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565B1 - 레티노익산을 이용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레티노익산을 이용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565B1
KR101646565B1 KR1020150034271A KR20150034271A KR101646565B1 KR 101646565 B1 KR101646565 B1 KR 101646565B1 KR 1020150034271 A KR1020150034271 A KR 1020150034271A KR 20150034271 A KR20150034271 A KR 20150034271A KR 101646565 B1 KR101646565 B1 KR 101646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
retinoic acid
drug
hepatocytes
hum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일
한용만
김미영
은혁수
장미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3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565B1/ko
Priority to US15/123,027 priority patent/US20180163179A1/en
Priority to EP15883641.1A priority patent/EP3269801A1/en
Priority to PCT/KR2015/002576 priority patent/WO201614393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3Retinoic acids ;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7Hepat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7Digestive system
    • A61K35/407Liver; Hepatoc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26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 C12Q1/3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involving dehydrogen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G01N33/5067Live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2Hepatocyte growth factor [HG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02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embryonic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45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artificiall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티노익산(retinoic acid)을 이용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는 인간 간세포와 모양은 유사하지만,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은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마우스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한 결과, 레티놀 관련 유전자 발현이 변화하였으며, 레티놀(retinol)을 레티노익산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마우스에서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공동배양한 결과, 간세포의 손상이 감소하지않고, 약물 및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 변화가 나타나지않아,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결과, 약물 및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세포 사멸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하는 것을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티노익산을 이용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A method for improvement of drug metabolizing function of human stem cell-derived hepatocytes using retinoic acid}
본 발명은 인간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간세포에 레티노익산(retinoic acid)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잡하고 다양한 스트레스가 쌓이는 현대사회에서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에 의한 환자의 증가는 서구 선진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커다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알코올은 대부분 간에서 대사되지만 알코올을 처리하는 간의 능력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 한계를 넘어서게 되면 여러 가지 대사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즉 과량의 알코올을 만성적으로 섭취하게 되면 세포 내 NADH/NAD+의 비율이 증가하여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질대사의 장애를 초래하며, 특히 간 조직 지방대사의 장애로 인하여 지방산의 산화가 억제되고 합성이 증가되며,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의 독성에 의해 미세소관(microtubule)의 손상이 일어나 결국 지방간이 유발되고 심하면 알코올성 간염이나 간 경변증을 일으킬 수 있다.
간질환의 간 이식 치료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공여자의 부족이다. 이러한 간 이식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간세포를 이용한 세포 대체 치료방법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고, 이에 따라, 무한 증식할 수 있는 인간 배아 줄기세포는 간질환의 세포 치료에 사용될 간세포를 다량 공급할 수 있는 재료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인간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유도 분화한 간세포를 간질환 세포 치료제로써 사용하기에는 현재까지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인간 배아 발생 과정의 정확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정확한 분화 유도 기술의 부재로 완벽한 정상 간 기능을 가진 간세포를 만들기 어렵다는 것이고, 둘째, 상기 이유에 기인하여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간질환 실험동물에 이식 시 낮은 생착률을 보이며, 이에 따라 손상된 간 기능을 효율적으로 회복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셋째, 분화 유도 후 잔여 미분화 줄기세포로 기인한 기형종 생성 등의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인간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분화 유도한 간세포를 간질환의 세포 대체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현재까지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는 인간 간세포와 모양은 유사하지만,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마우스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한 결과, 레티놀 관련 유전자 발현이 변화하였으며, 레티놀(retinol)을 레티노익산(retinoic acid)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마우스에서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공동배양한 결과, 간세포의 손상이 감소하지않고, 약물 및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 변화가 나타나지않아,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결과, 약물 및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세포 사멸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하는 것을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간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간세포에 레티노익산(retinoic acid)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체 외(ex vivo)에서 인간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간세포에 레티노익산(retinoic acid)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 생체 외(ex vivo)에서 상기 간세포에 피검 약물 또는 알코올을 처리하는 단계;
2) 단계 1)의 간세포의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발현 수준을 통해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세포의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간세포를 포함하는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평가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티노익산(retinoic acid)을 이용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는 인간 간세포와 모양은 유사하지만,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은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마우스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한 결과, 레티놀 관련 유전자 발현이 변화하였으며, 레티놀(retinol)을 레티노익산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마우스에서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공동배양한 결과, 간세포의 손상이 감소하지않고, 약물 및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 변화가 나타나지않아,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결과, 약물 및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세포 사멸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하는 것을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인간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분화시킨 간세포(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hepatocytes, hES-Hep)와 인간 간세포(Human-Hep)의 형태를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성인 간세포(Adult-Hep)와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hES-Hep)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성인 간세포(Adult-Hep) 및 태아 간세포(Fetal-Hep)의 유전자 발현 비교, 및 태아 간세포(Fetal liver)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hES-Hep) 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한 도이다.
도 4는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hES-Hep) 및 마우스 간성상세포(mHSCs)의 공동배양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hES-Hep) 및 마우스 간성상세포(mHSCs)의 공동배양한 후 간성상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6은 야생형 마우스(WT, wild type)와 레티놀(retinol)을 레티노익산(retinoic acid)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유전자 변형 마우스(Raldh1-/-)의 간에서 분리한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간세포의 손상 정도를 확인한 도이다.
