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310B1 - Hollow structure - Google Patents

Hollow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310B1
KR101629310B1 KR1020147032046A KR20147032046A KR101629310B1 KR 101629310 B1 KR101629310 B1 KR 101629310B1 KR 1020147032046 A KR1020147032046 A KR 1020147032046A KR 20147032046 A KR20147032046 A KR 20147032046A KR 101629310 B1 KR101629310 B1 KR 101629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terial
sheet
thickness direction
reference points
rece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5559A (en
Inventor
타카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기후 플라스틱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44964A external-priority patent/JP6363834B2/en
Application filed by 기후 플라스틱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후 플라스틱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5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3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요철을 가지는 코어재의 양면을 합성수지제의 시트로 덮은 중공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움푹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중공 구조체는 두께 방향 D1에 요철을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코어재(2)와, 코어재(2)의 편측을 덮는 합성수지제의 제1시트(8)와, 코어재(2)의 타측을 덮는 합성수지제의 제2시트(10)을 구비한다. 코어재(2)는 두께 방향 D1의 편측에 돌출하는 제1철부(24)를 평면시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시키고, 두께 방향 D1의 타측에 돌출하는 제2철부(34)를 평면시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시킨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sheet from being dented in a hollow structure in which both surfaces of a corrugated core having irregularities are covered with a synthetic resin sheet. The hollow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re material 2 made of synthetic resin having a concavo-convex structure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a first sheet 8 made of synthetic resin covering one side of the core material 2, And a second sheet 10 made of synthetic resin covering the first sheet 10. A plurality of first convex portions 24 protruding on one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plan view and a second convex portion 34 projecting on the other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is staggered In a plurality of shapes.

Description

중공 구조체{HOLLOW STRUCTURE}[0001] HOLLOW STRUCTURE [0002]

본 발명은 중공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제의 코어와 시트를 포함하는 중공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low structure including a core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a sheet.

물류용의 운반용 용기, 사다리, 게시판, 칸막이 등의 제품을 조립하는 부재로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한 중공 구조체가 사용된다. A hollow structure formed by using a synthetic resin is used as a member for assembling a product such as a container for transportation, a ladder, a bulletin board, and a partition for distribution.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평10-156985에는 종래의 합성수지제의 중공 구조체가 기재되어 있다. 이 중공 구조체는 도 10에서 나타내듯이, 요철형상을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코어재(102)와, 한 쌍의 열가소성의 합성수지 시트(104), (106)로 형성된다. 코어재(102)는 열가소성의 합성수지 시트의 일면 측의 다수의 지점을 원주형상으로 움푹 들어간 것으로 일면 측에 다수의 원주형상의 요부(110)를 형성하고, 타단 측에 다수의 원주형상의 철부(112)를 형성한 것이다. 코어재(102)의 일면 측과 타면 측에 각각 합성수지 시트(104), (106)를 가열 용착시킨 것으로 중공 구조체를 형성한다.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10-156985 describes a conventional hollow structure made of synthetic resin. 10, the hollow structure is formed of a core material 102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a concave-convex shape and a pair of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sheets 104 and 106. The core material 102 is formed by recessing a plurality of points on one surface of a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sheet in a columnar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lumnar recessed portions 110 on one surface side and a plurality of columnar recessed portions 112 are formed. A hollow structure is formed by heat-welding the synthetic resin sheets 104 and 106 to one surface side and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core material 102, respectively.

상기한 종래의 중공 구조체에 있어서는, 코어재(102)의 일면 측에 합성수지 시트(104)를 가열 용착시킬때에 요부(110)내의 공간이 합성수지 시트(104)로 막혀서 밀폐공간이 된다. 이 때문에 합성수지 시트(104)의 가열 용착후에 온도가 저하하면, 요부(110)내의 밀폐공간에서의 공기 체적이 감소하며, 합성수지 시트(104)가 여러 곳에서 움푹 들어가게 된다.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hollow structure, when the synthetic resin sheet 104 is heat-welded to one surface of the core member 102, the space in the recess 110 is clogged with the synthetic resin sheet 104 to become a sealed space.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ynthetic resin sheet 104 is lowered after the heat welding, the air volume in the closed space in the recessed portion 110 is reduced, and the synthetic resin sheet 104 is dented in various places.

중공 구조체에 있어서, 표면의 합성수지 시트(104)가 여러 곳에서 움푹 들어가게 되면, 의장성이 저하하는 문제나, 합성수지 시트(104)의 표면에 인쇄를 행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In the hollow structure, if the surface of the synthetic resin sheet 104 is dented in various places, there is a problem that designability is lowered and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printing on the surface of the synthetic resin sheet 104.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발명한 것으로, 요철을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코어재의 양면을 합성수지제의 시트로 덮은 구조의 중공구조체에 있어서, 코어재에 점착한 시트가 움푹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a recessed sheet from being adhered to a core material in a hollow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both surfaces of a core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having unevenness are covered with a sheet made of synthetic resin .

본 발명의 중공 구조체는 두께 방향에 요철을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의 상기 두께 방향의 제1측을 덮는 합성수지제의 제1시트와, 상기 코어재의 상기 두께 방향의 제2측을 덮는 합성수지제의 제2시트를 포함한다. The hollow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re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irregulariti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first sheet made of synthetic resin covering the first side of the cor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second side of the cor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second sheet made of a synthetic resin.

상기 코어재는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제1측에 돌출하는 절두체형상 또는 막대형상의 제1철부를 평면시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시키고,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제2측을 돌출하는 절두체형상 또는 막대형상의 제2철부를 평면시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시킨 것이다. Wherein the core material includes a plurality of frustum-shaped or bar-shaped first convex portions projecting to the firs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a zigzag manner in plan view, and a frustum shape or a bar-like shape projecting the second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convex portions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plan view.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는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제1측을 향하는 제1면과, 상기 두께 방향의 제2측을 향하는 제2면을 가진다. 상기 제1면에 상기 제1철부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되고, 제1요부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된다. 상기 제2면에 상기 제2철부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되고, 제2요부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된다. 상기 제1철부와 상기 제2요부는 일대일로 안팎에 위치한다. 상기 제2철부와 상기 제1요부는 일대일로 안팎에 위치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member has a first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second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convex portions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on the first surface, and a plurality of first concave portions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 plurality of second convex portions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on the second surface,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cave portions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are located one on the inside and one outside. The second convex portion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are located one on the inside and one outside.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철부와 상기 제2철부는 모두 삼각 절두체형상이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of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are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frustum.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철부와 상기 제2철부의 측면의 경사는 6.0~45.0°의 범위 내이고, 접착면적비는 1~46%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is in the range of 6.0 to 45.0 占 and the bonding area ratio is in the range of 1 to 46%.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철부와 상기 제2철부의 측면의 경사는 15.0~30.0°의 범위 내이고, 접착면적비는 14~40%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is in the range of 15.0 to 30.0 °, and the bonded area ratio is in the range of 14 to 40%.

상기 제1철부와 상기 제2철부의 측면의 경사는 20~25°의 범위 내이고, 접착면적비는 20~26%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is in the range of 20 to 25 degrees and the bonding area ratio is in the range of 20 to 26 percent.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의 두께는 3~30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core material is within a range of 3 to 30 mm.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철부와 상기 제2철부의 셀 사이즈는 모두 5.0~15.0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철부와 상기 제2철부의 셀 사이즈는 모두 8.0~10.0mm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ell siz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be all within a range of 5.0 mm to 15.0 mm.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ell siz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is in a range of 8.0 to 10.0 mm.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인것이 바람직하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e material is polypropylene.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있어서, 압축강도가 0.35~0.45Mpa의 범위 내에 있거나, 구부림강도가 17.2~23.7Nm/m의 범위 내에 있거나, 구부림강성이 4.8~6.6Nm2/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is in the range of 0.35 to 0.45 MPa, the bending strength is in the range of 17.2 to 23.7 Nm / m, or the bending rigidity is in the range of 4.8 to 6.6 Nm 2 / m Do.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의 재질과 상기 제1시트의 재질과 상기 제2시트의 재질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of the core material, the material of the first sheet, and the material of the second sheet are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의 상기 제1철부와 상기 제2철부는 몰드를 사용하여 합성수지제의 시트를 열성형한 것으로, 연속적으로 성형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of the core material are formed by thermoforming a sheet made of a synthetic resin using a mold, and are preferably formed continuously.

