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208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208B1
KR101628208B1 KR1020150141446A KR20150141446A KR101628208B1 KR 101628208 B1 KR101628208 B1 KR 101628208B1 KR 1020150141446 A KR1020150141446 A KR 1020150141446A KR 20150141446 A KR20150141446 A KR 20150141446A KR 101628208 B1 KR101628208 B1 KR 101628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plink data
base station
information
data re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성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1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04W40/125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using a measured number of retransmissions as a link me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의 기지국에 대한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D2D)을 통해,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단말의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이 기지국으로 상향 데이터를 송신할 때 이웃 단말들과 협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 간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기반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에 대한 규격 작업을 완료하였다. MTC 규격은 사물과 이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인 서버 간의 통신을 지칭하는 것으로 스마트 그리드의 원격 메터와 같은 필드 디바이스(Field device, FD)와의 통신이 주요한 애플리케이션이다.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모의 많은 부분은 통신에 의해 발생하고, 특히 단말의 데이터 송신 시에 많은 전력 소모가 발생한다. 이동 통신 기지국의 경우, 기지국과 단말의 거리가 무선랜과 같은 지역 네트워크에 비해 수배 혹은 수십배 멀기 때문에 단말에 요구되는 전력 소모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커버리지(coverage) 확장 방안이 필요하다. 실내 사물 인터넷 환경의 경우, 콘크리트 벽이나 지하에 위치한 단말의 경우, 많은 전파 손실을 경험하므로 연결성을 확보하기 쉽지 않다. 지역 네트워크의 경우, 사물의 연결성에 따라 주변 노드들 개수의 확대 및 게이트웨이 위치를 근거리에 두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통신의 경우, 기지국 위치 변경이나 증설 자체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단말과 기지국 간 연결성을 확보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향 채널의 커버리지(coverage) 확장을 위해 단말이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증가하면 상기 단말의 전력 소모가 가중되는 점을 고려하여, 이웃하는 단말들 간 협력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무선 통신 거리를 확장할 수 있는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의 기지국에 대한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D2D)을 통해,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단말의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다른 단말의 사용자,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식별자를 나타내는 식별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 메시지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의 존재를 알리는 광고(advertisement)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함께, 상기 다른 단말이 접근 가능한 인근 단말의 제3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가 상기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보다 크면, 상기 상향 데이터가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되도록 상기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은, 하기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고,
[수학식 1]
Figure 112015097538574-pat00001
상기 Etx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시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Erx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시 수신 에너지이고, 상기 Nhop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단말까지의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 횟수이고, 상기 Eup는 상기 다른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Mrep는 상기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이고, 상기 Eup'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Nrep는 상기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일 수 있다.
상기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은, 하기 수학식 2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고,
[수학식 2]
Figure 112015097538574-pat00002
상기 Rs는 상기 다른 단말의 잔여 에너지 비율이고, 상기 Etx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시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Erx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시 수신 에너지이고, 상기 Nhop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단말까지의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 횟수이고, 상기 Eup는 상기 다른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Mrep는 상기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이고, 상기 Rr은 상기 단말의 잔여 에너지 비율이고, 상기 Eup'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Nrep는 상기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일 수 있다.
상기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단말과 상기 다른 단말 각각을 동일한 DRX(discontinuous reception) 주기로 설정하기 위한 DRX 설정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은, 기지국 및 다른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단말의 기지국에 대한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D2D)을 통해,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단말의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는, LTE(long term evolution)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의 상향 데이터 통신에서 커버리지(coverage) 확장 동작 시, 이웃하는 단말들 간 협력통신을 통해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무선 통신 거리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데이터 통신 시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기지국과 단말 간 제어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D2D 통신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단말 간 협력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협력 통신을 통해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협력 통신 시 데이터의 MAC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논리 접속 식별자를 갖는 제어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협력 통신을 위해서 DRX를 스케쥴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05, 110, 115, 120)과 MME(1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130, Serving-Gateway)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35)은 ENB(105 ~ 120) 및 S-GW(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에서 ENB(105 ~ 120)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는 UE(1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05 ~ 1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12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데이터 통신 시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기지국과 단말 간 제어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단말(210)과의 통신을 위한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x, 여기서 x는 임의의 숫자이다)(또는 시스템 정보로 불릴 수 있다)을 방송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S200). 이때, 단말(210)은 사물통신(machine to machine, M2M)을 수행할 수 있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일 수 있다.
