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557B1 - Fire Detector - Google Patents

Fire De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557B1
KR101638557B1 KR1020140164283A KR20140164283A KR101638557B1 KR 101638557 B1 KR101638557 B1 KR 101638557B1 KR 1020140164283 A KR1020140164283 A KR 1020140164283A KR 20140164283 A KR20140164283 A KR 20140164283A KR 101638557 B1 KR101638557 B1 KR 101638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pace
operating
main body
gui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2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1662A (en
Inventor
김진한
Original Assignee
김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한 filed Critical 김진한
Priority to KR102014016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557B1/en
Publication of KR20160061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6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으며, 상기 작동공간을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으로 분할하도록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부공간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기어부와, 상기 회전기어부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연동기어와, 상기 연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작동기어부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와, 상기 연동기어가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격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원발생부와, 상기 전원발생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무선 송신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기어부는 상기 연동기어와 치합되는 작동기어와, 상기 작동기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단부가 상기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발생부는 감싸면서 배치되며, 내주연에 자성체부가 마련된 회전캡으로 이루어져, 전원 공급과 신호 전송을 위한 배선 최소화로 시간 및 비용 절감되고, 기존 및 신축 건물 설치시 간단한 화재 감시 시설의 구축이 가능하며, 기존의 화재 감시 센서 및 고가의 화상 카메라, 불꽃 감지기를 대체할 수 있는 있으며, 화재, 지진, 붕괴, 압력 변화 등을 감지하여 재난 및 안전을 미리 경보조치 할 수 있는 부분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or having a self-generat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detector having a self-generat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a fire detector having a housing main body having a partition wall formed therein for dividing the operating space into a lower space and an upper space, A coil spring disposed in the lower space, a rotating gear portion rotated by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an interlocking gear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ng gear portion, and an actuator portion rotated by engaging with the interlocking gea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interlocking gear, a power generation unit installed on the partition,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driven by the power generation unit, Wherein the operating gear portion includes an operating gear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gear, And a rotary cap having an upper end formed in the upper space and an upper end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rotary shaft to surround the power generating unit and having a magnetic body at its inner periphery,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imple fire monitoring facility when installing existing and new buildings, and it can replace existing fire monitoring sensor, expensive image camera and flame detector, Collapse, pressure change, etc., and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ly in areas where disaster and safety can be alerted in advance.

Description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 Fire Detector }Fire Detector with Self-Generating Function

본 발명은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과 신호 전송을 위한 배선 최소화로 시간 및 비용 절감되고, 기존 및 신축 건물 설치시 간단한 화재 감시 시설의 구축이 가능하며, 기존의 화재 감시 센서 및 고가의 화상 카메라, 불꽃 감지기를 대체할 수 있는 있으며, 화재, 지진, 붕괴, 압력 변화 등을 감지하여 재난 및 안전을 미리 경보조치 할 수 있는 부분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or having a self-generat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detector that can save time and money by minimizing wiring for power supply and signal transmission, It can replace existing fire detection sensors, expensive image cameras and flame detectors. It can detect fire, earthquake, collapse, pressure change, etc., To a fire detector having a function.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등에는 화재 예방을 위한 장치나 화재 발생시 진화를 하기 위한 장비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In general, buildings and apartments are equipped with fire prevention equipment and equipment to evolve in case of fire.

기존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감지 센서부에 전원을 상시 공급하고 있으므로 베터리를 사용하여 온도를 감지하는 방식인바, 배선상의 단선이나 누전에 따라 전원공급이 차단되거나 배터리 내장형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터리의 방전 문제가 발생한다. 그로인해 실제 화재등의 재난 상황이 일어났을 경우 제때에 동작을 하지 못 경우가 많다.Since existing fire detection system always supplies power to the sensor part, it detects the temperature by using the battery. In case of disconnection on the wiring or short circuit, the power supply is cut off. In case of built-in battery, Discharge problem occurs. Therefore, in case of a disaster such as a real fire, it is often impossible to operate in a timely manner.

