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014B1 - 수술용 봉합장치 - Google Patents

수술용 봉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014B1
KR101648014B1 KR1020140190690A KR20140190690A KR101648014B1 KR 101648014 B1 KR101648014 B1 KR 101648014B1 KR 1020140190690 A KR1020140190690 A KR 1020140190690A KR 20140190690 A KR20140190690 A KR 20140190690A KR 101648014 B1 KR101648014 B1 KR 101648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sealing
needle
mode
su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399A (ko
Inventor
박상재
김광기
조성연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KR1020140190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014B1/ko
Priority to PCT/KR2015/013343 priority patent/WO2016104991A1/ko
Publication of KR2016007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선단에 지지되며 봉합부위와의 치합 시 어느 하나에 지지된 봉합침이 다른 하나로 이송되도록 봉합부위를 관통하는 봉합모드로 작동되는 한 쌍의 봉합작동부 및 봉합침을 푸시하여 봉합침을 다른 하나에 지지시키는 이송모드로 작동되는 푸시부를 갖는 봉합 헤드어셈블리 및 파지부와 파지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를 봉합모드로 구동시키는 제 1구동부와 파지부의 이동 방향에 대한 파지부의 순차적 이동에 따라 봉합 헤드어셈블리를 이송모드로 구동시키는 제 2구동부를 갖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봉합침을 파지 및 지지하는 한 쌍의 봉합작동부를 마련하여 어느 하나의 봉합침을 다른 하나로 이송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봉합부위에 대한 연속적인 봉합 시술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봉합 시술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술용 봉합장치{APPARATUS FOR SUTURING AN OPERATION}
본 발명은 수술용 봉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 부위 또는 상처와 같은 봉합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수술용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복 및 복강경 수술 시 절개된 환자의 생체 조직을 봉합하기 위해서 봉합침(바늘, Needle)과 봉합사가 사용된다. 환자의 생체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침은 봉합의 효율성을 위해서 곡침(曲針)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봉합침은 시술자의 손에 파지되어 봉합 시술에 사용될 수 있고, 봉합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술자의 직접적인 봉합 시술은 시술자의 숙련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시술자의 피로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복강경 수술은 환자의 복부에 복수 개의 트로카(trocar)를 삽입하고 어느 한 개의 트로카를 통해 복강 내부로 탄산가스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여 복강 내부에 기복을 만들어 수술공간을 확보한 후, 트로카들을 통해 내시경과 다양한 수술 장치를 삽입하여 환부를 시술한다.
그런데, 복강경 수술과 같은 협소한 환부의 봉합 시술의 경우, 시술자가 직접적으로 봉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환자의 생체 조직의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봉합침을 장착하여 봉합부위를 봉합하는 봉합장치가 등장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76324호; 복강경 수술용 봉합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복강경 수술 등의 최소 침습 수술 시의 봉합부위를 연속적으로 봉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수술용 봉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지지되며 봉합부위와의 치합 시 어느 하나에 지지된 봉합침이 다른 하나로 이송되도록 봉합부위를 관통하는 봉합모드로 작동되는 한 쌍의 봉합작동부 및 봉합침을 푸시하여 봉합침을 다른 하나에 지지시키는 이송모드로 작동되는 푸시부를 갖는 봉합 헤드어셈블리와,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를 상기 봉합모드로 구동시키는 제 1구동부와 상기 파지부의 이동 방향에 대한 상기 파지부의 순차적 이동에 따라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를 상기 이송모드로 구동시키는 제 2구동부를 갖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파지부에 제공된 파지력이 해제될 때,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의 상기 봉합모드와 상기 이송모드가 해제되도록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부는 대기위치에서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를 상기 봉합모드로 작동시키는 봉합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봉합위치에서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를 상기 이송모드로 작동시키는 이송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시술자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봉합위치와 상기 이송위치로 회전 운동되는 파지몸체와, 상기 파지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제 1구동부와 치합되는 평기어 형상을 가지고 회전축선을 형성하여 상기 파지몸체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봉합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구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대해 대향 배치되며 상기 파지몸체가 상기 봉합위치에서 상기 이송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구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구동부는 상기 회전축과 치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회전 운동되는 제 1피니언과, 상기 제 1피니언와 맞물리며 상기 제 1피니언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선형 운동되는 제 1래크와, 한 쌍의 상기 봉합작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제 1래크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 