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490B1 -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490B1
KR101656490B1 KR1020150040085A KR20150040085A KR101656490B1 KR 101656490 B1 KR101656490 B1 KR 101656490B1 KR 1020150040085 A KR1020150040085 A KR 1020150040085A KR 20150040085 A KR20150040085 A KR 20150040085A KR 101656490 B1 KR101656490 B1 KR 101656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transparent electrode
electrochromic
form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경
이소희
김세현
박수미
박규태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0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의 이동에 따라 변색되는 전기변색층 및 제1투명전극층을 포함하며, 전기전도성과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변색부를 형성시키는 변색부형성단계; 제2투명전극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며, 전기전도성과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접착부를 형성시키는 접착부형성단계; 및 상기 접착부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접착부와 상기 변색부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변색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부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제2투명전극층의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 시키기 때문에 기존의 창문에 간편하게 부착시켜서 시공할 수 있으며, 두께가 얇기 때문에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으며,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 대한 활용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Adhesive Smart Window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유리창 등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시공 및 교체가 간편한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윈도우는 태양광의 투과율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윈도우를 말하는 것으로, 전자커튼, 투과도 가변 유리, 조광 유리 등으로도 불린다. 이러한 스마트 윈도우는 전기변색소자(Electrochromic Device : ECD)를 이용한 것으로 전장을 인가하여 전류의 흐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한다.
스마트 윈도우는 창문이나 거울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어 광의 투과도나 반사도를 조절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 윈도우는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에 의하여 물질의 색이 가역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서, 산화 또는 환원시 수반되는 전자 이동에 의해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근적외선 영역에서의 에너지 흡수변화에 따라 색상을 가변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 윈도우가 건축물 또는 자동차의 윈도우에 적용되면 겨울에는 실내로 최대한 태양광선이 들어올 수 있도록 투명하게 조절하고, 여름에는 태양광선을 차단하도록 하면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윈도우에 관련하여 종래 기술 중에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19443호(발명의 명칭 :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 이하 선행기술 1) 등이 있다. 선행기술 1에 따르면,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코팅 및 증착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스마트 윈도우 전체가 불량품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 1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창문에 시공하거나, 기존에 설치된 제품에 하자가 발생하여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유리를 통째로 교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 및 유지, 보수가 까다롭고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 설치되어 있는 유리를 교체할 필요없이 쉽게 스마트 윈도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스마트윈도우의 수명단축 또는 성능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제조방법은 전자의 이동에 따라 변색되는 전기변색층 및 제1투명전극층을 포함하며, 전기전도성과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변색부를 형성시키는 변색부형성단계; 제2투명전극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며, 전기전도성과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접착부를 형성시키는 접착부형성단계; 및 상기 접착부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접착부와 상기 변색부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변색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부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제2투명전극층의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자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 시키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형성단계는, 접착층보호필름의 일측 면에 접착제로 상기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접착층형성단계; 상기 접착층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접착층의 일측 면에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상기 제2고분자기재층을 형성시키는 제2고분자기재층형성단계; 상기 제2고분자기재층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2고분자기재층의 일측 면에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액체로 코팅시키는 제2투명전극층형성단계; 및 상기 제2투명전극층형성단계에서 상기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액체로 코팅된 상기 제2고분자기재층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하는 제2패터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변색부형성단계는, 제1고분자기재층의 일측 면에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액체로 코팅시키는 제1투명전극층형성단계; 상기 제1투명전극층형성단계에서 상기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액체로 코팅된 상기 제1투명전극층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하는 제1패터닝단계; 상기 제1패터닝단계에서 패터닝된 상기 제1투명전극층에서 상기 은나노와이어로 코팅된 면 측에 상기 전기변색층을 형성시키는 전기변색층형성단계; 및 상기 전기변색층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전기변색층의 일측 면에 전해질물질로 전해질층을 형성시키는 전해질층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결합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접착부와 상기 변색부와의 결합은, 상기 접착부에서 전기전도성이 있는 상기 물질로 패턴된 면과 상기 변색부의 상기 전해질층의 면이 서로 접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임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변색층형성단계는 상기 제1투명전극층의 일측 면을 전기변색소재용액으로 코팅시키는 전기변색제코팅단계; 및 상기 전기변색제코팅단계에서 코팅된 상기 전기변색소재용액을 건조시키는 전기변색제건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전기변색소재용액은
