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015B1 -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015B1
KR101658015B1 KR1020150101230A KR20150101230A KR101658015B1 KR 101658015 B1 KR101658015 B1 KR 101658015B1 KR 1020150101230 A KR1020150101230 A KR 1020150101230A KR 20150101230 A KR20150101230 A KR 20150101230A KR 101658015 B1 KR101658015 B1 KR 101658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block body
side wall
block
side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블럭의 외관과 골격을 블럭몸체(50)가 형성한다. 상기 블럭몸체(50)에는 제1부품장착부(60)가 형성된다. 상기 제1부품장착부(60)에는 장착공간(6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62)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64)과 상기 제1측벽(64)과 양단이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측벽(66)에 의해 외부와 구획된다. 상기 제2측벽(66)중 적어도 하나에는 관통부(68)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68)에는 상기 제2측벽(66)의 선단에서 기저부를 향해 누름편(70)이 연장된다. 상기 누름편(70)은 상기 장착공간(62)에 장착되는 부품(80)의 외면에 있는 돌기(84)에 자유단부가 걸어져 부품(80)이 장착공간(6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누름편(70)은 상기 제2측벽(66)의 선단쪽에 기저부가 연결되고 자유단부가 상기 제2측벽(66)의 기저부를 향해 연장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상기 제2측벽(66)이 부품(80)의 대응되는 측면의 대부분을 감싸도록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품(80)이 제1부품장착부(60)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착되는 부품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블럭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로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차량용 블럭에는 퓨즈, 릴레이, 저항과 같은 부품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부품들은 차량용 블럭의 부품장착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이는 자동차는 동작중에 많은 진동과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만약, 차량용 블럭에 설치된 부품이 부품장착부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지 않게 되면, 자동차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해 부품장착부에서 분리되어 자동차가 동작되지 않거나 특정 부품이 동작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릴레이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진동과 충격에 의해 그 설치상태가 훼손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아래의 선행기술에서는 걸이편(38)에 형성된 걸이공(36)에 부품(50)에 형성된 돌기가 안착되어 걸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걸이편(38)은 부품(50)의 대응되는 측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아 부품(50)의 측면 일부만을 덮도록 된다. 이는 상기 걸이편(38)의 크기가 부품(5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을 의미하고, 부품(50)에 작용하는 충격 등에 의해 상기 걸이편(38)이 훼손되기가 쉬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48376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장착부에 장착되는 부품이 보다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과 골격을 구성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일측 외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제1부품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공간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과 양단에서 각각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2측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2측벽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부품의 외면에 있는 돌기가 위치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제2측벽의 선단에서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을 향해 연장되는 누름편이 구비되어 상기 누름편의 자유단부에 상기 돌기가 걸어져 상기 부품이 장착공간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2측벽의 폭방향 중앙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까지 형성된다.
상기 제2측벽의 선단 양측에는 상기 제1측벽과 만나는 부분을 제거한 모서리절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측벽의 양단에 있는 상기 모서리절결부의 최 내측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 상 또는 그 주변에 상기 누름편의 기저부가 위치한다.
상기 제1부품장착부가 형성된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가장자리의 양단에는 장착구가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에 직교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장착구가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되면 상기 제1부품장착부가 형성된 블럭몸체의 외면이 자동차의 고정부에 직교하게 된다.
상기 제2측벽의 선단 내면에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부품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의 안내면을 안내한다.
상기 누름편은 외팔보 형상의 사각판으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부품장착부를 구성하는 측벽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일측에서 누름편이 상기 측벽의 기저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부품의 외면에 돌출된 돌기를 걸어서 고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품장착부의 측벽이 부품의 측면 대부분을 둘러싸면서 견고하게 부품을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부품의 돌기에 걸어지는 누름편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측벽의 관통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탄성변형이 원활하다. 따라서, 상기 누름편을 탄성변형시키면서 부품을 부품장착부에서 착탈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외관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장착부의 중요부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장착부에 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장착부에 부품의 돌기가 누름편에 걸어져 부품이 부품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장착부에 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장착부에 장착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의 외관과 골격을 블럭몸체(50)가 형성한다. 상기 블럭몸체(50)의 구성은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일부만이 도시된다. 상기 블럭몸체(5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결합편(52)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결합편(52)에는 결합공(54)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공(54)에는 블럭몸체(50)를 구성하는 다른 한쪽 부분의 돌기가 걸어진다.
