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852B1 - 상패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상패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852B1
KR101648852B1 KR1020150070809A KR20150070809A KR101648852B1 KR 101648852 B1 KR101648852 B1 KR 101648852B1 KR 1020150070809 A KR1020150070809 A KR 1020150070809A KR 20150070809 A KR20150070809 A KR 20150070809A KR 101648852 B1 KR101648852 B1 KR 101648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housing
movement
decorative memb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크리스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크리스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크리스탈
Priority to KR1020150070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부재의 회전뿐만 아니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 및 장식적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는 상패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패 받침장치는, 장식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장식부재와 함께 회전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 및 장식부재와 회전부와 함께 좌우이동부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를 가지는 구동수단; 및 장식부재의 움직임에 간섭되지 않게 구동수단을 내부에 한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패 받침장치{SUPPORT DEVICE FOR MEDALS}
본 발명은 상패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패의 장식효과를 부각시킬 수 있게 하는 상패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패는 운동경기나 각종 대회, 경연회, 시상식, 기념회 등에서 상이나 기념을 목적으로 참가자에게 증정되는 것으로, 상패는 대부분 대회, 경연회, 시상식, 기념회 등의 내용을 나타내는 패널 또는 조각(이하 "장식부재"로 통일하여 지칭한다)을 받침대 위에 붙여 제공된다. 그리고 장식부재에는 다양한 문구나 문양이 새겨진다.
전술한 상패는 증정 받는 사람으로 하여금 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그 외면에 다양한 모양의 장식을 부착하거나,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진 장식물에 부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최근에는 심미감을 일으키면서 고품격의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크리스털(crystal)로 제작된 상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크리스털 상패는 장식부재가 단순하게 받침대에 고정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적인 효과나 장식적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08987 호를 들 수 있다.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08987 호에서는 트로피 장식물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여 트로피 장식물 전체를 일정한 속도로 서서히 회전시키는 트로피 장식물 회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은 단순히 트로피 장식물을 회전만 시키기 때문에 상패를 받은 사람으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장식부재의 회전뿐만 아니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 및 장식적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는 상패 받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상패를 받은 사람이 장식부재의 움직임을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패를 지속적인 관리할 수 있게 하면서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하는 상패 받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패 받침장치는, 장식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장식부재와 함께 회전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 및 장식부재와 회전부와 함께 좌우이동부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를 가지는 구동수단; 및 장식부재의 움직임에 간섭되지 않게 구동수단을 내부에 한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면서 상부면에는 장식부재의 회전, 좌우이동, 및 전후이동에 간섭되지 않게 작동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하우징에는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장착되되, 컨트롤러에는 회전부, 좌우이동부 및 전후이동부를 개별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작동스위치들과, 회전부, 좌우이동부 및 전후이동부를 통합해서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작동스위치가 구비되고, 회전부는 상부면이 작동공의 외부로 노출되게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장식부재의 끼움편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된 회전스테이지와, 회전스테이지의 하부에 배치되고 회전축이 회전스테이지의 하부에 연결되는 회전모터를 가지며, 좌우이송부는 육면체의 블록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면에는 회전모터를 고정되게 수용하는 수용구가 형성되면서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한 평판 형상의 가이드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우이동스테이지와, 좌우이동스테이지를 이동시키는 전동실린더를 가지고, 전후이동부는 가이드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가이드프레임의 전단에서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이 Y축 이동브라켓과, Y축 이동브라켓을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모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에는 상부 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면서 가이드프레임의 좌측에서 우측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이동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X축 이동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되고, 한 쌍의 X축 이동브라켓과 각각 마주하는 좌우이동스테이지의 전면 및 후면에는 이동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돌기가 장착되며, 전동실린더는 가이드프레임의 일측에서 일측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신장 