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155B1 - 사출성형기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155B1
KR101656155B1 KR1020140188452A KR20140188452A KR101656155B1 KR 101656155 B1 KR101656155 B1 KR 101656155B1 KR 1020140188452 A KR1020140188452 A KR 1020140188452A KR 20140188452 A KR20140188452 A KR 20140188452A KR 101656155 B1 KR101656155 B1 KR 10165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etector
control device
control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824A (ko
Inventor
히로시 모리타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7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velocity or pressure of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동작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를 제공한다.
제어량에 따른 신호를 복수 출력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의 복수의 출력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부의 출력에 근거하여, 실제 제어에 이용하는 조작량을 산출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사출성형기.

Description

사출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출원은, 2014년 3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4-064650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기는, 금형장치 내의 캐비티공간에 액상의 성형재료를 충전하고, 충전한 성형재료를 고화시킴으로써 성형품을 성형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사출성형기는, 제어량(예를 들면 압력)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기, 및 검출기의 검출치와 설정치에 근거하여 조작량(예를 들면 모터 전류치)을 산출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8-73874호
검출기는, 제어량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회로, 및 검출회로의 신호를 증폭하여 제어장치에 출력하는 가변증폭기를 가진다. 그 가변증폭기의 게인은, 공정의 종류, 제어량의 크기 등에 따라 변경된다.
그런데, 검출기에 포함되는 가변증폭기의 게인이 변경되면, 검출기로부터의 신호가 바뀌어, 신호와 검출치와의 대응 관계가 바뀌어 버린다.
따라서, 제어장치는,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는 가변증폭기를 가진다. 그 가변증폭기의 게인은, 검출기에 포함되는 가변증폭기의 게인에 따라 변경된다. 이로써, 신호와 검출치와의 대응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종래, 검출기와 제어장치에서 게인의 변경 타이밍에 어긋남이 발생하여, 검출치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사출성형기의 동작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동작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제어량에 따른 신호를 복수 출력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의 복수의 출력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부의 출력에 근거하여, 실제 제어에 이용하는 조작량을 산출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사출성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동작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장치 및 그 주변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를 나타내는 도이다. 사출성형기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체결장치(10), 사출장치(50), 이젝터장치(60), 및 제어장치(70)(도 2 참조)를 가진다. 형체결장치(10)는, 형폐쇄공정, 형체결공정, 형개방공정을 행한다. 형폐쇄공정은 금형장치(30)를 폐쇄하는 공정, 형체결공정은 금형장치(30)를 체결하는 공정, 형개방공정은 금형장치(30)를 개방하는 공정이다. 사출장치(50)는, 충전공정, 보압공정, 계량공정을 행한다. 충전공정은 금형장치(30) 내의 캐비티공간(34)에 액상의 성형재료를 충전하는 공정, 보압공정은 캐비티공간(34) 내의 성형재료에 압력을 가하는 공정, 계량공정은 다음의 쇼트를 위한 성형재료를 계량하는 공정이다. 이젝터장치(60)는, 취출공정을 행한다. 취출공정은, 형개방 후의 금형장치(30)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공정이다.
사출성형기는, 예를 들면 형폐쇄공정, 형체결공정, 충전공정, 보압공정, 냉각공정, 계량공정, 형개방공정, 및 취출공정을 자동적으로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성형품을 자동적으로 반복하여 제조한다. 냉각공정은, 캐비티공간(34) 내의 성형재료를 고화시키는 공정이다. 성형 사이클의 단축을 위하여, 냉각공정 중에 계량공정이 행해져도 된다. 1 성형 사이클 중에, 예를 들면 형폐쇄공정, 형체결공정, 충전공정, 보압공정, 냉각공정, 계량공정, 형개방공정, 및 취출공정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형체결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형체결장치(10)의 설명에서는, 형폐쇄 시의 가동플래튼(13)의 이동방향(도 1 중 우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형개방 시의 가동플래튼(13)의 이동방향(도 1 중 좌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형체결장치(10)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 고정플래튼(12), 가동플래튼(13), 리어플래튼(15), 타이바(16), 토글기구(20), 및 형체결모터(26)를 가진다.
고정플래튼(12)은, 프레임(11)에 대하여 고정된다. 고정플래튼(12)에 있어서의 가동플래튼(13)과의 대향면에 고정금형(32)이 장착된다.
가동플래튼(13)은, 프레임(11) 상에 부설되는 가이드(예를 들면 가이드레일)(17)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고, 고정플래튼(12)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된다. 가동플래튼(13)에 있어서의 고정플래튼(12)과의 대향면에 가동금형(33)이 장착된다.
