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513B1 -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513B1
KR101642513B1 KR1020090067754A KR20090067754A KR101642513B1 KR 101642513 B1 KR101642513 B1 KR 101642513B1 KR 1020090067754 A KR1020090067754 A KR 1020090067754A KR 20090067754 A KR20090067754 A KR 20090067754A KR 101642513 B1 KR101642513 B1 KR 101642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base station
carriers
mobile st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018A (ko
Inventor
육영수
류기선
정인욱
이은종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513B1/ko
Priority to US13/062,503 priority patent/US8644869B2/en
Priority to PCT/KR2009/004932 priority patent/WO2010027186A2/en
Publication of KR2010002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에 관한 다중 반송파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다중 반송파 역량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다중 반송파 역량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가능한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받아, 활성화된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Figure R1020090067754
무선통신, 다중 반송파, QoS, 802.16

Description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MULTIPLE CARRIER}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반송파를 사용하는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의 후보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m이 개발되고 있다. 802.16m 규격은 기존 802.16e 규격의 수정이라는 과거의 연속성과 차세대 IMT-Advanced 시스템을 위한 규격이라는 미래의 연속성인 두가지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802.16m 규격은 802.16e 규격에 기반한 Mobile WiMAX 시스템과의 호환성(compatibility)을 유지하면서 IMT-Advanced 시스템을 위한 진보된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하나의 대역폭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2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은 200KHz ~ 1.25MHz의 대역폭을 사용하고, 3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은 5MHz ~ 10 MHz의 대역폭을 사용한다. 증가하는 송신 용량 을 지원하기 위해, 최근의 3GPP LTE 또는 802.16m은 20MHz 또는 그 이상까지 계속 그 대역폭을 확장하고 있다. 송신 용량을 높이기 위해서 대역폭을 늘리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지만, 요구되는 서비스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도 큰 대역폭을 지원하는 것은 커다란 전력 소모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대역폭와 중심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를 정의하고, 복수의 반송파를 통해 광대역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송파를 사용함으로써 협대역과 광대역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반송파가 5MHz의 대역폭에 대응된다면, 4개의 반송파를 사용함으로써 최대 20MHz의 대역폭을 지원하는 것이다.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항상 모든 반송파들을 사용한다면, 이동국의 과도한 전력 소모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반송파로도 충분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서비스 요구 수준이 낮은 이동국이 모든 반송파들을 항상 사용한다면 자원의 효율성도 낮아지고 RF(radio frequency)단의 부담도 불필요하게 크게 된다.
서비스 요구 수준에 따라 다중 반송파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중 레벨로 다중 반송파를 운영하는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력 소모를 줄이는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에 관한 다중 반송파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다중 반송파 역량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다중 반송파 역량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가능한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가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된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은 상기 기지국 내에서 고유한 물리적 인덱스로 참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상기 이동국 내에서 고유한 논리적 인덱스로 참조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QoS(Quality of Service) 요구 조건 또는 상기 기지국의 부하 상태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에 관한 다중 반송파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사용가능한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들에 관한 정보를 이동국에게 송신하고, 상기 할당된 반송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이동국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이동국은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에 관한 다중 반송파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다중 반송파 역량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다중 반송파 역량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가능한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할당된 반송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받아, 활성화된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복수의 반송파들 중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반송파를 관리하고 지시하는 데 따른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다중 반송파의 다중 레벨 관리를 통해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무선통신 시스템(1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동국(12; mobile station, MS)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이동국(12)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이동국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이동국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다.