본 발명의 중공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진공 흡입용의 요부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한 몰드를 사용하여, 합성수지제의 코어시트에 진공 성형을 행하는 것으로, 두께 방향에 요철을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코어재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코어재의 상기 두께 방향의 제1측에 합성수지제의 제1시트를 접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코어재의 상기 두께 방향의 제2측에 합성수지제의 제2시트를 접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요부는 다각 형상의 바닥면을 가지며,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분 또는 정점 근방의 위치에, 진공 흡입용의 흡인 구멍을 마련한다. The method for producing a hollow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hollow structure by vacuum molding a core sheet made of a synthetic resin using a mold in which a plurality of recesses for vacuum suction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to form a core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having unevennes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step of adhering a first sheet made of a synthetic resin to the firs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re material and a step of adhering a second sheet made of synthetic resin to the second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re material . The concave portion has a polygonal bottom surface, and a suction hole for vacuum suction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r at a position near a vertex.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중공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동의 중공 구조체가 갖춘 코어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동의 코어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상동의 코어재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상동의 코어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상동의 코어재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동의 코어재의 기본적인 사이즈 형상을 나타내는 요부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중공 구조체의 변형예가 갖춘 코어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중공 구조체의 요부를 나타내는 파단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low structure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e material having a hollow structure of homology.
3 is a front view of the core material of the same size.
4 is a rear view of the core material of homology.
5 is a side view of the core material of homology.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old for molding a core material of the same size.
Fig. 7 is a front view of a recessed portion showing a basic size shape of a core material of the same size. Fig.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9 is a front view of a core material hav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hollow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conventional hollow structure.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중공 구조체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The hollow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도 1은, 본 실시예의 중공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중공 구조체는 패널(panel) 형상의 중공 구조체이다. 본 실시예의 중공 구조체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합성수지제의 코어재(2)의 제1면(4)에, 합성수지제의 제1시트(8)을 점착하며, 코어재(2)의 제2면(6)에, 합성수지제의 제2시트(10)을 점착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low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low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is a hollow structure in the form of a panel. In the hollow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heet 8 made of synthetic resin is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4 of the core material 2 made of synthetic resin as shown in Figs. 2 to 5, The second sheet 10 made of a synthetic resin is adhered to the two surfaces 6.

코어재(2), 제1시트(8) 및 제2시트(1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유산 등이 채용가능하다. 코어재(2), 제1시트(8) 및 제2시트(10)의 재질은 서로 다른 재질이어도 좋으며, 용이하게 박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로 동일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재(2), 제1시트(8) 및 제2시트(10)는 각각 단층이어도 좋고, 동등 재료를 복수 적층 시켜도 좋다. 동등 재료를 적층 시키는 경우, 예를 들면 블록 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적층시킨다. The material of the core material 2, the first sheet 8 and the second sheet 10 may be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carbonate, polylactic acid, or the like. The core material 2, the first sheet 8 and the second sheet 10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nd they are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so as not to be easily peeled off. The core material 2, the first sheet 8 and the second sheet 10 may each be a singl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of equivalent materials may be laminated. When an equivalent material is laminated, for example, block polypropylene and homopolypropylene are laminated.

코어재(2)는 이 코어재(2)의 두께 방향 D1의 제1측에 제1면(4)를 가지며, 두께 방향 D1의 제2측에 제2면(6)을 가진다. 제1면(4)과 제2면(6)은 서로 역방향을 향한다. The core material 2 has a first side 4 on the firs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of the core material 2 and a second side 6 on the second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The first surface 4 and the second surface 6 face opposite directions.

도 2는 코어재(2)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코어재(2)를 제1면(4)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코어재(2)를 제2면(6)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5는 코어재(2)의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코어재(2)의 두께 방향 D1에서 본 상태를 "평면시"(平面視)라 한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re material 2,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core material 2 as seen from the first surface 4 side. 4 is a rear view of the core material 2 as seen from the second surface 6. Fig. 5 is a side view of the core material 2. Fi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ate viewed from the thickness direction D1 of the core material 2 is referred to as "planar view" (plan view).

코어재(2)는 열가소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시트재(이하 "코어시트"라한다)를 사용하며, 도 6에 나타내는 몰드(mold, 型)(16)에 따라 코어시트에 요철을 가공하는 것으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몰드(16)를 표면에 가지는 진공 성형롤(mold roll)을 사용하며, 이 진공 성형롤을 회전시키면서, 가열에 의해 연화시킨 코어시트의 일면 측을 몰드(16)에 순차 흡입시켜, 해당 코어시트에 요철을 성형해 간다. The core material 2 is a sheet material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thermoplastic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re sheet ") and is obtained by processing corrugated iron on the core sheet according to the mold 16 shown in Fig. 6 . Specifically, a mold roll having a mold 16 on its surface is used, and one surface side of the core sheet softened by heating is sequentially sucked into the mold 16 while rotating the vacuum forming roll, The corrugated sheet is formed on the core sheet.

몰드(16)는, 다수의 요(凹)부(18)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엇갈리게) 배치한 요철형상을 가진다. 각 요부(18)는 삼각 절두체(frustum)형상으로 움푹 파인 치수 형상을 가진다. 각 요부(18)의 저면은 치수 형상이 서로 동일한 정삼각형상을 가진다. 각 요부(18)의 저면의 중앙부분에는 진공 흡입용의 흡인 구멍(20)을 형성한다. 몰드(16)가 가지는 각 요부(18)는 진공 흡입을 위한 흡입 캐비티(cavity)로서 기능한다. 진공 흡입용의 흡인 구멍(20)을 형성하는 위치는 각 요부(18)가 가지는 삼각 형상의 바닥면의 각 정점 근방의 장소여도 좋다. The mold 16 has a concavo-convex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8 are arranged staggeredly (staggered). Each of the recessed portions 18 has a dimple shape having a triangular frustum shape. The bottom surface of each concave portion 18 has a regular triangular shape having the same dimensional shape. A suction hole 20 for vacuum suc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each concave portion 18. Each recess 18 of the mold 16 functions as a suction cavity for vacuum suction. The suction hole 20 for vacuum suc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near each apex of the triangular bottom surface of each recess 18.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지그재그 형상"은 소정의 기준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몰드(16)에 있어서는 요부(18)가 가지는 삼각형의 저면의 하나의 정점에서 대변(對邊)에 수선을 그어 , 해당 수직선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방향으로 설정할 때에, 이 기준방향에 따라, 다수의 요부(18)가 서로 다르게(즉,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As used herein, the "zigzag shape" means a state in which they are arr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direction. In the mold 16, when a perpendicular line is drawn at one vertex of a bottom surface of a triangle of the recess 18 and a direction parallel to the vertical line is set as a reference direction, (I.e., in a zigzag shape).

몰드(16)에 있어서, 인접하는 삼각 절두체형상의 요부(18)간에는 삼각 절두체형상으로 돌출한 철(凸)부(22)가 다수 형성된다. 이들 다수의 철부(22)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각 철부(22)의 정수리면에는 치수 형상이 서로 동일한 정삼각 형상을 가진다. In the mold 16, a large number of convex portions 22 protruding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frustum are formed between adjoining triangular frustum-shaped concave portions 18.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22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The top surface of each convex portion 22 has a right triangular shape having the same dimensional shape.

상기 구성의 몰드(16)를 사용하여 진공성형에 의해 요철을 가공한 코어재(2)는 도 2, 도 5 등에서 나타내듯이, 제1면(4)과 제2면(6)에 요철형상을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부재이다. The core material 2 having the concavo-convex structure formed by the vacuum molding using the mold 16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 concavo-convex shape on the first face 4 and the second face 6 as shown in Figs. 2, 5, Is a member of synthetic resin.

코어재(2)의 제1면(4)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되는 삼각 절두체형상의 제1철부(24)와,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되는 삼각 절두체형상의 제1요부(26)를 몰드(16)의 요철형상에 따라 성형한 것이다. 각 제1철부(24)는 몰드(16)가 가지는 각 요부(18)에 따라 형성된다. 각 제1철부(24)는 정삼각형상의 정수리면을 가진다. 각 제1요부(26)은 몰드(16)가 가지는 각 철부(22)에 따라 형성된다. 각 제1요부(26)는 정삼각형상의 저면을 가진다. The first surface 4 of the core material 2 has a first convex portion 24 in the form of a triangular frustum which is arranged in a zigzag form and a first prism portion 26 in the form of a triangular frustum, 16). Each of the first convex portions 24 is formed along each recessed portion 18 of the mold 16. Each of the first convex portions 24 has an equilateral triangular top surface. Each first recessed portion 26 is formed along each convex portion 22 of the mold 16. Each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s 26 has a bottom surface of a regular triangle shape.

제1면(4)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준점(28)을 둘러싸고 둘레(원주)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3개의 제1철부(24)가 배치된다. 이 기준점(28)은 코어재(2)의 두께 방향 D1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다. 제1면(4)은 이러한 기준점(28)을 규칙적인 배치로 다수 가진다. 제1면(4)은 이들 기준점(28)을 둘러싸는 제1철부(24)를 연속적인 배치로 다수 가진다. In the first surface 4, three first convex portions 24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equidistant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surrounding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28. The reference point 28 is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re material 2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The first surface 4 has a plurality of such reference points 28 in a regular arrangement. The first surface 4 has a plurality of first convex portions 24 surrounding the reference points 28 in a continuous arrangement.

제1철부(24)는 능선(30)을 가진다. 능선(30)은 근소한 폭을 가진다. 3개의 제1철부(24)의 서로의 능선(30)은 기준점(28)에서 교차한다.The first convex portion 24 has a ridge line 30. The ridgeline 30 has a small width. The ridgelines 30 of the three first convex portions 24 intersect at the reference point 28.

제1면(4)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준점(28)을 둘러싸고 둘레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3개의 제1요부(26)가 배치된다. 제1요부(26)는 골선(32)을 가진다. 골선(32)은 근소한 폭을 가진다. 3개의 제1요부(26)의 서로의 골선(32)은 기준점(28)에서 교차한다. In the first surface 4, three first recessed portions 26 are arranged at positions spaced equidistant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28. [ The first recessed portion 26 has a bone line 32. The bone line 32 has a narrow width. The bone lines 32 of each of the three first recesses 26 intersect at the reference point 28.

기준점(28)을 둘러싸는 제1철부(24)간의 둘레 방향의 간격이나, 기준점(28)을 둘러싸는 제1요부(26)간의 둘레 방향의 간격은 같은 간격이 아니어도 좋다. The circumferential spacing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s 24 surrounding the reference point 28 and the circumferential spacing between the first recesses 26 surrounding the reference point 28 may not be the same.