고정플래튼(12)에 대하여 가동플래튼(13)을 진퇴시킴으로써, 형폐쇄, 형체결, 형개방이 행해진다. 고정금형(32)과 가동금형(33)으로 금형장치(30)가 구성된다.
리어플래튼(15)은, 복수 개(예를 들면 4개)의 타이바(16)를 통하여 고정플래튼(12)과 연결되어, 프레임(11) 상에 형개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재치된다. 다만, 리어플래튼(15)은, 프레임(11) 상에 부설되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리어플래튼(15)의 가이드는, 가동플래튼(13)의 가이드(17)와 공통인 것이어도 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플래튼(12)이 프레임(11)에 대하여 고정되고, 리어플래튼(15)이 프레임(11)에 대하여 형개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지만, 리어플래튼(15)이 프레임(11)에 대하여 고정되고, 고정플래튼(12)이 프레임(11)에 대하여 형개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타이바(16)는, 형개폐방향에 평행이 되어, 형체결력에 따라 뻗는다. 적어도 1개의 타이바(16)에는 형체결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기(18)가 마련된다. 압력검출기(18)는, 타이바(16)의 변형을 검출함으로써 형체결력을 검출하여, 형체결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장치(70)에 출력한다. 제어장치(70)는, 형체결력의 검출치와 설정치와의 편차가 제로가 되도록 피드백 제어를 행한다.
토글기구(20)는, 가동플래튼(13)과 리어플래튼(15)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플래튼(13) 및 리어플래튼(15)에 각각 장착된다. 토글기구(20)가 형개폐방향으로 신축함으로써, 리어플래튼(15)에 대하여 가동플래튼(13)이 진퇴한다.
형체결모터(26)는, 토글기구(20)를 구동시킴으로써, 가동플래튼(13)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이다. 형체결모터(26)와 토글기구(20)와의 사이에는, 형체결모터(26)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토글기구(20)에 전달하는 운동변환부로서의 볼나사기구가 마련된다.
형체결모터(26)는 인코더(26a)를 가진다. 인코더(26a)는, 형체결모터(26)의 출력축의 회전각을 검출하여, 회전각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장치(70)에 출력한다. 제어장치(70)는, 회전각의 검출치와 설정치의 편차가 제로가 되도록 피드백 제어를 행한다.
다음으로, 형체결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형체결장치(10)의 동작은, 제어장치(70)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장치(70)는, 메모리 등의 기억부 및 CPU를 가지며, 기억부에 기억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CPU에 실행시킴으로써 형체결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한다.
형폐쇄공정에서는, 형체결모터(26)를 구동하여 토글기구(20)를 작동시켜, 가동플래튼(13)을 전진시킨다. 가동금형(33)이 고정금형(32)에 대하여 접근한다.
형체결공정에서는, 가동금형(33)과 고정금형(32)이 접촉한 상태에서 형체결모터(26)를 구동하여, 형체결모터(26)에 의한 추진력에 토글배율을 곱한 형체결력을 발생시킨다. 형체결상태의 고정금형(32)과 가동금형(33)과의 사이에 캐비티공간(34)이 형성된다. 형체결공정 중에, 충전공정, 보압공정, 냉각공정, 계량공정이 행해져도 된다.
형개방공정에서는, 형체결모터(26)를 구동하여 토글기구(20)를 작동시켜, 가동플래튼(13)을 후퇴시킨다. 그 후, 취출공정이 행해져도 된다.
다만, 형체결장치(10)는, 가동플래튼(13)의 구동부로서, 형체결모터(26) 대신에, 유압실린더를 가져도 된다. 또, 형체결장치(10)는, 형개폐용으로 리니어모터를 가지고, 형체결용으로 전자석을 가져도 된다. 압력검출기(18)는 변형 게이지식에 한정되지 않고, 압전식, 용량식, 유압식, 전자식(電磁式) 등이어도 되고, 그 장착위치도 타이바(16)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사출장치(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출장치(50)의 설명에서는, 형체결장치(10)의 설명과 달리, 충전 시의 스크루(52)의 이동방향(도 1 중 좌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계량 시의 스크루(52)의 이동방향(도 1 중 우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사출장치(50)는, 실린더(51), 스크루(52), 계량모터(53), 사출모터(54), 및 압력검출기(55)를 가진다.
