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846B1 - Device for game with function analyzing user's swing and analyzing method - Google Patents

Device for game with function analyzing user's swing and analyz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846B1
KR101654846B1 KR1020160007380A KR20160007380A KR101654846B1 KR 101654846 B1 KR101654846 B1 KR 101654846B1 KR 1020160007380 A KR1020160007380 A KR 1020160007380A KR 20160007380 A KR20160007380 A KR 20160007380A KR 101654846 B1 KR101654846 B1 KR 101654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user
data
b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행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시스
Priority to KR1020160007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84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846B1/en
Priority to PCT/KR2017/000683 priority patent/WO201712691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91Golf courses; Golf practising terrains having a plurality of driving areas, fairways, g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09Computerised real time comparison with previous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63B2024/0015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computerised simulations of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e.g. for generating an ideal template as reference to be achiev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53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for locating an object, e.g. a lost ball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 device and a practicing device including a function of analyzing a posture of a user, and to an analysis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and analyzes a swing motion with a ball, a swing motion without the ball, and a swing motion in a virtual reality game, so as to correct the posture of the user when performing the same swing motions in the practice and the game. To this end, the device comprises a sensor module part, a main body, a data base part, and a stroke detection part.

Description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기능이 포함된 게임장치와 연습장치 및 그 분석방법{Device for game with function analyzing user's swing and analyzing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 device having a function of analyzing a user's posture, an exercise device, and a method of analyzing a user's swing and analyzing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기능이 포함된 게임장치와 연습장치 및 그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습 스윙모드, 실제 스윙모드 및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서 사용자의 스윙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연습과 게임에서 스윙이 동일하도록 스스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 device including a function of analyzing a user's posture, an exercise device, and an analysis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ng mo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that allows a user to correct his / her postures so that the swing is the same in practice and games.

일반적으로 운동 자세에 대한 상식이 없는 일반인들은 어설프게 프로선수들의 자세를 모방하곤 한다. 가령, 골프장에서 경기를 하거나 혼자서 스윙연습을 하려고 할 때에 자신의 스윙자세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으므로 타인의 스윙자세를 보고 자신의 스윙자세를 교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곤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윙 자세를 교정할 때는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여 스윙자세를 교정해야 되므로 정확한 스윙자세를 배우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people who do not have common sense about exercise attitude tend to imitate the attitude of professional players. For example, when playing a game on a golf course or trying to practice a swing by yourself, there is no accurate information about his / her swing posture, so he uses his swing posture to correct his swing posture. However, when correcting the swing posture in this mann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learn the accurate swing posture because the swing posture must be corrected depending on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user.

또한, 교본이나 영상물을 보면서 스윙연습을 하더라도, 이는 자신의 자세에 맞지 않을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공통적인 스윙자세는 존재하지만 사람의 신체에 따라 미세하게 자세를 달리하여야 효율적이고 최대 비거리를 갖는 스윙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무작정 프로선수들의 자세를 따라하거나 정형화된 자세는 오히려 나쁜 습관을 가진 자세를 야기할 수 있고, 이것이 굳어지면 추후 자세교정이 어렵다. 또, 연습을 통해 습득한 자신의 고유한 자세를 연습과 실전상황에 따라 동일하게 실시하는 연습도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혼자서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장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Also, even if you practice swing while watching a book or video, it may not fit your posture. That is, although there is a common swing posture basically, it is effective to have a swing having a maximum distance by finely changing the posture according to the human bod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llow the posture of a professional athlete, or a formal posture may cause a posture with a bad habit rather than a posture correction.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practice exercising and practicing the same in accordance with actual situati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rogram or equipment capable of solving these problems by themselves.

한편,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기능이 포함된 게임장치와 연습장치 및 그 분석방법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7280호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game device and an exercise device including a function of analyzing a user's posture and an analysis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1728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운동 자세가 연습상황과 게임 상황에서 동일하도록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교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 과정에서 재미와 연습의 효과를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 with self-calibra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for posture correction to a user so that a user's exercise posture is the same in practice and game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process i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un and pract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습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도구에 부착된 센서부가 수집한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를 본체에 전송하는 센서모듈부; 상기 본체에는, 상기 스윙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수신된 상기 스윙 데이터를 비교가능하게 가공 및 처리하여 분석하는 데이터분석부; 상기 데이터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상기 스윙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으로 마련되어 타격된 공의 이동을 시뮬레이션 하는 시스템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분석부에서 도출된 상기 스윙 데이터의 비교분석 결과와 상기 시스템처리부에서 상기 스윙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된 상기 가상으로 마련된 공의 이동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 데이터와 상기 스윙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된 상기 가상으로 마련된 공의 이동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actice tool comprising: a sensor module unit for transmitting swing data of a user collected by a sensor unit attached to a user's body or a tool to a main body;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swing data; A data analyzer for processing, processing and analyzing the received swing data in a comparable manner; A system processor for simulating the movement of the hit ball provided virtually on the basis of the swing data analyzed by the data analyz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o the user a comparison analysis result of the swing data derived from the data analysis unit and the virtual movement data generated based on the swing data in the system processing unit, And a database unit for storing the virtual movement data generated based on the swing data.

여기서, 사용자가 연습 스윙모드 또는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서 스윙을 실시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스윙 데이터를 로딩하여 사용자가 현재 실시한 스윙과 저장되어 있는 상기 스윙 데이터를 비교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user swings in the practice swing mode or the virtual game swing mode, the sw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is loaded, and the swing data stored by the user is compared with the stored swing data. do.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석방법은 사용자가 연습 스윙모드 또는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서 가상으로 마련된 공을 타격하는 스윙을 실시하는 a단계; 상기 a단계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를 센서모듈부가 수집하여 본체로 전송하는 b단계; 상기 b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스윙 데이터를 데이터분석부가 가공 및 처리하여 분석하고 상기 가상으로 마련된 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c단계; 상기 c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스윙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으로 마련된 상기 가상으로 마련된 공의 궤적을 시스템처리부가 시뮬레이션하는 d단계; 상기 b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스윙 데이터와 상기 d단계에서 도출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디스플레이부가 도시하는 e단계; 및 상기 b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스윙 데이터와 상기 d단계에서 도출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f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alysis method comprising: a) performing a swing striking a virtual ball in a practice swing mode or a virtual game swing mode; B) collecting swing data of the user generated in the step a), and transmitting the swing data to the main body; C) processing the swing data transmitted in the step b by processing and processing the swing data by the data analysis unit, and calculating the virtual trajectory of the ball; D) simulating the virtual trajectory of the ball provided virtually based on the swing data analyzed in the step c); An e step of displaying the swing data analyzed in the step b and the simulation result derived in the step d; And storing the swing data analyzed in the step b and the simulation result derived in the step d in a database unit.

여기서, 상기 데이터분석부는 상기 스윙 데이터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스윙궤적을 인-아웃 스윙, 아웃-인 스윙, 인 스윙 또는 아웃 스윙으로 각각 비교분석하여 상기 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data analyzer compares the swing trajectory of the user included in the swing data with an in-out swing, an out-in swing, an in swing, or an out swing to calculate the trajectory of the ball.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장치는 사용자가 가상게임 스윙모드를 통해 가상게임을 진행하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신체 또는 도구에 부착된 센서부가 수집한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를 본체에 전송하는 센서모듈부; 상기 본체는 가상게임을 관장하는 게임운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게임에서 발생된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와 상기 스윙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된 상기 가상으로 마련된 공의 이동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me device for playing a virtual game through a virtual game swing mode, the swing data of a user collected by a sensor unit attached to a user's body or a tool, A sensor module unit for transmitting the sensor module; And a database unit storing the virtual movement data generated based on the swing data of the user generated in the virtual game and the virtual movement data generated by the virtual game, .

여기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스윙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수신된 상기 스윙 데이터를 비교가능하게 가공 및 처리하여 분석하는 데이터분석부; 상기 데이터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상기 스윙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으로 마련되어 타격된 공의 이동을 시뮬레이션 하는 시스템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분석부에서 도출된 상기 스윙 데이터의 비교분석 결과와 상기 시스템처리부에서 상기 스윙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된 상기 가상으로 마련된 공의 이동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Here, the main body may include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swing data; A data analyzer for processing, processing and analyzing the received swing data in a comparable manner; A system processor for simulating the movement of the hit ball provided virtually on the basis of the swing data analyzed by the data analyz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o the user a comparison analysis result of the swing data derived from the data analysis unit and the virtual movement data generated based on the swing data in the system process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기능이 포함된 게임장치와 연습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game device and the training device including the function of analyzing the postur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사용자가 자신의 스윙자세를 파악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골프스윙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가 구비되어 있다. 즉, 공이 없는 상태에서 스윙(연습 스윙모드)할 수 있고, 실제 공을 타격하는 스윙(실제 스윙모드)을 할 수 있으며, 가상의 골프게임을 진행하면서 마련된 공을 타격하는 스윙(가상게임 스윙모드)을 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모드에서 실시하는 스윙을 분석 장치가 비교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스윙자세와 이에 따른 공의 이동결과를 비교하여 스윙자세의 문제점을 쉽게 파악하고 스스로 교정할 수 있다.First, it is easy for the user to grasp his swing pos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nus are provided for the user to perform a golf swing.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wing (practice swing mode) without a ball, a swing (actual swing mode) to strike a real ball, and a swing (virtual game swing mode )can do. By analyzing and analyzing the swing performed in various modes in such a manner,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problem of the swing posture by comparing his / her swing posture with the ball motion result, and can correct himself / herself.

