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765B1 -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 Google Patents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765B1
KR101642765B1 KR1020160068739A KR20160068739A KR101642765B1 KR 101642765 B1 KR101642765 B1 KR 101642765B1 KR 1020160068739 A KR1020160068739 A KR 1020160068739A KR 20160068739 A KR20160068739 A KR 20160068739A KR 101642765 B1 KR101642765 B1 KR 10164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transformer
core
lead wir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우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8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4Insulators apertured for fixing by nail, screw, wire, or bar, e.g. diabolo, bobb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surfaces specially treated for preserving insulating properties, e.g. for protection against moisture, dirt,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66Joining insulating bodies together, e.g. by bo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10)는 외함(11)과, 이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12)과, 이 뚜껑(12)상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주상변압기(10) 내부의 권선부(14)로 인가할 수 있도록 외관 형상이 다수개의 갓 형상을 갖는 하우징부(1a), 이 하우징부(1a)에서 연장되는 스커트 형상을 갖는 스커트부(1b), 이 스커트부(1b)에서 연장되는 관통삽입부(1c)로 이루어진 고압 복합부싱(1)과, 변압된 저압의 전력을 다시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외함(11)의 외벽에 설치되는 저압부싱(13)을 포함하고, 상기 고압부싱(1)이 절연재질로 성형 제조되는 부싱코어(2)를 포함하며, 상기 부싱코어(2)의 내부에는 제조과정에서 컷아웃스위치와 연결되는 리드선(3)과 주상변압기(10) 내부의 권선부(14)에 연결되는 중심도체(4)의 일단이 접속부(2a)를 통해 직접 접속된 상태로 인서트되어 성형됨에 따라 리드선(3)과 중심도체(4)가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뚜껑(12)에 관통 삽입되는 고압 복합부싱(1)의 관통삽입부(1c)상에 체결부(1d)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d)상에 너트 타입의 체결구(6)가 삽입 체결됨에 따라 고압 복합부싱(1)의 체결부(1d)가 뚜껑(12)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A pole transformer has inserted lead wire type high voltage complex bushing}
본 발명은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주상변압기의 고압 복합부싱에 컷아웃스위치(COS) 연결용 리드선을 일체형으로 성형함에 따라 주상변압기를 전주에 설치한 후 컷아웃스위치와 연결 작업 공정을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종래 주상변압기의 고압부싱과 컷아웃스위치를 연결할 때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작업자별 조임방식의 불균일에 따른 전기적인 불완전 접속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고압 복합부싱을 주상변압기의 뚜껑 부위에 설치하는데 매우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한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로부터 고압(22,900V)으로 공급되는 전력은 변압기를 통해 가정이나 산업현장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이 가능한 저압으로 변환되어 공급된다.
이때, 변압기란 전자기유도작용으로 교류전압 및 전류값을 변화시키는 장치의 총칭인바,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변전소로부터 전달된 고압의 전원을 수용가에서 요구되는 저압으로 변환시켜 공급해 주는 것을 주상변압기라 하며, 이는 통상 전신주 등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주상변압기의 구조는 용량 및 전압에 따라서 차이를 보일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변압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권선과 철심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이들 권선과 철심은 절연유로 충진된 탱크(tank) 안에 내장되는 바, 이 절연유는 권선의 절연물로 습기나 먼지가 침투하여 절연내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철심이나 권선에서 발생하는 열을 기름의 대류 및 복사를 통해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주상변압기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상변압기(100)는 외관상 몸체를 이루는 박스형의 외함(110)과, 이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120)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권선으로 인가하는 접속부재로서 뚜껑(1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압부싱(130, 혹은 "1차부싱"이라 한다.)과, 변압된 저압의 전력을 다시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외함(110)의 외벽에 설치되는 저압부싱(140, 혹은 "2차부싱"이라 한다.)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주상변압기(100)의 외함(110) 내부에는 절연유가 충진되어 변압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압부싱(130)은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絶緣耐力)을 갖도록 함은 물론 전선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지지력을 가지면서 나선(裸線) 부분의 고전압을 절연할 수 있고, 특히 염분이나 먼지 등이 부착될 경우 절연내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열 및 내식성이 뛰어난 자기(磁器)재질의 애자(碍子)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고분자 합성기술 발달에 따라 고압부싱(130)의 재질로 EPDM(에틸렌프로필렌고무), XLPE, 에폭시(epoxy) 및 실리콘 러버와 같은 고분자고무 또는 폴리머류 재질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주상변압기(100)에 결합되는 고압부싱(130)은 이미 다양하게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82453호(2002.7.19.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0951473호(2010.4.7.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2698호(2012. 9.24. 공고) 등에는 변압기용 부싱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종래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부싱(130)은 주상변압기(100)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주상변압기(100) 내부의 권선으로 인가하기 위하여 케이블(170, 도 3 참조)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고압부싱(130)은 변압기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중공부(132)가 형성된 애자(131)와, 변압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애자(131)의 내부에 고정되고 그 상단의 나사축(134)이 애자(131)의 상부로 연장된 커넥터(133)와, 상기 커넥터(133)의 나사축(134)에 나사 결합되며 그 상면에는 연결단자(136)가 구비되어 케이블(170, 도 3 참조)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도전체인 캡 형태의 단자클램프(13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133)는 변압기 내부의 동봉(137)과 연결단자(136)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즉, 상기 커넥터(133)는 중앙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봉 형상의 전도체로써, 상기 커넥터(133)의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은 단자클램프(135)의 연결단자(136)에 나사축(134)을 통해 나사결합 되고, 하측은 동봉(137)이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단자(136)은 나사축(134)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애자(131)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캡 형태의 단자클램프(13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고압부싱(130)이 주상변압기(100, 도 1 참조)에 결합되면, 주상변압기(100)의 내부에 충전된 절연유가 애자(131)의 중공부(132)내로 유입되어 동봉(137) 및 커넥터(133)등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단자클램프(135)와 애자(131) 상단면 사이와 커넥터(133)의 플랜지부 상면에는 커넥터(133)가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되도록 디스크 형상의 패킹(138,139)이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패킹(138)은 단자클램프(135)와 함께 애자(131) 내부에 유입된 절연유가 상면의 관통공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애자(131)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통상적인 고압부싱(130)을 주상변압기(100)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 하는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고압부싱(130)을 주상변압기(100)에 조립 설치하는 과정에서 고압부싱(130)의 애자(131), 커넥터(133), 단자클램프(135)가 각각 분리 조립되는 관계로, 불필요한 작업 공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애자(131) 상단면과 단자클램프(135) 사이에 기밀 유지를 위해 패킹(138)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상존하고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었다.
