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753B1 - Folding multi-purpose stand and portable fold-up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 Google Patents

Folding multi-purpose stand and portable fold-up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753B1
KR101636753B1 KR1020130038139A KR20130038139A KR101636753B1 KR 101636753 B1 KR101636753 B1 KR 101636753B1 KR 1020130038139 A KR1020130038139 A KR 1020130038139A KR 20130038139 A KR20130038139 A KR 20130038139A KR 101636753 B1 KR101636753 B1 KR 101636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delete delete
fixed shaft
folding
electronic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1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1649A (en
Inventor
서준
Original Assignee
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준 filed Critical 서준
Priority to KR1020130038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753B1/en
Publication of KR2014012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6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7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로서 구체적으로는 구부러지면서 접고 펼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메모리가 포함되어 있는 TV 또는 노트북 또는 테블릿PC 또는 모바일폰 또는 게임기 또는 카메라 등의 전자제품 및 통신기기에서 화면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받치며 지지하는 장치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식 또는 병풍처럼 지그재그로 접혀지는 병풍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접었다가 펼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이 접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가 롤 형식으로 말리거나 지그재그로 병풍식으로 접혀져 고정축본체에 형성된 공간 속 안으로 들어가 사용자는 화면의 넓이를 조절하며 활용 할 수 있는 보관과 휴대가 편리한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이면서 양쪽 고정축본체의 배면과 정면 하단에는 지지대와 받침대를 접고 펼 수 있도록 고정축본체와 힌지로 연결되어 있어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로도 사용 가능한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apparatus serving as a folding type cra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apparatus which is foldable and foldable and can be folded and unfolded, a television or a notebook PC including a flexible memory or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mobile phone, The supporting frame, which supports the flexible display on the screen, can be folded and folded like a X-axis, LASIK or zigzag folding screen like a folding screen.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support frame allows the flexible display to be rolled Or folded in a zigzag manner to form a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hich can be moved and stored in a space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fixed shaft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width of the screen, Is associated with the base for the fixed shaft body and the hinge to fold pliers relates to a foldable cradle Combine portable folding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s also usable as a versatile folding rails.

Description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Folding multi-purpose stand and portable fold-up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0001] Folding multi-purpose stand and portable fold-up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

본 발명은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쉽게 구부러져 접고 펼 수 있는 플렉서블기기를 X자 자바라식 또는 지그재그 병풍방식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보관장치를 통해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하며, 플렉서블 화면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folding and folding a flexible device to be folded and folded in X-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size of the flexible screen.

요즘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3106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5212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9731호 등과 같이 전자통신기기 자체에서 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장착하지 않고 필요로 할 때 그 때 마다 메인서버에서 통신으로 지원받아 사용하는 클라우드 기술이 현실화 되고 있으며 전자통신기기 자체도 더 간단하고 축소화 되었으면 하는 욕구들이 존재하여 하드웨어 크기가 계속 얇아지면서 작아지고 있는 추세로 기기의 메모리 크기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기기의 구성이 가능해져 가고 있다. 이렇듯 보관과 휴대가 편리한 휴대용 전자제품이나 통신기기 출현에 대한 욕구가 높아져가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 대부분은 화면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있는데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고 있는 전자제품이나 통신기기를 대표하는 것은 TV, 노트북, 테블릿PC, 스마트폰 등 모바일폰, 게임기, 카메라 등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과 통신기기들이 있다. 기존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제품들은 화면을 구부리거나 접을 수 없는 딱딱한 한 형태이다. 그 이유는 화면인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지거나 접을 수 없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항상 고정된 크기와 모양을 가지게 된다. Nowadays, when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tself, such a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113106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105212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69731, does not install software capable of executing each application, The cloud technology that is supported by communication is being realized, and there is a desire that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tself should be made simpler and smaller, so that the size of the hardware is getting thinner and smaller,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Is becoming possible. As such, the desire for the emergenc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communication devices that are easy to store and carry is increasing. Most of these devices are equipped with a display used as a screen. There are various kinds of electronic products an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game machines, and cameras, such as notebooks, tablet PCs, and smart phones. Products with existing displays are a hard form that can not bend or fold the screen.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display, which is a screen, is made of a rigid material that is not bendable or foldable, so it always has a fixed size and shape.

그렇기 때문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경우 디스플레이 크기나 부피만큼 크기나 모양을 가지게 되어 휴대와 보관의 문제점이 있었다.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the display device has a size or shape as large as a display size or a volume, which poses problems of carrying and storing.

또한, 높은 곳에서 떨어뜨리면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기기 자체가 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play screen or the device itself breaks when dropped from a high place.

그러나 요즘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81556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4525호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연하게 구부러지거나 접힘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 기술들이 연구개발되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3107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0570호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자제품이나 통신기기의 구성요소인 메모리까지도 구부러지거나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메모리 제조 기술이 연구개발되고 있어 전자통신기기 자체도 유연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는 장치나 구조 또는 기기의 연구개발이 대두되게 되었다.Recently, however, as can be seen fro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81556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64525, flexible display manufacturing techniques capable of flexing or folding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93107, As can be seen from 101190570, a flexible memory manufacturing technology capable of bending or folding memory, which is a component of an electronic product or a communication device,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so that a device or structure 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device has come to appea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전자통신기기 자체도 유연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는 장치나 구조 또는 기기의 연구개발이 대두 됨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부러지면서 접고 펼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메모리가 포함되어 있는 TV, 노트북, 테블릿PC, 모바일폰, 게임기, 카메라 등의 전자제품 및 통신기기에서 화면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받치며 지지하는 장치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식 또는 지그재그 병풍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접었다가 펼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이 접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거나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혀져 고정축본체 내부로 들어가 사용자는 화면의 넓이를 조절하며 활용할 수 있는 보관과 휴대가 편리한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이면서 양쪽 고정축본체의 배면과 정면 하단에는 지지대와 받침대가 접고 펼 수 있도록 힌지로 연결되어 있어 접이식 거치대로도 사용 가능한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display or flexi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folding, folding and unfolding while flexibly folding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tself, The supporting frame, which supports the flexible display on screen in electronic products an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Vs, notebooks, tablet PCs, mobile phones, game machines, cameras, etc., which includes memory, is supported by an X-axis Java LASIK or Zigzag screen The flexible display can be folded in roll mode or folded in a zigzag folding mode to enter the inside of the fixed shaft body. The user can adjust the width of the screen, It is a folding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he bottom of the back and the front of the body there is associated with the hinge to expand the support and the stand folded to provide a foldable cradle also available Combine folding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s a foldable cradle.

