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677B1 -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677B1
KR101633677B1 KR1020150055199A KR20150055199A KR101633677B1 KR 101633677 B1 KR101633677 B1 KR 101633677B1 KR 1020150055199 A KR1020150055199 A KR 1020150055199A KR 20150055199 A KR20150055199 A KR 20150055199A KR 101633677 B1 KR101633677 B1 KR 101633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oad
terminal
diode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존
Priority to KR1020150055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변압기의 입력단에출력측의 전압을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출력측의 전압이 갑자기 강하되더라도 입력단에서 빠르게 전압을 제어하여, 충전 대상 기기의 전원이 갑자기 리셋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는, 외부의 전원 공급 기기로부터 공급된 전압이 인가되는 제1 권선부, 제1 권선부에 인가된 전압을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출력 전압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제2 권선부 및 제2 권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출력 전압이 가해지는 부하 방향으로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변압 모듈의 상기 제2 권선부의 일단과 부하 측 단자를 포함하는 다이오드의 양 단자에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는 전압 전달 회로;를포함하여 구성되되,전압 전달 회로는, 다이오드가 온된 전압이 인가될 시 오프되고, 다이오드가 오프되는 전압이 인가될 시 온되도록 설치되어, 다이오드가 오프될 시 온됨으로써 부하 측 단자에 인가된 전압이 상기 제2 권선부에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VOLTAGE DROPING OF TRANSFORMER FOR CHARGER}
본 발명은 충전기에 포함된 변압기의 출력 전압이 부하 연결 시에 갑자기 강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충전기에 충전 대상 기기를 연결 시, 부하 및 변압기 출력 측에 연결된 다이오드에 의해 출력 전압이 갑자기 강하되어, 충전 대상 기기의 전원이 의도하지 않게 리셋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다.
전원 공급 장치는, 충전기 등 다양한 기기로 가공되어 제공되어 왔다. 전원 공급 장치는 충전 대상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기기에 맞는 전압으로 입력 전압을 변압하여 제공함으로써, 충전 대상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충전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 대상 기기가 작동하도록 한다.
충전기 등의 전원 공급 장치에는, 전력선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과, 충전 대상 기기의 정격 전압의 차이에 의하여,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충전 대상 기기의 정격 전압으로 변압하기 위한 변압기가 포함되어 있다. 변압기는 제어되는 입력 전압을 출력 전압으로 변경하여 충전 대상 기기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입력 전압은 출력 전압을 일정 범위 내, 즉 충전 대상 기기의 정격 전압의 일정 범위 내에서 충분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펄스 전원 등의 경우 듀티비를 제어하거나 전압의 절대값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변압기에는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고 원활한 전압 공급을 위하여 출력측 단자에 다이오드 등의 제어 소자가 탑재되어 있다.
기존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전원 공급 장치가 충전 대상 기기, 즉 부하에 연결되면, 순간적인 부하의 변화 등에 의하여, 무부하 상태에서 최소 상태로 동작하던 변압기의 동작 상태에 의하여, 무부하 상태에서 풀부하 상태로의 변화를 변압기의 전압 제어 회로가 인지하지 못해, 순간적으로 출력 전압이 크게 감소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언급한 다이오드 등의 제어 소자의 제어 방향에 의하여, 출력 전압이 입력 측에 전달되지 않고, 입력 측에서는 듀티비 제어를 하지 않은 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의도하지 않게 충분한 전압이 출력 단자, 즉 부하가 연결되는 단자 측에 인가되지 않고 전압이 갑자기 강하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때부터 정상적인 상태, 즉 다시 전압이 상승하기 까지 전압 강하가 유지되어, 의도하지 않게 충전 대상 기기에 인가되는 전압이 강하하여 기기의 전원이 꺼지거나 리셋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으나,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999-0028297호(명칭 : 배터리 충전 시스템, 공개일자, 1999.04.15)
