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229B1 - Portable keypad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Portable keypad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229B1
KR101645229B1 KR1020150009197A KR20150009197A KR101645229B1 KR 101645229 B1 KR101645229 B1 KR 101645229B1 KR 1020150009197 A KR1020150009197 A KR 1020150009197A KR 20150009197 A KR20150009197 A KR 20150009197A KR 101645229 B1 KR101645229 B1 KR 101645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unit
keypad
input signal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1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9675A (en
Inventor
류근웅
지상범
하진석
최유식
윤경태
임도균
강유지
Original Assignee
류근웅
지상범
하진석
최유식
윤경태
임도균
강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근웅, 지상범, 하진석, 최유식, 윤경태, 임도균, 강유지 filed Critical 류근웅
Priority to KR1020150009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229B1/en
Publication of KR20160089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6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2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패널이 구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오타율을 줄이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키패드가 구비되고, 키패드는 휴대용 단말기에 체결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nd in order to reduce a misty rat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 keypad for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he keypad is fastened to the portable terminal, Or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PORTABLE KEYPAD FOR MOBILE PHONE}[0001] PORTABLE KEYPAD FOR MOBILE PHONE [0002]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패널이 구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오타율을 줄이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키패드가 구비되고, 키패드는 휴대용 단말기에 체결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nd in order to reduce a misty rat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 keypad for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he keypad is fastened to the portable terminal, Or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스마트 단말기는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정전식 터치패드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오타율이 높아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단말기는 가지각색의 특징을 갖는 디자인 및 성능을 탑재하여 출시되곤 하는데, 사용자는 기존에 사용하던 스마트 단말기를 교체하게 될 때 이와 함께 터치패널의 크기도 변경되기 때문에 오타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경우,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되는 터치패널이 함께 겸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외면이 강화유리와 같은 면 재질로 구비되고, 이로 인하여 시각장애인과 같은 사용자는 터치패널을 터치하여 스마트 단말기에 입력신호를 전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 smart touch pad is used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smart terminals. However, the capacitive touch panel ha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because of a high error rate. In detail, a smart terminal is introduced with design and performance having various characteristics. When a user changes a smart terminal used in the past, the size of the touch panel is also changed, there was. In the case of a touch panel of a smart terminal, since a display unit on which a screen is output and a touch panel to be input are used together, the outer surface is made of a surface material such as tempered glass, It is difficult to transmit an input signal to the smart terminal.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2416호(선행문헌1)는 이동단말기용 외장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전화기 및 PDA폰 등의 각종 단말기를 외부에서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외장 콘트롤러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92416 (prior art document 1) relates to an external controller for a mobile terminal, and discloses an external controller for easily controlling various terminals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PDA phone from the outside.

하지만, 선행문헌1은 이동단말기의 4극 이상의 잭으로 구동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시각장애인과 같은 시각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한 구성이 기재되어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1 has a problem that it must be driven by jacks of four or more poles of a mobile termina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figuration for a user who is visually inconvenient such as a visually impaired person is not described.

