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323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323B1
KR101637323B1 KR1020150005881A KR20150005881A KR101637323B1 KR 101637323 B1 KR101637323 B1 KR 101637323B1 KR 1020150005881 A KR1020150005881 A KR 1020150005881A KR 20150005881 A KR20150005881 A KR 20150005881A KR 101637323 B1 KR101637323 B1 KR 10163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unit
radio
isd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경
김승환
윤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05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을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에 맵핑된 다수의 무선 유닛(radio unit)들에 대하여 무선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무선 채널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간의 ISD(inter site distance)를 모델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델링에 의해 획득된 ISD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Method and Apparatus of configuring antenna ports of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을 설정하거나 재설정하는 방법에 관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통신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eNode B; 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CDMA를 기반으로 LTE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유닛들이 맵핑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을 효율적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재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을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에 맵핑된 다수의 무선 유닛(radio unit)들에 대하여 무선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무선 채널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간의 ISD(inter site distance)를 모델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델링에 의해 획득된 ISD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라서 상술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을 설정하는 장치는, 상기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에 맵핑된 다수의 무선 유닛(radio unit)들에 대하여 획득된 무선 채널 측정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획득된 무선 채널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간의 ISD(inter site distance)를 모델링하고, 상기 모델링에 의해 획득된 ISD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디지털 신호를 기저 대역 프로세싱(baseband processing)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를 다수의 안테나 포트들을 통해 송수신하는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상기 디지털 유닛의 안테나 포트들에 맵핑되고, 상기 안테나 포트들과 송수신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 또는 역변환하고, 상기 RF 신호를 단말과 송수신하는 다수의 무선 유닛(radio unit)들; 및 상기 무선 유닛들에 대하여 획득된 무선 채널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간의 ISD(inter site distance)를 모델링하고, 상기 모델링에 의해 획득된 ISD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테나 설정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가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2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와 불연속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 및 제2 무선 유닛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또는 상향링크 CoMP(Coordinated Multi-point)가 수행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무선 유닛 및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2 무선 유닛의 물리적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 간의 물리적인 이격 거리를 나타내는 제1 ISD를 산출하고, 상기 ISD 모델에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입력하여 제2 ISD를 산출하고, 상기 제1 ISD와 상기 제2 ISD를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ISD 모델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을 통해서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또는 CoMP (Coordinated Multi-Point) 동작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무선 채널 품질의 기준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 간에 산출된 상기 제1 ISD가 상기 제2 ISD 이하면,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유지하고, 상기 제2 ISD는,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을 통해서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또는 CoMP (Coordinated Multi-Point)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 간의 이격 거리의 임계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에 단말의 핸드오버 빈도가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에 단말의 핸드오버 빈도가 상기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은 각각 주파수가 상이한 캐리어(carrier)들에서 셀(cell)들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의 이웃 기지국들 중에서 상기 제1 무선 유닛이 맵핑될 제1 이웃 기지국이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무선 유닛이 맵핑될 상기 제1 이웃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유닛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들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선택된 빈도가 가장 높은 이웃 기지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유닛들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동작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유닛들 간의 ISD(inter site distance)를 모델링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채널 측정값들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측정값들을 선택하고,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2 무선 유닛간의 물리적 이격 거리와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과의 관계식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관계식은,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의 통계적 분석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관계식은,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하고,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에 기초한 상관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과 상기 물리적 이격거리에 대한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여 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채널 측정값들은 상기 무선 유닛들이 동작하는 캐리어(carrier) 주파수, 상기 무선 유닛들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사용율, 상기 무선 유닛들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들의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쓰루풋(Throughput),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RI(rank indicator) 및 PMI(precoding matrix inde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식별자,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위도 및 경도,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의 핸드오버 빈도 및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이 핸드오버를 한 빈도가 가장 높은 이웃 기지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과 무선 유닛들의 맵핑을 설정 또는 재설정함으로써 안테나 포트들을 최적화하고, 무선 유닛들의 커버리지의 음영이나 불연속을 해소하고, 반송파 병합 또는 CoMP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른 기술적 효과들이 유추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환경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를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ISD 를 모델링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를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유닛의 안테나 포트 맵핑을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된 예들이다.
본 명세서는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정의에 해당되는 어떤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FDD 방식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H-FDD 방식 또는 TDD 방식에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기지국의 명칭은 RRH(remote radio head), eNB, TP(transmission point), RP(reception point), 중계기(relay)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Protocol Stack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재설정)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ed)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상태(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휴지 상태(Idle Mode)에 있게 된다.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eNB)을 구성하는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Physical layer procedure
도 3은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은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301).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 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02).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03 내지 단계 S306).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전송하고(S303 및 S305),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04 및 S306). 경쟁 기반 RACH의 경우, 추가적으로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S307)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S308)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PDCCH를 통하여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한다. 여기서 DCI는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포맷이 서로 다르다.