및 수축되는 실린더로드는 좌우이동스테이지 측으로 연장되어 좌우이동스테이지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Y축 이동브라켓은 하우징의 바닥면 내부에 고정 장착되면서 하우징의 전면에서 후면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되, 어느 하나의 Y축 이동브라켓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레일에 간섭되지 않게 Y축 이동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래크기어가 장착되고, 전후이동모터는 한 쌍의 Y축 이동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면서 하우징의 바닥면 내부에 지지되되, 전후이동모터의 회전축은 래크기어 측으로 연장되고 회전축의 연장단에는 래크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장착되며, 이동공은 장식부재의 좌우 이동 시 장식부재가 상하로 요동할 수 있도록 물결모양의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의 바닥면 외부에는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한 진동에 의해 하우징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고무패드가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패 받침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도어 장식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회전부와 함께 장식부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 및 장식부재, 회전부, 및 좌우이동부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장식부재의 시각적인 효과 및 장식적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패 받침장치는 상패를 받은 사람이 컨트롤러에 제공되는 작동스위치들을 작동시켜 장식부재의 움직임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패를 지속적인 관리할 수 있게 하면서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상패 받침장치는 하우징의 바닥면 외측에 고무패드가 장착되기 때문에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한 진동 등에 의해 하우징이 움직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패 받침장치에 장식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패 받침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좌우이송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후이송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패 받침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상패 받침장치(100)는 장식부재(D), 즉 대회, 경연회, 시상식, 기념회 등의 내용을 나타내는 패널 또는 조각을 회전, 좌우이동 및 전후이동 시키는 구동수단(120)과, 장식부재(D)의 움직임에 간섭되지 않게 구동수단(120)을 내부에 한정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110)은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제공된다. 도 1에는 사각의 함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110)이 도시되어 있지만 하우징(110)을 사각의 함체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상부면 상에는 장식부재(D)의 움직임, 즉 장식부재(D)의 회전, 좌우이동, 및 전후이동에 간섭되지 않게 작동공(11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작동공(112)은 장식부재(D)가 회전, 좌우이동, 및 회전이동 될 수 있다면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하우징(110)에는 구동수단(12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14)가 장착된다. 컨트롤러(114)에는 후술하는 구동수단(120)의 회전부(122), 좌우이동부(130) 및 전후이동부(150)를 개별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작동스위치(S1, S2, S3)들과, 회전부(122), 좌우이동부(130) 및 전후이동부(150)를 통합해서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작동스위치(S4), 예를 들어 회전부(122)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좌우이동부(130)가 작동한 후, 전후이동부(150)가 작동되게 하는 작동스위치(S4)가 구비된다.
여기서 각각의 작동스위치(S1, S2, S3, S4)들의 작동에 의해 구동수단(120)을 작동되게 하는 컨트롤러(114)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컨트롤러(114)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또는 작동스위치(S1, S2, S3, S4)만이 하우징(114)의 외부로 노출되게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구동수단(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구동수단(120)은 장식부재(D)가 끼워지고 장식부재(D)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22)와, 장식부재(D)와 함께 회전부(122)를 하우징(110)의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130), 및 장식부재(D), 회전부(122), 및 좌우이동부(130)를 하우징(110)의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150)를 포함한다.
회전부(122)는 회전스테이지(124)와, 회전스테이지(124)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26)를 포함한다.
회전스테이지(124)는 상부면이 작동공(112)의 외부로 노출되게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회전스테이지(124)의 상부면 상에는 장식부재(D)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끼움편(B)이 끼워지는 끼움공(125)이 형성된다.
여기서 끼움공(125)은 끼움편(B)에 대응하는 형상, 즉 끼움편(B)이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제공될 경우 끼움공(125)도 끼움편(B)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게 형성된다.
한편, 회전모터(126)는 작동공(112)을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회전스테이지(124)의 하부 측에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회전모터(126)의 회전축(128)은 회전스테이지(124)의 하부 측으로 연장되는데, 이때 회전모터(126)의 회전축(128)은 회전스테이지(12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스테이지(124)의 하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회전모터(126)의 회전축(128)과 회전스테이지(124)의 연결은 통상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회전부(122)의 하부 측으로는 좌우이동부(130), 및 전후이동부(15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좌우이동부(130)는 좌우이동스테이지(132)와, 좌우이동스테이지(132)를 이동시키는 전동실린더(144)를 포함한다.
