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838B1 -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838B1
KR101656838B1 KR1020160014065A KR20160014065A KR101656838B1 KR 101656838 B1 KR101656838 B1 KR 101656838B1 KR 1020160014065 A KR1020160014065 A KR 1020160014065A KR 20160014065 A KR20160014065 A KR 20160014065A KR 101656838 B1 KR101656838 B1 KR 101656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quicklime
chamber
stirring
disper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인구
Original Assignee
우인구
주식회사 아남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인구, 주식회사 아남홀딩스 filed Critical 우인구
Priority to KR1020160014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8Sludge treatment by fixation or solidification
    • B01F7/02
    • B01F7/241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B01F2215/0052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4Mixing, stirring of fue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된 하수슬러지(이하, '슬러지'라 칭함.)를 고형화 처리하여 대체연료, 농업용 자재 또는 산업용 자재 등과 같은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슬러지와 생성회를 수용시키는 챔버의 내부공간에 제1차 교반혼합부재와 제2차 교반혼합부재를 구비시고, 슬러지 투입구와 생석회 투입구를 통하여 챔버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슬러지와 생석회를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로써 1차적으로 혼합하여 내부공간의 하부로 낙하시킨 후, 챔버 내부공간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제2차 교반혼합부재로써 슬러지와 생석회를 제2차 혼합하여, 슬러지에 포함된 유해균을 살균하며 슬러지를 고형화시킬 수 있는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Solidification apparatus for sewage sludge}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된 하수슬러지(이하, '슬러지'라 칭함.)를 고형화 처리하여 대체연료, 농업용 자재 또는 산업용 자재 등과 같은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슬러지와 생성회를 수용시키는 챔버의 내부공간에 제1차 교반혼합부재와 제2차 교반혼합부재를 구비시고, 슬러지 투입구와 생석회 투입구를 통하여 챔버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슬러지와 생석회를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로써 1차적으로 혼합하여 내부공간의 하부로 낙하시킨 후, 챔버 내부공간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제2차 교반혼합부재로써 슬러지와 생석회를 제2차 혼합하여, 슬러지에 포함된 유해균을 살균하며 슬러지를 고형화시킬 수 있는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하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하수 슬러지 또는 폐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폐수 슬러지, 양돈 폐수 슬러지, 축분 슬러지, 공정 슬러지 등 기타 유기 물질이 포함된 슬러지의 배출량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슬러지는 크게 육상 매립, 해양 투기, 소각 또는 연료화의 방식으로 처리되고 있으며, 특히 슬러지를 처리하여 고형연료로 재활용하려는 많은 기술들이 발전해 오고 있다.
즉, 최근에는 하수슬러지 등의 폐기물 자원화에 대한 시도와 연구가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고, 그 일환으로 하수슬러지를 토양으로 환원하거나 건축자재로 활용하거나 유효성분을 분해 환원시키거나 또는 고형연료로 재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고 있으며, 그 중 폐기물고형연료(RDF: Refuse Derived Fuel)로 재사용하는 방법은 하수슬러지를 펠렛(pellet), 큐브(cube), 연탄(briquette) 상으로 압축 성형하여 석탄이나 가스 및 석유의 대체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슬러지의 처리효과와 자원의 재활용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하수슬러지는 발생원이나 지역적 특성에 따라 구성 성분도 매우 다양하지만 70~85wt%가 수분이고 나머지가 가연분 및 회분이며, 총량 중 가연분이 10~14wt% 정도를 차지한다. 또한, 건조 고형분 자체의 발열량이 3000~5000kcal/kg-waste이고, 완전연소시 CO,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환경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어 대체연료로서의 가치를 갖는다.
