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760B1 -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760B1
KR101654760B1 KR1020140193724A KR20140193724A KR101654760B1 KR 101654760 B1 KR101654760 B1 KR 101654760B1 KR 1020140193724 A KR1020140193724 A KR 1020140193724A KR 20140193724 A KR20140193724 A KR 20140193724A KR 101654760 B1 KR101654760 B1 KR 10165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ser
weight
le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7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0961A (en
Inventor
임성한
이윤수
조은아
노진수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3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760B1/en
Publication of KR20160080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9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7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the user, e.g. exercising one body part against a resistance provided by anothe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5A single apparatus used for either upper or lower limbs, i.e. with a set of support elements driven either by the upper or the lower limb 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는 프레임부, 철봉부, 레그익스텐션부 및 역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커버를 포함하고, 사각형의 공간상에 형성되어 운동을 통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무게를 지탱하며, 상기 철봉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매달려 운동하는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고, 상기 레그익스텐션부(Leg Extension)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발목 상에 위치한 로드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프레임부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고 케이블을 통해 상기 로드와 연결된 무게추를 상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역기부는 사용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당기며 상기 시트를 들어올리며,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의 측면은 사용자를 보호하고 지탱하는 'K'자 구조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사용자는 상기 레그익스텐션부에서 자세변경을 통해 레그컬스탠딩(Leg Curl-Standing)의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includes a frame portion, a bar portion, a leg extension portion, and a counterweight portion. The frame part includes side cover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he frame part is formed on a square space to prevent shaking through movement and supports the weight. The iron part is formed between the frame part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And the leg exten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part, and when the rod located on the ankle is moved upward, the weight extens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part and connected to the rod through the cable, And the reverse gear unit lifts up the seat by pulling the handle formed on the upper part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sea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is formed as a frame of 'K' character structure for protecting and supporting the user , The user can change the posture of the leg curl-standing by the posture changing in the leg extension se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can.

Description

다기능 운동기구{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0001]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운동 기구들을 최소한의 공간에 형성하여 운동공간을 최소화 하는 다기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that minimizes a movement space by forming various exercise devices in a minimum space.

최근에는 1인 가구의 증가와 높은 주거 및 임대 비용으로 제한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 될 수 있는 제품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소형 냉장고, 침대겸용소파, 소형 밥솥, 소형 청소기 및 소형 가구류 등의 수요 증가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가정용 운동기구 및 헬스장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운동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products that can be efficiently used in an area limited by an increase in one-person households and high residential and rental costs. For example, the demand for small refrigerators, sofa beds, small rice cookers, small cleaners, and small furnishings are examples. In addition, as interest in health increases, the use of home exercise equipment and gymnasium is increasing, and accordingly interest in exercise equipment is increasing.