Figure 112015028170895-pat00001
,
Figure 112015028170895-pat00002
또는
Figure 112015028170895-pat00003
중 어느 하나와 디아이워터(D.I. water) 및 알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용액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해질층형성단계는 고분자폴리머를 용매에 혼합하여 고분자폴리머 용액을 형성시키는 A단계; 상기 A단계에서 혼합된 상기 고분자폴리머 용액에 이오닉리퀴드를 첨가하여 이온젤용액을 형성시키는 B단계; 상기 B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이온젤용액을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코팅시키는 C단계; 및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코팅된 상기 이온젤용액을 건조시키어 용매를 제거하는 D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고분자폴리머는 PDVF(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ly(styrene-block-ethyleneoxide-block styrene)(SOS) triblock copolymer 및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셀룰로오즈(cellulos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프로피렌(polypropyrene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이오닉리퀴드(ionic liquid)는, 이미다졸(imidazole) 기능기를 포함하는 이오닉리퀴드, 설포닐 이미드(sulfonyl imide) 기능기를 포함하는 이오닉리퀴드, EMBI(1-Ethyl-3-methylimidazolium bis trifluoromethylsulfonylimid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로로포스포에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oate) 및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로로보레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고분자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aphthal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고분자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aphthal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및 우레탄계 접착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은 전기전도성과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제1투명전극체; 상기 제1투명전극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전자의 이동에 따라 변색되는 전기변색층; 상기 전기변색층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전기변색층이 전기변색을 일으킬 수 있도록 전해질로 이루어진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의 일측에 마련되며, 전기전도성과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제2투명전극체; 및 상기 제2투명전극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투명전극체 또는 상기 제2투명전극체에서 상기 전기변색층 측으로 전기전도성 있는 물질로 패터닝된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접착층보호필름이 상기 접착층의 일측 면에 부착되어 있되,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투명전극체 또는 상기 제2투명전극체는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고분자기재체의 일 면에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액체로 코팅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고분자기재체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Figure 112015028170895-pat00004
,
Figure 112015028170895-pat00005
또는
Figure 112015028170895-pat00006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해질층은 고분자폴리머 및 이오닉리퀴드(ionic liqui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온젤(ion gel)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전해질층에 포함되는 상기 고분자폴리머는 PDVF(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ly(styrene-block-ethyleneoxide-block styrene)(SOS) triblock copolymer,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 셀룰로오즈(cellulos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프로피렌(polypropyrene)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전해질층에 포함되는 상기 이오닉리퀴드(ionic liquid)는, 이미다졸(imidazole) 기능기를 포함하는 이오닉리퀴드, 설포닐 이미드(sulfonyl imide) 기능기를 포함하는 이오닉리퀴드, EMBI(1-Ethyl-3-methylimidazolium bis trifluoromethylsulfonylimid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로로포스포에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oate) 및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로로보레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은 기존의 창문에 간편하게 부착시켜서 시공할 수 있으며, 두께가 얇기 때문에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으며,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서 이온젤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하면, 리킹(leaking)이나 베이퍼(vapor)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리킹이나 베이퍼로 인한 결함의 발생가능성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공정상에 있어서 제품생산수율 내지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잉크젯 프린팅 방법 등을 이용하여 이온젤의 전해질층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상 좀 더 수월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좀 더 다양한 형태(모양)을 갖는 스마트 윈도우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제품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먼저 설명한 후에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은 제1투명전극층(110), 제1전기변색층(120), 전해질층(130) 및 제2투명전극층(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제2전기변색층(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투명전극층(110)은 전기전도성이 있으며,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투명전극층(110)은 제1고분자기재층(111)에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코팅된 코팅층(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이 코팅(113)된 측에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115)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코팅(113)되고,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115)된 면이 전기변색층(120) 또는 전해질층(130)측으로 위치한다.