1래크의 선형 운동에 따라 한 쌍의 상기 봉합작동부를 치합 및 치합해제 하는 제 1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구동부는 상기 파지부에 제공된 가압력이 해제될 때 상기 파지부가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하는 제 1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구동부는 상기 파지부가 상기 봉합위치에서 상기 이송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가압부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접촉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 운동되는 제 2피니언과, 상기 제 2피니언와 맞물리며 상기 제 2피니언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선형 운동되는 제 2래크와, 상기 푸시부와 상기 제 2래크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 2래크의 선형 운동에 따라 상기 푸시부를 회전 운동시키는 제 2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구동부는 상기 파지부에 제공된 가압력이 해제될 때 상기 파지부가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하는 제 2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한 쌍의 상기 봉합작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지지되며 상기 봉합모드에서 봉합부위를 관통하여 이송된 봉합침을 수용하는 제 1봉합작동부와, 상기 제 1봉합작동부와 상호 치합 및 치합 해제되어 봉합침을 지지 또는 상기 제 1봉합작동부로 이송하는 제 2봉합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봉합작동부는 상기 제 2봉합작동부로부터 이송된 봉합침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봉합작동부는 봉합침을 홀딩하는 홀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합모드는 봉합부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봉합작동부와 상기 제 2봉합작동부가 상호 치합되어 상기 홀딩부에 홀딩된 봉합침을 상기 수용부에 수용시키는 제 1봉합모드와, 상기 제 1봉합작동부와 상기 제 2봉합작동부가 상호 접촉 치합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봉합침을 상기 홀딩부로 이송시키는 제 2봉합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는 상기 제 1봉합작동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봉합모드에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봉합침을 락킹하고 상기 제 2봉합모드에서 상기 수용된 봉합침을 락킹 해제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합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봉합침의 삽입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봉합침의 상기 걸림홈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제1 락킹부와, 상기 제1 락킹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봉합작동부의 회전 운동에 따라 승강 이동되어 상기 제1 락킹부를 상기 봉합침에 대한 걸림위치와 걸림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제2 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합침을 파지 및 지지하는 한 쌍의 봉합작동부를 마련하여 어느 하나의 봉합침을 다른 하나로 이송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봉합부위에 대한 연속적인 봉합 시술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봉합 시술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둘째, 한 쌍의 봉합작동부 중 어느 하나의 봉합침을 다른 하나로 이송하는 과정의 반복에 따른 봉합 시술에 의해 봉합 시술이 단순해지므로 시술자의 피로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절취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합 헤드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제 2작동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제 3작동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제 4작동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서 락킹부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제 5작동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실시 예에서 락킹부의 제 2작동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에서 사용되는 봉합침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으나, 봉합침에 연결되는 봉합사는 미도시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절취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합 헤드어셈블리의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제 1작동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100)는 몸체부(1000), 봉합 헤드어셈블리(3000) 및 구동어셈블리(50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100)는 복강경 수술의 봉합부위(S) 등과 같이 협소한 영역의 봉합부위(S)를 봉합하는데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100)에 사용되는 봉합침(N)은 락킹부(3600)에 락킹 및 락킹 해제되는 걸림홈(L; 도 8 및 도 10 참조)이 형성되고, 이러한 걸림홈(L)은 본 발명의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 변경 가능하다.
몸체부(1000)는 구동어셈블리(5000)가 배치되는 제 1몸체부(1200)와, 제 1몸체부(1200)와 봉합 헤드어셈블리(3000)를 연결하는 제 2몸체부(14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100)의 설계 변경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제 2작동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제 3작동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제 4작동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서 락킹부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제 5작동 단면도,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실시 예에서 락킹부의 제 2작동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 헤드어셈블리(3000)는 봉합작동부(3200), 푸시부(3400) 및 락킹부(3600)를 포함한다.