한편, 단말이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상향링크 ACK/NACK 신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RI(Rank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술한 CQI/PMI/RI 등의 제어 정보를 PUSCH 및/또는 PU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반송파 병합 (Carrier Aggregation)
반송파 병합을 설명하기에 앞서 LTE-A에서 무선자원을 관리하기 위해 도입된 셀(Cell)의 개념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셀은 하향링크 자원과 상향링크 자원의 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자원은 필수 요소는 아니며 따라서 셀은 하향링크 자원 단독 또는 하향링크 자원과 상향링크 자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향링크 자원은 하향링크 구성반송파(Downlink component carrier; DL CC)로 상향링크 자원은 상향링크 구성반송파(Uplink component carrier; UL CC)로 지칭될 수 있다. DL CC 및 UL CC는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uency)로 표현될 수 있으며, 반송파 주파수는 해당 셀에서의 중심주파수(center frequency)를 의미한다.
셀은 프라이머리 주파수(primary frequency)에서 동작하는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과 세컨더리 주파수(secondary frequency)에서 동작하는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로 분류될 수 있다. PCell과 SCell은 서빙 셀(serving cell)로 통칭될 수 있다. PCell은 단말이 초기 연결 설정(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거나 연결 재설정 과정 또는 핸드오버 과정에서 지시된 셀이 PCell이 될 수 있다. 즉, PCell은 후술할 반송파 병합 환경에서 제어관련 중심이 되는 셀로 이해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의 PCell에서 PUCCH를 할당 받고 전송할 수 있다. SCell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이 이루어진 이후 구성 가능하고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반송파 병합 환경에서 PCell을 제외한 나머지 서빙 셀을 SCell로 볼 수 있다. RRC_CONNECTED 상태에 있지만 반송파 병합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반송파 병합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의 경우, PCell로만 구성된 서빙 셀이 단 하나 존재한다. 반면, RRC_CONNECTED 상태에 있고 반송파 병합이 설정된 단말의 경우,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이 존재하고, 전체 서빙 셀에는 PCell과 전체 SCell이 포함된다. 반송파 병합을 지원하는 단말을 위해 네트워크는 초기 보안 활성화(initial security activation) 과정이 개시된 이후, 연결 설정 과정에서 초기에 구성되는 PCell에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SCell을 구성할 수 있다.
반송파 병합은 높은 고속 전송률에 대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보다 넓은 대역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입된 기술이다. 반송파 병합은 반송파 주파수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구성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들 또는 2 개 이상의 셀들의 병합(aggregation)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CC는 주파수 상에서 연속적일 수도 있고, 또한 비 연속적일 수도 있다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복수개의 DL CC를 통해 동시에 수신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각 DL CC와 UL CC 사이의 링키지(linkage)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DL CC/UL CC 링크는 시스템에 고정되어 있거나 반-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전체 대역이 N개의 CC로 구성되더라도 특정 단말이 모니터링/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은 M(<N)개의 CC로 한정될 수 있다. 캐리어 병합에 대한 다양한 파라미터는 셀 특정(cell-specific), 단말 그룹 특정(UE group-specific) 또는 단말 특정(UE-specific)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이란, 예를 들어, 복수의 서빙 셀 중 어느 하나의 DL CC의 제어영역에 다른 DL CC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 또는 복수의 서빙 셀 중 어느 하나의 DL CC의 제어영역에 그 DL CC와 링크되어 있는 복수의 UL CC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과 관련하여, 반송파 지시자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CIF)에 대해 설명한다. CIF는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 포맷에 포함되거나 (예를 들어, 3 비트 크기로 정의됨) 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예를 들어, 0 비트 크기로 정의됨), 포함된 경우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다.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 정보는 현재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 정보가 전송되는 DL CC상에서 유효하다. 또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 정보가 전송되는 DL CC 와 링크된 하나의 UL CC에 대해 유효하다.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이 적용된 경우, CIF는 어느 하나의 DL CC에서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 정보에 관련된 CC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DL CC A 상의 제어 영역 내 PDCCH를 통해 DL CC B 및 DL CC C에 대한 하향링크 할당 정보, 즉 PDSCH 자원에 대한 정보가 전송된다. 단말은 DL CC A를 모니터링하여 CIF를 통해 PDSCH의 자원영역 및 해당 CC를 알 수 있다.
PDCCH에 CIF가 포함되거나 또는 포함되지 않는지는 반-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서 단말-특정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CIF가 비활성화(disabled)된 경우에, 특정 DL CC 상의 PDCCH는 해당 동일한 DL CC 상의 PDSCH 자원을 할당하고, 특정 DL CC에 링크된 UL CC 상의 PUSCH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PDCCH 구조와 동일한 코딩 방식, CCE 기반 자원 매핑, DCI 포맷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CIF가 활성화(enabled)되는 경우에, 특정 DL CC 상의 PDCCH는 복수개의 병합된 CC들 중에서 CIF가 지시하는 하나의 DL/UL CC 상에서의 PDSCH/PUSCH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PDCCH DCI 포맷에 CIF가 추가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고정된 3 비트 길이의 필드로 정의되거나, CIF 위치가 DCI 포맷 크기에 무관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기존의 PDCCH 구조와 동일한 코딩 방식, CCE 기반 자원 매핑, DCI 포맷 등이 적용될 수 있다.