그리고, 여기서 패터닝된 형태는 필름 면의 외곽을 둘러싸거나 특정모양의 윤곽(예를 들면, 어떤 그림의 윤곽선)을 이루도록 패터닝(115)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터닝(115)된 내측 면에서 스마트윈도우의 변색작용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제1투명전극층(110)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에 대해 예를 들면, ITO글라스(Indium Titanium Oxide Glass)가 대표적이다. ITO글라스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TO글라스 이외에도 전기전도성과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고분자기재층(111)이 제1투명전극층(11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고분자기재층(111)의 일측 면(전기변색층, 전해질층(130)이 있는 방향측의 면을 말한다.)에 전기전도성을 주기 위하여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코팅처리를 하거나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코팅층을 형성시킨 것(113)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코팅처리된 코팅층(113) 측에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시킨 것(115)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패터닝(115)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은 코팅층(113)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은나노와이어용액과 같은 성분비를 가진 것일 수도 있지만, 은나노와이어용액과 성분비 내지 조성비를 달리하는 물질로 패터닝(115)시킨 것일 수도 있다.
고분자기재층(111)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고분자기재체로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 PPS),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aphthalate ; PE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 P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서 80~30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두께를 가지며 공기 대비 투과도가 85%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꼭 국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고분자기재층(111)의 일측 면에 마련되는 은나노와이어용액코팅층(113)은 투명한 유리기판 또는 얇은 고분자 기판 위에 물리화학적인 방법으로 원자, 분자 또는 이온을 응축시킨 것으로, 가시광영역에서 투명하며, 전기전도도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투명전극층(110)은 광투과도와 전기전도도 이외에도 내열성, 내알칼리성, 식각특성, 전기화학적 안정성, 막표면형상, 부착강도, 부착경도, 막의 두께 등이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전기변색층(120)은 제1투명전극층(110)의 일측에 마련된다. 그리고 전자의 이동에 따라 변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전자의 이동은 전기화학적으로 산화, 환원반응을 포함하여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변색층(120)으로는
Figure 112015028170895-pat00007
,
Figure 112015028170895-pat00008
또는
Figure 112015028170895-pat00009
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지만, 꼭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기변색층(120)은 유기변색물질이나 무기변색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기변색층(120)으로
Figure 112015028170895-pat00010
,
Figure 112015028170895-pat00011
또는
Figure 112015028170895-pat00012
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며, 이러한 전기변색층(120)에 대해서는 종래에 알려진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 다음으로, 전해질층(Electrolyte)(130)은 전기변색층(12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전기변색층(120)이 전기변색을 일으킬 수 있도록 전해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해질층(130)은 액체전해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고분자폴리머 및 이오닉리퀴드(ionic liqui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온젤(ion gel)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해질층(130)에 포함되는 고분자폴리머는 PDVF(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ly(styrene-block-ethyleneoxide-block styrene)(SOS) triblock copolymer,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셀룰로오즈(cellulos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피렌(polypropyrene) 등을 포함하는 것이거나 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해질층(130)에 포함되는 이오닉리퀴드(ionic liquid)는, 이미다졸((imidazole) 기능기를 포함하는 이오닉리퀴드, 설포닐 이미드(sulfonyl imide) 기능기를 포함하는 이오닉리퀴드, EMBI(1-Ethyl-3-methylimidazolium bis trifluoromethylsulfonylimide), 1-Eth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oate 및 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질층(130)의 일측 면에는 제2투명전극층(140)이 마련된다.
제2투명전극층(140)은 전기전도성이 있으며,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투명전극층(140)은 제2고분자기재층(141)에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코팅된 코팅층(1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이 코팅된 측에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145)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코팅된 코팅층(143)과 패터닝(145)된 측이 전해질층(130) 또는 전기변색층(120)을 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패터닝된 형태는 필름 면의 외곽을 둘러싸거나 특정모양의 윤곽(예를 들면, 어떤 그림의 윤곽선)을 이루도록 패터닝(145)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터닝(145)된 내측 면에서 스마트윈도우의 변색작용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제2투명전극층(140)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에 대해 예를 들면, ITO글라스(Indium Titanium Oxide Glass)가 대표적이다. ITO글라스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TO글라스 이외에도 전기전도성과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제2고분자기재층(141)이 제2투명전극층(14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제2고분자기재층(141)의 일측 면(전기변색층(120) 또는 전해질층(130)이 있는 방향측의 면을 말한다.)에 전기전도성을 주기 위하여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코팅처리를 하거나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코팅층을 형성시킨 것(143)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코팅처리된 코팅층(143) 측에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시킨 것(145)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패터닝(145)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은 코팅층(113)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은나노와이어용액과 같은 성분비를 가진 것일 수도 있지만, 은나노와이어용액과 성분비 내지 조성비를 달리하는 물질로 패터닝(145)시킨 것일 수도 있다.