둘째, 재미와 연습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골프클럽을 사용하여 단순하게 스윙자세를 연습하는 것이 아닌 실제 공을 타격하는 스윙과 가상으로 게임을 진행하면서 공을 타격하는 스윙도 병행하여 실시한다. 즉, 공이 없는 모드에서의 스윙연습 뿐만 아니라 실제 공을 타격하면서 타격감을 느끼는 재미와 가상게임을 진행하면서 실제 골프선수가 된 듯이 동일한 긴장감을 느끼며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영상분석을 통해 현재 자신의 스윙영상을 과거 스윙영상이나 타인과의 스윙영상과 비교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루한 반복 연습을 탈피하여 재미를 느끼고, 보다 효과적으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다.Second, it maximizes the effects of fun and practi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oes not simply practice the swing posture by using the golf club, but performs the swing that hits the actual ball and the swing that hits the ball while playing the game virtually. In other words, not only the practice of swing in the ballless mode, but also the fun to feel a sense of hitting while hitting the actual ball and play a virtual game, so that you can feel the same tension and practice as a real golf player. In addition, through the image analysis, the current swing image can be compared with the past swing image or the swing image with the other person. Therefore, the user can enjoy the fun by avoiding tedious repetition exercises, and practice the swing more effectively.

셋째, 언제든지 자신의 스윙 데이터를 리뷰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부에 접속하거나 다운로드 하여 저장된 자신의 스윙 데이터를 모바일이나 PC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자신의 실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Third, you can review your Swing data at any time. Since the sw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can be accessed or downloaded from the database unit, the swing data can be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mobile or PC.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장치를 사용자가 사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가 전송되고, 스윙 데이터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가 도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자세를 분석하는 장치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자세를 분석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습 스윙모드와 실제 스윙모드의 스윙 데이터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서 스윙을 실시할 때 사용자가 공을 타격한 느낌을 받게 하는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mulation result according to a swing data transmitted by a user when the user uses the analy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nalyzing a golf swing po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nalyzing a golf swing po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swing data differences between an exercise swing mode and an actual sw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operation of a device for allowing a user to feel a ball hit when performing a swing in a virtual game sw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nfiguration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configurations omitted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may be combin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먼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자세를 스스로 교정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써, 이에 대한 하나의 예시로 골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즉, 분석 장치가 사용자에게 스스로 골프스윙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스윙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장치 및 그 분석방법은 골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테니스, 볼링, 탁구, 다트, 배드민턴 및 당구 등 이 밖의 다양한 종목에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so that a user can calibrate his / her own exercise posture, and an example of this apparatus will be described using golf. That is, the analyzing apparatus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wing posture of the user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so that the user can correct the golf swing posture by himself / herself. Therefore, it is revealed that the apparatus for analyzing the user's attitude and the analysis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sports such as tennis, bowling, table tennis, darts, badminton, and billiard.

가령, 야구에서도 사용자의 배트스윙을 연습 스윙모드, 실제 스윙모드 및 가상게임 스윙모드로 구분지어 자신의 스윙자세를 다양한 모드에서 비교분석해 사용자가 몸이 경직되거나 자세가 무너지는 등의 문제점을 스스로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n baseball, the bat swing of a user is divided into practice swing mode, real swing mode, and virtual game swing mode, and the user compares and analyzes the swing posture in various modes to calibrate problems such as stiff body or collapsing posture You can do it.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장치를 사용자가 사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가 전송되고, 스윙 데이터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가 도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자세를 분석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자세를 분석하는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습 스윙모드와 실제 스윙모드의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서 스윙을 실시할 때 사용자가 공을 타격한 느낌을 받게 하는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mulation result according to a swing data transmitted by a user when swing data of a user is used by a user of the analy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nalyzing a golf swing po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nalyzing a golf swing po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operation of a device for receiving a feeling that a user hits a ball when a swing is performed in a virtual game sw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기능이 포함된 게임장치와 연습장치(이하 '분석 장치'라 함)는 센서모듈부(100), 본체(200) 및 데이터베이스부(300)를 포함한다.1 to 5, a game apparatus and an exercis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alyz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analyzing a user's po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sensor module unit 100, A main body 200 and a database unit 300.

센서모듈부(100)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도구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스윙 데이터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센서모듈부(100)에는 가속도센서(111), 자이로센서(112) 및 지자기센서(113)를 포함하는 센서부(110)와 데이터전송부(120)로 나뉜다. 이러한 센서모듈부(100)는 일측에 사용자가 스윙을 실시한다는 것을 본체(200)에 알려주기 위한 키입력부(114)가 별도로 포함된다. 즉, 키입력부(114)를 작동시킴으로써 본체(200)에서 센서모듈부(100)가 수집한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센서모듈부(100)는 사용자가 스윙하는 도구의 크기 및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갈고리 형태의 모듈결합부(130)를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하기에 따라 클립, 고무벨트 및 벨크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unit 100 is configured to collect swing data by sensing the user's attitude by attaching to the user's body or tool. The sensor module unit 100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111, a gyro sensor 112,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120. The data transmission unit 120 includes a sensor unit 110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120. [ The sensor module unit 100 further includes a key input unit 114 for informing the main body 200 that the user swings on one side. That is, the key input unit 114 is operated to send a signal to the main body 200 so that the swing data of the user collected by the sensor module unit 100 can be received.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odule unit 100 uses the hook-shaped module coupling unit 130 made of a plastic material so as to be easily detachable and attachable regardless of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swinging tool, It can be configured as a clip, a rubber belt and a velcro-type according to the practice.

센서부(110)는 가속도센서(111), 자이로센서(112) 및 지자기센서(113)로 구성되어 있고, 이상의 센서들은 3차원 공간상에서 사용자의 스윙을 감지하여 스윙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즉, 사용자는 다양한 모드에서 스윙을 실시하고, 이에 따라 센서부(110)는 각각의 모드에서 발생된 클럽의 스윙속도, 클럽의 스윙궤적, 센서부(100)가 간접적으로 받는 충격, 타격 시 골프클럽과 공이 이루는 각도, 스윙템포, 공의 초기 이동궤적 등 사용자의 스윙과 이에 따라 움직이는 공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 또는 전기적 신호로 변경하여 본체(2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The sensor unit 110 is composed of an acceleration sensor 111, a gyro sensor 112 and a geomagnetic sensor 113. The above sensors sense the user's swing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collect data about the swing. That is, the user swings in various modes, and accordingly, the sensor unit 110 detects the swing speed of the club, the swing locus of the club, the impact indirectly received by the sensor unit 100, Data related to the swing of the user, such as the angle between the club and the ball, the swing tempo, the initial movement locus of the ball, and the like, are collected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or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200.

센서부(110)에 포함되는 센서들은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분야에 속하는 센서들로 3차원 공간상에서 사용자의 스윙에 따른 임의의 한 점의 위치를 추적한다. 가속도센서(111)는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써 사용자가 스윙을 실시할 때 골프클럽의 스윙속도를 감지하고, 자이로센서(112)는 각속도를 측정하여 물체의 방위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로써 골프클럽의 회전을 감지하며, 지자기센서(113)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하여 방위를 탐지하는 센서로써 사용자의 팔목 위치가 이동된 것으로 사용자가 실시하는 스윙의 방향을 파악한다. 이러한 센서들이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ensors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are sensors belonging to the field of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to track the position of an arbitrary point along the swing of the user in a three-dimensional space. The acceleration sensor 111 senses the velocity of the golf club when the user performs a swing and the gyro sensor 112 measures the angular velocity of the golf club to measure a change in the azimuth of the object. The geomagnetic sensor 113 detects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earth and detects the orientation. The user's cuff position is moved, and the direction of the swing performed by the user is grasped. The manner in which these sensors sense motion is well known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다양한 모드란, 사용자가 공이 없는 상태에서 스윙을 실시하는 것(연습 스윙모드)과, 사용자가 실제 공이 놓여있는 상태에서 공을 타격하기 위한 스윙을 실시하는 것(실제 스윙모드)과, 사용자가 가상의 게임을 진행하면서 가상으로 마련된 공을 타격하는 스윙을 실시하는 것(가상게임 스윙모드)을 말한다.Here, the various modes include a swing (practice swing mode) in which a user swings without a ball (swing mode in practice), a swing (actual swing mode) in which a user swings the ball in a state where the ball is actually placed, (Virtual game swing mode) in which a player swings a virtual ball while performing a virtual game.

데이터전송부(120)는 이러한 다양한 모드에서 센서부(110)가 수집하고 디지털 신호나 전기적 신호로 처리된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를 본체(200)로 전송한다.The data transfer unit 120 transfers the swing data of the user, which is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110 and processed by the digital signal or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main body 200 in these various modes.

본체(200)는 수신된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시뮬레이션 하여 타격된 공의 이동궤적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또한, 각각의 스윙 데이터와 이에 따른 공의 이동궤적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스윙자세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기 쉽도록 한다. 이러한 본체(200)는 데이터수신부(210), 데이터분석부(220), 시스템처리부(230) 및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200)는 패드나 셋톱박스 형태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부(240)와 연결된다.The main body 200 analyzes the swing data of the received user, simulates the swing data, and displays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hit ball to the user. In addi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swing data and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ball according to the swing data,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problem about his / her swing posture. The main body 200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210, a data analyzing unit 220, a system processing unit 230, and a display unit 240. The main body 20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ad or a set-top box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240.

데이터수신부(210)는 센서모듈부(100)에서 전송한 스윙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데이터수신부(210)는 연습 스윙모드 데이터취득부(211)와 실제 스윙모드 데이터취득부(212) 및 가상게임 스윙모드 데이터취득부(213)를 더 포함한다. 연습 스윙모드 데이터취득부(211)는 연습 스윙모드에서 사용자가 실시한 스윙 데이터를 취득하는 구성이고, 실제 스윙모드 데이터취득부(212)는 실제 스윙모드에서 사용자가 실시한 스윙 데이터를 취득하는 구성이며, 가상게임 스윙모드 데이터취득부(213)는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서 사용자가 실시한 스윙 데이터를 취득하는 구성이다.The data receiving unit 210 receives the sw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odule unit 100. The data receiving unit 210 further includes an exercise swing mode data acquisition unit 211, an actual swing mode data acquisition unit 212, and a virtual game swing mode data acquisition unit 213. The practice swing mode data acquisition unit 211 is configured to acquire the swing data performed by the user in the practice swing mode. The actual swing mode data acquisition unit 212 acquires the swing data performed by the user in the actual swing mode, The virtual game swing mode data acquisition unit 213 is a configuration for acquiring the swing data performed by the user in the virtual game swing mode.