스펙트럼 집성(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 반송파 집성이라고도 함)은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하는 것이다. 스펙트럼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5MHz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 단위의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로서 5개의 반송파가 할당된다면, 최대 2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스펙트럼 집성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인 반송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인접(contiguous) 스펙트럼 집성과 불연속적인 반송파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비인접(non-contiguous) 스펙트럼 집성으로 나눌 수 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반송파 수와 상향링크 반송파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다중 반송파들의 크기(즉 대역폭)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7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5개의 반송파들이 사용된다고 할 때, 5MHz carrier (carrier #0) + 20MHz carrier (carrier #1) + 20MHz carrier (carrier #2) + 20MHz carrier (carrier #3) + 5MHz carrier (carrier #4)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시스템이라 함은 스펙트럼 집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인접 스펙트럼 집성 및/또는 비인접 스펙트럼 집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칭적 집성 또는 비대칭적 집성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반송파들은 방향성에 따라 전 설정(fully configured) 반송파와 부분 설정(partially configured) 반송파로 나뉠 수 있다. 전 설정 반송파는 양방향(bidirectional) 반송파로 모든 제어신호와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반송파를 가리키고, 부분 설정 반송파는 단방향(unidirectional) 반송파로 하향 링크 데이터만을 송신할 수 있는 반송파를 가리킨다. 부분 설정 반송파는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반송파들은 활성화 여부에 따라 1차(primary) 반송파와 2차(secondary) 반송파로 나뉠 수 있다. 1차 반송파는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반송파이고, 2차 반송파는 특정 조건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반송파이다. 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행해지거나 준비 상태(ready state)에 있는 것을 말한다. 비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불가능하고, 측정이나 최소 정보의 송신/수신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동국은 하나의 1차 반송파만을 사용하거나, 1차 반송파와 더불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2차 반송파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은 1차 반송파 및/또는 2차 반송파를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을 수 있다. 1차 반송파는 전 설정 반송파일 수 있으며,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주요 제어 정보들이 교환되는 반송파이다. 2차 반송파는 전 설정 반송파 또는 부분 설정 반송파일 수 있으며, 이동국의 요청이나 기지국의 지시에 따라 할당되는 반송파이다. 1차 반송파는 이동국의 네트워크 진입 및/또는 2차 반송파의 할당에 사용될 수 있다. 1차 반송파는 특정 반송파에 고정되는 것이 아닌, 전 설정 반송파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2차 반송파로 설정된 반송파도 1차 반송파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반송파 관리 모델을 나타낸다. 다중 반송파의 효율적인 관리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다중 레벨의 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반송파는 다음의 3단계로 구분된다.
- 사용가능 반송파(Available Carrier): 기지국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반송 파
- 할당된 반송파(Assigned Carrier) : 이동국의 역량(capability)에 따라서 기지국이 이동국에게 할당하는 예약된 반송파
- 활성 반송파(Active Carrier) : 이동국이 제어신호/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송신에 사용하는 반송파
각 반송파들의 특징을 다음 표에 나타내고 있다.
명칭 정의 특징
사용가능 반송파 Multiple carriers which are available in a BS 현재 기지국이 사용할 수 있는 캐리어들로 기지국의 역량이다. 이 정보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될 수 있다. 각 사용가능 반송파는 기지국내에서 고유한 물리적 인덱스로 참조된다.
할당된 반송파 The subset of available carriers which may be potentially used by a MS 이동국의 역량과 기지국의 부하 상태(load condition)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다중 반송파 역량 협상(Multicarrier Capability Negotiation)을 기반으로 할당된다. 활성화되기 전까지는 이동국이 어떠한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다만, 기지국의 요청으로 측정, 시스템 정보 갱신, 레인징(ranging)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각 활성화된 반송파는 이동국 내에서 고유한 논리적 인덱스로 참조될 수 있다.
활성 반송파 The carriers which are in ready state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이동국의 QoS(Quality of Service) 요구 조건을 보장하기 위해 할당된 반송파들 중에서 활성화된다. 링크 스케줄링을 위해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RI(rank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등과 같은 피드백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이동국은 상향/하향 데이터 송신을 위해 활성 반송파를 통해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국은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활성 반송파를 통해 BCH(broadcast channel) 또는 SFH(Super frame Header)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국은 상향링크 채널 동기를 위해 레인징을 활성 반송파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에 관한 다중 반송파 정보(multiple carrier information)를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중 반송파 정보는 이동국의 셀 탐색과 핸드오버를 위한 주변 셀들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이 이동국에게 제공하는 주변 공시(Neighbour Advertisement) 메시지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이동국은 다중 반송파 정보를 네트워크로의 초기 진입(inital entry) 이전 또는 초기 진입시에 얻을 수 있으나, 초기 진입 이후에 얻을 수도 있다.
