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316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316B1
KR101653316B1 KR1020150043053A KR20150043053A KR101653316B1 KR 101653316 B1 KR101653316 B1 KR 101653316B1 KR 1020150043053 A KR1020150043053 A KR 1020150043053A KR 20150043053 A KR20150043053 A KR 20150043053A KR 101653316 B1 KR101653316 B1 KR 101653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elastic member
shaft
do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3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0Refrigerator top-cooler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을 정의하고 상면이 개방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에 결합되는 힌지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브라켓의 내측에 하단부가 회동 및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샤프트, 상기 회동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제2브라켓을 밀어올려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1탄성부재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상기 회동샤프트의 중간부와 상기 제1브라켓의 내측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신장되었다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브라켓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비닛의 상부에 도어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열리도록 장착하기 위한 힌지조립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캐비닛 내부에 저장실로서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소정의 온도 범위에서 유지되는 하나의 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도 있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는 캐비닛의 개방된 전면에 수직의 힌지축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가 많으나, 캐비닛의 상면이 개방되고 그 상면에 수평의 힌지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수평의 힌지축에 의해 장착되는 도어는 캐비닛의 후벽 상부와 도어의 후벽 사이에 결합되는 힌지조립체에 의해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37039호에는 종래의 김치저장고의 힌지조립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저장고의 힌지조립체는, 본체의 일측벽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 지지편 및 탄성수단이 구비되는 힌지몸체와, 상기 힌지몸체에 힌지축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편에 접촉되는 누름편이 구비되며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이 끼워지는 축결합공에 대해 상기 누름편을 고정하는 핀을 끼우기 위한 핀구멍이 외측으로 소정각도 이격된 경사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편이 탄성력을 받는 지지편에 의해 상기 축결합공의 수직중심선에 대해 외측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도어의 전면부가 하부로 힘을 받아 도어의 폐쇄상태를 더욱 긴밀히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힌지조립체는 힌지가 냉장고의 커버플레이트에 볼트로 고정되어 도어 장착 후 여닫음시 스프링 또는 도어의 하중에 의해 힌지 몸체가 탈거될 우려가 있다.
또한, 탄성수단의 탄성력이 도어가 열리는 쪽으로만 작용하여 탄성력이 작을 경우 도어를 열기가 어렵고, 반대로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크게 할 경우 도어가 잘 닫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어가 튕겨 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어가 끝까지 회동되어 열리기 직전에 도어의 회동 속도를 감쇠하지 못하므로, 충격에 의해 힌지조립체 또는 그 체결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캐비닛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강도가 우수하고 도어가 끝까지 열리기 직전에 댐핑 작용을 할 수 있어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힌지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을 정의하고 상면이 개방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에 결합되는 힌지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브라켓의 내측에 하단부가 회동 및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샤프트, 상기 회동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제2브라켓을 밀어올려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1탄성부재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상기 회동샤프트의 중간부와 상기 제1브라켓의 내측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신장되었다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브라켓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제2브라켓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브라켓의 측벽에 마련된 가이드홈에 의해 회동이 안내되는 가이드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샤프트의 상단부는 상기 가이드축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가이드축과 상기 회동샤프트의 상단부 사이에 상기 가이드축의 하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가이드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샤프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이드커버의 하면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홈부의 바닥에는 상기 가이드커버의 중앙 바닥에 마련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커버와 상기 회동샤프트는 상기 가이드축에 대해 함께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회동샤프트의 중간에 마련된 단턱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 상기 단턱부로 밀착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와셔의 양측에서 측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제1브라켓의 내측벽에 마련된 한 쌍의 걸림돌기 사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용수철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제1브라켓의 내측벽에 마련된 한 쌍의 지지돌기에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는 중심부에 상기 회동샤프트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서포터와 상기 제1탄성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신축에 따른 소음 발생을 줄이는 부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쉬는, 그 중심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샤프트가 통과하는 관통공과, 