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149B1 - Easy to wear and take off baby shoes - Google Patents

Easy to wear and take off baby sh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149B1
KR101649149B1 KR1020140149085A KR20140149085A KR101649149B1 KR 101649149 B1 KR101649149 B1 KR 101649149B1 KR 1020140149085 A KR1020140149085 A KR 1020140149085A KR 20140149085 A KR20140149085 A KR 20140149085A KR 101649149 B1 KR101649149 B1 KR 101649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hoe
cover
skin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0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0588A (en
Inventor
이선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박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박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박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49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149B1/en
Publication of KR20160050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5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1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43B3/08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with rubber or elastic insertions or guss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specially adapted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발등을 감싸며 중앙에 신발의 삽입구와 통하게 형성된 개구부 전방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양측에 한 쌍의 제1수컷접착부재를 가진 발등갑피부; 상기 발등갑피부와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아의 발 내,외측면을 감싸는 발측면갑피부; 상기 관통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고 내측 양단에 상기 제1접착부재에 각각 부착되는 제1암컷접착부재를 가진 결속커버; 유아의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발측면갑피부와 수직절개부에 의해 분리되며, 상단에 밴드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는 밑창의 뒤꿈치부에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게 이루어진 발뒤꿈치갑피부; 및 상기 밴드관통홀을 통과한 양단부가 상기 발측면갑피부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가 뒤로 젖혀질 때 신축되도록 하는 탄력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아의 발등을 결속하기 위한 벨크로테이프를 갖는 결속커버가 발등보호덮개와 일체 또는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신발의 발등을 감싸는 결속방식을 신발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 당기도록 함으로써 신발을 신을 때 신발이 옆으로 돌아가거나 벗겨지지 않게 되는 등 유아용 신발을 용이하게 신고 벗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신발 발뒤굽치갑피 부위가 뒤쪽으로 젖혀질 때 탄력밴드가 충분히 늘어나면서 젖혀짐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신발을 신고 벗길 수 있으며, 신발 착용 후에는 탄력밴드에 의해 안정적인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 cap having a pair of first male bonding members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the opening being formed in front of an opening formed through the insertion port of the shoe to surround the foot of the infant, A foot side skin covering the inside of the foot and the outside of the foot of the infant; A binding cover having a connecting portion supported by the penetrating portion and formed so as to be wider toward the outer side than the connecting portion and having a first female bonding member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is fix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sole so as to be folded back, and the lower heel portion is fix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sole, skin; And an elastic band which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kin of the foot side cap so that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can pass through the band through-hole to be stretched and contracted when the heel cap skin is tilted backwar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ing cover having the Velcro tape for binding the foot of the infant is connected to the foot protection cover either integrally or in a prefabricated manner so as to pull the binding method for wrapping the foot of the shoe from the front to the back of the shoe, The shoes can be easily peeled off because the shoes are not returned to the side or peeled off. In additio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toe of the shoe back is bent backward, the elastic band is sufficiently stretched and tilted so that the shoe can be easily peeled off, and a stable fit can be maintained by the elastic band after shoe wear.

Description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Easy to wear and take off baby shoes} Easy to wear and take off baby shoes

본 발명은 유아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을 신을 때 발뒤꿈치갑피부가 발 사이즈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뒤로 젖혀지도록 하며, 착용 후에는 발뒤꿈치를 안정적으로 감싸도록 하여 착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발등갑피부 개구부를 단속하는 결속커버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당겨 부착시키도록 이루어진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wear for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footwear which can be easily worn backward in response to foot size when the shoe is worn and stably wrapped around the heel after wearing. And a binding cover for interrupting the opening of the foot cap skin is pulled and attach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기존의 유아용 신발의 발등 결속구조를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진 결속밴드가 발등의 횡 방향으로 감싸면서 부착되도록 이루어져 있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conventional tying fastening structure of the infant shoe is constructed such that a binding band made of a Velcro tape is wrapped and attach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oot.

이에 따라 유아 발에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결속밴드(암컷)를 횡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신발 발등갑피부에 부착된 결속부(벨크로수컷)에 부착하여 결속하였기 때문에 유아용 신발이 옆으로 돌아가거나 신발이 벗겨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함으로써 유아에게 신발을 신겨 주는데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As a result, since the tie band (female) was pulled in the lateral direction while the shoe was worn on the foot of the infant, and the tie band was attached to the binding portion (male) This frequent occurrence of peeling caused a very troublesome problem in wearing shoes for infants.

또한, 벨크로결속밴드가 적용된 유아용 신발은 벗는 과정에서도 결속밴드가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 스스로 신발을 벗지 못하므로 부모가 뒤꿈치 부분을 잡고 힘껏 당기면서 매번 벗겨줘야 함으로써 유아의 발목이 심하게 꺽이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infant shoes with the Velcro fastening band are firmly fastened to the binding band even in the process of taking off, so the baby can not take off his shoes, so the parents have to take the heel part and pull it hard to peel each time, And the like.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밴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결속밴드가 개별적으로 부착된 유아용 신발인 경우에도 각각의 결속밴드를 신고 벗기는 과정에서 2차례에 걸쳐 때었다가 부착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2, even when the pair of binding bands is a pair and each of the binding bands is separately attached, it is inconvenient that the pair of binding bands must be peeled off twice there was.

또한, 신발끈이 적용된 유아용 신발은 끈을 풀고 매어주는 것이 불편하기 때문에 장식적인 요소로 신발끈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In addition, the shoe strap has been fixed with a decorative element because it is inconvenient to untie and tie the strap.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이 적용된 유아신발의 입구 측면이나 뒤굼치에 인접한 부분에 넓은 고무밴드를 재봉처리함으로써 신발을 벗길 때 고무밴드가 늘어나면서 신발이 잘 벗겨지도록 하였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a wide rubber band is sewn on the side of the entrance of the infant shoe to which the shoelace is applied or the area adjacent to the rear hatch, so that the rubber band is stretched when the shoe is peeled.

