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513B1 - Methods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s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513B1
KR101655513B1 KR1020140017610A KR20140017610A KR101655513B1 KR 101655513 B1 KR101655513 B1 KR 101655513B1 KR 1020140017610 A KR1020140017610 A KR 1020140017610A KR 20140017610 A KR20140017610 A KR 20140017610A KR 101655513 B1 KR101655513 B1 KR 101655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terminals
logical channe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6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8351A (en
Inventor
이경준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CN201610154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682137B/en
Priority to PCT/KR2014/007081 priority patent/WO2015020356A1/en
Priority to US14/910,026 priority patent/US10075940B2/en
Priority to CN201480045384.7A priority patent/CN105474684B/en
Publication of KR2015001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351A/en
Priority to US15/054,077 priority patent/US1008021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5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퍼상태 보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 대 단말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기 위하여 제 1 단말이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버퍼상태보고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제 1 단말이 제 2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트리거 되는 단계와 버퍼상태보고를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전송하는 단계 및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부터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status repor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ffer state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allocating radio resources used for terminal-to-terminal communication in a buffer state require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port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 first terminal to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second terminal and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buffer status report (BSR) for direct communication with a second terminal And transmitting a buffer status report to a base station or a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and receiv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to provide.

Figure R1020140017610
Figure R1020140017610

Description

단말 간 직접 통신에서 버퍼상태보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es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ansmitting a buffer status report i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본 발명은 버퍼상태보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 간 직접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기 위하여 제 1 단말이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버퍼상태보고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state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ffer state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allocating radio resources use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ports.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단말의 보급 확대와 이러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요구가 생겨남에 따라,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등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경유하지 않고 단말 간에 데이터 또는 신호를 직접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 간 직접 통신이 부각되고 있다. As the spread of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and various service requests using such mobil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it become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or signals directly between terminals without passing through network infrastructures such as base stations and access points Direct communication has been highlighted.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단말 간 직접 통신의 신뢰성을 보장하거나, 보다 효율적인 대역 사용을 통한 통신 용량 증대를 위해, 기존의 통신망,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dvanced 망 등의 각종 이동통신망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For example, an LTE (Long Term Evolution) or an LTE-Advanced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 LTE-Advanced ") or the like for providing more various services to users or assuring the reliability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technology for support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by using radio resources of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하지만, 현재, 기존의 통신망,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dvanced 망 등의 이동통신망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효율적으로 지원해주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However, at present, technologies for efficiently support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using radio resources of an existing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TE (Long Term Evolution) or LTE-Advanced network, have not been developed .

또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존 이동통신망의 무선자원을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인 무선자원 분배를 위한 방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기지국이 단말 간 직접 통신에 사용되는 버퍼 정보를 정확히 인지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5094호(2013.02.13.)에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 method for efficiently allocating radio resources is required by using radio resources of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To do so, the base station needs to accurately recognize buffer information use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
The technique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15094 (Mar. 23, 2013).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서, 이동통신망의 무선자원을 사용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단말 간 직접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의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절차가 필요하다.In order to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using radio resources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procedure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s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be use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required.

또한,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무선자원할당 개체가 효율적으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 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for a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capable of allocating a base station or a radio resource to efficiently allocate radio resource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t is necessary to acquir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또한, 단말이 기지국으로 단말 간 직접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자원을 할당 받기 위한 버퍼상태 보고 전송의 구체적인 절차가 요구된다.In addition, a specific procedure of transmitting a buffer status report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s that can be use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to the base station by the terminal is required.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단말이 제 2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트리거 되는 단계와 버퍼상태보고를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전송하는 단계 및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부터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buffer status report (BSR) for direct communication with a second terminal, And transmitting a buffer status report to the base station or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and receiv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제 1 단말의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트리거되면, 제 1 단말로부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버퍼상태보고에 기초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a base station, the method comprising: when a buffer status report (BSR) of a first termina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triggered, And transmitt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based on the reception step and the buffer status report.

또한, 본 발명은 제 2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단말에 있어서,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트리거 되는 제어부와 버퍼상태보고를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부터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st terminal for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second terminal and a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ler for triggering a buffer status report (BSR) for direct communication with a second terminal,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또한, 본 발명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제 1 단말의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트리거되면,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버퍼상태보고에 기초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se station for controll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the base station for receiving a buffer status report from a first terminal when a buffer status report (BSR) of a first termina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triggered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based on a receiver status and a buffer status report.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단말은 단말 간 직접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자원을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부터 할당 받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rminal has an effect of being allocated from a base station or a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capable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which can be use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또한, 제 1 단말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여 보다 정확한 양의 무선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the first terminal can transmit a buffer status report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thereby obtaining a more accurate amount of radio resources.

또한,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는 제 1 단말로부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별도의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함으로써 무선자원 낭비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or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capable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can reduce the radio resource waste by receiving a separate buffer status report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from the first terminal, efficiently allocate radio resources And the like.

도 1은 MAC PDU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Short BSR MAC 제어 요소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Long BSR MAC 제어 요소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 간 직접 통신 시나리오의 일부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 간 직접 통신 시나리오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흐름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퍼상태보고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퍼상태보고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리채널 식별자 필드 값의 일 예를 도시한 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리채널 식별자 필드 값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흐름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할당방법에 따른 논리채널그룹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MAC PDU.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hort BSR MAC Control Element Forma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ong BSR MAC control element format.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direct communication scenario between terminal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direct-to-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scenario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buffer status re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buffer status re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logical channel identifier field valu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logical channel identifier field valu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gical channel group according to an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ly deployed to provide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packet data and the lik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user equipment (UE) and a base station (BS, or eNB). The user terminal in this specification is a comprehensive concept of a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a comprehensive concept which means a mobile station (MS), a user terminal (UT), an SS (User Equipment) (Subscriber Station), a wireless device, and the like.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A base station or a cell generally refers to a station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and includes a Node-B, an evolved Node-B (eNB), a sector, a Site, a BTS A base transceiver system, an access point, a relay node, a remote radio head (RRH), a radio unit (RU), and a small cell.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That i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base station or a cell has a comprehensive meaning indicating a part or function covered by BSC (Base Station Controller) in CDMA, Node-B in WCDMA, eNB in LTE or sector (site) And covers various coverage areas such as megacell, macrocell, microcell, picocell, femtocell and relay node, RRH, RU, and small cell communication range.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 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 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Since the various cells listed above exist in the base station controlling each cell, the base station can be interpreted into two meanings. i) a device itself providing a megacell, a macrocell, a microcell, a picocell, a femtocell, or a small cell in relation to a wireless region, or ii) the wireless region itself. i indicate to the base station all devices that are controlled by the same entity or that interact to configure the wireless region as a collaboration. An eNB, an RRH, an antenna, an RU, an LPN, a point,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 transmission point, a reception point, and the like are exemplary embodiments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method of a radio area. ii) may indicate to the base station the wireless region itself that is to receive or transmit signal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 terminal or from a neighboring base station.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 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Therefore, a base station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egacell, a macrocell, a microcell, a picocell, a femtocell, a small cell, an RRH, an antenna, an RU, a low power node (LPN), a point, an eNB, Quot;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Herein, the user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re used in a broad sense as the two transmitting and receiving subjects used to implement the technical or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are not limited by a specific term or word. The user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re used in a broad sense as two (uplink or downlink) transmitting and receiving subjects used to implement the technology or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by a specific term or word. Here, an uplink (UL, or uplink) means a method of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 base station by a user terminal, and a downlink (DL or downlink) .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 are no restrictions on multiple access schemes applied t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Various multiple access schemes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OFDM-FDMA, OFDM- Can be us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that evolves into LTE and LTE-Advanced via GSM, WCDMA, and HSPA, and 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that evolves into CDMA, CDMA-2000, and UMB.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 limited to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field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technical fields to which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A TDD (Time Division Duplex) scheme in which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s are transmitted using different time periods, or an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in which they are transmitted using different frequencies can be used.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In systems such as LTE and LTE-Advanced, the uplink and downlink are configured on the basis of one carrier or carrier pair to form a standard. The uplink and the downlink are divided into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a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a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through the same control channel, and is configured with data channels such as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and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and transmits data.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ntrol information can also be transmitted using EPDCCH (enhanced PDCCH or extended PDCCH).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a cell refers to a component carrier having a coverage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ssion point or a transmission point or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tself .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embodiments are applied may be a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CoMP system) or a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in which two or mor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cooperatively transmit signals. antenna transmission system, or a cooperative multi-cell communication system. A CoMP system may include at least two multipoint transmit and receive points and terminals.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The multi-point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ncludes a base station or a macro ce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eNB'), and at least one mobile station having a high transmission power or a low transmission power in a macro cell area, Lt; / RTI >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Hereinafter, a downlink refers to a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 path from a multipoint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to a terminal, and an uplink refers to a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 path from a terminal to a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n the downlink, a transmitter may be a part of a multipoint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nd a receiver may be a part of a terminal. In the uplink, the transmitter may be a part of the terminal, and the receiver may be a part of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Hereinafter, a situation in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a channel such as PUCCH, PUSCH, PDCCH, EPDCCH, and PDSCH is expressed as 'UCCH, PUSCH, PDCCH, EPDCCH and PDSCH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indication that a PDCCH is transmitted or receiv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or received via a PDCCH may be used to mean transmitting or receiving an EPDCCH 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signal through an EPDCCH.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That is, th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described below may mean a PDCCH, an EPDCCH, or a PDCCH and an EPDCCH.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Al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PDCCH,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portion described with PDCCH, and EPDCCH may be applied to the portion described with EPDC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High Layer Signaling described below includes RRC signaling for transmitting RRC information including RRC parameters.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The eNB performs downlink transmission to the UEs. The eNB includes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as a main physical channel for unicast transmissio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such as scheduling required for reception of a PDSCH,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for transmitting scheduling grant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in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Hereinafte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a signal through each channel will be described in a form in which the corresponding channel is transmitted / received.