특히, 상기 단자클램프(135)를 조립할 때 작업자별로 조립 방법이 불균일하여 기밀성이 떨어질 경우에는 누유가 발생할 우려가 높으며, 이렇게 조립 불량으로 누유가 발생하는 하자가 발생하게 되면, 주상변압기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교환 비용이 발생하여 경제적 손실로 이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압부싱(130)이 설치된 주상변압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 상가 등의 건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전주(150)에 설치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상변압기(100)가 전주(150)의 일정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주상변압기(100)의 상측으로 컷아웃스위치(160)가 설치되며, 상기 주상변압기(100)의 1차 측 고압부싱(130)에 컷아웃스위치(160)가 케이블(170)로 연결되어 과전압 및 과전류로부터 주상변압기(100)의 보호와, 점검 및 보수시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컷아웃스위치(160)는 주상변압기(100)의 1차 측 고압부싱(130)에 연결 설치되어 과부하 또는 과전류가 작용될 때 도시되지 않은 휴즈가 용단되도록 하여 주상변압기(100)의 2차 단락과 같은 사고로부터 변압기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컷아웃스위치(160, Cut-Out Switch;COS)는 배전선로의 주상변압기 1차측 및 고압 책임 분계점에 부착하여 낙뢰 또는 이상 부하로 인한 서지전압 또는 과전류에 의한 변압기의 파괴 및 파손을 방지하여 변압기를 보호함과 아울러, 변압기의 선로 개폐에 사용되는 과전류 차단용 기기인 것이다.
이때, 상기 전주(150)에 주상변압기(100)를 설치하고, 컷아웃스위치(160)와 연결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설치 작업이 필요하다.
즉, 종래 주상변압기와 컷아웃스위치의 연결 설치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주(150)에 장비를 이용하여 주상변압기(100)를 설치하게 되면, 설치된 주상변압기(100)에서 안전장치인 컷아웃스위치(160, COS)까지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170)을 절단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주상변압기(100)의 단자클램프(135)쪽 연결단자(136) 및 컷아웃스위치(160, COS)쪽 클램프에 연결이 용이하도록 케이블(170)의 피복을 벗기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런다음, 주상변압기(100) 1차측인 고압부싱(130)의 단자클램프(135)쪽 연결단자(136)를 케이블(17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공구를 이용하여 풀음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물질 및 수분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상변압기 1차측 고압부싱(130)에 규격에 의한 변압기 부싱용 절연커버(도시안됨)를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컷아웃스위치 연결용 케이블(170)을 주상변압기측 고압부싱(130)에 공구를 사용하여 단자클램프(135)의 연결단자(136)에 연결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이렇게 케이블(170) 연결작업이 이루어지면, 주상변압기(100) 1차측 고압부싱(130)에 준비 작업된 부싱용 절연커버를 빗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절연테이프를 사용 견고히 테이핑 작업을 한다.
그리고 나서 주상변압기(100) 측에 연결된 케이블(170)을 컷아웃스위치(160, COS)쪽에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주상변압기 설치단계에서의 문제점은 현장 작업자별 작업방법 차이에 따른 클램프 조임토크 불균일에 의하여 접속부의 전기적인 불완전 접속에 따른 단선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현장 작업자별로 주상변압기에 부싱용 절연커버를 조립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는 관계로, 경우에 따라 충전부 노출에 의하여 이물질 침투 및 수분침투에 따른 충전부 산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특히, 현장 작업시 전용작업 차량을 이용 공중에서 케이블 준비 및 피복작업, 클램프 작업 2회(주상변압기측, 컷아웃스위치측), 부싱용 절연커버 작업, 절연커버 테이핑작업 등 작업상의 번거로움 및 작업 공임 대폭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48357호(2015.8.28.공고)에는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을 갖는 주상변압기에 관한 기술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548357호에 개시된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을 갖는 주상변압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110)과, 이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120)과, 이 뚜껑(120)상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권선으로 인가하는 접속부재로서, 케이블(27)을 연결할 수 있는 고압부싱(20)과, 변압된 저압의 전력을 다시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외함(110)의 외벽에 설치되는 저압부싱(130)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주상변압기(100)에 적용되는 고압부싱(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21a)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주면이 폴리머류 재질의 절연하우징(22)에 감싸져 있는 애관(21)과, 주상변압기(1)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애관(21)의 중공부(21a) 내부에 고정되면서 동봉(26)이 연결된 커넥터(23)와, 상기 커넥터(23)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27)을 연결할 수 있도록 애관(21)의 상단면쪽에 조립 고정되는 클램프(24)와, 상기 애관(21)의 상단면과 클램프(24) 사이 누유를 방지를 위해 삽입되는 패킹부재(25)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고압부싱의 클램프 제조과정에서 케이블(27)의 일단이 클램프(24)에 조립 고정되고, 상기 클램프(24)의 외주면과 케이블(27) 결합부위를 사출 성형을 통해 폴리머류 재질의 절연하우징(29)으로 감싸주며, 케이블(27)이 일체로 형성된 클램프(24)가 애관(21)의 상단면에서 커넥터(23)의 나사축(23c)에 나사 결합되어 폴리머형 고압부싱(20)으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때, 상기 클램프(24)는 하측방향으로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몸체부와, 이 클램프몸체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케이블(27)을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연결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케이블연결부는 그 내부로 케이블(27)의 피복체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블수용홈과, 이 케이블수용홈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직경을 가지고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블(27)의 피복이 벗겨진 도체부분을 끼움 결합할 수 있는 도체결합홈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20)은, 고압부싱(20)에 적용되는 클램프 제조과정에서 클램프(24)와 케이블(27)을 접속하여 일체로 성형하고, 이렇게 케이블(27)과 클램프(24)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커넥터(23)와 클램프(24)를 조립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는 관계로, 고압부싱(2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클램프(24)와 커넥터(23)와 같은 부품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압부싱(20)의 애관(21)은 그 중공부(21a)에 동봉(26)이 관통 삽입된 관계로 주상변압기(100)의 내부에 충전된 절연유가 애관(21)의 중공부(21a) 내로 유입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고, 클램프(24)와 커넥터(23)의 연결부위인 애관(21)의 상단면과 클램프(24) 사이에서 누유 방지 및 기밀 유지를 위해 별도의 패킹부재(25)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특히,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압부싱(20)이 주상변압기(100)에 설치될 때, 주상변압기(100)의 뚜껑(120)을 관통하여 외함(110)의 내부로 인입된 고압부싱(20)의 외면에는 링 형상으로 인입된 환형요홈이 설치되고, 이러한 환형요홈에는 스프링환(30)이 긴밀하게 끼워져 돌출단을 형성하게 되는바, 이 스프링환(30)과 뚜껑(120)의 저면 사이에 고정환(32)이 개재되어 있다.