하지만 유아용 신발은 전체적인 크기가 작기 때문에 180mm 이하의 영,유아용 사이즈에서는 고무밴드 설치 공간을 넓게 형성할 수 없으므로 고무밴드가 늘어나는 구간이 짧아 신축력이 떨어져 신발을 신기거나 벗기는 과정에서 고무밴드가 잘 늘어나지 못하여 신발을 신고 벗기는데 매우 불편하다However, since the overall size of the infant shoes is small, it is not possible to form the rubber band mounting space at a size of 180 mm or less in the infant size. Therefore, the stretching portion of the rubber band is short and the rubber band is not stretched in the process of putting on or peeling off the shoes I am very uncomfortable to take off my shoes.

이처럼 고무밴드 부분이 전혀 없는 신발보다는 나을 수 있겠지만 유아 신발을 신어주는 과정에서 크게 편리함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내재되어 있었다.Although it may be better than shoes with no rubber band like this,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can not provide a great convenience in the process of putting on shoes for infants.

그리고, 신발 측면에 고무밴드가 노출된 상태이므로 유아용 신발의 디자인이 깜찍하고 미려하게 디자인 할 수 없는 한계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rubber band is exposed on the side of the shoe,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design of the shoe for the infant can not be designed so beautifully and beautifully.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유사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5441호 "와이어 조임구를 구비한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A similar prior art for solving such conventional problem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715441 entitled " Shoes having a wire fastener ".

선행기술은 와이어와 와이어조임구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발 뒤꿈치가 항상 신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조임구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Art [0002] The prior art relates to a shoe provided with a wire tightening means which is provided with a wire and a wire tightening means so that the heel of the wearer can always be fixed to the shoe so that the posture of the wearer can be stably maintained.

이처럼 선행기술의 와이어조임구를 구비한 신발은,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며, 전방 중앙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갑피, 이 메인갑피의 하측에 결합되는 밑창,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발등을 덮는 발등보호갑피, 상기 개구부 및 메인갑피의 양 측면과 후방을 감싸도록 연장되는 와이어, 상기 메인갑피 또는 발등보호갑피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조여주는 와이어조임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발등보호갑피의 외측에는 일단이 봉제되고 타단은 고정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한 전면커버가 더 설치되는 구성이다.The footwear having the wire fastening means of the prior art has a main upper portion formed with an outer shell and an inner skin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front center thereof, a sole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main upper portion, A wire extending around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the main upper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main upper, and a wire tightening means coupled to the main upper or the foot protection upper to tighten the wire, And a front cover which is detachable by the fix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at the other end.

하지만 선행기술은 신발을 조임력을 가변하는 와이어 조임구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단가가 높은 문제가 있어 유아용 신발에 와이어 조임 방식의 구성을 적용하는데 부적합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suitable to apply a wire fastening configuration to a child's shoe due to a wire tightening device for varying tightening force of a sho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5441호Korean Patent No. 10-071544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아용 신발을 보다 용이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발뒤굼치갑피 전체가 뒤쪽으로 탄력적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하고 신발 착용 후에는 탄성 복원되어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an infant's foot so that the entire lower back of the foot can be elastically tilted backwar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sy-to-take off shoes for infants.

본 발명은 신발의 발등을 감싸는 결속방식을 변경한 것으로서, 신발 앞쪽에서 뒤꿈치 쪽으로 잡아당겨 신발의 발등갑피부의 양측에 벨크로와 같은 접착부재로서 부착하는 결속커버가 구비됨으로써 유아용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결속커버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편리하게 잡아당겨 발등갑피부에 부착시키도록 하여 유아의 발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으면서도 신발을 착용할 수 있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nding cover which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a footstep skin of a shoe as an adhesive member such as a velcro by pulling the shoe from the front of the shoe toward the heel so as to wrap the foot of the sho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sy-to-peel and easy-to-peel footwear for a child, which can easily be pulled from the front to the back to attach the binding cover to the skin of the foot cap so that the footwear can be worn without giving excessive force to the foot of the infant.

본 발명은 결속커버에는 발등갑피부 내측에 위치되는 발등보호덮개와 일체 또는 조립식으로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그 연결부위는 신발의 발등 갑피를 관통하여 장착됨으로써 결속커버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당겨 부착시키면서 발등갑피부와 발등보호덮개가 함께 부착되도록 착용 후 신발이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이루어진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ing cover is integrally o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oot protection cover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oot cover skin,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mounted through the foot top of the shoe to pull the binding cover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sy-to-peel footwear for infants which is made to prevent the shoe from being easily peeled off after attaching the toe cap skin and the foot protection cover together.

