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835B1 -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835B1
KR101656835B1 KR1020140091193A KR20140091193A KR101656835B1 KR 101656835 B1 KR101656835 B1 KR 101656835B1 KR 1020140091193 A KR1020140091193 A KR 1020140091193A KR 20140091193 A KR20140091193 A KR 20140091193A KR 101656835 B1 KR101656835 B1 KR 101656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control unit
criterion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0906A (ko
Inventor
강운구
이영호
양중기
최종수
정나리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8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어린이용 기호식품과 같은 식품의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에 단말기를 통하여 식품식별자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식품식별자에 상응하는 식품정보를 식품정보 DB로부터 호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식품품질판별기준 DB에 미리 저장된 식품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양정보가 상기 식품기준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부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양정보와 상기 식품기준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섭취형태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식품정보 및 상기 연산된 섭취형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offering information of foods and supporting purchase}
본 발명은 알맞은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통신단말기로 식품에 표시된 바코드 등을 이용하거나, 식품명을 텍스트로 입력함으로써 해당 기호식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 및 영양과다, 운동 부족 등으로 아동청소년의 비만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성인 비만증의 연계, 의료비 부담 가중 및 성인별 관련 질병 발생 등 문제점이 많이 드러난다. 그러나 과거와는 달리 여성들의 사회진출 및 맞벌이 형태의 가정이 증가면서 부모의 통제를 통한 아동청소년의 식생활 관리는 실제로 어렵고, 특히 세 끼 식사를 제외한 기호식품의 섭취를 통제하는 데에 한계점이 있어 안전한 식품 정보의 제공을 요한다.
기호식품이란, 식품위생법 제7조1항 및 축산물위생관리법 제4호2항에 따라 기준 및 규격이 고시된 식품이며, 기호식품의 1회 제공기준량은 식품위생법에 따른 식품 등의 표시기준과 축산물위생관리법에 근거한 표시기준에서 4세 이상 소비자가 통상적으로 1회 섭취하기에 적당한 양으로서, 올바른 기호 식품의 섭취 습관 형성을 위한 1회 제공기준량과 포장의 크기에 따른 섭취 형태의 가이드가 필요하다.
부모들에게 아이의 기호식품을 선택함에 있어서 안전한 식품의 선택과 권장량에 따른 아동청소년의 바른 섭취습관의 형성을 위해 기호식품에 대한 안전성 및 섭취형태를 권장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존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의 질과 양에 비교해보았을 때, 아동청소년의 식이 습관 개선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는 그 양이 현저히 적으며 정보의 수준에도 한계가 뚜렷하다. 따라서 바코드 인식 또는 식품명 입력을 통해 기호식품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부모와 아동청소년 모두에게 올바른 기호식품을 선택 및 구매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다.
(특허문헌 1) KR2012-0109264 A
(특허문헌 2) KR2012-0105119 A
(특허문헌 3) KR2014-0015733 A
(특허문헌 4) US2014-0114776 A
본 발명은, 식품을 구입하는 소비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며 안전한 식품을 선택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이다. 소비자가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식품의 바코드를 인식하거나 식품명을 입력하면 해당 식품에 대한 품질 인증, 영양기준 준수 등의 상세정보 및 유사한 기호식품들을 나타내주며, 권장하는 섭취 형태를 제공하는 등 소비자의 편의를 증진시킨다.