도 1은 MAC PDU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MAC PDU.

도 1을 참조하여 MAC(Medium Access Control) PDU(Protocol Data Unit) 구성 정보를 살펴보면, PDU는 MAC header와 MAC payload로 구성된다. MAC header는 다시 여러 개의 sub-header(100)로 구성될 수 있고, MAC payload는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s, CE)와 MAC SDUs(Media Access Control Service Data Units), 패딩(padd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sub-header(100)는 MAC payload의 MAC CEs 또는 MAC SDUs, padding에 순서대로 하나씩 대응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AC (Medium Access Control) PDU (PDU) configuration information includes a MAC header and a MAC payload. The MAC header can be composed of several sub-headers 100. The MAC payload can be composed of MAC Control Elements (CE), Media Access Control Service Data Units (MAC SDUs), and padding have. Generally, each sub-header 100 corresponds to MAC CEs, MAC SDUs, and padding of the MAC payload, one at a time.

각 MAC sub-header(100)는 다음의 표 1의 필드(field)들로 구성될 수 있다.Each MAC sub-header 100 may be composed of field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14014931894-pat00001
Figure 112014014931894-pat00001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 MAC sub-header(100)는 LCID, L, F, E 및 R 필드 중 하나 이상의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each MAC sub-header 100 may include one or more fields of LCID, L, F, E, and R fields.

좀 더 구체적으로 LCID 필드는 다양한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향링크 공유채널(UL-SCH)을 위한 LCID 필드의 값과 인덱스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 표 2와 같다.More specifically, the LCID field can be composed of various values. For example, the values and indexes of the LCID field for the uplink shared channel (UL-SCH) are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112014014931894-pat00002
Figure 112014014931894-pat00002

표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가 11100인 경우에 Truncated BSR의 값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LCID 인덱스에 따라서 LCID 값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2, it can be seen that the index has a value of Truncated BSR when the index is 11100. The LCID valu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LCID index.

한편, 단말은 기지국으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기지국에 필요한 무선자원을 요청해서 할당 받아야 한다. 단말은 기지국에게 현재 보낼 데이터가 버퍼에 얼마나 있는지를 알려주는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한 BSR을 고려하여 적당한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할당을 할 수 있다.Meanwhile, the UE can transmit a buffer status report (BSR) to the BS. In order for the UE to transmit data in the uplink, the base station must request and allocate the necessary radio resources. The terminal can transmit a buffer status report (BSR) indicating to the base station how much data to be currently transmitted is stored in the buffer. The BS can allocate a proper uplink radio resource in consideration of the received BSR.

구체적으로 일 예를 들면, BSR은 Long BSR과 Short BSR의 두 가지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BSR can be configured in two formats, Long BSR and Short BSR.

도 2는 Short BSR MAC 제어 요소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hort BSR MAC Control Element Format.

도 2를 참조하면, Short BSR은 1개의 논리 채널 그룹(Logical Channel Group, LCG)에 대한 버퍼 상태(Buffer statu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 채널 그룹은 유사한 QoS(Quality of Service) 요구 조건이나 유사한 특성을 지닌 논리 채널의 묶음으로, 한 단말에 최대 4개까지 존재할 수 있다. Short BSR은 LCG ID와 버퍼사이즈(Buffer Size)로 구성되며, LCG ID는 리포트 되는 버퍼 사이즈의 논리 채널 그룹의 아이디를 의미한다. 즉, 하나의 논리채널 그룹의 버퍼사이즈 정보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Short BSR may include buffer status information for one logical channel group (LCG). A logical channel group is a bundle of logical channels having similar QoS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or similar characteristics, and a maximum of four logical channel groups can exist in one terminal. Short BSR consists of LCG ID and Buffer Size, and LCG ID means ID of logical channel group of buffer size to be reported. That is, buffer size information of one logical channel group.

도 3은 Long BSR MAC 제어 요소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ong BSR MAC control element format.

Long BSR은 모든(4개) 논리 채널 그룹(Logical Channel Group)에 대한 버퍼 상태(Buffer statu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 채널 그룹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사한 QoS 또는 특성을 갖는 논리 채널의 묶음이다.The Long BSR may include buffer status information for all four (4) logical channel groups. The logical channel group is a bundle of logical channels having similar QoS or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도 3을 참조하면, Long BSR MAC 제어 요소 포맷(300)은 논리채널 그룹 ID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Long BSR은 논리채널그룹(LCG) ID 필드 없이 4개의 버퍼 사이즈(Buffer Size)로 구성되며, 순서대로 LCG ID 0번부터 3번까지의 버퍼사이즈를 의미한다. 최대 4개까지 존재할 수 있는 논리채널그룹에 대한 버퍼사이즈 정보는 순서대로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리채널그룹 0번의 버퍼사이즈 정보는 버퍼사이즈 #0에 포함되고, 논리채널그룹 1번의 버퍼사이즈 정보는 버퍼사이즈 #1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버퍼사이즈 #2와 #3도 위와 같이 할당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Long BSR MAC control element format 300 does not include logical channel group ID information. That is, the Long BSR is composed of four buffer sizes without a logical channel group (LCG) ID field, and means the buffer sizes of the LCG IDs 0 to 3 in order. Buffer size information for a logical channel group that can exist up to a maximum of four can all be included in order. For example, buffer size information of logical channel group # 0 may be included in buffer size # 0, and buffer size information of logical channel group # 1 may be included in buffer size # 1. Hereinafter, buffer sizes # 2 and # 3 may be allocated as above.

위에서 설명한 두 가지 포맷의 BSR은 BSR이 트리거 되는 조건이나 BSR이 포함될 수 있는 여유공간의 크기 등에 따라 어느 하나가 결정되어 전송되게 된다.
The BSRs of the above-described two format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BSR is triggered, the size of the free space in which the BSR can be included, and the like.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BSR은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일 예로, BSR이 트리거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The BS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when the trigger condition is satisfied. As an exampl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BSR is triggered are:

- Regular BSR이 트리거 되는 조건- Conditions under which the Regular BSR is triggered

■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논리 채널의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Data from a logical channel with a higher priority is in the buffer.

■ 새로 전송할 데이터가 빈 버퍼에 들어온 경우.■ The data to be transferred is in an empty buffer.

■ 버퍼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고,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The buffer has data to transmit and the retransmission timer expires.

- Periodic BSR 트리거되는 조건- Conditions under which the periodic BSR is triggered

■ 주기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The cycle timer expires.

- Padding BSR 트리거되는 조건- Padding BSR triggered condition

■ 전송할 MAC PDU 구성 시 BSR이 포함될 여유 공간이 있는 경우, 남은 공간의 크기에 따라 Long BSR 또는 Short BSR이 포함된다.
When the MAC PDU to be transmitted has a free space to be included in the BSR, a long BSR or a short BSR is includ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emaining space.

구체적으로, Regular BSR이 트리거 되는 경우에는 두 개 이상의 LCG에 보낼 데이터가 있는 경우 Long BSR을 포함하여 전송한다. 만약 한 개의 LCG에 보낼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Short BSR을 포함하여 전송한다.Specifically, when the Regular BSR is triggered, if there is data to be sent to two or more LCGs, the Long BSR is transmitted. If there is data to be sent to one LCG, it is transmitted including Short BSR.

한편, Regular BSR이 트리거 되었으나, 새로운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에 단말은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UCCH에 SR 자원(Scheduling Request resource)이 구성(configured)되어 있는 경우 Scheduling Request(SR)를 전송하여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a regular BSR is triggered but there is no uplink radio resource for a new transmission, the UE can be allocated an uplink radio resource. For example, when an SR resource (Scheduling Request resource) is configured in the PUCCH, an uplink radio resource can be allocated by transmitting a Scheduling Request (SR).

다른 예로, 만약 PUCCH에 SR 자원(Scheduling Request resource)이 구성(configured)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은 랜덤 액세스 과정을 통해 무선자원할당을 받을 수 있다. 단말이 상향링크 무선 자원할당을 받게 되면, 기지국으로 BSR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BSR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에게 적당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게 된다.As another example, if a scheduling request resource is not configured in the PUCCH, the UE can receive a radio resource allocation through a random access procedure. When the UE receives the uplink radio resource allocation, it can transmit the BSR to the BS. The base station can allocate appropriate uplink radio resources to the UE based on the received BSR.

또 다른 예로, 만약 Regular BSR이 아니라 Periodic BSR이나 Padding BSR이 트리거 되는 경우에는, SR이 트리거 되거나 랜덤 액세스 과정이 트리거 되지 않는다.
As another example, if a Periodic BSR or a Padding BSR, rather than a Regular BSR, is triggered, the SR is triggered or the random access procedure is not triggered.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은 D2D 통신을 의미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무선자원을 사용하여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단말 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통신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의 일 예로, D2D 통신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D2D 통신을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다. 즉, 본 발명은 D2D 통신과 같이 이동통신망의 무선자원을 활용하여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단말 간에 직접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 간 직접 통신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means D2D communication, and in addition, it refers to various communication in which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erminals without using a base station using radio resources. Hereinafter, D2D commun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an example of the direct-to-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However, the explanation of D2D communication as an example is only for understanding.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oth direct-to-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in which data and signals are directly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erminals without going through a base station by utilizing radio resources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D2D communication.

