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489B1 - 의료용 침대 - Google Patents

의료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489B1
KR101639489B1 KR1020140181332A KR20140181332A KR101639489B1 KR 101639489 B1 KR101639489 B1 KR 101639489B1 KR 1020140181332 A KR1020140181332 A KR 1020140181332A KR 20140181332 A KR20140181332 A KR 20140181332A KR 101639489 B1 KR101639489 B1 KR 101639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edge
support
bed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043A (ko
Inventor
김창영
이임건
허경용
임판석
이갑녀
Original Assignee
김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영 filed Critical 김창영
Priority to KR1020140181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4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8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e.g. for 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16Side-rails with height adjust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3Aids for getting into, or out of, bed, e.g. steps, chairs, cane-lik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3Aids for getting into, or out of, bed, e.g. steps, chairs, cane-like supports
    • A61G7/0533Lifting po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의료용 침대에 관련된 것으로, 실시예로 매트와, 상기 매트를 받치는 침대프레임을 구비한 의료용 침대에서,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를 상기 매트의 중앙부보다 높게 가변시켜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매트의 중앙부를 향하여 내림 경사진 비탈면을 형성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침대{Bed for medical purposes}
본 발명은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의료용 침대에 관련된다.
의식 불명 환자의 이동성을 확보하고, 진료나 치료가 용이한 환자 높이의 확보 등을 이유로 입원동에서는 침대가 널리 사용된다. 의료용 침대는 환자의 상태 또는 식사 등 필요에 따라 침대 매트를 기울여 환자가 상체를 세우거나, 다리를 높게 할 수 있는 등 각종 편의 장비를 갖추고 있다.
침대를 이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 중 하나는 환자의 낙상이다. 이상 건강 상태나 약물 등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수면 중에 침대에서 낙상할 수 있으며, 의료용 침대의 높이에 의해 낙상에 의한 피해를 크게 입게 된다. 특히 많은 나이의 노년층과 인지 능력이 부족한 소아에서 자주 발생되고 있다.
낙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기술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6922호에서는 침대 양측의 펜스가 상승하여 침대에서 떨어지려는 환자를 전개된 펜스로 보호하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이 선행기술은 전개되는 펜스가 환자의 몸통이나 팔, 다리를 치면서 올라가므로, 환자가 펜스에 의해 타박상을 입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으로는 낙상 이전에 침대의 한 쪽으로 쏠려 잠을 자는 상태를 감시하여 낙상을 예측, 감지하는 시스템에 대한 기술 개발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3647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08644호 등에서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낙상의 전조를 미리 감시하였다가 이를 환자 또는 간호사 등에 경고음 등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거동이 불편하고 인지 능력이 저하된 환자 스스로 경고음 등을 듣고 곧바로 반응하기를 기대하기 어렵고, 간호 스테이션에 주로 머무는 간호사가 상황이 벌어진 환자의 침대까지 도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있어 즉각적인 낙상 방지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6922호 (2013.07.09)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36472호 (2010.01.0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08644호 (2011.01.27)
본 발명은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매트와, 상기 매트를 받치는 침대프레임을 구비한 의료용 침대에서,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를 상기 매트의 중앙부보다 높게 가변시켜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매트의 중앙부를 향하여 내림 경사진 비탈면을 형성하는 의료용 침대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상기 침대프레임의 가장자리지지대가 상승하면서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가 상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침대프레임은 지상에 세워지는 베이스골조, 상기 베이스골조에 장착되어 상하로 높낮이 변화가 가능한 높낮이조절부, 상기 높낮이조절부에 장착되며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를 받치는 상기 가장자리지지대 및 상기 높낮이조절부를 작동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의 바닥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장자리지지대는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파지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매트의 중앙부를 받치고 있던 상기 침대프레임의 중앙지지대가 하강하면서 상기 매트의 중앙부는 하강하고 상대적으로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가 