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295B1 -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 Google Patents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295B1
KR101630295B1 KR1020090116842A KR20090116842A KR101630295B1 KR 101630295 B1 KR101630295 B1 KR 101630295B1 KR 1020090116842 A KR1020090116842 A KR 1020090116842A KR 20090116842 A KR20090116842 A KR 20090116842A KR 101630295 B1 KR101630295 B1 KR 101630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unit
photographing apparatus
digital photograph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60298A (en
Inventor
김혜진
강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295B1/en
Publication of KR2011006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2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2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촬영자 및 피촬영자에게 캡쳐 영상을 보다 편리하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고, 촬영 모드에서, 제1 표시부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영상 캡쳐에 응답하여, 캡쳐 영상을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표시부는, 영상 캡쳐가 발생하더라도, 계속해서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more conveniently show a captured image to a photographer and a photographee in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ntrolling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displaying a live view image on a first display unit in a photographing mode; And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image capture,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continues to display the live view image even if image capture occurs.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표시부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그러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on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a method of controlling such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디지털 촬영 장치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촬상 소자로 입력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라이브뷰(liveview) 영상, 촬상 소자에서 캡쳐된 영상을 표시하는 캡쳐 영상(또는 퀵뷰(Quick view) 영상),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재생(Playback) 영상 등을 표시한다.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es a live view image for displaying an image input to the image capturing device in real time, a captured image (or a quick view image) for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And a playback imag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of the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촬영자 및 피촬영자에게 캡쳐 영상을 보다 편리하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more conveniently show a captured image to a photographer and a photographee in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고, 촬영 모드에서, 제1 표시부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영상 캡쳐에 응답하여, 캡쳐 영상을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표시부는, 영상 캡쳐가 발생하더라도, 계속해서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표시부는, 렌즈 경통이 배치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배면에 배치된다.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ntrolling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displaying a live view image on a first display unit in a photographing mode; And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image capture,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continues to display the live view image even if image capture occurs. Preferably, the second display portion is disposed on the front fac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 which the lens barrel is disposed, and the first display portion is disposed on the back fac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저장된 저장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로 입력된 탭핑(tapping),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드래그(drag) 입력, 및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미리 정의된 형태의 장치의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될 때마다, 최근에 촬영된 순서대로, 상기 저장 영상을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a user input, displaying the stored image stored 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on the second display section. Here, the second display unit may be a touch screen, and the user inpu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apping in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a drag input in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And movement information of a device of a predefined type acquired from th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p of displaying the stored images displays the stored images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photographed each time the user inputs the inpu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들 중, 상기 제2 표시부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이전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들 및 상기 캡쳐 영상 중, 상기 제2 표시부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다음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제1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이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제2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 배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 정보이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2 배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stored image may include the step of, in response to a first user input, selecting, from at least one stored image stored 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Displaying a previous image; And displaying, in response to the second user input, at least one of the stored images stored 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next image of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mong the captured images. Here, the second display unit may be a touch screen, the first user input may be a drag input in a first direction input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e second user input may be a drag input in a first direction, And may be a drag input in the second direction. As another example,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ay include a tilt sensor for detecting a tilt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first user input may include a tilt sensor for detecting a tilt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second user input may be tilt inform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ilted to the second orientation, which is sensed by the tilt senso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셔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displaying the live view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half-shutter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제1 표시부; 제2 표시부; 입사광으로부터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 소자; 촬영 모드에서, 제1 표시부에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된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라이브뷰 제어부; 및 영상 캡쳐에 응답하여, 캡쳐 영상을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캡쳐 영상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브뷰 제어부는, 영상 캡쳐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 표시부에 계속해서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표시부는, 렌즈 경통이 배치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배면에 배치된다.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A second display unit; An imaging device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image signal from incident light; A live view control unit for displaying a live view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on a first display unit in a photographing mode; And a captured image display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image capture, wherein the live view control unit continues to display the live view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even if image capture occurs. Preferably, the second display portion is disposed on the front fac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 which the lens barrel is disposed, and the first display portion is disposed on the back fac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을 표시하는 재생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로 입력된 탭핑(tapping), 및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드래그(drag)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획득된 미리 정의된 형태의 장치의 이동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stored image; And a reproduction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at least one stored image in the second display uni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In this case, the second display unit may be a touch screen, and the user input may be at least one of a tapping in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and a drag input in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As another example,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user input may be movement information of a device of a predefined type obtained from the motion sensor.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될 때마다, 최근에 촬영된 순서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을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production control unit displays the at least one sto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recently photographed each time the user input is inpu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생 제어부는,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들 중, 상기 제2 표시부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이전 영상을 표시하고,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들 및 상기 캡쳐 영상 중, 상기 제2 표시부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다음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2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제1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이고, 상기 제2 사 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제2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 배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 정보이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2 배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a first user input, the playback control unit displays a previous image of an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mong the at least one stored images, And displays the next image of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mong the at least one stored images and the captured image in response to the input. Here, the second display unit may be a touch screen, the first user input may be a drag input in a first direction input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e second user input may be a drag input on the second display unit, Lt; RTI ID = 0.0 > direction. ≪ / RTI > As another example,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ilt sensor that senses a tilt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first user inpu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lt sensor sensed by the tilt sensor, And the second user input may be tilt inform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ilted to the second orientation, which is sensed by the tilt senso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브뷰 제어부는, 반셔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ve view control unit displays the live view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half-shutter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촬영 모드에서, 제1 표시부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코드 부분; 및 영상 캡쳐에 응답하여, 캡쳐 영상을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코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표시부는, 영상 캡쳐가 발생하더라도, 계속해서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한다.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a first display section and a second display section, A code portion for displaying a live view image on a first display portion; And a code portion for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portion in response to the image capture, wherein the first display portion continues to display the live view image even if image capture occur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 캡쳐시, 제1 표시부에 계속해서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고, 제2 표시부에 캡쳐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촬영자는 계속해서 라이브뷰 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피촬영자는 편리하게 캡쳐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capturing an image, the live view image is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section, and the captu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section, so that the photographer can continuously check the live view imag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check the captured im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표시부가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 는 중이라도, 제2 표시부를 재생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어, 피촬영자가 편리하게 캡쳐 영상 및 저장 영상들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first display unit displays the live view image, the second display unit can be operated in the playback mode, and the captured image can be conveniently viewed It is effective.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arts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urthermore,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construed to mean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est express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조리개(111), 조리개 구동부(112), 렌즈(113), 렌즈 구동부(115), 촬상 소자(118), 촬상 소자 제어부(119),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 메모리(130), 저장/판독 제어부(140), 데이터 저장부(142), 프로그램 저장부(150), 제1 표시 구동부(162), 제1 표시부(164), 제2 표시 구동부(166), 제2 표시부(168), CPU/DSP(170), 조작부(180), 센서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aphragm 111, a diaphragm driving unit 112, a lens 113, a lens driving unit 115, an image pickup device 118, an image pickup device control unit 119, The first display section 164, the second display section 164, the second display section 164, the second display section 164, the second display section 162, the third display section 164, 2 display driver 166, a second display unit 168, a CPU / DSP 170, an operation unit 180, and a sensor unit 190.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전체 동작은 CPU/DSP(170)에 의해 통괄된다. CPU/DSP(170)는 조리개 구동부(112), 렌즈 구동부(115), 촬상 소자 제어부(119) 등에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is governed by the CPU / DSP 170. The CPU / DSP 170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o the diaphragm driver 112, the lens driver 115, and the image sensor controller 119, for example.

