴의 양쪽에 위치하는 경사부의 경사각의 합은 90도 이상인 접합 테이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층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입체 패턴에 상응하는 요철 패턴을 포함하는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기재, 쿠션층, 차광층, 색상층, 방열층, 또는 전자파 차폐층인 접합 테이프.
  4. 제1 지지층;
    상기 제1 지지층의 일면에 배치된 제2 지지층; 및
    상기 제2 지지층의 일면에 배치된 접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접합층의 일면에는 복수의 제1 입체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층의 타면에는 복수의 제2 입체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각 제1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1 정상부, 상기 제1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인 제1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2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2 정상부, 상기 제2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인 제2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체 패턴은 양쪽에 위치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입체 패턴의 양쪽에 위치하는 경사부의 경사각의 합은 90도 이상인 접합 테이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층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입체 패턴에 상응하는 요철 패턴을 포함하는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층은 기재이고,
    상기 제1 지지층은 쿠션층, 차광층, 색상층, 방열층, 또는 전자파 차폐층인 접합 테이프.
  7. 지지층;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접합층;
    상기 제1 접합층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이형 필름;
    상기 제1 이형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며, 방향을 표시하는 인쇄 패턴을 포함하는 인쇄층; 및
    상기 지지층의 타면에 배치된 제2 접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접합층의 일면에는 복수의 제1 입체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이형 필름은 상기 제1 입체 패턴에 상응하는 요철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합층의 타면에는 복수의 제2 입체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각 제1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1 정상부, 상기 제1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인 제1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골부는 이웃하는 상기 제1 입체 패턴들의 상기 제1 경사부들이 만나 형성되어 평면상 선분 형상이고,
    상기 각 제2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2 정상부, 상기 제2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인 제2 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골부는 이웃하는 상기 제2 입체 패턴들의 상기 제2 경사부들이 만나 형성되어 평면상 선분 형상인 접합 테이프.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층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입체 패턴에 상응하는 요철 패턴을 포함하는 제2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기재, 쿠션층, 차광층, 색상층, 방열층, 또는 전자파 차폐층인 접합 테이프.
  10. 일면에는 복수의 제1 입체 패턴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복수의 제2 입체 패턴이 형성된 접합층;
    상기 접합층의 상기 일면에 배치된 제1 이형 필름; 및
    상기 제1 이형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며, 방향을 표시하는 인쇄 패턴을 포함하는 인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이형 필름은 상기 제1 입체 패턴에 상응하는 요철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1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1 정상부, 상기 제1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인 제1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골부는 이웃하는 상기 제1 입체 패턴들의 상기 제1 경사부들이 만나 형성되어 평면상 선분 형상이고,
    상기 각 제2 입체 패턴은 높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제2 정상부, 상기 제2 정상부로터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부 및 높이 방향으로 가장 저점인 제2 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골부는 이웃하는 상기 제2 입체 패턴들의 상기 제2 경사부들이 만나 형성되어 평면상 선분 형상인 접합 테이프.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층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입체 패턴에 상응하는 요철 패턴을 포함하는 제2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12. 제1 항, 제4 항, 제7 항, 및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입체 패턴은 동일한 형상 및 피치로 배열되고,
    상기 각 제2 입체 패턴은 동일한 형상 및 피치로 배열되고,
    상기 제1 입체 패턴은 양쪽에 위치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체 패턴의 양쪽에 위치하는 경사부의 경사각의 합은 90도 이상인 접합 테이프.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체 패턴과 상기 제2 입체 패턴의 단면은 윗변과 아래변이 평행하고, 아래변의 길이가 윗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인 접합 테이프.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체 패턴의 상기 제1 정상부와 상기 제2 입체 패턴의 상기 제2 정상부의 평면 형상은 정사각형이고,
    상기 제1 입체 패턴의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2 입체 패턴의 상기 제2 경사부는 각각 상기 제1 정상부 및 제2 정상부로부터 하향 경사진 4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체 패턴과 상기 제2 입체 패턴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입체 패턴과 상기 제2 입체 패턴의 평면 위치는 동일한 접합 테이프.
KR1020140186963A 2014-12-23 2014-12-23 접합 테이프 KR101659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963A KR101659270B1 (ko) 2014-12-23 2014-12-23 접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963A KR101659270B1 (ko) 2014-12-23 2014-12-23 접합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666A KR20160076666A (ko) 2016-07-01
KR101659270B1 true KR101659270B1 (ko) 2016-09-26

Family

ID=5650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963A KR101659270B1 (ko) 2014-12-23 2014-12-23 접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2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020A (ja) * 2002-05-22 2003-11-2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両面粘着シート、粘着シート積層板材及び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36U (ja) * 1992-02-24 1994-02-08 明和グラビア株式会社 装飾用貼着シート
JPH06212131A (ja) * 1993-01-19 1994-08-02 Sekisui Chem Co Ltd 再剥離の容易な装飾用粘着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施工方法
US6524675B1 (en) * 1999-05-13 2003-02-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back articles
US6759110B1 (en) 2000-08-15 2004-07-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uctured release liners with improved adhesion to adhesive art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020A (ja) * 2002-05-22 2003-11-2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両面粘着シート、粘着シート積層板材及び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666A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48713B (zh) 面板底片和包括其的显示装置
KR102404974B1 (ko) 표시 장치
JP4669069B2 (ja) メッシュシート及び電子機器の筐体部品
TWI580270B (zh) 視窗結構、製造視窗結構之方法、裝備有包含視窗結構之相機之電子裝置及其製造方法
RU2605937C2 (ru) Деформируем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JP6087151B2 (ja) タイル、タイルと担体の集合体、集合体製造方法
CN109216412A (zh) 显示装置
CN110556057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6864187B2 (ja) タッチセンサ
US20130122251A1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210034121A1 (en) Panel bottom sheet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TWM504700U (zh) 用於可攜式電子裝置的非平面鋼化玻璃保護貼
KR101659270B1 (ko) 접합 테이프
CN113314031B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20160076665A (ko) 접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JP2013019690A5 (ko)
CN215868475U (zh) 柔性透明led显示屏
TWI707467B (zh) 防水發光模組
TWI577557B (zh) 真空貼片
TWI449477B (zh) 可撓折基板與含有其之照明裝置
CN112885254A (zh) 柔性透明led显示屏
KR20160005983A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55896B1 (ko) 접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4302A (ko)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490527B2 (en)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and apparatus comprising electrical conn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