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092B1 - 양방향 적재가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 Google Patents

양방향 적재가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092B1
KR101647092B1 KR1020150149737A KR20150149737A KR101647092B1 KR 101647092 B1 KR101647092 B1 KR 101647092B1 KR 1020150149737 A KR1020150149737 A KR 1020150149737A KR 20150149737 A KR20150149737 A KR 20150149737A KR 101647092 B1 KR101647092 B1 KR 101647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object
support
coil
main body
coiled heav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세인
Original Assignee
(주)밴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밴플러스 filed Critical (주)밴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149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6Contents retaining means fixed on the floor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041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2590/0058Contents retaining means for cylindrical transport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는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된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횡방향과 상기 코일형 중량물의 중심축을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횡방향 지지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인 종방향과 상기 코일형 중량물의 중심축을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종방향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되는 코일형 중량물의 길이에 따라 코일형 중량물의 수납 방향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어,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이 낭비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적재가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A Support for coil-shape weight which can accomodate the coil-shape weight bidirectionally}
본 발명은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납되는 코일형 중량물의 길이에 따라 코일형 중량물의 수납 방향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어,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이 낭비되지 않는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강철 따위의 금속을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압연하여 만들어 낸 핫코일(hot coil)과 같이 수 내지 수십 톤(ton)의 무게를 가진 코일형 중량물(R)은 그 무게가 규격에 따라 15 내지 30 톤(ton)에 이르므로, 육상 운송의 경우에는 코일 전용 트레일러를 이용하거나 평판 트레일러에 코일을 결속하여 운송하고 있으며, 해상 운송의 경우에는 벌크 선박을 이용하거나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수납하여 일반 선박을 이용하여 운송하고 있다.
벌크 선박을 이용한 운송의 경우에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나, 벌크 선박의 운행이 부정기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화물 운소의 납기 준수가 어렵고, 벌크 선박의 화물 운임의 변동폭이 심화되는 단점이 있으며, 최근 컨테이너 물량 증가에 따른 컨테이너 운임 인하로 인하여 컨테이너 선박을 활용하는 운송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컨테이너 선박을 이용하여 코일형 중량물(R)을 해상 운송하는 경우도, 해상 운송 중에 발생하는 선박의 롤링 및 피칭 등의 선박 운동(Ship motion)에 의해 코일형 중량물(R)을 지지하는 짐 깔개(dunnage)가 파손되거나, 컨테이너에 손상을 주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컨테이너 내부의 다른 화물의 파손으로까지 이어져, 일반 잡화용 컨테이너인 드라이 컨테이너(Dry container)에 목재를 짐 깔개(dunnage)로 사용하는 방법은 해운 선사로부터 선적 기피대상 품목으로까지 취급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코일 전용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코일 전용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코일형 중량물(R)만을 운송할 수 있으므로, 다른 화물을 싣지 못하여 목적지에서 코일을 하역한 후 비어있는 컨테이너를 다시 출발지로 회수해야만 하므로, 이에 따른 운임 증가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코일 전용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코일형 중량물(R)을 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용 코일 지지대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종래의 컨테이너용 코일 지지대의 경우,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인 종방향이나 그에 수직한 횡방향 중 하나와만 코일형 중량물(R)의 중심축(CR)을 나란하게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만 코일형 중량물(R)을 배치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만 코일형 중량물(R)을 배치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일방향으로만 코일형 중량물(R)을 수납할 경우, 특정한 길이를 가지는 코일형 중량물(R)의 경우에는, 종방향으로 코일형 중량물(R)을 실을 경우에 수납되는 코일형 중량물(R)의 개수와, 횡방향으로 코일형 중량물(R)을 싣는 경우에 수납되는 코일형 중량물(R)의 개수가 서로 달라져, 수납되는 코일형 중량물(R)의 방향에 따라 컨테이너의 공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종래의 컨테이너용 코일 지지대는, 코일형 중량물(R)을 실은 상태로 포크 리프트를 사용하여 컨테이너의 내부로 수납시킬 때, 육중한 코일형 중량물(R)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코일 지지대의 하면이 컨테이너의 플로어(floor)를 긁어서 심하게 손상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납되는 코일형 중량물의 길이에 따라 코일형 중량물의 수납 방향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어,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이 낭비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는,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는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된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횡방향과 상기 코일형 중량물의 중심축을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횡방향 지지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인 종방향과 상기 코일형 중량물의 중심축을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종방향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횡방향 지지부와 상기 횡방향 지지부는 각각 복수 개 마련되며, 서로 교대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횡방향 지지부는 상기 종방향 지지부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횡방향 지지부의 측단부에는, 상기 종방향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된 코일형 중량물과의 간섭을 없애기 위한 