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240B1 - Method of configuring two wireless devices for mutual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of configuring two wireless devices for mutual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240B1
KR101633240B1 KR1020157007204A KR20157007204A KR101633240B1 KR 101633240 B1 KR101633240 B1 KR 101633240B1 KR 1020157007204 A KR1020157007204 A KR 1020157007204A KR 20157007204 A KR20157007204 A KR 20157007204A KR 101633240 B1 KR101633240 B1 KR 101633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wireless
configuration
wireless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2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6242A (en
Inventor
크리스또프 포에쎄
스테판느 보뚜아
스테판느 블랑
Original Assignee
제말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말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제말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5004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2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2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93Some peer nodes performing special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19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setting parameters for the interrogator, e.g. programming parameters and operating m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19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setting parameters for the interrogator, e.g. programming parameters and operating modes
    • G06K7/1022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setting parameters for the interrogator, e.g. programming parameters and operating modes loading programming parameters or programs into the interrogator, e.g. for configuring the interrog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04L41/0809Plug-and-play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76Aspects of the degree of configuration automation
    • H04L41/0886Fully automatic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 및 무선 유닛을 구성하는 방법이다. 디바이스는 태그 모드 및 무선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유닛은 무선 판독기 모드 및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방법은, 태그 모드에서 작동하는 디바이스로부터 설정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 설정 데이터는 제1 구성에 대응하고, 무선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하는 무선 유닛에 의해 판독됨 -; 무선 유닛에서 제1 구성을 활성화하고, 확인응답 데이터를 디바이스에 기입하고, 무선 유닛을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 및 확인응답 데이터의 존재가 디바이스에서 검출될 때 디바이스를 무선 판독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figuring a device and a wireless unit. The device may operate in tag mode and wireless reader mode. The wireless unit may operate in wireless reader mode and card emulation mode.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eading configuration data from a device operating in a tag mode, the configuration data corresponding to a first configuration and being read by a wireless unit operating in a wireless reader mode; Activating a first configuration at a wireless unit, writing acknowledgment data to the device, and switching the wireless unit to a card emulation mode; And switching the device to a wireless reader mode when the presence of acknowledgment data is detected in the device.

Description

상호 통신을 위해 2개의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METHOD OF CONFIGURING TWO WIRELESS DEVICES FOR MUTUAL COMMUNICATION}METHOD OF CONFIGURING TWO WIRELESS DEVICES FOR MUTUAL COMMUNICATION < RTI ID = 0.0 >

본 발명은 2개의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여러 통신 모드들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들을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figuring two wireless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figuring wireless devices capable of operating in various communication mode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은 자계를 통한 데이터의 교환에 기초하고 있다. NFC 판독기는 자계를 변조하며 에너지를 NFC 디바이스들에 제공할 수 있는 안테나를 구비한다. NFC 판독기는 통상 PCD(Proximity Coupling Device)로 명명된다. NFC 디바이스는 PICC(Proximity Integrated Circuit Card 또는 Proximity Card)일 수 있거나, 또는 논리 PICC로서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들을 내장할 수 있다. PICC 및 PCD는 13.56MHz와 동일한 필드 주파수에서 유도성 결합에 의해 통신한다. 특히, ISO14443 및 ISO18092 표준들은 NFC 도메인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변조 기술 및 통신 프로토콜을 제공한다.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is based on the exchange of data through magnetic fields. The NFC reader has an antenna that can modulate the magnetic field and provide energy to the NFC devices. An NFC reader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PCD (Proximity Coupling Device). The NFC device may be a Proximity Integrated Circuit Card (PICC) or a component that acts as a logical PICC. PICC and PCD communicate by inductive coupling at the same field frequency as 13.56 MHz. In particular, ISO 14443 and ISO 18092 standards provide modulation techniques and communication protocols that can be used in NFC domains.

여러 물리적 PICC가 PCD의 자계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PCD가 PICC를 열거하는 것을 허용하는 특정 프로세스가 정의되었다. 이들 프로세스는 충돌 방지 메커니즘으로 불린다.Several physical PICCs may be present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PCD. For this reason, a specific process has been defined that allows the PCD to enumerate the PICC. These processes are referred to as anti-collision mechanisms.

무선 기술(예컨대 NFC)을 통합한 디바이스들은 하나 또는 여러 통신 모드들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3개의 동작 모드들(즉, 통신 모드들)이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하다: 판독기 모드, 카드 에뮬레이션(card emulation) 모드 및 P2P(Peer-to-Peer) 모드.Devices incorporating wireless technology (e.g., NFC) may operate in accordance with one or more communication modes. Three operating modes (i.e., communication modes) are typically available: reader mode, card emulation mode, and peer-to-peer mode.

판독기 모드(또한, 무선 판독기 모드로 불린다)는 무접촉 카드 또는 무접촉 태그로서 간주되는 다른 디바이스들의 판독 및 기입을 허용한다. 전형적으로,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는 전자 태그 또는 무접촉 카드의 메모리의 콘텐츠를 판독할 수 있다. 이런 판독기들은 예컨대 지불을 위해 또는 영역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reader mode (also referred to as the wireless reader mode) allows reading and writing of other devices considered as contactless cards or contactless tags. Typically, a device operating in the reader mode can read the contents of the memory of the electronic tag or contactless card. Such readers may be used, for example, for payment or to control access to the area.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는 무접촉 카드 또는 태그의 에뮬레이션을 허용한다.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는 디바이스가 태그를 에뮬레이트할 때 태그 모드로 불릴 수 있다. 전자 태그는 보안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컴퓨팅 수단 및 메모리 모두를 갖는다고 추정되는 무접촉 카드와는 달리, 매우 한정된 처리 수단을 구비한 메모리를 갖는다고 추정되는 수동 디바이스이다. 기본적으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및 태그 모드는 이들이 판독기와 함께 동작해야만 한다는 점에서 동등하다. 두 경우 모두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와 통신이 있다.The card emulation mode allows the emulation of contactless cards or tags. The card emulation mode can be called in tag mode when the device emulates a tag. An electronic tag is a passive device that is presumed to have a memory with very limited processing means, unlike contactless cards, which are presumed to have both computing means and memory capable of performing security processing. Basically, the card emulation mode and the tag mode are equivalent in that they must operate with the reader. In both cases there is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operating in reader mode.

피어-투-피어 모드는 2개의 무선 디바이스 사이에 균형잡힌 행동(balanced behavior)을 허용함에 의해 판독기의 마스터 역할 및 카드의 슬레이브 역할을 그만두게 허용한다. 즉, P2P 모드는 마스터/슬레이브 스킴(master/slave scheme) 없이 2개의 디바이스 사이에 통신을 허용한다.The peer-to-peer mode allows the reader's master role and slave role of the card to be terminated by allowing balanced behavior between the two wireless devices. That is, the P2P mode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two devices without a master / slave scheme.

무선 디바이스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할 수 있다. 2개의 디바이스가 거래를 실행하길 원할 때, 양쪽에서 활성인 애플리케이션들이 상호 호환가능한 것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이런 구성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는 불편하며 시간이 걸린다.The wireless device may embed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hen two devices want to execute a transaction, it is necessary to take action to ensure that the applications active on both sides are interoperable. These configuration settings can be manually selected by the user. In this case,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and takes time.