이러한 화재 예방을 위한 장치 중에는 화재의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기와,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발생을 알리는 경보와 함께 소화전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하여 화재경보등이 소화전의 상부에 설치된다.Among these devices for preventing fire are a fire detector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a fire alarm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fire hydrant together with an alarm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 fire when a fire occurs.

화재 감지기는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 10-2000-0066616 호 에서와 같이 광원, 측정챔버 및 광 수용기, 온도 센서 및 전자 평가기를 가지는 광모듈로 구성되어, 화제 발생시 온도 센서가 가열된 온도를 감지하여 측정챔버 및 전자 평가기로 그 정보를 전송하여 광모듈을 통해 그 신호를 외부에 알리게 된다.The fire detector is composed of an optical module having a light source, a measurement chamber and an optical receiver, a temperature sensor and an electronic evaluator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66616,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evaluator to inform the outside through the optical module.

최근에는 화제신호를 음향으로 알리거나 중앙관제센터에 유선신호를 전송하여 알려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Recently, a topic signal is sounded or a wired signal is transmitted to a central control center so that prompt action can be taken.

그러나, 종래의 화재 감지기는 화제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화제 신호를 전달받는 측정캠버 및 전자 평가기가 매선된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화재 감지기의 설치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화재 감지기의 위치변경이 어려우며 유지보수비용이 과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fire det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subject, the measurement camber receiving the topic signal, and the electric wire to which the electronic evaluator is connected,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fire detector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detector and an excessive maintenance cost is incurred.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mentioned invention means the background art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배선 사용시의 단선이나 누전 및 정전등의 문제점과 시간에 흐름에 따른 배터리 방전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무전원 상태에서 화제를 감지하여 자가 발전되는 전원으로 화제신호를 무선송출할 수 있어, 누전 및 정전 시에도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고 배터리의 교체가 필요 없으며 신호체계가 무선화되어 거리의 제한 없이 화제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power source in case of electric leakage or power outage, it does not need battery replacement, and the signal system is wirelessized, so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topic signal can be performed without limitation of distance. And to provide a fire detector having self-generating function that is enabled.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으며, 상기 작동공간을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으로 분할하도록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부공간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기어부와, 상기 회전기어부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연동기어와, 상기 연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작동기어부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와, 상기 연동기어가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격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원발생부와, 상기 전원발생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무선 송신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기어부는 상기 연동기어와 치합되는 작동기어와, 상기 작동기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단부가 상기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발생부는 감싸면서 배치되며, 내주연에 자성체부가 마련된 회전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housing main body having a partition wall formed therein for dividing the working space into a lower space and an upper space, an upper portion of which is opened, an operating space therein, a coil spring disposed in the lower space,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including a rotating gear portion rotated by elasticity, an interlocking gear rotated by being meshed with the rotary gear portion, and an actuator portion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gear, a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rotation of the interlocking gear, A power transmission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driven by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a lid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A gear, and an upper gear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gear, Is formed in the shaft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shaft is disposed to surround said power generating portion,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a rotating magnetic body cap portion provided in an inner periphery.

또한, 상기 전원발생부는 상기 격벽의 상부에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체결돌부와, 상기 체결돌부들을 연결하며 권취되는 코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단부가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안내축과, 상기 안내축의 하부를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측 저면에 고정시키는 열감지부와, 상기 안내축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체결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연동기어와 치압되는 제어기어와, 상기 격벽의 하부에 상단부가 지지되게 상기 체결공간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neck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a head formed on the neck,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ad, and a coil wound around the fastening protrusions. The control unit includes a guide shaft having an upper end penetrating the partition wall, a heat sensing unit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to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and a fastening space formed inside the guide shaft, A control gear to be press-fitted with the interlocking gear, and an elastic spring disposed in the coupling space in such a manner that an upper end is support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외장 안테나가 체결되도록 상기 전원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장 안테나 소켓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body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antenna socke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unit so that the external antenna is coupled to the housing body.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삼각뿔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안내축의 하부가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축을 고정시키는 열감지부가 배치되며, 상기 안내축의 하부에는 환형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에는 작동밴드가 체결되되, 상기 작동밴드의 하단부에는 작동링이 더 체결되며 상기 작동링의 상단부는 상기 열감지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riangular-pyramidal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housing main body,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and a heat-sensing portion for fixing the guide shaft is disposed. An annular support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The operating ring is further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band, and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ing is disposed inside the heat-sensing part.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 및 제어기어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롤러베어링이 더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하부에 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지지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베어링의 관통홀에는 상기 열감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열감지부에는 상기 안내축의 하부가 배치되어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베어링이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가압볼트가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roller bearing is further provided in the housing main body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spring and the control gear, and a seating groove is further formed in the housing main body, a supporting bearing is disposed in the seating groove, A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shaft is fixed to the heat sensing part, and the press bolt is further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main body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support bearing.

