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477B1 - Cervical tissue extractor needle - Google Patents

Cervical tissue extractor nee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477B1
KR101652477B1 KR1020140170640A KR20140170640A KR101652477B1 KR 101652477 B1 KR101652477 B1 KR 101652477B1 KR 1020140170640 A KR1020140170640 A KR 1020140170640A KR 20140170640 A KR20140170640 A KR 20140170640A KR 101652477 B1 KR101652477 B1 KR 101652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cervical
needle
extractor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6361A (en
Inventor
김동탁
백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코아
주식회사 엔도비전
백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코아, 주식회사 엔도비전, 백경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코아
Priority to KR102014017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477B1/en
Publication of KR2016006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3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4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91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for ute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에 관한 것으로서, 선단부(102)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관상 동체(100)와; 상기 동체(100) 내부에 형성되어 환부의 조직을 적출하는 조직적출부와; 상기 동체(1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동체(100) 선단부의 환부 침투 깊이를 조절하는 스토퍼(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궁경부 조직 적출에 따른 시술자의 적출성공률과 시술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출혈이나 통증 등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comprising: a tubular body (100) forming an inclined surface at a distal end (102); A tissue extracting unit formed inside the body 100 to extract the tissue of the affected part; And a stopper 300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100 and controlling a penetration depth of the lesion at the distal end of the moving body 100 to improve the removal success rate of the operator and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due to the extraction of the cervical tissu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such as pain and pain.

Description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 {Cervical tissue extractor needle}Cervical tissue extractor needle < RTI ID = 0.0 >

본 발명은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궁경부 조직 적출에 따른 시술자의 적출성공률과 시술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환자의 자궁경부에 대한 최소한의 침습으로도 최적량의 자궁경부 조직 적출이 가능케 하여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gical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which improves the success rate and ease of operation of a cervical tissue extraction, Thereby enabling minimization of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by enabling the extraction of the cervical tissue extractor needle.

여성의 신체 중 자궁(uterus)은 난자가 착상하며 태반이 부착되고 태아가 성장하는 여성 생식기관이다. Among the female body, uterus is a female reproductive organ that is implanted with an egg and placenta adheres and a fetus grows.

자궁은 자궁체부(uterus corpus)와 자궁경부(uterus cervix)로 구성되는데, 자궁체부는 자궁의 주요부위로서 자궁저와 자궁협부의 사이를 말하며, 수정란의 착상이 이루어지는 부분이고, 자궁경부는 질과 연결되는 자궁의 아래쪽 입구 부분을 말한다.The uterus is composed of the uterus corpus and the uterus cervix. The uterine body is the main part of the uterus, which is the part between the uterus and the uterus. It is the part where the embryo is implanted and the cervix is connected with the vagina. It refers to the lower entrance of the uterus.

자궁경부는 악성종양인 자궁경부암이 주로 발생하는 부위로서,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적으로 여성에게 발병하는 암 중 두 번째로 흔한 암이며, 자궁경부암의 약 80%는 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등의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ervical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 cancer in women worldwide, and about 80% of cervical cancer is in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Asia, South America, and Africa. It is known to occur.

자궁경부암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전체 암 중에서 4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앙암등록본부의 보고(1999~2002년)에 의하면 연평균 전체 여성암 환자 46,476명 중 자궁경부암 환자가 4,394명으로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Cervical cancer is the fourth most common cancer in Korea, and according to the report of the Central Cancer Registry (1999 ~ 2002), among the 46,476 women with CAL, there were 4,394 cases of cervical cancer, accounting for 9.5% have.

이러한 자궁경부암은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하면 완치가 가능하지만 병이 진행될 경우 파급 정도에 따라 완치율이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해서는 첫 성교 연령을 늦추고, 성교 대상자 수를 제한해야 하며, 콘돔을 사용하고, 성 접촉 경험이 있는 모든 여성은 1년 간격으로 자궁경부 세포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출산이 끝난 이후부터는 정기적인 검진을 받아야 하며 조기 진단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These cervical cancers can be cured by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but when the disease progresses, the cure rate is greatly reduc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pread. Therefore, to prevent cervical cancer, it is important to delay the age of first sexual intercourse, to limit the number of sexual intercourse, to use condoms, and to have a cervical cytology every year for all women who have sex with a woman. Particularly after childbirth is completed, regular screenings must be received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arly diagnosis is needed.