조리개(111)는 조리개 구동부(112)에 의해 그 개폐 정도가 조절되며, 촬상 소자(118)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The diaphragm 111 is controlled by the diaphragm driving unit 112 so as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imaging element 118.

렌즈(113)는 줌렌즈, 포커스 렌즈 등 복수의 렌즈들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113)는 렌즈 구동부(115)에 의해 그 위치가 조절된다. 렌즈 구동부(115)는 CPU/DSP(170)에서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렌즈(113)의 위치를 조절한다. The lens 113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such as a zoom lens and a focus lens. The position of the lens 113 is adjusted by the lens driving unit 115. The lens driving unit 115 adjusts the position of the lens 113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PU / DSP 170. [

조리개(111) 및 렌즈(113)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8)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8)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 소자(118)는 촬상 소자 제어부(119)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 소자 제어부(119)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8)를 제어할 수 있다.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diaphragm 111 and the lens 113 reaches the light-receiving surface of the image pickup element 118 and forms an image of the object. The image pickup device 118 may be a CCD (Charge Coupled Device) or a CI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for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The sensitivity of the image pickup element 118 can be adjusted by the image pickup element controller 119. The image pickup element control section 119 can control the image pickup element 118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video signal inputted in real time or a control signal manually inputted by the user's operation.

촬상 소자(118)의 노광 시간은 셔터(미도시)로 조절된다. 셔터(미도시)는 가리개를 이동시켜 빛의 입사를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촬상 소자(118)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노광을 제어하는 전자식 셔터가 있다.The exposure time of the imaging element 118 is adjusted by a shutter (not shown). A shutter (not shown) has a mechanical shutter for moving the screen to adjust the incidence of light, and an electronic shutter for controlling exposure by supplying an electric signal to the imaging element 118.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 소자(118)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The analog signal processing unit 120 performs noise reduction processing, gain adjustment, waveform shaping, analog-to-digital conversion processing, and the like on the analog signal supplied from the image pickup element 118.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신호는 메모리(130)를 거쳐 CPU/DSP(17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130)를 거치지 않고 CPU/DSP(17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130)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메인 메모리로서 동작하고, CPU/DSP(170)가 동작 중에 필요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The signal processed by the analog signal processing unit 120 may be input to the CPU / DSP 170 via the memory 130 or may be input to the CPU / DSP 170 without going through the memory 130. [ Here, the memory 130 operates as a main memory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nd temporarily stores necessary information during operation of the CPU / DSP 170. The program storage unit 130 stores programs such as an operating system and an application system for driv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아울러,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는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includes a first display section 164 and a second display section 168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or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The first display portion 164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168 may provide visual and / or auditory information to the user. The first display portion 164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168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LED), or the like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he first display unit 164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68 may be touch screens capable of recognizing a touch input.