다중 반송파 정보를 획득한 이동국은 기지국과 역량 협상(capability negotiation) 중에 다중 반송파 역량을 교환한다. 기지국은 이동국의 다중 반송파 역량을 기초로 이동국에게 할당된 반송파들를 할당할 수 있다. 1차 반송파는 네트워크 진입에 사용된 반송파가 될 수 있으나, 기지국은 다른 반송파를 1차 반송파로 지정할 수도 있다.
할당된 반송파들은 바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할당된 반송파들이 활성화되면 1차 반송파 또는 2차 반송파가 된다. 1차 반송파는 항상 활성 반송파가 되고, 2차 반송파는 기지국의 지시에 의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다. 할당된 반송파가 활성화되면 2차 반송파가 된다. 기지국은 QoS(Qualtiy of Serivice) 요구 조건, 부하 상태(load condition) 등을 기반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결정할 수 있다. 비활성 반송파는 전원 절약을 위해 링크 측정이나 동기신호의 추적 등 관련 동작을 완전히 중단할 수 있다.
역량 협상에 따라 기지국과 단말 간에 따라 할당된 반송파들이 할당된다. 이때, 기지국과 단말 간에 교환되는 역량과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1) 이동국의 다중 반송파 역량, (2) RF단의 최대 대역폭, (3) 지원가능한 주파수 밴드, (4) 수신 가능한 동시 대역폭의 갯수, (5) 기지국의 역량, (6) 기지국의 부하 상태, (7) 기지국의 할당 정책.
기지국은 이동국에 할당된 반송파들 중에서 선택된 반송파를 활성화하도록 알려준다. 활성화 정보는 QoS과 관련이 있으므로, 서비스 흐름을 제어하는 메시지내에서 QoS 파라미터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 정보는 IEEE 802.16e 규격에서 정의되는 DSA(Dynamic Service Addition)-REQ(request), DSA-RSP(response), DSD(Dynamic Service Deletion)-REQ, DSD-RSP, DSC(Dynamic Service Change)-REQ 및 DSC-RSP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QoS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활성 반송파는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는 준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국은 전 설정 반송파를 통해 네트워크 진입(network entry) 과정을 시도한다. 이동국은 상기 전 설정 반송파 상의 프리앰블을 검출하여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한 후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 전 설정 반송파가 1차 반송파가 되며, 이후에 기지국의 지시에 의해 1차 반송파는 변경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의 일부 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관리(management) 메시지를 통해 다중 반송파 정보를 이동국에게 보낸다. 다중 반송파 정보는 기지국내에서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중 반송파 정보는 각 사용가능한 반송파에 대한 물리적 인덱스, 중심 주파수, 채널 대역폭, 반송파 유형(전 설정/부분 설정) 및 프리앰블 인덱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총 4개의 반송파(#1, #2, #3, #4)가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이라고 한다.
단계 S320에서, 이동국은 기지국으로 다중 반송파 역량을 보낸다. 다중 반송파 역량은 예를 들어, 지원되는 다중 반송파 모드, 지원되는 상향링크/하향링크 반송파의 갯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기지국은 다중 반송파 역량을 기반으로 결정된 할당된 반송파들을 이동국에게 알려준다. 예를 들어, 1차 반송파로 반송파 #1(301)을 사용한다고 할 때, 기지국은 반송파 #2(302) 및 반송파 #3(303)을 할당된 반송파들로 알려줄 수 있다.