CIF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기지국은 PDCCH를 모니터링할 DL CC 세트를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의 블라인드 디코딩의 부담이 감소할 수 있다. PDCCH 모니터링 CC 세트는 전체 병합된 DL CC의 일부분이고 단말은 PDCCH의 검출/디코딩을 해당 CC 세트에서만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에 대해서 PDSCH/PU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PDCCH를 PDCCH 모니터링 CC 세트 상에서만 전송할 수 있다. PDCCH 모니터링 DL CC 세트는 단말-특정 또는 단말 그룹-특정 또는 셀-특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 개의 DL CC가 병합되는 경우에, DL CC A 가 PDCCH 모니터링 DL CC로 설정될 수 있다. CIF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각각의 DL CC 상의 PDCCH는 DL CC A에서의 PDSCH만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한편, CIF가 활성화되면 DL CC A 상의 PDCCH는 DL CC A는 물론 다른 DL CC에서의 PDSCH도 스케줄링할 수 있다. DL CC A가 PDCCH 모니터링 CC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DL CC B 및 DL CC C 에는 PDCCH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CoMP(Coordinated Multi Point)
3GPP LTE-A 시스템의 개선된 시스템 성능 요구조건에 따라서, CoMP 송수신 기술 (co-MIMO, 공동(collaborative) MIMO 또는 네트워크 MIMO 등으로 표현되기도 함)이 제안되고 있다. CoMP 기술은 셀-경계(cell-edge)에 위치한 단말의 성능을 증가시키고 평균 섹터 수율(throughput)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재사용 인자(frequency reuse factor)가 1 인 다중-셀 환경에서, 셀-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 ICI)으로 인하여 셀-경계에 위치한 단말의 성능과 평균 섹터 수율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ICI를 저감하기 위하여,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단말 특정 전력 제어를 통한 부분 주파수 재사용(fractional frequency reuse; FFR)과 같은 단순한 수동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간섭에 의해 제한을 받은 환경에서 셀-경계에 위치한 단말이 적절한 수율 성능을 가지도록 하는 방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셀 당 주파수 자원 사용을 낮추기보다는, ICI를 저감하거나 ICI를 단말이 원하는 신호로 재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oMP 전송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하향링크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CoMP 기법은 크게 조인트-프로세싱(joint processing; JP) 기법 및 조정 스케줄링/빔포밍 (coordinated scheduling/beamforming; CS/CB) 기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JP 기법은 CoMP 협력 단위의 각각의 포인트(기지국)에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CoMP 협력 단위는 협력 전송 기법에 이용되는 기지국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JP 기법은 조인트 전송(Joint Transmission) 기법과 동적 셀 선택(Dynamic Point Selection) 기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인트 전송 기법은, PDSCH 가 한번에 복수개의 포인트(CoMP 협력 단위의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전송되는 기법을 말한다. 즉, 단일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복수개의 전송포인트로부터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조인트 전송 기법에 의하면, 코히어런트하게(coherently) 또는 넌-코히어런트하게 (non-coherently) 수신 신호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다른 단말에 대한 간섭을 능동적으로 소거할 수도 있다.
동적 셀 선택(DPS) 기법은, PDSCH가 한번에 (CoMP 협력 단위의) 하나의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기법을 말한다. 즉, 특정 시점에서 단일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하나의 포인트로부터 전송되고, 그 시점에 협력 단위 내의 다른 포인트는 해당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지 않으며, 해당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포인트는 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CS/CB 기법에 의하면 CoMP 협력 단위들이 단일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의 빔포밍을 협력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는 서빙셀(serving-cell)에서만 전송되지만, 사용자 스케줄링/빔포밍은 해당 CoMP 협력 단위의 셀들의 조정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향링크의 경우에, 조정(coordinated) 다중-포인트 수신은 지리적으로 떨어진 복수개의 포인트들의 조정에 의해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향링크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CoMP 기법은 조인트 수신(Joint Reception; JR) 및 조정 스케줄링/빔포밍(coordinated scheduling/beamforming; CS/CB)으로 분류할 수 있다.
JR 기법은 PUSCH 를 통해 전송된 신호가 복수개의 수신 포인트에서 수신되는 것을 의미하고, CS/CB 기법은 PUSCH 가 하나의 포인트에서만 수신되지만 사용자 스케줄링/빔포밍은 CoMP 협력 단위의 셀들의 조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CoMP 시스템을 이용하면, 단말은 다중-셀 기지국(Multi-cell base station)으로부터 공동으로 데이터를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각 기지국은 동일한 무선 주파수 자원(Same Radio Frequency Resource)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말에 동시에 지원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채널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공간 분할 다중접속(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CoMP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 및 하나 이상의 협력 기지국들은 백본망(Backbone Network)을 통해 스케줄러(scheduler)에 연결된다. 스케줄러는 백본망을 통하여 각 기지국이 측정한 각 단말 및 협력 기지국 간의 채널 상태에 관한 채널 정보를 피드백 받아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러는 서빙 기지국 및 하나 이상의 협력 기지국에 대하여 협력적 MIMO 동작을 위한 정보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즉, 스케줄러에서 각 기지국으로 협력적 MIMO 동작에 대한 지시를 직접 내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CoMP 시스템은 복수개의 셀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가상 MIMO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 시스템의 통신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Digital unit and Radio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40)은 디지털 신호의 처리를 담당하는 디지털 유닛(DU: Digital Unit)과 RF(radio frequency) 신호의 처리를 담당하는 무선 유닛(RU: Radio Unit)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기지국(40)은 하나의 디지털 유닛(DU)과 다수의 무선 유닛들(RU1, RU2, RU3)을 포함할 수 있다. MIMO를 지원하기 위하여 하나의 디지털 유닛에는 다수의 안테나 포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컨대, 하나의 디지털 유닛은 LTE 시스템에서와 같이 8개의 안테나 포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매시브(massive) MIMO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유닛은 수십 내지 수백개의 안테나 포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유닛과 무선 유닛들은 유선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각 안테나 포트들에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들이 맵핑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i개의 안테나 포트들에 i개의 무선 유닛들이 맵핑된 것을 예시하나, 안테나 포트들의 개수와 무선 유닛들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모든 안테나 포트들에 반드시 무선 유닛이 맵핑되어야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안테나 포트에 다수의 무선 유닛들이 맵핑될 수도 있다.