그러나 하수슬러지는 70~85 wt%가 수분이기 때문에 연료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필수적으로 포함되고, 상기 수분제거공정은 전체 공정에 투입되는 에너지의 30~40%를 차지하여 하수슬러지 고형연료의 생산성과 생산비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 수분제거공정의 효율화가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생산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다음은 하수슬러지를 고형화는 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1947호는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고형연료에 관한 것으로서, 슬러지가 수용되는 슬러지 저장조; 상기 슬러지 저장조에 수용된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제1차 건조기; 상기 제1차 건조기에서 건조된 슬러지를 일정한 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상호 이격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드럼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성형기; 상기 슬러지가 상기 드럼에 달라붙지 않게 상기 한 쌍의 드럼에 이형제를 제공하는 이형제 제공부; 및 상기 성형기에서 형성된 슬러지의 함수율을 10% 이하로 낮추는 제2차 건조기;를 포함하는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와 이에 의한 고형연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제1차 및 제2차 건조 사이에 성형기를 배치하고, 상기 성형기에 유입되는 슬러지를 잘게 파쇄하여 고형화하며, 상기 과정에 이형제를 제공하여 성형기에 슬러지가 들러붙지 않게 함으로써 연속적이고 경제적이고 우수한 고형연료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하였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에너지가 지나치게 요구되는 실정이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2844호(2015.12.3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1947호(2015.01.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3141호(2014.08.1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4993호(2009.08.25.)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는 단순히 슬러지와 생석회를 수용시키는 챔버의 내부공간 하부에 교반 스크류만이 구비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혼합성이 미흡하여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과 생석회 간의 반응(소화(消和) 반응)성 및 슬러지에 포함된 유기물질의 가수분해 반응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그 결과 생석회의 소화반응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슬러지의 고형화 처리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슬러지의 고형화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생석회의 소화반응 시에 발생하는 반응열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슬러지에 포함된 유해균의 살멸성 및 탈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슬러지를 투입받는 슬러지 투입구와 생석회를 투입받는 생석회 투입구가 상부에 인접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고형물이 배출되는 고형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슬러지 투입구와 생석회 투입구의 하부에 해당하는 챔버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내부공간으로 투입된 슬러지와 생석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제1차 교반혼합부재 및; 상기 챔버 내부공간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교반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에서 낙하한 혼합물을 재혼합하여 고형물을 만드는 제2차 교반혼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는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로써 슬러지 투입구와 생석회 투입구를 통하여 챔버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슬러지와 생석회를 1차적으로 혼합하고, 챔버의 내부공간 하부에서 상기 제2차 교반혼합부재로써 제2차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슬러지와 생석회의 혼합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과 생석회 간의 소화반응성이 향상되어, 슬러지의 고형화 처리시간이 단축되고, 슬러지의 고형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생석회와 수분 간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생석회의 소화반응 시에 발생하는 반응열의 온도를 높일 수 있고, 그에 따른 유해균의 살멸성 및 탈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의 슬러지 분산판과 교반로터를 구체화하여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의 슬러지 분산판과 교반로터를 구체화하여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의 생석회 분산판을 구체화하여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의 생석회 분산판을 구체화하여 나타내는 측 단면도.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된 하수슬러지(이하, '슬러지'라 칭함.)를 고형화 처리하여 대체연료, 농업용 자재 또는 산업용 자재 등과 같은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슬러지를 투입받는 슬러지 투입구(11)와 생석회를 투입받는 생석회 투입구(12)가 상부에 인접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고형물이 배출되는 고형물 배출구(13)가 형성되는 챔버(10); 상기 슬러지 투입구(11)와 생석회 투입구(12)의 하부에 해당하는 챔버(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내부공간으로 투입된 슬러지와 생석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제1차 교반혼합부재(20) 및; 상기 챔버(10) 내부공간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교반 스크류(3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20)에서 낙하한 혼합물을 재혼합하여 고형물을 만드는 제2차 교반혼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는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하수슬러지를 고형화시키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지만, 음식물 쓰레기, 축산분뇨 또는 오수슬러지 등과 같은 수분을 다량 포함하는 각종의 슬러지를 고형화시키기 위한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슬러지는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된 것을 직접 처리할 수도 있지만,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된 하수슬러지에 포함된 각종의 이물질을 먼저 선별한 후 본 발명에 의한 고형화장치에 투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챔버(10)는 슬러지를 투입받는 슬러지 투입구(11)와 생석회를 투입받는 생석회 투입구(12)가 상부에 인접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고형물이 배출되는 고형물 배출구(13)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슬러지와 생석회를 외부로부터 투입받아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과 생석회의 소화반응 및 생성회에 의한 강알칼리 환경에서의 유기물질의 가수반응을 실현시키고, 고형화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성들을 지지시키는 지지체의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챔버(10)는 일정 용량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또는 측부에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지지대에 