단말(210)은 기지국(200)으로부터 시스템 정보 블록(SIBx)을 주기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상하향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정보 및 액세스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블록(SIBx)은 단말(210)의 상하향 커버리지 확장(Coverage extension, 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커버리지 확장 정보는 하향 및 상향 데이터의 재전송 횟수와, 해당 데이터를 결합하여 수신율을 올리고 에러율을 낮출 수 있는 코딩(coding) 기법 및 관련 파라미터(paramete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 정보 블록(SIBx)은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단말(210)의 기지국(200)에 대한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가 'n(여기서, n은 자연수)'임을 나타내는 정보('NO. of repetition for CE = n')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리지 확장 정보는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사용하는 증가성 중복(incremental redundancy) 정보를 비롯하여, 재전송 횟수에 따라 기존의 4개의 펑쳐링 모드(puncturing mode)에서 추가적으로 더 많은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10개의 모드를 정의하는 경우, 각 모드에 대한 시퀀스(sequence) 정보를 기지국 시스템 정보 블록(SIBx)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0개의 모드에 대한 시퀀스 정보는 예를 들어, '0->2->1->5->9->8->4->3->7->6' 과 같을 수 있다. 또한, 단순한 소프트 비트의 결합을 신호 대비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높이는 방식으로서 기존 체이스 컴바이닝(chase combining) 방식에 따라 수신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단말(210)은 시스템 정보 블록(SIBx)에 포함된 기지국(200)에 대한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가 'n'으로 설정된 경우, 'n'번에 걸쳐 동일한 상향 데이터를 상향 데이터 채널을 통해 기지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210 ~ S230).
상기 상향 데이터 채널은 기지국(200)에 의해 반 고정적(semi-static)으로 혹은 유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기지국(200)이 반 고정적으로 상향 데이터 채널을 할당할 경우, RRC 연결 재설정(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configuration ,RRCConnReconfiguration)을 통해 단말에 반 영구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200)이 유동적으로 상향 데이터 채널을 할당할 경우, 단말(210)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들 각각의 무선 접속 식별자(예컨대, C-RNTI)를 이용하여 하향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를 통해 각 서브 프레임별 상향 데이터 채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단말(210)의 위치에 따라 기지국(200)이 상향 데이터를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커버리지 확장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특정 단말은 기지국(200)으로 10번의 상향 데이터 재전송이 필요하고, 다른 단말은 기지국(200)으로 20번의 상향 데이터 재전송이 필요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블록(SIBx)에 포함된 단말(210)의 기지국(200)에 대한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는, 기지국(200)에서 제공하는 최대한의 커버리지 확장 효과에 준하는 것이고, 각 단말에 따라 상기 재전송 횟수는 다를 수 있다.
기지국(200)은 단말(210)로부터 상향 데이터 수신 시 디코딩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확인 결과 단말(210)에 최적화된 재전송 횟수를 판단하고, 상기 최적화된 재전송 횟수를 단말(210)에 알려 줄 수 있다. 하기 표 1을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전용 RRC 연결 재설정(dedicated RRCConnReconfiguration) 메시지로서 제1 재전송 횟수 조정 메시지를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S240). 즉, 기지국(200)은 최적화된 재전송 횟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로서 상기 제1 재전송 횟수 조정 메시지를 통해 단말(210)의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조정할 수 있다.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uration message)
-- ASN1START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 SEQUENCE {
rrc-TransactionIdentifier RRC-TransactionIdentifier,
criticalExtensions CHOICE {
c1 CHOICE{
rrcConnectionReconfiguration-r8 RRCConnectionReconfiguration-r8-IEs,
spare7 NULL,
spare6 NULL, spare5 NULL, spare4 NULL,
spare3 NULL, spare2 NULL, spare1 NULL
},
criticalExtensionsFuture SEQUENCE {}
}
}
MTCDLCoverageExt-r14 ::= SEQUENCE {
downlinkCERepetition INTEGER (1..MaxDLCoverageExt), -- Need ON
...
}
단말(210)은 기지국(200)으로부터 하향 데이터를 반복 수신할 때, 디코딩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최적화된 재전송 횟수를 판단하고, 상기 최적화된 재전송 횟수를 기지국(200)에 알려 줄 수 있다. 하기 표 2를 참조하면, 단말(210)은 단말 정보(UE information)로서 제2 재전송 횟수 조정 메시지를 기지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250). 즉, 단말(210)은 최적화된 재전송 횟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로서 상기 제2 재전송 횟수 조정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200)의 하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조정할 수 있다.