하향링크에서 디지털 유닛은 송신할 신호를 채널 코딩, 스크램블링, 변조, 레이어 맵핑 및 프리코딩 등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baseband processing)하고, 베이스밴드 프로세싱된 디지털 신호를 각 레이어의 자원 엘리먼트(resource element)에 맵핑하고, 각 레이어를 다시 각 안테나 포트에 맵핑한다.
각 무선 유닛들은 자신과 맵핑된 안테나 포트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상향링크에서는 각 무선 유닛들은 수신된 아날로그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유닛은 각 안테나 포트를 통해서 무선 유닛들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고,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한다.
하나의 무선 유닛은 하나의 셀(cell)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동일한 디지털 유닛에 연결된 서로 다른 무선 유닛들의 중심 주파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무선 유닛들은 각각 서로 다른 캐리어들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무선 유닛들의 커버리지, 즉 셀의 영역은 지리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서는 RU1의 커버리지와 RU 2의 커버리지가 일부 중첩하고, RU2의 커버리지와 RU3의 커버리지가 일부 중첩한다. 이와 같이, 커버리지가 서로 중첩하는 지점에서는 반송파 병합 또는 CoMP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RU1과 RU2의 커버리지가 서로 중첩하는 지점에서 RU1은 PCell로 동작하고, RU2는 SCell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에서, RU1과 RU2은 상하향링크에서 Joint Transmission/Reception 또는 CS/CB 기법에 기초하여 CoMP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유닛들의 커버리지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에는 반송파 병합 또는 CoMP가 수행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단일 셀에 의해서만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이라 하더라도, 커버리지가 불연속하는 지역, 즉 커버리지 음영 지역에서는 무선 연결이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무선 유닛들의 커버리지는 서로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무선 유닛들의 커버리지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커버리지가 중첩되는 영역이 클 수록 반송파 병합과 CoMP를 서비스하기 유리하다.
이와 같은 무선 유닛들의 커버리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매우 많으므로, 커버리지가 중첩되도록 무선 유닛들의 거리, 즉 ISD(inter site distance)를 조절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즉,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는, 동작하는 캐리어 주파수, 송신 전력, 이웃 셀에 의한 간섭, 롱텀/숏텀 페이딩을 야기하는 장애물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사업자가 예측하지 못한 상태에서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의 불연속이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통신 환경을 예시한다. 도 4와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2개의 디지털 유닛들(DU1, DU2)이 도시된다. 하나의 기지국에 하나의 디지털 유닛만이 포함된다고 가정하면, 도 5의 무선 통신 환경(50)은 2개의 기지국들을 포함한다. 제1 디지털 유닛(DU1)에는 3개의 무선 유닛들(RU1, RU2, RU3)가 연결된다. 제2 디지털 유닛(DU2)에는 2개의 무선 유닛들(RU4, RU5)가 연결된다. 제1 단말(UE1)은 제2 무선 유닛(RU2)를 통해서 제1 디지털 유닛에 접속하고 있다. 제1 단말은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제2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와 제3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는 서로 불연속한다. 제1 디지털 유닛내에서 제3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는 다른 무선 유닛들의 커버리지로부터 고립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단말이 제2 무선 유닛으로부터 제3 무선 유닛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전파 음영으로 인해 호 단절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제2 무선 유닛 및 제3 무선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반송파 병합이나 CoMP가 수행될 수 없다.