자궁경부 세포검사(Pap test)는 자궁경부암을 조기에 진단하여 자궁경부암의 빈도를 낮추는 데 큰 기여를 한 검사방법이다. 성관계를 시작한 여성이라면 누구나 정기적으로 받아야 하는 검사이며, 보통 1년 간격으로 검사받을 것을 권장하고 있다. 외래에서 간단히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질병이 있음에도 음성으로 나타나는 위음성률이 50%에 달하고, 검체 적정성의 부족, 검체 적출의 오류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 판독의 정확성을 보완하기 위한 액상 세포진 검사(liquid base cytology)가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다.Pap test is an early detection method for cervical cancer, which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lowering the incidence of cervical cancer. Any woman who has begun sexual intercourse should regularly receive it, and it is recommended that she be tested at regular intervals of one year. Although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performed simply from the outpatient department, there is a disadvantage such as a false negative rate which is negative even in the presence of a disease, a shortage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specimen and an error of the specimen extraction. To overcome these drawbacks and to supplement the accuracy of the reading, liquid base cytology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한편, 자궁경부 세포검사 결과가 비정상일 때 병적인 변화가 나타난 부분을 확대하여 관찰함으로써 조직검사나 치료를 위하여 질확대경 검사(colposcopy)를 시행하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colposcopy may be performed for histologic examination or treatment by enlarging the part of the cervical cytology that is abnormal when the result is abnormal.

질확대경 검사는 특별히 고안된 확대렌즈를 통해 자궁경부를 관찰하고 일련의 진단 기준에 따라서 자궁경부의 여러 가지 이상 징후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의심되는 부위에 대한 조직생체검사나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 도구를 추가로 투입할 수 있으며, 자궁경부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한 수단의 하나이다.Vaginal laparoscopy is a tool designed to examine the cervix through a specially designed enlargement lens and to check for signs of abnormalities of the cervix in accordance with a series of diagnostic criteria, And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cervical disease.

질확대경 검사에 의해 병적인 변화가 관찰될 경우 조직생체검사(biopsy)를 통하여 확진하게 되는데 이 검사는 아주 적은 부분의 자궁경부조직을 떼어내어 병리과에서 현미경적으로 검사하여 조직학적인 진단을 얻는 과정을 말한다.If a pathologic change is observed by colposcopy, it is confirmed through biopsy, which involves removing a small part of the cervical tissue and microscopically examining the pathology to obtain a histological diagnosis It says.

공개특허공보 특2001-0052323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0052323 공개특허공보 특1998-702717호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998-702717 공개특허공보 10-2014-0103148호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103148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9684호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59684

상술한 바와 같이 자궁경부의 조직생체검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자궁경부의 조직을 적출하는 기술은 경관확장 자궁 소파술(D&C; Dilation and Curettage)로 알려진 자궁 경부의 경관확장과 자궁내막의 소파술과, 자궁 경부의 경관확장 없이 소직경의 큐렛를 사용하는 자궁 내막 흡입술(aspiration)과, 흡입 소파술(suction curettage) 등 3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que of extracting the cervical tissue to perform a tissue biopsy of the cervix is not limited to the cervical dilatation of the cervix, the curettage of the uterine cervix, known as the dilated and curettage (D & C) There are three methods known as endometrial aspiration and suction curettage using small diameter curette without enlargement of the cervix.

상기 경관확장 자궁 소파술과, 상기 흡입 소파술은 환자에 대한 마취 없이 필요한 만큼의 자궁 경부 조직을 적출할 수 있는 반면에, 소직경의 큐렛를 사용하는 자궁 내막 흡입술은 일반적으로 마취가 필요하진 않으나, 한 번의 시술로는 상기 경관확장 자궁 소파술에서 얻을 수 있는 조직의 양만큼 조직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경관확장 자궁 소파술을 시술하는 만큼의 자궁 경부 조직을 얻기 위해서는 마취가 필요할 만큼 큰 직경을 갖는 큐렛를 사용해야 함으로써 환자로서는 자궁 경부 조직을 적출하는데 따른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큰 큐렛를 사용하여 자궁 경부 조직을 적출함으로써 자궁 경부에 과다 출혈이나 그로 인한 통증이 심하고, 조직 적출 후 지속적으로 외래를 방문하여 소독 치료를 병행해야 함으로써 회복에 수 주간의 시간이 소요되고, 그에 따른 비용 부담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above-described enlarged uterine curettage and inhalation curettage can remove as many cervical tissues as necessary without anesthesia to the patient, whereas endometrial suction using curette of small diameter generally does not require anesthesia, Because the procedure does not obtain tissue as much as the amount of tissue obtained from the enlarged uterine curettage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use a curette having a diameter large enough to require anesthesia in order to obtain the cervical tissue as much as the procedure for enlargement of the uterine curetta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ime and expense associated with removal of the cervical tissue is increased. In addition, when the cervical tissue is removed using a large curette, excessive bleeding or pain in the cervix is severe, Disinfection should be combined with treatment to restore It takes a few weeks, and the cost burden increases accordingly.