데이터분석부(220)는 데이터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서로 다른 모드에서의 스윙 데이터를 비교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각 항목별로 기준을 동일하게 맞추는 가공 및 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비교분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여러 방향으로 실시한 스윙에 대하여 각각의 스윙을 골프클럽의 각도와 스윙궤적을 구간별로 나누어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즉, 타격 시까지의 골프클럽의 위치를 하나의 점으로 다수 추출하여 스윙궤적을 분석하고, 이를 인-아웃 스윙, 아웃-인 스윙, 인 스윙 및 아웃 스윙으로 나누어 공에 대한 골프클럽의 각도와 타격위치를 분석함으로써 공의 이동궤적을 종합적으로 판별하게 된다.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은 분석 장치의 작동과정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data analyzer 220 performs processing and processing for matching the criteria for each item in order to enabl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swing data in the different modes received by the data receiving unit 210,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same. For example, for a swing performed by a user in various directions, each swing is divided into a golf club angle and a swing trajectory according to a section. That is, a plurality of the positions of the golf clubs at the time of hitting are extracted by one point to analyze the swing trajectory and divided into an in-out swing, an out-in swing, an in swing and an out swing, By analyzing the position,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ball can be comprehensively determined. The analysis of the user's swing dat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nalyzer.

시스템처리부(230)는 데이터분석부(220)에서 비교분석 된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를 기반으로 타격된 공의 이동궤적을 산출하여 시뮬레이션한다. 즉, 사용자가 공을 타격할 시 사용자의 팔목의 이동속도와 골프클럽의 스윙속도, 골프클럽의 각도로 인한 골프공의 초기 이동방향 및 센서부(110)에 간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량 등을 산출하여 최종적으로 공이 이동한 거리를 시뮬레이션한다.The system processing unit 230 calculates and simulates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hit ball based on the swing data of the user analyzed and analy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220. That is, when the user hits the ball, the moving speed of the user's cuff and the swing speed of the golf club, the initial moving direction of the golf ball due to the angle of the golf club, and the amount of the impact indirectly applied to the sensor unit 110 are calculated Finally simulate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ball.

디스플레이부(240)는 시스템처리부(230)에서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출력하여 본체(200)의 디스플레이에 도시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40)는 본체(200)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모니터 또는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에 HDMI와 같은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40 outputs a simulation result of the user's swing data in the system processing unit 230 and displays the result on the display of the main body 200. Here, the display unit 240 may be embedded in the main body 200, or may be connected to a display such as a separate monitor or a TV, or the like via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such as HDMI.

데이터베이스부(300)는 다양한 모드에서 사용자가 실시하여 생성된 스윙 데이터를 저장하여 보관한다. 이에 따라 본체(200)는 필요할 때마다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The database unit 300 stores and stores swing data generated by a user in various modes. Accordingly, the main body 200 can load the swing data of the user stored in the database unit 300 whenever necessar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장치는 이하 작동과정과 사용자의 스윙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The analy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further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an operation process and a method of analyzing a user's swing.

도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장치의 스윙 분석방법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최초에 사용자는 분석 장치의 전원을 킨 상태에서 다양한 모드에서 스윙을 실시한다.<S10> 즉,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실시하는 스윙모드는 공이 없는 상태에서 스윙을 실시하는 모드(연습 스윙모드), 실제 공을 타격하는 스윙을 실시하는 모드(실제 스윙모드) 및 가상게임에서 공을 타격하는 스윙을 실시하는 모드(가상게임 스윙모드)로 구분되어 스윙이 실시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3, a method of analyzing swing of an analy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10>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ng mode performed by the user is a mode (swing mode for practice) in which a sw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ball, The swing is divided into two modes: a swing mode (actual swing mode) that hits the actual ball, and a swing mode (virtual game swing mode) that hits the ball in the virtual game.

이 때 사용자는 자신이 실시한 스윙 중 자신에게 가장 이상적이라 생각되는 스윙자세나 공의 비거리가 최대로 기록되었을 때의 스윙자세를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저장시키고, 이를 분석 장치가 비교분석할 롤모델의 스윙자세로 설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 사용자가 실시하는 스윙은 롤모델로 설정된 스윙자세와 비교분석 되어 사용자의 스윙자세가 어떻게 무너졌는지 수집된 스윙 데이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40)에 도시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user stores the swing posture at the time when the swing posture or the distance of the ball, which is considered to be most ideal for the swing, is recorded in the database unit 300, and the swing posture of the roll model You can set it to swing posture. Accordingly, the swing performed by the user is compared with the swing posture set by the roll model,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through swing data collected as to how the user's swing posture has collapsed.

반면, 위와 같은 롤모델 스윙자세를 설정하지 않고 각각의 스윙을 실시하는 중에 스윙 데이터와 공의 비거리를 비교하여 가장 이상적인 스윙자세가 업데이트되고, 이후 스윙들은 현시점까지 가장 이상적이라고 판별된 스윙자세와 비교분석 되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데이터분석부(220)가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가장 이상적인 스윙자세라 분석된 스윙자세를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저장시키고, 필요할 때마다 이를 로딩하여 비교분석에 활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스윙을 실시하여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가장 이상적인 스윙자세를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swing without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role model swing posture, the ideal swing posture is updated by comparing the swing data with the distance of the ball, and after that, the swing is compared with the swing posture determined to be ideal . That is, the data analyzer 220 analyzes the swing data of the user, stores the swing posture analyzed as the most ideal swing posture in the database unit 300, loads the swing posture as needed, and uses it for comparison analysis. This allows the user to constantly swing and update the ideal swing posture without having to make any special settings.

또한, 분석 장치는 사용자가 어떤 스윙모드를 실시하는지에 대한 판별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본체(200)에는 이러한 판별방법으로 4가지의 방법이 사용된다.In addition, the analyzer needs to determine which swing mode the user perform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200 uses four methods as the discrimination method.

첫 번째 방법으로, 센서모듈부(100)에 부착된 키입력부(114) 또는 본체(200)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본체(200)는 사용자가 현재 어떠한 모드에서 스윙을 실시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즉, 실제 스윙모드일 경우, 키입력부(114)를 누름으로써 센서모듈부(100)는 사용자가 실제 스윙모드에서 스윙을 실시한다는 것을 신호 처리하여 본체(200)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200)는 사용자의 실제 스윙모드에 대한 분석을 위해 대기상태에 있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스윙을 실시하고 나면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나 전기적 신호로 처리되어 본체(200)로 전송된다.As a first method, the main body 200 can determine which mode the user is currently swinging by pressing the button of the key input unit 114 or the main body 200 attached to the sensor module unit 100. That is, in the actual swing mode, by pressing the key input unit 114, the sensor module unit 100 signals the fact that the user performs the swing in the actual swing mode,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main body 200. Accordingly, the main body 200 is in a standby state for analysis of the actual swing mode of the user. After the user performs the swing, the swing data of the user is processed as a digital signal or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200 do.

두 번째 방법으로, 본체(200)는 센서모듈부(100)가 정지 상태임을 보내는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스윙모드를 판별한다. 스윙을 실시하기에 앞서 사용자가 어드레스(준비 또는 정렬) 과정에서 정지 상태 없이 스윙을 한다면 연습 스윙모드라 판별하고, 2초~5초 간 골프클럽을 정지 상태에 놓이게 하면 본체(200)가 실제 스윙모드라고 판별하며, 5초 이상 정지 상태에 놓이면 가상게임 스윙모드라 판별한다. 하지만 판별방법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만 국한된 것이 아니며, 실시하기에 따라 시간설정을 다르게 하여 어드레스함으로써 판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체(200)는 스윙모드에 따른 사용자의 스윙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대기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 때 본체(200)의 준비가 완료되어 사용자에게 스윙을 해도 좋다는 신호를 전달하는데, 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센서모듈부(100)에 LED를 마련하고, LED가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고, 센서모듈부(100)에서 소리나 진동이 발생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모듈부(100) 뿐만 아니라 본체(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서도 이미지나 소리로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In the second method, the main body 200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swing mode by a signal that the sensor module unit 100 is in the stop state. If the user swings without stopping in the address (preparation or alignment) process before the swing is performed, if the swing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practice swing mode and the golf club is stopped for 2 seconds to 5 seconds, Mode, and if it is placed in the stop state for 5 seconds or m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game is a virtual game swing mode. However, the discrimination method is not limited to this method, and it can be discriminated by addressing the time sett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xecution. Accordingly, the main body 200 is placed in the analysis standby state for analyzing the user's swing according to the swing mode. At this time, the preparation of the main body 200 is completed and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may swing is transmitted, which can be transmitted in various ways. That is, the LED may be provided in the sensor module unit 100, the LED may emit light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user, or the sensor module unit 100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user by generating sound or vibration. In addition, not only the sensor module unit 100 but also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ain body 200 can transmit signals to the user through images or sounds.