즉, 본 발명은 자바라 프레임으로 구성된 지지프레임을 원하는 길이만큼 펼쳐 원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화면만큼 보고 사용 후에는 지지프레임을 접어 부피를 줄여 간편하게 보관 또는 휴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장착 된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이면서 책이나 서류 또는 테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 까지도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로도 사용 가능한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flexible display that can be easily stored or carried by folding a supporting frame by folding a supporting frame after viewing and using as much as a desired flexible display screen by extending a supporting frame composed of a bellows frame A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multipurpose folding type cradle tha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such as a book, a document, a tablet PC, or a noteboo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for use with a folding type cradl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A predetermined space 30b is formed in the space 30b and a folding inducing unit 30a is formed in the space 30b and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is fixedly coupled to the folding inducing unit 30a A first fixed shaft main body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10 is drawn into the space portion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and wound on the folding induction means, and a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which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space portion. And each end of the rod means is hinged to the upper and lower inner sides of the first fixed shaft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body to support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 support frame (20) for allowing the flexible display (10) to be pushed into the space part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병풍 방식으로 지그재그 절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 내측에 고정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지그재그 절첩되면서 보관되도록 하는 제 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절첩되어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10 folded in a zigzag fashion;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30b is formed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pace portion 30b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10 is zigzag folded and stored inside the space portion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 are fixed and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folded into the space portion and the pulling is completed, 2 fixed shaft main body 30 composed of fixed shaft main body; A pair of rod means hinged to each other on the central portion so that each end of the rod means is hing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shaft bodies to support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 support frame (20) for allowing the flexible display (10) to be pushed into the space part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판재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막대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10); A predetermined space 30b is formed in the space 30b and a folding inducing unit 30a is formed in the space 30b and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is fixedly coupled to the folding inducing unit 30a A first fixed shaft main body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10 is drawn into the space portion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and wound on the folding induction means, and a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which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space portion. And a plurality of bars having a plate shape are folded and unfolded in a zigzag manner so as to be unfolded to support the flexible display (1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lexible display And a support frame (20) for allowing the support frame (10) to be pushed in.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병풍 방식으로 지그재그 절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 내측에 고정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지그재그 절첩되면서 보관되도록 하는 제 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절첩되어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판재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막대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10 folded in a zigzag fashion;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30b is formed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pace portion 30b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10 is zigzag folded and stored inside the space portion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10 are fixed and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folded into the space portion and the pulling is completed, 2 fixed shaft main body 30 composed of fixed shaft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bars having a plate shape are folded and unfolded in a zigzag manner so as to be unfolded to support the flexible display (1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lexible display And a support frame (20) for allowing the support frame (10) to be pushed i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안테나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는 제 1 고정축본체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 2 고정축본체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에 미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 내측으로 밀려들어간 후 측면이 상호 밀착되고,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에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외측으로 인출되어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가 상호 이격된 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serving as a folding type cradl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10; A predetermined space 30b is formed in the space 30b and a folding inducing unit 30a is formed in the space 30b and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is fixedly coupled to the folding inducing unit 30a A first fixed shaft main body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10 is drawn into the space portion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and wound on the folding induction means, and a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which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space portion. And one e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xed shaft body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xed shaft body. When the pushing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fixed shaft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body The flexible display 10 is push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so that the side surfa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orce pulled by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And a support frame 500 which is drawn out to support the flexible display 10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ed shaft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bod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나선형 스프링(605)에 의하여 탄력 지지토록 되는 회전드럼(610)과 상기 회전드럼(610)의 회전을 제어토록 하기 위한 단속수단(620)을 포함하는 자동고정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10; A predetermined space 30b is formed in the space 30b and a folding inducing unit 30a is formed in the space 30b and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is fixedly coupled to the folding inducing unit 30a A first fixed shaft main body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10 is drawn into the space portion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and wound on the folding induction means, and a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which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space portion. A pair of rod means hinged to each other on the central portion so that each end of the rod means is hing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shaft bodies to support the flexible display 10 , A support frame (20) for pushing the flexible display (10) into the space part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hereto; And an automatic fixing means 620 including a rotary drum 610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iral spring 605 and an interruption means 62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drum 610, 600).

상기 회전드럼(610)의 상면에 슬라이드홈(630)내에서 이동되는 보울(640)의 미끄럼 운동을 위한 궤도홈(650)을 형성하고, 상기 궤도홈(650)에는 단속수단 홈(660a)(660b)를 형성하여 보울(670)의 구름 운동에 의하여 회전드럼(610)이 정회전과 역회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rbital groove 650 for sliding movement of the bowl 640 moved in the slide groove 6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drum 610 and the orbital groove 650 is provided with a stopper groove 660a 660b are formed to allow the rotary drum 610 to perform the normal rota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by the rolling motion of the bowl 670. [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배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며, 펼쳐진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는 지지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lexible display 10 is hing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and is folded or unfolded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hereto.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unfolded, ). ≪ / RTI >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전면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받침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edestal (50) hinged to a lower front end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and folded or unfolded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hereto.

상기 받침대(50)에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50)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연동하여 접히고 펼쳐지며,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위치하는 수단이 지지프레임(20)에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어있는 고정프레임(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elastic means coupled to the pedestal 50 by a hinge so as to be folded and unfolded when the pedestal 50 is folded or unfolded and to fix the means placed on the support frame 20 to the support frame 20 And a fixing frame (60) which is provided on the base.

상기 지지프레임(20)은, 포개진 2개의 막대수단이 X자형으로 펼쳐지고 일자형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막대수단의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어 X자 자바라 모듈의 기본 단위로 하여, 복수개가 힌지 결합되어 자바라 프레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ing frame 20 is hinged at the center of the rod means so that the two bar means are folded in an X-shape and folded in a straight line, so that a plurality of the bar units are hinged together as a basic unit of the X- .

상기 공간부(30b) 내측에는, 전자통신기기 제어구동수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driving means is mounted inside the space portion 30b.

상기 전자통신기기 제어구동수단은, CPU, GPU, SoC, RF 및 배터리, 마이크로마이크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and driving means may be at least one of a CPU, a GPU, an SoC, an RF, a battery, a micro-microphone, and a speaker.

상기 제 2 고정축본체 내부 상단에 일정 깊이의 세로 방향으로 긴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고정축본체 내부 상단에 형성된 홈에 삽입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혀지고 펼쳐질 때 상기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상단 연결부(70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fixing shaft body has a longitudinal groov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fixing shaft body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ing frame 20, And an upper connection part 70a which is vertically moved along the groove when the support frame 20 is folded and unfolded.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내부 하단에 일정 깊이의 세로 방향으로 긴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내부 하단에 형성된 홈에 삽입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혀지고 펼쳐질 때 상기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하단 연결부(7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fixed shaft body has a longitudinally lo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t a lower end of the first fixed shaft body an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ing frame 20, And a lower end connecting portion 70b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roove when the supporting frame 20 is folded and unfolded.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세로방향으로 긴 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30c)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30a)의 홀에 상기 X자 자바라 모듈 상호 간을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킨 힌지모듈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ing frame 20 further includes a guide member 30c having elongated hol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hinge 30a includes a hinge And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modul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and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hole.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응하여 텍스트,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가지는 출력기기(1a); 상기 제 1 장치(1a)로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입력메뉴항목이 화면상으로 출력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가지는 입력기기(1b); 및 상기 출력기기(1a) 하단에 입력기기(1b)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기기결합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utput device (1a) having a flexible display (10) for outputting text and images visually in response to 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 flexible display 10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input menu items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signal such that at least one of text and images is outputted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10 to the first device 1a; An input device 1b having an input device 1b; And a device coupling unit 80 for coupling the input device 1b so that the input device 1b is rotatable at the lower end of the output device 1a.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lexible display 10 is a touch screen.

상기 출력기기(1a) 및 상기 입력기기(1b)는,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utput device 1a and the input device 1b ar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30b and the space portion 30b is provided with a folding induction means 30a, The flexible display 10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10 and is wound on the folding inducing means, And a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space A fixed shaft body (30); And each end of the rod means is hinged to the upper and lower inner sides of the first fixed shaft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body to support the flexible display (10) The support frame 2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rame 20 for allowing the flexible display 10 to be pushed into the space portion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hereto.

상기 제 2 고정축본체는, 고정축본체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본체의 공간부 내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결합고정되어 있는 접힘유도수단(30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fixed shaft main body space portion and a folding induction means 30a is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and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is fixedly engaged .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배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며, 펼쳐진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는 지지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lexible display 10 is hing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and is folded or unfolded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hereto.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unfolded, ). ≪ / RTI >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전면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받침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edestal (50) hinged to a lower front end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and folded or unfolded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hereto.

상기 출력기기(1a)는,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배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며, 펼쳐진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는 지지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utput device 1a is hing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fixing shaft main body and the second fixing shaft main body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hereto and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unfolded, And a support base (40) which is inclined at an inclination angle.

상기 출력기기(1a) 및 상기 입력기기(1b)는,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전면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받침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utput device (1a) and the input device (1b) include a pedestal (50) hinged to the lower front end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and folded or unfolded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And further comprising:

상기 입력기기(1b)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상에 출력되는 복수의 입력메뉴항목은, 키보드, 프로그램 실행명령이 링크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아이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lurality of input menu items outputted on the flexible display 10 of the input device 1b are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image icons to which a keyboard and a program execution command are linked.

상기 입력기기(1b)의 고정축본체(30) 하부면 각 끝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다리(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lurality of legs 90 hinged to be rotatable on the lower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30 of the input device 1b.

상기 다리(9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다리 연결수단(90a)이 더 포함되며, 대향하는 다리(90)에 구비된 다리 연결수단(90a) 상호간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leg connecting means 90a hinged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leg 90 so as to be pivotally connected to the leg connecting means 90a provided on the opposite leg 90. [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힌지 결합부 중 하나와 끼워져 결합되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홀(110b)이 형성된 판형 보강부재(110b)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 보강수단(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late-like reinforcing member 110b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0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110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be engaged with one of the hinge- And a frame reinforcing means (110).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의 X자 자바라 모듈의 중앙 힌지 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inge coupling portion is a central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X-bellows module of the support frame 20. [

상기 고정축본체(30) 하부면 및 상기 지지대(40) 하부면에 미끄럼방지부재로 이루어진 바닥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bottom portion 120 formed of a non-slip memb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shaft body 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40.