또한, 기준점(28)의 위치는 두께 방향 D1의 엄밀한 중간점이지 않아도 좋다. 즉, 엄밀한 중간점에서 두께 방향 D1으로 다소 벗어난 위치에 기준점(28)이 있어도 좋다. Furthe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 28 may not be a strict intermediate point of the thickness direction D1. That is, the reference point 28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slightly deviated from the strict midpoi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제2면(6)은 제1면(4)과 안팎(표리)의 관계에 있다. 도 4에서 나타내듯이, 제2면(6)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되는 삼각 절두체형상의 제2철부(34)와,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되는 삼각 절두체형상의 제2요부(36)를 몰드(16)의 요철형상에 따라 성형한 것이다. 각 제2철부(34)는 제1면(4)이 가지는 제1요부(26)의 안쪽 면(이면) 측이다. 각 제2철부(34)는 정삼각형상의 정수리면을 가진다. 제2요부(36)는 제1면(4)가 가지는 제1철부(24)의 안쪽 면 측이다. 각 제2요부(36)는 정삼각형상의 저면을 가진다. The second surface 6 is in relation to the first surface 4 and the inside and outside (front and back).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surface 6 has a triangular frustum-shaped second convex portion 34 arranged in a zigzag shape and a plurality of second prism portions 36 arranged in a zigzag shape, 16). Each of the second convex portions 34 is on the inner side (back side)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26 of the first side 4. Each of the second convex portions 34 has an equilateral triangular prism face. The second recessed portion 36 is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4 of the first surface 4. Each of the second recessed portions 36 has a bottom surface of a regular triangle shape.

제2면(6)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준점(38)을 둘러싸고 둘레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3개의 제2철부(34)가 배치된다. 이 기준점(38)은 코어재(2)의 두께 방향 D1의 중간부분에 위치한다. 제2면(6)은 이러한 기준점(38)을 규칙적인 배치로 다수 가진다. 제2면(6)은 이들 기준점(38)을 둘러싸는 제2철부(34)를 연속적인 배치로 다수 가진다. 제2면(6)의 기준점(38)과 제1면(4)의 기준점(28)은 서로 안팎(표리)의 위치에 있다. In the second surface 6, three second convex portions 34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equidistant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38. [ The reference point 38 is locat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core material 2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The second surface 6 has a plurality of such reference points 38 in a regular arrangement. The second surface 6 has a plurality of second convex portions 34 surrounding the reference points 38 in a continuous arrangement. The reference point 38 of the second surface 6 and the reference point 28 of the first surface 4 are located inside and outside (front and back).

제2철부(34)는 능선(40)을 가진다. 능선(40)은 근소한 폭을 가진다. 3개의 제2철부(34)의 능선(40)은 기준점(38)에서 교차한다.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has a ridge line 40. The ridgeline 40 has a small width. The ridgeline 40 of the three second convex portions 34 intersects at the reference point 38.

제2면(6)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준점(38)을 둘러싸고 둘레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3개의 제2요부(36)가 배치된다. 제2요부(36)는 골선(42)을 가진다. 골선(42)은 근소한 폭을 가진다. 3개의 제2요부(36)의 골선(42)은 기준점(38)에서 교차한다. In the second surface 6, three second recessed portions 36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equidistant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38. [ The second recess (36) has a bone line (42). The bone line 42 has a narrow width. The bone lines 42 of the three second recesses 36 intersect at the reference point 38.

기준점(38)을 둘러싸는 제2철부(34)간의 둘레 방향의 간격이나, 기준점(38)을 둘러싸는 제2요부(36)간의 둘레 방향의 간격은 같은 간격이 아니어도 좋다. 또한, 기준점(38)의 위치는 두께 방향 D1의 엄밀한 중간점에서 다수 벗어난 위치여도 좋다. The circumferential spacing between the second convex portions 34 surrounding the reference point 38 and the circumferential spacing between the second recesses 36 surrounding the reference point 38 may not be the same. Furthe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 38 may be a position deviated a large number from a strict midpoint of the thickness direction D1.

기준점(38)의 근방장소는 진공성형시에 구김이 발생하기 쉬운 장소이다. 이 주름은 브릿지(bridge)로 칭해진다. 기준점(38)의 근방장소에 브릿지가 발생하면, 그만큼 다른 부분이 박육(薄肉) 되어, 압축 강도가 저하한다. 이 압축 강도의 저하가 원인이 되어, 코어재(2)에 제1시트(8)이나 제2시트(10)을 점착할 때에, 코어재(2)가 쉽게 찌그러지는 경우가 있다. The vicinity of the reference point 38 is a place where wrinkling is likely to occur during vacuum molding. This crease is called a bridge. When a bridg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reference point 38, the other part is thinned to reduce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core material 2 may be easily crushed when the first sheet 8 or the second sheet 10 is adhered to the core material 2 due to the decrease in the compressive strength.

상기 브릿지는 기준점(38)을 둘러싸고 위치하는 제2요부(36)의 경사각도가 수직에 가까울수록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는 기준점(38)을 둘러싸고 위치하는 제2철부(34)의 능선(40)의 곡률반경이 작을수록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The bridge tends to be more likely to occur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recessed portion 36 surrounding the reference point 38 becomes closer to the vertical. Also, the bridge tends to occur a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idge line 40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surrounding the reference point 38 is smaller.

이 때문에 브릿지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바람직한 조건은 제2요부(36)의 측벽의, 수직면에서의 경사를 20°이상으로 하고, 제2철부(34)의 능선(40)을 0.5mm이상의 곡율반경을 가지는 철(凸) 곡면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한 조건은 제2요부(36)의 측벽의, 수직면에서의 경사를 20°이상으로 하고, 제2철부(34)의 능선(40)의 곡율반경을 1mm 이상으로 하는 것이다. For this reason, the preferable conditions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bridges is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idewall of the second recessed portion 36 in the vertical plane is 20 degrees or more and the ridge line 40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has a radius of curvature As shown in FIG. More preferable conditions ar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idewall of the second recessed portion 36 in the vertical plane is 20 degrees or mor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idgeline 40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is 1 mm or more.

제2면(6)의 제2철부(34)는 몰드(16)가 가지는 각 철부(22)에 따라 형성되며, 제2면(6)의 제2요부(36)는 몰드(16)가 가지는 각 요부(18)에 따라 형성된다. 이 때문에 진공 성형시의 브릿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바람직한 조건은 각 요부(18)의 측벽의, 수직면에서의 경사를 20°이상으로 하고, 각 철부(22)의 능선을 0.5mm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1mm이상)의 곡율반경을 가지는 철곡면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of the second surface 6 is formed along the convex portion 22 of the mold 16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6 of the second surface 6 is formed along the convex portion 22 of the mold 16, Are formed along the respective recessed portions (18). Therefore, preferable conditions for preventing the bridge formation during vacuum forming ar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idewall of each concave portion 18 in the vertical plane is 20 degrees or more and the ridge line of each convex portion 22 is 0.5 mm or more Is set to be an iron curved surface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of 1 mm or more.

몰드(16)가 가지는 각 철부(22)의 능선의 곡율반경은 몰드(16)가 가지는 각 요부(18)의 골선의 곡율반경보다도, 소정의 치수만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치수는 코어재(2)에 사용하는 코어시트의 두께 분의 치수이다. 이렇게 설정하는 것으로, 성형 후의 코어재(2)가 가지는 제1철부(24)의 능선(30)의 곡율반경과, 제2철부(34)의 능선(40)의 곡율반경을 일치시킬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idgeline of each convex portion 22 of the mold 16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each of the valleys 18 of the mold 16 by only a predetermined dimension. The predetermined dimension is a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re sheet used for the core material 2. With this setting,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idgeline 30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4 of the core material 2 after molding can be made equal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idgeline 40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

상기 구조의 제1면(4)에 점착되는 제1시트(8)는 제1면(4)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철부(24)의 각 정수리면에 대하여 가열 용착된다. The first sheet 8 adhered to the first surface 4 of the structure is heat welded to each of the apical surfaces of a plurality of first convex portions 24 arranged in a staggered manner on the first surface 4. [

상기 구조의 제2면(6)에 점착되는 제2시트(10)는 제2면(6)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철부(34)의 각 정수리면에 대하여 가열 용착된다. The second sheet 10 adhered to the second surface 6 of the structure is heat welded to each of the apical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x portions 34 arranged in a staggered manner on the second surface 6. [

이때, 코어재(2)의 제1면(4)과 제1시트(8)간에 형성되는 공간은, 인접하는 제1철부(24)간의 스페이스(space)를 통하여 전체가 연통하고, 외부공간과도 연통한 상태가 된다. 제1면(4)측에 있어서는, 제1시트(8)에 의해 막힌 밀폐공간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가열 용착 후에, 제1시트(8)에 움푹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At this time,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surface 4 and the first sheet 8 of the core material 2 is entirely communicated through a space between the adjacent first convex portions 24, And also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On the side of the first surface (4), there is no closed space blocked by the first sheet (8), so that the first sheet (8) is prevented from being dented after heat welding.