또한, 외장 콘트롤러를 별도로 소지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어, 시각장애인과 같이 시각이 불편한 사용자가 사용할 시 콘트롤러를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n external controller separatel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who is visually impaired, such as a visually impaired person, loses the controller when us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2416호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924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각 장애인과 같이 시각이 불편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pad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a user who is visually impaired, such as a visually impaired pers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패널을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압력식 키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ssure type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using a touch panel.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버튼이 생성하는 입력신호를 편의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a user to change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a button at a convenie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 또는 분리 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면에 하나 이상의 버튼부가 구비되는 키패드부 및 상기 버튼부에서 발생되는 입력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부는 몸체부와 힌지 연결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가변되며, 키패드부 상면에 점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for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to a portable terminal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he keypad comprising: a body portion mounted or detached from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button unit to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keypad unit is hinged to the body unit to change the front or rear 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을 교체함으로 발생되는 터치패널의 변화에도 별도로 구비되는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external keypad for a terminal, which is separately provided for a change of a touch panel generated by replacing a mobile phone, is used, it is easy to input to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키패드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가변되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만 전면으로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keypad unit can be changed to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easily carried and can be used as a front face only when the user uses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키패드부는 상면에 점자가 형성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보다 손쉽게 키패드부를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keypad unit is formed with braille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more easily use the keypad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의 가변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에의 버튼부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의 버튼부에 형성되는 점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의 입력신호전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의 버튼 부 및 입력신호전환부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의 버튼부에서 생성된 입력신호가 유선(물리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의 버튼부에서 생성된 입력신호가 단거리 무선통신으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의 버튼부에 가해진 압력이 입력신호전환부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nd FIG.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various buttons of the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braille formed on a button portion of 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put signal switching unit of 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button unit and an operation method of an input signal switching unit of 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n input signal generated in a button portion of 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a portable terminal in a physical form.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n input signal generated in a button portion of 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a portabl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 pressure applied to a button portion of 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a portable terminal through an input signal switching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Of cour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components not shown in FIG. 1 are referred to as separate referenc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는 휴대용 단말기(20)에 체결되는 몸체부(100) 및 몸체부(100)와 체결되어 힌지 운동하는 키패드부(200)로 구성된다.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00 fasten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a keypad portion 200 fastened to the body portion 100 and hinged.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몸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20)에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몸체부(10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휴대용 단말기(20)의 저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의 단자부(21)와 체결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20)의 단자부(21)에 해당되는 위치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는데, 이는, 몸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20)가 거치될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다. 또한, 몸체부(100)는 일측면에 힌지부(120)가 구비되어 힌지부(120)를 통해 키패드부(200)와 연결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body 1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 In detail, the body 10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20. [ The portable terminal 20 is provided with a terminal portion 21 protruding from the terminal portion 21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20 can be fastened to the terminal portion 21 of the portable terminal 20, So that a stepped portion is formed. The body portion 100 has a hinge portion 120 on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keypad portion 200 through the hinge portion 120.

한편,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고하면, 몸체부(100)는 내부에 버튼부(300)를 조작함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휴대용 단말기(20)로 전송하는 제어부(150)가 구비된다. 제어부(150)는 버튼부(300)에서 발생되는 입력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휴대용 단말기(20)에 전송하는데, 무선으로는 ZIGBEE 또는 BLUETOOTH 무선통신표준기술을 사용하고, ZIGBEE 및 BLUETOOTH는 공지기술인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버튼부(300)에서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유선으로 휴대용 단말기(20)에 전송할 때에는, 휴대용 단말기(20)의 단자부(21)에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전송하는데, 휴대용 단말기(20)는 다양한 종류의 단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되는 커넥터(1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휴대용 단말기(20)와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usb, micro-usb, 8핀-usb 및 30핀-usb와 같은 다양한 핀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를 참고하면, 휴대용 단말기(20)에 버튼부(300)에서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유선(물리적)으로 전송할 때에는 휴대용 단말기(20)의 단자부(21)가 위치하는 곳에 해당 규격의 커넥터(1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body unit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50 for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operating the button unit 300 to the portable terminal 20.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the input signal generated from the button unit 300 to the portable terminal 20 wirelessly or by wire. The wireless terminal uses ZIGBEE or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technology. ZIGBEE and BLUETOOTH are known technologies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button unit 300 is transmitted by wire to the portable terminal 20, the portable terminal 20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21 of the portable terminal 20,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connector 110 corresponding thereto. That is, various pins such as usb, micro-usb, 8 pin-usb and 30 pin-usb can be used as a method of wire-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the external keypad for the portable terminal. 2, when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button unit 300 is physically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 the connector of the corresponding standard (for example, 110).

도 1을 참고하면, 키패드부(200)는, 사용자가 터치패널방식의 입력수단을 사용하기 불편할 때에 사용되는 입력수단으로서, 몸체부(100)에 체결되어 사용된다. 상세하게는, 도 3을 참고하면, 키패드부(20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몸체부(1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힌지부(120)와 체결되고, 힌지부(120)의 힌지운동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2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힌지부(120)는 두 개 이상의 힌지를 포함하고, 각각의 힌지를 연결하는 부재가 더 포함된다. 상세하게는, 힌지부(120)는 키패드를 휴대용 단말기(20)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몸체부(100)의 일측면 및 키패드부(20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휴대용 단말기(20)의 두께를 감안하여 힌지부(120)의 운동범위 및 힌지와 연결되는 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 인해 키패드는 휴대용 단말기(20)의 후면 또는 전면에 밀착하여 힌지 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keypad unit 200 is used by being fastened to the body 100 as input means used when the user is inconvenient to use the touch panel type input means. 3, the keypad unit 20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s coupled to a hinge unit 1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and is attached to the hinge unit 120 by hinge movement of the hinge unit 120. [ The portable terminal 20 can be moved to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20. The hinge portion 120 includes two or more hinges, and further includes a member for connecting the respective hinges. The hinge unit 120 is configured to move the keypa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and one side of the keypad 200,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range of motion of the hinge part 120 and the length of the member connected to the hinge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keypad 20 so that the keypad can be hinged to the back or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20 have.

