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907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907B1
KR101631907B1 KR1020090079296A KR20090079296A KR101631907B1 KR 101631907 B1 KR101631907 B1 KR 101631907B1 KR 1020090079296 A KR1020090079296 A KR 1020090079296A KR 20090079296 A KR20090079296 A KR 20090079296A KR 101631907 B1 KR101631907 B1 KR 101631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olar cell
touch
emitting element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476A (ko
Inventor
원창배
도기훈
황용진
이재욱
조재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9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907B1/ko
Priority to US12/835,389 priority patent/US8626250B2/en
Priority to EP10169999.9A priority patent/EP2290933B1/en
Priority to CN201010261209.5A priority patent/CN102006093B/zh
Publication of KR2011002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면에 배치되며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 전지와, 상기 태양 전지의 일면에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들과, 상기 발광소자들 각각에서 나온 빛들을 조합하여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발광소자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친환경적 기술이 적용된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도 태양전지를 적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태양전지를 적용함에 있어 태양전지가 장착되는 공간을 시각 정보의 표시 공간으로 사용하여 그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면에 배치되며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 전지와, 상기 태양 전지의 일면에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들과, 상기 발광소자들 각각에서 나온 빛들을 조합하여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발광소자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태양전지의 전면에는상기 발광소자들을 지지하는 투광시트가 추가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투광시트에는 상기 발광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소자들에 발광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투광성의 도전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들은 상기 태양전지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태양전지의 전면에는 상기 발광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소자들에 발광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투광성의 도전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광시트 또는 태양전지의 전면에는 상기 시각 정보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시트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전패턴은 상기 시각 정보에 터치가 가해졌을 때 터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소자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시각 정보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각 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광소자들을 태양전지와 중첩되게 배치하여 태양전지의 장착 공간을 시각 정보의 표시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그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소자들에 의해 표시된 정보를 터치 입력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시각 정보의 출력 뿐만 아니라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레이어의 투광성 도전패턴을 이용하여 터치 감지와 발광 신호 전달의 두가지 기능을 공용화함으로써 투광성 터치 입력 수단의 두께를 슬림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 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 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들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서로에 대해 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바디(210)와 제2바디(220)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본 도면들에 개시된 '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하지 않으며, 슬라이드 타입, 스위블 타입, 스윙 타입, 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바디(210)와 제2바디(220)는 힌지 연결부(219)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힌지 연결부(219)의 내부에는 제1바디(21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캠장치와, 제1바디(210)와 제2바디(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a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언폴딩 상태(unfolding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b와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폴딩 상태(folding configuration)라 칭할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바디(2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211)와 리어 케이스(2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211)와 리어 케이스(2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11)와 리어 케이스(2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스피커(152, 음향 출력 모듈), 카메라(12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에는 사용자 입력부(130: 131,132,133),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은 제1 내지 제3조작부(123,124,125)를 포함할 수 있으머, 이들은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키패드 형태의 제1 및 제2조작부(131,132)와, 사이드 키 형태의 제3조작부(133)를 예시하고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3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3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133)는 카메라(121)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2바디(220)의 리어 케이스(222) 측에는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9)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9)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바디(210)의 리어 케이스(212) 측에는 발광소자 어셈 블리(230)가 배치된다. 