봉합작동부(3200)는 몸체부(1000)의 선단, 즉 제 2몸체부(1400)의 선단에 배치된다. 봉합작동부(3200)는 봉합부위(S)를 사이에 두고 치합하여 어느 하나에 지지된 봉합침(N)을 봉합부위(S)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로 이송하는 봉합모드로 작동한다. 여기서, 봉합모드는 상기한 봉합부위(S)를 사이에 두고 상호 치합되어 어느 하나에 지지된 봉합침(N)이 봉합부위(S)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수용시키는 제 1봉합모드와 봉합부위(S)를 제외하고 상호 치합되어 다른 하나에 수용된 봉합침(N)을 어느 하나로 재차 이송시키는 제 2봉합모드를 포함한다. 즉, 제 2봉합모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부위(S)를 봉합하기 전의 수술용 봉합장치(100)가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봉합작동부(3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제 1봉합작동부(3220) 및 제 2봉합작동부(3240)를 포함한다.
제 1봉합작동부(3220)는 제 1봉합몸체(3222)와 수용부(3224)를 포함한다. 제 1봉합작동부(3220)는 봉합모드, 특히 제 1봉합모드에서 봉합부위(S)를 관통하여 이송된 봉합침(N)을 수용한다. 본 발명의 제 1봉합작동부(3220)는 제 2몸체부(1400)의 선단에 고정 지지되는 실시 예로 구성되어 있으나, 제 1봉합작동부(3220)는 제 1봉합작동부(3220)에 대해 상대 회전 운동될 수 있다. 수용부(3224)는 제 2봉합작동부(3240)로부터 이송된 봉합침(N)을 수용한다. 수용부(3224)에는 후술할 락킹부(3600)가 배치되어 봉합침(N)을 수용부(3224)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할 수 있다.
제 2봉합작동부(3240)는 제 2봉합몸체(3242)와 홀딩부(3244)를 포함한다. 제 1봉합작동부(3220)와 상호 치합 및 치합 해제하며, 봉합모드 중 제 1봉합모드에서 지지된 봉합침(N)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봉합작동부(3220)로 이송한다. 그리고, 제 2봉합작동부(3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봉합작동부(3220)와 치합하여 제 1봉합작동부(3220)에 수용된 봉합침(N)을 제 2봉합작동부(3240)의 홀딩부(3244)로 재이송 시킨다. 즉, 제 2봉합작동부(3240)가 제 1봉합모드와 제 2봉합모드에서 회전 운동함에 따라 봉합부위(S)의 연속적인 봉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홀딩부(3244)는 제 2봉합작동부(3240)에 배치되어 봉합침(N)을 홀딩한다. 홀딩부(3244)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되어,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 시술이 진행될 수 있도록 봉합침(N)을 파지한다.
푸시부(3400)는 이송모드에서 봉합침(N)을 가압하여 제 2봉합작동부(3240)의 홀딩부(3244)에 파지된 봉합침(N)이 봉합부위(S)를 관통하여 제 1봉합작동부(3220)에 수용 지지되도록 한다. 푸시부(3400)에는 봉합침(N)에 연결된 봉합사가 관통하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봉합침(N)이 봉합부위(S)를 관통할 때 봉합사의 가이드 역할도 수행한다.
락킹부(3600)는 제 1봉합작동부(3220)에 배치되어 제 1봉합모드에서 수용부(3224)에 수용된 봉합침(N)을 락킹하고, 제 2봉합모드에서 수용된 봉합침(N)을 락킹 해제한다. 락킹부(3600)는 제 1락킹부(3620), 제 2락킹부(3640), 이동제한부(3660) 및 락킹 탄성부재(3680)를 포함한다.
제 1락킹부(3620)는 제 1봉합작동부(3220)의 하부에 배치되고 봉합침(N)의 삽입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봉합침(N)의 걸림홈(L)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된다. 제 1락킹부(3620)는 제 1락킹몸체(3622) 및 걸림부(3624)를 포함한다. 제 1락킹몸체(3622)는 제 2락킹부(3640)와 이동제한부(3660)에 의해 도 8의 걸림위치와 도 10의 걸림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걸림부(3624)는 걸림위치에서 걸림홈(L)과 맞물려서 봉합침(N)의 이동을 저지한다.