2개의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에 통신을 허용하는 구성을 자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It has become necessary to automatically configure a configuration that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two wireless device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상술한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디바이스 및 무선 유닛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다. 디바이스는 무선 판독기 모드 및 피어-투-피어 모드를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되는 제1 통신 모드 및 태그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유닛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및 피어-투-피어 모드를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 제2 통신 모드 및 무선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figuring a device and a wireless unit. The device may operate in a first communication mode and a tag mode included in a group including a wireless reader mode and a peer-to-peer mode. The wireless unit may operate in a second communication mode and wireless reader mode included in a group including a card emulation mode and a peer-to-peer mode. The method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태그 모드에서 작동하는 디바이스로부터 설정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 설정 데이터는 제1 구성에 대응하고, 무선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하는 무선 유닛에 의해 판독됨 -;Reading configuration data from a device operating in a tag mode, the configuration data corresponding to a first configuration and being read by a wireless unit operating in a wireless reader mode;

무선 유닛에서 제1 구성을 활성화하고, 확인응답(acknowledgment) 데이터를 디바이스에 기입하고, 무선 유닛을 제2 통신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 및Activating a first configuration in a wireless unit, writing acknowledgment data to the device, and switching the wireless unit to a second communication mode; And

확인응답 데이터의 존재가 디바이스에서 검출될 때 디바이스를 제1 통신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Switching the device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e when the presence of acknowledgment data is detected in the device.

유리하게, 확인응답 데이터는 제2 구성에 대응하는 조절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구성은 조절 데이터에 따라서 디바이스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acknowledgment data may comprise the adjust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configuration may be activated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adjustment data.

유리하게, 제1 구성은 특정한 통신 프로토콜 설정을 지정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first configuration can specify a particular communication protocol setting.

유리하게, 제1 구성은 무선 유닛에서 활성화될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first configuration can specify an application to be activated in the wireless unit.

유리하게, 디바이스는 태그 모드인 디폴트 모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런 디폴트 모드는 사전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활성화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device may have a default mode which is a tag mode, which default mode may be activated when a preset event occurs.

유리하게, 디바이스는 제1 통신 모드인 디폴트 모드를 가질 수 있으며, 태그 모드는 디바이스가 무선 유닛과 통신에 성공하지 못하면 활성화될 수 있고, 디폴트 모드는 미리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활성화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device may have a default mod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ode, and the tag mode may be activated if the device fails to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unit, and the default mode may be activated when a predefined event occu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판독기 모드 및 피어-투-피어 모드를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 제1 통신 모드 및 태그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있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태그 모드에서 작동할 때 무선 유닛에 의해 판독 및 기입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제1 통신 모드에서 작동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무선 유닛에 의해 사용될 제1 구성에 대응하는 설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메모리에 기입된 확인응답 데이터의 존재를 검출하고 확인응답 데이터의 존재가 검출될 때 디바이스를 제1 통신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적응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a device operable in a first communication mode and a tag mode included in a group including a wireless reader mode and a peer-to-peer mode. The device includes a memory that can be read and written by the wireless unit when the device is operating in the tag mode. The memory includes configuration data corresponding to a first configuration to be used by the wireless unit to communicate with a device operating in a first communication mode. The device includes switching means adapted to detect the presence of acknowledgment data written to the memory and to switch the device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e when the presence of acknowledgment data is detected.

유리하게, 확인응답 데이터는 제2 구성에 대응하는 조절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조절 데이터에 따라서 디바이스에서 제2 구성을 활성화하도록 적응된 설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acknowledgment data may comprise adjust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figuration. The device may comprise setting means adapted to activate the second configuration at th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adjustment data.

유리하게, 디바이스는 태그 모드인 디폴트 모드를 가질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사전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디폴트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적응된 복원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device may have a default mode which is a tag mode, and the device may comprise restoration means adapted to activate a default mode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유리하게, 디바이스는 제1 통신 모드인 디폴트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스위칭 수단은 디바이스가 무선 유닛과 통신에 성공하지 못하면 태그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미리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디폴트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적응된 복원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device may have a default mode which is a first communication mode. The switching means may be adapted to activate the tag mode if the device is unsuccessful in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unit. The device may include restoration means adapted to activate a default mode when a predefined event occu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및 피어-투-피어 모드를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 제2 통신 모드 및 무선 판독기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는 무선 유닛에 있다. 무선 유닛은 무선 판독기 모드인 디폴트 모드를 가진다. 무선 유닛은 태그 모드에서 작동하는 디바이스로부터 설정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적응된 구성 수단을 포함하고, 설정 데이터는 제1 구성에 대응한다. 구성 수단은 무선 유닛에서 제1 구성을 활성화하고, 확인응답 데이터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기입하며, 무선 유닛을 제2 통신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적응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a wireless unit operabl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e included in a group including a card emulation mode and a peer-to-peer mode. The wireless unit has a default mode that is a wireless reader mode. The wireless unit includes configuration means adapted to read configuration data from a device operating in the tag mode, the configur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figuration. The configuration means is adapted to activate the first configuration at the wireless unit, write the acknowledgment data to the memory of the device, and switch the wireless uni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e.

유리하게, 무선 유닛은 사전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디폴트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적응된 복원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wireless unit may comprise restoration means adapted to activate a default mode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는 디바이스 및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유닛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invention resides in a system comprising a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a wireless un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대응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해서 수많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읽은 후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2개의 무선 디바이스의 아키텍처의 예를 개요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디폴트 모드가 태그 모드인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유닛을 구성하는 순서도의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디폴트 모드가 판독기 모드인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유닛을 구성하는 순서도의 제1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디폴트 모드가 판독기 모드인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유닛을 구성하는 순서도의 제2 예이다.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after reading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a number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corresponding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architecture of two wireless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ample of a flow diagram of a wireless device and a wireless unit in which the default mode is a tag mo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irst example of a flow chart for configuring a wireless device and a wireless unit in which the default mode is the reader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ond example of a flow chart for configuring a wireless device and a wireless unit in which the default mode is the reader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여러 통신 모드들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는 이동 전화 또는 지불용 전자 자금 이체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는 교통망을 위한 액세스 제어 머신과 같은 고정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한 번에 단지 하나의 통신 모드가 무선 디바이스에서 활성일 수 있다고 가정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ny type of wireless device capable of operating in various communication modes. These devices may be portable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or an electronic funds transfer terminal for payment. These devices may be fixed devices such as access control machines for the transportation network. It is assumed that only one communication mode at a time may be active in the wireless device.

본 발명의 이점은 표적(targeted) 애플리케이션, 표적 통신 프로토콜, 또는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토콜의 조합, 또는 임의의 표적 적용성 데이터(applicative data)를 지정할 수 있는 디바이스 구성의 선택을 허용하는 것이다.An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allows the selection of a targeted application, a target communication protocol, or a combination of applications and protocols, or a device configuration capable of specifying any target applicative data.

용어 "무선 유닛" 및 "무선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The terms "wireless unit" and "wireless device" are considered to have the same meaning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유닛의 아키텍처를 도시한다.1 shows the architecture of a wireless device and a wireless unit belonging to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시스템(SY)은 무선 디바이스(D1) 및 무선 유닛(D2)을 포함한다.The system SY includes a wireless device Dl and a wireless unit D2.

무선 디바이스(D1)는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망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이다.The wireless device D1 is a device that controls access to a public transport network such as a subway.

무선 유닛(D2)은 대중 교통망에 대응하는 매표 특징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트(host)한다고 추정되는 이동 전화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이다. 이런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전화(D2)에 직접 내장되거나 또는 이동 전화에 포함되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에 내장될 수 있다.Wireless unit D2 is a mobile phone type wireless device that is assumed to host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 ticketing feature corresponding to a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Such an application may be embedded directly in the mobile phone D2 or in a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included in the mobile phone.

디바이스(D1)는 태그 모드 및 무선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D1)는 태그 모드 및 P2P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디바이스(D1)는 태그 모드, 무선 판독기 모드 및 P2P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Device D1 may operate in tag mode and wireless reader mode. Alternatively, device D1 may operate in tag mode and P2P mode. In another example, device D1 may operate in tag mode, wireless reader mode, and P2P mode.