본 발명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는 전원 공급과 신호 전송을 위한 배선 최소화로 시간 및 비용 절감되고, 기존 및 신축 건물 설치시 간단한 화재 감시 시설의 구축이 가능하며, 기존의 화재 감시 센서 및 고가의 화상 카메라, 불꽃 감지기를 대체할 수 있는 있으며, 화재, 지진, 붕괴, 압력 변화 등을 감지하여 재난 및 안전을 미리 경보조치 할 수 있는 부분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fire detector having self-genera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aves time and cost by minimizing the wiring for power supply and signal transmission, an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imple fire monitoring facility when installing existing and new buildings, It is possible to substitute for the image camera and flame detector, and it can be used variously in the part where fire, earthquake, collapse, pressure change, etc. can be detected and disaster and safety can be alerted in advance.

또한, 누전 및 정전 시에도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고 배터리의 교체가 필요 없으며 신호체계가 무선화되어 거리의 제한 없이 화제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even in case of a short circuit or a power failure, and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battery, and the signal system is wirelessized, so that the topic signal can be transmitted without any dist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평면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e detector having a self-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fire detector having a self-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e detector having a self-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re detector having a self-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fire detector having a self-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fire detector having a self-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an exampl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평면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e detector having a self-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fire detector having a self-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re detector having a self-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fire detector having a self-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10)(이하 설명의 편의상 화재 감지기라 명명함)는 화재 발생시 열을 감지한 후 자가 발전하여 화재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화재 감지기(10)는 하우징본체(20)와 동력전달부(30)와 제어부(40)와 전원발생부(50)와 무선 송신부(60)와 덮개(7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e detector 10 having a self-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e detecto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tects heat when a fire occurs and self- The fire detector 10 includes a housing main body 20, a power transmission unit 30, a control unit 40, a power generation unit 50,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60, and a cover 70.

상기 하우징 본체(2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작동공간(21)을 갖으며, 상기 작동공간(21)을 하부공간(22)과 상부공간(23)으로 분할하도록 내부에 격벽(24)이 내면에 접착 또는 융착되어 고정된다.The housing main body 2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and has an upper open portion and an operating space 21 therein and divides the operating space 21 into a lower space 22 and an upper space 23 The partition wall 24 is adhered or fused to the inner surface to be fixed.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20)에는 외장 안테나가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발(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장 안테나 소켓(23)이 더 설치되며, 상기 안테나 소켓(25)은 상기 무선 송신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소켓(25)에 전원이 공급됨과 아울러 상기 무선 송신부(60)에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외장 안테나를 통해 화재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3, an external antenna socket 2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foot 30 is further installed on the housing main body 20 so that the external antenna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main body 20. The antenna socket 2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60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antenna socket 25.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60, a fir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external antenna.

상기 동력전달부(30)는 상기 하부공간(22)에 배치되는 압축된 코일스프링(31)과, 회전기어(321)와 외면에 걸림홈(322a)이 형성된 축(3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기어부(32)와, 상기 회전기어부(32)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연동기어(33)와, 상기 연동기어(33)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작동기어부(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동기어(33)는 하부기어(331)와 상부기어(33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기어(331)는 상기 회전기어부(32)의 회전기어(321)와 치합되고 상기 상부기어(332)는 상기 작동기어부(34)와 치합된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30 includes a coil spring 31 disposed in the lower space 22 and a shaft 322 having a rotation gear 321 and an engagement groove 322a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 interlocking gear 33 that is rotated by engaging with the rotary body 32 and an actuator female part 34 which is rotated by engaging with the interlocking gear 33, The interlocking gear 33 is composed of a lower gear 331 and an upper gear 332. The lower gear 331 is meshed with a rotary gear 321 of the rotary gear 32, The gear 332 is engaged with the actuator unit 34. [