세 번째 방법으로는 첫 번째 방법과 두 번째 방법을 혼합하여 판별하는 것이다. 즉, 첫 번째 방법에서 언급하였듯이 센서모듈부(100)의 키입력부(114)를 눌러 신호를 전송한 후 본체(200)가 분석 대기상태에 놓이게 되면, 두 번째 방법에서 언급하였듯이 센서모듈부(100)에 LED를 마련하고, LED가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달하거나 센서모듈부(100)에서 소리 또는 진동이 발생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으며, 본체(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서 이미지나 소리가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The third method is to distinguish between the first method and the second method. That is, as mentioned in the first method, when the main body 200 is placed in the analysis waiting state after transmitting the signal by pressing the key input unit 114 of the sensor module unit 100, as described in the second method, The LEDs may be illuminated to transmit a signal to a user or may transmit a signal to a user by generating sound or vibration in the sensor module unit 100. An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ain body 200, A sound is generated and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네 번째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스윙을 실시할 때 본체(200)가 자동적으로 공을 타격하는 지, 아니면 공이 없는 상태에서 스윙을 실시하는 것인지를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를 기반으로 판단하여 스윙모드를 판별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공을 타격할 때의 스윙 데이터와 공이 없는 상태에서의 스윙 데이터는 서로 차이가 발생한다. x축은 사용자가 스윙을 실시하여 타격까지 완료될 때까지 발생하는 자세에 대한 샘플링 개수라 하고, y축은 이에 따른 스윙단계별 속도라 하여 이를 측정한다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연습 스윙모드에서는 사용자가 공을 타격하지 않기 때문에 골프클럽이 최고속도인 부근에서 속도의 차이가 없지만, 실제 스윙모드에서는 스윙단계에서 골프클럽과 공이 서로 충돌하기 때문에 골프클럽의 속도는 감소하게 되고, 이는 연습 스윙모드와 속도에서 차이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체(200)는 이러한 스윙 데이터의 차이를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사용자가 어떤 스윙을 실시하는지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fourth method, the swing mod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wing data of the user whether the main body 200 automatically hits the ball when the swing is performed or whether the swing is to be performed without the ball . As shown in FIG. 4,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wing data when the user hits the ball and the swing data when there is no ball. The x-axis is a sampling number of attitudes occurring until the user completes the swing until the swing is completed. If the y-axis is measured as the swing step-by-step velocity, the swing data can be obtained as shown in FIG. . In detail, since the user does not hit the ball in the practice swing mode, there is no difference in speed in the vicinity of the maximum speed of the golf club, but in the actual swing mode, since the golf club and the ball collide with each other in the swing phase, , Which is a difference in practice swing mode and speed.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main body 200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ich swing the user performs based on the difference of the swing data.

한편,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서는 게임의 상황에 따라 공의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스윙방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본체(200)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스윙방향의 각도를 보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사용자가 직선으로 스윙하였지만 공에 회전이 걸리면서 옆으로 휘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목표한 곳까지 공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스윙하는 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스윙방향이 달라지면, 센서모듈부(100)가 이를 감지하여 가상게임에서도 사용자의 스윙방향과 같아지도록 각도를 보정하여 목표물로 공이 이동하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virtual game swing mode, since the swing direction may be changed in order to chang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ll according to the game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angle of the swing direction so that the main body 200 can recognize the swing direction. That is, although the user swings in a straight line, the ball may be bent sideways while being rotated, and accordingly, the user may intentionally swing the ball to move the ball to the target position. Accordingly, if the swing direction of the user changes, the sensor module unit 100 senses the swing direction and corrects the angle so as to be equal to the swing direction of the user in the virtual game, thereby moving the ball to the target.

만약 사용자가 최초로 스윙하는 방향을 0도로 하고 이를 정방향이라 한다면, 이후 정방향에서 틀어져 스윙하는 것은 공이 정방향에서 어떤 방향으로 몇 도 회전했는지 계산하기 위한 기준점이 필요한 데, 이는 스윙방향이 0도일 때가 그 기준점이 될 것이다. 따라서 센서모듈부(100)가 이를 감지하기 위해서 몇 가지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If the direction of the user's first swing is 0 and the ball i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n swinging in the forward direction requires a reference point for calculating how many turns the ball is rot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This means that when the swing direction is 0 degree, . Therefore, several methods can be implemented for the sensor module unit 100 to detect this.

첫째, 최초에 한번 골프클럽의 방향을 0도의 방향으로 어드레스 시킨다. 사용자가 2초~5초 정도 정지 상태에 두거나 키입력부(114)를 누름으로써 현재 골프클럽이 어드레스된 위치를 0도의 방향으로 인식시킨 후 센서모듈부(100) 또는 본체(200)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스윙방향을 틀어서 스윙을 실시하면, 자이로센서(113)가 골프클럽이 회전된 것을 감지하여 최초에 골프클럽이 어드레스된 방향을 기준으로 각도가 계산되어 가상게임에서도 사용자의 스윙방향에 따라 공의 방향이 보정된다. 이 때 사용자에게 각도가 변경된 것을 센서모듈부(100)에 진동을 주거나 센서모듈부(100)에 구비된 LED가 발광함으로써 알려줄 수도 있고, 소리 또는 디스플레이부(240)에 'Ready'와 같은 이미지로 알려줄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가 좌우를 조정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골프클럽의 방향을 틀어준다면, 센서모듈부(100)에서 실시간으로 LED, 소리 및 진동으로 알려주거나 디스플레이부(240)에서 실시간으로 골프클럽이 방향을 틀었다는 것을 이미지나 숫자로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최초 설정 시 0도가 정해지므로 틀어진 방향을 다시 0도로 설정하고자 할 때는 다시 이상과 같은 과정을 진행해야 한다.First, address the direction of the golf club once in the direction of 0 degrees at first. The user places the golf club in the stopped state for about 2 seconds to 5 seconds or presses the key input unit 114 to recognize the addressed position of the current golf club in the direction of 0 degrees and stores the position in the sensor module unit 100 or the main body 200 . Then, when the user swings the swing direction, the gyro sensor 113 detects the rotation of the golf club, so that the angle is calculat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olf club is first addressed, The direction of the hole is correct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that the angle is changed by giving a vibration to the sensor module unit 100 or by the LED provided in the sensor module unit 100, or by displaying an image such as 'Ready' You can tell. Then, if the user turns the direction of the golf club in the desired direction 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sensor module unit 100 of LED, sound and vibration in real time, You can tell them by image or number. Therefore, 0 degree is set at the initial setting, so if you want to set the wrong direction back to 0 degree, you should go through the above process again.

둘째, 매 스윙마다 골프클럽의 방향을 0도로 어드레스 시킨다. 사용자가 골프클럽을 원하는 각도만큼 틀어서 2초~5초 정도 정지 상태에 두거나 또는 키입력부(114)를 누름으로써 현재 골프클럽이 어드레스된 위치를 0도의 방향으로 인식시킨 후 센서모듈부(100) 또는 본체(200)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 때 골프클럽의 각도가 이전 각도보다 얼마나 틀어졌는지는 디스플레이부(240)에서 실시간으로 숫자로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게 0도로 어드레스 된 것을 센서모듈부(100)에 진동을 주거나 센서모듈부(100)에 구비된 LED가 발광함으로써 알려줄 수도 있고, 소리 또는 디스플레이부(240)에 'Ready'와 같은 이미지로 알려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직선에서 틀어서 스윙을 실시하지 않고 매 스윙을 직선으로 실시하더라도 가상게임에서는 사용자가 의도한 각도만큼 자동적으로 틀어져서 공이 이동하게 된다. 특히, 이는 다수의 인원이 플레이 할 때는 이와 같은 방법이 효과적일 것이다.Second, address the direction of the golf club every 0 swings. The user turns the golf club at a desired angle and stops the golf club for about 2 seconds to 5 seconds or presses the key input unit 114 to recognize the current address of the golf club in the direction of 0 degree and then the sensor module 100 or And stored in the main body 200. At this time, how much the angle of the golf club is changed than the previous angle can be informed by the display unit 240 in real time. Thereafter, the sensor module 100 may be informed by vibrating the sensor module 100 that the sensor module 100 has been addressed to the user, or may be informed by the LED provided in the sensor module 100, or may be displayed on the sound or display unit 240 as 'Ready' You can tell. Therefore, even if the user intentionally performs the swing in a straight line without performing the swing in a straight line, in the virtual game, the ball is automatically shifted by the user's intended angle to move the ball. In particular, this will be effective when playing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셋째, 0도의 설정을 거치지 않고 사용자가 스윙할 때 골프클럽이 움직이는 구간의 궤적과 타격 시의 골프클럽 각도 및 스윙방향을 기존 스윙 데이터와 비교하여 방향이 결정된다. 즉, 가상게임에서 사용자가 가상의 공을 타격하는 시점에 스윙의 최저점과 최고 속도를 감지하여 이 때 공으로 전달되는 힘과 스윙궤적 과 골프클럽 각도 및 스윙방향을 기존에 가상게임모드에서 실시한 스윙 데이터와 비교하여 공의 이동을 판별하는 것이다.Third, the direction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trajectory of the section where the golf club moves when the user swings, the golf club angle and the swing direction at the time of hitting, without comparing with the existing swing data. That is, in the virtual game, when the user hits the virtual ball, the player detects the lowest point and the highest velocity of the swing and detects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ball, the swing trajectory, the golf club angle and the swing direction, To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ball.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공은 사용자가 골프클럽으로 타격 시 스윙궤적 및 공과 클럽이 맞닿은 각도에 따라 공에 걸리는 회전이 다를 것이고, 또한 공에 가해지는 골프클럽의 속도에 따른 힘에 의해 공의 비거리는 달라질 것이다. 이에 따라 실시된 스윙 데이터를 기존의 가상게임에서 실시한 스윙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공의 이동방향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현재의 가상게임에서 사용자가 실시한 스윙은 이전 스윙과 비교하여 10도만 틀어져서 실시되었다면, 이전 스윙 데이터를 기준으로 골프클럽의 속도와 각도, 및 스윙궤적을 동일하게 적용하면서 방향만 10도 틀어진 것으로 공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ball may be rotated by the user depending on the swing trajectory and the angle between the ball and the club when the ball is hit by the user, and the ball is driven by the force according to the velocity of the golf club applied to the ball. Will be differen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ll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wing data thus performed with the swing data performed in the existing virtual game. For example, if the swing performed by the user in the current virtual game is performed by shifting by 10 degrees compared to the previous swing, the golf club speed and angle and swing trajectory ar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ased on the previous swing data, It is determined tha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all is wrong.

다른 방법으로는 가상게임에서 공을 타격 시 센서부(110)에서 충격량과 진동의 크기 및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을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저장된 스윙 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타격된 공의 이동을 판별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ball is hit in the virtual game, the sensor unit 110 compares the magnitude of the impact,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impact with the sw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300 to determine movement of the hit ball .

