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090B1 -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 Google Patents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090B1
KR101637090B1 KR1020140150127A KR20140150127A KR101637090B1 KR 101637090 B1 KR101637090 B1 KR 101637090B1 KR 1020140150127 A KR1020140150127 A KR 1020140150127A KR 20140150127 A KR20140150127 A KR 20140150127A KR 101637090 B1 KR101637090 B1 KR 10163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gel polymer
polymer electrolyte
carbon atoms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508A (ko
Inventor
안경호
오정우
정이진
양두경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14/01036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65101A1/ko
Priority to JP2015545405A priority patent/JP6136034B2/ja
Priority to US14/423,592 priority patent/US10355309B2/en
Priority to BR112015005331A priority patent/BR112015005331B8/pt
Priority to CN201480002311.XA priority patent/CN104919638B/zh
Priority to TW103138006A priority patent/TWI559597B/zh
Publication of KR20150050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with or without the latter element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with or without the latter element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phosphor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용매, 전해질염 및 제1 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에 있어서, 제1 첨가제로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05099317-pat00022

(상기 식에서,
R1 내지 R3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탄소수 5 내지 7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불소 치환된 알킬기, 또는 상기 R1 내지 R3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서로 결합 또는 연결되어 탄소수 2 내지 6의 환 원자를 가지는 싸이클기, 또는 1 내지 3개의 산소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8의 환 원자를 가지는 헤테로싸이클기이다.).