동일하게, 코어재(2)의 제2면(6)과 제2시트(10)간에 형성되는 공간은 인접하는 제2철부(34)간의 스페이스를 통하여 전체가 연통하고, 외부공간도 연통한 상태가 된다. 제2면(6)측에 있어서는, 제2시트(10)에 의해 막힌 밀폐공간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가열 용착 후에, 제2시트(10)에 다수의 움푹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방지된다. Similarly,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6 of the core material 2 and the second sheet 10 is entirely communicated through spaces between adjacent second convex portions 34, . On the side of the second surface 6, since there is no closed space blocked by the second sheet 10, the occurrence of many recesses in the second sheet 10 after the heat welding is prevented.

이에 더하여, 이 코어재(2)를 양측에서 시트(8), (10)로 협지하여 형성한 중공구조체는 등방성으로 우수한 패널이 된다. In addition, the hollow structure formed by sandwiching the core material 2 from the both sides with the sheets 8 and 10 becomes an excellent isotropic panel.

도 7과 도 8은 본 실시예의 중공 구조체의 기본적인 치수 관계를 나타낸다. 도 7에는 제1면(4)측에서의 제1철부(24)의 기본적인 배치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을 나타낸다. Figs. 7 and 8 show the basic dimensional relationship of the hollow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Fig. 7 shows a basic arrangement of the first convex portions 24 on the first surface 4 side. Fig. 8 show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제1철부(24)의 기본형상(즉, 제1철부(24)를 나타내기 위해 가상으로 설정한 삼각 절두체의 형상)은 정삼각형형상의 하 바닥면(50)과, 이 하 바닥면(50)보다도 면적이 작은 정삼각형상의 상 바닥면(52)과, 하 바닥면(50)의 각 변과 상 바닥면(52)의 각 변을 일대일로 연결한 세 개의 측면(54)을 가진다. The basic shap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4 (that is, the shape of the triangular frustum set virtually set to represent the first convex portion 24) is a triangular-shaped bottom surface 50 and a bottom surface 50, And has three side surfaces 54 connecting one side of each side of each of the sides of the lower floor 50 and the upper floor 52 in a one-to-one relationship.

하 바닥면(50)은 코어재(2)의 두께 방향 D1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가상(假像)한 가상면(假像面)이다. 하 바닥면(50)의 각 정점이 기준점(28)에 일치한다. 인접하는 3개의 제1철부(24)의 각 하 바닥면(50)은 기준점(28)에서 서로 정점이 겹친다. The bottom surface 50 is a virtual image surface that is imaginarily positioned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thickness direction D1 of the core material 2. [ The respective vertexes of the bottom surface 50 coincide with the reference point 28. [ The lower bottom surfaces 50 of the adjacent three first convex portions 24 are vertic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the reference point 28. [

각 측면(54)은 하 바닥면(50)이나 상 바닥면(52)과 수직인 수직면(코어재(2)의 두께방향 D1과 평행인 면)을 기준으로 했을 때, 이 수직면에서 각도θ[°]만 기울어서 위치한다. 하 바닥면(50)의 각 정점과 상 바닥면(52)의 각 정점은 능선(30)을 사이에 두고 일대일로 연결된다. Each side surface 54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θ [mm] with respect to a vertical plane (a plane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D1 of the core material 2) perpendicular to the lower floor surface 50 or the upper floor surface 52, °]. The apexes of the lower floor 50 and the apexes of the upper floor 52 are connected one to one with the ridge 30 therebetween.

제1면(4)에서의 제1철부(24)의 배치는 정육각형상의 셀(60)을 기준으로 설정한다. 셀(60)은 제1면(4)측에 있어서 벌집 형상으로 배치한 가상의 구획이다. 각 셀(60)이 가지는 6 개의 정점에서, 하나씩 건너뛴 3 개의 정점이 기준점(28)에 일치한다.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convex portions 24 on the first surface 4 is set on the basis of the hexagonal cell 60. The cell 60 is a virtual compartment arranged in a honeycomb form on the first surface 4 side. In the six vertices of each cell 60, the three vertices skipped one by one coincide with the reference point 28.

제2면(6)에서 제2철부(34)의 배치와 치수 형상은 제1면(4)에서 제1철부(24)의 배치 및 치수 형상과 동일하다. The arrangement and dimension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on the second surface 6 are the same as the arrangement and dimension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4 on the first surface 4. [

도 7, 도 8중에는 셀 사이즈 CS[mm], 중공 구조체의 전체 두께 Tb[mm], 요철로 성형된 코어재(2)의 전체 두께 Tc[mm], 코어재(2)를 형성하는 코어시트 자체의 두께 Tcs[mm], 제1시트(8)와 제2시트(10)의 두께 Tss[mm]를 나타낸다. 셀 사이즈CS는 셀(60)의 평행한 두 변 간의 치수이다. 7 and 8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ll size CS [mm], the total thickness Tb [mm] of the hollow structure, the total thickness Tc [mm] And the thickness Tss [mm] of the first sheet 8 and the second sheet 10, respectively. The cell size CS is the dimension between two parallel sides of the cell 60.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셀 사이즈 CS=9.0[mm], 중공구조체의 두께 Tb=5.6[mm], 코어재(2)의 두께 Tc=4.8[mm], 코어재(2)를 형성하는 코어시트의 두께 Tcs=0.3[mm], 제1시트(8)와 제2시트(10)의 두께 Tss=0.4[mm]로 마련한다. 제1철부(24)의 경사는 각도 θ=25.0[°]로 마련한다. The thickness Tc of the hollow structure Tb = 5.6 mm, the thickness Tc of the core material 2 = 4.8 mm and the thickness Tc of the core sheet 2 forming the core material 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ckness Tcs = 0.3 [mm], and the thickness Tss of the first sheet 8 and the second sheet 10 = 0.4 [mm].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4 is set at an angle? = 25.0 [deg.].

셀(60)은 정육각형이기 때문에, 셀 사이즈 CS=9.0[mm]로 마련된 각 셀(60)의 면적 S0≒70.1[mm2]이다. 제1철부(24)가 가지는 하 바닥면(50)의 면적 S2=S0/2≒35.1[mm2], 상 바닥면(52)의 면적≒14.1[mm2]이다. Since the cell 60 is regular hexagonal, the area S0 of each cell 60 provided with the cell size CS = 9.0 [mm] is approximately 70.1 [mm 2 ]. The area S2 of the lower floor surface 50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4 is equal to 35.1 mm 2 and the area of the upper floor surface 52 is 14.1 mm 2 .

제1철부(24)가 가지는 하 바닥면(50)의 면적 S2[mm2]에 대한 상 바닥면(52)의 면적 S1[mm2]의 비는 S1/S2≒40[%]이다. 제1철부(24)의 상 바닥면(52)은 열융착에 의한 제1시트(8)가 접착하는 접착면이다. A first ratio of the area S1 [mm 2] of the bottom surface 52 to the area S2 [mm 2] for having the convex portions 24 and the bottom surface 50 is S1 / S2 ≒ 40 [%] . The upper bottom surface 52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4 is an adhesive surface to which the first sheet 8 is adhered by heat fusion.

따라서, 각 셀(60)에서의 접착면적비는 S1/S0≒20[%]가 된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하는 "접착면적비"는 평면시에 있어서 접착면이 전체의 면적 중에서 점유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Therefore, the adhesion area ratio in each cell 60 is S1 / S0? 20 [%]. The "adhesive area ratio"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the ratio occupied by the adhesive surface in the entire area in plan view.

각 셀(60)은 코어재(2)의 편면(片面)을 다수의 육각형상에서 균등하게 구분한 것이므로, 각 셀(60)의 접착면적비 S1/S0≒20[%]는 코어재(2)의 편면 전체의 접착면적비와 같다. 이들 치수 관계는 제2철부(34)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한 제2면(6)측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Each of the cells 60 is equally divided into a plurality of hexagons on one side of the core material 2 so that the adhesive area ratio S1 / S0? 20 [%] Is equal to the adhesive area ratio of the entire one surface. These dimensional relationships are the same on the side of the second surface 6 on which the second convex portions 34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즉, 본 실시예의 중공구조체에 있어서는 코어재(2)의 바깥(表) 측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절두체형상의 제1철부(24)와, 코어재(2)의 안(裏) 측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절두체형상의 제2철부(34)와 함께, 하 바닥에 대한 상 바닥의 면적비가 약 40[%], 기울기 θ가 25.0[°]의 기본 형상을 가진다. 코어재(2)의 바깥 측과 안 측은 모두, 접착면적비가 약 20[%]이다. 더욱이, 코어재(2)의 두께 Tc가 4.8[mm], 코어재(2)를 이루는 코어시트의 두께 Tcs가 0.3[mm]라는 치수를 가진다. That is, in the hollow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frustum-shaped first convex portions 24 arranged in a staggered shape on the outer (table) side of the core material 2 and staggered first convex portions 24 arranged on the back side of the core material 2 And has a basic shape in which the area ratio of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is about 40 [%] and the inclination [theta] is 25.0 [deg.], Together with the frustum- Both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core material 2 have an adhesive area ratio of about 20%. Further, the thickness Tc of the core material 2 is 4.8 [mm], and the thickness Tcs of the core sheet constituting the core material 2 is 0.3 [mm].