한편, 자궁 내막 흡입 소파기(curette)는 상기 소파기의 큐렛의 단부에 의해서 자궁 내막의 조직을 적출하게 되는데, 사이 조직 적출량은 소파기의 유연성과 상기 큐렛의 작은 직경 때문에 매우 소량만 적출이 가능하여, 자궁경부 조직 검사를 위한 충분한 조직을 적출하기 위해서는 자궁경부 여러 지점에서 걸쳐서 반복적인 조직 적출을 시행해야 함으로써 조직 적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조직 적출 완료 후에도 환자가 회복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endometrial suction curette is extracted from the endometrium tissue by the end of the curette of the sofa. The amount of interstitial tissue is extracted only by a very small amount due to the softness of the sofa and the small diameter of the curette. In order to obtain sufficient tissue for cervical biopsy, it is necessary to perform repeated tissue extraction at several points in the cervix, which takes a long time for tissue extraction, and it takes a long time for the patient to recover after completion of tissue extraction .

상술한 바와 같은 자궁경부의 조직생체검사에 따른 여러 문제점은 결국 자궁경부 조직을 적출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에 설치되는 큐렛이 조직 적출이 가능한 면적이나 두께가 얇은 자궁경부의 조직을 적출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tissue biopsy of the cervix can be solved by removing the cervical tissue of the cervix that is thin enough to be removed or in which the curette installed in the cervical tissue extractor used as a means of extracting the cervical tissue Which is not suitable for the following reasons.

따라서 자궁경부의 조직을 적출함에 있어서, 보다 신속하고 간편한 조직 적출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환자의 자궁경부에 대한 최소한의 침습으로 자궁경부 조직 검사에 필요한 조직을 효과적으로 적출하여 조직 적출에 따른 통증과 출혈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빠른 회복을 가능케 하는 보다 최적화된 자궁경부 조직 적출수단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extraction of cervical tissues,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tissues faster and easier, and at the same time, the minimum invasion of the patient's cervix minimizes the pain and bleeding due to tissue extraction And to develop a more optimized means of cervical tissue retrieval that allows for rapid recovery of the patient.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선단부(102)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관상 동체(100)와; 상기 동체(100) 내부에 형성되어 환부의 조직을 적출하는 조직적출부와; 상기 동체(1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동체(100) 선단부의 환부 침투 깊이를 조절하는 스토퍼(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궁경부 조직 적출에 따른 시술자의 적출성공률과 시술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출혈이나 통증 등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The needle for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edle for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ncludes a tubular body 100 forming a sloped surface at the distal end 102; A tissue extracting unit formed inside the body 100 to extract the tissue of the affected part; And a stopper 300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100 and controlling a penetration depth of the lesion at the distal end of the moving body 100 to improve the removal success rate of the operator and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due to the extraction of the cervical tissue, And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such as pain and the lik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은 자궁경부의 조직을 적출하는 과정이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시술자의 적출성공률과 시술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자의 자궁경부에 대한 최소한의 침습으로도 최적량의 자궁경부 조직 적출이 가능케 하여 조직 적출에 따른 상처와 출혈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궁경부 조직 적출에 따른 환자의 통증을 줄일 수 있으며, 검사 후 회복에 소요되는 시간과 외래 진료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and accurate process of extracting a cervical tissu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removal success rate and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In addition,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the cervix of the patient enables optimal removal of the cervical tissue, minimizing wound and hemorrhage due to tissue extraction, thereby reducing the patient's pain due to removal of the cervical tissue, And the cost of outpatient treatmen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단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8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9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10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을 설치한 통상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실시 예에 따른 조직 적출 상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plor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plor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plor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13 is a sectional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ectional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1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ervical tissue extractor equipped with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ervical tissue extractor nee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in a tissue extraction state.

이하,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은 선단부(102)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관상 동체(100)와; 상기 동체(100) 내부에 형성되어 환부의 조직을 적출하는 조직적출부와; 상기 동체(1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동체(100) 선단부의 환부 침투 깊이를 조절하는 스토퍼(300)를 포함한다.1 through 15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ular body 100 forming an inclined surface at a distal end 102; A tissue extracting unit formed inside the body 100 to extract the tissue of the affected part; And a stopper 300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100 and controlling a penetration depth of the lesion at the distal end of the moving body 100.

