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682B1 - Method for winding coil at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winding coil at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682B1
KR101628682B1 KR1020150010815A KR20150010815A KR101628682B1 KR 101628682 B1 KR101628682 B1 KR 101628682B1 KR 1020150010815 A KR1020150010815 A KR 1020150010815A KR 20150010815 A KR20150010815 A KR 20150010815A KR 101628682 B1 KR101628682 B1 KR 101628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isplay device
transparent bonding
transparen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8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주성
Original Assignee
(주)넥스디스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디스플레이 filed Critical (주)넥스디스플레이
Priority to KR102015001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6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6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06K19/07777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 G06K19/07779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display device which comprises: a transparent bonding member; a first member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a second member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and a coil wound along edges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wherein any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a cover member and the other one is a display modul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bonding the first member to the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inserting the first member into a first recess part formed in a first stage; and winding a coil along the edges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에 코일을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winding coil at display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coil to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코일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과 커버부재 사이에 코일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oviding a coil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providing a coil between a display module and a cover member.

박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TFT-LCD, OLED, AMOLED 등 다양한 기술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스마트 폰 등 휴대형 사용자 기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기기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므로 사용자 기기의 외부로부터의 오염이나 충격에 취약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에는 투명한 강화 유리, 또는 투명한 강화 합성수지 등의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Thin-type display modules can be provided by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TFT-LCD, OLED, and AMOLED. Such a display module can be used as an input / output interface of a portable user equipment such as a smart phone. The display module attached to the user equipment is vulnerable to contamination or shock from the outside of the user equipment since it must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order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Thus,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such as a transparent tempered glass, or a transparent reinforced resin.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사용자 기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코일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코일에 전자기파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코일에는 전자기파에 의해 유도되는 기전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전력을 이용하여 미리 내장되어 있는 특정한 종류의 전자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파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코일을 통해 상기 정보가 상기 전자장치에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상기 코일을 통해 전자기파의 형태로 외부에 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user equipment having the display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il for providing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When an electromagnetic wave is provided to the coil, an electromotive force induced by the electromagnetic wave may be formed in the coil. By using this electromotive force, it is possible to operate a specific kind of electronic device built in advance. In addition, whe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electromagnetic wave,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il. Further,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il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waves.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자기파로부터 전력 및 정보를 얻기 위해서 상기 코일은 수 회 이상 감겨있을 수 있으며, 상기 코일이 점유하는 평면은 일정정도 이상의 크기를 가져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이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장치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뒷면 또는 앞면에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obtain power and information from electromagnetic waves provided from the outside, the coil may be wound several times or more, and the plane occupied by the coil may have a certain size or more. Thus, if the coil is provided in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t may be provided on the back or front side of the smart phone.

그러나 상기 코일을 사용자 기기의 뒷면 또는 앞면에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기기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coil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r the front surface of the user equipment, the thickness of the user equipment can be increased.

한편, 코일이 외부의 전자기파에 노출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기파와 상기 코일 사이에 전자기 차폐물질이 존재하면 안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이 스마트폰의 뒷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최외곽 케이스를 비금속 재질로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coil to be exposed to external electromagnetic waves,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should not exist between the electromagnetic wave and the coil. Therefore, when the coil is installed on the back side of the smartphone, it is general that the outermost case of the smart phone is provided as a non-metallic material.

그러나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기기의 뒷면 케이스를 금속 재질로 제공한다면 전파의 차폐역할을 하기 때문에 NFC 코일을 상기 사용자 기기의 뒷면 측에 제공할 경우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f the back case of a user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it is shielded from the radio wave, so that it can not exhibit its function when the NFC coil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user devi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기기의 앞면 쪽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코일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커버부재, 및 이 둘 사이에 배치된 투명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코일은 상기 투명접착층의 외곽을 따라 감길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커버부재 사이의 간극 부분에 코일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간극은 매우 좁기 때문에 여기에 코일을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il may be disposed on a display device provided on a front side of a user equipment.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a cover member, and a transparent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the cover member, and the coil, and the coil may be wound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transparent adhesive layer. That is, a coil may be disposed at a gap portion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cover memb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arrange the coil here because the gap is very narrow.

또한, 코일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때에, 공정효율을 높이기 위해 어느 시점에 코일을 제공해야 하는지 문제가 된다. Further, when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ing a coil, it is a problem at which point the coil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process efficiency.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커버부재 사이에 배치된 투명접착층의 외곽을 따라 감겨있는 코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forming a coil wound along the periphery of a transparent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a display module and a cover member.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은, 투명접착부재;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일면에 접합된 제1부재;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타면에 접합된 제2부재; 및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감긴 코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때,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어느 하나는 커버부재이고 다른 하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다. 이때, 이 방법은, 상기 제1부재를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상기 일면에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제1부재를 제1스테이지에 형성된 제1리세스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코일을 감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a display device includes: a transparent bonding member; A first member joined to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A second member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And a coil wound along an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At this time, either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a cover member and the other is a display module. At this time, the method includes: bonding the first member to the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Inserting the first member into a first recess portion formed in a first stage; And winding the coil along an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이때, 이 방법은 상기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감는 단계 사이에,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상기 타면에 상기 제2부재를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bonding the second member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between the inserting step and the winding step.

이때, 이 방법은 상기 제2부재를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코일을 감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제2부재를 제2스테이지에 형성된 제2리세스부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nserting the second member into the second recess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stage, between the step of joining the second member and the step of winding the coil.