연결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로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보와, 상기 측면보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면보와, 상기 측면보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후면보를 구비하며, 상기 횡방향 지지부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면보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횡방향 지지부와 상기 종방향 지지부는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으며,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된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횡방향과 상기 코일형 중량물의 중심축을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횡방향 지지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인 종방향과 상기 코일형 중량물의 중심축을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종방향 지지부;를 포함하므로, 수납되는 코일형 중량물의 길이에 따라 코일형 중량물의 수납 방향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어,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이 낭비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상면에 코일형 중량물이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종방향으로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상면에 코일형 중량물이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횡방향으로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저면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마찰 방지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마찰 방지 유닛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마찰 방지 유닛의 분리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마찰 방지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마찰 방지 유닛의 분리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상면에 코일형 중량물이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종방향으로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의 상면에 코일형 중량물이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횡방향으로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강철 따위의 금속을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압연하여 만들어 낸 핫코일(hot coil)과 같이 수 내지 수십 톤(ton)의 무게를 가진 코일형 중량물(R)을 적재한 상태에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C)의 내부로 수용되는 지지대로서, 소위 코일 랙(coil rack)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테이너(C)가, 냉동, 액체, 통풍 등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 화물수송에 이용되는 일반 잡화용 컨테이너인 드라이 컨테이너(Dry container)인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C)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내부 바닥에는 사각 평판 형상의 플로어(F)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본체(10)와, 마찰 방지 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길이 방향인 제1 중심축(C1)을 따라 전후로 연장된 사각 프레임 구조물로서, 측면보(11)와, 전면보(12)와, 후면보(13)와, 가로보(14)와, 횡방향 지지부(15)와, 종방향 지지부(16)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보(11)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나란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보(11)는 "I"자형 단면의 강제 보(beam)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의 하면은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에 접촉하여 하중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측면보(11)의 하면은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F)에 접촉할 수 있는 후단부 접촉면(S2)이다.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의 중앙부 외측면 각각에는, 포크 리프트(fork lift)의 포크(fork)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하는 구멍인 한 쌍의 포크 삽입구(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보(11)의 전단 외측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보(11)의 전단 외측면에는, 사각 금속판인 가이드 부재(18)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측면보(11)의 전단 하면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상기 마찰 방지 유닛(20)을 수용할 수 있는 마찰 방지 유닛 수용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찰 방지 유닛 수용홈(111)은, "ㄱ"자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측면보(11)의 길이 방향(C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마찰 방지 유닛 수용홈(111)에는, 구조적 보강을 위한 수용홈 보강 부재(112)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 보강 부재(112)는, 상기 마찰 방지 유닛 수용홈(1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측면보(11)의 하부 플랜지(114)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하부 플랜지(114)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 보강 부재(112)의 상면과 상기 측면보(11)의 상부 플랜지(115)의 하면은, 보강 부재(113)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면보(12)는, 상기 측면보(11)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로서, 상기 제1 중심축(C1)과 수직한 좌우 방향(C2)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측면보(11)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보(12)는 "S"자형 단면의 강제 보(beam)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후면보(13)는, 상기 측면보(11)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로서, 상기 제1 중심축(C1)과 수직한 좌우 방향(C2)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측면보(11)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면보(13)는 "S"자형 단면의 강제 보(beam)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후면보(13)의 중앙부 외측면에는, 포크 리프트(fork lift)의 포크(fork)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하는 구멍인 한 쌍의 포크 삽입구(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보(14)는,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길게 연장된 보로서,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 지지부(15)는,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C1)과 수직한 횡방향(C2)과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의 중심축(CR)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부재이다.