도 1을 참고하면, 키패드부(200)는 사용자가 터치패널방식의 입력수단을 사용하기 불편할 때에 사용되는 입력수단으로서 상면에 하나 이상의 버튼부(300)가 구비되는데, 버튼부(300)의 개수는 휴대용 단말기(20)에서 지원하는 개수와 같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천자음 및 키보드의 구성과 같은 다양한 버튼부(300)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고하면, 키패드부(200)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20)의 크기와 같은 크기로 구비될 수 있지만, 시각 장애인과 같이 시각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해 보다 넓은 크기의 키패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300)는 키패드의 상면에 구비되는 입력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버튼부(300)로 구비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20)의 입력부와 같은 형상 및 개수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버튼부(300)는 터치패널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을 목적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했을 때 신호가 생성되는 압력식 버튼부(300)로 구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버튼부(30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값에 의해 각 버튼부(300)가 생성하는 입력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버튼부(300)의 각 버튼이 생성하는 입력신호를 변경하는 수단으로, 몸체부(100)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150) 및 버튼부(300)를 통해 조작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는데, 제어부(150) 및 버튼부(300)를 통해 설정하는 방법 외에, 휴대용 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각 버튼부(300)가 생성하는 입력신호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입력신호는 “0” 및 “1”로 이루어진 이진수 집단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버튼부(300)를 입력하였을 때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제어부(150) 또는 휴대용 단말기(20)의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버튼부(300)는 사용 시 “a”이라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제어부(150) 또는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를 통해 “a”이 아닌 전화번호가 입력되도록 설정한다면, “a”이라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을 사용시 휴대용 단말기(20)에 “a”이 아닌 전화번호가 입력 및 전송되는 특징을 가진다. 즉, 같은 키를 사용하더라도 휴대용 단말기(20)의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50)에 설정된 값에 따라, 해당 키를 사용했을 때 기능이 변경될 수 있다.1, the keypad unit 20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button units 300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s input means used when the user is inconvenient to use the touch panel type input means, 4 and 5, the various buttons 300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loth sound and the keyboard. Can be used. 5, the keypad unit 200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20 to be used by the user. However, for a visually impaired user such as a visually impaired user, As shown in FIG. The button unit 30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eypad. The button unit 300 can be provided with various numbers of button units 300 according to the user's use environment. However, the button unit 300 may include an in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20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provided in the same shape and number. The button unit 300 has a purpose of supplementing the disadvantages of the touch panel. Therefor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button unit 300 includes a pressure-type button unit 300 in which a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user applies pressure to the finger. Also, the button unit 300 can change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each button unit 300 according to a value preset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button unit 300 provided in the body 100 may be operated to change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each button of the button unit 300,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setting through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button unit 300,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each button unit 300 can be set differently by using software such as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 . More specifically, the input signal is a binary group consisting of " 0 " and " 1 ", and the input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s button unit 300 is input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150 or the portable terminal 20 It can be changed using software (application). For example, the button unit 300 is set to generate an input signal " a " in use, but if the user sets a telephone number other than " a " through the control unit 150 or software, When a button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 a " is used, a telephone number other than " a " is input and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 That is, even if the same key is used, the function may be changed when the corresponding key is used according to the softwar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 or the value set in the control unit 150.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버튼부(300)는 상면에 시각이 불편한 시각 장애인과 같은 사용자를 위해 점자(310)가 형성되는데, 점자(310)를 이용해 시각이 불편한 장애인이 점자(310)를 통해 원하는 버튼부(300)를 사용해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6, the button unit 300 includes a braille character 310 for a user who is visually impaired, such as a visually impaired person on the upper fac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input signal by using the desired button unit 300 through a desired button.