제2고분자기재층(141)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고분자기재체로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 PPS),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aphthalate ; PE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 P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서 80~30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두께를 가지며 공기 대비 투과도가 85%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꼭 국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고분자기재층(141)의 일측 면에 마련되는 은나노와이어용액코팅층(143)은 투명한 유리기판 또는 얇은 고분자 기판 위에 물리화학적인 방법으로 원자, 분자 또는 이온을 응축시킨 것으로, 가시광영역에서 투명하며, 전기전도도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투명전극층(140)은 광투과도와 전기전도도 이외에도 내열성, 내알칼리성, 식각특성, 전기화학적 안정성, 막표면형상, 부착강도, 부착경도, 막의 두께 등이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투명전극층(140)의 일측 면에는 접착층(150)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150)은 투명한 접착제로 형성된다. 접착층(15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유리창 등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접착층(150)을 형성시키는 투명한 접착제는 실리콘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및 우레탄계 접착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접착층(150)의 일측 면에는 접착층보호필름(160)이 마련되어 있다. 접착층보호필름(160)은 고분자기재로 이루어진 얇은 필름으로서, 외부로부터 접착층(150)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유리창에 부착시킬 때 접착층보호필름(160)을 제거하고 외부로 노출된 접착층(150)이 유리창 등에 밀착되도록 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제조방법은, 접착부형성단계(S10), 변색부형성단계(S20) 및 결합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접착부형성단계(S10)에서는, 제2투명전극층(140)의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기장이 형성되거나 전자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145)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부형성단계(S10)는 제2투명전극층(140) 및 접착층(150)을 포함하며, 전기전도성과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접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말하는 접착부에는 앞서 설명한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서 제2투명전극층(140)와 접착층(150)이 포함되며, 접착층보호필름(1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가 접착부형성단계(S10)인 것이다.
그리고, 변색부형성단계(S20)는 전자의 이동에 따라 변색되는 전기변색층(120) 및 제1투명전극층(110)을 포함하며, 전기전도성과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변색부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즉, 변색부에는 앞서 설명한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서 제1투명전극층(110)과 전기변색층(120)이 포함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해질층(130)까지 포함된다. 이러한 변색부를 형성시키는 단계가 변색부형성단계(S20)이다.
그리고, 결합단계(S30)는 접착부와 변색부를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변색부와 접착부를 각기 형성시킨 후 변색부와 접착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이 제조될 수 있으며, 변색부형성단계(S20)와 접착부형성단계(S10)는 어느 것이 먼저 실시 되어도 상관없다.
즉, 접착부형성단계(S10) 다음에 변색부형성단계(S20)을 실시하여도 되고, 변색부형성단계(S20)을 먼저 실시한 후에 접착부형성단계(S10)을 실시하여도 되며, 변색부형성단계(S20)와 접착부형성단계(S10)을 다른 공간에서 동시에 진행하여도 좋다는 것이다. 둘 중 어느 단계를 먼저 실시하더라도 접착부와 변색부를 형성시킨 후 결합단계(S30)에서 접착부와 변색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이 완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순서에 따라 접착부형성단계(S10)부터 좀 더 세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S10>>
접착부형성단계(S10)는 접착층형성단계(S110), 제2고분자기재층형성단계(S120), 제2투명전극층형성단계(S130) 및 제2패터닝단계(S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S110>>
접착층형성단계(S110)는 접착층보호필름(160)의 일측 면에 접착제로 접착층(15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접착층보호필름(16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층(150)에 외부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얇은 고분자 필름이다. 이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150)을 형성시킨다는 것이다. 여기서 접착층(150)을 형성시키기 위한 투명한 접착제로서 실리콘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및 우레탄계 접착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접착층(150)을 형성시킨다.
<<S120>>
다음으로, 제2고분자기재층형성단계(S120)에서는 접착층형성단계(S110)에서 형성된 접착층(150)의 일측 면에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제2고분자기재층(141)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제2고분자기재층(141)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고분자기재체로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 PPS),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aphthalate ; PE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 P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서 80~30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두께를 가지며 공기 대비 투과도가 85%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꼭 국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시공의 편의성 등을 고려할 때 유연성을 갖추고 있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S130>>
그 다음으로, 제2투명전극층형성단계(S130)에서는 제2고분자기재층형성단계(S120)에서 형성된 제2고분자기재층(141)의 일측 면에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액체로 코팅시키는 단계이다.
