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262B1 - DagA 효소반응으로 조제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한천 유래 네오아가로올리고당 복합 조성물 - Google Patents

DagA 효소반응으로 조제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한천 유래 네오아가로올리고당 복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262B1
KR101632262B1 KR1020130137079A KR20130137079A KR101632262B1 KR 101632262 B1 KR101632262 B1 KR 101632262B1 KR 1020130137079 A KR1020130137079 A KR 1020130137079A KR 20130137079 A KR20130137079 A KR 20130137079A KR 101632262 B1 KR101632262 B1 KR 101632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ar
daga
obesity
reaction product
enzyme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1272A (ko
KR101632262B9 (ko
Inventor
이제현
홍순광
홍선주
이문희
Original Assignee
다인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인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인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3/0102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77575A1/ko
Priority to CN201380059074.6A priority patent/CN104780943B/zh
Priority to JP2015541697A priority patent/JP6088657B2/ja
Publication of KR20140061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262B1/ko
Publication of KR10163226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26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9Agar; Agarose; Agaropect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agA 효소반응으로 조제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한천 유래 네오아가로올리고당 복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Streptomyces coelicolor) DagA와 한천 또는 아가로스(agarose)의 효소반응으로 수득한 반응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치료,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 DagA와 한천 또는 아가로스의 효소반응산물이 우수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거나 섭취하면 효과적으로 비만 및 당뇨를 예방, 치료 및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DagA 효소반응으로 조제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한천 유래 네오아가로올리고당 복합 조성물{Agar-derived neoagarooligosaccharide complex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and/or diabetes comprising enzyme reaction products of beta agarase DagA and agar}
본 발명은 DagA 효소반응으로 조제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한천 유래 네오아가로올리고당 복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Streptomyces coelicolor) DagA와 한천 또는 아가로스(agarose)의 효소반응으로 수득한 반응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치료,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천(Agar)은 오래 전부터 식품첨가물, 의약품, 화장품, 가축사료 및 공업원료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해조류 유래 다당류로, 국내의 경우 해마다 그 생산량이 약 3,600톤에 이르고 있는 비교적 풍부한 수산자원의 하나이다. 그러나 실제 이용 면에서는 전체생산량의 일부만이 단순가공 처리되어 값싼 원료로 사용될 뿐이며, 그 나머지는 대부분 방치되고 있어 부존자원량에 비해 부가가치가 매우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풍부한 국내 한천의 새로운 용도개발과 부가가치 향상에 관한 연구가 크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천은 아가로스(agarose)와 아가로펙틴(agaropectin)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아가로스는 갈락토스(D-galactose)와 3,6-anhydro-L-galactose가 β-1, 4 형태로 결합한 단위체인 아가로비오스(agarobiose)가 반복되어 α-1, 3 결합으로 연결된 직쇄구조로 되어있고 겔(gel)화력이 강한 반면, 아가로펙틴은 아가로스와 마찬가지로 아가로비오스 단위로 되어 있으나 황산기 등의 산성기를 함유하며 겔화력이 약하다.
이중 아가로스는 β-1, 4 결합에 작용하는 베타-아가레즈(β-agarase)에 의해서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neoagarotetraose)를 거쳐 네오아가로비오스(neoagarobiose)로 분해되고 계속해서 α-1, 3 결합에 작용하는 알파-아가레즈(α-agarase)에 의해서 갈락토스(D-galactose)와 3,6-anhydro-L-galactose로 최종 분해된다.
한편, 방선균인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Streptomyces coelicolor) A3(2)는 한천을 분해하는 세포외(세포밖으로 분비되는) 아가레즈를 생산한다고 알려져 있으며(Stanier et al., 1942, J. Bacteriol.; Hodgson and Chater, 1981, J. Gen. Microbiol.), 이 아가레즈는 dagA 유전자에 의해서 코드되어 있다. 방선균에서는 dagA 유전자가 그 기능이 유일하게 알려진 베타-아가레즈(β-agarase) 유전자로서 방선균에서의 아가레즈 생산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갖는다. 특히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는 방선균의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균주로서 2002년 영국의 Sanger centre에서 염색체 DNA의 서열이 분석되어 공개되어 있다(Bentley et al.,2002, Nature).
본 발명자는 풍부한 수산자원인 한천을 보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고, 한천이 다당류이므로 당분해효소를 적절히 활용하면 한천의 분해과정에서 생리활성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당 유래 화합물이 생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주목하게 되었다. 그리고 방선균은 항생제 등 유용한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는 미생물이며, 이 생리활성물질에는 당과 관련된 다양한 화합물이 포함되기 때문에, 방선균 중에는 한천을 분해하거나 변형시켜 유용한 당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를 보유한 균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방선균으로부터 유용한 효소를 탐색하고 이를 한천의 효소반응에 적용하여 유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생산을 시도하였다.