Description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GEL 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air) 분위기하에서 겔 폴리머 전해질 형성 효과 및 난연성 강화 성능을 부여할 수 있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캠코더, 노트북 PC 및 전기 자동차까지 에너지 저장 기술 적용 분야가 확대되면서, 전지의 연구와 개발에 대한 노력이 점점 구체화되고 있다.
전기화학소자는 이러한 측면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분야이고, 특히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소형, 경량화 및 고용량으로 충방전 가능한 리튬 이차전지의 개발은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을 삽입/방출할 수 있는 전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과 음극, 및 리튬이온의 전달 매질인 전해질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전해질로서 액체 상태의 전해질, 특히 비수계 유기용매에 염을 용해한 이온 전도성 유기 액체 전해질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액체 전해질은 작동 중에 누액 될 염려가 있고, 사용하는 비수계 유기용매의 높은 인화성으로 인해 발화, 폭발 등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더욱이, 액체 전해질은 리튬 이차전지의 충,방전 시에 카보네이트 유기용매가 분해되거나, 또는 전극과 부반응을 일으켜 전지 내부에서 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반응은 고온 저장시에는 더욱 가속화되기 때문에 가스 발생량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발생된 가스는 전지의 내압 증가를 유발시켜 전지의 두께를 팽창시키는 등 전지의 변형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전지 내 전극면에서 밀착성에 국부적인 차이점을 발생시켜 전극 반응이 전체 전극면에서 동일하게 일어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최근 상기 액체 상태의 전해질의 안전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누액 등의 염려가 없는 겔 폴리머 전해질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은 중합성 단량체와 중합개시제의 중합 반응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매트릭스에 전해질 염 및 비수계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액을 함침시킨 후 겔화하여 제조한다.
하지만,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또한 비수계 유기용매를 포함하기 때문에 열적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이 여전히 거론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액체 전해질에 비해 열등한 전지 성능을 가진다는 점에서 상업화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비수계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의 열적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난연성 관능기를 함유한 중합성 단량체와 공기 (air) 분위기하에서 겔 폴리머 전해질 형성 효과 및 난연성 강화 성능을 부여할 수 있는 난연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수계 유기용매, 전해질염 및 제1 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용 조성물을 중합하여 겔화시킴으로써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에 있어서,
(a) 제1 첨가제로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05099317-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내지 R3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탄소수 5 내지 7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불소 치환된 알킬기, 또는 상기 R1 내지 R3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서로 결합 또는 연결되어 탄소수 2 내지 6의 환 원자를 가지는 싸이클기, 또는 1 내지 3개의 산소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8의 환 원자를 가지는 헤테로싸이클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은 제2 첨가제로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은 제3 첨가제로서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4105099317-pat00002
(상기 식에서,
R4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5 내지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불소 또는 -O-CO-CH=CH2기이며,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양극, 음극,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겔 폴리머 전해질 제조 시에 난연성 관능기를 함유한 중합성 단량체와 함께 산소의 영향성을 감소시키는 난연성 첨가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공기(air) 분위기하에서 겔 폴리머 전해질 형성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의 열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겔 폴리머 전해질 형성 반응 실험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셀 수명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겔 폴리머 전해질 제조에 이용되는 비수계 유기용매는 전기화학소자의 온도 상승시 열분해되어 OH-, H+ 같은 반응 활성이 높은 라디칼을 생성하면서 연소된다. 이때, 상기 라디칼 생성 반응은 발열 반응이므로, 유기용매의 연소 반응이 연쇄적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소자의 폭발 및 발화가 야기될 수 있다. 한편, 공기나 산소 존재 하에서 겔 폴리머 전해질을 제조하는 경우, 중합성 단량체들의 반응성이 저감되면서, 미반응 단량체들이 존재하게 되고, 이들에 의해 겔 폴리머 전해질이 형성되는 효과가 낮아져 전지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기화학소자의 열적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수계 유기용매, 전해질염 및 제1 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용 조성물을 중합하여 겔화시킴으로써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에 있어서,
제1 첨가제로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05099317-pat00003
(상기 식에서,
R1 내지 R3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탄소수 5 내지 7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불소 치환된 알킬기, 또는 상기 R1 내지 R3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서로 결합 또는 연결되어 탄소수 2 내지 6의 환 원자를 가지는 싸이클기, 또는 1 내지 3개의 산소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8의 환 원자를 가지는 헤테로싸이클기이다.)