최근 3GPP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 서로 근접한 단말들 간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는 단말 간 직접 통신, 예를 들어 D2D를 통한 프락시미티 서비스(proximity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Recently, a method for provid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which directly exchanges data without passing through a base station, between adjacent terminals in a 3GPP LTE / LTE-Advanced system, for example, a proximity service through D2D is being discussed .

D2D 통신으로는 도 4 및 도 5와 같은 시나리오가 고려될 수 있다.The D2D communication may take the scenarios shown in FIGS. 4 and 5 into account.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 간 직접 통신 시나리오의 일부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direct communication scenario between terminal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4를 참조하면, 시나리오 1A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UE1과 UE2가 모두 이동통신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즉, UE1과 UE2는 모두 이동통신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위치지만 D2D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Referring to FIG. 4, scenario 1A is a case where UE1 and UE2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are both located outside the cover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at is, both UE1 and UE2 are located outside the cover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but are capable of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signals.

시나리오 1B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UE1은 이동통신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고, UE2는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UE1과 UE2는 데이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Scenario 1B is a case where UE1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is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UE2 is located outside coverage. Even in this case, UE1 and UE2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signals.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 간 직접 통신 시나리오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direct-to-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scenario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5를 참조하면, 시나리오 1C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UE1과 UE2가 모두 이동통신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UE1과 UE2는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scenario 1C is a case where both UE1 and UE2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ar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Even in this case, UE1 and UE2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signals without going through the base station.

시나리오 1D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UE1과 UE2가 모두 이동통신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나 각 단말은 서로 다른 셀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즉, UE1은 제 1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고, UE2는 제 2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UE1과 UE2는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직접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Scenario 1D is a case where UE1 and UE2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are all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but each UE is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different cells. That is, UE1 is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first base station, and UE2 is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econd base station. Even in this case, UE1 and UE2 can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signals without going through the base station.

이와 같이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은 이동통신망의 무선자원을 할당 받기 위해서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권한 또는 기능을 갖는 개체(일 예로,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양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필요가 있다.In order to allocate radio resour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D2D communication may include a base station or an entity (e.g., a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having an authority or function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I need to tell you the information.

따라서, D2D 통신을 수행 중이거나 D2D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단말은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이하, ‘BSR’이라 함)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BSR을 전송한 경우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은 해당 BSR이 다른 D2D 단말에게 전송될 데이터의 양에 관련된 정보인지, 기지국을 통해 전송될 데이터의 양에 관련된 정보인지를 구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무선 자원을 기지국을 통한 통신과 D2D 통신에 각각 얼마를 할당해야 할지 판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Therefore, a terminal that is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or has a D2D communication function can transmit a buffer status repo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BSR') to a base station or a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It is impossible for the BS or the RR assignment entity to distinguish whether the BSR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to another D2D terminal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BS. Therefore, it is impossible for the base station to determine how much radio resources should be allocated to communica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and D2D communication, respectivel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가 단말의 D2D 통신을 위해 적절한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무선 자원의 낭비를 막고, D2D 통신의 원활한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base station or a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to allocate appropriate radio resources for D2D communication of a terminal, thereby preventing waste of radio resources and enabling smooth D2D communic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흐름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 1 단말이 BSR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제 1 단말은 기지국뿐만 아니라 무선자원 할당 기능을 갖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도 전송할 수 있다. 제 1 단말이 BSR을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세부적인 동작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the BSR to the base st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 first terminal can transmit not only the base station but also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having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function. Even when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the BSR to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can be similarly a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은 제 2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2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트리거 되는 단계와 버퍼상태보고를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전송하는 단계 및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부터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performing a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second terminal and a terminal in a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a buffer status report (BSR)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buffer status report to the base station or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and receiv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D2D 통신 중인 또는 D2D 통신을 하려는 제 1 단말(609)은 D2D 통신을 위한 BSR의 트리거(trigger)를 감지할 수 있다(S610).Specifically,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609 in the D2D communication or the D2D communication can detect a trigger of the BSR for the D2D communication (S610).

BSR이 트리거되면, D2D 통신 중인 또는 D2D로 통신하려는 제 1 단말(609)은 D2D 통신을 통해서 전송할 데이터 양(제 1 단말 버퍼에 들어온)에 대해서도 기지국(601)으로 BSR(Buffer Status Report)을 보고한다(S620). 즉, D2D 통신 중인 또는 D2D로 통신하려는 제 1 단말은 D2D 전송을 위한 MAC PDU를 구성할 때, BSR이 트리거되는 경우 해당 MAC PDU에 BSR을 포함하여 구성하지 않고, 기지국 전송을 위한 MAC PDU에 해당 BSR을 포함하여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BSR은 D2D 통신을 위해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기존 BSR과 결합하여 하나의 BSR로 전송될 수도 있다.When the BSR is triggered, the first terminal 609 in the D2D communication or the D2D communication reports a BSR (Buffer Status Report) to the base station 601 for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D2D communication (S620). That is, when a first terminal that is in the D2D communication or communicates with the D2D constructs a MAC PDU for D2D transmission, it does not include the BSR in the corresponding MAC PDU when the BSR is triggered, Including the BSR. At this tim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SR may be independently configured for D2D communication, or may be combined with an existing BSR and transmitted to one BSR.

전술한 BSR을 수신한 기지국(601)은 수신된 BSR에 기초하여 D2D 통신을 위한 무선자원할당 정보(D2D Grant)를 전송할 수 있다(S630). 제 1 단말(609)은 기지국(601)으로부터 할당 받은 무선자원할당 정보(D2D Grant)를 토대로 제 2 단말(602)과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640). 기지국(609)은 수신한 D2D 통신을 통해서 전송될 데이터 양에 대한 BSR을 토대로 무선자원을 동적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으로 할당할 수도 있고 반영속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을 통해 할당할 수도 있다. 제 2 단말은 본 발명의 제 1 단말과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이동통신망의 무선자원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개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은 본 발명의 제 1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제 2 단말은 제 1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일 예로, D2D 통신)을 수행하는 대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체일 수 있고, 또는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The base station 601 receiving the above-described BSR may transmit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D2D Grant) for D2D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ceived BSR (S630). The first terminal 609 can perform D2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602 based on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D2D Grant allocated from the base station 601 in operation S640. The base station 609 may allocate radio resources to dynamic scheduling based on the BSR of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received D2D communication or may be allocated through 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have. The second terminal may refer to an entity that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radio resour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st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second terminal may be at least one entity that perform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econd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be at least one entity that is a target for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e.g., D2D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terminal, or means a group that perform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You may.

이하, 본 발명의 제 1 단말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의 데이터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BSR을 구성하여 전송하는 각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제 1 단말이 BSR를 전송함에 있어서, 기지국을 통한 통신을 위한 BSR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BSR을 구분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 별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embodiment in which a firs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and transmits a BSR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ata in a buffer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described in detail. That is, a method for separately transmitting a BSR for communication through a base station and a BSR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transmitting the BSR by the first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 1 1st 실시예Example : 단말 간 직접 통신(일 예로, :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for example, D2DD2D 통신)을 통해서 전송되는 데이터 양에 대한 전용  Dedicated to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over BSRBSR 을 사용하는 방법.Lt; / RTI >

본 발명에 따른 제 1 단말은 D2D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D2D 전송 시 BSR을 포함하여 전송하지 않는다. 만약, D2D 통신에서 BSR이 트리거되면, 제 1 단말은 해당 BSR을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 할당 기능을 갖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the D2D, the first terminal does not transmit the D2D transmission including the BSR. If the BSR is triggered in the D2D communication, the first UE can transmit the BSR to the BS or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having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function.

예를 들어, 제 1 단말은 D2D 통신을 위한 BSR의 트리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오는 등의 경우에 제 1 단말의 BSR이 트리거 될 수 있다. 제 1 단말은 D2D 통신을 위한 BSR이 트리거되는 경우에 해당 BSR을 D2D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단말로 전송하지 않고,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기능을 갖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may detect whether the BSR for D2D communication is triggered. If data for D2D communication is input to the buffer, the BSR of the first terminal may be triggered. When the BSR for D2D communication is triggered, the first terminal may transmit the BSR to the BS or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having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function without transmitting the BSR to the second terminal performing the D2D communication.

이를 통해서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는 제 1 단말의 D2D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효율적인 무선자원 배분 및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or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can acquire information on the D2D data of the first terminal and perform efficient radio resource allocation and allocation.

