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736B1 -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736B1
KR101653736B1 KR1020140136933A KR20140136933A KR101653736B1 KR 101653736 B1 KR101653736 B1 KR 101653736B1 KR 1020140136933 A KR1020140136933 A KR 1020140136933A KR 20140136933 A KR20140136933 A KR 20140136933A KR 101653736 B1 KR101653736 B1 KR 101653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quipment
construction site
construction
disaster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687A (ko
Inventor
김창윤
나혜숙
최원식
문현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3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7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 활용되고 있는 장비나 주변환경의 영상을 확보하여 건설현장에 설치되어 있거나 건설현장 내에서 활용중인 장비 또는 건설현장에 산재되어 있는 건설자원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설현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 정보를 확보하여 송출하는 현장감시장치 및 현장감시장치로부터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받아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을 수행하고,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정보를 DB로 구축하여 제공하며,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 위험요소정보가 도출되는 경우 위험요소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들로 제공하는 재해방지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대형사고로 인한 재산 및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설현장에 활용되고 있는 장비나 주변환경의 영상을 확보하여 건설현장에 설치되어 있거나 건설현장 내에서 활용중인 장비 또는 건설현장에 산재되어 있는 건설자원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재해로 인한 사고에 대한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해마다 약 100명 이상이 재해로 사망하고 있다. 그 중에서 50%가 건설. 토목 공사에서 산업 재해로 인한 사망이 발생하고 있으며, 사망 이외에도 산업 재해와 자연 재해로 해마다 2만 명 정도가 부상 및 중상을 당하고 있다. 한편, 해마다 재해로 인한 사고율은 5%정도 씩 증가 되는데 반해 이런 재해에 대한 예방 및 안전장치는 과거에 사용하였던 방법들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전자 및 측정 기술의 발달로 수많은 분야에서는 첨단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한 자동화측정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나, 건설 및 토목 건설 현장에서의 산업 재해 예방 및 안전 관리는 아직도 관리자가 직접 관리 감독하는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관리자에 의한 직접 관리 감독은 그 자체가 항시적이지 않고 통상 인력이 많이 지원되지 않는 관계로 완벽한 관리가 되지 못한다. 따라서, 사람에 의존하지 않고 건설 현장 등에서 24시간 재해를 자동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 현장에서의 재해 방재 시스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많은 분야에서 이런 시스템 개발을 연구해 왔다.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알려주는 기법부터 다리에 센서를 부착하여 다리가 무너지기 전에 알려주는 장치 등 다양한 방법이 제공되어 졌다. 그러나 이런 재해 방지시스템은 특정한 분야와 특정 환경에 맞게 고안되어 개발되었기에 다양한 환경과 다양한 형태의 재해를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1028136 호[발명의 명칭 : 단 사진 측량 기반의 변위 측정을 통한 구조물 재해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 10-1061736 호[발명의 명칭 : 사진 측량을 이용한 재난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 활용되고 있는 장비나 주변환경의 영상을 확보하여 건설현장에 설치되어 있거나 건설현장 내에서 활용중인 장비 또는 건설현장에 산재되어 있는 건설자원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확보할 수 있는 건설현장, 장비, 구조물의 가상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안전 재해 관련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대상인 건설장비와 건설현장 내에 산재하고 있는 건설자원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도를 분석하고, 위험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건설장비 및 건설자원에 대해 건설현장에서의 재배치 정보 등 운영정보를 생성시켜 제공하는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된 가상장비 운영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가상 훈련체계 도입으로 시공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은 건설현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 정보를 확보하여 송출하는 현장감시장치 및 현장감시장치로부터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받아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을 수행하고,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정보를 DB로 구축하여 제공하며,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 위험요소정보가 도출되는 경우 위험요소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들로 제공하는 재해방지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현장감시장치는 건설현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레이저 광선을 건설현장의 지표면 및 관측 대상물에 발사하여 반사되는 레이저펄스를 수신하여 건설현장의 공간정보를 확보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라이다(Lidar) 및 건설현장에 있는 장비들에 부착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식별정보에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송출하는 복수의 장비위치 알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현장감시장치는 