한편, 겔 폴리머 전해질 제조 시에 요구되는 라디칼 반응을 산소 존재하에서 실시하는 경우, 산소에 의해 소광(quenching)하여 퍼옥사이드(Peroxide)기가 안정화가 되므로, 연쇄반응 효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첨가제인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난연성 첨가제 성분으로서 공기 분위기 하에서 산소의 영향성을 감소시켜, 예컨대 활성산소와 반응하여 포스페이트(phosphate)화 되고, 산소를 소모시켜 반응시 전환율 (중합성 단량체들의 반응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동시에 난연성 강화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첨가제인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트리메틸 포스파이트,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부틸 포스파이트 (TBP),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에틸 에틸렌 포스파이트 (EEP) 및 트리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 포스파이트 (Tris(2,2,2-trifluoroethyl) phosphite, TTFE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첨가제인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함량은 겔 폴리머 전해질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화합물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난연성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고 전해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은 겔 폴리머 전해질 제조 시에 기본 골격인 고분자 매트릭스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제2 첨가제로서 제2 중합성 단량체, 예를 들면 분자 내에 아크릴레이트기가 2개 이상 함유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첨가제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3a 내지 화학식 3c로 표시되는 단량체 및 이의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a]
Figure 112014105099317-pat00004
(상기 식에서,
R8, R9, R10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R11는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산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며, 상기 R11는 및 R12가 산소일 경우에는 결합된 탄소 원자와 이중 결합을 형성하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o는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이다.)
[화학식 3b]
Figure 112014105099317-pat00005
상기 식에서,
R14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Figure 112014105099317-pat00006
이고, 이때 R18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R19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히드록시 말단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C-O-CO-CH=CH2이고, R20 및 R21은 -R22-O-CO-CH=CH2 이며, 이때 R22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R15 및 R16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테르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R17은 -C-O-(R24)y-O-CO-CH=CH2 또는 -(R24)y-O-CO-CH=CH2 이며, 이때 R24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y는 0 내지 5의 정수이고, P는 0 내지 5의 정수이다.
[화학식 3c]
Figure 112014105099317-pat00007
(상기 식에서,
R25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26 및 R27은 -O-(R23)y-O-CO-CH=CH2 또는 -(R26)y-O-CO-CH=CH2이며, 이때 R23 및 R26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y는 0 내지 5의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첨가제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에톡실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ethoxylated trimethylol propanetriacrylate, ETPTA),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Di(EG)DA),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Di(EG)DM),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EGDM),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Di(PG)DA),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Di(PG)DM), 에틸렌글리콜 디비닐 에테르(EGDVE), 디에틸렌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Di(EG)DVE),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ri(EG)DM),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DPent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MPT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TMPTM), 프로폭실레이트(3)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PO(3)TMPTA), 프로폭실레이티드(6)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PO(6)TMPTA),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PAI)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화합물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 multi acrylate도 혼용 가능하다.
상기 제2 첨가제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겔 폴리머 전해질의 기본 골격인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은 난연성 향상 효과를 추가로 부여하기 위하여, 제3 첨가제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4105099317-pat00008
(상기 식에서,
R4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5 내지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불소 또는 -O-CO-CH=CH2기이며,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상기 제3 첨가제인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올리고머)은 난연성 첨가제 성분으로서, 난연성 향상 및 전지저항 감소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2a 또는 화학식 2b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a]
Figure 112014105099317-pat00009

