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076B1 - a dust clearing device - Google Patents

a dust clea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076B1
KR101628076B1 KR1020140127428A KR20140127428A KR101628076B1 KR 101628076 B1 KR101628076 B1 KR 101628076B1 KR 1020140127428 A KR1020140127428 A KR 1020140127428A KR 20140127428 A KR20140127428 A KR 20140127428A KR 101628076 B1 KR101628076 B1 KR 101628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fine dust
tank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4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35754A (en
Inventor
박성종
Original Assignee
박성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종 filed Critical 박성종
Priority to KR102014012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076B1/en
Publication of KR20160035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7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0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속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주는 송풍수단과 물을 펌핑하여 분사시키는 분무수단 및 오염된 공기를 물속으로 침투시켜 미세먼지를 정화 배출시키는 세척수단으로 구성되어, 송풍수단으로 유도된 오염공기가 분무수단에 의해 분사되는 분무입자에 묻어 떨어지면서 일차적으로 세척 정화되고, 세척수단의 세척수 내부로 분무입자와 오염공기가 함께 들어가 물속에서 미세먼지가 이차적으로 정화된 후 깨끗한 공기는 실내로 공급되고 분리된 미세먼지는 세척수와 함께 정화통(물통)으로 떨어져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속의 각종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for removing various fine dusts contained in 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contained in air by using a blowing means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 spraying means for spraying water,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guided to the blowing means is sprayed on the spray particles sprayed by the spray means and is primarily cleaned and cleaned, The clean air is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separated fine dust is removed to the cleaner (water bottle)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to remove various fine dust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Removing fine dust that can be easily removed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It relates to the device.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장치{a dust clearing device}A dust clearing device < RTI ID = 0.0 >

본 발명은 공기 속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주는 송풍수단과 물을 펌핑하여 분사시키는 분무수단 및 오염된 공기를 물속으로 침투시켜 미세먼지를 정화 배출시키는 세척수단으로 구성되어, 송풍수단으로 유도된 오염공기가 분무수단에 의해 분사되는 분무입자에 묻어 떨어지면서 일차적으로 세척 정화되고, 세척수단의 세척수 내부로 분무입자와 오염공기가 함께 들어가 물속에서 미세먼지가 이차적으로 정화된 후 깨끗한 공기는 실내로 공급되고 분리된 미세먼지는 세척수와 함께 정화통(물통 또는 저수조)으로 떨어져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속의 각종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for removing various fine dusts contained in 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contained in air by using a blowing means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 spraying means for spraying water,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guided to the blowing means is sprayed on the spray particles sprayed by the spray means and is primarily cleaned and cleaned, The clean air is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separated fine dust is removed by the cleaning water (water tank or water tank)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to remove the fine fine particles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To remove dust easily and to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It relates to a dust removal apparatus.

일반적으로 실내로 공급되는 외부공기에는 황사먼지, 미세먼지, 각종 유해가스, 바이러스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황사나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를 실내에 설치 사용하고 있다.Generally, the outside air supplied to the room contains yellow dust, fine dust, various noxious gas and virus. In order to remove pollution such as yellow dust and fine dust, an air purifier is installed in the room.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크게 건식과 습식 두 종류로 나뉘어지고, 건식은 또 크게 전기집진식과 필터여과식 두 가지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기 집진식은 필터가 없기 때문에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기집진판에 먼지가 쌓이면 정화능력이 떨어지고 먼지제거 능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These air cleaners are divided into two types, dry and wet, and the dry type is divided into two types, electric dust collection and filter filtration. Here,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type ha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filter because there is no filter, but if the dust collects on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panel, the cleaning ability is deteriorated and the dust removing ability is weak.

그리고, 필터여과식은 필터 사이로 공기가 흐르면서 각종 미립자를 필터에서 걸러주기 때문에 정화능력이 뛰어나 황사먼지 제거용으로 최적이라 평가될 할 수 있으나,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우며 유지보수를 위한 필터 교체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The filter filtration equation can be evaluated as optimal for removing dust and dirt due to its excellent purification ability because various fine particles are filtered by the filter while air flows through the filter. However, sinc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filter periodically, it is troublesom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replacement cost is incurred.

또한, 습식 공기청정기는 흡입된 공기를 물에 접촉시켜 유해물질이 물에 흡착 제거되게 하는 것으로,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고 소음이 적으며 가습기 기능까지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et air cleaner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haled ai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water so that harmful substances are adsorbed and removed on the water,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filter, the noise is small, and the humidifier function can be performed.

이러한 종래의 장치로는 특허등록 제10-0929140호의 '습식 공기청정기'가 공지되어 있다.As such a conventional apparatus, a wet air purifier of Patent Registration No. 10-0929140 is known.