상기 지지대(4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홀(100a); 및 일단부는 상기 고정축본체(30) 배면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홀(100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경사조절수단(100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lurality of holes 100a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40 at regular intervals; And a tilt adjusting means 100b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shaft body 30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other end formed with a projection inserted and fixed to the hole 100a. do.

상기 접힘유도수단(30a)은, 상기 고정축공간부(30a)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수단(R); 일단부는 상기 고정수단(R)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에 결합고정되는 탄성수단(C); 끝단부가 빗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수단(C)에 고정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상기 고정수단(R)에 밀착되도록 밀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고정수단(R)가 감겨지지 않도록 하고,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고정수단(R)에 공간이 형성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탄성수단(C)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R)에 감겨지도록 하는 눌림스위치수단(S); 및 상기 눌림스위치수단의 빗면이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눌려지고,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빗면을 가지는 누름수단(T)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olding inducing means 30a includes fixing means R provided inside the fixed shaft space portion 30a; An elastic means (C)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xing means (R) and the other end fixed to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flexible display 10 fixedly coupled to the elastic means C is push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means R, R is not wound and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so that a space is formed in the flexible display 10 and the fixing means R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10 is fixed to the fixing means R by the elastic means C, (S) to be wound on the winding means (S); And pushing means (T) means having an oblique surface that is pressed when the oblique surface of the push switch means moves downward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it moves upward.

상기 접힘유도수단(30a)은, 상기 고정축본체(30) 중 제 1 고정축본체 공간부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olding guide means 30a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space portion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30, respectively.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공간부 또는 제 2 고정축본체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후 상기 공간부 내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를 구비시키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마이크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전자통신기기 제어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flexible display (10) in the space portion after forming a space portion in the space of the first fixed shaft body or the second fixed shaft body,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nd a video signal is outputted to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n audio signal is outputted to the speaker, and a signal outputted through a microphone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electronic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to receive input.

상기 전자통신기기 제어장치는, 비디오 신호, 텍스트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10)와,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면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송출하는 통신부(22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전원스위치(230)와, 상기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저장부(210)로부터 접이식 전자 통신 기기의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화면상에 복수의 메뉴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메뉴항목 중 하나의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저장부(210)로부터 읽어들이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4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위치인식용 포인트를 감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크기를 지속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240)로 출력하는 화면크기 감지부(250)와,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면크기 감지부(250)에서 감지된 화면크기에 대응하는 영상출력화면 데이터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260)로 구성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터치스크린이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소정 위치가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물리적 힘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메뉴항목을 인식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하단부에는 위치인식용 포인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device includes a storage unit 210 storing a video signal, a text signal, and an audio signal, and storing a driving program of th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a storage unit 210 receiving data, A power switch 230 for receiving driving power from the battery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control unit 23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from the storage unit 210 when the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provide a plurality of menu items on the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d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menu items is selecte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tem is read from the storage unit 210, Or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and output on the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10, A control unit 240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to the control unit 240 and a control unit 240 for continuously sensing the screen size of the flexible display 10 by detecting an edible point at a position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 image processing unit 260 for outputting image output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a screen size sensed by the screen size sensing unit 250 to the flexible display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40, And the control unit 240 detects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lexible display 10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pressed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pressed and recognizes the corresponding menu item And an edible point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의 화면이 되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구부러지며 롤 식으로 말리든지 지그재그 접힐 수 있고,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받쳐주는 지지프레임은 X자 자바라 프레임 또는 지그재그 로 접히는 병풍식 프레임으로 되어 있어 접고 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본 발명품을 사용 시에는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펼쳐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접어둔 상태로 보관 또는 휴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구부러지고 접고 펼 수 있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 자체 기능에 충실한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로서 사용은 물론 접고 펼 수 있는 지지대 및 받침대 등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목적에 따라 책을 볼 때 사용하는 독서대나 워드 작업 또는 면접이나 강의 기타 회의 또는 연설 때 서류나 문서를 올려 활용하는 서류스탠드나 사진 액자나 그림 액자를 올려 사용하는 전시용품 거치대나 테블릿 PC나 노트북 및 전자계산기 등 전자제품 또는 통신기기를 거치하며 사용하는 접이식 스탠드로서의 기능 등 다목적 거치대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display which is a screen of a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serving as a folding type cradle can be folded and folded in a roll manner or in a zigzag fashion, and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flexible display can be folded into an X- Frame and can be folded and unfolded. Therefore, when the user uses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display and the support frame can be unfolded and used. After use, the flexible display and the support frame can be stored or carried in a folded state . Therefore, it can be folded, folded and unfolded. It can be used as a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faithful to the function of the flexible display itself. It also includes a supporting stand and a stand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A folding table used for putting paper documents or documents in meetings or speeches of a lecture, a display stand for using a photo frame or a picture frame, a folding table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or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tablet PC, a notebook or an electronic calculator It can also be used as a multi-purpose stand such as a function as a stand.