상기 횡방향 지지부(15)는,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금속판 부재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길이 방향(C1)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 지지부(15)는, "V"자 형상으로 서로 마주하고 있는 한 쌍의 경사면(151)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경사면(151) 사이에는 수평한 평판 형태의 바닥면(152)이 배치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바닥면(152)을 구비한 횡방향 지지부(15)는, 상기 가로보(14)와 상기 포크 삽입구(17)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의 후단부에 3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 지지부(15)는,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의 내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종방향 지지부(16)는,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C1)인 종방향(C1)과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의 중심축(CR)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부재이다.
상기 종방향 지지부(16)는,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금속판 부재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길이 방향(C1)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기 종방향 지지부(16)는, "V"자 형상으로 서로 마주하고 있는 한 쌍의 경사면(161)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경사면(161) 사이에는 수평한 평판 형태의 바닥면(162)이 배치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종방향 지지부(16)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 지지부(15) 및 상기 종방향 지지부(16)는, 서로 교대로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C1)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횡방향 지지부(15)는 5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종방향 지지부(16)는 6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 지지부(15)는 상기 종방향 지지부(16)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종방향 지지부(16)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인접한 상기 횡방향 지지부(15)의 측단부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횡방향 지지부(15)와 종방향 지지부(1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王"자 형상과 유사한 단위 연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횡방향 지지부(15)의 측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종방향 지지부(16)의 상면에 실린 코일형 중량물(R)과의 간섭을 없애기 위한 노치(notch) 형상의 연결 홈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찰 방지 유닛(20)은, 상기 본체(10)가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할 때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에 대한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한 쌍의 마련되어 상기 본체(10)의 전단부 하면에 각각 배치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1)와, 브라켓(22)과, 핀(23)과, 윤활 패드(24)와, 가이드 부재(25)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21)는,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 가능한 금속 부재로서, 하판(211)과, 연결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하판(211)은,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연장된 금속판 부재로서, 스키(ski) 플레이트와 비슷한 형상을 가지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보(11)의 하부 플랜지(114)와 나란한 상태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판(211)의 양단부에는 상방으로 휘어진 곡면부(214)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곡면부(214) 사이에는 상기 플로어(F)와 나란한 평면부(21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12)는, 수직하게 배치된 금속 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하판(211)의 상면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12)의 상단부에는 원형의 구멍인 결합공(2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22)은, 수직하게 배치된 금속 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단부는 상기 수용홈 보강 부재(112)의 하면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22)의 하단부에는 원형의 구멍인 결합공(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221)의 주변에는 사각판 형상의 보강 부재(222)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12)의 상단부는 상기 한 쌍의 브라켓(22)의 하단부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며, 이때 상기 연결부(212)의 결합공(213)과 상기 브라켓(22)의 결합공(221)은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핀(23)은, 제3 중심축(C3)을 따라 연장된 원형봉으로서, 상기 연결부(212)의 결합공(213)과 상기 브라켓(22)의 결합공(221)을 모두 관통한 상태로, 상기 연결부(212)와 상기 브라켓(22)을 결합시킨다.
상기 연결부(212)와 상기 브라켓(22)은, 상기 핀(23)에 의하여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중심축(C3)은, 상기 제1 중심축(C1) 및 제2 중심축(C2)과 수직하게 교차한다.
상기 윤활 패드(24)는, 미리 정한 값 이하의 마찰 계수를 가지는 납작한 띠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슬라이더(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21)의 하면에 나사(26)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윤활 패드(24)는, 상기 측면보(11)의 재질인 강철에 비하여 연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미끄러운 재질의 고강도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상기 윤활 패드(24)의 양단부에는 상방으로 휘어진 곡면부(241)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곡면부(241) 사이에는 상기 플로어(F)와 나란한 평면부(24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윤활 패드(24)의 평면부(242)의 하면은,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F)에 접촉할 수 있는 전단부 접촉면(S1)이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후단부가 포크 리프트에 의하여 들려져, 상기 본체(10)가 전방으로 일정한 각도(α)만큼 기울어지면, 상기 슬라이더(21)는 회전하지 않는 바, 상기 측면보(11)의 하면(S2)은 상기 플로어(F)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윤활 패드(24)의 평면부(242)의 하면(S1)만이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에 접촉하여 하중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도(α)의 최대값은 10도 내지 20도의 값을 가지면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 전단부 접촉면(S1)인 상기 윤활 패드(24)의 높이(H1)와, 후단부 접촉면(S2)인 상기 측면보(11)의 하면의 높이(H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본체(10)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α= 0)에서는,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의 하면(S2)과 상기 윤활 패드(24)의 평면부(242) 하면(S1)이 협력하여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에 접촉하여 하중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25)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할 때 상기 본체(10)의 좌우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연결부(212)의 외측면에 각각 용접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5)는, "C"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원형봉으로서,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212)의 외측면에 용접되어 있고, 타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보(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5)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할 때 상기 컨테이너(C)의 내벽에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 가능하다.