본 발명은 결속커버와 발등보호덮개의 원단 재질을 신발 본체와 색다른 원단이나 재질의 적용이 가능하므로보다 다양한 형태의 유아용 신발의 디자인이 가능하고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abric material of a binding cover and a foot protection cover as a different material from that of a shoe main body, so that it is possible to design various types of infant shoes and to supply to consumers at a low price. Sho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은,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아의 발등을 감싸는 발등갑피부; 상기 발등갑피부와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아의 발 내,외측면을 감싸는 발측면갑피부; 유아의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발측면갑피부와 수직절개부에 의해 분리되며, 상단에 밴드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는 밑창의 뒤꿈치부에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게 이루어진 발뒤꿈치갑피부; 및 상기 밴드관통홀을 통과한 양단부가 상기 발측면갑피부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가 뒤로 젖혀질 때 신축되도록 하는 탄력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step arm covering the instep of an infant; A foot side skin covering the inside of the foot and the outside of the foot of the infant; And the lower end portion is fix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sole so as to be folded back, and the lower heel portion is fix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sole, skin; And a resilient band which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foot side skin to extend and contract when the heel's skin is tilted backwar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은,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아의 발등을 감싸며 중앙에 신발의 삽입구와 통하게 형성된 개구부 전방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발등갑피부; 상기 개구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수컷접착부재; 및 상기 관통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고 내측 양단에 상기 제1수컷접착부재에 각각 부착되는 제1암컷접착부재를 가진 결속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oe cap skin having a penetrating par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pening of the opening formed with the insertion port of the shoe to surround the foot of the infant; A pair of first male bonding member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a binding cover having a connecting portion supported by the penetrating portion and formed so as to be wider as going out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and having a first female bonding member attached to the first male bonding member at both inner ends thereof,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은,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아의 발등을 감싸며 중앙에 신발의 삽입구와 통하게 형성된 개구부 전방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양측에 한 쌍의 제1수컷접착부재를 가진 발등갑피부; 상기 발등갑피부와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아의 발 내,외측면을 감싸는 발측면갑피부; 상기 관통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로부터 상기 삽입구 쪽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고 내측면 양단에는 상기 제1수컷접착부재에 각각 부착되는 제1암컷접착부재를 가진 결속커버; 유아의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발측면갑피부와 수직절개부에 의해 분리되며, 상단에 밴드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는 밑창의 뒤꿈치부에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게 이루어진 발뒤꿈치갑피부; 및 상기 밴드관통홀을 통과한 양단부가 상기 발측면갑피부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가 뒤로 젖혀질 때 신축되도록 하는 탄력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oe cap having a pair of first male bonding members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the penetrating portion being formed in front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pening of the shoe to surround the foot of the infant; A foot side skin covering the inside of the foot and the outside of the foot of the infant; A binding cover having a connecting portion supported by the penetrating portion and formed so as to be wider from the connecting portion toward the insertion port and having a first female adhesive member attached to the first male bonding member at both ends of the inner side; And the lower end portion is fix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sole so as to be folded back, and the lower heel portion is fix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sole, skin; And an elastic band which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kin of the foot side cap so that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can pass through the band through-hole to be stretched and contracted when the heel cap skin is tilted backward.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아의 발등을 감싸도록 상기 결속커버와 대응되게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삽입구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발등보호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the foot protection cover which is formed to be wider from the connection portion toward the insertion port so as to cover the foot of the infant, and is integrally or separate from the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속커버 내측면에는 제2암컷접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발등보호덮개 외측면에는 상기 제2암컷접착부재에 부착되는 제2수컷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female adhesive member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inding cover, and a second male adhesive member attached to the second female adhesive member on the outer side of the foot protecting cover.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속커버와 상기 발등보호덮개는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커버에는 2등분 또는 3등분으로 포개어 상기 관통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접이안내선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ing cover and the foot protecting lid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folding guide line for allowing the penetrating portion to be overlaid on the binding cover in two or three equal parts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속커버와 상기 발등보호덮개의 각 내측단부는 상기 관통부에 나사식 또는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inner ends of the binding cover and the foot protecting lid can be assemb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rst fastening member screwed or fitted to the fastening cover.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관통부 외측에 드러나는 장식헤드부와 상기 장식헤드부와 나사조립 또는 억지 끼움되는 고정헤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헤드부에는 발등을 보호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astening member is composed of a decorative head portion exposed outside the penetrating portion and a fixing head portion screwed into or engaged with the decorative head portion, and the fixing head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tection cap .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관통부 내주면에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부와, 상기 결속커버와 상기 발등보호덮개 각 내측단부가 상기 걸림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리부로 이루어진 제2체결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astening member for a motorcycle, which comprises a pair of fastening portions to be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a pair of fastening members,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a pair of annular portions,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관통부 내주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metal or synthetic resin reinforcing member assembled to sur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hol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력밴드는 엘라스틱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band may be formed of an elastic band.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력밴드의 중간부는 상기 밴드관통홀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헤드부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고정헤드부로부터 탄력밴드 양단부 사이의 신축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dle portion of the elastic band may be fixed by at least one or more fixed head portions in the band through-hole to adjust the stretching forc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from the fixed head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은 신발 앞쪽에서 뒤꿈치 쪽으로 잡아당겨 신발의 발등갑피부의 양측에 벨크로와 같은 접착부재로서 부착하는 결속커버가 발등보호덮개와 일체 또는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신발의 발등을 감싸는 결속방식을 신발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 당기도록 함으로써 신발을 신을 때 신발이 옆으로 돌아가거나 벗겨지지 않게 되는 등 유아용 신발을 용이하게 신고 벗길 수 있게 된다.The foot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ull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shoe to the heel so that the binding cover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footrest skin of the shoe as an adhesive member such as Velcro is integrally or assembled with the foot protection shoe, So that the shoe is not returned to the side or peeled off when the shoe is put on, so that the shoe for the infant can be easily peeled off.

또한, 신발 발뒤굽치갑피 부위가 뒤쪽으로 젖혀질 때 탄력밴드가 충분히 늘어나면서 젖혀짐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신발을 신고 벗길 수 있으며, 신발 착용 후에는 탄력밴드에 의해 안정적인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toe of the shoe back is bent backward, the elastic band is sufficiently stretched and tilted so that the shoe can be easily peeled off, and a stable fit can be maintained by the elastic band after shoe wear.

또한, 본 발명은 결속커버와 발등보호덮개의 원단 재질을 신발 본체와 색다른 원단이나 재질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유아용 신발의 디자인이 가능하고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fabric material of the binding cover and the foot protection cover can be applied to the shoe main body and different fabrics or materials, it is possible to design various types of shoes for infants and to provide them to consumers at a low price.

아울러, 이러한 기재된 내용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effect of the described contents is obviously exerted by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 inventor perceives it or not, the above-mentioned effect is only som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tents described, It should not be accepted.

또한, 기재된 내용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 of the described disclosure should be further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that,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It should be seen as an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유아용 신발의 결속 구성과 그 문제점을 나타낸 유아용 신발 측면사진들과 요부확대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 절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의 결속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의 결속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FIGS. 1 to 3 illustrate a conventional fastening structure of a shoe for infants,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fant ' s shoe which is easy to peel 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ly cutaway side sectional view of Fig. 4,
FIG. 6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binding configuration of a child's sho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binding configuration of a shoe for a chi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addi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절개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의 결속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의 결속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fant shoes which is easily peeled 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 cutaway side sectional view of FIG. 4, and FIG.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binding structure of a shoe for a chi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일 실시형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신발(100)의 뒤꿈치부가 신고 벗기 용이하면서 탄력있게 결속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발등갑피부(10)와, 발측면갑피부(20)와, 발뒤꿈치갑피부(30) 및 탄력밴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binding a heel portion of an infant's shoe 100 in an elastic manner, (20), an insole (30) and an elastic band (40).