좌우이동스테이지(132)는 육면체의 블록 형상을 가진다. 좌우이동스테이지(132)의 상부면 상에는 회전부(122)의 회전모터(126)를 고정되게 수용하는 수용구(134)가 침강되게 형성된다.
한편, 좌우이동스테이지(132)는 가이드프레임(136)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가이드프레임(1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연장된 평판의 형상을 가지면서 좌우이동스테이지(132)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가이드프레임(136)의 전단 및 후단에는 상부 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면서 가이드프레임(136)의 일측에서 타측, 즉 좌우로 연장되는 한 쌍의 X축 이동브라켓(138)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X축 이동브라켓(138) 내부에는 좌우이동스테이지(132)를 도 2에 도시된 X축 방향으로, 즉 좌우로 안내하는 이동공(140)이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X축 이동브라켓(138)과 각각 마주하는 좌우이동스테이지(132)의 전면 및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에는 이동공(1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돌기(142)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공(140)은 장식부재(D)의 좌우 이동 시 장식부재(D)가 상하로 요동할 수 있도록 통상의 물결모양의 형태로 연장된다.
한편, 전동실린더(144)는 가이드프레임(136)의 일측에서, 즉 가이드프레임(136)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148) 상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전동실린더(144)의 작동에 의해 신장 및 수축되는 실린더로드(146)는 좌우이동스테이지(132) 측으로 연장되는데, 이때 실린더로드(146)의 연장단은 좌우이동스테이지(132)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전동실린더(144)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로드(146)가 신장 및 수축되면 전동실린더(144)는 좌우이동스테이지(132)를 밀어내거나 잡아당기는데, 이때 좌우이동스테이지(132)에 장착된 이동돌기(142)는 이동공(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고, 그 결과 좌우이동스테이지(132)도 이동공(140)의 길이방향, 즉 좌우로 이동된다.
여기서 전동실린더(144)와 연장프레임(148)의 연결 관계, 및 실린더로드(146)와 좌우이동스테이지(132)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후이동부(150)는 한 쌍이 Y축 이동브라켓(152)과, Y축 이동브라켓(152)을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모터(158)를 포함한다.
한 쌍의 Y축 이동브라켓(152)은 가이드프레임(136)의 하부 양측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가이드프레임(136)의 전단에서 후단, 즉 도 2에 도시된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렇게 형성된 한 쌍의 Y축 이동브라켓(152)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15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가이드레일(154)은 하우징(110)의 바닥면 내부에 고정 장착되면서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후면 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Y축 이동브라켓(152)의 내측면 상에는 가이드레일(154)에 간섭되지 않게 Y축 이동브라켓(152)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래크기어(156; rack gear)가 장착된다.
한편, 전후이동모터(158)는 한 쌍의 Y축 이동브라켓(152) 사이에 배치되면서 하우징(110)의 바닥면 내부에 지지된다. 이렇게 하우징(110)의 바닥면 내부에 지지되는 전후이동모터(158)의 회전축(160)은 래크기어(156) 측으로 연장되는데, 이때 회전축(160)의 연장단에는 래크기어(156)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62; pinion gear)가 장착된다.