하지만, 운동기구는 몸의 체중을 지탱해야 하고, 운동강도의 증가에 따라 무거운 하중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무겁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However, exercise equipment ha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body, and since it has to provide a heavy load as the intensity of exercise increases,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heavy and takes a lot of spac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itness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various body parts as much as possible in a limited space.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14350은 회전왕복운동을 위한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복근운동 및 복부크런치운동을 위한 회전왕복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 발명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24194호는 호랑이와 같은 동물이 걷는 자세를 취하면서 다리와 팔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나,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움직임을 통한 운동을 제공하는 운동기구는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14350 discloses a motion mechanism including an actuating member for rotary reciprocating motion, and discloses a motion mechanism capable of rotating and reciprocating motion for abdominal crunch movement and abdominal crunch movemen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24194 discloses an exercise device capable of improving leg and arm muscles while taking an animal such as a tiger in a walking posture. However, The apparatus has not been started.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운동 기구들을 형성하는 발명을 필요로 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nvention to form various exercise apparatuses in a limited space.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정된 공간에서 하체 및 상체를 단련시키는 운동 기구들을 형성하는 다기능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for forming exercise apparatuses for training a lower body and an upper body in a limited spac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는 프레임부, 철봉부, 레그익스텐션부 및 역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커버를 포함하고, 사각형의 공간상에 형성되어 운동을 통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무게를 지탱하며, 상기 철봉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매달려 운동하는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고, 상기 레그익스텐션부(Leg Extension)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발목 상에 위치한 로드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프레임부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고 케이블을 통해 상기 로드와 연결된 무게추를 상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역기부는 사용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당기며 상기 시트를 들어올리며,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의 측면은 사용자를 보호하고 지탱하는 'K'자 구조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사용자는 상기 레그익스텐션부에서 자세변경을 통해 레그컬스탠딩(Leg Curl-Standing)의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includes a frame portion, a bar portion, a leg extension portion, and a counterweight portion. The frame part includes side cover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he frame part is formed on a square space to prevent shaking through movement and supports the weight. The iron part is formed between the frame part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And the leg exten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part, and when the rod located on the ankle is moved upward, the weight extens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part and connected to the rod through the cable, And the reverse gear unit lifts up the seat by pulling the handle formed on the upper part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sea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is formed as a frame of 'K' character structure for protecting and supporting the user , The user can change the posture of the leg curl-standing by the posture changing in the leg extension se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ca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제1 플레이트, 제1 프레임들 및 측면커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하부에 형성되어 무게를 지탱하고 하중을 분산시키며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제1 프레임들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모서리 상에 'ㄱ'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측면커버들은 'K'자 형상으로 상기 제1 프레임들의 중앙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rame portion includes a first plate, first frames and side covers, and the first plat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t the lower portion to support weight, to disperse loads and prevent shaking, The first frames are each formed in a letter 'A' shape on the edg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ide covers may be coupled to the center side of the first frames in a 'K' sha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그익스텐션부는 제1 시트부 및 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트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하고, 상기 로드부는 상기 무게추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정강이나 발목으로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무게추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eg extension portion includes a first seat portion and a rod portion, and the first seat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portion so that the user is seated, and the ro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weight through a cable, Or ankl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eigh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역기부는 제2 시트부 및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트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 시트부의 상부에 상기 제2 시트부와 크랭크 연결되어 형성되고,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 시트부를 끌어올릴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ck-end includes a second seat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and the second seat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portion so that the user is seated, and the handle portion is seated on the second seat portion, And the second seat portion can be pulled up by being moved downward.

본 발명의 다기능 운동기구는 철봉부, 레그익스텐션부(Leg Extension) 및 역기부로 구성되어,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고,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운동기구들을 사용해서 다양한 신체부위의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teel bar, a leg extension and a backrest part, and can be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at the same time. By using various exercises in a limited sp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de.

또한, 철봉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제1 프레임 및 측면커버는 다기능 운동기구의 양쪽 측면에 'K'자 구조를 형성하여 운동을 하는 순간의 사용자의 집중력을 증진시키고, 주위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으며, K라는 문구를 이름에 포함하는 학교 및 기업 등에서 상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ron bars are symmetrically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to form a stable structure, and the first frame and the side cover form a " K "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And protects the user from surrounding physical impact, and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symbolically in schools and businesses that include the word K in the name.

또한, 레그익스텐션부는 로드부를 통해 허벅지 앞에 형성되는 대퇴사두근(Quadriceps)을 단련시킬 수 있으며, 측면커버를 통해 자세의 변경을 통해 레그컬스탠딩 운동을 하여 허벅지 뒤의 슬굴곡근(Hamstrings)을 단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leg extension portion can be used for training the quadriceps formed in front of the thigh through the rod portion, and the leg curl standing motion can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posture through the side cover to train the hamstrings behind the thighs There are advantages.

또한, 무게추는 다기능 운동기구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사용자들이 다기능 운동기구를 사용할 경우, 다기능 운동기구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화 시켜주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so that when a plurality of users use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is stabilized so as not to be shak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운동기구의 역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verse portion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of Fig. 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es" or "comprising ", etc. is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figure, step, operation,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운동기구의 역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verse portion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는 프레임부(110), 철봉부(120), 레그익스텐션부(130) 및 역기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frame 110, a stem 120, a leg extension 130, and a reverser 140.