상승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매트는 좌우에 구비된 지지판에 의해 분할 지지되며, 상기 지지판이 시소 운동하여 상기 매트의 중앙부가 오목지게 하강하면서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는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트에 구획 별로 설치되어 상기 매트에 가해지는 하중 분포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치로부터 환자가 어느 한 쪽 가장자리에 인접함을 인지하고,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를 상승시키는 제어신호를 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를 발하기 전에 사전 경고음 또는 사전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트의 가장자리가 상승하여 매트를 말은 형태를 취함으로써 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지는 낙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환자가 눕는 매트가 변형하며 가장자리가 상승하므로 종래의 기술에서 채택하고 있는 펜스의 상승에 따른 신체 충격의 우려가 없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실시예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가 적용된 의료용 침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제2 실시예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제2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제3 실시예를 간략히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제3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제3 실시예에 적용된 매트릭스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실시예들에 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도 5 및 도 7은 매트의 어느 한 쪽 측면을 나타낸 것으로, 좌우 대칭되게 타측에도 동일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수면 중에 발생하는 낙상은 의료용 침대에 누운 환자가 옆으로 구르다가 일어난다. 환자가 침대의 측면 가장자리(이하 '가장자리'라고 함)로 이동한 때에 매트의 가장자리를 적절히 위로 올려서 매트의 중앙부보다 높게 하면, 높아진 가장자리로 인해 매트의 상면은 중앙부를 향하여 내림 경사진 비탈면을 형성하게 되고, 환자는 낙상을 면하고 다시 매트의 중앙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평상시에는 환자가 쉽게 매트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매트를 평탄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평탄한 매트는 필요에 따라 환자가 특정 자세를 취하도록 하기에도 유리하다. 따라서 매트의 가장자리가 높게 되는 상황은 환자가 낙상할 위험이 있는 때에 한정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의 가장자리를 올려 매트에 누운 신체를 매트의 중앙부로 쏠리도록 하는 작동은, 급작스럽게 이루어지더라도 환자에 주는 충격이 상당히 작은 장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채택한 측면 펜스가 위로 튀어 올라 신체를 막아주어 낙상을 방지하는 기술은, 펜스가 상승하는 과정 중에 침대 밖으로 나온 팔 다리나 머리 등을 충격할 우려가 높아 2차 피해의 염려가 매우 큰 것이다. 본 발명은 신체를 받치고 있던 매트의 가장자리가 상승하는 것이므로 전술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펜스의 충격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매트의 가장자리를 상승시키는 방안은, 침대프레임 상에 평탄하게 놓인 매트의 기본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에 매트의 가장자리를 올리는 방안, 매트의 중앙부를 하강시켜 상대적으로 매트의 가장자리를 올리는 방안 및 매트의 가장자리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매트의 중앙부를 하강시키는 방안이 있다. 이러한 방식의 차이에 대하여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제1 실시예와 관련된다.
제1 실시예는 매트(10)의 가장자리(11)를 상승시켜 매트(10)를 U 자 형으로 말아주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수면 중인 환자(P)가 평탄한 매트(10)의 가장자리로 이동하였을 때에 매트의 가장자리(11)가 높게 상승함에 따라, 매트(10)의 상면에 경사 구배가 형성된다. 상승된 매트의 가장자리(11)로 인하여 환자가 침대 측면 모서리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매트의 중앙부를 향하여 내림 경사진 비탈면(101)에 따라 환자가 매트의 가운데로 다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제1 실시예에서 매트의 중앙부(12)는 같은 높이를 유지하므로 환자가 느끼는 안정감이 크다. 또한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침대프레임에 적용하기 용이한 방식이다.
도 2와 도 3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3에서 침대프레임(200)은 외형을 이루는 판재(210)와, 판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실질적으로 매트를 떠받치는 베이스골조(220)를 포함한다.
베이스골조(220)는 프레임으로 짜진 것으로 침대다리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짜진 격자구조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대개의 의료용 침대에서 환자가 상체를 세우거나 하체를 높게 할 수 있도록, 베이스골조(220)에는 길이방향에 따라 매트를 받치는 플레이트(230)가 삼등분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중앙의 플레이트(230)를 기준으로 상부의 플레이트(230)와 하부의 플레이트(230)는 틸팅이 가능하다. 상부와 하부의 플레이트들(230)이 틸팅 가능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매트(10)의 가장자리를 위로 올리기 위한 구성들은 각 플레이트(230)에 따라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어느 한 플레이트에 구비된 구성들은 다른 플레이트에 구비된 구성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플레이트(230)의 틸팅에 있어서 매트의 가장자리를 위로 올리는 구성이 간섭하지 않는다.