발광소자 어셈블리(230)는 복수의 발광소자들(231, 도 3 참조)를 포함하고, 발광소자들(231)에서 나온 빛들을 조합하여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2b는 발광소자 어셈블리(230)가 전화 수신시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발광소자 어셈블리(230)가 제1바디(210)의 외면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 뿐만 아니라 발광소자 어셈블리는 단말기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소자 어셈블리(230)는 제1바디(210) 및 제2바디(22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만, 폴더 타입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노출되지 않아 닫힌 상태에서 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므로, 닫힌 상태에서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발광소자 어셈블리(230)를 닫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바디의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리어 케이스(212)에는 발광소자 어셈블리(230)에서 나온 빛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광성 윈도우(213)가 장착될 수 있다. '투광성'은 완전 투광성(transparent) 및 반투광성(translucent, semi-transparent)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투광성 윈도우(213)는 발광소자(231)가 발광하지 않을 때 외부에서 발광소자(231)가 보이지 않도록 반투명한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어 케이스(212)에 투광성 윈도우(213)를 장착하는 대신에 리어 케이스(212) 전체를 투광성 재질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프론트 케이스(211)와 리어 케이스(212)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a)이 장착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51a)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 정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윈도우(215)가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a)의 타측에는 단말기 주변의 빛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태양전지(240)가 장착된다. 태양전지(240,Solar Cell)는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190,전원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태양 전지(240)는 광전 효과(Photo Voltanic Effect)를 이용하여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 본 발명에는 실리콘 태양전지, 박막 태양전지, 연료감응형 태양전지 등 다양한 형태의 태양전지가 적용될 수 있으며, 단말기의 두께를 슬림화시킬 수 있도록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태양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소자 어셈블리(230)는 복수의 발광소자들(231)을 포함한다. 발광소자들(231)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어부(180, 도 1 참조)는 발광소자들(231) 각각에서 나온 빛들을 조합하여 시각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발광소자들(231)을 제어한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발광소자들(231)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 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발광소자들(231)은 전력의 손실을 줄이고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발광소자들(231)은 단색 또는 복수의 색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색을 구현시키기 위한 발광소자들(231)의 일예로서 RGB 발광 다이오드를 들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의하여 적색(Red), 녹색(Green), 파랑색(Blue)을 구현할 수 있는 세그먼트를 복합(combine)시키고, 이들 각 세그먼트의 온/오프 조합에 의하여 다른 색상들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소자들(231)은 태양전지(240)의 일면, 즉, 태양전지(240)의 광흡수면 상에 배치된다. 발광소자들(231)을 태양전지(240)의 광 흡수를 위한 공간을 남겨 두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태양전지(240)는 발광소자들(231)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광을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광소자들(231)을 태양전지(240)와 중첩되게 배치하여, 하나의 공간을 '전기 에너지 생성을 위한 공간'과 '시각 정보의 표시를 위한 공간'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 단말기의 외면(outer surface)에 태양전지(240)를 적용함에 있어, 태양전지(240)의 장착 공간을 시각 정보의 표시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태양전지(240)의 장착으로 인해 발생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발광소자 어셈블리(230)는 발광소자들(231)을 지지하는 투광시트(233)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투광시트(233)에는 발광소 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투광성의 도전패턴이 형성된다. 도전패턴은 복수의 발광소자들(231) 각각을 제어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제어부(180)에서 발생한 발광 신호가 발광소자들(231)에 인가되도록 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한다. 도전패턴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 예를 들어 인듐 주석 산화물(ITO) 등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전패턴은 투광시트(233)의 전면(front surface)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소자들(231)은 도전패턴이 형성된 투광시트(233)의 전면에 일정한 배열을 이루도록 부착될 수 있다.