상술한 구성의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길이 방향(C1)을 따라 전후로 연장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C1)과 수직한 횡방향(C2)과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의 중심축(CR)을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횡방향 지지부(15);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C1)인 종방향과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의 중심축(CR)을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 중량물(R)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종방향 지지부(16);를 포함하므로, 수납되는 코일형 중량물(R)의 길이에 따라 코일형 중량물(R)의 수납 방향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어, 컨테이너(C)의 내부 공간이 낭비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횡방향 지지부(15)와 상기 종방향 지지부(16)는 각각 복수 개 마련되며, 서로 교대로 상기 본체(10)의 길이 방향(C1)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횡방향 지지부(15) 및 종방향 지지부(16)을 최대한 여러 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횡방향 지지부(15)는 상기 종방향 지지부(16)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횡방향 지지부(15)의 측단부에는, 상기 종방향 지지부(16)에 의하여 지지된 코일형 중량물(R)과의 간섭을 없애기 위한 연결 홈부(15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횡방향 지지부(15)에 의하여 상기 종방향 지지부(16)의 상면에 실리는 코일형 중량물(R)의 개수 및 크기가 감소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길이 방향(C1)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로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보(11)와, 상기 측면보(11)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면보(12)와, 상기 측면보(11)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후면보(13)를 구비하며, 상기 횡방향 지지부(15)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를 서로 연결하므로, 상기 횡방향 지지부(15)에 의하여 상기 본체(10)가 보강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구조적 강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횡방향 지지부(15)와 상기 종방향 지지부(16)가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으므로, 운송 중에 상기 본체(10)가 전후 좌우로 흔들리더라도 상기 횡방향 지지부(15)와 상기 종방향 지지부(16)로부터 코일형 중량물(R)이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횡방향 지지부(15)와 상기 종방향 지지부(16)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납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코일형 중량물(R)을 적재한 상태에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C)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으므로, 코일 전용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더라고 코일형 중량물(R)을 운송할 수 있으며, 코일형 중량물(R)들을 목적지에 하역한 후 복수 개의 컨테이너(C)들 중 하나의 내부에 복수 개의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수납하고, 나머지 컨테이너(C)들의 내부 공간에는 일반 화물을 수납하여 회항할 수 있는 바, 전체적인 물류 운송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중량물(R)을 적재한 상태에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C)의 내부로 수용되는 중량물 지지대로서, 길이 방향(C1)을 따라 전후로 연장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단부 하면에 마련되며,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에 대한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찰 방지 유닛(2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10)의 후단부가 들려짐으로써 상기 본체(10)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C)의 내부에서 전진할 때, 상기 중량물(R)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마찰 방지 유닛(20)이 미리 정한 면적 이상으로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와 접촉하므로, 중량물(R)을 실은 상태로 포크 리프트를 사용하여 컨테이너(C)의 내부로 수납시킬 때, 육중한 중량물(R)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중량물 지지대의 하면이 컨테이너(C)의 플로어(F)를 긁어서 손상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길이 방향(C1)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로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보(11)와, 상기 측면보(11)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면보(12)와, 상기 측면보(11)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후면보(13)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의 하면이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에 접촉하여 하중을 전달하므로, 상기 플로어(F)의 중앙부 근처에는 하중이 전달되지 않아, 상기 컨테이너(C)의 일반적인 프레임 구조를 고려할 때 컨테이너(C)의 내구성이 증가하며, 상기 플로어(F)와의 마찰 저항도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측면보(11)의 전단부 하면에, 상기 마찰 방지 유닛(20)을 수용할 수 있는 마찰 방지 유닛 