이에 본 발명은, 변압기의 입력단에출력측의 전압을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출력측의 전압이 갑자기 강하되더라도 입력단에서 빠르게 전압을 제어하여, 충전 대상 기기의 전원이 갑자기 리셋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는, 외부의 전원 공급 기기로부터 공급된 전압이 인가되는 제1 권선부, 제1 권선부에 인가된 전압을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출력 전압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제2 권선부 및 제2 권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출력 전압이 가해지는 부하 방향으로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변압 모듈의 상기 제2 권선부의 일단과 상기 부하 측 단자를 포함하는 상기 다이오드의 양 단자에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는 전압 전달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하되,상기 전압 전달 회로는, 상기 다이오드가 온된 전압이 인가될 시 오프되고, 상기 다이오드가 오프되는 전압이 인가될 시 온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이오드가 오프될 시 온됨으로써 상기 부하 측 단자에 인가된 전압이 상기 제2 권선부에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압 전달 회로의 단순한 구성을 충전기의 변압기에 설치하는 것을 통해, 급격한 부하 변동에 의한 출력 전압의 감소 시간을 최소화하고, 이를 보상할 수 있어, 충전 대상 기기의 급격한 전압 강하에 의한 전원 리셋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충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기존의 충전기에 부하가 연결되는 전후의 전기적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전압강하 방지 장치의 전압 전달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전달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충전기에 부하가 연결된 전후의 전기적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기존의 충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충전기는 듀티비를 제어하여 출력 단자(V0)에 연결된 부하(20)에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의 충전기이다. 본 발명의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도 상기의 방식에 의한 충전기에 적용되는 기술적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겠으나, 이외에, 크기 제어 방식 등의 다양한 충전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상 동작 상태에서, 출력 전압(V0)는 전압 제어부(40)에 포함된 Ic의 스위칭 주파수와 변압 모듈(10)의 턴수비(N1:N2)에 의하여 생성된다. 즉, Ic에는 제3 권선부(N3)가 존재하며 N3에는 출력 전압(V0)에 관한 신호가 인가되고, 부하(20)의 증감에 따라서 스위칭 주파수가 제어되어 부하(20)에 따라서 일정한 출력 전압(V0)을 유지하게 된다.
최대 부하 상태를 가정하면, 출력 전압(V0)가 감소하게 되면 다이오드(D1)의 동작에 의하여 VA가 함께 감소하게 된다. 이때, 변압 모듈(10)의 턴수비(N1:N2)에 의하여 전압 제어부(40)에 위치한 VB 역시 VA(N3/N2) 값을 갖게 되어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전압 분배 회로(R1, R2)에 의하여 분배된 전압이 인가되는 VE 역시 감소하게 되고, VE는 Ic 에 인가되는 Vsence값이 되므로 Vsence 역시 감소하게 된다. Vsence 신호를 인가받은 Ic는 출력(output)에 있어서 듀티값이나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값을 출력하여, 최종적으로 출력 전압(V0)를 상승시키게 되는 제어 방식을 실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전압 공급 모듈(30)이 외부의 전원 공급 기기(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은 전압을 제1 권선부(N1)에 인가하게 되고, 전압 제어부(40)에 의하여 제1 권선부(N1)에 인가된 전압은 제2 권선부(N2)로 인가되면서 전압이 변압되게 되며, 최종적으로 출력 전압(V0)이 제어된다.
이러한 상태를 가정하면 충전기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충전기를 충전 대상 기기인 부하(20)에 연결하지 않은 무부하 상태에서, 갑자기 부하(20)가 연결되어 풀부하 상태가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도 2는 기존의 충전기에 부하가 연결되는 전후의 전기적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무부하 상태(NL)의 구간에서는, 출력 전류 Iout이 0A로 유지되면서, 출력 전압 V0은 정상 상태로서 예를 들어 5V가 유지된다. 이때 도 1의 Ic에서는 부하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스위칭 주파수 또는 듀티를 최소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갑자기 부하가 풀부하 상태, 즉 충전 대상 기기가 연결됨에 따라서 부하가 증가되면, 출력 전류는 충전 대상 기기에 전달되도록 일정한 값으로 상승(예를 들어 2A)하게 되는데, 이 시점에서 무부하 상태(NL)의 구간에서의 Ic의 스위칭 주파수 및 듀티는 여전히 최소 상태로 동작하는 상태이다.