건설현장에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건설현장을 촬영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촬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지반정보, 건설현장정보, 건설안전관리정보, 장비위치정보, 건설자원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건설 환경 모니터링 정보 DB; 건설공정정보, 건설공사비정보, 건설자원현황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련 프로젝트 정보 DB; 장비 최적배치위치정보, 장비 최적경로정보, 장비 운영리스크정보, 장비안전도분석정보, 장비운용공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있는 장비운영/안전도 정보 DB;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응하여 건설환경 모니터링 정보 DB로부터 건설현장정보 및 장비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장비 위치/환경정보 추출부;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응하여 관련 프로젝트 정보 DB로부터 해당 프로젝트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관련 프로젝트 정보 추출부; 현장감시장치로부터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되면, 장비 위치/환경정보 추출부 및 관련 프로젝트 정보 추출부로 이전의 건설현장정보 및 장비위치정보를 요청하고, 관련 프로젝트 정보를 요청하며, 이전의 건설현장정보, 장비위치정보를 현장감시장치로부터 입력받은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정보와 비교하는 한편 관련된 프로젝트 정보로부터 건설현장정보 및 장비위치정보를 추출하여 현장감시장치로부터 입력받은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정보와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장비운영상태 및 안전도를 분석하는 장비운영/안전도 분석부 및 장비운영/안전도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를 장비운영/안전도 정보 DB에 저장시키는 한편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응하여 제공하는 장비운영/안전도 분석결과 제공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응하여 분석된 건설 및 토목장비의 운영 및 안전도 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할 때 증강현실 기반의 건설현장정보 및 장비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는 장비운용 리스크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응하여 건설현장에서 사용될 장비의 운영공법 시뮬레이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의 공간에서 장비를 트레이닝(traning)할 수 있도록 장비 트레이닝 화면을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체감형 건설장비 통합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재해방지방법은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위치정보를 건설 환경 모니터링 정보 DB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유사한 건설 프로젝트 정보를 관련 프로젝트 정보 DB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건설 및 토목현장의 환경정보 및 관련 프로젝트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장비의 위치, 공정, 상황에 맞도록 관련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분석된 건설장비의 운영 및 안전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건설 환경 모니터링 정보 DB 및 관련 프로젝트 정보 DB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응하여 분석된 건설장비의 운영 및 안전도 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로 건설장비의 운영 및 안전도 결과정보를 제공할 때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위치정보로부터 장애물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장애물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들로 장애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주기적으로 수신된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위치정보들을 상호 비교하여 위험요소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위험요소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위험요소정보와 함께 위험요소 제거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 활용되고 있는 장비나 주변환경의 영상을 확보하여 건설현장에 설치되거나 건설현장 내에서 움직이는 장비 또는 건설현장에 산재되어 있는 건설자원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대형사고로 인한 재산 및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대상인 건설장비와 건설현장 내에 산재하고 있는 건설자원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도를 분석하고, 위험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건설장비 및 건설자원에 대해 건설현장에서의 재배치 정보 등 운영정보를 생성시켜 제공함으로써, 안전재해 관리를 통해 업무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건설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된 가상장비 운영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가상 훈련체계 도입으로 시공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현장감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된 현장환경 감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적용된 재해방지 관리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 재해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현장감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된 현장환경 감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적용된 재해방지 관리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해방지시스템은 현장감시장치(100), 현장환경 감시장치(200), 재해방지 관리서버(300), 사용자 단말장치(400), 경보장치(500) 및 통신망(600)으로 이루어진다.
현장감시장치(100)는 건설현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 정보를 확보하여 송출한다.