1차 반송파를 통해 기지국과 이동국은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 요구 수준에 따라 추가적인 반송파가 요구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기지국은 반송파 #2(302) 및 반송파 #3(303)을 활성화한다. 활성화 정보는 반송파 관리 메시지에 포함되어 송신될 수 있다. 활성화 정보는 활성화되는 반송파의 논리적 인덱스 및 활성화/비활성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화된 반송파 #2(302) 및 반송파 #3(303)는 활성 반송파가 되고, 또한 2차 반송파가 된다. 이동국은 1차 반송파를 통해 이미 네트워크 진입을 완료하였으므로, 2차 반송파에 대해서는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 이동국은 반송파 #2(302) 및 반송파 #3(303)를 통해 각각 SFH, 즉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고(단계 S351, S352), 주기적 레인징(periodic ranging)을 시도한다(단계 S361, S362). 만약 2차 반송파에 대한 레인징이 생략되면, 이동국은 1차 반송파와 동일한 타이밍, 주파수 오프셋, 파워 오프셋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 S370에서, 이동국은 기지국으로 활성화 확인 정보를 보낼 수 있다. 활성화 확인 정보는 이동국이 활성화된 2차 반송파들(반송파 #2, #3)을 통해 성공적으로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함을 기지국에게 알린다. 이어서, 활성화된 2차 반송파들(반송파 #2, #3)을 통해 기지국과 이동국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S381, S382).
단계 S390에서, 기지국은 반송파 #3(303)을 비활성화한다. 이동국은 반송파 #3(303)을 끄고, 1차 반송파와 2차 반송파인 반송파 #2를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4는 다중 레벨 반송파 운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이 모두 8개이고, 0부터 7까지 물리적 인덱스가 매겨져 있다고 하자. 이동국은 물리적 인덱스 4인 반송파를 1차 반송파로 사용한다. 1차 반송파의 논리적 인덱스는 0으로 고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할당된 반송파들로 물리적 인덱스 3, 5, 6인 반송파들을 할당한다. 할당된 반송파들의 논리적 인덱스는 낮은 차순으로 1, 2, 3이 된다. QoS 요구 조건이나 부하 상태에 따라 할당된 반송파들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초기에 3개의 할당된 반송파들이 모두 2차 반송파로 활성화되어 최대 100Mbps(bits per second)의 서비스를 보장한다고 하자. 기지국 및/또는 이동국은 1차 반송파와 3개의 반송파들 중 임의의 갯수의 반송파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서비스가 삭제되어 75Mbps의 서비스가 보장된다고 할 때, 기지국은 하나의 반송파(논리적 인덱스가 3인 반송파)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S410).
추가적으로 서비스가 더 삭제되어 25Mbps의 서비스 보장만으로 충분하다고 할 때, 나머지 2차 반송파들(논리적 인덱스가 2, 1인 반송파들)을 모두 비활성화한다(S420).
대용량 서비스가 추가되어 100Mbps의 서비스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할 때, 3개의 할당된 반송파들을 모두 활성화한다(S430).
사용가능한 반송파들 중 할당된 반송파들을 활성화하도록 활성화를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8개의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해서는 3비트가 필요하지만, 4개의 할당된 반송파들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해서는 2비트로 충분하다.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을 지시하기 위해서는 기지국내에서 고유한 물리적 인덱스를 사용하지만, 할당된 반송파들을 지시하기 위해서는 이동국에게 고유한 논리적 인덱스를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활성 반송파를 지시하기 위한 인덱싱이 간단해지고, 활성화를 위한 메시지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반송파들 중 할당된 반송파들로 지정되지 않은 나머지 반송파들에 대해 이동국은 반송파 정보를 가지거나 검출을 시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말의 메모리 용량 및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동국(910)은 프로세서(912), 디스플레이부(913) 및 RF부(91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12)는 다중 반송파 정보를 수신하고, 기지국(930)과 다중 반송파 역량을 교환한다. 프로세서(912)는 할당된 반송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에 관한 활성화정보를 받아 활성화된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전술한 도 3 내지 4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의 동작은 프로세서(91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13)은 프로세서(912)와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9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RF부(915)는 프로세서(912)와 연결되어 무선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기지국(930)은 프로세서(932) 및 RF부(935)를 포함한다. RF부(935)는 무선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프로세서(932)는 다중 반송파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사용가능한 반송파들로부터 각 이동국에게 할당되는 할당된 반송파들을 선택한다. 할당된 반송파들은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중 반송파 역량을 기반으로 선택될 수 있다. 프로세서(932)는 QoS 요구 조건 또는 부하 상태를 기반으로 할당된 반송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활성화/비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912, 932)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915,935)은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프로세서(912, 93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반송파 관리 모델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다중 레벨 반송파 운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Claims (12)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이,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에 관한 다중 반송파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이, 다중 반송파 역량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이, 상기 다중 반송파 역량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가능한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가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된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은 상기 기지국 내에서 고유한 물리적 인덱스로 참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상기 이동국 내에서 고유한 논리적 인덱스로 참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1차 반송파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1차 