한천과 같은 고분자 다당류는 효소반응을 통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올리고당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올리고당 중에는 생체의 대사에 사용되는 올리고당과 분자적 형태는 유사하지만 관련 효소가 분해할 수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당분해 효소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것들이 존재한다. 본 발명자는 이 점에 주목하여, 한천의 효소반응산물에 대한 당분해 효소 활성의 저해능을 확인함으로써 비만이나 당뇨에 효과적인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의 결과, 방선균인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의 DagA와 한천 또는 아가로스의 효소반응을 통해 수득한 반응산물이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치료,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3120호
Stanier RY. 1942. Agar decomposing strains of the Actinomyces coelicolor species group. J. Bacteriol. 44:555-570. Hodgson, D. A., and K. F. Chater. 1981. A chromosomal locus controlling extracellular agarase production by Streptomyces coelicolor A3(2) and its inactivation by chromosomal integration of plasmid SCP1. J. Gen. Microbiol. 124:339-348. Bentley SD, et al. 2002. Complete genome sequence of the model actinomycete Streptomyces coelicolor A3(2). Nature 417:141-147.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한천을 기질로 하는 효소반응을 통해 생산되는 유용한 생리활성 물질, 그 중에서도 특히 지방세포 분화 및 당 대사를 조절함으로써 비만 또는 당뇨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Streptomyces coelicolor) DagA와 한천 또는 아가로스(agarose)의 효소반응으로 수득한 반응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반응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반응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효소반응은 35 내지 45℃의 온도 및 pH 6 내지 8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효소반응은 0.5 내지 5%(w/v)의 한천 또는 아가로스(agarose) 용액에 20 내지 100unit/㎖의 농도로 DagA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1unit은 0.2%(w/v)로 아가로스를 녹인 50mM 인산용액(pH 7)과 40℃에서 5분간 반응(반응액 4㎖)한 후 반응액과 동량의 DNS 시약(dinitrosalicylic acid 6.5g, 2M NaOH 325㎖, glycerol 45㎖ / 1ℓ 증류수)을 넣고 10분간 끓인 다음 식혀 흡광도(Å540㎚)을 측정하였을 때, 흡광도(Å540㎚) 0.001을 생성하는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응산물은 반응산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45 내지 85중량%의 네오아가로올리고당(neoagarooligosaccharide) 혼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은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10중량% 이하의 네오아가로비오스(neoagarobiose), 50 내지 70중량%의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neoagarotetraose) 및 30 내지 50중량%의 네오아가로헥사오스(neoagarohexaose)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은 네오아가로비오스(neoagarobiose),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neoagarotetraose) 또는 네오아가로헥사오스(neoagarohexaose)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은 네오아가로비오스(neoagarobiose),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neoagarotetraose) 또는 네오아가로헥사오스(neoagarohexaose)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은 네오아가로비오스(neoagarobiose),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neoagarotetraose) 또는 네오아가로헥사오스(neoagarohexaose)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은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10중량% 이하의 네오아가로비오스(neoagarobiose), 50 내지 70중량%의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neoagarotetraose) 및 30 내지 50중량%의 네오아가로헥사오스(neoagarohexaose)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 DagA는 서열번호 2의 31 ~ 309번 사이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을 의미하며,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로부터 생산되거나 이종균주로부터 생산된 단백질을 포함한다. 또한, 기능이 전혀 다른 것으로 변경되거나 아가레즈 활성을 잃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적인 유전자 재조합 방법 즉, 정제를 유리하게 하기 위해 표지 아미노산을 포함시키거나 이종 발현을 위해 아미노산 서열을 변경하는 등의 방법에 따라 재조합된 단백질을 포함한다.
DagA는 본래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가 생산하는 베타-아가레즈로 유전자로부터 번역될 때 서열번호 2의 309개 아미노산을 갖고 분자량이 약 35kDa인 상태로 생산되며, N-말단 30개의 아미노산 시그널 펩티드가 잘려져서 완성된 세포외형 단백질(약 32kDa)의 상태로 분비된다.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의 dagA 유전자가 이 DagA를 암호화하며, dagA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표시될 수 있다. 서열번호 1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 A3(2)의 게놈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염기서열로 NCBI(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 데이터베이스 상에 “SCO3471”로 명명되어 있다. In vitro 실험을 통해 확인된 바에 따르면, dagA 유전자의 전사는 RNA 중합효소의 적어도 다른 3가지의 완전효소(holoenzyme)에 의해 인지되는 4 또는 5가지의 다른 프로모터(promoter)에 의해 조절된다. dagA 유전자의 전사단계 분석을 통해, 전사가 암호화 서열의 상부 32, 77, 125 및 220번째 염기에서 개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래 DagA의 생산 균주인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의 배양을 통해 본 발명의 DagA를 생산할 수 있으나,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해 이종균주인 스트렙토마이세스 리비던스(Streptomyces lividans)의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agA 유전자를 방선균용 벡터에 삽입하여 재조합 벡터를 제조한 다음 이 재조합 벡터로 스트렙토마이세스 리비던스를 형질전환하고, 이 형질전환체를 배양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조합 벡터는 dagA 유전자가 방선균 유래 프로모터에 의해 전사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선균 유래 프로모터에는 sgtR 프로모터(sgtRp), ermE 프로모터(ermEp), tipA 프로모터(tipAp) 등 다양한 프로모터가 존재하므로 재조합 벡터를 제조할 때 이들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프로모터에 의해 전사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여러 종류의 벡터들이 개발되어 있어, 이 벡터에 SCO3471를 클로닝하면 방선균 유래 프로모터에 의해 전사가 조절되는 구조의 재조합 벡터를 제조할 수 있다.