도 7은 야생형 마우스(WT, wild type)와 레티놀을 레티노익산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유전자 변형 마우스(Raldh1-/-)의 간에서 분리한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알코올 및 약물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8은 야생형 마우스(WT, wild type)와 레티놀을 레티노익산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유전자 변형 마우스(Raldh1-/-)의 간에서 분리한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알코올 및 약물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9는 야생형 마우스(WT, wild type)와 레티놀을 레티노익산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유전자 변형 마우스(Raldh1-/-)의 간에서 분리한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레티놀 관련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10은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후 알코올 및 약물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11은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 및 에탄올을 처리한 후 알코올 및 약물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12는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후 CYP2E1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도 13은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후 세포 사멸을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체 외(ex vivo)에서 인간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간세포에 레티노익산(retinoic acid)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세포는
1) 인간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분화를 유도하는 단계; 및
2) 상기 분화된 세포를 간세포 성장인자를 첨가한 배지에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 방법으로 분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간 줄기세포는 인간 배아 줄기세포 또는 체세포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 cell)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티노익산은 간성상세포에서 분비된 것이 바람직하고, 올트랜스(all trans) 레티노익산 또는 9-시스(9-cis) 레티노익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레티노익산이 처리된 간세포는 알코올 또는 약물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는 ADH1a, ADH1b, ADH1c 및 CYP2E1 중 적어도 하나이고, 약물 대사 관련 효소는 CYP2C9, CYP2D6 및 CYP3A4 중 적어도 하나이며, 항산화효소는 카탈라아제(catalase) 및 Mn-SOD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인간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간세포로의 분화 유도하고, 이렇게 분화시킨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도 간세포를 인간 간세포와 비교한 결과, 세포 모양이 매우 유사하고(도 1 참조), 약물 또는 알코올에 대한 대사기능과 관련된 유전자 및 항산화기능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2 참조), 성인 간세포(Adult-Hep) 및 태아 간세포(Fetal-Hep)의 유전자 발현 비교, 태아 간세포(Fetal liver)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hES-Hep)의 유전자 발현 비교한 결과, 성인 간세포와 태아 간세포의 유전자 발현 비교시에도 알코올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들이 태아 간세포에서 감소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태아 간세포보다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서 그 발현이 더 감소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참조).
또한,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공동배양한 후(도 4 참조), 간성상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공동배양시 레티놀 저장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LRAT의 발현은 감소하고, 레티노익산 합성에 관여하는 Raldh1의 발현은 현저하게 증가하며, 레티놀과 결합하여 다른 세포에 전달시키는 RBP1 및 레티노익산과 결합하여 다른 세포들에 전달시키는 CRABP1의 발현은 현저하게 증가하고, 간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HGF 및 IGF-1의 발현은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또한, 야생형 마우스(WT, wild type)와 레티놀을 레티노익산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유전자 변형 마우스(Raldh1-/-)의 간에서 분리한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간세포의 손상 정도를 확인한 결과, 야생형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된 배지 내에서는 AST와 LDH의 현저한 감소가 확인되었으나, Raldh1이 결손된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된 배지 내에서는 그 효과가 상실되는 것을 확인하였고(도 6 참조),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약물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 야생형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된 경우에 증가된 알코올 및 약물 대사 관련 효소, 항산화효소의 발현이 확인되었으나, Raldh1이 결손된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된 경우에는 관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7 내지 도 8 참조), 레티놀 관련 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 Raldh1이 결손된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된 경우에 레티놀 대사(LRAT, ADH3), 레티놀 이동(RBP1) 및 레티노익산 이동(CRABP1)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 참조).
또한,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 후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약물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 레티노익산 만을 처리한 경우에도 마우스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한 것과 같이 다양한 효소들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도 10 참조), 에탄올을 함께 처리한 경우에도,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들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11 참조),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인 CYP2E1의 발현을 면역형광법으로 확인한 결과,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서 CYP2E1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도 12 참조), 세포 사멸 정도를 확인한 결과, 알코올에 의해 증가한 세포 사멸이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서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3 참조).