구체적으로, 기직국으로 전송되는 BSR은 기존의 기지국을 통한 통신에 사용되는 BSR과 구분되는 전용 BSR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BSR transmitted to the terminating station may be a dedicated BSR distinguished from the BSR used for communication via the existing base sta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퍼상태보고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buffer status re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D2D BSR은 도 7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 1 단말은 1개의 논리채널이 D2D 통신을 위해서 존재하는 경우에 D2D 통신을 위한 전용 BSR을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논리채널의 버퍼 정보를 포함하는 BSR의 구성에서 R은 리저브 비트(reserved bit)이고 버퍼 사이즈(Buffer Size)는 D2D 통신을 위해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값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D2D BSR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may configure and transmit a dedicated BSR for D2D communication when one logical channel exists for D2D communication. That i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BSR including the buffer information of one logical channel, R is a reserved bit and a buffer size is a valu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ata stored in the buffer for D2D communication hav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퍼상태보고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buffer status re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 1 단말의 D2D 연결에 복수의 논리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 제 1 단말은 기존의 BSR 포맷을 사용하여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양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BSR은 기지국을 통한 통신에서 사용되는 BSR의 포맷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logical channels in the D2D connection of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may transmit data amount information for D2D communication using the existing BSR format. That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BSR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BSR format used in communica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구체적으로,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제 1 단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D2D 연결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D2D 연결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리채널이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first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can form a D2D connection with at least one terminal. Also, each D2D connection may be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logical channel.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 1 단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D2D 연결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제 1 단말은 제 2 단말과 D2D 연결을 구성하고, 제 3 단말과도 D2D 연결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은 제 2 단말과 D2D 연결을 구성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리채널이 존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단말은 제 3 단말과 D2D 연결을 구성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리채널이 존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may establish a D2D connection with at least one terminal. That is, the first terminal may establish a D2D connec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and may also establish a D2D connection with the third terminal. Also, in configuring the D2D connec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may have at least one logical channel. Similarly, in configuring the D2D connection with the thir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may have at least one logical channel.

따라서, 제 1 단말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D2D 연결을 구성할 수 있고, 각각의 D2D 통신을 위한 연결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D2D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이 존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terminal may configure at least one D2D connec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a connection for each D2D communication may include a logical channel for at least one D2D communication.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D2D 통신을 위한 BSR이 short BSR 포맷(a)으로 전송되는 경우에 논리채널 그룹 식별자(ID) 및/또는 D2D 연결 식별자(ID)와 버퍼사이즈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만약, D2D 통신을 위한 BSR이 long BSR 포맷(b)으로 전송되는 경우에, 각 논리채널그룹의 순서 또는 각 D2D 연결 순서에 따라서 버퍼사이즈가 순서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버퍼사이즈 #0은 논리채널그룹 #0의 버퍼사이즈 정보를 포함하고, 버퍼사이즈 #1은 논리채널그룹 #1의 버퍼사이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D2D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이 둘 이상일 경우에도 D2D용 전용 BSR을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D2D 연결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여 각 버퍼사이즈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D2D 연결 중 어느 단말과의 D2D 연결에 관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a BSR for D2D communication is transmitted in the short BSR format (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gical channel group identifier (ID) and / or a D2D connection identifier (ID) . If the BSR for D2D communication is transmitted in the long BSR format (b), the buffer size may be configured in order according to the order of each logical channel group or each D2D connection order. That is, the buffer size # 0 includes the buffer size information of the logical channel group # 0, and the buffer size # 1 may include the buffer size information of the logical channel group # 1. That is, even if there are two or more logical channels for D2D communication, dedicated BSR for D2D can be constructed and transmitted. In addition, if necessary, information on which D2D connection is associated with which one of the at least one D2D connection, including the D2D connection identifier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이와 같이 제 1 단말은 BSR을 전송함에 있어서, D2D용 전용 BSR을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기존 기지국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단말의 BSR과 D2D용 전용 BSR을 구별하여 D2D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when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the BSR, it can construct a dedicated BSR for D2D and transmit it to the base station. The BS can efficiently manage the D2D radio resources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BSR of the first terminal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existing BS and the dedicated BSR for the D2D.

도 9 및 도 10은 D2D 전용 BSR을 기존 BSR과 구분하기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 값과 인덱스를 보여주는 표이다.9 and 10 are tables showing logical channel identifier values and indexes for distinguishing D2D-dedicated BSRs from existing BSRs.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리채널 식별자 필드 값의 일 예를 도시한 표이다.9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logical channel identifier field valu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D2D용 전용 BSR을 구성하기 위해서 D2D용 논리채널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2D logical channel can be newly defined in order to configure the Dedicated BSR for D2D described in FIG. 7 and FIG.

일 예로, 리저브(Reserved) 되어 있는 논리채널 식별자(LCID) 인덱스 값 중에서 특정 인덱스(900)를 D2D용 BSR을 지시하는 인덱스로 할당할 수 있다.For example, a specific index 900 may be allocated to an index indicating a BSR for D2D from reserved logical channel identifier (LCID) index values.

예를 들면, D2D용 BSR은 리저브 비트(reserved bit)에 D2D BSR임을 나타낼 수 있는 논리채널 식별자 값(또는 D2D 연결 식별자 값)을 갖는 인덱스 정보(9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7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논리채널에 대한 D2D용 전용 BSR이 전송되는 경우에 리저브 비트(reserved bit) 대신 D2D용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또는 D2D 연결 식별자 인덱스)(Index, 900))가 들어갈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SR for D2D may include index information 900 having a logical channel identifier value (or D2D connection identifier value) that can indicate that it is a D2D BSR in a reserved bit. That is, when dedicated BSR for D2D is transmitted for one logical channel as in the case of FIG. 7, a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or D2D connection identifier index) (Index, 900) for D2D is used instead of a reserved bit You can go in.

구체적으로,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또는 D2D 연결 식별자 인덱스 값) 값 '11000'이 D2D용 BSR을 나타내는 인덱스로 정의될 수 있다. 이후, 제 1 단말이 D2D 통신을 위한 전용 BSR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해당 인덱스 값(11000)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BSR의 인덱스 값이 '11000'인 것을 확인하여 수신된 BSR이 D2D 전용 BSR임을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or D2D connection identifier index value) value '11000' may be defined as an index indicating the BSR for D2D. Then, when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a dedicated BSR for D2D communication to the base station, the first terminal may transmit the index including the corresponding index value (11000). The BS can confirm that the received BSR is the D2D dedicated BSR by confirming that the index value of the received BSR is '11000'.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이 복수의 단말과 D2D 연결을 구성하는 경우, 전송되는 D2D용 BSR이 복수의 단말 중 어느 단말과의 D2D 연결에 관한 것인지를 알려주기 위한 인덱스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D2D 연결 식별자 값을 갖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여 BSR이 D2D 전용 BSR이고, 특정 단말과 구성된 논리채널에 대한 BSR이라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establishes a D2D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index information for notifying whi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the D2D connection is to be transmitted is included in the transmitted D2D BSR It is possible. That is, the BSR includes the index information having the D2D connection identifier value, and the BSR is a dedicated D2D BSR, and can transmit BSR information for the logical channel configured with the specific terminal.

또한, 전술한 논리채널 식별자 값과 D2D 연결 식별자 값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인덱스를 정의하여 단말이 복수의 단말과 D2D 연결을 구성하고, 각 D2D 연결에 복수의 논리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그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Also, by defining an index that can include both the above-described logical channel identifier value and the D2D connection identifier value, even when a terminal configures a D2D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logical channels exist in each D2D connection,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이하에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단말이 제 2 단말과 하나의 D2D 연결을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을 설명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말과 D2D 연결을 구성하고, 각 D2D 연결에 복수의 논리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일 예로 전술한 논리채널 식별자 값 및/또는 D2D 연결 식별자 값을 통해서 각각의 BSR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where the first terminal forms one D2D connec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However, as described above, a D2D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The same logical channel can be applied. That is, for example, information on each BSR can be specifically transmitted through the logical channel identifier value and / or the D2D connection identifier value.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리채널 식별자 필드 값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logical channel identifier field valu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예로, 만약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LCID Index)가 D2D 전용 BSR에 하나만 할당된 경우, D2D 전용 BSR은 Long BSR 포맷이나 Short BSR 포맷 중 미리 정의된 하나를 지시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only one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LCID Index) is allocated to the D2D dedicated BSR, the D2D dedicated BSR may indicate a predefined one of the Long BSR format or the Short BSR format.

또는 D2D 전용 BSR을 위해 리저브 되어 있는 인덱스를 도 10과 같이 각각의 BSR 포맷으로 할당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reserved indexes for the D2D dedicated BSR may be allocated to the respective BSR formats as shown in FIG.

도 10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D2D용 BSR에 대한 인덱스를 할당함에 있어서 각 BSR의 포맷에 따라서 각각의 인덱스를 할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for example, in allocating an index to a BSR for D2D, each index can be allocated according to the format of each BSR.

즉, 기존 BSR의 포맷에 할당된 인덱스들(1010)과 대응되게 D2D용 Truncated BSR에는 '10110'을 할당하고, D2D용 Short BSR에는 '10111'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D2D용 Long BSR에는 '11000'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단말은 D2D용 전용 BSR을 송신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BSR 포맷에 맞는 인덱스 값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That is, '10110' may be allocated to the Truncated BSR for D2D and '10111' to the Short BSR for D2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dexes 1010 allocated to the format of the existing BSR. Also, '11000' can be assigned to the Long BSR for D2D. Accordingly, even when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the Dedicated BSR for D2D, the first terminal can transmit an index value suitable for each BSR format.