상기 프레임부(110)는 제1 플레이트(111), 제1 프레임(112) 및 측면커버(113)를 포함하고, 상기 철봉부(120)는 철봉(121)을 포함하며, 상기 레그익스텐션부(130)는 제1 시트부(131) 및 로드부(132)를 포함하며, 상기 역기부(140)는 손잡이부(141) 및 제2 시트부(142)를 포함한다.The frame part 110 includes a first plate 111, a first frame 112 and a side cover 113. The frame part 120 includes a bar 121 and the leg extension part 130 includes a first seat portion 131 and a rod portion 132. The reverse portion 140 includes a handle portion 141 and a second seat portion 142. [

상기 제1 시트부(131)는 제1 시트(132), 제1 등받이(133) 및 헤드레스트(134)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부(132)는 제1 로드(136), 제2 로드(137), 무게추(138) 및 케이블(139)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141)는 고정부(141a), 손잡이(141b), 링크부(141c) 및 연결로드(141d)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시트부(142)는 고정로드(143), 제4 힌지부(144), 제5 힌지부(145), 제1 연결로드(146), 제2 연결로드(147), 제2 힌지부(148), 제3 힌지부(149), 시트 로드(150), 제2 시트(151) 및 제2 등받이(152)를 포함한다.The first seat portion 131 includes a first seat 132, a first backrest 133 and a headrest 134. The rod portion 132 includes a first rod 136, 137, a weight 138 and a cable 139. The handle 141 includes a fixing portion 141a, a handle 141b, a link portion 141c, and a connection rod 141d, The second seat portion 142 includes a fixing rod 143, a fourth hinge portion 144, a fifth hinge portion 145, a first connecting rod 146, a second connecting rod 147, A third hinge 149, a seat rod 150, a second seat 151, and a second backrest 152. The first seat 151,

상기 프레임부(110)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중앙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를 사용하는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이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무게추(138)가 상기 프레임부(110)의 중앙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나 기울임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The frame 11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100 to prevent the user from wobbling or tilting that may occur during use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100 to increase safety. In particular, the weight 138 is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frame 110, thereby preventing vibrations and tilts generated when the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100 is used.

상기 제1 플레이트(111)는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하부에 사각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일정한 무게를 지니고 있고, 지면에 밀착하여, 운동하는 도중에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1)의 소재는 금속, 복합재료 및 세라믹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지면의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지닐 수 있고, 기울기를 달리하여 지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111 is formed as a rectangular plate at a lower portion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100 and has a predetermined weigh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to prevent shaking during movement. The first plate 111 may be made of a metal, a composite material, or a ceramic. The first plate 111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ground, and may be bonded to the ground with different slopes.

상기 제1 프레임들(112)은 일단이 상기 제1 플레이트(111) 각각의 모서리 상부에 연결되어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고, 각각이 'ㄱ'의 형상을 하며 2개의 상기 제1 프레임들(112)이 한 쌍이 되어 한 쌍의 상기 제1 프레임들(112)의 타단은 제1 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다른 한 쌍의 타단은 그 반대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다.Each of the first frames 112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a corner of each of the first plates 111 and is vertically formed to be vertically oriented. Each of the first frames 112 has a shape of 'A' 112 are paired so that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the first frames 112 are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pair of the ends ar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측면커버(113)는 상기 제1 프레임(112)의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2)의 형상과 결합하여, 'K'자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K'자 구조는 K의 이니셜을 사용하는 기업이나 학교를 상징하는 문구로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측면커버(113)는 상기 제1 프레임(112)과 결합하여 다른 문자 및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The side cover 113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frame 112 and is coupled with the shape of the first frame 112 to exhibit a 'K' character structure. The 'K' character structure can be used as a phrase indicating a company or school using the initial of K, and the side cover 113 can be combined with the first frame 112 to display different characters and shapes .

또한, 상기 측면커버(113)는 심미적 요인외에도 상기 레그익스텐션부(130) 및 상기 역기부(14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레그익스텐션부(130) 및 상기 역기부(14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높은 집중력을 가지고 운동하도록 시선을 측면을 향해 고정시켜주고, 운동을 하는 도중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o the aesthetic factors, the side cover 113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eg extension portion 130 and the reversed base portion 140 so that the leg extension portion 130 and the inverted base portion 140 are used. It has the advantage of fixing the gaze to the side so that the user can exercise with higher concentration, and not be disturbed by the external impact while exercising.

