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626B1 -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재료 - Google Patents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626B1
KR101629626B1 KR1020157033091A KR20157033091A KR101629626B1 KR 101629626 B1 KR101629626 B1 KR 101629626B1 KR 1020157033091 A KR1020157033091 A KR 1020157033091A KR 20157033091 A KR20157033091 A KR 20157033091A KR 101629626 B1 KR101629626 B1 KR 101629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propylene
mass
based polymer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346A (ko
Inventor
데쓰야 요코야마
나오스케 구니모토
겐이치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하기 (I)이 60질량%를 초과하고 98질량% 이하, 하기 (II) 및 (III)이 2질량% 이상 40질량% 미만인 표면층(A1) 및 (A2)와, 하기 (II) 및 (III)의 총 함유율의 값이 표면층(A1) 및 (A2)보다 큰 중간층(B)가 적층되고, 총 평량 45g/m2 이하, 열압착률 3∼30%인 부직포 적층체.
(I) 융점 140℃ 이상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II) 프로필렌과 탄소수 2∼20(탄소수 3을 제외한다)의 α-올레핀만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
(III) 하기 i∼vi을 만족시키는 융점 120℃ 미만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i) [mmmm] = 20∼60몰%
(ii) [rrrr]/(1-[mmmm]) ≤ 0.1
(iii) [rmrm] > 2.5몰%
(iv) [mm]×[rr]/[mr]2 ≤ 2.0
(v) Mw = 10,000∼200,000
(vi) Mw/Mn < 4

Description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재료{NON-WOVEN FABRIC LAMINATE AND SANITARY MATERIAL}
본 발명은, 종이 기저귀 등의 위생 재료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재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 기저귀 등의 위생 재료는, 체액을 흡수하여 보유하는 흡수재를, 흡수성 물품의 내측에 배치되는 페이싱재와 외측에 배치되는 표면 시트로 감싸, 내포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 흡수성 물품의 시트 소재는, 내부에 배설된 흡수재에 흡수된 액체가 외측으로 삼출되지 않도록, 불투수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또한, 내부에 생기는 수증기 등이 흡수성 물품의 내측에 체류하여 땀이 차는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히 수증기를 외부로 투과시켜 방산시키기 위한 투습성을 가질 것도 요구된다.
이들 시트 소재로서 이용되고 있는 부직포는, 통상, 히트 시일에 의한 열융착에 의해서, 다른 부재와의 접착, 및 소요의 형상으로의 성형 가공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열융착에 의해서 성형되는 부직포의 구성 섬유는, 히트 시일성(열융착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이 히트 시일성을 갖는 섬유로서, 종래, 각종의 섬유가 실용에 제공되고, 또한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평10-96157호 공보에는, 에틸렌 함유량 2.0∼5.0mol%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만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로 구성되는 저수축성 부직포층을 갖고, 건열수축률이 10% 이하, 또한 종 및 횡의 유연도의 합이 80mm 이하인 유연성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허 제4352575호 공보에는, 열가소성 수지(A)를 원료 수지로 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I)의 양면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A)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B)를 원료 수지로 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II)가 적층된 열가소성 복합화 부직포로서, 해당 열가소성 복합화 부직포는 점열압착에 의해서 접합되고, 또한 점열압착 면적률이 부직포 총 면적에 대하여 4∼30%인 열가소성 복합화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허공개 2003-53871호 공보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방사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방사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틸렌계 스펀본드 부직포가 열접착된 적층체인 통기성 적층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섬유는, 히트 시일을 실시했을 때의 접착 강도가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히트 시일을 실시했을 때에 버닝을 일으키거나, 수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한편 「버닝」이란, 부직포 적층체의 표면에서 히트 시일에 의한 열에 의해서 섬유의 일부가 용융되어, 형상이 괴상 또는 필름상으로 변화됨으로써 부직포 특유의 유연성, 촉감이 손상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들에 의해서 우수한 히트 시일 성능을 얻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종이 기저귀 등의 위생 재료에 이용되는 부직포에는, 사용 시의 위생 재료의 움직임, 형상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소위 뻣뻣하다는 딱딱한 감촉을 주지 않고, 양호한 촉감을 가질 것도 요구된다.
본 발명은, 히트 시일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높은 유연성을 구비하는 부직포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위생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이하와 같다.
<1> 하기 (I)의 중합체의 함유율이 60질량%를 초과하고 98질량% 이하, 하기 (II)의 중합체 및 하기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a1]이 2질량% 이상 40질량% 미만의 범위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로 구성되는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과,
하기 (I)의 중합체의 함유율이 60질량%를 초과하고 98질량% 이하, 하기 (II)의 중합체 및 하기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a2]가 2질량% 이상 40질량% 미만의 범위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2)로 구성되는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2)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 및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2)의 사이에 개재하고, 하기 (II)의 중합체 및 하기 (III)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중합체를 포함하며, 또한 하기 (II)의 중합체 및 하기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b]의 값이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에 있어서의 상기 총 함유율 [Xa1]의 값 및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2)에 있어서의 상기 총 함유율 [Xa2]의 값 중 어느 것보다도 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로 구성되는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
가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총 평량이 45g/m2 이하이며,
열압착률이 3%∼30%인 부직포 적층체.