실린더(51)는 공급구(51a)로부터 공급된 성형재료를 가열한다. 공급구(51a)는 실린더(51)의 후부에 형성된다. 실린더(51)의 외주에는, 히터 등의 가열원이 마련된다. 실린더(51)의 전단에는 노즐(59)이 마련된다.
스크루(52)는, 실린더(51)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다.
계량모터(53)는, 스크루(52)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이다. 계량모터(53)는 인코더(53a)를 가져도 된다. 인코더(53a)는, 계량모터(53)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회전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장치(70)에 출력한다. 제어장치(70)는, 계량공정에 있어서, 회전수의 검출치와 설정치와의 편차가 제로가 되도록 피드백 제어를 행해도 된다.
사출모터(54)는, 스크루(52)를 진퇴시키는 구동부이다. 스크루(52)와 사출모터(54)와의 사이에는, 사출모터(54)의 회전운동을 스크루(52)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부가 마련된다. 사출모터(54)는 인코더(54a)를 가져도 된다. 인코더(54a)는, 사출모터(54)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함으로써 스크루(52)의 전진속도를 검출하여, 스크루(52)의 전진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장치(70)에 출력한다. 제어장치(70)는, 충전공정에 있어서, 스크루(52)의 전진속도의 검출치와 설정치와의 편차가 제로가 되도록 피드백 제어를 행해도 된다.
압력검출기(55)는, 예를 들면 사출모터(54)와 스크루(5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압력검출기(55)에 작용하는 압력에 따른 신호를 제어장치(70)에 출력한다. 압력검출기(55)에 작용하는 압력은, 스크루(52)의 배압, 스크루(52)가 미는 성형재료의 압력 등에 따른 것이 된다.
충전공정에서는, 사출모터(54)를 구동하여 스크루(52)를 전진시켜, 스크루(52)의 전방에 축적된 액상의 성형재료를 금형장치(30)의 캐비티공간(34)에 충전시킨다. 스크루(52)의 전진속도의 설정치는, 일정해도 되고, 스크루 위치 또는 경과시간에 따라 변경되어도 된다. 스크루(52)가 소정 위치(이른바 V/P 전환 위치)까지 전진하면, 보압공정이 개시된다. 다만, 충전공정 개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이 소정 시간에 이르면, 보압공정이 개시되어도 된다.
보압공정에서는, 사출모터(54)를 구동하여 스크루(52)를 전방으로 밀어, 캐비티공간(34) 내의 성형재료에 압력을 가한다. 부족한 만큼의 성형재료를 보충할 수 있다. 성형재료의 압력의 설정치는, 일정해도 되고, 경과시간 등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경되어도 된다. 캐비티공간(34)의 입구(이른바 게이트)가 씰되어, 캐비티공간(34)으로부터의 성형재료의 역류가 방지된 후, 냉각공정이 개시된다. 냉각공정 중에 계량공정이 행해져도 된다.
계량공정에서는, 계량모터(53)를 구동하여 스크루(52)를 회전시켜, 스크루(52)에 형성되는 나선 형상의 홈을 따라 성형재료를 전방으로 보낸다. 이에 따라, 성형재료가 서서히 용융된다. 액상의 성형재료가 스크루(52)의 전방으로 보내져 실린더(51)의 전부(前部)에 축적됨에 따라, 스크루(52)가 후퇴되게 된다. 스크루(52)의 회전수의 설정치는, 일정해도 되고, 스크루 위치 또는 경과시간에 따라 변경되어도 된다.
계량공정에서는, 스크루(52)의 급격한 후퇴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출모터(54)를 구동하여 스크루(52)에 대하여 배압을 가해도 된다. 배압이 설정치가 되도록 사출모터(54)가 구동된다. 스크루(52)가 소정 위치까지 후퇴하여, 스크루(52)의 전방에 소정량의 성형재료가 축적되면, 계량공정이 종료된다.
다만, 본 실시형태의 사출장치는, 인라인·스크루방식이지만, 프리플라스티케이팅 방식이어도 된다. 프리플라스티케이팅 방식의 사출장치는, 가소화 실린더 내에서 용융된 성형재료를 사출실린더에 공급하고, 사출실린더로부터 금형장치 내에 성형재료를 사출한다. 가소화 실린더 내에는 스크루가 회전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고 또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며, 사출실린더 내에는 플런저가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제어장치(70) 및 그 주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장치 및 그 주변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어장치(70)는, 예를 들면 제1 제어연산부(71), 제2 제어연산부(72), 및 인버터(73)를 가진다. 제어장치(70)는, 사출모터(54) 및 압력검출기(55)와 접속된다. 제어량은 압력검출기(55)에 작용하는 압력이며, 조작량은 사출모터(54)로의 공급전력이다.