기지국은 인덱스를 통해서 D2D 전용 BSR임을 확인할 수 있고, 각 인덱스가 도 10과 같이 할당되는 경우에 BSR이 long BSR인지 short BSR인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 제 1 단말은 D2D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이 하나 이상 존재하고, 각 논리채널의 버퍼에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면, 11000 인덱스를 포함하는 전용 D2D BSR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각 논리채널의 순서에 따른 버퍼사이즈 정보는 도 8(b)의 버퍼구성에서 순서에 맞춰서 포함될 수 있다.
The BS can confirm that the BSR is a D2D-dedicated BSR through an index, and can confirm whether the BSR is a long BSR or a short BSR when each index is allocated as shown in FIG. Therefore, for example, if the first terminal has one or more logical channels for D2D communication and the data for D2D communication satisfies the trigger condition in the buffer of each logical channel, the dedicated D2D BSR including the 11000 index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 The buffer siz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each logical channel may be included in order in the buffer configuration of FIG. 8 (b).

제 1 단말은 D2D 전용 BSR이 트리거되면 전술한 D2D 전용 BSR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can transmit the D2D-dedicated BSR to the base station when the D2D-dedicated BSR is triggered.

일 예로, D2D 전용 BSR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트리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2D dedicated BSR may be triggered i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met:

- Regular BSR- Regular BSR

■ 제 1 단말 스스로 D2D 통신을 시작하려 할 때 또는 시작했을 때(UE Initiated D2D Communication) 트리거 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may be triggered when it attempts to initiate D2D communication itself or when it initiates (UE Initiated D2D Communication).

■ D2D 통신 중인 다른 단말(일 예로, 제 2 단말)로부터 BSR 정보가 전달된 경우 또는 다른 단말(일 예로, 제 2 단말)로부터 무선 자원 요청이 전달된 경우 트리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 중인 단말(일 예로, 제 2 단말)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있어서 커버리지 안에 있는 제 1 단말을 통해 기지국에 D2D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을 요청하는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2) when BSR information is delivered from another terminal (for example, a second terminal) in the D2D communication or when a radio resource request is transmitted from another terminal (e.g., a second terminal). For example, it can be triggered when a terminal in communication with a D2D (e.g., a second terminal) requests radio resources for D2D communication to a base station via a first terminal in coverage beyond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D2D 전송용 논리채널의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 Can be triggered when the data in the logical channel for D2D transmission with higher priority is entered into the buffer.

■ 새로 전송할 D2D 전송을 위한 데이터가 빈 버퍼에 들어온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 It can be triggered when data for D2D transmission to be newly transmitted comes in the empty buffer.

■ 버퍼에 전송할 D2D 전송을 위한 데이터가 있고,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 Can be triggered when there is data for D2D transmission to be sent to the buffer and the retransmission timer expires.

- Periodic BSR- Periodic BSR

■ 주기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 타이머는 기존 BSR의 타이머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고, D2D용 BSR을 위한 새로운 타이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새로운 타이머를 사용하는 경우 관련 값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일 예로, RRC 메시지)을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 Triggered when the cycle timer expires. For example, the periodic timer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timer of the existing BSR, or a new timer for the BSR for D2D may be used. When using a new timer, the associated value may be set via higher layer signaling (eg, an RRC message).

- Padding BSR- Padding BSR

■ 전송할 MAC PDU 구성 시 BSR이 포함될 여유 공간이 있는 경우, 남은 공간의 크기에 따라 Long BSR 또는 Short BSR이 포함될 수 있다.
When a MAC PDU to be transmitted has a free space to be included in the BSR, a long BSR or a short BSR may be includ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emaining space.

만약, 기존의 기지국을 통한 통신을 위한 BSR과 D2D 전용 BSR이 둘 다 트리거 되는 경우 Regular BSR인 경우 MAC CE에 둘 다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If both the BSR for communication via the existing base station and the dedicated BSR for D2D are triggered, it can be transmitted in both of the MAC CE and the Regular BSR.

기지국은 수신한 D2D 전용 BSR을 토대로 무선자원을 동적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으로 할당할 수도 있고, 반영속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을 통해 할당할 수도 있다.
The base station may allocate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received D2D dedicated BSR by dynamic scheduling or 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제 2 Second 실시예Example : 기지국과의 통신과 :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D2DD2D 통신을 위한 무선자원 요청을 위해 하나의  One for the radio resource request for communication BSRBSR 을 사용하는 방법.Lt; / RTI >

제 1 단말은 기존 기지국을 통한 통신을 위한 BSR과 D2D 통신을 위한 BSR을 하나의 BSR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may transmit the BSR for communication through the existing base station and the BSR for D2D communication through one BSR.

예를 들어, D2D 통신 중인 또는 D2D로 통신하려는 제 1 단말은 D2D 통신에서 BSR이 트리거되면 D2D 전송에 BSR을 포함하여 전송하지 않고, 해당 BSR을 기지국의 BSR과 병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BSR의 경우 기존의 기지국을 통한 통신을 위한 데이터 양과 D2D 전송을 위한 데이터 양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terminal that is in the D2D communication or communicates with the D2D may transmit the D2D transmission to the base station by merging the BSR with the BSR of the base station without transmitting the D2D transmission including the BSR when the BSR is triggered in the D2D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transmitted BSR can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includ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ata for communication through the existing base station and the amount of data for D2D transmission.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흐름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1101)은 제 1 단말(1109)의 각 논리 채널들(Logical Channel Identity)을 논리 채널 그룹(Logical Channel Group)에 할당한다. 기지국(1101)은 논리채널을 논리채널그룹에 할당할 때, 기지국을 통한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그룹과 D2D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그룹으로 나눠서 할당할 수 있다(S1110). Referring to FIG. 11, the BS 1101 assigns Logical Channel Identity of the first MS 1109 to a logical channel group. When allocating a logical channel to a logical channel group, the base station 1101 may allocate a logical channel group for communication through a base station and a logical channel group for D2D communication (S1110).

본 발명의 기지국은 논리채널 그룹에 논리채널을 할당할 때, D2D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을 구분하기 위해서 기지국과 D2D 통신의 논리채널을 하나의 논리채널 그룹에 할당하지 않는다. 즉, 하나의 논리채널 그룹(Logical Channel Group, LCG)에 기지국을 통한 전송을 위한 논리채널((Logical Channel Identity)과 D2D를 위한 논리채널(Logical Channel Identity)을 함께 할당하지 않는다.In allocating a logical channel to a logical channel group, the base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llocate a logical channel of D2D communication to a logical channel group in order to distinguish a logical channel for D2D communication. That is, a logical channel (Logical Channel Identity) for transmission through a base station and a logical channel identity for D2D are not allocated to one logical channel group (LCG).

이후, 제 1 단말(1109)은 제 2 단말(1102)과의 D2D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보고가 트리거되면(S1120), 해당 BSR을 기지국(1101)으로 전송할 수 있다(S1130). 기지국(1101)은 제 1 단말(1109)로부터 수신되는 BSR을 토대로 무선자원할당 정보를 제 1 단말(1109)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9)은 수신된 무선자원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할 제 2 단말(1102)과 D2D 통신을 수행한다(S1150).Thereafter, the first terminal 1109 may transmit the BSR to the BS 1101 in step S1130 if a buffer status report for the D2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1102 is triggered (S1120). The BS 1101 may transmit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MS 1109 based on the BSR received from the first MS 1109. The first terminal 1109 performs D2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1102 to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based on the received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S1150).

이 경우에도, 기지국은 D2D용 논리채널을 기지국을 통한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과 다른 논리채널그룹으로 할당함으로써, BSR에 포함된 정보가 D2D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정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Also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can confirm that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SR is buffer status information for D2D communication by allocating the logical channel for D2D to a logical channel group different from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할당방법에 따른 논리채널그룹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gical channel group according to an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여, 기지국이 논리채널을 구분하여 논리채널그룹에 할당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2, an embodiment in which a base station divides a logical channel into logical channel group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논리채널그룹은 유사한 Qos 요구조건이나 유사한 특성을 지닌 논리채널의 묶음을 의미한다. 일 예로, 논리채널 그룹은 제 1 단말에 최대 4개까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논리채널그룹이 4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A logical channel group refers to a bundle of logical channels with similar Qos requirements or similar characteristics. For example, up to four logical channel groups may exist in the first terminal. Therefore, the case where there are four logical channel groups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도 12에서 D-LCH(D2D - Logical CHannel)는 D2D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이다. 즉, 제 1 단말에 D-LCH #0과 D-LCH #1의 D2D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이 2개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In Fig. 12, D-LCH (D2D-Logical CHannel) is a logical channel for D2D communication. That is,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re are two logical channels for D2D communication between D-LCH # 0 and D-LCH # 1 in the first terminal.

이 경우 기지국은, 논리채널그룹 0번부터 2번까지(LCG0~2)(1200, 1201, 1202)는 기존의 일반적인 기지국을 통한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들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논리채널의 특성에 따라서 LCG 0(1200)에는 LCH #3을 할당하고, LCG 1(1201)에는 LCH #5, LCH #7, LCH #8을 할당하고, LCG 2(1202)에는 LCH #4와 LCH #6을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can allocate the logical channels for communication through the existing general base station from logical channel groups 0 to 2 (LCG0 to 2) (1200, 1201, 1202). For example, LCH # 3 is allocated to LCG 0 (1200), LCH # 5, LCH # 7 and LCH # 8 are allocated to LCG 1 1201, LCH # 4 and LCH # 6 can be allocated to the data.

또한, 기지국은 LCG 3(1203)은 D2D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들만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CG 3(1203)에는 D-LCH #0과 D-LCH #1을 할당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can allocate only logical channels for D2D communication to LCG 3 1203. For example, D-LCH # 0 and D-LCH # 1 can be allocated to LCG 3 1203.

