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045B1 - 구명정자동투하장치 - Google Patents

구명정자동투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045B1
KR101636045B1 KR1020140152934A KR20140152934A KR101636045B1 KR 101636045 B1 KR101636045 B1 KR 101636045B1 KR 1020140152934 A KR1020140152934 A KR 1020140152934A KR 20140152934 A KR20140152934 A KR 20140152934A KR 101636045 B1 KR101636045 B1 KR 101636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boat
unit
angle
hull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628A (ko
Inventor
강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0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70Condition-responsive handling equipment, e.g. automatic release of boat from lowering tackle upon contact with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28Devices for projecting or releasing boats for free fa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구명정자동투하장치가 제공된다. 구명정자동투하장치는, 선체에 설치되어 선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선체에 배치된 구명정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결합부, 결합부를 동작시켜 구명정을 분리시키는 구동부, 구명정을 작동시키는 작동모듈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충전부, 및 측정부가 측정한 측정각을 입력받아 구동부 및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측정각이 제1기준각에 도달하면 충전부를 제어하여 작동모듈을 충전하고, 측정각이 제2기준각에 도달하면 구동부를 구동하여 구명정을 분리시킨다.

Description

구명정자동투하장치{Automatic lifeboat relea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구명정자동투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적시에 구명정을 자동으로 투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하된 구명정이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펼쳐져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구명정자동투하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육로로 운반하기 어렵거나 운반 효율이 떨어지는 화물을 보다 편리하게 이송할 수 있고, 대량의 화물을 장거리 운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경제성이 높은 효율적인 운송수단으로 인식되어 왔다. 다양한 루트의 육로가 개발되고, 항공기 등이 사용되는 요즘에도 선박은 중요한 운송 수단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특히, 선박 건조 기술의 발달로 종래와 비교할 수 없는 큰 배수량을 갖는 선박이 제조되었고 많은 선박이 대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숫자의 선원이나 승객들이 선박에 탑승하게 되었으며, 비상시에도 이러한 인원들을 구명할 수 있는 구명 시스템의 구현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각 선박들에 이러한 구난 시스템이나 구난 장비의 탑재가 의무화되어 있고 장비가 작동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대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선박의 구명/구난 장비는 아직도 탑승자 개인에게 지급되는 구명조끼나, 선체에 결속되어 있는 구명보트 등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즉, 구명 시스템이 의무화되어 있다고는 하나 종래의 구명조끼나 구명보트 등이 모자라지 않도록 관리되고 있는 것에 불과하여, 위급상황에서 구명조끼를 신속하게 착용하지 못하거나, 구명보트를 신속하게 해체하여 투하하지 못하는 경우 위험상황을 벗어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명보트의 경우, 운항 시 선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매우 견고히 결속되어 있는 바, 훈련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탑승객이 위급한 상황에서 이를 원활히 분리하는 것이 힘들 수 있다. 또한, 분리된다 하여도 적절한 시점에 해상에 투하되지 못하면 탑승하기 어려울 수도 있으며, 대부분의 구명보트는 접혀있다가 해상에 투하되는 순간 펼쳐지도록 되어있어 분리된 후에도 작동 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고 위험 상황에서 보다 능동적으로 작동하여 인명을 구할 수 있는 구난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3794호, (2012.05.0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박의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적시에 구명정을 자동으로 투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하된 구명정이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펼쳐져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구명정자동투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명정자동투하장치는,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선체에 배치된 구명정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동작시켜 상기 구명정을 분리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명정을 작동시키는 작동모듈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충전부;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측정각을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각이 제1기준각에 도달하면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작동모듈을 충전하고, 상기 측정각이 제2기준각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구명정을 분리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각이 상기 제1기준각에 도달하면 상기 작동모듈의 충전량 및 상기 작동모듈이 동작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명정자동투하장치는, 상기 선체 또는 상기 구명정에 설치되어 경광 및 