종래의 상기 습식 공기청정기는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축 연결되어 회전됨으로 외측의 공기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와 축 연결되어 회전을 하게 되며, 내측에는 하측의 물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와 상기 유로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 물이 외측으로 분사되기 위한 분사공을 구비한 회전분사부와, 상기 회전분사부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분사부와 같이 회전됨으로 상기 분사공으로 물을 이송하는 양수팬과, 상기 양수팬이 물속에 잠겨지도록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 내측으로 액상 첨가제를 공급하는 액상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et air cleaner of the related art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rotational power, a suction unit that moves the outer air downward by being pivot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a rotary shaft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And a spray hole for spraying the water moved upward along the flow path to the outside, and a rotary spray part provided below the rotary spray part for rotating the rotary spray part And a liquid supply device for supplying the liquid additive to the inside of the case pa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liquid additive to an inside of a case.

다른 종래의 장치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09268호의 '물세척 공기 정화기'가 공지되어 있다.Another conventional device is known as a " water washing air purifier " of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0-0309268.

종래의 상기 물세척 공기정화기는 오염공기와 물과의 접촉표면을 극대화하여 공기 속의 오염물질인 입자상태와 가스상태의 유해한 물질들을 흡착력이 매우 큰 물에 흡착, 세척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물세척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흡입된 오염공기는 먼저 샤워통로에서 분사되는 물로 샤워한 후에 분사된 물과 함께 정화기의 구성 요체인 세척기(洗滌器) 내부로 유입되며, 분사노즐에 의해 수면하에서 원주방향으로 분사되어 물과 공기는 뒤섞이고 회전하면서 세척기의 외벽과 내벽 사이의 좁은 공간을 마찰하면서 통과한 후에 공기와 물이 분리되어 공기는 외부로, 물은 저수조로 회수되는데, 이런 일련의 과정에서 물과 공기의 접촉면은 크게 증가되고, 공기 중의 먼지와 유해물질들은 거의 대부분 물에 흡착, 제거되며 공기는 깨끗이 정화되고, 또 건조한 공기는 가습하고, 습한 공기는 제습하여 쾌적한 실내공기를 제공하는 물세척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Conventionally, the water cleaning air purifier maximizes the contact surface between polluted air and water to adsorb and clean harmful substances, which are pollutants in the air, in particulate state and gaseous state into water having a high adsorption capacity, In the cleaner, the contaminated air sucked first is showered with water sprayed from a shower passage, then flows into the washe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urifier, together with the sprayed water, and is spray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under the water surface by the spray nozzle The water and air are mixed and rota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narrow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of the washer, the air and the water are separated and the air is returned to the outside and the water is recovered to the water tank. Th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are largely adsorbed on and removed from the water, the air is purified cleanly,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ying air purifier, wherein the dry air is humidified and the humid air is dehumidified to provide a pleasant indoor air

KR 10-0929140 (등록번호) 2009.11.23.KR 10-0929140 (registration number) 2009.11.23. KR 20-0309268 (등록번호) 2003.03.19.KR 20-0309268 (registration number) 2003.03.19. KR 10-0786977 (등록번호) 2007.12.11.KR 10-0786977 (registration number) 2007.12.1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습식 공기청정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체적이 크며 고가인 점으로 실내에 설치하기는 어렵다는 점과, 회전분사부에서의 물 분사가 원활하지 못하여 공기와의 접촉이 충분치 못하게 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이물질이 충분히 필터링되지 못하는 점, 공기청정기의 하측에 제공되는 물통에 대한 청소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없어 오염될 수 있는 점 등의 많은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wet air cleaner has a complicated structure, has a large volume and is expensive,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wet air cleaner in a room, and water spraying in the rotary spraying part is not smooth, Accordingly, dust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can not be sufficiently filtered, and cleaning work can not be smoothly performed on a water bottl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air cleaner,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can be contaminated.

또한 종래의 물세척 공기정화기는 냉각장치나 배출밸브 등과 같은 구성으로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점과, 공급되는 공기와 분무되는 물이 함께 분사되면서 미세먼지를 일차적으로만 제거하도록 하여 효율성이 많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ater purifying air purifier has a configuration such as a cooling device and a discharge valve, which is expensive to install, and is not economical. In addition, since the supplied air and the sprayed water are sprayed toge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주는 송풍수단과 물을 펌핑하여 분사시키는 분무수단 및 오염된 공기를 물속으로 침투시켜 미세먼지를 정화 배출시키는 세척수단으로 구성되어, 송풍수단으로 유도된 오염공기는 분무수단에 의해 분사되는 분무입자에 묻어 물통으로 떨어지면서 일차적으로 세척 정화되고, 세척수단의 세척수 내부로 분무입자와 오염공기가 함께 들어가 물속에서 미세먼지가 이차적으로 정화된 후 깨끗한 공기는 실내로 공급되고 분리된 미세먼지는 세척수단 내부의 세척수와 함께 물통으로 떨어져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속의 각종 미세먼지가 분무입자에 의해 일차로 제거하고 이어 세척수단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이차로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 blowing means for blowing out the outside air, a spraying means for spraying and pumping water, and a washing means for purging the fine dust by penetrating the contaminated air into the water, and the contaminated air guided to the blowing means is sprayed The spray particles and the contaminated air ar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means, and the fine dust is secondarily purified in the water. Then, the clean air is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separated fine particles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water in the washing means and removed together with the water in the water tank, so that various fine dusts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are firstly removed by the spray particles and then removed by using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for removing dust Al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품을 단순화, 최소화하고 분리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경제성을 높이도록 하는 동시에 내부청소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and minimize the components, facilitate the separation and assembly, thereby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cleaning the interior easily and quickly so as to improve convenience in u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정화시켜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for purifying fine dust contained in air and supplying the fine dust to the room,