그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서포터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제1브라켓을 후방에서 감싸도록 장착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2브라켓을 후방에서 감싸도록 제2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은 그 측벽에 결합공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는 그 내측벽에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각각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냉장고의 캐비닛에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힌지조립체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강도가 우수하고 사용자가 도어를 개폐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가 끝까지 열리기 전에 제2탄성부재가 댐핑 작용을 할 수 있어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를 닫을 때에도 제2탄성부재가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힘을 줄일 수 있고, 도어가 완전히 닫히는 시점에 도어의 힌지축에 대한 자중에 반대방향으로 제1탄성부재가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써 도어가 캐비닛에 부딪쳐서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조립체의 동작 부품들 사이에 마멸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장착된 힌지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힌지조립체에서 커버들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커버들을 제외한 힌지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힌지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가이드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와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서포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부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힌지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고 그 개구된 상면에 한 쌍의 도어(20)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도어(20)는 각각 한 쌍의 힌지조립체(100)에 의해 장착되는데, 상기 힌지조립체(100)는 상기 도어(20)의 후벽과 상기 캐비닛(10)의 후벽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도 1에서 한 쌍의 도어가 각각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캐비닛(10)의 크기에 따라 하나의 도어가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전체를 개폐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어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장착된 냉장고는 캐비닛의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사용자가 가슴을 숙여 저장실에 수납된 물건을 인출하므로, 체스트 타입(chest type) 냉장고라고도 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힌지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조립체(100)는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110)과 상기 도어(20)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2브라켓(130)은 후술하는 힌지축(150, 도 4 참조)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110)에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브라켓(110)에는 제1커버(120)가 상기 제1브라켓(110)을 후방에서 감싸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브라켓(130)에도 제2커버(140)가 상기 제2브라켓(130)을 후방에서 감싸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브라켓(110)은 전면과 좌우 측벽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라켓(110)의 전면 상부는 절개되어 개방될 수 있고, 그 절개부의 중간 높이에 상기 좌우 측벽의 전단부 사이에 가로연결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130)도 전면과 좌우 측벽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닫혔을 때 상기 절개부의 상기 가로연결부(114) 바로 위에는 상기 제2브라켓(130)의 전면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130)의 좌우 측벽의 후단 모서리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올수록 폭이 커지는 곡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브라켓(130)이 상기 제1브라켓(110)에 대해 회동하면서 다른 부품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1브라켓(110)의 전면에는 복수의 제1체결공(111)과 복수의 제2체결공(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체결공(111)은 상기 제1브라켓(110)의 전면에서 중간부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체결공(111)은 상하로 길게 관통 형성된 장공일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공(111)이 장공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나사를 체결할 때 상기 캐비닛(10)의 후벽에 마련되는 체결공의 위치에 있어서 소정의 치수 공차를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공(111)의 하단부는 상부 폭보다 큰 지름을 가진 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체결공(112)은 상기 제1브라켓(110)의 전면 하단부에 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일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공(111)의 하단부는 나사의 머리부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112)의 하단부는 상기 제1브라켓(110)의 전면 하단부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캐비닛(10)에 먼저 복수의 나사를 조금 삽입한 다음 상기 제1브라켓(110)을 상기 복수의 나사가 상기 복수의 제1체결공(111) 및 복수의 제2체결공(112)에 삽입되도록 위에서 아래로 장착할 수 있다.
그런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110)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고 상기 복수의 나사를 조임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110)을 상기 캐비닛(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130)에도 복수의 체결공(131)이 마련되는데, 상기 복수의 체결공(131)은 상기 제2브라켓(130)의 전면에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공(131)은 나사의 머리부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130)은 상기 도어(20)의 후벽에 체결되는바, 상기 제2브라켓(130)을 상기 도어(20)의 후벽에 먼저 체결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라켓(110)을 상기 캐비닛(10)에 위치를 맞추어 배치한 다음, 상기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2브라켓(130)을 연결하여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20)는 후벽과 좌우 측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벽의 상부는 상기 제2브라켓(130)이 회동되면서 간섭되지 않도록 절개되어 있다.