경음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신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듈의 작동 가능여부에 따라 상기 신호부를 제어하여 경광 및 경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구명정을 팽창시키기 위한 가스주입장치 및 상기 구명정 내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공급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설치지점의 회전 각속도 및 상기 각속도로부터 회전각을 산출하는 복수 개의 자이로센서로 형성되고, 상기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선체의 무게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체의 위험 상황을 능동적으로 감지하여, 탑승객이 선박으로부터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적절한 시점에 구명정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투하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이 침수되거나 침몰하는 등의 매우 위급한 상황에서도 다수의 승객들을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명정은 투하된 후에 오작동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관리되고 조치되므로, 구명정이 펼쳐지지 않는 등의 비상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여 보다 많은 인명을 구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명정자동투하장치의 선박 내 설치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명정자동투하장치의 각 구성부간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선체가 처한 위험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 및 도 4의 위험상황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구명정자동투하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8은 도 2의 구명정자동투하장치의 작동순서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명정자동투하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명정자동투하장치의 선박 내 설치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명정자동투하장치의 각 구성부간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명정자동투하장치(1)는 선체(A)에 설치되어 선체(A)가 정상상태로부터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측정부(100), 선체(A)에 배치된 구명정(2)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결합부(도 2의 210참조), 결합부(210)를 동작시켜 구명정(2)을 분리시키는 구동부(200), 구명정(2)을 작동시키는 작동모듈(도 2의 21참조)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충전부(300), 및 측정부(100)가 측정한 측정각을 입력받아 구동부(200) 및 충전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특히, 제어부(400)는 측정부(100)가 측정한 측정각이 제1기준각에 도달하면 충전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작동모듈(21)을 충전하고, 측정각이 상기 제1기준각을 넘어서 선체(A)가 복원 불가능한 각도인 제2기준각에 도달하면 구동부(200)를 제어하여 구명정(2)을 분리시킨다.
즉, 구명정자동투하장치(1)는 선체(A)가 기울어졌지만 정상상태로 복원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각도(제1기준각)나, 또는 더 이상 정상상태로는 복원이 불가능하다고 판별되는 각도(제2기준각)를 감지하여 단계적으로 위험상황을 판별할 수 있다. 구명정자동투하장치(1)는 이와 같이 판별된 위험상황에 대응하여 단계적으로 작동하며, 구명정(2)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를 점검하고 전력을 공급하여 구명정(2)을 준비시키거나, 선체(A)가 기울어져 원상태로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적절하게 구명정(2)을 분리하여 해상에 투하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에 혼란이 가중되어 있는 위급한 상황에서도 적절한 시점에 자동으로 구명정(2)을 해상에 진수하여, 탑승객이 보다 안전하고 손쉽게 구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명정자동투하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구명정(2)을 탑재하고 있는 선박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선박의 선체(A) 크기는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초대형 화물선으로부터 소형 보트에 이르기까지 구명정(2)이 탑재된 선박이라면 어디에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선체(A)의 구체적인 형상이 달라지면 구명정자동투하장치(1)의 선체(A) 내 배치상태도 그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명정자동투하장치(1)의 각 구성부와 특징에 대해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측정부(100)는 선체(A)에 설치된다. 측정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A)의 서로 다른 지점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선체(A)와 함께 움직이면서 선체(A)의 운동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선체(A)가 정상상태로부터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측정부(100)는 설치지점의 각속도 및 각속도로부터 회전각을 산출하는 복수 개의 자이로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선체(A)의 무게중심에 위치하여 보다 정확하게 선체(A)의 기울어진 각도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측정부(100)와 기준각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결합부(210)는 선체(도 1의 A참조)의 각 지점에 배치된 구명정(2)에 연결 되어 각각의 구명정(2)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한다. 결합부(210)는 예를 들어, 전동식 후크 장치나 분리 가능하게 결속이 가능한 전동식 록 장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것은 아니며 그 밖에도 전동식 또는 기계식으로 작동하는 다양한 잠금 장치를 포함하여 결합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는 전동식 후크 장치로 이루어진 결합부(21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결합부(210)가 작동되어 잠금이 해제되면 구명정(2)이 분리된다.