(I) 융점 140℃ 이상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II) 프로필렌과 탄소수 2∼20(탄소수 3을 제외한다)의 α-올레핀만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
(III) 하기 (i)∼(vi)을 만족시키는 융점 120℃ 미만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 (i) 메소펜타드 분율 [mmmm] = 20∼60몰%
· (ii) [rrrr]/(1-[mmmm]) ≤ 0.1
· (iii) 라세미 메소 라세미 메소 분율 [rmrm] > 2.5몰%
· (iv) [mm]×[rr]/[mr]2 ≤ 2.0
· (v) 질량 평균 분자량(Mw) = 10,000∼200,000
· (vi) 분자량 분포(Mw/Mn) < 4
<2>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 및 (A2)를 구성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및 (a2)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및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를 구성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가, 탄소수 15∼22의 지방산 아마이드를, 각각 당해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2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3>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의 평량이 1g/m2∼15g/m2이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2)의 평량이 1g/m2∼15g/m2이며,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의 평량이 1g/m2∼15g/m2인 <1> 또는 <2>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4>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 및 (A2)를 구성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및 (a2), 및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를 구성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가, 상기 (II)의 중합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III)의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1>∼<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5>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 및 (A2)를 구성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및 (a2), 및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를 구성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가, 상기 (III)의 중합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II)의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1>∼<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6> <1>∼<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하는 위생 재료.
본 발명에 의하면, 히트 시일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높은 유연성을 구비하는 부직포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위생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표시된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치 및 최대치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부직포 적층체>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는,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과,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2)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 및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2)의 사이에 개재하는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가 적어도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은, 하기 (I)의 중합체의 함유율이 60질량%를 초과하고 98질량% 이하, 하기 (II)의 중합체 및 하기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a1]이 2질량% 이상 40질량% 미만의 범위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로 구성된다.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2)는, 하기 (I)의 중합체의 함유율이 60질량%를 초과하고 98질량% 이하, 하기 (II)의 중합체 및 하기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a2]가 2질량% 이상 40질량% 미만의 범위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2)로 구성된다.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는, 하기 (II)의 중합체 및 하기 (III)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중합체를 포함하고, 또한 하기 (II)의 중합체 및 하기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b]의 값이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에 있어서의 상기 총 함유율 [Xa1]의 값 및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2)에 있어서의 상기 총 함유율 [Xa2]의 값 중 어느 것보다도 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는, 총 평량이 45g/m2 이하이며, 열압착률이 3%∼30%이다.
(I) 융점 140℃ 이상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II) 프로필렌과 탄소수 2∼20(탄소수 3을 제외한다)의 α-올레핀만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
(III) 하기 (i)∼(vi)을 만족시키는 융점 120℃ 미만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 (i) 메소펜타드 분율 [mmmm] = 20∼60몰%
· (ii) [rrrr]/(1-[mmmm]) ≤ 0.1
· (iii) 라세미 메소 라세미 메소 분율 [rmrm] > 2.5몰%
· (iv) [mm]×[rr]/[mr]2 ≤ 2.0
· (v) 질량 평균 분자량(Mw) = 10,000∼200,000
· (vi) 분자량 분포(Mw/Mn) < 4
종래부터, 위생 재료 등에 이용되는 부직포에는, 부직포끼리나 다른 재료와의 접착을 위해 히트 시일을 실시했을 때의 접착 강도가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히트 시일을 실시했을 때에 발생하는 버닝이나 수축을 억제할 것이 요구되어, 즉 우수한 히트 시일 성능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추가로, 위생 재료 등에 이용되는 부직포에는, 사용 시의 위생 재료 등의 움직임, 형상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소위 뻣뻣하다는 딱딱한 감촉을 주지 않고, 양호한 촉감을 가질 것도 요구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히트 시일 성능과 유연성을 양립시킨 부직포를 얻는 것은, 용이하지는 않았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는, 히트 시일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높은 유연성을 구비한다. 이것은, 반드시 명확하지는 않지만, 이하와 같이 추찰된다.
즉, 중간층(B) 중에 (II) 프로필렌과 탄소수 2∼20(탄소수 3을 제외한다)의 α-올레핀만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이하 간단히 「특정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라고 칭한다) 및 (III) 상기 (i)∼(vi)을 만족시키는 융점 120℃ 미만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이하 간단히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라고 칭한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중합체를 보다 많이 포함함으로써, 히트 시일을 실시했을 때의 높은 접착 강도가 달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단, 부직포 적층체의 표면에서의 (II) 특정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 및/또는 (III)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함유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히트 시일 시의 열에 의해서 표면에 버닝이 생기거나, 수축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중간층(B)에 (II)의 중합체 및/또는 (III)의 중합체를 포함시키고 또한 표면층(A1)에 있어서의 (II)의 중합체 및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a1]의 값 및 표면층(A2)에 있어서의 (II)의 중합체 및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a2]의 값을 중간층(B)에 있어서의 총 함유율 [Xb]의 값보다도 낮게 제어함으로써, 버닝이나 수축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결과, 우수한 히트 시일성이 실현되는 것으로 추찰된다.
또한, 부직포 적층체 중에 (II) 특정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 및/또는 (III)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포함시키고, 또한 부직포 적층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II)의 중합체 및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을 지나치게 낮게 하지 않고 특정한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높은 유연성도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추찰된다.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에 있어서의 (II)의 중합체 및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a1], 및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2)에 있어서의 (II)의 중합체 및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a2]이 2질량% 미만이면, 높은 유연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40질량% 이상이면, 버닝이나 수축이 발생한다.