또한,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거리의 우수판매업소 위치를 제공하여 안전한 기호식품 구매를 지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어린이의 기호식품 구입에 있어서 편의를 증진시키고 안전성을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제어부(500)에 단말기(100)를 통하여 식품식별자(X)가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식품식별자(X)에 상응하는 식품정보(D)를 식품정보 DB(610)로부터 호출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500)가 식품품질판별기준 DB(620)에 미리 저장된 식품기준(C)과 비교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영양정보가 상기 식품기준(C)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부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영양정보와 상기 식품기준(C)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섭취형태(M)를 연산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식품정보(D) 및 상기 연산된 섭취형태(M)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기호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상기 제어부(500)에 상기 단말기(100)를 통하여 위치정보(L)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단계 이후, (e')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위치정보(L)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구역 내의 우수판매처 정보(S)를 우수판매처 DB(630)로부터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f)단계는,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우수판매처 정보(S)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단계 이후, (e") 상기 제어부(500)가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영양정보를 이용하여 유사식품(F)을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f)단계는,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유사식품(F)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단계의 식품품질판별기준 DB(620)에 미리 저장된 식품기준(C)은, 안전기준, 영양기준, 식품첨가물 사용기준 및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단계의 식품품질판별기준 DB(620)에 미리 저장된 식품기준(C)은, 안전기준이며, 상기 (d)단계는, (d1)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영양정보에 포함된 성분이 상기 안전기준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식품기준(C)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며, 상기 (e)단계는, (e1) 상기 (d1)단계에서 부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가 섭취를 금지하는 섭취형태(M)를 연산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단계의 식품품질판별기준 DB(620)에 미리 저장된 식품기준(C)은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이며, 상기 (d)단계는, (d2)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영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에 따라 상기 식품이 고열량식품이거나 또는 저영양식품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식품기준(C)에 부합되는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e2) 상기 (d2)단계에서 상기 식품이 고열량식품이어서 부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식품의 열량을 상기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의 열량으로 나누기한 값을 올림함으로써 섭취횟수를 연산하여 섭취형태(M)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e2') 상기 (d2)단계에서 상기 식품이 저영양식품이어서 부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의 열량을 상기 식품의 열량으로 나누기한 값을 올림함으로써 1회 섭취개수를 연산하여 섭취형태(M)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상기 제어부(500)에 상기 단말기(100)의 코드 입력부(121)를 통하여 바코드로서 식품식별자(X)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500)에 상기 단말기(100)의 텍스트 입력부(122)를 통하여 텍스트로서 식품식별자(X)가 입력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단계의 식품정보(D)는, 식품형태, 식품군 및 식품유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말기(100), 제어부(500) 및 데이터베이스(600)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100)는, 식품식별자(X)가 입력되는 입력모듈(100); 및 정보가 출력되는 출력모듈(14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식품식별자(X)를 인가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식품정보(D)를 호출하는 식품정보 분석모듈(51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식품기준(C)을 호출하고,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식품품질을 분석하는 식품품질 분석모듈(520)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600)는, 식품식별자(X)에 상응한 식품정보(D)가 저장된 식품정보 DB(610); 및 미리 입력된 식품기준(C)이 포함된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모듈(140)이 출력하는 정보는, 상기 식품정보(D)를 포함하는, 어린이용 기호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품정보 분석모듈(510)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식품식별자(X)를 인가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식품정보(D)를 호출하는 식품정보 판별부(511); 상기 식품정보(D) 및 상기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로부터 인가받은 식품기준(C)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하여 섭취형태(M)를 연산하는 섭취형태 판별부(512) 및 상기 식품정보(D)에 포함된 영양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유사식품(F)을 연산하는 유사식품 판별부(5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품품질 분석모듈(520)은, 상기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로부터 안전기준을 호출하여 상기 식품정보(D)와 비교하는 안전기준 판별부(521); 상기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로부터 영양기준을 호출하여 상기 식품정보(D)와 비교하는 영양기준 판별부(522); 상기 식품정보 DB(610)로부터 호출한 상기 식품정보(D)로부터 식품첨가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식품첨가물사용 판별부(523); 및 상기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로부터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을 호출하여 상기 식품정보(D)와 비교하는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부(5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위치정보(L)를 