단말 정보 응답 메시지(UEInformationResponse message)
-- ASN1START

UEInformationResponse-r9 ::= SEQUENCE {
rrc-TransactionIdentifier RRC-TransactionIdentifier,
criticalExtensions CHOICE {
c1 CHOICE {
ueInformationResponse-r9 UEInformationResponse-r9-IEs,
spare3 NULL, spare2 NULL, spare1 NULL
},
criticalExtensionsFuture SEQUENCE {}
}
}

UEInformationResponse-r9-IEs ::= SEQUENCE {
rach-Report-r9 SEQUENCE {
numberOfPreamblesSent-r9 NumberOfPreamblesSent-r11,
contentionDetected-r9 BOOLEAN
} OPTIONAL,
rlf-Report-r9 RLF-Report-r9 OPTIONAL,
nonCriticalExtension UEInformationResponse-v930-IEs
}

MTCULCoverageExt-r14 ::= SEQUENCE {
uplinkCERepetition INTEGER (1..MaxULCoverageExt),
...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D2D 통신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단말 간 협력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사이의 직접 통신에 기반한 근접 통신 방법은 LTE(long term evolution) D2D(device to device) 통신 기술뿐만 아니라 기존의 무선랜 혹은 근접 거리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통신 방법은 크게 디스커버리와 단말 직접 통신의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디스커버리의 경우는 사용자 단말이 직접 통신이 가능한 인근 단말을 찾거나 사용자 단말 스스로 본인의 존재를 알리는 절차로 나누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통신 가능한 인근 단말을 찾는 탐색 서비스의 경우에, 사용자 단말은 인근에 위치하는 특정 단말,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탐색할 수 있다. 예컨대,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등록된 상대방을 인근에서 찾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은 해당 단말의 사용자,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식별자를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당 단말은 해당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한 식별자를 확인하고 해당 식별자가 상기 해당 단말에 해당하는 경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함으로써 디스커버리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스스로 본인의 존재를 알리는 광고(advertisement) 방식의 경우는, 예컨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가,식당, 특정 POI(point of interest), 공공기관, 공원, 박물관 등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알리는 것일 수 있다. 광고 방식은 수신 단말이 구체화되지 않고 불특정 다수 단말에 대한 것으로 수신 단말들이 발신 단말에 대한 관심에 따라 수신 여부를 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 단말들 각각은 발신자, 해당 서비스, 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identification)를 근접 통신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전에 획득해야 하며, 상기 식별자를 기반으로 링크 계층인 MAC(medium access control)과 물리계층에서 필터를 설정함으로써 다수의 광고 메시지들을 무차별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줄이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사용자 단말 스스로 본인의 존재를 알리는 광고(advertisement) 방식의 디스커버리를 이용한 단말 간 협력 통신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설명된 방법을 통해 단말들(300 ~ 340) 각각은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개별적으로 설정된 커버리지 확장(coverage extension, CE)을 위한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들(300 ~ 340) 각각은 상기 디스커버리 동작에 대해 할당된 디스커버리 채널을 통해 인근 단말에 상기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300)은 제1 단말(300)의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UE1:CE=n')를 광고 메시지에 포함하고, 상기 광고 메시지를 상기 디스커버리 채널을 통해 제3 단말(320)로 전송(또는 방송)할 수 있다. 이때, 제3 단말(320)은 제3 단말(320)의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UE3:CE=m')를 광고 메시지에 포함하고, 상기 광고 메시지를 상기 디스커버리 채널을 통해 제1 단말(300)로 전송(또는 방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단말(300)과 제3 단말(320)은 상대 단말의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재전송 횟수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획득한 상기 재전송 횟수에 대한 정보는 제1 단말(300) 또는 제3 단말(320)에 의해 이웃 단말(310 또는 340)에게 재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특정 광고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상기 광고 메시지를 발신한 단말의 CE 재전송 횟수 뿐만 아니라 발신 단말이 접근 가능한 인근 단말의 CE 재전송 횟수에 대한 정보도 함께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멀티 홉(multi hop) 내의 단말들의 CE 재전송 횟수를 기반으로 해당 단말은 본인의 데이터를 기지국에 직접 송신할 것인지 인근 단말을 거쳐 기지국으로 전송할지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전체적인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멀티 홉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식은 제한될 수 있다.