이때, 이 방법은 상기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감는 단계 사이에,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상기 타면 상에 블로킹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osing a blocking plate on the other sid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between the inserting step and the winding step

이때, 상기 제1스테이지는, 상기 제1부재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제1리세스부; 및 상기 제1리세스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리세스부의 깊이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갖는 제1안내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tage may include: the first recess portion accommodating the first member; And a first guide sloped surface that is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and has a slope inclin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이때, 상기 제1리세스부의 제1깊이는 상기 제1부재의 제1두께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depth of the first recess portion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thickness of the first member.

이때, 상기 제2스테이지는, 상기 제2부재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제2리세스부; 및 상기 제2리세스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리세스부의 깊이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갖는 제2안내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stage may include: the second recessed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member; And a second guide slope formed to surround an edge of the second recess portion and having a slope inclin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second recess portion.

이때,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가장자리가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의 바깥쪽 가장자리가 형성하는 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코일을 감을 때에, 상기 코일이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상기 타면와 상기 일면 사이에 배열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is positioned inside the region formed by the outer edge of the blocking plate, so that when the coil is wound along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And may be arranged between the other surface and the one surface.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과 커버부재 사이에 배치된 투명접착층의 외곽을 따라 코일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지그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NFC 코일이 디스플레이 모듈과 커버 사이에 배치된 접착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간극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 기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NFC 코일과 사용자 기기의 앞면 사이에는 금속이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기기의 앞면으로부터 들어오는 전파에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의 뒷면 커버를 금속 재질로 만들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can b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transparent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cover member. At this time, the jig device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result, since the NFC coil is disposed in the gap provided by the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cov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hickness of the user equipment can be reduced or decreased. In addition, since no metal is disposed between the NFC coil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user equipment, the user can be exposed to radio waves com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user equipment, and the back cover of the user equipment can be made of a metal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휴대형 사용자 기기의 케이스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접착부재 및 코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a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a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접착부재, 디스플레이 모듈, 및 NFC 처리부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지그장치 스테이지(이하, 간단히 '스테이지')(50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c는 도 6b의 단면도를 통해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안내경사면의 모양이 변형된 예를 나타낸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스테이지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상호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나타낸 스테이지(501, 502)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도 7b와 같이 스테이지(5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코일을 감을 수 있도록 설계된 권취장치(600)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도 7b와 같이 스테이지(5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코일을 감을 수 있도록 설계된 또 다른 구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5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상호 결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7b에 나타낸 도면 중 일부를 확대하여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에 코일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일이 제공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에 코일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of a portable user equipment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display module in detail in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2A.
Fig. 2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dhesive member and the coil in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2A.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2A.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2A.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between the adhesive member, the display module, and the NFC processing unit in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2A.
6A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device stage (hereinafter simply 'stage') 500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6A.
6C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st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sectional view of FIG. 6B, in which the shape of the guide slope is modified.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utual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tage and a display device 300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ge 501 and 502 shown in FIG. 7A and the display device 300 in tight contact with each other.
8A shows an example of a winding device 600 designed to wind a coil in a state where the stage 5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8B shows another example of a structure designed to wind the coil in a state where the stage 5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7B.
9 shows an example of mutual coupling of the stage 5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drawings shown in FIG. 7B.
1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 coil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to 12F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dure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 coil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below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expressly have the opposite meaning.

<내부에 코일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Lt; Display device in which a coil is provided insid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휴대형 사용자 기기의 케이스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of a portable user equipment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케이스(400)는 측면 케이스(1), 상부 케이스(2), 및 하부 케이스(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케이스(2)의 밑에는 표시장치가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부 케이스(2)는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가시광선을 투과시키기 위하여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케이스(3)는 상부 케이스(2)와 함께 사용자 기기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측면 케이스(1)는 상부 케이스(2)와 하부 케이스(3)의 가장자리 부분을 서로 연결하며, 상부 케이스(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 케이스(2)와 별도로 제조되어 상부 케이스(2) 및 하부 케이스(3)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스(3)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case 400 may include a side case 1, an upper case 2, and a lower case 3. A display device may be disposed under the upper case 2, so that the upper case 2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transmit visible light gene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The lower case 3, together with the upper case 2, may serve to protect various components disposed inside the user equipment. The side case 1 connects the edge portions of the upper case 2 and the lower case 3 to each other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case 2 or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upper case 2, And the lower case 3, respective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ase 3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이하, 도 2a 내지 도 2c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C. FIG.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투명접착부재(80) 및 코일(9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A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display module 100 in detail in the display device 300 shown in FIG. 2A. FIG. 2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and the coil 90 in the display device 300 shown in FIG. 2A.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00.

도 2b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LCD 모듈(Liquid Crystal Display Module)(110) 및 BLU 모듈(Back Light Unit Module)(120)을 포함할 수 있다.2B, the display module 100 may include an LCD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110 and a BLU module (Back Light Unit Module) 120. Referring to FIG.

LCD 모듈(110)은 영상 데이터를 표출하는 패널로써, CF층(11), TFT 어레이층(12), 이들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13), 제1 편광층(14), 제2 편광층(15), 및 구동회로부(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LCD module 110 is a panel for displaying image data and includes a CF layer 11, a TFT array layer 12, a liquid crystal layer 13 formed therebetween, a first polarizing layer 14, a second polarizing layer 15, and a driving circuit unit 10, and the like.

