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609B1 -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609B1
KR101628609B1 KR1020150034941A KR20150034941A KR101628609B1 KR 101628609 B1 KR101628609 B1 KR 101628609B1 KR 1020150034941 A KR1020150034941 A KR 1020150034941A KR 20150034941 A KR20150034941 A KR 20150034941A KR 101628609 B1 KR101628609 B1 KR 101628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ooling water
cover
discharge hole
reservoi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승현
이용한
박남호
전명옥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609B1/ko
Priority to US14/931,691 priority patent/US9835078B2/en
Priority to DE102015119250.0A priority patent/DE102015119250B4/de
Priority to CN201510779590.7A priority patent/CN10597171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01P11/0209Closure caps
    • F01P11/0238Closure caps with overpressure valves or ven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76Draining or pu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85Ven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의 주입시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캡 오픈시 냉각수의 증기가 작업자의 손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와 이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방지커버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는, 상부에 주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차량의 엔진을 냉각시키는 냉각수가 저장되며, 상기 주입구(11)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증기 또는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12)이 형성되는 탱크(10)와, 미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하거나, 회전되기 시작하면 상기 배출공(12)이 개방되도록 상기 주입구(11)에 체결되는 압력캡(20)과, 상기 배출공(12)을 통하여 배출된 증기 또는 냉각수가 상기 탱크(10)의 표면을 따라 상기 탱크(10)의 하부로 유동하도록 저면이 상기 탱크(10)의 표면과 간극을 두고 상기 탱크(10)의 외측면에 끼워지는 화상방지커버(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PRESSURIZATION TYPE RESERVOIR TANK ASSEMBLY FOR COOLING WATER HAVING COVER FOR PREVENTING BURNS IN}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을 냉각시키는 사용되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수의 주입시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압력캡 오픈시 냉각수의 증기가 작업자의 손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와 이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된 엔진은 상기 엔진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해서 냉각수를 이용한다.
상기 냉각수는 상기 엔진과 라디에이터를 순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냉각수의 양을 보충하기 위해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가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된다.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의 상단에는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의 내부로 냉각수를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111)에 압력캡(120)이 체결된다.
상기 압력캡(120)은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이 주입구(111)를 개폐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의 내부 압력에 정해진 압력, 예컨대, 1.1bar가 되면,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 내부의 고온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아울러, 상기 압력캡(120)은 작업자가 개방시켰을 때,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 내부의 고온의 증기가 작업자의 손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져야 하는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와 상기 압력캡(120)은 나사결합식으로 체결되되, 상기 압력캡(12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121)와, 상기 밸브(121)를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122)과 제2스프링(123)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와 상기 압력캡(120) 사이에 제1실링(124)과 제2실링(12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주입구(111)의 일측으로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의 하단과 연통되도록 배출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12)과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의 하단과 연통하는 배출통로(113)가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의 상하방향으로 배출공(112)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112)과 상기 배출통로(113)를 통하여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로부터 고온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면,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제1스프링(122)과 제2스프링(123)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121)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2실링(125)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실링(124)이 개방되어,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와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이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112)을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배출통로(113)로 유동하여,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 내부의 압력이 해소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압력캡(120)을 회전시키면, 회전초기에 고온의 증기가 상기 배출공(112)으로 배출되어 상기 배출통로(113)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작업자가 상기 압력캡(120)을 1바퀴 정도 회전시키면, 상기 제1실링(124)만 개방되면서 상기 배출공(112)을 통하여 가압된 고온의 증기가 배출되어, 고온의 증기가 작업자의 손으로 분출되어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작업자가 상기 압력캡(120)을 완전히 회전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링(124)도 개방되면서, 상기 고온의 증기는 배출공(112)과 상기 주입구(1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의 상태에서는 도 2의 상태에서 압력이 대부분 해소되므로, 상기 주입구(1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증기는 일부에 불과하다.