물을 수납 저장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내부 바닥에 설치된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의 물을 분사시켜 주는 분사노즐로 구성되는 분무수단과, 상기 저수조의 상단부에 설치 구비되고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분무입자가 내부 공간으로 퍼져나가면서 유입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공형상의 몸통부재, 상기 저수조의 하단부에 설치 구비되면서 중앙 하부측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덕트부와 송풍수단이 연통 설치되어 송풍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저수조를 통해 상기 몸통부재의 내부로 공급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지지브라케트, 및 상기 몸통부재의 상단부에 설치 구비되고 상기 몸통부재 내부로 분무되는 물 분무입자와 송풍 유도된 공기가 함께 들어가 세척되면서 정화된 공기는 실내로 공급되고 미세먼지가 함유된 세척수는 상기 저수조로 흘러 넘치도록 하는 미세먼지정화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praying unit connected to the pump and configured to spray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a spraying unit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water storage tank, A hollow body member for collecting and purify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flow air while spraying particles sprayed by the nozzle spread out into the inner space, and a hollow body memb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tank,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member being provided with a duct portion and a blowing mean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o allow external air to be blown into the body member through the water reservoir, The water spray particles that are sprayed into the member and the air that is blown air are introduced together And a fine dust purifying tank for supplying the cleaned air to the room and allowing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the fine dust to flow over the water storage tank.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송풍수단으로 유도된 오염공기는 분무수단에 의해 분사되는 분무입자에 묻어 물통으로 떨어지면서 일차적으로 세척 정화되고, 세척수단의 세척수 내부로 분무입자와 오염공기가 함께 들어가 물속에서 미세먼지가 이차적으로 정화된 후 깨끗한 공기는 실내로 공급되고 분리된 미세먼지는 세척수단 내부의 세척수와 함께 물통으로 떨어져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속의 각종 미세먼지가 분무입자에 의해 일차적로 제거하고 이어 세척수단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이차적로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minated air guided to the blowing means is sprayed on the spray particles sprayed by the spraying means and falls into the water tank, and is primarily cleaned and cleaned. The clean air is supplied to the room after the fine dust is purified in the water, and the separated fine dust is separated into the water bottle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washing means, so that various fine dust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are sprayed And then the water is secondly removed by using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means, thereby providing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구성품을 단순화, 최소화하고 분리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경제성을 높이도록 하는 동시에 내부청소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and minimize the components of the apparatus, facilitate the separation and assembly, thereby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the internal cleaning can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요부에 대한 절개 사시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fine dust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The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4,

물을 수납 저장하는 저수조(110, 물통이라고도 함)와,A water storage tank 110 (also referred to as a bucket) for storing and storing water,

상기 저수조(11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된 펌프(121) 및 상기 펌프(121)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110)의 물을 분사시켜 주는 분사노즐(122)로 구성되는 분무수단(120)과,A spraying unit 120 including a pump 121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110 and a spray nozzle 122 connected to the pump 121 to spray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110,

상기 저수조(110)의 상단부에 설치 구비되고 상기 분사노즐(122)에 의해 분사되는 분무입자가 내부 공간으로 퍼져나가면서 유입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공형상의 몸통부재(130),A hollow body member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capable of collecting and purifying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flow air while spraying the sprayed particles by the spray nozzle 122 into the internal space, (130),

상기 저수조(110)의 하단부에 설치 구비되면서 중앙 하부측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덕트부(141)와 송풍수단(142)이 연통 설치되어 송풍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저수조(110)를 통해 상기 몸통부재(130)의 내부로 공급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지지브라케트(140), 및A duct portion 141 for allowing external air to flow in and a blowing means 142 ar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storage tank 110 so that external air is blown through the water storage tank 110, A lower paper jigket 140 that can be f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member 130,

상기 몸통부재(130)의 상단부에 설치 구비되고 상기 몸통부재(130) 내부로 분무되는 물 분무입자와 송풍 유도된 공기가 함께 들어가 세척되면서 정화된 공기는 실내로 공급되고 미세먼지가 함유된 세척수는 상기 저수조(110)로 흘러 넘치도록 하는 미세먼지정화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ter spray particles sprayed into the body member 130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member 130 together with the air blown air are washed together and the purified air is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fine dust And a fine dust purifying tank 150 that flows over the water storage tank 11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100)는 외부공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지지브라케트(140)의 중앙 하부측으로 외부와 연통되는 상기 덕트부(141)가 연결 설치된다.In the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uct portion 141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center side of the lower ground zebraket 140 so as to guide outside air.