현장환경 감시장치(200)는 건설현장의 주변환경 변화정보를 확보하여 송출한다. 즉 현장환경 감지장치(200)는 건설현장에서의 건설이 이루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지하수의 수위변화, 인근 지반의 침하, 지질 변경 등 주변환경이 변화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제공함으로써 주변환경의 변화가 위험수준에 도달하기 전에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재해방지 관리서버(300)는 현장감시장치(100)로부터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받아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을 수행하고,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정보를 DB로 구축하여 제공하며,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 위험요소정보가 도출되는 경우 위험요소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500)들로 제공한다.
현장감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현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레이저 광선을 건설현장의 지표면 및 관측 대상물에 발사하여 반사되는 레이저펄스를 수신하여 건설현장의 공간정보를 확보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라이다(110, Lidar)와, 건설현장에 있는 장비들에 부착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식별정보에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송출하는 복수의 장비위치 알림부(120)와, 건설현장에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건설현장을 촬영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촬영장치(130)로 이루어진다.
현장환경 감시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의 변화를 검출하는 하중 감지부(210)와, 경사의 변이를 검출하는 경사 감지부(220)와, 지하수 등의 수위 변화를 측정하는 지하수 수위 감지부(230)와, 변형을 측정하는 변형 감지부(240)와, 시설물의 균열발생을 감지하는 균열 감지부(250)로 이루어진다.
재해방지 관리서버(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정보, 건설현장정보, 건설안전관리정보, 장비위치정보, 건설자원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건설 환경 모니터링 정보 DB(310)와, 건설공정정보, 건설공사비정보, 건설자원현황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련 프로젝트 정보 DB(315)와, 장비 최적배치위치정보, 장비 최적경로정보, 장비 운영리스크정보, 장비안전도분석정보, 장비운용공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있는 장비운영/안전도 정보 DB(320)와, 장비운영/안전도 분석부(335)로부터의 요청에 응하여 건설환경 모니터링 정보 DB(310)로부터 건설현장정보 및 장비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장비 위치/환경정보 추출부(325)와, 장비운영/안전도 분석부(335)로부터의 요청에 응하여 관련 프로젝트 정보 DB(315)로부터 해당 프로젝트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관련 프로젝트 정보 추출부(330)와, 현장감시장치(100)로부터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되면, 장비 위치/환경정보 추출부(325) 및 관련 프로젝트 정보 추출부(330)로 이전의 건설현장정보 및 장비위치정보를 요청하고, 관련 프로젝트 정보를 요청하며, 이전의 건설현장정보, 장비위치정보를 현장감시장치(100)로부터 입력받은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정보와 비교하는 한편 관련된 프로젝트 정보로부터 건설현장정보 및 장비위치정보를 추출하여 현장감시장치(100)로부터 입력받은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정보와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장비운영상태 및 안전도를 분석하는 장비운영/안전도 분석부(335)와, 장비운영/안전도 분석부(335)를 통해 분석된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를 장비운영/안전도 정보 DB(320)에 저장시키는 한편 사용자 단말장치(500)의 요청에 응하여 제공하는 장비운영/안전도 분석결과 제공부(340)와, 사용자 단말장치(500)의 요청에 응하여 분석된 건설장비의 운영 및 안전도 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500)로 제공할 때 증강현실 기반의 건설현장정보 및 장비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는 장비운용 리스크 분석부(345)와, 사용자 단말장치(500)의 요청에 응하여 건설현장에서 사용될 장비의 운영공법 시뮬레이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의 공간에서 장비를 트레이닝(traning)할 수 있도록 장비 트레이닝 화면을 사용자 단말장치(500)로 제공하는 체감형 건설장비 통합관리부(350)와, 현장감시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 정보와 현장환경 감시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건설현장의 주변환경 변화정보를 수신받아 지반정보, 건설현장정보, 건설안전관리정보, 장비위치정보, 건설자원위치정보, 장비배치정보, 장비 최적 경로정보 등의 정보들을 생성시켜 건설환경 모니터링 정보 DB(310)저장시켜 관리하는 건설환경 모니터링정보 생성부(355)와,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프로젝트 정보들에 대해서 상호 유사성이 높은 프로젝트를 분류하여 관련 프로젝트 정보 DB(315)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관련 프로젝트 정보 생성부(360)로 이루어진다.