즉, 전후이동모터(158)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기어(162)는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데, 이렇게 피니언기어(162)가 정회전 및 역회전함에 따라 피니언기어(162)가 맞물리는 래크기어(156)는 하우징(110)의 전면 및 후면 측으로 안내되고, 이에 의해 Y축 이동브라켓(152)도 가이드레일(154)을 따라 안내되는데, 그 결과 좌우이동부(130), 회전부(122)는 전후이동부(150)를 따라 하우징(110)의 전면 및 후면 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하우징(110)의 바닥면 외부에는 구동수단(120)의 작동에 의한 진동 등에 의해 하우징(11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고무패드(116)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상패 받침장치(100)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어 장식부재(D)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22)와, 회전부(122)와 함께 장식부재(D)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130), 및 장식부재(D), 회전부(122), 및 좌우이동부(13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150)를 구비함으로써, 장식부재(D)의 시각적인 효과 및 장식적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패 받침장치(100)는 상패를 받은 사람이 컨트롤러(114)에 제공되는 작동스위치(S1, S2, S3, S4)들을 작동시켜 장식부재(D)의 움직임을 선택하기 때문에 상패를 지속적인 관리할 수 있게 하면서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상패 받침장치(100)는 하우징(100)의 바닥면 외측에 고무패드(116)가 장착되기 때문에 구동수단(120)의 작동에 의한 진동 등에 의해 하우징(110)이 움직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패 받침장치(10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상패 받침장치 110 : 하우징
112 : 작동공 114 : 컨트롤러
116 : 고무패드 120 : 구동수단
122 : 회전부 124 : 회전스테이지
125 : 끼움공 126 : 회전모터
130 : 좌우이동부 132 : 좌우이동스테이지
134 : 수용구 136 : 가이드프레임
138 : X축 이동브라켓 140 : 이동공
142 : 이동돌기 144 : 전동실린더
148 : 연장프레임 150 : 전후이동부
152 : Y축 이동브라켓 154 : Y축 가이드레일
156 : 래크기어 158 : 전후이동모터
162 : 피니언기어 D : 장식부재
B : 끼움편 S1, S2, S3, S4 : 작동스위치

Claims (3)

  1. 상패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패 받침장치는,
    장식부재(D)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22), 상기 장식부재(D)와 함께 상기 회전부(12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130), 및 상기 장식부재(D)와 상기 회전부(122)와 함께 상기 좌우이동부(13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150)를 가지는 구동수단(120); 및
    상기 장식부재(D)의 움직임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구동수단(120)을 내부에 한정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면서 상부면에는 상기 장식부재(D)의 회전, 좌우이동, 및 전후이동에 간섭되지 않게 작동공(112)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구동수단(12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14)가 장착되되, 상기 컨트롤러(114)에는 상기 회전부(122), 상기 좌우이동부(130) 및 상기 전후이동부(150)를 개별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작동스위치(S1, S2, S3)들과, 상기 회전부(122), 상기 좌우이동부(130) 및 상기 전후이동부(150)를 통합해서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작동스위치(S4)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122)는 상부면이 상기 작동공(112)의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장식부재(D)의 끼움편(B)이 끼워지는 끼움공(125)이 형성된 회전스테이지(124)와, 상기 회전스테이지(124)의 하부에 배치되고 회전축(128)이 상기 회전스테이지(124)의 하부에 연결되는 회전모터(126)를 가지며,
    상기 좌우이동부(130)는 육면체의 블록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면에는 상기 회전모터(126)를 고정되게 수용하는 수용구(134)가 형성되면서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한 평판 형상의 가이드프레임(1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우이동스테이지(132)와, 상기 좌우이동스테이지(132)를 이동시키는 전동실린더(144)를 가지고,
    상기 전후이동부(15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36)의 하부 양측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36)의 전단에서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이 Y축 이동브라켓(152)과, 상기 Y축 이동브라켓(152)을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모터(158)를 가지는 상패 받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36)의 전단 및 후단에는 상부 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36)의 좌측에서 우측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이동공(140)이 형성되는 한 쌍의 X축 이동브라켓(138)이 일체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X축 이동브라켓(138)과 각각 마주하는 상기 좌우이동스테이지(132)의 전면 및 후면에는 상기 이동공(1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돌기(142)가 장착되며, 상기 전동실린더(144)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36)의 일측에서 일측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148)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동실린더(144)의 작동에 의해 신장 및 수축되는 실린더로드(146)는 상기 좌우이동스테이지(132)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좌우이동스테이지(132)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Y축 이동브라켓(152)은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 내부에 고정 장착되면서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후면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5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되, 어느 하나의 상기 Y축 이동브라켓(152)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54)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Y축 이동브라켓(1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래크기어(156)가 장착되고, 상기 전후이동모터(158)는 한 쌍의 상기 Y축 이동브라켓(152)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 내부에 지지되되, 상기 전후이동모터(158)의 회전축(160)은 상기 래크기어(156)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160)의 연장단에는 상기 래크기어(156)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62)가 장착되며,
    상기 이동공(140)은 상기 장식부재(D)의 좌우 이동 시 상기 장식부재(D)가 상하로 요동할 수 있도록 물결모양의 형태로 연장되는 상패 받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 외부에는 상기 구동수단(120)의 작동에 의한 진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고무패드(116)가 장착되는 상패 받침장치.