제3 무선 유닛의 물리적 위치를 제2 무선 유닛에 근접하여 이동시키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는 또 다른 지역에 전파 음영을 야기할 수 있고, 설치 장소의 제약 등으로 물리적인 이동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3 무선 유닛을 제2 디지털 유닛에 연결하는 방안이 제안된다. 제3 무선 유닛이 제2 디지털 유닛에 연결되면, 제3 무선 유닛의 활용 관점에서는 더 유리할 수 있는데, 제3 무선 유닛과 제4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 중첩으로 전술한 반송파 병합이나 CoMP가 수행될 수 있고, 제1 디지털 유닛의 커버리지가 불연속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도 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매우 간략히 도시한 케이스이고 보다 실제적인 무선 통신 환경에서는 매우 많은 디지털 유닛들과 매우 많은 무선 유닛들이 도심의 3차원 공간에 복잡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어느 디지털 유닛의 안테나 포트에 맵핑된 어느 무선 유닛이 문제가 되는지 검출하기 어렵다. 문제가 되는 무선 유닛이 검출된다 하더라도, 무선 유닛에 어느 디지털 유닛의 안테나 포트를 맵핑을 해야하는지도 결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를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방법은 후술하는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에 위치하거나, 기지국에 위치하거나 또는 별도의 네트워크 노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에 맵핑된 다수의 무선 유닛(radio unit)들에 대하여 무선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한다(S610). 여기서, 무선 채널 측정값들은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획득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채널 측정값들은, 무선 유닛들이 동작하는 캐리어(carrier) 주파수, 무선 유닛들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사용율, 상기 무선 유닛들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들의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쓰루풋(Throughput),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RI(rank indicator) 및 PMI(precoding matrix inde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무선 채널 측정값들에는 그 용어에도 불구하고, 측정값 이외에 시스템 설정에 관한 값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MIB(Master Information Block) 또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서 브로드캐스팅되는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 RRC 설정을 통해서 시그널링 되는 물리 채널 설정(Configuration)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획득된 무선 채널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무선 유닛들 간의 ISD(inter site distance)를 모델링한다(S615). ISD는 무선 유닛들이 이격된 거리를 나타낸다. 예컨대, ISD 모델은 무선 채널 측정값들과 ISD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식일 수 있다. 관계식은 무선 채널 측정값들의 통계적 분석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모델링에 의해 획득된 ISD 모델에 기초하여, 무선 유닛들 중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6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제1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가 동일한 기지국에 맵핑된 다른 무선 유닛들의 커버리지와 불연속하는 경우,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무선 유닛들의 커버리지는 서로 중첩되어 있는데 비하여, 제1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가 고립되어 있는 경우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리지의 불연속은 커버리지와 커버리지가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된 경우뿐만 아니라, 커버리지의 에지 영역에서 경로 감쇄와 간섭에 의해 임계치 이하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물리적으로는 커버리지들이 중첩되었더라도 무선 채널 환경의 열화에 따라서 커버리지 중첩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무선 유닛들 중 제1 무선 유닛 및 제2 무선 유닛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또는 상향링크 CoMP(Coordinated Multi-point)가 수행될 수 없는 경우,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은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캐리어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은 모두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되었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테나 포트의 맵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제1 무선 유닛을 다른 안테나 포트로 맵핑한다(S625). 예컨대, 다른 안테나 포트는 이웃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ISD 를 모델링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무선 채널 측정값들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측정값들을 선택한다(S710). 무선 채널 측정값들은 하나의 단말로부터 획득된 것이 아니라, 기지국에 접속된 다수의 단말들로부터 획득된 측정값들을 누적한 값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무선 채널 측정 값들 중에서 제1 측정값, 제2 측정값 및 제3 측정값을 선택한 것으로 가정한다.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선택된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상관 분석을 수행한다(S715). 예컨대,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제1 측정값, 제2 측정값 및 제3 측정값들과 실측 ISD 간의 상관 분석을 수행한다. 실측 ISD란,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이 물리적으로 실제 이격된 거리를 말한다. 제1 무선 유닛의 위도와 경도, 제2 무선 유닛의 위도와 경도는 각각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제1 무선 유닛의 위도 및 경도, 제2 무선 유닛의 위도 및 경도를 각각 이용하여,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이 지리적으로 얼마나 이격되어 있는지를 계산할 수 있다.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선택된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상관 분석을 수행한 결과, 상관이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20). 상관이 임계치 미만으로 나타나는 경우, 선택된 제1 측정값, 제2 측정값 및 제3 측정값들 중 적어도 하나는 실측 ISD로부터 독립된 변수라고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이 서로 근접하여 반송파 병합이나 CoMP가 수행되는 경우, SINR, RSRP 또는 쓰루풋 등의 측정값들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견해 볼 수 있다. 실제 상관을 분석한 결과 SINR, RSRP 또는 쓰루풋과 ISD의 상관이 임계치 이상이라면, SINR, RSRP 또는 쓰루풋은 ISD로부터 영향을 받는 측정값이다.
상관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무선 채널의 측정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측정값으로 재선택하거나 제외한다.
상관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무선 채널의 측정값들과 실측 ISD 간의 회귀 분석을 수행한다(S730). 회귀 분석 결과 ISD 관계식이 산출된다(S735). 예컨대, ISD, 제1 측정값, 제2 측정값 및 제3 측정값이 서로 상관된 변수들이라면, ISD는 제1 측정값, 제2 측정값 및 제3 측정값을 변수로 갖는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ISD 관계식, 즉 ISD 모델을 저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를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기지국의 무선 유닛들 중에서 둘 이상의 무선 유닛을 선택한다(S810). 편의상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한다.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선택된 무선 유닛들이 서로 상이한 주파수의 캐리어들 상에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15). 예컨대, 반송파 병합을 위해서는 무선 유닛들이 서로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 상에서 동작해야 한다. 따라서, 반송파 병합에 적절한 안테나 포트를 설정이 필요한 경우,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무선 유닛들이 서로 상이한 주파수의 캐리어 상에서 동작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선택된 무선 유닛들의 캐리어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이 재선택 될 수 있다.