형질전환체는 숙주균주를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시켜 제조할 수 있는데, 숙주균주에 따라 형질전환을 위한 방법이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렙토마이세스 리비던스를 숙주균주로 사용하는 경우 PEG(polyethylene glycol)를 매개로한 형질전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형질전환체 등과 같은 DagA 생산균주를 액체배지에서 배양하면 DagA를 생산할 수 있으며, 배양액을 수득하여 한외여과법과 같은 통상의 단백질 정제 방법을 이용하면 고순도의 DagA를 생산할 수 있다. 이때 액체배지에 아가(agar) 또는 아가로스(agarose)를 포함시키면 보다 효율적으로 DagA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천 또는 아가로스와 DagA의 효소반응을 통해 네오아가로헥사오스,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 네오아가로비오스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효소반응산물은 이들 각각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이 혼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확인된 이들 세 가지 반응산물 이외에도 다른 반응산물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이들 세 가지 반응산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천 또는 아가로스와 DagA의 효소반응 이후 한외여과를 통해 수득한 반응산물(네오아가로헥사오스,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 및 네오아가로비오스가 모두 포함된 형태이며, 이들 이외의 반응산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음) 뿐만 아니라 각각의 네오아가로헥사오스,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 네오아가로비오스 또한 비만 및 당뇨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품 및 식품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의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제로의 제형화 기준 또는 건강보조식품의 제형 기준에 의거하여 제형화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으로 투여방법, 투여형태 및 치료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을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혼합하여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킬 수 있다.
상기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염수, 완충제, 물, 링거액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담체를 사용한 경구투여와 비경구투여용으로 분말, 과립, 주사액, 시럽, 용액제, 정제 등과 같은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비경구 투여는 경구 이외에 정맥, 복막, 근육, 동맥, 경피, 흡입 등을 통한 유효성분의 투여를 의미한다.
상기 제형에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하여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형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투여 경로 및 투여 형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어 한정되지 않으며 증상에 따라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하게 다양한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실험적인 유효량으로 체중 1㎏ 당 10 내지 200㎎을 하루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유효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은 한천 또는 아가로스와 DagA의 효소반응산물 그 자체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를 혼합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 묵, 죽, 라면이나 국수 등의 면류,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의 조미식품, 소스, 과자, 발효유나 치즈 등의 유가공품, 김치나 장아찌 등의 절임식품, 과실, 채소, 두유, 발효음료 등의 음료수의 식품에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 식품의 조리 방법이나 생산 방법은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한 사항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상술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효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은 한천 또는 아가로스와 DagA의 효소반응산물 그 자체 또는 사료로 허용된 담체를 혼합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를 제공한다. 급이 대상의 기본식이소재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운동이 부족하여 비만이 걱정되는 개,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나 경주마의 사료로 사용하면 효과적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 DagA와 한천 또는 아가로스의 효소반응산물이 우수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거나 섭취하면 효과적으로 비만 및 당뇨를 예방, 치료 및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pUWL201pw 벡터의 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조합 벡터의 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효소반응산물을 HPLC-ELSD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효소반응산물(이하, 'NAO'라 한다) 또는 이를 정제하여 수득한 네오아가로헥사오스(이하, 'DP6'라 한다),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이하, 'DP4'라 한다), 네오아가로비오스(이하, 'DP2'라 한다)의 알파-아밀라아제 저해 활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NAO 또는 DP6, DP4, DP2의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정상식이(이하, 'ND'라 한다), 고지방식이(이하, 'HFD'라 한다), 0.25%(w/w) 본 발명의 효소반응산물이 포함된 고지방식이(이하, 'HFD-NAO 0.25%'라 한다) 또는 0.5%(w/w) 본 발명의 효소반응산물이 포함된 고지방식이(이하, 'HFD-NAO 0.5%'라 한다)를 섭취시킨 실험동물의 일자별 체중증가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ND, HFD, HFD-NAO 0.25% 또는 HFD-NAO 0.5%를 섭취시킨 실험동물의 간 조직을 H&E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A는 ND, B는 HFD, C는 HFD-NAO 0.25%, D는 HFD-NAO 0.5% 실험군의 조직을 나타낸다.
도 8은 ND, HFD, HFD-NAO 0.25% 또는 HFD-NAO 0.5%를 섭취시킨 실험동물의 간 지방변성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ND, HFD, HFD-NAO 0.25% 또는 HFD-NAO 0.5%를 섭취시킨 실험동물의 부고환지방조직 세포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ND, HFD, HFD-NAO 0.25% 또는 HFD-NAO 0.5%를 섭취시킨 실험동물의 부고환지방조직을 H&E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A ~ D)과 경구 당 부하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E)이다. A는 ND, B는 HFD, C는 HFD-NAO 0.25%, D는 HFD-NAO 0.5% 실험군의 조직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DagA 생산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 A3(2)의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하고 아래의 Asm-F 및 Asm-R 프라이머를 사용한 PCR을 통해 dagA 유전자 단편(DagA의 시그널 펩타이드 및 완성형 펩타이드가 암호화된 947bp 단편, 서열번호 1에 프라이머의 일부 서열이 포함된 상태)을 증폭하였고, 단편의 제한효소 부위(NdeI/BamHI)를 이용하여 pUWL201pw 벡터(도 1 참조)에 dagA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dagA 유전자의 전사가 ermE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도록 재조합 벡터(도 2 참조)를 제조하였다.