특히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하든지 TV 및 노트북 및 테블릿PC 및 모바일폰 및 게임기 및 카메라 등의 각 기능을 갖추든 모든 기능을 갖추든지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구체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자만 고정축본체공간부에는 각 전자제품 및 통신기기를 구성하는 CPU 및 GPU 및 SoC 등과 전지나 RF 안테나 및 마이크로 마이크나 스피커 등 전자 및 통신기기 부품이나 시스템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어 멀티 전자제품 및 정보통신기기로서 필요로 하는 기능에 필요한 발명 구성을 추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not specifical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ave all the functions such as the use of a cloud system, a TV, a laptop, a tablet PC, a mobile phone, a game machine and a camera, Part may include a CPU, a GPU, a SoC, etc. constituting each electronic product and a communication device, and an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device part or a system component such as a battery, an RF antenna, a micro-microphone or a speaker,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addition of the inventive configuration necessary for the required function can be carried out.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 시 화면 넓이를 조절하며 사용 할 수 있는 멀티 전자기기 및 정보통신기기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하면서도 독서대 등 다용도 거치대로도 사용가능한 보관 또는 휴대에 있어서는 편리한 효과가 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제공 받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adjust the screen width in use and use th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convenient folding function that can be used as a multipurpose cradle such as a reading book while having a function as a multi electronic device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used.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든 또는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침 상태에서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된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에서 접힘과 펼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접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의 사시도 및 고정축본체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접힘에서 손으로 펼쳐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 또는 지그재그 병풍식으로 접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든 또는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화면까지 표시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된 일 실시 예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에서 접힘과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접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의 사시도 및 고정축본체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접힘에서 손으로 펼쳐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지그재그 병풍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든 또는 지그재그 병풍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지그재그 병풍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된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지그재그 병풍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에서 접힘과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접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의 사시도 및 고정축본체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지그재그 병풍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든 또는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접힘에서 손으로 펼쳐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지그재그 병풍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침 상태에서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된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지그재그 병풍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에서 접힘과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접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의 사시도 및 고정축본체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두 개를 기기결합부로 연결하여 구성한 노트북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의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노트북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상단 구조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노특북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상단에서 접힘과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접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의 사시도 및 고정축본체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노트북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접힘에서 손으로 펼쳐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들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쳐지는 경우 자판 및 화면이 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의자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의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의자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상단 구조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의자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상단에서 접힘과 펼쳐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접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의 사시도 및 고정축본체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접힘에서 손으로 펼쳐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들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쳐지는 경우 자판 및 화면이 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멀티 전자통신 기기에서 경사조절부 및 고정걸이결합부 및 바닥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8 및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멀티 전자통신 기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멀티 전자통신 기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 내지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멀티 전자통신 기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멀티 전자통신 기기의 회로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n unfolded state of a folding type electronic folding type tele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X-shaped Bellows type and a flexible display is rolled or folded in a zigzag folding mod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ed typ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X-bellows type and a flexible display is rolled in a rolled manner. Front view.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folding and unfolding state of a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a folding type folding type in which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X-shaped braille type and a flexible display is rolled, and FIG. Fig. 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space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Fig.
FIG. 4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by hand in a folding type electronic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a folding type folding typ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is rolled by an X-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upport frame is folded in an X-axis bellows type or a zigzag folding mode and the flexible display is folded in a roll mode or in a zigzag folding mode to be.
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upper end connecting portion and a lower end connecting portion in an unfolded state of a folding type electronic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in a zigzag folding manner and the flexible display is folded in an X- This is a front view of the example.
FIG. 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folded and unfolded state of a folding type electronic folding type tele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in a zigzag folding mode and the flexible display is folded in an X- And a fixed shaft main body space portion.
8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by hand in the folding of the folding type electronic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folding in the zigzag folding mode and the flexible display is folded in the X-direc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n unfolded state of a folding type electronic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in a zigzag folding mode and a flexible display is rolled or folded in a zigzag folding mode.
FIG. 10 is a front view of a partially-sighted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top connecting portion and a bottom connecting portion in a folded typ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the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in a zig- to be.
1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folded and unfolded state of a folding type electronic folding type telecommunication device with a folding type folding type display device in which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in a zigzag folding mode and a flexible display is rolled; Fig. 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shaft main body space portion.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in a folded state of th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apparatus folded in a zigzag folding mode and the flexible display is folded in a roll mode or in a zigzag folding mode, These are frontal views.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ed type electronic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in a zigzag folding mode and a flexible display is folded in a zigzag folding mode, Front view.
FIG. 1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folded and unfolded state of a folding type electronic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in a zigzag folding mode and a flexible display is folded in a zigzag folding mode, and FIG. Fig. 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space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Fig.
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s folded together with two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which are foldable typ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in which a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X- And FIG.
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both the fol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notebook type fol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the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X- This is a front view of the example.
1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folded state and a folded state at the top of a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non-custom-shaped foldable type foldable type foldable tele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X- And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space portion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18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by hand in a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of a fol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ype with a notebook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in which a flexible display is rolled in an X-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n unfolded state of a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for both a notebook type folding typ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keyboard and a screen are exposed when th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s folded and fol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n unfolded state of a chair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X-shaped braille type and a flexible display is rolled.
2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upper end connecting portion and a lower end connect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a top structure of a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ombined with a chair type folding type cradle in which a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X- This is a front view of the example.
FIG. 2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state where the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nd unfolded at the top of a chair-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the support frame is of the X- And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art of the perspective view and the fixed shaft body space portion.
FIG. 24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for folding a chair type folding typ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olding the folded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by hand; FIG.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n unfolded state of a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for both a chair type folding typ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keyboard and a screen are exposed when th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s folded and fol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inclination adjuster, the fixed hook coupling portion, and the bottom of the folding type multi-folding tele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8 and FIG. 31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folding type multi-electronic communication apparatus serving as a folding typ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folding type multi folding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3 to 3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folding type multi-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serving as a folding typ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6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folding type multi folding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은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serving as a folding type cradl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받친 상태로 지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지지프레임(20)과, 일측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히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말리거나 접힌 상태로 보관되는 복수의 고정축본체(30)와, 상기 고정축본체(30)의 소정 영역에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대(40)와, 상기 고정축본체(30)의 후면 양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받침대(50)로 구성된다.
A flexi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10); a support frame (20)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flexible display (10); a space portion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plurality of support shafts (30) hinged to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30), wherein the flexible display (10) is folded or folded into the space portion 40 and a plurality of pedestals 50 hinged to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30. [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외압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면서 접히거나 펼 수 있는 화면으로 TV 또는 노트북 또는 테블릿PC 또는 모바일폰 또는 게임기 또는 카메라 등의 전자제품 및 정보통신기기의 화면을 의미한다.The flexible display 10 refers to a screen of electronic product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TV, a notebook, a tablet PC, a mobile phone, a game machine, a camera, or the like as a screen that can be bent or folded easily by external pressure.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에는 플렉서블 메모리가 포함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The flexible display 10 may include a flexible memory.

상기 지지프레임(20)은 X자 자바라 방식 또는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고 펼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고정축본체(30)의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보관될 때 지지프레임(20)이 X자 자바라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말리는 방식으로 접혀지고, 지지프레임(20)이 지그재그 병풍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병풍처럼 절첩되는 방식으로 접혀진다.
The support frame 20 has a structural feature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in an X-axis bellows type or a zigzag screen type. When the flexible frame is stored in the space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30, the support frame 20 is folded in a dry manner when the support frame 20 is realized by the X-bellows type, and the support frame 20 is implemented in a zigzag screen If folded like folding screen folds.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히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롤 방식으로 말리거나 병풍 방식으로 지그재그로 절첩되어 고정축본체(30)에 형성된 공간부 내로 인입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의 일부는 공간부에 인입되고 나머지는 외부로 노출되어, 원하는 화면크기를 가지도록 조절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pport frame 20 is folded, the flexible display 10 is rolled in a roll manner or folded in a zigzag manner in a folding manner to enter the space formed in the fixed shaft body 30, A part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10 is drawn into the space and the rest of the screen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screen can be adjusted to have a desired screen size.

복수의 지지대(40) 및 복수의 받침대(50)는 복수의 고정축본체(30)에 힌지결합되어 있어, 고정축본체(30)에 대해 접히거나 펼 수 있어, 본 발명인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가 접이식 거치대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supports 40 and the plurality of pedestals 50 are hinged to the plurality of fixed shaft bodies 30 so that they can be folded or unfolded relative to the fixed shaft body 30 so that the portable folding- The communication device can also be used as a folding stand.

상기 본 발명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서 전자통신기기는 전자제품과 정보통신기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자통신기기라 한다.In the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generally refers to an electronic product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is referred to as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도 5 및 도 20 및 도 26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TV나 노트북과 테블릿PC나 스마트폰 등 모바일폰과 게임기나 카메라 등 다양한 전자제품 및 통신기기의 화면으로 적용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 및 도 7 및 도 8 및 도 11 및 도 12 및 도 14 및 도 17 및 도 18 및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지며 말리거나 지그재그로 접혔다 일자로 펼쳐질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5, 20, and 26, the flexible display 10 is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n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TV, a notebook PC, a tablet PC,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game machine, and a camera As shown in Figures 3 and 4 and 7 and 8 and 11 and 12 and 14 and 17 and 18 and 23 and 24, in a curved, curled or zigzag folded .

상기 도 1 및 도 2 및 도 6 및 도 15 및 도 16 및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며 접힘과 펼침이 되는 장치로서 포개진 2개의 막대가 X자형으로 펼쳐지고 일자형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막대의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든지 또는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힌지가 결합되지 않든지 자바라 모듈을 기본 단위로 하여 상기 자바라 모듈은 좌우로 자바라 프레임을 이루는 자바라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기도 하고 상기 도 9,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나 있듯이 여러 개의 막대가 일자형 수직으로 계속 붙여져 하나의 판자 형태로 되어 지그재그로 접혀지고 펼쳐 질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될 때는 결합방식으로 장석을 이용하는 방식과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이 있다.As shown in FIGS. 1, 2, 6, 15, 16, 21, and 22, the support frame 20 supports the flexible display 10 in an unfolded state, The bellows module can be folded in a Z-shape and can be folded in a straight line, or the middle part of the bar may be hinged or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the hinges may not be coupled. As shown in FIGS. 9, 10, and 13, a plurality of bars may b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onnected to form a single plate, and may be folded and unfolded in a zigzag fashion. Lt; / RTI > At this time, there is a method of using a feldspar in combination and a method of combining using a flexible member made of a connecting material.

자바라 지지프레임을 구성할 때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개이상의 자바라 모듈을 결합시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결합되는 자바라 모듈의 수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0)이 펼쳐졌을 때의 넓이 또는 촘촘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When constructing the bellows support frame, as described above, two or more bellows modules can be combined.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bellows modules to be coupled, the width or the degree of tightness of the support frame 20 when the support frame 20 is unfolded can be controlled.

상기 지지프레임(2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의 보관 또는 휴대 시에는 접혀진 상태가 되며 본 발명의 요지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이 X자 자바라 구조 형태와 지그재그 병풍 구조로 이루어져 펼침과 접힘이 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이다.The supporting frame 20 is folded when the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or carri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frame 20 has an X-shaped bellows structure and a zig-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folded and folded.