투광시트(233)의 전면에는 발광소자들(231)을 보호하는 투광성 재질의 보호 필름(233)이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보호필름(233)과 투광시트(232)의 사이에는 이들간의 원활한 면 접착을 위한 중간시트(234)가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중간시트(234)는 발광소자들(231)이 배치된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형성하며, 발광소자들(231)의 높이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소자들(231), 투광시트(232), 보호필름(233)이 서로 결합되어 발광소자 어셈블리(230)를 이루며, 발광소자 어셈블리(230)는 태양전지(240)의 전면에 접착제 또는 접착 필름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발광소자 어셈블리(230)를 이루는 구성들은 발광소자들(231)을 제외하고 모두 투광성 재질을 가지므로, 단말기 주변의 빛이 이들을 투과하여 태양전지(240)까지 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태양전지(240)가 배치된 면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이동 단말기를 거치하여 배터리(19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된 발광소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에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 연장선 상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발광소자 어셈블리(330)는 발광소자들(331)이 태양전지(340)의 전면(front surface)에 부착된 형태로 구현된다. 발광소자들(331)은 접착제 또는 접착 필름에 의해 태양전지(340)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태양전지(340)의 전면에는 발광소자들(3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투광성의 도전패턴이 형성된다. 도전패턴은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발광소자들(331) 각각을 제어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제어부(180)에서 발생한 발광 신호가 발광소자들(331)에 인가되도록 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 또한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호필름(333), 중간시트(33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소자들(331)을 태양전지(340)의 전면에 직접 부착시키고, 태양전지(340)의 전면에 도전패턴을 직접 형성시키므로 앞선 실시예의 투광시트(232)가 필요 없다. 따라서, 앞선 실시예에 비하여 발광소자 어셈블리(330)의 두께를 슬림화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에서 설명된 발광소자 어셈블리들(230,330)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발광소자 어셈블리(220,330)이 표시하는 시각 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수신이 이루어졌을 때 발신자의 이름, 발신자의 번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시각 정보는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알람, 시간 알림)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정보 등이 문자, 이미지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 일 예로서, 도 6a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발광소자 어셈블리(220,230)가 문자 메시지가 도착한 것을 이미지로서 사용자에게 알리며, 이와 함께 발신자의 이름을 표시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도 6b는 전화가 수신되었을 때 발광소자 어셈블리(220,330)가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관련된 발광소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 또한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 연장선 상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발광소자 어셈블리(430)는 앞서 설명된 구성에 터치 감지를 위한 터치시트(435)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앞서 설명된 제1실시예의 구성에 터치시트(435)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발광소자 어셈블리(430)는 발광소자들(431), 투광시트(432) 등을 포함하며, 터치시트(435)는 투광시트(432)의 일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는 터치시트(435)가 투광시트(435)의 전면(front surface)에 부착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투광시트(435)의 후면(rear surface)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시트(435)는 발광소자들(431)에 의해 표시된 시각 정보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시트(435)에는 터치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도전패턴이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제1실시예에 의한 구성에 터치시트(435)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제2실시예에 의한 구성에 터치시트(435)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8은 도 7의 발광소자 어셈블리가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광소자 어셈블리(430)가 표시하는 시각 정보는 터치 입력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시각 정보는 키패드의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는 소위 '소프트 키'로 불릴 수 있다.
도 8은 발광소자 어셈블리(430)가 소프트 키(438)를 표시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도면에서는 음악 감상시 음악의 재생, 정지 등 음악 재생의 제어를 위한 소프트키(438)를 예시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소프트키(438)를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발광소자 어셈블리(430)는 터치시트(435)와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도 1에서 설명된 터치 입력과 관련된 기술적 특징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관련된 발광소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 또한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 연장선 상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발광소자 어셈블리(530)는 제4실시예의 발광소자 어셈블리(430)와 마찬가지로 터치 입력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발광소자 어셈블리(530)는 앞선 실시예의 터치시트(435)를 구비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의 발광소자 어셈블리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발광소자들(531), 투광시트(532), 보호필름(533)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터치 감지를 위하여 투광시트(532)에 형성된 도전패턴을 이용한다. 도전패턴은 시각 정보에 터치가 가해졌을 때 터치 신호(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투광시트(532)의 도전패턴은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과 발광소자들에 발광신호를 인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도 10은 도 9의 투광시트가 갖는 도전 패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터치 감지 및 발광신호 전달을 위한 도전패턴은 투광성의 제1 및 제2패턴(551,552)과, 투명배선들(553,554)을 포함한다.
제1패턴(551)은 그 일단이 발광소자(531)의 일측에 연결되며, 터치 영역의 일부 면적을 차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패턴(552)는 그 일단이 발광소자(531)의 타측에 연결되며, 터치 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차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패턴(551,552)이 형성된 면적은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영역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패턴(551,552) 중 어느 하나는 발광소자(331)의 양극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발광소자(331)의 음극에 연결된다.