상기 제2커버(140)도 일체로 형성되는 좌우 측벽과 후벽을 포함하되, 상기 후벽은 상기 제2브라켓(130)의 측벽 후단부 곡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커버(120)의 좌우 측벽 내면에는 각각 복수의 결합돌기(123)가 마련되고, 상기 제1브라켓(110)의 좌우 측벽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123)에 대응하여 관통형성된 복수의 결합공(11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140)의 좌우 측벽 내면에도 각각 결합돌기(142)가 마련되고, 상기 제2브라켓(130)의 좌우 측벽에 상기 결합돌기(123)에 대응하여 관통형성된 결합공(132, 도 4 참조)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제1브라켓(110)과 제2브라켓(130)은 하중을 많이 받으므로, 강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상기 제1커버(120)와 제2커버(140)는 상기 제1브라켓(110)과 제2브라켓(130)를 각각 감싸서 덮는 역할을 하므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1커버(120)와 제2커버(140)를 상기 제1브라켓(110)과 제2브라켓(130)에 각각 결합할 때, 약간 탄성 변형을 할 수 있는 상기 제1커버(120)와 제2커버(140)의 양 측벽을 벌려서 상기한 결합돌기(123, 142)들이 상기 결합공(113, 132)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20)의 양 측벽의 상부 전단 모서리에는 상기 제1커버(120)를 상기 제1브라켓(110)에 장착했을 때 상기 제1브라켓(110)의 양 측벽의 개방된 상부 전면에 지지되도록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지지돌기(12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20)의 양 측벽 중간부 전단 모서리에도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110)의 전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126)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125)와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126)는 상기 제1커버(120)를 상기 제1브라켓(110)에 장착할 때 그 양 측벽을 탄성적으로 벌려서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140)의 양 측벽 하단부에는 상기 힌지축(150)이 통과할 수 있는 힌지축홈(144)이 마련되어, 상기 제2커버(140)가 상기 제2브라켓(130)에 장착되어 함께 회동될 때 상기 힌지축(150)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한 힌지조립체(1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힌지조립체(100)는, 상기 제2브라켓(130)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브라켓(110)의 내측에 하단부가 회동 및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샤프트(180), 상기 회동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제2브라켓을 밀어올려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200), 및 상기 제1탄성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제1브라켓의 내측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신장되었다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브라켓(130)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130)은 상기 제1브라켓(110)의 양 측벽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2브라켓(130)의 각 측벽에 마련된 힌지축공(115, 135)을 통과하도록 장착되는 힌지축(150)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2브라켓(130)은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150)은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브라켓(130)의 힌지축공(135)은 그 주위가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공(135)의 주위가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130)이 상기 힌지축(150)을 지지하는 면적을 더 크게 하여 그 지지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샤프트(180)는 그 상단부가 상기 제2브라켓(130)의 하단부에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브라켓(130)의 양 측벽 하단부 사이에는 가이드축(16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160)은 상기 제2브라켓(130)의 양 측벽 하단부에 각각 마련된 가이드축공(136)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110)의 양 측벽에는 상기 힌지축공(115)을 회동 중심으로 하는 호 형태의 가이드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160)은 상기 힌지축공(115)에 양 단부가 상기 제1브라켓(110)의 양 측벽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되어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160)의 양 단부는 그 직경이 작아진 단차부(162)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116)은 상기 단차부(162)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축공(136)은 상기 가이드축(160)의 큰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150)이 삽입되는 상기 제1브라켓(110)의 힌지축공(115)과 상기 제2브라켓(130)의 힌지축공(135)은 상기 힌지축(15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므로, 상기 힌지축(150)은 상기 제1브라켓(110)의 힌지축공(115)과 상기 제2브라켓(130)의 힌지축공(135)을 정렬한 상태에서 외측에서 삽입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가이드축(160)은 상기 제1브라켓(110)의 외측에서 삽입될 수 없으므로, 상기 제2브라켓(130)의 힌지축공(135)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110)의 내측에서 약간 기울여서 상기 가이드홈(116)에 상기 가이드축(160)의 단차부(162)를 삽입함으로써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축(160)을 상기 제2브라켓(130)과 제1브라켓(110)에 먼저 장착한 다음, 상기 힌지축(150)을 장착할 것이다.