반송파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QoS(Quality of Service) 요구 조건 또는 상기 기지국의 부하 상태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에 관한 다중 반송파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이동국으로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가능한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에게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이, 상기 할당된 반송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은 상기 기지국 내에서 고유한 물리적 인덱스로 참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상기 이동국 내에서 고유한 논리적 인덱스로 참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 삭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QoS 요구 조건 또는 부하 상태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다중 반송파 역량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할당된 반송파들은 상기 다중 반송파 역량을 기반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2.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에 관한 다중 반송파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다중 반송파 역량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다중 반송파 역량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가능한 반송파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할당된 반송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되,
    상기 사용가능한 반송파들은 상기 기지국 내에서 고유한 물리적 인덱스로 참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반송파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이동국 내에서 고유한 논리적 인덱스로 참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KR1020090067754A 2008-09-05 2009-07-24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642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754A KR101642513B1 (ko) 2008-09-05 2009-07-24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US13/062,503 US8644869B2 (en) 2008-09-05 2009-09-02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multiple carriers
PCT/KR2009/004932 WO2010027186A2 (en) 2008-09-05 2009-09-02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multiple carri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56808P 2008-09-05 2008-09-05
US61/094,568 2008-09-05
US14121408P 2008-12-29 2008-12-29
US61/141,214 2008-12-29
US14500009P 2009-01-15 2009-01-15
US61/145,000 2009-01-15
KR1020090067754A KR101642513B1 (ko) 2008-09-05 2009-07-24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018A KR20100029018A (ko) 2010-03-15
KR101642513B1 true KR101642513B1 (ko) 2016-08-01

Family

ID=4179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754A KR101642513B1 (ko) 2008-09-05 2009-07-24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44869B2 (ko)
KR (1) KR101642513B1 (ko)
WO (1) WO20100271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0014B2 (en) * 2007-12-26 2012-12-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using multi-band radio frequencies
JP5531023B2 (ja) * 2008-11-21 2014-06-2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通信でマルチキャリアを利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664534A1 (en) * 2008-11-25 2020-06-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plurality of uplink carriers and a plurality of downlink carriers
CN101790232B (zh) * 2009-01-22 2016-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多载波***的扫描报告发送方法、终端
US8804631B2 (en) * 2009-03-02 2014-08-1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carrier configuration in multi-carrier OFDM systems
KR101918026B1 (ko) 2009-04-22 2018-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20044922A1 (en) * 2009-04-28 2012-02-23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US8441998B2 (en) * 2009-07-06 2013-05-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transmitting broadcast information in multiple carrier system
US20110080885A1 (en) * 2009-10-05 2011-04-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extension carrier in base station
US20110105105A1 (en) * 2009-11-02 2011-05-05 Sagfors Mats Fredrik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128919A1 (en) * 2009-11-30 2011-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transcei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781194B1 (ko) * 2009-12-23 2017-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
US20120281582A1 (en) * 2010-01-08 2012-11-08 Tao Ya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user equipment to measure inactive downlink component carrier
CN102143505B (zh) * 2010-02-03 2013-10-02 华为技术有限公司 聚合载波小区测量的方法、装置及***
EP2360864A1 (en) 2010-02-12 2011-08-24 Panasonic Corporation Component carrier (de)activ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ing carrier aggregation
US20110243106A1 (en) * 2010-04-02 2011-10-06 Mediatek Inc. Methods for carrier agggregation
US8798030B2 (en) 2010-04-07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Facilitating uplink synchronization in TD-SCDMA multi-carrier systems