결국, 상기 고정환(32)은 고압부싱(20)의 타단을 둘러싼 상태로 뚜껑(120)의 저면과 스프링환(3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이 고정환(32)의 하단에서부터 관통 삽입되어 뚜껑(120)의 저면에 닿는 다수의 볼트(35)를 통해 고정환(32)을 스프링환(30)에 걸리도록 최대한 하단으로 밀어내 고압부싱(20)을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압부싱(20)을 주상변압기 뚜껑(120)에 고정하기 위해서 최초 작업자는 고압부싱(20)의 타단을 뚜껑(120)의 관통홀로 삽입하고, 이어 뚜껑(120)의 저면으로 돌출된 고압부싱(20)의 타단 고정환(32)과 스프링환(30)을 차례로 끼워넣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환(30)은 고압부싱(20)의 타단에 형성된 환형요홈에 끼워 고정시킨 후, 고정환(32)의 하단으로부터 관통 삽입되는 다수의 볼트(35)를 통해 고정환(32)의 저면이 스프링환(30)에 걸리면서 뚜껑(120)과 최대한 멀어지게 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일반적인 고압부싱(20)은 사용상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 중 가장 큰 문제점이 고정환(32) 하단으로부터 관통 삽입되는 다수의 볼트(35)가 균일하게 조여지지 않을 경우 발생되는 고압부싱(20)의 파손 현상이다.
즉, 폴리머류 재질의 내마모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 고압부싱(20)은 다수의 볼트(35)의 조임 압력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 쉽게 파손될 수 있는바, 이는 실제 고압부싱(20)의 결합에서 쉽게 관찰되는 현상이다.
특히, 상기 고압부싱(20)의 제조 및 운반과정에서 약간의 크랙(crack)이라도 존재할 경우 이의 파손현상은 더욱 빈번히 관찰되는바, 이러한 고압부싱(20)의 주상변압기 뚜껑(120)으로의 체결작업은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 세심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아무리 숙련된 작업자라 하더라도 다수의 볼트(35)를 여러 차례 균등하게 조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과 함께, 조임 과정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고압부싱(20)이 파손될 뿐만 아니라, 장착 후 변압기 운전 중에 고압부싱(20)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까지 발생하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82453호(2002.7.19. 공고, 명칭: 주상변압기의 고압부싱 고정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51473호(2010.4.7. 공고, 명칭: 변압기용 부싱)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2698호(2012.9.24. 공고, 명칭: 주상변압기용 부싱)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48357호(2015.8.28. 공고, 명칭: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을 갖는 주상변압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주상변압기를 전주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고압부싱과 컷아웃스위치 사이에 케이블을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 및 고압부싱을 주상변압기의 뚜껑에 설치할 때의 문제점을 개선 보완하기 위해 연구 개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주상변압기의 고압부싱에 컷아웃스위치(COS) 연결용 리드선을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주상변압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부싱용 절연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재절감 및 작업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음을 물론, 컷아웃스위치와 주상변압기간 기밀을 유지할 수 있고, 컷아웃스위치와 고압부싱 사이에 리드선을 연결할 때 작업자별 조임방식의 불균일에 따른 전기적인 불완전 접속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을 갖는 주상변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상변압기의 뚜껑에 고압 복합부싱을 설치할 때, 종래 다수의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너트 방식으로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너트를 조여서 고압 복합부싱이 주상변압기의 뚜껑 저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너트에 의해 체결부위에 균등한 조임력이 가해짐에 따른 조임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압 복합부싱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을 갖는 주상변압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함과, 이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과, 이 뚜껑 상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주상변압기 내부의 권선부로 인가할 수 있도록 외관 형상이 다수개의 갓 형상을 갖는 하우징부, 이 하우징부에서 연장되는 스커트 형상을 갖는 스커트부, 이 스커트부에서 연장되는 관통삽입부로 이루어진 고압 복합부싱과, 변압된 저압의 전력을 다시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외함의 외벽에 설치되는 저압부싱을 포함하는 주상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고압 복합부싱이 절연재질로 성형 제조되는 부싱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부싱코어의 내부에는 제조과정에서 컷아웃스위치와 연결되는 리드선과 주상변압기 내부의 권선부에 연결되는 중심도체의 일단이 접속부를 통해 직접 접속된 상태로 인서트되어 성형됨에 따라 리드선과 중심도체가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되어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뚜껑에 관통 삽입되는 고압 복합부싱의 관통삽입부 상에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상에 너트 타입의 체결구가 삽입 체결됨에 따라 고압 복합부싱의 체결부가 뚜껑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 고정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를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싱코어가 BMC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부싱코어의 외주면이 고압 복합부싱의 외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싱코어가 BMC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고압 복합부싱의 하우징부 및 스커트부에 해당하는 부싱코어의 외주면에는 갓 형상과 스커트 형상을 갖는 절연재질의 절연하우징이 성형을 통해 일체로 감싸지고, 상기 고압 복합부싱의 관통삽입부는 부싱코어의 외주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부싱코어 내부에 위치하는 중심도체 부위에는 내열성 튜빙이 감싸진 상태로 인서트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부싱코어 내에 인서트 된 나사산을 갖춘 보강재질의 체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체결부는 부싱코어 상에 직접 나사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에 컷아웃스위치(COS) 연결용 리드선을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을 주상변압기에 설치하고, 이 주상변압기를 전주의 컷아웃스위치와 연결 조립하는 시공을 수행하게 될 때, 고압 복합부싱에 대한 리드선의 