제1 표시 구동부(162) 및 제2 표시 구동부(166)는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에 각각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도 1은 제1 표시 구동부(162)와 제2 표시 구동부(166)가 별개로 형성된 블록도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1 표시 구동부(162)와 제2 표시 구동부(166)가 일체로 형성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The first display driver 162 and the second display driver 166 provide driving signals to the first display unit 164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68, respectively. 1 is a block diagram in which the first display driver 162 and the second display driver 166 are separately formed.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rivers 162, (166) are integrally formed.

CPU/DSP(17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CPU/DSP(17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 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The CPU / DSP 170 processes the input video signal and controls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input video signal or the external input signal. The CPU / DSP 170 reduces the noise of the input image data and performs a gamma correction, a 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a color matrix, a color correction, , Color enhancement,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Also,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ing for image quality improvement may be compressed to generate an image file, or the image data may be recovered from the image file. The compression format of the image may be reversible or irreversible. As an example of a suitable format, conversion to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format or JPEG 2000 format is also possible.

CPU/DSP(17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13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140)에 입력되는데, 저장/판독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한다. 또한 저장/판독 제어부(140)는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된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13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제1 표시 구동부(162) 또는 제2 표시 구동부(166)에 입력하여 제1 표시부(164) 또는 제2 표시부(168)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부(142)는 탈착 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CPU / DSP 170 is input to the memory 130 or directly to the storage / read control unit 140. The storage / In the data storage unit 142. The storage / read control unit 140 reads data relating to an image from the image fil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42 and transmits it to the first display driver 162 or the second display driver 162 through the memory 130, The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64 or the second display unit 168 by being input to the display driver 166. [ The data storage unit 142 may be detachable or may be permanently mounted to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또한, CPU/DSP(170)에서는 불선명 처리, 색체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아울러, CPU/DSP(170)에서는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상기 CPU/DSP(170)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어,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PU / DSP 170 can perform blurring processing, color tone processing, blur processing, edge emphasis processing, image analysis processing,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image effect processing, and the like. The face recognizing process, the scene recognizing process,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by the image recognizing process. In addition, the CPU / DSP 170 can perform display video signal processing for display on the first display section 164 and the second display section 168. [ For example, brightness level adjustment, color correction, contrast adjustment, contour enhancement adjustment, screen division processing, character image generation, and image synthesis processing can be performed. The CPU / DSP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monitor, and can process a predetermined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on an external monitor. The CPU / DSP 170 can transmit the processed image data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image on the external monitor.

또한 CPU/DSP(17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리개 구동부(112), 렌즈 구동부(115),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9)에 제공하고, 셔터, 플래시 등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CPU / DSP 170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storage unit 130 or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utofocus, zoom change, focus change, automatic exposure correction, and the like by providing a separate module The aperture stop driving unit 112, the lens driving unit 115 and the image pickup element control unit 119 so that the operations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such as the shutter and the flash can be collectively controlled.

조작부(180)는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조작부(18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8)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모드,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80)는 버튼,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The operation unit 180 is a place where a user can input a control signal. The operation unit 180 includes a shutter-release button for inputting a shutter-release signal for exposing the image pickup device 118 to ligh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take a picture, a power source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n- Button, a wide-angle zoom button and a telephoto-zoom button to widen the angle of view or narrow the angle of view according to the input, a mode selection such as a character input mode, a shooting mode, and a playback mode, a white balance setting function selection, And the like. The operation unit 180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in which a user can input a control signal, such as a button, a keyboard, a touch pad, a touch screen,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센서부(190)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움직임 또는 배향을 감지한다. 센서부(190)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90)를 통해 검출되는 사용자의 제스처는 롤링(rolling), 피칭(pitching), 요잉(yawing), 및 트랜지션(transition) 등일 수 있다. 센서부(190)는 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움직임 또는 배향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90 senses the movement or orient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The sensor unit 190 senses the movement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nd can detect a gesture of the user. The user's gesture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190 may be rolling, pitching, yawing, transition, and the like. The sensor unit 190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types of sensors capable of sensing movement or orient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such as a gyro sensor, a tilt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를 나타낸 도면이다.2A and 2B are views showing a first display unit 164 and a second display unit 16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168)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렌즈 경통(210)이 배치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1 표시부(164)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표시부(168)는 피촬영자가 바라볼 수 있는 방향으로 위치한다.2A and 2B, the second display section 168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in which the lens barrel 210 is disposed 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nd the first display section 164 May be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 Therefore, the second display portion 168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hotographee can look.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표시부(164)가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 영상이 캡쳐되면, 캡쳐 영상이 제1 표시부(164)에는 표시되지 않고, 제2 표시부(168)에만 표시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mage is captured while the first display unit 164 displays the live view image, the captured image is not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64, but only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Is displayed.