BLU 모듈(120)은 광원으로 사용되는 광소자로부터 밝기가 균일한 평면광을 만들어 LCD 모듈(110)에 광(光)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는 유닛으로써, 제1 프리즘 시트(21), 제2 프리즘 시트(22), 확산판(Diffuser Sheet)(23), 도광판(Light Guide Panel)(24), 반사판(Reflector Sheet)(25), 및 광원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반사판(25)는 직사각형 형상의 얇은 두께의 시트(shee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BLU module 120 is a unit for generating planar light having a uniform brightness from an optical element used as a light source to apply light to the LCD module 110. The BLU module 120 includes a first prism sheet 21, A sheet 22, a diffuser sheet 23, a light guide panel 24, a reflector sheet 25, and a light source 20. At this time, the reflection plate 25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a thin sheet shape.

이때, LCD 모듈(110)과 BLU 모듈(120)은 서로 면접하고 있을 수 있으며, 커튼 테잎(양면 테잎)과 같은 결합 재료에 의해 그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커튼 테잎은 얇은 막 형태의 부재로서, 양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서 LCD 모듈(110)과 BLU 모듈(120) 사이에서 LCD 모듈(110)과 BLU 모듈(120)을 서로 접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CD module 110 and the BLU module 120 may be interfaced with each other, and may b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along the edges thereof with a bonding material such as a curtain tape (double-sided tape). The curtain tape described above is a thin film member having a function of bonding the LCD module 110 and the BLU module 120 to each other between the LCD module 110 and the BLU module 120 Can be performed.

구동회로부(10)는 LCD 모듈(110) 내의 각 전기 소자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회로이며, LCD 모듈(110)의 TFT 어레이층(12) 상의 일측부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광원부(20)는 BLU 모듈(120)에 빛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BLU 모듈(120)의 도광판(24)의 일측부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The driving circuit portion 10 is a circuit adapted to drive each electric element in the LCD module 110 and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FT array layer 12 of the LCD module 110. [ The light source unit 20 may provide light to the BLU module 120 and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24 of the BLU module 120.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1 FPCB(18) 및 제2 FPCB(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FPCB(18)와 제2 FPCB(19)는 각각 LCD 모듈(110)과 광원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PCB 18 and a second FPCB 19. The first FPCB 18 and the second FPCB 19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CD module 110 and the light source 20, respectively.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커버부재(70) 및 투명접착부재(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A, the display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70 and a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커버부재(7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커버부재(70)는 도 1에 도시한 상부 케이스(2)일 수 있다.The cover member 70 is a component for protecting the display module 100, and may be made of an optically transparent material. The cover member 70 may be the upper case 2 shown in Fig.

투명접착부재(8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커버부재(70)를 서로 접합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투명접착부재(80)은 N개의 변과 N개(ex: N=4)의 모서리를 갖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N개의 모서리는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투명접착부재(80)의 외곽부 중 적어도 일부는 곡선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코일은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감기므로, 다각형 형상을 갖는 투명접착부재(80)의 모서리가 일정 값 이상의 곡률을 갖는 경우, 코일의 절곡부의 곡률이 커기지 때문에 상기 절곡부에서 코일이 끊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is a component for bonding the display module 100 and the cover member 70 to each other, and may be provided in an optically transparent material. At this time,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may have a polygonal shape having N sides and N (ex: N = 4) corner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 corners may have a curvat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Or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frame portion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may have a curved shape. Since the coil is wound along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when the corner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having a polygonal shape has a curvatur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curvature of the bent portion of the coil becomes lar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onnection phenomenon.

이때, 투명접착부재(80)은 예컨대,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Resin)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투명접착부재'는 '투명접착층' 또는 '접착층'이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may be implemented using, for example, OCA (Optical Clear Adhesive) or OCR (Optical Clear Resin). Herein, the term 'transparent bonding member'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bonding layer' or an 'adhesive layer'.

이때, 투명접착부재(80)의 하측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사용자 측 상측면 중 화면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는 영역을 덮도록 상기 사용자 측 상측면에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투명접착부재(80)의 상측면은 커버부재(70)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투명접착부재(80)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측면의 면적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may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ser side so as to cover an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ser side of the display module 100 on which the screen is to be displayed.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may be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70. [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측면과 투명접착부재(80)의 하측면 사이에는 터치감지센서층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터치감지센서층은 커버부재(70)의 하측면과 투명접착부재(80)의 상측면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touch sensor lay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ing sensor lay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7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NFC 처리부(200) 및 코일(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FC 처리부(200)와 코일(90) 사이에는 전기신호가 송수신되도록 되어 있다. NFC 처리부(200)는 코일(90)로부터 송수신되는 전자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칩의 일부 기능을 구동하거나 또는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다른 기능부와 일체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a에서 NFC 처리부(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으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NFC 처리부(200)가 차지하는 공간은 도 2a에 도시한 것보다 작을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an NFC processing unit 200 and a coil 90. At this time, an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NFC processing unit 200 and the coil 90. The NFC processor 200 may be a device that drives some functions of the chip or processes information by using electromagnetic energy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coil 90. The NFC processor 200 may also be used for other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300 And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unit. In FIG. 2A, the NFC processor 200 is disposed below the display module 100, but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thereof. In addition, the space occupied by the NFC processing unit 200 may be smaller than that shown in FIG. 2A.

이때, NFC 처리부(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NFC 처리부(200)의 상측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하측면에 위치해있을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 측면에 위치해있을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NFC processor 20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module 100. At this time, the upper side of the NFC processor 200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module 100, or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modul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때, 투명접착부재(80)의 외곽에는 코일(90)이 수 회 이상 감겨져 있을 수 있으며, 코일(9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투명접착부재(80) 사이의 간극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접착부재(80)의 외곽에는 코일(90)이 M(ex: M=4)번 감겨져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il 90 may be woun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several times or more, and the coil 90 may exist in the gap between the display module 100 and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C, the coil 90 may b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by M (ex: M = 4) times.