또한,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에 있어서의 (II)의 중합체 및/또는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b]의 값이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및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2)에 있어서의 총 함유율 [Xa1] 및 [Xa2]의 값보다도 작으면, 히트 시일을 실시했을 때의 높은 접착 강도 및 버닝이나 수축의 발생의 억제가 달성되지 않아, 즉 우수한 히트 시일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2), 및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의 각 층을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a2), 및 (b)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 표면층(A1) 및 (A2)(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및 (a2))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I) 융점 140℃ 이상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60질량%를 초과하고 98질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한다. (I)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함유율은, 또한 7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75질량% 이상 90질량%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층(A1) 및 (A2)에 있어서의 (I)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함유율이 60질량% 이하이면, 히트 시일 시의 수축이 크고, 버닝이 발생하기 쉽다는 난점이 생긴다. 한편, 98질량%를 초과하면, 히트 시일을 실시했을 때의 접착 강도가 뒤떨어진다는 난점이 생긴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II) 프로필렌과 탄소수 2∼20(탄소수 3을 제외한다)의 α-올레핀만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특정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 및 (III) 상기 (i)∼(vi)을 만족시키는 융점 120℃ 미만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총 함유율 [Xa1], [Xa2]로 2질량% 이상 40질량% 미만의 범위로 포함한다. (II)의 중합체 및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a1], [Xa2]는, 또한 5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8질량% 이상 25질량%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 중간층(B)(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는, (II) 프로필렌과 탄소수 2∼20(탄소수 3을 제외한다)의 α-올레핀만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특정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 및 (III) 상기 (i)∼(vi)을 만족시키는 융점 120℃ 미만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한편, (II)의 중합체 및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b]의 값이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에 있어서의 총 함유율 [Xa1]의 값 및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2)에 있어서의 총 함유율 [Xa2]의 값 중 어느 것보다도 크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에 있어서의 (II)의 중합체 및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b]는, 구체적으로는, 6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 99.7질량% 이하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또,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는, (I) 융점 140℃ 이상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함유해도 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에 있어서의 (I)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함유율로서는, 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 (I) 융점 140℃ 이상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의 (I) 융점 140℃ 이상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되는 단독 중합체이다.
(I)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은, 40∼80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0∼70g/10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MFR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 시에 있어서의 가방(可紡) 범위가 넓고, 또한 얻어진 부직포의 유연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I)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밀도는, 0.1∼5.0g/cm3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5∼2.0g/cm3가 보다 바람직하다.
밀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의 혼합성이 좋아져, 생산이 안정화되고, 부직포의 품질 격차가 최소화된다는 이점이 있다.
(I)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융점(Tm)은 140℃ 이상이며, 140∼18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0∼170℃가 보다 바람직하다.
융점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 시에 있어서의 가방 범위가 넓고, 또한 얻어진 부직포의 유연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 (II) 프로필렌과 탄소수 2∼20(탄소수 3을 제외한다)의 α-올레핀만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특정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의 (II) 특정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탄소수 2∼20(탄소수 3을 제외한다)의 α-올레핀만의 랜덤 공중합체이다.
상기 탄소수 2∼20(탄소수 3을 제외한다)의 α-올레핀으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뷰텐, 펜텐, 헥센, 옥텐, 4-메틸-1-펜텐, 1-헵텐, 1-데센, 1-도데센, 1-헥사데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 뷰텐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α-올레핀은, 1종을 이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II) 특정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비(프로필렌:다른 α-올레핀(몰비))는, 99.5:0.5∼90: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99:1∼92:8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98:2∼95:5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프로필렌에 대한 다른 α-올레핀의 비율이 상기 하한치 이상인 것에 의해, 히트 시일을 실시했을 때의 접착 강도가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한치 이하인 것에 의해, 히트 시일 시의 수축이 최소한으로 억제되고, 버닝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II) 특정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의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은, 40∼80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0∼70g/10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MFR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 시에 있어서의 가방 범위가 넓고, 또한 얻어진 부직포의 유연성이 좋다는 이점이 있다.
(II) 특정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의 밀도는, 0.1∼5.0g/cm3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5∼2.0g/cm3가 보다 바람직하다.
밀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의 혼합성이 좋아져, 생산이 안정화되고, 부직포의 품질 격차가 최소화된다는 이점이 있다.
(II) 특정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의 융점(Tm)은, 50∼17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II) 특정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의 융점(Tm)은,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 시에 있어서의 가방 범위가 넓고, 또한 얻어진 부직포의 유연성이 우수하다는 관점에서는 120∼16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130∼150℃가 더 바람직하고, 130∼147℃가 더 바람직하다.
· (III) (i)∼(vi)을 만족시키는 융점 120℃ 미만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의 (III)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되는 단독 중합체이고, 또한 융점이 120℃ 미만이며, 이하의 (i)∼(vi)의 요건을 만족시킨다.
(i) 메소펜타드 분율 [mmmm] = 20∼60몰%
(III)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메소펜타드 분율 [mmmm]이 20몰% 이상이면, 끈적거림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60몰% 이하이면, 결정화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탄성 회복성이 양호해진다. 이 메소펜타드 분율 [mmmm]은, 바람직하게는 30∼5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0몰%이다.
메소펜타드 분율 [mmmm], 후술하는 라세미 펜타드 분율 [rrrr] 및 라세미 메소 라세미 메소펜타드 분율 [rmrm]은, 에이 잠벨리(A. Zambelli) 등에 의해 「Macromolecules, 6, 925(1973)」에서 제안된 방법에 준거하여, 13C-NMR 스펙트럼의 메틸기의 시그널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프로필렌 분자쇄 중의 펜타드 단위에서의 메소 분율, 라세미 분율, 및 라세미 메소 라세미 메소 분율이다. 메소펜타드 분율 [mmmm]이 커지면, 입체 규칙성이 높아진다. 또한, 후술하는 트라이아드 분율 [mm], [rr] 및 [mr]도 상기 방법에 의해 산출된다.