상기 도 1, 도 3, 도 6, 도 7, 도 10, 도 11, 도 13, 도 14, 도 16, 도 17, 도 22 및 도 23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본체(3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좌우측단에 연결되고 도 4, 도 8, 도 12, 도 18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펼침과 접힘에 있어서 양 축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통신기기를 책 등의 거치대로 사용할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가해지는 도서 등의 무게를 나누어 담당한다. 상기 양쪽 고정축본체(30)는 형상을 달리함에 따라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통신기기의 전체적인 디자인이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 고정축본체(30)가 사각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전자통신기기의 모양을 사각형상을 이루게 되고, 반원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전자통신기기의 모양이 원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1, 3, 6, 7, 10, 11, 13, 14, 16, 17, 22 and 23, As shown in FIGS. 4, 8, 12, 18, and 24, the flexible display 10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cts as both axes in the spreading and folding of the flexible display 10, When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o which the invention is applied is used as a stand such as a book, the user takes charge of dividing the weight of books and the like applied to the support frame 20. As the two fixed shaft bodies 30 have different shapes, the overall design of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when the two fixed shaft main bodies 30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shape of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becomes a square shape, and when the two fixed shape shaft main bodies 30 have a semicircular shape, the shape of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an have a circular shape.

또한, 상기 고정축본체(30)의 형상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이 되기도 하고 도서 한권 크기가 되기도 하는 등 본 발명의 전체적인 디자인도 상기 고정축본체(3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양 고정축본체(30)는 각각 막대 하나 형태 구성 될 수도 있고 막대 2개 이상이 힌지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여러 모양과 다자인으로 형상화 될 수 있다.Also, the overall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ixed shaft body 30, such as a single frame or a single book siz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30. Therefore, each of the two fixed shaft main bodies 30 may be formed as one rod, or two or more rods may be connected by a hinge, and may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and shapes.

상기 도3, 도7, 도11, 도14, 도17 및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본체(30)속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힘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지그재그 병풍 방식이나 롤 방식으로 말려 접힐 수 있으며, 롤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감을 수 있는 봉형상의 감김장치가 구성되고, 지그재그 병풍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접힘장치(30a)가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7, 11, 14, 17, and 23, a space is formed in the fixed shaft body 30 to support the support frame 20 ) And the flexible display 10 can be folded in a zigzag folding mode or a roll mode, and a bar-shaped winding device capable of winding a flexible display when implemented in a roll mode is constituted. In a zigzag folding mode, A folding device 30a for folding is constructed.

또한, 각 전자통신기기인 TV, 노트북, 테블릿PC, 모바일폰, 게임기, 카메라 등 다양한 전자제품 및 정보통신 기기를 구성하는 CPU 및 GPU 및 SoC 등 플렉서블 메모리인 플렉서플 PCB 및 RF 시스템인 안테나 및 마이크 및 스피커 및 배터리 등 각 전자통신기기를 구성하는 여러 구성 요소가 필요한 기능에 따라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는 공간으로 고정축본체공간부(30b)가 형성된다.In addition, CPU, GPU and SoC which constitute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V, notebook, tablet PC, mobile phone, game machine, camera, etc., which are each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flexible sheet PCB and RF system, A fixed shaft main body space 30b is formed in a space in which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each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icrophone, a speaker, and a battery are included according to a required function.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양 고정축본체(30)의 배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의 사용 시 경사를 확보주면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The support base (40) is hing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both fixing shaft main body (30) and serves to support the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hile ensuring the inclination when using the fol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도 1, 도 5, 도 9, 도 15,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도면을 통해 상기 지지대(40)의 결합 형태와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40) 결합을 위해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양 고정축본체(30)의 배면에 고정블럭 형태의 결합을 시키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양 고정축본체(30)에 홈을 형성시키고, 이 홈에 힌지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도록 구현한다.1, FIG. 5, FIG. 9, FIG. 15, FIG. 19 and FIG. 20,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support 40 can be grasped. The support shaft 40 is not shown in the figure but has a structural feature that a fixed block type coupling is made to the back surface of the both fixed shaft main bodies 30, And a hinge is used to join the groove.

상기 지지대(40)에는 고정블럭을 감싸며 고정핀 형태의 힌지에 의하여 결합 될 수 있도록 ‘ㄷ'자형의 결합부와 고정핀 힌지의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The supporting block 40 is formed with a groove for engaging a 'C' -shaped engaging portion and a fixing pin hinge so as to be engaged with a fixing pin-shaped hinge.

또한,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고정축본체(30)에 홈을 파고 힌지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지대(40)는 다양한 형태와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er 40 may be coupled to the fixed shaft body 30 by a hinge.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base 4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modifications.

받침대는(50)는 상기 양 고정축본체(30)의 전면 하단에 도 1,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본체(30) 전면 하단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힌지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한편,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고정블럭 형태의 결합구조물을 채용하고, 이 고정블록에 고정핀 힌지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50)는 상기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거치대 용도로 사용 시 도서 등 물건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그 결합의 형태는 상기 지지대(4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홈을 파고 힌지로 결합 하든 고정블럭으로 튀어나오게 하여 결합을 하든 다양한 형태와 변형으로 실시를 할 수 있다. 1, 5, and 9, the pedestal 5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th fixed shaft body 30 with a groove at the lower front of the fixed shaft body 3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fixed block type coupling structure may be employed and the fixed block may be coupled to the fixed block using a hinge pin. The pedestal 50 may be a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folding type When a communication device is used as a cradle, it plays a role of supporting books and other items. The shape of the coupling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support member 40, such as by engaging a groove, coupling with a hinge or protruding into a fixed block.

상기 고정프레임(60)은 도 1, 도 5 및 도 9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50)에 힌지로 연결되어 거치대로 사용 시 도서나 서류 또는 테블릿 PC 등을 오렸을 때 책 등이 뜨지 않고 책 등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더 편리하게 사용하게 위하여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 텐션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1, 5, and 9, the fixed frame 60 is hinged to the pedestal 50, and when the pedestal 50 is hinged, when a book, a document, a tablet PC, A book or the like can be fixed without lifting up, and a tension function composed of a spring or the like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to make it more convenient to use.

상기 상단연결부(70a)는 도 2, 도6, 도 16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 프레임으로 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경우 상기 양쪽 고정축본체(30)의 상단에 가운데 형성된 가이드와 레이홈으로 파인 홈이 있어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양 고정축본체(30)가 연결되도록 힌지로 결합을 이루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펼침과 접힘에 따라 상기 양쪽 고정축본체(30)의 상단 가운데 파인 홈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운동을 하며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이 펼쳐질 때에는 상기 상단 연결부(70a)는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상단에 파인 홈 내의 하단에 걸리게 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혀질 때에는 상기 상단 연결부(70a)는 위로 이동하여 상기 상단에 형성된 파인 홈 내의 상단에 걸리게 되는데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실시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2, 6, 16 and 22, in the case of the support frame 20 formed of an X-shaped frame,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70a is formed with a guid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th fixed shaft bodies 30 And has a groove recessed in the form of a ray groove so as to be coupled by a hinge such that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two fixed shaft main bodies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spreading and collapsing of the support frame 20, ) In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of the pinch groove. When the supporting frame 20 is unfolded,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70a moves downward and is hooked to the lower end of the groove at the upper end. When the supporting frame 20 is folded,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70a moves upward And is hooked on the upper end of the fine groove formed at the upper end, the embodiment can be confirm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단 연결부(70b)는 도 2, 도6, 도 16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 고정축본체(30)의 하단 가운데에 형성된 가이드와 레이홈으로 파인 홈이 있어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양 고정축본체(30)가 연결되도록 힌지로 결합을 이루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펼침과 접힘에 따라 상기 고정축본체(30)의 하단 가운데 파인 홈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운동을 하며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2, 6, 16, and 22,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70b has a groove formed in a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both fixing shaft main body 30 and has a groove with a ray groove,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so as to be slidable upwardly and downwardly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fixed shaft body (30) in accordance with the spreading and folding of the support frame .

즉, 첨부 도면 도 2, 도6, 도 16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이 펼쳐질 때에는 상기 하단 연결부(70b)는 위로 이동하여 상기 하단에 파인 홈 안의 상단에 걸리게 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혀질 때는 상기 하단 연결부(70b)는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하단에 형성된 파인 홈 내의 하단에 걸리게 된다.2, 6, 16, and 22, when the support frame 20 is unfolded, the lower end connecting portion 70b moves upward and is hooked on the upper end of the recessed groove at the lower end, When the support frame 20 is folded, the lower end connecting portion 70b moves downward and is caught by the lower end of the fine groove formed at the lower end.