한편, 도 3의 상태로부터 상기 압력캡(120)을 더 회전하면, 상기 압력캡(120)은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가 된다. 만약,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 내부의 냉각수가 부족하면, 상기 압력캡(120)을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주입구(111)를 통하여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로 주입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에서는 상기 배출통로(113)가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 냉각수가 상기 배출통로(113)를 통하여 누출될 수 있다. 또한, 냉각수 주입시 냉각수가 누출되면,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10)가 파손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입구(111)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거나, 주입구(111)와 배출공의 위치를 이격시켜야 하는데, 이는 사이즈 증대에 따라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가압식 리저버탱크의 압력조절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00-0049126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냉각수 주입시 새로이 주입되는 냉각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냉각수가 누출되더라도 상기 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하여 누출된 냉각수에 의해 파손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와 이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력캡을 개방하였을 때, 내부의 고온의 증기가 작업자의 손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와 이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캡이 락킹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와 이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는, 내부에 냉각수가 채워지는 탱크의 일측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탱크에 결합되면, 상기 탱크의 주입구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 또는 냉각수가 상기 탱크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저면이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의 표면과 간격을 두고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상방지커버는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상기 탱크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탱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에 결합되도록, 상기 화상방지커버의 저면에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는 결합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방지커버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는, 상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차량의 엔진을 냉각시키는 냉각수가 저장되며, 상기 주입구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증기 또는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탱크와, 미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하거나, 회전되기 시작하면 상기 배출공이 개방되도록 상기 주입구에 체결되는 압력캡과,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된 증기 또는 냉각수가 상기 탱크의 표면을 따라 상기 탱크의 하부로 유동하도록 저면이 상기 탱크의 표면과 간극을 두고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끼워지는 화상방지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탱크에서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부위에 상기 배출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주입구로부터 돌출되게 배출공 커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의 표면에서는 상기 화상방지커버가 끼워지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화상방지커버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돌기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결합돌기와 같은 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탱크의 상하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의 표면에는 상기 탱크의 표면을 따라 상기 탱크의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탱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화상방지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에 끼워지는 결합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는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화상방지커버의 저면의 양단에 상기 결합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공 커버의 상부면과 측면을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압력캡의 둘레 일측에는 상기 압력캡이 상기 주입구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배출공 커버의 양단을 파지하는 잠금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와 이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에 따르면, 작업자가 압력캡을 회전시키면, 회전초기에 탱크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어 증기와 냉각수가 배출되고, 배출된 증기와 냉각수는 화상방지커버의 저면과 탱크의 표면 사이를 통하여 유동하므로, 고온의 증기와 냉각수가 분출되어 화상을 입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공(12)이 탱크 주입구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냉각수의 주입시 냉각수가 탱크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통로를 따라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배출통로를 따라 냉각수가 누출됨에 따라 상기 탱크의 파손으로 오인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방지, 냉각수 누출을 방지를 위해 탱크의 주입구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존의 냉각수 주입건, 압력캡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압력캡이 일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압력캡이 완전히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에서 냉각수 주입시 냉각수가 누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에서 압력캡이 1.5회전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에서 압력캡이 2회전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에 정압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부압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와 이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와 이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는, 내부에 냉각수가 채워지는 탱크(10)의 일측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탱크(10)에 결합되면, 상기 탱크(10)의 주입구(11)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공(12)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 또는 냉각수가 상기 탱크(10)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저면이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0)의 표면과 간격을 두고 상기 냉각수 리저버 탱크(10)에 결합되고, 화상방지커버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는, 상부에 주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차량의 엔진을 냉각시키는 냉각수가 저장되며, 상기 주입구(11)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증기 또는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12)이 형성되는 탱크(10)와, 미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하거나, 회전되기 시작하면 상기 배출공(12)이 개방되도록 상기 주입구(11)에 체결되는 압력캡(20)과, 상기 배출공(12)을 통하여 배출된 증기 또는 냉각수가 상기 탱크(10)의 표면을 따라 상기 탱크(10)의 하부로 유동하도록 저면이 상기 탱크(10)의 표면과 간극을 두고 상기 탱크(10)의 외측면에 끼워지는 화상방지커버(30)를 포함한다.