상기 동체(100)의 횡단면은 정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내경은 1~10㎜로 형성하고, 동체(100)의 선단부(102)에는 상기 동체(100)의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내경사면(101a), 또는 내면에서 외면으로 경사지게 가공된 경사면(101a, 101b)을 형성하여 동체(100)의 선단부(102)를 예리한 원형 칼날의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인체 조직을 용이하게 뚫고 들어갈 수 있게 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100 is formed in a garden shape with an inner diameter of 1 to 10 mm and an inner diameter of the body 100 is reduc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0, The inclined surfaces 101a and 101b inclined to the outer surface from the inner inclined surface 101a are formed so that the distal end portion 102 of the moving body 1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harp circular blade so as to easily penetrate the human body tissue do.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 반대쪽은 자궁경부 조직적출기(1)의 니들 연결부에 연결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조직적출기는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 조직 채취를 위하여 사용하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이미 의료계에서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사용 예가 있으므로 그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의 도시는 생략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pposite side of the distal end 102 of the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needle connection part of the cervical tissue extractor 1 and that the tissue extractor is used for collecting the cervical tissue in the obstetrician As a general example, there are various uses already known in the medical field, so that specific explanations and drawings are not shown.

상기 조직적출부(200a, 200b, 200c, 200d, 200e)는 상기 동체(100)의 내부로 돌출 형성하되, 그 형상은 환상으로 돌출 형성하거나, 평면상에서 볼 때 삼각, 사각, 다각 또는 기하학적 형상으로 된 조직적출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하며, 다수를 돌출 형성하는 경우에는 방사형으로 배치하되, 방사형으로 배치된 각 조직적출부의 내측 단부(202)가 서로 닿지 않도록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issue extracting units 200a, 200b, 200c, 200d, and 200e are formed to protrude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00, and the shape of the tissue extracting units 200a, 200b, 200c, 200d, and 200e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rectangular, At least one protruding tissue extract is provided and radially arranged whe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such that the inner ends 202 of the radially arranged tissue extracts do not touch each other.

상기 스토퍼(300)는 상기 동체(100)의 외주면에 구비하되, 동체(100)의 외경보다 1~1.5㎜ 크게 형성하고, 동체(100)의 선단부(102)에서 상기 스토퍼(300) 저면 간의 거리는 3~5㎜로 형성하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stopper 300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100 and is formed to be 1 to 1.5 mm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oving body 100.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 102 of the moving body 1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pper 300 3 to 5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상기 동체(100)의 외주면에는 지지수단(103a, 103b, 103c)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300)에는 상기 지지수단(103a, 103b, 103c)과 결속하여 스토퍼의(30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301a, 301b, 301c)을 더 구비하여 동체(100)의 선단부(102)에서 상기 스토퍼(300) 저면 간의 거리를 2~10㎜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케 형성함으로써 동체(100) 선단부의 환부 침투 깊이를 조절하여 적출조직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That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100 is provided with supporting means 103a, 103b, 103c, and the stopper 300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means 103a, 103b, 103c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topper 300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 102 of the moving body 1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pper 300 can be adjusted within a range of 2 to 10 mm by providing fixing means 301a, 301b, and 301c for fixing the distal end of the moving body 100, The amount of tissue to be removed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lesion.

또한, 상기 동체(100)의 경사면(101a, 101b)에는 상기 경사면을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하는 조직절단수단(400)을 더 구비하여 동체(100) 선단부의 자궁경부 조직 침습 후 동체(100) 내로 유입된 적출조직 하단부 절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tissue cutting means 400 disposed transversely to the inclined surfaces 101a and 101b of the body 10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100 after invasion of the cervical tissue at the distal end of the body 10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utting force at the lower end of the introduced extracted tissue.

상기 조직절단수단(400)은 자궁경부 조직의 절단이 가능한 금속 또는 비금속재로 된 와이어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issue cutting means 400 is provided with a wire made of metal or nonmetallic material capable of cutting the cervical tissu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1실시 예로서 상기 내경사면(101a)은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에서 내주면 쪽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직적출부(200a)는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 내주면에서 내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조직적출부(200a)의 내측 단부가 상기 내경사면(101a)과 접하도록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1 and 2 illustrate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ner inclined surface 101a is form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the distal end portion 102 of the moving body 100, The body portion 200a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102 of the moving body 100 so that the inner end of the tissueextraction portion 200a contacts the inward inclined surface 101a.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2실시 예로서 상기 외경사면(101b)은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에서 외주면 쪽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직적출부(200b)는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에서 내향으로 절곡 형성하되, 상기 조직적출부(200b)는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에 3~4개를 방사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3 to 4 illustrate a second embodiment of the needle for cervical tissue ej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outer diameter slope 101b is formed from the distal end 102 of the moving body 100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tissue extracting unit 200b is formed by bending three or four pieces of the tissue extracting unit 200b radially from the distal end portion 102 of the moving body 100, have.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3실시 예로서 상기 내경사면(101a)은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에서 내주면 쪽으로 형성하고,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 주벽에는 3~4개의 절개홈(201)을 방사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각 절개홈(201)에 의해 형성된 조직적출부(200c)를 상기 동체(100)의 내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할 수 있다.5 to 6 illustrate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plor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ner inclined surface 101a is formed from the distal end portion 102 of the moving body 100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ree or four cutting grooves 201 are radially formed on the peripheral wall of the distal end portion 102 of the moving body 100 so that the tissue cutting portion 200c formed by each cutting groove 201 is bent can do.