장비운영/안전도 분석부(335)는 건설환경 모니터링 정보 DB(310) 및 관련 프로젝트 정보 DB(315)에 저장된 건설현장정보 및 장비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장비 최적의 배치 위치 및 장비 최적 경로를 탐색한 후 장비 최적의 배치 위치정보 및 장비 최적 경로 정보를 장비운영 분석결과로 제공한다.
장비운영/안전도 분석부(335)는 건설환경 모니터링 정보 DB(310)에 저장된 건설현장정보 및 장비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건설현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추출하고, 추출된 장애물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500)로 전송하는 한편, 장애물 존재가 위험도 높은 장애물 요소로 판명되면 경보장치(600)를 작동시켜 건설현장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장치(400)는 데스크탑 PC를 비롯하여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장치가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건설현장 재해방지 관리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으며, 건설현장 재해방지 관리 프로그램은 실행된 상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되었다가 장비운영/안전도 분석부(335)로부터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가 송출되는 경우 이를 수신하게 되면 활성모드로 전환시켜 화면상에 수신된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를 표출시킨다.
경보장치(500)는 부저, 사이렌 등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장치나, 위험을 알리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 제공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재해방지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 재해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재해방지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재해방지 관리서버(300)는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위치정보를 건설 환경 모니터링 정보 DB(310)로부터 추출(S110)한다.
재해방지 관리서버(300)는 유사한 건설 프로젝트 정보를 관련 프로젝트 정보 DB(315)로부터 추출(S120)하고,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관련 프로젝트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장비의 위치, 공정, 상황에 맞도록 관련정보를 분석(S130)한다.
재해방지 관리서버(300)는 분석된 건설장비의 운영 및 안전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건설 환경 모니터링 정보 DB(310) 및 관련 프로젝트 정보 DB(315)를 업데이트(S140)한다.
재해방지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장치(400)로부터 장비의 운영 및 안전도 결과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50), 판단 결과 장비의 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재해방지 관리서버(300)는 장비의 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 요청신호에 응하여 분석된 건설장비의 운영 및 안전도 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400)로 제공(S160)하며, 재해방지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장치(400)로 건설장비의 운영 및 안전도 결과정보를 제공할 때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 형태로 제공한다.
재해방지 관리서버(300)는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위치정보로부터 장애물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장애물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들(500)로 장애물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재해방지 관리서버(300)는 주기적으로 수신된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위치정보들을 상호 비교하여 위험요소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위험요소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위험요소정보와 함께 위험요소 제거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400)들로 전송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현장감시장치 200 : 현장환경 감시장치
300 : 재해방지 관리서버 400 : 사용자 단말장치
500 : 경보장치

Claims (10)

  1. 건설현장으로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재해를 방지하도록 서비스하는 재해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 정보를 확보하여 송출하는 현장감시장치; 및
    상기 현장감시장치로부터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받아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정보를 DB로 구축하여 제공하며, 상기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 위험요소정보가 도출되는 경우 위험요소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들로 제공하는 재해방지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지반정보, 건설현장정보, 건설안전관리정보, 장비위치정보, 건설자원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건설 환경 모니터링 정보 DB;
    건설공정정보, 건설공사비정보, 건설자원현황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련 프로젝트 정보 DB;
    장비 최적배치위치정보, 장비 최적경로정보, 장비 운영리스크정보, 장비안전도분석정보, 장비운용공법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있는 장비운영/안전도 정보 DB;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응하여 상기 건설환경 모니터링 정보 DB로부터 건설현장정보 및 장비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장비 위치/환경정보 추출부;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응하여 상기 관련 프로젝트 정보 DB로부터 해당 프로젝트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관련 프로젝트 정보 추출부;