[화학식 2b]
Figure 112014105099317-pat00010
일반적으로 불소 원소는 전자 흡인 (electron withdrawing) 작용이 강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불소 원소를 함유하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소자의 온도 상승에 의한 유기용매의 연소 시, 연쇄적 연소 반응을 차단하거나, 전해질로의 산소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더 이상의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즉, 전기화학소자의 온도 상승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열분해되어 라디칼(X-)을 형성하기 쉽다. 이때, 상기 라디칼(X-)은 유기용매의 분해로 인해 생성되는 라디칼(OH-, H+)을 포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정하고 불연성인 HX를 생성하여 유기용매의 연쇄적인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과 같이 C-F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은 결합력이 상당히 강하여 구조 자체의 안전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겔 폴리머 전해질의 난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첨가제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량은 겔 폴리머 전해질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난연성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고 전해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가 감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에 있어서, 상기 비수계 유기용매는 통상적인 전해질 제조시 사용되는 비수계 유기용매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환형 카보네이트, 선형 카보네이트, 락톤, 에테르, 에스테르, 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락탐, 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의 예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플루오르에틸렌 카보네이트(FEC) 등이 있고, 상기 선형 카보네이트의 예로는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및 메틸 프로필 카보네이트(MPC) 등이 있다. 상기 락톤의 예로는 감마부티로락톤(GBL)이 있으며, 상기 에테르의 예로는 디부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1,2-디에톡시에탄 등이 있다. 상기 에스테르의 예로는 에틸 포메이트, 에틸 포메이트, 프로필 포메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부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피발레이트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설폭사이드로는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이 있고, 상기 락탐으로는 N-메틸-2-피롤리돈(NMP) 등이 있으며, 상기 케톤으로는 폴리메틸비닐 케톤이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의 할로겐 유도체도 사용 가능하다. 이들 유기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난연성 극대화를 위하여 불소 함유 유기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염은 통상적인 전기화학소자용 전해질 염으로서, (i) Li+, Na+, 및 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양이온과 (ii) PF6 -, BF4 -, Cl-, Br-, I-, ClO4 -, AsF6 -, CH3CO2 -, CF3SO3 -, N(CF3SO2)2 -, 및 C(CF2SO2)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들 전해질염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염이 함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전해질염은 구체적으로 리튬염 또는 리튬 이미드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성 단량체는 일반적인 겔 폴리머 전해질 제조에 이용되는 다기능성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난연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또는 파이로포스페이트계 (pyrophosphate)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포스페이트계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4105099317-pat00011
상기 식에서,
R30 내지 R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q는 1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제1 중합성 단량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포스페이트 아크릴레이트 (phosphate acrylate)를 들 수 있다.
[화학식 4a]
Figure 112014105099317-pat00012
즉, 상기 제1 중합성 단량체인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의 경우, 소자의 온도 상승시 연소에 의해 산화되어 삼차원적 네트워크 구조의 가교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포스페이트 화합물은 열분해에 의해 인산이 되고, 변환된 인산 사이에 탈수 반응이 일어나, 가교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의 경우, 전해질로의 산소 유입을 차단하여 유기용매의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중합성 단량체는 난연성 관능기인 포스페이트 부분과 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므로, 중합 반응을 통해, 겔 폴리머 전해질의 기본 골격인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전해질 내에서 유동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은 전기화학적 안전성 및 열적 안전성, 특히 난연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중합성 단량체의 함량은 겔 폴리머 전해질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가교제로서의 효과가 불충분하여 폴리머가 겔화되기 어려우므로 전해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단량체가 전해질 내 잔류하여 전지 성능, 예컨대 이온 전도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은 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상기 중합성 단량체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중합 개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세틸 퍼옥사이드(Acetyl peroxide), 디라우릴퍼옥사이드(dilauryl peroxide), 디-tert-부틸-퍼옥사이드(Di-tert-butylperoxide), 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butyl peroxy-2-ethyl-hexanoate), 큐밀 하이드로퍼옥사이드 (Cumyl hydroperoxide), 또는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등의 유기과산화물류나 히드로과산화물류와 2,2'-아조비스(시아노부탄)(2,2'-Azobis(2-cyanobutane)), 2,2'-아조비스(메틸부티로니트릴)(2,2-Azobis(Methylbutyronitrile)),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2,2'-Azobis(isobutyronitrile), AIBN), 또는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2,2'-Azobisdimethyl-Valeronitrile, AMVN) 등의 아조화합물류 등이 있다. 전술한 중합 개시제는 열에 의해 분해되어 라디칼을 형성하고,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중합성 단량체와 반응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의 겔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 전기화학소자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중합성 단량체와 제1 첨가제, 선택적으로 제2 및 제3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 화합물을 첨가하고, 중합개시제 존재하에서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에 전해질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액을 함침시켜 겔화시키거나; 또는
ii) 전기화학소자의 내부에서 제1 첨가제, 선택적으로 제2 및 제3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 화합물과, 중합성 단량체, 중합개시제, 전해질 염, 및 유기용매를 모두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전구체 용액을 제조한 다음,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겔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합 반응은 통상적인 열, e-빔, 감마선 및 상온/고온 에이징 (aging) 공정을 통해 실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중합 반응이 열 중합일 경우 대략 1 시간 내지 8시간 정도 소요되며, 온도는 50 내지 100℃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상적인 중합 반응은 비활성 조건(inert condition) 하에서 실시하여 라디칼 소멸제인 대기 중의 산소와 라디칼(radical)의 반응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난연성 관능기를 함유한 중합성 단량체와 난연성 강화 성능을 부여할 수 있는 난연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을 제공함으로써, 겔 폴리머 전해질의 난연성 강화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나아가 일반적인 공기 또는 산소 존재 조건 하에서도 겔 폴리머 전해질 제조를 위한 중합 반응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중합 반응 시에 상기 첨가제가 산소의 영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중합성 단량체들의 반응성을 향상시켜 다량의 미반응 단량체가 거의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중합 반응 진척도(extent of reaction)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종래 미반응 단량체가 전지 내부에 잔존하면서 야기되던 충방전 성능 저하와 같은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극, 