상기 결과들을 토대로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hES-Hep)의 약물 및 알코올 대사 효소, 항산화효소의 발현이 증가되었고, 이를 통해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켜 독성 효과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으므로, 결과적으로 레티노익산에 의한 간세포 약물 및 알코올 대사 효소, 항산화효소 발현 증가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는 인간 간세포와 모양은 유사하지만,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은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마우스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한 결과, 레티놀 관련 유전자 발현이 변화하였으며, 레티놀을 레티노익산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마우스에서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공동배양한 결과, 간세포의 손상이 감소하지않고, 약물 및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 변화가 나타나지않아,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결과, 약물 및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세포 사멸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하는 것을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생체 외(ex vivo)에서 상기 간세포에 피검 약물 또는 알코올을 처리하는 단계;
2) 단계 1)의 간세포의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발현 수준을 통해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세포의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간 줄기세포는 인간 배아 줄기세포 또는 체세포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간세포는 알코올 또는 약물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는 ADH1a, ADH1b, ADH1c 및 CYP2E1 중 적어도 하나이고, 약물 대사 관련 효소는 CYP2C9, CYP2D6 및 CYP3A4 중 적어도 하나이며, 항산화효소는 카탈라아제(catalase) 및 Mn-SOD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검 약물 또는 알코올은 에탄올, CCl4, 아세토아미노펜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는 인간 간세포와 모양은 유사하지만,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은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마우스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한 결과, 레티놀 관련 유전자 발현이 변화하였으며, 레티놀을 레티노익산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마우스에서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공동배양한 결과, 간세포의 손상이 감소하지않고, 약물 및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 변화가 나타나지않아,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결과, 약물 및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세포 사멸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하는 것을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간세포를 포함하는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평가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간세포는 알코올 또는 약물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는 ADH1a, ADH1b, ADH1c 및 CYP2E1 중 적어도 하나이고, 약물 대사 관련 효소는 CYP2C9, CYP2D6 및 CYP3A4 중 적어도 하나이며, 항산화효소는 카탈라아제(catalase) 및 Mn-SOD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약물 또는 알코올은 에탄올, CCl4, 아세토아미노펜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는 인간 간세포와 모양은 유사하지만,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은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마우스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한 결과, 레티놀 관련 유전자 발현이 변화하였으며, 레티놀을 레티노익산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마우스에서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공동배양한 결과, 간세포의 손상이 감소하지않고, 약물 및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 변화가 나타나지않아,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결과, 약물 및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 효소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세포 사멸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하는 것을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인간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간세포로의 분화 유도
인간 배아 줄기세포주 CHA15(차 연구소(CHA Research Institute))는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유지하였다. 인간 배아 줄기세포는 지지세포(feeder cell)와 함께 마트리겔(matrigel)(BD biosciences)이 코팅된 플레이트에 5 내지 6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는 RPMI 1640 배지(Welgene,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매 24시간마다 교체하였다. 인간 배아 줄기세포의 콜로니는 6 내지 9 조각으로 나누고, 세포 덩어리는 마트리겔이 코팅된 지지세포 없는 플레이트에 놓고, 37℃ 배양기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는 안정화 단계이다. 인간 배아 줄기세포 콜로니의 성장이 확인된 후, 다른 세포 파편 및 배양액은 피펫팅(pipetting)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50X B27(Gibco), 50 ng/uL 액티빈(activin) A를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로 0 내지 5일 동안 확실한 내배엽으로의 분화를 유도하였고, 배양 배지는 매 24시간 마다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교체하였다. 상기 분화된 세포를 50X B27, 100 ng/uL 섬유아세포 성장인자-4(fibroblast growth factor-4), 50ng/uL 골형성 단백질-2(bone morphogenetic protein-2)을 포함하는 RPMI 배지로 5 내지 10일 동안 간세포로 유도하였다. 그 후, 50 ng/uL 간세포 성장 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HGF; Peprotech 사)를 고농도 배양액 bulletkit에 첨가하여 10 내지 15일 동안 배양하고, 50 ng/uL 온코스태틴 M(oncostatin M) 및 1mM 덱사메타손(dexametasone)을 고농도 배양액에 첨가하여 15 내지 19일간 배양하여 간세포의 성숙(Maturation)을 유도하였다. 모든 분화단계에서 배양 배지는 24시간 마다 교체하였다. 1차 인간 간세포는 실험에 사용하기 전, 낮은 포도당(glucose)을 포함하는 DMEM으로 37℃, 5% CO2로 유지하였다. 기능 비교를 위해, Life Technologies Gibco(미국)에서 제공하는 냉동 보관된 46세 남성으로부터 얻은 인간 간세포(Lot no. Hu4246)를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실험 동물의 관리
C57BL/6 야생형(wild-type, WT) 수컷 마우스는 Jackson Laboratory(미국)으로부터 구입하였다. 레티놀(retinol)을 레티노익산(retinoic acid)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Raldh1-/- 마우스는 이전에 보고된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동물은 한국 과학 기술원(KAIST)의 무균 동물 시설에서 유지되었다. 동물은 미국 국립 보건원(NIH)의 실험 동물의 관리 및 사용을 위한 설명서에 명시된 기준에 따라 인도적인 케어를 받았고, 모든 실험 절차는 KAIST의 동물 관리 및 사용 위원회에 의해 승인되었다.