연산하여 상기 제어부(500)에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모듈(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600)는 다수의 우수판매처 정보(S)가 그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된 판매처정보 DB(6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공된 위치정보(L)를 확인하는 위치정보 확인부(531)와 상기 위치정보(L)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구역 내의 우수판매처 정보(S)를 우수판매처 DB(630)로부터 호출하는 우수판매처 판별부(53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사용자가 어느 곳에서 판매하는 어떤 기호식품이 안전한지 그리고 그 기호식품에 대한 영양성분은 어떠한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기호식품을 어떤 형태로 섭취해야 가장 이상적인지와 그에 따른 유사 식품들은 무엇이 있는지 등의 정보들을 제공해줌으로써 부모와 아이들이 보다 더 나은 기호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흩어져 있는 정보들을 하나로 모아, 기호식품에 대해 알고자 하는 정보를 찾는 것에 대한 번거로움을 줄인다. 부모와 아이들이 기호 식품 선택에 있어 교육적인 효과를 줌으로써 올바른 선택을 유도하여 부모와 아이들 모두 기호식품에 대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비단 기호식품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식품으로 확장도 가능하며, 비단 어린이뿐만 아니라 식품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노년층, 환자층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용 기호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용 기호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유사판매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린이'는, 사전적 의미와 같이 4세 이상 초등학생의 아이를 지칭하나, 본 발명의 핵심 사상에 따라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바코드'는, 상품 등에 표시된 흰 줄무늬로서 소정의 인식기로 리딩할 경우 정보가 호출되는 코드를 의미하는데, 반드시 바아(bar) 형식의 코드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QR코드 등 각종 코드를 모두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식별자(X)'는, 식품 항목에 부여된 이름으로서 다른 항목들과 구분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식별자(identifier)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정보(D)'는, 영양정보, 식품형태, 식품군 및 식품유형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식품정보(D)는 식품정보 DB에 식품식별자(X)에 매핑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는바, 제어부가 식품정보 DB에 식품식별자(X)를 인가할 경우 이에 상응하는 식품정보(D)가 호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양정보'는 식품에 포함된 영양소의 양은 물론 전체 열량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기준(C)'은 특정 식품이 적절하거나 안전한 식품인지 여부를 구분하는 기준을 통칭하며, 본 발명에서는 안전기준, 영양기준, 식품첨가물 사용기준 및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여기에서 '안전기준'은, 해당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안전하지 못한 식품으로 판단하는 기준이며, 식품에 들어가서는 안되는 유해한 물질이 포함되는지 여부 등이 일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영양정보에 중금속이 포함되었다면, 영양정보를 안전기준에 비교함으로써, 해당 식품이 안전기준에 부합하지 않음이 연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양기준'은, 인체에 유익한 소정의 영양소의 양에 관한 것으로 해당 식품이 특정 영양소가 많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영양정보에 탄수화물 1g이 포함되었다면, 영양정보를 영양기준에 비교함으로써 탄수화물의 섭취를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해당 식품이 영양기준에 부합함이 연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품첨가물 사용기준'은, 식품에 소량의 투입만이 허용된 식품첨가물에 관한 기준으로서 해당 식품에 첨가물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영양정보에 색소가 포함되었다면, 영양정보를 식품첨가물 사용기준과 비교함으로써, 해당 식품에는 식품첨가물이 사용된 것으로 연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은 열량을 중심으로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해당 식품이 미리 결정된 소정의 열량 이상인 경우 고열량식품으로 판단하고, 미리 결정된 다른 소정의 열량 이하인 경우 저양양식품으로 판단하는 기준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영양정보에 열량 4kcal가 포함되었고, 고열량식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미리 결정된 소정의 열량이 2kcal로 설정된 경우, 영양정보를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과 비교함으로써, 해당 식품이 고열량식품으로 연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섭취형태(M)'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일종으로서 해당 식품의 섭취 방법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식품은 안전하지 않은 제품이므로 섭취해서는 안됨" 또는 "본 식품은 3회로 구분하여 섭취하여야 함" 또는 "본 식품 3개를 한 번에 섭취하여 함" 등의 정보가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섭취형태(M)의 예시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유사식품(F)'은, 특정 식품과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유사한 것으로 결정된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 식품의 유사식품(F)이 출력될 수 있는데, 미리 결정되어 제어부에 입력된 기준에 따르기에 보편성 있게 출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우수판매처 정보(S)'는, 우수한 것으로 미리 결정된 판매처의 정보를 의미하며, 상호, 주소 등이 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우수판매처 정보(S)는 판매처정보 DB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시스템의 설명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단말기(100), 제어부(500) 및 데이터베이스(600)를 포함한다.
단말기(100)는 휴대, 통신 및 입출력이 가능한 어떠한 정보처리기기도 무방하다. 스마트폰이 일례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GPS 기능이 가능하여 해당 단말기(100)의 위치정보(L)의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100)는 입력모듈(120), 위치정보 제공모듈(130) 및 출력모듈(140)을 포함한다. 입력모듈(120)을 통하여 각종 정보, 특히 식품식별자(X)가 입력되어 제어부(5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바코드 등을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121) 및/또는 텍스트를 인식하는 텍스트 입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제공모듈(130)은, 단말기(100)의 위치정보(L)를 확인하고 이를 제어부(500)로 전송될 수 있다.