선택된 무선 유닛들의 캐리어 주파수가 상이한 경우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ISD 관계식을 산출한다(S830).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산출된 ISD 관계식에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입력하여 ISD 를 산출한다(S835).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예컨대, 선택된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을 통해서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또는 CoMP (Coordinated Multi-Point) 동작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무선 채널 품질의 기준치일 수 있다. 편의상 도 7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제1 측정치, 제2 측정치 및 제3 측정치가 각각 SINR, RSRP 및 쓰루풋이라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실제 측정된 값이 아니라, 반송파 병합이 수행되는 경우에 만족하여야 하는 목표 SINR, 목표 RSRP 및 목표 쓰루풋 값을 ISD 관계식에 입력한다. ISD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 ISD 값은, 반송파 병합을 가능하게 하는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의 최대 이격 거리이다.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ISD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 ISD 값을 실측 ISD 값과 비교한다(S840). 실측 ISD는 제1 무선 유닛 및 제2 무선 유닛의 물리적 위치에 기반하여 획득된 것으로서,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의 실제 물리적인 이격 거리를 나타낼 수 잇다.
실측 ISD가 ISD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 ISD 값 이하면,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유지한다.
실측 ISD가 ISD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 ISD 값을 초과하면, 제1 무선 유닛의 무선 유닛의 안테나 포트 맵핑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한다(S845).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이 실제 이격된 거리로서는 반송파 병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므로,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제1 무선 유닛의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반송파 병합을 예시하였지만,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CoMP 수행 또는 커버리지 불연속을 검출하기 위하여 안테나 포트를 설정 또는 재설정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유닛의 안테나 포트 맵핑을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무선 유닛의 안테나 포트 맵핑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가정한다.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의 인트라 RU 핸드오버가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910). 인트라 RU 핸드오버란, 제1 무선 유닛(또는 제2 무선 유닛)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이 기지국의 변경 없이 제2 무선 유닛(또는 제1 무선 유닛)으로 핸드오버하는 것이다. 인트라 RU 핸드오버는 기지국의 변경 없는 안테나 포트의 변경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기지국 변경을 동반하는 X2 핸드오버와는 상이한 개념이다.
만약,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가 불연속하는 경우에는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에 인트라 RU 핸드오버가 수행되지 않거나 또는 그 수행 빈도가 매우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제1 무선 유닛가 제2 무선 유닛간의 인트라 RU 핸드 오버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제1 무선 유닛은 다른 무선 유닛들로부터 고립된 것으로 판단되고, 현재 기지국에 맵핑되기에는 부적절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제1 무선 유닛이 현재 맵핑된 기지국의 이웃 기지국들 중에서 제1 무선 유닛이 다시 맵핑될 제1 이웃 기지국을 선택한다(S915). 예컨대, 제1 이웃 기지국은, 제1 무선 유닛을 통해 현재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들의 X2 핸드오버 과정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선택된 빈도가 가장 높은 이웃 기지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유닛을 통해서 현재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들이 X2 핸드오버를 수행한 결과, 제1 이웃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으로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는, 제1 이웃 기지국이 제1 무선 유닛과 가까이 위치한다는 점을 나타내므로, 제1 이웃 기지국은 제1 무선 유닛이 맵핑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이웃 기지국 선택 결과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920). 예컨대,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하는 경우, 제1 무선 유닛의 식별자, 제1 무선 유닛의 위도 및 경도,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의 인트라 RU 핸드오버 빈도 및 제1 무선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이 X2 핸드오버를 한 빈도가 가장 높은 이웃 기지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가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직접 스위칭할 수 있는 경우, 제1 무선 유닛을 현재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로부터 제1 이웃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에 맵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는 상술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면 설명이 생략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안테나 포트 설정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5), 백홀 인터페이스(110), 메모리(115)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도시된 구성들이 반드시 필수 구성은 아니므로 일부 구성요소들은 생략될 수 있다.