< 실시예 3> 마우스로부터 간성상세포(hepatic stellate cells, mHSCs )의 분리
상기 <실시예 2>의 야생형 마우스(WT) 및 Raldh1-/- 마우스로부터 간성상세포를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체중 30 내지 34 g의 마우스에 펜토바비탈 나트륨(sodium pentobarbital)을 30 mg/kg 복강 내 주사하여 마취시키고, 무균 조건에서 간문맥(portal vein)에 삽관하였다. 간은 EGTA(ethylene glycol-bis(β-aminoethyl ester)-N,N,N', N'-tetraacetic acid) 용액(5.4 mmol/L KCl, 0.44 mmol/L KH2PO4, 140 mmol/L NaCl, 0.34 mmol/L Na2HPO4, 0.5 mmol/L EGTA 및 25 mmol/L Tricine, pH 7.2) 및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 Sigma-Aldrich, 미국)으로 관류시키고, 0.075% 타입 Ⅰ 콜라게나아제(type Ⅰ collagenase; Warthington)을 포함하는 HBSS으로 분해시켰다. 마우스 간세포의 분리는 랫트-꼬리 콜라겐(rat-tail collagen) 코팅된 플레이트에 10% FBS를 포함하는 DMEM(Gibco-BRL)으로 60 내지 70% 차도록(confluence) 배양하였다. 간성상세포(mHSC)의 분리를 위해 마우스 간은 제자리(in situ)에서 먼저 EGTA 용액을 넣고, 이어서 관류 완충액 및 분해 완충액(0.02% DNase Ⅰ이 포함된 HBSS에 0.009% 콜라게나아제 타입 Ⅰ)으로 20 내지 30분 동안 37℃로 관류시켰다. 세포 현탁액은 70 um 세포 여과기(strainer)를 통해 여과하고, 실온에서 5분 동안 42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간세포를 제거하였다. 상층액은 세척하고, HBSS로 재현탁한 후, 11.5% OptiPrep에 로딩하고, 4℃에서 15분 동안 1400 g로 원심분리하였다. 간성상세포는 인터페이스(interface)로부터 수득하였다. 분리된 간성상세포는 레티놀을 함유하고 있는 지방구가 선명하게 다량 관찰되어야한다.
< 실험예 1> 인간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간세포( hES -Hep)와 인간 간세포(Human-Hep)의 비교
<1-1> 형태학적인 비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인간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분화시킨 간세포(hES-Hep)와 인간 간세포(Human-Hep)의 형태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hES-Hep와 Human-Hep의 세포 모양이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
<1-2> 유전자 발현 비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와 성인 간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 및 성인 간세포에서 RNA를 추출한 후, 각 풀(pool)은 각 칩(chip)을 혼성화하고, 일루미나(Illumina) 인간 HT-12(v3) 비드칩(beadchip)은 KRIBB(한국 생명 공학 연구원)에서 처리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의 통계 분석은 http://www.r-project.org/에서 구할 수 있는 무료 소프트웨어 환경인 R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히트맵(heat map)은 로그 유전자 발현 레벨(0은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을 색깔-코딩 genewise로 표준화시켜 생성하였다. 도면은 Matrix2png 프로그램(http://www.chibi.ubc.ca/matrix2png/)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인 간세포와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유전자 발현에서 약 929개의 유전자 발현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었고, 특히 약물 또는 알코올에 대한 대사기능과 관련된 유전자인 ADH1A, ADH1B, ADH1C, CYP1A2, CYP2C9, CYP2D6, CYP2E1, CYP3A4 및 항산화기능과 관련된 유전자인 SOD2, 카탈라아제(catalase)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2).
<1-3>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효소의 발현 비교
성인 간세포(Adult-Hep) 및 태아 간세포(Fetal-Hep)의 유전자 발현 비교, 태아 간세포(Fetal liver)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hES-Hep)의 유전자 발현 비교하여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효소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성인 간세포, 태아 간세포,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서 트리졸(Trizol) 시약(Invitrogen)을 이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고, cDNA는 amfi-rivert II cDNA synthesis Master Mix(Gendepot)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합성하였다. 전사물은 SYBR 그린 실시간 PCR Master Mix(Toyobo, 일본)를 사용하여 하기 표 1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관심있는 유전자를 증폭하였고, 실시간 PCR 분석은 Bio-rad CFX96 실시간 PCR 검출 시스템(Bio-rad)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유전자 발현 결과 레벨은 △△Ct 방법 및 β-액틴(actin)을 유전자 발현의 분모로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값은 대조 유전자와 비교하여 배의 변화(fold change)로 표현하였다.
이름 크기 정방향(Forward) 역방향(Reverse)
ADH1a 102 AGTCATCCCACTCGCTATTCC
(서열번호: 1)
GTCCCCTGAGGATTGCTTACA
(서열번호: 2)
ADH1b 224 CCCGGAGAGCAACTACTGC
(서열번호: 3)
AACCAGTCGAGAATCCACAGC
(서열번호: 4)
ADH1c 223 CTCGCCCCTGGAGAAAGTC
(서열번호: 5)
GGCCCCCAACTCTTTAGCC
(서열번호: 6)
ALDH2 196 TCGGCTACATCAACACGG
(서열번호: 7)
TCTCCCAACAACCTCCTCT
(서열번호: 8)
CYP2E1 67 GCAAGAGATGCCCTACATGGA
(서열번호: 9)
GGGCACGAGGGTGATGAA
(서열번호: 10)
CYP2D6 289 CTAAGGGAACGACACTCATCAC
(서열번호: 11)
CTCACCAGGAAAGCAAAGACAC
(서열번호: 12)
CYP3A4 78 CAGGAGGAAATTGATGCAGTTTT
(서열번호: 13)
GTCAAGATACTCCATCTGTAGCACAGT
(서열번호: 14)
Catalase 129 GTTACTCAGGTGCGGGCATTCTAT
(서열번호: 15)
GAAGTTCTTGACCGCTTTCTTCTG
(서열번호: 16)
Mn-SOD 369 CTCCCCGACCTGCCCTACGACTAC
(서열번호: 17)
AAACCAAGCCAACCCCAACCTGAG
(서열번호: 18)
b-actin 285 AGCGAGCATCCCCCAAAGTT
(서열번호: 19)
GGGCACGAAGGCTCATCATT
(서열번호: 20)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인 간세포와 태아 간세포의 유전자 발현 비교시에도 알코올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들이 태아 간세포에서 감소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태아 간세포보다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서 그 발현이 더 감소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알코올을 처리하면 대사 효소의 증가가 확인되었다(도 3).