출력모듈(140)은 제어부(500)로부터 제공된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데, 식품정보(D)를 출력하는 식품정보 출력부(141), 섭취형태(M)를 출력하는 섭취형태 출력부(142), 유사식품(F)을 출력하는 유사식품 출력부(143) 및 우수판매처 정보(S)를 출력하는 우수판매처 정보 출력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단말기(100)로부터 인가받은 식품식별자(X) 및 위치정보(L)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600)에서 각종 정보를 호출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연산하고, 연산된 값을 단말기(100)의 출력모듈(140)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500)는, 식품정보 분석모듈(510), 식품품질 분석모듈(520) 및 위치정보 관리모듈(530)을 포함한다.
식품정보 분석모듈(510)은, 인가된 식품식별자(X)를 이용하여 식품정보 DB(610)로부터 식품정보(D)를 제공받는 식품정보 판별부(511),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로부터 식품기준(C)을 더 제공받아 식품정보(D)와 식품기준(C)을 비교함으로써 섭취형태(M)를 연산하는 섭취형태 판별부(512),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유사식품(F)을 연산하는 유사식품 판별부(51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식품정보(D)는 영양정보, 식품형태, 식품군 및 식품유형을 포함한다.
식품품질 분석모듈(520)은, 식품정보(D)와 식품기준(C)을 비교하여 식품품질을 분석하며, 이를 섭취형태 판별부(512)에 전송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식품기준(C)은 안전기준, 영양기준, 식품첨가물 사용기준 및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을 포함한다.
식품품질 분석모듈(520)은, 영양정보와 안전기준을 비교하는 안전기준 판별부(521), 영양정보와 영양기준을 비교하는 영양기준 판별부(522), 영양정보와 식품첨가물 사용기준을 비교하는 식품첨가물사용 판별부(523), 및 영양정보와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을 비교하는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부(524)를 포함한다.
위치정보 관리모듈(530)은, 위치정보 제공모듈(130)로부터 단말기(100)의 위치정보(L)를 제공받는 위치정보 확인부(531) 및 이를 이용하여 판매처정보DB(630)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역 내의 우수판매처 정보(S)를 제공받는 우수판매처 판별부(532)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600)는 식품정보 DB(610),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 및 판매처정보 DB(630)를 포함한다.
식품정보 DB(610)에는, 식품식별자(X)에 따라 식품정보(D)가 매핑되어 미리 저장된다. 식품정보(D)는 영양정보, 식품형태, 식품군 및 식품유형을 포함한다.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에는, 식품기준(C)이 미리 저장되며, 이는 안전기준, 영양기준, 식품첨가물 사용기준 및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을 포함한다.
판매처정보 DB(630)에는 우수판매처 정보(S)가 미리 저장되며, 우수판매처 정보(S)는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방법의 설명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데이터베이스(600)의 식품정보 DB(610)에는 식품식별자(X)에 따라 식품정보(D)가 매핑되어 미리 저장되고,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에는 식품기준(C)이 미리 저장되며, 판매처정보 DB(630)에는 우수판매처 정보(S)가 미리 저장된 상태이다.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통하여 섭취하고자 하는 식품을 입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섭취하고자 하는 식품식별자(X)를 입력한다. 다만,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코드 인식부(121)를 이용하여 식품의 바코드를 리딩하거나, 또는 텍스트 입력부(122)를 통하여 식품명을 텍스트로 입력함으로써, 단말기(100)는 해당 식품식별자(X)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식품식별자(X)는 제어부(500)에 제공되는데, 이때에 단말기(100)의 GPS 기능 등에 의하여 위치정보(L)도 함께 제어부(500)에 제공될 수 있다(S100).
다음, 제어부(500)의 식품정보 판별부(511)는 제공된 식품식별자(X)를 이용하여 이에 상응하는 식품정보(D)를 식품정보 DB(610)에서 호출한다(S210).
또한, 제어부(500)의 식품품질 분석모듈(520)은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에서 식품기준(C)을 호출한다(S220).
다음, 제어부(500)의 식품품질 분석모듈(520)은 식품정보(D)와 식품기준(C)을 비교함으로써(S231) 식품정보(D)의 영양정보가 식품기준(C)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2).