첨부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4실시 예로서 상기 내경사면(101a)은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에서 내주면 쪽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직적출부(200d)는 상기 동체(10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내향으로 돌출된 하나의 탄편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7 to 8 illustrate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ner inclined surface 101a is formed from the distal end 102 of the body 100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ingle piece of the elastic member 200d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0 and protruding inwardly may be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or the like.

이때, 상기 조직적출부(200d)가 용접으로 부착되는 상기 동체(100)의 주벽 일측은 길이 방향으로 일부를 평탄하게 형성하여 상기 조직적출부(200d)의 부착이 견고하게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body 100 to which the tissue extractor 200d is attached by welding is formed fla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attachment of the tissue extractor 200d can be firmly and easily performed .

첨부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5실시 예로서 상기 내경사면(101a)은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에서 내주면 쪽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직적출부(200e)는 상기 동체(100)의 내주면에서 내향으로 돌출 형성하되, 동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연속 형성하여 적출조직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ner inclined surface 101a is formed from the distal end 102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0, Can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100 and continuously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100 to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extracted tissue.

첨부도면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6실시 예로서 상기 내경사면(101a)은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에서 내주면 쪽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직적출부(200a)는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 내주면에서 내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조직적출부(200a)의 내측 단부가 상기 내경사면(101a)과 접하도록 원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경사면을 가로지르게 금속 또는 비금속재 와이어로 된 조직절단수단(4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10 to 11 illustrate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ner inclined surface 101a is formed from the distal end portion 102 of the moving body 100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200a)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102) of the body (100) so that the inner end of the tissue extractor (200a) contacts the inner inclined surface (101a), and the inclined surfac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issue cutting means 400 which is made of a metal or non-metallic material.

상기 조직절단수단(400)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10)이 자궁경부 조직 내부에 침습한 후, 상기 니들(10)의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동체(100) 내부로 유입된 적출조직의 절단에 의한 자궁경부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The tissue cutting means 400 is a means for cutting the tissues of the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needle 10 for cervical tissue explor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filtrates into the cervical tissue,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cervix from the cervix.

첨부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7실시 예로서 상기 동체(100)와, 동체의 선단부에 결합하는 날부(102a)를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하여 일체가 되도록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동체(10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동체의 선단부에 결합하는 날부(102a)는 견고한 금속재로 형성하여 절단성을 확보하여 상기 날부(102a)를 상기 동체(102)의 선단부에 끼워서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12 is a seventh embodiment of the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ody 100 and the blade part 102a, which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body,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can do. That is, the body 1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blade part 102a, which is coupled to the tip of the body, is formed of a solid metal material to ensure cutability, It can be sandwiched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body 102 and fix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o be integrated.

첨부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8실시 예로서 상기 동체(100)의 외주면에는 동체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암나사 형태의 지지수단(103a)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수단(103a)을 동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동체(100)와 상기 스토퍼(300)를 무두볼트 형태의 고정수단(301a)으로 한꺼번에 체결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동체(100)의 선단부와 스토퍼(300)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13 is an eighth embodiment of a needle for cervical tissue ex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with supporting means 103a in the form of a female screw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1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The means 103a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100 so that the moving body 100 and the stopper 300 can be fastened together with the fastening means 301a of the headless bolt type,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stopper 300 and the distal end of the stopper 300 can be adjusted.

첨부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9실시 예로서 상기 동체(10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 형태의 지지수단(103b)을 구비하고, 환상으로 된 상기 스토퍼(30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 형태의 고정수단(301b)을 더 구비하여, 상기 동체(100)와 상기 스토퍼(300)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동체(100)의 선단부와 스토퍼(300)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14 is a ninth embodiment of the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plor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with a male-like support means 103b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1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body 100 and the stopper 300 can be adjusted by screwing the body 100 and the stopper 300 together.