이때, 상기 작동기어부(34)는 상기 연동기어(33)와 치합되는 작동기어(341)와, 상기 작동기어(34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단부가 상기 상부공간(23)에 배치되고 회전축(342)과 상기 회전축(342)의 상부에 접착 또는 융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전원발생부(50)를 감싸면서 배치되며, 외벽의 내주연에 자성체부(343a)가 마련된 회전캡(343)으로 이루어진다.
The actuator unit 34 includes an actuating gear 341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gear 33 and an actuating gear 341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ctuating gear 341. An upper end of the actuating gear 341 passes through the partition wall, A rotation cap 343a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wall of the rotary cap 342 and having a magnetic body portion 343a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wall 344 and fixed to the rotation shaft 34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342, 343).

상기 자성체부(343a)는 상기 회전캡(343)의 내주연에 접착 또는 융착되는 다수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회전캡(343)의 회전에 의해 후술될 전원발생부의 코일에서 전기가 발생되도록 음극을 나타내는 자성체와 양극을 나타내는 자성체가 순차적으로 교차되게 상기 회전캡(343)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일을 감싸면서 회전되어 전기가 발생되는 구조이면 회전캡(343)에 고정되는 자성체의 배치는 어떤 형태의 배치구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The magnetic body portion 343a is formed of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bonded or fus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otary cap 343. Preferably, the rotation of the rotary cap 343 causes electricity in the coil of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ix the magnetic body to the rotating cap 343 such that the magnetic body representing the cathode and the magnetic body representing the anode are sequentially crossed to each other. Arrangements may be made using any type of arrangement.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된 코일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해 순차적으로 회전기어(321), 연동기어(33) 및 작동기어(341)가 회전되면서 회전캡(343)이 회전되어, 회전캡(343)에 설치된 자성체부(343a)가 후술될 전원발생부(50)의 코일을 감싸면서 회전되어 코일에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되고, 발생된 전기로 무선송신부(6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The rotation gear 321, the interlocking gear 33 and the actuating gear 341 are sequentially rotated by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31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rotation cap 343 is rotated, The magnetic body portion 343a provided in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portion 50 rotates while wrapping the coil of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50 to be described later to generate electricity in the coil and supplies power to the generated electric power wireless transmitting portion 60. [

이러한, 코일스프링(31)은 회전되어 압축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억지끼움된 후 고정되거나 융착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축(322)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홈(322a)에 걸림,고정되어, 상기 축이 회전되도록 상기 걸림홈(322a)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홈(322a)을 도 2에서와 같이 축(322)의 중앙이 아닌 외측(측부)에 형성되어 코일스프링(31)이 걸림홈(322a)을 가압시 축(322)이 회전된다.One end of the coil spring 31 is fixedly or welded and fixed 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20 in a compressed state while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322 And is pressed against the engaging groove 322a so that the shaft is rotated. 2, when the coil spring 31 presses the engagement groove 322a, the shaft 322 is rotated (as shown in FIG. 2), not on the center of the shaft 322 .