제2고분자기재층(141)의 일측 면에 형성시키는 은나노와이어용액코팅층(143)은 투명한 유리기판 또는 얇은 고분자 기판 위에 물리화학적인 방법으로 원자, 분자 또는 이온을 응축시킨 것으로, 가시광영역에서 투명하며, 전기전도도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코팅층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0.1~1wt% 의 은나노와이어용액을 스프레이코팅, 스핀코팅, 바코팅, 슬롯다이코팅 등의 방법으로 전극을 형성한 후 상온에서 120도 이하의 온도범위에서 10여분간 건조시켜서 형성시킨다.
<<S140>>
그 다음으로 제2패터닝단계(S140)에서는 제2투명전극층형성단계(S130)에서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액체로 코팅된 제2고분자기재층(141)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145)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은나노와이어가 1~20wt%포함되되, 전체 고형분은 1~50wt% 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패턴을 형성시킬 부분에 잉크젯프린팅, 스프레이 코팅 등의 방법으로 패터닝(145)시켜줄 수 있다.
다음으로 이어질 수 있는 변색층형성단계(S2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20>>
변색층형성단계(S20)는 제1투명전극층형성단계(S210), 제1패터닝단계(S220), 전기변색층형성단계(S230), 전해질층형성단계(S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S210>>
제1투명전극층형성단계(S210)는 제1고분자기재층(111)의 일측 면에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액체로 코팅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고분자기재층(111)으로 사용되는 고분자기재체로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 PPS),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aphthalate ; PE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 P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서 80~30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두께를 가지며 공기 대비 투과도가 85%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꼭 국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제1고분자기재층(111)의 일측면에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코팅시키기 위하여 0.1~1wt% 의 은나노와이어용액을 스프레이코팅, 스핀코팅, 바코팅, 슬롯다이코팅 등의 방법으로 전극을 형성한 후 상온에서 120도 이하의 온도범위에서 10여분간 건조시켜서 형성시킬 수 있다.
고분자기재층(111)의 일측 면에 마련되는 은나노와이어용액코팅층(113)은 투명한 유리기판 또는 얇은 고분자 기판 위에 물리화학적인 방법으로 원자, 분자 또는 이온을 응축시킨 것으로, 가시광영역에서 투명하며, 전기전도도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투명전극층(110)은 광투과도와 전기전도도 이외에도 내열성, 내알칼리성, 식각특성, 전기화학적 안정성, 막표면형상, 부착강도, 부착경도, 막의 두께 등이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20>>
제1패터닝단계(S220) 제1투명전극층형성단계(S210)에서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액체로 코팅된 제1투명전극층(110)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115)시키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은나노와이어가 1~20wt%포함되되, 전체 고형분은 1~50wt% 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패턴을 형성시킬 부분에 잉크젯프린팅, 스프레이 코팅 등의 방법으로 패터닝(115)시켜줄 수 있다.
<<S230>>
전기변색층형성단계(S230)는 제1패터닝단계(S220)에서 패터닝(115)된 제1투명전극층(110)에서 은나노와이어로 코팅된 면 측에 전기변색층(12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전기변색층형성단계(S230)는 전기변색제코팅단계(S231) 및 전기변색제건조단계(S2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S231>>
전기변색제코팅단계(S231)는 제1투명전극층(110)의 일측면을 전기변색소재용액으로 코팅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전기변색소재용액은
Figure 112015028170895-pat00013
,
Figure 112015028170895-pat00014
또는
Figure 112015028170895-pat00015
중 어느 하나와 디아이워터(D.I. water) 및 알콜(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알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Figure 112015028170895-pat00016
,
Figure 112015028170895-pat00017
또는
Figure 112015028170895-pat00018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디아이워터(D.I. water) 및 이소프로필알콜 사이의 질량비가 1:1:1이 되도록 혼합하여 제2전기변색소재용액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전기변색소재용액을 전해질층(130)의 일측 면에 코팅처리한다. 전기변색소재용액으로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코팅(spray coating), 스핀(spin)코팅, 바코팅, 슬롯 다이(slot die) 코팅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S233>>
전기변색제건조단계(S233)는 전기변색제코팅단계(S231)에서 코팅된 전기변색소재용액을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상온에서 섭씨 120도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10여분 동안 건조시켜서 전기변색층(140)을 형성시킨다.