한편, 13C-NMR 스펙트럼의 측정은, 에이 잠벨리(A. Zambelli) 등에 의해 「Macromolecules, 8, 687(1975)」에서 제안된 피크의 귀속에 따라서, 하기의 장치 및 조건으로 행할 수 있다.
장치: 닛폰전자(주)제 JNM-EX400형 13C-NMR 장치
방법: 양성자 완전 디커플링법
농도: 220mg/ml
용매: 1,2,4-트라이클로로벤젠과 중(重)벤젠의 90:10(용량비) 혼합 용매
온도: 130℃
펄스 폭: 45°
펄스 반복 시간: 4초
적산: 10000회
<계산식>
M = m/S×100
R = γ/S×100
S = Pββ+Pαβ+Pαγ
S: 전체 프로필렌 단위의 측쇄 메틸 탄소 원자의 시그널 강도
Pββ: 19.8∼22.5ppm
Pαβ: 18.0∼17.5ppm
Pαγ: 17.5∼17.1ppm
γ: 라세미 펜타드 연쇄: 20.7∼20.3ppm
m: 메소펜타드 연쇄: 21.7∼22.5ppm
(ii) [rrrr]/(1-[mmmm]) ≤ 0.1
[rrrr]/[1-mmmm]의 값은, 상기의 펜타드 단위의 분율로부터 구해지고, 본 발명에 따른 (III)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규칙성 분포의 균일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이 커지면, 기존 촉매계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종래의 폴리프로필렌과 같이 고규칙성 폴리프로필렌과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이 되어, 끈적거림의 원인이 된다.
(III)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있어서, [rrrr]/(1-[mmmm])이 0.1 이하이면, 얻어지는 탄성 부직포에 있어서의 끈적거림이 억제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rrrr]/(1-[mmmm])은,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이다.
(iii) 라세미 메소 라세미 메소 분율 [rmrm] > 2.5몰%
(III)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라세미 메소 라세미 메소 분율 [rmrm]이 2.5몰%를 초과하는 값이면, 해당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랜덤성이 증가하여, 탄성 부직포의 탄성 회복성이 더욱 향상된다. [rmrm]은, 바람직하게는 2.6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7몰% 이상이다. 그 상한은, 통상 10몰% 정도이다.
(iv) [mm]×[rr]/[mr]2 ≤ 2.0
[mm]×[rr]/[mr]2은, (III)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랜덤성의 지표를 나타내며, 이 값이 2.0 이하이면, 탄성 부직포는 충분한 탄성 회복성이 얻어지고, 또한 끈적거림도 억제된다. [mm]×[rr]/[mr]2은, 0.25에 가까울수록 랜덤성이 높아진다. 상기 충분한 탄성 회복성을 얻는 관점에서, [mm]×[rr]/[mr]2은, 바람직하게는 0.25를 초과하고 1.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5이다.
(v) 질량 평균 분자량(Mw) = 10,000∼200,000
(III)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있어서 질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이면, 해당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지 않고 적절한 것이 되기 때문에, 탄성 부직포의 제조 시의 사절(絲切)이 억제된다. 또한, 질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 이하이면, 상기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지 않아, 방사성이 향상된다. 이 질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00∼15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150,000이다.
이 질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vi) 분자량 분포(Mw/Mn) < 4
(III)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있어서, 분자량 분포(Mw/Mn)가 4 미만이면, 탄성 부직포의 끈적거림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 분자량 분포는,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상기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하기의 장치 및 조건으로 측정한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며, 상기 분자량 분포(Mw/Mn)는,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한 수 평균 분자량(Mn) 및 상기 질량 평균 분자량(Mw)으로부터 산출한 값이다.
<GPC 측정 장치>
컬럼: TOSO GMHHR-H(S)HT
검출기: 액체 크로마토그램용 RI 검출기 WATERS 150C
<측정 조건>
용매: 1,2,4-트라이클로로벤젠
측정 온도: 145℃
유속: 1.0ml/분
시료 농도: 2.2mg/ml
주입량: 160μl
검량선: Universal Calibration
해석 프로그램: HT-GPC(Ver. 1.0)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III)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추가로 이하의 (vii)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vii) 융점(Tm-D) = 0∼120℃
(III)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 -1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10℃/분으로 승온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융해 흡열 커브의 가장 고온측에 관측되는 피크의 피크 톱으로서 정의되는 융점(Tm-D)이 0∼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융점(Tm-D)이 0℃ 이상이면, 탄성 부직포의 끈적거림의 발생이 억제되고, 120℃ 이하이면, 충분한 탄성 회복성이 얻어진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융점(Tm-D)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0℃이다.
한편, 상기 융점(Tm-D)은, 시차 주사형 열량계(퍼킨 엘머사제, DSC-7)를 이용하여, 시료 10mg을 질소 분위기 하 -1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10℃/분으로 승온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융해 흡열 커브의 가장 고온측에 관측되는 피크의 피크 톱으로서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III)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예컨대, WO2003/08717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이른바 메탈로센 촉매라고 불리는 균일계의 촉매를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III) 저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로서는, 예컨대, 이데미쓰고산주식회사제: 상품명 L-MODU S901, 또는 이데미쓰고산주식회사제: 상품명 L-MODU S600 등을 들 수 있다.