상기 가이드축(160)의 아래에는 상기 제2브라켓(130)의 하단부와 상기 제1브라켓(110)의 내측 사이에 회동 및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샤프트(180)가 마련된다.
상기 회동샤프트(180)는 상기 가이드축(160)의 중앙부에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회동샤프트(180)는 상하로 긴 바 형태이고 그 하단부는 상기 제1브라켓(110)의 내측 하부에 회동가능하면서도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하단부는 상기 제1브라켓의 내측면에 마련된 한 쌍의 지지돌기(118)에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서포터(230)를 통과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상단부는 상기 가이드축(160)의 중앙부에 마련된 단차홈(163)에 의해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힌지조립체(100)는 상기 가이드축(160)과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상단부 사이에 상기 가이드축의 하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가이드커버(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커버(170)는 사각형의 플레이트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오목부(172)가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커버(170)는 상기 회동샤프트(180)에 의해 상기 가이드축(160)의 하면에 밀착되고 상기 가이드축(160)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회동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이드커버(170)의 볼록한 하면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홈부(18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홈부(182)의 바닥에는 돌기(183)가 마련되고, 이 돌기(183)는 상기 오목부(172)의 중앙 바닥에 형성된 관통공(175)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커버(170)와 상기 회동샤프트(180)는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183)는 상기 관통공(175)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커버(170)의 바닥면에서 돌출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축(160)에 상기한 단차홈(16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상단부는 상기 가이드축(160)에 직접 접촉하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신에, 상기 가이드커버(170)가 상기 가이드축(160)을 감싸서 슬라이딩 회동되므로, 상기 가이드축(160)에 슬라이딩하는 상기 가이드커버(170)의 접촉 면적이 커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주위에는 상기 제2브라켓(130)의 회동에 의해 신축되도록 장착되는 제1탄성부재(2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200)는 용수철 스프링이고, 그 상단부는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중간에 마련된 단턱부(185)에 지지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한 서포터(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동샤프트(180)는 전체적으로 상하로 긴 직육면체 형태의 바이고, 그 수평 단면은 좌변과 우변이 전변과 후변보다 길게 배치된다.
상기 단턱부(185)는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위에서 대략 2/3 지점에 그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아래에 장착되는 상기 제1탄성부재(200)의 상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양측면에는 상하로 길게 그루브(188)가 마련되어 재료비를 절감하면서도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200)는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단턱부(185)와 상기한 서포터(230) 사이에 장착될 때 소정 길이 압축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도어(20)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제2브라켓(130)을 회동시키는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닫혀 있는 도어(20)를 열 때 가스켓의 자력과 도어(20)의 자중을 극복하고 작은 힘으로도 쉽게 열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200)의 복원력은 상기 도어(20)의 자중보다 조금 크기 때문에, 상기 도어(20)가 열린 이후에도 스스로 계속해서 더 열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가 최대로 열릴 때까지 계속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탄성부재(200)의 탄성력은 상기 제1탄성부재(200)가 신장할수록 점점 작아지는데, 상기 도어(20)가 최대로 열리는 각도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대해 90도 이내로 열리므로, 상기 제1탄성부재(200)의 탄성력이 유지되어야 상기 도어(20)가 소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조립체(100)는, 상기 제1탄성부재(200)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중간부와 상기 제1브라켓(110)의 내측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신장되었다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브라켓(130)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220)의 상단부는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단턱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돌기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상기 힌지조립체(100)는 상기 회동샤프트의 중간에 마련된 단턱부(185)에 장착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 상기 단턱부로 밀착되는 와셔(19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셔(190)는 원형의 디스크부(192)의 중심에 상기 회동샤프트(180)가 통과하는 관통공(195)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95)은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원형의 구멍에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단면에 대응하는 직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셔(190)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공(195)의 주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 돌출부(19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95)에 마련되는 직사각형의 구멍은 상기 하방 돌출부(194)의 하단부까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샤프트(180)가 상기 관통공(195)에 삽입되어 상기 와셔(190)와 함께 회동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와셔(190)의 디스크부(192)의 양측에는 측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196)가 마련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220)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196)에 상단부 고리가 걸리는 한 쌍의 용수철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장부(196)의 