단말 간 직접 통신의 경우, 공공 안전 혹은 인접 단말 간의 통신을 위해서 단말 상호간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단말들 각각은 상호 간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링크는 기본적으로 방송 물리 채널과 유사하게 그룹 통신을 기반으로 하고, 그룹 멤버 수에 해당하는 단말 수에 따라 일대일 통신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단말 간 직접 통신은 기지국 커버리지(coverage) 내 혹은 외에서 모두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 내에서의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주로 고려하고 있다.
기지국 내 단말 간 직접 통신은 기지국에서 지정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을 할 수 있으며, 기지국에 의해 단말 간의 동기(synchronization)가 수행될 수 있다. 단말 직접 통신 링크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에서 단말에 RRC 메시지의 사이드링크 정보 요소(sidelink information element)를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해당 직접 통신 링크 설정 정보에 따라 단말 직접 통신 링크가 설정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MTC 설정 정보 요소(SL-MTCConfig information element)]
SL-MTCCoverageExtList-r14 ::= SEQUENCE (SIZE (1..maxSL-MTCCE-r12)) OF SL-MTCConfig-r14

SL-MTCRepConfig-r14 ::= SEQUENCE {
slssid-r12 SLSSID-r12,
ceRepetition-r14 INTEGER (1..MaxULCoverageExt),
residualPower-r14 ENUMERATED {1, 2, 3, 4, .., 10}

}
본 발명에서는 디스커버리 채널을 이용한 방법 외에, 단말 간 직접 통신 시, 기지국에서 D2D 통신 링크를 설정할 때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을 위한 추가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상기 표 3과 같이 새로운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로서 사이드링크-MTC 설정 정보 요소(SL-MTCConfig information element)를 정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이드링크-MTC 설정 정보 요소는 단말의 이동이나 채널 환경 변화에 따라 단말 간 통신 링크를 처음 설정할 때뿐만 아니라 이후에 업데이트를 통해 재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한 사이드링크-MTC 설정 정보 요소는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기능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MTC 단말의 상호 협력 통신을 위해 기지국 간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재전송 정보뿐만 아니라 단말의 현재 배터리 상태를 교환함으로써, MTC 단말 및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의 전체 수명을 유기적으로 조율할 수 있다. 가령, 특정 단말의 배터리 상태가 낮을 경우, 상기 특정 단말을 통한 재전송 동작을 줄이고, 다른 단말을 통해 재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협력 통신을 통해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부터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400)은 제1 단말(410)과의 통신을 위한 시스템 정보 블록(SIBx)(또는 시스템 정보로 불릴 수 있다)을 방송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제1 단말(410)로 전송할 수 있다(S400). 이때, 제1 단말(410)은 사물통신(machine to machine, M2M)을 수행할 수 있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일 수 있다.
제1 단말(410)은 기지국(400)으로부터 시스템 정보 블록(SIBx)을 주기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상하향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정보 및 액세스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블록(SIBx)은 제1 단말(410)의 상하향 커버리지 확장(Coverage extension, 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 정보 블록(SIBx)은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제1 단말(410)의 기지국(400)에 대한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가 'n'임을 나타내는 정보('NO. of repetition for CE = 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410)은 시스템 정보 블록(SIBx)에 포함된 기지국(400)에 대한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가 'n'으로 설정된 경우, 'n'번에 걸쳐 동일한 상향 데이터를 상향 데이터 채널을 통해 기지국(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410).
기지국(400)은 제1 단말(410)로부터 상향 데이터 수신 시 디코딩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확인 결과 제1 단말(410)에 최적화된 재전송 횟수를 판단하고, 최적화된 재전송 횟수 정보를 지시하는 재전송 횟수 조정 메시지를 제1 단말(410)로 전송할 수 있다(S420). 즉, 기지국(400)은 최적화된 재전송 횟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로서 상기 재전송 횟수 조정 메시지를 통해 제1 단말(410)의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단말(420)은 S400 내지 S4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통해 제1 단말(410)과 마찬가지로 기지국(400)으로부터 시스템 정보 블록을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 블록에 포함된 기지국(400)에 대한 제2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한 상향 데이터를 상향 데이터 채널을 통해 기지국(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430).
제1 단말(410)과 제2 단말(420)은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협의할 수 있다. 제1 단말(410)은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D2D)을 통해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CE=n)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SL-MTCRepConfig[CE=n])를 제2 단말(420)로 전송할 수 있다(S440).
제2 단말(420)은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통해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CE=m)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SL-MTCRepConfig[CE=m])를 제1 단말(410)로 전송할 수 있다(S450). 제1 단말(410)과 제2 단말(420)은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 중에 디스커버리 채널을 통해 각각의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1 단말(410)과 제2 단말(420)은 제1 단말(410)에 대한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n'으로 제2 단말(420)에 대한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m'으로 협의할 수 있다.