· 탄소수 15∼22의 지방산 아마이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층(A1), (A2), 및 중간층(B)를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a2), 및 (b)에는, 탄소수 15 이상 22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양은 각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2질량부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표면층(A1), (A2)를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a2)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및 중간층(B)를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가, 탄소수 15 이상 22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를, 각각 당해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2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것이, 유연성과 가공 적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a2), (b)가, 탄소수 15 이상 22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경우는, 각각 당해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6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 15 이상 22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로서는, 지방산 모노아마이드 화합물, 지방산 다이아마이드 화합물, 포화 지방산 모노아마이드 화합물, 불포화 지방산 다이아마이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소수란, 분자 중에 포함되는 탄소수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팔미트산 아마이드(탄소수 16), 스테아르산 아마이드(탄소수 18), 올레산 아마이드(탄소수 18), 에루크산 아마이드(탄소수 22)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복수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아마이드를 구성하는 -CONH에 있어서의 C도 탄소수에 포함시킨다. 지방산 아마이드의 탄소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상 22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지방산 아마이드 화합물 중에서도, 올레산 아마이드 또는 에루크산 아마이드가 바람직하다. 이들을 사용함으로써, 유연성, 촉감, 강도가 우수한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 그 밖의 첨가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층(A1), (A2), 및 중간층(B)를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a2), 및 (b)에는, 다른 첨가제를 더 첨가해도 된다. 해당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활제, 착색제, 안정제, 핵제, 산화 방지제, 내후 안정제, 내열 안정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 충전제, 슬립제, 염료, 안료, 천연유, 합성유, 왁스, 안티블로킹제, 가소제, 염산 흡수제, 친수제 등을 들 수 있다.
활제로서는, 예컨대, 다이메틸실록세인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예컨대, TiO2, CaCO3 등의 무기계 착색제, 프탈로사이아닌 등의 유기계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 물성(평량)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직포 적층체의 총 평량은 45g/m2 이하이다. 총 평량이 45g/m2를 초과하면, 기저귀 등 위생 재료 용도에 있어서는 유연성이나 통기성이 사용상 불충분해진다는 난점이 생긴다.
한편, 총 평량은, 또한 5∼40g/m2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30g/m2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표면층(A1), (A2), 및 중간층(B)의 각각의 평량은, 각각 독립적으로, 1∼15g/m2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또한 3∼10g/m2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각 평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유연성, 촉감, 신체 적합성, 추종성, 드레이프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경제성, 시스루성도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 부직포 적층체의 제조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층(A1), (A2), 및 중간층(B)의 적층은, 각 층을 스펀본드법에 따라서 형성함으로써 행해진다. 즉,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을 이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을 형성하고, 이어서 해당 표면층(A1) 상에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를 이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를 형성한다. 또한 해당 중간층(B) 상에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2)를 이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A2)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여기에서, 스펀본드법은, 예컨대,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하고, 방출(紡出)된 필라멘트를 냉각 유체 등에 의해 냉각하고, 연신 공기에 의해서 필라멘트에 장력을 가하여 소정의 섬도로 하고, 얻어진 필라멘트를 이동하는 포집 벨트 상에 포집함으로써 행해진다.
이렇게 하여, 표면층(A1), 중간층(B) 및 표면층(A2)가 적층된 적층물을 3%∼30%의 열압착률로 열압착함으로써, 부직포 적층체가 얻어진다.
한편, 열압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엠보싱 롤로 가열 가압 처리하는 방법, 열 엠보싱 접합, 초음파 엠보싱 접합, 핫 에어 스루 접합, 워터 제트, 니들 펀칭, 접착제에 의한 접합 등을 들 수 있다.
열압착률은, 상기와 같이 3%∼30%의 범위로 제어되며, 3∼25%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22%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압착률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얻어지는 부직포 적층체의 강도가 낮아져, 사용상 불충분해진다는 난점이 생긴다. 한편,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부직포 적층체의 유연성, 촉감, 추종성, 드레이프성이 저하된다는 난점이 생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에 있어서의, 특정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가 전체에 대하여 차지하는 질량 분율은, 30∼6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5∼5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38∼45%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위생 재료>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는, 히트 시일성이 우수하고 또한 높은 유연성을 갖는 것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부직포 적층체는, 종이 기저귀, 생리대 등의 위생 재료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그 밖에도, 타올, 붕대를 비롯한 의료용, 위생재용, 포장재용 등의 각종 산업 용도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물성치 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1) 평량〔g/m2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적층체로부터 200mm(MD)×50mm(CD)의 시험편을 6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임의의 6개소로 했다. 이어서, 채취한 각 시험편을 윗접시 전자 천칭(겐세이공업사제)을 이용해 각각 질량(g)을 측정하여, 각 시험편의 질량의 평균치를 구했다. 구한 평균치로부터 1m2당 질량(g)으로 환산하고, 소수점 둘째 자리를 사사오입하여, 부직포 또는 적층체의 평량〔g/m2〕으로 했다.
(2) 히트 시일성 평가
[히트 시일 방법]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100mm(MD)×100mm(CD)의 시험편을 10점 채취했다. 이어서 이 시험편을 MD 방향이 동일 방향이 되도록 2장 겹쳐, 테스터산업(주)제의 히트 시일 시험기(제품명: 히트 시일 테스터)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에서 히트 시일을 행했다.
시일 바 폭: 10.0mm
시일 압력: 2.0kg/cm2
시일 시간: 1.0초
시일 온도: 상부 바 및 하부 바를 동일 온도로 하여, 168℃, 172℃
시일 방향: MD와 수직
[히트 시일 강도〔N/40mm〕]
정속도 인장 시험기((주)도요세이키사제, 제품명: 스트로그래프)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에서 히트 시일을 행한 시험편의 인장 박리 시험을 하기의 조건에서 각각 5매씩 실시해 박리 강도를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히트 시일 강도로 했다.