상기 블럭몸체(5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데, 가장자리 중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부분의 양단에는 장착구(56)가 있다. 상기 장착구(56)는 블럭몸체(50)를 자동차의 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구(56)에는 각각 절결공(58)이 형성되고, 상기 절결공(58)에는 방진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방진구를 관통하여 체결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죄어짐에 의해 블럭몸체(50)가 자동차의 고정부에 고정된다. 상기 장착구(56)의 양측 단부에는 보호벽(5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벽(59)은 상기 체결볼트나 체결너트에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구(56)는 상기 블럭몸체(50)의 일측 외면에 직교하게 돌출되어 상기 장착구(56)가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되면 상기 블럭몸체(50)의 외면은 자동차의 고정부에 대해 직교하게 된다.
상기 블럭몸체(50)의 외면, 즉, 상기 장착구(56)가 돌출되어 있는 외면에는 제1부품장착부(60)와 제2부품장착부(60')가 형성된다. 상기 제1부품장착부(6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80)이 장착된다. 상기 제2부품장착부(60')에는 부품(80)과는 다른 형상을 가지는 부품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부품장착부(60,60')외에도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나 단자가 장착되는 구성들도 있으나,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부품장착부(60)는 아래에서 설명될 형상을 가지는 부품(80)이 장착된다. 상기 제1부품장착부(60)의 내부에는 장착공간(6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62)은 상기 블럭몸체(50)의 외면이 향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개방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장착공간(62)은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장착공간(62)을 외부와 구획하는 것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64)과 상기 제1측벽(64)들과 서로 직교하면서 또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측벽(66)이다. 여기서 상기 제1측벽(64)과 제2측벽(66)은 상기 장착공간(62) 내에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80)의 높이의 대략 90%정도까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된다. 즉, 부품(80)의 측면의 대부분을 덮도록 제1측벽(64)과 제2측벽(66)의 면적이 결정된다. 상기 제1측벽(64)과 제2측벽(66)은 각각 대략 4각의 판형상으로 된다. 물론, 완벽한 사각형 판상으로 상기 제1측벽(64)과 제2측벽(66)이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측벽(66)의 선단 내면에는 각각 안내경사면(66')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66')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80)의 돌기(84)가 상기 장착공간(62)으로 들어가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안내경사면(66')이 있음으로 해서 부품(80)이 장착공간(62)으로 삽입되는 것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
상기 제2측벽(66)의 선단 양측에는 모서리절결부(67)가 있다. 상기 모서리절결부(67)는 상기 제1측벽(64)과 만나는 부분 중에서 제2측벽(66)의 선단을 일부 제거되어 만들어진다. 상기 모서리절결부(67)가 있음으로 해서 상기 제2측벽(66)의 선단부 중앙, 즉 아래에서 설명될 누름편(70)의 기저부 쪽의 탄성변형이 보다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제2측벽(66)의 양단에 있는 상기 모서리절결부(67)의 최 내측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 상 또는 그 주변에 아래에서 설명된 누름편(70)의 기저부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누름편(70)의 탄성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측벽(66)에는 각각 관통부(68)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68)는 상기 제2측벽(66)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관통부(68)가 상기 블럭몸체(50)의 외면과 만나는 부분까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68)는 상기 제2측벽(66)의 폭방향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68)에는 상기 제2측벽(66)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관통부(68)를 따라 상기 블럭몸체(50)의 외면을 향해 연장되는 누름편(70)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편(70)은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제2측벽(66)의 선단 쪽에서 기저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누름편(70)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80)의 돌기(84) 일측에 자유단부가 걸어진다. 