백홀 인터페이스(110)는 기지국들 또는 코어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백홀 인터페이스(110)는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에 맵핑된 다수의 무선 유닛(radio unit)들에 대하여 무선 채널 측정 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메모리(115)는 획득된 무선 채널 측정 값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120)는, 무선 채널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간의 ISD(inter site distance)를 모델링한다. 프로세서는, 무선 채널 측정값들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측정값들을 선택한다. 프로세서는,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간의 물리적 이격 거리와 선택된 측정값들과의 관계식을 산출한다. 관계식은 선택된 측정값들의 통계적 분석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선택된 측정값들 간의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한다. 프로세서는 선택된 측정값들간의 상관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과 상기 물리적 이격거리에 대한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20)는, 모델링에 의해 획득된 ISD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프로세서는 제1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가 제2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와 불연속하는 경우,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무선 유닛 및 제2 무선 유닛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또는 상향링크 CoMP(Coordinated Multi-point)가 수행될 수 없는 경우,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무선 유닛 및 제2 무선 유닛의 물리적 위치에 기반하여 제1 ISD를 산출한다. 프로세서는 ISD 모델에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입력하여 제2 ISD를 산출한다. 프로세서는 제1 ISD와 제2 ISD를 비교한다. 프로세서는, 제1 ISD가 제2 ISD 이하면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유지한다. 제2 ISD는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을 통해서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또는 CoMP (Coordinated Multi-Point)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의 이격 거리의 임계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에 단말의 인트라 RU 핸드오버 빈도가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프로세서는,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에 단말의 핸드오버 빈도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프로세서는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하는 경우, 기지국의 이웃 기지국들 중에서 제1 무선 유닛이 맵핑될 제1 이웃 기지국을 선택한다. 1 무선 유닛이 맵핑될 상기 제1 이웃 기지국은, 제1 무선 유닛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들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선택된 빈도가 가장 높은 이웃 기지국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유닛들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5)는,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하는 경우, 제1 무선 유닛의 식별자, 제1 무선 유닛의 위도 및 경도,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의 핸드오버 빈도 제1 무선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이 핸드오버를 한 빈도가 가장 높은 이웃 기지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단말과 기지국은 각각 전술한 실시예들의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410)은, 수신모듈(1411), 전송모듈(1412), 프로세서(1413), 메모리(1414) 및 복수개의 안테나(14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41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수신모듈(1411)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412)은 단말로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3)는 기지국(14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1410)의 프로세서(1413)는 그 외에도 기지국(141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4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단말(1420)은, 수신모듈(1421), 전송모듈(1422), 프로세서(1423), 메모리(1424) 및 복수개의 안테나(14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42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수신모듈(142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422)은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423)는 단말(14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1420)의 프로세서(1423)는 그 외에도 단말(142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42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지국 및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8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기지국(141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전송 주체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142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하향링크 전송 주체(entity)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는 주로 기지국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고,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는 주로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에 대한 설명은 셀, 안테나 포트, 안테나 포트 그룹, RRH, 전송포인트, 수신 포인트, 액세스 포인트, 중계기 등이 단말로의 하향링크 전송 주체가 되거나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수신 주체가 되는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중계기가 단말로의 하향링크 전송 주체가 되거나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수신 주체가 되는 경우, 또는 중계기가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전송 주체가 되거나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수신 주체가 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원리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3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에 맵핑된 다수의 무선 유닛(radio unit)들에 대하여 무선 채널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무선 채널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간의 ISD(inter site distance)를 모델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델링에 의해 획득된 ISD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간의 이격 거리의 기준이 되는 ISD 임계치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가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2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와 불연속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 및 제2 무선 유닛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또는 상향링크 CoMP(Coordinated Multi-point)가 수행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유닛 및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2 무선 유닛의 물리적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 간의 물리적인 이격 거리를 나타내는 실측 ISD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ISD 모델에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입력하여 상기 ISD 임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측 ISD와 상기 ISD 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ISD 모델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을 통해서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또는 CoMP (Coordinated Multi-Point) 동작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무선 채널 품질의 기준치인,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 간에 산출된 상기 실측 ISD가 상기 ISD 임계치 이하면,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유지하고,
    상기 ISD 임계치는,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을 통해서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또는 CoMP (Coordinated Multi-Point)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 간의 이격 거리의 임계치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에 단말의 핸드오버 빈도가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 간에 단말의 핸드오버 빈도가 상기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방법.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은 각각 주파수가 상이한 캐리어(carrier)들에서 셀(cell)들을 형성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의 이웃 기지국들 중에서 상기 제1 무선 유닛이 맵핑될 제1 이웃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유닛이 맵핑될 상기 제1 이웃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유닛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들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선택된 빈도가 가장 높은 이웃 기지국인,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들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들 간의 ISD(inter site distance)를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채널 측정값들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측정값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2 무선 유닛간의 물리적 이격 거리와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과의 관계식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식은,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의 통계적 분석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식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에 기초로 분석된 상관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과 상기 물리적 이격거리에 대한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채널 측정값들은,
    상기 무선 유닛들이 동작하는 캐리어(carrier) 주파수, 상기 무선 유닛들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사용율, 상기 무선 유닛들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들의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쓰루풋(Throughput),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RI(rank indicator) 및 PMI(precoding matrix inde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식별자,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위도 및 경도,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의 핸드오버 빈도 및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이 핸드오버를 한 빈도가 가장 높은 이웃 기지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 1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을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에 맵핑된 다수의 무선 유닛(radio unit)들에 대하여 획득된 무선 채널 측정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획득된 무선 채널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간의 ISD(inter site distance)를 모델링하고, 상기 모델링에 의해 획득된 ISD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간의 이격 거리의 기준이 되는 ISD 임계치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가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2 무선 유닛의 커버리지와 불연속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 및 제2 무선 유닛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또는 상향링크 CoMP(Coordinated Multi-point)가 수행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유닛 및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2 무선 유닛의 물리적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 간의 물리적인 이격 거리를 나타내는 실측 ISD를 산출하고, 상기 ISD 모델에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입력하여 상기 ISD 임계치를 산출하고, 상기 실측 ISD와 상기 ISD 임계치를 비교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ISD 모델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을 통해서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또는 CoMP (Coordinated Multi-Point) 동작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무선 채널 품질의 기준치인,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 간에 산출된 상기 실측 ISD가 상기 ISD 임계치 이하면,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유지하고,
    상기 ISD 임계치는,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을 통해서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또는 CoMP (Coordinated Multi-Point)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 간의 이격 거리의 임계치인, 장치.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에 단말의 핸드오버 빈도가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 간에 단말의 핸드오버 빈도가 상기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맵핑된 안테나 포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장치.