이때,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장치'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Here, in this specification, a 'display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a 'display device'.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도 3은 도 2a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300 shown in FIG. 2A.

도 4는 도 2a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display device 300 shown in FIG. 2A.

도 5는 도 2a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투명접착부재(80),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NFC 처리부(200)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between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the display module 100, and the NFC processing unit 200 in the display device 300 shown in FIG. 2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NFC 처리부(200), BLU 모듈(120), LCD 모듈(110), 투명접착부재(80), 및 커버부재(70)가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3, the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NFC processing unit 200, a BLU module 120, an LCD module 110, a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Member 70 may be arranged in this order.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70)의 너비(L4)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너비(L3)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가질 수 있으며, 투명접착부재(80)의 너비(L2)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즉, L2<L4, L3<=L4).4, the width L4 of the cover member 7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L3 of the display module 100, and the width L4 of the cover member 7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L3 of the display module 100, (L2 < L4, L3 < = L4).

그리고 투명접착부재(80)의 너비(L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중 발광영역(30)의 범위를 나타내는 너비(L1)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즉, L1<=L2).The width L2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L1 of the display area of the light emitting area 30 of the display module 100 (i.e., L1 <= L2).

그리고 감겨진 코일(20)의 좌우 폭(x1, x2)와 투명접착부재(80)의 너비(L2)를 더한 너비(L5)는, 커버부재(70)의 너비(L4)보다는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즉, L2+x1+x2 <= L4)The width L5 obtained by adding the left and right widths x1 and x2 of the wound coil 20 and the width L2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is smaller than the width L4 of the cover member 70 (I.e., L2 + x1 + x2 < = L4)

그리고 감겨진 코일(20)의 상하 폭(y1)은 투명접착부재(80)의 두께(y2)보다 작을 수 있다(즉, y1<y2).The vertical width y1 of the wound coil 20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y2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i.e., y1 < y2).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쌍의 단자(53,54) 및 제2쌍의 단자(55,56)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예컨대, 제1쌍의 단자(53,54) 및 제2쌍의 단자(55,56)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포함된 LCD 모듈(110)의 TFT 어레이층(12)을 구성하는 기판의 일 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in the display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first pair of terminals 53 and 54 and the second pair of terminals 55 and 56 are formed . For example, the first pair of terminals 53 and 54 and the second pair of terminals 55 and 56 constitute the TFT array layer 12 of the LCD module 110 included in the display module 100 And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이때, 투명접착부재(80)의 외곽에 감겨진 코일(90)의 양단부(51,52)는 제1쌍의 단자(53,54)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코일(90)의 일단부(51)는 제1단자(53)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코일(90)의 타단부(52)는 제2단자(54)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both end portions 51 and 52 of the coil 90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air of terminals 53 and 54. For example, one end 51 of the coil 9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53, and the other end 52 of the coil 9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54.

그리고 NFC 처리부(200)에는 제3쌍의 단자(57,58)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TFT 어레이층(12)에 형성되어 있는 제2쌍의 단자(55,56)와 제3쌍의 단자(57,58)가 각각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3단자(55)는 제5단자(57)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4단자(56)는 제6단자(58)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A third pair of terminals 57 and 58 may be formed in the NFC processing unit 200 and a second pair of terminals 55 and 56 formed in the TFT array layer 12 and a third pair of terminals (57, 58)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third terminal 55 may be connected to the fifth terminal 57, and the fourth terminal 56 may be connected to the sixth terminal 58.

이때, 제1쌍의 단자(53, 54)와 제2쌍의 단자(55,56)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1단자(53)는 제3단자(55)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단자(54)는 제4단자(56)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air of terminals 53 and 54 and the second pair of terminals 55 and 5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5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55, and the second terminal 5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terminal 56.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NFC 처리부(200)는 TFT 어레이층(12)을 구성하는 기판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제2쌍의 단자(55,56)와 제3쌍의 단자(57,58)는 생략될 수도 있다.In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FC processing section 200 may be provided on a substrate constituting the TFT array layer 12. [ At this time, the second pair of terminals 55 and 56 and the third pair of terminals 57 and 58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제1쌍의 단자(53,54)와 제2쌍의 단자(55,56)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신 코일(90)의 양단부(51,5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를 가로질러 제3쌍의 단자(57,58)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In a fur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ir of terminals 53,54 and the second pair of terminals 55,56 may not be provided. Instead, both ends 51,52 of the coil 90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third pair of terminals 57,58 across the edge of the display module 100. [

<디스플레이 장치에 코일을 감기 위해 제공되는 지그장치><Jig device provided for winding a coil on a display device>