상기 누름편(70)은 직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제2부품장착부(6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제1부품장착부(60)에 장착되는 부품(80)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릴레이와 같은 형상이다. 상기 부품(80)의 외형은 상기 장착공간(6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상기 부품(80)의 외관을 부품몸체(82)가 형성하는데, 상기 부품몸체(82)는 본 실시례에서는 육면체로 된다. 상기 부품몸체(82)의 외면중 서로 반대되는 외면에는 돌기(84)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84)는 상기 제2측벽(66)의 관통부(68)에 위치되고 일측이 상기 누름편(70)의 자유단부에 걸어진다. 상기 돌기(84)에는 안내면(86)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내면(86)은 상기 안내경사면(66')을 따라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내면(86)이 형성된 반대쪽에 누름편(70)의 자유단부가 걸어진다. 상기 부품몸체(82)의 일측 외면에는 다수개의 레그(88)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레그(88)는 도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부품(80)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에서 상기 제1부품장착부(60)에는 상기 부품(80)이 장착된다. 상기 부품(80)은 상기 제1부품장착부(60)의 장착공간(62) 내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부품(80)의 레그(88)가 상기 블럭몸체(50)의 내부에 있는 기판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부품(80)이 상기 장착공간(62)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부품(80)의 돌기(84)는 상기 제2측벽(66)의 선단 내면에 형성된 상기 안내경사면(66')을 따라 안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돌기(84)의 안내면(86)이 상기 안내경사면(66')을 따라 안내된다. 이때, 상기 제2측벽(66)의 선단, 특히 상기 누름편(70)의 기저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탄성변형이 주로 일어나게 된다.
상기 돌기(84)는 상기 안내경사면(66')을 지나 상기 누름편(70)의 기저부를 통과해서 상기 누름편(70)의 자유단부를 통과한다. 상기 누름편(70)의 자유단부를 상기 돌기(84)가 통과하면 상기 누름편(70)이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누름편(70)의 자유단부에 상기 돌기(84)의 일측이 걸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부품(80)의 레그(88)가 블럭몸체(50) 내부에 있는 다른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80)의 4개의 측면은 상기 제1측벽(64)과 제2측벽(66)에 의해 둘러 싸이는데, 부품(80)의 측면의 대부분이 둘러싸이게 된다.
상기 누름편(70)은 상기 부품(80)이 장착공간(62)에서 빠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돌기(84)를 밀어준다. 따라서, 상기 부품(80)의 레그(88)가 블럭몸체(50)의 내부 구성과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편(70)은 상기 제2측벽(66)에 형성된 관통부(68)에 상기 제2측벽(66)의 선단쪽에서부터 시작해서 블럭몸체(50)의 외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누름편(70)이 연결되는 제2측판(66)의 선단 부분이 상기 부품(80)의 외면을 차폐하도록 되면서 부품(80)의 대응되는 외면이 거의 대부분 제2측판(66)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부품(8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블럭몸체(5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누름편(70)에 의해 돌기(84)가 지지되어 장착공간(62)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부품(80)이 제2부품장착부(60)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부품(80)을 상기 장착공간(62)에서 분리해 내기 위해서는 상기 누름편(70)이 상기 부품(80)의 돌기(84)에 걸어진 상태를 해제해야 한다.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누름편(70)을 탄성변형시켜 상기 돌기(84)에서 분리한 후에 상기 부품(80)을 장착공간(62)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부(68)가 상기 블럭몸체(50)의 외면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을 통해 공구를 상기 장착공간(62)의 바닥과 상기 부품(80)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활용하여 부품(80)을 밀어내면 보다 쉽게 부품(80)을 분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누름편(70)이 상기 제2측벽(66) 모두에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2개의 상기 제2측벽(66)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면 된다.