고정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챔버(10)의 상부에는 외부와 내부공간을 연통시키고 슬러지를 내부공간으로 투입받는 슬러지 투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 투입구(11)와 인접된 상부의 일정부분에는 생석회를 내부공간으로 투입받는 생석회 투입구(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러지 투입구(11)에는 슬러지를 보다 용이하게 슬러지 투입구(11)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 투입호퍼(14)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열린 상태의 슬러지 투입호퍼(14) 상부에는 슬러지를 슬러지 투입호퍼(14)로 이송하기 위한 슬러지 이송장치(50)(일 실시예로, 컨베이어 또는 이송관)가 안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생석회 투입구(12)에는 생석회를 보다 용이하게 생석회 투입구(12)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생석회 투입호퍼(15)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생석회 투입호퍼(15)의 하부에는 챔버(10) 내에 투입되는 슬러지의 양에 따른 적절한 양의 생석회를 내부공간으로 균일한 속도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도어 또는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러지 투입구(11)와 생석회 투입구(12)의 크기와 형태는 챔버(10)의 용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하, 슬러지 투입구(11)와 생석회 투입구(12)의 형태는 도 2와 같이 챔버(10)의 폭방향으로 장축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형태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더불어 상기 고형물 배출구(13)는 챔버(10)의 내부공간에서 생석회에 의하여 슬러지가 고형화되어 만들어진 고형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고형물을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챔버(10)의 하부 또는 측부와 같이 하기 제2차 교반혼합부재(30)의 교반 스크류(31)가 인접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형물 배출구(13)에는 고형물 배출구(13)에서 외부로의 고형물 배출여부를 조절하기 위하여 개폐도어 또는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10)의 측부 또는 상부에는 슬러지,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 및 생석회 간의 반응시에 생성될 수 있는 수증기 또는 유해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기구에는 배출되는 수증기 또는 유해증기를 여과 및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장치(미도시)가 장착되거나, 상기 정화장치와 연결된 배관이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20)는 상기 슬러지 투입구(11)와 생석회 투입구(12)의 하부에 해당하는 챔버(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내부공간으로 투입된 슬러지와 생석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구성으로서, 슬러지 투입구(11)로 투입된 슬러지와 생석회 투입구(12)로 투입된 생석회를 1차적으로 혼합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20)는 챔버(10) 내부공간의 하부에 구비된 하기의 제2차 교반혼합부재(30)에 포함된 교반 스크류(31)를 이용하여 슬러지와 생석회를 혼합하기 이전에, 슬러지와 생석회를 1차적으로 혼합시키는 구성으로서, 슬러지와 생석회가 챔버(10)의 내부공간 하부로 낙하하기 이전에 내부공간의 상부에서 슬러지와 생석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20)는 챔버(10)의 상부에 형성된 슬러지 투입구(11)와 생석회 투입구(12)를 통하여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슬러지와 생석회가 내부공간의 하부로 낙하하기 이전에 슬러지와 생석회를 혼합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20)는 상기 슬러지 투입구(11)의 하부에 위치되어 좌우 방향,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슬러지 투입구(11)에서 일측의 상부로 낙하된 슬러지를 교반하고,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하며 경사진 슬러지 분산판(21)과; 상기 생석회 투입구(12)의 하부임과 동시에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의 타측 상부에 위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복수 개의 교반날(22-5)을 슬러지 분산판(21)의 폭방향으로 구비하며, 상기 생석회 투입구(12)에서 투입된 생석회와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의 타측으로 유동된 슬러지를 교반 혼합하며 낙하시키는 교반로터(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은 상기 슬러지 투입구(11)의 하부에 위치되어 좌우 방향,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슬러지 투입구(11)에서 일측의 상부로 낙하된 슬러지를 교반하고,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하며 경사진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은 도 1과 같이, 챔버(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고, 챔버(10)의 폭 방향과 동일하게 좌측에서 우측으로 폭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슬러지 투입구(11)의 폭은 슬러지 분산판(2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슬러지 투입구(11)를 통하여 내부공간으로 투입된 슬러지 전체가 슬러지 분산판(21)의 일측 상부에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의 길이는 내부공간의 길이보다 짧고, 폭 역시 내부공간의 폭보다 짧도록 구성되어, 슬러지 분산판(21)이 내부공간에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 슬러지 분산판(21)과 내부공간의 측면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고, 슬러지 분산판(21)의 양쪽 측부에는 슬러지 분산판(21)의 상부에서 유동되는 슬러지가 측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측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은 슬러지 투입구(11)를 기준하여 내부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슬러지 분산판(21)으로 낙하되어 슬러지 분산판(21)의 경사면(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하는 경사면)을 따라 유동되는 슬러지가 좌우 방향,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흔들려 균일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고, 수분을 다량 포함하여 유동성을 가지는 슬러지 분산물을 최대한 분산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슬러지 분산판(21)의 타측으로 유동된 슬러지에는 하기의 교반로터(22)에 의하여 분산된 생석회가 고르게 혼합되는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아울러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은 슬러지 분산판(21)의 상부로 낙하된 슬러지를 좌우 방향,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흔들어 슬러지를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은 챔버(10)에 구비되는 슬러지 교반부재에 의하여 좌우 방향,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는 슬러지 분산판(21)의 일측이 체결되고, 챔버(10)의 폭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양단 각각이 챔버(10)에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하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로드(23-1)를 구비하는 가이드 샤프트(23); 상기 가이드 샤프트(23)의 하부에 위치되되, 가이드 샤프트(23)와 평행하게 길이를 형성하며 양단 각각이 챔버(10)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23-1)의 하단이 내입되는 나선형 요홈(24-2)이 길이 방향으로 외주에 형성된 회전롤(24-1)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원형의 외주를 하는 