한편 매트의 가장자리를 위로 올리는 구성의 작동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모터나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 경우에, 각 플레이트마다 동력부가 각기 구비되어 있으면서, 동력부의 작동은 제어부에서 동시에 제어신호가 전달됨으로써 함께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매트의 가장자리를 위로 올리는 구성은 일부의 플레이트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낙상 방지의 효과가 큰 중간 플레이트와 하부의 플레이트에만 설치되거나, 중간 플레이트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모든 플레이트(230)에 매트의 가장자리를 위로 올리는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침대프레임(도시 생략) 상부에는 매트(10)의 가장자리(11)를 받치는 가장자리지지대(20)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가장자리지지대(20)는 베이스골조에 장착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조절부(30)에 결합된다. 나아가 높낮이조절부(30)는 동력부(4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실시예에서 가장자리지지대(20)는 평상시에는 매트(10)를 평탄하게 받치는 플레이트(도 3 참고)와 사실상 같은 평면상에 머무르게 된다. 높낮이조절부(30)의 작동에 의해 가장자리지지대(20)는 플레이트(230)보다 높게 상승되고 매트(10)의 가장자리(11)를 올리게 된다.
높낮이조절부(30)는 가장자리지지대(20)의 하부로 연장되며 호형으로 휘어진 레크바(31), 상기 레크바(31)에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32) 그리고 침대프레임(200)에 고정되며 레크바(31)를 가이드하는 가이더(33)를 포함한다. 한편 동력부(40)는 피니언(3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장자리지지대(20)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41)이다.
여기서 구동모터(41)와 가이더(33)는, 도시를 생략한 침대프레임의 베이스골조에 고정된다.
레크바(31)는 호형으로 휘어져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가이더(33)도 휘어진 형상이다. 레크바(31)는 가이더(33)에 구속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는데, 휘어져 있어 정면에서 바라볼 때에(도 2 참고), 호형 궤적에 따라 승강하게 된다. 이로써
가장자리의 상승에 따른 매트(10)의 당김을 최소화하여, 매트의 신장에 수반되는 변형 저항 요소를 줄이고, U 자형으로 말리는 매트(10)의 형태를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특히 휘어진 레크바(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10)의 가장자리(11)를 높게 위로 올리는 경우, 높게 올라간 매트(10)의 가장자리(11)를 끝까지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만일 매트의 가장자리를 위로 올리는 높이를 낮게 하거나, 매트가 신축성이 충분한 경우 등에서 레크바와 가이더는 수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직선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구동모터(41)와 피니언(32)은 레크바(31)를 상승하강 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모터(41)와 피니언(32) 사이에는 감속기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41)의 작동은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높낮이조절부(30)와 동력부(40)를 구성하는 피니언(32), 레크바(31), 구동모터(41)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구동모터(41)와 피니언(32)은 실린더형 액추에이터와 같은 다양한 동력원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레크바(31)는 다관절 링크 등 다양한 승강 운동 기구로 대체될 수 있다.
가장자리지지대(20)는 매트(10)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평탄한 상태의 매트(10) 바닥과 접촉하는 상단의 평탄면(22)과, 상기 평탄면(22)에서 이어지며 가장자리(11)가 들려 경사진 매트(10)의 바닥을 지지하는 경사면(23)을 가진다. 평탄면(22)과 경사면(23)은 매트(10)의 위치에 따라 매트 바닥과 일정 면적 이상 접촉을 하도록 구성하여, 매트(10)의 찢어짐을 방지하고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한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매트(10)의 가장자리의 바닥에는 요홈(102)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지지대(20)는 이 요홈(102)에 삽입되는 파지돌출부(21)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들에서 매트(10)의 바닥에는 반구형 단면을 가지는 요홈(102)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지지대(20)의 평탄면에는 그에 대응하는 반구형 단면의 파지돌출부(21)가 구비되어 있다.
파지돌출부(21)가 요홈(102)에 삽입된 형태가 되므로, 매트(10)의 바닥으로부터 가장자리지지대(20)의 상면이 미끄러져 이탈하지 않게 된다. 잦은 승강 작동에도 불구하고 매트(10)의 위치가 안정되게 유지되고, 그로써 작동 신뢰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요홈과 파지돌출부를 생략하고, 매트의 바닥과 가장자리지지대의 상면에 벨크로 테이브 등 양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공지된 결합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제2 실시예와 관련된다.
매트(10)의 가장자리(11)를 올리는 다른 방식으로, 제2 실시예에서는 평탄한 매트(10)의 중앙부(12)를 아래로 하강시켜 매트(10)의 가장자리(11)를 상대적으로 높게 가변시킨다.
구체적으로 매트를 받치는 침대프레임에서 매트의 가장자리를 받치는 부분과, 매트의 중앙부를 받치는 부분(중앙지지대)을 서로 독립되게 제작한다.