도 7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는 키패드부(200)의 후면에 입력신호전환부(400)가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외장 키패드의 후면에 구비되는 입력신호전환부(400)는 정전기와 같은 미세한 전류의 변화를 통해 입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22)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20)를 위한 구성으로서, 입력신호전환부(400)는 압력식으로 구비되는 버튼부(300)가 생성한 입력신호가 바로 휴대용 단말기(20)의 정전용량식 터치패널(22)로 입력될 수 있도록 버튼부(300)에 가해진 압력을 정전기와 같이 미세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버튼부(300)의 저면에 구비되는 입력신호전환부(400)는 버튼부(300)에 가해진 압력을 직접 받고, 전해진 압력을 통해 정전기와 같은 미세 전기로 변환시키는 구성으로서, 입력신호전환부(400)는 제 1 전환부(410) 및 제 2 전환부(420)로 이루어지고, 버튼부(300)의 하측에 제 1 전환부(410)가 위치하고, 제 1 전환부(410) 하측에 제 2 전환부(420)가 위치하며, 제 2 전환부(420)의 하측에 휴대용 단말기(20)의 정전용량식 터치패널(22)이 위치하게 된다. 제 1 전환부(410) 및 제 2 전환부(420)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제 1 전환부(410) 및 제 2 전환부(420)는 서로 전류가 흐르고 있어 제 1 전환부(410) 및 제 2 전환부(420)가 접촉시 미세한 전기를 발생시키는 원리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버튼부(300)를 가압하면 버튼부(300)는 하측 방향인 제 1 전환부(410)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1 전환부(410)는 버튼부(300)에 가해진 압력을 전달받아 제 2 전환부(42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1 전환부(410) 및 제 2 전환부(420)가 접촉하게 되면 제 1 전환부(410) 및 제 2 전환부(420)에 흐르던 전류가 반응되어 미세한 전류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또한, 이와 같이 생성된 미세한 전류는 입력신호전환부(400)의 저면인 제 2 전환부(420)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입력신호전환부(400)가 휴대용 단말기(20)의 정전용량식 터치패널(22)에 접하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미세한 전류에 반응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22)이 입력신호전환부(400)에서 생성된 정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특징이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12, an external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signal switching unit 400 on a rear surface of a keypad unit 200. [0031] Referring to FIG. In detail, the input signal switching unit 40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xternal keypad has a configuration for the portable terminal 20 to which the capacitive touch panel 22 for sensing input through a change of minute current such as static electricity is applied The input signal switching unit 400 switches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button unit 300 provided in the pressure mode to the button unit 300 so that the input signal can be directly inputted to the capacitive touch panel 22 of the portable terminal 20. [ ) Generates a fine electrical signal like a static electricity. 8 and 9, the input signal switching unit 40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unit 300 directly receiv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unit 300, The input signal switching unit 400 includes a first switching unit 410 and a second switching unit 420. The first switching unit 4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420 are disposed below the button unit 300, The second switch 420 is located below the first switch 410 and the capacitive touch panel 22 of the portable terminal 20 is positioned below the second switch 420. [ . The first switching unit 4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4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4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4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4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420 generate minute electricity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unit 300, the button unit 300 is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first switch unit 410, and the first switch unit 410 mov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unit 300 And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420. At this time, when the first switching unit 4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4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4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420 is reacted to generate a minute current. The minute current generated in this manner is generated by the second switch 420 which is the bottom of the input signal switch 400. The input switch 400 switches the capacitive touch panel of the portable terminal 20, The capacitive touch panel 22 that generates an input signal in response to a minute current is operated by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input signal switching unit 400. In this cas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10: 외장 키패드 20 : 휴대용 단말기
21 : 단자부 22 :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100 : 몸체부 110 : 커넥터
120 : 힌지부 150 : 제어부
200 : 키패드부 300 : 버튼부
310 : 점자 400 : 입력신호전환부
410 : 제 1 전환부 420 : 제 2 전환부
10: external keypad 20: portable terminal
21: terminal portion 22: capacitive touch panel
100: Body part 110: Connector
120: hinge part 150:
200: keypad unit 300: button unit
310: Braille character 400: Input signal switching section
410: first switching unit 420: second switching unit