하나 이상의 캠롤러(25)를 구비하며, 구동모터(26)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좌우이동 샤프트(24) 및; 상기 좌우이동 샤프트(24)의 하부에 위치되되, 좌우이동 샤프트(24)와 평행하게 길이를 형성하며 양단 각각이 챔버(1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캠롤러(25)와 맞물리는 캠(28)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구동모터(29)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캠 샤프트(27);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성의 슬러지 분산판(21)의 중간부 또는 타측의 폭방향 양단은 챔버(10)의 폭방향 양쪽 측부에 각각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즉,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는 거시적으로 가이드 로드(23-1)를 구비하는 가이드 샤프트(23), 나선형 요홈(24-2)이 외주에 형성된 회전롤(24-1)과 캠롤러(25)를 구비하고 구동모터(26)에 의하여 회전하는 좌우이동 샤프트(24) 및 캠(28)을 구비하는 캠 샤프트(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샤프트(23)는 챔버(10)의 폭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양단 각각이 챔버(10)의 좌우 방향 측부에 체결된다. 이때, 가이드 샤프트(23)의 양단 각각은 챔버(10)에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가이드 샤프트(23)에 일측이 체결된 슬러지 분산판(21)을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 샤프트(23)의 양단과 챔버(10) 간의 체결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챔버(10)의 양쪽 측부 각각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길이가 형성된 장공의 가이드 샤프트홀(23-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홀(23-2) 각각에는 가이드 샤프트(23)의 양단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샤프트(23)의 양단 각각에는 챔버(10)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체결구(23-3)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체결구(23-3) 사이에 가이드 샤프트홀(23-2)이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가이드 샤프트홀(23-2) 각각에 양단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가이드 샤프트(23)에는, 일측은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의 일측과 체결되고 타측은 가이드 샤프트(23)에 좌우 방향(가이드 샤프트(23)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이동블럭이 구비되어, 가이드 샤프트(23) 상에서 슬러지 분산판(21)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가이드 샤프트(23)에 구비되는 가이드 로드(23-1)는 하기 좌우이동 샤프트(24)의 회전롤(24-1)에 형성된 나선형 요홈(24-2)에 하단이 내입되는 구성으로서, 상단은 가이드 샤프트(23)의 일정부분에 고정체결되고, 상단에서 하향하며 길이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로드(23-1)는 하기의 회전롤(24-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좌우이동 샤프트(24)는 상기 상기 가이드 샤프트(23)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챔버(10)의 양쪽 측부에 양단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좌우이동 샤프트(24)와 챔버(10) 간의 체결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챔버(10)의 양쪽 측부 각각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길이가 형성된 장공의 좌우이동 샤프트홀(24-3)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이동 샤프트홀(24-3) 각각에는 좌우이동 샤프트(24)의 양단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우이동 샤프트(24)의 양단 각각에는 챔버(10)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체결구(24-4)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체결구(24-4) 사이에 좌우이동 샤프트홀(24-3)이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좌우이동 샤프트(24)에 구비되는 회전롤(24-1)은 상기 가이드 샤프트(23)에 구비되는 가이드 로드(23-1)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킴과 동시에 하기 캠 샤프트(27)에 의한 상하 이동력을 가이드 샤프트(23)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회전롤(24-1)은 좌우이동 샤프트(24)에 고정체결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23-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롤(24-1)의 외주에 형성된 나선형 요홈(24-2)은 좌우이동 샤프트(24)의 길이 방향(챔버(10)의 좌우 방향과 동일함.)으로 길이를 형성하고, 상기 나선형 요홈(24-2)의 길이는 슬러지 분산판(21)의 좌우 방향 왕복 이동 간격과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샤프트(23)의 가이드 로드(23-1) 하단은 나선형 요홈(24-2)에 내입되고, 좌우이동 샤프트(24)의 회전에 의한 회전롤(24-1)의 회전에 의하여 나선형 요홈(24-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와 같은 가이드 로드(23-1) 하단의 좌우 방향 이동에 의하여 가이드 로드(23-1) 및 가이드 로드(23-1)와 체결된 가이드 샤프트(23)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슬러지 분산판(2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좌우이동 샤프트(24)는 구동모터(26)에 의한 회전력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상기 구동모터(26)는 가이드 로드(23-1)가 회전롤(24-1)에 형성된 나선형 요홈(24-2)의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을 만큼만 좌우이동 샤프트(24)를 회전시키고, 가이드 로드(23-1)가 나선형 요홈(24-2)의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정방향과 역방향을 반복하며 좌우이동 사프트를 회전시킨다.
더불어 상기 구동모터(26)는 챔버(10)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좌우이동 샤프트(24)에 계속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챔버(10)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챔버(10)에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체결된 레일과 구동모터(26)의 일정부분이 체결되어 챔버(10)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이동 샤프트(24)에 구비되는 상기 캠롤러(25)는 하기 캠 샤프트(27)에 구비된 캠(28)과 맞물려 캠(28)의 회전에 의하여 달라지는 캠롤러(25)의 위상 변화로서 좌우이동 샤프트(2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캠롤러(25)는 외주가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이동 샤프트(24)에 고정체결되어, 좌우이동 샤프트(24)가 회전하면 좌우이동 샤프트(24)와 함께 회전하며, 하기의 캠(28)과 동일한 개수로 좌우이동 샤프트(24)에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캠 샤프트(27)는 상기 좌우이동 샤프트(24)의 하부에 위치되되, 좌우이동 샤프트(24)와 평행하게 길이를 형성하며 양단 각각이 챔버(1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캠롤러(25)와 맞물리는 캠(28)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구동모터(29)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서, 슬러지 분산판(21)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캠 샤프트(27)는 챔버(10)에 장착되는 구동모터(29)에 의하여 회전되고, 캠 샤프트(27)에 구비된 캠(28)은 캠 샤프트(27)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캠(28)의 회전에 의하여 캠롤러(25)의 상하 방향 위상을 변화시킨다.