이때 부하가 순간적으로 변경되는 풀부하 상태(FL)의 구간에 진입되면, Ic는 순간적인 부하 변동을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다이오드(D1)가 오프가 되면서 출력 전압(V0)가 제2 권선부(N2) 측 단자 전압(VA)에 전달되지 못함에 기인한다.
이 경우, 듀티 및 스위칭 주파수가 변경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출력 전압(V0)은 갑자기 해당 구간(T1)에서 임계 전압 이하(예를 들어 1V)로 강하하게 된다. 전류가 흐름에 따라서 출력 전압(V0)을 다시 감지하고, 이를 통해 Ic에서 스위칭 주파수 및 듀티를 상승시킴에 따라서 T1 구간에서 전압이 강하하다가, T1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부터는 다시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T1 구간이 길어지게 되면, 충전 대상 기기에는 적정 수준의 임계 전압(2V)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서 충전 대상 기기의 전원이 갑자기 리셋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하가 갑자기 변경되는 순간부터, 출력 전압(V0)이 다시 상승하게 되는 시간인 T1을 최소화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이하의 도 3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에 의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전압강하 방지 장치의 전압 전달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제2 권선부(N2) 측으로부터 출력 전압(V0)측까지의 회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외의 구성은 도 1 및 2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2 권선부측(11)에는 제2 권선부와, 다이오드(D1) 및 캐패시터(C1)가 부하(20)에 연결되어 출력 전압(V0)을 인가하고 있는 회로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는, 상기의 전압 제어부 이외에, 제1 권선부의 일단(VA)과, 다이오드(D1)에 의하여 연결된 부하 측 단자(VC)를 포함하는 다이오드(D1)의 양 단자(VA, VC)에 다이오드(D1)와 병렬로 연결되는 전압 전달 회로(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압 전달 회로(12)는, 다이오드(D1)가 온(ON)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오프(OFF)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다이오드(D1)가 오프(OFF)되는 전압, 즉 도 1 및 2에서의 전압 강하에 의하여 임계 전압(예를 들어 2V)가 인가될 시 온(ON) 상태로 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다이오드(D1)가 오프(OFF)되는 경우 온(ON) 상태가 되어 부하 측 단자(VC)에 인가된 전압을 다이오드(D1)가 오프(OFF)되더라도 제2 권선부의 단자(VA)에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압 제어부가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포함될 수 있다. 전압 제어부는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제1 권선부 측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 공급 기기로부터 인가된 전압을 Ic가 스위칭 주파수 및 듀티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제어하여 제1 권선부에 제어된 전압 신호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압 제어부는, 제2 권선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감지 시, 감지된 전압의 크기가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범위 내(예를 들어 최소 2V가 되는 범위)에 존재하도록 제1 권선부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의 크기(듀티) 및 듀티비(스위칭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전압 전달 회로(12)가 온되어 부하 측 단자(VC)에 인가된 전압이 제2 권선부 측 단자(VA)에 인가된 경우, 제2 권선부에 인가된 전압이 상기 언급한 기설정된 범위 내로 회복되도록 제1 권선부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압 전달 회로(12)의 구체적인 구성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전달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압 전달 회로는 부하 측 단자(VC)에 전압 분배 회로(R3, R4)에 의하여 연결되어, 부하 측 단자(VC)에 인가된 전압이 기설정된 비율(R4/(R3+R4))로 분배되어 인가되며, 인가된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 전압 미만이 되는 경우 하이 상태가 되는 제1 단자(-, VD) 및 레퍼런스 단자(Reference 캐패시터 측 단자)에 연결된 제2 단자(+)를 입력 단자로 함으로서, 제1 단자(-, VD)에 인가된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 전압 미만이 되는 경우 펄스 생성기(120)에 임계 전압을 인가하도록 펄스 생성기(120)에 연결된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비교 소자(comp1)를 포함하는 전압 비교 모듈(121)을 포함한다.