이렇게 구성된 BSR을 통해 기지국은 기지국을 통한 통신과 D2D 통신을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BSR 정보에 기초하여 효율적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Through the BS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can distinguish between communica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and D2D communication, and can efficiently allocate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respective BSR information.

제 1 단말은 각 논리채널그룹에 할당된 논리채널의 버퍼 정보에 기초하여 BSR이 트리거되면, 전술한 BSR 포맷을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ong BSR이 트리거되면, 각 논리채널그룹들(1200~1203)의 버퍼사이즈 정보를 순서대로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해당 BSR을 토대로 LCG 3(1203)의 버퍼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can configure and transmit the above-described BSR format if the BSR is triggered based on the buffer information of the logical channel assigned to each logical channel group. For example, when the Long BSR is triggered, buffer size information of each of the logical channel groups 1200 to 1203 can be configured and transmitted in order. The base station can confirm the buffer size of the LCG 3 1203 based on the received corresponding BSR.

또한, BSR이 Short BSR 포맷으로 특정 LCG 하나만 전송되는 경우에는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LCG에 대해서만 BSR이 전송될 수도 있고, D2D 전송에 관한 LCG(1203)에 대해서만 BSR가 전송될 수도 있다. 즉, Short BSR이 전송될 경우에 하나의 LCG에 대한 정보만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우선순위 설정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only one specific LCG is transmitted in the Short BSR format, the BSR may be transmitted only to the LCG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nd the BSR may be transmitted only to the LCG 1203 related to the D2D transmission. That is, when the Short BSR is transmitted, only information about one LCG can be included, which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iority setting.

제 1 단말은 기존 BSR 트리거 조건 및 D2D 통신을 위한 BSR 트리거 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 BSR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BSR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The first MS can transmit the BSR when the condition of at least one of the existing BSR trigger condition and the BSR trigger condition for D2D communication is satisfied. Specifically, for examp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SR may be triggered when the following condition is satisfied.

- Regular BSR- Regular BSR

■ 제 1 단말 스스로 D2D 통신을 시작하려 할 때 또는 시작했을 때(UE Initiated D2D Communication) 트리거 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may be triggered when it attempts to initiate D2D communication itself or when it initiates (UE Initiated D2D Communication).

■ D2D 통신 중인 다른 단말(일 예로, 제 2 단말)로부터 BSR 정보가 전달된 경우 또는 다른 단말(일 예로, 제 2 단말)로부터 무선 자원 요청이 전달된 경우 트리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 중인 단말(일 예로, 제 2 단말)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있어서 커버리지 안에 있는 제 1 단말을 통해 기지국에 D2D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을 요청하는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2) when BSR information is delivered from another terminal (for example, a second terminal) in the D2D communication or when a radio resource request is transmitted from another terminal (e.g., a second terminal). For example, it can be triggered when a terminal in communication with a D2D (e.g., a second terminal) requests radio resources for D2D communication to a base station via a first terminal in coverage beyond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D2D 전송용 논리채널의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 Can be triggered when the data in the logical channel for D2D transmission with higher priority is entered into the buffer.

■ 새로 전송할 D2D 전송을 위한 데이터가 빈 버퍼에 들어온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 It can be triggered when data for D2D transmission to be newly transmitted comes in the empty buffer.

■ 버퍼에 전송할 D2D 전송을 위한 데이터가 있고,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 Can be triggered when there is data for D2D transmission to be sent to the buffer and the retransmission timer expires.

■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논리 채널의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 Triggered when data in a logical channel with a higher priority enters the buffer.

■ 새로 전송할 데이터가 빈 버퍼에 들어온 경우에 트리거될 수 있다.■ Triggered when the data to be transferred is in an empty buffer.

■ 버퍼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고,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 It can be triggered when there is data to be sent to the buffer and retransmission timer expires.

- Periodic BSR- Periodic BSR

■ D2D용 주기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용 주기 타이머는 기존 BSR의 타이머와 같을 수도 있고, D2D용 BSR을 위한 새로운 타이머가 정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새로운 타이머를 사용하는 경우 관련 값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일 예로, RRC 메시지)을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Can be triggered when the period timer for D2D expires. For example, the period timer for D2D may be equal to the timer of the existing BSR, or a new timer for the BSR for D2D may be defined and used. When using a new timer, the associated value may be set via higher layer signaling (eg, an RRC message).

■ 기존 주기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용 주기 타이머가 별도로 정의되더라도 기지국을 통한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BSR 전송용 주기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도 트리거 될 수 있다.■ Triggered when an existing cycle timer expires. For example, even if the period timer for D2D is defined separately, it can be triggered even when the period timer for BSR transmission that can be used for communica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expires.

- Padding BSR- Padding BSR

■ 전송할 MAC PDU 구성 시 BSR이 포함될 여유 공간이 있는 경우, 남은 공간의 크기에 따라 Long BSR 또는 Short BSR이 포함될 수 있다.
When a MAC PDU to be transmitted has a free space to be included in the BSR, a long BSR or a short BSR may be includ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emaining space.

기지국은 위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를 통해서 제 1 단말의 D2D 전송을 위한 데이터의 양을 인지함으로써, 해당 제 1 단말에게 적절한 크기의 무선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2D 통신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관리하고, 기지국을 통한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자원과 D2D 통신을 위한 무선자원을 적절하게 배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기지국은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base station can provide a radio resource of an appropriate size to the first terminal by recognizing the amount of data for D2D transmission of the first terminal through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lso, the D2D communication can be smoothly managed, and the radio resources used for communica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and the radio resources for D2D communication can be appropriately distributed. Thus, the base station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system.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이 모두 수행될 수 있는 제 1 단말 및 기지국의 개별 동작을 설명한다.The individual operation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n which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트리거 되는 단계와 버퍼상태보고를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전송하는 단계 및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부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a first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triggering a buffer status report (BSR) Or a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and receiv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단말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보고(BSR)가 트리거 될 수 있다(S1310). 일 예로, 버퍼상태보고는 제 1 단말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시작한 경우, 제 1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려는 제 2 단말로부터 무선 자원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버퍼에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존재하고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및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 또한, 이 외에도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a firs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igger a buffer status report (BSR)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S1310). For example, when the first terminal initiates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started, and the radio resourc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that is intended to perform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terminal ,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having higher priority is entered into the buffer,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entered into the buffer, data exist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n the buffer, and the retransmission timer expires And a case where the timer for transmitting the buffer status report has expired can be triggered when at least one of the cases occurs. In addition, it can be triggered when the trigger condition described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satisfied.

또한, 제 1 단말은 버퍼상태보고가 트리거되면 버퍼상태보고를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전송할 수 있다(S1320). 일 예로, 무선자원할당 개체는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싱크 채널 전송 및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그룹을 관리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선자원할당 개체는 무선자원할당 개체일 수 있으며, D2D 통신을 예로 들면 클러스터 헤드(Cluster head), 센트럴 컨트롤 엔티티(Central control entity), 센트럴 엔티티(Central entity)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릴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uffer status report is triggered, the first terminal may transmit the buffer status report to the base station or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S1320). For example,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refers to a terminal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functions of managing a group of terminals perform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sink channel transmission, 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ccordingly,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may be a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and may be referred to as various terms such as a cluster head, a Central control entity, and a Central entity in the case of D2D communication.

제 1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버퍼상태보고는 전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The buffer status report that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to the base station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제 1 실시예와 같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전용 버퍼상태보고가 구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버퍼상태보고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entity) 인덱스 값과 구분되는,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 값(또는 D2D 연결 인덱스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상태보고의 포맷에 따라서 복수의 인덱스 값이 정의되어 포함될 수도 있고, 하나의 인덱스 값만이 정의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복수의 단말과 D2D 연결을 구성하는 경우에 버퍼상태보고는 D2D 연결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 값과 D2D 연결 식별자 인덱스 값을 모두 포함하거나, 두 값을 모두 정의하는 별도의 인덱스 값이 포함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 dedicated buffer status report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an be configured and transmitted. As an example, the buffer status report may include a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value (or a D2D connection index value) for direct-to-terminal communicat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a Logical Channel Identity index value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 A plurality of index values may be defined and included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buffer status report, and only one index value may be defined and included.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establishes a D2D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as described above, the buffer status report may include a D2D connection identifier index value. Or a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value and a D2D connection identifier index value, or may include a separate index value defining both of the two values.

또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들을 특정 논리채널그룹으로 할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퍼상태보고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 및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상태정보를 포함하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은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과 구분되는 논리채널그룹(Logical Channel Group)에 할당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logical channel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may be allocated to specific logical channel groups. For example,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buffer status information for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and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used for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Or may be allocated to a logical channel group that is different from the logical channel.

제 1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자원할당 정보를 수신한다(S1330). 제 1 단말은 수신된 무선자원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receives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from the base station (S1330). The first terminal can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based on the received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기지국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제 1 단말의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트리거되면, 제 1 단말로부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버퍼상태보고에 기초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 method of controll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buffer status report (BSR) of a first termina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triggered, Receiving a buffer status report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based on the buffer status report.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제 1 단말로부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S1410). 일 예로, 버퍼상태보고는 제 1 단말이 버퍼상태보고 트리거를 감지하는 경우에 해당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a BS may receive a buffer status report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from a first terminal (S1410). For example, the buffer status report may receive a buffer status repor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when the first terminal senses a buffer status report trigger.