조립작업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공 작업 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조임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종래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작업자별로 불균일한 조임작업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불완전한 전기적인 접속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주상변압기로 인가해주는 고압 복합부싱 충전부의 원천적인 노출방지를 통한 연면 누설거리의 극대화로 변압기 및 배전설비 운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주상변압기를 전주의 컷아웃스위치와 연결하는 시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종래와 같은 부싱용 절연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재절감 및 작업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음을 물론, 컷아웃스위치와 주상변압기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 복합부싱의 성형과정에서 고압 복합부싱 내부를 미관통 성형(즉, 중공부가 없는 성형 상태)하였기 때문에 고압 복합부싱을 주상변압기에 설치했을 때, 종래와 같이 주압변기 내의 절연유가 고압 복합부싱 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주상변압기의 뚜껑에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을 설치할 때, 너트 방식으로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너트를 조여서 고압 복합부싱이 주상변압기의 뚜껑 저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너트에 의해 체결부위에 균등한 조임력이 가해짐에 따른 조임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압 복합부싱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종래 다수의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상변압기의 통상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주상변압기에 설치되는 고압부싱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주에 설치된 주상변압기와 컷아웃스위치가 케이블로 연결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공보 제1548357호에 개시된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을 갖는 주상변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공보 제1548358호에 개시된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상변압기에 설치되는 고압부싱의 체결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에 설치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에 설치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에 설치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에서 체결부의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10)는, 통상의 주상변압기와 마찬가지로, 외관상 몸체를 이루는 박스형의 외함(11)과, 이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12)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권선으로 인가하는 접속부재로서 뚜껑(1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압 복합부싱(1)과, 변압된 저압의 전력을 다시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외함(11)의 외벽에 설치되는 저압부싱(13)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함(11) 내부에는 절연유가 충진되어 변압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10)는, 통상의 주상변압기와 마찬가지로, 전력계통으로부터 입력되는 고압의 교류 전원을 변압하여 변압된 교류 전원을 부하에 공급하는 장치로, 전술한 바와 같이 컷아웃스위치(Cut-Out Switch)에 연결되는 고압 복합부싱(1), 권선부(14) 및 저압부싱(13)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때, 상기 컷아웃스위치는 전력계통으로부터 입력된 고압의 교류 전원을 고압 복합부싱(1)을 통해 주상변압기(10) 내부의 권선부(14)로 전달함과 아울러, 컷아웃스위치는 과전류나 고장 전류가 감지되면 주상변압기(10)를 전력계통으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 복합부싱(1)은 권선부(14)의 입력 단자로, 전력계통으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원을 권선부(14)에 입력하게 되고, 상기 권선부(14)는 주상변압기(10)의 외함(11) 내부에 설치되며, 고압 복합부싱(1)을 통해 입력된 교류 전원을 변압하여 변압된 교류 전원을 저압부싱(13)을 통해 부하에 공급한다. 즉, 권선부(14)는 고압의 교류 전원을 저압의 교류 전원으로 변압하여 변압된 교류 전원을 저압부싱(13)을 통해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권선부(14)는 전자기유도에 따라 교류 전원의 전압이나 전류를 변화시키며, 일차코일(14a) 및 이차코일(14b)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일차코일(14a)은 중심도체(4)를 통해 고압 복합부싱(1)과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저항값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이차코일(14b)은 저압부싱(13)과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저항값을 갖고 있는바, 상기 저압부싱(13)은 권선부(14)의 출력 단자로, 권선부(14)에서 변압된 교류 전원을 부하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고압 복합부싱(1)은 컷아웃 스위치와 연결되는 리드선(3)과 주상변압기(10)의 권선부(14)에 연결되는 중심도체(4)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접속부재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고압 복합부싱(1) 제조 과정에서 리드선(3)이 고압 복합부싱(1)의 부싱코어(2) 내부에서 중심도체(4)에 직접 접속된 상태로 성형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주상변압기(1)가 전주에 설치될 때, 안전장치인 컷아웃스위치와 주상변압기(10)의 고압 복합부싱(1)사이를 리드선(3)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도 3의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고압부싱(130)에 케이블(170)을 조립하는 작업을 없애 준 것에 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복합부싱(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1)은, 종래 리드선(즉, 케이블)과 중심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와 커넥터를 필요로 하는 고압부싱과는 다르게, 크게 부싱코어(2), 리드선(3), 중심도체(4)로만 이루어진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1)은, 폴리머형 고압부싱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절연재질의 부싱코어(2) 자체가 고압 복합부싱(1)을 외관 형성하는 타입과, 절연재질의 부싱코어(2)의 외주면에 절연재질의 절연하우징(7)이 성형을 통해 일체로 감싸진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절연재질의 부싱코어(2) 자체가 고압 복합부싱(1)을 외관 형성하는 타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부싱 제조 과정에서 리드선(3)이 중심도체(4)에 직접 접속 연결된 상태에서 고압부싱의 부싱코어(2)를 사출 성형을 할 때, 리드선(3)과 중심도체(4)가 직접 접속된 상태로 사출 금형 내에 인서트되어 부싱코어(2) 내부에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리드선(3)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주상변압기(10) 내부의 권선부(14)로 인가하기 위한 케이블(즉, 전선)이고, 상기 중심도체(4)는 동봉(또는, 동전선) 형태를 갖고 있으면서 리드선(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상변압기(10)의 내부에서 주상변압기(10)의 