디바이스(D1)는 안테나(AN1), NFC 제어기(NC1), 작업 메모리(WM1), 마이크로프로세서(MP1), 및 2개의 비휘발성 메모리(FL1 및 ME1)를 포함한다. 작업 메모리(WM1)는 RAM(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들(FL1 및 ME1)은 2개의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단일 하드웨어 컴포넌트로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ME1)는 디바이스(D1)가 태그 모드에서 작동할 때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도달가능한 메모리이다. 즉, 메모리(ME1)는 디바이스(D1) 외부의 태그 메모리로서 간주된다. 메모리(ME1)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구성(CF1)에 대응하는 설정 데이터(DA1)를 포함한다.The device D1 includes an antenna AN1, an NFC controller NC1, a work memory WM1, a microprocessor MP1 and two nonvolatile memories FL1 and ME1. The work memory WM1 may be a RAM (Random Access Memory). The non-volatile memories FL1 and ME1 may be implemented as two separate hardware components or may be integrated into a single hardware component. The memory ME1 is a memory that can be reached by another wireless device when the device D1 is operating in the tag mode. That is, the memory ME1 is regarded as a tag memory outside the device D1. The memory ME1 includes setting data DA1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CF1 to be used by another wireless device.

메모리(FL1)는 디바이스(D1)에서 활성화될 수 있는 구성(CF2)을 포함한다. 예컨대, 구성(CF2)은 디바이스(D1)에서 활성화될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될 특정 무접촉 프로토콜을 식별할 수 있다. 메모리(FL1)는 스위칭 수단(M1), 설정 수단(M2), 및 복원 수단(M4)을 포함한다.The memory FL1 includes a configuration CF2 that can be activated in the device D1. For example, configuration CF2 may identify a specific contactless protocol to be used or a specific application to be activated in device D1. The memory FL1 includes switching means M1, setting means M2, and restoring means M4.

스위칭 수단(M1)은 메모리(ME1)에 기입된 확인응답 데이터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스위칭 수단(M1)은 확인응답 데이터(AC)의 존재가 메모리(ME1)에서 검출될 때 디바이스(D1)를 무선 판독기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The switching means M1 can detect the presence of the acknowledgment data written in the memory ME1. The switching means M1 may switch the device D1 to the wireless reader mode when the presence of the acknowledgment data AC is detected in the memory ME1.

설정 수단(M2)은 확인응답 데이터(AC)로부터 추출된 조절 데이터(DA2)에 따라서 디바이스(D1)에서 구성(CF2)을 활성화할 수 있다.The setting means M2 can activate the configuration CF2 in the device D1 in accordance with the adjustment data DA2 extracted from the acknowledgment data AC.

복원 수단(M4)은 사전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될 때 디바이스(D1)의 디폴트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컨대, 사전 설정된 이벤트는 디바이스(D1)가 사전 설정된 지속기간 동안 아이들 상태에 남는다는 사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전 설정된 이벤트는 디바이스(D1)의 리셋일 수 있다.The restoration means M4 may activate the default mode of the device D1 when a preset event occurs. For example, the preset event may be the fact that the device D1 remains in the idle state for a predetermined duration. Alternatively, the preset event may be a reset of device D1.

디바이스(D2)는 무선 판독기 모드 및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D2)는 무선 판독기 모드 및 P2P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디바이스(D2)는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무선 판독기 모드 및 P2P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Device D2 may operate in wireless reader mode and card emulation mode. Alternatively, device D2 may operate in wireless reader mode and P2P mode. In another example, device D2 may operate in a card emulation mode, a wireless reader mode, and a P2P mode.

디바이스(D2)는 안테나(AN2), NFC 제어기(NC2), 작업 메모리(WM2), 마이크로프로세서(MP2), 및 비휘발성 메모리(FL2)를 포함한다. 작업 메모리(WM2)는 RAM이다.The device D2 includes an antenna AN2, an NFC controller NC2, a work memory WM2, a microprocessor MP2, and a nonvolatile memory FL2. The work memory WM2 is RAM.

메모리(FL2)는 구성 수단(M3), 복원 수단(M5), 확인응답 데이터(AC), 구성(CF1), 및 2개의 애플리케이션(A1 및 A2)을 포함한다.The memory FL2 includes configuration means M3, restoration means M5, acknowledgment data AC, configuration CF1 and two applications A1 and A2.

구성(CF1)은 디바이스(D2)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구성(CF1)은 애플리케이션(A1)을 식별할 수 있다. 즉, 구성(CF1)의 활성화는 디바이스(D2)에서 애플리케이션(A1)의 활성화에 의해 수행된다.The configuration CF1 can be activated in the device D2. For example, configuration CF1 may identify application A1. That is, activation of the configuration CF1 is performed by activation of the application A1 in the device D2.

확인응답 데이터(AC)는 1바이트 패턴일 수 있다.The acknowledgment data (AC) may be a one-byte pattern.

유리하게, 디바이스(D2)는 메모리(FL2)에 확인응답 데이터(AC)의 영구 저장을 회피하기 위해서 확인응답 데이터(AC)를 동적으로 생성하도록 적응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dvantageously, device D2 may comprise means adapted to dynamically generate acknowledgment data AC to avoid permanent storage of acknowledgment data AC in memory FL2.

구성 수단(M3)은 태그 모드에서 작동하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설정 데이터(DA1)를 판독할 수 있다. 구성 수단(M3)은 설정 데이터(DA1)에 대응하는 구성(CF1)을 식별할 수 있다. 구성 수단(M3)은 디바이스(D2)에서 구성(CF1)을 활성화할 수 있다. 구성 수단(M3)은 확인응답 데이터(AC)를 태그 모드에서 작동하는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기입할 수 있다. 구성 수단(M3)은 무선 디바이스(D2)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트리거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means M3 can read the setting data DA1 from the wireless device operating in the tag mode. The configuration means M3 can identify the configuration CF1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data DA1. The configuration means M3 can activate the configuration CF1 in the device D2. The configuration means M3 can write the acknowledgment data AC into the memory of the device operating in the tag mode. The configuration means M3 may trigger the wireless device D2 to switch to the card emulation mode.

복원 수단(M5)은 사전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디바이스(D2)의 디폴트 통신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전 설정된 이벤트는 디바이스(D2)의 리셋 또는 디바이스(D2)가 아이들 상태에 남는 사전 정의된 지속기간일 수 있다.The restoration means M5 can set the default communication mode of the device D2 when a preset event occurs. For example, the preset event may be a reset of device D2 or a predefined duration in which device D2 remains idle.

애플리케이션(A1)은 지하철에 대응하는 운송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반면에 애플리케이션(A2)은 모든 종류의 상품 구입을 허용하는 지불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The application A1 may be a transportatio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way, while the application A2 may be a payment application allowing all kinds of goods to be purchased.

NFC 제어기(NC2)는 디바이스(D2)의 무접촉 프로토콜을 전적으로 관리한다. 무접촉 프로토콜은 ISO14443, ISO18092 또는 ISO15693 표준들에 부합할 수 있다. 무접촉 프로토콜은 또한 전용 사양들을 따를 수 있다.The NFC controller NC2 fully manages the contactless protocol of the device D2. The contactless protocol may conform to ISO14443, ISO18092 or ISO15693 standards. The contactless protocol may also follow dedicated specification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디폴트 모드가 태그 모드인 무선 디바이스(D1) 및 무선 유닛(D2)을 구성하는 순서도의 일례를 도시한다. 디바이스(D1) 및 유닛(D2)은 도 1에서 설명된 아키텍처와 유사한 아키텍처를 가진다고 추정된다.Fig. 2 shows an example of a flow chart for configuring a wireless device D1 and a wireless unit D2 in which the default mode is the ta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device D1 and the unit D2 have an architecture similar to the architecture described in Fig.