단부는 다시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197)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탄성부재(220)의 상단부 고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220)의 하단부 고리는 상기 제1브라켓(110)의 양 측벽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17)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110)은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 제작하기 용이하므로, 상기 걸림돌기(117)는 상기 제1브라켓(110)의 측벽을 절개하고 절곡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기(117)도 상기 연장부(196)와 마찬가지로 그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탄성부재(220)의 하단부 고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230)를 지지하는 상기한 지지돌기(118)도 상기 걸림돌기(117)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브라켓(110)의 측벽을 절개하여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230)는 그 중심부(232)에 상기 회동샤프트(180)가 통과하는 관통공(23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동샤프트(180)는 상기 관통공(234)을 통과하되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야 하므로, 상기 관통공(234)은 상기 회동샤프트(180)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회동샤프트(180)는 상기 서포터(230)와 함께 회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통공(234)은 상기 회동샤프트(180)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230)는 상기 중심부(232)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양단부(236)가 상기 제1브라켓(110)의 측벽 내측면 하부에 마련된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118)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서포터(230)는 상기한 양단부(236) 측면을 제외하고 그 테두리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에 의해 상기 서포터(230)가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118)에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서포터(230)의 강도도 더 보강될 수 있다.
상기 힌지조립체(100)는 상기 서포터(230)와 상기 제1탄성부재(2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신축에 따른 소음 발생을 줄이는 부쉬(2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쉬(240)는 전체적으로 원형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 부위에 상기 회동샤프트(180)가 통과하는 관통공(2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45)은 상기 회동샤프트(18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그 단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45)의 중심부가 상기 회동샤프트(180)의 두께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샤프트(180)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대부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신축하는 상기 제1탄성부재(200)의 하단부가 상기 서포터(230)에 직접 접촉하여 지지되는 경우 금속과 금속 간의 직접 접촉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고 접촉 부위가 마멸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1탄성부재(200)와 상기 서포터(230) 사이에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부쉬(240)를 개재함으로써 상기 제1탄성부재(200)와 상기 서포터(230)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부쉬(240)는 그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서포터(230)의 관통공(234)에 삽입되는 돌출부(24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244)는 상기 관통공(245)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되 소정 두께를 가진 측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230)의 관통공(234)은 상기 돌출부(244)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져서 상기 돌출부(244)가 상기 서포터(230)의 관통공(23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부쉬(240)가 상기 서포터(230) 상에 장착될 때, 상기 부쉬(240)의 돌출부(244)는 상기 서포터(230)의 관통공(234)에 삽입되고, 상기 부쉬(240)의 원형 테두리부(242)는 상기 서포터(230)의 중심부(232)에 안착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부쉬(240)는 상기 회동샤프트(180)가 상기 서포터(230)에도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동샤프트(180)는 상기 서포터(230)의 관통공(234)을 통과하여 상하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부쉬(240)가 베어링 역할을 하여 상기 회동샤프트(180)가 상기 서포터(230)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므로 그 사이에 소음 발생과 마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쉬(240)는 그 상면에도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방 돌출부(2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245)은 상기한 하방 돌출부(244)와 상기 상방 돌출부(246)를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방 돌출부(246)는 상기 하방 돌출부(244)와 달리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탄성부재(200)의 하단부 내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0에는 상기한 힌지조립체(100)의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 도어는 생략되어 있으나, 도 10(a)는 도어(20)가 닫혔을 때 힌지조립체(100)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b)는 도어(20)가 최대로 열렸을 때 힌지조립체(100)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a)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200)는 압축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회동샤프트(180)를 밀어올려 상기 제2브라켓(130)에 상기 도어(20)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20)는 그 자중과 가스켓의 자력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약간 들어올려 열면 상기 제1탄성부재(200)가 상기 제2브라켓(130)에 상기 도어(20)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므로, 상기 도어(20)는 가스켓이 상기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된 이후 사용자가 회동시키지 않더라도 또는 사용자가 아주 적은 힘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도어(20)가 계속해서 회동되어 열릴 수 있다.