Asm-F 프라이머 : 5′-GACATATGGTGGTCAACCGACGTGATC-3′(NdeI) (서열번호 3)
Asm-R 프라이머 : 5′-GGTGGATCCCTACACGGCCTGATACG-3′(BamHI) (서열번호 4)
이 재조합 벡터로 스트렙토마이세스 리비던스(Streptomyces lividans) TK24를 형질전환하여 수득한 형질전환균주를 DagA의 생산을 위해 사용하였다.
이 균주를 0.3%(w/v)의 아가(agar)가 포함된 R2YE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28℃에서 48 내지 72시간 120rpm으로 진탕배양하였다. 전배양 과정을 거친 다음 본배양을 실시하였으며, 각 배양시간은 2.5일로 하였다.
본배양을 통해 수득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한 다음, 상층액을 한외여과막(5kDa cut-off membrane)으로 여과하여 여과막을 통과하지 못한 단백질을 분리 및 정제하였다. 수득한 농축액(효소액)은 동결건조하여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DagA의 아가레즈 활성 측정
환원당량 검정방법(DNS method)으로 상기 실시예 1의 DagA에 대한 아가레즈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효소액 100㎕에 0.2%(w/v)로 아가로스를 녹인 50mM 인산용액(pH 7) 3.9㎖를 섞어 40℃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DNS 시약(dinitrosalicylic acid 6.5g, 2M NaOH 325㎖, glycerol 45㎖ / 1ℓ 증류수) 4㎖를 넣고 10분간 끓인 다음 식혀 흡광도(Å540㎚)을 측정하였다. 효소 1U은 5분 반응 후에 흡광도(Å540㎚) 0.001을 생성하는 활성으로 정의하였다.
실시예 3. DagA 효소반응산물
3-1. DagA를 이용한 한천 또는 아가로스의 분해
0.5 내지 5%(w/v) 한천 또는 아가로스를 녹인 20mM Tris-HCl 용액 1ℓ를 제조하여 100℃에서 약 10분간 가열하여 충분히 녹인 다음 40℃로 온도를 떨어뜨리고 DagA 효소 2,000 내지 50,000U을 처리하여 24시간 효소반응을 실시하였다.
3-2. DagA 효소반응산물의 전처리
효소반응산물에서 미분해된 아가로스를 제거하기 위해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한 다음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효소반응 생성물을 확인하였다. 회수한 상등액을 5KDa cut-off membrane으로 한외여과방법을 통해 부분 정제하였다.
실시예 4. HPLC-ELSD 분석을 통한 DagA 효소반응산물의 조성 확인
HPLC-ELSD 분석을 통해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한 효소반응산물의 조성을 확인하였다. NH2 P-50 4E multimode column(250 x 4.6mm)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과 물의 혼합용액(acetonitrile : water = 65 : 35)을 사용하였다.
이의 결과, 도 3에서와 같이 반응산물 중 네오아가로비오스(neoagarobiose, 이하 'DP2'라 한다),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neoagarotetraose, 이하 'DP4'라 한다) 및 네오아가로헥사오스(neoagarohexaose, 이하 'DP6'라 한다)의 합으로 이루어진 네오아가로올리고당(neoagarooligosaccharides)의 총량이 65±20%(중량)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네오아가로올리고당의 총량을 기준으로 DP2, DP4, DP6가 각각 0 ~ 10%, 50 ~ 70%, 30 ~ 50%(중량)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DagA 효소반응산물의 정제
BioGel P-2 gel(Biorad, Cat. No.: 150-4115)을 이용하여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통해 DP6, DP4, DP2를 순수하게 정제하여 정제한 산물들은 TLC와 HPLC를 통해 순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6. DagA 효소반응산물의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 확인 시험
6-1.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저해 활성
상기 실시예 5에서 정제를 통해 수득한 DP2, DP4, DP6 및 실시예 3에서 수득한 효소반응산물(이하 'NAO'라 한다)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알려져 있는 아카보스(acarbose)는 알파-아밀라아제 및 알파-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당 흡수를 지연시키는 기작으로 항당뇨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네오아가로올리고당의 당뇨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아카보스와 유사한 효소활성 억제 기능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알파-아밀라아제 용액과 각 시료를 섞고 기질로서 전분 청색 시약(starch azure solution)을 넣어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분해되어 나타나는 청색의 농도를 흡광도(Å595㎚)로 측정하여 효소활성을 분석하였다.
이의 결과, 도 4에서와 같이 각 시료가 알파-아밀라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카보스(양성 대조군)에 비해서는 저해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2.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저해 활성
DP2, DP4, DP6 및 NAO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용액과 각 시료를 섞고, 기질로서 p-NPG(p-nitrophenyl-α-D-glucopyranoside) 용액을 넣어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분해되어 생성된 p-니트로페놀(p-nitrophenol)의 농도를 흡광도(Å405nm)로 측정하여 효소활성을 분석하였다.