본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D1)는 태그 모드 및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반면에 무선 유닛(D2)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및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한 번에 단지 하나의 통신 모드가 디바이스에 대해 활성임을 이해해야 한다. 무선 유닛(D2)은 디폴트 모드로서 무선 판독기 모드에서 작동한다고 추정된다. 무선 디바이스(D1)는 그의 디폴트 모드(즉, 태그 모드)에서 작동한다고 추정된다. 충돌 방지 단계가 디바이스(D1)와 유닛(D2) 사이에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고 추정된다.In this example, the wireless device D1 may operate in a tag mode and a reader mode, while the wireless unit D2 may operate in a card emulation mode and a reader mod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ly one communication mode at a time is active for the device. Wireless unit D2 is assumed to operate in wireless reader mode as the default mode. It is assumed that the wireless device D1 is operating in its default mode (i.e., the tag mode). It is assumed that the collision avoidance step has been successfully performed between the device D1 and the unit D2.

제1 단계에서, 무선 유닛(D2)은 디바이스(D1)를 목표로 하는 판독 커맨드를 태그로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판독 커맨드는 디바이스(D1)의 메모리(ME1)에서 특정 어드레스 또는 특정 필드를 목표로 한다. 그 후, 제2 단계에서 판독 커맨드(즉, 판독 태그)에 응답하여 설정 데이터(DA1)가 디바이스(D1)에 의해 유닛(D2)에 전송된다. 제3 단계에서, 유닛(D2)은 수신된 설정 데이터(DA1)의 콘텐츠를 분석하고 이런 콘텐츠에 대응하는 구성(CF1)을 식별한다. 제4 단계에서, 무선 유닛(D2)은 디바이스(D1)를 목표로 하는 기입 커맨드를 태그로서 전송한다. 유리하게, 기입 커맨드는 디바이스(D1)의 메모리(ME1)에서 사전 설정된 어드레스 또는 사전 설정된 필드를 목표로 한다. 기입 커맨드는 디바이스(D1)의 메모리(ME1)에 확인응답 데이터(AC)의 기입을 목표로 삼는다. 제5 단계에서, 무선 유닛(D2)은 구성(CF1)을 활성화하고 유닛(D2)을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로 스위칭한다. 제6 단계에서, 무선 디바이스(D1)는 메모리(ME1)에서 확인응답 데이터(AC)의 존재를 검출한다. 예컨대, 디바이스(D1)는 메모리(ME1)의 사전 설정된 영역의 콘텐츠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확인응답 데이터(AC)는 디바이스(D1)가 적당한 때에 그의 현재의 통신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허용하는 신호이다. 디바이스(D1)는 업데이트된 어드레스, 확인응답 데이터(AC)의 콘텐츠, 또는 사용된 어드레스 및 기입된 값의 조합을 고려할 수 있다. 확인응답 데이터(AC)가 디바이스(D1)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디바이스(D1)는 무선 판독기 모드로 스위칭한다. 이 시점부터, 디바이스(D1)는 무선 판독기로서 역할을 하며, 반면에 유닛(D2)은 무선 카드로서 역할을 한다. 종래의 충돌 방지 단계가 디바이스(D1)와 유닛(D2) 사이에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적용성 데이터가 구축된 무선 채널을 통해 교환될 수 있다.In the first step, the wireless unit D2 transmits a read command targeting the device D1 as a tag. Preferably, the read command targets a specific address or a specific field in the memory ME1 of the device D1. Then, in the second step, in response to the read command (that is, the read tag), the setting data DA1 is transferred to the unit D2 by the device D1. In a third step, the unit D2 analyzes the content of the received configuration data DA1 and identifies the configuration CF1 corresponding to this content. In the fourth step, the wireless unit D2 transmits the write command targeting the device D1 as a tag. Advantageously, the write command is aimed at a predetermined address or a predetermined field in the memory ME1 of the device D1. The write command aims to write the acknowledgment data AC to the memory ME1 of the device D1. In a fifth step, the radio unit D2 activates the configuration CF1 and switches the unit D2 to the card emulation mode. In a sixth step, the wireless device D1 detects the presence of acknowledgment data (AC) in the memory ME1. For example, the device D1 may periodically check the contents of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emory ME1. The acknowledgment data AC is a signal that allows the device D1 to change its current communication mode when appropriate. The device D1 may consider the updated address, the contents of the acknowledgment data AC, or a combination of the address used and the value written. When the acknowledgment data AC is recognized by the device D1, the device D1 switches to the wireless reader mode. From this point on, the device D1 serves as a wireless reader, while the unit D2 serves as a wireless card. A conventional anti-collision step can be successfully performed between the device D1 and the unit D2. The applicability data can then be exchanged over the established wireless channel.

메모리(ME1)에 확인응답 데이터(AC)의 기입이 디바이스(D1) 및 유닛(D2) 모두에서 통신 모드의 변경을 동기화하는 것을 허용함에 유의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writing of the acknowledgment data AC to the memory ME1 allows synchronizing the change of the communication mode in both the device D1 and the unit D2.

또한, 디바이스(D1)는 사전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그의 디폴트 통신 모드로 자동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D1)는 사전 정의된 기간 동안 임의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와 어떤 교환도 수행될 수 없을 때 태그 모드로 스위칭한다.In addition, the device D1 can automatically switch to its default communication mode when a preset event occurs. For example, device D1 switches to the tag mode when no exchange with any other wireless device can be performed during a predefined period of time.

유리하게, 유닛(D2)은 사전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그의 디폴트 통신 모드로 자동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예컨대, 유닛(D2)은 성공적인 적용성 거래가 디바이스(D1)에서 실행되었을 때 무선 판독기 모드로 스위칭한다.Advantageously, unit D2 can automatically switch to its default communication mode when a predefined event occurs. For example, unit D2 switches to a wireless reader mode when a successful applica- tion transaction is executed on device D1.

유리하게, 무선 유닛(D2)은 복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유닛(D2)은 다음과 같은 2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제1 구성, 및 디폴트 프로토콜과는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제2 구성.Advantageously, the wireless unit D2 may comprise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For example, the wireless unit D2 may comprise two configurations: a first configuration for specifying an application and a second configuration for specifying an application having a communication protocol different from the default protocol.