상술한 투명접착부재(80)의 두께는 매우 얇을 수 있다. 예컨대 투명접착부재(80)가 OCA인 경우 그 두께는 약 100μm 내지 300μm일 수 있다. 즉, 커버부재(70)와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의 간극도 약 100μm 내지 300μm일 수 있다. 또한 투명접착부재(80) 주변에 감기는 코일(90)의 두께는 투명접착부재(8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above-described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may be very thin. For example, when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is OCA, its thickness may be about 100 mu m to 300 mu m. That is, the clearance between the cover member 70 and the display module 100 may also be about 100 μm to 300 μm.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coil 90 wound around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한편, 코일(90)을 커버부재(70)와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의 간극에 끼워 넣는 공정은 정교함을 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일(90)을 커버부재(70)와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의 간극에 끼워 넣는 데에 사용되는 지그장치를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fitting the coil 90 into the gap between the cover member 70 and the display module 100 may require precision. Hereinafter, a jig device used for fitting the coil 90 into the gap between the cover member 70 and the display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지그장치 스테이지(이하, 간단히 '스테이지')(50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스테이지(50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수납을 위한 리세스부(520)가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부(520)의 가장자리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감기는 코일(90)의 이동안내를 위한 안내경사면(510)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경사면(510)은 전체적으로 가운데가 뚫린 도넛 모양을 하고 있을 수 있다. 안내경사면(510)의 내측에는 제1 가장자리부(511)가 존재하고, 외측에는 제2 가장자리부(512)가 존재한다. 도 6a에서는 스테이지(500)의 외곽부가 사각형 상자모양을 하고 있지만,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스테이지(500)의 외곽부가 곡선형의 상자모양을 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단, 리세스부(52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수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밀착될 수 있는 모양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6A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device stage (hereinafter simply 'stage') 500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ss 520 for accommodating the display device 300 is formed on the stage 500. A guide sloping surface 510 for guiding movement of the coil 90 wound around the display device 300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recess 520. The guide sloping surface 510 may have a donut shape as a whole. The first edge portion 511 exists inside the guide slope 510 and the second edge portion 512 exists outside the guide slope 510. In Fig. 6A, the outer portion of the stage 500 has a rectangular box shape. However, in the modified embodiment, the outer portion of the stage 500 may have a curved box shape. However, the recess 520 may have a shap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device 300 when the display device 300 is ho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장치는, 상술한 지그장치 스테이지(500)를 포함하는 기계장치일 수 있다.The ji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chanical device including the jig device stage 500 described above.

도 6b는 도 6a에서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를 나타낸다.6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6A.

도 6c는 도 6b의 단면도를 통해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안내경사면의 모양이 변형된 예를 나타낸다.6C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st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sectional view of FIG. 6B, in which the shape of the guide slope is modified.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스테이지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상호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나타낸 스테이지(501, 502)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utual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tage and a display device 300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ge 501 and 502 shown in FIG. 7A and the display device 300 in tight contact with each other.

도 7a 및 도 7b를 함께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도 6a에 설명한 것과 같은 기본구조를 갖는 제1 스테이지(500, 501)와 제2 스테이지(500, 502)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300) 중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1 스테이지(500, 501)의 제1 리세스부(520, 521)에 수납되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300) 중 커버부재(70)는 제2 스테이지(500, 502)의 제2 리세스부(520, 522)에 수납되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7A and 7B together, the display device 300 can be coupled between the first stage 500, 501 and the second stage 500, 502 having the basic structure as illustrated in FIG. 6A. At this time, the display module 100 of the display device 300 may be housed in the first recesses 520 and 521 of the first and second stages 500 and 501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ver member 70 of the display device 300 may be housed in the second recesses 520 and 522 of the second stages 500 and 502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코일은 커버부재(70)의 하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간극(G1)에 삽입되어 감겨야 하는데, 제1 간극(G1)의 크기가 약 100μm 내지 300μm의 작은 값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지 없이는 코일을 감기 어렵다. 그러나 도 7b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스테이지(500, 501)의 제2 가장자리부(512)와 제2 스테이지(500, 502)의 제2 가장자리부(51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간극(G2)의 크기는 안내경사면(510)에 의해 상당히 큰 값을 갖는다. 즉, 제2 간극(G2)은 제1 간극(G1)보다 크다. 따라서 코일이 제1 간극(G1)이 존재하는 높이에서 감기는 경우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에 직접 감길 수 있다. 그리고 코일이 제2 간극(G2)이 존재하는 높이에서 감기는 경우 안내경사면(510)을 따라 제1 간극(G1) 쪽으로 유도되어 결국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에 감길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il must be inserted and wound in the first gap G1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7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When the size of the first gap G1 is about 100 mu m to 300 mu m It is difficult to wind the coil without the s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B, a second gap G2 formed between the second edge portion 512 of the first stage 500, 501 and the second edge portion 512 of the second stage 500, 502, Has a considerably large value by the guiding inclined surface 510. [ That is, the second gap G2 is larger than the first gap G1. Therefore, when the coil is wound at a height at which the first gap G1 exists, it can be wound directly on the edge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 It can be understood that when the coil is wound at a height at which the second gap G2 exists, it can be guided along the guide slope 510 toward the first gap G1 and eventually wound around the edge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

스테이지(500)가 제공되지 않았더라면 코일을 반드시 제1 간극(G1)이 존재하는 높이에 배치하여야 하는 정교한 공정이 요구되지만, 스테이지(500)가 제공됨으로써 코일의 제2 간극(G2)이 존재하는 높이에만 배치하면 된다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If the stage 500 had not been provided, a sophisticated process would be required to place the coils at a height where the first gap G1 would be present, but the second gap G2 of the coils would be present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it is only required to be disposed at a height.

도 8a는, 도 7b와 같이 스테이지(5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코일을 감을 수 있도록 설계된 권취장치(600)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권취장치(600)는 고정부(640), 회전구동부(610), 회전아암부(620), 및 코일홀딩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일홀딩부(630)는 제2 간극(G2)이 존재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감겨야 하는 코일은 코일홀딩부(630)에 홀드되어 코일홀딩부(630)의 높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아암부(620)는 회전구동부(610)의 회전속도에 맞추어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구동부(610)는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6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8A shows an example of a winding device 600 designed to wind a coil in a state where the stage 5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The winding device 600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640, a rotation driving portion 610, a rotating arm portion 620, and a coil holding portion 630. The coil holding portion 630 may be disposed at a height where the second gap G2 exists. The coil to be wound on the display device 300 is held by the coil holding part 630 and is disposed at a height of the coil holding part 630. The rotation arm portion 62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610. The rotation driving unit 61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the fixed fixing unit 640.