그러나 상기 덕트부(141)는 반드시 외부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연통 설치되는 것은 아니다. 실내 오염공기를 유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However, the duct portion 141 is not alway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uct portion 141 so that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door air may be introduced.

그리고 상기 저수조(110)의 내부에는 상기 덕트부(141)와 연통 설치되어 외부에서 상기 덕트부(141)로 유도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굴뚝통로부(111)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A chimney passage portion 111 is form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uct portion 141 and allow air to be guided from the outside to the duct portion 141 to pass therethrough.

그리고 상기 덕트부(141)에는 외부공기를 강제로 송풍시켜 상기 굴뚝통로부(111)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송풍수단(142)이 설치 구비된다.The duct portion 141 is provided with the blowing means 142 for blowing outside air to the chimney passage portion 111 forcibly.

또한 상기 저수조(110)의 상단부에는 상기 굴뚝통로부(111)로 들어오는 공기가 상기 몸통부재(13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동시에 주전자 등과 같은 물공급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저수조(110)의 내부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통풍주입구멍(112a)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저수조뚜껑부재(112)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The upper end of the water storage tank 110 is supplied with air entering the chimney passage 111 into the body 130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110 through water supply means such as a kettle.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12a are formed along the edges of the water storage tank 112 so that water can be injected into the water storage tank 112. [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122)은 상기 저수조뚜껑부재(112)를 연통하여 설치되되 그 단부에 구비되는 노즐부는 상기 몸통부재(130)의 내부에 다단으로 구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물 분무가 상기 몸통부재(130)의 내부에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 구조는 누구나 실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e spray nozzle 122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tank lid member 112 and the nozzle unit provided at the end of the nozzle nozzle unit 122 is installed in the body member 130 in multiple stages so that water spray is applied to the body member 130 So that they can be distributed evenly inside the interior space. This connection structure is a configuration that anyone can imple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여기서 상기 저수조뚜껑부재(112)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저수조(110)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13)에 삽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테두리부(112b)가 구비되어 있다.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lid member 112 is provided with a bending rim portion 112b bent downward so as to be fixedly attached to the latching rim 113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110 .

따라서 상기 저수조(110)의 상부 내측으로 상기 저수조뚜껑부재(112)를 삽설하게 되면 상기 저수조(110)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턱(113)에 상기 절곡테두리부(112b)의 단부가 고정되면서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water tank lid member 112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storage tank 110, the end portion of the bending rim 112b is fixed to the engagement protrusion 113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110 Thereby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여기서 상기 저수조뚜껑부재(112)는 상기 절곡테두리부(112b)로부터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면을 이루면서 그 높이가 높아지는 삿갓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Here, the water storage tank lid member 11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idewall having an upward sloping surface from the bending rim portion 112b toward the cent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height of a height.

따라서 상기 몸통부재(130)의 내부로 분무되는 분무입자가 떨어지면서 상기 저수조뚜껑부재(112)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 내려 상기 통풍주입구멍(112a)로 들어가 상기 저수조(110)로 떨어져 수납될 수가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atomized particles sprayed into the body member 130 fall down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lid member 112, enter the ventilation hole 112a, and can be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10 do.

그리고 상기 몸통부재(130)의 하단부가 상기 저수조(110)의 상단부에 연결 설치되게 된다.The lower end of the body member 13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storage tank 110.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은 상기 송풍수단(142)이 구동되면 외부 공기가 상기 덕트부(141)를 통해 상기 굴뚝통로부(111)로 들어간 다음 상기 저수조뚜껑부재(112)에 형성되는 상기 통풍주입구멍(112a)을 통해 상기 몸통부재(130)의 내부로 공급될 수가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the blowing means 142 is driven, outside air enters the chimney passage portion 111 through the duct portion 141, and then the ventilation portion formed in the water storage vessel lid member 112 And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dy member 130 through the injection hole 112a.

이때 상기 덕트부(141)를 통해 상기 몸통부재(130)의 내부로 공급되는 외부공기는 각종 미세먼지나 황사 등의 유해물질이 다량 함유된 오염 공기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rnal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dy member 130 through the duct part 141 may be a contaminated ai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various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nd yellow dust.

또한 상기 하부지지브라케트(140)에는 상기 송풍수단(142)과 상기 펌프(121)를 작동시켜 주는 컨트롤러(143)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A controller 143 for operating the blowing means 142 and the pump 121 is installed in the lower ground jigket 140.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143)에 상기 송풍수단(142)과 상기 펌프(121)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구성은 일반적인 공지기술에 의해 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lowing means 142 and the pump 121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43 can be implemented by common known technologi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몸통부재(13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부(131)에는 상기 미세먼지정화조(150)가 연결 설치되는 설치구(131a)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The cover part 131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130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hole 131a through which the fine dust separating tank 150 is connected.