<<S240>>
전해질층형성단계(S240)는 전기변색층형성단계(S230)에서 형성된 전기변색층(120)의 일측 면에 전해질물질로 전해질층(13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전해질층형성단계(S240)에서 형성되는 전해질층(130)은 액체전해질이나 고체전해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액체전해질이나 고체전해질을 이용하여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에틸렌카보네이트, 다이메틸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등의 순수 용매 또는 이 두가지 이상의 혼합용매에 리튬복합염을 포함하는 액체 전해질이나 폴리에틸렌플루오라이드 및 이미다졸리움, 이미드 등의 염을 포함한 전해질을사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 예로서, 액체전해질의 경우에는 에틸렌카보네이트 35g, 디메틸카보네이트 15g,
Figure 112015028170895-pat00019
5.32g 으로 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고체전해질의 경우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24%에 아세톤나이트릴 64% 그리고 LiClO4 12%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전해질층(130)을 고분자폴리머(macromolecule polymer) 및 이오닉리퀴드(ionic liquid)를 포함하는 이온젤(ion gel)용액으로부터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하 전해질을 이온젤로 형성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을 하기로 한다.
이러한 전해질층형성단계(S240)는 A단계(S241)내지 D단계(S2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S241>>
A단계(S241)는 고분자폴리머를 용매에 혼합하여 고분자폴리머 용액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고분자폴리머는 PDVF(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ly(styrene-block-ethyleneoxide-block styrene)(SOS) triblock copolymer,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셀룰로오즈(cellulos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프로피렌(polypropyrene)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S243>>
B단계(S243)는 A단계(S241)에서 혼합된 상기 고분자폴리머 용액에 이오닉리퀴드를 첨가하여 이온젤용액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이오닉리퀴드(ionic liquid)는 이미다졸((imidazole) 기능기를 포함하는 이오닉리퀴드, 설포닐 이미드(sulfonyl imide) 기능기를 포함하는 이오닉리퀴드, EMBI(1-Ethyl-3-methylimidazolium bis trifluoromethylsulfonylimid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로로포스포에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oate) 및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로로보레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고분자폴리머와 아세톤을 혼합하고, 여기에 이오닉리퀴드로서 EMBI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이온젤용액을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고분자폴리머와 아세톤과 EMBI 사이의 질량비는 1:4:7 로 하여 이온젤용액을 형성시킬 수 있다.
<<S245>>
C단계(S245)는 B단계(S243)에서 형성된 이온젤용액을 전기변색층(120)의 표면에 코팅시키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이온젤용액을 전기변색층(120)의 표면에 스핀 코팅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10초 동안 1500RPM의 회전속도로 스핀코팅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변색층(120)의 표면에 이온젤용액을 코팅함으로써 이온젤용액이 전기변색층(120)의 표면에 고르게 도포된다.
<<S247>>
D단계(S247)는 C단계(S245)에서 전기변색층(120)의 표면에 코팅된 이온젤용액을 건조시키어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전기변색층(120)의 표면에 스핀코팅된 이온젤용액을 고온의 진공오븐에서 장시간 건조시킴으로써 용매를 제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섭씨 70도의 온도로 진공오븐속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켜줌으로써 이온젤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전해질층(130)이 형성된다.
<<S30>>
다음으로 결합단계(S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착부형성단계(S10)에서 형성된 접착부와 변색부형성단계(S20)에서 형성된 변색부를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접착부와 변색부와의 결합은 접착부에서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턴된 면과 변색부의 전해질층의 면이 서로 접하도록 결합시켜준다.