탱크(10)는 내부에 냉각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탱크(10)의 상단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탱크(10)의 내부로 냉각수를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11)가 형성되고, 냉각수의 순환을 위해 상기 탱크(10)의 일측에는 상기 탱크(10)로부터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탱크(10)로 순환된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11)에는 상기 주입구(11)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배출공(12)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12)은 고온의 증기 또는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주입구(11)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배출공(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배출공(12)으로 배출된 증기 또는 냉각수는 상기 탱크(10)를 표면을 따라 유동한다. 상기 배출공(12)이 상기 주입구(11)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주입구(11)를 통하여 냉각수를 주입할 때, 상기 냉각수가 누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탱크(10)에서 상기 배출공(12)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배출공(12)을 둘러싸도록 배출공 커버(13)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 커버(13)는 상부면과 측면이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 커버(13)의 상부면과 측면이 상기 배출공(12)을 둘러싸고 있어서, 상기 배출공(12)으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증기 또는 냉각수가 상방으로 분출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탱크(10)에는 결합돌기(14)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4)는 화상방지커버(30)의 체결시 상기 탱크(10)에 상기 화상방지커버(30)가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수단의 한가지이다. 상기 결합돌기(14)는 상기 탱크(10)의 표면에 상기 탱크(10)의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 결합돌기(14)는 상기 탱크(10)의 상하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탱크(10)의 표면에는 상기 탱크(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15)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15)는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 커버(13)가 형성된 부위로부터 상기 탱크(10)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상기 탱크(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15)는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15)가 상기 탱크(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출공(12)으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는 상기 가이드(15)를 따라 상기 탱크(10)의 아래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압력캡(20)은 상기 주입구(11)에 체결된다. 상기 압력캡(20)은 주입구(11)를 폐쇄하여 냉각수의 유실을 방지하고, 냉각수의 주입시에는 상기 주입구(11)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압력캡(20)은 상기 주입구(11)를 개폐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상기 탱크(10)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엔진의 구동에 의해 상기 냉각수 또는 상기 냉각수가 증발한 증기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개방되어 상기 탱크(1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탱크(1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경우에도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적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고온일 때, 작업자가 상기 압력캡(20)을 개방시키는 경우 상기 고온의 증기 또는 냉각수가 외부로 먼저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압력캡(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밸브(21)가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탱크(10) 내부에 따라 상기 밸브(21)를 승강시킬 수 있는 제1스프링(22)과 제2스프링(23)이 구비되며, 상기 압력캡(20)과 상기 주입구(11) 사이를 기밀하는 제1실링(24)과 제2실링(25)이 설치된다. 상기 제1실링(24)과 상기 제2실링(25) 중에서 상기 제1실링(24)이 상기 압력캡(20)의 개방시 먼저 기밀이 해제된다.
상기 압력캡(20)의 내부구조는 통상의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의 압력캡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압력캡(20)은 상기 탱크(10)의 주입구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압력캡(20)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돌기(26)가 형성된다. 상기 잠금돌기(26)는 상기 압력캡(20)의 둘레 일측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잠금돌기(26)는 상기 압력캡(20)이 상기 주입구(11)에 완전히 체결되면, 상기 배출공 커버(13)를 파지하는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압력캡(2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화상방지커버(30)는 상기 탱크(10)의 측면에 끼워져, 상기 배출공(12)으로부터 배출된 냉각수가 상기 화상방지커버(30)의 저면과 상기 탱크(10)의 표면 사이를 통하여 유동하도록 한다. 상기 화상방지커버(30)가 상기 배출공(12)으로부터 배출된 냉각수가 상방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상기 압력캡(20)을 개방하였을 때, 고온의 증기 또는 냉각수에 의한 화상을 방지한다.
상기 화상방지커버(30)는 상단이 상기 배출공 커버(13)의 전면을 폐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탱크(10)의 표면을 따라 휘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화상방지커버(30)는 상기 탱크(10)의 표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3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31)은 상기 탱크(10)의 표면에서 상기 결합돌기(14)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도록 상기 화상방지커버(30)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31)은 상기 결합돌기(14)와 같은 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방지커버(30)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15)를 수용할 수 있도록 결합슬롯(32)이 형성된다. 상기 화상방지커버(30)의 저면에서 상기 결합슬롯(32)이 형성된 간격은 상기 가이드(15)가 형성된 간격과 동일하다.