첨부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의 제10실시 예로서 상기 동체(100)의 외주면에는 홈 형태의 지지수단(103c)을 동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300)에는 상기 지지수단(103c)에 끼워져 스토퍼의(300)의 위치를 고정하는 돌기 형태의 고정수단(301c)을 더 구비함으로써 동체(100)의 선단부와 스토퍼(300)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15 is a tenth embodiment of the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grooved support means 103c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10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100 And the stopper 300 is further provided with fixing means 301c in the form of a projection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300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means 103c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end of the moving body 100 and the stopper 300 You can control the distanc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을 사용하여 자궁경부의 조직을 적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ocedure of extracting a cervical tissue using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은 첨부도면 도 16과 같이 자궁경부 조직 적출을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조직적출기(1)의 선단부(102)에 설치한 후, 조직적출기(1)의 장전부를 뒤로 당겨 조직적출기(1)의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하는데, 상기 조직적출기(1)는 장전부의 장전과 발사를 위한 코일스프링(11)과, 그 코일스프링의 탄성을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로 전달하는 로드(12)와, 자궁경부 조직 적출을 수행하는 시술자가 잡고 작동할 수 있는 손잡이(13)로 구성되며, 손잡이 내부에는 장전을 하기 위한 고정 기어와 발사 단계를 조절할 수 있는 단계별 Locking장치 등을 구비한 것으로서,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 조직 적출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자궁경부 조직적출기(1)를 사용한다. The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istal end portion 102 of a tissue extractor 1 used for cervical tissue extraction as shown in FIG. 16, The tissue extractor 1 is fixed with the coil spring of the tissue extractor 1 being compressed so as to be compressed. The tissue extractor 1 is composed of a coil spring 11 for loading and discharging the loader, A rod 12 for delivering the cervical tissue to the needle for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andle 13 capable of holding and operating by a practitioner performing cervical tissue extraction, And a stepwise lock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iring phase. The cervical tissue extractor (1), which is generally used for the removal of the cervical tissue from the obstetrician, is used.

그리하여 질확대경을 이용해 자궁경부를 관찰하면서 조직적출기(1)의 선단부(102)에 설치된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을 자궁경부 상에서 조직을 적출하기 위한 지점에 위치시킨 후, 조직적출기(1)의 핸들에 설치된 작동부를 누르거나 당겨 상기 장전부를 코일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앞으로 발사한다.Then, the cervical tissue extractor nee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t the distal end portion 102 of the tissue extractor 1 was placed at a position for extracting the tissue on the cervix, while observing the cervical portion using a collimator, 1) is pushed or pulled by pushing the operating part provided on the handle of the first arm (1) by using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따라서 첨부도면 도 17과 같이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이 자궁경부의 조직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동체(100)의 예리한 선단부(102)가 자궁경부 조직을 1차로 침습하고, 상기 동체(100)를 자궁경부에서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직적출부의 내측 단부(202)가 자궁경부 조직을 2차로 침습함으로써 동체(100) 내부로 자궁경부 적출조직(500)이 유입되면서 조직적출부 상에 적재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7, the cervical tissue extractor nee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tissue of the cervix and the sharp tip 102 of the body 100 firstly invades the cervical tissue, The cervical tissue 500 is infiltrated into the body 100 by the second side of the cervical tissue by the medial end 202 of the tissue extraction part during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cervical tissue from the cervix.

이때, 상기 1차 침습에 의해 동체(100) 내부로 유입된 자궁경부 적출조직과, 자궁경부 조직 간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동체(100)에 형성된 경사면에는 상기 경사면을 횡으로 가로지르는 와이어 형태의 조직절단수단(400)을 더 구비하여, 상기 동체(100)을 회전시킴으로써 조직절단수단(400)에 의해 동체(100) 내부로 유입된 적출조직(500)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between the cervical tissue extracted into the body 100 by the primary invasion and the cervical tissue, a wire type transverse crossing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body 100 The tissue cutting means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issue cutting means 400 for rotating the body 100 so that the separated tissue 500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by the tissue cutting means 400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do.