    상기 현장감시장치로부터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장비 위치/환경정보 추출부 및 관련 프로젝트 정보 추출부로 이전의 건설현장정보 및 장비위치정보를 요청하고, 관련 프로젝트 정보를 요청하며, 이전의 건설현장정보, 장비위치정보를 상기 현장감시장치로부터 입력받은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정보와 비교하는 한편 관련된 프로젝트 정보로부터 건설현장정보 및 장비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현장감시장치로부터 입력받은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모니터링정보와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장비운영 및 안전도를 분석하는 장비운영/안전도 분석부; 및
    상기 장비운영/안전도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장비운영 및 안전도 분석결과를 장비운영/안전도 정보 DB에 저장시키는 한편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응하여 제공하는 장비운영/안전도 분석결과 제공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감시장치는
    상기 건설현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레이저 광선을 건설현장의 지표면 및 관측 대상물에 발사하여 반사되는 레이저펄스를 수신하여 상기 건설현장의 공간정보를 확보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라이다(Lidar); 및
    상기 건설현장에 있는 장비들에 부착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식별정보에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송출하는 복수의 장비위치 알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감시장치는 상기 건설현장에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건설현장을 촬영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촬영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응하여 상기 분석된 장비운영 및 안전도 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할 때 증강현실 기반의 건설현장정보 및 장비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는 장비운용 리스크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응하여 건설현장에서 사용될 장비의 운영공법 시뮬레이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의 공간에서 상기 장비를 트레이닝(traning)할 수 있도록 장비 트레이닝 화면을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체감형 건설장비 통합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7. 재해방지방법에 있어서,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위치정보를 건설 환경 모니터링 정보 DB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건설현장과 유사한 건설 및 토목 프로젝트 정보를 관련 프로젝트 정보 DB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관련 프로젝트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장비의 위치, 공정, 상황에 맞도록 관련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분석된 건설장비의 운영 및 안전도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건설 환경 모니터링 정보 DB 및 관련 프로젝트 정보 DB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현장 재해방지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응하여 상기 분석된 건설장비의 운영 및 안전도 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건설장비의 운영 및 안전도 결과정보를 제공할 때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재해방지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위치정보로부터 장애물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장애물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들로 장애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재해방지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해방지 관리서버는 주기적으로 수신된 건설현장의 환경정보 및 장비 위치정보들을 상호 비교하여 위험요소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위험요소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위험요소정보와 함께 위험요소 제거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재해방지방법.
KR1020140136933A 2014-10-10 2014-10-10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KR101653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933A KR101653736B1 (ko) 2014-10-10 2014-10-10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933A KR101653736B1 (ko) 2014-10-10 2014-10-10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687A KR20160042687A (ko) 2016-04-20
KR101653736B1 true KR101653736B1 (ko) 2016-09-05

Family

ID=5591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933A KR101653736B1 (ko) 2014-10-10 2014-10-10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7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96U (ko) 2017-10-31 2019-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영상 정보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36531A (ko) * 2018-09-28 2020-04-07 진현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240039746A (ko) 2022-09-20 2024-03-27 현대건설(주) 건설 현장의 영상 분석에 의한 인공 신경망 기반 침수 판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126B1 (ko) * 2017-06-01 2020-09-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책관리에 기반한 에너지 안전재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04206B1 (ko) 2017-11-30 2019-10-01 현대건설주식회사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89158B1 (ko) * 2018-06-28 2020-03-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2076413B1 (ko) * 2018-06-28 2020-03-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SG11202111254UA (en) * 2019-04-10 2021-11-29 Kyeongok Yang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afety information using progress schedule