이때, 상기 캠(28)의 형태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외주에 상기 캠롤러(25)의 외주 일정부분이 내입될 수 있도록 하는 캠홈(28-1)이 등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캠홈(28-1)에 캠롤러(25)가 내입되면 캠롤러(25)의 위상이 낮아져 캠롤러(25)가 체결된 좌우이동 샤프트(24)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좌우이동 샤프트(24)의 회전롤(24-1)의 나선형 요홈(24-2)에 내입된 가이드 로드(23-1) 역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 로드(23-1)가 체결된 가이드 샤프트(23)가 하부 방햐으로 이동하며,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가이드 샤프트(23)에 일측이 체결된 슬러지 분산판(21)도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캠롤러(25)가 캠홈(28-1)에서 빠져나오는 경우는 상기와 반대로 슬러지 분산판(21)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즉, 연속적인 캠 샤프트(27)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과정은 연속적으로 반복되고, 슬러지 분산판(21)은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슬러지 분산판(21)의 일측이 가이드 사프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된 경우,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의 중간부 또는 타측의 폭방향 양단은 챔버(10)의 폭방향 양쪽 측부에 각각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슬러지 분산판(21)의 좌우 방향 왕복 이동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슬러지 분산판(21)의 전후 방향 왕복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슬러지 분산판(21)의 일측만이 가이드 샤프트(23)에 체결된 상태를 가지면, 슬러지 분산판(21)의 상부에 낙하되는 슬러지에 의한 하중으로 인하여 슬러지 분산판(21)이 가이드 샤프트(23)에서 분리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슬러지 분산판(21)의 중간부 양단 또는 타측 일정부분의 양단 각각이 챔버(10)의 양쪽 측부에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되면, 슬러지 분산판(21)의 지지력이 증가되어 슬러지의 하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슬러지 분산판(21)의 중간부 양단 또는 타측 일정부분의 양단 각각이 챔버(10)의 양쪽 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면, 슬러지 분산판(21)의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변화되는 슬러지 분산판(21)의 경사각 변화에 의하여 슬러지 분산판(21)이 전방 및 후방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슬러지 분사판에서 유동되는 슬러지를 전후 방향으로 흔들며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슬러지 분산판(21)의 중간부 또는 타측의 폭방향 양단에는 가이드바(21-2)가 각각 구비되고, 챔버(10)에는 상기 가이드바(21-2)가 내입되어 전후 방향(경사진 상태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장공의 가이드바홀(21-3)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교반로터(22)는 상기 생석회 투입구(12)의 하부임과 동시에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의 타측 상부에 위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복수 개의 교반날(22-5)을 슬러지 분산판(21)의 폭방향으로 구비하며, 상기 생석회 투입구(12)에서 투입된 생석회와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의 타측으로 유동된 슬러지를 교반 혼합하며 낙하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구성의 교반로터(22)는 슬러지 분산판(21)의 경사면을 따라 슬러지 분산판(21)의 타측으로 고르게 펼쳐진 상태로 유동된 슬러지와 생석회 투입구(12)로 투입된 생석회를 균일하게 교반 혼합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교반로터(22)는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슬러지 분산판(21)과 동일하게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교반로터(22)에 구비된 교반날(22-5)로 생석회는 분산시킴과 동시에, 교반날(22-5)로서 슬러지를 타격하여 고르게 펼쳐진 슬러지를 분산시키며 상기 분산된 생석회를 슬러지 분산물 사이로 침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교반로터(22)의 좌우 방향 왕복 이동을 위한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로터(22)는 챔버(10)의 폭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양단 각각이 챔버(10)에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나선형 요홈(22-3)이 길이 방향으로 외주에 형성된 회전롤(22-2)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구동모터(22-4)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교반로터 샤프트(22-1); 상기 교반로터 샤프트(22-1)에 분리 및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교반날(22-5) 및; 상기 회전롤(24-1)의 나선형 요홈(24-2)에 일측이 내입되고, 타측은 챔버(10)에 고정체결되는 교반로터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교반로터(22)는 상기 좌우이동 샤프트(24)에 구비된 회전롤(24-1)과 동일한 형태를 하는 회전롤(22-2)을 교반로터 샤프트(22-1)(양단 각각이 챔버(10)의 양쪽 측부 각각에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상태임.)에 구비시키고, 상기 회전롤(22-2)의 외주에 형성된 나선형 요홈(22-3)에 내입되는 교반로터 가이드 로드(미도시)를 챔버(10)의 측부 일정부분에 구비시켜, 상기 좌우이동 샤프트(24)와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교반로터(22)가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구동모터(22-4)는 상기 교반로터 샤프트(22-1)의 좌우 방향 이동성을 확보시킴과 동시에 교반로터 샤프트(22-1)에 대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동모터(22-4)의 구동축은 상기 교반로터 샤프트(22-1)의 일단과 스플라인(22-7)으로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교반로터(22)의 좌우 방향 왕복 이동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좌우이동 샤프트(24)의 좌우 방향 왕복 이동을 위한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대신하겠다.