투명 배선들(553,554)은 제1 및 제2패턴(551,552)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며, 발광소자(531)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투명 배선들(553,554)은 투광시트(532)에 부착되는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패턴(551,552)는 터치 영역에 가해졌을 때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전기적 신호, 즉 터치 신호는 투명 배선들(553,554)을 통해 제어부(180)로 전달된다. 아울러, 제어부(180)에서 발생한 발광신호들은 투명 배선들(553,554)과, 제1 및 제2패턴(551,552)을 통해 발광소자(331)로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단일의 레이어의 도전 패턴을 이용하여 터치 감지와 발광 신호 전달의 두가지 기능을 공용화시키는 개념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바디(610)와 제2바디(620)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를 예시하고 있다. 제1바디(610)와 제2바디(620)는 서로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바디(61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스피커(152), 카메라(121), 제1조작부 (131)등이 배치되고, 제2바디(620)에는 제2조작부(132), 제3조작부(133),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발광소자 어셈블리(630) 및 태양전지(640, 도 13 참조)는 제2바디(62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단말기가 바 타입을 갖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단말기 바디의 일면에 배치될 경우, 발광소자 어셈블리와 태양전지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측에 배치되거나 그 반대면(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른 형태의 단말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제2바디(610)의 후면에는 배터리(190,전원 공급부)를 덮기 위한 배터리 커버(66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소자 어셈블리(630) 및 태양전지(640)는 배터리 커버(660)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제2바디(610)의 후면에는 배터리 커버(66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속 단자(66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의 단면도이다.
배터리 커버(660)는 금속 재질이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발광소자들(631)이 배열된 태양전지(64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발광소자 어셈블리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발광소자들(631), 투광시트(632), 보호필름(633)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앞서 설명된 나머지 실시예들의 구성들도 모두 여기에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보호 필름은 발광소자들(631)이 발광하지 않을 때 이들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반투광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배터리 커버(660)가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된 경우, 발광소자 어셈블리(630)와 태양전지(640)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배터리 커버(660)와 일체로 형성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는 배터리 커버(660)의 두께를 슬림화하고, 각 구성들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장착 공간을 발광소자 어셈블리를 통한 시각 정보의 표시 공간으로 활용하여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된 발광소자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4 및 도 5의 발광소자 어셈블리들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관련된 발광소자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발광소자 어셈블리가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관련된 발광소자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투광시트가 갖는 도전 패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의 ⅩⅢ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Claims (19)

  1. 배터리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면에 배치되며,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 전지;
    상기 태양 전지에서 태양광이 흡수되는 일면 상에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들;
    상기 태양전지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소자들을 지지하며 상기 발광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소자들에 발광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투광성의 도전패턴이 형성되는 투광시트; 및
    상기 발광소자들 각각에서 나온 빛들을 조합하여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발광소자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 전지는, 상기 발광소자들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을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시트의 전면에는 상기 발광소자들을 보호하는 투광성 재질의 보호 필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시트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시각 정보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패턴은 상기 시각 정보에 터치가 가해졌을 때 터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은,
    일단이 상기 발광소자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패턴; 및
    일단이 상기 발광소자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패턴과 함께 터치 감지를 위한 터치 영역을 형성하는 제2패턴; 및
    상기 제1 및 제2패턴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와 연결되는 투명 배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배터리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면에 배치되며,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 전지;
    상기 태양 전지에서 태양광이 흡수되는 일면 상에 배열되며,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들; 및
    상기 발광소자들 각각에서 나온 빛들을 조합하여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발광소자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 전지는, 전면에 상기 발광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소자들에 발광신호가 인가되도록 하는 투광성의 도전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들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을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의 전면에는 상기 발광소자들을 보호하는 투광성 재질의 보호 필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시각 정보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패턴은 상기 시각 정보에 터치가 가해졌을 때 터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은,
    일단이 상기 발광소자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패턴; 및
    일단이 상기 발광소자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패턴과 함께 터치 감지를 위한 터치 영역을 형성하는 제2패턴; 및
