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927B1 -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927B1
KR101640927B1 KR1020140110746A KR20140110746A KR101640927B1 KR 101640927 B1 KR101640927 B1 KR 101640927B1 KR 1020140110746 A KR1020140110746 A KR 1020140110746A KR 20140110746 A KR20140110746 A KR 20140110746A KR 101640927 B1 KR101640927 B1 KR 101640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data
door lock
digital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206A (ko
Inventor
양수한
Original Assignee
양수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수한 filed Critical 양수한
Priority to KR1020140110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92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개폐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개폐 데이터와 식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개폐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디지털 도어락을 폐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DOOR LOCKING OR UNLOKING SERVICE}
본 발명은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도어락의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디지털 도어락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디지털 도어락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나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디지털 도어락의 비밀번호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기 위한 방법은 터치스크린상에 형성된 키입력부의 위치를 랜덤하게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인 제2010-0083631호(2010.07.22 공개)에는 터치스크린 상에 키 입력시마다 각 문자의 배열 위치를 랜덤하게 변화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키 입력부를 랜덤하게 변화시키는 경우 터치 스크린 자체를 입력부로 구비해야 하므로, 디지털 도어락의 단가가 급격히 상승할 수 있고, 랜덤한 패턴을 유추하는 경우 지문이나 손자국이 터치 스크린상에 남을 수 있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유출할 위험은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지털 도어락에 구비되는 입력부를 모바일 단말로 대체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락으로 인하여 비밀번호가 유출될 수 있는 위험을 제거하고, 하나의 디지털 도어락과 복수개의 모바일 단말을 연동시킴으로써, 가족 구성원 각각이 기억하기 용이한 개폐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개폐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개폐 데이터와 식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개폐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디지털 도어락을 폐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락의 입력부를 별도의 모바일 단말로 대체하여 디지털 도어락과 분리시킴으로써, 열쇠와 같은 역할을 하는 개폐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시킬 수 있으므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연동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락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락과 모바일 단말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모바일 단말 연동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연동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연동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 디지털 도어락(400), 방문자 알림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모바일 단말 연동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연동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과 디지털 도어락(400)이 직접 통신하는 경우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이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디지털 도어락(400)과 연결되는 두 가지의 일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은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고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디지털 도어락(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디지털 도어락(400)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고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방문자 알림 장치(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방문자 알림 장치(500)와 연결될 수 있고, 방문자 알림 장치(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Bluetooth, Zigbee, UWB, IrDA, HSPDA, RFID, NFC, Wibro, HSDPA, Wimax, SWAP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은, 키패드, 패턴, 모션 또는 생체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은, 디지털 도어락(400)의 키패드 부분이 분리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직접 디지털 도어락(400)과 연결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에는, 디지털 도어락(400)과 연동되어 미리 설정된 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은, 디지털 도어락(400)과 다대일(多對一)로 대응될 수 있다. 즉, 한 개의 디지털 도어락(400)에 복수개의 모바일 단말(100)이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과 개폐 데이터는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을 사용하는 사용자별로 개폐 데이터를 별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개폐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디지털 도어락(40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의 개폐 신호가 전송되면, 디지털 도어락(400)으로 개폐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방문자 알림 장치(500)로부터 방문자를 알리는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의 GPS 좌표 또는 LBS 좌표를 학습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락(400)에 근접하는 시간에 자동으로 디지털 도어락(400)을 해제하거나, 디지털 도어락(400)을 해제할 수 있는 화면을 활성화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400)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과 직접 통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과 동기화되어 개폐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400)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에서 개폐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개폐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식별자와 매핑된 개폐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도어를 잠글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도어락(400)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과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통신하는 경우,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개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400)은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개폐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도어를 잠글 수 있다.