제 2락킹부(3640)는 제 1락킹부(36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 2봉합작동부(324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승강 이동된다. 제 2락킹부(3640)는 봉합침(N)에 대한 걸림위치와 걸림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상세히 제 2락킹부(3640)는 제 2봉합작동부(3240)와의 접촉 및 접촉 해제에 따라 승강 이동되어 제 1락킹부(362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락킹부(3640)는 제 2락킹몸체(3642)와 버튼(3644)을 포함한다. 제 2락킹몸체(3642)는 제 1락킹몸체(3622)의 일측과 접촉된다.
제 1락킹부(3620)의 일측과 제 2락킹부(3640)는 테이퍼(taper)와 라운드(round)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고 상호 접촉되며, 제 2락킹부(3640)의 승강 이동에 따라 제 1락킹부(3620)는 제 2락킹부(3640)의 승강 이동의 가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 2락킹몸체(3642)와 제 1락킹몸체(3622)의 접촉 영역은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 2락킹몸체(3642)의 승강 운동력은 제 1락킹몸체(3622)에 제 2락킹몸체(3642)의 운동 방향의 가로 방향인 왕복 이동력으로 변환된다. 버튼(3644)은 제 1봉합작동부(3220)의 외부로 노출된다. 버튼(3644)은 제 1봉합작동부(3220)와 제 2봉합작동부(3240)가 상호 치합될 때 제 2봉합작동부(3240)에 접촉된다.
이동제한부(3660)는 제 2락킹부(3640)와 접촉되는 제 1락킹부(3620)의 일측에 대향된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동제한부(3660)는 제 1락킹부(3620)의 걸림부(3624)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1락킹부(3620)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이동제한부(3660)는 판스프링으로 마련되어 걸림부(3624)와 봉합침(N)의 걸림홈(L)이 상호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락킹 탄성부재(3680)는 제 2락킹부(36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 2락킹부(3640)를 탄성 바이어스 한다. 상세하게 락킹 탄성부재(3680)는 제 1봉합작동부(3220)에 의해 제 2락킹부(3640)로 가압력이 제공될 때, 제 2락킹부(3640)의 위치가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구동어셈블리(5000)는 시술자의 의해 가압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봉합 헤드어셈블리(3000)에 봉합모드와 이송모드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서, 구동어셈블리(5000)는 파지부(5200), 제 1구동부(5400) 및 제 2구동부(5600)를 포함한다. 파지부(5200)는 시술자의 의해 파지되어 가압력을 제공 받고, 제 1구동부(5400)는 파지부(5200)의 이동에 의해 봉합 헤드어셈블리(3000)를 봉합모드로 구동시키며, 제 2구동부(5600)는 파지부(520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봉합 헤드어셈블리(3000)를 이송모드로 구동시킨다.
파지부(5200)는 파지몸체(5220), 회전축(5240), 가압부(5260) 및 파지 탄성부재(5280)를 포함한다. 파지부(5200)는 봉합시술 전인 대기위치에서 봉합 헤드어셈블리(3000)를 봉합모드로 작동시키는 봉합위치로 이동되고, 봉합위치에서 봉합 헤드어셈블리(3000)를 이송모드로 작동시키는 이송위치로 이동된다. 파지몸체(5220)는 시술자의 가압력에 의해 대기위치에서 봉합위치와 이송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실질적으로 파지몸체(5220)는 회전축(5240)에 의해 회전 운동된다.
회전축(5240)은 파지몸체(5220)에 마련되며 제 1구동부(5400)와 치합되는 평기어 형상을 가지고 회전축선을 형성한다. 회전축(5240)은 파지몸체(5220)가 대기위치에서 봉합위치로 이동될 때 제 1구동부(540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가압부(5260)는 회전축(5240)에 대해 대향 배치되며, 파지몸체(5220)가 봉합위치에서 이송위치로 이동될 때 제 2구동부(560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파지 탄성부재(5280)는 파지몸체(5220)에 연결되어 시술자에 의해 가압력이 제공될 때, 파지부(5200)가 이송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송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한다.