시험편 형상: 폭 40mm, 길이 70mm
인장 속도: 300mm/분
측정 시 분위기 온도: 23℃
[히트 시일 시 내열성(버닝)]
상기 조건에서 히트 시일을 실시한 시험편에 대하여, 버닝의 발생에 대해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를 행했다.
-평가 기준-
A: 히트 시일부의 버닝이 발생하지 않았다
B: 히트 시일부에 약간의 버닝이 발생했다
C: 히트 시일부의 버닝이 현저했다
[히트 시일 시 형상 안정성(수축)]
상기 조건에서 히트 시일을 행한 시험편에 대하여, 수축의 발생에 대해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를 행했다.
-평가 기준-
A: 히트 시일에 수반하는 시험편의 수축이 보이지 않았다
B: 히트 시일에 수반하는 시험편의 수축이 보였다
C: 히트 시일에 수반하여 시험편에 현저한 수축이 보였다
(3) 유연성 평가
[유연성(촉감)]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에 관하여, 직접 손으로 만졌을 때의 감촉을 관능 평가하여, 이하의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를 행했다.
-평가 기준-
A: 촉감이 매우 양호하고 유연성이 우수했다
B: 촉감이 양호하고, 하기 C 평가에 비하면 유연성이 우수했다.
C: 촉감에 딱딱함이 있어 유연성이 뒤떨어졌다.
[강연성(캔틸레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캔틸레버 시험을 실시하여,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의 강연성〔mm〕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JIS-L1096(2010년)의 8.21.1[A법(45° 캔틸레버법)]에 준거했다.
시료로부터, 2cm×15cm의 시험편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5매 채취했다. 일단이 45도의 사면을 갖는 표면이 매끄러운 수평대 상에 시험편의 단변을 스케일 기선에 맞춰서 놓았다. 다음으로, 적당한 방법에 의해서 시험편을 사면의 방향으로 완만히 미끄러지게 하여, 시험편의 일단의 중앙점이 사면과 접했을 때 타단의 위치를 스케일에 의해서 읽었다. 강연도는, 시험편이 이동한 길이(mm)로 표시되고, 각각 5매를 측정하여, 종방향(MD) 및 횡방향(CD) 각각의 평균치를 구하여, 이하의 식을 이용해 얻어지는 수치를, 소수점 둘째 자리를 사사오입하여 산출했다.
강연도 = {(MD의 평균치2+CD의 평균치2)/2}(1/2)
[실시예 1]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의 제조>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60℃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1) 89.7질량%와,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42℃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2)(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중합 몰비 97:3) 10질량%, 에루크산 아마이드 0.3질량%의 혼합물을, 75mmφ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하고, 구멍수 537홀의 방사 구금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 성형기(포집면 상의 기계의 흐름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 800mm)를 이용하여, 수지 온도와 다이 온도가 모두 240℃, 냉각풍 온도 20℃, 연신 에어 풍속 5233m/분의 조건에서 스펀본드법에 의해 용융 방사를 행하여, 포집면 상에 제1층째로서 퇴적시켰다.
이어서, 상기 제1층째의 퇴적면 상에,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42℃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2) 99.7질량%, 에루크산 아마이드 0.3질량%의 혼합물을, 75mmφ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하고, 구멍수 537홀의 방사 구금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 성형기(포집면 상의 기계의 흐름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 800mm)를 이용하여, 수지 온도와 다이 온도가 모두 240℃, 냉각풍 온도 20℃, 연신 에어 풍속 5233m/분의 조건에서 스펀본드법에 의해 용융 방사하여, 제2층째로서 퇴적시켰다.
이어서, 제3층째로서, 제1층째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퇴적시켜, 3층 퇴적물로 했다. 이 퇴적물을 엠보싱 롤로 가열 가압 처리(엠보싱 면적률(열압착률) 18%, 엠보싱 온도 135℃)하여 총 평량이 17.0g/m2, 1 내지 3층째의 각 층의 평량이 5.67g/m2인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제작했다(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가 전체에 대하여 차지하는 질량 분율이 40.0%).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는 촉감이 매우 양호하고 유연성이 우수했다.
<히트 시일 강도의 측정>
히트 시일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는 히트 시일 시의 내열성이 양호하여, 히트 시일부의 버닝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히트 시일에 수반하는 시험편의 수축이 적어 형태 안정성이 우수했다.
[실시예 2]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의 제조>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60℃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1) 79.7질량%와,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42℃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2) 20질량%, 에루크산 아마이드 0.3질량%의 혼합물을 제1층째 및 제3층째에,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60℃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1) 10질량%와,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42℃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2) 89.7질량%, 에루크산 아마이드 0.3질량%의 혼합물을 제2층째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제작했다(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가 전체에 대하여 차지하는 질량 분율이 43.3%).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는 촉감이 매우 양호하고 유연성이 우수했다.
<히트 시일 강도의 측정>
히트 시일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는 히트 시일 시의 내열성이 양호하여, 히트 시일부의 버닝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히트 시일에 수반하는 시험편의 수축이 적어 형태 안정성이 우수했다.
[비교예 1]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60℃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1) 99.7질량%, 에루크산 아마이드 0.3질량%의 혼합물을, 75mmφ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하고, 구멍수 537홀의 방사 구금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 성형기(포집면 상의 기계의 흐름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 800mm)를 이용하여, 수지 온도와 다이 온도가 모두 240℃, 냉각풍 온도 20℃, 연신 에어 풍속 5233m/분의 조건에서 스펀본드법에 의해 용융 방사를 행하여, 포집면 상에 제1층째로서 퇴적시켰다.