  27. 제 20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제2 무선 유닛은 각각 주파수가 상이한 캐리어(carrier)들에서 셀(cell)들을 형성하는, 장치.
  2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의 이웃 기지국들 중에서 상기 제1 무선 유닛이 맵핑될 제1 이웃 기지국을 선택하는,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유닛이 맵핑될 상기 제1 이웃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유닛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들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선택된 빈도가 가장 높은 이웃 기지국인, 장치.
  3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유닛들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3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닛들 간의 ISD(inter site distance)를 모델링하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채널 측정값들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측정값들을 선택하고,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2 무선 유닛간의 물리적 이격 거리와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과의 관계식을 산출하는,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식은,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의 통계적 분석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식을 산출하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하고,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분석된 상관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선택된 측정값들과 상기 물리적 이격거리에 대한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는, 장치.
  3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채널 측정값들은,
    상기 무선 유닛들이 동작하는 캐리어(carrier) 주파수, 상기 무선 유닛들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사용율, 상기 무선 유닛들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들의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쓰루풋(Throughput),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RI(rank indicator) 및 PMI(precoding matrix inde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3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식별자, 상기 제1 무선 유닛의 위도 및 경도,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상기 제1 무선 유닛과 제2 무선 유닛 간의 핸드오버 빈도 및 상기 제1 무선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이 핸드오버를 한 빈도가 가장 높은 이웃 기지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장치.
  36.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를 기저 대역 프로세싱(baseband processing)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를 다수의 안테나 포트들을 통해 송수신하는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상기 디지털 유닛의 안테나 포트들에 맵핑되고, 상기 안테나 포트들과 송수신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 또는 역변환하고, 상기 RF 신호를 단말과 송수신하는 다수의 무선 유닛(radio unit)들; 및
    상기 무선 유닛들에 대하여 획득된 무선 채널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간의 ISD(inter site distance)를 모델링하고, 상기 모델링에 의해 획득된 ISD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유닛들 간의 이격 거리의 기준이 되는 ISD 임계치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무선 유닛들 중 제1 무선 유닛에 대한 안테나 포트의 맵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테나 설정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50005881A 2015-01-13 2015-01-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637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5881A KR101637323B1 (ko) 2015-01-13 2015-01-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5881A KR101637323B1 (ko) 2015-01-13 2015-01-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323B1 true KR101637323B1 (ko) 2016-07-20

Family

ID=5668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5881A KR101637323B1 (ko) 2015-01-13 2015-01-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포트들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3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6041A1 (en) * 2006-07-27 2010-03-04 Jorg Huschke Hierarchical broadcast transmission via multiple transmitters
KR101293152B1 (ko) * 2008-09-19 2013-08-1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Lte 어드밴스드를 위한 기준 신호 설계
WO2014046498A1 (ko) * 2012-09-23 201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084177A (ko) * 2011-10-14 2014-07-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분산된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동적 사이멀캐스팅 및 디-사이멀캐스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기지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6041A1 (en) * 2006-07-27 2010-03-04 Jorg Huschke Hierarchical broadcast transmission via multiple transmitters
KR101293152B1 (ko) * 2008-09-19 2013-08-1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Lte 어드밴스드를 위한 기준 신호 설계
KR20140084177A (ko) * 2011-10-14 2014-07-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분산된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동적 사이멀캐스팅 및 디-사이멀캐스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기지국
WO2014046498A1 (ko) * 2012-09-23 201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57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adjustment request
TWI744439B (zh) 波束改變指令接收失敗期間的回退波束選擇程序
JP680464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の無線リンクモニタリングを行う方法及びそれをサポートする装置
RU2751675C2 (ru) Хэндовер 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20230232269A1 (e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207837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측정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158465B2 (en) Method for trans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050756B2 (en) Method for tran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5902841B2 (ja) 複数アンテナをサポート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チャネル状態情報参照信号の設定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JP630964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干渉測定リソース設定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1018307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46173B1 (ko) 협력적 송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703023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WO2016199768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04770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TW201808039A (zh) 經由同步通道和廣播通道的資源選擇來傳送假設
WO2019065189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23543204A (ja) 干渉の低減及び調整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60254888A1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KR20150016237A (ko) 무선통신시스템, 무선기지국장치, 유저단말 및 통신제어방법
WO2014069164A1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WO2019065191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404639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한적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1198928A1 (en) Channel quality indication (cqi) saturation mitigation
JP7500422B2 (ja) ネットワークダウン選択の選択肢を伴うチャネル状態フィードバ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