도 8b는, 도 7b와 같이 스테이지(5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코일을 감을 수 있도록 설계된 또 다른 구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서 코일홀딩부(630)는 공간상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코일홀딩부(630)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라면 고정하기 위한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가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코일홀딩부(630)는 제2 간극(G2)이 존재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감겨야 하는 코일은 코일홀딩부(630)에 홀드되어 코일홀딩부(630)의 높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1 스테이지(501)의 아래쪽에는 회전부(700)가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부(70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스테이지(501), 디스플레이 장치(300), 및 제2 스테이지(502)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부(700)가 회전함에 따라 코일이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에 감기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8B shows another example of a structure designed to wind the coil in a state where the stage 5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7B. In this example, the coil holding portion 630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space. Although the apparatus for fixing the coil holding portion 630 is not shown separately, various embodiments of the apparatus for fixing the coil holding portion 630 can be obvious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t this time, the coil holding portion 630 may be disposed at a height where the second gap G2 exists. The coil to be wound on the display device 300 is held by the coil holding part 630 and is disposed at a height of the coil holding part 630. The rotation unit 70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tage 501.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700 causes the first stage 501, the display device 300, and the second stage 502 to rotate together .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il is wound on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of the display device 300 as the rotating part 700 rotates.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5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상호 결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는 도 7b와 달리 한 개의 스테이지(500, 501)만이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결합된다. 이때, 도 8a 및 도 8b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여 코일을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감을 수 있다. 단, 코일홀딩부(630)는 스테이지(500, 501)의 제2 가장자리부(512)와 투명접착부재(8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제3 간극(G3)이 존재하는 높이에 제공되어야 함을 이해할 수 있다. 9 shows an example of mutual coupling of the stage 500 and the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only one of the stages 500 and 501 is combined with the display device 300, unlike FIG. 7B. At this time, the coil may be wound around the display device 300 using the method described in Figs. 8A and 8B.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il holding portion 630 should be provided at a height at which a third gap G3 formed between the second edge portion 512 of the stages 500 and 50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exists I can understand.

도 10은 도 7b에 나타낸 도면 중 일부를 확대하여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FIG. 1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drawings shown in FIG. 7B.

제1 스테이지(500, 501)의 제1 리세스부(520, 521)의 깊이(D1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두께(D12)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깊이(D11)와 두께(D12)가 같은 것이 좋지만, 깊이(D11)가 두께(D12)보다 작더라도 코일이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에 감길 수 있다. The depth D11 of the first recess portions 520 and 521 of the first stages 500 and 501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D12 of the display module 100. [ Preferably, the depth D11 and the thickness D12 are the same, but the coil can be wound around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even if the depth D11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D12.

깊이(D11)와 두께(D12)의 제1 차이값(D13)이 코일의 직경보다 큰 경우, 코일이 제1 스테이지(500, 501)의 안내경사면(510)을 따라 안내될 때에, 코일이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에 감기지 않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에 감길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이값(D13)이 코일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il is guided along the guiding sloping surface 510 of the first stage 500 or 501 when the first difference value D13 between the depth D11 and the thickness D1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il, It can be wound around the edge of the display module 100 without being wound around the edge of the adhesive member 8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ifference value D13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il.

마찬가지로 제2 스테이지(500, 502)의 제2 리세스부(520, 522)의 깊이(D21)은 커버부재(70)의 두께(D22)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깊이(D21)와 두께(D22)가 같은 것이 좋지만, 깊이(D21)가 두께(D22)보다 작더라도 코일이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에 감길 수 있다. The depth D21 of the second recess portions 520 and 522 of the second stage 500 and 502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D22 of the cover member 70. [ Preferably, the depth D21 and the thickness D22 are the same, but the coil can be wound around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even if the depth D21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D22.

깊이(D21)와 두께(D22)의 제2 차이값(D23)이 코일의 직경보다 큰 경우, 코일이 제2 스테이지(500, 502)의 안내경사면(510)을 따라 안내될 때에, 코일이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에 감기지 않고 커버부재(70)의 가장자리에 감길 수 있다. 따라서 제2 차이값(D23)이 코일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il is guided along the guiding sloped surface 510 of the second stage 500 or 502 when the second difference value D23 between the depth D21 and the thickness D2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il, Can be wound around the edge of the cover member (70) without being wound around the edge of the adhesive member (8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ifference value D23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il.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장치를 도 6a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ji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10. FIG.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지그장치는, 투명접착부재(80); 투명접착부재(80)의 일면에 접합된 제1부재; 및 투명접착부재(80)의 타면에 접합된 제2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지지하는 지그장치이다. 이때,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어느 하나는 커버부재(70)이고 다른 하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이다. 상기 지그장치는, 상기 제1부재에 접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지지하는 제1스테이지(501)를 포함한다. 이때, 제1스테이지(501)는, 상기 제1부재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제1리세스부(521); 및 제1리세스부(52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리세스부(521)의 깊이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갖는 제1안내경사면(510)을 포함할 수 있다. A jig apparatus provid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A first member joined to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And a second member join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The display device 300 is a jig device. At this time,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the cover member 70 and the other is the display module 100. The jig device includes a first stage (501) for supporting the display device (300) in contact with the first member. At this time, the first stage 501 includes a first recess portion 521 adapted to receive the first member; And a first guide sloping surface 510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first recess portion 521 and having a slope inclin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first recess portion 521. [