이 퇴적물을 엠보싱 롤로 가열 가압 처리(엠보싱 면적률(열압착률) 18%, 엠보싱 온도 135℃)하여 총 평량이 17.0g/m2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작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스펀본드 부직포는 촉감에 딱딱함이 있어, 유연성이 뒤떨어졌다.
<히트 시일 강도의 측정>
히트 시일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히트 시일 시의 내열성이 양호하여, 히트 시일부의 버닝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히트 시일에 수반하는 시험편의 수축이 적어 형태 안정성이 우수했다.
[비교예 2]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60℃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1) 89.7질량%와,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42℃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2) 10질량%, 에루크산 아마이드 0.3질량%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작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스펀본드 부직포는 촉감에 딱딱함이 있어, 유연성이 뒤떨어졌다.
<히트 시일 강도의 측정>
히트 시일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히트 시일 시의 내열성이 양호하여, 히트 시일부의 버닝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히트 시일에 수반하는 시험편의 수축이 적어 형태 안정성이 우수했다.
[비교예 3]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60℃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1) 79.7질량%와,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42℃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2) 20질량%, 에루크산 아마이드 0.3질량%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작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스펀본드 부직포는 촉감에 딱딱함이 있어, 유연성이 뒤떨어졌다.
<히트 시일 강도의 측정>
히트 시일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히트 시일 시, 히트 시일부에 약간의 버닝이 발생했다. 또한 히트 시일에 수반하여 시험편의 수축이 보였다.
[비교예 4]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60℃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1) 69.7질량%와,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42℃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2) 30질량%, 에루크산 아마이드 0.3질량%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작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는 촉감이 양호하고 유연성이 우수했다.
<히트 시일 강도의 측정>
히트 시일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히트 시일 시, 히트 시일부의 버닝이 현저했다. 또한 히트 시일에 수반하여, 시험편에 현저한 수축이 보였다.
[비교예 5]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60℃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1) 59.7질량%와,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42℃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2) 40질량%, 에루크산 아마이드 0.3질량%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작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는 촉감이 매우 양호하고 유연성이 우수했다.
<히트 시일 강도의 측정>
히트 시일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히트 시일 시, 히트 시일부의 버닝이 현저했다. 또한 히트 시일에 수반하여, 시험편에 현저한 수축이 보였다.
[비교예 6]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의 제조>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밀도 0.91g/cm3, 융점 160℃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1) 99.7질량%, 에루크산 아마이드 0.3질량%의 혼합물을 제1층째 및 제3층째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제작했다(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가 전체에 대하여 차지하는 질량 분율이 33.3%).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는 촉감에 약간 딱딱함이 있어, 유연성이 불충분했다.
<히트 시일 강도의 측정>
히트 시일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는 히트 시일 시의 내열성이 양호하여, 히트 시일부의 버닝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히트 시일에 수반하는 시험편의 수축이 적어 형태 안정성이 우수했다.
<보풀 일어남>
부직포로부터 150mm(MD)×150mm(CD)의 CD 시험편을 각 2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임의의 2개소로 했다. 이어서, 채취한 각 시험편을 학진형 마찰 견뢰도 시험기(다이에과학정기제작소사제, 신형 NR-100)를 이용하여, JIS-L0849(2013년)의 마찰 견뢰도 시험법에 준거하여 마찰 시험을 행했다. 한편, 마찰자측에는 천 테이프(데라오카제작소사제, No. 1532)를 부착하여, 하중 300g을 건 상태로, 비엠보싱면을 MD 방향으로 50회 왕복시켜 문질러, 각 시험편에 있어서의 피마찰면의 보풀 일어남 상태를 이하의 기준으로 등급매겨, 등급이 나쁜(낮은) 쪽을 각 부직포 샘플의 보풀 일어남〔점〕으로 했다.
1급: 시험편이 파손될 정도로 섬유가 박리된다.
2급: 시험편이 얇아질 정도로 심하게 섬유가 박리되고 있다.
2.5급: 곱슬마디가 크게 확실히 보이고, 복수 개소에서 섬유가 떠오르기 시작한다.
3급: 확실한 곱슬마디가 생기기 시작하거나, 또는 작은 곱슬마디가 복수 보인다.
3.5급: 1개소에 작은 곱슬마디가 생기기 시작할 정도로 보풀이 일고 있다.
4급: 보풀 일어남이 없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로써 얻은 부직포 적층체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112942571-pct00001
한편, 일본 출원 2014-104617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이 참조에 의해 도입되는 것이 구체적이고 또한 개개에 기재된 경우와 같은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도입된다.

Claims (6)

  1. 하기 (I)의 중합체의 함유율이 60질량%를 초과하고 98질량% 이하, 하기 (II)의 중합체 및 하기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a1]이 2질량% 이상 40질량% 미만의 범위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로 구성되는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과,
    하기 (I)의 중합체의 함유율이 60질량%를 초과하고 98질량% 이하, 하기 (II)의 중합체 및 하기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a2]가 2질량% 이상 40질량% 미만의 범위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2)로 구성되는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2)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 및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2)의 사이에 개재하고, 하기 (II)의 중합체 및 하기 (III)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중합체를 포함하며, 또한 하기 (II)의 중합체 및 하기 (III)의 중합체의 총 함유율 [Xb]의 값이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에 있어서의 상기 총 함유율 [Xa1]의 값 및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2)에 있어서의 상기 총 함유율 [Xa2]의 값 중 어느 것보다도 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로 구성되는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
    가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총 평량이 45g/m2 이하이며,
    열압착률이 3%∼30%인 부직포 적층체.