제1시트(8)이나 제2시트(10)에 대한 코어재(2)의 접착강도는 그 접착면적비가 약 20[%]이기 때문에, 충분히 높은 접착강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중공구조체는 폴리프로필렌제이므로, 상기 조건에 있어서 압축강도는 0.35~0.45[Mpa]의 범위 내에 있으며, 구부림 강도는 17.2~23.7[Nm/m]의 범위 내에 있으며, 구부림 강성을 4.8~6.6[Nm2/m]의 범위 내에 있다는 실험결과가 얻어진다.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core material 2 to the first sheet 8 or the second sheet 10 is sufficiently high because the adhesive area ratio thereof is about 20%. Since the hollow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polypropylene, the compressive strength is in the range of 0.35 to 0.45 [Mpa]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bending strength is in the range of 17.2 to 23.7 [Nm / m] An experimental result that it is within the range of 4.8 to 6.6 [Nm2 / m] is obtained.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중공 구조체는 부하에 관련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더욱이, 실시예의 중공구조체는 단위면적당 중량이 990[g/mm2]이며, 동일 소재로 제조한 내용물의 판재와 비교하면 20% 정도의 중량이다. Therefore, the hollow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related to the load. Further, the hollow structure of the example has a weight per unit area of 990 g / mm 2 , and is about 20% of the weight of the plate made of the same material.

실제의 중공구조체는 제1시트(8)와 제2시트(10)을 점착할 때의 압력에서, 전체가 두께 방향으로 다소 찌그러진다. 이 때문에 실제에서는 중공구조체의 두께Tb=4.3~4.9[mm]의 범위 내에 있으며, 코어재(2)의 두께 Tc=3.5~4.1[mm]의 범위 내가 된다. The actual hollow structure is somewhat distor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s a whole at the pressure when the first sheet 8 and the second sheet 10 are adhered. Therefore, in actuality, the thickness Tb of the hollow structure is in the range of 4.3 to 4.9 [mm], and the thickness Tc of the core material 2 is in the range of 3.5 to 4.1 [mm].

하기의 표 1에서는 본 발명의 중공 구조체의 치수 형상을 규정하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일정 범위 내에서 변화시킨다. 표 1중의 R은 접착면적비이다. In Table 1 below, a plurality of parameters defining the dimensional shape of the hollow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nged within a certain range. R in Table 1 is the bonded area ratio.

하기의 표 1의 No.1~No.11에서는 셀 사이즈 CS를 9.0[mm]으로 일정하게 마련하며, 경사 θ를 5.6~49.7[°]의 범위 내로 변화시키며, 이것에 따라 변화하는 접착면적비 R(=S1/S0)을 나타낸다. 표 1의 No.12~No.27에서는 경사 θ를 25.0[°]로 일정하게 마련하고, 셀 사이즈 CS를 3.3~500.0[mm]의 범위 내에서 변화시켜, 이것에 따라 변화하는 접착면적비 R(=S1/S0)을 나타낸다. 표 1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각도 θ=0일 때에는 제1철부(24)나 제2철부(34)는 막대형상이 된다. The cell size CS is set to be constant at 9.0 [mm] and the inclination [theta] is changed within the range of 5.6 to 49.7 [deg.] At No.1 to No.11 in Table 1 below, and the adhesive area ratio R (= S1 / S0). In No. 12 to No.27 of Table 1, the inclination θ was constantly set at 25.0 [°], the cell size CS was varied within the range of 3.3 to 500.0 [mm], and the adhesive area ratio R = S1 / S0). Though not shown in Table 1, when the angle? = 0, the first convex portion 24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become bar-shaped.

하기의 표 1의 No.1~No.27의 어떠한 경우도, 중공 구조체의 두께 Tb=5.6[mm], 코어재(2)의 두께 Tc=4.8[mm], 코어시트의 두께 Tcs=0.3[mm], 제1시트(8)와 제2시트(10)의 두께 Tss=0.4[mm]로 설정한다. 중공구조체나 코어재(2)의 두께 Tb[mm], Tc[mm]은 실제로는 시트 점착시의 찌그러짐을 원인으로, 이것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 In any of Nos. 1 to 27 of Table 1 below, the thickness Tb of the hollow structure is 5.6 mm, the thickness Tc of the core material 2 is 4.8 mm, the thickness Tcs of the core sheet is 0.3 [ mm], and the thickness Tss of the first sheet 8 and the second sheet 10 is 0.4 [mm]. The thicknesses Tb [mm] and Tc [mm] of the hollow structure and the core material 2 are actually smaller than those due to the deformation at the time of sheet adhesion.

표 1에서 나타내는 D[mm]은, 상 바닥면(52)의 삼각형상의 정점과, 인접하는 다른 셀(60)간의 거리이다. 하기의 표 1에 있어서, No.6의 경우와 No.16의 경우는 동일하다.D [mm] shown in Table 1 is a distance between a vertex on the triangle of the upper floor 52 and another adjacent cell 60. In the following Table 1, the case of No. 6 and the case of No. 16 are the same.

No.No. CS
[mm]
CS
[mm]
θ
[°]
θ
[°]
S1
[mm2]
S1
[mm 2 ]
S0
[mm2]
S0
[mm 2 ]
R
[%]
R
[%]
D
[mm]
D
[mm]
1One 99 5.65.6 32.8332.83 70.1570.15 4747 0.000.00 22 99 6.06.0 32.3932.39 70.1570.15 4646 0.030.03 33 99 10.010.0 28.1428.14 70.1570.15 4040 0.320.32 44 99 15.015.0 23.1423.14 70.1570.15 3333 0.690.69 55 99 20.020.0 18.4518.45 70.1570.15 2626 1.091.09 66 99 25.025.0 14.0514.05 70.1570.15 2020 1.501.50 77 99 30.030.0 9.989.98 70.1570.15 1414 1.951.95 88 99 35.035.0 6.306.30 70.1570.15 99 2.442.44 99 99 40.040.0 3.163.16 70.1570.15 55 3.003.00 1010 99 45.045.0 0.870.87 70.1570.15 1One 3.643.64 1111 99 49.749.7 0.000.00 70.1570.15 00 4.354.35 1212 3.33.3 25.025.0 0.000.00 9.439.43 00 1.501.50 1313 4.04.0 25.025.0 0.210.21 13.8613.86 22 1.501.50 1414 5.05.0 25.025.0 1.251.25 21.6521.65 66 1.501.50 1515 8.08.0 25.025.0 9.559.55 55.4355.43 1717 1.501.50 1616 9.09.0 25.025.0 14.0514.05 70.1570.15 2020 1.501.50 1717 10.010.0 25.025.0 19.4219.42 86.6086.60 2222 1.501.50 1818 15.015.0 25.025.0 59.2459.24 194.86194.86 3030 1.501.50 1919 20.020.0 25.025.0 120.71120.71 346.41346.41 3535 1.501.50 2020 30.030.0 25.025.0 308.61308.61 779.42779.42 4040 1.501.50 2121 40.040.0 25.025.0 583.11583.11 1385.641385.64 4242 1.501.50 2222 50.050.0 25.025.0 944.21944.21 2165.062165.06 4444 1.501.50 2323 60.060.0 25.025.0 1391.921391.92 3117.693117.69 4545 1.501.50 2424 70.070.0 25.025.0 1926.231926.23 4243.524243.52 4545 1.501.50 2525 80.080.0 25.025.0 2547.142547.14 5542.565542.56 4646 1.501.50 2626 90.090.0 25.025.0 3254.653254.65 7014.817014.81 4646 1.501.50 2727 100100 25.025.0 4048.764048.76 8660.258660.25 4747 1.501.50

본 발명자 등은 중공 구조체의 치수 형상을 규정하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표 1에서 나타내듯이 변화시키면서 각종 실험을 행하여, 이하의 결과를 얻었다.The present inventors conducted various experiments while varying a plurality of parameters defining the dimensional shape of the hollow structure as shown in Table 1,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즉, 본 발명의 중공 구조체에서는 제1철부(24)와 제2철부(34)를 함께, 각도 θ=6.0~45.0[°]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제1면(4)와 제2면(6)의 접찹면적비 R=S1/S0=1~46[%]의 범위 내로 설정했을 때, 중공 구조체의 압축강도, 구부림 강도, 박리강도, 성형성으로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코어재(2)의 두께 Tc=3~30[mm]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코어재(2)를 이루는 코어시트의 두께 Tcs=0.2~0.8[mm]의 범위 내로 설정하며, 제1시트(8)나 제2시트(10)의 두께 Tss=0.2~1.2[mm]의 범위 내로 설정한다. That is, in the hollow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vex portion 24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are set to be within the range of the angle? = 6.0 to 45.0 占 together, and the first face 4 and the second face 6) was set within the range of R = S1 / S0 = 1 to 46 [%], it was found that good results were obtained as the compressive strength, bending strength, peel strength and formability of the hollow structure. At this time, the thickness Tc of the core material 2 is set within the range of 3 to 30 [mm], the thickness Tcs of the core sheet constituting the core material 2 is set within the range of 0.2 to 0.8 [mm] The thickness Tss of the sheet 8 and the second sheet 10 is set within a range of 0.2 to 1.2 mm.