아울러 상기 교반로터(22)는 슬러지 분산판(21)의 타측 상부의 일정부분에 위치되어 생석회 투입구(12)에서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생석회를 교반날(22-5)로서 분산시키고, 슬러지 분산판(21)의 타측으로 유동된 슬러지를 타격하여 고르게 펼쳐진 상태의 슬러지를 분산시키면서 상기의 분산된 생석회를 슬러지에 고르게 침투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은 상기 교반로터(22)의 복수 개의 교반날(22-5)이 인접된 부분에 교반날(22-5) 각각이 내입가능한 복수 개의 절개홈(21-1)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절개홈(21-1)에 교반날(22-5)이 각각 내입되며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의 절개홈(21-1)에 내입되며 교반로터 샤프트(22-1)를 중심으로 교반날(22-5)을 회전시키는 교반로터(22)는 슬러지 분산판(21)의 좌우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시에 절개홈(21-1) 이외의 슬러지 분산판(21) 타측에 교반날(22-5)이 충돌하거나 간섭되지 않도록 슬러지 분산판(21)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생석회 투입구(12)는 복수 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어느 하나 이상의 생석회 투입구(12-1)는 상기 교반로터(22)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챔버(10) 상부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생석회 투입구(12-2)는 교반로터(22)를 기준하여 슬러지 분산판(21)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부분의 챔버(10) 상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생석회 투입구(12)는 어느 하나 이상의 생석회 투입구(12-1)를 통하여 챔버(10)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생석회를 교반로터(22)와 슬러지 분산판(21)을 통하여 1차적으로 교반 혼합시킬 수 있고, 다른 하나 이상의 생석회 투입구(12-2)를 통하여 챔버(10)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생석회는 교반로터(22)를 기준하여 슬러지 분산판(21)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부분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어 제2차 교반혼합부재(30)의 교반 스크류(31)에 의하여 혼합되는 슬러지(제1차 교반혼합부재(20)에 의하여 생석회 일정량이 혼합된 혼합물)와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구성을 하는 복수의 생석회 투입구(12)는 생석회를 내부공간에 수용된 다수 부분의 슬러지에 분할하며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슬러지에 대한 생석회의 분산 혼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다른 하나 이상의 생석회 투입구(12-2)의 하부에는, 상기 다른 하나 이상의 생석회 투입구(12-2)로 투입된 생석회를 챔버(10)의 내부공간 다수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하나 이상의 생석회 분산판(40)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생석회 분산판(40)은 복수의 생석회 투입구(12) 중, 하기 제2차 교반혼합부재(30)의 교반 스크류(31) 쪽으로 직접 투입되는 생석회를 교반 스크류(31)의 여러 부분으로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챔버(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교반로터(22)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내부공간에 생석회를 분산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생석회 분산판(40)은 판상 또는 굴절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어느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하향하여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챔버(10) 내부공간의 상부 또는 측부에 일정부분이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석회 분산판(40)은 다른 하나 이상의 생석회 투입구(12-2)로 투입되는 생석회를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석회 분산판(40)은 슬러지 분산판(21)과 유사한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챔버(10) 내부공간에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석회 분산판(4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해당하는 일측에는 챔버(10)의 폭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양단 각각이 챔버(10)에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나선형 요홈(45)이 길이 방향으로 외주에 형성된 회전롤(46)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구동모터(42)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제1 생석회 분산판 샤프트(41)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챔버(10)의 일정부분에는 상기 회전롤(46)의 나선형 요홈(45)에 내입되는 가이드 로드(47)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로드(47)는 상기 교반로터 가이드 로드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회전롤(46)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구동모터(42)는 상기 제1 생석회 분산판 샤프트(41)의 일단이 위치되는 챔버(10)의 일정부분에 체결되되, 챔버(10)에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1 생석회 분산판 샤프트(41)의 좌우 방향 이동성을 확보시킴과 동시에 제1 생석회 분산판 샤프트(41)에 대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동모터(42)의 구동축은 상기 제1 생석회 분산판 샤프트(41)의 일단과 스플라인(43)으로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생석회 분산판 샤프트(41)의 반대쪽인 생석회 분산판(40)의 타측에는 챔버(10)의 폭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양단 각각이 챔버(10)에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생석회 분산판 샤프트(44)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차 교반혼합부재(30)는 상기 챔버(10) 내부공간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교반 스크류(3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20)에서 낙하한 혼합물을 재혼합하여 고형물을 만드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20)에 의하여 챔버(10)의 내부공간 하부로 낙하되기 이전에 슬러지와 생석회가 혼합되어 만들어진 혼합물을 재차 교반 혼합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교반 스크류(31)는 챔버(1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챔버(10)에 장착된 메인 구동모터(32)와 연결되어 회전한다. 