    (I) 융점 140℃ 이상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II) 프로필렌과 탄소수 2∼20(탄소수 3을 제외한다)의 α-올레핀만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
    (III) 하기 (i)∼(vi)을 만족시키는 융점 120℃ 미만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 (i) 메소펜타드 분율 [mmmm] = 20∼60몰%
    · (ii) [rrrr]/(1-[mmmm]) ≤ 0.1
    · (iii) 라세미 메소 라세미 메소 분율 [rmrm] > 2.5몰%
    · (iv) [mm]×[rr]/[mr]2 ≤ 2.0
    · (v) 질량 평균 분자량(Mw) = 10,000∼200,000
    · (vi) 분자량 분포(Mw/Mn) < 4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 및 (A2)를 구성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및 (a2)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및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를 구성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가, 탄소수 15∼22의 지방산 아마이드를, 각각 당해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2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의 평량이 1g/m2∼15g/m2이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2)의 평량이 1g/m2∼15g/m2이며,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의 평량이 1g/m2∼15g/m2인 부직포 적층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 및 (A2)를 구성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및 (a2), 및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를 구성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가, 상기 (II)의 중합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III)의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부직포 적층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층(A1) 및 (A2)를 구성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a1) 및 (a2), 및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중간층(B)를 구성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b)가, 상기 (III)의 중합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II)의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부직포 적층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하는 위생 재료.
KR1020157033091A 2014-05-20 2015-05-20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재료 KR101629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04617 2014-05-20
JP2014104617 2014-05-20
PCT/JP2015/064514 WO2015178423A1 (ja) 2014-05-20 2015-05-20 不織布積層体、および衛生材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346A KR20160005346A (ko) 2016-01-14
KR101629626B1 true KR101629626B1 (ko) 2016-06-10

Family

ID=5455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091A KR101629626B1 (ko) 2014-05-20 2015-05-20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재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51669B1 (ko)
KR (1) KR101629626B1 (ko)
CN (1) CN105229213B (ko)
WO (1) WO20151784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626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수니티닙 염산염을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제제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19524C1 (ru) * 2016-08-23 2020-04-21 Одзи Холдингз Корпорейшн Фильерный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лист и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US10767296B2 (en) * 2016-12-14 2020-09-08 Pfnonwovens Llc Multi-denier hydraulically treate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21075618A (ja) * 2019-11-08 2021-05-20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得られる成形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0893A1 (ja) 2009-09-14 2011-03-17 出光興産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繊維製品
WO2012070518A1 (ja) 2010-11-25 2012-05-31 三井化学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積層体
WO2012105566A1 (ja) 2011-02-01 2012-08-09 出光興産株式会社 不織布及び繊維製品
WO2014042253A1 (ja) 2012-09-14 2014-03-20 出光興産株式会社 多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13860T1 (de) * 2005-12-20 2011-07-15 Basell Poliolefine Srl Weiche vliesstoffe
JP4969158B2 (ja) * 2006-05-31 2012-07-04 花王株式会社 伸縮性不織布の製造方法
KR20110027973A (ko) * 2009-09-11 2011-03-1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소프트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0893A1 (ja) 2009-09-14 2011-03-17 出光興産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繊維製品
WO2012070518A1 (ja) 2010-11-25 2012-05-31 三井化学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積層体
WO2012105566A1 (ja) 2011-02-01 2012-08-09 出光興産株式会社 不織布及び繊維製品
WO2014042253A1 (ja) 2012-09-14 2014-03-20 出光興産株式会社 多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626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수니티닙 염산염을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제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8075B1 (ko) 2019-12-17 2023-05-30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수니티닙 염산염을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제제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29213B (zh) 2016-10-26
WO2015178423A1 (ja) 2015-11-26
JP5851669B1 (ja) 2016-02-03
KR20160005346A (ko) 2016-01-14
JPWO2015178423A1 (ja) 2017-04-20
CN105229213A (zh)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1207B2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
KR100372575B1 (ko) 폴리에틸렌 부직포 및 그로부터 된 부직포 적층체
EP2161360B1 (en) Elastic nonwoven fabric,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textile product comprising the elastic nonwoven fabric
KR101551554B1 (ko) 부직포 적층체
TWI720994B (zh) 紡絲黏合不織布及衛生材料
KR101720439B1 (ko) 부직포 적층체
KR100698005B1 (ko) 신장성 부직포 및 그 부직포를 적층한 복합 부직포
JP6507442B2 (ja) 繊維不織布
KR101629626B1 (ko)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재료
WO2001096641A1 (fr) Textile non-tisse file-lie et article absorbant
JP6715056B2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衛生材料
KR101302804B1 (ko)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우수한 드레이프성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2500062B1 (ko) 스펀본드 부직포, 위생 재료, 및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
JP7108044B2 (ja) 不織布積層体、伸縮性不織布積層体、繊維製品、吸収性物品及び衛生マスク
JP5255350B2 (ja) 弾性不織布及び繊維製品
WO2019146656A1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衛生材料、及びスパンボンド不織布の製造方法
JP2020143411A (ja) 不織布、積層体、被覆シート、及び不織布の製造方法
JP4694204B2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これを用いた積層体、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6267525B2 (ja) 多層不織布
JP2021161564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衛生材料、及びスパンボンド不織布の延伸方法
JPWO2020095948A1 (ja)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