이때, 제1리세스부(521)의 제1깊이(D11)는 제1부재의 제1두께(D12)와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제1리세스부(521)의 제1깊이(D11)는 제1부재의 제1두께(D21)보다 작으며, 제1두께(D12)와 제1깊이(D11)의 차이(D13)는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에 감기는 코일(9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depth D11 of the first recess portion 521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thickness D12 of the first member. The first depth D11 of the first recess portion 521 i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D21 of the first member and the difference D13 between the first thickness D12 and the first depth D11,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il 90 wound around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이때, 상기 지그장치는, 상기 제2부재에 접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지지하는 제2스테이지(5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스테이지(502)는, 상기 제2부재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제2리세스부(522); 및 제2리세스부(52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2리세스부(522)의 깊이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갖는 제2안내경사면(51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ji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age 502 for supporting the display device 300 in contact with the second member. At this time, the second stage 502 includes a second recess portion 522 adapted to receive the second member; And a second guide sloped surface 510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econd recess portion 522 and having a slope inclin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second recess portion 522. [

이때, 제1스테이지(501)에는 회전축(700)이 결합되어 있으며, 제1스테이지(501)는 회전축(700)이 회전하면 회전축(700)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The first stage 501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700 and the first stage 501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700 when the rotating shaft 700 is rotated.

<디스플레이 장치에 코일을 제공하는 방법><Method of Providing a Coil to a Display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에 코일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 1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forming a coil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에 코일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 coil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10)에서, 커버부재(70)를 투명접착부재(80)의 일면에 접합한다. 이때, 투명접착부재(80)의 면적은 커버부재(7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In step S10, the cover member 70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cover member 70.

단계(S20)에서, 투명접착부재(80)의 타면에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접합한다. 이때, 투명접착부재(80)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써,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를 따라, 커버부재(70)와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니의 간극공간이 제공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0), 투명접착부재(80), 및 커버부재(7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제공될 수 있다.In step S20, the display module 100 is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display module 100. The clearance space between the cover member 70 and the display module 100 can be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and the display module 100,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A display device 300 including a display device 70 may be provided.

단계(S30)에서, 상기 간극공간에 코일(90)을 삽입하여,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를 따라 코일(90)을 감는다. 이때, 상술한 지그장치 및/또는 지그장치 스테이지(500)를 이용할 수 있다. In step S30, the coils 90 are inserted into the gap space, and the coils 90 are wound along the edges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jig device and / or jig device stage 500 can be used.

단계(S30)는 예컨대 도 8b을 참고하여 더 자세히 설명될 수 있다. 즉, 단계(S30)는, 제1 스테이지(501)의 제1 리세스부에 단계(S20)에서 제공된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삽입하는 단계(S31)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30)는, 제2 스테이지(502)의 제2 리세스부가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삽입되도록, 제2 스테이지(502)를 디스플레이 장치(300)위에 얹어놓는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30)는, 제2 간극(G2)이 존재하는 높이에 배치된 코일홀딩부(630)에 의해 안내되는 코일(90)을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 주변에 감기 위하여 회전부(700)를 회전시키는 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계(S33)에서, 도 8a에 나타낸 회전아암부(620)를 회전시킴으로써 코일(90)을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 주변에 감을 수 있다.
Step S30 may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B, for example. That is, step S30 may include inserting the display device 300 provided in step S20 into the first recessed part of the first stage 501 (step S31). Next, step S30 is a step (S32) of placing the second stage 502 on the display device 300 so that the second recessed part of the second stage 502 is inserted into the display device 300 . Step S30 is then performed to wind the coil 90 guided by the coil holding portion 630 disposed at the height at which the second gap G2 exists around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Step S33) of rotating the rotating shaft 700. In the modified embodiment, in the step S33, the coil 90 can be wound around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by rotating the rotary arm portion 620 shown in Fig. 8A.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에 코일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 12a 내지 도 12f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forming a coil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A to 12F.

도 12a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일이 제공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A to 12F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dure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를 참조하면, 단계(S110)에서, 커버부재(70)를 투명접착부재(80)의 일면에 접합한다. 이때, 투명접착부재(80)의 면적은 커버부재(7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A, in step S110, the cover member 70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Fig.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cover member 70.

도 12b를 참조하면, 단계(S120)에서, 커버부재(70)를 제1 스테이지(501)의 제1 리세스부에 삽입한다.Referring to Fig. 12B, in step S120, the cover member 70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ss portion of the first stage 501. Fig.

도 12c를 참조하면, 단계(S130)에서, 투명접착부재(80)의 타면 상에 블로킹 플레이트(blocking plate)(1500)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타면에는 투명접착부재(80)와 블로킹 플레이트(1500)가 서로 접착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접합방지시트가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블로킹 플레이트(1500)의 면적은 투명접착부재(80)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12C, in step S130, a blocking plate 1500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Fig. At this time, the other side may be provided with an anti-bonding sheet for preventing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and the blocking plate 1500 from adhering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the blocking plate 1500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

도 12d를 참조하면, 단계(S140)에서, 코일(90)을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 주위에 감는다. 이때, 상술한 코일홀딩부(630)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코일홀딩부(630)는 스테이지(501)의 제2 가장자리부(512)와 투명접착부재(8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제3 간극(G3)이 존재하는 높이에 제공되어야 함을 이해할 수 있다. 투명접착부재(80)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블로킹 플레이트(1500)가 존재하기 때문에 코일(90)은 투명접착부재(80)의 가장자리의 측면부분에 감길 수 있다. 블로킹 플레이트(1500)는 중공부가 존재하는 도넛 형상일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2D, in step S140, the coil 90 is wound around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Fig.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coil holding part 630 can be us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il holding portion 630 should be provided at a height at which a third gap G3 formed between the second edge portion 512 of the stage 50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exists have. The coil 90 can be wound around the side portion of the edge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because the blocking plate 1500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80 is present. The blocking plate 1500 may be in the form of a donut in which the hollow portion is present.