상기한 각 구성은 외피(부호 미도시)와 내피(부호 미도시)로 이루어지고,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완충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하단부는 신발(100)의 밑창(120) 뒤꿈치에 일체로 연결된다. (Not shown), and a cushioning member (not shown)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if necessary, Which is connected to the sole 120 of the heel.

상기 발등갑피부(10)는 유아의 발등 전체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중앙에 신발(100)의 삽입구(110)와 통하게 대략 "U"형으로 형성된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The toe cap skin 1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instep of the infant and has an opening 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n a substantially U-shaped manner through the insertion port 110 of the shoe 100.

상기 발측면갑피부(20)는 상기 발등갑피부(1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발목 복숭아뼈 하측 경계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The foot side skin 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kin 10 and is configured to surround an inner side surface a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ankle peach bone.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는 유아의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단부에 외피와 내피가 원형 단면으로 재봉처리되어 밴드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The heel cap skin 30 is configured to wrap the heel of the infant and has a band through hole 31 formed by sewing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in a circular cross section at the upper end.

그리고, 상기 발측면갑피부(20)와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의 경계에는 대략 세로 방향으로 일자형 또는 대략 "V"형태의 수직절개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가 상기 발측면갑피부(20)와 분리되고,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 하단부는 상기 신발(100)의 밑창(120)의 뒤꿈치부에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게 이루어진 구성이다.A vertical cut-out portion 21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oot side skin 20 and the heel's skin 30 in a generally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traight cutout portion 21, Is separated from the foot side skin 20 and the lower end of the heel's skin 30 is fixed to the heel of the sole 120 of the shoe 100 and is tilted backward.

상기 탄력밴드(40)는 단면형상이 원형의 와이어 또는 평단면인 밴드 형태의 엘라스틱(elastic)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elastic band 40 is made of a circular wire or a band-shaped elastic material having a flat cross section.

이러한 탄력밴드(40)는 상기 밴드관통홀(31)을 통과한 다음 그 양단부는 상기 발측면갑피부(20) 상단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재봉 처리된 탄력밴드고정부(41)를 형성하여 고정된다.The elastic band 40 is passed through the band through hole 31 and then the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40 are inserted between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of the upper end of the foot skin 20, And is fixed.

이처럼 상기 탄력밴드(40)는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중간부는 발뒤꿈치갑피부(30) 상단에 형성된 발목밴드부의 밴드관통홀(31)에 여유있게 삽입되어 탄력밴드(40)와 밴드관통홀(31) 사이에 신축 가능한 여유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발뒤꿈치갑피부(30)를 잡아당기면 탄력밴드(40)는 당겨지는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유동적인 상태가 된다.The elastic band 40 is fixed at both ends and the middl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and through hole 31 of the ankle band portion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eel ' 31, the elastic band 40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in the pulling direction when the heel's skin 30 is pulled out.

따라서, 유아의 발에 신발(100)을 착용할 때 유아의 발뒤꿈치를 넣기 전에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를 뒤로 쉽게 젖힐 수 있게 되고, 이때 탄력밴드(40)가 여유 있게 늘어나면서 신발(100)의 삽입구(110)가 확장되어 유아의 발에 신발(100)을 쉽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shoe 100 is worn on the foot of the infant, the heel's skin 30 can be easily tilted backward before the infant's heel is inserted. At this time, the elastic band 40 is stretched freely, 100 are extended to easily wear the shoe 100 on the foot of the infant.

이처럼 신발(100)을 착용한 후에는 늘어나 있던 탄력밴드(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가 다시 원상태로 줄어들게 되는데 이때에도 유아의 뒤꿈치전체를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가 안정적으로 감싸게 된다.After the wearer wears the shoe 100,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and 40 causes the heel cap skin 30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t this time, the entire heel of the infant can be restored to the heel's skin 30 ) Is stably wrapped.

특히,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의 상단부는 상기 발목밴드부의 밴드관통홀(31)에 엘라스틱의 재질의 탄력밴드(40)가 신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엘라스틱 재질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발목밴드부는 유아의 발뒤꿈치 부분을 심하게 가압하지 않고 적절한 탄력으로 발뒤꿈치를 안정적으로 조여주게 됨으로써 유아가 신발(100)을 걷거나 뛰어 다니더라도 신발(100)이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Particularly, since the elastic band 4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band through-hole 31 of the ankle band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heel's skin 30, The user can stably tighten the heel with appropriate elasticity without pressing the heel of the infant very much, so that the shoe 100 can not easily be peeled off even if the infant is walking or running around the shoe 100.

또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력밴드(40)의 중간부는 상기 밴드관통홀(31)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력조절부(42)가 형성되어 이 탄력조절부(42)로부터 탄력밴드(40) 양단부 사이의 신축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elasticity adjusting portion 42 is formed in the band through-hole 31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elasticity band 40, 40) to adjust the stretching force between both ends.

즉, 상기한 실시예는 탄력밴드(40) 예컨대, 엘라스틱 밴드가 밴드관통홀(31)에 통과되어 엘라스틱 탄력밴드(40)의 전체 길이가 유동적으로 신축가능한 구성이라면 상기한 탄력조절부(42)의 실시형태는 탄력밴드(40)의 중간부가 밴드관통홀(31)에 재봉이나 리벳팅 처리되어 고정됨으로써 이 탄력조절부(42)를 기준으로 탄력밴드(40) 길이 조절에 따른 신축력을 유아의 연령층 또는 발 사이즈에 대응하여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elastic band 40, for example, the elastic band is passed through the band through-hole 31 so that the entire length of the elastic elastic band 40 can be flexibly expanded and contracted, The middle portion of the elastic band 40 is fixed to the band through hole 31 by sewing or riveting so that the stretching force resulting from the adjustment of the elastic band 40 with respect to the elasticity adjusting portion 42 An age layer or a foot size.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신발(100)의 발등부위를 안정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발등갑피부(10)와, 발측면갑피부(20)와, 발뒤꿈치갑피부(30) 및 결속커버(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한 각 구성은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고,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완충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하단부는 신발(100)의 밑창(120)과 일체로 연결된다.4 and 5,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for stably binding a foot portion of an infant ' s shoe 100, including a foot cap skin 10, 20, a heel cap skin 30 and a binding cover 60.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s composed of an outer shell and an inner shell, and a buffering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And the lower ends thereof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ole 120 of the shoe 100.