그리고 상기 미세먼지정화조(150)는 오염공기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정화조몸체부(151)와 상기 정화조몸체부(151)의 상부면을 덮어주는 정화조커버부(152) 및 상기 정화조커버부(152)에 복수개가 삽설되되 일단부는 상기 정화조커버부(152)의 상부면에서 상기 몸통부재(13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정화조몸체부(151)의 내부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면하(水面下)까지 설치되는 스트로(straw)부재(153)로 구성되게 된다.The fine dust purifier 150 includes a purifier body 151 and a purifier cover 151 fo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urifier body 151, 152 and the septic tank cover 152 and one end of the septic tank 152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ody member 1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tic tank cover 152, And a straw member 153 installed up to the wat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inside of the washing water.

그리고 상기 정화조커버부(152)의 중앙부에는 상부측으로 상기 커버부(131)에 형성되는 상기 설치구(131a)를 관통하여 삽설되면서 외부와 연통되는 정화공기공급구(154)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A purge air supply port 15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urifying tank cover part 152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while inserting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131a formed in the cover part 131 as an upper part.

또한 상기 정화공기공급구(154)의 단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Further, a male screw por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purge air supply port 154.

따라서 상기 미세먼지정화조(150)는 상기 정화공기공급구(154)의 단부를 상기 커버부(131)에 형성되는 상기 설치구(131a)에 삽설 돌출시킨 후 외부에서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155)으로 상기 정화공기공급구(154)의 단부를 체결하여 상기 커버부(131)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end of the purified air supply port 154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131a formed in the cover part 131, and then the connection part 155, such as a nut, The end of the purge air supply port 154 may be fastened to be fixed to the cover 131.

또한 상기 정화조몸체부(151)의 일측면에는 그 내부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가 일정 높이에 이르게 되면 상기 몸통부재(130) 내부로 흘러 넘치도록 하는 세척수배출구(151a)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washing water outlet 151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ptic tank body part 151 so as to flow into the body member 130 when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stored therein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여기서 상기 세척수배출구(151a)를 통해 상기 몸통부재(130) 내부로 흘러 넘치는 세척수는 상기 통풍주입구멍(112a)를 통해 상기 저수조(110)로 흘러들어갈 수 있게 된다.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body member 130 through the wash water discharge port 151a flows into the water storage tank 110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12a.

이와 같이 설치하여 상기 커버부(131)에 상기 미세먼지정화조(15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ne dust separating tank 150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cover 131.

여기서 상기 스트로부재(153)는 일반적으로 음료수를 빨아 먹을 수 있는 빨대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게 된다.Here, the straw member 153 is generally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straw capable of sucking drinking wat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미세먼지정화조(150)는 상기 몸통부재(130)의 내부로 분무되어 분산되는 분무입자와 오염공기가 함께 상기 몸통부재(130)의 상부측으로 올라와 상기 정화조커버부(152)에 구비되는 상기 스트로부재(153)를 통해 세척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The fine dust purifying tank 1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pray particles and the polluted air sprayed into the body member 130 and the polluted air are lifted up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member 130, And enters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straw member 153 provided therein.

이어 세척수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 정화되면서 수면으로 떠올라 상기 정화공기공급구(15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면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The polluted air flowing into the washing water is cleaned by the washing water and floated to the water surface and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purified air supply port 154 to provid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동시에 세척수 내부로 유입된 분무입자는 세척수에 더해져 수면이 상승하게 되고 그 수위가 상기 세척수배출구(151a)까지 도달하게 되면 상기 몸통부재(130) 내부로 흘러 넘쳐 상기 저수조(110)로 들어가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spray particles flowing into the washing water are added to the washing water to raise the water surface, and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151a, the spray particles overflow into the body member 130 and enter the water storage tank 110.

또한 상기 저수조뚜껑부재(112)는 그 중앙부측이 높고 모서리부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면서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몸통부재(130)에서 떨어지는 분무입자나 세척수 등은 상기 통풍주입구멍(112b)를 통해 상기 저수조(110)의 내부로 용이하게 흘러들어갈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tank lid member 112 has a high central portion and is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corners, spray particles, washing water, and the like falling from the body member 130 are discharg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112b to the water storage tank 110, As shown in FIG.

또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121)에 설치되는 상기 분사노즐(122)은 상기 저수조뚜껑부재(112)를 관통하여 상부측으로 높이차를 두고 다단으로 설치하여 분무구가 다수 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통부재(130) 내부에 물 분무입자가 골고루 분포될 수 있게 된다.3 and 4, the injection nozzle 122 installed in the pump 121 is installed in a multistage manner with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upper side through the water storage tank lid member 112, A plurality of water spray particles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within the body member 130.

이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122)의 설치 구조는 상기 펌프(121)에 의해 분사되는 분무입자가 상기 몸통부재(130)의 내부에 가장 효과적으로 분포되도록 설치하면 되는바 상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tructure of the spray nozzle 122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in which atomized particles injected by the pump 121 are most effectively distributed within the body member 130.