또한, 상기 회전기어(321)와 상기 연동기어(33) 및 상기 작동기어(341)는 상기 격벽(24)에 마련되는 홈들에 체결된 베어링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회전기어(321)에 체결되는 축(322)은 상기 격벽(24)과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측저면을 연결하며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내측저면에는 상기 회전기어(321)에 체결된 축 하부(322)가 체결되도록 베어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tation gear 321, the interlocking gear 33 and the actuating gear 341 are axially coupled to bearings fastened to the grooves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24 and are rotated by the rotation gear 321 The shaft 322 is coupled to the partition wall 24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20 and is disposed at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20, 322 are fastened.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연동기어(33)가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어부(40)는 상단부가 상기 격벽(24)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안내축(41)과, 상기 안내축(41)의 하부를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내측 저면에 고정시키는 열감지부(42)와, 상기 안내축(41)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체결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연동기어(33)를 고정시키도록 연동기어(33)와 치합되는 일단이 막힌 관구조의 제어기어(43)와, 상기 격벽(24)의 하부에 상단부가 지지되게 상기 체결공간에 배치되는 압축된 탄성스프링(4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기어(43)의 하부는 관통한 안내축에 융착 또는 접착되어 고정된다.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interlock gear 33. The control unit 40 includes a guide shaft 41 whose upper end passes through the partition wall 24, And a fastening space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guide shaft 41 to fasten the interlocking gear 33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20, And a compressed elastic spring 44 disposed in the coupling space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ion gear 43 is suppor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24. The control gear 43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gear 33,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rol gear 43 is fixed to the guide shaft through which it is welded or bonded.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20)에는 상기 열감지부(42)가 녹게되면 상기 탄성스프링(4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안내축(41)의 하단부가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르게는 안내축(41)의 하단부가 인입되도록 하우징 본체(20)의 내측저면에 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안내축(41)이 관통하여 하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연동기어에서 분리되는 제어기어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절곡된 패널구조의 지지대를 하우징 본체에 더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When the heat sensing part 42 is melted in the housing main body 20, the through hole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shaft 41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main body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44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groove i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2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shaft 41 is drawn in. In addition, the guide shaft 41 penetrates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ody of the panel structure bent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e control gear is further provided in the housing main body.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20)에는 상기 열감지부(42) 및 안내축(41)의 하부가 배치되도록 저면에 홈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main body 20 is formed with a groove on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heat sensing part 42 and the guide shaft 41 are disposed.

여기서, 상기 열감지부(42)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납,주석,카드뮴이 사용되며, 뉴턴합금이나 우드메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열기에 의해 녹는 재질의 것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Here, the heat sensing part 42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generally, lead, tin, and cadmium are used, and a Newton alloy or wood metal can be used, and any material that melts by heat can be used .

즉, 화재가 발생하는 그 열기에 의해 열감지부(42)가 녹게 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해 순차적으로 회전기어(341) 및 연동기어(33)가 회전되면서 제어기어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탄성스프링(4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어기어(43)과 안내축(41)이 함께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연동기어와 제어기어가 분리된다.That is, as the heat sensing portion 42 is mel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e, the rotation gear 341 and the interlocking gear 33 are sequentially rotated by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31 to rotate the control gear The control gear 43 and the guide shaft 41 are moved downward together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44, so that the interlocking gear and the control gear are separated.

이후, 연동기어(33)와 치합된 작동기어(341)와 회전캡(343)이 회전하면서 자성체부가 후술될 코일(54)을 감싸면서 회전되어 발생되는 전기가 무선송신부로 전달되어 화제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Thereafter, the operating gear 341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gear 33 and the rotary cap 343 rotate, and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by rotating the magnetic body while surrounding the coil 54 to be described later is transmitted to the radio transmitting unit, .

상기 전원발생부(50)는 상기 격벽(24)의 상부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캡(343)와 함께 회전하는 자성체부(343a)에 의해 전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전원 발생부(50)는 상기 격벽(24)의 상부에 형성되는 목부(51)와, 상기 목부(51)의 상부에 형성되는 헤드(52)와, 상기 헤드(52)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돌부(53)와, 상기 체결돌부(53)들에 권취됨과 아울러 상기 체결돌부들을 연결하는 코일(54)로 이루어진다.
The power generating unit 50 is dispos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partition wall 24 so as to generate electricity by a magnetic body 343a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on cap 343, The head 50 includes a neck portion 5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24, a head 52 formed on the neck portion 51, and a plurality of A fastening protrusion 53 and a coil 54 wound around the fastening protrusions 53 and connecting the fastening protrusions.