더욱이, 본 발명자 등은 제1철부(24)와 제2철부(34)를 함께, 각도 θ=15.0~30.0[°]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제1면(4)와 제2면(6)의 접착면적비 R=S1/S0=14~40[%]의 범위 내로 설정했을 때에, 중공 구조체의 압축 강도, 구부림 강도, 박리 강도, 성형성으로서 한층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더욱이 본 발명자 등은 제1철부(24)와 제2철부(34)를 함께, 각도 θ=20.0~25.0[°]의 범위내로 설정하고, 제1면(4)와 제2면(6)의 접착면적비 R=S1/S0=20~26[%]의 범위 내로 설정했을 때에, 중공 구조체의 압축강도, 구부림 강도, 박리강도, 성형성으로서 한층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경우도, 코어재(2)의 두께 Tc=3~30[mm]의 범위 내로 설정하며, 코어재(2)를 이루는 코어시트의 두께 Tcs=0.2~0.8[mm]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제1시트(8)나 제2시트(10)의 두께 Tss=0.2~1.2[mm]의 범위 내로 설정한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set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24 and 34 together in the range of angle θ = 15.0 to 30.0 ° and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4 and 6, The bending strength, the peel strength and the moldability of the hollow structure were obtained when the adhesive area ratio R = S1 / S0 = 14 to 40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set the first convex portion 24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together within the range of the angle? = 20.0 to 25.0 占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ace 4 and the second face 6 When the adhesive area ratio was set within the range of R = S1 / S0 = 20 to 26 [%], it was found that better results were obtained as the compressive strength, bending strength, peel strength and formability of the hollow structure. In this case, too, the thickness Tc of the core material 2 is set within the range of 3 to 30 [mm], the thickness Tcs of the core sheet constituting the core material 2 is set within the range of 0.2 to 0.8 [mm] The thickness Tss of the first sheet 8 and the second sheet 10 is set within the range of 0.2 to 1.2 mm.

또한, 본 발명자 등은 셀 사이즈 CS=5.0~15.0[mm]의 범위 내로 설정했을 때에, 중공 구조체의 압축 강도, 구부림 강도, 박리강도, 성형성으로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결과나, 셀 사이즈 CS=80.~10.0[mm]의 범위 내로 설정했을 때에 더욱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when the cell size CS was set within the range of 5.0 to 15.0 mm, good results were obtained as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bending strength, the peel strength and the moldability of the hollow structure, When it was set within the range of 80 to 10.0 [mm], better results were obtain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중공 구조체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8에 근거하여 상기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Next, a modification of the hollow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8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변형예의 중공 구조체에서는 도 9에 나타내듯이 제1면(4)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철부(24)의 정수리면들을 일 방향으로 비켜가며 배치한다. 즉, 도 3등에 나타내는 제1면(4)에서는 인접하는 제1철부(24)의 정수리면들을 서로 정삼각형의 일변들이 일직선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이에 반해 도 9에서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인접하는 제1철부(24)의 정수리면들을 서로 정삼각형의 일변들이 일직선상으로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한다. In the modified hollow structure, as shown in Fig. 9, the top surfaces of the first convex portions 24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first surface 4 are displaced in one direction. That is, on the first surface 4 shown in FIG. 3 and the like, the top surfaces of the adjacent first convex portions 24 are arranged so that one side of a regular triangle is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On the contrary, in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9, the apical surfaces of the adjacent first convex portions 24 are disposed so that one side of a regular triangle is not located on a straight line.

제1면(4)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요부(26)의 바닥면들도, 일 방향으로 비켜가면서 배치한다. 즉, 변형예에서는 인접한 제1요부(26)의 바닥면들을 서로 정삼각형의 일변들이 일직선상으로는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한다. The bottom surfaces of the adjacent first recessed portions 26 on the first surface 4 are also arranged so as to be offset in one direction. That is, in the modified example, the bottom surfaces of the adjacent first recessed portions 26 are arranged so that one side of a regular triangle is not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코어재(2)의 제2면(6)은 제1면(4)과 안팎의 관계에 있다. 이 때문에 제2면(6)에 형성되는 제2철부(34)와 제2요부(36)의 배치는 제1면(4)측의 제1철부(24)나 제1요부(26)와 동일한 배치이다. The second surface 6 of the core material 2 is in and out of relation to the first surface 4. [ Therefore,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6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6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4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26 on the first surface 4 side Layout.

이상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했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중공 구조체는 두께 방향 D1에 요철을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코어재(2)와 코어재(2)의 두께 방향 D1의 제1측을 덮는 합성수지제의 제1시트(8)와, 코어재(2)의 두께 방향 D1의 제2측을 덮는 합성수지제의 제2시트(10)를 포함한다. 코어재(2)는 두께 방향 D1의 상기 제1측에 돌출하는 절두체형상 또는 막대형상의 제1철부(24)를 평면시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시키고, 두께 방향 D1의 상기 제2측에 돌출하는 절두체형상 또는 막대형상의 제2철부(34)를 평면시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시킨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hollow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re material 2 made of synthetic resin having the concavo-conv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and the core material 2 covering the firs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of the core material 2 A first sheet 8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 second sheet 10 made of synthetic resin covering the second side of the core material 2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The core material (2) has a plurality of frustum-shaped or bar-shaped first convex portions (24) protruding from the firs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in a zigzag manner in plan view, Like frustum-shaped or rod-shaped second convex portions 34 ar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in plan view.

상기 구성의 중공구조체에 의하면, 코어재(2)의 제1시트(8)나 제2시트(10)를 점착했을 때에, 밀폐공간이 생기지 않으므로, 점착 후에 제1시트(8)와 제2시트(10)에 움푹 들어가는 현상이 방지된다. According to the hollow structur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first sheet 8 or the second sheet 10 of the core material 2 is adhered, no sealed space is formed, (10) is prevented from being depressed.

이 때문에 상기 구성의 중공 구조체는 의장성이 높고 표면에 티끌이 괴기 어렵다. 이에 더하여, 제1시트(8)나 제2시트(10)의 표면에 간단하고 깔끔하게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제1시트(8)나 제2시트(10)의 표면에 알루미늄 등의 다른 소재를 붙이는 경우에는 간단히 벗겨지지 않는 정도의 접착 강도로 마련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상기 구조의 중공구조체는 밖과 안에 의장적인 차이가 생기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나, 밖과 안에 물성적인 차이가 생기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 때문에 중공 구조체의 안팎에 상관없이(신경 쓰지 않고) 상품을 제작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hollow structur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highly designable and hardly attracts dust on its surfa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simple and neat printing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sheet 8 and the second sheet 10. When another material such as aluminum is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first sheet 8 and the second sheet 10, it is also easy to provide the adhesive strength to such an extent that it can not be easily peeled off. In addition, the hollow structure of the above structure has an 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cause a difference in design outside and inside, b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hysical property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and inside is hard to occur.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a product regardless of whether the hollow structure is inside or outside.

제1실시예의 중공구조체에 있어서, 코어재(2)는 두께 방향 D1의 제1측을 향하는 제1면(4)과, 두께 방향 D1의 제2측을 향하는 제2면(6)을 가진다. 제1면(4)에 제1철부(24)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되고, 제1요부(26)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된다. 제2면(6)에 제2철부(34)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되고, 제2요부(36)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된다. 제1철부(24)와 제2요부(36)은 일대일로 안팎에 배치한다. 제2철부(34)와 제1요부(26)는 일대일로 안팎에 위치한다. 제1철부(24)와 제2철부(34)는 모두 삼각 절두체형상이다. In the hollow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ore material 2 has a first side 4 facing the firs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and a second side 6 facing the second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A plurality of first convex portions 24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on the first surface 4 and a plurality of first concave portions 26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 plurality of second convex portions 34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on the second surface 6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cave portions 36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The first convex portion 24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6 are arranged in-and-out one on the other.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and the first recessed portion 26 are located one on the inside and one outside. The first convex portion 24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all have a triangular frustum shape.

제1실시예의 중공구조체에 있어서, 제1철부(24)와 제2철부(34)의 측면의 경사 θ는 모두 6.0~45.0[°]의 범위 내에 있으며, 두께 방향 D1의 양측에 있어서 접착면적비는 모두 14~4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사 θ나 접착면적비를 상기와 같이 설정하는 것으로, 압축강도, 구부림강도, 구부림강성 등의 실험결과에서 더욱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In the hollow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inclina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24 and 34 is in the range of 6.0 to 45.0 [deg.], And the adhesive area ratio on both sid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is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4 to 40 [%]. By setting the inclination? And the bonding area ratio as described above, better results can be obtained from experimental results such as compressive strength, bending strength and bending stiffness.

제1철부(24)와 제2철부(34)의 측면의 경사θ는 모두 20~25[°]의 범위 내에 있으며, 두께 방향 D1의 양측에 있어서 접착면적비는 모두 20~26[%]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사 θ나 접착면적비를 상기와 같이 설정하는 것으로 압축강도, 구부림강도, 구부림강성 등의 실험 결과에서, 더욱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The inclination θ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24 and 34 is all in the range of 20 to 25 ° and the adhesive area ratio on both sides of the thickness direction D1 is in the range of 20 to 26% Is more preferable. By setting the inclination? Or the bonding area ratio as described above, more favorable results can be obtained from experimental results such as compressive strength, bending strength and bending stiffness.

제1실시예의 중공구조체에 있어서 제1철부(24)와 제2철부(34)의 셀 사이즈 CS는 모두 5.0~15.0[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철부(24)와 제2철부(34)의 셀 사이즈 CS는 모두 8.0~10.0[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ell size CS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4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in the hollow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is in the range of 5.0 to 15.0 [mm].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ell size CS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4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is all in the range of 8.0 to 10.0 [mm].