우선, 촬영 모드에서, 제1 표시부(164)는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한다(S302). 이때 제2 표시부(168)는 오프되거나, 또는 라이브뷰 영상, 캡쳐 영상, 및 저장 영 상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부(168)가 어떠한 영상을 표시하는지는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First, in the shooting mode, the first display section 164 displays a live view image (S302). At this time, the second display unit 168 may be turned off, or may display any one of a live view image, a captured image, and a storage image. Which image the second display unit 168 displays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operation.

제1 표시부(164)가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 셔터 릴리즈 신호에 응답하여 또는 자동으로 영상이 캡쳐되면(S304),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표시부(164)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고, 제2 표시부(168)에 캡쳐 영상을 표시한다(S306).When the first display unit 164 displays the live view image and the image is automatically captured in response to the shutter release signal (S304),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display unit 164, And displays the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S306).

도 4a 및 도 4b는 영상 캡쳐 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이 캡쳐되면, 제1 표시부(164)에 라이브뷰 영상이 표시되고, 제2 표시부(168)에 캡쳐 영상이 표시된다. 나아가 제1 표시부(164)는 초점이 맞춰진 피사체를 표시하는 타깃 박스(402), 및/또는 현재 촬영 설정값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404a, 404b)을 표시할 수 있다. 4A and 4B are views showing screens of the first display unit 164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6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apturing an image. As shown in the figure, when an image is captured, a live view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64, and a captu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Further, the first display portion 164 may display the target box 402 displaying the focused object and / or at least one icon 404a, 404b indicating the current shooting setting value.

본 실시예는 영상이 캡쳐되더라도, 제1 표시부(164)가 계속해서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라이브뷰 영상 표시가 중단됨 없이 촬영자가 계속해서 라이브뷰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촬영자가 위치한 방향의 제2 표시부(168)에 캡쳐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피촬영자가 디지털 촬영 장치(100) 본체를 뒤집어서 캡쳐 영상을 확인할 필요 없이, 바로 캡쳐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embodiment, even if an image is captured, since the first display unit 164 continuously displays the live view imag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hotographer can continuously check the live view image without stopping the display of the live view image. Also, by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portion 168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is located, the captured person can check the captured image directly without turning over the body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nd checking the captured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에 의한 모드 선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촬영 모드 중에 퀵뷰 오프 모드를 선택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64)는 영상이 캡쳐되어도, 캡쳐 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계속해서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행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mode selection by a user.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quick view off mode during the shooting mod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isplay unit 164 displays the live view image without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even if the captured image is displayed. Examples can be perform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표시부(164)가 촬영 모드로 동작하면서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 제2 표시부(168)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재생 모드(playback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 입력일 수 있다. 이하,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스처 입력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스처 입력인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first display section 164 is operating in the shooting mode and displaying the live view image, the second display section 168 is operated in the playback mode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can do.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user input may be a gesture input of the user. Hereinafter, the user input is a gesture input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input is a gesture inpu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64)에 라이브뷰 영상이 표시되고, 제2 표시부(168)에 캡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소정의 제스처 입력이 검출되면(S502),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제2 표시부(168)에 상기 캡쳐 영상 직전에 촬영되어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된 이전 영상을 표시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스처 입력이 검출될 때마다, 최근에 촬영된 순서대로,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된 이전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전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상기 제스처 입력은 미리 정의될 수 있다.5, when a live view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64 and a predetermined gesture input is detected while the captured image is being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S502) ,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displays the previous image photographed immediately before the captured image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42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ach time a gesture input is detected, previous image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42 can be displayed in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recently photographed. The gesture input for playing back the previous video can be predefined.

상기 제스처 입력은 제2 표시부(168)를 통한 터치스크린 입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표시부(168)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스처 입력은, 제2 표시부(168)를 탭핑(tapping)하는 입력일 수 있으며, 이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탭핑의 횟수는 미리 정의될 수 있다.The gesture input may be a touch screen input via the second display 168. In this case, the second display unit 168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6A, the gesture input may be an input for tapping the second display unit 168, and the number of times of tapping for displaying a previous image may be defined in advance.

또한, 상기 제스처 입력은 상기 제스처 입력은 디지털 촬영 장치(100) 본체의 미리 정의된 형태의 움직임일 수 있다. 상기 제스처 입력은, 예를 들면,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롤링, 피칭, 요잉, 및 트랜지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롤링, 피칭, 요잉, 트랜지션은 센서부(190)에 의해 감지된다. 센서부(190)에서 감지되는 제스처 입력은 그 속도, 가속도, 방향, 배향 등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도 6b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흔드는 요잉 형태의 제스처 입력을 나타낸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흔들어서 이전 영상을 제2 표시부(168)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gesture input may be a gesture input of a predefined type of movement of the body of the digital imaging device 100. The gesture input may be defined, for example, as at least one of rolling, pitching, yawing, and transi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rolling, pitching, yawing, and transi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re sensed by the sensor unit 190. The speed, acceleration, direction, orientation, and the like of the gesture input sensed by the sensor unit 190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6B shows a gesture input in the form of a yaw that shakes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Fig. As shown in FIG. 6B, the user can control to display the previous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by shak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스처 입력은 제1 제스처 입력 및 제2 제스처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제스처 입력 및 상기 제2 제스처 입력에 응답하여 이전 영상 또는 다음 영상을 제2 표시부(168)에 표시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sture input may comprise a first gesture input and a second gesture input, where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n response to the first gesture input and the second gesture input, And displays the previous or next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