중앙연결부(70c)는 도 1, 도 2, 도 6, 도 15, 도 16,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이 X자 자바라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경우 X자 자바라 프레임을 더 촘촘하게 구성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중앙연결부(70c)는 X자 자바라 프레임 중앙에 수직으로 가이드를 형성시키고, 가이드에 레이홈을 길게 파서 형성시킨 프레임으로, 상기 중앙연결부(70c)는 X자 자바라 형태의 상기 지지프레임(20)의 X자 중앙과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본체(30)의 공간부(30a) 내측으로 인입되어 보관된다. As shown in FIGS. 1, 2, 6, 15, 16, 21 and 22, when the support frame 20 is formed of an X-shaped bellows frame, And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70c is formed by vertically forming a guide in the center of the X-shaped bellows frame, forming a guide groove in the guide, And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70c is hinged to the X-axis center of the support frame 20 of the X-shaped bellows type and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30a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30 and stored.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이 병풍 처럼 지그재그 접히는 병풍식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연결부(70a) 및 상기 하단 연결부(70b) 및 상기 중앙 연결부(70c)가 구성되지 않고 X자 자바라 형태의 상기 지지프레임(20)의 경우만이 해당 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이 병풍식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경우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본체(30)의 공간에 형성된 상기 접힘 장치(30a) 상기 지지프레임(20) 면이 접착 또는 연결된다.9, 10, 11, 12, 13 and 14, when the support frame 20 is folded in a zigzag fashion as a folded screen, Only the case of the support frame 20 of the X-shaped bellows type without the lower end connection portion 70b and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70c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support frame 20 is a frame type frame, The folding device 30a formed in the space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30 is bonded or connect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0 as shown in FIGS. 10, 11, 12, 13 and 14.

본 발명은 도 4,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크기를 조절하며 전자통신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후 보관 및 휴대의 간편성과 거치대로도 사용이 가능 하다는 것이 가장 큰 효과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는 상기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대(40), 상기 받침대(50) 등이 독립적으로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5, and 9,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storage and portability after use, The biggest effect is that it can be used as a stand. The supporting frame 20, the support base 40, the pedestal 50, and the like can be folded and unfolded independently in th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와 같이 각 부분의 접힘과 펼침을 통하여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가 소형 책 한권 크기나 프레임 모양으로 손안이나 호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휴대 가능한 크기가 되어 위에서 언급한 원하는 길이만큼 펼쳐 원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화면만큼 보고 사용 후에는 지지프레임을 접어 부피를 줄여 간편하게 보관 또는 휴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이면서 책이나 서류 또는 테블릿 PC 및 노트북 등 까지도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거치대로도 사용 가능한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제공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함으로써 보관 및 휴대의 간편성까지 확보할 수 있었다.That is, by folding and unfolding each part as described above, the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an be folded into a small size book or a frame shape in a hand or a pocket, It is a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flexible display that can be stored or carried easily by folding the support frame after using the display screen as much as the display screen, and various books, documents, tablet PCs and notebooks can be mounted Th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hich can be used as a multi-purpose stand which can be used as a folding type portable cradle can solve the technical problem of providing portable and easy to carry.

한편, 도15 내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워드 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제공을 위하여 상기의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의 상기 양쪽 고정축본체(30) 아래와 다른 상기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의 상기 양쪽 고정축본체(30) 위를 힌지로 연결하는 기기결합부(80)를 구성하여 노트북 형태의 또 다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구성할 수 있었다. 15 to 20, in order to provide a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for effectively performing word work or the like in the folding type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he folding type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a device coupling portion (80) for hinging the upper and lower fixed shaft main bodies (30) of the foldable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nder the two fixed shaft main bodies (30) of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other portable foldable telecommunication device could be constructed.

또한, 도21 내지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워드 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의 노트북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아래 쪽 상기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의 상기 양 고정축본체(30) 밑면 상하에 프레임 네 개를 접고 펼 수 있도록 힌지로 연결한 다리(90)를 구성하고 상기 다리 중앙부에 접고 펼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으로 일단에는 프레임끼리 끼움이 가능한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다리연결부(90a)를 구성하여 의자형태의 또 다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1 to 26, th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folding type 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he legs (90) are connected by hinges so that four frames can be folded up and down on the underside of the both fixed shaft main bodies (30) of the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 the lower side so as to be foldable Th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s a chair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by constituting a leg connecting portion 90a having a hinge-coupled frame at one end thereof with a ring that can be inserted between fram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경사조절부(100)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사용 시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40)에 형성된 2개 이상의 고정홈(100a)과, 상기 고정축본체(30)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상기 고정홈(100a)에 끼움이 가능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경사조절수단(100b)으로 상기 고정축본체(30) 하단과 상기 경사조절수단(100b)과 연결구에 스프링이 구성되어 텐션 기능 가지는 경사조절부(100)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더 구성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tilt adjusting part 100. As shown in FIG. 27,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he fixing shaft body 30 is formed with two or more fixing grooves 100a formed on the support base 40 so as to allow the fixing shaft main body 30 to be hinged and a protrusion which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ing shaft main body 30, The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further comprising a tilt adjusting part (100) having a tension function in which a spring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xed shaft body (30) . ≪ / RTI >

또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멀티 전자통신기기 지지프레임(20)이 X자 자바라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을 구성하는 상기 자바라 모듈의 중앙 힌지 결합부 중 어느 한곳의 배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고정걸이(110a)와, 상기 고정걸이(110a)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기 자바라 모듈의 중앙 힌지 결합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걸이결합부(110b)가 있는 고정걸이연결부(110)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더 구현할 수 있다.27, the supporting frame 20 may be fixed in a more stable manner when the portable folding type multi-electronic device supporting frame 20, which is foldable and foldable, A fixing hook 110a hinged to a rear surface of one of the central hinge coupling parts of the bellows module constituting the bellows module 110a and a fixing part 110b formed on a back surface of the central hinge coupling part of the bellows module Th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xed hook connecting portion 110 having a fixed hook engaging portion 110b.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사용 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축본체(30) 바닥과 상기 지지대(40)과 상기 다리(90) 바닥에 고무; 또는 탄성소재; 형태의 미끄럼방지재료가 더 부착되는 바닥부(120)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더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rubber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30, the support base 40 and the bottom of the legs 90 so as not to slip when using th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Or elastic material; Fold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hat further includes a bottom portion 120 to which a further anti-slip material is attached.

본 발명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이 X자 및 병풍식 형태를 갖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기 실시를 모두 포함하며 접힘과 펼침이 되는 X자 프레임과 병풍식 프레임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0)을 갖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라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frame (20) includes both folding and unfolding X folding frames and folding frames and includes a folding and spread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mplement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도 28 내지 도 3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소정의 고정축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미도시)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고정축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미도시)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고정축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와,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과, 상기 고정축공간부(30a)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수단(310)과, 일단부는 상기 고정수단(31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에 결합고정되는 탄성수단(340)과, 끝단부가 빗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수단(340)에 고정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상기 고정수단(310)에 밀착되도록 밀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고정수단(310)가 감겨지지 않도록 하고,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고정수단(310)에 공간이 형성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탄성수단(340)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310)에 감겨지도록 하는 눌림스위치수단(330)과, 상기 눌림스위치수단(330)의 빗면이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눌려지고,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빗면을 가지는 누름수단(320)으로 구성된다.28 to 31, the flexible display 10 and the fixed shaft space portion 30b are formed, and the fixed shaft space portion 30b is provided with a folding guide means (not shown) And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is fixedly coupled to the folding guide means (not shown), and the flexible display 10 is drawn into the fixed shaft space portion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hereto (Not shown), and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is fixed.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fixed shaft space portion A fixed shaft main body (30) composed of a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which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and a pair of rod means And each end of the rod means is hing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ide of the first fixed shaft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body to support the flexible display 10, A supporting frame 20 for allowing the flexible display 10 to be pushed in and fixing means 310 provided inside the fixing shaft space portion 30a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xing means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display is fixed to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 flexible display (not shown) fixedly coupled to the elastic means 340 when the lower end is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10 is closely attached to the fixing means 310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10 does not allow the fixing means 310 to be wound.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A pressing switch means 330 for allowing the flexible display 10 to be wound on the fixing means 310 by the elastic means 340 with a space formed in the rayleigh 10 and the fixing means 310, And pushing means 320 having an oblique surface that is pressed when the oblique surface of the means 330 moves downward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it moves upward.