구동부(200)는 결합부(210)에 연결되어 결합부(210)를 동작시킨다. 구동부(200)는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결선되어 제어신호를 입력 받고, 결합부(210)와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결합부(2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구동부(200)는 예를 들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를 입력 받고 이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장치와, 결합부(210)에 동작지령을 입력하는 신호 입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10)가 기계식으로 작동하는 장치인 경우, 구동부(200)가 결합부(210)를 구동하는 기계적 구동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210)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충전부(300)는 구명정(2) 특히, 구명정(2)을 작동시키는 구명정(2)의 작동모듈(21)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한다. 충전부(300)는 충전 또는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와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전송용 케이블이나 신호전송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명정(2)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충전부(300) 및 제어부(400)는 전력전송용 케이블이나 신호전송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명정(2)에 연결하되, 착탈이 용이한 커넥터 부재 등을 이용하여 유사시 손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충전부(300) 및 제어부(400)를 구명정(2)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명정(2)이 투하될 때 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측정부(100)가 측정한 측정각을 입력 받고 이에 따라 구동부(200) 및 충전부(300)를 제어한다. 제어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100), 구동부(200), 충전부(300)와 모두 연결되고, 구명정(2)과도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측정부(100)의 측정신호를 입력 받고 이에 대응하여 구동부(200) 및 충전부(300)등에 이를 제어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경광 및 경음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신호부(500)와도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연산장치 및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연산장치로 전술한 제1기준각, 또는 제2기준각의 데이터와 측정부(100)가 측정한 측정각의 데이터를 비교하고, 위험상황을 판별하여 알맞은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측정부(100)가 측정한 측정각이 제1기준각에 도달하면 전술한 작동모듈(21)의 충전량이나 작동모듈(21)이 동작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적합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이를 충전할 수 있으며, 작동모듈(21)의 작동 가능여부에 따라 상기 신호부(500)를 제어하여 경광 및 경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구명정자동투하장치(1)의 작동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선체의 기울어짐에 따른 위험상황과, 위험상황의 판별기준이 되는 제1기준각, 및 제2기준각, 및 선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측정부의 배치상태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선체가 처한 위험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명정자동투하장치는 적어도 두 가지의 서로 다른 각도를 기준으로 하여 선체(A)의 위험상황을 판별할 수 있다. 첫번째 각도는 선체(A)가 정상상태로부터 기울어졌지만 복원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제1기준각(도 3의 a1참조)이 되고, 두번째 각도는 선체(A)가 완전히 기울어져 복원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제2기준각(도 4의 a2참조)이 될 수 있다. 제어부(도 2의 400참조)는 측정부(100)로부터 측정된 측정각이 제1기준각(a1)에 도달하면 구명정(2)의 작동모듈(도 2의 21참조)을 충전하고, 제2기준각(a2)에 도달하면 구동부(200)를 구동하여 결합부(210)를 작동시키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정(2)을 분리시킨다.