KR1020150070809A 2015-05-21 2015-05-21 상패 받침장치 KR101648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809A KR101648852B1 (ko) 2015-05-21 2015-05-21 상패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809A KR101648852B1 (ko) 2015-05-21 2015-05-21 상패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852B1 true KR101648852B1 (ko) 2016-08-30

Family

ID=5688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809A KR101648852B1 (ko) 2015-05-21 2015-05-21 상패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8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989B1 (ko) 2022-11-11 2023-08-18 (주)아크로드 상패 내용의 관찰 지원 수단이 구비된 상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997U (ko) * 1993-09-28 1995-04-15 이덕용 진열식 액자
JPH11291818A (ja) * 1998-04-08 1999-10-26 Ichikoh Ind Ltd ミラー駆動ユニット装置
JP2006296786A (ja) * 2005-04-21 2006-11-02 Net Kk ショーケース及び展示システム
KR101319621B1 (ko) * 2012-08-23 2013-10-17 이정환 움직이는 장식물을 가진 골프용 트로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997U (ko) * 1993-09-28 1995-04-15 이덕용 진열식 액자
JPH11291818A (ja) * 1998-04-08 1999-10-26 Ichikoh Ind Ltd ミラー駆動ユニット装置
JP2006296786A (ja) * 2005-04-21 2006-11-02 Net Kk ショーケース及び展示システム
KR101319621B1 (ko) * 2012-08-23 2013-10-17 이정환 움직이는 장식물을 가진 골프용 트로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989B1 (ko) 2022-11-11 2023-08-18 (주)아크로드 상패 내용의 관찰 지원 수단이 구비된 상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9391B2 (ja) 遊技機の可動装飾装置
JP4624379B2 (ja) 装飾体の発光構造、遊技盤、及びパチンコ遊技機
JP5327574B2 (ja) 遊技機の可動演出装置
JP2007215860A (ja) 遊技機用の可動式演出装置
JP2007289479A5 (ko)
JP2014083111A (ja) 遊技機の可動演出装置
CN108720287A (zh) 一种用于美术图案设计用工作台
KR101648852B1 (ko) 상패 받침장치
ZA200409294B (en) Gaming machine with seemingly complex displayed outcomes
JP5327575B2 (ja) 遊技機
JP5673488B2 (ja) 遊技機の可動演出装置
CN110900425A (zh) 一种珍珠加工用抛光打磨装置
JP5853262B2 (ja) 遊技機の可動装飾装置
JP5741267B2 (ja) 遊技機の可動演出装置
JP5464170B2 (ja) 遊技機の可動演出装置
JP2012245123A (ja) 遊技機の可動演出装置
JP5330100B2 (ja) 遊技機用可動演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遊技機
JP6696074B2 (ja) 遊技機
CN220465126U (zh) 现代室内空间装饰用的可旋转观赏雕塑
JP5565535B1 (ja) 遊技機の可動演出装置
JP4564323B2 (ja) 遊技機用電動役物装置
JP5737258B2 (ja) 可動役物装置の動作機構
JP3119448U (ja) 表示装置
JP5938593B2 (ja) 遊技機
JP5815484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