도 2에 설명된 순서도의 예는 판독기 모드와 연관된 자신의 디폴트 구성을 이용하는 디바이스(D1)에 매우 적합하다. 예컨대, 디바이스(D1)는 운송 차량에 대한 액세스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스를 체크하기 위해 디바이스(D1)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은 운송 도메인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다. 즉, 디바이스(D1)에서 판독기 모드와 연관된 디폴트 구성은 운송 도메인의 애플리케이션이다. 본 예에서, 설정 데이터(DA1)의 값은 유닛(D2)이 이 유닛(D2)에 내장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관련된 대응하는 운송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런 자동 선택은 여러 운송 애플리케이션들(상이한 회사들과의 대응 여부에 관계없이)이 유닛(D2)에 존재할 때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 덕분에, 디바이스(D1)는 제1 운송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며 유닛(D2)은 제1 운송 애플리케이션에 부합하는 제2 운송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2개의 운송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거래가 실행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설계에 따라서, 디바이스(D1)는 또한 운송 애플리케이션의 제1 부분을 활성화할 수 있고 유닛(D2)은 운송 애플리케이션의 제2 부분을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어 운송 애플리케이션의 두 개의 부분들 사이에 거래가 실행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flowchart illustrated in FIG. 2 is well suited for device D1 using its default configuration associated with the reader mode. For example, the device D1 may be part of a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transportation vehicle.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embedded in device D1 for checking access i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shipping domain. That is, the default configuration associated with the reader mode in device D1 is an application in the transport domain. In this example, the value of the setting data DA1 may allow the unit D2 to select the corresponding corresponding shipping application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embedded in this unit D2. This automatic selection is particularly useful when several transport applications (whether or not corresponding to different companies) exist in unit D2. Thanks to the invention, the device D1 can activate the first shipping application and the unit D2 can automatically activate the second shipping applica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first shipping application, so that a transaction can be executed between the two shipping applications.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application, the device D1 may also activate the first part of the shipping application and the unit D2 may automatically activate the second part of the shipping application, The transaction can be execu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디폴트 모드가 판독기 모드인 무선 디바이스(D1)와 무선 유닛(D2)을 구성하는 순서도의 제1 예를 도시한다. 디바이스(D1) 및 유닛(D2)은 도 1에 설명된 아키텍처와 유사한 아키텍처를 갖는다고 추정된다.Fig. 3 shows a first example of a flow chart for configuring a wireless device D1 and a wireless unit D2 in which the default mode is the reader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device D1 and the unit D2 have an architecture similar to the architecture described in Fig.

본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D1)는 태그 모드 및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반면에 무선 유닛(D2)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및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유닛(D2)은 디폴트 모드로서 무선 판독기 모드에서 작동한다고 추정된다. 무선 디바이스(D1)는 무선 판독기 모드에서 작동한다고 추정된다.In this example, the wireless device D1 may operate in a tag mode and a reader mode, while the wireless unit D2 may operate in a card emulation mode and a reader mode. Wireless unit D2 is assumed to operate in wireless reader mode as the default mode. It is assumed that wireless device D1 is operating in wireless reader mode.

제1 단계에서, 디바이스(D1) 및 유닛(D2)는 충돌 방지 단계를 수행하길 시도한다. 2개의 무선 판독기가 무선 연결을 구축할 수 없기 때문에, 충돌 방지 단계는 성공하지 못한다. 디바이스(D1)는 충돌 방지 단계의 실패를 검출하고 자신을 태그 모드로 자동으로 스위칭한다.In the first step, the device D1 and the unit D2 attempt to perform the anti-collision step. Since the two wireless readers can not establish a wireless connection, the collision avoidance step is unsuccessful. The device D1 detects the failure of the collision avoidance step and automatically switches itself to the tag mode.

제2 단계에서, 충돌 방지 단계가 디바이스(D1)와 유닛(D2) 사이에 성공적으로 수행되며, 무선 유닛(D2)은 디바이스(D1)를 목표로 하는 판독 커맨드를 태그로서 전송한다. 그 후 제3 단계에서 판독 커맨드에 응답하여 설정 데이터(DA1)가 디바이스(D1)에 의해 유닛(D2)에 전송된다. 제4 단계에서, 유닛(D2)은 수신된 설정 데이터(DA1)의 콘텐츠를 분석하고 설정 데이터(DA1)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구성(CF1)을 식별한다. 제5 단계에서, 무선 유닛(D2)은 디바이스(D1)를 목표로 하는 기입 커맨드를 태그로서 전송한다. 기입 커맨드는 디바이스(D1)의 메모리(ME1)에 확인응답 메시지(AC)의 기입을 목표로 삼는다. 본 예에서, 확인응답 데이터(AC)는 구성(CF2)에 대응하는 조절 데이터(DA2)를 포함한다. 제6 단계에서, 무선 유닛(D2)은 구성(CF1)을 활성화하고 자신을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로 스위칭한다. 제7 단계에서, 무선 디바이스(D1)는 메모리(ME1)에서 확인응답 데이터(AC)의 존재를 검출한다. 예컨대, 디바이스(D1)는 데이터가 메모리(ME1)에 기입될 때 자동으로 트리거되는 수단을 가질 수 있다. 확인응답 데이터(AC)가 디바이스(D1)에 의해 인식될 때, 디바이스(D1)는 무선 판독기 모드로 스위칭한다. 또한, 디바이스(D1)는 조절 데이터(DA2)를 검출하고 사용될 대응하는 구성(CF2)을 식별한다. 그 후 디바이스(D1)는 구성(CF2)을 활성화한다. 이 시점부터, 디바이스(D1)는 무선 판독기로서 역할을 하며, 반면에 유닛(D2)은 무선 카드로서 역할을 하고, 양 디바이스들은 관련된 활성 구성을 갖는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종래의 충돌 방지 단계가 디바이스(D1)와 유닛(D2) 사이에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적용성 데이터가 구축된 무선 채널을 통해 교환될 수 있다.In the second step, a conflict prevention step is successfully performed between the device D1 and the unit D2, and the wireless unit D2 transmits a read command targeting the device D1 as a tag. Then, in the third step, in response to the read command, the setting data DA1 is transferred to the unit D2 by the device D1. In the fourth step, the unit D2 analyzes the content of the received setting data DA1 and identifies the configuration CF1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f the setting data DA1. In a fifth step, the wireless unit D2 transmits a write command targeting the device D1 as a tag. The write command aims at writing an acknowledgment message (AC) to the memory ME1 of the device D1. In this example, the acknowledgment data AC includes adjustment data DA2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CF2. In a sixth step, the radio unit D2 activates the configuration CF1 and switches itself to the card emulation mode. In a seventh step, the wireless device D1 detects the presence of acknowledgment data (AC) in the memory ME1. For example, the device D1 may have a means that is automatically triggered when data is written to the memory ME1. When the acknowledgment data AC is recognized by the device D1, the device D1 switches to the wireless reader mode. In addition, the device D1 detects the adjustment data DA2 and identifies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CF2 to be used. The device D1 then activates the configuration CF2. From this point on, it is assumed that the device Dl serves as a wireless reader, while the unit D2 acts as a wireless card, and both devices have an associated active configuration. Accordingly, a conventional anti-collision step can be successfully performed between the device D1 and the unit D2. The applicability data can then be exchanged over the established wireless channel.

또한, 유닛(D2)은 사전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그의 디폴트 통신 모드로 자동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예컨대, 유닛(D2)은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교환 없이 사전 설정된 기간이 경과된 후 무선 판독기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Unit D2 can also automatically switch to its default communication mode when a preset event occurs. For example, unit D2 may return to the wireless reader mode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without exchanging data with the device.

도 3에 설명된 순서도의 예는 디바이스(D1)와 유닛(D2) 사이에 사용될 특정 무접촉 프로토콜을 선택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본 예는 또한 유닛(D2)에 전송되고 이로부터 수신된 적용성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기 위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디바이스(D1)에서 선택되고 활성화되어야만 할 때 매우 적합하다. 예컨대, 이 디바이스(D1)는 상이한 종류의 지불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런 경우, 활성화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표적 은행에 대응할 수 있으며, 반면에 별개의 은행들에 대응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이 디바이스(D1)에 대해 이용가능하다. 유닛(D2)에 의해 제공된 조절 데이터(DA2) 덕분에, 표적 은행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이 디바이스(D1)에서 동적으로 자동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런 자동 선택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통신 프로토콜이 디바이스(D1)에 대해 이용가능할 때 특히 유용하다.An example of the flowchart illustrated in FIG. 3 is well suited for selecting a specific contactless protocol to be used between device D1 and unit D2. This example is also well suited when a particular application must be selected and activated in device D1 to be able to manage the applicability data sent to and received from unit D2. For example, the device D1 may be part of a system capable of managing different types of payments. In this case, the activated application may correspond to the target bank, while other applications corresponding to separate banks are available for the device D1. Thanks to the adjustment data DA2 provided by the unit D2, the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target bank can be dynamically activated automatically in the device D1. This automatic selection is particularly useful when multiple applications or communication protocols are available for device D1.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서 디폴트 모드가 판독기 모드인 무선 디바이스(D1) 및 무선 유닛(D2)을 구성하는 순서도의 제2 예를 도시한다. 디바이스(D1) 및 유닛(D2)은 도 1에 설명된 아키텍처와 유사한 아키텍처를 갖는다고 추정된다.Fig. 4 shows a second example of a flow chart for configuring a wireless device D1 and a wireless unit D2 in which the default mode is the reader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device D1 and the unit D2 have an architecture similar to the architecture described in Fig.