상기 화상방지커버(30)를 상기 탱크(10)에 조립하면, 상기 결합돌기(14)가 상기 결합공(31)에 삽입되어 상기 화상방지커버(30)가 상기 탱크(10)에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방지커버(30)의 결합슬롯(32)이 상기 가이드(15)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배출공(12)을 통하여 배출된 냉각수는 상기 탱크(10)에 형성된 가이드(15) 사이에서 상기 탱크(10)를 표면을 따라 아래로 유동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평상시에는 압력캡(20)이 상기 주입구(11)에 최대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상기 주입구(11)의 배출공(12)을 통하여 상기 탱크(10) 내부의 증기 또는 냉각수가 배출되지 않는다. 이렇게 상기 탱크(10)의 내부에 일정한 양의 냉각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구동에 의해 가열된 엔진을 상기 냉각수가 순환하면서, 상기 엔진을 냉각시킨다.
또한, 상기 압력캡(20)의 잠금돌기(26)가 상기 배출공 커버(13)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압력캡(20)의 개방은 저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 엔진의 구동에 의해서 냉각수가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캡(20)을 개방하거나, 상기 탱크(10)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면, 상기 배출공(12)을 통하여 고온의 증기 또는 냉각수가 배출된다.
도 8에는 작업자가 상기 압력캡(20)을 회전시키는 초기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압력캡(20)을 1.5회전 시키면, 상기 압력캡(20)이 상기 주입구(11)로부터 풀어지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제1실링(24)의 기밀이 먼저 해제되면서, 상기 탱크(10) 내부와 상기 배출공(12)이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배출공(12)을 통하여 상기 탱크(10) 내부와 외부가 서로 연통되므로, 상기 탱크(10) 내부로부터 고온의 증기 또는 냉각수가 상기 배출공(1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고온의 증기 또는 냉각수가 배출될 때 압력에 의해 분출되면서, 상기 압력캡(20)을 개방시키는 작업자의 손에 화상을 입힐 수 있는데, 이를 상기 화상방지커버(30)가 방지한다. 즉, 상기 배출공(12)으로부터 분출된 증기와 냉각수는 우선 상기 배출공 커버(13)에 의해 상방으로 분출되는 것이 1차적을 방지된다. 또한 배출된 증기 또는 냉각수는 상기 화상방지커버(30)의 저면을 따라 흐르게 되므로 고온의 증기 또는 냉각수가 작업자의 손으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분출된 냉각수는 상기 화상방지커버(30)의 저면과 상기 탱크(10)의 표면을 따라 흘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압력캡(20)을 더 회전시키면, 상기 제1실링(24)과 함께 제2실링(25)도 개방되면서, 증기와 냉각수가 상기 주입구(11)를 통해서도 배출된다(도 9 참조). 이 상태에서는 상기 압력캡(20)의 회전초기에 고온의 증기와 냉각수가 배출되므로, 상기 제2실링(25)을 통하여 배출되는 양은 그리 많지 않다.
도 9의 상태에서 상기 압력캡(20)을 더 회전시키면, 상기 압력캡(20)은 상기 주입구(11)와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주입구(11)가 노출된다. 상기 주입구(11)가 노출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탱크(10)의 내부로 냉각수를 주입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도 11에는 상기 탱크(10) 내부의 압력이 대기보다 높거나 대기보다 낮은 경우의 작동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만약,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10) 내부의 압력이 높다면, 상기 제1실링(24)과 상기 제2실링(25)이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프링(22)과 상기 제2스프링(23)의 작용에 의해 상기 밸브(21)가 상승하여 상기 탱크(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된다. 상기 탱크(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면, 고압인 상기 탱크(10) 내부로부터 외부로 증기와 냉각수가 배출되어 상기 탱크(1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적정수준의 압력을 유지한다.
도 11에는 상기 탱크(10) 내부의 압력이 낮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도 상기 제1실링(24)과 상기 제2실링(25)이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프링(22)과 상기 제2스프링(23)에 의해 상기 밸브(21)가 상승하여 상기 탱크(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탱크(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탱크(10) 내부의 압력일 설정된 값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한다.