즉, 선체(A)가 일차적으로 위험상황에 처했다 하더라도 다시 위험상황에서 회복될 수 있는 경우에는 구명정(2)이 작동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선체(A)가 원상태로 회복될 수 없는 시점에서 구명정(2)을 해수면(B)에 투하하고 원활하게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2기준각(a2)은 선체(A)의 설계시에 계산될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이나, 선체(A)의 무게중심, 부력중심 등을 측정하여 선체(A)가 복원되지 않는 각도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제1기준각(a1)은 제2기준각(a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선체(A)의 크기나 요동의 정도, 항해지역의 해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기준각(a1) 및 제2기준각(a2)은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면(B)과 수직한 방향의 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이로부터 기울어진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선박이 안정적으로 운항하는 정상상태에서 선체(A)의 정렬방향을 해수면(B)과 수직한 직선으로 간주하고, 이로부터 이격된 각도로 제1기준각(a1) 및 제2기준각(a2)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선체(A)가 기울어져 측정부(100)로부터 측정되는 측정각 역시 이러한 직선으로부터 이격된 각도로 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기준각(a1), 제2기준각(a2) 및 측정각의 설정 및 산출방식이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이와 다른 유의미한 기준점을 설정하여 각도를 설정하거나 산출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측정부(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서로 다른 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선체(A)의 기울어진 각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체(A)의 무게중심에 적어도 하나의 측정부(101)를 위치시키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측정부(102, 103)를 대칭적으로 배치하여 보다 정확하게 선체(A)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부(100)는 설치지점의 회전 각속도 및 각속도로부터 회전각을 산출하는 복수 개의 자이로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이로센서는 서로 다른 축방향의 가속도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회전 각속도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자이로센서가 산출한 회전각으로부터 선체(A) 전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수 있으나, 이는 실질적으로 자이로센서가 설치된 설치지점이 움직일 때의 가속도 변화로부터 측정될 수 있으므로, 자이로센서가 설치된 설치지점이 회전중심으로부터 크게 이탈되는 경우에는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가속도 변화가 달라지고 산출된 회전각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부(100)를 복수 개의 자이로센서로 형성하되 적어도 하나를 선체(A)의 회전중심이 되는 무게중심 점에 위치하도록 하여 기준이 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측정부(102, 103)는 무게중심에 위치한 측정부(101)를 중심으로 회전 대칭되도록 배열하여 서로 간의 오차분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상쇄시켜 보정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선체(A)의 무게중심 점에 측정부(100)를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라 하더라도, 이와 가장 인접한 지점에 적어도 하나의 측정부(100)를 설치하고 나머지 측정부(100)는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하여 오차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선체(A)의 기울어진 각도는 예를 들어, 무게중심이나 이와 인접한 위치의 측정부(101)가 측정한 측정각의 가중치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나머지 측정부(102, 103)가 측정한 측정각의 가중치를 작게 하여 평균하는 방식으로 구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 없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각을 보정하여 선체(A)가 기울어진 각도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명정자동투하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은 도 8의 순서도를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도면을 참조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선박이 운항을 시작하면, 구명정자동투하장치(도 5 내지 도 7의 1참조)가 작동하고 선체(도 3 및 도 4의 A참조)의 기울어진 각도가 측정된다(S100). 선체(A)의 기울어진 각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측정부(100)를 선체(A)에 적절히 배치하여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선체(A)의 기울어진 각도 즉, 측정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신호(S1)의 형태로 측정부(100)로부터 제어부(400)에 지속적, 반복적으로 전송된다.
제어부(400)는 전송된 측정신호(S1)로부터 측정부(100)가 측정한 측정각을 입력 받고 이를 전술한 제1기준각 및 제2기준각과 순차적으로 비교한다. 제1기준각 및 제2기준각은 제어부(400)에 미리 입력된 것일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둘 중 적어도 하나를 적절한 값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어부(400)가 입력된 측정각을 제1기준각 및 제2기준각과 비교하여 측정각이 우선 제1기준각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200).
측정각이 제1기준각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제어부(400)는 다시 측정부(100)의 측정각을 입력 받고 이를 제1기준각 및 제2기준각과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측정각이 제1기준각에 도달하는 순간, 제어부(400)는 선체(A)가 침수되거나, 침몰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1차적인 위험상황으로 판단하고 구명정(2)의 작동모듈(21)이 충전되어 있는지, 작동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우선적으로 점검한다(S300).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모듈(21)에 확인신호(S2)를 송출하여 작동모듈(21)이 충전되어 있는지, 작동가능한지 등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00). 확인신호(S2)는 작동모듈(21)로부터 다시 제어부(400)로 회신되어 작동모듈(21)의 충전상태, 작동 가능여부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동모듈(21)의 충전 여부를 판별하고 작동모듈(21)이 충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제어신호(C1)를 충전부(300)에 전송하여 충전부(3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00).