여기서, 실제로 공을 놓고 치지 않는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서는 사용자가 공을 직접 타격하진 않지만 사용자에게 공을 타격하는 느낌을 받게 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장비를 골프클럽에 마련할 수도 있다. 즉, 골프클럽 샤프트(700)에 센서모듈부(100)와 더불어 타격감지부(400)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서 스윙을 실시할 때 타격감지부(400)가 골프클럽 샤프트(700)를 강타하여 마치 사용자가 공을 타격한 것과 같은 느낌을 받게 하는 것이다.Here, in a virtual game swing mode that does not actually hit the ball, additional equipment may be provided in the golf club so that the user does not strike the ball directly but gives the user the feeling of hitting the ball. That is, when the user performs the swing in the virtual game swing mode by attaching the hit detection unit 400 together with the sensor module unit 100 to the golf club shaft 700, the hit detection unit 400 detects the golf club shaft 700 ) To feel like a user hits the ball.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감지부(400)는 내부에 거리감지센서(410)와 타격부재(420), 회전부재(430), 회전걸림쇠(440), 스프링(450) 및 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필드(500)에는 거리감지센서(410)가 감지하는 물체인 타격위치알림판(60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거리감지센서(410)가 사용자의 스윙단계를 따라 타격위치알림판(600)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다가 골프클럽이 타격위치알림판(600) 앞의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타격부재(420)가 골프클럽을 강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서도 실제 타격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게 하는 것이다.5, the hitting sensor 400 includes a distance sensing sensor 410, a striking member 420, a rotary member 430, a rotary pendant 440, a spring 450, and a motor (not shown) Is provided. In addition, a field position notification board 600, which is an object detected by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410, is provided in the field 500. Therefore, when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410 senses the distance to the hitting position notification board 600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swing step, when the golf club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the hitting position notification board 600, By striking the club, the user is given the impression that he is actually hitting in the virtual game swing mode.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거리감지센서(410)가 타격위치알림판(600) 앞의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면 모터가 작동하여 모터에 연결된 회전걸림쇠(440)는 도5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걸림쇠(440)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부재(430)는 회전부재(430) 끝단에 형성된 걸림부(431)가 회전걸림쇠(440)의 회전반경에 걸려 회전하므로 스프링(450)의 장력을 극복하여 화살표방향과 같이 회전되고, 이와 함께 회전부재(430)와 결합된 타격부재(420) 또한 회전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410 detects that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410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the impact position notification board 600, the motor operates and the rotation latch 440 connected to the moto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 When the rotation clamp 440 is rotated, the rotation member 430 rotates about the rotation radius of the rotation clamp 440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430 causes the tension of the spring 450 to be overcome So that the striking member 420 coupled with the rotating member 430 is also rotated.

이후 회전부재(430)에 형성된 걸림부(431)와 회전걸림쇠(440)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스프링(450)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450)과 회전부재(430)가 원위치함으로써 회전부재(430)와 결합된 타격부재(420)가 탄성력에 의해 골프클럽 샤프트(700)를 강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제 공을 타격하지 않더라도 타격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The spring 450 and the rotary member 430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450 to release the engagement of the rotary member 430 and the rotary member 430, The striking member 420 combined with the striking member 420 strikes the golf club shaft 700 by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user can feel a hitting force even if the user does not hit the actual ball.

한편, 모터는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거리감지센서(410)가 타격위치알림판(600)을 지나침을 감지하면 그 동작이 중지되고, 이후 스윙을 실시하면 다시 동작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410 senses that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410 passes the batting position notification board 600, the operation is stopped, and then, when the swing is performed, the motor operates again.

또한, 거리감지센서(410)의 동작원리는 초음파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타격감지부(400)의 구성은 사용자에게 실제 타격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는 목적이 충족된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distance sensor 410 may be operated in various ways, such as by using an ultrasonic wave. The configuration of the hitting sensor 4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f the purpose of giving the user the feeling of actual hitting is satisfied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렇게 <S10>단계에서 사용자가 어느 모드로 스윙을 할지 본체(200)의 판별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스윙을 실시하면, 센서모듈부(100)는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를 수집하여 본체(200)로 전송한다.<S20> 여기서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에는 다양한 항목이 포함된다. 즉, 3차원 공간상에서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단계별로 구분지어 스윙 데이터에 포함되는 항목을 수집하는 것이다. 골프스윙에서는 어드레스-테이크어웨이-백스윙-백스윙 탑-다운스윙-타격-팔로우-피니쉬의 8단계로 스윙자세가 구분되는데, 이 때 센서모듈부(100)가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스윙각도, 스윙속도, 스윙궤적, 타격 시점의 공의 속도, 팔목의 위치이동 및 골프클럽의 회전 등 사용자의 스윙에 따른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본체(200)로 보내기 위한 디지털 신호나 전기적 신호로 처리하여 본체(200)로 전송한다.When the user swings the swing in which mode the user swings after completion of the determination of the main body 200 in step S10, the sensor module unit 100 collects the swing data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swing data to the main body 200 <S20> Here, various items are included in the swing data of the user. That is, the swinging posture of the user is classified in a stepwise manner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to collect items included in the swing data. In the golf swing, the swing posture is divided into eight steps of address-takeaway-backswing-backswing top-downswing-hit-follow-finish. At this time, the sensor module 100 calculates the swing angle, swing speed Various data according to the user's swing such as the swing locus, the ball speed at the hit point, the position of the cuff, and the rotation of the golf club are collected and processed into a digital signal or an electrical signal for sending to the main body 200, 200).

여기서 센서모듈부(100)와 본체(200) 사이의 스윙 데이터 전송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블루투스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할 수도 있고, 또는 와이파이로 보다 원거리에서 무선통신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의 방법은 어느 한가지로 국한되지 않는다.Here, swing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sensor module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can be performed in various manners. The swing data can be transmitted by Bluetooth or by wireless communication at a longer distance than Wi-Fi. Thus, the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is not limited to any one method.

이후 본체(200)의 데이터수신부(210)는 전송된 스윙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분석부(220)가 분석한다.<S30> 즉, 사용자가 스윙을 실시할 때 타격 시점에서 골프클럽의 최고 속도 및 최저 높이가 발생하므로 타격 시점에서 골프클럽의 스윙속도, 공과 골프클럽의 각도, 센서부(110)에 간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량으로 사용자의 전체 스윙 구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공의 궤적을 산출한다. 또한, 이전에 실시했던 사용자의 스윙에 대한 데이터를 같이 비교분석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40)가 기존 스윙 데이터와 현재의 스윙 데이터를 비교하여 도시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의 골프공 타격 전후로 골프클럽의 스윙속도, 골프클럽의 각도, 타격 시 초기 공의 이동궤적을 이전 스윙 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이를 수치, 문자, 표 및 그래프 등의 데이터로 도시하는 것이다.The data receiving unit 210 of the main body 200 receives the transmitted swing data and analyzes it by the data analysis unit 220. That is, when the user performs the swing, The information on the swing speed of the golf club at the time of impact, the angle of the ball and the golf club, and the amount of the impact indirectly applied to the sensor unit 110 are extracted to calculate the trajectory of the ball do.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40 compares the existing swing data with the current swing data by comparing and analyzing data of the user's swing. That is, the swing speed of the golf club, the angle of the golf club, and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initial ball at the time of impact a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swing data before and after the golf ball hit by the user, and the result is shown by data such as numerical values, characters, tables and graphs.

더불어 사용자의 스윙템포를 비교분석하여 스윙 시 사용자의 호흡이 흐트러지거나 긴장상태에 따라 자세가 무너지는 것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습 스윙모드에선 (타격 전 스윙시간/타격 후 스윙시간)이 (0.2초/0.3초)인 것으로 스윙 데이터가 수집되고, 실제 스윙모드에선 (0.2초/0.4초)로 스윙 데이터가 수집되며,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선 (0.15초/0.45초)로 수집됨에 따라 사용자는 타격이 이루어지는 순간 전후에 따라 자신의 최적의 스윙자세에 따른 스윙속도와 비교하여 어느 시점에서 어떤 속도변화가 발생했는지 스스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wing tempo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user's breathing is disturbed during the swing or that the posture collapses due to the tense state. For example, in the practice swing mode (swing time before striking / swing time after striking) is 0.2 seconds / 0.3 seconds, swing data is collected, and in actual swing mode (0.2 seconds / 0.4 seconds) As the game is collected in the virtual game swing mode (0.15 seconds / 0.45 seconds), the user compares the swing speed according to his / her optimal swing posture around the instant of impact, You will be able to identify yourself.

사용자에 대한 스윙 데이터는 이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타격 횟수나 연습량의 증가에 따른 골프스윙자세의 교정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것인지도 확인할 수 있다.Since the swing data for the user is stored in the database unit in the following, it is possible to confirm how much the golf swing posture is corr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rokes or the amount of practice.

이상과 같은 스윙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몇 가지 항목에 대하여 예시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골프클럽의 스윙각도, 사용자의 헤드업, 스윙속도와 타격 시 공이 받는 충격량 및 아이언샷의 실시를 예시로 들어 스윙 데이터 비교분석을 설명한다.The analysis of the above swing data will be described with some examples. In other words, swing data comparative analysis will be described by exemplifying the swing angle of the golf club, the head-up of the user, the swing speed and the impact amount of the ball when hit and the execution of the iron shot.

첫 번째로 골프클럽의 스윙각도에 대한 비교분석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잡이의 스윙자세라고 가정하였을 때, 최초에 공이 목표지점과 일직선으로 놓인 상태에서 일직선을 경계로 사용자 쪽 스윙영역을 인(in), 그 반대쪽 스윙영역을 아웃(out)이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골프클럽의 타격 면적으로 공을 인과 아웃을 넘나들며 다양한 각도로 타격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스윙을 실시할 때 의도치 않은 스윙자세가 나올 수 있다.First, let us expla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ngle of swing of a golf club. As shown in FIG. 1, assuming that the swing posture of the right hand is assumed to be the swing posture, the ball is in a straight line with the target point, ). In this state, the user hits the ball at various angles, crossing the ball in and out with the hit area of the golf club. However, when the user performs a swing, an unintentional swing posture may occur.