방문자 알림 장치(500)는, 예를 들어 인터폰일 수 있다. 여기서, 방문자 알림 장치(500)는,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방문자 알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방문자 알림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자는 화장실에 있거나 목욕중이어서 문을 열어주기가 힘든 경우나, 외부에 외출해서 문을 열어주기가 힘든 경우일지라도, 방문자를 확인하고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락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락과 모바일 단말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400)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과 직접 연결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4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400)이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과 연결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400)은, 수신부(410), 저장부(430) 및 폐쇄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도어락(400)의 폐쇄부(450)는 개방 또는 폐쇄를 모두 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정의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저장부(320), 전송부(330), 알림부(340), 자동 잠금부(350), 해제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 디지털 도어락(400), 방문자 알림 장치(500) 또는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서버(미도시)가 도어 개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 디지털 도어락(400), 방문자 알림 장치(500)로 전송하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 디지털 도어락(400), 방문자 알림 장치(500)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 디지털 도어락(400), 방문자 알림 장치(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 연결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 디지털 도어락(400) 및 방문자 알림 장치(5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41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개폐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데이터는, 비밀번호 데이터, 패턴 데이터, 모션 데이터, 생체 데이터, 상기 모바일 단말에 기 설정된 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과 개폐 데이터는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족이 동일한 비밀번호나 패턴을 사용하지 않고, 가족 구성원 각자가 편한 비밀번호나 패턴으로 개폐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를 잃어버려서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 비밀번호를 묻는 상황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과 디지털 도어락(400)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과 디지털 도어락(400)은, RFID, NFC, 블루투스, 지그비, 2G, 3G, 4G, LTE, Wibro, HSDPA, WIFI, Wimax, UWB, IrDA, SWAP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과 디지털 도어락(400)을 연동시키는 서버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도어락(400)은 개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 대체하여 입력부가 디지털 도어락(400)과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도어락(400)에 키패드가 부착된 경우나 LCD가 부착된 경우에는, 자주 누르는 버튼이나 패턴을 따라 지문 등이 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비밀번호나 패턴을 유추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400)은 디지털 도어락(400)에 개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 대체함으로써 이러한 개폐 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개폐 데이터와 식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에서 각각 다른 개폐 데이터가 입력될지라도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을 식별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모바일 단말(100)의 비밀번호는 1234이고, B 모바일 단말(100)의 비밀번호는 5678이라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A 모바일 단말(100)로 5678을 입력한다고 할지라도, 식별 데이터에 따른 개폐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디지털 도어락(400)은 도어를 개폐하지 않을 수 있다.
폐쇄부(45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개폐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지털 도어락(400)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디지털 도어락(400)을 폐쇄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저장부(320), 전송부(330), 알림부(340), 자동 잠금부(350) 및 해제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개폐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개폐 데이터와 식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전송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개폐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지털 도어락(400)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디지털 도어락(400)을 폐쇄시키는 제어 신호를 디지털 도어락(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과 개폐 데이터는 일대일 대응되고, 개폐 데이터는, 비밀번호 데이터, 패턴 데이터, 모션 데이터, 생체 데이터, 모바일 단말(100)에 기 설정된 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알림부(340)는, 방문자 알림 장치(500)로부터 방문자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문자 알림 신호를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방문자 알림 신호는 방문자 알림 장치(500)에서 촬영된 방문자의 안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잠금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GPS 좌표 또는 LBS 좌표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좌표 또는 LBS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와 디지털 도어락(400)의 위치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400)으로 잠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를 잠그는 것을 잊어버렸다고 할지라도 자동 잠금부(350)가 사용자가 멀리 이동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도어를 잠글 수 있다.
해제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GPS 좌표 또는 LBS 좌표와 시간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해제부(360)는,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GPS 좌표 또는 LBS 좌표를 학습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시간별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해제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가 디지털 도어락(400)의 위치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진입하는 시간에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GPS 위치 또는 LBS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제부(360)는, 확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GPS 위치 또는 LBS 위치가 디지털 도어락(400)의 위치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 디지털 도어락(400)의 잠금을 해제하는 신호를 디지털 도어락(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해제부(360)는, 확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GPS 위치 또는 LBS 위치가 디지털 도어락(400)의 위치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 개폐 데이터를 입력받는 화면이 구동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100)과 디지털 도어락(400)의 구동을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a)는 디지털 도어락(400)과 모바일 단말(100)이 직접 통신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b)는 디지털 도어락(400)이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모바일 단말(100)과 통신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400)은 사용자가 개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제거되고, 제거된 입력부가 모바일 단말(100)로 구현되어 디지털 도어락(400)에 남아있는 흔적을 이용하여 개폐 데이터가 유출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때, (a)는 디지털 도어락(400)과 모바일 단말(100)이 직접 통신하므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할 수 있고, 키패드만 구비된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반면, (b)는 디지털 도어락(400)이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모바일 단말(100)과 통신하므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100)이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모바일 단말 연동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을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은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개폐 데이터와 식별 데이터를 전송하고, 디지털 도어락(400)도 기 저장된 키 데이터를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S5100, S5200).
이때,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과 디지털 도어락(4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S5300),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개폐 데이터를 수신하면(S5400), 디지털 도어락(400)으로 개폐 신호를 전송한다(S5500). 이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400)은 도어를 개폐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S5600).
그리고 나서, 디지털 도어락(400)은 자신의 현재 상태를 업데이트하여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S5610),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 현재 상태를 전송한다(S5630).
한편,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GPS 좌표 또는 LBS 좌표가 전송되면(S5700),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를 학습하여(S5800)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학습된 시간, 즉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이 디지털 도어락(400)에 접근하는 시간이 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 GPS 좌표 또는 LBS 좌표를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5810).
이때,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디지털 도어락(400)과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인 경우(S5830),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의 개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여(S5850),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개폐 데이터를 수신하고(S5870), 디지털 도어락(400)으로 개폐 신호를 전송하여(S5890) 디지털 도어락(400)이 개폐되도록 한다(S5900).