상기 무선 송신부(60)는 상기 전원발생부(50)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무선송신부(60)는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격벽(24)의 설치홈에 끼움되어 접착 또는 융착고정되고 상기 전기발생부(50)의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기발생부(50)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화제신호를 중앙제어장치에 송출하여, 화재발생 상황을 알리게 된다.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60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50.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6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partition wall 24 of the housing main body 2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of the electricity generating part 50.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by the electricity generating part 50 is supplied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by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342, , And notifies the occurrence of the fire.

상기 덮개(70)는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며 나사 체결된다.
The lid 70 closes the open top of the housing body 20 and is screwe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하부에는 삼각뿔 형상의 관통공(2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6)에는 상기 안내축(41)의 하부가 관통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축(41)을 고정시키는 열감지부(42)가 배치되며, 상기 안내축의 하부에는 환형의 지지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411)에는 작동밴드(412)가 체결되되, 상기 작동밴드(412)의 하단부에는 작동링(413)이 더 체결되며 상기 작동링(413)의 상단부는 상기 열감지부(42)의 내부에 배치되어, 화제시 사용자가 작동링(413)을 잡아당기거나 회전시켜 열감지부(42)를 관통공(26) 하부로 분리시킴과 아울러 잡아당겨 제어기어(43)를 연동기어(33)에서 분리시킴으로서, 화제발생시 열감지부(42)가 녹기전에 화제신호를 신속하게 송신할 수 있게 된다.
5, a triangular-pyramidal through-hole 26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20, and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41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26, An annular support groove 41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and an operation band 412 is fastened to the support groove 411. The operation band 412 is engaged with the operation shaft 411, The operation ring 413 is further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band 412 and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ring 413 is disposed inside the heat sensing portion 42 so that the user can pull the operation ring 413 And the control gear 43 is separated from the interlocking gear 33 by separating the heat sensing portion 42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6 and pulling the heat sensing portion 42 to pull out the topic gear signal before the heat sensing portion 42 melts And the like.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20)에는 상기 탄성스프링(44)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롤러베어링(80)이 더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20)에는 내측하부에 안착홈(27)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7)에는 지지베어링(90)이 억지끼움 또는 융착고정되고, 상기 지지베어링(90)의 관통홀(91)에는 상기 열감지부(42)가 배치되고, 상기 열감지부(42)에는 상기 안내축(41)의 하부가 배치되어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베어링(90)이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가압볼트(28)가 더 체결되어, 열감지부(42)가 녹는 과정에서 안내축(41)이 걸림되거나 열감지부(42)가 부분적으로 녹아 안내축(41)이 하향으로 이동되지 못할경우 사용자가 상기 가압볼트(28)를 회전(가압을 해지)시키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31)의 탄성에 따른 상기 연동기어(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어기어(43), 상기 안내축(41) 및 탄성스프링(44)이 회전되는데 상기 롤러베어링(80)과 상기 지지베어링(90)에 의해 상기 열감지부(42)도 녹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안내축(41)과 함께 걸림없이 원활히 회전되면서 순차적으로 회전캡(343)이 회전되어 발생된 전원으로 화제신호를 송출할 수 있게 된다.A roller bearing 80 is further provided on the housing main body 20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spring 44. A seating groove 27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20, The support bearing 90 is forcedly or fused to the seating groove 27 and the heat sensing portion 42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91 of the support bearing 90. The heat sensing portion 42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41 is fixed and the pressing bolt 28 is further tightene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support bearing 9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20, If the user pushes the pressing bolt 28 by rotating the guide bolt 28 when the guide shaft 41 is caught in the melting process or the guide shaft 41 is not moved downward due to the partial melting of the heat sensing part 42, By the rotation of the interlocking gear 33 according to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31, The gear 43, the guide shaft 41 and the elastic spring 44 are rotated so that the guide shaft 41 and the elastic spring 44 are rotated by the roller bearing 80 and the support bearing 90, 41, the rotating cap 343 is sequentially rotated, and the topic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generated power source.

상기 가압볼트(28)는 상기 지지베어링(90) 또는 열감지부(42)는 가압하여 지지베어링(90)이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지지베어링(90) 또는 열감지부(42)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가압볼트(28)의 상단부를 상기 홈에 끼워 걸림되게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롤러베어링(80)은 스러스터 롤러베어링이다.
The pressing bolt 28 presses the support bearing 90 or the heat sensing part 42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support bearing 90. When the support bearing 90 or the heat sensing part 42 is provided with a groov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bolt 28 can be fitted and fixed in the groove. The roller bearing 80 is a thrust roller bearing.