제 1구동부(5400)는 제 1피니언(5410), 제 1래크(5430), 제 1로드(5450) 및 제 1탄성부재(5470)를 포함한다. 제 1피니언(5410)은 회전축(5240)과 치합되고 회전축(5240)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회전 운동된다. 제 1래크(5430)는 제 1피니언(5410)과 맞물리며 제 1피니언(5410)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선형 운동된다. 제 1로드(5450)는 제 2봉합작동부(3240)와 제 1래크(5430)를 상호 연결하며 제 1래크(5430)의 선형 운동에 따라 제 2봉합작동부(3240)를 회전 운동시킨다. 제 1탄성부재(5470)는 이송모드에서 파지부(5200)에 가압력이 해제될 때, 파지부(5200)가 이송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송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한다. 또한, 제 2탄성부재(5690)는 봉합모드 중 제 2봉합모드에서 파지부(5200)에 가압력이 해제될 때, 파지부(5200)가 봉합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송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구동부(5400)의 작동은 파지몸체(5220)가 대기위치에서 봉합위치로 회전 운동될 때,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축(5240)의 반대 방향으로 제 1피니언(5410)이 회전 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제 1래크(5430)는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선형 운동된다. 그러면, 제 1구동부(5400)의 제 1로드(5450)는 제 1래크(5430)의 선형 운동에 연동하여 선형 운동되면서 제 2봉합작동부(3240)와 제 1봉합작동부(3220)가 치합되도록 제 2봉합작동부(3240)를 회전 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제 2구동부(5600)는 접촉부(5610), 제 2피니언(5630), 제 2래크(5650), 제 2로드(5670) 및 제 2탄성부재(5690)를 포함한다.
접촉부(5610)는 파지부(5200)가 봉합위치에서 이송위치로 회전 운동될 때, 가압부(5260)와 접촉된다. 접촉부(5610)는 제 2피니언(5630)과 연결되어 가압부(5260)로부터의 가압력에 따라 제 2피니언(5630)에 회전 운동력을 제공한다. 제 2피니언(5630)은 접촉부(5610)와 연결되고 가압부(5260)에 의해 가압되는 접촉부(5610)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 운동한다. 제 2래크(5650)는 제 2피니언(5630)과 맞물리며 제 2피니언(5630)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선형 운동된다. 제 2로드(5670)는 푸시부(3400)와 제 2래크(5650)를 상호 연결하며 제 2래크(5650)의 선형 운동에 따라 푸시부(3400)를 회전 운동시킨다. 제 2탄성부재(5690)는 이송모드에서 파지부(5200)에 가압력이 해제될 때, 파지부(5200)가 이송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송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구동부(5600)의 작동은 파지몸체(5220)가 봉합위치에서 이송위치로 회전 운동될 때, 가압부(5260)와 접촉된 접촉부(5610)의 이동에 따라 제 2피니언(5630)이 회전 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제 2래크(5650)는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선형 운동된다. 그러면, 제 2구동부(5600)의 제 2로드(5670)는 제 2래크(5650)의 선형 운동에 연동하여 푸시부(3400)가 이송모드로 작동되도록 푸시부(3400)를 회전 운동시킨다.
한편, 구동어셈블리(50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파지부(5200)에 제공되던 가압력이 해제되면, 제 2봉합작동부(3240)와 푸시부(3400)가 회전 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봉합부위(S)를 관통한 봉합침(N)은 제 2봉합작동부(3240)의 수용부(3224)에 수용되고 락킹부(3600)에 의해 지지된다.
반면, 구동어셈블리(50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봉합장치(100)가 봉합 시술 전으로 세팅되도록 봉합 헤드어셈블리(300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파지부(5200)가 대기위치에서 봉합위치로 이동될 때, 제 1구동부(5400)는 제 1봉합작동부(3220)와 제 2봉합작동부(3240)가 접촉 치합되도록 제 2봉합작동부(3240)에 회전 운동력을 제공한다. 이렇게, 제 1구동부(5400)에 의해 제 1봉합작동부(3220)와 제 2봉합작동부(3240)가 접촉 치합되면, 제 1봉합작동부(3220)에 수용된 봉합침(N)은 제 2봉합작동부(3240)의 홀딩부(3244)에 홀딩된다. 이때, 락킹부(3600)는 제 1봉합작동부(3220)에서 봉합침(N)의 걸림홈(L)과 걸림된 상태에서, 봉합침(N)이 제 2봉합작동부(3240)로 이송되도록 걸림홈(L)과 걸림 해제된다.