권선부(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체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1)은, 통상의 고압부싱과 마찬가지로 주상변압기(10, 도 7 참조)에 설치했을 때, 주상변압기(10)의 외함(11) 외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갓 형상을 갖는 하우징부(1a)와, 이 하우징부(1a)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스커트 형상을 갖는 스커트부(1b)와, 상기 스커트부(1b)에서 연장되어 주상변압기(10)의 뚜껑(12)을 통해 외함(11) 내부에 삽입되는 관통삽입부(1c)로 이루어진 형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a)는 외관상 다수의 갓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스커트부(1b)는 하우징부(1a)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직경을 갖는 스커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고압 복합부싱(1)을 주상변압기(10)에 조립할 때 스커트부(1b)의 저면과 주상변압기(10)의 뚜껑(12) 상단면이 서로 밀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삽입부(1c)는 스커트부(1b)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직경을 갖도록 단차진 상태로 스커트부(1b)에서 길게 하향 연장되어 주상변압기(10)의 뚜껑(12)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뚜껑(12)의 저면에 견고하게 밀착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즉, 상기 관통삽입부(1c)에는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구(6)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1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고압부싱이 리드선(즉, 케이블)과 중심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와 커넥터를 필요로 하는 것과는 다르게 클램프와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고, 리드선(3)과 중심도체(4)가 부싱코어(2) 내부에서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부싱코어(2), 리드선(3), 중심도체(4)로만 이루어진 접속부재인 고압 복합부싱(1)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부싱코어(2) 내부의 접속부(2a)에서 리드선(3)의 끝단과 중심도체(4)의 일단이 직접 접속된 구조를 갖고 있는 관계로, 전주에 설치된 컷아웃스위치와 주상변압기(10)의 고압 복합부싱(1)을 서로 연결할 때 리드선(3)과 고압 복합부싱(1)을 서로 연결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관계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1) 중 절연재질의 부싱코어(2) 자체가 고압 복합부싱(1)을 외관 형성하는 타입은, 상기 부싱코어(2) 자체가 고압 복합부싱(1)의 외관으로 형성되는 단일형 구조를 갖도록 금형을 통해 절연재질로 성형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되는 부싱코어(2)의 외관 형상이 고압 복합부싱(1)의 외관 형상 구조에 맞춰 하우징부(1a), 스커트부(1b), 관통삽입부(1c)와 동일한 형상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부싱코어(2)는 절연저항이 높고 강도가 우수한 BMC(Bulk molding compound)재질을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싱코어(2)가 고압 복합부싱(1)의 외관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으로,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 부싱코어(2)가 절연특성은 물론 외부환경에 대한 내구성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는바, 이러한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BMC(Bulk molding compound)재질을 선택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 BMC 재질은 제조 공정에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저수축제, 경화제, 충진제, 이형제 등을 니이더(Kneader)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 후 이 매트릭스(matrix)에 보강재로서 섬유(주로, 유리섬유)를 빠른시간 내에 함침시킨 벌크(bulk)상의 열경화성 강화 플라스틱 기계 성형재료이며, 압축성형, 사출성형, 이송성형 방법으로 가공하며, 가공품들은 치수안정성, 기계적 강도, 전기적 성능, 내열성, 내수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부싱코어(2)를 성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1)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리드선(3)과 중심도체(4)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직접 접속된 상태로 사전 준비하고, 이렇게 준비된 리드선(3)과 중심도체(4)를 부싱코어(2)를 성형하는 금형 내에 인서트하여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1)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부싱코어(2)를 성형하는 성형 온도가 매우 높은 관계로, 부싱코어(2)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동 재질의 중심도체(4)에 열변형 혹은 녹아내리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부싱코어(2) 내부에 위치하는 중심도체(4) 부위는 내열성 튜빙(4a)으로 감싼 상태로 금형 내에 인서트하여 성형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리드선(3)과 중심도체(4)가 직접 접속됨과 동시에 내열성 튜빙(4a)이 중심도체(4)를 감싸진 상태로 준비되어 부싱코어(2)를 제조하는 금형 상에 인서트 되고, 이 상태에서 부싱코어(2)가 BMC재질로 성형을 통해서 제조되게 되면, 부싱코어(2) 내부에 인서트된 리드선(3)과 중심도체(4)는 절연재질로 감싸진 형태로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부싱코어(2)의 내부는 미관통 구조(즉, 중공(中空)이 없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압 복합부싱(1)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상변압기(10)에 설치되더라도, 종래 중공부를 갖는 애관이 삽입되는 고압부싱과 비교할 때, 상기 고압 복합부싱(1) 내부에 미관통 구조(즉, 중공부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관계로, 주상변압기(10)의 내부에 충진된 절연유가 고압 복합부싱(1)을 통해 외부로 누유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상변압기에 설치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의 다른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즉, 도 9에는 고압 복합부싱의 다른 실시예로써, 부싱코어(2)와, 이 부싱코어(2)의 외주면 일부를 절연하우징(7)으로 감싸고 있는 고압 복합부싱(1)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9에 도시된 고압 복합부싱(1)은, 도 8에 도시된 고압 복합부싱(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이 적용되어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1)으로 제작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 복합부싱(1)은, 도 8에 도시된 고압 복합부싱(1)과 비교할 때, 절연하우징(7)으로 부싱코어(2)를 재차 절연한다는 데 차이가 있을 뿐, 리드선(3)를 중심도체(4)에 접속하여 부싱코어(2) 내부에 일체로 성형하는 구성은 모두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 복합부싱(1)의 구체적인 구성 및 제작과정은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내용을 참조할 때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관계로, 이하에서는 기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절연하우징(7)은 실리콘이나 EPDM과 같은 절연재질로 부싱코어(2)를 감싸는 외관으로 형성되는 관계로, 성형과정에서 갓 형상 및 스커트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게 된다.