매트(10)의 가장자리(11)는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매트(10)의 중앙부(12)를 지지하는 중앙지지대(34)가 하강함으로써 매트(10)가 U 자형으로 말린 형상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중앙지지대(34)의 하강은 액추에이터 등 공지된 승강 유닛(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중앙지지대와 승강 유닛은 높낮이 조절의 기능을 발휘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매트(10)의 가장자리(11) 바닥은 베이스골조(220)에 스프링(S)에 의해 고정된 갈고리부재(50)에 걸려있다. 스프링(S)은 휘어지면서 늘었다가 다시 복원되므로 중앙부(12)가 하강하면서 휘어진 매트(10)를 다시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매트(10)의 중앙부(12)가 하강하는 제2 실시예는, 환자의 자세를 모니터링하여 낙상을 예측하는 감시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즉 낙상이 예상될 정도로 침대의 가장자리로 환자가 이동한 경우, 중앙지지대(34)가 서서히 하강하여 매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비탈면(101)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환자가 비탈면을 타고 다시 매트(10)의 중앙부(12)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제3 실시예와 관련된다.
제3 실시예는 매트(10)의 중앙부(12)는 하강함과 동시에 매트의 가장자리(11)가 상승하여, 매트(10)를 U 자형으로 말아주는 것이다. 제3 실시예는 짧은 시간 내에 경사가 큰 비탈면(101)을 얻을 수 있어 신속한 작동이 가능하다. 또 중앙부(12)의 하강과 가장자리(11)의 상승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매트(10)의 굴곡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7에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매트(10)의 좌측과 우측 각각은 침대의 길이방향에 놓인 회전축(61)에 힌지결합되어 시소운동이 가능한 지지판(60)에 의해 좌우가 분할 지지되어 있다. 이대 지지판과 매트는 밸크로 테이프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지지판(60)이 회전축(61)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함으로써 매트(10)의 중앙부(12)는 하강하고, 동시에 가장자리(11)는 상승하게 된다.
지지판(60)의 신속하고 확실한 작동을 위하여 베이스골조(220)와 지지판(60) 사이에는 스프링(S)이 장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판의 하부에 이격되게 위치한 베이스골조(220)의 일부분과 지지판(60)에는 스프링이 늘어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판(60)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지지판(6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골조와 지지판 사이의 스프링을 대체하여 회전축에 코일 스프링을 장착할 수도 있다.
다시 도 7에서 스프링(S)의 타측에는 시건장치(62)가 구비된다. 시건장치(62)는 제어부(70)의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621)와, 솔레노이드(621)의 돌출트리거(622)에 걸리며 지지판에 고정되는 걸림쇠(623)를 포함한다. 제어부(70)가 솔레노이드(621)에 전원을 공급하면 돌출트리거(622)가 후퇴하면서 걸림쇠(623)와의 결속이 해제되고,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판(60)이 빠르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복원된다.
도시하지 아니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가장자리지지대와 제2 실시예의 중앙지지대를 함께 채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모터,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621)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는 모니터링 인원에 발하는 외부 신호에 의해 작동하거나, 낙상 위험 판단 수단을 갖추고 자체 감시 체계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10)에 구획 별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획별로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압력센서(80)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압력센서들(80)의 측정치로부터 환자의 위치를 산출하고, 이를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기준값과 대비하여 낙상 위험도를 계산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카메라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침대에 누운 환자의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매트에 대한 환자의 위치나 자세를 추적하여 낙상 위험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부는 환자가 매트의 어느 한 쪽 가장자리에 인접함을 인지하고, 동력부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할 수 있다. 나아가 매트를 가변시키기 전에 짧은 사전 경고음이나 사전 진동을 발생시켜 환자에게 미리 매트 가변에 대한 주의를 주어,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10 : 매트
11 : 가장자리 12 : 중앙부 101 : 비탈면 102 : 요홈
20 : 가장자리지지대
21 : 파지돌출부 22 : 평탄면 23 : 경사면
30 : 높낮이조절부
31 : 레크바 32 : 피니언 33 : 가이더 34 : 중앙지지대
40 : 동력부 41 : 구동모터
50 : 갈고리부재 S : 스프링
60 : 지지판 61 : 회전축
62 : 시건장치
621 : 솔레노이드 622 : 돌출트리거 623 : 걸림쇠
70 : 제어부 80 : 압력센서
200 : 침대프레임
210 : 판재 220 : 베이스골조 230 : 플레이트
P : 환자

Claims (8)

  1. 가장자리의 바닥에 반구형 단면을 갖는 요홈이 형성되는 매트;
    지상에 세워져서 상기 매트를 받치는 베이스골조를 구비하는 침대프레임;
    상기 베이스골조에 장착되어 상하로 높낮이 변화가 가능한 높낮이조절부;
    상기 높낮이조절부에 장착되어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를 받치는 가장자리지지대; 및
    상기 높낮이조절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상기 가장자리지지대의 하부로 연장되며 호형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레크바;
    상기 레크바에 연결되는 피니언; 및