한편 전압 전달 회로는, 부하 측 단자(VC)에 일 단측이 연결되고, 제2 권선부의 일단(VA)에 다른단측이 연결되며, 펄스 생성기(120)로부터 임계 전압이 인가될 시 생성된 신호를 수신 시 온되는트리거 단자가 온되는 경우, 양단(VC, V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VC에 인가된 전압이 VA에 인가되도록 하는 스위칭 소자(12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부하 측 단자(V0, VC)의 전압이 강하하게 되어 도 3에 도시된 다이오드가 오프가 되는 구간에서, 무부하 상태에서 풀부하 상태로 변경되면, 출력 전압(V0)이 강하하는 것을 즉시 도 3의 전압 전달 회로(12)에 의하여 감지하게 된다.
즉, VC가 강하할 때, 전압 비교 모듈(121)에 포함된 비교 소자(comp1)에 의하여 설정된 레퍼런스 값보다 전압 분배 회로(R3, R4)의 분배에 의하여 VD 값이 작아지면, 비교 소자(comp1)의 출력이 하이 상태로 변경되며, 펄스 생성기(120)에 인가된다. 이때 펄스 생성기(120)에 의하여 트리거 단자에 전압이 인가되어 온되면, 출력 전압(V0)의 강하 상태가 바로 VA에 전달된다.
이는 전압 제어부의 도 1의 단자 VB에도 전달되기 때문에, Ic가 빠르게 전압 강하를 전달받아 스위칭 주파수 또는 듀티비를 증가하여 출력 전압(V0)이 충전 대상 기기의 전원 리셋이 되는 전압 전 정상 전압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충전기에 부하가 연결된 전후의 전기적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상기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도 2에 비하여 향상된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무부하 상태(NL)의 구간에서는, 출력 전류 Iout이 0A로 유지되면서, 출력 전압 V0은 정상 상태로서 예를 들어 5V가 유지된다. 이때 도 1의 Ic에서는 부하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스위칭 주파수 또는 듀티를 최소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갑자기 부하가 풀부하 상태, 즉 충전 대상 기기가 연결됨에 따라서 부하가 증가되면, 출력 전류는 충전 대상 기기에 전달되도록 일정한 값으로 상승(예를 들어 2A)하게 되는데, 이 시점에서 무부하 상태(NL)의 구간에서의 Ic의 스위칭 주파수 및 듀티는 여전히 최소 상태로 동작하는 상태이다.
이때 부하가 순간적으로 변경되는 풀부하 상태(FL)의 구간에 진입되더라도, 상기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Ic는 순간적인 부하 변동에 따른 출력 전압(V0)의 강하를 T2 내에 인식하게 된다.
이 경우, 듀티 및 스위칭 주파수가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때문에 출력 전압(V0)은 임계 전압 이하(예를 들어 1V)로 강하하기 전, T2의 종료 시점에서 출력 전압(V0)을 다시 감지하고, 이를 통해 Ic에서 스위칭 주파수 및 듀티를 상승시킴에 따라서 T2 구간에서 전압이 강하하다가, T2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부터는 다시 전압이 상승하게 되어 예를 들어 출력 전압(V0)가 4.3V 등으로 임계 전압 이하로 강하하기 전 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즉, 도 2에 비하여 짧은 시간 내에 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어, 충전 대상 기기의 전원이 리셋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외부의 전원 공급 기기로부터 공급된 전압이 인가되는 제1 권선부,
    제1 권선부에 인가된 전압을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출력 전압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제2 권선부 및
    제2 권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출력 전압이 가해지는 부하 방향으로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변압 모듈의 상기 제2 권선부의 일단과 부하 측 단자를 포함하는 상기 다이오드의 양 단자에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는 전압 전달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압 전달 회로는,
    상기 부하 측 단자에 전압 분배 회로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부하 측 단자에 인가된 전압이 기설정된 비율로 분배되어 인가되며, 인가된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 전압 미만이 되는 경우 하이(High) 상태가 되는 제1 단자, 및 레퍼런스 단자에 연결된 제2 단자를 입력 단자로 하여, 상기 제1 단자에 인가된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 전압 미만이 되는 경우 펄스 생성기에 상기 임계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펄스 생성기와 연결된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비교 소자; 및
    상기 부하 측 단자에 일단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 권선부의 일단에 다른단측이 연결되며, 상기 펄스 생성기로부터 상기 임계 전압이 인가될 시 생성된 신호를 수신 시 온되는트리거 단자가 온되는 경우 양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다이오드가 온된 전압이 인가될 시 오프되고, 상기 다이오드가 오프되는 전압이 인가될 시 온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이오드가 오프될 시 온됨으로써 상기 부하 측 단자에 인가된 전압이 상기 제2 권선부에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선부 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의 전원 공급 기기로부터 인가된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제1 권선부에 제어된 전압 신호를 인가하는 전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제2 권선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의 크기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제1 권선부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의 크기 및 듀티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며, 상기 전압 전달 회로가 온되어 상기 부하 측 단자에 인가된 전압이 상기 제2 권선부에 인가된 경우, 상기 제2 권선부에 인가된 전압이 상기 기설정된 범위로 회복되도록 상기 제1 권선부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트리거 단자인 MOSFET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