10 : 냉각수 리저버 탱크 11 : 주입구
12 : 배출공 13 : 배출공 커버
14 : 결합돌기 15 : 가이드
20 : 압력캡 21 : 밸브
22 : 제1스프링 23 : 제2스프링
24 : 제1실링 25 : 제2실링
26 : 잠금돌기 30 : 화상방지커버
31 : 결합공 32 : 결합슬롯
110 : 냉각수 리저버 탱크 111 : 주입구
112 : 배출공 113 : 배출통로
120 : 압력캡 121 : 밸브
122 : 제1스프링 123 : 제2스프링
124 : 제1실링 125 : 제2실링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차량의 엔진을 냉각시키는 냉각수가 저장되며, 상기 주입구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증기 또는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탱크와,
    미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하거나, 회전되기 시작하면 상기 배출공이 개방되도록 상기 주입구에 체결되는 압력캡과,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된 증기 또는 냉각수가 상기 탱크의 표면을 따라 상기 탱크의 하부로 유동하도록 저면이 상기 탱크의 표면과 간극을 두고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끼워지는 화상방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의 표면에는 상기 탱크의 표면을 따라 상기 탱크의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탱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화상방지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에 끼워지는 결합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에서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부위에 상기 배출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주입구로부터 돌출되게 배출공 커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표면에서는 상기 화상방지커버가 끼워지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화상방지커버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결합돌기와 같은 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탱크의 상하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화상방지커버의 저면의 양단에 상기 결합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 커버의 상부면과 측면을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압력캡의 둘레 일측에는 상기 압력캡이 상기 주입구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배출공 커버의 양단을 파지하는 잠금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KR1020150034941A 2015-03-13 2015-03-13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KR101628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941A KR101628609B1 (ko) 2015-03-13 2015-03-13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US14/931,691 US9835078B2 (en) 2015-03-13 2015-11-03 Burn prevention cover coupled to pressurized coolant reservoir tank and pressurized coolant reservoir tank assembly having the same
DE102015119250.0A DE102015119250B4 (de) 2015-03-13 2015-11-09 Verbrennungsschutzabdeckung, die mit einem unter druck setzbaren kühlmitteltank gekoppelt ist, und unter druck setzbare kühlmitteltankanordnung, die dieselbe aufweist
CN201510779590.7A CN105971714B (zh) 2015-03-13 2015-11-13 加压冷却剂储存箱的防灼伤盖及加压冷却剂储存箱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941A KR101628609B1 (ko) 2015-03-13 2015-03-13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609B1 true KR101628609B1 (ko) 2016-06-08

Family

ID=56194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941A KR101628609B1 (ko) 2015-03-13 2015-03-13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35078B2 (ko)
KR (1) KR101628609B1 (ko)
CN (1) CN105971714B (ko)
DE (1) DE102015119250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463A (ko) * 2017-09-05 2019-03-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리저버 탱크
KR20210012591A (ko) * 2019-07-26 2021-02-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리저버 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4410A1 (en) * 2014-12-08 2016-06-16 Toledo Molding & Die, Inc. Dual chamber coolant reservoir
KR20210076445A (ko) * 2019-12-16 2021-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통합 리저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231U (ja) * 1992-03-02 1993-10-08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ラジエータリザーバタンクの構造
JPH0618576Y2 (ja) * 1988-11-10 1994-05-18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セラミックス製平膜
KR970040853U (ko) * 1995-12-27 1997-07-29 자동차의 냉각수 보조탱크 증기방출구조
KR20000049126A (ko) 1996-10-14 2000-07-25 소시에떼 나쇼날 데듀뜨 에 드 꽁스트럭시용 드 모뙤르 다비아시옹-에스.엔.이.씨.엠.에이. 복합 탄소/탄소-탄화규소 재료로 된 마찰 부재와 그의 제조방법
JP2005344687A (ja) * 2004-06-07 2005-12-15 Denso Corp リザーブタン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576Y2 (ja) 1978-10-25 1985-06-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におけるラジエタのリザ−ブタンク
DE4233038C1 (de) * 1992-10-01 1993-11-25 Daimler Benz Ag Überdrucksicherung für einen Kühlmittelkreislauf
ES2121626T3 (es) * 1994-06-01 1998-12-01 Heinrich Reutter Tapa de cierre fijable a un manguito de deposito.