상기 철봉부(120)는 한 쌍의 상기 제1 프레임들(112)의 타단의 사이에 원기둥 형상의 상기 철봉(121)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상기 철봉(121)에 매달려 상체 근력을 강화시키며 전신 스트레칭을 할 수 있고, 그 외에도 다양한 전신 근육을 자극하고 단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철봉부(120)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2명이 동시에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에 매달려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족단위로 함께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bar 120 is formed with a bar 121 of a cylindrical shape between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first frames 112 so that the user can hang on the bar 121 to strengthen the upper body strength, You can stretch and stimulate and train various other muscles. In addition, since the iron bars 120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two persons can use the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100 at the same time, they can exercise together in a family unit.

그리고, 상기 철봉부(120)는 상기 레그익스텐션부(130) 및 상기 역기부(140)의 위치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상기 철봉(121)에 매달려서 운동을 하는 사용자는 상기 레그익스텐션부(130) 및 상기 역기부(140)를 고려할 필요없이 충분한 공간에서 상기 철봉(121)을 통한 운동을 할 수 있다.A user who hangs on the bar 121 and moves to the leg extension part 13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eg extension part 130 and the inverted base part 140, 130 and the reversing base 140 without considering the need of consideration.

상기 레그익스텐션부(130)는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일측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2) 및 상기 측면커버(113)와 고정결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시트부(131)는 상기 제1 프레임(112) 및 상기 측면커버(113)와 결합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1 시트(132), 상기 제1 등받이(133) 및 상기 헤드레스트(134)는 상기 프레임부(110)와 고정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레그익스텐션부(130)에 착석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한다.The leg extension portion 130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100 and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ide cover 113. The first seat portion 131 is fixedly engaged with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ide cover 113 and the first seat portion 132 and the first backrest 133 and the headrest 134 Is fixedly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110 to provide a chair for a user to sit on the leg extension portion 130. [

상기 제1 시트부(131)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측면커버(113)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하체를 단련하는 운동에 집중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운동을 하는 도중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충격을 방지하며, 상기 측면커버(113)와 상기 제1 프레임(1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측면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ide cover 113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seat portion 131 to provide a space for the user to concentrate on exercising the lower body and to prevent physical shocks that may occur during the exercise And a side view can be secured through a space formed between the side cover 113 and the first frame 112.

상기 제2 로드(137)는 상기 제1 로드(136) 및 상기 케이블(139)을 통해 상기 무게추(138)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로드(137)의 하부에 사용자의 발목을 위치하고, 발끝은 위쪽으로 가도록 몸쪽으로 당겨주고, 무릎을 펴고, 대퇴사두를 수축시키면서 상기 제2 로드(137)를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다리를 단련하게 된다.The second rod 137 is connected to the weight 138 via the first rod 136 and the cable 139 and the user's ankle is positioned below the second rod 137, The knee is extended, the quadricepsum is contracted while the second rod 137 is moved upward, and the leg is trained.

상기 제2 로드(137)는 상기 제1 로드(136)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로드(137)를 따로 분리하여, 사용자의 발목체형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로드로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로드(137)는 사용자의 발목 보호를 위해, 스펀지와 같은 부드러운 소재로 외부를 커버하여 상기 제1 로드(136)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od 137 is coupled to the first rod 136 so as to be rotatable. The second rod 137 can be separated to be replaced with various types of rod corresponding to the user's ankle Do. In addition, the second rod 137 may be formed on the first rod 136 to cover the outside with a soft material such as a sponge for protecting the user's ankle.