일반적으로 일직선으로 정확한 방향으로 공을 최대로 멀리 보내기 위해 바람직한 골프스윙자세는 인-아웃 스윙이다. 인-아웃 스윙은 골프클럽이 공을 타격하기 전에는 인 영역에서 골프클럽이 움직이고, 타격 시에는 아웃 영역에서 골프클럽이 움직인다. 이러한 인-아웃 스윙은 골프클럽이 공을 타격할 때 골프클럽의 스윙각도가 공과 목표지점의 일직선과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공이 일직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센서모듈부(100)는 이렇게 공이 타격될 시의 골프클럽의 스윙각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를 수집하고 본체(200)에 전송함으로써 비교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A preferred golf swing posture is an in-out swing to generally maximize the ball in a straight and precise direction. The in-out swing moves the golf club in the in area before the golf club hits the ball, and the golf club moves in the out area when hit. This in-out swing causes the ball to move in a straight line as the swing angle of the golf club is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of the ball and the target point when the golf club hits the ball. The sensor module unit 100 senses the swing angle of the golf club when the ball is struck, collects swing data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swing data to the main body 200 so that the swing data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물론 사용자의 팔 스윙은 인체구조상 사용자의 안쪽으로 굽어지기 때문에 공의 이동궤적의 끝은 인 영역으로 휘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인-아웃 스윙이 제대로 실시되었을 시 공은 대체적으로 일직선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후에는 살짝 휘어진다.Of course, since the user's arm swings bend inward to the user's body structure, the end of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ball can not but be bent into the inward area. Therefore, when the in-out swing is properly performed, the ball generally moves in a straight line, and then bends slightly.

만약, 이러한 인-아웃 스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공은 일직선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이 걸릴 수도 있다. 즉, 인 스윙만 실시되거나 아웃 스윙만 실시된다면, 이는 공을 타격하는 골프클럽의 스윙각도가 공과 목표지점과의 일직선과 수직을 이루지 못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골프클럽은 공을 비스듬히 타격하므로 공에는 회전이 걸리게 되어 목표지점을 크게 벗어나게 되고 공의 최대 비거리 또한 기록될 수 없다.If this in-out swing is not done properly, the ball may rotate without being moved in a straight line. That is, if only the in-swing or the out-swing is carried out, this means that the swing angle of the golf club hitting the ball is not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with the ball and the target point, so that the golf club hits the ball at an angle The ball will take a turn so it will be far beyond the goal and the maximum distance of the ball can not be recorded.

또한, 사용자가 인-아웃 스윙과 반대로 아웃-인 스윙을 실시한다면, 아웃-인 스윙은 정교하게 공을 원하는 위치에 보내기 위해 공이 휘어지도록 하는 스윙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다면 이는 최대 비거리로 공을 보내기 위한 스윙과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if a user performs an in-out swing in contrast to an in-out swing, the out-in swing is a swing that causes the ball to deflect in order to elaborately move the ball to a desired position, It is far from the swing for sending.

데이터분석부(220)는 센서모듈부(100)에서 수집한 스윙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공을 최대 비거리로 보낼 수 있도록 골프클럽의 스윙각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인-아웃 스윙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서 인-아웃 스윙을 실시하면, 센서모듈부(100)는 각 스윙단계에서 골프클럽의 위치를 하나의 점으로 추출하고, 이를 하나의 궤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점의 추출과 연결은 연습 스윙모드와 실제 스윙모드도 동일하게 수행되어 최종적으로 각 모드에서의 인-아웃 스윙과 비교분석하여 제대로 스윙이 실시되었는지, 또는 현시점까지 가장 바람직한 스윙 데이터 혹은 롤모델 스윙 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알려주는 것이다.The data analysis unit 220 compares and analyzes the swing angle of the golf club so that the user can send the ball with the maximum distance based on the swing data collected by the sensor module unit 100, I can tell you. That is, when the user performs the in-out swing in the virtual game swing mode, the sensor module unit 100 extracts the positions of the golf clubs at one swing step and connects them to one locus. The extraction and connection of these points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actice swing mode and the actual swing mode. Finally, the comparison with the in-out swing in each mode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swing is properly performed or whether the swing data or the role model swing data And how it has changed.

또한, 데이터분석부(220)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공에 회전이 걸리는 다양한 스윙들을 실시하였을 시 골프클럽의 스윙각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공에 얼마나 회전이 걸려 이동하는지 비교분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ata analyzer 220 may compare and analyze how much the golf ball finally moves in the ball according to the swing angle of the golf club when various swings are intentionally performed by the user.

두 번째로 사용자의 스윙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가 먼저 회전하면서 위로 들리는 헤드업 현상에 대한 비교분석을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정상적인 스윙을 실시했다면, 공을 타격한 후에 팔로우와 피니쉬 동작에서 몸이 타격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자연스레 머리도 타격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Secondly, expla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ead-up phenomenon in which the user's head is turned up first by the user's swing. If the user performs a normal swing, the body rotates in the direction of hitting in the follow and finish motion after hitting the ball, and the head naturally rotates in the hitting direction as well.

하지만 사용자의 자세가 잘못된다면, 골프클럽이 미처 팔로우와 피니쉬 단계를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머리가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이 전체적으로 뜨게 되면서 공의 가운데 부분을 타격하는 것이 아니라 윗부분을 타격하게 되므로, 공은 뜨지 않고 가라앉아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분석부(220)는 센서모듈부(100)가 전송한 타격된 공의 지점을 기반으로 공의 최초 이동궤적을 산출하여 팔로우와 피니쉬 단계가 제대로 이루어진 스윙자세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가 골프클럽보다 먼저 회전 되었는지 비교분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서 실시한 사용자의 스윙 데이터와 연습 스윙모드와 실제 스윙모드에서 실시한 스윙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연습 스윙모드와 실제 스윙모드에서의 스윙궤적보다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서의 스윙궤적이 공의 가운데 지점에서 1cm 위에 위치한다면 타격 시점에서 스윙궤적이 갑자기 위로 이동한 것으로써 이는 사용자가 헤드업 하였다는 것을 알려주게 된다.However, if the user's posture is wrong, the golf club can be rotated without following the follow-up and finish steps. As a result, the whole body floats, and instead of striking the center part of the ball, it hits the upper part, so the ball does not float but moves and moves. Therefore, the data analysis unit 220 calculates the initial trajectory of the ball based on the hit ball point transmitted by the sensor module unit 100, and compares the initial trajectory of the ball with the swing posture in which the follow and finish steps are performed properly, It can be compared to see if it was rotated before the club. For example, the swing data of the user in the virtual game swing mode and the swing data in the practice swing mode are compared with the swing data in the actual swing mode, and the swing trajectory in the virtual game swing mode is compared with the swing trajectory in the practice swing mode and the actual swing mode. If it is located 1 cm above the center of the ball, the swing trajectory suddenly moves up at the point of impact,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headed up.

세 번째로 골프클럽의 스윙속도 및 타격 시 공이 받는 충격량(스윙파워)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골프클럽의 스윙속도는 사용자가 골프클럽을 들어 올려 일순간 정지시킨 상태로부터 공을 타격한 시점까지의 속도이다. 이는 골프클럽이 최고점에 있을 때의 위치에너지가 스윙 시 점차 운동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으로, 운동에너지가 최대인 지점은 골프클럽의 위치가 최저점인 사용자가 공을 타격하는 지점이다. 따라서 공을 타격한 시점에서 충격량이 발생하므로, 센서부(110)에서는 골프클럽으로부터 간접적으로 감지되는 충격량을 수집하여 데이터수신부(210)를 거쳐 데이터분석부(220)에 전송함으로써 데이터분석부(220)는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힘으로 스윙을 실시하였는지 이전 스윙 데이터와 비교분석할 수 있다.Third, explain the comparison of the swing speed of the golf club and the impact (swing power) of the ball when hit. The swing speed of a golf club is a speed from a state where the user lifts a golf club to a moment when it hits the ball. This is because when the golf club is at its peak, its kinetic energy is gradually converted into kinetic energy at the time of swing, and the point where the kinetic energy is maximum is the point where the user hits the ball with the lowest position of the golf club. The sensor unit 110 collects the amount of the impact indirectly detected by the golf club and transmits the collected amount of the impact to the data analysis unit 220 through the data reception unit 210 so that the data analysis unit 220 ) Can compare and analyze with the previous swing data how much force the user performed the swing.

또한 공을 타격하는 지점은 스윙의 최고 속도가 발휘되므로 가속도센서(111)는 이때의 속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골프클럽 스윙속도를 데이터수신부(210)를 거쳐 데이터분석부(220)로 전송함으로써, 이전 스윙 데이터와 스윙속도를 비교분석할 수 있다.The acceleration sensor 111 senses the speed of the golf club swing at the time of hitting the ball, and transmits the swing speed of the user's golf club to the data analyzer 220 via the data receiver 210, You can compare and analyze previous swing data and swing speed.

이러한 스윙속도 및 타격 시 공이 받는 충격량은 사용자가 실시하는 스윙의 정확성을 알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의 스윙속도 및 타격 시 공이 받는 충격량에 따라 공은 힘을 더 받게 되어 비거리가 향상되겠지만, 이는 반대로 정확히 공을 타격하지 못해 오히려 공의 방향성이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분석부(220)는 롤모델 스윙 데이터나 현시점에서 가장 이상적인 스윙 데이터와 현재 실시한 스윙모드를 비교하여 어느 자세가 흐트러졌는지 비교분석하여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5m/s의 스윙속도로 공을 최대 비거리로 보낼 수 있었다면, 6m/s로 스윙할 때는 롤모델 스윙 데이터나 현시점에서 가장 이상적인 스윙 데이터와 어느 부분의 자세가 흐트러졌는지 데이터분석부(220)가 비교분석하는 것이다.This swing speed and the amount of impact that the ball is subjected to when hitting will allow the user to know the accuracy of the swing. That is, according to the swing speed of the user and the amount of impact received by the ball when the ball is hit, the ball receives more force, thereby improving the distance. However, the ball can not hit the ball exactly, Therefore, the data analysis unit 220 can compare the swing mode with the current swing mode by comparing the swing data with the most ideal swing data at the present time point, and can notify which of the swing modes has been disturbed. For example, if the user was able to swing the ball with a maximum swing speed of 5m / s, then when swinging at 6m / s, the swing data of the roll, the ideal swing data at the present time, (220).