    상기 제1 및 제2패턴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와 연결되는 투명 배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들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소자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시각 정보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발신자 이름, 발신자 번호,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면에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고,
    상기 태양전지와 발광소자들은 상기 단말기 바디의 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에는 상기 배터리를 덮는 배터리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태양전지와 발광소자들은 상기 배터리 커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구현하는 제1바디와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와 발광소자들은 상기 제1 및 제2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와 발광소자들은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의 닫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90079296A 2009-08-26 2009-08-26 이동 단말기 KR101631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296A KR101631907B1 (ko) 2009-08-26 2009-08-26 이동 단말기
US12/835,389 US8626250B2 (en) 2009-08-26 2010-07-13 Mobile terminal having arranged luminous elements
EP10169999.9A EP2290933B1 (en) 2009-08-26 2010-07-19 Mobile terminal with solar cell and a plurality of luminous elements
CN201010261209.5A CN102006093B (zh) 2009-08-26 2010-08-23 移动终端和控制移动终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296A KR101631907B1 (ko) 2009-08-26 2009-08-26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476A KR20110021476A (ko) 2011-03-04
KR101631907B1 true KR101631907B1 (ko) 2016-06-20

Family

ID=4324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296A KR101631907B1 (ko) 2009-08-26 2009-08-26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26250B2 (ko)
EP (1) EP2290933B1 (ko)
KR (1) KR101631907B1 (ko)
CN (1) CN1020060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64425B1 (en) * 2010-04-28 2019-05-29 Nokia Technologies Oy Photovoltaic cell arrangements
KR101131977B1 (ko) * 2011-04-26 2012-03-29 (주)켐리치 배터리 커버에 발광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US9368987B2 (en) * 2012-10-24 2016-06-14 Blackberry Limited Solar cel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3137024B (zh) 2013-02-04 2015-09-0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显示装置及一种移动终端
CN103258841A (zh) * 2013-04-26 2013-08-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电子器件
US9375874B2 (en) * 2013-12-03 2016-06-28 Htc Corporation Accessory, electronic assembly, control method, and method for forming an accessory
CN103676361B (zh) * 2013-12-24 2016-01-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屏及其制造方法和显示装置
FR3043273B1 (fr) * 2015-11-02 2018-09-07 Moukangala Ngaka Systeme d'alimentation et de recharge par energie solaire d'appareils mobiles utilisant internet
CN111328219A (zh) * 2020-03-31 2020-06-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电子设备的背壳、电子设备、制备方法
CN111884313A (zh) * 2020-06-22 2020-11-03 陈维潇 基于太阳能发电的5g移动通信aau设备及其控制方法
US20230129574A1 (en) * 2021-10-26 2023-04-27 United States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Equipment and methods for remote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6531A (ja) * 2003-10-29 2005-05-26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透明太陽電池付携帯電話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6044B2 (en) * 2001-10-31 2007-04-17 Motorola, Inc. Display and solar cell device
JP2004312476A (ja) * 2003-04-09 2004-11-04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US7339636B2 (en) * 2003-12-02 2008-03-04 Motorola, Inc. Color display and solar cell device
US20070032268A1 (en) * 2005-08-02 2007-02-08 Gotfried Bradley L Communications device and card
CN2924944Y (zh) 2006-07-05 2007-07-18 北京恒基伟业投资发展有限公司 内置式太阳能手机
KR20080014425A (ko) * 2006-08-11 200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듀얼 표시 장치
KR101303155B1 (ko) * 2007-03-16 2013-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20080094025A1 (en) * 2006-10-20 2008-04-24 Rosenblatt Michael N Solar cells on portable devices
CN101452970B (zh) 2007-11-28 2011-06-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太阳能电池模组及便携式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6531A (ja) * 2003-10-29 2005-05-26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透明太陽電池付携帯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90933B1 (en) 2017-04-26
EP2290933A3 (en) 2015-06-17
KR20110021476A (ko) 2011-03-04
US20110053652A1 (en) 2011-03-03
US8626250B2 (en) 2014-01-07
CN102006093B (zh) 2014-12-24
CN102006093A (zh) 2011-04-06
EP2290933A2 (en)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907B1 (ko) 이동 단말기
KR101556161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639406B1 (ko) 이동 단말기
KR101545586B1 (ko) 이동 단말기
KR101649626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021608A (ko) 이동 단말기
KR101561906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80023A (ko) 이동 단말기
KR101951415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02366A (ko) 이동 단말기
KR20140036873A (ko) 배터리팩과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30091185A (ko) 이동 단말기
KR101771453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3954B1 (ko) 이동 단말기
KR10168894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입력수단 제어방법
KR101981095B1 (ko) 이동 단말기
KR101973620B1 (ko) 이동 단말기
KR101721877B1 (ko) 이동 단말기
KR101911247B1 (ko) 이동 단말기
KR101595355B1 (ko) 휴대 단말기
KR101641243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81514A (ko) 이동 단말기
KR10160853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 방법
KR101940487B1 (ko) 이동 단말기
KR101813923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