압력검출기(55)는, 압력검출기(55)에 작용하는 압력을 검출한다. 이 압력은, 스크루(52)의 배압이나 스크루(52)가 미는 성형재료의 압력을 나타낸다. 압력검출기(55)는, 검출회로로서의 변형 게이지(56)와, 제1 증폭기(57)와 제2 증폭기(58)를 가진다.
변형 게이지(56)는, 복수의 저항선을 조합한 브리지회로를 구성한다. 브리지회로에 압력이 작용하면, 각 저항선이 변형되어, 각 저항선의 저항값이 변화한다. 압력에 따른 전압이 브리지회로로부터 출력된다. 브리지회로의 출력전압은, 브리지회로의 입력전압이 일정한 경우, 기본적으로는 브리지회로에 작용하는 압력에 비례한다.
제1 증폭기(57) 및 제2 증폭기(58)는, 각각, 변형 게이지(56)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증폭하여, 제어장치(70)에 출력한다. 제1 증폭기(57)의 게인과 제2 증폭기(58)의 게인과는 달리, 압력검출기(55)는 게인이 다른 복수의 압력신호를 제어장치(70)에 출력한다.
압력검출기(55)는, 복수의 증폭기를 가지고 있어, 각각의 증폭기로부터 압력신호를 출력하므로, 종래와 같이 1개의 가변증폭기로 복수의 압력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와 달리, 동시기에 복수의 압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와 같이 압력검출기(55)와 제어장치(70)에서 게인의 변경 타이밍이 어긋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의 압력검출기(55)는, 1개의 브리지회로와, 그 브리지회로에 접속되는 복수의 증폭기를 가지지만, 브리지회로와 증폭기와의 조합을 복수 가져도 된다. 또, 압력검출기(55)에 포함되는 증폭기의 수는, 2개여도 되지만, 3개 이상이어도 된다. 3개 이상의 압력신호가 압력검출기(55)로부터 출력되어도 된다.
제어장치(70)는, 압력검출기(55)의 복수의 출력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부의 출력에 근거하여, 실제 제어에 이용되는 사출모터(54)로의 공급전력을 산출한다.
제1 제어연산부(71)는, 제1 증폭기(57)의 출력과, 제1 압력지령과의 제1 편차에 근거하여, 사출모터(54)로의 공급전력을 산출한다. 제1 제어연산부(71)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편차에 비례한 값을 출력하는 제1 비례기(71a)와, 제1 편차의 상수배를 시간 적분한 값을 출력하는 제1 적분기(71b)를 가진다. 제1 제어연산부(71)의 출력 A는, 제1 비례기(71a)의 출력 A1과, 제1 적분기(71b)의 출력 A2와의 합이 된다(A=A1+A2). 다만, 제1 제어연산부(71)는, 제1 편차의 상수배를 시간 미분한 값을 출력하는 제1 미분기를 더욱 가져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제어연산부(72)는, 제2 증폭기(58)의 출력과, 제2 압력지령과의 제2 편차에 근거하여, 사출모터(54)로의 공급전력을 산출한다. 제2 제어연산부(72)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편차에 비례한 값을 출력하는 제2 비례기(72a)와, 제2 편차의 상수배를 시간 적분한 값을 출력하는 제2 적분기(72b)를 가진다. 제2 제어연산부(72)의 출력 B는, 제2 비례기(72a)의 출력 B1과, 제2 적분기(72b)의 출력 B2와의 합이 된다(B=B1+B2). 다만, 제2 제어연산부(72)는, 제2 편차의 상수배를 시간 미분한 값을 출력하는 제2 미분기를 더욱 가져도 된다.
제1 압력지령과 제2 압력지령은, 동일한 것이어도, 다른 것이어도 된다.
인버터(73)는, 제1 제어연산부(71)의 출력 또는 제2 제어연산부(72)의 출력에 따라 교류전원의 전력을 전력 변환하여 사출모터(54)로 공급한다. 제1 제어연산부(71)의 출력과, 제2 제어연산부(72)의 출력 중 어느 쪽의 출력을 사용할지는, 공정의 종류, 제어량의 크기 등에 따라 결정된다.