제1 단말(410)은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단말(410)의 상향 데이터를 제2 단말(420)을 통해 기지국(400)으로 재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비교 결과 'n 〉m'인 경우, 제1 단말(410)은 제1 단말(410)의 상향 데이터를 제2 단말(420)로 전송하고(S460), 제2 단말(420)은 상기 상향 데이터를 'm'번에 걸쳐 기지국(400)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S470).
비교 결과 'n ≤ m'인 경우, 제1 단말(410)은 제1 단말(410)의 상향 데이터를 제2 단말(420)로 전송하지 않고, 제1 단말(420)은 직접 상기 상향 데이터를 'n'번에 걸쳐 기지국(400)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기 수학식 3의 조건을 만족하면, 제1 단말(410)은 제1 단말(410)의 상향 데이터를 제2 단말(420)로 전송하고(S460), 제2 단말(420)은 상기 상향 데이터를 'm'번에 걸쳐 기지국(400)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이때, 하기 수학식 3은 상기 수학식 1과 동일하다.
[수학식 3]
Figure 112015097538574-pat00003
상기 수학식 3을 참조하면, 상기 Etx는 단말 간 직접 통신시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Erx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시 수신 에너지이고, 상기 Nhop은 제1 단말(410)로부터 제2 단말(420)까지의 단말 간 직접 통신 횟수이고, 상기 Eup는 제2 단말(420)의 상향링크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Mrep는 제2 단말(420)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이고, 상기 Eup'는 제1 단말(410)의 상향링크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Nrep는 제1 단말(410)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이다.
상기 수학식 3에 따라 제1 단말(410)이 기지국(400)으로 상향 데이터를 'n'번 재전송할 때 소요되는 에너지(Eup'×Nrep)가, 제1 단말(410)로부터 제2 단말(420) 까지의 릴레이에 소요되는 에너지((Etx+Erx)×Nhop)와 제2 단말(420)이 기지국(400)으로 상기 상향 데이터를 'm'번 재전송할 때 소요되는 에너지(Eup×Mrep)를 합한 것보다 클 경우에, 제1 단말(410)은 제1 단말(410)의 상향 데이터를 제2 단말(420)을 통해 기지국(400)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학식 3에 따라 특정 위치의 단말은 주변 단말들로부터 많은 전송 요청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해당 단말의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 3에서 설명된 사이드링크-MTC 설정 정보 요소(SL-MTCConfig 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된 단말의 잔류 배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3을 변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학식 3을 변형한 아래의 수학식 4의 조건을 만족하면, 제1 단말(410)은 제1 단말(410)의 상향 데이터를 제2 단말(420)로 전송하고(S460), 제2 단말(420)은 상기 상향 데이터를 'm'번에 걸쳐 기지국(400)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하기 수학식 4는 상기 수학식 2와 동일하다.
[수학식 4]
Figure 112015097538574-pat00004
상기 수학식 4를 참조하면, 상기 Etx, 상기 Erx, 상기 Nhop, 상기 Eup, 상기 Mrep, 상기 Eup', 및 상기 Nrep는 상기 수학식 3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상기 Rs는 제2 단말(420)의 잔여 에너지 비율이고, 상기 Rr은 제1 단말(410)의 잔여 에너지 비율이고, 상기 Rs와 상기 Rr 각각은 상기 표 3에서 설명된 사이드링크-MTC 설정 정보 요소(SL-MTCConfig 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된 단말의 잔류 배터리 정보와 관련된 것이다.
상기 수학식 4에 따라, 배터리 잔여량이 많은 단말이 이웃 단말들 보다 상대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상기 수학식 3에 따른 특정 위치의 단말의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3과 상기 수학식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수학식 3과 상기 수학식 4에서 각 개별 값들은 네트워크 모델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간 협력 통신 시 데이터의 MAC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은 맥 헤더(MAC header), 맥 제어 요소(MAC control element, CE), 및 데이터(MAC service data unit, MAC SDU)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헤더는 실제 데이터 블럭에 대한 서브 헤더들로 나누어 지고, 각 서브 헤더는 상기 CE 또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는 예컨대, 상기 데이터를 구분하는 식별자와 상기 데이터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서브 헤더의 식별자는 도 5b의 표에서 보여 지는 것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 간 협력 통신을 위해 제어 요소(control element)에 대한 새로운 논리 접속 식별자(LCID)를 추가하였다. 예컨대, 상기 논리 접속 식별자는 인덱스(index)가 '10101'이고, LCID 값으로 'MTCRelay'를 갖을 수 있다.