10 : 화재 감지기 20 : 하우징본체
30 : 동력전달부 40 : 제어부
50 : 전원발생부 60 : 무선 송신부
70 : 덮개 80 : 롤러베어링
90 : 지지베어링
21 : 작동공간 22 : 하부공간
23 : 상부공간 24 : 격벽
25 : 안테나 소켓 26 : 관통공
27 : 안착홈 28 : 가압볼트
31 : 코일스프링 32 : 회전기어부
321 : 회전기어 322 : 축
322a : 걸림홈 33 : 연동기어
331 : 하부기어 332 : 상부기어
34 : 작동기어부 341 : 작동기어
342 : 회전축 343 : 회전캡
343a : 자성체부
41 : 안내축 411 : 지지홈
412 : 작동밴드 413 : 작동링
42 : 열감지부
43 : 제어기어 44 : 탄성스프링
51 : 목부 52 : 헤드
53 : 체결돌부 54 : 코일
10: fire detector 20: housing body
30: Power transmission unit 40:
50: power generation unit 60: radio transmission unit
70: cover 80: roller bearing
90: Support bearing
21: operating space 22: lower space
23: upper space 24: partition wall
25: antenna socket 26: through hole
27: seat groove 28: pressing bolt
31: coil spring 32:
321: rotary gear 322:
322a: engagement groove 33: interlocking gear
331: Lower gear 332: Upper gear
34: actuator actuator 341: actuating gear
342: rotating shaft 343: rotating cap
343a:
41: guide shaft 411: support groove
412: operating band 413: operating ring
42:
43: Control gear 44: Elastic spring
51: neck 52: head
53: fastening protrusion 54: coil

Claims (5)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으며, 상기 작동공간을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으로 분할하도록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본체;
상기 하부공간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기어부와, 상기 회전기어부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연동기어와, 상기 연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작동기어부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
상기 연동기어가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격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원발생부;
상기 전원발생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기어부는 상기 연동기어와 치합되는 작동기어와, 상기 작동기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단부가 상기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발생부는 감싸면서 배치되며, 내주연에 자성체부가 마련된 회전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A housing body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n operating space inside, and having a partition wall formed therein to divide the operating space into a lower space and an upper space;
A coil spring disposed in the lower space, a rotary shaft rotatable by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an interlocking gear rotatably engaged with the rotary shaft, and an actuator unit rotatably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gear,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interlocking gear;
A power generating unit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And a lid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Wherein the operating gear portion includes an operating gear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gear, a rotating shaft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gear, an upper portion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and disposed in the upper space, And a rotating cap provided with a magnetic body portion on an inner circumference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부는 상기 격벽의 상부에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체결돌부와, 상기 체결돌부들을 연결하며 권취되는 코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단부가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안내축과, 상기 안내축의 하부를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측 저면에 고정시키는 열감지부와, 상기 안내축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체결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연동기어와 치압되는 제어기어와, 상기 격벽의 하부에 상단부가 지지되게 상기 체결공간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generating unit includes a neck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a head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neck,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ad, and a coil wound around the fastening protrusions ,
The control unit includes a guide shaft having an upper end penetrating the partition wall, a heat sensing unit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to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a fastening space formed in the guide shaft, A control gear to be geared to the gear, and an elastic spring disposed in the coupling space such th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ontrol spring is suppor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외장 안테나가 체결되도록 상기 전원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장 안테나 소켓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xternal antenna socke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unit so that the external antenna is coupled to the housing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삼각뿔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안내축의 하부가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축을 고정시키는 열감지부가 배치되며, 상기 안내축의 하부에는 환형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에는 작동밴드가 체결되되, 상기 작동밴드의 하단부에는 작동링이 더 체결되며 상기 작동링의 상단부는 상기 열감지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using main body is formed with a triangular-pyramidal through-hole,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and a heat-sensing portion for fixing the guide shaft is disposed. An annular support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Wherein an operating band is fastened to the groove, an operating ring is further fastened to a lower end of the operating band, and an upper end of the operating ring is disposed inside the hot-sensing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 및 제어기어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롤러베어링이 더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하부에 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지지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베어링의 관통홀에는 상기 열감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열감지부에는 상기 안내축의 하부가 배치되어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베어링이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가압볼트가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using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roller bearing for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spring and the control gear. The housing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seating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supporting bearing disposed at the seating groove,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guide shaft is fixed to the heat sensing part and the press bolt is further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main body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support bearing. Lt; / RTI >