상기 제1 로드(136)가 사용자의 다리 근육의 사용으로 인해 상기 제1 힌지부(135)를 축으로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로드(136)와 연결된 케이블이 상기 무게추(138)를 상부로 끌어올리게 되고, 상기 무게추(138)의 무게만큼의 하중이 사용자의 발목과 다리에 가해지게 된다.When the first rod 136 moves upward along the first hinge portion 135 due to the use of the user's leg muscles, a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rod 136 moves the weight 138 And a load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weight 138 is applied to the user's ankle and leg.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무게추(138)의 무게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황과 근육의 상태를 고려하여 적합한 무게의 상기 무게추(138)를 걸어서 다리근육을 단련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시트부(131)에 앉아서 상기 제2 로드(137)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방법 외에도, 상기 측면커버(113)에 양쪽 손을 올려놓고,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중앙을 향해 몸의 방향을 고정하며, 종아리나 발목의 뒷부분을 상기 제2 로드(137)에 걸치고, 상기 제2 로드(137)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하체를 단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weight of the weight 138 and use the weight 138 of the proper weight to exercise the leg muscles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body condition and the state of the muscle, In addition to a method of sitting on the seat portion 131 and moving the second rod 137 upwardly, both hands are placed on the side cover 113 and the direction of the body toward the center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100 And the lower body can be trained by fixing the back of the calf or the ankle to the second rod 137 and moving the second rod 137 to the upper sid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 시트부(131)에 앉아서 허벅지를 단련하는 레그익스텐션(Leg Extension)의 방법과 다른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중앙을 향해 몸의 방향을 고정하고, 허벅지의 뒤쪽 슬굴곡근을 발달시키는 레그컬스탠딩(Leg Curl-Standing)의 방식으로 상기 레그익스텐션부(13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110)의 중앙에 사용자의 상체 앞부분을 지면과 평행하게 기댈 수 있는 받침대를 형성하여, 상기 레그컬스탠딩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sit on the first seat portion 131 to fix the direction of the body toward the center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100 different from the leg extension method of training the thighs, The leg extension 130 can be used in a leg curl-standing manner. At this time, a pedestal can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part 110 so that the front part of the upper body of the user can lean in parallel with the ground, thereby maximizing the effect of the leg curl standing.

한편, 사용자가 상기 레그익스텐션부(130)를 사용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는 상기 역기부(140)를 사용하여 상체를 단련할 수 있다. 상기 역기부(140)는 상체근육을 사용하여 자신의 무게를 들어올리는 운동으로, 상기 손잡이부(141)와 상기 제2 시트부(142)의 크랭크 결합으로 별다른 무게추를 사용할 필요 없이 사용자에게 알맞은 무게(몸무게)를 들어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when the user uses the leg extension part 130, another user can train the upper body using the inverted part 140. The inverted portion 140 is a movement for lifting the weight of the user using his / her upper body muscle. The second portion 142 is cranked by the handle portion 141 and the second seat portion 142, It has the advantage of lifting weight (weight).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시트부(142)는 하부에 상기 제1 프레임(112)과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113)가 양쪽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운동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second seat portion 142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ide cover 113 is formed on both sides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s movement .

상기 고정로드(143)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1)의 상부에 고정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로드(143)의 하부에는 상기 제5 힌지부(145)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4 힌지부(144)가 형성된다. 상기 제4 및 제5 힌지부들(144, 145) 각각에는 상기 제1 연결로드(146) 및 상기 제2 연결로드(147)의 일단이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로드들(146, 147) 각각의 타단은 상기 시트로드(15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The fixing rod 143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111. The fifth hinge portion 145 is formed below the fixing rod 143 and the fourth hinge portion 145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144) is formed.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146 and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147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ourth and fifth hinges 144 and 145,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rods 146 and 147 is connected to the seat rod 150 so as to be rotatable.

상기 시트로드(150)는 상기 제2 시트(151)의 하부에 고정되어 하부를 향해 고정되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2 힌지부(148) 및 상기 제3 힌지부들(149)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로드들(146, 147)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다.The seat rod 15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eat 151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eat 151. The second hinge portion 148 and the third hinge portions 149, Are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rods 146 and 147, respectively.

상기 제1 연결로드(146)의 중앙에는 상기 손잡이부(141)의 상기 연결로드(141d)의 일단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연결로드(141d)의 타단은 상기 링크부(141c)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링크부(141c)는 상기 고정부(141a)를 통해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와 고정결합되고, 상기 손잡이(141b)는 상기 링크부(141c)의 하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141d of the handle 14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connecting rod 146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141d is connected to the link 141c So as to be rotatable. The link portion 141c is fixedly coupled to the multifunction exercise device 100 through the fixing portion 141a and the knob 141b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ink portion 141c so as to be rotatable.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2 시트부(142)에 앉아서 상기 손잡이(141b)를 당기면 상기 손잡이(141b)가 당겨지고, 상기 연결로드(141b)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연결로드(146)를 끌어당기게 된다. 상기 제1 연결로드(146)가 상부로 끌어당겨지면, 상기 제2 내지 제5 힌지부들(148, 149, 144, 145)이 각각 회전하면서, 상기 시트로드(15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 시트(151)는 상부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무게를 견디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user sits on the second seat portion 142 and pulls the handle 141b, the handle 141b is pulled and the connecting rod 141b moves upward, . When the first connection rod 146 is pulled up, the second to fifth hinge parts 148, 149, 144, and 145 rotate to move the seat rod 150 upward, The second sheet 151 is moved upward while holding the weight of the user sitting on the top.