이와 같이 결합시켜서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은 기존의 창문에 간편하게 부착시켜서 시공할 수 있으며, 두께가 얇기 때문에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으며,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에서 이온젤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하면, 리킹(leaking)이나 베이퍼(vapor)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리킹이나 베이퍼로 인한 결함의 발생가능성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제조공정상에 있어서 제품생산수율 내지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잉크젯 프린팅 방법 등을 이용하여 이온젤의 전해질층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상 좀 더 수월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좀 더 다양한 형태(모양)을 갖는 스마트 윈도우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제품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10 : 제1투명전극층 120 : 전기변색층
130 : 전해질층 140 : 제2투명전극층
150 : 접착층 160 : 접착층보호필름

Claims (20)

  1. 전자의 이동에 따라 변색되는 전기변색층 및 제1투명전극층을 포함하며, 전기전도성과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변색부를 형성시키는 변색부형성단계;
    제2투명전극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며, 전기전도성과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접착부를 형성시키는 접착부형성단계; 및
    상기 접착부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접착부와 상기 변색부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변색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부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제2투명전극층의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자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시키고,
    상기 변색부형성단계는,
    제1고분자기재층의 일측 면에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액체로 코팅시키는 제1투명전극층형성단계;
    상기 제1투명전극층형성단계에서 상기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액체로 코팅된 상기 제1투명전극층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하는 제1패터닝단계;
    상기 제1패터닝단계에서 패터닝된 상기 제1투명전극층에서 상기 은나노와이어로 코팅된 면 측에 상기 전기변색층을 형성시키는 전기변색층형성단계; 및
    상기 전기변색층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전기변색층의 일측 면에 전해질물질로 전해질층을 형성시키는 전해질층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변색층형성단계는,
    상기 제1투명전극층의 일측 면을 전기변색소재용액으로 코팅시키는 전기변색제코팅단계; 및
    상기 전기변색제코팅단계에서 코팅된 상기 전기변색소재용액을 건조시키는 전기변색제건조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층형성단계는,
    고분자폴리머를 용매에 혼합하여 고분자폴리머 용액을 형성시키는 A단계;
    상기 A단계에서 혼합된 상기 고분자폴리머 용액에 이오닉리퀴드를 첨가하여 이온젤용액을 형성시키는 B단계;
    상기 B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이온젤용액을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코팅시키는 C단계; 및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코팅된 상기 이온젤용액을 건조시키어 용매를 제거하는 D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형성단계는,
    접착층보호필름의 일측 면에 접착제로 상기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접착층형성단계;
    상기 접착층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접착층의 일측 면에 빛에 대한 투과성이 있는 제2고분자기재층을 형성시키는 제2고분자기재층형성단계;
    상기 제2고분자기재층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제2고분자기재층의 일측 면에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액체로 코팅시키는 제2투명전극층형성단계; 및
    상기 제2투명전극층형성단계에서 상기 은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액체로 코팅된 상기 제2고분자기재층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패터닝하는 제2패터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접착부와 상기 변색부와의 결합은,
    상기 접착부에서 전기전도성이 있는 상기 물질로 패턴된 면과 상기 변색부의 상기 전해질층의 면이 서로 접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이며,
    상기 전기변색층형성단계에 포함되는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이온젤용액 코팅은 스핀코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소재용액은,
    Figure 112016037642272-pat00020
    ,
    Figure 112016037642272-pat00021
    또는
    Figure 112016037642272-pat00022
    중 어느 하나와 디아이워터(D.I. water) 및 알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제조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폴리머는 PDVF(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ly(styrene-block-ethyleneoxide-block styrene)(SOS) triblock copolymer,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셀룰로오즈(cellulos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프로피렌(polypropyrene)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닉리퀴드(ionic liquid)는,
    이미다졸(imidazole) 기능기를 포함하는 이오닉리퀴드, 설포닐 이미드(sulfonyl imide) 기능기를 포함하는 이오닉리퀴드, EMBI(1-Ethyl-3-methylimidazolium bis trifluoromethylsulfonylimid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로로포스포에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oate) 및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로로보레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분자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aphthal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분자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aphthal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및 우레탄계 접착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제조방법.