< 실험예 2>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에 따른 효과
<2-1>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마우스 간성상세포와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공동배양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와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마우스 간성상세포를 가지고 실험하였다. 10% FBS가 포함된 DMEM에 배양한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 위에 8 ㎛ 구멍이 있는 플레이트(Corning, 미국)에 2 × 105 개의 마우스 간성상세포를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및 상층액을 수득하거나, 200 mM(0.2 M) 에탄올(EtOH, ethanol)을 처리하고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세포 및 배지를 수득하였다(도 4).
<2-2>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유전자 발현 확인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간성상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 간성상세포와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공동배양한 후 상기 실험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2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실시간 PCR 분석을 수행하여, 레티노이드 대사 관련(LRAT, ADH3, Raldh1), 레티노이드 이동(RBP1, CRABP1) 및 성장인자(HGF, IGF-1)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이름 크기 정방향(Forward) 역방향(Reverse)
B-actin 148 AGAGGGAAATCGTGCGTGAC
(서열번호: 21)
CAATAGTGATGACCTGGCCGT
(서열번호: 22)
LRAT 370 CTGACCAATGACAAGGAACGCACTC
(서열번호: 23)
CTAATCCCAAGACAGCCGAAGCAAGA
(서열번호: 24)
ADH3 215 GTGGGAGTAGCTGCTTCAGG
(서열번호: 25)
GTGCATCAGATCAAAGGCTTG
(서열번호: 26)
ALDH1A1 248 GCTCAAGACAGTCGCAATGA
(서열번호: 27)
TGGATAAGAACTGGGGTCACA
(서열번호: 28)
Rbp1(cellular) 155 CAGTGTGTGCAGAAGGGAGA
(서열번호: 29)
AGGTTATCTCCTCGGGCTGT
(서열번호: 30)
Crabp1 223 CTTACTGGACCCGAGAGCTG
(서열번호: 31)
GGAAAATGGGGTTGCCTAAT
(서열번호: 32)
HGF(Hepatocyte growth factor) 236 TTCCCAGCTGGTCTATGGTC
(서열번호: 33)
TGGTGCTGACTGCATTTCTC
(서열번호: 34)
IGF-1 220 CACATCATGTCGTCTTCACACC
(서열번호: 35)
GGAAGCAACACTCATCCACAATG
(서열번호: 36)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공동배양시 레티놀 저장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LRAT의 발현은 감소하고, 레티노익산 합성에 관여하는 Raldh1의 발현은 현저하게 증가하며, 레티놀과 결합하여 다른 세포에 전달시키는 RBP1 및 레티노익산과 결합하여 다른 세포들에 전달시키는 CRABP1의 발현은 현저하게 증가하고, 간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HGF 및 IGF-1의 발현은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상기 결과로 간성상세포의 레티놀 저장이 감소한 대신 Raldh1에 의해 레티놀이 레티노익산으로 대사가 된 후, CRABP1과 결합하여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로 이동하여 레티노익산 핵 수용체와 반응하여 간세포의 대사 효소 발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레티노익산 대사의 중요성 확인
<3-1>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간세포의 손상 정도 확인
야생형 마우스(WT, wild type)와 레티놀을 레티노익산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유전자 변형 마우스(Raldh1-/-)의 간에서 분리한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간세포의 손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LDH(lactate dehydrogenase)의 수치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한 마우스 간성상세포를 가지고, 상기 실험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 간성상세포와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24시간 동안 공동배양한 후 0.2 M EtOH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한 후, 배지를 수거하여 간세포의 손상 정도를 확인하였다. IDEXX Laboratories(미국)에서 구입한 키트를 이용하여 AST, ALT 및 LDH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야생형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된 배지 내에서는 AST와 LDH의 현저한 감소가 확인되었으나, Raldh1이 결손된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된 배지 내에서는 그 효과가 상실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3-2>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유전자 발현 확인
야생형 마우스(WT)와 레티놀을 레티노익산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유전자 변형 마우스(Raldh1-/-)의 간에서 분리한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약물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한 마우스 간성상세포를 가지고, 상기 실험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 간성상세포와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공동배양한 후 에탄올을 처리한 세포들을 가지고, 상기 실험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표 1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실시간 PCR 분석을 수행하여,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ADH1a, ADH1b, ADH1c, ALDH2 및 CYP2E1), 약물 대사 관련 효소(CYP2D6 및 CYP3A4) 및 항산화효소(카탈라아제(catalase) 및 Mn-SOD)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야생형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된 경우에 증가된 알코올 및 약물 대사 관련 효소, 항산화효소의 발현이 Raldh1이 결손된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된 경우에는 관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3-3>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단백질 발현 확인