본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D1)는 태그 모드 및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반면에 무선 유닛(D2)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및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유닛(D2)은 디폴트 모드로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에서 작동한다고 추정된다. 무선 디바이스(D1)는 그의 디폴트 모드(즉, 판독기 모드)에서 작동한다고 추정된다.In this example, the wireless device D1 may operate in a tag mode and a reader mode, while the wireless unit D2 may operate in a card emulation mode and a reader mode. It is assumed that the wireless unit D2 operates in the card emulation mode as the default mode. It is assumed that the wireless device D1 is operating in its default mode (i.e., reader mode).

제1 단계에서, 디바이스(D1) 및 유닛(D2)은 성공적인 충돌 방지 단계를 수행한다. 제2 단계에서, 디바이스(D1) 및 유닛(D2)은 적용성 교환을 수행한다. 제3 단계에서, 디바이스(D1) 및 유닛(D2)은 적용성 교환 동안 실패를 검출한다. 예컨대, 유닛(D2)에서 활성인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D1)의 행동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유닛(D2)에서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은 지불 애플리케이션이며, 반면에 디바이스(D1)에서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은 액세스 제어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In the first step, device D1 and unit D2 perform a successful collision avoidance step. In a second step, device D1 and unit D2 perform applicability exchange. In a third step, device D1 and unit D2 detect a failure during applicability exchange. For example, an application that is active in unit D2 may not match the behavior of device D1. For example, the application activated in unit D2 may be a payment application, while the application activated in device D1 may be an access control application.

제4 단계에서, 무선 유닛(D2)은 실패 검출에 응답하여 무선 판독기 모드로 자동 스위칭한다. 동일한 이유로, 디바이스(D1)는 태그 모드로 스위칭한다.In a fourth step, wireless unit D2 automatically switches to wireless reader mode in response to failure detection. For the same reason, device D1 switches to the tag mode.

제5 단계에서, 충돌 방지 단계가 디바이스(D1)와 유닛(D2) 사이에 성공적으로 수행되며, 그 후 무선 유닛(D2)은 디바이스(D1)를 목표로 하는 판독 커맨드를 태그로서 전송한다. 그 후 제7 단계에서 판독 커맨드에 응답하여 설정 데이터(DA1)가 디바이스(D1)에 의해 유닛(D2)으로 전송된다. 제8 단계에서, 유닛(D2)은 수신된 설정 데이터(DA1)의 콘텐츠를 분석하며, 설정 데이터(DA1)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구성(CF1)을 식별한다. 제9 단계에서, 무선 유닛(D2)은 디바이스(D1)의 메모리(ME1)에 확인응답 데이터(AC)를 기입하기 위하여 디바이스(D1)를 목표로 하는 기입 커맨드를 태그로서 전송한다. 제10 단계에서, 무선 유닛(D2)은 구성(CF1)을 활성화하며, 자신을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로 스위칭한다. 제11 단계에서, 무선 디바이스(D1)는 메모리(ME1)에서 확인응답 데이터(AC)의 존재를 검출하고 무선 판독기 모드로 스위칭한다. 이 시점부터, 디바이스(D1)는 무선 판독기로서 역할을 하며, 반면에 유닛(D2)은 무선 카드로서 역할을 하고, 양 디바이스들은 순응적인 활성 구성들을 갖는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새로운 종래의 충돌 방지 단계가 디바이스(D1)와 유닛(D2) 사이에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적용성 데이터가 구축된 무선 채널을 통해 성공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In a fifth step, a collision avoidance step is successfully performed between the device D1 and the unit D2, after which the wireless unit D2 sends a read command targeting the device D1 as a tag. Then, in the seventh step, in response to the read command, the setting data DA1 is transferred to the unit D2 by the device D1. In the eighth step, the unit D2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received setting data DA1, and identifies the configuration CF1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setting data DA1. In the ninth step, the wireless unit D2 transmits, as a tag, a write command aimed at the device D1 to write the acknowledgment data AC to the memory ME1 of the device D1. In a tenth step, the radio unit D2 activates the configuration CF1 and switches itself to the card emulation mode. In the eleventh step, the wireless device D1 detects the presence of acknowledgment data (AC) in the memory ME1 and switches to wireless reader mode. From this point on, it is assumed that the device Dl serves as a wireless reader, while the unit D2 acts as a wireless card, and both devices have compliant active configurations. Thus, a new conventional anti-collision step can be successfully performed between the device D1 and the unit D2. The applicability data can then be successfully exchanged over the established wireless channel.

도 4에 설명된 순서도의 예는 유닛(D2)의 현재(또는 디폴트) 애플리케이션이 양호한 애플리케이션이 아닐 때 유닛(D2)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데 매우 적합하다.An example of the flowchart illustrated in FIG. 4 is well suited for selecting a particular application in unit D2 when the current (or default) application of unit D2 is not a good application.

도 2-4에 설명된 방법은 판독기/카드 스킴에 따라서 통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2개의 무선 디바이스에 중점을 둔다. 본 발명은 또한 피어-투-피어 스킴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2개의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3 이상의 통신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들에 적용된다.The method described in Figures 2-4 focuses on two wireless devices aimed at communicating in accordance with the reader / card scheme. The present invention also applies to two wireless devices aimed at communicating in accordance with a peer-to-peer scheme. The invention also applies to wireless devices capable of operating in three or more communication modes.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예들이 비 제한적인 예들로서 제공됨을 이해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as non-limiting examples.

구성(CF1)은 활성화될 애플리케이션, 사용되어야만 하는 적용성 파라미터 값,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 사용될 통신 프로토콜의 파라미터, 또는 통신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보안 특징들을 식별할 수 있다. 이런 보안 특징은 예컨대 알고리즘 또는 비밀 데이터일 수 있다.The configuration CF1 may identify the application to be activated, the applicability parameter values that must be used, the communication protocol to be used, the parameters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to be used, or the security features to be used to secure the communication. Such a security feature may be, for example, an algorithm or secret data.

구성(CF1)은 디바이스(D2)에서 설정될 통신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유리하게, 구성(CF2)은 디바이스(D1)에서 설정될 통신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CF1 can identify the communication mode to be set in the device D2. Advantageously, the configuration CF2 can identify the communication mode to be set in the device D1.

구성(CF1)은 또한 유닛(D2)에 의해 고려될 유효 기간으로서 해석되는 지속기간을 식별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CF1 can also identify the duration that is interpreted as the validity period to be considered by the unit D2.

유리하게, 구성(CF1)의 선택은 판독 설정 데이터(DA1), 및 유닛(D2)에 포함된 폴리시(policy)의 조합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 데이터(DA1)는 애플리케이션의 도메인(즉, 운송, 액세스 제어, 게이밍, 데이터 공유, 전자 신원 또는 지불)을 식별할 수 있으며, 폴리시는 동일 도메인의 여러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우선순위 규칙을 지정한다.Advantageously, the selection of configuration CF1 may be based on a combination of read configuration data DA1 and policies contained in unit D2.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data DA1 may identify the domain of the application (i.e., transport, access control, gaming, data sharing, electronic identity or payment), and the policy may specify a priority rule among multiple applications in the same domain .