아울러, 동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300)는 동체(100)가 자궁경부 표면에서 그 조직 내부로 약 3~5㎜의 깊이로만 투입된 후, 동체(100)가 더 이상 투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궁경부 조직을 적출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에 의한 자궁경부의 천공이나 과다 조직 적출을 방지함으로써 자궁경부 조직 적출에 따른 자궁경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topper 300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100 prevents the moving body 100 from being inserted after the moving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tissue from the cervical surface only to a depth of about 3 to 5 mm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cervical tissu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cervix due to the removal of the cervical tissue by preventing perforation of the cervix or removal of the excess tissue by the needle for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와 같이 자궁경부 조직을 적출함에 따라서 조직적출부에 의해 적출되어 동체(100) 내부에 유입된 자궁경부 조직의 크기는 자궁경부 표면 조직을 포함하여 직경이 1~10㎜이고, 높이가 3~5㎜의 크기로서 병리과에서 자궁경부 질환에 관한 조직검사를 시행하기에 충분한 양의 자궁경부 조직을 적출할 수 있게 되는데, 조직 적출 후 조직 검사 과정에서의 오염이나 손상에 따른 검사 실패 가능성을 고려하여 자궁경부 두세 곳에 걸쳐서 조직을 적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자궁경부 조직을 1회 적출한 후에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을 교체하거나,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에 의해 적출한 조직을 회수한 후 반복 사용하는 방법 또는 하나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을 이용하여 여러 차례 연속적으로 조직을 적출하는 방법 중 어느 한 가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cervical tissue that has been extracted by the tissue extraction unit and extracted into the body 100 according to the extraction of the cervical tissue is 1 to 10 mm in diameter including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cervix, The size of the cervix is 3 ~ 5mm, and the pathology department can extract enough cervical tissues to perform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for cervical disease. The possibility of failure of examination due to contamination or damage during histological examination It is preferable to remove the tissue over two or three cervical regions. After the cervical tissue is once extracted, the needle for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laced or the needle for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he method of recovering the tissue extracted by the method and repeatedly using the tissue or using the needle for one cervical tissue extractor, Extraction of the methods can be used to select any on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을 사용함으로써 조직적출기(1)의 의한 순간적인 발사에 의해 본 발명의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이 자궁경부 조직 내부에 순간적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동체(100) 내부에 조직이 적출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며 정확하게 자궁경부 조직을 적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량의 조직을 적출함으로써 자궁경부 조직 적출에 따른 자궁경부 손상이나 그에 따른 통증과 출혈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needle for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edle for cervical tissue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ntly inserted into the cervical tissue by instantaneous firing by the tissue extractor 1, ) Can extract the cervical tissue quickly, conveniently and accurately, as well as extract the optimal amount of tissue to minimize cervical damage resulting from removal of the cervical tissue and thus the pain and bleeding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조직적출기
10: 니들
100: 동체
101a, 101b: 경사면
103a, 103b, 103c: 지지수단
200a, 200b, 200c, 200d, 200e: 조직적출부
201: 절개홈
300: 스토퍼
301a, 301b, 301c: 고정수단
400: 조직절단수단
1: tissue extractor
10: Needle
100:
101a and 101b:
103a, 103b, 103c:
200a, 200b, 200c, 200d, 200e:
201: incision groove
300: Stopper
301a, 301b, and 301c:
400: tissue cutting means

Claims (9)

선단부(102)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관상 동체(100)와; 상기 동체 내부에 형성되어 환부의 조직을 적출하는 조직적출부(200a)와; 상기 동체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동체 선단부의 환부 침투 깊이를 조절하는 스토퍼(300)를 포함하여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을 구성하되;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내경사면(101a)과, 상기 동체(100)의 외주면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외경사면(101b)를 포함하고;
상기 조직적출부(200a)는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 내주면에서 내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조직적출부(200a)의 내측 단부가, 상기 내경사면(101a)과 접하게 하거나,
상기 조직적출부(200b)는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에서 내향으로 절곡 형성하되, 상기 조직적출부(200b)는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에 방사형으로 배치 형성하거나,
상기 조직적출부(200c)는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102) 주벽에는 절개홈(201)을 방사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절개홈(201)에 의해 형성된 조직적출부(200c)를 상기 동체(100)의 내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하거나,
상기 조직적출부(200d)는 상기 동체(100)의 내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하는 대신에, 상기 동체(10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내향으로 돌출된 탄편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조직적출부(200e)는 상기 동체(100)의 내주면에서 내향으로 돌출 형성하되, 동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연속 형성하는 조직적출부 구성 중 한 가지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
A tubular body (100) forming an inclined surface on the tip (102); A tissue extracting unit 200a formed inside the body to extract the tissue of the affected part; And a stopper (300)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to adjust a penetration depth of the affected part of the distal end of the body, thereby forming a needle for a cervical tissue extractor;
The inclined surface includes an inner inclined surface 101a whose inner diameter is reduced from the front end of the moving body 100 to the inside thereof and an outer diameter inclined surface 101b whose out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distal en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100;
The tissue extractor 200a may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102 of the body 100 so that the inner end of the tissue extractor 200a may contact the inner oblique surface 101a,
The tissue extractor 200b may be formed in a radial manner at the distal end 102 of the body 100, or may be formed in the distal end 102 of the body 100. Alternatively, the tissue extractor 200b may be bent inward at the distal end 102 of the body 100,
The tissue extractor 200c has a cutout groove 201 radially formed on the peripheral wall of the distal end portion 102 of the body 100 so that the tissue cutout portion 200c formed by the cutout groove 201 is inserted into the body 100, or alternatively,
The tissue extracting unit 200d may be formed by a bullet which i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100 and protrudes inwardly instead of being bent obliquely inwardly of the moving body 100,
The tissue extracting unit 200e selectively applies one of the structures of the tissue extracting unit which is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100 and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100 Characterized by a needle for cervical tissue extra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100)의 경사면에는 상기 경사면을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하는 조직절단수단(40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d a tissue cutting means (400) provid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body (100) so as to cross the inclined surface transvers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10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상기 동체(100)의 선단부에 결합하는 날부(102a)는 환상의 금속재로 형성하여, 상기 날부(102a)를 상기 동체(102)의 선단부에 끼워서 접착제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blade body 102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blade part 102a that is coupled to the tip of the body 100 is formed of an annular metal material so that the blade part 102a is sandwiched by the tip of the body 102, Of the needle for cervical tissue extra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100)의 외주면에는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300)에는 상기 지지수단과 결속하여 스토퍼의(30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여, 동체(100)의 선단부(102)에서 상기 스토퍼(300) 저면 간의 거리를 조절 가능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조직적출기용 니들.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opper 3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300 by being coupled with the supporting means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body 100 102),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pper (300) and the needle of the cervical tissue extractor is adjust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70640A 2014-12-02 2014-12-02 Cervical tissue extractor needle KR1016524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640A KR101652477B1 (en) 2014-12-02 2014-12-02 Cervical tissue extractor nee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640A KR101652477B1 (en) 2014-12-02 2014-12-02 Cervical tissue extractor nee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61A KR20160066361A (en) 2016-06-10
KR101652477B1 true KR101652477B1 (en) 2016-08-31