상기 논리 접속 식별자는 식별자 예약 구간에 할당되고,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상기 논리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브 헤더를 수신했을 때, 해당 제어 요소(control element)를 확인하고, 해당 제어 요소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논리 접속 식별자를 갖는 제어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이 접속 상태에 있는 경우(<CONNECTED MTC UE>), 첫번째 비트(A)가 상기 단말이 접속 상태인지 유휴 상태인지 알려 준다. 예컨대, 상기 단말이 접속 상태일 때 A가 1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이 유휴 상태일 때 A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두번째 비트(R)는 예약을 위한 비트이고, 세번째 비트(E)는 확장을 위한 비트이다. 단말이 접속 상태에서는 논리 접속 식별자(LCID)를 가지고 있으므로, 해당 정보를 첫번째 옥텟(oct1)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사이즈의 길이를 포함하여 CE의 길이를 나타내는 L 값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발신 단말의 식별을 위해서 무선 접속 식별자(C-RNTI) 16비트가 2 옥텟(oct4 ~ oct5)에 걸쳐 포함하고, 이후 실제 데이터(DATA)가 추가된다.
단말이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IDLE MTC UE>), 단말은 유휴 상태이므로 특정 접속 논리 채널을 가지고 있지 않고, 접속 상태에서 포함하는 논리 접속 식별자(LCID)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접속 식별자(C-RNTI) 역시 존재 하지 않으므로 이를 대체할 단말의 식별자(UE ID)를 포함하고, 이후 실제 데이터(DATA)가 추가된다.
MTC 단말은 주로 장기 유휴 상태인 파워 세이브 모드(power save mode)에서 동작하므로 단말에 대한 정보가 항상 네트워크에서 존재하고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혹은 이에 준하는 단말의 식별자(UE ID)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단말의 데이터가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지 않고,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에 이전에 접속한 기록이 없는 경우, 상기 단말의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및 메시지 인증이 불가하므로, 상기 단말은 초기 접속 절차를 통해서 인증 절차를 완료 후에 도 6의 첫번째 CE 포맷(<CONNECTED MTC UE>)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릴레이할 수 있다. 이 후 단말이 유휴 상태로 진입하면, 도 6의 두번째 CE 포맷(<IDLE MTC UE>)을 이용하여 본인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을 통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협력 통신을 위해서 DRX를 스케쥴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단말(710)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DRX(discontinuous reception)를 가능한 길게 유지 해야 한다. 하지만, 단말 간 협력 통신을 위해 제1 단말(710)이 상향 데이터를 제2 단말(720)로 릴레이하기 위해 유휴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어야 하므로 기지국(700)은 제1 단말(710)과 제2 단말(720)의 DRX 사이클 운용을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에 따라 수행해야 한다.
기지국(700)은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따라 RRC 제어 메시지로서 DRX 정보(DRX info)를 제1 단말(710)로 전송하고(S700), 제1 단말(710)과 제2 단말(720)은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협의할 수 있다.
제1 단말(710)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을 통해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CE=n)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SL-MTCRepConfig[CE=n])를 제2 단말(420)로 전송할 수 있다(S710). 제2 단말(720)은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통해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CE=m)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SL-MTCRepConfig[CE=m])를 제1 단말(710)로 전송할 수 있다(S720).
제1 단말(710)과 제2 단말(720)은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 중에 디스커버리 채널을 통해 각각의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사이드 링크(sidelink) 설정을 받은 이후에, 제1 단말(710)과 제2 단말(720)은 상호간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사이드 링크 정보(상기 제1 메시지와 상기 제2 메시지)를 디스커버리 채널을 통해 방송한다. 이를 통해, 제1 단말(710)과 제2 단말(720) 각각은 상대방 단말에 대한 근접 정보(proximity info[UE1], proximity info[UE2])를 얻을 수 있다.
제1 단말(710)은 제2 단말(720)을 포함하는 이웃 단말들에 대한 정보(예컨대, 단말들 각각의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관리하고, 해당 정보를 제1 근접 정보(proximity info[UE1])로서 기지국(7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730).
제2 단말(720)은 제1 단말(710)을 포함하는 이웃 단말들에 대한 정보(예컨대, 단말들 각각의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관리하고, 해당 정보를 제2 근접 정보(proximity info[UE2])로서 기지국(7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740).