Claims (10)

휴대용 단말기(20)에 장착 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에 구비되어 상면에 하나 이상의 버튼부(300)가 구비되는 키패드부(200); 및
상기 버튼부(300)에서 발생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로 전송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가변되며,
상기 버튼부(300)의 상면에 점자(3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0)는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고정하며,
상기 버튼부(300)는 가압식 버튼이고,
상기 버튼부(300)는 사용자의 설정값에 따라 상기 버튼부(30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변경할 수 있으며,
몸체부(100)의 일측면 및 키패드부(2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두 개 이상의 힌지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100)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단자부(21)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11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버튼부(300)에서 생성된 입력신호가 상기 커넥터(110)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
A body 100 moun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
A keypad part 200 provided on the body part 100 and having at least one button part 300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nd a controller 150 for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button unit 300 to the portable terminal 20,
The keypad unit 200 may be hinged to the body 100 to be changed to a front surface or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20,
Braille characters 31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unit 300,
The body 100 has a stepped portion to fix the portable terminal 20,
The button unit 300 is a push button,
The button unit 300 may change a signal generated in the button unit 300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value,
And two or more hinge parts 120 provided on one side face of the body part 100 and one side face of the keypad part 200,
A connector 110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21 of the portable terminal 2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50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dy 100,
Wherein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button unit (300)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 through the connector (1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버튼부(300)에서 생성된 입력신호를 단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로 전송하고,
상기 단거리 무선통신의 방법으로 ZIGBEE 또는 BLUETOOT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외장 키패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button unit 300 to the portable terminal 20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external keypad is ZIGBEE or BLUETOOTH as a method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09197A 2015-01-20 2015-01-20 Portable keypad for mobile phone KR1016452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197A KR101645229B1 (en) 2015-01-20 2015-01-20 Portable keypad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197A KR101645229B1 (en) 2015-01-20 2015-01-20 Portable keypad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675A KR20160089675A (en) 2016-07-28
KR101645229B1 true KR101645229B1 (en) 2016-08-03

Family

ID=5668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197A KR101645229B1 (en) 2015-01-20 2015-01-20 Portable keypad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2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4026B1 (en) * 2019-10-16 2021-06-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Keyboard for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KR102278310B1 (en) * 2020-11-30 2021-07-16 김승환 Digital door lock assembly mounted with braille button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416Y1 (en) 2002-07-04 2002-10-19 김관회 Exterior Controller for Mobile Terminal
KR101261768B1 (en) * 2012-01-31 2013-05-07 김은주 Keyboar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1487A (en) * 2006-11-07 2008-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Keypad for portable terminal
KR101269854B1 (en) * 2011-02-28 2013-06-07 이미지랩(주) Input auxiliary device for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416Y1 (en) 2002-07-04 2002-10-19 김관회 Exterior Controller for Mobile Terminal
KR101261768B1 (en) * 2012-01-31 2013-05-07 김은주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675A (en)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5617B2 (en)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EP2035910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KR102180169B1 (en) Smart controller
US20130120265A1 (en) Keypad with Electrotactile Feedback
KR20080021442A (en) A working mode conversion device,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working mode conversion device and operating mode conversion method
KR10133994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CN203930589U (en) A kind of screen apparatus and flexible screen user terminal
KR101645229B1 (en) Portable keypad for mobile phone
CN211427312U (en) Patch type controller
US6642459B2 (en) Switch
KR20140037320A (en) Mobile terminal
US9468268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02890584A (en) Touch panel
KR20130091208A (en) Remote controller and television
KR101491039B1 (en) Input device for smart phone
KR102253858B1 (en) Wrist keyboard using conductive yarn
CN202406149U (en) Handset for the blind
CN202796585U (en) Key unit and light emitting keyboard comprising same
CN102932509A (en) Electronic terminal with dynamic adjustment key
CN104981119A (en) Electronic device
CN204307341U (en) A kind of novel handheld device
CN203734719U (en) Auxiliary equipment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roduct
CN109756806A (en) A kind of touch control bluetooth headset
TWI840218B (en) Key and keyboard
CN204856392U (en) Multifunctional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