제1 표시부(164)에 라이브뷰 영상이 표시되고, 제2 표시부(168)에 캡쳐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제스처 입력이 검출되면(S702), 제2 표시부(168)에 상기 캡쳐 영상 이전에 촬영되어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이전 영상이 표시된다(S704). When the first gesture input is detected (S702) while the live view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64 and the captu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the second display unit 168 displays the captured image And the previous imag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40 is displayed (S704).

또한, 제2 표시부(168)에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스처 입력이 검출되면(S706), 상기 제스처 입력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2 표시부(168)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이전 영상 또는 다음 영상이 표시된다. 즉, 제1 제스처 입력이 검출되면, 제2 표시부(168)에 이전 영상이 표시되고(S708), 제2 제스처 입력이 검출되면, 제2 표시부(168)에 다음 영상이 표시된다(S710). 만약 제2 표시부(168)에 표시된 영상이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된 저장 영상들 중 가장 최근 영상인 경우, 제2 제스처 입력에 응답하여, 캡쳐 영상이 표시된다. When at least one sto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if a gesture input is detected (S706), a previous image of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The next image is displayed. That is, when the first gesture input is detected, the previous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S708), and when the second gesture input is detected, the next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S710). If th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is the most recent image among the stored image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42, the captured image is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second gesture input.

제1 제스처 입력 및 제2 제스처 입력은 그 형태가 미리 정의될 수 있다. The first gesture input and the second gesture input may be predefined in their shape.

도 8a 및 도 8b는 제2 표시부(168)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제1 제스처 입력과 제2 제스처 입력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스처 입력 및 제2 제츠처 입력은 제2 표시부(168)를 통한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스처 입력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왼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이고, 제2 제스처 입력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른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표시부(168) 상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여 이전 영상을 재생하고, 오른쪽으로 드래그하여 다음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8A and 8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first gesture input and a second gesture input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s shown, the first gesture input and the second gesture input may be a drag in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portion 168. For example, the first gesture input may be a drag input in the left direction as shown in Fig. 8A, and the second gesture input may be a drag input in the right direction as shown in Fig. 8B. Therefore, the user can drag the left sid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to reproduce the previous image, and drag the right side to reproduce the next image.

도 9a 및 도 9b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기울기 정보로 제1 제스처 입력 및 제2 제츠처 입력이 정의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제스처 입력은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방향으로 기울이는 입력이고, 제2 제스처 입력은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방향으로 기울이는 입력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표시부(164)에 라이브뷰 영상 이 표시된 상태에서도,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기울이는 간단한 제스처를 통해서 제2 표시부(168)를 재생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FIGS. 9A and 9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gesture input and the second gesture input are defined as the tilt inform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FIG. The first gesture input is an input for tilt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to the left as shown in FIG. 9A, and the second gesture input is an input for tilt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9B . Accordingly, the user can operate the second display unit 168 in the playback mode through a simple gesture that tilts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even when the live view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64.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표시부(168)에 캡쳐 영상 또는 저장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반셔터 신호(S1 입력)가 입력되면, 제2 표시부(168)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고, 셔터 릴리즈 신호(S2 입력)가 입력되면, 제2 표시부(168)에 캡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부(168)가 재생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중이라도, 반셔터 신호(S1 입력)가 입력되면 다시 촬영이 시작된 상태이므로, 피촬영자가 라이브뷰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2 표시부(168)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여, 피촬영자의 편의를 증대시킨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alf-shutter signal (S1 input) is input while a captured image or a sto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the second display unit 168 displays a live view image And when a shutter release signal (S2 input) is input, the captured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 Since the photographing is started again when the half-shutter signal (S1 input) is input, even if the second display unit 168 is operating in the playback mode, the second display unit 168 is activated A view image is displayed,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는 라이브뷰 제어부(1002), 캡쳐 영상 표시 제어부(1004), 및 재생 제어부(1006)를 포함할 수 있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PU / DSP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PU / DSP 17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ve view control unit 1002, a captured image display control unit 1004, and a playback control unit 1006.

라이브뷰 제어부(1002)는 촬영 모드 동안, 제1 표시부(164)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고, 영상이 캡쳐되더라도, 제1 표시부(164)에 계속해서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한다.The live view control unit 1002 displays the live view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164 during the capture mode and continues to display the live view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164 even if the captured image is captured.