이에, 봉합침을 파지 및 지지하는 한 쌍의 봉합작동부를 마련하여 어느 하나의 봉합침을 다른 하나로 이송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봉합부위에 대한 연속적인 봉합 시술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봉합 시술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봉합작동부 중 어느 하나의 봉합침을 다른 하나로 이송하는 과정의 반복에 따른 봉합 시술에 의해 봉합 시술이 단순해지므로 시술자의 피로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술용 봉합장치 1000: 몸체부
3000: 봉합 헤드어셈블리 3200: 봉합작동부
3220: 제 1봉합작동부 3240: 제 2봉합작동부
3400: 푸시부 3600: 락킹부
3620: 제 1락킹부 3640: 제 2락킹부
5000: 구동어셈블리 5200: 파지부
5240: 회전축 5260: 가압부
5400: 제 1구동부 5410: 제 1피니언
5430: 제 1래크 5450: 제 1로드
5600: 제 2구동부 5610: 접촉부
5630: 제 2피니언 5650: 제 2래크
5670: 제 2로드

Claims (13)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지지되며, 봉합부위와의 치합 시 어느 하나에 지지된 봉합침이 다른 하나로 이송되도록 봉합부위를 관통하는 봉합모드로 작동되는 한 쌍의 봉합작동부 및 봉합침을 푸시하여 봉합침을 다른 하나에 지지시키는 이송모드로 작동되는 푸시부를 갖는 봉합 헤드어셈블리와;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를 상기 봉합모드로 구동시키는 제 1구동부와, 상기 파지부의 이동 방향에 대한 상기 파지부의 순차적 이동에 따라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를 상기 이송모드로 구동시키는 제 2구동부를 갖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대기위치에서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를 상기 봉합모드로 작동시키는 봉합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봉합위치에서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를 상기 이송모드로 작동시키는 이송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파지부는,
    시술자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봉합위치와 상기 이송위치로 회전 운동되는 파지몸체와;
    상기 파지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제 1구동부와 치합되는 평기어 형상을 가지고 회전축선을 형성하여 상기 파지몸체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봉합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구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대해 대향 배치되며, 상기 파지몸체가 상기 봉합위치에서 상기 이송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구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파지부에 제공된 파지력이 해제될 때,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의 상기 봉합모드와 상기 이송모드가 해제되도록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부는,
    상기 회전축과 치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회전 운동되는 제 1피니언과;
    상기 제 1피니언와 맞물리며, 상기 제 1피니언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선형 운동되는 제 1래크와;
    한 쌍의 상기 봉합작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제 1래크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 1래크의 선형 운동에 따라 한 쌍의 상기 봉합작동부를 치합 및 치합해제 하는 제 1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부는 상기 파지부에 제공된 가압력이 해제될 때, 상기 파지부가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하는 제 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구동부는,
    상기 파지부가 상기 봉합위치에서 상기 이송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가압부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접촉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 운동되는 제 2피니언과;
    상기 제 2피니언와 맞물리며, 상기 제 2피니언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선형 운동되는 제 2래크와;
    상기 푸시부와 상기 제 2래크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 2래크의 선형 운동에 따라 상기 푸시부를 회전 운동시키는 제 2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구동부는 상기 파지부에 제공된 가압력이 해제될 때, 상기 파지부가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하는 제 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봉합작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지지되며, 상기 봉합모드에서 봉합부위를 관통하여 이송된 봉합침을 수용하는 제 1봉합작동부와;
    상기 제 1봉합작동부와 상호 치합 및 치합 해제되어, 봉합침을 지지 또는 상기 제 1봉합작동부로 이송하는 제 2봉합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봉합작동부는 상기 제 2봉합작동부로부터 이송된 봉합침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봉합작동부는 봉합침을 홀딩하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모드는,
    봉합부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봉합작동부와 상기 제 2봉합작동부가 상호 치합되어, 상기 홀딩부에 홀딩된 봉합침을 상기 수용부에 수용시키는 제 1봉합모드와;