즉, 상기 고압 복합부싱(1)의 하우징부(1a)와 스커트부(1b)에 해당되는 부싱코어(2)의 외주면에는 절연하우징(7)이 성형을 통해 일체로 감싸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절연하우징(7)으로 절연되는 부싱코어(2) 재질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절연특성이 높은 FRP, EPDM(에틸렌프로필렌고무), XLPE, 에폭시(epoxy) 및 폴리머류 재질과 같은 주지 관용적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절연하우징(7)은 절연재질인 실리콘이나 EPDM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먼저 부싱코어(2)를 BMC 재질과 같은 절연재질로 성형하여 제조한 다음, 이렇게 제조된 부싱코어(2)의 외주면 일부를 실리콘이나 EPDM 재질로 감싸도록 갓 형상과 스커트 형상을 갖는 절연하우징(7)으로 부싱코어(2)를 감쌀 수 있는 또 다른 금형에 인서트하여 실리콘이나 EPDM 재질로 재차 성형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압 복합부싱(1)의 하우징부(1a) 및 스커트부(1b)에 해당하는 부싱코어(2)의 외주면에는 갓 형상과 스커트 형상을 갖는 절연재질의 절연하우징(7)이 성형을 통해 일체로 감싸지고, 상기 고압 복합부싱(1)의 관통삽입부(1c)는 부싱코어(2)의 외주면에 의해서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부싱코어(2), 리드선(3), 중심도체(4) 및 절연하우징(7)로 이루어진 고압 복합부싱(1)은 주상변압기(10)에 설치하여 컷아웃스위치와 리드선(3)으로 연결하여 고압의 전력을 주상변압기(10)의 권선부(14)로 인가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게 되는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1)은, 주상변압기(10)의 뚜껑(12) 저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의 용이성 및 견고성을 고려하여 고압 복합부싱(1)의 관통삽입부(1c)에 해당하는 부위인 부싱코어(2) 상에 체결부(1d)를 갖추고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1d)는 고압 복합부싱(1)을 주상변압기(10)의 뚜껑(12)의 저면에 견고하게 밀착 체결하기 위한 부위인 관계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타입의 체결구(6)를 별도로 끼워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체결부(1d)에는 너트 타입의 체결구(6)를 끼워서 나사 체결할 수 있게 나사산을 갖도록 설계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종래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볼트(35)를 통해 고정환(32)을 스프링환(30)에 걸리도록 최대한 하단으로 밀어내 고압부싱(20)을 주상변압기(100)의 뚜껑(120)에 고정하던 방식을 개선하여, 고압 복합부싱(1)을 주상변압기(10)의 뚜껑(12) 저면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체결 조립하는 데 있어서, 조립 및 작업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너트 체결 방식으로 변경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싱코어(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체결부(1d)에 나사산을 갖춘 보강재질의 체결부재(5)를 인서트시킴으로써, 상기 보강재질에 이루어진 체결부재(5)의 나사산에 너트 형태의 체결구(6)를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용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에서 체결부의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d)를 구성함에 있어서, 부싱코어(2) 자체에 나사산(5a)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부싱코어(2)를 제조하는 재질로 BMC재질을 채택함에 따라 재질 자체가 우수한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며, 부싱코어(2)의 외주면에 나사산(5a)을 형성하더라도 체결구(6)를 나사 체결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다만, 상기 체결부(1d)의 지속적인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고려할 때에는 부싱코어(2) 자체에 나사산(5a)을 형성하는 것보다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재질의 체결부재(5)를 인서트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때,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미 설명부호 9는 주상변압기(10)의 뚜껑(12)과 고압 복합부싱(1)사이에 기밀 유지를 위해 장착된 패킹부재(9)이다.
상기 패킹부재(9)는 주상변압기(10)의 뚜껑(12)과 고압 복합부싱(1)사이에 디스크 형상으로 끼움 삽입되어 누유방지를 위한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9)는 내유성을 갖고 있는 일명, 니트릴 고무라 불리우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고무(NB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1)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컷아웃스위치(COS)와 고압 복합부싱(1)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리드선(3)이 일정길이 절단되어 준비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선(3)의 일단 피복체를 벗겨내어 도체부분인 리드선(3)을 중심도체(4)의 일단과 접속부(2a)를 통해서 상호 견고하게 접속 고정한다.