캡쳐 영상 표시 제어부(1004)는, 영상이 캡쳐되면, 제2 표시부(168)에 캡쳐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캡쳐 영상 표시 제어부(1004)는 캡쳐 영상을 짧은 시간동안만 제2 표시부(168)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제2 표시부(168)에 표시된 영상을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 반셔터 입력, 또는 셔터 입력이 있을 때까지 계속해서 캡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captured image display control unit 1004 displays the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when the captured image is captured. At this time, the captured image display control unit 1004 does not display the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for only a short time, but displays the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as a user input for chang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The captured image can be displayed continuous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제어부(1006)는 제스처 입력에 응답하여, 제2 표시부(168)에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된 저장 영상을 표시한다. 즉, 재생 제어부(1006)는 제스처 입력에 응답하여, 제2 표시부(168)를 재생 모드로 동작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제어부(1006)는 제1 표시부(164)에 라이브뷰 영상이 표시되고, 제2 표시부(168)에 캡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소정의 제스처 입력이 검출되면, 제2 표시부(168)에 상기 캡쳐 영상 직전에 촬영되어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된 이전 영상을 표시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스처 입력이 검출될 때마다, 최근에 촬영된 순서대로,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된 이전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전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상기 제스처 입력은 미리 정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the gesture input, the playback control unit 1006 displays the stored imag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42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 That is, the reproduction control section 1006 operates the second display section 168 in the reproduction mode in response to the gesture input. 5, when a predetermined gesture input is detected while the live view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64 and the captu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And displays the previous image photographed immediately before the captured image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42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ach time a gesture input is detected, previous image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42 can be displayed in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recently photographed. The gesture input for playing back the previous video can be predefined.

제2 표시부(168)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제스처 입력은 제2 표시부(168)를 통한 터치스크린 입력일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스처 입력은, 제2 표시부(168)를 탭핑(tapping)하는 입력일 수 있으며, 이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탭핑의 횟수는 미리 정의될 수 있다.If the second display portion 168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gesture input may be a touch screen in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portion 168. As shown in FIG. 6A, the gesture input may be an input for tapping the second display unit 168, and the number of times of tapping for displaying a previous image may be defined in advance.

또한, 제스처 입력은 센서부(19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즉, 센서부(190)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롤링, 피칭, 요잉, 및 트랜지션 등 미리 정의된 형태의 제스처를 감지하여, CPU/DSP(170)로 제공할 수 있다. 재생 제어부(1006)는 센서부(190)로부터 제공된 정보로부터 미리 정의된 제스처가 검출되면, 이전 영상을 제2 표시부(168)에 표시한다. 센서부(190)에서 감지되는 제스처 입력은 그 속도, 가속도, 방향, 배향 등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스처 입력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흔드는 동작일 수 있다. Also, the gesture input can be detected from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input from the sensor unit 190. [ That is, the sensor unit 190 may detect a predetermined type of gesture such as rolling, pitching, yawing, and transi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nd provide the gesture to the CPU / DSP 170. When a predefined gesture is detect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or unit 190, the reproduction control unit 1006 displays the previous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 The speed, acceleration, direction, orientation, and the like of the gesture input sensed by the sensor unit 190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For example, the gesture input may be an operation of shak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6B.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스처 입력은 제1 제스처 입력 및 제2 제스처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재생 제어부(1006)는 상기 제1 제스처 입력 및 상기 제2 제스처 입력에 응답하여 이전 영상 또는 다음 영상을 제2 표시부(168)에 표시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제어부(1006)는 제1 제스처 입력에 응답하여 이전 영상을 제2 표시부(168)에 표시하고, 제2 제스처 입력에 응답하여 다음 영상을 제2 표시부(168)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제2 표시부(168)에 표시된 영상이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된 저장 영상들 중 가장 최근 영상인 경우, 재생 제어부(1006)는 제2 제스처 입력에 응답하여, 캡쳐 영상을 표시한다.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sture input may include a first gesture input and a second gesture input, and the playback control unit 1006 may be responsive to the first gesture input and the second gesture input, And displays the image or the next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production control unit 1006 displays the previous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in response to the first gesture input, and displays the next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in response to the second gesture input. Can be displayed. If th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is the most recent image among the stored image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42, the reproduction control unit 1006 displays the captured image in response to the second gesture input.