예를 들어, 버퍼상태보고는 제 1 단말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시작한 경우, 제 1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려는 제 2 단말로부터 무선 자원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버퍼에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존재하고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및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 또한, 이 외에도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트리거 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terminal initiates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when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started, the buffer status report indicates that the wireless resourc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that is to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terminal In the case where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having a higher priority is input to the buffer,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exists in the buffer. If there is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and the retransmission timer expires And when a timer for transmitting a buffer status report has expired. In addition, it can be triggered when the trigger condition described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satisfied.

기지국이 수신하는 버퍼상태보고는 전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The buffer status report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제 1 실시예와 같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전용 버퍼상태보고가 구성되어 수신될 수 있다. 일 예로, 버퍼상태보고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entity) 인덱스 값과 구분되는,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상태보고의 포맷에 따라서 복수의 인덱스 값이 정의되어 포함될 수도 있고, 하나의 인덱스 값만이 정의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복수의 단말과 D2D 연결을 구성하는 경우에 버퍼상태보고는 D2D 연결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 값과 D2D 연결 식별자 인덱스 값을 모두 포함하거나, 두 값을 모두 정의하는 별도의 인덱스 값이 포함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 dedicated buffer status report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an be configured and receiv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the buffer status report may include a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value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which is distinguished from a Logical Channel Identity index value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 plurality of index values may be defined and included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buffer status report, and only one index value may be defined and included.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establishes a D2D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as described above, the buffer status report may include a D2D connection identifier index value. Or a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value and a D2D connection identifier index value, or may include a separate index value defining both of the two values.

기지국은 수신된 버퍼상태보고에 기초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고, 무선자원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420).
The base station can allocate radio resource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based on the received buffer status report and transmit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S1420).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들을 특정 논리채널그룹으로 할당할 수도 있다(S1510). 예를 들어, 버퍼상태보고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 및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상태정보를 포함하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은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과 구분되는 논리채널그룹(Logical Channel Group)에 할당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gical channel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may be allocated to a specific logical channel group (S1510). For example,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buffer status information for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and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used for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Or may be allocated to a logical channel group that is different from the logical channel.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리채널을 특정 논리채널그룹으로 할당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통한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을 동일한 논리채널 그룹으로 할당하지 않고, 각각 별도의 논리채널그룹으로 할당한다.Specifically, the base station can allocate at least one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to a specific logical channel group. That is,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through a base station and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re not allocated to the same logical channel group but are allocated to separate logical channel groups.

기지국은 제 1 단말로부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 정보를 포함하는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S1520). 전술한 바와 같이 버퍼상태보고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 및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상태를 병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합된 버퍼상태보고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들)이 할당된 논리채널그룹은 기지국을 통한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그룹과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BS may receive a buffer status report including buffer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from the first terminal (S1520). As described above, the buffer status report may include a buffer status for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Also, in the merged buffer status report, the logical channel group to which the logical channel (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re allocated can be configur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logical channel group for communica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기지국은 수신된 버퍼상태보고에 기초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제 1 단말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자원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530).
The base station may allocate radio resource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based on the received buffer status report. The base station can transmit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to the first terminal (S1530).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단말은 단말 간 직접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자원을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부터 할당 받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rminal has an effect of being allocated from a base station or a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capable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which can be use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또한, 제 1 단말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여 보다 정확한 양의 무선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the first terminal can transmit a buffer status report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thereby obtaining a more accurate amount of radio resources.

또한,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는 제 1 단말로부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별도의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함으로써 무선자원 낭비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or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capable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can reduce the radio resource waste by receiving a separate buffer status report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from the first terminal, efficiently allocate radio resources And the like.

전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이 모두 수행될 수 있는 제 1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configuration of a first terminal and a base station through which each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1600)은 제 2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트리거되는 제어부(1610)와 버퍼상태보고를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전송하는 송신부(1620) 및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부터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6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1610 for triggering a buffer status report (BSR)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erminal, And a receiver 1630 for receiv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6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모두 수행하기에 필요한,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받기 위한 버퍼상태보고의 트리거 및 버퍼상태보고를 구성하고, 전송하는 데에 따른 제 1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16, the controller 1610 includes a trigger for a buffer status report for receiving a radio resource for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which is necessary for performing all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 buffer status report,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또한, 제어부(1610)는 제 1 단말이 제 2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시작한 경우, 제 1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려는 제 2 단말로부터 무선 자원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버퍼에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존재하고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및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 버퍼상태보고를 트리거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terminal initiates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 controller 1610 transmits a radio resource request from the second terminal to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terminal, When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having a higher priority is received in the buffer, if there is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exists in the buffer and retransmission The buffer status report can be triggered when at least one of the cases where the timer expires and the timer expired for transmitting the buffer status report has occurred.

또한, 제어부(1610)는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전송하는 버퍼상태보고를 구성함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entity) 인덱스 값과 구분되는,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복수의 단말과 D2D 연결을 구성하는 경우에 버퍼상태보고에 D2D 연결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 값과 D2D 연결 식별자 인덱스 값을 모두 포함하거나, 두 값을 모두 정의하는 별도의 인덱스 값이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10 may configure a buffer status report to be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or a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The controller 161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a logical channel identity index value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Can be controlled to include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values.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forms a D2D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as described above, the D2D connection identifier index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buffer status report. Or both the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value and the D2D connection identifier index value, or may include a separate index value that defines both of the two values.

또한, 제어부(1610)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 및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상태정보를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은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과 구분되는 논리채널그룹(Logical Channel Group)에 할당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10 can control the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buffer status information for the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n this case,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an be allocated to a logical channel group that is separated from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송신부(1620)는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버퍼상태보고를 제 2 단말이 아닌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전송할 수 있다.Transmitter 1620 may send a buffer status report to a base station or a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performing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 buffer status report can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or the radio resource assignment entity rather than the second terminal.

수신부(1630)는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부터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630 may receive a signal includ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그 외에도, 송신부(1620) 및 수신부(1630)는 기지국과 신호, 데이터 및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고, 제 2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통해서 신호 및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tting unit 1620 and the receiving unit 1630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data, and messages to and from the base station,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nd data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erminal.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700)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제 1 단말의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트리거되면, 제 1 단말로부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수신부(1730) 및 버퍼상태보고에 기초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17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1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iver (not shown) for receiving a buffer status report from the first terminal when a buffer status report (BSR) of the first termina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triggered 1730 and a transmitter 1720 for transmitt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based on the buffer status report.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7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모두 수행하기에 필요한 제 1 단말로부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정보를 포함하는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데에 따른 기지국(17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17, the controller 1710 receives a buffer status report including buffer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from the first terminal, which is necessary for performing all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17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1700 in accordance with the allocation of radio resources for the base station 1700. [

또한, 제어부(1710)는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을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과는 구분되는 논리채널그룹에 할당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버퍼상태보고의 병합 전송 상황에서 기지국을 통한 통신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구분하기 위해서 각 논리채널을 같은 논리채널그룹에 할당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710 can assign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to a logical channel group that is different from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That is,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communication through a base station 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the merging transmission state of the buffer status repo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not to allocate each logical channel to the same logical channel group.

수신부(1730)는 제 1 단말로부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Receiver 1730 may receive a buffer status report from the first terminal.

일 예로, 버퍼상태보고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entity) 인덱스 값과 구분되는,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전용 버퍼상태보고가 설정되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복수의 단말과 D2D 연결을 구성하는 경우에 버퍼상태보고에 D2D 연결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 값과 D2D 연결 식별자 인덱스 값을 모두 포함하거나, 두 값을 모두 정의하는 별도의 인덱스 값이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uffer status report may include a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value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which is distinguished from a Logical Channel Identity index value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That is, a dedicated buffer status report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an be set and received.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forms a D2D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as described above, the D2D connection identifier index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buffer status report. Or a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value and a D2D connection identifier index value, or may include a separate index value defining both of the two values.

다른 예로, 버퍼상태보고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 및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상태정보를 포함하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은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과 구분되는 논리채널그룹(Logical Channel Group)에 할당될 수 있다. 즉, 단말 간 직접 통신 및 기지국을 통한 통신의 버퍼상태보고가 병합되어 수신되는 경우에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은 특정 논리채널그룹에 할당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기지국은 수신된 버퍼상태보고가 병합된 것이라도 기지국을 통한 논리채널그룹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그룹을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 정보를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buffer status information for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ncludes logic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may be assigned to a logical channel group that is different from the channel. That is, when a buffer status report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communication through a base station are merged and received,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an be allocated to a specific logical channel group. Through this, the base station can distinguish the logical channel group through the base station and the logical channel group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even if the received buffer status report is merged. Accordingly, buffer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an be distinguished and radio resources can be alloc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송신부(1720)는 제 1 단말로 무선자원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700)이 전송하는 무선자원할당 정보는 전술한 각 실시예의 방식으로 수신된 버퍼상태보고에 기초하여 구성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이 제 2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면, 기지국은 전술한 각 실시예를 통해서 구성된 버퍼상태보고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제 1 단말의 데이터 양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1720 may transmit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1700 may be information configured based on the received buffer status report in the manner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or example, if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a buffer status repor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order to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erminal, It can be checked through the configured buffer status report. Then, the base station can allocate an appropriate radio resource based on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ata of the first termina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그 외에도, 송신부(1720)는 제 1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 신호 및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1730)는 제 1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 및 메시지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tter 1720 can transmit downlink data, signals, and messages to the first terminal. The receiving unit 1730 can further receive uplink data, signals, messages, and the like from the first terminal.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단말이 제 2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 간 직접 통신으로 전송할 데이터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버퍼상태보고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to a base station, a buffer status repor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i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a first terminal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erminal I suggest.