또한,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당겨서 펼친 다음 눌림스위치수단(330)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현재의 위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사용자가 다시 눌림스위치수단(330)을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탄성수단(340)에 복원력에 의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당겨지고 고정축본체(30) 내부로 자동으로 인입되어 보관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pulls the flexible display 10 outward from the inside and unfolds it, and then moves the pressing switch means 330 from the upper direction to the lower direction, the flexible display 10 remains fixed at the current position. When the user again moves the pressing switch means 330 from the lower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the flexible display 10 is pulled inward from the outside by the restoring force to the elastic means 340 and automatical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shaft body 30 And stored.

상기 접힘유도수단(미도시)은 상기 고정축본체(30) 중 제 1 고정축본체 공간부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Not shown) are respectively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space portion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30,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공간부 또는 제 2 고정축본체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후 상기 공간부 내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를 구비시키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마이크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전자통신기기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flexible display (10) in the space portion after forming a space portion in the space of the first fixed shaft body or the second fixed shaft body,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nd a video signal is outputted to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n audio signal is outputted to the speaker, and a signal outputted through a microphone And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o receive input.

또한, 본 발명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소정의 고정축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공간부에는 접힘유도수단(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고정축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와, 안테나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는 제 1 고정축본체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 2 고정축본체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에 미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 내측으로 밀려들어간 후 측면이 상호 밀착되고,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에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외측으로 인출되어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가 상호 이격된 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이(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00)으로 이루어진다.32, the folding type portabl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display 10 and a predetermined fixed shaft space portion, and the fixed shaft spa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olding induction means The flexible display 10 is inserted into the space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10, And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is fixed.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fixed shaft space, the first fixed shaft body is woun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fixed shaft body, And a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30 tightly coupled to the first fixed shaft 32. The fixed shaft main body 30 has an antenna shap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xed shaft body. When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fixed shaft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body, the flexible display 10 is pulled inward,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the side surface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force to be pulled by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is applied, And a support frame 500 supporting the flexible display 10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ed shaft bodies.

상기 지지프레임(500)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형상으로 다수개의 몸체(510~5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는 파이프 형상이며 내경이 각각 다르며, 내경이 큰 몸체(510)에 내경이 작은 몸체(520)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미는 힘에 의해 하나의 몸체가 내경이 큰 몸체의 내부로 인입되고, 당기는 힘에 의해 내경이 큰 몸체로부터 내경이 작은 몸체가 인출되어, 그 길이가 줄었다 커졌다 한다.
32, the support frame 500 is formed as a plurality of bodies 510 to 530 in the shape of an antenna, and the body has a pipe shape and an inner diamete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body 510 having a large inner diameter has an inner diamete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small body 520 is inserted and connected. By this pushing force, one body is pulled into the inside of the large body with the pulling force, and the body with the small inside diameter is pulled out from the body with the large inside diameter by the pulling force.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자동으로 고정축본체(30) 내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실시예로서,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와,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나선형 스프링(600)에 의하여 탄력 지지토록 되는 회전드럼(610)과 상기 회전드럼(610)의 회전을 제어토록 하기 위한 단속수단(620)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10 can be automatically drawn into the fixed shaft body 30, and as shown in FIGS. 33 and 34,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30b is formed in the space portion 30b and a folding induction means 30a is formed in the space portion 30b. A first fixed shaft body which is additionally fixedly coupled to the flexible display and is adapted to be pulled into the space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to be wound on the folding inducing means; And a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fixed shaft body and being tightly engag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fixed shaft body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space Wherein each of the rod means is hinged to the inne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fixed shaft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body, A support frame 20 supporting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llowing the flexible display 10 to be pushed into the space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 spiral spring 600 for supporting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 control unit 62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drum 610. The control unit 620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rotary drum 610 and the rotary drum 610,

상기 회전드럼(610)의 상면에 슬라이드홈(630)내에서 이동되는 볼(640)의 미끄럼 운동을 위한 궤도홈(650)을 형성하고, 상기 궤도홈(650)에는 단속수단 홈(660a)(660b)를 형성하여 볼(640)의 구름 운동에 의하여 회전드럼(610)이 정회전과 역회전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작은 원에서 큰 원으로 즉, 회전드럼(610)의 정회전을 위한 단속수단 홈(660b)은 단턱(670b)에 의하여 역회전시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계속 감기도록 구성된 것이며, 정 회전시에만 단턱(670a)에 의하여 단속수단 홈(660b)을 타도록 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손쉽게 풀리도록 한다.An orbital groove 650 for sliding movement of the ball 640 moved in the slide groove 6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drum 610 and the orbital groove 650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means groove 660a 660b to allow the rotary drum 610 to perform the normal rota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by the rolling motion of the ball 640. [ That is, the small-circle-to-large circle, that is, the interrupting means groove 660b for forward rotation of the rotary drum 610 is configured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10 is continuously wound by the step 670b during the reverse rotation,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10 can be easily released by riding the intermittent means groove 660b by the step 670a only at the time of rotation.

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연결된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를 잡아당기면 궤도홈(650)에 있는 볼(640)이 작은 원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단속수단 홈(660b)을 따라 큰 원으로 미끄럼 운동되므로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관계없이 정회전을 수행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손쉽게 길게 할 수 있다.When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that are connected to the flexible display 10 are pulled out and the ball 640 in the track groove 650 is positioned in a small circle, The flexible display 10 can be easily lengthened because it performs the normal rotation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이때 볼(640)은 케이스에 형성된 슬라이드홈(미도시) 내에서 상하로만 이동되므로 볼(640)의 위치에 관계없이 회전드럼(610)이 안정적으로 동작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ball 640 is vertically moved only in the slide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case, the rotary drum 610 is operated stably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ball 640.

이 상태에서 즉, 플레시블 디스플레이(10)를 길게 한 상태에서 제 1 고정축본체와 제 2 고정축본체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힘을 빼는 경우 회전드럼(610)에 장착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역회전을 수행하고 이때 단턱(670a)에 의하여 볼(640)이 단속수단 홈(660a)으로 미끄러지게 되면서 정점부(680)에 걸리게 되어 플레시블 디스플레이(10)가 정지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force applied to one of the first fixed shaft main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main body is subtracted while the flexible display 10 is elonga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ounted on the rotary drum 610 The ball 640 is slid to the interrupting means groove 660a by the step 670a and is caught by the vertex 680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10 is stopped.

이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살짝 잡아당기면 볼(640)은 작은 원으로 미끄럼 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제 1 고정축본체와 제 2 고정축본체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힘을 빼면 볼(640)이 작은 원을 타고 계속 역회전을 실시하므로 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자동으로 감기게 되는 것이다.
In this state,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is slightly pulled, the ball 640 performs a sliding motion with a small circle. At this time, if the force applied to one of the first fixed shaft body and the second fixed shaft body is subtracted, ) Is continuously reversed on the small circle,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10 is automatically wound.

상기 전자통신기기 제어장치(200)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신호, 텍스트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10)와,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면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송출하는 통신부(22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전원스위치(230)와, 상기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저장부(210)로부터 접이식 전자 통신 기기의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화면상에 복수의 메뉴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메뉴항목 중 하나의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저장부(210)로부터 읽어들이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40)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위치인식용 포인트를 감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크기를 지속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240)로 출력하는 화면크기 감지부(250)와,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면크기 감지부(250)에서 감지된 화면크기에 대응하는 영상출력화면 데이터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260)로 구성된다. 35,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apparatus 200 stores a video signal, a text signal, and an audio signal, and includes a storage unit 210 storing a driving program of th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 power switch 230 for receiving driving power from the battery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 and a power switch 230 for supplying power to the storage unit 210 ) To provide a plurality of menu items on the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d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menu items is selecte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enu item is stored (210), or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10) A control unit 240 for continuously outputting an audio signal to the flexible display 10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d sensing the screen size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d outputs the image output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screen size sensed by the screen size sensing unit 250 to the flexible display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40. [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260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상기 화면크기 감지부(250)는 포토센서이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하단부에는 상기 포토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위치인식용 포인트가 구비되어 있다.The screen size sensing unit 250 is a photosensor, and at the lower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 edible point that is a position that can be sensed by the photosensor is provided.