상기 발등갑피부(10)는 유아의 발등 전체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중앙에 신발(100)의 삽입구(110)와 통하게 대략 "U"형으로 형성된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The toe cap skin 1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instep of the infant and has an opening 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n a substantially U-shaped manner through the insertion port 110 of the shoe 100.

상기 발측면갑피부(20)는 상기 발등갑피부(1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발목 복숭아뼈 하측 경계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The foot side skin 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kin 10 and is configured to surround an inner side surface a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ankle peach bone.

이러한 기본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제2실시 형태에 따른 유아용 신발(100)은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다.The sho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basic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먼저 상기 발등갑피부(10)는 개구부(11) 전방에 원형 또는 장방형의 관통부(12)가 형성되어 있다.First, a circular or rectangular penetrating portion 12 is formed in front of the opening 11 of the foot cap skin 10. [

그리고, 상기 개구부(11) 양측에는 한 쌍의 제1수컷접착부재(50)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1, a pair of first male bonding members 50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결속커버(60)는 상기 관통부(12)에 끼워져 지지되는 연결부(71)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71)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는 1/2 나비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coupling cover 60 has a connecting portion 71 that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penetrating portion 12 and is formed in a shape of ½ butterfly that is formed wider toward the outside from the connecting portion 71.

상기 결속커버(60)의 내측 양단에는 상기 제1수컷접착부재(50)에 각각 부착되는 제1암컷접착부재(51)를 가진 구성이다.And both inner ends of the binding cover 60 have a first female bonding member 51 attached to the first male bonding member 50, respectively.

상기 제1수컷접착부재(50) 및 제1암컷접착부재(51)는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male bonding member 50 and the first female bonding member 51 may be made of Velcro tape.

상기 연결부(71)는 관통부(12)에 끼워진 다음 재봉처리되어 고정됨으로써 결속커버(60)의 외측을 잡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당겨 발등갑피부(10) 위로 부착하여 결속할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ng portion 71 is fitted to the penetrating portion 12 and is sewed and fixed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71 is gripped on the outer side of the binding cover 60 and pull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so as to be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hair-

이때, 결속커버(60) 내측에 마련된 제1암컷접착부재(51)와 상기 개구부(11) 양측에 마련된 제1수컷접착부재(50)가 부착됨으로써 발등의 결속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irst male bonding member 51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inding cover 60 and the first male bonding member 5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1 are attached.

반대로 결속커버(60)를 전방으로 들어올려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암컷접착부재(51)와 제1수컷접착부재(50)가 분리됨으로써 발등의 결속 상태가 신속하게 해제되어 신발(100)을 쉽게 벗길 수 있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binding cover 60 is pulled forward and pulled forward, the first female bonding member 51 and the first male bonding member 50 are separated so that the binding state of the foot is quickly released, You can peel it off.

상기 관통부(12)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부와 관통부(12)사이에 미세 공간을 폐쇄하도록 마감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the penetrating portion 12 is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figure, a closing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penetrating portion 12 to close the fine space.

상기 마감부재는 관통부(12)를 내측 또는 외측에서 실리콘, 고무 재질 또는 원단으로 폐쇄하여 이물질이나 물기 등이 신발(100) 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closing memb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enetration portion 12 is closed with silicone, rubber, or fabric at the inside or outside thereof so that no foreign matter, water or the like may flow into the shoe 100.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형태는 도 4 및 도 5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신발(100)의 발등부위를 안정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발등갑피부(10)와, 발측면갑피부(20)와, 발뒤꿈치갑피부(30)와, 결속커버(60) 및 탄력밴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As shown in FIGS. 4 and 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tably binding a foot portion of a footwear 100 of an infant, comprising a foot cap skin 10, 20, a heel cap skin 30, a binding cover 60, and a resilient band 40,

상기한 탄력밴드(40)를 제외한 각 구성은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고,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완충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하단부는 신발(100)의 밑창(120)과 일체로 연결된다.Each of the constituent elements except the elastic band 40 is composed of an outer shell and an inner shell. A cushioning member (not shown)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if necessary. 120, respectively.

상기 발등갑피부(10)는 유아의 발등을 감싸며 중앙에 신발(100)의 삽입구(110)와 통하게 형성된 개구부(11) 전방에 관통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1) 양측에 한 쌍의 제1수컷접착부재(50)를 가진 구성이다.The foot cap skin 10 surrounds the foot of the infant and has a penetration part 12 formed in the center in front of the opening 11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port 110 of the shoe 100, And a pair of first male bonding members 50.

상기 발측면갑피부(20)는 상기 발등갑피부(10)와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아의 발 내,외측면을 감싸는 구성이다.The foot side skin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kin 10, so as to surrou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oot of the infant.

상기 결속커버(60)는 상기 관통부(12)에 끼워져 지지되는 연결부(71)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71)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고 내측 양단에 상기 제1수컷접착부재(50)에 각각 부착되는 제1암컷접착부재(51)를 가진 구성이다.The coupling cover 60 is formed to be wider toward the outer side from the connecting portion 71 an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male bonding member 50 at both inner ends thereof And a first female bonding member 51 attached thereto.

상기 제1수컷접착부재(50) 및 제1암컷접착부재(51)는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male bonding member 50 and the first female bonding member 51 may be made of Velcro tape.

또한,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는 유아의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단에 밴드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측면갑피부(20)와 수직절개부(21)에 의해 분리되어 하단부는 밑창(120)의 뒤꿈치부에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게 이루어진 구성이다.The heel cap skin 3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heel of the infant and has a band through hole 31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The foot skin cap 20 and the vertical cut- And the lower end portion is fix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sole 120 and is tilted backward.

상기 탄력밴드(40)는 상기 밴드관통홀(31)을 통과한 양단부가 상기 발측면갑피부(20)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가 뒤로 젖혀질 때 신축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The elastic band 40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40 passing through the band through hole 31 ar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oot side skin 20 and are stretched and contracted when the skin 30 is tilted backwar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아의 발등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부착하는 결속커버(60)에 의해 신발(100)을 착용한 후 결속커버(60)로서 간편하게 발등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bind the foot as the binding cover 60 after wearing the shoe 100 by the binding cover 60 attaching the foot of the infant from the front to the back.