한편, 방문자 알림 장치(500)로부터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방문자 데이터가 수신되면(S5910),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를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하고(S5930),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에서 방문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면,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개폐 데이터를 수신받아 전송하고(S5960, S5970), 디지털 도어락(400)이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S5980).
상술한 단계들(S5100~S598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98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개폐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한다(S6100).
그리고 나서,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개폐 데이터와 식별 데이터를 저장한다(S6200).
여기서,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개폐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디지털 도어락을 폐쇄시킨다(S6300).
이와 같은 도 5의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삭제
  2. 모바일 단말 연동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개폐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개폐 데이터와 식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개폐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폐쇄시키는 제어 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GPS 좌표 또는 LBS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GPS 좌표 또는 LBS 좌표와 시간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GPS 좌표 또는 LBS 좌표를 학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시간별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위치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진입하는 시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GPS 위치 또는 LBS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GPS 위치 또는 LBS 위치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위치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락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로 개폐 데이터를 입력받는 화면이 구동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개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로 대체하여 상기 입력부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분리된 것인,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과 개폐 데이터는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개폐 데이터는, 비밀번호 데이터, 패턴 데이터, 모션 데이터, 생체 데이터, 상기 모바일 단말에 기 설정된 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방문자 알림 장치로부터 방문자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문자 알림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문자 알림 신호는 상기 방문자 알림 장치에서 촬영된 상기 방문자의 안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GPS 좌표 또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GPS 좌표 또는 LBS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디지털 도어락의 위치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도어락으로 잠금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40110746A 2014-08-25 2014-08-25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40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746A KR101640927B1 (ko) 2014-08-25 2014-08-25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746A KR101640927B1 (ko) 2014-08-25 2014-08-25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206A KR20160024206A (ko) 2016-03-04
KR101640927B1 true KR101640927B1 (ko) 2016-07-19

Family

ID=5553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746A KR101640927B1 (ko) 2014-08-25 2014-08-25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9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5836A (zh) * 2017-12-21 2018-06-26 广东汇泰龙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锁的红外人体感应的智能家居联动方法及***
CN109300212A (zh) * 2018-09-29 2019-02-01 镇江微芯光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门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165B1 (ko) * 2017-11-06 2023-08-25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치큐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KR102452528B1 (ko) * 2017-11-06 2022-10-12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치큐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US10755500B2 (en) 2017-11-06 2020-08-25 Moca System Inc.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340398B1 (ko) * 2019-09-30 2021-12-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출입 통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974B1 (ko) * 2010-12-09 2013-07-02 주식회사 지트론 도어락 시스템
KR101315940B1 (ko) 2013-06-10 2013-10-08 주식회사 세경테크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KR101334562B1 (ko) * 2012-05-11 2013-11-2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락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1612B2 (ja) * 2005-11-25 2010-10-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974B1 (ko) * 2010-12-09 2013-07-02 주식회사 지트론 도어락 시스템
KR101334562B1 (ko) * 2012-05-11 2013-11-2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락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15940B1 (ko) 2013-06-10 2013-10-08 주식회사 세경테크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5836A (zh) * 2017-12-21 2018-06-26 广东汇泰龙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锁的红外人体感应的智能家居联动方法及***
CN109300212A (zh) * 2018-09-29 2019-02-01 镇江微芯光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门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206A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927B1 (ko)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 방법
JP6441982B2 (ja) デジタルドアロックシステム
KR101588197B1 (ko) 자동 개폐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의 자동 개폐 방법
US20180174384A1 (en) Time-Limit Door Access Control Management System With Guest Authentication, And Method Thereof
US11017621B1 (en) Mobile digital locking technology
KR20170116888A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1684622B1 (ko) 사무용 가구의 보안을 위한 원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931951B1 (ko)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49616B1 (ko) 스마트폰 키 도어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7987A (ko) 공용 단말 장치 보안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872484B1 (en) Mobile digital locking technology
CN104735168A (zh) 基于网络产生密码和解密的开锁方法
CN108171851A (zh) 一种具有扫描功能的智能门锁***及控制方法
CN107256353A (zh) 具备隐私保护功能的显示方法
CN205722034U (zh) 一种可使用手机app控制的智能门禁设备
EP3951727A1 (en) Mobile digital locking technology
CN106126994A (zh) 一种移动终端的用户管理方法和***
KR101602483B1 (ko) 서버와 단말기를 이용한 잠금장치 개폐시스템 및 방법
KR102017337B1 (ko) 스마트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블루투스 기반 스마트 금고 및 이를 이용한 금고 계폐 서비스 제공 방법
CN105844740A (zh) 一种新型遥感控制方法及装置
CN207424971U (zh) 一种智能门禁***
CN106127005A (zh) 一种移动终端的用户管理方法和***
CN109584429A (zh) 无线门禁设备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6127006A (zh) 一种移动终端的用户管理方法和***
KR101382877B1 (ko) Nfc 기능이 담긴 기기를 이용한 암호 노출 방지 전자 도어락 시스템 및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