상기 역기부(140)는 상기 손잡이부(141) 및 상기 제2 시트부(142)에 형성된 복수의 힌지부들과 상기 링크부(141c)를 통해 사용자의 몸을 상부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직접 사용자의 몸무게에 해당하는 무게를 들어올리는 운동보다는 비교적 적은 힘으로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하는 상기 제2 시트(151)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크랭크 구조 때문에 다양한 몸무게를 지닌 사용자들이 손쉽게 별도의 무게조절없이 상체를 단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inverted portion 140 moves the user's body upward through the plurality of hinge portions formed on the handle portion 141 and the second seat portion 142 and the link portion 141c, The second seat 151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user can be moved to the upper side with relatively less force than the lifting weigh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Due to the crank structure, users with various weights can easi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pper body can be train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는 상기 철봉부(120), 상기 레그익스텐션부(130) 및 상기 역기부(140)로 구성되어,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고,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운동기구들을 사용해서 다양한 신체부위의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100 includes the stem 120, the leg extension 130, and the reversing unit 140, It is available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rain muscles of various body parts using various exercise equipment in a limited space.

또한, 상기 철봉부(1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프레임(112) 및 상기 측면커버(113)는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양쪽 측면에 'K'자 구조를 형성하여 운동을 하는 순간의 사용자의 집중력을 증진시키고, 주위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으며, K라는 문구를 이름에 포함하는 학교 및 기업 등에서 상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irst frame 112 and the side cover 11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100.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ide cover 11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100, K 'structure to protect the user from the physical impact of the surroundings and to enhance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 at the moment of exercise and to protect the user from the surrounding physical impact.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또한, 상기 레그익스텐션부(130)는 상기 로드부(132)를 통해 허벅지 앞에 형성되는 대퇴사두근(Quadriceps)을 단련시킬 수 있으며, 상기 측면커버(113)를 통해 자세의 변경을 통해 상기 레그컬스탠딩 운동을 하여 허벅지 뒤의 슬굴곡근(Hamstrings)을 단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leg extension portion 130 can perform quadriceps that are formed in front of the thigh through the rod portion 132, and the leg curl standing It has the advantage of training the hamstrings behind the thighs by exercising.

또한, 상기 무게추(138)는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상기 제1 플레이트(111)의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사용자들이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를 사용할 경우,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화시켜주는 장점이 있다.The weight 138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111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100. When a plurality of users use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100, So that the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100 can be stabilized so as not to be shake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및 상체 운동이 동시에 가능하고, 심미적 특징을 가지는 다기능 운동기구는 가정, 헬스클럽 및 야외에서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lower body and upper body exercises, and has the aesthetically feasible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used in homes, health clubs and outdoors.

100 : 다기능 운동기구 110 : 프레임부
120 : 철봉부 130 : 레그익스텐션부
140 : 역기부
100: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110: frame part
120: bolt portion 130: leg extension portion
140: Reverse donation