수용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마찰 방지 유닛(20)이 상기 측면보(11)의 하부 플랜지(114)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할 수 있어,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마찰 방지 유닛(20)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전단부 접촉면(S1)인 상기 윤활 패드(24)의 높이(H1)와 후단부 접촉면(S2)인 상기 측면보(11)의 하면의 높이(H2)를 서로 동일하게 구성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마찰 방지 유닛 수용홈(111)에, 구조적 보강을 위한 수용홈 보강 부재(112)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마찰 방지 유닛 수용홈(111) 근처의 구조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마찰 방지 유닛(20)이, 하단부는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와 접촉 가능하며, 상단부는 상기 본체(1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21)를 구비하므로, 상기 본체(10)가 전방으로 미리 정한 범위 이내의 각도(α)만큼 기울어졌을 때, 그 각도(α)의 값과 무관하게 상기 슬라이더(21)의 평면부(215) 전체 면적이 상기 플로어(F)와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하중이 분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슬라이더(21)의 하면에, 미리 정한 값 이하의 마찰 계수를 가지는 윤활 패드(24)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더(21)의 하판(211)이 플로어(F)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플로어(F)에 대한 마찰 계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마찰 방지 유닛(20)이, 상기 측면보(11)의 전단부 하면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본체(10)의 후단부가 포크 리프트에 의하여 들려져 상기 본체(10)가 전방으로 일정한 각도(α)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마찰 방지 유닛(20)의 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는, 상기 본체(10)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측면보(11)의 하면과 상기 마찰 방지 유닛(20)의 하면이 서로 협력하여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에 접촉하여 하중을 전달하며, 상기 본체(10)의 후단부가 들려짐으로써 상기 본체(10)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마찰 방지 유닛(20)의 하면만이 상기 컨테이너(C)의 플로어(F)에 접촉하여 하중을 전달하므로, 상기 본체(10)가 상기 플로어(F)에 대하여 기울어졌는지와 무관하게 상기 중량물(R)에 의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 개의 종방향 지지부(16)가 사용되고 있으나, 복수 개의 종방향 지지부(16)가 물리적으로 일체화된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찰 방지 유닛(20)의 슬라이더(21)가 상기 핀(23)을 포함한 힌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구성이나, 상기 힌지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서 다른 방식의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하판(211)을 상기 하부 플랜지(11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시킨 형상으로 구성하면, 상기 하판(211)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더(21)가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212)와 상기 브라켓(22)의 결합이 1개의 핀(23)을 사용한 힌지 구조이나,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핀(23)을 사용한 힌지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에 도시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a)는,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와 대부분의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양자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100a)는, 2개의 원형 결합공(221)을 구비한 브라켓(22a)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2개의 결합공(213a)을 구비한 연결부(212a)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핀(23)이 상기 결합공(21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상대 이동됨으로써, 상기 연결부(212a)가 상기 브라켓(22a)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 중심인 상기 제3 중심축(C3)은 상기 한 쌍의 결합공(213a) 중간쯤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10: 본체
11: 측면보
12: 전면보
13: 후면보
14: 가로보
15: 횡방향 지지부
16: 종방향 지지부
17: 포크 삽입구
18: 가이드 부재
20: 마찰 방지 유닛
21: 슬라이더
22: 브라켓
23: 핀
24: 윤활 패드
25: 가이드 부재
26: 나사
111: 마찰 방지 유닛 수용홈
112: 수용홈 보강 부재
113: 보강 부재
114: 하부 플랜지
115: 상부 플랜지
151: 경사면
152: 바닥면
153: 연결 홈부
161: 경사면
162: 바닥면
211: 하판
212: 연결부
213: 결합공
214: 곡면부
215: 평면부
221: 결합공
222: 보강 부재
241: 곡면부
242: 평면부
C : 컨테이너
CR : 코일형 중량물 중심축
C1: 길이 방향
C2: 제2 중심축
C3: 제3 중심축
F : 플로어
H1: 전단부 접촉면 높이
H2: 후단부 접촉면 높이
S1: 전단부 접촉면
S2: 후단부 접촉면

Claims (6)