네 번째로 아이언샷에 대하여 비교분석 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아이언은 공을 띄우기 위한 골프클럽으로, 아이언샷을 실시할 시 사용자는 스윙궤적의 최저점 위치와 공의 위치를 비교하여 타격 지점을 공보다 앞쪽의 지점으로 삼는다. 이에 따라 아이언은 자연스럽게 공을 띄우고 사용자는 아이언샷의 최대 비거리를 기록할 수 있다.Fourt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iron shots will be explained. An iron is a golf club to float a ball. When performing an iron shot, the user compares the position of the lowest point of the swing trajectory with the position of the ball so that the hit point is positioned ahead of the ball. As a result, the iron naturally floats and the user can record the maximum distance of the iron shot.

하지만 잘못된 스윙으로써, 사용자는 억지로 공을 띄우기 위해 일부러 공의 밑 부분을 퍼 올리는 어퍼스윙을 실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센서모듈부(100)는 공이 이동하는 초기 궤적을 토대로 공이 이동하는 전체 궤적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아이언샷이 정확히 실시되었는지 롤모델 스윙 데이터나 현시점에서 가장 이상적인 스윙 데이터의 아이언샷과 비교분석한다.With the wrong swing, however, the user may be forced to perform an upper swing, purposely pushing the bottom of the ball in order to force the ball. Therefore, the sensor module unit 100 calculates the entire trajectory on which the ball moves based on the initial trajectory on which the ball moves,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roll model swing data with the iron shots of the most ideal swing data at the present time.

이와 같은 비교분석 항목들은 사용자가 스윙을 실시할 때 종합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 밖의 다양한 항목들을 기반으로 데이터분석부(220)가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분석하게 된다. 이러한 종합적 비교분석을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공의 이동궤적을 산출하고, 사용자의 자세를 기존에 저장된 스윙 데이터와 비교분석한다.The comparison analysis items are performed comprehensively when the user performs the sw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analyzer 220 compares and analyzes the user's posture based on various other items. Finally, based on the comprehensive comparison analysis, the trajectory of the ball is calculated and the posture of the user is compared with the stored swing data.

시스템처리부(230)에서는 분석하여 산출된 공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여 최종적으로 공의 이동을 도출하고, 이를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스윙 데이터와 비교하여 도식화한다.<S40> 또한, 공의 이동에 따라 가상게임 내에서 공이 다른 사물에 충돌하거나 벙커에 빠지는 등의 2차적인 움직임도 시뮬레이션하고 도식화한다.The system processing unit 230 simulates the trajectory of the ball calculated by analyzing to derive the ball movement and compares it with the sw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final stage. Simulate and visualize secondary movements such as a ball crashing into another object in the game or falling into a bunker.

디스플레이부(240)에서는 데이터분석부(220)가 비교분석한 스윙 데이터와 도출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한다.<S50> 이 때 스윙 데이터가 도시되는 것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기존에 저장된 각 모드별 스윙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같이 도시해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만 따로 모아서 도시해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40)에 도시된 각 모드별 스윙 데이터를 스스로 비교함으로써 스윙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the swing data obta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ata analyzed by the data analyzing unit 220 and the derived simulation results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swing data. Swing data for each mode can be displayed automatically, or the user can collect the desired mode separately. Therefore, the user can correct the swing postures by comparing swing data for each mode shown on the display unit 240 by themselves.

이후 사용자가 실시한 스윙에 대한 스윙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저장되어 보관된다.<S60> 보관된 스윙 데이터는 누적되어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로딩할 수 있다.Then, the swing data for the swing performed by the user is stor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300. <S60> The stored swing data is accumulated and can be loaded every time the user needs it.

한편, 시스템처리부(230)에서는 사용자가 공을 타격한 후 스윙자세 및 공의 이동을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부(240)에 도식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명확하게 행위를 취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행위에 대한 반응을 디스플레이부(240)에 2D 이미지 또는 3D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움직임과 싱크를 맞춰 도식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행위는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240)에 도시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system processing unit 230 not only schematically displays the swing posture and the ball movement on the display unit 240 after the user hits the ball,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response to the action on the display unit 24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user in real time using the 2D image or the 3D modeling data. Accordingly, the user's action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in real time.

또, 데이터분석부(220)에서는 본체(200)에 연동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체적인 스윙자세에 대한 영상분석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의 스윙단계별 영상프레임을 저장하여 이전에 저장된 롤모델 스윙자세 또는 현재 가장 이상적인 스윙자세와 동작을 매칭 시키고 이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스윙 모습을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본체(200)를 작동하여 스윙동작을 캡쳐하거나 리플레이 영상도 볼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는 자신의 스윙단계별 영상과 자신의 스윙영상을 비교분석한 스윙 데이터(텍스트 또는 그래프)를 같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입체적으로 자신의 스윙자세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analyzing unit 220 can analyze the entire swing posture of the user by using a camera linked to the main body 200. This saves the user's swing step-by-step image frame and matches the previously stored role model swing posture or the current ideal swing posture and motion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m.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his / her swing state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in real time, or can operate the main body 200 to capture the swing motion or view the replay image.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confirm the swing data (text or grap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wing step image and the swing image of the user, the user can analyze the problem of his / her swing attitude in three dimensions.

또한, 가상게임 스윙모드에서는 가상으로 마련된 공을 타격하여 가상게임이 진행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실시하기에 따라 실제 공을 타격하면서 가상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다. 즉, 실제 스윙모드와 가상게임 스윙모드를 결합하여 실제 공을 타격하는 것으로 가상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제 공을 타격하는 느낌과 게임진행에 의한 긴장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irtual game swing mode, the virtual game is performed by hitting the virtual ball, but the virtual game may be executed while hitting the actual ball according to the execution. In other words, virtual game can be executed by hitting actual ball by combining actual swing mode and virtual game swing mode. Accordingly, the user can feel the feeling of hitting the actual ball and the tension due to the progress of the game at the same time.

이후에서는 가상게임 스윙모드로 가상게임이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가상게임은 본체(200) 내부의 게임운용부(250)에서 관장하게 되고, 모든 과정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40)에 도시된다. 여기서, 게임운용부(250)의 구성은 스크린골프 장치 등에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virtual game will be described in a virtual game swing mode. The virtual game is managed by the game operating unit 250 in the main body 200, and the entire process is shown on the display unit 240 for the user to check. Here,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game operating unit 250 is a technology already known in a screen golf apparatus or the lik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최초에 사용자는 키입력부(114)를 누르거나 골프클럽을 가상게임 스윙모드로 어드레스 시켜 가상게임 스윙모드를 선택한다.The user first presses the key input unit 114 or addresses the golf club in the virtual game swing mode to select the virtual game swing mode.

다음으로, 사용자가 가상게임을 진행할 필드를 지정한다. 즉, 데이터베이스부(300)에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의 유명 필드가 저장되어 있고, 이중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플레이할 필드를 지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환경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즉, 바람의 방향과 세기, 그린의 상태 등 공의 이동궤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Next, the user specifies a field in which the virtual game is to be performed. That is, in the database unit 300, not only the domestic but also the world famous fields are stored, and the user designates a field to be played by the user. These fields can ad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n other words, you can add elements that can affect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ball, such as direction and intensity of the wind, and the state of the green.

마지막으로, 경기진행방식을 설정한다. 즉, 일반적인 18홀에서 벗어나 그 이하로도 설정할 수 있고, 참여하는 인원수의 한계를 설정할 수도 있으며, 랭킹 선정방식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Finally, we set the manner in which the game progresses. In other words, it can be set to be less than the usual 18 holes or less, the limit of the number of participants can be set, and the ranking selection method can be freely set.

여기서 참여하는 인원수는 다수의 사람이 될 수도 있지만, AI가 참여하여 사용자와 가상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AI의 난이도는 사용자가 초급, 중급 및 고급을 선택할 수 있다.The number of people participating here may be a large number of people, but an AI participates in the virtual game with the user. The difficulty level of AI can be selected by the user as beginner, intermediate or advanced.

랭킹 선정 방식은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경기가 아닌 다수의 경기를 진행하여 이에 따라 벌어들인 상금으로 랭킹을 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ranking selection method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 plurality of users may perform a plurality of games rather than a single game, and may select ranking based on the prize money earned.

이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게임을 진행하고 나서 최종적으로 랭킹이 선정되면, 이때의 기록은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상게임에서 실시한 사용자의 스윙자세에 관한 스윙 데이터는 앞서 밝혔듯이 데이터분석부(220)에서 가상게임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연습 스윙모드와 실제 스윙모드에서 실시했던 스윙 데이터와 비교분석 되고,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처리부(230)가 공의 이동궤적을 시뮬레이션하며, 비교분석 된 스윙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된 공의 이동궤적은 디스플레이부(240)로 도시된다.If the ranking is finally selected after the user proceeds the virtual game, the record at this time is stored in the database unit 300 and can be continuously checked by the user. The swing data related to the swing attitude of the user performed in the virtual game is compared with the swing data performed in the practice swing mode and the actual swing mode in the process of the virtual game in the data analysis unit 220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processing unit 230 simulates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ball,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swing data and the simulated ball movement trajectory are shown on the display unit 24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기능이 포함된 게임장치와 연습장치 및 그 분석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스윙자세를 파악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골프스윙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가 구비되어 있다. 즉, 공이 없는 상태에서 스윙(연습 스윙모드)할 수 있고, 실제 공을 타격하는 스윙(실제 스윙모드)을 할 수 있으며, 가상의 골프게임을 진행하면서 마련된 공을 타격하는 스윙(가상게임 스윙모드)을 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모드에서 실시하는 스윙을 분석 장치가 비교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스윙자세와 이에 따른 공의 이동결과를 비교하여 스윙자세의 문제점을 쉽게 파악하고 스스로 교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game device, the exercise device and the analysis method including the function of analyzing the postur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grasp the swing posture of the 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nus are provided for the user to perform a golf swing.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wing (practice swing mode) without a ball, a swing (actual swing mode) to strike a real ball, and a swing (virtual game swing mode )can do. By analyzing and analyzing the swing performed in various modes in such a manner,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problem of the swing posture by comparing his / her swing posture with the ball motion result, and can correct himself / herself.