그리고 상기 저수조(110)의 상단부에는 상기 몸통부재(130)의 하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제1체결부(11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부지지브라케트(14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저수조(110)의 하단부가 체결 고정되는 제2체결부(144)가 구비되어 있다.The upper end of the water storage tank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part 114 fastened 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body member 130. A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tank 110 is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end zebraket 140 And a second fastening part 144 fastened and fixed thereto.

여기서 상기 제1,2체결부(114,144)는 상기 몸통부재(130)와 상기 하부지지브라케트(140)가 체결 또는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수단이면 족하다.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14 and 144 may be a means for facilitating fastening or disassembly of the body member 130 and the lower sheet zebraket 140.

따라서 상기 제1,2체결부(114,144)는 끼움구조나 나사구조 기타 고정구조 등으로 되어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한 구조면 족하고, 또 상기 저수조(1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 구성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14 and 144 may have a fitting structure, a screw fastening structure, or other fastening structure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ortions 114 and 144 can be easily mounted and detached,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14 and 144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ater storage tank 110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필요없는 미세먼지 제거장치(100)가 작동되어 미세 먼지가 정화되는 절차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purifying fine dust by operating the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100 which does not require 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몸통부재(130)를 상기 제1체결부(132)에서 탈착한 후 물 공급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뚜껑부재(112)에 형성된 상기 통풍주입구멍(112b)을 통해 상기 저수조(110)의 내부로 물을 적당 위치까지 주입한 다음 다시 장착한다.First, the body member 130 is detached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132, and then, through the ventilation injection hole 112b formed in the water storage vessel lid member 112 using water supply means (not shown) Water is injected into the water storage tank 110 to an appropriate position and then mounted again.

이어 상기 컨트롤러(143)를 통해 상기 펌프(121)와 상기 송풍수단(142)을 가동시킨다. Then, the pump 121 and the blowing means 142 are operated through the controller 143.

그러면 상기 덕트부(141)를 통해 오염된 외부공기가 상기 저수조(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굴뚝통로부(111)와 상기 통풍주입구멍(112b)을 통해 올라가 상기 몸통부재(13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External air contaminated through the duct part 141 rises through the chimney passage part 111 and the ventilation injection hole 112b form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10 and flows into the body member 130 I will enter.

이와 동시에 상기 분사노즐(122)을 통해 상기 저수조(110)의 물이 상기 몸통부재(130) 내부로 분무된다.At the same time,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110) is sprayed into the body member (130)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122).

그러면 상기 몸통부재(130) 내부에서 오염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가 분무입자에 포집되어 묻은 상태로 상기 몸통부재(130)의 하부측으로 떨어져 상기 통풍주입구멍(112b)을 통해 상기 저수조(110) 내부로 떨어지면서 일차적으로 미세먼지가 정화된다.The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are trapped in the spray particles and fall down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member 130 in the body member 130 and are discharg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112b to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110 And the fine dust is purified first.

여기서 미정화된 공기가 상기 미세먼지정화조(150)의 상기 스트로부재(153)로 통과해 상기 정화조몸체부(151) 내부로 들어간다.The purified air passes through the straw member 153 of the fine dust purifying tank 150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purifying tank body 151.

동시에 상기 몸통부재(130) 내부의 분무입자도 함께 상기 스트로부재(153)를 통해 상기 정화조몸체부(151) 내부로 들어간다.At the same time, the spray particles in the body member 130 also enter the inside of the septic tank body 151 through the straw member 153.

이때 상기 정화조몸체부(151) 내부에는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배출구(151a)까지 채워져 있다.At this time, washing water is filled up to the washing water outlet 151a in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purification tank 151.

따라서 상기 스트로부재(153)를 통해 들어오는 오염공기와 분무입자가 상기 세척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aminated air and the spray particles entering through the straw member 153 ar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water.

세척수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 정화(이차적으로 미세먼지가 정화됨)되면서 수면으로 떠올라 상기 정화공기공급구(15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면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The contaminated air flowing into the washing water is cleaned (washed with fine dust) by the washing water, and then floated to the water surface and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purified air supply port 154, so that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can be created.

동시에 세척수 내부로 유입된 분무입자는 세척수에 더해져 수면이 상승하게 되고 그 수위가 상기 세척수배출구(151a)를 넘어서게 되면 상기 몸통부재(130) 내부로 흘러 넘쳐 상기 저수조(110)로 들어가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spray particles flowing into the wash water are added to the wash water to raise the water level, and when the water level exceeds the wash water discharge port 151a, the spray particles overflow into the body member 130 and enter the water storage tank 110.