CN110807580B (zh) * 2019-10-25 2022-03-04 上海建科工程咨询有限公司 基于复杂网络的超高层施工机械关键安全风险分析方法
KR102091374B1 (ko) * 2019-11-05 2020-03-19 유재준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
KR102325656B1 (ko) * 2019-12-31 2021-11-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붕괴방지 시스템
KR102260321B1 (ko) * 2020-11-02 2021-06-02 박성희 토목 시공 현장의 관리 시스템 구축 및 이를 이용한 토목 시공 현장 관리 장치
KR102471891B1 (ko) * 2020-11-23 2022-11-28 삼성물산 주식회사 장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가상훈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0462B1 (ko) * 2020-12-04 2021-08-13 최문학 흙막이 지보공의 시공 평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574647B1 (ko) * 2023-06-23 2023-09-06 주식회사 지엔씨환경솔루션 시뮬레이션을 통한 수처리 시설에 대한 재난 피해를 효율적으로 복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8918A (ja) * 2003-08-27 2005-03-17 Giken Seisakusho Co Ltd 作業環境監視システム及び作業環境監視工法
JP2005293329A (ja) * 2004-03-31 2005-10-20 Mail Support Systems:Kk モバイルによる建設現場安全管理システム
JP2010016582A (ja) 2008-07-03 2010-01-21 Enzan Kobo:Kk 建設現場における移動体監視システム
KR101212657B1 (ko) 2012-03-30 2013-01-09 주식회사 영신 지능형 안전관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136B1 (ko) 2010-12-30 2011-04-08 윤홍식 단 사진 측량 기반의 변위 측정을 통한 구조물 재해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1736B1 (ko) 2011-03-10 2011-09-02 (주)한동알앤씨 사진 측량을 이용한 재난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8918A (ja) * 2003-08-27 2005-03-17 Giken Seisakusho Co Ltd 作業環境監視システム及び作業環境監視工法
JP2005293329A (ja) * 2004-03-31 2005-10-20 Mail Support Systems:Kk モバイルによる建設現場安全管理システム
JP2010016582A (ja) 2008-07-03 2010-01-21 Enzan Kobo:Kk 建設現場における移動体監視システム
KR101212657B1 (ko) 2012-03-30 2013-01-09 주식회사 영신 지능형 안전관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96U (ko) 2017-10-31 2019-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영상 정보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36531A (ko) * 2018-09-28 2020-04-07 진현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190121B1 (ko) * 2018-09-28 2020-12-11 진현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240039746A (ko) 2022-09-20 2024-03-27 현대건설(주) 건설 현장의 영상 분석에 의한 인공 신경망 기반 침수 판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687A (ko)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736B1 (ko)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US113549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arly warning of seismic events
US111641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process safety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US10379237B2 (en) Multi facility earthquak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JP2024014948A (ja) 道路監視システム、道路監視装置、道路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22048B2 (en) SNS based incident management
WO2020166057A1 (ja)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行動特定装置、行動特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1709157B1 (ko)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소방 시설의 관리를 위한 방법
CN112288320A (zh) 一种地铁运行风险监控和管理***
US20220343443A1 (en) Safety management and building oper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occupancy buildings
JP2009281924A (ja) 地盤崩壊予測警報システム及び地盤崩壊予測警報方法
US111194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non-intrusive monitoring of assets and entities
CA30275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pediting repairs of utility equipment using electronic dialogs with people
TWM582191U (zh) Supervisory device
KR101646329B1 (ko) 지역 기반 사이버 침해 대응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2921B1 (ko) 구조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60074705A (ko) 온도/진동센서를 통한 위험지역 재난/화재 방지 시스템
CN117041331B (zh) 一种消防报警***及其方法
KR20220085160A (ko) 클라우드 기반 재난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재난 분석 시스템
KR20160148826A (ko) 운행정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관리방법
JP5345993B2 (ja) 地震動の予測システム
KR101142849B1 (ko)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St Germain et al. Automated Work Package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Bluetooth Beacons, and Video Applications in the Nuclear Power Industry
Shahid et al. Multi-Input Based Post Natural Disaster Alert System
JP2024042984A (ja) 作業者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