야생형 마우스(WT)와 레티놀을 레티노익산으로 대사하지 못하는 유전자 변형 마우스(Raldh1-/-)의 간에서 분리한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약물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한 마우스 간성상세포를 가지고, 상기 실험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 간성상세포와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공동배양한 후 에탄올을 처리한 세포를 단백질 추출을 위해 RIPA 완충용액(30 mmol/L Tris pH 7.5, 150 mmol/L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1 mmol/L PMSF(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1 mmol/L 오르토바나듐산나트륨(sodium orthovanadate), 1% NP-40(nonidet p-40), 10% 글리세롤(glycerol), 포스포타제 억제인자(phosphotase inhibitor) 및 프로테아제 억제인자(protease inhibitor))을 첨가하여 균질화하였다. 이렇게 얻은 단백질 50 내지 80 ug을 SDS-PAGE에 로딩한 후, 나이트로셀룰로스(nitrocellulose) 멤브레인(membrane)으로 이동시켜 1차 항체로 항-베타-엑틴 항체(anti-β-actin antibodies)(Sigma-Aldrich), 항-알파-CYP2E1 항체(anti-α-CYP2E1 antibodies)(Millipore), 항-CYP3A4, 항-카탈라아제(Cell signaling, 미국), 항-ADH1 및 항-Mn-SOD 항체(Santa-Cruz)를 사용하여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2차 항체로 알칼리인산염(alkalinephosphate)이 결합된 항-토끼 항체를 사용하였고, PhosphoImager(GE Healthcare, 미국)와 ECL 검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야생형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된 경우에 CYP2E1, CYP3A4, Mn-SOD의 단백질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한 반면, Raldh1이 결손된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된 경우에는 발현이 증가하지않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
<3-4>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레티놀 관련 유전자 발현 확인
야생형 마우스(WT)와 레티노익산을 만들지 못하는 유전자 변형 마우스(Raldh1-/-)의 간에서 분리한 마우스 간성상세포 및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공동배양 후 레티놀 관련 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한 마우스 간성상세포를 가지고, 상기 실험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 간성상세포와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공동배양한 후 에탄올을 처리한 세포들을 가지고, 상기 실험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간 PCR 분석을 수행하여, 레티놀 대사(LRAT, ADH3), 레티놀 이동(RBP1) 및 레티노익산 이동(CRABP1)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Raldh1이 결손된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된 경우에 레티놀 대사(LRAT, ADH3), 레티놀 이동(RBP1) 및 레티노익산 이동(CRABP1)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
<실험예 4> 레티노익산 처리에 따른 효과 확인
<4-1> 레티노익산 처리 후 유전자 발현 확인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을 처리 후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약물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화시킨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1 uM 올트랜스 레티노익산(all-trans retinoic acid) 또는 9-시스 레티노익산(9-cis retinoic acid)을 처리하고 12시간 또는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실험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간 PCR 분석을 수행하여,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ADH1a, ADH1b, ADH1c 및 CYP2E1), 약물 대사 관련 효소(CYP2C9, CYP2D6 및 CYP3A4) 및 항산화효소(카탈라아제 및 Mn-SOD)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티노익산 만을 처리한 경우에도 마우스 간성상세포와 공동배양한 것과 같이 다양한 효소들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0).
<4-2> 레티노익산 및 에탄올 처리 후 유전자 발현 확인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 및 에탄올 처리 후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화시킨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1 uM 올트랜스 레티노익산(all-trans retinoic acid) 및 0.2 M EtOH를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실험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간 PCR 분석을 수행하여,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ADH1a, ADH1b, ADH1c 및 CYP2E1) 및 항산화효소(카탈라아제 및 Mn-SOD)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티노익산 및 에탄올을 처리한 경우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들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1).
<4-3> 레티노익산 처리 후 면역세포화학(immunocytochemistry) 확인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 처리 후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인 CYP2E1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면역형광법(immunofluorescence)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화시킨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1 uM 올트랜스 레티노익산(all-trans retinoic acid) 및 0.2 M EtOH를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세포들을 가지고,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로 고정하였다. 고정시킨 세포를 100% 메탄올(Merck, millipore)을 15분 동안 처리하여 투과 가능하게(permeabilized) 한 후, 5% 염소 혈청(goat serum)을 37℃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여 블로킹(blocked)하였다. 여기에 항-CYP2E1 항체(Millipore, 독일)로 염색하였고, DAPI로 핵을 염색하여 다양한 배율에서 형광 여기를 위한 외부 광원으로의 Leica EL6000 및 Leica CTR 4000 CCD 카메라를 갖춘 Leica DMI 4000B 자동화 수직 현미경 시스템(독일)을 사용하여 가시화하였고, Leica Application Suite Advanced Fluorescence(LAS AF, Leica)로 컴퓨터 보조 이미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서 CYP2E1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2).