이와 같이 상기 몸통부재(130) 내부에서 미세먼지가 분무입자에 의해 일차적으로 정화되고 이어 상기 미세먼지정화조(150) 내부에서 미세먼지가 세척수에 의해 이차적으로 정화되어 공급되기 때문에 실내 공기가 항상 깨끗하게 공급 유지될 수가 있게 된다.Since the fine dust is first purified by the spray particles in the body member 130 and then the fine dust is purified and supplied by the washing water in the fine dust separator 150, It can be maintain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필요없는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주는 송풍수단과 물을 펌핑하여 분사시키는 분무수단 및 오염된 공기를 물속으로 침투시켜 미세먼지를 정화 배출시키는 세척수단으로 구성되어, 송풍수단으로 유도된 오염공기는 분무수단에 의해 분사되는 분무입자에 묻어 물통으로 떨어지면서 일차적으로 세척 정화되고, 세척수단의 세척수 내부로 분무입자와 오염공기가 함께 들어가 물속에서 미세먼지가 이차적으로 정화된 후 깨끗한 공기는 실내로 공급되고 분리된 미세먼지는 세척수단 내부의 세척수와 함께 물통으로 떨어져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속의 각종 미세먼지가 분무입자에 의해 일차로 제거되고 이어 세척수단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이차로 제거됨으로써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which does not require a filter is provided with a blowing means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 spraying means for spraying and pouring water, a cleaning means for spraying the contaminated air into the water to purify and discharge the fine dust,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guided to the blowing means is sprayed on the spray particles sprayed by the spraying means and falls into the water tank and is primarily cleaned and cleaned. The sprayed particles and the contaminated air come into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means, The clean air is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separated fine dust is separated into the water tank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means, so that various fine dust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are firstly removed by the spray particles And then removed by using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means. Thus, May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구성품을 단순화, 최소화하고 분리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경제성을 높이도록 하는 동시에 내부청소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여 준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and minimizes the components, facilitates the separation and assembly, thereby enhanc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and facilitating the internal cleaning in a simple and quick manner, thereby enhancing convenience in use.

100:미세먼지 제거장치
110:저수조
111:굴뚝통로부 112:저수조뚜껑부재 112a:통풍주입구멍
112b:절곡테두리부 113:걸림턱 114:제1체결부
120:분무수단 121:펌프 122:분사노즐
130:몸통부재 131:커버부 131a:설치구
140:하부지지브라케트 141:덕트부 142:송풍수단
143:컨트롤러 144:제2체결부
150:미세먼지정화조 151:정화조몸체부 151a:세척수배출구
152:정화조커버부 153:스트로부재 154:정화공기공급구
100: Fine dust removal device
110: Water tank
111: chimney passage portion 112: water tank lid member 112a: ventilation hole
112b: bending rim 113: latching jaw 114: first fastening portion
120: atomizing means 121: pump 122: injection nozzle
130: body member 131: cover part 131a:
140: bottom jigket 141: duct part 142: blowing means
143: controller 144: second fastening part
150: fine dust purifying tank 151: purifying tank body part 151a: washing water outlet
152: septic tank cover part 153: straw member 154: purifying air supply port

Claims (5)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정화시켜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물을 수납 저장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내부 바닥에 설치된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의 물을 분사시켜 주는 분사노즐로 구성되는 분무수단과,
상기 저수조의 상단부에 설치 구비되고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분무입자가 내부 공간으로 퍼져나가면서 유입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공형상의 몸통부재,
상기 저수조의 하단부에 설치 구비되면서 중앙 하부측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덕트부와 송풍수단이 연통 설치되어 송풍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저수조를 통해 상기 몸통부재의 내부로 공급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지지브라케트, 및
상기 몸통부재의 상단부에 설치 구비되고 상기 몸통부재 내부로 분무되는 물 분무입자와 송풍 유도된 공기가 함께 들어가 세척되면서 정화된 공기는 실내로 공급되고 미세먼지가 함유된 세척수는 상기 저수조로 흘러 넘치도록 하는 미세먼지정화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미세먼지정화조는 상기 몸통부재의 상단면을 형성하는 커버부에 구비된 설치구에 체결 고정되되, 오염공기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정화조몸체부와 상기 정화조몸체부의 상부면을 덮어주는 정화조커버부 및 상기 정화조커버부에 복수개가 삽설되되 일단부는 상기 정화조커버부의 상부면에서 상기 몸통부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정화조몸체부의 내부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면하(水面下)까지 설치되는 스트로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정화조커버부의 중앙부에는 상부측으로 상기 설치구를 관통하여 삽설되면서 외부와 연통되는 정화공기공급구가 형성 구비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A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for purifying fine dust contained in air and supplying the fine dust to the inside of a room,
A water tank for storing and storing water,
Spraying means comprising a pump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a spray nozzle connected to the pump and spraying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A hollow body memb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water reservoir and capable of collecting and purify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flow air as the atomized particles injected by the injection nozzle spread into the inner space,
A duct portion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nd a bottom por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blowing means so that outside air blown by the duc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dy member through the water reservoir, Zebra Ket, and
The water spray particles sprayed to the inside of the body member and the air blown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member are washed and cleaned, and the cleaned water is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fine dust flows over the water tank And a micro-dust purifying tank for purifying the micro-
The fine dust purifying tank includes a purifying body body portion which is fastened and fixed to an installation hole provided in a cover portion forming a top surface of the body member and in which a space portion is formed so that wash water for cleaning polluted air can be stored, And a plurality of water collecting compartments are installed in the purifying tank cover part so that one end thereof is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of the body member at the upper surface of the purifying tank cover par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urifying tank body part, And a purge air supply por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purifying tank cov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는 상기 덕트부와 연통 설치되어 외부에서 상기 덕트부로 유도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굴뚝통로부가 형성 구비되고,
또 상기 저수조의 상단부에는 상기 굴뚝통로부로 들어오는 공기가 상기 몸통부재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동시에 물공급수단을 통해 상기 저수조의 내부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통풍주입구멍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저수조뚜껑부재가 더 설치 구비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himney passag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duct portion and allowing air to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the duct portion to pass therethrough is formed in the water storage tank,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water storage tank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for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body member through the chimney passage and for injecting water into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water supply means. Wherein the water tank lid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water tank lid member.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몸체부의 일측면에는 그 내부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가 일정 높이에 이르게 되면 상기 몸통부재의 내부로 흘러 넘치도록 하는 세척수배출구가 더 형성 구비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cleaning water discharge por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of the septic tank to allow the wash water to flow into the body member when the level of the wash water stored therein is increased to a certain heigh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뚜껑부재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저수조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삽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테두리부가 더 구비되고,
또 상기 저수조뚜껑부재는 상기 절곡테두리부로부터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면을 이루면서 그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삿갓형상으로 형성 구비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tank lid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bending rim formed by being bent downward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in a latch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water tank lid member is formed in a shape of a slit having an upward sloping surface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bending rim toward the center side.
KR1020140127428A 2014-09-24 2014-09-24 a dust clearing device KR1016280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428A KR101628076B1 (en) 2014-09-24 2014-09-24 a dust clea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428A KR101628076B1 (en) 2014-09-24 2014-09-24 a dust clear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754A KR20160035754A (en) 2016-04-01
KR101628076B1 true KR101628076B1 (en) 2016-06-08