KR1020140164283A 2014-11-24 2014-11-24 Fire Detector KR101638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283A KR101638557B1 (en) 2014-11-24 2014-11-24 Fire De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283A KR101638557B1 (en) 2014-11-24 2014-11-24 Fire Det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662A KR20160061662A (en) 2016-06-01
KR101638557B1 true KR101638557B1 (en) 2016-07-11

Family

ID=5613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283A KR101638557B1 (en) 2014-11-24 2014-11-24 Fire De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5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784B1 (en) * 2019-11-28 2020-12-07 삼우산기 주식회사 Self-powered apparatus for glass bulb operation, operating method and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glass bulb for the same
KR102152447B1 (en) * 2020-02-03 2020-09-04 엠피아주식회사 Self-powered constant temperature detector of transceiver system
KR102203287B1 (en) * 2020-06-24 2021-01-14 엠피아주식회사 Wireless constant temperature sensor type self-powered glass bulb
KR102203286B1 (en) * 2020-06-24 2021-01-14 엠피아주식회사 Self-powered gas valve wireless remote open/close monitoring system
KR102432077B1 (en) * 2020-11-17 2022-08-1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re Det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930A (en) * 2004-03-30 2005-10-13 Nohmi Bosai Ltd Fire detector with neither battery nor wiring
JP2006268546A (en) * 2005-03-24 2006-10-05 Nohmi Bosai Ltd Fire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655B1 (en) * 2002-05-15 2004-10-08 이호준 A Fire Detecting Device Including Reserve Battery
KR20110023327A (en) * 2009-08-31 2011-03-08 김문수 Standalone Auto Smoke Alar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930A (en) * 2004-03-30 2005-10-13 Nohmi Bosai Ltd Fire detector with neither battery nor wiring
JP2006268546A (en) * 2005-03-24 2006-10-05 Nohmi Bosai Ltd Fir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662A (en)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557B1 (en) Fire Detector
JP5483771B2 (en) Fire extinguisher
JP2015005312A (en) Disaster preventing terminal device
KR101774195B1 (en)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IoT
KR101439267B1 (en) Unmanned fire control apparatus of realtime smart type
KR102152447B1 (en) Self-powered constant temperature detector of transceiver system
JP6890054B2 (en) Fire extinguisher guidance system, fire alarm adapter and fire extinguisher adapter
JP2015191562A (en) Fire-alarm device
JP5536512B2 (en) Multi-function operation device and alarm
KR101667565B1 (en) Fire Detector
JP6771357B2 (en) Charger for fire detector and operation tester for fire detector with charging function
KR102203286B1 (en) Self-powered gas valve wireless remote open/close monitoring system
CN212433916U (en) Electric fire hazard prevention warning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cable shaft
US10596400B2 (en) Stovetop fire extinguisher mounting device and method
JP5844841B2 (en) Alarm
US9636529B1 (en) Stovetop fire suppressor mounting device and method
JP2013192308A (en) Overheat detection system
KR101482179B1 (en) Fire detector
JP2013120522A (en) Alarm
JP6055216B2 (en) Notification broadcast receiver
KR101495773B1 (en) Self-drive type generator with dissolved substances leak detection device
KR100594935B1 (en) A apparatus for sensing flowing water having a signal
JP6296388B2 (en) Communication device, distribution board using the same, and management system
CN207558153U (en) A kind of protected against explosion fire-disaster monitoring device for oil depot
KR101991506B1 (en) Valve gearbox with alarm function add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