    상기 레크바에 대응하도록 호형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골조에 설치되어 상기 레크바를 가이드하는 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가장자리지지대는,
    평편한 상태의 상기 매트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평탄면;
    상기 요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요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상기 평탄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파지돌출부; 및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가 상승할 때에 상기 매트의 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평탄면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장자리지지대가 상승하면서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가 상승할 때에,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는 상기 매트의 중앙부보다 높게 가변되어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매트의 중앙부를 향하여 내림 경사진 비탈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매트에 구획 별로 설치되어 상기 매트에 가해지는 하중 분포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치로부터 환자가 어느 한 쪽 가장자리에 인접함을 인지하고,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를 상승시키는 제어신호를 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
  8. 제7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발하기 전에 사전 경고음 또는 사전 진동을 발생시키는 의료용 침대.
KR1020140181332A 2014-12-16 2014-12-16 의료용 침대 KR101639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332A KR101639489B1 (ko) 2014-12-16 2014-12-16 의료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332A KR101639489B1 (ko) 2014-12-16 2014-12-16 의료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043A KR20160073043A (ko) 2016-06-24
KR101639489B1 true KR101639489B1 (ko) 2016-07-22

Family

ID=5634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332A KR101639489B1 (ko) 2014-12-16 2014-12-16 의료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6262B (zh) * 2016-12-13 2019-06-04 王佃云 一种内科护理用简易辅助翻身器
KR102368808B1 (ko) * 2020-01-02 2022-03-0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낙상 방지 침대
KR102481117B1 (ko) * 2020-11-17 2022-12-23 이상한 사용자 자세 기반 낙상 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255A (ja) 2001-07-23 2003-02-04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における落下予防装置
JP2006051212A (ja) * 2004-08-12 2006-02-23 Sanyo Electric Co Ltd 転落防止ベッド
KR100936472B1 (ko) 2009-09-08 2010-01-13 김지현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242B1 (ko) 2009-07-20 2011-12-22 (주)더난 압력패드를 이용한 낙상 환자 감시시스템
KR101317245B1 (ko) 2011-12-29 2013-10-15 주식회사 하이로닉 낙상방지를 위한 의료용 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255A (ja) 2001-07-23 2003-02-04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における落下予防装置
JP2006051212A (ja) * 2004-08-12 2006-02-23 Sanyo Electric Co Ltd 転落防止ベッド
KR100936472B1 (ko) 2009-09-08 2010-01-13 김지현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043A (ko) 2016-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4223B2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motion monitoring
US20200214599A1 (en) Exit detection system with compensation
US20210007919A1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exit detection systems
US10478359B2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acceleration detection
EP2583652B1 (en) Intelligent hospital bed
US6822571B2 (en) Patient movement detection system for a bed including a load cell mounting assembly
US20060085913A1 (en) Movable bed
KR101935232B1 (ko) 낙상 방지용 침대
JP6431733B2 (ja) 可動ベッドシステム
KR101639489B1 (ko) 의료용 침대
JP2018108356A (ja) 排尿バッグ用ロックアウト機能を有する患者支持装置
CN104582666B (zh) 利用侧面保护架的患者移送装置
KR101760616B1 (ko) 영유아 돌연사 방지용 침대 장치
KR20190100906A (ko) 병원 침대
JP6416984B1 (ja) 可動ベッドシステム
US20060253983A1 (en) Adjustable bed for patients
JP2004008466A (ja) 起伏機能を有するベッド等における転落防止装置
KR20220070151A (ko) 스마트 환자용 침대
JP3126229U (ja) ベッド
KR102519950B1 (ko) 의료용 침대
CN213518592U (zh) 一种患者离床监测***
ES2913630T3 (es) Barandilla para una cama, jaula guía para una barandilla y una cama con tal barandilla
JP4714819B2 (ja) 転倒防止機能を有する歩行訓練装置
JP5984580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の寝台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719694B2 (ja) 起床式ベ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