  1.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는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된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횡방향과 상기 코일형 중량물의 중심축을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횡방향 지지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인 종방향과 상기 코일형 중량물의 중심축을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종방향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 지지부는 상기 종방향 지지부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횡방향 지지부의 측단부에는, 상기 종방향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된 코일형 중량물과의 간섭을 없애기 위한 연결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부와 상기 종방향 지지부는 각각 복수 개 마련되며, 서로 교대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로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보와, 상기 측면보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면보와, 상기 측면보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후면보를 구비하며,
    상기 횡방향 지지부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면보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부와 상기 종방향 지지부는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6. 제 1항에 있어서,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으며,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KR1020150149737A 2015-10-27 2015-10-27 양방향 적재가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KR101647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737A KR101647092B1 (ko) 2015-10-27 2015-10-27 양방향 적재가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737A KR101647092B1 (ko) 2015-10-27 2015-10-27 양방향 적재가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092B1 true KR101647092B1 (ko) 2016-08-10

Family

ID=5671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737A KR101647092B1 (ko) 2015-10-27 2015-10-27 양방향 적재가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5189A (zh) * 2019-10-16 2019-12-27 大连中集特种物流装备有限公司 集装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075A (ja) * 1991-12-17 1994-04-12 Shigenobu Furukawa ロール貨物輸送用コンテナ
JP2003246323A (ja) * 2002-02-26 2003-09-02 Sanko Co Ltd ロール状物搬送用パレット
KR20040032081A (ko) * 2001-08-10 2004-04-14 도요타 스틸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코일형상 반송물용 팰릿, 팰릿으로의 코일형상 반송물의적재구조체, 컨테이너로의 코일형상 반송물 적재팰릿의수납구조체 및 반송방법
KR20050122089A (ko) * 2004-06-23 2005-12-28 이권익 겸용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075A (ja) * 1991-12-17 1994-04-12 Shigenobu Furukawa ロール貨物輸送用コンテナ
KR20040032081A (ko) * 2001-08-10 2004-04-14 도요타 스틸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코일형상 반송물용 팰릿, 팰릿으로의 코일형상 반송물의적재구조체, 컨테이너로의 코일형상 반송물 적재팰릿의수납구조체 및 반송방법
JP2003246323A (ja) * 2002-02-26 2003-09-02 Sanko Co Ltd ロール状物搬送用パレット
KR20050122089A (ko) * 2004-06-23 2005-12-28 이권익 겸용 컨테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5189A (zh) * 2019-10-16 2019-12-27 大连中集特种物流装备有限公司 集装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3487B2 (en) Object handling system and method
KR101609780B1 (ko)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사용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US6902368B2 (en) Cargo-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US7971713B2 (en) Container for shipping vehicles, including extension plate
US20040247422A1 (en) Cargo roller system for cargo handling
CN106536359B (zh) 输送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US8540098B2 (en) Transport frame
CN103459270A (zh) 集装箱
EP1670662B1 (en) Container for the transport of goods
US20200223584A1 (en) Sled configured for shipping vessel
KR101647092B1 (ko) 양방향 적재가 가능한 코일형 중량물 지지대
CA3206720A1 (en) Object handling system and method
US7992738B2 (en) Pallet container
US9440769B2 (en) Platform for use in a logistic system
CN111994660A (zh) 货物自助装卸周转***
KR101659978B1 (ko) 코일형 중량물을 수납할 수 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KR101647093B1 (ko) 마찰 방지 유닛을 구비한 중량물 지지대
CN108137224B (zh) 通过对集装箱的侧壁进行加压而被固定的重物支承台
CN210140139U (zh) 运输架
CN209834574U (zh) 一种集装箱
JP4322811B2 (ja) コイル状搬送物用のパレット、パレットへのコイル状搬送物の積載構造体、搬送物積載パレットの段積構造体及び使用方法、輸送容器への搬送物積載段積パレットの収容構造体及び搬送方法、並びにコイル状搬送物の輸送方法
CN110980022A (zh) 一种集装箱
CN209921363U (zh) 一种物流台车隐藏式滑槽隔板
US3580411A (en) Container having moveable wall
CN207253179U (zh) 基于装卸定位处理的化工产品存放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