50: 블럭몸체 52: 결합편
54: 결합공 56: 장착구
58: 절결공 59: 보호벽
60: 제1부품장착부 60': 제2부품장착부
62: 장착공간 64: 제1측벽
66: 제2측벽 66': 안내경사면
67: 모서리절결부 68: 관통부
70: 누름편 80: 부품
82: 부품몸체 84: 돌기
86: 안내면 88: 레그

Claims (7)

  1. 외관과 골격을 구성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일측 외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부품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제1부품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공간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과 양단에서 각각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2측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2측벽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부품의 외면에 있는 돌기가 위치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제2측벽의 선단에서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을 향해 연장되는 누름편이 구비되어 상기 누름편의 자유단부에 상기 돌기가 걸어져 상기 부품이 장착공간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2측벽의 폭방향 중앙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까지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의 선단 양측에는 상기 제1측벽과 만나는 부분을 제거한 모서리절결부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의 양단에 있는 상기 모서리절결부의 최 내측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 상 또는 그 주변에 상기 누름편의 기저부가 위치하는 자동차용 블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품장착부가 형성된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가장자리의 양단에는 장착구가 상기 블럭몸체의 외면에 직교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장착구가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되면 상기 제1부품장착부가 형성된 블럭몸체의 외면이 자동차의 고정부에 직교하게 되는 자동차용 블럭.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의 선단 내면에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부품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의 안내면을 안내하는 자동차용 블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은 외팔보 형상의 사각판으로 되는 자동차용 블럭.
KR1020150101230A 2015-07-16 2015-07-16 자동차용 블럭 KR101658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230A KR101658015B1 (ko) 2015-07-16 2015-07-16 자동차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230A KR101658015B1 (ko) 2015-07-16 2015-07-16 자동차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015B1 true KR101658015B1 (ko) 2016-09-20

Family

ID=5710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230A KR101658015B1 (ko) 2015-07-16 2015-07-16 자동차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0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419A (ko) 2016-12-21 2018-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
KR20180003080U (ko) * 2017-04-18 2018-10-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장착장치
KR20190108741A (ko) * 2018-03-15 2019-09-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온도데이터를 사용하는 자동차용 블럭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937A (ko) * 2010-04-22 2011-10-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박스
JP2011234484A (ja) * 2010-04-27 2011-11-17 Yazaki Corp 係止構造
JP2014217230A (ja) * 2013-04-26 2014-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KR101483768B1 (ko) 2013-11-11 2015-01-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박스
KR20150019657A (ko) * 2013-08-14 2015-02-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937A (ko) * 2010-04-22 2011-10-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박스
JP2011234484A (ja) * 2010-04-27 2011-11-17 Yazaki Corp 係止構造
JP2014217230A (ja) * 2013-04-26 2014-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KR20150019657A (ko) * 2013-08-14 2015-02-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체결장치
KR101483768B1 (ko) 2013-11-11 2015-01-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박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419A (ko) 2016-12-21 2018-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
KR20180003080U (ko) * 2017-04-18 2018-10-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장착장치
KR200487874Y1 (ko) * 2017-04-18 2018-11-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장착장치
KR20190108741A (ko) * 2018-03-15 2019-09-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온도데이터를 사용하는 자동차용 블럭
KR102499820B1 (ko) 2018-03-15 2023-02-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온도데이터를 사용하는 자동차용 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2569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101211224B1 (ko) 커넥터 하우징
JP5336259B2 (ja) 電気接続箱のブラケット構造
KR101658015B1 (ko) 자동차용 블럭
US6929489B2 (en) Electric junction box
JP2010259228A (ja) クランプ、及び電子部品内蔵ユニット
JP2007282385A (ja) 車載用の電気接続箱
WO2017213145A1 (ja) 基板ユニット
JP5354227B2 (ja) トレイ式カードコネクタ
US10727659B2 (en) Electric junction box
KR101483768B1 (ko) 자동차용 박스
JP5888801B1 (ja) 電気接続箱
WO2014195284A1 (en)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 electronic, or electro-optical connector
JP2014519170A (ja) 保護されたダイレクトコンタクトを備えたダイレクトプラグエレメント
KR101001887B1 (ko) 차량용 박스
JP5332988B2 (ja) 電気接続箱
JP6029089B2 (ja) 電気接続箱
US9288926B2 (en) Structure for holding electric/electronic component with electric wire
JP6366377B2 (ja) 部品の保持構造、及び、電気接続箱
JP5900839B2 (ja) 電気接続箱
JP6436441B2 (ja) ハーネス保持装置
JP2007149979A (ja) 部品取付用誘導部を備えるプリント基板
JP2024055987A (ja) コネクタ
WO2013038652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05293990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