더불어 교반 스크류(31)는 단일 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ⅰ) 한 쌍으로 구성되어 혼합물을 내부공간의 중심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순환시키며 교반 혼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도 *과 같이 ⅱ) 한 쌍으로 구성되되, 어느 하나의 교반 스크류(31)는 혼합물을 내부공간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혼합물을 이송하며 혼합하고, 다른 하나의 교반 스크류(31)는 내부공간의 타측 방향으로 이송된 혼합물을 다시 일측 방향으로 이송하며 혼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20)는 슬러지와 생석회가 챔버(10)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될 때 작동되어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슬러지와 생석회를 혼합할 수 있고, 내부공간으로의 슬러지와 생석회의 투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20)만이 작동되어 슬러지의 고형화를 완료시킬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챔버 11 : 슬러지 투입구
12, 12-1, 12-2 : 생석회 투입구 13 : 고형물 배출구
14 : 슬러지 투입호퍼 15 : 생석회 투입호퍼
16 : 배기구 20 : 제1차 교반혼합부재
21 : 슬러지 분산판 21-1 : 절개홈
21-2 : 가이드바 21-3 : 가이드바홀
22 : 교반로터 22-1 : 교반로터 샤프트
22-2 : 회전롤 22-3 : 나선형 요홈
22-4 : 구동모터 22-5 : 교반날
23 : 가이드 샤프트 23-1 : 가이드 로드
23-2 : 가이드 샤프트홀 23-3 : 체결구
24 : 좌우이동 샤프트 24-1 : 회전롤
24-2 : 나선형 요홈 24-3 : 좌우이동 샤프트홀
24-4 : 체결구 25 : 캠롤러
26 : 구동모터 27 : 캠 샤프트
28 : 캠 28-1 : 캠홈
29 : 구동모터 30 : 제2차 교반혼합부재
31 : 교반 스크류 32 : 메인 구동모터
40 : 생석회 분산판 41 : 제1 생석회 분산판 샤프트
42 : 구동모터 43 : 스플라인
44 : 제2 생석회 분산판 샤프트 45 : 나선형 요홈
46 : 회전롤 47 : 가이드 로드
50 : 이송장치

Claims (7)

  1. 삭제
  2. 슬러지를 투입받는 슬러지 투입구(11)와 생석회를 투입받는 생석회 투입구(12)가 상부에 인접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고형물이 배출되는 고형물 배출구(13)가 형성되는 챔버(10); 상기 슬러지 투입구(11)와 생석회 투입구(12)의 하부에 해당하는 챔버(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내부공간으로 투입된 슬러지와 생석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제1차 교반혼합부재(20) 및; 상기 챔버(10) 내부공간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교반 스크류(3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20)에서 낙하한 혼합물을 재혼합하여 고형물을 만드는 제2차 교반혼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차 교반혼합부재(20)는,
    상기 슬러지 투입구(11)의 하부에 위치되어 좌우 방향,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슬러지 투입구(11)에서 일측의 상부로 낙하된 슬러지를 교반하고,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하며 경사진 슬러지 분산판(21)과;
    상기 생석회 투입구(12)의 하부임과 동시에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의 타측 상부에 위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복수 개의 교반날(22-5)을 슬러지 분산판(21)의 폭방향으로 구비하며, 상기 생석회 투입구(12)에서 투입된 생석회와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의 타측으로 유동된 슬러지를 교반 혼합하며 낙하시키는 교반로터(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은,
    챔버(10)에 구비되는 슬러지 교반부재에 의하여 좌우 방향,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러지 교반부재는,
    슬러지 분산판(21)의 일측이 체결되고, 챔버(10)의 폭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양단 각각이 챔버(10)에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하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로드(23-1)를 구비하는 가이드 샤프트(23);
    상기 가이드 샤프트(23)의 하부에 위치되되, 가이드 샤프트(23)와 평행하게 길이를 형성하며 양단 각각이 챔버(10)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23-1)의 하단이 내입되는 나선형 요홈(24-2)이 길이 방향으로 외주에 형성된 회전롤(24-1)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원형의 외주를 하는 하나 이상의 캠롤러(25)를 구비하며, 구동모터(26)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좌우이동 샤프트(24) 및;
    상기 좌우이동 샤프트(24)의 하부에 위치되되, 좌우이동 샤프트(24)와 평행하게 길이를 형성하며 양단 각각이 챔버(1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캠롤러(25)와 맞물리는 캠(28)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구동모터(29)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캠 샤프트(2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의 중간부 또는 타측의 폭방향 양단은 챔버(10)의 폭방향 양쪽 측부에 각각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로터(22)는,
    챔버(10)의 폭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양단 각각이 챔버(10)에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나선형 요홈(22-3)이 길이 방향으로 외주에 형성된 회전롤(22-2)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구동모터(22-4)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교반로터 샤프트(22-1);
    상기 교반로터 샤프트(22-1)에 분리 및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교반날(22-5) 및;
    상기 회전롤(22-2)의 나선형 요홈(22-3)에 일측이 내입되고, 타측은 챔버(10)에 고정체결되는 교반로터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분산판(21)은,
    상기 교반로터(22)의 복수 개의 교반날(22-5)이 인접된 부분에 교반날(22-5) 각각이 내입가능한 복수 개의 절개홈(21-1)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석회 투입구(12)는 복수 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어느 하나 이상의 생석회 투입구(12-1)는 상기 교반로터(22)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챔버(10) 상부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생석회 투입구(12-2)는 교반로터(22)를 기준하여 슬러지 분산판(21)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부분의 챔버(10) 상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하나 이상의 생석회 투입구(12-2)의 하부에는,