그리고, 발뒤꿈치갑피부(30)는 탄력밴드(40)에 의하여 용이하게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으므로 유아용 신발(100)의 삽입구(110)가 넓게 확장됨으로써 신발(100)을 신고 벗길 때 편리하게 착용시킬 수 있게 된다.The elastic member 40 can be easily bent rearward so that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shoe 100 is widened so that the shoe 100 can be conveniently worn .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신발(100)을 착용한 후에는 탄력밴드(40)에 의해 발뒤꿈치부위를 적절한 압력으로 탄력적으로 감싸줌으로써 신발(100)을 신고 걷거나 뛰어다녀도 신발(100)이 쉽게 벗겨지지 않아 유아들이 편안한 착용감으로 활동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after the shoe 100 is wor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hoe 100 can be easily worn by walking or jumping the shoe 100 by elastically wrapping the heel portion with an appropriate pressure by the elastic band 40 It is not peeled off, allowing the infant to live an active life with a comfortable fit.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유아용 신발(100)은 아래와 같은 결속 구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hoes 100 for a chil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binding structure.

먼저, 상기 유아의 발등을 감싸도록 상기 결속커버(60)와 대응되게 상기 연결부(71)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71)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발등보호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may further include a foot protecting cover integrally or separately form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71 so as to be wider toward the outer side from the connecting portion 71 in correspondence with the binding cover 60 so as to surround the foot of the infant .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커버(70)는 연결부(71)에 의해 일체형으로 되어 대략 나비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binding cover 60 and the foot protecting cover 70 may be integrally formed by the connecting portion 71 and have a substantially butterfly shape.

따라서, 결속커버(60)나 발등보호커버(70)를 관통부(12)를 통과시킨 다음 그 중간의 연결부(71)는 관통부(12)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부(71)를 관통부(12)의 내주면과 재봉 처리함으로써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커버(70)가 관통부(12)를 기준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The connecting portion 71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12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cover portion 60 and the foot protecting cover 70 are passed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12 and th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71 is position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12, The binding cover 60 and the foot protecting cover 70 are fixed so as not to move with respect to the penetrating portion 12 by performing the sewing process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2.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커버(6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당겨 발등갑피부(10) 위로 부착할 때 연결부(71)가 관통부(12)에 재봉 처리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발등보호커버(70)가 함께 당겨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inding cover 60 is pulled from the front to the back and attached to the top of the foot cap skin 10,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71 is fixed to the through portion 12 by sewing, So that the protective cover 70 is not pulled togeth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결속커버(60)와 상기 발등보호덮개는 연결부(7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커버(60) 또는 발등보호덮개에는 2등분 또는 3등분으로 포개어 상기 관통부(12)를 통과시키기 위한 접이안내선(61)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ing cover 60 and the foot protecting lid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71, and the binding cover 60 or the foot protecting lid is overlapped with the half or triple portions, And a folding guide line 61 for passing the part 12 is formed.

상기 관통부(12)는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덮개 외측단부 즉 폭이 넓은 쪽으로 삽입하여 통과시켜야 한다.The penetration portion 12 should be inserted into and passed through the outer ends of the bundle cover 60 and the foot protection cover.

이 과정에서 상기 결속커버(60) 또는 상기 발등보호덮개 어느 한쪽에 길이 방향으로 접이안내선(61)을 형성하여 서로 포개어 폭을 줄인 상태로 관통부(12)를 통과시켜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this process, a folding guide line (61) is formed in either one of the binding cover (60) or the foot protecting cap so that the folding guide line (61) is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pas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2) will be.

또한, 상기 결속커버(60) 내측면에는 제2암컷접착부재(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등보호덮개 외측면에는 상기 제2암컷접착부재(53)에 부착되는 제2수컷접착부재(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male bonding member 53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inding cover 60 and a second male bonding member 52 attached to the second female bonding member 53 is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oot protecting cover. ).

상기 제2수컷접착부재(52) 및 제2암컷접착부재(53)는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male bonding member 52 and the second female bonding member 53 may be made of Velcro tap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결속커버(60)는 제1암컷접착부재(51) 및 제1수컷접착부재(50)에 의해 상기 발등갑피부(10)에 고정되고, 그 중앙에 배치되는 상기 제2암컷접착부재(53) 및 제2수컷접착부재(52)에 의해 발등보호커버(70)와 부착됨으로써 2중 구조로 결속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binding cover 60 is fixed to the foot cap skin 10 by the first female bonding member 51 and the first male bonding member 50, and the second female bonding member 51, And can be attached to the foot protecting cover 70 by the adhesive member 53 and the second male bonding member 52 to be bonded in a double structure.

따라서, 활동성이 많은 유아들이 착용하는 신발(100)에 적용하는 경우 유아의 발등을 보다 강하게 결속시킬 수 있어 신발(100)이 잘 벗겨지지 않으면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hoe 100 to be worn by a highly active infant, the foot of the infant can be more strongly bound,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fit without peeling off the shoe 100.

한편, 본 발명의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커버(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각 연결부(71)가 형성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커버(60)와 상기 발등보호덮개(70)의 각 내측단부는 상기 관통부(12)에 나사식 또는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80)에 의해 조립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inding cover 60 and the foot protection cover 7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form respective connection portions 71 as shown in FIG. 6, and the binding cover 60, The respective inner ends of the through-holes 70 may be configured to be assemb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rst fastening member 80 screwed or fitted to the through-holes 12.

상기 제1체결부재(80)는 상기 관통부(12) 외측에 드러나는 장식헤드부(81)와, 상기 장식헤드부(81)와 나사조립 또는 억지 끼움되는 고정헤드부(83)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80 may include an ornamental head portion 81 exposed on the outside of the through portion 12 and a fixed head portion 83 which is screwed or interference fit with the ornamental head portion 81 .