<4-4> 레티노익산 처리 후 세포 사멸 확인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레티노익산 처리 후 세포 사멸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터널(TUNEL) assay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화시킨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 1 uM 올트랜스 레티노익산(all-trans retinoic acid) 및 0.2 M EtOH를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세포들을 가지고,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로 고정하였다. 고정시킨 세포를 100% 메탄올(Merck, millipore)을 15분 동안 처리하여 투과 가능하게(permeabilized) 하였다. 세포 사멸 측정 키트(In Situ Cell Death Detection Kit)인 Fluorescence(Roche)를 이용하였고, DAPI로 핵을 염색하여 다양한 배율에서 형광 여기를 위한 외부 광원으로의 Leica EL6000 및 Leica CTR 4000 CCD 카메라를 갖춘 Leica DMI 4000B 자동화 수직 현미경 시스템(독일)을 사용하여 가시화하였고, Leica Application Suite Advanced Fluorescence(LAS AF, Leica)로 컴퓨터 보조 이미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에 의해 증가한 세포 사멸이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에서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3).
지금까지의 결과들을 토대로 레티노익산을 처리한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hES-Hep)의 약물 및 알코올 대사 효소, 항산화효소의 발현이 증가되었고, 이를 통해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켜 독성 효과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으므로, 결과적으로 레티노익산에 의한 간세포 약물 및 알코올 대사 효소, 항산화효소 발현 증가 효과를 확인하였다.
<110>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20> A method for improvement of drug metabolizing function of human stem cell-derived hepatocytes using retinoic acid <130> 2014P-12-048 <160> 3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1a_F <400> 1 agtcatccca ctcgctattc c 21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1a_R <400> 2 gtcccctgag gattgcttac a 21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1b_F <400> 3 cccggagagc aactactgc 19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1b_R <400> 4 aaccagtcga gaatccacag c 21 <210> 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1c_F <400> 5 ctcgcccctg gagaaagtc 19 <210> 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1c_R <400> 6 ggcccccaac tctttagcc 19 <210> 7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DH2_F <400> 7 tcggctacat caacacgg 18 <210> 8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DH2_R <400> 8 tctcccaaca acctcctct 19 <210> 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P2E1_F <400> 9 gcaagagatg ccctacatgg a 21 <210> 10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P2E1_R <400> 10 gggcacgagg gtgatgaa 18 <210> 1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P2D6_F <400> 11 ctaagggaac gacactcatc ac 22 <210> 1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P2D6_R <400> 12 ctcaccagga aagcaaagac ac 22 <210> 1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P3A4_F <400> 13 caggaggaaa ttgatgcagt ttt 23 <210> 14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P3A4_R <400> 14 gtcaagatac tccatctgta gcacagt 27 <210> 1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talase_F <400> 15 gttactcagg tgcgggcatt ctat 24 <210> 1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talase_R <400> 16 gaagttcttg accgctttct tctg 24 <210> 1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n-SOD_F <400> 17 ctccccgacc tgccctacga ctac 24 <210> 1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n-SOD_R <400> 18 aaaccaagcc aaccccaacc tgag 24 <210> 1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ctin_F <400> 19 agcgagcatc ccccaaagtt 20 <210> 2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ctin_R <400> 20 gggcacgaag gctcatcatt 20 <210> 2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ctin_F <400> 21 agagggaaat cgtgcgtgac 20 <210> 2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ctin_R <400> 22 caatagtgat gacctggccg t 21 <210> 23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RAT_F <400> 23 ctgaccaatg acaaggaacg cactc 25 <210> 24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RAT_R <400> 24 ctaatcccaa gacagccgaa gcaaga 26 <210> 2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3_F <400> 25 gtgggagtag ctgcttcagg 20 <210> 2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H3_R <400> 26 gtgcatcaga tcaaaggctt g 21 <210> 2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DH1A1_F <400> 27 gctcaagaca gtcgcaatga 20 <210> 2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DH1A1_R <400> 28 tggataagaa ctggggtcac a 21 <210> 2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bp1_F <400> 29 cagtgtgtgc agaagggaga 20 <210> 3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bp1_R <400> 30 aggttatctc ctcgggctgt 20 <210> 3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rabp1_F <400> 31 cttactggac ccgagagctg 20 <210> 3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rabp1_R <400> 32 ggaaaatggg gttgcctaat 20 <210> 3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GF_F <400> 33 ttcccagctg gtctatggtc 20 <210> 3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GF_R <400> 34 tggtgctgac tgcatttctc 20 <210> 3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F-1_F <400> 35 cacatcatgt cgtcttcaca cc 22 <210> 3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F-1_R <400> 36 ggaagcaaca ctcatccaca atg 23

Claims (10)

1) 생체 외(ex vivo)에서 인간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분화를 유도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분화된 세포를 간세포 성장인자를 첨가한 배지에 배양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 간성상세포에서 분비된 레티노익산(retinoic acid)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기능 개선 방법.
삭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줄기세포는 인간 배아 줄기세포 또는 체세포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 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기능 개선 방법.