    상기 다른 하나 이상의 생석회 투입구(12-2)로 투입된 생석회를 챔버(10)의 내부공간 다수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하나 이상의 생석회 분산판(40)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KR1020160014065A 2016-02-04 2016-02-04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KR101656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065A KR101656838B1 (ko) 2016-02-04 2016-02-04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065A KR101656838B1 (ko) 2016-02-04 2016-02-04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838B1 true KR101656838B1 (ko) 2016-09-12

Family

ID=5695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065A KR101656838B1 (ko) 2016-02-04 2016-02-04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8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106B1 (ko) 2018-12-07 2019-10-23 장미희 하수슬러지 고형재 제조방법
KR20190120585A (ko) 2018-04-16 2019-10-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압축판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 및 고형화 장치
KR20190120580A (ko) 2018-04-16 2019-10-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밀도 향상을 위한 폐수 슬러지의 고형화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993B1 (ko) 2009-01-12 2009-09-02 문홍란 하수슬러지 이용 폐기물고형연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34569B1 (ko) * 2011-01-05 2011-05-12 장대식 슬러지 고화처리장치
WO2012108727A2 (ko) * 2011-02-11 2012-08-16 주식회사 케이티씨 가축 분뇨를 이용한 고농도 바이오가스 발생 및 발효 잔존물의 친환경 처리 시스템
KR101261021B1 (ko) * 2010-11-12 2013-05-06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건조효율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KR20130072884A (ko) * 2011-12-22 2013-07-02 서다현 슬러지 혼합용 컴포지션 믹서
KR101433141B1 (ko) 2013-10-30 2014-09-25 주식회사 건민이앤씨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KR101481947B1 (ko) 2014-10-29 2015-01-14 주식회사 영하아이앤티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고형연료
KR101582844B1 (ko) 2015-08-31 2016-01-07 양경상 농산폐기물과 하수 및 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993B1 (ko) 2009-01-12 2009-09-02 문홍란 하수슬러지 이용 폐기물고형연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61021B1 (ko) * 2010-11-12 2013-05-06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건조효율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KR101034569B1 (ko) * 2011-01-05 2011-05-12 장대식 슬러지 고화처리장치
WO2012108727A2 (ko) * 2011-02-11 2012-08-16 주식회사 케이티씨 가축 분뇨를 이용한 고농도 바이오가스 발생 및 발효 잔존물의 친환경 처리 시스템
KR20130072884A (ko) * 2011-12-22 2013-07-02 서다현 슬러지 혼합용 컴포지션 믹서
KR101433141B1 (ko) 2013-10-30 2014-09-25 주식회사 건민이앤씨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화 제조방법
KR101481947B1 (ko) 2014-10-29 2015-01-14 주식회사 영하아이앤티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고형연료
KR101582844B1 (ko) 2015-08-31 2016-01-07 양경상 농산폐기물과 하수 및 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585A (ko) 2018-04-16 2019-10-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압축판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 및 고형화 장치
KR20190120580A (ko) 2018-04-16 2019-10-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밀도 향상을 위한 폐수 슬러지의 고형화 장치
KR102008106B1 (ko) 2018-12-07 2019-10-23 장미희 하수슬러지 고형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838B1 (ko) 하수슬러지 고형화장치
JP4539329B2 (ja) 減圧連続熱分解処理装置及び減圧連続熱分解方法
CN1966166A (zh) 餐厨垃圾再生油脂、生物天然气、药肥、饲料的六段工艺
US8551294B2 (en) Pyrolysis system for producing one or a combination of a solid, liquid and gaseous fuel
KR101034569B1 (ko) 슬러지 고화처리장치
CN1325370A (zh) 制备含有机组份的混合物的方法和装置
KR101703490B1 (ko) 가축분뇨 및 유기성 슬러지의 퇴비화 및 고형연료화 시스템
KR101339563B1 (ko) 유기성 슬러지 일괄처리장치
KR101729994B1 (ko) 열매체를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CN1861532A (zh) 利用水泥回转窑处理城市污泥的方法和装置
JP2012517336A (ja) ドラム装置で物質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とその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装置
KR101018416B1 (ko) 하수 슬러지 재활용 처리장치
KR101337470B1 (ko) 슬러지 혼합용 컴포지션 믹서
KR101272874B1 (ko) 음식물 쓰레기 폐수내의 부상 유지류 고형화 방법
KR100863190B1 (ko) 단분리장치, 다단식 퇴비화장치 및 퇴비화방법
KR200455199Y1 (ko) 슬러지 고화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처리 시스템
KR20100004309A (ko) 슬러지혼합시스템
KR101638476B1 (ko) 탈수식 분뇨 연료화 장치
KR101193052B1 (ko) 음식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0989251B1 (ko) 농축 슬러지의 탈수방법 및 장치
KR20140003135A (ko) 유·무기성 슬러지 건조를 위한 난류접촉식 슬러지 건조 시스템
JP2008188497A (ja) 石灰サイクルを活用した産業廃棄物の処理方法
CN114029328A (zh) 一种土壤修复***
KR100768485B1 (ko) 미처리된 폐기물의 건조 탄화 방법 및 장치
KR101059894B1 (ko) 고효율 유기폐기물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