음극,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전기화학 반응을 하는 모든 소자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모든 종류의 1차, 2차 전지, 연료 전지, 태양 전지 또는 캐퍼시터(capacitor) 등이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리튬 이차 전지일 수 있으며, 리튬 이차 전지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이차전지,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 전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는 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를 들면, (a)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介在)된 세퍼레이터를 권취하여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전기화학소자 케이스에 투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케이스에 전술한 겔 폴리머 전해질 전구체 액을 주입한 후 중합시켜 겔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기화학소자의 전극은 당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활물질에 용매, 필요에 따라 바인더, 도전재, 분산재를 혼합 및 교반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이를 금속 재료의 집전체에 도포(코팅)하고 압축한 뒤 건조하여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전극활물질은 양극활물질 또는 음극활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극활물질은 리튬 니켈 망간 복합 산화물(LNMO) 외에, 예를 들어,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Li(NiaCobMnc)O2 (0<a<1, 0<b<1, 0<c<1, a+b+c=1)와 같은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리튬 전이금속 복합산화물; LiMnO3, LiMn2O4,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구리 산화물(Li2CuO2); LiV3O8,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LiFe3O4; LiFePO4, LiCoPO4, LiFexMn1-xPO4 등의 리튬 인산화물; 화학식 LiNi1 - xMx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 - xMxO2 (여기서, M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등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극활물질은 종래 전기화학소자의 음극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음극활물질이 사용 가능하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사용 가능한 음극활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리튬 티타늄 산화물(LTO) 외에,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xFe2O3(0≤x≤1), LixWO2(0≤x≤1),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및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티타늄 산화물 등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기타, 리튬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고, 리튬에 대한 전위가 2V 미만인 TiO2, SnO2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흑연, 탄소섬유(carbon fiber), 활성화 탄소 등의 탄소재가 바람직하다.
금속 재료의 집전체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상기 전극활물질의 슬러리가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는 금속으로, 전지의 전압 범위에서 반응성이 없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양극 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루미늄,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으며, 음극 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리, 금, 니켈 또는 구리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다공성 세퍼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세퍼레이터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를 전지에 적용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방법인 권취(winding) 이외에도 세퍼레이터와 전극의 적층(lamination, stack) 및 접음(folding)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는 외형에 제한이 없으나,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공기 중에서 에틸렌카보네이트(EC):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 1:1:1의 중량비를 갖는 유기용매에 LiPF6를 1M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후, 겔 폴리머 전해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중합성 단량체로 상기 화학식 4a의 포스페이트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AIBN 0.25 중량부, 제1 첨가제인 트리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 포스파이트 (TTFEP) 3 중량부를 첨가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공기 중에서 에틸렌카보네이트(EC):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 1:1:1의 중량비를 갖는 유기용매에 LiPF6를 1M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후, 겔 폴리머 전해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중합성 단량체로 상기 화학식 4a의 포스페이트 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AIBN 0.25 중량부, 제1 첨가제인 트리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 포스파이트 (TTFEP) 3 중량부 및 제2 첨가제인 에톡실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2 중량부를 첨가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공기중에서 에틸렌카보네이트(EC):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 1:1:1의 중량비를 갖는 유기용매에 LiPF6를 1M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후, 겔 폴리머 전해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중합성 단량체로 상기 화학식 4a의 포스페이트 아크릴레이트 2 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AIBN 0.25 중량부, 제1 첨가제인 트리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 포스파이트 (TTFEP) 3 중량부, 제2 첨가제인 에톡실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2 중량부 및 제3 첨가제인 상기 화학식 2a의 화합물 2 중량부를 첨가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1 첨가제는 포함하지 않는 대신, 제2 첨가제인 에톡실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겔 폴리머 전해질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겔 폴리머 전해질 형성 실험)
글로브 박스에서 제조된 실시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 전구체 용액 (c), 실시예 2의 겔 폴리머 전해질 전구체 용액(d)과 비교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 전구체 용액(a, b)을 드라이룸에서 각각 바이알에 담고, 바이알 내부에 산소를 투입하여 혼합시켰다. 이어서, 50 내지 80℃ 챔버에서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겔 화 형성 여부 (free liquid 양)을 육안 관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산소가 투입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겔 폴리머 전해질 전구체 용액은 비교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 전구체 용액에 비하여 겔 형성이 보다 용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참조).
(실험예 2: 겔 폴리머 전해질의 난연성 실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 전구체 액을 사용하여 겔을 형성한 후, 상기 겔에 불을 점화하여 겔이 모두 연소될 때까지의 시간 (연소 시간)과 자기 소화 시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초기 질량 연소 시간 자기 소화 시간 (SET)
실시예 1 4.7g 190 sec 40.4 sec/g
실시예 2 4.9g 200 sec 40.8 sec/g
실시예 3 4.5g 400 sec 89.0 sec/g
비교예 1 4.6g 130 sec 28.3 sec/g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라 난연성 관능기 함유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실시예 1~3의 겔은 비교예 1의 겔보다 연소되기까지의 시간 및 자기 소화 시간이 현저히 길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은 난연성 및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싸이클 수명 특성 실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된 LCO 함유 양극과 흑연 (graphite) 함유 음극 사이에 폴리에틸렌 재질의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한 다음,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 전구체 용액과 통상적인 액체 전해질을 각각 주입하고, 70℃에서 5hr 시간 반응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0.5C로 50회까지 충방전을 실시하여 이차전지의 싸이클 수명 특성을 측정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겔 폴리머 전해질을 이용한 이차전지의 경우, 비교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을 이용한 전지에 비하여 싸이클 수명 특성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액체 전해질과 대등한 싸이클 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21)