이렇게 리드선(3)과 중심도체(4)가 직접 접속된 상태로 준비되면, 고압 복합부싱(1)의 부싱코어(2)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 상에 상호 접속된 리드선(3)과 중심도체(4)를 인서트 한다.
이때, 부싱코어(2) 성형과정에서 고온의 성형 온도로 인해서 동 재질의 중심도체(4)에 열변형 혹은 녹아내리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부싱코어(2) 내부에 위치하는 중심도체(4) 부위는 내열성 튜빙(4a)으로 감싼 상태로 금형 내에 인서트 한다.
이렇게 성형에 필요한 사전 준비 작업이 마무리되면, 성형 작업을 수행하여 BMC재질의 부싱코어(2)로 제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리드선(3) 및 중심도체(4)가 접속된 상태에서 부싱코어(2) 내부에 일체화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싱코어(2)만으로 고압 복합부싱(1)이 제조되는 경우에는 부싱코어(2)의 외주면에 하우징부(1a) 및 스커트부(1b)를 형성하는 갓 형상과 스커트 형상이 형성됨과 동시에 관통삽입부(1c)가 형성될 수 있는 금형이 준비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관통삽입부(1c)상에 체결부(1d)가 형성될 수 있도록 보강재질의 체결부재(5)가 인서트되거나 부싱코어(2) 자체에 나사산(5a)이 형성될 수 있는 금형이 준비됨은 당연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코어(2)의 외주면에 절연하우징(7)이 감싸진 상태의 고압 복합부싱(1)을 제조할 때에는,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부싱코어(2)의 내부에 리드선(3) 및 중심도체(4)가 직접 접속된 상태로 성형을 통해 부싱코어(2)를 제조한 다음, 상기 부싱코어(2)의 외주면에 대해서 직사출 방식에 의하여 절연재질로 성형 작업을 수행하여 절연하우징(7)을 일체화시키면 된다.
이러한 성형 작업을 통해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1)이 완성되면, 리드선(3)의 끝부분을 실링하여 마무리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1)이 완성되면, 주상변압기의 뚜껑(12) 상에 고압부싱(1)의 체결부(1d) 및 체결구(6)를 통해 견고하게 밀착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가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 : 고압 복합부싱 1a : 하우징부
1b : 스커트부 1c : 관통삽입부
1d : 체결부 2 : 부싱코어
2a : 접속부 3 : 리드선
4 : 중심도체 4a : 내열성 튜빙
5 : 체결부재 5a : 나사산
6 : 체결구 7 : 절연하우징
9 : 패킹부재 10 : 주상변압기
11 : 외함 12 : 뚜껑
13 : 저압부싱 14 : 권선부

Claims (6)

  1. 외함(11)과, 이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12)과, 이 뚜껑(12)상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주상변압기(10) 내부의 권선부(14)로 인가할 수 있도록 외관 형상이 다수개의 갓 형상을 갖는 하우징부(1a), 이 하우징부(1a)에서 연장되는 스커트 형상을 갖는 스커트부(1b), 이 스커트부(1b)에서 연장되는 관통삽입부(1c)로 이루어진 고압 복합부싱(1)과, 변압된 저압의 전력을 다시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외함(11)의 외벽에 설치되는 저압부싱(13)을 포함하는 주상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고압 복합부싱(1)이 절연재질로 성형 제조되는 부싱코어(2)를 포함하고, 상기 부싱코어(2)의 내부에는 제조과정에서 컷아웃스위치와 연결되는 케이블(3)의 리드선(3a)과 주상변압기(10) 내부의 권선부(14)에 연결되는 중심도체(4)의 일단이 접속부(2a)를 통해 직접 접속된 상태로 인서트되어 성형됨에 따라 리드선(3)과 중심도체(4)가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되어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뚜껑(12)에 관통 삽입되는 고압 복합부싱(1)의 관통삽입부(1c) 상에 체결부(1d)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d)상에 너트 타입의 체결구(6)가 삽입 체결됨에 따라 고압 복합부싱(1)의 체결부(1d)가 뚜껑(12)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코어(2)가 BMC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부싱코어(2)의 외주면이 고압 복합부싱(1)의 외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코어(2)가 BMC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고압 복합부싱(1)의 하우징부(1a) 및 스커트부(1b)에 해당하는 부싱코어(2)의 외주면에는 갓 형상과 스커트 형상을 갖는 절연재질의 절연하우징(7)이 성형을 통해 일체로 감싸지고, 상기 고압 복합부싱(1)의 관통삽입부(1c)는 부싱코어(2)의 외주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코어(2) 내부에 위치하는 중심도체(4) 부위에는 내열성 튜빙(4a)이 감싸진 상태로 인서트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d)는 부싱코어(2)내에 인서트 된 나사산을 갖춘 보강재질의 체결부재(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d)는 부싱코어(2)상에 형성된 나사산(5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KR1020160068739A 2016-06-02 2016-06-02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KR101642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739A KR101642765B1 (ko) 2016-06-02 2016-06-02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739A KR101642765B1 (ko) 2016-06-02 2016-06-02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765B1 true KR101642765B1 (ko) 2016-07-27

Family

ID=5661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739A KR101642765B1 (ko) 2016-06-02 2016-06-02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76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225B1 (ko) * 2017-08-09 2018-07-04 우진전기 주식회사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KR101875196B1 (ko) * 2018-04-05 2018-08-02 우진전기 주식회사 리드선 부착형 콤팩트 폴리머 고압부싱
CN108878098A (zh) * 2018-09-10 2018-11-23 安徽华正电气有限公司 一种副边多绕组混合接法的高过载节能配电变压器