본 발명은 NFC 통신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종류의 무접촉 통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NFC communication and applies to any kind of contactless communication.

Claims (10)

디바이스(D1) 및 무선 유닛(D2)을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바이스(D1)는 무선 판독기 모드 및 피어-투-피어 모드를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 제1 통신 모드 및 태그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유닛(D2)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및 피어-투-피어 모드를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 제2 통신 모드 및 무선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태그 모드에서 작동하는 상기 디바이스(D1)로부터 설정 데이터(DA1)를 판독하는 단계 - 상기 설정 데이터(DA1)는 제1 구성(CF1)에 대응하고, 무선 판독기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무선 유닛(D2)에 의해 판독됨 -;
상기 무선 유닛(D2)에서 상기 제1 구성(CF1)을 활성화하고, 확인응답 데이터(AC)를 상기 디바이스(D1)에 기입하고, 상기 무선 유닛(D2)을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응답 데이터(AC)의 존재가 상기 디바이스(D1)에서 검출될 때 상기 디바이스(D1)를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 - 상기 디바이스(D1) 및 상기 무선 유닛(D2)은 무선 판독기 및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들의 조합으로 또는 양자가 피어-투-피어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설정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of configuring a device (D1) and a wireless unit (D2), the device (D1) being operable in a first communication mode and a tag mode included in a group comprising a wireless reader mode and a peer- Wherein the wireless unit D2 is capable of operating in a second communication mode and a wireless reader mode included in a group including a card emulation mode and a peer-to-peer mode,
Reading configuration data DA1 from the device D1 operating in the tag mode, wherein the configuration data DA1 corresponds to a first configuration CF1, and wherein the wireless unit D2, operating in a wireless reader mode, Lt; / RTI >
Activating the first configuration CF1 at the wireless unit D2 and writing acknowledgment data AC to the device D1 and switching the wireless unit D2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e ; And
Switching the device (D1)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e when the presence of the acknowledgment data (AC) is detected in the device (D1), the device (D1) and the wireless unit (D2) And a combination of card emulation modes or both are set to operate in peer-to-peer mode -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데이터(AC)는 제2 구성(CF2)에 대응하는 조절 데이터(DA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성(CF2)은 상기 조절 데이터(DA2)에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D1)에서 활성화되는,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cknowledgment data (AC) comprises adjustment data (DA2) corresponding to a second configuration (CF2) and the second configuration (CF2) (D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CF1)은 특정한 통신 프로토콜 설정을 지정하는,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configuration (CF1) specifies a specific communication protocol sett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CF1)은 상기 무선 유닛(D2)에서 활성화될 애플리케이션(A1)을 지정하는,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said first configuration (CF1) designates an application (A1) to be activated in said wireless unit (D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D1)는 상기 태그 모드인 디폴트 모드를 가지며, 상기 디폴트 모드는 사전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활성화되는, 방법.3. A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evice (D1) has a default mode which is the tag mode, and the default mode is activated when a preset event occur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D1)는 상기 제1 통신 모드인 디폴트 모드를 가지며, 상기 태그 모드는 상기 디바이스(D1)가 상기 무선 유닛(D2)과 통신에 성공하지 못하면 활성화되고, 상기 디폴트 모드는 사전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활성화되는, 방법.3.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D1) has a default mode which is the first communication mode and the tag mode is activated when the device (D1) And wherein the default mode is activated when a predefined event occurs. 무선 판독기 모드 및 피어-투-피어 모드를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 제1 통신 모드 및 태그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D1)로서, 상기 디바이스(D1)는 태그 모드에서 작동할 때 무선 유닛(D2)에 의해 판독 및 기입될 수 있는 메모리(ME1)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ME1)는 상기 제1 통신 모드에서 작동하는 상기 디바이스(D1)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유닛(D2)에 의해 사용될 제1 구성(CF1)에 대응하는 설정 데이터(DA1)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D1)는 상기 메모리(ME1)에 기입된 확인응답 데이터(AC)의 존재를 검출하고, 상기 확인응답 데이터(AC)의 존재가 검출될 때 상기 디바이스(D1)를 상기 제1 통신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적응된 스위칭 수단(M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D1).
A device (D1) capable of operating in a first communication mode and a tag mode included in a group including a wireless reader mode and a peer-to-peer mode, the device (D1) D2), and the memory (ME1)
The memory ME1 comprises configuration data DA1 corresponding to a first configuration CF1 to be used by the wireless unit D2 to communicate with the device D1 operating in the first communication mode,
The device (D1) detects the presence of acknowledgment data (AC) written in the memory (ME1), and when the presence of the acknowledgment data (AC) is detected, Gt; D1 < / RTI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데이터(AC)는 제2 구성(CF2)에 대응하는 조절 데이터(DA2)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D1)는 상기 조절 데이터(DA2)에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D1)에서 상기 제2 구성(CF2)을 활성화하도록 적응된 설정 수단(M2)을 포함하는 디바이스(D1).The device of claim 7, wherein said acknowledgment data (AC) comprises adjustment data (DA2) corresponding to a second configuration (CF2) and said device (D1) (M2) adapted to activate the second configuration (CF2) in the first configuration (CF2).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및 피어-투-피어 모드를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 제2 통신 모드 및 무선 판독기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는 무선 유닛(D2)으로서, 상기 무선 유닛(D2)은 디폴트 모드를 가지며,
상기 디폴트 모드는 상기 무선 판독기 모드이며,
상기 무선 유닛(D2)은 태그 모드에서 작동하는 디바이스(D1)로부터 설정 데이터(DA1)를 판독하고 - 상기 설정 데이터(DA1)는 제1 구성(CF1)에 대응함 -, 상기 무선 유닛(D2)에서 상기 제1 구성(CF1)을 활성화하고, 확인응답 데이터(AC)를 상기 디바이스(D1)의 메모리(ME1)에 기입하며, 상기 무선 유닛(D2)을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적응된 구성 수단(M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유닛(D2).
A wireless unit (D2) capable of oper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e included in a group including a card emulation mode and a peer-to-peer mode, the wireless unit (D2) having a default mode,
Wherein the default mode is the wireless reader mode,
The wireless unit D2 reads the setting data DA1 from the device D1 operating in the tag mode and the setting data DA1 corresponds to the first configuration CF1, Adapted to activate said first configuration (CF1), write acknowledgment data (AC) in memory (ME1) of said device (D1), and switch said wireless unit (D2) (D2)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means (M3).
디바이스 및 무선 유닛을 포함하는 시스템(SY)으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제7항의 디바이스(D1)이며, 상기 무선 유닛은 제9항의 무선 유닛(D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SY).
A system (SY) comprising a device and a wireless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is the device (D1) of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unit is the wireless unit (D2) of claim 9.
KR1020157007204A 2012-09-25 2013-09-09 Method of configuring two wireless devices for mutual communication KR10163324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306156.6A EP2711864A1 (en) 2012-09-25 2012-09-25 Method of configuring two wireless devices for mutual communication
EP12306156.6 2012-09-25
PCT/EP2013/068572 WO2014048703A1 (en) 2012-09-25 2013-09-09 Method of configuring two wireless devices for mutual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242A KR20150046242A (en) 2015-04-29
KR101633240B1 true KR101633240B1 (en) 2016-06-23