상기한 한 쌍의 제2탄성부재(220)도 도 10(a)에서 약간 압축된 상태이다.
상기 도어(20)를 열어 상기 제2브라켓(130)이 회동될 때, 상기 한 쌍의 제2탄성부재(220)는 상기 제1탄성부재(200)에 비해 작은 탄성력을 가지므로 상기 제1탄성부재(200)에 의해 신장된다.
상기 제2브라켓(130)이 상기 제1브라켓(110)에 대해 약 20도의 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한 쌍의 제2탄성부재(220)는 상기 와셔(190)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기 시작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200)는 상기 제2브라켓(130)이 약 90도로 완전히 회동될 때까지 계속해서 탄성력을 가하지만, 그 탄성력은 점점 작아진다.
반면, 상기 한 쌍의 제2탄성부재(220)의 탄성력은 약 20도의 회동 각도 이후로 계속 커지게 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브라켓(130)이 약 90도로 회동된 시점에서, 상기 한 쌍의 제2탄성부재(220)의 탄성력은 상기 제1탄성부재(200)의 탄성력과 거의 같아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2탄성부재(220)는 상기 도어(20)가 완전히 열리기 전까지 상기 제2브라켓(130) 및 상기 도어(20)의 회동 속도를 댐핑함으로써, 상기 힌지조립체(100)가 도어 개방 완료 시점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를 닫을 때에도 제2탄성부재(220)가 제1탄성부재(200)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20)를 닫는 힘을 줄일 수 있고, 상기 도어(20)가 완전히 닫히는 시점에 도어의 힌지축(150)에 대한 자중에 반대방향으로 제1탄성부재(200)가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써 도어가 캐비닛(10)에 부딪쳐서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캐비닛
20: 도어
100: 힌지조립체
110: 제1브라켓
111: 제1체결공
112: 제2체결공
113: 결합공
114: 가로연결부
115: 힌지축공
116: 가이드홈
117: 걸림돌기
118: 지지돌기
120: 제1커버
123: 결합돌기
125: 지지돌기
126: 지지리브
130: 제2브라켓
132: 결합공
135: 힌지축공
136: 가이드축공
140: 제2커버
142: 결합돌기
144: 힌지축홈
150: 힌지축
160: 가이드축
162: 단차부
163: 단차홈
170: 가이드커버
172: 오목부
175: 관통공
180: 회동샤프트
182: 홈부
183: 돌기
185: 단턱부
188: 그루브
190: 와셔
192: 디스크부
194: 하방 돌출부
195: 관통공
196: 연장부
197: 절곡부
200: 제1탄성부재
220: 제2탄성부재
230: 서포터
232: 중심부
234: 관통공
236: 양단부
240: 부쉬
242: 테두리부
244: 하방 돌출부
245: 관통공
246: 상방 돌출부

Claims (12)

  1. 내부에 저장실을 정의하고 상면이 개방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에 결합되는 힌지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브라켓의 내측에 하단부가 회동 및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샤프트,
    상기 회동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제2브라켓을 밀어올려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회동샤프트의 중간에 마련된 단턱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 상기 단턱부로 밀착되며 양측에서 측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를 구비하는 와셔,
    상기 제1브라켓의 내측벽에 마련된 한 쌍의 지지돌기에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단부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 및
    상기 와셔의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제1브라켓의 내측벽에 마련된 한 쌍의 걸림돌기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옆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가 소정 거리 신장된 시점부터 제1탄성부재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브라켓에 탄성력을 가하는 한 쌍의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제2브라켓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1브라켓의 측벽에 마련된 가이드홈에 의해 회동이 안내되는 가이드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샤프트의 상단부는 상기 가이드축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가이드축과 상기 회동샤프트의 상단부 사이에 상기 가이드축의 하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가이드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샤프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이드커버의 하면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홈부의 바닥에는 상기 가이드커버의 중앙 바닥에 마련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커버와 상기 회동샤프트는 상기 가이드축에 대해 함께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는 용수철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중심부에 상기 회동샤프트의 하단부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서포터와 상기 제1탄성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신축에 따른 소음 발생을 줄이는 부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는,