이의 결과, 도 5에서와 같이 제2형 당뇨병 치료제인 아카보스(양성 대조군) 만큼 높은 저해활성은 아니지만 DP2, DP4, DP6 및 NAO 모두 저해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6-3. 비만 유발쥐에서의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 확인
실험동물(마우스)에 고지방사료를 급여하면 과다한 내장 지방 증가, 고혈당, 이상 지질증, 고인슐린혈증 및 간 조직에 지방 변성이 발생하여 비만 환자에 나타나는 특징을 잘 반영하는 비만 동물모델을 수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화기간이 종료된 4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체중에 따라 난괴법에 의하여 정상군(Normal diet, ND), 고지방대조군(High fat diet, HFD), 고지방-0.25% NAO 혼합군(HFD-NAO 0.25%), 고지방-0.5% NAO 혼합군(HFD-NAO 0.5%)의 4개 군으로 분리한 다음 각각에 대한 시료를 고지방식이와 함께 9주간 공급하였고, 실험동물의 혈액생화학적 검사, 조직학적 검사, 포도당 내성 검사를 통하여 NAO의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였다.
9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과 식이섭취량은 도 6 및 표 1과 같다. 체중은 고지방식이 공급 1주 이후부터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나 실험종료 시점인 9주째에는 대조군인 고지방식이군(HFD)이 정상식이군(ND)에 비하여 29.5% 증가해 고지방식이로 인한 마우스의 비만 유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 NAO를 0.5%로 첨가한 식이군의 체중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체중증가량에 있어서도 정상군보다 적은 체중증가량을 보였다. 반면에, NAO를 0.25%로 첨가한 식이군에서는 고지방식이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급여전 체중
(g)
급여완료후 체중
(g)
체중증가량
(g/10 wks)
식이섭취량
(g/day)
사료효율1)
ND 21.13±0.27 29.35±0.27 8.22±0.19 4.15±0.09 2.02±0.07
HFD 21.30±0.30 37.78±1.04 16.48±0.85 2.74±0.05 6.40±0.51
HFD-NAO 0.25% 21.00±0.25 37.59±0.63 16.59±0.58 2.56±0.10 6.45±0.36
HFD-NAO 0.5% 20.89±0.27 34.37±0.97* 13.48±0.94* 2.77±0.01 4.82±0.36*
1) 사료효율 : 체중증가량/식이섭취량
결과값 : 평균±표준편차, T-검정(n=6~10)에 의해 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정상식이군에 대한 p<0.05, * 고지방식이군에 대한 p<0.05
9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실험동물로부터 간조직 및 부고환지방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간 조직의 H&E 염색(staining) 결과는 도 7과 같다.
간조직의 경우, Kleiner DE et. al.(2005)의 간 지방변성(steatosis) 정도 비교 방법에 따라 지방변성 정도를 구분하였으며, 이의 결과는 도 8과 같다. 고지방식이 섭취에 따른 간조직 내 지방축적이 정상식이군에 비하여 현격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소수포성 지방변성(micro-vescularsteotosis)과 대수포성 지방변성 (macro-vescularsteotosis) 형태를 나타내었다(grade 1.75±0.41). 이에 반하여 NAO 첨가 식이군에서는 0.25%군(grade 0.75±0.16)과 0.5%(grade 0.37±0.18)군 모두에서 지방공포의 수와 크기가 정상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NAO에 의해 간조직내 지방침착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부고환주위 지방조직의 H&E 염색 결과, 도 9 및 10과 같이 HFD(10.74±1.44)가 ND(4.65±0.54)에 비하여 부고환지방 조직에서 지방세포의 크기가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NAO를 첨가한 식이군에서는 0.25%군(6.74±0.38)과 0.5%(6.95±0.82)군 모두에서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지방세포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NAO는 간 및 지방조직 내 지방축적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고지방식이 및 NAO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혈청 내 지질함량을 조사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혈청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ND군의 경우 140.1±5.2mg/dL이었고, 이에 비해 HFD군에서는 182.0±8.2mg/dL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NAO를 첨가한 식이군은 0.25%군에서 173.0±4.3mg/dL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0.5%군에서는 159.6±5.6mg/dL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혈청 중성지방의 경우, ND군의 경우 48.7±3.2mg/dL인 반면 HFD군에서는 64.8±4.0mg/dL로 증가하였다. NAO를 첨가한 식이군은 0.25%군에서 56.7±4.4mg/dL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0.5%군에서는 47.3±2.9mg/dL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혈중 FFA(Free fatty acid)도 고지방식이군에서는 정상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NAO를 첨가한 식이군에서는 정상과 비슷한 수준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혈중 FFA농도와 TG의 농도는 간조직의 지방침작과 인슐린저항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NAO가 혈중 FFA와 TG를 조절함으로서 제 2형 당뇨의 주된 원인중 하나인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CHO
(mg/dL)
TG
(mg/dL)
FFA
(mEq/L)
ND 140.1±5.2 48.7±3.2 1.28±0.07
HFD 182.0±8.2 64.8±4.0 1.52±0.11
HFD-NAO 0.25% 173.0±4.3 56.7±4.4 1.30±0.05*
HFD-NAO 0.5% 159.6±5.6* 47.3±2.9* 1.22±0.06*
결과값 : 평균±표준편차, T-검정(n=8)에 의해 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정상식이군에 대한 p<0.05, * 고지방식이군에 대한 p<0.05