충전부(300)는 전술한 전력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작동모듈(21)에 전력(P)을 공급하고 작동모듈(21)이 원활히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켜 준비할 수 있다(S600). 이에 따라 작동모듈(21)이 완충되면, 구명정(2)이 해상에 투하되더라도 문제 없이 펼쳐져 조난자를 용이하게 탑승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작동모듈(21)은 구명정(2)을 팽창시키기 위한 가스주입장치 및 구명정(2) 내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비상용 전력공급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명정(2)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작동모듈(21)이 단순히 방전된 상황이 아니라 일부가 훼손되는 등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제어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부(500)를 제어하여 경광 및 경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고, 탑승객들에게 구명정(2)이 작동 불능 상태임을 즉시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위급한 상황에서 작동 불가능한 구명정(2)에 탑승하기 위해 시간을 낭비하는 일 없이, 상기 구명정(2)을 긴급히 수리하거나, 또는 나머지 구명정(2)으로 인명을 유도하는 등 보다 능동적으로 사고에 대비하도록 할 수 있다. 신호부(500)는 제어부(400)와 연결되되 그 설치위치가 선체(도 3 및 도 4의 A참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선체(A) 또는 구명정(2)의 일 측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모듈(21)이 작동 가능한 상태로 충전되어 준비된 후에도 선체(A)의 상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제어부(400)에는 지속적으로 측정각이 입력된다. 작동모듈(21)이 준비된 후 제어부(400)는 입력된 측정각을 제2기준각과 비교하고 측정각이 제2기준각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700).
측정각이 제1기준각을 넘어섰지만 제2기준각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다시 작동모듈(21)을 검사하고 충전시켜 준비상태로 유지한다. 그러나 입력된 측정각이 선체(A)가 복원 불가능한 각도인 제2기준각에 도달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어신호(C2)를 구동부(200)에 인가하여 구동부(200)를 구동하고, 결합부(210)를 즉시 분리시킨다(S800). 따라서, 선체(도 3 및 도 4의 A참조)가 침수되거나 침몰하기 시작하는 매우 위급한 상황에서 별도의 조작 없이도, 구명정(2)이 즉시 분리되어 해수면(도 3 및 도 4의 B참조)에 투하될 수 있다(S900).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해수면(B)에 투하된 구명정(2)은 작동모듈(21)이 방전되거나 구동전력이 모자라는 등의 문제 없이 매우 원활하게 펼쳐져 해상에 진수된다(S1000). 즉, 선체(A)의 기울어진 각도를 서로 다른 기준각도와 비교하여 위험상황을 단계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구명정자동투하장치가 단계적으로 작동함으로써, 구명정(2)을 작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여 준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에 혼란이 가중되어 있는 위급한 상황에서도 자동으로 구명정(2)을 해상에 진수하여, 탑승객이 보다 안전하고 손쉽게 구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구명정자동투하장치 2: 구명정
21: 작동모듈 100, 101, 102, 103: 측정부
200: 구동부 210: 결합부
300: 충전부 400: 제어부
500: 신호부 A: 선체
B: 해수면 a1: 제1기준각
a2: 제2기준각 S1: 측정신호
S2: 확인신호 C1: 제1제어신호
C2: 제2제어신호 P: 전력

Claims (5)

  1.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선체에 배치된 구명정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동작시켜 상기 구명정을 분리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명정을 작동시키는 작동모듈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충전부;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측정각을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각이 제1기준각에 도달하면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작동모듈을 충전하고, 상기 측정각이 제2기준각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구명정을 분리시키는 구명정자동투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각이 상기 제1기준각에 도달하면 상기 작동모듈의 충전량 및 상기 작동모듈이 동작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구명정자동투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또는 상기 구명정에 설치되어 경광 및 경음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신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듈의 작동 가능여부에 따라 상기 신호부를 제어하여 경광 및 경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구명정자동투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구명정을 팽창시키기 위한 가스주입장치 및 상기 구명정 내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공급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명정자동투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설치지점의 회전 각속도 및 상기 각속도로부터 회전각을 산출하는 복수 개의 자이로센서로 형성되고, 상기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선체의 무게중심에 위치하는 구명정자동투하장치.