부합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500)는 영양정보와 식품기준(C)을 이용하여 섭취형태(M)를 연산하고(S233),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유사식품(F)을 연산한다(S234).
상기의 S231 내지 S233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식품기준(C)으로 안전기준을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기준은 안전하지 못한 식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며, 식품에 들어가서는 안되는 유해한 물질이 포함되는지 여부 등이 일례가 될 수 있다. 중금속을 예로 든다.
영양정보에 중금속이 포함되었다면, 제어부(500)는 영양정보를 안전기준에 비교함으로써 해당 식품이 안전기준에 부합하지 않음을 연산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본 식품은 안전하지 않은 제품이므로 섭취해서는 안됨"이라는 섭취형태(M)를 연산한다.
(2) 식품기준(C)으로 영양기준을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영양기준은 인체에 유익한 소정의 영양소의 양에 관한 것으로 해당 식품이 특정 영양소가 많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이다. 탄수화물을 예로 든다.
영양정보에 탄수화물 1g이 포함되었다면, 제어부(500)는 영양정보를 영양기준에 비교함으로써 탄수화물 3g의 섭취를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해당 식품이 영양기준에 부합함을 연산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본 식품 3개를 한 번에 섭취하여 함"이라는 섭취형태(M)를 연산한다.
(3) 식품기준(C)으로 식품첨가물 사용기준을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식품첨가물 사용기준은, 식품에 소량의 투입만이 허용된 식품첨가물에 관한 기준으로서 해당 식품에 첨가물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색소를 예로 든다.
영양정보에 색소가 포함되었다면, 제어부(500)는 영양정보를 식품첨가물 사용기준과 비교함으로써 해당 식품에 식품첨가물이 사용되었음을 연산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본 식품에 식품첨가물이 사용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함"이라는 섭취형태(M)를 연산한다.
(4) 식품기준(C)으로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을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은 열량을 중심으로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해당 식품이 미리 결정된 소정의 열량 이상인 경우 고열량식품으로 판단하고, 미리 결정된 다른 소정의 열량 이하인 경우 저양양식품으로 판단하는 기준이다.
영양정보에 열량 4kcal가 포함되었고, 고열량식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미리 결정된 소정의 열량이 2kcal인 경우를 예로 든다.
제어부(500)는 영양정보를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에 비교하여 상기 식품이 고열량식품이거나 또는 저영양식품인지 판별할 수 있는데, 상기의 예에서는 고열량식품으로 판별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식품의 열량을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의 열량으로 나누기한 값을 올림함으로써 섭취횟수를 연산하여 섭취형태(M)를 연산한다. 즉, 식품의 열량인 4kcal를 판별기준의 열량인 2kcal로 나누기한 후 올림함으로써 섭취횟수인 "2"를 연산하며, 이에 따라 "본 식품은 2회로 구분하여 섭취하여야 함"의 섭취형태(M)를 연산한다.
영양정보에 열량 0.3kcal가 포함되었고, 저양양식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미리 결정된 소정의 열량이 1kcal인 경우를 예로 든다. 저영양식품으로 판별된다.
제어부(500)는,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의 열량을 상기 식품의 열량으로 나누기한 값을 올림함으로써 1회 섭취개수를 연산한다. 즉, 판별기준의 열량인 1kcal를 식품의 열량인 0.3kcal로 나누기한 후 올림함으로써 섭취개수인 "4"를 연산하며, 이에 따라 "본 식품 4개를 한 번에 섭취하여 함"의 섭취형태(M)를 연산한다.
다시 도 2로 돌아온다.