상기 장식헤드부(81)와 고정헤드부(83)는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으로서 원형 또는 다각형을 이루는 납작한 형태의 헤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ecorative head portion 81 and the fixed head portion 83 may be formed as a flat or polygonal head portion as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장식헤드부(81)에는 신발(100) 브랜드나 유아들이 좋아하는 캐릭터 모양의 장식부재(미도시)가 스티커 또는 인쇄 처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decorating head unit 81 may be constructed by sticking or printing a decorative member (not shown) of a character of a shoe 100 or a favorite child of a child.

또한, 상기 장식헤드부(81)와 고정헤드부(83)는 상기 관통부(12)를 통과하여 서로 나사조립되는 보스형상의 너트부(82)와 볼트부(84)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decorative head portion 81 and the fixed head portion 83 are formed by protruding and forming a bolt portion 84 and a boss-shaped nut portion 82 that passes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12 and is screwed to each other .

이때, 상기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커버(70)의 내측단부에는 너트부(82)와 볼트부(84)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 fitting hole into which the nut portion 82 and the bolt portion 84 are inserted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binding cover 60 and the foot protection cover 70.

따라서, 너트부(82)와 볼트부(84)는 상기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커버(70)의 끼움홀과 관통부(12)를 통과하여 나사 조립되고, 나사 체결력에 의해 상기 장식헤드부(81)와 고정헤드부(83)는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커버(70)의 내측단부가 서로 눌려 관통부(12)에 조립된다.The nut portion 82 and the bolt portion 84 are screwed together through the fitting hole of the binding cover 60 and the foot protection cover 70 and the through portion 12, The inner and outer ends of the binding cover 60 and the foot protection cover 70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and assembled to the through portion 12.

여기서, 상기 고정헤드부(83)에는 유아의 발등을 보호하는 보호캡(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xed head unit 83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ap 85 for protecting the foot of the infant.

상기 고정헤드부(83)는 체결력을 위해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신발(100)을 착용한 후 고정헤드부(83)가 유아의 발등을 가압할 수 있으므로 탄성재질의 보호캡(85)을 고정헤드부(83) 저면에 부착하거나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Since the fixed head part 83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the fastening force so that the fixed head part 83 can press the foot of the infant after wearing the shoe 10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tionary head part 83. [0051] As shown in FIG.

상기한 볼트부(84)와 너트부(82)는 제1체결부재(80)가 나사식으로 조립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장식헤드부(81)와 고정헤드부(83)에 리벳 조립식으로 체결되는 끼움보스(미도시)와 끼움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bolt portion 84 and the nut portion 82 are configured to be assembled by screwing the first fastening member 8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fitting boss (not shown) and a fitting protrusion (not shown), which are fastened to the ornamental head portion 81 and the stationary head portion 83 in a riveting manner, may be form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덮개는 서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져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체결부재(90)에 의해 상기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덮개의 각 연결부(71)가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7, the binding cover 60 and the foot protecting li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binding member 90 made of a met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60) and the connecting portions (71) of the foot protection co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예컨대, 상기 제2체결부재(90)는 상기 관통부(12) 내주면에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부(91)와, 상기 결속커버(60)와 상기 발등보호덮개 각 내측단부가 상기 걸림부(9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리부(92)로 이루어진 구성이다.For example, the second fastening member 90 includes a pair of fastening portions 91 that are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12, and the fastening cover 60 and the inner end portions of the foot protecting lid, And a pair of hooks 92 connec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and second hooks 91 and 91.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체결부재(90) 일측의 고리부(92)에 상기 발등보호커버(70)의 연결부(71)를 끼워 재봉처리한 다음 제2체결부재(90)를 관통부(12)에 끼워 걸림부(91)가 관통부(12)의 내부면에 걸리도록 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connection portion 71 of the foot protection cover 70 is fitted to the ring portion 92 on one side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90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9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12,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91 is caught by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12.

그리고, 타측 고리부(92)에 결속커버(60)의 연결부(71)를 끼워 재봉처리함으로써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커버(70)를 발등갑피부(10)의 관통부(12)에 간편하게 조립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binding cover 60 and the foot protection cover 70 are attached to the penetration portion 12 of the foot cap skin 10 by sewing the connection portion 71 of the binding cover 60 to the other side ring portion 92 It is configured to be easily assembled.

전술한 상기 관통부(12)에는 내주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원형 또는 장방형 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enetrating portion 12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13 formed of a round or rectangular ring of metal or synthetic resin, which is assembled to sur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즉, 상기 발등갑피부(10)의 관통부(12)는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므로 두께가 얇은 가죽이나 천으로 이루어진 경우 강도가 약하여 결속부재를 반복적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변형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That is, since the penetration portion 12 of the foot cap skin 10 is made of a skin and an inner skin, when the skin is made of a thin leather or cloth, its strength is weak and it may be deformed or damaged when pulled repeatedly.