KR1020140152934A 2014-11-05 2014-11-05 구명정자동투하장치 KR101636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934A KR101636045B1 (ko) 2014-11-05 2014-11-05 구명정자동투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934A KR101636045B1 (ko) 2014-11-05 2014-11-05 구명정자동투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28A KR20160053628A (ko) 2016-05-13
KR101636045B1 true KR101636045B1 (ko) 2016-07-05

Family

ID=5602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934A KR101636045B1 (ko) 2014-11-05 2014-11-05 구명정자동투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0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982A (ko) 2017-12-19 2019-06-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동 발사형 구명 장치
CN109987198A (zh) * 2017-12-29 2019-07-09 深圳市云洲创新科技有限公司 释放装置及救生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45B1 (ko) 2016-10-27 2018-07-23 대한민국 조난자에게 구명벌을 전달하기 위한 공중 투하 구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039A (ja) 2004-01-22 2005-08-04 Sekigahara Seisakusho:Kk 救命艇積載装置
KR101408346B1 (ko) 2012-05-23 2014-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안티롤링시스템
KR101430740B1 (ko) 2013-11-27 2014-08-14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보트 인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1092U (ko) * 1988-12-30 1990-07-19
KR20120043794A (ko) 2010-10-27 2012-05-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구명 보트 보관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선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039A (ja) 2004-01-22 2005-08-04 Sekigahara Seisakusho:Kk 救命艇積載装置
KR101408346B1 (ko) 2012-05-23 2014-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안티롤링시스템
KR101430740B1 (ko) 2013-11-27 2014-08-14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보트 인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982A (ko) 2017-12-19 2019-06-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동 발사형 구명 장치
CN109987198A (zh) * 2017-12-29 2019-07-09 深圳市云洲创新科技有限公司 释放装置及救生设备
CN109987198B (zh) * 2017-12-29 2020-07-07 深圳市云洲创新科技有限公司 释放装置及救生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28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01900074Z6 (da) Systemer og fremgangsmåder til stabilitet ved ophængt last
JP5822923B2 (ja) 航空機の傾き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貨物の積み降ろし方法
KR101636045B1 (ko) 구명정자동투하장치
KR101805440B1 (ko) 드론 충전 스테이션의 고정 시스템
US8565981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buoyancy system for an aircraft, and a control system implementing said method
JP2023089296A (ja) 吊荷制御システム、吊荷制御方法及び吊荷制御装置
WO2021016277A1 (en) Hoist and deployable equip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6969047B2 (ja) 船舶の自動操船システム
US20220135378A1 (en) Hoist and deployable equip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5008218B (zh) 用于在海上运输船舶和构造物或船舶之间转移对象的改进设备和方法
SE1450210A1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att upprätta en temporär anslutning
KR20150071472A (ko) 무인 수상 구조 로봇과 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및 방법
AU2012220372A1 (en) Buoyancy system
WO2015044898A1 (en) Two body motion compensation system for marine applications
KR20140077509A (ko) 선박의 자동 정박 장치 및 그 방법
KR101825990B1 (ko) 선박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JP2024520419A (ja) ロングラインロータ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539764A (zh) 改进的水中航行器自救装置
JP7493463B2 (ja) 風力タービン保守に関する改善
JPH11348874A (ja) 灯浮標、同用遠隔点検制御機器、同用リモコン送受信器および同用遠隔点検制御システム
JP2007069718A (ja) 係船管理支援システム
WO2021053613A1 (en) Marine towing system
KR102455865B1 (ko) 자동 발사형 구명 장치
US9079640B1 (en) System and process for directing actions of a helmsman of a lifeboat
KR101560809B1 (ko) 선박 자세 제어 및 인양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