단말 간 직접 통신과 관련된 버퍼상태정보는 전용 버퍼상태정보가 정의되어 전송될 수도 있고, 논리채널을 기존의 기지국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논리채널과 구분하여 논리채널그룹에 할당함으로써 구분할 수도 있다.The buff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may be transmitted by defining the dedicated buffer status information or by allocating the logical channel to the logical channel group by separating the logical channel from the logical channel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existing base station.

기지국은 전술한 방법에 따른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 양에 기초하여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을 통한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자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무선자원을 명확히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배분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ase station can receive a buffer status repor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allocate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amount of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adio resources used for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and the radio resources used for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can be clearly classified and distributed and managed efficientl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의 무선자원을 동적으로 스케줄링 하거나, 반 영속적으로 스케줄링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동적 스케줄링 및 반 영속적 스케줄링뿐만 아니라, 고정된 자원을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해서 할당하고 동적으로 조절하지 않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기지국이 무선자원을 단말 간 직접 통신의 사용 상태에 따라서 조절하지 않더라도 단말 간 직접 통신을 통한 데이터 양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수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버퍼상태보고를 통해서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 base station dynamically schedules or semi-permanently schedules radio resource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dynamic scheduling and semi-persistent scheduling but also to a case where fixed resources are allocate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not dynamically adjusted. That is, even if the base station does not adjust the radio resources according to the use state of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t is necessary to check and collect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ata through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have.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기지국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해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구체적인 방식과는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a concrete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전술할 실시예들의 하나의 기술내용과 다른 하나의 기술내용을 조합하거나 이들의 기술사상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Various combinatio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ossible in a manner that combines one technical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one technical description or combines technical descriptions thereof.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4)

제 1 단말이 제 2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트리거 되는 단계;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무선자원할당 개체로부터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entity) 인덱스 값과 구분되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for a first terminal to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second terminal and a terminal,
A buffer status report (BSR) for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is triggered;
Transmitting the buffer status report to a base station or a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And
Receiv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And a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value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which is distinguished from a logical channel identity index value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시작한 경우,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려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무선 자원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상기 버퍼에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존재하고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및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 트리거 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Whe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started, when a radio resourc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which is intended to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terminal, When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having a higher priority is input to the buffer, if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enters the buffer,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exists in the buffer, And when a timer for transmitting the buffer status report has expi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자원할당 개체는,
상기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싱크 채널 전송 및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그룹을 관리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comprises:
Performing at least one of radio resource allocation, sink channel transmission, and management of a terminal group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구분하기 위한 단말 간 직접 통신 연결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To-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connection identifier index value for distinguishing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commun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 및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상태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은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과 구분되는 논리채널그룹(Logical Channel Group)에 할당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buffer status information for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Wherein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allocated to a logical channel group that is separated from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기지국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제 1 단말의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트리거 되면,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버퍼상태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entity) 인덱스 값과 구분되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for a base station to control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Receiving a buffer status report from the first terminal when a buffer status report (BSR) of the first termina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triggered; And
And transmitt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the inter-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based on the buffer status report,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And a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value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which is distinguished from a logical channel identity index value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시작한 경우,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려는 제 2 단말로부터 무선 자원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상기 버퍼에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존재하고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및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 트리거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When the first terminal initiates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when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started, if a radio resourc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which intends to perform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terminal, When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having a high priority is input to the buffer, if there is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exists in the buffer, and a retransmission timer And when the timer for expiring the buffer state report has expired and the timer for transmitting the buffer status report has expired.
삭제delet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구분하기 위한 단말 간 직접 통신 연결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To-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connection identifier index value for distinguishing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terminal communica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 및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상태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은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과 구분되는 논리채널그룹(Logical Channel Group)에 할당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buffer status information for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Wherein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allocated to a logical channel group that is separated from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을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과는 구분되는 논리채널그룹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Prior to receiving the buffer status report,
Further comprising allocating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to a logical channel group differentiated from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제 2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트리거 되는 제어부;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기지국 또는 무선자원할당 개체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무선자원할당 개체로부터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entity) 인덱스 값과 구분되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제 1 단말.
A first terminal for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second terminal and a terminal,
A controller for triggering a buffer status report (BSR)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buffer status report to a base station or a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And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And a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value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which is distinguished from a Logical Channel Identity index value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제 2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시작한 경우,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려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무선 자원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상기 버퍼에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존재하고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및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 트리거 되는 제 1 단말.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When the first terminal initiates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ttempts to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terminal, When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having a higher priority is received in the buffer, if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received in the buffer,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transmitted to the buffer And when a retransmission timer expires and / or when a timer for transmitting the buffer status report has expired.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자원할당 개체는,
상기 제 2 단말과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싱크 채널 전송 및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그룹을 관리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단말.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entity comprises:
Wherein the first terminal performs at least one of a radio resource alloc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a sink channel transmission, and a function of managing a terminal group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삭제delet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구분하기 위한 단말 간 직접 통신 연결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제 1 단말.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To-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connection identifier index value for distinguishing at least one of the inter-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 및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상태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은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과 구분되는 논리채널그룹(Logical Channel Group)에 할당되는 제 1 단말.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buffer status information for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Wherein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assigned to a logical channel group which is distinguished from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제 1 단말의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트리거 되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버퍼상태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entity) 인덱스 값과 구분되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기지국.
A base station for controll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buffer status report from the terminal when a buffer status report (BSR) of the first termina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triggered; And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the inter-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based on the buffer status report,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And a logical channel identifier index value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which is distinguished from a Logical Channel Identity index value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시작한 경우,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려는 제 2 단말로부터 무선 자원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버퍼에 들어온 경우, 상기 버퍼에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존재하고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및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 트리거되는 기지국.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When the first terminal initiates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when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started, if a radio resourc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which intends to perform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terminal, When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having a high priority is input to the buffer, if there is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data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exists in the buffer, and a retransmission timer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cases where the timer expires and the timer for transmitting the buffer status report has expired.
삭제delete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구분하기 위한 단말 간 직접 통신 연결 식별자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기지국.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And an inter-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connection identifier index value for distinguishing at least one of the inter-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 및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에 대한 버퍼상태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은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 채널과 구분되는 논리채널그룹(Logical Channel Group)에 할당되는 기지국.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buffer status report includes: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buffer status information for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Wherein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allocated to a logical channel group that is separated from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을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논리채널과는 구분되는 논리채널그룹에 할당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20. The method of claim 19,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assigning a logical channe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to a logical channel group differentiated from a logical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KR1020140017610A 2013-08-09 2014-02-17 Methods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KR1016555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154305.7A CN105682137B (en) 2013-08-09 2014-07-31 Buffer status reporting transmission method and its device i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
PCT/KR2014/007081 WO2015020356A1 (en) 2013-08-09 2014-07-31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of
US14/910,026 US10075940B2 (en) 2013-08-09 2014-07-31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of
CN201480045384.7A CN105474684B (en) 2013-08-09 2014-07-31 Buffer status reporting transmission method and its device i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
US15/054,077 US10080213B2 (en) 2013-08-09 2016-02-25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718 2013-08-09
KR20130094718 2013-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351A KR20150018351A (en) 2015-02-23
KR101655513B1 true KR101655513B1 (en) 2016-09-07

Family

ID=5304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610A KR101655513B1 (en) 2013-08-09 2014-02-17 Methods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5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788B1 (en) * 2015-03-27 2021-10-25 주식회사 아이티엘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buffer state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83839B1 (en) * 2019-10-31 2021-07-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907B1 (en) * 2008-02-01 2015-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erforming efficient bsr(buffer status report)procedure using sps(semi-persistent scheduling)resource
US20140023008A1 (en) * 2010-12-27 2014-01-23 Jae-Young Ahn Method for establishing a device-to-device link connection and scheduling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terminal relaying
KR20130065373A (en) * 2011-12-09 2013-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device-to-device group communications and the apparatus using the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 WG2 Meeting #70bis, R2-103965, 2010.07.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351A (en)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9378B1 (en) Method for terminal transmitting side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US10945154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08021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of
US1131738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V2X message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method
US10462833B2 (en)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US11122619B2 (en) Channel access priority class selection
CN107258067B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quasi-orthogonal multiple access
KR101656248B1 (en) Methods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of a user equipment in small cell deployments and Apparatuses thereof
JP2020519166A (en) Method of D2D oper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the method
US1054804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buffer status report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AU2015414030A1 (en) Multiple sidelink control transmissions during a sidelink control period
US10939455B2 (en) Method for allocating priorities to a logical channel group implicitly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2020519131A (en) A method for performing blind decoding of a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terminal using the method
KR201500182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cheduling request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10848A (en) Methods for processing the data retransmission and Apparatuses thereof
KR101655513B1 (en) Methods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KR101648251B1 (en) Methods for allocating wireless resources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KR20140106365A (en) Methods of controll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apparatuses thereof
KR20160013505A (en) Methods for receiving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an unlicensed spectrum cell and Apparatuses thereof
KR101963483B1 (en)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uplink data and Apparatuses thereof
KR20150051303A (en) Methods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es Thereof
WO202301354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50034586A (en) Methods for processing the prioritization of Logical channels and Apparatuses thereof
KR20150051128A (en) Methods for transmitting th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tatus report and Apparat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