제1철부(24)의 셀 사이즈 CS는 제1면(4)을 벌집 형상으로 구분한 각 셀(60)의 평행한 두 변 간의 치수이며, 제2철부(34)의 셀 사이즈 CS는 제2면(6)을 벌집 형상으로 구분한 각 셀(60)의 평행한 두 변 간의 치수이다. 제1철부(24)는 제1면(4)의 셀(60)내에 일대일로 위치한다. 제2철부(34)는 제2면(6)의 셀(60)내에 일대일로 위치한다. The cell size CS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4 is a dimension between two parallel sides of each cell 60 in which the first surface 4 is divided into a honeycomb shape and the cell size CS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is the second Is a dimension between two parallel sides of each cell 60 divided into honeycomb faces. The first convex portion 24 is located one-to-one within the cell 60 of the first side 4.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is located one-to-one within the cell 60 of the second surface 6.

제1실시예의 중공구조체에 있어서, 코어재(2)의 두께는 3~30[mm]의 범위 내이다. 제1실시예의 중공 구조체에 있어서, 코어재(2)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이다. 따라서, 압축강도, 구부림 강도, 구부림 강성 등을 확보하면서, 제1실시예의 중공 구조체를 전체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다. In the hollow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core material 2 is within a range of 3 to 30 mm. In the hollow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ore material 2 is made of polypropylene. Therefore, the hollow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made lighter overall while sec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bending strength, the bending rigidity and the like.

제1실시예의 중공구조체에 있어서 압축 강도는 0.35~0.45[Mpa]의 범위 내에 있으며, 구부림 강도는 17.2~23.7[Nm/m]의 범위 내에 잇고, 구부림 강성은 4.8~6.6[Nm2/m]의 범위 내에 있다. In the hollow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ompressive strength is in the range of 0.35 to 0.45 [Mpa], the bending strength is in the range of 17.2 to 23.7 [Nm / m] and the bending stiffness is 4.8 to 6.6 [Nm 2 / Lt; / RTI >

제1실시예의 중공구조체에 있어서, 코어재(2)의 제1철부(24)와 제2철부(34)는 몰드(16)를 사용하여 합성수지제의 시트를 진공성형하는 것으로, 연속적으로 성형한 것이다. 이 때문에 시트를 연속적으로 보내는 것으로, 소정의 요철형상을 가지는 코어재(2)를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hollow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convex portion 24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of the core material 2 are formed by vacuum molding a sheet made of a synthetic resin using the mold 16, will be. Therefore, by continuously feeding the sheet,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form the core material 2 having a predetermined concavo-convex shape.

몰드(16)는 합성수지제의 시트를 열성형 하는 것이면 좋다. 따라서, 예를 들면 진공압공 성형, 프레스 성형 등을 행하는 구조도 코어재(2)를 성형하기 위한 구조로서 채용가능하다. The mold 16 may be formed by thermoforming a sheet made of a synthetic resin. Therefore, a structure for performing, for example, vacuum pneumatic co-forming, press forming or the like can also be employed as a structure for molding the core material 2. [

구체적으로 채용가능한 제1의 구조는 예를 들면, 몰드(16)를 가지는 진공성형롤과, 이 진공성형롤과 대칭을 이루는 성형롤을 갖추며, 해당 성형롤로 성형을 보조(assist)하는 구도이다. The first structure that can be embodied specifically includes, for example, a vacuum forming roll having a mold 16 and a forming roll symmetrical to the vacuum forming roll, and assisted with the forming roll.

채용가능한 제2의 구조는 몰드(16)를 가지는 성형롤과, 이 성형롤과 대칭을 이루는 다른 성형롤을 갖추고, 해당 다른 성형롤로 성형을 보조하는 구조이다. 채용가능한 제3의 구조는 몰드(16)를 가지는 진공성형평판에서 성형을 행하는 구조이다. 채용가능한 제4의 구조는 몰드(16)를 가지는 진공성형평판과, 이 진공성형평관과 대칭을 이루는 평판을 갖추고, 해당 평판에서 성형을 보조하는 구조이다. 기타의 구조도 당연히 채용가능하다. The second structure that can be employed is a structure having a forming roll having the mold 16 and another forming roll symmetrical to the forming roll and assisting the forming with the other forming roll. A third structure that can be employed is a structure for performing molding in a vacuum-formed flat plate having the mold 16. The fourth structure that can be adopted is a structure having a vacuum-formed flat plate having the mold 16 and a flat plate symmetrical to the vacuum-formed flat pipe, and assisting the molding in the flat plate. Other structures can of course be employed.

제1실시예의 중공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진공 흡입용의 요부(18)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한 몰드(16)를 사용하여, 합성수지제의 코어시트에 진공성형을 행하는 것으로 두께 방향 D1에 요철을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코어재(2)를 성형하는 공정과, 코어재(2)의 두께 방향 D1의 제1측에 합성수지제의 코어재(2)를 형성하는 공정과, 코어재(2)의 두께 방향 D1의 제1측에 합성수지제의 제1시트(8)를 접착시키는 공정과, 코어재(2)의 두께 방향 D2의 제2측에 합성수지제의 제2시트(10)를 접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제1시트(8)를 접착시키는 공정과 제2시트(10)를 접착시키는 공정은 시간을 달리해서 행해도 좋고, 동시에 행해도 좋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ollow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vacuum molding is performed on a core sheet made of a synthetic resin using a mold 16 in which a plurality of recesses 18 for vacuum suction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 step of forming a core material 2 made of a synthetic resin on the firs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D1 of the core material 2 and a step of forming a core material 2 having a thickness A step of adhering the first sheet 8 made of synthetic resin to the first side of the direction D1 and a step of adhering the second sheet 10 made of synthetic resin to the second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D2 of the core material 2 . The step of adhering the first sheet 8 and the step of adhering the second sheet 10 may be performed at different times or at the same time.

요부(18)는 다각형상(제1실시예에서는 삼각형상)의 바닥면을 가지며, 바닥면의 중앙부분 또는 정수리점 근방의 장소에 진공 흡입용의 흡인 구멍(20)을 마련한다. The concave portion 18 has a bottom surface of a polygonal shape (triangular shap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suction hole 20 for vacuum suction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r near the apex of the apex.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1실시예와 같은 제1철부(24)와 제2철부(34)를 가지는 코어재(2)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the core material 2 having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24 and 34 as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efficiently formed.

이상,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서 나타내는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범위 내에 있으면, 적절한 설계변경을 행하는 것이나, 다른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철부(24)나 제2철부(34)의 형상은 삼각 절두체로 마련되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절두체, 육각 절두체 등의 다른 다각 절두체형상을 채용하는 것이나 원 절두체형상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제1철부(24)나 제2철부(34)의 형상으로서, 다각 절두체형상이며, 그 측면이 곡면이 된 형상이나, 다각 절두체형상이고, 그 측면이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이나, 원 절두체형상이며, 그 측면이 계단형상으로 형성된 형상이 채용 가능하다.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4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is formed of a triangular frustu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of the other convex frustum, Shape or a truncated-truncated cone shape may be adopted. Or the shap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24 or the second convex portion 34 may be a polygonal truncated cone shape having a curved side surface or a polygonal truncated cone shape and a side surface formed in a stepped shape, And a shape in which the side surface is formed in a step shape can be adop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철부(24)의 정수리면, 제1요부(26)의 바닥면, 제2철부(34)의 정수리면, 및 제2요부(36)의 바닥면은 어떠한 치수 형상도 동일한 정삼각형상으로 마련되나, 다소 상이한 치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어재(2)를 성형하는 몰드(16)의 철부(22)의 정수리면, 요부(18)의 바닥면에 있어서도, 치수 형상이 서로 동일한 정삼각형상에 한하지 않고, 다수 상이한 치수 형상으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26,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recessed portion 34,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recessed portion 36, Any dimension shape is provided in the same equilateral triangle shape, but it is also possible to form it into a somewhat different dimension shape. The top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22 of the mold 16 for molding the core material 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18 are not limited to the equilateral triangle having the same dimensional shape, It is also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요부(18)의 바닥면에 흡인 구멍(20)을 형성하는 것으로, 각 요부(18)를 흡입 캐비티로서 기능시키나, 복수의 몰드를 조합하는 것으로 몰드(16)를 형성하고, 복수의 몰드간의 틈에서 진공 흡입을 행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holes 20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recessed portions 18 so that the recessed portions 18 function as suction cavities. However, by combining a plurality of the molds, And vacuum suction is performed in a gap between a plurality of the molds.