제어부(500)는 위치정보(L)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구역 내의 우수판매처 정보(S)를 판매처정보 DB(630)로부터 호출한다(S240).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500)는 위치정보(L)를 제공받은바 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구역 내의 우수판매처 정보(S)를 우수판매처 DB(630)로부터 호출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위치정보(L)가 제공되어 있으며, 미리 설정된 구역이 반지름 500m의 반원이라면, 해당 구역 내에 3개의 우수판매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단말기(100)는 식품정보(D)를 출력함은 물론(S310), 유사식품(F)이 있는 경우 이를 출력하고(S320), 우수판매처 정보(S)가 있는 경우 이를 출력한다(S330).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단말기
120: 입력모듈
121: 코드 인식부
122: 텍스트 입력부
130: 위치정보 제공모듈
140: 출력모듈
141: 식품정보 출력부
142: 섭취형태 출력부
143: 유사식품 출력부
144: 우수판매처 정보 출력부
500: 제어부
510: 식품정보 분석모듈
511: 식품정보 판별부
512: 섭취형태 판별부
513: 유사식품 판별부
520: 식품품질 분석모듈
521: 안전기준 판별부
522: 영양기준 판별부
523: 식품첨가물 사용 판별부
524: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부
530: 위치정보 관리모듈
531: 위치정보 확인부
532: 우수판매처 판별부
600: 데이터베이스
610: 식품정보 DB
620: 식품품질정보 DB
630: 판매처정보 DB

Claims (14)

  1. (a) 제어부(500)에 단말기(100)를 통하여 식품식별자(X)가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식품식별자(X)에 상응하는 식품정보(D)를 식품정보 DB(610)로부터 호출하는 단계, 여기에서 상기 식품정보(D)는 영양정보를 포함;
    (c) 상기 제어부(500)가 식품품질판별기준 DB(620)에 미리 저장된 식품기준(C)과 비교하는 단계, 여기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식품기준(C)은, 안전기준, 영양기준, 식품첨가물 사용기준 및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을 포함;
    (d)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영양정보가 상기 식품기준(C)에 부합되는지 판단하고, 부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영양정보와 상기 식품기준(C)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섭취형태(M)를 연산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식품정보(D) 및 상기 연산된 섭취형태(M)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단계는,
    (d1)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양정보에 포함된 성분이 상기 안전기준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가 섭취를 금지하는 섭취형태(M)를 연산하는 단계;
    (d2)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양정보과 상기 영양기준을 이용하여 특정 영양소에 대하여 상기 영양기준이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합되는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가 특정 영양소를 위한 식품의 1회 섭취개수 또는 1개의 식품의 섭취횟수인 섭취형태(M)를 연산하는 단계;
    (d3)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양정보와 상기 식품첨가물 사용기준에 따라 식품첨가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가 식품첨가물이 사용되었음을 경고하는 섭취형태(M)를 연산하는 단계; 및
    (d4)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양정보와 상기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에 따라 상기 식품이 고열량식품이거나 또는 저영양식품인지 판단하고, 상기 식품이 고열량식품인 경우 상기 식품의 열량을 상기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의 열량으로 나누기한 값을 올림한 값을 1개의 식품의 섭취횟수인 섭취형태(M)로 연산하고, 상기 식품이 저영양식품인 경우 상기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의 열량을 상기 식품의 열량으로 나누기한 값을 올림한 값을 1회 섭취개수인 섭취형태(M)로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제어부(500)에 상기 단말기(100)를 통하여 위치정보(L)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단계 이후, (e')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위치정보(L)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구역 내의 우수판매처 정보(S)를 우수판매처 DB(630)로부터 호출하고, 상기 제어부(500)가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영양정보를 이용하여 유사식품(F)을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f)단계는,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우수판매처 정보(S)에 상기 유사식품(F)이 있는 경우 상기 우수판매처 정보(S) 및 상기 유사식품(F)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제어부(500)에 상기 단말기(100)의 코드 입력부(121)를 통하여 바코드로서 식품식별자(X)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500)에 상기 단말기(100)의 텍스트 입력부(122)를 통하여 텍스트로서 식품식별자(X)가 입력되는 단계인,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식품정보(D)는, 식품형태, 식품군 및 식품유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방법.