예컨대, 실내 MTC 단말의 경우, 대부분 고정형이므로 네트워크 토폴로지 변화가 심하지 않으므로 도 7의 근접 정보(proximity info[UE1], proximity info[UE2]) 송신이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기지국(700)이 근접 정보(proximity info[UE1], proximity info[UE2])의 전송 주기를 지정하거나, 네트워크 토폴로지 변경이 발생할 경우, 제1 단말(710) 또는 제2 단말(720)이 근접 정보 지시 메시지(proximity information indication message)를 기지국(700)으로 전송하여 송신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기지국(700)은 근접 정보(proximity info[UE1], proximity info[UE2])를 복수의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한 DRX 사이클 주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700)은 근접 정보(proximity info[UE1], proximity info[UE2])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RRC 제어 메시지로서 제1 DRX 설정 메시지(RRC[DRX=k])를 제1 단말(710)로 전송할 수 있다(S750).
기지국(700)은 근접 정보(proximity info[UE1], proximity info[UE2])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RRC 제어 메시지로서 제2 DRX 설정 메시지(RRC[DRX=k])를 제2 단말(720)로 전송할 수 있다(S760).
이때, 제1 DRX 설정 메시지(RRC[DRX=k])와 제2 DRX 설정 메시지(RRC[DRX=k])는 제1 단말(710)과 제2 단말(720) 각각을 동일한 DRX 사이클 주기(k)로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로서, 이를 통해 제1 단말(710)과 제2 단말(720)은 동일한 시각에 활성 모드(또는 접속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a는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와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이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기지국으로 재전송할지 결정하는 실시예이다.
도 8b는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와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3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이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기지국으로 재전송할지 결정하는 실시예이다.
도 8c는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와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4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이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기지국으로 재전송할지 결정하는 실시예이다.
도 1부터 도 8a를 참조하면, 단말은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800).
상기 단말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을 통해 다른 단말의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810).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비교하고(S820), 비교 결과,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30).
비교 결과,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보다 크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S840).
비교 결과,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에 기반하여 직접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S850).
도 8a부터 도 8b를 참조하면, S800 단계 및 S810 단계는 앞서 도 8a에서 설명한 단계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도 8b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은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3을 계산하고(S821), 계산 결과, 상기 수학식 3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31).
판단 결과, 상기 수학식 3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S840).
판단 결과, 상기 수학식 3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에 기반하여 직접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S850).
도 8a부터 도 8c를 참조하면, S800 단계 및 S810 단계는 앞서 도 8a에서 설명한 단계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도 8c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은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4를 계산하고(S822), 계산 결과, 상기 수학식 4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32).
판단 결과, 상기 수학식 4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S840).
판단 결과, 상기 수학식 4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에 기반하여 직접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S850).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송수신부(900), 제어부(910), 및 저장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900)는 단말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송수신부(900)는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90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90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910)로 출력하고, 제어부(9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단말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910)는 상기 단말의 기지국에 대한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D2D)을 통해,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단말의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향 데이터 재전송 처리부(9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향 데이터 재전송 처리부(911)는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와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이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기지국으로 재전송할지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향 데이터 재전송 처리부(911)는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와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1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이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기지국으로 재전송할지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향 데이터 재전송 처리부(911)는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와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2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이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기지국으로 재전송할지 결정할 수 있다.