NAO의 당뇨개선 효과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Oral GTT와 인슐린저항성과 관련한 생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결과를 도 10(E)와 표 3에 나타내었다. NAO를 9주간 섭취시킨 후 포도당(glucose)을 경구 투여하고 혈당을 측정한 결과 고지방식이군은 혈당 투여 후 30분과 60분 시점에 정상군보다 높은 혈당수치를 나타내어 인슐린 저항성이 유발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NAO를 첨가한 식이군에서는 30분과 60분 시점에 고지방식이군 보다 유의성 있게 낮은 혈당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AUC(Area under curve)를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에서도 NAO를 첨가한 식이군에서 유의성이 있게 낮게 나타났다. 이는 고지방식이를 통해 유발된 인슐린저항성이 NAO를 같이 섭취함으로서 정상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중 인슐린과 혈당 측정결과, NAO를 첨가한 식이군에서 HFD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혈중 아디포넥틴은 NAO를 첨가한 식이군에서 HFD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아디포넥틴 수치는 인슐린저항성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사람의 아디포넥틴 수치가 떨어져 있고 이들의 인슐린저항성이 개선되면 아디포넥틴 수치도 올라간다고 하였다.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HFD군의 아디포넥틴 농도는 정상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HFD군에서 비만에 의한 인슐린저항성 및 당뇨가 충분히 진전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NAO를 첨가한 식이군에서 아디포넥틴의 수치가 정상군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NAO가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중요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HFD에서 당뇨병으로까지는 진전이 되지 않았으나 당뇨관련 지표들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NAO를 섭취함으로써 상당부분 정상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OGTT 검정 결과에서는 NAO를 섭취한 식이군에서 확실한 당뇨개선 효과를 보여 항당뇨 기능성 소재로서 NAO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Insulin
(ng/㎖)
Glucose
(㎎/㎗)
Adiponectin
(㎍/㎖)
ND 0.72±0.12 115.4±7.3 47.29±5.66
HFD 1.35±0.14 153.3±7.3 48.38±10.95
HFD-NAO 0.25% 0.92±0.13* 159.4±4.0 55.35±4.09
HFD-NAO 0.5% 0.94±0.14 156.8±19.6 58.91±11.45
결과값 : 평균±표준편차, T-검정(n=8)에 의해 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정상식이군에 대한 p<0.05, * 고지방식이군에 대한 p<0.05
<110> DyneBio Inc. <120> Agar-derived neoagarooligosaccharide complex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and/or diabetes comprising enzyme reaction products of beta agarase DagA and agar <130> PA131112-C01 <150> 10-2012-0128087 <151> 2012-11-13 <160> 4 <170> KopatentIn 2.0 <210> 1 <211> 930 <212> DNA <213> Streptomyces coelicolor A3(2) <400> 1 gtggtcaacc gacgtgatct catcaagtgg agtgccgtcg cactcggagc gggtgcgggg 60 ctcgcgggtc ccgcacccgc cgctcatgcc gcagacctcg aatgggaaca gtaccccgtg 120 ccggccgccc ctggcggaaa caggtcctgg cagcttctcc ccagccattc ggacgacttc 180 aactacaccg gcaagcctca aaccttcagg ggcagatggc tggaccagca caaggatggc 240 tggtcgggcc cggccaacag cctctacagt gcgcgccatt cctgggtggc tgacggaaat 300 ctcatcgtcg agggccgcag ggcgccggac gggagggtct actgcggcta cgtgacctcc 360 cgcaccccag tcgagtaccc tctctatacc gaagtactca tgcgtgtgag cgggctgaag 420 ctctcatcga atttctggct cctgagcaga gacgacgtca acgagattga cgtgatcgaa 480 tgctacggca acgagtcatt gcacggaaag cacatgaaca ccgcctacca catattccag 540 cggaacccct tcactgaact ggcgagaagc cagaaggggt atttcgcaga tgggagctac 600 gggtacaatg gtgagactgg gcaggtgttt ggggacggcg ccgggcaacc tcttcttcgg 660 aatggattcc accgctacgg cgtgcactgg ataagcgcca ccgaattcga tttctacttc 720 aacggcaggt tggtgcgccg gctgaaccgg tcgaacgacc tcagggaccc ccggagccgg 780 ttcttcgacc agccaatgca tctgatcctc aacaccgaga gtcatcagtg gcgcgtcgac 840 cgaggtatcg aacccacgga cgcggaactc gcagacccca gcatcaacaa catctactac 900 cgctgggtca ggacgtatca ggccgtgtag 930 <210> 2 <211> 309 <212> PRT <213> Streptomyces coelicolor A3(2) <400> 2 Met Val Asn Arg Arg Asp Leu Ile Lys Trp Ser Ala Val Ala Leu Gly 1 5 10 15 Ala Gly Ala Gly Leu Ala Gly Pro Ala Pro Ala Ala His Ala Ala Asp 20 25 30 Leu Glu Trp Glu Gln Tyr Pro Val Pro Ala Ala Pro Gly Gly Asn Arg 35 40 45 Ser Trp Gln Leu Leu Pro Ser His Ser Asp Asp Phe Asn Tyr Thr Gly 50 55 60 Lys Pro Gln Thr Phe Arg Gly Arg Trp Leu Asp Gln His Lys Asp Gly 65 70 75 80 Trp Ser Gly Pro Ala Asn Ser Leu Tyr Ser Ala Arg His Ser Trp Val 85 90 95 Ala Asp Gly Asn Leu Ile Val Glu Gly Arg Arg Ala Pro Asp Gly Arg 100 105 110 Val Tyr Cys Gly Tyr Val Thr Ser Arg Thr Pro Val Glu Tyr Pro Leu 115 120 125 Tyr Thr Glu Val Leu Met Arg Val Ser Gly Leu Lys Leu Ser Ser Asn 130 135 140 Phe Trp Leu Leu Ser Arg Asp Asp Val Asn Glu Ile Asp Val Ile Glu 145 150 155 160 Cys Tyr Gly Asn Glu Ser Leu His Gly Lys His Met Asn Thr Ala Tyr 165 170 175 His Ile Phe Gln Arg Asn Pro Phe Thr Glu Leu Ala Arg Ser Gln Lys 180 185 190 Gly Tyr Phe Ala Asp Gly Ser Tyr Gly Tyr Asn Gly Glu Thr Gly