Family

ID=4707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204A KR101633240B1 (en) 2012-09-25 2013-09-09 Method of configuring two wireless devices for mutual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57340B2 (en)
EP (2) EP2711864A1 (en)
KR (1) KR101633240B1 (en)
WO (1) WO201404870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3187B2 (en) 2014-06-12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TWI572218B (en) 2014-07-17 2017-02-21 新力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devic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nfc
US10652082B2 (en) * 2016-02-16 2020-05-12 IXI Technology Automated detection of communicational system type
EP3567876B1 (en) * 2017-01-24 2022-10-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Transactio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6476B2 (en) * 2005-10-06 2019-01-08 Mastercard Mobile Transactions Solutions, Inc. Secure ecosystem infrastructure enabling multiple types of electronic wallets in an ecosystem of issuers, service providers, and acquires of instruments
US7072672B1 (en) * 2002-11-01 2006-07-04 Nokia Corporation Disposable mini-applications
FR2854967B1 (en) * 2003-05-13 2005-08-05 St Microelectronics Sa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N OPERATING MODE OF A CONTROLLED DEVICE, FOR EXAMPLE A TEST MODE OF AN EEPROM MEMORY
WO2005093646A1 (en) * 2004-03-23 2005-10-06 Axalto Sa Assembly consisting of a micro-module and a reproducing device which is equipped with contact-free near-communication means
EP1757125B1 (en) * 2004-06-14 2011-05-25 Nokia Corporation Automated application-selective processing of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links
US20060181395A1 (en) * 2005-02-16 2006-08-17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Techniques to configure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s
US7128274B2 (en) * 2005-03-24 2006-10-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credit card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s
JP4777725B2 (en) * 2005-08-31 2011-09-21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Portable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40020068A1 (en) * 2005-10-06 2014-01-16 C-Sam, Inc. Limiting widget access of wallet, device, client applications, and network resources while providing access to issuer-specific and/or widget-specific issuer security domains in a multi-domain ecosystem for secure personalized transactions
US20140089120A1 (en) * 2005-10-06 2014-03-27 C-Sam, Inc. Aggregating multiple transaction protocols for transacting between a plurality of distinct payment acquiring devices and a transaction acquirer
US8698603B2 (en) * 2005-11-15 2014-04-15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device provisioning in an RFID network using IP multicast
DE602007008313D1 (en) * 2006-05-10 2010-09-23 Inside Contactless Method for forwarding incoming and outgoing data to an NFC chipset
KR20080042578A (en) * 2006-11-10 2008-05-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pparatus with integrated reader and tag function
US7885603B2 (en) * 2007-02-14 2011-02-08 Audiovox Corporation In-vehicle unit communication protocol
JP4851585B2 (en) * 2007-02-28 2012-01-11 富士通株式会社 COMMUNICATION METHOD FOR SYSTEM COMPRISING CLIENT DEVICE AND MULTIPLE SERVER DEVICE, ITS COMMUNICATION PROGRAM, CLIENT DEVICE, AND SERVER DEVICE
EP1998468A3 (en) * 2007-05-31 2012-06-06 Broadcom Corporation Multi-mode RFID reader Architecture
US20080299904A1 (en) * 2007-06-04 2008-12-04 Seagate Technology Ll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70057B2 (en) * 2007-09-12 2011-12-06 Devicefidelity, Inc. Switching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antennas
US20090069049A1 (en) * 2007-09-12 2009-03-12 Devicefidelity, Inc. Interfacing transaction cards with host devices
ES2386164T3 (en) * 2008-03-27 2012-08-10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election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US8458363B2 (en) * 2008-06-08 2013-06-04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data transfer
EP2141706A1 (en) * 2008-07-04 2010-01-06 Gemalto SA Memory card adaptor
US9037513B2 (en) * 2008-09-30 2015-05-19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event tickets
US8850052B2 (en) * 2008-09-30 2014-09-3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resource sharing
US8271025B2 (en) * 2008-10-20 2012-09-18 At&T Mobility Ii Llc Device network technology selection and display in multi-technology wireless environments
EP2219340A1 (en) * 2009-02-13 2010-08-18 Gemalto UK Lt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a system and a mobile network through an IP channel, corresponding portable object and system
EP2239924A1 (en) * 2009-04-08 2010-10-13 Gemalto SA Method for pre-selec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n NFC system
JP5414802B2 (en) * 2009-09-15 2014-02-12 株式会社東芝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2330753A1 (en) * 2009-12-04 2011-06-08 Gemalto SA Method of power negotiation between two contactless devices
WO2011118943A2 (en) * 2010-03-22 201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EP2390817A1 (en) * 2010-05-27 2011-11-30 Gemalto SA Method of managing communications with a nfc controller
US9819458B2 (en) * 2010-08-13 2017-11-14 Qualcomm Incorporation Feedback bundling for power-limited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670410B2 (en) * 2010-09-17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mapping for carrier aggregation
JP2012114513A (en) * 2010-11-19 2012-06-14 Toshiba Corp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FR2976698B1 (en) * 2011-06-17 2013-07-05 Inside Secure INTEGRATED CONTACTLESS CIRCUIT HAVING NFC AND UHF OPERATING MODES
CN102291493B (en) * 2011-08-25 2012-10-03 华为终端有限公司 Method, relevant device and system for configuring application parameter of mobile terminal
EP2767110A4 (en) * 2011-10-12 2015-01-28 C Sam Inc A multi-tiered secure mobile transactions enabling platform
US8874162B2 (en) * 2011-12-23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safe driving
CN102629898B (en) * 2012-04-11 2014-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s well as system
US9960959B2 (en) * 2012-06-20 2018-05-01 Michael FLACCO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9142999B2 (en) * 2012-07-13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small device wireless charging modes
US9973879B2 (en) * 2012-11-26 2018-05-15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decoding of transmissions on a forward link in a machine-to-machine wireless wide area network
US20140355623A1 (en) * 2013-06-03 2014-12-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Connection Control Parameter In-Band Signaling
US20150023230A1 (en) * 2013-07-19 2015-01-22 Qualcomm Incorporated Dual sim dual activ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with a single transmit chain and dual or single receive ch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8703A1 (en) 2014-04-03
US9357340B2 (en) 2016-05-31
EP2901364A1 (en) 2015-08-05
US20150326999A1 (en) 2015-11-12
KR20150046242A (en) 2015-04-29
EP2901364B1 (en) 2016-11-30
EP2711864A1 (en)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4712B (en) Smartcard performance enhancement circuits and systems
US7961101B2 (en) Small RFID card with integrated inductive element
TWI486004B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fc secure application support in battery on and battery off modes
CN103001671B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fc secure application support in battery-off mode when no nonvolatile memory write access is available
EP2577554B1 (en) Method of managing communications with a nfc controller
US20110226853A1 (en) Method of conducting a transaction using an nfc device
US20100033310A1 (en) Power negotation for small rfid card
JP389095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EP2775739B1 (en) Near-field communications and routing
JP2012523727A (en) Method of preselec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n NFC system
KR101633240B1 (en) Method of configuring two wireless devices for mutual communication
CN106664513B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system, controlle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aminger et al. An NFC ticketing system with a new approach of an inverse reader mode
CN102194085B (en) The method of issued transaction is carried out by NFC device
US20170255925A1 (en) Configuration of a transaction in a proximity circuit
TWI433560B (en) Power negotiation for small rfid card
KR20180053734A (en) How to manage applications in the security element
WO2018010904A1 (en) Method of managing a secure element
JP2004248310A (en) Data processing method for rfid tag and interrogator (reader/writer)
US20220350976A1 (en) Method for managing a multi-application contactless device
EP3174213A1 (en) Application activation in a smart device
JP2004157903A (en) Data processing controller, communications processor,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