따라서, 관통부(12) 내주면에 보강부재(13)를 리벳팅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관통부(12)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reinforcing member 13 can be assemb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12 by the riveting method,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penetrating portion 12 can be increas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발등갑피부 11: 개구부
12: 관통부 13: 보강부재
20: 발측면갑피부 21: 수직절개부
30: 발뒤꿈치갑피부 31: 밴드관통홀
40: 탄력밴드 41: 탄력밴드고정부
42: 탄력조절부
50: 제1수컷접착부재 51: 제1암컷접착부재
52: 제2수컷접착부재 53: 제2암컷접착부재
60: 결속커버 61: 접이안내선
70: 발등보호커버 71: 연결부
80: 제1체결부재 81: 장식헤드부
82: 너트부 83: 고정헤드부
84: 볼트부 85: 보호캡
90: 제2체결부재 91: 걸림부
92: 고리부
100: 유아용 신발 110: 삽입구
120: 밑창
10: foot shell skin 11: opening
12: penetrating part 13: reinforcing member
20: foot side skin 21: vertical incision
30: heel shell 31: band through hole
40: elastic band 41: elastic band fixing part
42:
50: first male bonding member 51: first female bonding member
52: second male bonding member 53: second female bonding member
60: binding cover 61: folding guide
70: Foot protection cover 71: Connection
80: first fastening member 81: decorative head part
82: nut portion 83: fixed head portion
84: bolt part 85: protective cap
90: second fastening member 91:
92:
100: Baby shoes 110:
120: Outsole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유아의 발등을 감싸며 중앙에 신발의 삽입구와 통하게 형성된 개구부 전방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양측에 한 쌍의 제1수컷접착부재를 가진 발등갑피부;
상기 발등갑피부와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아의 발 내,외측면을 감싸는 발측면갑피부;
상기 관통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로부터 상기 삽입구 쪽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고 내측면 양단에는 상기 제1수컷접착부재에 각각 부착되는 제1암컷접착부재를 가진 결속커버;
유아의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발측면갑피부와 수직절개부에 의해 분리되며, 상단에 밴드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는 밑창의 뒤꿈치부에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게 이루어진 발뒤꿈치갑피부; 및
상기 밴드관통홀을 통과한 양단부가 상기 발측면갑피부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가 뒤로 젖혀질 때 신축되도록 하는 탄력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A toe cap having a pair of first male bonding members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the penetrating portion being formed in front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pening of the shoe to surround the foot of the infant;
A foot side skin covering the inside of the foot and the outside of the foot of the infant;
A binding cover having a connecting portion supported by the penetrating portion and formed so as to be wider from the connecting portion toward the insertion port and having a first female adhesive member attached to the first male bonding member at both ends of the inner side;
And the lower end portion is fix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sole so as to be folded back, and the lower heel portion is fix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sole, skin; And
And an elastic band which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foot side skin to allow the elastic band to expand and contract when the back of the heel is folded bac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의 발등을 감싸도록 상기 결속커버와 대응되게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삽입구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발등보호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foot protection cover which is formed so as to be wider from the connection portion toward the insertion port so as to cover the foot of the infant and is formed integrally or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sho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커버 내측면에는 제2암컷접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발등보호덮개 외측면에는 상기 제2암컷접착부재에 부착되는 제2수컷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econd male bonding member attached to the second female bonding member, the second male bonding member being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inding cover, and the male bonding member being attached to the second female bonding member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oot protecting cover.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커버와 상기 발등보호덮개는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커버에는 2등분 또는 3등분으로 포개어 상기 관통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접이안내선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inding cover and the foot protecting lid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folding guide line for passing the through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binding cover by being equally divided into two or three equal parts. sho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커버와 상기 발등보호덮개의 각 내측단부는 상기 밴드관통홀에 나사식 또는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inner ends of the binding cover and the foot protecting cover is assemb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rst fastening member screwed or fitted to the band through ho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밴드관통홀 외측에 드러나는 장식헤드부와 상기 장식헤드부와 나사조립 또는 억지 끼움되는 고정헤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헤드부에는 발등을 보호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a decorative head portion exposed outside the band through hole and a fixing head portion that is screwed or interference fit with the decorative head portion, and the fixing head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cap for protecting the foot lamp It's easy to take off your sho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내주면에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부와, 상기 결속커버와 상기 발등보호덮개 각 내측단부가 상기 걸림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리부로 이루어진 제2체결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composed of a pair of fastening members that are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a pair of fastening portion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astening cover and the inner end portions of the foot protecting lid The shoes are characterized by being connected to a wearer's foo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내주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metal or synthetic resin reinforcing member assembled to sur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49085A 2014-10-30 2014-10-30 Easy to wear and take off baby shoes KR1016491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085A KR101649149B1 (en) 2014-10-30 2014-10-30 Easy to wear and take off baby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085A KR101649149B1 (en) 2014-10-30 2014-10-30 Easy to wear and take off baby sho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88A KR20160050588A (en) 2016-05-11
KR101649149B1 true KR101649149B1 (en) 2016-08-19

Family

ID=5602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085A KR101649149B1 (en) 2014-10-30 2014-10-30 Easy to wear and take off baby sh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1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2318B (en) * 2018-09-30 2024-01-09 福建起步儿童用品有限公司 Easy putting on and taking off children's shoes
KR102592851B1 (en) * 2021-12-30 2023-10-23 주식회사 디자인시공사 A Safety Memb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1275A1 (en) 2008-07-21 2010-01-28 Galit Danielle Malka-Harari Expandable and adjustable baby shoe
KR200470361Y1 (en) * 2013-09-05 2013-12-10 이준규 Shoes having elastic ban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5777Y2 (en) * 1989-06-13 1996-10-30 信越半導体 株式会社 Shutter device for wafer cleaning device
KR100715441B1 (en) 2006-03-03 2007-05-07 주식회사 엘림코퍼레이션 Shoes having wire tightener
KR20100012129A (en) * 2008-07-28 2010-02-08 양계선 Stoc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1275A1 (en) 2008-07-21 2010-01-28 Galit Danielle Malka-Harari Expandable and adjustable baby shoe
KR200470361Y1 (en) * 2013-09-05 2013-12-10 이준규 Shoes having elastic 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88A (en)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0868B2 (en) Footwear with closing mechanism permitting easy donning and doffing
US7441348B1 (en) Leisure shoe
US9510638B2 (en) Securement strap for a sandal
US7765721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removable eyelet portion
JP6788059B2 (en) Tightening structure of footwear and shoes using it
US20160081433A1 (en) Lacing system for shoe
JP5912392B2 (en) shoes
US6094841A (en) Tongue for footwear
US20140144048A1 (en) Naturally Adjusting Sandal
KR101649149B1 (en) Easy to wear and take off baby shoes
JP4047871B2 (en) Shoes engaged with an instep belt
JP3153197U (en) Athletic shoes
KR20110012012U (en) Extensible controller of instep for band type shoes
KR102601886B1 (en) The Footwear of Heel Cup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JP2003180406A (en) Shoe
US431737A (en) Shoe-fastening
KR102369072B1 (en) Lifting shoes with straps and boa-system
KR102332574B1 (en) High heel with Heel grip tip Spaced from the Upper heel
KR20010030933A (en) Improved tongue for footwear
JP3118035U (en) shoes
KR200194257Y1 (en) Footware lace of rubber rope
KR200266696Y1 (en) A shoelaces fastening and unfastening device for shoes
JP5844400B2 (en) Shoe fastener and shoe using the same
JP3876036B2 (en) Shoes with an ankle elastic band with detachable function
KR200481987Y1 (en) Leisure gai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