DE29611514U1 (de) 1996-07-02 1997-10-30 Reutter Heinrich Verschlußdeckel mit temperaturabhängiger Abschraubsicherung
CA2301117C (en) * 1997-08-21 2008-03-25 Tesma International Inc. Coolant container cap assembly
KR100391128B1 (ko) 2000-08-24 200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압식 리저버탱크의 압력조절장치
CN2527720Y (zh) * 2001-12-10 2002-12-25 稳稳稳车料有限公司 水箱盖的上盖构造
US6796451B2 (en) 2002-07-18 2004-09-28 Stant Manufacturing Inc. Pressure deactivated torque override coolant cap
CN2578533Y (zh) * 2002-09-11 2003-10-08 长安汽车(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发动机新型水箱盖
JP2008261324A (ja) * 2007-04-16 2008-10-30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リザーブタンク
KR20090109856A (ko) 2008-04-16 2009-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리저버 탱크
JP5609824B2 (ja) * 2011-08-31 2014-10-22 豊田合成株式会社 リザーブタンク
US8794364B2 (en) * 2012-06-14 2014-08-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cking cap for a fluid reservoir
CN103512417A (zh) * 2012-06-19 2014-01-15 扬州家忠机械有限公司 水箱气塞结构
KR20150034941A (ko) 2013-09-27 2015-04-06 한인순 티안나 명품 앞머리 증모용 글루 개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76Y2 (ja) * 1988-11-10 1994-05-18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セラミックス製平膜
JPH0573231U (ja) * 1992-03-02 1993-10-08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ラジエータリザーバタンクの構造
KR970040853U (ko) * 1995-12-27 1997-07-29 자동차의 냉각수 보조탱크 증기방출구조
KR20000049126A (ko) 1996-10-14 2000-07-25 소시에떼 나쇼날 데듀뜨 에 드 꽁스트럭시용 드 모뙤르 다비아시옹-에스.엔.이.씨.엠.에이. 복합 탄소/탄소-탄화규소 재료로 된 마찰 부재와 그의 제조방법
JP2005344687A (ja) * 2004-06-07 2005-12-15 Denso Corp リザーブタン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463A (ko) * 2017-09-05 2019-03-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리저버 탱크
KR102173400B1 (ko) * 2017-09-05 2020-11-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리저버 탱크
KR20210012591A (ko) * 2019-07-26 2021-02-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리저버 탱크
KR102595227B1 (ko) * 2019-07-26 2023-10-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리저버 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119250A1 (de) 2016-09-15
CN105971714A (zh) 2016-09-28
DE102015119250B4 (de) 2022-11-03
US9835078B2 (en) 2017-12-05
US20160265415A1 (en) 2016-09-15
CN105971714B (zh) 202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609B1 (ko)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결합되는 화상방지커버를 구비한 가압식 냉각수 리저버 탱크 어셈블리
US20130139903A1 (en) Expansion reservoir for a coolant circuit
KR102529018B1 (ko) 담수형 배터리 랙 소화장치
JP2017020693A (ja) 給湯器
US9856777B2 (en) Dual chamber coolant reservoir
KR101457531B1 (ko) 라디에이터 캡 구조
KR100667267B1 (ko) 턴디쉬 예열용 버너
BR0014984B1 (pt) porta do forno de coqueificação com canal de gás.
KR101958838B1 (ko) 폐가스연소기가 구비된 흑기와 성형장치
KR101927260B1 (ko) 가스레인지
KR20080090629A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안전배출장치
CN212985041U (zh) 一种隔热防火门
KR102273672B1 (ko) 휴대용 가스버너
KR20220145245A (ko) 선박용 배터리 랙의 화재방지시스템
KR100489116B1 (ko) 라디에이터 캡
KR100435734B1 (ko) 누유 방지용 오일필러 캡
KR200391578Y1 (ko) 가스 버너용 가스 차단장치
KR101079263B1 (ko) 과류방지 및 기밀성을 향상시킨 가스용기용 밸브
CN215637076U (zh) 蒸汽机泄压结构及蒸汽清洁机
KR100832196B1 (ko) 서지탱크의 개폐구조
JPH0629564Y2 (ja) 低温流体用軸封装置
BR102018010404A2 (pt) compressor de refrigeração compreendendo arranjo de proteção para conexões elétricas
KR102201273B1 (ko) 벤트 기능 개선 냉각수 보조탱크 캡
KR102358793B1 (ko) 배기가스 송풍 모터 보호기능을 구비한 착화장치
KR20030022225A (ko) 안전토출기능를 갖춘 음료공급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