CN110544579A (zh) * 2019-09-30 2019-12-06 河北拓发通信电力器材制造有限公司 一种应用于变压器架设的金具套件及其工作方法
KR102307894B1 (ko) 2020-04-29 2021-10-05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 저압부싱 절연커버 구조체
KR102358958B1 (ko) 2020-11-18 2022-02-07 주식회사 우보엔지니어링 주상변압기의 방사전자파 검출용 대칭 원추형 안테나
KR102370273B1 (ko) 2020-11-18 2022-03-04 주식회사 우보엔지니어링 주상변압기의 방사전자파 검출용 사각뿔형 모노폴 안테나
KR102658674B1 (ko) 2023-10-11 2024-04-17 송홍준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453B1 (ko) 1999-03-18 2001-02-15 김영환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282453Y1 (ko) * 2002-04-02 2002-07-19 이완이 주상변압기의 고압부싱 고정장치
KR20030073055A (ko) * 2002-03-08 2003-09-19 평일산업 주식회사 가공 개폐기 및 변압기용 폴리머 부싱
KR100462698B1 (ko) 1998-01-20 2004-12-2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필터
KR100951473B1 (ko) 2008-05-13 2010-04-07 (주)우강산업전기 변압기용 부싱
JP2010205510A (ja) * 2009-03-02 2010-09-16 Chugoku Electric Manufacture Co Ltd ブッシング
KR101548357B1 (ko) 2014-12-09 2015-08-28 우진전기 주식회사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을 갖는 주상변압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698B1 (ko) 1998-01-20 2004-12-2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필터
KR100282453B1 (ko) 1999-03-18 2001-02-15 김영환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3055A (ko) * 2002-03-08 2003-09-19 평일산업 주식회사 가공 개폐기 및 변압기용 폴리머 부싱
KR200282453Y1 (ko) * 2002-04-02 2002-07-19 이완이 주상변압기의 고압부싱 고정장치
KR100951473B1 (ko) 2008-05-13 2010-04-07 (주)우강산업전기 변압기용 부싱
JP2010205510A (ja) * 2009-03-02 2010-09-16 Chugoku Electric Manufacture Co Ltd ブッシング
KR101548357B1 (ko) 2014-12-09 2015-08-28 우진전기 주식회사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을 갖는 주상변압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225B1 (ko) * 2017-08-09 2018-07-04 우진전기 주식회사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KR101875196B1 (ko) * 2018-04-05 2018-08-02 우진전기 주식회사 리드선 부착형 콤팩트 폴리머 고압부싱
CN108878098A (zh) * 2018-09-10 2018-11-23 安徽华正电气有限公司 一种副边多绕组混合接法的高过载节能配电变压器
CN110544579A (zh) * 2019-09-30 2019-12-06 河北拓发通信电力器材制造有限公司 一种应用于变压器架设的金具套件及其工作方法
CN110544579B (zh) * 2019-09-30 2022-01-14 河北拓发通信电力器材制造有限公司 一种应用于变压器架设的金具套件及其工作方法
KR102307894B1 (ko) 2020-04-29 2021-10-05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 저압부싱 절연커버 구조체
KR102311369B1 (ko) 2020-04-29 2021-10-13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 저압부싱 절연커버 구조체
KR102358958B1 (ko) 2020-11-18 2022-02-07 주식회사 우보엔지니어링 주상변압기의 방사전자파 검출용 대칭 원추형 안테나
KR102370273B1 (ko) 2020-11-18 2022-03-04 주식회사 우보엔지니어링 주상변압기의 방사전자파 검출용 사각뿔형 모노폴 안테나
KR102658674B1 (ko) 2023-10-11 2024-04-17 송홍준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765B1 (ko)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KR101548358B1 (ko) 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
KR101249785B1 (ko) 플러그-인 부싱, 및 이와 같은 부싱을 갖는 고전압 설비
KR101810407B1 (ko) 풀림방지 및 서지 전압 접지(Gronding)유도 구조를 갖는 절연애자용 상단 금구 취부구조
KR101672902B1 (ko) 변압기용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
WO2017025037A1 (zh) 绝缘套管及绝缘管
KR101556755B1 (ko) 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
KR101548357B1 (ko)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을 갖는 주상변압기
KR101887190B1 (ko) 절연행거 일체형 폴리머 피뢰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15861A (ko) 키(Key)홈 결합식 구조를 갖는 상부 체결형 1차측 고압 부싱의 취부구조
KR102020819B1 (ko) 개폐 체결구조를 갖는 절연커버
CN105139978A (zh) 绝缘管及带有这种绝缘管的绝缘套管
KR101471925B1 (ko) 변압기용 부싱 및 그 제조방법
KR200282453Y1 (ko) 주상변압기의 고압부싱 고정장치
KR101771886B1 (ko) 변압기용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의 제조방법
WO2009135741A1 (en) Draw rod mounting arrangement for a high voltage bushing, high voltage bushing comprising such arrangement and high voltage device comprising bushing with such arrangement
KR101484922B1 (ko) 주상변압기용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의 제조방법
CN205211505U (zh) 绝缘套管及绝缘管
CN104934274B (zh) 具有预模制伞裙的熔丝绝缘支承架
KR200454411Y1 (ko) 리드선 부착형 폴리머 피뢰기
KR101639346B1 (ko) 전력기기 부싱용접용 수냉장치
CN203659598U (zh) 变压器引线密封接头
CN110136942A (zh) 一种硅橡胶户外开启式组合电流互感器
KR100502436B1 (ko) 가공용 가스개폐기 폴리머부싱
CN115136259A (zh) 具有安装在电容器芯上的导电头的套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