  13. 청구항 제1항, 제6항,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040085A 2015-03-23 2015-03-23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6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085A KR101656490B1 (ko) 2015-03-23 2015-03-23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085A KR101656490B1 (ko) 2015-03-23 2015-03-23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490B1 true KR101656490B1 (ko) 2016-09-09

Family

ID=5693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085A KR101656490B1 (ko) 2015-03-23 2015-03-23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49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054B1 (ko) 2018-04-05 2019-01-16 (주)베스트룸 스마트 윈도우용 필름에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
KR20190055350A (ko) * 2017-11-15 2019-05-2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
KR101986348B1 (ko) 2017-12-15 2019-06-05 성문전자주식회사 이색이상의 다변색이 가능한 스마트 윈도우용 변색필름
KR20190071946A (ko) 2017-12-15 2019-06-25 성문전자주식회사 자가구동형 스마트 윈도우 조립체
KR20190071941A (ko) 2017-12-15 2019-06-25 성문전자주식회사 투과율이 가변되는 스마트 윈도우용 변색필름
KR20190071959A (ko) 2017-12-15 2019-06-25 성문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
CN110573957A (zh) * 2017-04-27 2019-12-13 株式会社Lg化学 电致变色装置
KR102084777B1 (ko) 2018-10-29 2020-03-04 성문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윈도우용 변색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803A (ko) * 2004-04-19 200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전기 변색 소자
KR20080051280A (ko) * 2006-12-05 2008-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소자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한 전기변색소자
KR100938427B1 (ko) * 2002-05-22 2010-01-22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광학 및/또는 에너지 특성이 가변적인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디바이스
KR20130044947A (ko) * 2011-10-25 2013-05-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427B1 (ko) * 2002-05-22 2010-01-22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광학 및/또는 에너지 특성이 가변적인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디바이스
KR20060045803A (ko) * 2004-04-19 200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전기 변색 소자
KR20080051280A (ko) * 2006-12-05 2008-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소자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한 전기변색소자
KR20130044947A (ko) * 2011-10-25 2013-05-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3957A (zh) * 2017-04-27 2019-12-13 株式会社Lg化学 电致变色装置
US11644730B2 (en) 2017-04-27 2023-05-09 Lg Chem, Ltd. Electrochromic device
JP7062685B2 (ja) 2017-04-27 2022-05-0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電気変色素子
JP2020518008A (ja) * 2017-04-27 2020-06-1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電気変色素子
EP3617789A4 (en) * 2017-04-27 2020-03-04 LG Chem, Ltd. ELECTROCHROMIC DEVICE
KR20190055350A (ko) * 2017-11-15 2019-05-2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
KR101994540B1 (ko) * 2017-11-15 2019-06-2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접착식 스마트 표시소자
KR20190071946A (ko) 2017-12-15 2019-06-25 성문전자주식회사 자가구동형 스마트 윈도우 조립체
KR102057607B1 (ko) * 2017-12-15 2019-12-19 성문전자주식회사 자가구동형 스마트 윈도우 조립체
KR102057608B1 (ko) * 2017-12-15 2019-12-19 성문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
KR20190071959A (ko) 2017-12-15 2019-06-25 성문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
KR20190071941A (ko) 2017-12-15 2019-06-25 성문전자주식회사 투과율이 가변되는 스마트 윈도우용 변색필름
KR101986348B1 (ko) 2017-12-15 2019-06-05 성문전자주식회사 이색이상의 다변색이 가능한 스마트 윈도우용 변색필름
KR101939054B1 (ko) 2018-04-05 2019-01-16 (주)베스트룸 스마트 윈도우용 필름에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
KR102084777B1 (ko) 2018-10-29 2020-03-04 성문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윈도우용 변색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490B1 (ko) 접착식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6466B1 (ko) 이온젤 스마트 윈도우 제조방법
KR101535100B1 (ko) 전기변색 스마트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US10545387B2 (en) Electrochromic device for applying voltage to electrodes
KR102149672B1 (ko) 전기변색 소자
CN102759835B (zh) 一种纤维状柔性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CN101852960A (zh) 全固态高分子可控电致变色柔性薄膜器件及其制造方法
US9575388B2 (en) Electrochromic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459509B2 (en) Electrochromic structur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JP2002196370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構造体および方法
CN104698715A (zh) 一种全固态电致变色器件
CN110183700A (zh) 银纳米线柔性透明导电电极的制备方法、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JP2011511956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
CN102841473B (zh) 一种电致变色装置及其制备方法
CN105759469A (zh) 多功能调光玻璃及其制作方法
CN103744246A (zh) 一种镜面反射型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CN105810758B (zh) 一种用于智能调光膜的准晶图案化的透明导电薄膜电极
KR101319443B1 (ko) 전기변색성 스마트 윈도우 필름
CN107463047B (zh) 电致调光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S6036940B2 (ja) 被膜の形成方法
KR20200047889A (ko) 전기변색성 유연 스마트 윈도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0376817A (zh) 一种基于离子交换膜的柔性全固态电致变色器件及其控制方法
TW200416454A (en) Flexible electrically switchable glazing structure and methods of forming same
TW201426149A (zh) 薄型電致變色結構
KR101293189B1 (ko)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