  1. 유기용매, 전해질 염 및 하기 화학식 4로 나타내는 제1 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용 조성물을 중합하여 겔화시킴으로써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에 있어서,
    제1 첨가제로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화학식 1]
    Figure 112016005587882-pat00013

    (상기 식에서,
    R1 내지 R3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5 내지 7의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5의 불소 치환된 알킬기, 또는 에틸 에틸렌기; 또는 상기 R1 내지 R3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서로 결합 또는 연결되어 탄소수 2 내지 6의 환 원자를 가지는 싸이클기, 또는 1 내지 3개의 산소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8의 환 원자를 가지는 헤테로싸이클기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16005587882-pat00025

    (상기 식에서,
    R30 내지 R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q는 1 내지 3의 정수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첨가제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에틸 에틸렌 포스파이트 및 트리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 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첨가제의 함량은 겔 폴리머 전해질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은 제2 첨가제로서 분자 내에 아크릴레이트기가 2개 이상 함유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3a 내지 3c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화학식 3a]
    Figure 112014105099317-pat00014

    (상기 식에서,
    R8, R9, R10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R11는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산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며, 상기 R11는 및 R12가 산소일 경우에는 결합된 탄소 원자와 이중 결합을 형성하고,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o는 0 또는 1 내지 3의 정수이다.),

    [화학식 3b]
    Figure 112014105099317-pat00015

    (상기 식에서,
    R14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Figure 112014105099317-pat00016
    이고, 이때 R18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R19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히드록시 말단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또는 -C-O-CO-CH=CH2이고, R20 및 R21은 -R22-O-CO-CH=CH2 이며, 이때 R22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R15 및 R16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테르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R17은 -C-O-(R24)y-O-CO-CH=CH2 또는 -(R24)y-O-CO-CH=CH2 이며, 이때 R24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y는 0 내지 5의 정수이고, P는 0 내지 5의 정수이다.),

    [화학식 3c]
    Figure 112014105099317-pat00017

    (상기 식에서,
    R25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26 및 R27은 -O-(R23)y-O-CO-CH=CH2 또는 -(R26)y-O-CO-CH=CH2이며, 이때 R23 및 R26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y는 0 내지 5의 정수이다.).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첨가제는 에톡실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프로폭실레이트(3)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실레이티드(6)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첨가제는 겔 폴리머 전해질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은 제3 첨가제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화학식 2]
    Figure 112014105099317-pat00018

    (상기 식에서,
    R4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5 내지 R7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불소 또는 -O-CO-CH=CH2기이며,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2a 또는 화학식 2b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화학식 2a]
    Figure 112014105099317-pat00019


    [화학식 2b]
    Figure 112014105099317-pat00020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첨가제의 함량은 겔 폴리머 전해질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환형 카보네이트, 선형 카보네이트, 락톤, 에테르, 에스테르, 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락탐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비수계 유기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염은 (i) Li+, Na+, 및 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과, (ii) PF6 -, BF4 -, Cl-, Br-, I-, ClO4 -, AsF6 -, CH3CO2 -, CF3SO3 -, N(CF3SO2)2 -, 및 C(CF2SO2)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13. 삭제
  14. 삭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성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4a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화학식 4a]
    Figure 112016005587882-pat00026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성 단량체는 겔 폴리머 전해질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은 중합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중합 개시제는 중합성 단량체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중합개시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디라우릴퍼옥사이드, 디-tert-부틸 퍼옥사이드, 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큐밀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 2,2'-아조비스(시아노부탄), 2,2'-아조비스(메틸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및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20. 양극, 음극,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청구항 1에 기재된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리튬 이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20140150127A 2013-10-31 2014-10-31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63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0360 WO2015065101A1 (ko) 2013-10-31 2014-10-31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JP2015545405A JP6136034B2 (ja) 2013-10-31 2014-10-31 ゲルポリマー電解質及びこれを含む電気化学素子
US14/423,592 US10355309B2 (en) 2013-10-31 2014-10-31 Gel polymer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BR112015005331A BR112015005331B8 (pt) 2013-10-31 2014-10-31 Eletrólito de polímero em gel e dispositivo eletroquímico incluindo o mesmo
CN201480002311.XA CN104919638B (zh) 2013-10-31 2014-10-31 凝胶聚合物电解质和包含其的电化学元件
TW103138006A TWI559597B (zh) 2013-10-31 2014-10-31 凝膠聚合物電解質與含彼之電化學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474 2013-10-31
KR20130131474 2013-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508A KR20150050508A (ko) 2015-05-08
KR101637090B1 true KR101637090B1 (ko) 2016-07-06