KR1020150055199A 2015-04-20 2015-04-20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 KR101633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199A KR101633677B1 (ko) 2015-04-20 2015-04-20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199A KR101633677B1 (ko) 2015-04-20 2015-04-20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677B1 true KR101633677B1 (ko) 2016-06-29

Family

ID=5636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199A KR101633677B1 (ko) 2015-04-20 2015-04-20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6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1163A (zh) * 2018-04-02 2018-09-11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双向充电设备及其供电***
KR102535113B1 (ko) 2022-08-26 2023-05-30 원제영 이차전지 충전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5649A (ja) * 1994-09-29 1996-04-12 Kofu Nippon Denki Kk 電源装置の出力電圧検出回路
KR19990028297A (ko) 1995-07-25 1999-04-15 모토로라, 인크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20050109045A (ko) * 2003-03-28 2005-11-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스위칭 전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5649A (ja) * 1994-09-29 1996-04-12 Kofu Nippon Denki Kk 電源装置の出力電圧検出回路
KR19990028297A (ko) 1995-07-25 1999-04-15 모토로라, 인크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20050109045A (ko) * 2003-03-28 2005-11-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스위칭 전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1163A (zh) * 2018-04-02 2018-09-11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双向充电设备及其供电***
KR102535113B1 (ko) 2022-08-26 2023-05-30 원제영 이차전지 충전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1094B2 (ja) 充電回路、充電装置、電子機器及び充電方法
US8829864B2 (en) Current driver circuit
US8593118B2 (en) Power supply apparatus with fast initiating speed and power supply system with multiple power supply apparatuses with fast initiating speed
KR101365873B1 (ko) 파워 컨버터, 컨트롤러 ic 및 그 동작 방법
US8787040B2 (en) Voltage-regulating circuit with input voltage detecting circuit and parallel voltage-regulating circuit system using the same
US8493752B2 (en) Primary side current controller and related power supply
US201802946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ing a power converter with a bypass mode
CN1909314B (zh) 装备有电源电路的电子断开装置和包含断开装置的断路器
US8164317B2 (en) Power system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control
TWI411901B (zh) 切換式穩壓器
CN103036274B (zh) 具有升压能力的电池充电调制器
JP6362283B2 (ja) 電気自動車充電設備及び充電方法
US9344000B2 (en) Power module varying bias power and distributed power supply apparatus
US11088560B2 (en) Charger having fast transient respons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328734A (zh) 快速阻断开关
JP2013146141A (ja) 受電装置、送電装置および制御装置
KR101633677B1 (ko) 충전기 전압 강하 방지 장치
JP2017200386A (ja) Dcdcコンバータ
KR20190096795A (ko) 충전 제어 장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제어 방법
US9397493B2 (en) Switching device
CN113726175B (zh) 转换装置、控制器及其供电控制方法
CN216290693U (zh) 转换装置及控制器
CN106558996B (zh) 用于获得恒定输出电压的改进的dc-dc变压装置
KR102204422B1 (ko) 컨버터용 적응형 소프트 스타트 및 소프트 스톱 장치
JP2010172154A (ja) 電源制御回路、電源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