    상기 제 1봉합작동부와 상기 제 2봉합작동부가 상호 접촉 치합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봉합침을 상기 홀딩부로 이송시키는 제 2봉합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헤드어셈블리는,
    상기 제 1봉합작동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봉합모드에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봉합침을 락킹하고, 상기 제 2봉합모드에서 상기 수용된 봉합침을 락킹 해제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봉합침의 삽입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봉합침의 상기 걸림홈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제1 락킹부와;
    상기 제1 락킹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봉합작동부의 회전 운동에 따라 승강 이동되어, 상기 제1 락킹부를 상기 봉합침에 대한 걸림위치와 걸림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제2 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KR1020140190690A 2014-12-26 2014-12-26 수술용 봉합장치 KR101648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690A KR101648014B1 (ko) 2014-12-26 2014-12-26 수술용 봉합장치
PCT/KR2015/013343 WO2016104991A1 (ko) 2014-12-26 2015-12-08 수술용 봉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690A KR101648014B1 (ko) 2014-12-26 2014-12-26 수술용 봉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399A KR20160079399A (ko) 2016-07-06
KR101648014B1 true KR101648014B1 (ko) 2016-08-12

Family

ID=5615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690A KR101648014B1 (ko) 2014-12-26 2014-12-26 수술용 봉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8014B1 (ko)
WO (1) WO2016104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29357B (zh) * 2022-10-08 2023-08-18 无锡科恩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跟腱自动锁扣缝合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681A (ja) * 2004-03-26 2005-10-13 Olympus Corp 手術用把持器
JP2006116356A (ja) 1993-10-08 2006-05-11 United States Surgical Corp 装填機構を備えた手術用縫合装置
JP2010505524A (ja) * 2006-10-05 2010-02-25 タイコ ヘルスケア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可撓性の内視鏡的縫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2919A1 (en) * 2002-10-03 2008-06-05 Faising Chui Cycling suturing and knot-tying device
KR101176324B1 (ko) 2012-01-09 2012-08-22 최진석 복강경 수술용 봉합장치
EP2956067B1 (en) * 2013-02-15 2018-04-18 Surgimatix, Inc. Medical fastening device
KR101639282B1 (ko) * 2014-05-14 2016-07-13 국립암센터 수술용 봉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356A (ja) 1993-10-08 2006-05-11 United States Surgical Corp 装填機構を備えた手術用縫合装置
JP2005278681A (ja) * 2004-03-26 2005-10-13 Olympus Corp 手術用把持器
JP2010505524A (ja) * 2006-10-05 2010-02-25 タイコ ヘルスケア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可撓性の内視鏡的縫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399A (ko) 2016-07-06
WO2016104991A1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9326B2 (en) Stitching device with long needle
CN103181808B (zh) 手术吻合和切割装置及其使用方法
US10595856B2 (en) Stitching device with long needle delivery
US9358001B2 (en) Advance suture passer
CN101156801B (zh) 抓紧钳机构
CN101273910B (zh) 具有侧安装的回缩构件的外科缝合和切割器械
CN100579471C (zh) 具有带旋转滑动离合器传动的多冲程击发器的外科缝合器
US9168037B2 (en) Laparoscopic suture device with asynchronous in-line needle movement
CN108472037A (zh) 具有用于一致的钉成形的可变高度驱动器的外科缝合器
CN108348249A (zh) 具有改进钉驱动器构型的外科钉仓
CN103767751B (zh) 一种可单手操作的外科器械
CN110251177A (zh) 外科器械
CN103889359A (zh) 能够与外科机器人一起使用的夹具施放器
CN1682666A (zh) 含有多冲程发射位置指示器和缩回机构的手术钉合器械
CN107920831A (zh) 具有致动器偏压和锁定特征部的外科装置
US20190117215A1 (en) Endoscopic Suturing Needle Loader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639282B1 (ko) 수술용 봉합장치
CN104434245A (zh) 末端执行器、外科手术器械和荷包钳
KR101648014B1 (ko) 수술용 봉합장치
CN102949220B (zh) 外科缝合器的操作机构
CN205307029U (zh) 一种可单手操作的外科器械
CN103142272A (zh) 旋钮组件及设有该旋钮组件的圆管型吻合器
CN211243593U (zh) 一种腹腔镜手术用腔内Poke钳及腹腔镜手术操控组件
CN204562262U (zh) 医用吻合器
US10327757B1 (en) Surgical system with endoscope and suturing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