Family

ID=5318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127A KR101637090B1 (ko) 2013-10-31 2014-10-31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55309B2 (ko)
EP (1) EP2889946B1 (ko)
JP (1) JP6136034B2 (ko)
KR (1) KR101637090B1 (ko)
CN (1) CN104919638B (ko)
BR (1) BR112015005331B8 (ko)
TW (1) TWI559597B (ko)
WO (1) WO201506510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164A1 (ko) * 2018-02-23 2019-08-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1757135B2 (en) 2018-02-23 2023-09-12 Sk On Co., Ltd. Electrolytic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US11764402B2 (en) 2018-02-23 2023-09-19 Sk On Co., Ltd. Electrolytic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1076B2 (en) * 2016-03-30 2020-03-24 Lg Chem, Ltd.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and gel polymer electrolyte
KR102000101B1 (ko) 2016-03-30 2019-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CN106129468A (zh) * 2016-07-15 2016-11-16 天津大学 一种单离子聚合物凝胶电解质材料的制备方法
EP3361546B1 (en) * 2016-09-02 2023-06-07 LG Energy Solution, Ltd. Gel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0707531B1 (en) 2016-09-27 2020-07-07 New Dominion Enterprises Inc.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KR20180129492A (ko) * 2017-05-26 201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스파이트계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WO2019093862A1 (ko) 2017-11-13 2019-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217107B1 (ko) 2017-11-30 2021-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젤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11404721B2 (en) 2017-12-01 2022-08-02 Lg Energy Solution, Ltd.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20190190065A1 (en) * 2017-12-14 2019-06-20 Nano And Advanced Materials Institute Limited Printable Solid Electrolyte for Flexible Lithium Ion Batteries
CN108281287A (zh) * 2017-12-19 2018-07-13 湖南艾华集团股份有限公司 铝电解电容器用阻燃型光固化凝胶聚合物电解质及制备方法
KR102434066B1 (ko) * 2017-12-21 2022-08-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0840552B2 (en) * 2017-12-29 2020-11-17 Uchicago Argonne, Llc Additives for high voltage lithium ion batteries
CN108199081A (zh) * 2018-01-10 2018-06-22 苏州氟特电池材料股份有限公司 应用于锂电池的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
CN108878969A (zh) * 2018-06-29 2018-11-23 华南师范大学 一种阻燃凝胶聚合物电解质及其制备和应用
KR102617867B1 (ko) * 2018-07-09 2023-12-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체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102391532B1 (ko) * 2018-08-16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KR102234428B1 (ko) * 2018-10-31 2021-03-3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겔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커패시터
CN111384391B (zh) * 2018-12-29 2022-03-11 深圳新宙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镍锂离子电池
CN111384438B (zh) * 2018-12-29 2022-10-18 深圳新宙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非水电解液及锂离子电池
KR102335794B1 (ko) * 2018-12-31 2021-12-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겔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KR102163082B1 (ko) * 2019-11-07 2020-10-0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겔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CN111129583B (zh) * 2019-12-21 2022-12-13 河南电池研究院有限公司 一种凝胶电解质及含有该电解质的锂离子电池的制备方法
CN111499663B (zh) * 2020-04-23 2022-09-09 郑州大学 磷酸酯类交联剂及其制备方法、磷酸酯基交联凝胶聚合物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430780B (zh) * 2020-04-28 2023-03-28 孚能科技(赣州)股份有限公司 电解液原料组合物,电解液及锂离子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CN111834672B (zh) * 2020-07-27 2021-11-30 深圳先进技术研究院 阻燃液态电解质、锂电池及其制备方法
CN114614083B (zh) * 2020-12-03 2024-02-20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凝胶型聚合物及含该凝胶型聚合物的锂离子电池
CN113527161B (zh) * 2021-06-29 2023-08-01 五邑大学 一种阻燃凝胶聚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4254585A1 (en) * 2021-11-12 2023-10-04 LG Energy Solution,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safety
FR3138568A1 (fr) * 2022-07-29 2024-02-02 Saft Elément électrochimique au lithium comprenant une électrode positive à base d’un phosphate lithié de manganèse et de f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835B1 (ko) * 2006-07-26 2007-08-01 한국화학연구원 고분자 전해질용 포스페이트계 아크릴레이트 가교제와,이를 함유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9610B2 (ja) * 1996-08-19 2005-12-21 株式会社デンソー 難燃性固体電解質