단계(S150)에서, 블로킹 플레이트(1500)를 투명접착부재(8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투명접착부재(80)의 상기 타면에 배치된 상기 접합방지시트로 함께 제거할 수 있다. In step S150, the blocking plate 1500 can be removed from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 At this time, the bonding preventing sheet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may be removed together.

도 12e를 참조하면, 단계(S160)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투명접착부재(80)상기 타면에 접착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2f에 도시한 것과 같이, 코일(90)이 제공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E, in step S160, the display module 100 may be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Fig. Then, as shown in Fig. 12F, a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coil 90 can be manufactured.

도 12a 내지 도 12e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공정은, 도 13의 순서도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A to 12E can be summarized as the flowchart of Fig.

도 12a 내지 도 12e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투명접착부재(80)에 커버부재(70)를 먼저 부착하였지만, 이와 달리 투명접착부재(80)에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먼저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블로킹 플레이트는 도 7a 등에 도시한 제2 스테이지(502)와 같은 부품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12A to 12E, the cover member 70 is first attached to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but the display module 100 may be attached to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80 firs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blocking plate may be replaced with a component such as the second stage 502 shown in FIG.

본 발명에서 설명한 커버부재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터치패널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A touch panel may be formed on the cover member or the display modul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 contents of each claim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with other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8)

투명접착부재;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일면에 접합된 제1부재;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타면에 접합된 제2부재; 및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감긴 코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어느 하나는 커버부재이고 다른 하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며,
상기 제1부재를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상기 일면에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제1부재를 제1스테이지에 형성된 제1리세스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코일을 감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리세스부의 제1깊이는 상기 제1부재의 제1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Transparent bonding member; A first member joined to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A second member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And a coil wound along an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the method comprising:
Wherein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a cover member and the other is a display module,
Bonding the first member to the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Inserting the first member into a first recess portion formed in a first stage; And
Winding the coil along an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 RTI &gt;
Wherein the first depth of the first recess portion is equal to the first thickness of the first memb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감는 단계 사이에,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상기 타면에 상기 제2부재를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bonding the second member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between the inserting step and the winding ste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를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코일을 감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제2부재를 제2스테이지에 형성된 제2리세스부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erting the second member into a second recess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stage between joining the second member and winding the coil,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감는 단계 사이에,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상기 타면 상에 블로킹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isposing a blocking plate on the other sid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between the inserting step and the winding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지는, 상기 제1부재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제1리세스부; 및 상기 제1리세스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리세스부의 깊이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갖는 제1안내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tage comprises: the first recess portion adapted to receive the first member; And a first guide sloped surface formed to surround an edge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and having a slope inclin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테이지는, 상기 제2부재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제2리세스부; 및 상기 제2리세스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리세스부의 깊이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갖는 제2안내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stage comprises: the second recess portion adapted to receive the second member; And a second guide sloped surface which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econd recess portion and has a slope inclin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second recess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가장자리가 상기 블로킹 플레이트의 바깥쪽 가장자리가 형성하는 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코일을 감을 때에, 상기 코일이 상기 투명접착부재의 상기 타면와 상기 일면 사이에 배열되도록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is positioned inside an area formed by the outer edge of the blocking plate, so that when the coil is wound along the edge of the transparent bonding member, Wherein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is arranged between the other surface and the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KR1020150010815A 2015-01-22 2015-01-22 Method for winding coil at display device KR1016286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15A KR101628682B1 (en) 2015-01-22 2015-01-22 Method for winding coil at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15A KR101628682B1 (en) 2015-01-22 2015-01-22 Method for winding coil at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682B1 true KR101628682B1 (en) 2016-06-09

Family

ID=5613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815A KR101628682B1 (en) 2015-01-22 2015-01-22 Method for winding coil at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68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923A (en) * 2011-07-13 201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20130134283A (en) * 2012-05-30 2013-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20140088541A (en) * 2011-10-31 2014-07-1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Impact resistant construction of an interactive device
KR20140119400A (en) * 2013-03-30 2014-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Cover Substrate, Apparatus for Separating Carrier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923A (en) * 2011-07-13 201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20140088541A (en) * 2011-10-31 2014-07-1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Impact resistant construction of an interactive device
KR20130134283A (en) * 2012-05-30 2013-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20140119400A (en) * 2013-03-30 2014-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Cover Substrate, Apparatus for Separating Carrier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7154B (en) Electro optical device
JP5432729B2 (en) Display device
JP5303188B2 (en) Storage containe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CN106873207B (en) Curv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display device
US8212957B2 (en) Mount structure, illumination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apparatus
US10705392B2 (en) Display device
CN105511181B (en) Narrow frame flat-panel monitor
EP3226070B1 (en) Liquid crystal module and display device
US9971086B2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981726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9237448A (en)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50163928A1 (en) Display apparatus
GB2549636A (en) Liquid crystal panel, backlight module positioning adhesive structure and display
WO200508594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TW201947298A (en) Display device including rigid guide member
US9297948B1 (en) Liquid crystal panel and backlight module positioning adhesive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JP2007065855A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JP2011013511A (en) Electronic member with protective plate
CN10436470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6243428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liance
JP2006195316A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628682B1 (en) Method for winding coil at display device
KR101610934B1 (en) JIG device for winding a coil at a display device
JP2010276934A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11191600A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