    그 중심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샤프트가 통과하는 관통공과,
    그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서포터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제1브라켓을 후방에서 감싸도록 장착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2브라켓을 후방에서 감싸도록 제2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은 그 측벽에 결합공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는 그 내측벽에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043053A 2015-03-27 2015-03-27 냉장고 KR101653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053A KR101653316B1 (ko) 2015-03-27 2015-03-2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053A KR101653316B1 (ko) 2015-03-27 2015-03-27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316B1 true KR101653316B1 (ko) 2016-09-01

Family

ID=5694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053A KR101653316B1 (ko) 2015-03-27 2015-03-2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3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3844A (zh) * 2019-08-21 2019-10-11 无锡市惠昌烧烤炉科技有限公司 烧烤炉阻尼铰链
CN114370733A (zh) * 2022-01-11 2022-04-19 迪瑞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自动开关门功能的制冷装置及驱动控制方法
US11415361B2 (en) * 2017-11-13 2022-08-16 Hefei Hualing Co., Ltd. Refrigerator box body and refrige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7439A (en) * 1973-02-20 1975-12-23 Wilhelm Gronbach Hinge
KR20010091904A (ko) * 2001-02-23 2001-10-23 전주범 냉장고의 힌지 조립구조
KR20030055935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20040039604A (ko) * 2002-11-04 2004-05-12 임병택 캠작동형 다용도 도어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7439A (en) * 1973-02-20 1975-12-23 Wilhelm Gronbach Hinge
KR20010091904A (ko) * 2001-02-23 2001-10-23 전주범 냉장고의 힌지 조립구조
KR20030055935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20040039604A (ko) * 2002-11-04 2004-05-12 임병택 캠작동형 다용도 도어힌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5361B2 (en) * 2017-11-13 2022-08-16 Hefei Hualing Co., Ltd. Refrigerator box body and refrigerator
CN110313844A (zh) * 2019-08-21 2019-10-11 无锡市惠昌烧烤炉科技有限公司 烧烤炉阻尼铰链
CN114370733A (zh) * 2022-01-11 2022-04-19 迪瑞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自动开关门功能的制冷装置及驱动控制方法
CN114370733B (zh) * 2022-01-11 2023-12-08 迪瑞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自动开关门功能的制冷装置及驱动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6117B1 (en) Refrigerator
US10126041B2 (en) Refrigerator
KR101618128B1 (ko) 냉장고
EP2770284B1 (en) Refrigerator
EP2370765B1 (en) Hinge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195877B1 (ko) 냉장고
US10247467B2 (en) Refrigerator
KR102073004B1 (ko) 냉장고
US8944534B2 (en) Refrigerator includes a second door disposed on a first door, a shelf disposed on the first door, a connection assembly connecting the shelf to the second door and linking opening of the second door to rotate the shelf
EP3008268B1 (en) Fixing device
KR20150099024A (ko) 냉장고
KR102196314B1 (ko) 냉장고
US20190301787A1 (en) Refrigerator
US20090179539A1 (en) Refrigerator door stop
KR20150102417A (ko) 냉장고
KR101653316B1 (ko) 냉장고
KR101692734B1 (ko) 냉장고
KR100781601B1 (ko) 냉장고 도어의 자동닫힘 장치
JP2014013112A (ja) 冷蔵庫
KR101788064B1 (ko) 냉장고
KR101653315B1 (ko) 냉장고
KR100820890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단차방지 구조
KR19990035639U (ko) 냉장고의 특선실
KR20110072704A (ko) 김치 냉장고
KR20100024702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