제1 제스처 입력 및 제2 제스처 입력은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스처 입력 및 제2 제스처 입력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통한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제스처 입력 및 제2 제스처 입력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기울임일 수 있다.The first gesture input and the second gesture input may be predefined. For example, the first gesture input and the second gesture input may be drag inputs through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S. 8A and 8B. Further,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gesture input and the second gesture input may be tilted 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s. 9A and 9B.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브뷰 제어부(1002)는 제2 표시부(168)에 캡쳐 영상 또는 저장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반셔터 신호(S1 입력)가 입력되면, 제2 표시부(168)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캡쳐 영상 표시 제어부(1004)는 셔터 릴리즈 신호(S2 입력)가 입력되면, 제2 표시부(168)에 캡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alf shutter signal (S1 input) is input while the captured image or the sto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the live view control unit 1002 displays the second display unit 168 ) To display a live view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ptured image display control unit 1004 can display the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when the shutter release signal (S2 input) is input.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storing computer readable codes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ny kind of storage device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CPU/DSP(170)에 의하여 독출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steps of implement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ad out and executed by the CPU / DSP 170 fro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code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programming languages.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rogramm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반송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s well as implementations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can be stored and execute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inventions claimed by the claims and the inventions equivalent to the claimed invention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를 나타낸 도면이다.2A and 2B are views showing a first display unit 164 and a second display unit 16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영상 캡쳐 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164) 및 제2 표시부(168)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4A and 4B are views showing screens of the first display unit 164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6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apturing an imag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제2 표시부(168)를 통해 제스처 입력을 입력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inputting a gesture input through a second display unit 168 implemented with a touch scree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제2 표시부(168)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제1 제스처 입력과 제2 제스처 입력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8A and 8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first gesture input and a second gesture input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168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도 9a 및 도 9b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기울기 정보로 제1 제스처 입력 및 제2 제츠처 입력이 정의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9A and 9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gesture input and the second gesture input are defined as the tilt inform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100.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PU / DSP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8)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를 구비하고,Where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display section and a second display section, 촬영 모드에서, 제1 표시부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Displaying a live view image on a first display unit in a photographing mode; And 영상 캡쳐에 응답하여, 캡쳐 영상을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image capture, 상기 제1 표시부는, 영상 캡쳐가 발생하더라도, 계속해서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고,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displays the live view image continuously even if image capture occurs, 상기 제2 표시부는, 렌즈 경통이 배치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고,The second display portion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 which the lens barrel is disposed,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배면에 배치된,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is disposed on a back surfac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저장된 저장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the stored image stored 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on the second display section in response to a user inpu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2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이고, The second display unit is a touch screen,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로 입력된 탭핑(tapping),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드래그(drag) 입력, 및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미리 정의된 형태의 장치의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The user inpu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apping in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a drag input input o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a predefined type of device obtained from a sensor included 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ovement information of the digital still camer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될 때마다, 최근에 촬영된 순서대로, 상기 저장 영상을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displaying the stored images displays the stored images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recently photographed each time the user inputs the inpu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displaying the stored image comprises: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들 중, 상기 제2 표시부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이전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Displaying a previous image of an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mong at least one stored image stored 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 response to a first user input; And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들 및 상기 캡쳐 영상 중, 상기 제2 표시부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다음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And displaying, in response to a second user input, at least one of the stored images stored 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next image of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mong the captured images, .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2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이고,The second display unit is a touch screen,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제1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이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제2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Wherein the first user input is a drag input in a first direction input o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user input is a drag input in a second direction input on the second display unit, Device control method.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구비하고,Where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es a tilt sensor for detecting a tilt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 배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 정보이고,Wherein the first user input is tilt inform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ilted to the first orientation, which is sensed by the tilt sensor,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2 배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 정보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Wherein the second user input is tilt inform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ilted to the second orientation, which is sensed by the tilt sens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반셔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And displaying the live view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half-shutter input. 제1 표시부;A first display portion; 제2 표시부;A second display unit; 입사광으로부터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 소자;An imaging device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image signal from incident light; 촬영 모드에서, 제1 표시부에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된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라이브뷰 제어부; 및A live view control unit for displaying a live view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on a first display unit in a photographing mode; And 영상 캡쳐에 응답하여, 캡쳐 영상을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캡쳐 영상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며,And a captured image display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image capture, 상기 라이브뷰 제어부는, 영상 캡쳐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 표시부에 계속해서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고,Wherein the live view control unit displays the live view image continuously on the first display unit even if image capture occurs, 상기 제2 표시부는, 렌즈 경통이 배치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고,The second display portion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 which the lens barrel is disposed,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배면에 배치된, 디지털 촬영 장치. And the first display unit is disposed on a back surfac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storage image; And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을 표시하는 재생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Further comprising a playback control unit for, in response to a user input, displaying the at least one sto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2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이고, The second display unit is a touch screen,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로 입력된 탭핑(tapping), 및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드래그(drag)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촬영 장치.Wherein the user input is at least one of a tapping in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and a drag input in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제12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하고, Where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a movement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획득된 미리 정의된 형태의 장치의 이동 정보인, 디지털 촬영 장치.Wherein the user input is movement information of a device of a predefined type acquired from the motion sens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될 때마다, 최근에 촬영된 순서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을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13.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reproduction control section displays the at least one sto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section in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recently photographed each time the user input is input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제어부는,13. The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들 중, 상기 제2 표시부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이전 영상을 표시하고,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들 및 상기 캡쳐 영상 중, 상기 제2 표시부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다음 영상을 표시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Displaying a previous image of an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of the at least one stored images, in response to a first user input, and in response to a second user input, displaying the at least one stored images and the capture And displays the next image of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mong the images. 제16항에 있어서, 17.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2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이고,The second display unit is a touch screen,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제1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이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제2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인, 디지털 촬영 장치.Wherein the first user input is a drag input in a first direction input o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user input is a drag input in a second direction input on the second display unit, Device. 제16항에 있어서,17.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Where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tilt sensor for detecting a tilt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 배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 정보이고,Wherein the first user input is tilt inform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ilted to the first orientation, which is sensed by the tilt sensor,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2 배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 정보인, 디지털 촬영 장치.Wherein the second user input is tilt inform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ilted to the second orientation, which is sensed by the tilt sensor. 제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라이브뷰 제어부는, 반셔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Wherein the live view control unit displays the live view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half-shutter input.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Where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es a first display section and a second display section, 촬영 모드에서, 제1 표시부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코드 부분; 및A code portion for displaying a live view image on a first display portion in a shooting mode; And 영상 캡쳐에 응답하여, 캡쳐 영상을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코드 부분을 포함하며,And a code portion for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portion in response to the image capture, 상기 제1 표시부는, 영상 캡쳐가 발생하더라도, 계속해서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고,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displays the live view image continuously even if image capture occurs, 상기 제2 표시부는, 렌즈 경통이 배치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고,The second display portion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 which the lens barrel is disposed,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배면에 배치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nd the first display unit is disposed on a back surface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삭제delete 제20항에 있어서,21.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저장된 저장 영상을 표시하는 코드 부분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Wherein the computer program further comprises a code portion for displaying a stored image stored in the digital photographing device on the second display portion in response to a user input. 제22항에 있어서,23. 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제2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이고, The second display unit is a touch screen,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로 입력된 탭핑(tapping),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드래그(drag) 입력, 및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미리 정의된 형태의 장치의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The user inpu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apping in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a drag input input o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a predefined type of device obtained from a sensor included 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ovement informa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상을 표시하는 코드 부분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입력될 때마다, 최근에 촬영된 순서대로, 상기 저장 영상을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23. The computer-readable medium according to claim 22, wherein the code portion displaying the stored image displays the stor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portion in an order in which the user input is recently taken, in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recently photographed.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영상을 표시하는 코드 부분은,23. The apparatus of claim 22, wherein the code portion for displaying the stored image comprises: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들 중, 상기 제2 표시부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이전 영상을 표시하는 코드 부분; 및A code part for displaying a previous image of an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part among at least one stored images stored in the digital photographing device in response to a first user input; And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상들 및 상기 캡쳐 영상 중, 상기 제2 표시부에 현재 표시된 영상의 다음 영상을 표시하는 코드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And a code portion for displaying, in response to a second user input, at least one of the stored images stored 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next image of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out of the captured image, . 제25항에 있어서, 26. 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제2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이고,The second display unit is a touch screen,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제1 방향으로의 드 래그 입력이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표시부 상으로 입력된 제2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Wherein the first user input is a drag input in a first direction input o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user input is a drag input in a second direction input on the second display unit, Readable medium. 제25항에 있어서,26. 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구비하고,Wherein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es a tilt sensor for detecting a tilt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 배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 정보이고,Wherein the first user input is tilt inform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ilted to the first orientation, which is sensed by the tilt sensor,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2 배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기울기 정보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Wherein the second user input is tilt informa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ilted to a second orientation, as sensed by the tilt sensor. 제20항에 있어서,21. The method of claim 20, 반셔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하는 코드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And a code portion for displaying the live view image on the second display portion in response to the half-shutter input.
KR1020090116842A 2009-11-30 2009-11-30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KR1016302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842A KR101630295B1 (en) 2009-11-30 2009-11-30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842A KR101630295B1 (en) 2009-11-30 2009-11-30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298A KR20110060298A (en) 2011-06-08
KR101630295B1 true KR101630295B1 (en) 2016-06-14