Gln 195 200 205 Val Phe Gly Asp Gly Ala Gly Gln Pro Leu Leu Arg Asn Gly Phe His 210 215 220 Arg Tyr Gly Val His Trp Ile Ser Ala Thr Glu Phe Asp Phe Tyr Phe 225 230 235 240 Asn Gly Arg Leu Val Arg Arg Leu Asn Arg Ser Asn Asp Leu Arg Asp 245 250 255 Pro Arg Ser Arg Phe Phe Asp Gln Pro Met His Leu Ile Leu Asn Thr 260 265 270 Glu Ser His Gln Trp Arg Val Asp Arg Gly Ile Glu Pro Thr Asp Ala 275 280 285 Glu Leu Ala Asp Pro Ser Ile Asn Asn Ile Tyr Tyr Arg Trp Val Arg 290 295 300 Thr Tyr Gln Ala Val 305 <210> 3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Asm-F) <400> 3 gacatatggt ggtcaaccga cgtgatc 27 <210> 4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Asm-R) <400> 4 ggtggatccc tacacggcct gatacg 26

Claims (18)

  1.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Streptomyces coelicolor) DagA와 한천 또는 아가로스(agarose)의 효소반응으로 수득한 반응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반응산물은 네오아가로올리고당(neoagarooligosaccharide) 혼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은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10중량%의 네오아가로비오스(neoagarobiose), 50 내지 70중량%의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neoagarotetraose) 및 30 내지 50중량%의 네오아가로헥사오스(neoagarohexaose)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반응은 35 내지 45℃의 온도 및 pH 6 내지 8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반응은 0.5 내지 5%(w/v)의 한천 또는 아가로스 용액에 20 내지 100unit/㎖의 농도로 DagA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산물은 반응산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45 내지 85중량%의 네오아가로올리고당(neoagarooligosaccharide)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Streptomyces coelicolor) DagA와 한천 또는 아가로스(agarose)의 효소반응으로 수득한 반응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으로서,
    상기 반응산물은 네오아가로올리고당(neoagarooligosaccharide) 혼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은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10중량%의 네오아가로비오스(neoagarobiose), 50 내지 70중량%의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neoagarotetraose) 및 30 내지 50중량%의 네오아가로헥사오스(neoagarohexaose)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반응은 35 내지 45℃의 온도 및 pH 6 내지 8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반응은 0.5 내지 5%(w/v)의 한천 또는 아가로스 용액에 20 내지 100unit/㎖의 농도로 DagA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산물은 반응산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45 내지 85중량%의 네오아가로올리고당(neoagarooligosaccharide)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9. 스트렙토마이세스 시리칼라(Streptomyces coelicolor) DagA와 한천 또는 아가로스(agarose)의 효소반응으로 수득한 반응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로서,
    상기 반응산물은 네오아가로올리고당(neoagarooligosaccharide) 혼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은 네오아가로올리고당 혼합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10중량%의 네오아가로비오스(neoagarobiose), 50 내지 70중량%의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neoagarotetraose) 및 30 내지 50중량%의 네오아가로헥사오스(neoagarohexaose)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사료.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반응은 35 내지 45℃의 온도 및 pH 6 내지 8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사료.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반응은 0.5 내지 5%(w/v)의 한천 또는 아가로스 용액에 20 내지 100unit/㎖의 농도로 DagA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사료.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산물은 반응산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45 내지 85중량%의 네오아가로올리고당(neoagarooligosaccharide)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용 사료.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30137079A 2012-11-13 2013-11-12 DagA 효소반응으로 조제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한천 유래 네오아가로올리고당 복합 조성물 KR101632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10277 WO2014077575A1 (ko) 2012-11-13 2013-11-13 덱에이 효소반응으로 조제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한천 유래 네오아가로올리고당 복합 조성물
CN201380059074.6A CN104780943B (zh) 2012-11-13 2013-11-13 通过DagA酶反应制备的、具有抗肥胖及抗糖尿病效果的、琼脂来源的新琼脂寡糖复合组合物
JP2015541697A JP6088657B2 (ja) 2012-11-13 2013-11-13 DagA酵素反応で調剤した抗肥満及び抗糖尿効能を有する寒天由来のネオアガロオリゴ糖複合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087 2012-11-13
KR20120128087 2012-11-13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272A KR20140061272A (ko) 2014-05-21