Claims (8)

두께 방향에 요철을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코어재;
상기 코어재의 상기 두께 방향의 제1측을 덮는 합성수지제의 제1시트; 그리고
상기 코어재의 상기 두께 방향의 제2측을 덮는 합성수지제의 제2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재의 재질과, 상기 제1시트의 재질과, 상기 제2시트의 재질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코어재는,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제1측을 향하는 제1면과,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제2측을 향하는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면에 삼각 절두체 형상으로 돌출하는 제1 철부를 평면시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 시키고, 또한 삼각 절두체 형상으로 파인 제1요부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 시키고,
상기 제2면에 삼각 절두체 형상으로 돌출하는 제2철부를 평면시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 시키고, 또한 삼각 절두체 형상으로 파인 제2요부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 시키고,
상기 제1요부와 상기 제2철부는 일대일로 안팎에 위치하고,
상기 제2요부와 상기 제1철부는 일대일로 안팎에 위치하고,
상기 제1면에 있어서,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기준점 각각을 둘러싸고 세개의 상기 제1요부와 세 개의 상기 제1철부가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제2면에 있어서,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기준점 각각을 둘러싸고 세개의 상기 제2요부와 세 개의 상기 제2철부가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제1면의 다수의 기준점과 상기 제2면의 다수의 기준점은 상기 코어재의 두께 방향의 중간 부분에서 일대일로 안팎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구조체.
A core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irregulariti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first sheet made of synthetic resin covering the first side of the core material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nd a second sheet made of synthetic resin covering the second side of the core material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material of the core material, the material of the first sheet, and the material of the second sheet are the same,
The core material,
A first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second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convex portions protruding in the form of a triangular frustum on the first surface are arranged in a zigzag form in plan view and a plurality of first concave portions in a triangular frustum shape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 plurality of second convex portions protruding in a triangular frustum shape on the second surface are arranged in a zigzag form in plan view and a plurality of second recessed portions in a triangular frustum shape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Wherein the first recessed portion and the second recessed portion are located one on the inside and one outside,
Wherein the second recess and the first recess are located one on the inside and the other outside,
Wherein the first surface surrounds each of the plurality of regularly arranged reference points and the three first main portions and the three first convex port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Wherein the second surface surrounds each of the plurality of regularly arranged reference points and the three second recesses and the three second recesses are alternately arranged,
Wherein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n the first surface and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n the second surface are positioned one on the other in the middle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re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다수의 기준점 각각을 둘러싸고 둘레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3개의 상기 제1요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면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의 다수의 기준점 각각을 둘러싸고 둘레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3개의 상기 제2요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 first recesses are disposed at a position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first surface on the first surface,
Wherein the three second recesses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equidistant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second surface on the second su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다수의 기준점 각각에서 3개의 상기 제1요부의 능선이 교차하고, 또한 3개의 상기 제1철부의 골선이 교차하고,
상기 제2면의 다수의 기준점 각각에서 3개의 상기 제2요부의 능선이 교차하고, 또한 3개의 상기 제2철부의 골선이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idges of the three first recesses intersect each other at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bone lines of the three first recesses cross each other,
Wherein three ridges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s intersect each other at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second surface, and bone lines of the three second convex portions cross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다수의 기준점 각각을 둘러싸고 둘레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3개의 상기 제1요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면의 다수의 기준점 각각에서 3개의 상기 제1요부의 능선이 교차하고, 또한 3개의 상기 제1철부의 골선이 교차하고,
상기 제2면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의 다수의 기준점 각각을 둘러싸고 둘레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3개의 상기 제2요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면의 다수의 기준점 각각에서 3개의 상기 제2요부의 능선이 교차하고, 또한 3개의 상기 제2철부의 골선이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 first recesses are disposed at a position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first surface on the first surface,
The ridges of the three first recesses intersect each other at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bone lines of the three first recesses cross each other,
Three second recessed portions are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at positions spaced equidistant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n the second surface,
Wherein three ridges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s intersect each other at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f the second surface, and bone lines of the three second convex portions cross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철부와 상기 제2철부의 측면의 경사는 6.0~45.0°의 범위 내이고, 접착면적비는 1~46%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lination of the side 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is in the range of 6.0 to 45.0 占 and the bonding area ratio is in the range of 1 to 4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철부와 상기 제2철부의 측면의 경사는 15.0~30.0°의 범위 내이고, 접착면적비는 14~4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구조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clina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is in the range of 15.0 to 30.0 占 and the bonded area ratio is in the range of 14 to 40%.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구조체.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core material is polypropylene.
삼각 절두체 형상으로 파인 진공 흡입용의 요부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한 몰드를 사용하여, 합성수지제의 코어시트에 진공 성형을 행하여 두께 방향에서 요철을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코어재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코어재의 상기 두께 방향의 제1측에 합성수지제의 제1시트를 접착시키는 공정; 그리고,
상기 코어재의 상기 두께 방향의 제2측에 상기 제1시트와 동일한 재질의 제2시트를 접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요부는 삼각형상의 바닥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면의 각 정점 근방의 장소에, 진공 흡입용의 흡입 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몰드를 사용하여 형성된 상기 코어재는,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제1측을 향하는 제1면과,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제2측을 향하는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면에 삼각 절두체 형상으로 돌출하는 제1 철부를 평면시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 시키고, 또한 삼각 절두체 형상으로 파인 제1요부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 시키고,
상기 제2면에 삼각 절두체 형상으로 돌출하는 제2철부를 평면시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 시키고, 또한 삼각 절두체 형상으로 파인 제2요부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 시키고,
상기 제1요부와 상기 제2철부는 일대일로 안팎에 위치하고,
상기 제2요부와 상기 제1철부는 일대일로 안팎에 위치하고,
상기 제1면에 있어서,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기준점 각각을 둘러싸고 세개의 상기 제1요부와 세개의 상기 제1철부가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제2면에 있어서,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기준점 각각을 둘러싸고 세개의 상기 제2요부와 세개의 상기 제2철부가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제1면의 다수의 기준점과 상기 제2면의 다수의 기준점은 상기 코어재의 두께 방향의 중간 부분에서 일대일로 안팎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구조체의 제조 방법.
Vacuum molding a core sheet made of a synthetic resin to form a core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having unevenness in the thickness direction by using a mold in which a plurality of recesses for vacuum suction sucked in a triangular frustum shape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 step of adhering a first sheet made of a synthetic resin to the first side of the core material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nd adhering a second sheet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sheet to a second side of the core material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erein the concave portion has a bottom surface in a triangular shape and a suction hole for vacuum suc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near each apex of the bottom surface,
The core material formed by using the mold may include a core material,
A first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second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convex portions protruding in the form of a triangular frustum on the first surface are arranged in a zigzag form in plan view and a plurality of first concave portions in a triangular frustum shape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 plurality of second convex portions protruding in a triangular frustum shape on the second surface are arranged in a zigzag form in plan view and a plurality of second recessed portions in a triangular frustum shape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Wherein the first recessed portion and the second recessed portion are located one on the inside and one outside,
Wherein the second recess and the first recess are located one on the inside and the other outside,
Wherein the first surface surrounds each of a plurality of regularly arranged reference points and the three first principal parts and the three first project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Wherein the second surface surrounds each of the plurality of regularly arranged reference points and the three second recesses and the three second recesses are alternately arranged,
Wherein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n the second surface are positioned one on the other in the middle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re material.
KR1020147032046A 2013-11-27 2014-08-05 Hollow structure KR10162931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44964A JP6363834B2 (en) 2013-03-19 2013-11-27 Hollow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JP-P-2013-244964 2013-11-27
JPJP-P-2013-252400 2013-12-05
JP2013252400A JP6368086B2 (en) 2013-03-19 2013-12-05 Hollow structure
PCT/JP2014/004093 WO2015079602A1 (en) 2013-11-27 2014-08-05 Hollow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559A KR20150095559A (en) 2015-08-21
KR101629310B1 true KR101629310B1 (en) 2016-06-21

Family

ID=5319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046A KR101629310B1 (en) 2013-11-27 2014-08-05 Hollow structur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29310B1 (en)
CN (1) CN105209246A (en)
WO (1) WO201507960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5633A (en) * 2021-01-19 2021-06-04 广东德派克家居科技有限公司 Punching pla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842A (en) 2002-02-19 2003-08-27 Kawakami Sangyo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ir-bubbled sheet of synthetic resin
JP2009542482A (en) 2006-07-07 2009-12-03 クラレイ ユーロップ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Embossed plastic sheet for composite glass
JP2011101893A (en) 2009-11-11 2011-05-26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Plate having uneven part, and layered structur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8998A (en) * 1981-11-22 1983-05-27 Sony Corp Composite diaphragm
CN101797822A (en) * 2010-03-29 2010-08-11 王韬 Novel fiber reinforced cellular boar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202765393U (en) * 2012-09-27 2013-03-06 苏州良才物流科技股份有限公司 High-strength cigarette packing box
CN103144364A (en) * 2013-03-12 2013-06-12 苏州良才物流科技股份有限公司 Plastic hollow bo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842A (en) 2002-02-19 2003-08-27 Kawakami Sangyo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ir-bubbled sheet of synthetic resin
JP2009542482A (en) 2006-07-07 2009-12-03 クラレイ ユーロップ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Embossed plastic sheet for composite glass
JP2011101893A (en) 2009-11-11 2011-05-26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Plate having uneven part, and layered structur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9602A1 (en) 2015-06-04
CN105209246A (en) 2015-12-30
KR20150095559A (en) 201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3610B2 (en) Laminated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659020B2 (en) Hollow laminated plate and method for treating its edge
JP6363834B2 (en) Hollow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0785281B (en) Sheet material
JP2007168200A (en) Hollow structure plate
JP2024003233A (en) hollow structure
KR101629310B1 (en) Hollow structure
JP6755543B2 (en) Laminate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structure
JP6026112B2 (en) Resin structure
JP7391352B2 (en) Hollow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llow structure
JP2021045942A (en) Hollow structure
JP6684595B2 (en) Laminated structure
JP4466343B2 (en) Lightweight and extremely rigid plastic board
WO2020171208A1 (en) Hollow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7391358B2 (en) hollow structure
JP7017227B2 (en) Board material
JPH08127091A (en) Plastic hollow laminate and production thereof
KR100620544B1 (en) Honeycom core
JP7365673B2 (en) hollow structure
JP7406810B2 (en) Hollow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llow structure
JP5180528B2 (en) Panel body
JP6332274B2 (en) Resin laminate
JP6066399B2 (en) Hollow structure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KR200447464Y1 (en) Core for honeycom structures
JP2022168585A (en) hollow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