그런데, 브리지회로의 출력전압은, 기본적으로는 브리지회로에 작용하는 압력에 비례한다. 그러나, 제로점의 어긋남이나 비선형성이 약간 존재하여, 제1 제어연산부(71)의 출력 A와, 제2 제어연산부(72)의 출력 B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70)는, 제1 제어연산부(71)의 출력 A와, 제2 제어연산부(72)의 출력 B를 맞춘다. 압력검출기(55)의 복수의 출력 중 어느 쪽의 출력을 이용해도, 사출모터(54)로의 공급전력이 동일해지기 때문에, 사출장치(50)의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장치(70)는, 제1 제어연산부(71)의 출력 A와, 제2 제어연산부(72)의 출력 B 중, 사용하지 않은 쪽을 수정한다.
제어장치(70)는, 제1 제어연산부(71)의 출력 A를 이용하는 경우, 제1 제어연산부(71)의 출력 A에 맞게 제2 제어연산부(72)의 출력 B를 수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70)는, 제2 적분기(72b)의 출력 B2를, 제2 편차로부터 구하는 것이 아니라, B2=A-B1의 식을 이용하여 구하고, 제2 적분기(72b)의 메모리에 기억한다.
마찬가지로, 제어장치(70)는, 제2 제어연산부(72)의 출력 B를 이용하는 경우, 제2 제어연산부(72)의 출력 B에 맞게 제1 제어연산부(71)의 출력 A를 수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70)는, 제1 적분기(71b)의 출력 A2를, 제1 편차로부터 구하는 것이 아니라, A2=B-A1의 식을 이용하여 구하고, 제1 적분기(71b)의 메모리에 기억한다.
조작량의 산출이 적분 연산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장치(70)는, 적분치를 수정함으로써, 압력검출기(55)의 각 출력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조작량을 맞추어도 된다.
제어장치(70)는, 1 성형 사이클 중에, 압력검출기(55)의 복수의 출력 중에서 선택하는 출력을 전환해도 된다. 계량공정 중에 압력검출기(55)에 작용하는 압력은 충전공정 중에 압력검출기(55)에 작용하는 압력보다 매우 작고, 계량공정과 충전공정에서는 요구되는 압력의 분해능이 다르다. 따라서, 계량공정에서는 게인이 큰 증폭기로부터의 출력이 선택되고, 충전공정에서는 게인이 작은 증폭기로부터의 출력이 선택된다.
다만, 본 실시형태의 압력검출기(55)는, 변형 게이지식이지만, 압전식, 용량식 등이어도 된다.
이상, 사출성형기의 실시형태 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개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의 압력검출기는, 사출장치의 압력을 검출하지만, 형체결장치의 압력(금형장치에 작용하는 형체결력), 이젝터장치의 취출력 등을 검출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제어량은, 압력이지만, 예를 들면 위치, 회전수 등이어도 되고, 제어량을 검출하는 검출기는, 위치검출기, 회전수검출기 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제어장치는, 조작량 산출 시에, 검출기의 각 출력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조작량을 맞추지만, 조작량 산출 전에, 검출기의 각 출력이 나타내는 제어량을 정합시킴으로써, 검출기의 각 출력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조작량을 맞추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는, 검출기의 복수의 출력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부의 출력이 나타내는 제어량에 맞게, 나머지 각 출력이 나타내는 제어량을 보정한다. 이 보정은, 미리 설정된 식 등에 근거하여 행해진다. 이 경우, 조작량을 산출하는 제어연산부는 1개여도 된다.
10 형체결장치
11 프레임
12 고정플래튼
13 가동플래튼
15 리어플래튼
16 타이바
18 압력검출기
30 금형장치
32 고정금형
33 가동금형
50 사출장치
51 실린더
52 스크루
53 계량모터
54 사출모터
55 압력검출기
56 변형 게이지
57 제1 증폭기
58 제2 증폭기
59 노즐
60 이젝터장치
70 제어장치
71 제1 제어연산부
72 제2 제어연산부
73 인버터

Claims (8)

  1. 동일한 제어량에 따른 게인이 다른 신호를 복수 출력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의 복수의 출력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부의 출력에 근거하여, 실제 제어에 이용하는 조작량을 산출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사출성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출기의 각 출력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조작량을 맞추는, 사출성형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실제 제어에 이용하는 조작량의 산출 시에, 상기 검출기의 각 출력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조작량을 맞추는 사출성형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조작량의 산출은, 적분 연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적분치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검출기의 각 출력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조작량을 맞추는 사출성형기.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출기의 복수의 출력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부의 출력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조작량에 맞게, 나머지 각 출력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조작량을 수정하는 사출성형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를 복수 가지고,
    상기 제어장치는, 복수의 증폭기로부터 선택되는 일부 증폭기의 출력에 근거하여 실제 제어에 이용하는 조작량을 산출하고, 또, 각 증폭기의 출력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조작량을 맞추는 사출성형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1 성형 사이클 중에, 상기 검출기의 복수의 출력으로부터 선택되는 출력을 전환하는 사출성형기.