US8982805B2 (en) * 2010-04-09 2015-03-17 Acer Incorporated Activating component carriers by non-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KR101306741B1 (ko) * 2010-04-12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세컨더리 캐리어 정보 갱신 방법
US8693437B2 (en) * 2010-09-14 2014-04-08 Htc Corporation Method of configuring secondary cells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N102137509B (zh) 2010-11-08 2013-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传输状态的控制方法及装置
EP2647153B1 (en) * 2010-11-29 2015-01-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component carrier aggregation control
CN103535095B (zh) * 2011-03-25 2017-09-08 诺基亚通信公司 通信***中的载波聚合
KR101572933B1 (ko) * 2011-07-13 2015-11-3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및 장치
AU2013220635A1 (en) * 2012-02-15 2014-09-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ownlink multicarrie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figuration
CN107070626B (zh) * 2013-06-25 2019-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进行载波聚合处理的方法和设备
WO2015000139A1 (zh) * 2013-07-02 2015-01-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授权分配的方法、装置和***
US10356710B2 (en) * 2015-05-01 2019-07-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device to utilize channels with low power consumption
CN107046707B (zh) 2016-02-06 2021-1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频点选择方法及装置
CN109644329B (zh) * 2017-11-03 2021-0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285B1 (ko) * 2001-09-06 200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방식을 이용한 데이타 무선 통신 방법 및장치와 이를 위한 전송 프레임 포맷
KR100661435B1 (ko) * 2004-01-05 2006-12-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방식에서의 부반송파 동적할당방법
KR100943474B1 (ko) * 2005-04-18 2010-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캐리어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46701A1 (en) * 2006-01-13 2009-02-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and synchronization channel signal transmission method
BRPI0707878B1 (pt) * 2006-01-20 2019-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arelho de estação base de comunicação por rádio e método de comunicação por rádio
KR100934656B1 (ko) * 2006-02-06 2009-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
JP4627801B2 (ja) * 2006-03-17 2011-02-09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サブキャリア割り当て方法
KR101609878B1 (ko) * 2008-11-10 201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US8320314B2 (en) * 2008-12-16 2012-11-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fficiently performing initial access in a multi-carrier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8995405B2 (en) * 2012-01-25 2015-03-31 Ofinno Technologies, Llc Pathloss reference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awei, "Discussion on supplementary carrier control", 3GPP TSG-RAN WG1 #54, R1-083076, 2008.8.13.*
Qualcomm Europe, "Introducing Dynamic Carrier Switching in DC-HSDPA", 3GPP TSG-RAN WG1 #54, R1-082823, 2008.8.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59903A1 (en) 2011-06-30
KR20100029018A (ko) 2010-03-15
WO2010027186A3 (en) 2010-06-17
WO2010027186A2 (en) 2010-03-11
US8644869B2 (en) 201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513B1 (ko)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722872B1 (ko)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US11729703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CN103974432B (zh) 载波分配方法和移动站
CN102342054B (zh) 在多载波***中报告信道状态的方法和设备
US11452069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US11924141B2 (en)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10342036B2 (en) Secondary scheduling request
US106744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rottling carrier aggregation activation
WO2020220929A1 (zh) 物理下行控制信道的监听方法、装置及设备
WO2019062585A1 (zh) 一种资源调度方法、网络设备以及通信设备
EP3253111B1 (en) User device and cell measurement method
US20090213773A1 (en) Method for supporting coexistence considering while subchannel alloc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JP5730987B2 (ja) 広帯域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効率的なセカンダリキャリア情報の更新方法
US20120230265A1 (en) Method for efficiently managing carrier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JP2022538211A (ja) Bwpの管理方法および装置、端末
CN111436085B (zh) 通信方法及装置
JP2013543671A (ja) マルチキャリアをサポートする広帯域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効率的なハンドオーバー/スキャニングトリガー方法
US9025508B2 (en) Method for receiving mobile multicast broadcast service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2521484A (ja) 送受信機デバイスおよびスケジューリングデバイス
KR101662997B1 (ko)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 정보의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