또한, 재미와 연습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골프클럽을 사용하여 단순하게 스윙자세를 연습하는 것이 아닌 실제 공을 타격하는 스윙과 가상으로 게임을 진행하면서 공을 타격하는 스윙도 병행하여 실시한다. 즉, 공이 없는 모드에서의 스윙연습 뿐만 아니라 실제 공을 타격하면서 타격감을 느끼는 재미와 가상게임을 진행하면서 실제 골프선수가 된 듯이 동일한 긴장감을 느끼며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영상분석을 통해 현재 자신의 스윙영상을 과거 스윙영상이나 타인과의 스윙영상과 비교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루한 반복 연습을 탈피하여 재미를 느끼고, 보다 효과적으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다.It also maximizes the effects of fun and practi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oes not simply practice the swing posture by using the golf club, but performs the swing that hits the actual ball and the swing that hits the ball while playing the game virtually. In other words, not only the practice of swing in the ballless mode, but also the fun to feel a sense of hitting while hitting the actual ball and play a virtual game, so that you can feel the same tension and practice as a real golf player. In addition, through the image analysis, the current swing image can be compared with the past swing image or the swing image with the other person. Therefore, the user can enjoy the fun by avoiding tedious repetition exercises, and practice the swing more effectively.

또, 언제든지 자신의 스윙 데이터를 리뷰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접속하거나 다운로드 하여 저장된 자신의 스윙 데이터를 모바일이나 PC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자신의 실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You can also review your swing data at any time. Since the sw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300 can be viewed from a mobile device or a PC, the user can continuously develop his or her own skill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자세를 스스로 교정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써, 이에 대한 하나의 예시로 골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장치 및 그 분석방법은 골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테니스, 볼링, 탁구, 다트, 배드민턴 및 당구 등 이 밖의 다양한 종목에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so that a user can calibrate his / her own exercise posture. Accordingly, the apparatus for analyzing the user's attitude and the analysis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other sports such as tennis, bowling, table tennis, darts, badminton, and billiar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센서모듈부
110 : 센서부
111 : 가속도센서
112 : 자이로센서
113 : 지자기센서
114 : 키입력부
120 : 데이터전송부
130 : 모듈결합부
200 : 본체
210 : 데이터수신부
211 : 연습 스윙모드 데이터취득부
212 : 실제 스윙모드 데이터취득부
213 : 가상게임 스윙모드 데이터취득부
220 : 데이터분석부
230 : 시스템처리부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게임운용부
300 : 데이터베이스부
400 : 타격감지부
410 : 거리감지센서
420 : 타격부재
430 : 회전부재
431 : 검림부
440 : 회전걸림쇠
450 : 스프링
500 : 필드
600 : 타격위치알림판
700 : 골프클럽 샤프트
100: Sensor module section
110:
111: Accelerometer
112: Gyro sensor
113: Geomagnetic sensor
114:
120: Data transfer unit
130: module coupling part
200:
210: Data receiving unit
211: Practice swing mode data acquisition unit
212: actual swing mode data acquisition unit
213: virtual game swing mode data acquisition unit
220: Data analysis section
230:
240:
250: Game Operations Department
300:
400:
410: Distance sensor
420: striking member
430: rotating member
431:
440: Rotation brace
450: spring
500: field
600: Hitting Location Notice
700: Golf club shaft

Claims (6)

사용자의 골프클럽에 부착되어 스윙 데이터를 수집하여 신호를 보내는 센서모듈부;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연습 스윙모드 및 가상게임 스윙모드에 따른 스윙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본체;
상기 스윙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골프클럽에 장착되어 스윙을 실시할 때 도구를 강타하여 공을 타격한 느낌을 받게하는 타격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스윙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수신된 스윙 데이터를 가공 및 처리하여 분석하는 데이터분석부;
상기 스윙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된 가상의 공 이동을 시뮬레이션하는 시스템처리부;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가상게임 스윙모드를 관장하는 게임운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사용자의 이상적인 스윙자세의 스윙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센서모듈부가 정지 상태임을 보내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골프클럽의 정지 상태가 소정 시간 이하에 있다가 스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연습 스윙모드로 판별하고 상기 골프클럽의 정지 상태가 상기 소정시간 이상 정지 상태에 있다가 스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가상게임 스윙모드로 판별하며,
상기 연습 스윙모드 또는 상기 가상게임 스윙모드인지에 대한 판별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스윙을 실시하면, 상기 센서모듈부가 상기 스윙 데이터를 상기 본체로 전송하고 상기 본체의 데이터수신부가 상기 스윙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분석부에서 상기 스윙 데이터를 가공 및 처리하여 분석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되,
상기 사용자의 이상적인 스윙자세의 스윙 데이터와 현재의 상기 스윙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수치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도시하는 것이며,
상기 타격감지부는 거리감지센서 및 타격부재를 포함하고, 필드에는 타격위치알림판이 구비되며, 상기 거리감지센서가 상기 타격위치알림판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골프클럽이 상기 타격위치알림판 앞의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골프클럽을 타격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타격의 느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기능이 포함된 연습 및 게임장치.

A sensor module attached to the user's golf club to collect swing data and send a signal;
A main body for receiving and analyzing swing data according to a practice swing mode and a virtual game swing mode from the sensor module;
A database unit for storing the swing data; And
And a hitting sensing unit mounted on the golf club to swing the tool to receive a feeling of hitting the ball when the swing is performed,
The main body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swing data;
A data analyzer for processing, processing and analyzing the received swing data;
A system processing unit for simulating a virtual ball movement analyzed based on the swing data;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simulation result; And
A game operation unit for managing a virtual game swing mode,
Swing data of the user's ideal swing posture is stored in the database unit,
Wherein the main body determines that the golf club is in the practice swing mode when the stop state of the golf club is below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nsor module is in a stop state, If the player is in a stop state and a swing is performed, the virtual game swing mode is determined,
When the swing is performed by the user after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swing mode is the practice swing mode or the virtual game swing mode, the sensor module transmits the swing data to the main body, the data receiving unit of the main body receives the swing data, Processing the swing data, analyzing the swing data, and outputting the swing data through the display unit,
The swing data of the user's ideal swing posture and the current swing data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show data including numerical values,
The golf club may include a distance detection sensor and a striking member, and a field position indicating board may be provided on the field. The distance sensor senses a distance to the batting position reporting board, The hitting member strikes the golf club to impart a feeling of actual hitting to the user when the hitting member hits the golf clu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감지부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기능이 포함된 연습 및 게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it detection unit further includes a mo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센서는 초음파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기능이 포함된 연습 및 게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tance detecting sensor is an ultrasonic method, and includes a function of analyzing a posture of a u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07380A 2016-01-21 2016-01-21 Device for game with function analyzing user's swing and analyzing method KR1016548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380A KR101654846B1 (en) 2016-01-21 2016-01-21 Device for game with function analyzing user's swing and analyzing method
PCT/KR2017/000683 WO2017126916A1 (en) 2016-01-21 2017-01-19 Swing analysis apparatus capable of correcting swing posture and gam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380A KR101654846B1 (en) 2016-01-21 2016-01-21 Device for game with function analyzing user's swing and analyz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846B1 true KR101654846B1 (en) 2016-09-06

Family

ID=5694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380A KR101654846B1 (en) 2016-01-21 2016-01-21 Device for game with function analyzing user's swing and analyzing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4846B1 (en)
WO (1) WO201712691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1448A (en) 2017-06-22 2020-08-07 百夫长Vr公司 Virtual reality simul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280Y1 (en) * 2005-09-27 2006-05-25 노보스(주) Swing form correcting system
JP2008284133A (en) * 2007-05-17 2008-11-27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swing measuring instrument
KR20110093399A (en) * 2010-02-12 2011-08-18 심재영 Swing exercise system of golf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088452B1 (en) * 2010-02-23 2011-11-30 한재만 Screen Golf System and Screen Golf Simulator for Fitting Golf Club Manufacturing and Golf Swing Analysi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819B1 (en) * 2009-06-30 2010-07-28 (주) 골프존 Portable golf simul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280Y1 (en) * 2005-09-27 2006-05-25 노보스(주) Swing form correcting system
JP2008284133A (en) * 2007-05-17 2008-11-27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swing measuring instrument
KR20110093399A (en) * 2010-02-12 2011-08-18 심재영 Swing exercise system of golf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088452B1 (en) * 2010-02-23 2011-11-30 한재만 Screen Golf System and Screen Golf Simulator for Fitting Golf Club Manufacturing and Golf Swing Analy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6916A1 (en)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69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rajectories of basketball shots for display
US9370704B2 (en) Trajectory detection and feedback system for tennis
EP2973215B1 (en) Feedback signals from image data of athletic performance
US9266002B2 (en) Soccer training apparatus
US20170173465A1 (en) Object tracking interface device as a peripheral input device for computers or game consoles
US20190126120A1 (en) Tennis training device using virtual targets
US20090117525A1 (en) Sensory Coordination System for Sports, Therapy and Exercise
JP2014530043A (en) Interactive systems and methods in boxing and martial arts
WO2007069014A1 (en) Sport movement analyzer and training device
US9604136B1 (en) Golf club simulation apparatus
JP2007152057A (en) Hitting exercise device
KR101235649B1 (en) Apparatus for golf simulation using user&#39;s db and method thereof
KR100972828B1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user history information
US111733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gaming event
KR20180085843A (en) Swing analyzing device capable of correcting a swing posture and playing a gam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54846B1 (en) Device for game with function analyzing user&#39;s swing and analyzing method
JP71335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Gaming Events
CN202620634U (en) Multi-functional wireless electronic racket and sport device
KR20160074289A (en) Device and method for judging hit
CN106621255B (en) A kind of body feeling interaction croquet system
TWM524739U (en) Stimulation device combining swinging and running exercises
TW202106358A (en) Club replacement method in golf virtual reality, and program product and system therefor allows the user to play the virtual golf exercise in a smaller space
EP1946803A1 (en) Practice system
EP1946807A1 (en) Play simulator and method of calculating an actual quality-value
KR20180086863A (en) An outdoor golf practice method in which a golf course is displayed, and a portable device/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