  11. 제 1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 상기 제어부(500) 및 데이터베이스(600)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100)는,
    식품식별자(X)가 입력되는 입력모듈(100); 및
    정보가 출력되는 출력모듈(14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식품식별자(X)를 인가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식품정보(D)를 호출하는 식품정보 분석모듈(51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식품기준(C)을 호출하고,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식품품질을 분석하는 식품품질 분석모듈(520)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600)는,
    식품식별자(X)에 상응한 식품정보(D)가 저장된 식품정보 DB(610); 및
    미리 입력된 식품기준(C)이 포함된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모듈(140)이 출력하는 정보는, 상기 식품정보(D)를 포함하는,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정보 분석모듈(510)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식품식별자(X)를 인가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식품정보(D)를 호출하는 식품정보 판별부(511);
    상기 식품정보(D) 및 상기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로부터 인가받은 식품기준(C)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하여 섭취형태(M)를 연산하는 섭취형태 판별부(512) 및
    상기 식품정보(D)에 포함된 영양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유사식품(F)을 연산하는 유사식품 판별부(513)를 포함하는,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품질 분석모듈(520)은,
    상기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로부터 안전기준을 호출하여 상기 식품정보(D)와 비교하는 안전기준 판별부(521);
    상기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로부터 영양기준을 호출하여 상기 식품정보(D)와 비교하는 영양기준 판별부(522);
    상기 식품정보 DB(610)로부터 호출한 상기 식품정보(D)로부터 식품첨가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식품첨가물사용 판별부(523); 및
    상기 식품품질 판별기준 DB(620)로부터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기준을 호출하여 상기 식품정보(D)와 비교하는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부(524)를 포함하는,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100)는 위치정보(L)를 연산하여 상기 제어부(500)에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모듈(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600)는 다수의 우수판매처 정보(S)가 그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된 판매처정보 DB(6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공된 위치정보(L)를 확인하는 위치정보 확인부(531)와 상기 위치정보(L)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구역 내의 우수판매처 정보(S)를 우수판매처 DB(630)로부터 호출하는 우수판매처 판별부(532)를 더 포함하는,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
KR1020140091193A 2014-07-18 2014-07-18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656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193A KR101656835B1 (ko) 2014-07-18 2014-07-18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193A KR101656835B1 (ko) 2014-07-18 2014-07-18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906A KR20160010906A (ko) 2016-01-29
KR101656835B1 true KR101656835B1 (ko) 2016-10-04

Family

ID=5531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193A KR101656835B1 (ko) 2014-07-18 2014-07-18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436B1 (ko) * 2023-05-26 2023-12-07 주식회사 팜킷 식품에 관한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9108A (ja) * 1996-03-21 1997-10-03 Nec Corp カロリ計算システム
KR20110132075A (ko) * 2010-06-01 2011-12-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코드정보를 이용한 식품의 원재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9102A (ko) * 2010-10-15 2012-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이관리장치 및 식이관리방법
KR101243536B1 (ko) * 2011-04-25 2013-03-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음식점 검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906A (ko) 2016-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bson et al. A review of dietary zinc recommendations
Hastak et al. Deception by implication: A typology of truthful but misleading advertising and labeling claims
US9977980B2 (en) Food logging from images
AU20202236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specific modulation of nutrient intake
Gracia et al. Consumers’ valuation of nutritional information: a choice experiment study
Esnouf et al. Food system sustainability: insights from duALIne
John et al. Psychologically informed implementations of sugary-drink portion limits
KR20200072444A (ko) 급식관리 시스템
Ge et al. Food and nutrition security under global trade: a relation-driven agent-based global trade model
Delhomme Front-of-pack nutrition labelling in the European Union: a behavioural, legal and political analysis
US20190228678A1 (en) System for control over food and diet and related method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
US2022019922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nutrition quality evaluation comprehension and selection
Dijkhuizen et al. Legal framework for food fortification: examples from Vietnam and Indonesia
Dinour et al. Potato chips, cookies, and candy oh my! Public commentary on proposed rules regulating competitive foods
Gibson‐Moore et al. Evolution not revolution–what might the future hold for front‐of‐pack nutrition labelling in the UK?: a British nutrition foundation roundtable
KR101656835B1 (ko) 식품 정보제공 및 구매지원 시스템 및 방법
JP2010092196A (ja) 栄養管理システム
JP200805245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装置、バーチャル装置、携帯型の情報処理端末及び記録メディア
KR20190039448A (ko) 식품 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형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Samuel et al. An analysis of nutrient facts labels of pediatric multi-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Is there a risk of overexposure?
Kontopoulou et al. Guideline Daily Amounts Versus Nutri-Score Labeling: Perceptions of Greek Consumers About Front-of-Pack Label
US20150243186A1 (en) Method For Facilitating Menu Planning
KR102594082B1 (ko) 어린이 권장 섭취량을 기준으로 하는 영양제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obath et al. Association between restaurant menu item descriptions and their nutrient content
Mulligan et al. Child-appealing packaged food and beverage products in Canada–Prevalence, power, and nutritional 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