Family

ID=5619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640A KR101652477B1 (en) 2014-12-02 2014-12-02 Cervical tissue extractor nee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47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157A (en) 2017-08-31 2019-03-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Medical Device for Cervical Biops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6313B2 (en) * 2018-02-01 2022-03-15 高島産業株式会社 Biometer and biome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632A (en) * 1998-11-30 2000-06-13 Tokyo Enpura Shoji Kk Injection needle for animal
US20060178699A1 (en) * 2005-01-20 2006-08-10 Wilson-Cook Medical Inc. Biopsy forceps
JP2008528207A (en) * 2005-01-28 2008-07-31 ザ ジェネラル ホスピタル コーポレーション Biopsy needle
US20090030340A1 (en) * 2007-07-26 2009-01-29 Mc Clellan W Thomas Biopsy Needle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and Associated Trap Doo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P9802330A3 (en) 1995-03-02 1999-04-28 Gaber Benny Uterine tissue collector
IL124361A0 (en) 1998-05-07 1998-12-06 Benny Gaber Uterine tissue collector
KR200259684Y1 (en) 2001-09-22 2002-01-09 주식회사 지산에스티 Implement to gather cells of the uterine cervical region
US9788820B2 (en) 2011-12-15 2017-10-17 Femasy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cervical cell and tissue sampl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632A (en) * 1998-11-30 2000-06-13 Tokyo Enpura Shoji Kk Injection needle for animal
US20060178699A1 (en) * 2005-01-20 2006-08-10 Wilson-Cook Medical Inc. Biopsy forceps
JP2008528207A (en) * 2005-01-28 2008-07-31 ザ ジェネラル ホスピタル コーポレーション Biopsy needle
US20090030340A1 (en) * 2007-07-26 2009-01-29 Mc Clellan W Thomas Biopsy Needle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and Associated Trap Do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157A (en) 2017-08-31 2019-03-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Medical Device for Cervical Biops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61A (en)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1202A (en) Biopsy cannula
US4799494A (en) Percutaneous aspiration lung biopsy needle assembly
US3777743A (en) Endometrial sampler
Pascottini et al. Comparison between cytology and histopathology to evaluate subclinical endometritis in dairy cows
US4662376A (en) Obstetrical instrument for rupturing the amniotic membranes
JP6535790B2 (en) Endometrial sampling device
US4318414A (en) Probe for obtaining cervical mucus
US8696561B2 (en) LEEP safety guard
US20150018714A1 (en) Step-shaped endometrial curette
EP3434220A1 (en) Intrapulmonary marker
JP20165316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varian cancer screening
KR20150116689A (en) Needle for EUS-FNA
US118830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rauterine insemination
KR101652477B1 (en) Cervical tissue extractor needle
CN107072688A (en) Medical treatment device
KR102030238B1 (en) Medical Device for Cervical Biopsy
KR102204506B1 (en) Swab assembly for specimen collection
Kitiyodom The adequacy of endometrial sampling: comparison between manual vacuum aspiration and metal curettage method
Kouider et al. Ultrasonographic and cytological diagnosis of endometritis in the mare
CA2464565A1 (en) An obstetrical instrument for rupturing the amniotic membranes and collecting fluid therefrom
KR20090008667U (en) Tool for biopsy
CN101828944B (en) Focus enucleation device by percutaneous puncture
KR102466541B1 (en) Device for amniotomy and amniofluic sampling
KR102539420B1 (en) A Surgical Equipment
CN203208055U (en) Novel rectal lump biops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