Claims (4)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커버를 포함하고, 사각형의 공간 상에 형성되어 운동을 통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무게를 지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매달려 운동하는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며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복수의 사용자들이 매달리는 철봉들을 포함하는 철봉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발목 상에 위치한 로드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프레임부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고 케이블을 통해 상기 로드와 연결된 무게추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레그익스텐션부(Leg Extension); 및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당기면 상기 시트를 들어올리는 역기부를 포함하고,
측면은 사용자를 보호하고 지탱하는 'K'자 구조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사용자는 상기 레그익스텐션부에서 자세변경을 통해 레그컬스탠딩(Leg Curl-Standing)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하부에 형성되어 무게를 지탱하고 하중을 분산시키며 흔들림을 방지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모서리 상에 'ㄱ'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제1 프레임들; 및
'K'자 형상으로 상기 제1 프레임들의 중앙 측면에 결합되어 사용자를 보호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측면커버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그익스텐션부 및 상기 역기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커버들과 상기 제1 프레임들 사이에는 시야확보를 위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복수의 사용자들은 상기 철봉부, 상기 레그익스텐션부 및 상기 역기부를 동시에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A frame part including a side cover formed on both sides and formed on a rectangular space to prevent shaking through movement and to support weight;
A plurality of iron bars which are formed between the frame portion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who is suspended and mov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hang from the plurality of users;
A leg extens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frame and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center of the frame to move the weight connected to the rod upward through a cable when the rod located on the ankle is moved upward; And
And a counterweight portion for lifting the sheet by pulling a handl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while the sheet is seated,
The side surface is formed of a frame having a 'K' structure for protecting and supporting the user. The user can perform a leg curl-standing motion through the posture changing in the leg extension portion,
The frame unit includes:
A first plate formed at the lower part in a rectangular shape to support the weight, disperse the load and prevent shaking;
First frames formed on the edges of the first plate, respectively; And
And side covers coupled to a central side of the first frames in a 'K' shape to protect the user and improve concentration,
Wherein the leg extension portion and the backward portion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fram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redetermined space for securing a view is formed between the side covers and the first frames, Wherein the leg extension portion and the counterweight portion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익스텐션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제1 시트부; 및
상기 무게추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정강이나 발목으로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무게추가 상부로 이동하는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eg-
A first seat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portion and seated by the user; And
And a rod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weight by a cable and moves to an upper portion of the weight when the upper portion is moved upward by a leg or ank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기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제2 시트부; 및
상기 제2 시트부의 상부에 상기 제2 시트부와 크랭크 연결되어 형성되고,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 시트부를 끌어올리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seat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seated by the user; And
And a grip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eat portion so as to be crank-connected to the second seat portion and pulling up the second seat portion when moved downward.
KR1020140193724A 2014-12-30 2014-12-30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KR1016547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724A KR101654760B1 (en) 2014-12-30 2014-12-30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724A KR101654760B1 (en) 2014-12-30 2014-12-30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961A KR20160080961A (en) 2016-07-08
KR101654760B1 true KR101654760B1 (en) 2016-09-06

Family

ID=5650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724A KR101654760B1 (en) 2014-12-30 2014-12-30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7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393B1 (en) 2018-04-11 2019-05-16 (주)로임시스템 Silent Health Exercise System Using EM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873Y1 (en) 2004-07-12 2005-02-07 화랑헬스뱅크주식회사 Total health machine
KR100858363B1 (en) * 2007-08-14 2008-09-11 조금제 Bench press based on human weigh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2221B1 (en) * 2006-10-23 2009-12-15 Scott Kolander Cable cross trainer apparatus
KR200453493Y1 (en) * 2009-03-13 2011-05-06 (주)맥디자인 Leg Extentioncal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873Y1 (en) 2004-07-12 2005-02-07 화랑헬스뱅크주식회사 Total health machine
KR100858363B1 (en) * 2007-08-14 2008-09-11 조금제 Bench press based on human weigh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393B1 (en) 2018-04-11 2019-05-16 (주)로임시스템 Silent Health Exercise System Using EM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961A (en)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8252B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20150328494A1 (en) Work Me Out Bench
US20140128231A1 (en) Unique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WO2005118078A1 (en) Training instrument for various muscles at abdominal region and waist region
KR101952162B1 (en) Assembly for yoga
US11696864B2 (en) Upper body attachment apparatus for whole body vibration equipment
CN206852991U (en) A kind of exercise chair
KR101654760B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TWI632936B (en) Squat fitness machine
KR20130134802A (en) Abdomen sporting goods that combine leg exercise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KR20190005612A (en) Multi capacity sporting equipment
KR200478393Y1 (en) Complex health apparatus
CN105582644A (en) Arm strength pushing and pressing exercise equipment
WO2008001173A1 (en) Gymnastic apparatus, particularly for the workout of the abdominal muscles and the gluteus muscles
JP3211954U (en) Leg training equipment
KR101251955B1 (en) Yoga Chair
KR200380528Y1 (en) A Chair for combined use a sporting goods
KR20200053265A (en) Body training apparatus
KR102252959B1 (en) Multi-function sporting equipment
CN220656312U (en) Multifunctional core trainer
CN203842251U (en) Multifunctional sit-up trainer
CN217163033U (en) Abdominal muscle back waist body-building training device
KR20080004920U (en) Whole body exercise device
KR200451993Y1 (en) Fitness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