JP3082839B2 (ja) * 1997-08-27 2000-08-28 日本電気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6939647B1 (en) 2001-02-13 2005-09-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s and non-aqueous electrolyte cells comprising the same
JP2005019064A (ja) * 2003-06-24 2005-01-20 Canon Inc イオン伝導構造体、二次電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670448B1 (ko) * 2004-05-31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이차전지
JP2006024440A (ja) * 2004-07-08 2006-01-26 Daiso Co Ltd 架橋高分子電解質を用いた電池
US7638243B2 (en) * 2006-03-22 2009-12-29 Novolyte Technologies Inc. Stabilized nonaqueous electrolytes for rechargeable batteries
KR100858418B1 (ko) * 2006-04-11 2008-09-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겔형 고체 전해질
KR100941300B1 (ko) * 2006-09-07 2010-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0906251B1 (ko) * 2006-09-25 2009-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아크릴 아마이드계 중합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젤폴리머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CN105428708B (zh) * 2006-12-21 2020-08-07 株式会社Lg化学 凝胶聚合物电解质组合物、凝胶聚合物电解质及含有其的电化学装置
KR101102729B1 (ko) * 2007-05-23 2012-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JP5681627B2 (ja) * 2009-06-10 2015-03-11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11150920A (ja) * 2010-01-22 2011-08-04 Hitachi Vehicle Energy Ltd 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2012190700A (ja) * 2011-03-11 2012-10-04 Mitsubishi Chemicals Corp 非水系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BR112014030392B8 (pt) 2012-07-10 2023-01-17 Lg Chemical Ltd Bateria secundária incluindo aditivo de eletrólito, dispositivo, módulo e estojo de bateri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835B1 (ko) * 2006-07-26 2007-08-01 한국화학연구원 고분자 전해질용 포스페이트계 아크릴레이트 가교제와,이를 함유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164A1 (ko) * 2018-02-23 2019-08-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1757135B2 (en) 2018-02-23 2023-09-12 Sk On Co., Ltd. Electrolytic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US11764402B2 (en) 2018-02-23 2023-09-19 Sk On Co., Ltd. Electrolytic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36034B2 (ja) 2017-05-31
EP2889946A4 (en) 2015-12-30
BR112015005331A2 (pt) 2017-07-04
WO2015065101A1 (ko) 2015-05-07
TWI559597B (zh) 2016-11-21
BR112015005331B8 (pt) 2023-01-10
TW201530849A (zh) 2015-08-01
EP2889946B1 (en) 2017-07-19
US10355309B2 (en) 2019-07-16
JP2016503572A (ja) 2016-02-04
KR20150050508A (ko) 2015-05-08
EP2889946A1 (en) 2015-07-01
US20160028111A1 (en) 2016-01-28
CN104919638A (zh) 2015-09-16
BR112015005331B1 (pt) 2021-08-10
CN104919638B (zh) 201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090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586199B1 (ko) 전해액 첨가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617408B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0589321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3203566B1 (en) Gel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same
JP6860783B2 (ja) 非水系電解液、及び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KR102000101B1 (ko)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190065156A (ko)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391532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KR102434069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KR20140038171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835166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669218B1 (ko) 겔 고분자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겔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및 리튬전지의 제조방법
KR20120090143A (ko) 겔 고분자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및 겔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KR101102729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2288125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156537B1 (ko) 리튬 폴리머 전지
CN115732748A (zh) 一种磷酸酯类阻燃凝胶电解质及其制备方法
KR102452647B1 (ko) 이온성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전구체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및 리튬 이차 전지
KR102434066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40030457A (ko) 전극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20230029538A (ko)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