삭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티노익산은 올트랜스(all trans) 레티노익산 또는 9-시스(9-cis) 레티노익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기능 개선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레티노익산이 처리된 간세포는 알코올 또는 약물 대사 관련 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기능 개선 방법.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는 ADH1a, ADH1b, ADH1c 및 CYP2E1 중 적어도 하나이고, 약물 대사 관련 효소는 CYP2C9, CYP2D6 및 CYP3A4 중 적어도 하나이며, 항산화효소는 카탈라아제(catalase) 및 Mn-SOD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기능 개선 방법.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
1) 생체 외(ex vivo)에서 제 8항의 간세포에 피검 약물 또는 알코올을 처리하는 단계;
2) 단계 1)의 간세포의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 발현 수준을 통해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세포의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평가 방법.
제 8항의 간세포를 포함하는 약물 또는 알코올 대사 평가용 시스템.
KR1020150034271A 2015-03-12 2015-03-12 레티노익산을 이용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 KR101646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271A KR101646565B1 (ko) 2015-03-12 2015-03-12 레티노익산을 이용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
US15/123,027 US20180163179A1 (en) 2015-03-12 2015-03-17 Method for improvement of drug metabolism of human stem cell-derived hepatocytes
EP15883641.1A EP3269801A1 (en) 2015-03-12 2015-03-17 Method for improving drug metabolism function of human stem cell-derived hepatocyte
PCT/KR2015/002576 WO2016143931A1 (ko) 2015-03-12 2015-03-17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271A KR101646565B1 (ko) 2015-03-12 2015-03-12 레티노익산을 이용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565B1 true KR101646565B1 (ko) 2016-08-12

Family

ID=5671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271A KR101646565B1 (ko) 2015-03-12 2015-03-12 레티노익산을 이용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5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8318A1 (en) * 2000-12-15 2002-06-20 The University Of Nottingham Co-culture of hepatocytes and stellate cells
KR20130012114A (ko) * 2010-02-03 2013-02-01 도쿠리츠교세이호진 고쿠리츠간켄큐센터 유도간 간세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세포의 응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8318A1 (en) * 2000-12-15 2002-06-20 The University Of Nottingham Co-culture of hepatocytes and stellate cells
KR20130012114A (ko) * 2010-02-03 2013-02-01 도쿠리츠교세이호진 고쿠리츠간켄큐센터 유도간 간세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세포의 응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tinoids induce cytochrome P450 3A4 through RXR/VDRmediated pathway, biochemical pharmacology, 75, 2204-2213(2008.) *
Retinoids induce cytochrome P450 3A4 through RXR/VDRmediated pathway, biochemical pharmacology, 75, 2204-2213(2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nykers et al. In vitro differentiation of embryonic and adult stem cells into hepatocytes: state of the art
US20190316083A1 (en) Culture method for long-term maintenance and proliferation subculture of human hepatocytes
Hatou et al. Functional corneal endothelium derived from corneal stroma stem cells of neural crest origin by retinoic acid and Wnt/β-catenin signaling
Gordon et al. Isolation, short-term culture, and transplantation of small hepatocyte-like progenitor cells from retrorsine-exposed rats1
Van Den Bogaard et al. Rho kinase inhibitor Y-27632 prolongs the life span of adult human keratinocytes, enhances skin equivalent development, and facilitates lentiviral transduction
JP5764598B2 (ja) 幹細胞を培養するための方法及びキット
WO2014127170A1 (en) Bioengineered liver construct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TWI449789B (zh) 由人類誘導式全能型幹細胞快速引導分化為成熟肝細胞之方法,及其用於治療肝病之用途
CN110982776B (zh) 肝细胞的体外扩增培养方法及应用
US20220016178A1 (en) Generation Of Uniform Hepatocytes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By Inhibiting TGF-BETA and Methods Of Maintaining Hepatic Cultures
Thiageswaran et al. A role for exchange of extracellular vesicles in porcine spermatogonial co-culture
CN101037669A (zh) 一种从人胚胎干细胞诱导肝细胞的方法
Caperna et al. Culture of porcine hepatocytes or bile duct epithelial cells by inductive serum-free media
KR101646565B1 (ko) 레티노익산을 이용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
López-Paniagua et al. Successful consecutive expansion of limbal explants using a biosafe culture medium under feeder layer-free conditions
JPWO2011016485A1 (ja) iPS細胞から肝実質細胞への分化誘導方法
Arends et al. In vitro differentiation of liver progenitor cells derived from healthy dog livers
KR101694315B1 (ko) 간성상세포를 이용한 인간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의 약물 대사 기능 개선 방법
WO2010114136A1 (ja) 多能性幹細胞及び心筋細胞以外の分化細胞に対する細胞死誘導方法
US20180163179A1 (en) Method for improvement of drug metabolism of human stem cell-derived hepatocytes
Mantalaris et al. Production of human osteoclasts in a three-dimensional bone marrow culture system
Yu et al. Inhibition of pancreatic stellate cell activity by adipose-derived stem cells
CN103305467B (zh) 一种人肝癌细胞系hlcz02及其应用
WO2014188994A1 (ja) アミノ酸製剤による細胞増幅法
Zhu et al. Converting skin fibroblasts into hepatic‐like cells by transient program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