저장부(920)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5, 110, 115, 120, 200, 400, 700: 기지국
135, 210, 300, 310, 320, 330, 340, 410, 420, 710, 720: 단말
900: 송수신부
910: 제어부
920: 저장부

Claims (1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기지국에 대한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D2D)을 통해,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단말의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가 상기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보다 크면, 상기 상향 데이터가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되도록 상기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통신 가능한 인근 단말을 찾기 위해서 상기 다른 단말의 사용자,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식별자를 나타내는 식별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메시지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존재를 알리는 광고(advertisement)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함께, 상기 다른 단말이 접근 가능한 인근 단말의 제3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5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고,
    [수학식 5]
    Figure 112015097538574-pat00005

    상기 Etx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시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Erx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시 수신 에너지이고, 상기 Nhop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단말까지의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 횟수이고, 상기 Eup는 상기 다른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Mrep는 상기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이고,
    상기 Eup'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Nrep는 상기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6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고,
    [수학식 6]
    Figure 112015097538574-pat00006

    상기 Rs는 상기 다른 단말의 잔여 에너지 비율이고, 상기 Etx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시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Erx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시 수신 에너지이고, 상기 Nhop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단말까지의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 횟수이고, 상기 Eup는 상기 다른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Mrep는 상기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이고,
    상기 Rr은 상기 단말의 잔여 에너지 비율이고, 상기 Eup'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Nrep는 상기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단말과 상기 다른 단말 각각을 동일한 DRX(discontinuous reception) 주기로 설정하기 위한 DRX 설정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 및 다른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의 기지국에 대한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D2D)을 통해,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단말의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가 상기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보다 크면, 상기 상향 데이터가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되도록 상기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 가능한 인근 단말을 찾기 위해서 상기 다른 단말의 사용자,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식별자를 나타내는 식별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하고, 상기 식별 메시지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존재를 알리는 광고(advertisement)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함께, 상기 다른 단말이 접근 가능한 인근 단말의 제3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기 수학식 7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고,
    [수학식 7]
    Figure 112015097538574-pat00007

    상기 Etx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시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Erx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시 수신 에너지이고, 상기 Nhop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단말까지의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 횟수이고, 상기 Eup는 상기 다른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Mrep는 상기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이고,
    상기 Eup'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Nrep는 상기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기 수학식 8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단말의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고,
    [수학식 8]
    Figure 112015097538574-pat00008

    상기 Rs는 상기 다른 단말의 잔여 에너지 비율이고, 상기 Etx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시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Erx는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시 수신 에너지이고, 상기 Nhop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단말까지의 상기 단말 간 직접 통신 횟수이고, 상기 Eup는 상기 다른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Mrep는 상기 다른 단말의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이고,
    상기 Rr은 상기 단말의 잔여 에너지 비율이고, 상기 Eup'는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에너지이고, 상기 Nrep는 상기 단말의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와 상기 제2 상향 데이터 재전송 횟수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단말과 상기 다른 단말 각각을 동일한 DRX(discontinuous reception) 주기로 설정하기 위한 DRX 설정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50141446A 2015-10-08 2015-10-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628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446A KR101628208B1 (ko) 2015-10-08 2015-10-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446A KR101628208B1 (ko) 2015-10-08 2015-10-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208B1 true KR101628208B1 (ko) 2016-06-08

Family

ID=5619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446A KR101628208B1 (ko) 2015-10-08 2015-10-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2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898A2 (ko) * 2010-04-18 201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간에 데이터를 협력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수신하는 방법
JP2014524206A (ja) * 2011-07-15 2014-09-1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harqチャネル識別子を用いたharq動作支援方法及び装置
KR20140120611A (ko) * 2013-04-04 2014-10-1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 방식을 지원하는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128728A (ko) * 2013-04-29 201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에서 재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898A2 (ko) * 2010-04-18 201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간에 데이터를 협력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수신하는 방법
JP2014524206A (ja) * 2011-07-15 2014-09-1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harqチャネル識別子を用いたharq動作支援方法及び装置
KR20140120611A (ko) * 2013-04-04 2014-10-1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 방식을 지원하는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128728A (ko) * 2013-04-29 201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에서 재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549B2 (en) Procedures for grouping wearable devices with LTE master UEs
KR102571193B1 (ko) D2d 통신 시스템에서 d2d 단말을 위한 사이드링크 그랜트를 선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200344665A1 (en) Methods of Mobile Device based Relay for Coverage Extension
CN108028863B (zh) 处理针对d2d通信***的id冲突的方法及其设备
US20160309306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user terminal
JP201710841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ユーザ端末
US10448441B2 (en) Method for receiving a priority for relay data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202102118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vehicle communication
KR2018005007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리모트 단말 및 릴레이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20628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th switch
WO2022074126A1 (en) Technique for heandling radio link failure in relayed radio communications
US202304036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communication
WO2022030520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US20230389106A1 (en) Methods, apparatuses,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for handling radio link failure in relayed radio communications
US202304132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Communication
US20230370152A1 (en) Technique for Radio Resource Allocation in a Relayed Radio Communication
KR1016282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22075906A1 (en) Network node, requesting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ver a path comprising remote ue, relay ue and radio network node.
TWI819462B (zh) 用於移動性更新報告之技術
WO20230358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US20230328526A1 (en) Technique for Header Integrity in a Relayed Radio Communication
US20230397085A1 (en) Monitoring procedure for relay path scenarios
WO2023118310A1 (en) Paging early indication technique for relaying
WO2022194853A1 (en) Technique for switching a relayed radio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