이때 제어부(240)에서 상기 화면크기 감지부(250)로부터 입력되는 화면크기를 인식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screen size input from the screen size sensing unit 250 in the control unit 240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터치스크린이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소정 위치가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물리적 힘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메뉴항목을 인식한다.
The flexible display 10 is a touch screen. Whe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lexible display 10 is pressed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pressed, the controller 240 senses the pressed position and recognizes the corresponding menu item.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도면에 나타난 실시 예 이외에도 예를 들어 각 부품과 각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바킹을 끼워 넣어 접힘에서 부드러움이나 고정기능을 높여 실시하든지, 스프링을 넣어 텐션 기능을 넣든, 어느 부분에 캐릭터를 디자인하여 실시하든지, 상기 고정축본체(30)나 상기 지지대(40) 등 어느 한 부분에 자 눈금을 그려 넣어 길이 측정 기능을 추가 하든지, 상기 양 고정축본체(30) 일부에 공간을 만들어 필통 등 저장 기능을 하는 형태로 실시하는 등 본 발명은 발명 요지에서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 청구항에 넣지 않더라도 본 발명가의 발명에 속한다. However,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by embedding the hooks in the connecting parts of the respective parts and each fram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function of increasing the softness or the fixing function in the folding, Or a length measuring function may be added to a part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30 or the supporting table 40 so as to form a space in a part of the fixed shaft main body 3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nd it belongs to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or without being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 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Accordingl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플렉서블디스플레이 20 : 지지프레임
30 : 고정축본체 30a : 접힘장치
30b : 고정축본체공간부 40 : 지지대
50 : 받침대 60 : 고정프레임
70a: 상단연결부 70b: 하단연결부
70c: 중앙연결부 80 : 기기결합부
90 : 다리 90a : 다리연결부
100 : 경사조절부
100a : 고정홈 100b : 경사조절 프레임
110 : 고정걸이연결부
110a : 고정걸이 110b : 고정걸이결합부
120 : 바닥부
10: Flexible display 20: Support frame
30: fixed shaft body 30a: folding device
30b: fixed shaft body space part 40:
50: pedestal 60: stationary frame
70a: Upper connection part 70b: Lower connection part
70c: central connection part 80:
90: leg 90a: leg connection
100:
100a: Fixing groove 100b: Tilt adjusting frame
110: Fixed hook connection
110a: Fixing hook 110b: Fixing hook fitting part
120:

Claims (35)

플렉서플 디스플레이(10); 지지프레임(20); 고정축본체(30);를 갖는 접이식 정보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플 디스플레이(10);는 터치스크린을 특징으로 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응하여 텍스트,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가지는 출력기기(1a);
상기 출력기기(1a)로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입력메뉴항목이 화면상으로 출력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가지는 입력기기(1b);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은 한 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 들어가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축본체(30)는 CPU, GPU, SoC, RF 및 배터리, 마이크로마이크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제어구동수단이 탑재되어 있는 소정의 공간부(30b);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가 형성되고,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 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져 구성되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공간부 또는 제 2 고정축본체에 공간부 내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가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자통신기기사 구동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도록 전자통신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구성되는데,
상기 제어장치는 비디오 신호, 텍스트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10)와,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면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송출하는 통신부(22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전원스위치(230)와, 상기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저장부(210)로부터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화면상에 복수의 메뉴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메뉴항목 중 하나의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저장부(210)로부터 읽어들이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4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위치인식용 포인트를 감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크기를 지속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240)로 출력하는 화면크기 감지부(250)와,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면크기 감지부(250)에서 감지된 화면크기에 대응하는 영상출력화면 데이터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260)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소정 위치가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물리적 힘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메뉴항목을 인식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하단부에는 위치인식용 포인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A flexup display 10; A support frame (20); A folding typ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fixed shaft main body (30)
The flexible display (10) is characterized by a touch screen,
An output device (1a) having the flexible display (10) for outputting text and images visually in response to 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Wherein a plurality of input menu items for receiving a user's operation signal such that at least one of a text and an image is outputted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10 is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10 (1b) having an input device
The support frame 20 is hinged so that a pair of rod means intersect on respective central portions, and each end of the rod means is hing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shaft bodies, The flexible display 10 is pushed into the space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while supporting the display 10,
The fixed shaft main body 30 includes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30b on which a control driving means such as a CPU, a GPU, a SoC, an RF, a battery, a micro microphone and a speaker is mounted. Wherein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is fixedly coupled to the folding inducing means 30a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10 can be moved to the inside of the space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to the folding guide 30a, (10) is retracted to be wound on the folding inducing means, and a second fixing shaft body (10) which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d when the flexible display (10) And a second fixed shaft body that is tight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fixed shaft body,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flexible display 10 in a space portion of the first fixing shaft main body or the second fixing shaft main body in a space portion,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microphone,
The electronic device is driven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battery so that a video signal is output to the flexible display 10, an audio signal is output to the speaker, and an electronic communication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evice,
The control unit stores a video signal, a text signal, and an audio signal.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torage unit 210 for storing a driving program of th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when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device A power switch 230 for receiving driving power from the battery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control unit 230 for executing a driving program of the folding typ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from the storage unit 210 when the driving power is supplied, A plurality of menu items are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10, and when one menu item of the plurality of menu items is selecte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enu item is read from the storage unit 210, 220 to be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on the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10, A screen size sensing unit 250 for sensing an edible point at a position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d continuously recognizing the screen size of the flexible display 10 and outputting the recogni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240;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260 for outputting image output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screen size sensed by the screen size sensing unit 250 to the flexible display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40 The control unit 240 recognizes the menu item whe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lexible display 10 is pressed by a physical force externally pressed and recognizes the corresponding menu item. At the lower end of the flexible display 10, Wherein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38139A 2013-04-08 2013-04-08 Folding multi-purpose stand and portable fold-up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KR1016367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139A KR101636753B1 (en) 2013-04-08 2013-04-08 Folding multi-purpose stand and portable fold-up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139A KR101636753B1 (en) 2013-04-08 2013-04-08 Folding multi-purpose stand and portable fold-up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649A KR20140121649A (en) 2014-10-16
KR101636753B1 true KR101636753B1 (en) 2016-07-11

Family

ID=5199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139A KR101636753B1 (en) 2013-04-08 2013-04-08 Folding multi-purpose stand and portable fold-up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7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66A1 (en) * 2021-09-23 2023-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270B1 (en) 2015-06-15 2022-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102492731B1 (en) 2016-06-09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Rollable display device
CN107632460A (en) * 2017-10-27 2018-01-2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A kind of backboard of backlight module, backlight module and bar-indicators
KR20210086794A (en) 2019-12-30 2021-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US20210293377A1 (en) * 2020-03-20 2021-09-23 Refliko,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tanding mechanisms for improved user experience
CN111613144B (en) * 2020-05-29 2022-06-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Flexible screen terminal
CN111720684B (en) * 2020-06-29 2021-06-15 深圳市理德铭科技股份有限公司 Folding bracke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196B1 (en) * 2004-10-05 2012-03-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Rollable display device
WO2008133510A2 (en) * 2007-04-25 2008-11-06 Polymer Vision Limite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with edge protectors
KR101227644B1 (en) * 2010-08-10 2013-01-30 유상규 Rollable flexible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66A1 (en) * 2021-09-23 2023-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649A (en)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753B1 (en) Folding multi-purpose stand and portable fold-up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US10973144B2 (en) Electronic device
KR101837568B1 (en) A Keyboard Unit and A Folding Display Device with A Keyboard Unit
US8737064B2 (en) Electronic device stand
US20150268916A1 (en) Multiple Screen Arrangement for Mobile Device
US2014019416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Rolled-Up Screen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210219168U (en) Folding type support
KR20170087000A (en) Hinge Structure for Mobile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installed
KR20180097420A (en) Folding stand for notebook and portable device
KR101480066B1 (en) Folding multi-purpose stand and portable fold-up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WO2007078980A2 (en) Compressed workspace notebook computer
CN210624073U (en) Multifunctional folding support
CN204229113U (en) Projection screen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70087001A (en) Hinge Structure for Mobile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installed
WO2012134136A4 (en) Foldable bookstand
JP2007183917A (en) Cabinet case having function for electronic apparatus mounting table
KR20140058852A (en) A reading stand
CN111090301A (en) Eye-protecting flat plate with concealable screen
KR101901621B1 (en) Coupled hinges and device using the same
CN212677207U (en) Mobile shaft type folding screen mobile phone
JP5383754B2 (en) Wireless input device
CN104076873A (en) Electronic equipment
CN103443732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hinge structure
JP5285186B2 (en) Screen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nd screen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rogram
CN205681578U (en) Wearable intelligent terminal radio play proj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