KR1020140188452A 2014-03-26 2014-12-24 사출성형기 KR101656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64650A JP6320819B2 (ja) 2014-03-26 2014-03-26 射出成形機
JPJP-P-2014-064650 2014-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824A KR20150111824A (ko) 2015-10-06
KR101656155B1 true KR101656155B1 (ko) 2016-09-08

Family

ID=5415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452A KR101656155B1 (ko) 2014-03-26 2014-12-24 사출성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20819B2 (ko)
KR (1) KR101656155B1 (ko)
CN (1) CN104943057B (ko)
TW (1) TWI5835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3732B2 (ja) * 2016-08-26 2020-09-0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
TWI708673B (zh) * 2016-09-08 2020-11-01 美商艾弗洛斯公司 注射模製設備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2715B2 (ja) * 1988-09-26 1997-07-2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樹脂圧力検出装置
KR100230086B1 (ko) 1997-06-17 1999-11-15 오자와 미토시 개선된 응답성을 갖도록 모터 구동식 사출 성형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780B2 (ja) * 1991-06-19 2001-04-1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電動式射出成形機における保圧制御方法
JPH06312441A (ja) * 1993-04-30 1994-11-08 Japan Steel Works Ltd:The 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
JP2678870B2 (ja) * 1993-06-18 1997-11-19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物理量検出方法及び装置
JP2835030B2 (ja) * 1995-08-10 1998-12-14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射出成形機のノズル温度制御装置
JP4432980B2 (ja) * 2000-02-07 2010-03-17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および射出成形機
JP3404652B2 (ja) * 2000-04-04 2003-05-1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充填工程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4648885B2 (ja) 2006-09-19 2011-03-0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
JP4976888B2 (ja) * 2007-03-06 2012-07-18 ソニー株式会社 射出制御装置
JP4969689B2 (ja) * 2008-10-09 2012-07-04 三菱重工プラスチッ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TW201136750A (en) * 2010-04-16 2011-11-01 Hurco Automation Ltd Fully-electric control system of plastics injection molding machine
TW201141681A (en) * 2010-05-17 2011-12-01 Prec Machinery Res Dev Ct Online monitoring method using in-mold pressure to determine molded product quality
CN102785341B (zh) * 2012-08-31 2015-07-01 欧瑞传动电气股份有限公司 注塑机多泵合流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2715B2 (ja) * 1988-09-26 1997-07-2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樹脂圧力検出装置
KR100230086B1 (ko) 1997-06-17 1999-11-15 오자와 미토시 개선된 응답성을 갖도록 모터 구동식 사출 성형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43057A (zh) 2015-09-30
KR20150111824A (ko) 2015-10-06
JP6320819B2 (ja) 2018-05-09
JP2015186857A (ja) 2015-10-29
CN104943057B (zh) 2018-01-23
TW201536518A (zh) 2015-10-01
TWI583530B (zh) 201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68282B (zh) 成型机
TWI492833B (zh) Injection molding machine forming method
US20090243131A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US6562261B2 (en)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s
CN106476227B (zh) 注射装置
US10513071B2 (en) Pressure controller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JP5702878B2 (ja) 射出成形機の圧力制御装置
KR101656155B1 (ko) 사출성형기
JP6815892B2 (ja) 射出成形機
KR20200020765A (ko)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의 조작화면
JP6682288B2 (ja) 射出成形機
JP6289917B2 (ja) 射出成形機
JP2016135570A (ja) 射出成形機
JP2016083776A (ja) 射出成形機
KR100436963B1 (ko) 사출성형기의 스크루 구동 제어방법
KR101728211B1 (ko) 사출성형기
JP6199751B2 (ja) 射出成形機
KR20170038159A (ko) 사출성형기
US20090065962A1 (en) Injection Device of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CN111002530A (zh) 注射成型机
KR20170001019A (ko) 사출 성형기
KR20170026106A (ko) 사출성형기
KR200348431Y1 (ko) 사출성형기의 배압 제어장치
JP6716154B2 (ja) 射出成形機
JP6426511B2 (ja) 射出成形機の負荷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