KR101632262B1 true KR101632262B1 (ko) 2016-06-21
KR101632262B9 KR101632262B9 (ko) 2022-08-16

Family

ID=5089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079A KR101632262B1 (ko) 2012-11-13 2013-11-12 DagA 효소반응으로 조제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한천 유래 네오아가로올리고당 복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88657B2 (ko)
KR (1) KR101632262B1 (ko)
CN (1) CN10478094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6097A (ja) * 2019-06-04 2022-08-12 ダインバイ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ネオアガロオリゴ糖混合物原料用寒天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59B1 (ko) * 2014-12-30 2016-11-1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네오아가로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증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890395A (zh) * 2016-10-27 2019-06-14 达因比奥有限公司 用于预防、缓解或治疗关节炎或骨质疏松症的含有新琼寡糖的组合物
KR102032799B1 (ko) * 2017-11-16 2019-10-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유래 아가로트리오스의 제조방법 및 프리바이오틱로서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0965A (ja) * 1986-03-13 1987-09-17 Shokuhin Sangyo Baioriakutaa Syst Gijutsu Kenkyu Kumiai 低カロリ−飲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304008C (zh) * 1999-01-20 2007-03-14 宝生物工程株式会社 医药组合物
TWI247585B (en) * 1999-05-14 2006-01-21 Takara Bio Inc Agarobiose-containing composition
ATE307889T1 (de) * 2001-02-27 2005-11-15 Takara Bio Inc Agarase und gen dafür
CN1189472C (zh) * 2002-06-06 2005-02-16 严小军 一种低聚寡糖的应用
KR101233766B1 (ko) 2010-02-11 2013-02-15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베타―아가레즈의 생산을 위한 재조합 발현 벡터
KR101190078B1 (ko) * 2011-11-29 2012-10-11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베타-아가레즈 재조합 발현 벡터, 형질전환 균주 및 베타-아가레즈 생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6097A (ja) * 2019-06-04 2022-08-12 ダインバイ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ネオアガロオリゴ糖混合物原料用寒天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05521A (ja) 2016-02-25
JP6088657B2 (ja) 2017-03-01
KR20140061272A (ko) 2014-05-21
CN104780943A (zh) 2015-07-15
CN104780943B (zh) 2017-06-23
KR101632262B9 (ko)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2725B2 (ja) リポ多糖、リポ多糖製造方法及びリポ多糖配合物
NO342031B1 (no) Fremgangsmåte for fermentering og dyrking, fermentert planteekstrakt, fermentert planteekstraktpulver og blanding inneholdende det fermenterte planteekstraktet
TW426736B (en) Non-reducing saccharide and its production and use
EP2540307B1 (en) Antibacterial auxiliary agent comprising kombu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antibacterial composition, and food or beverage
KR101632262B1 (ko) DagA 효소반응으로 조제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한천 유래 네오아가로올리고당 복합 조성물
TW201717778A (zh) 解澱粉芽孢桿菌、穀物醱酵物、其製備方法及其用途、食品組成物、血栓分解用組成物、消化改善用組成物、腸炎、腸膜弱化或腸損傷的預防、改善或治療用組成物及抗氧化用組成物
CN109718255A (zh) 一种消除宿醉酶粉末的制备方法和含有该成分的消除宿醉用组合物
US10548916B2 (en) Composition comprising neoagarooligosaccharide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epsis or septic shock
WO2004093899A1 (fr) Produit immunomodulateur obtenu a partir d&#39;une culture de bifidobacterium et compositions le contenant
JP6815525B2 (ja) ネオアガロオリゴ糖を含む関節炎または骨粗しょう症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TWI344820B (ko)
CN107259310A (zh) 源自杆菌属微生物的还原剂及其用途
CN112695025A (zh) 一种纤维二糖差向异构酶的突变体及其应用
CN107475222A (zh) 基因工程改造的耐热人溶菌酶
WO2014077575A1 (ko) 덱에이 효소반응으로 조제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한천 유래 네오아가로올리고당 복합 조성물
US20210393501A1 (en)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recombinant mutant collagenase
US20220364069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 enzymatic composition comprising a recombinant endopeptidase
KR101213069B1 (ko) 발효두유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질환의 예방 및 혈당강하용 건강보조식품
WO2006025448A1 (ja) チオレドキシンを用いた消化器官保護方法
KR102420699B1 (ko) 강도다리 유래의 신규한 항균 펩티드 및 이의 용도
WO2022234671A1 (ja) D-アルロースの機能性を持つ砂糖に近い味質の甘味料の大量生産方法
KR100836711B1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보호용 약학적조성물
KR20180046021A (ko) 네오아가로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16492B1 (ko) 재조합 효모를 이용한 항균 활성 및 항암 활성이 개선된 리소좀 제조방법
CN1398966A (zh) 新型嗜酸耐热海藻糖基合成酶及其制备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