Family

ID=4439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842A KR101630295B1 (en) 2009-11-30 2009-11-30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2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6321B2 (en) 2019-02-19 2021-1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EP3793177B1 (en) 2019-02-19 2023-10-0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obile termi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808B1 (en) * 2005-08-1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display of photograph and its method
JP2008228053A (en) * 2007-03-14 2008-09-25 Nikon Corp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859B1 (en) * 2007-10-31 201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808B1 (en) * 2005-08-1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display of photograph and its method
JP2007053760A (en) * 2005-08-12 2007-03-01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228053A (en) * 2007-03-14 2008-09-25 Nikon Corp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298A (en)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KR101643321B1 (en)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KR101777354B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74968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apturing jump image
JP4019200B2 (en) Camera with image display
TWI459126B (en) Image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wide-range imag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7311861A (en) Phot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JP2008289032A (en) Imaging apparatus
JP6985898B2 (en) Imaging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1795600B1 (en)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630304B1 (en)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JP2012222387A (en) Imaging apparatus
JP2006319903A (en) Mobile apparatus provided with information display screen
KR101630307B1 (en)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613619B1 (en)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KR101630295B1 (en)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US20200120264A1 (en) Display control device, imaging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4368783B2 (en) Imaging device
JP5929362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2010141458A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0134176A (en) Photographing device and photographing method
JP4369350B2 (en) Imaging device
JP2010087955A (en) Display controller,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program
JP2006174353A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rogram
JP6511780B2 (en) Image acquisition apparatus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