Family

ID=5579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428A KR101628076B1 (en) 2014-09-24 2014-09-24 a dust clear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076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943B1 (en) 2019-02-20 2019-10-08 장현수 Air treating apparatus with function for recycling airto removing fine dust etc.
KR20200045857A (en) 2018-10-23 2020-05-06 방규열 Apparatus for collecting fine dust
KR20200066996A (en)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Fine dust reduction device
KR102159452B1 (en) 2019-06-17 2020-09-24 에어몬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ducing fine dust
KR102292541B1 (en) * 2020-09-11 2021-08-23 최행숙 Ultrafine dust adsorption device
KR20210151289A (en) 2020-06-04 2021-12-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CF panel for removing fine dust
KR20210151290A (en) 2020-06-04 2021-12-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imultaneous removal device for ultra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KR20230061623A (en) 2021-10-28 2023-05-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Titanium dioxide coated ACF based air purifier and operation method
KR20230061626A (en) 2021-10-28 2023-05-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ir purifier equipped with ACF filter and operation method
KR20230063896A (en) 2021-10-28 2023-05-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CF based high capacity pollutant remova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KR20230063897A (en) 2021-10-28 2023-05-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ir purifier with improved antibacterial efficiency and opera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101B1 (en) * 2019-01-25 2021-10-14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켐 Air purifing apparatus
KR102067031B1 (en) * 2019-06-04 2020-01-15 (주)선바이오투 Device for reducing fine dust
KR102186101B1 (en) * 2019-07-16 2020-12-03 박중호 Water Jet Circulating Smoke Reduc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268Y1 (en) 2002-12-06 2003-03-31 박명덕 An air purifier by waterwash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088B2 (en) * 1996-03-25 2001-07-09 ハウス食品株式会社 Multi-chamber wet dust collector
ITMI20030476A1 (en) * 2003-03-13 2004-09-14 Nicola Riccardi DEVICE AND WET CHILLING PROCEDURE.
KR100786977B1 (en) 2006-01-14 2007-12-17 박명덕 Air cleaner by water washing
KR100929140B1 (en) 2007-11-14 2009-12-01 이영훈 Wet air cleaner
KR100976203B1 (en) * 2008-07-01 2010-08-20 여승동 Wet type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268Y1 (en) 2002-12-06 2003-03-31 박명덕 An air purifier by waterwashing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857A (en) 2018-10-23 2020-05-06 방규열 Apparatus for collecting fine dust
KR20200066996A (en)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Fine dust reduction device
KR102028943B1 (en) 2019-02-20 2019-10-08 장현수 Air treating apparatus with function for recycling airto removing fine dust etc.
KR102159452B1 (en) 2019-06-17 2020-09-24 에어몬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ducing fine dust
KR20210151289A (en) 2020-06-04 2021-12-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CF panel for removing fine dust
KR20210151290A (en) 2020-06-04 2021-12-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imultaneous removal device for ultra fine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KR102292541B1 (en) * 2020-09-11 2021-08-23 최행숙 Ultrafine dust adsorption device
KR20230061623A (en) 2021-10-28 2023-05-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Titanium dioxide coated ACF based air purifier and operation method
KR20230061626A (en) 2021-10-28 2023-05-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ir purifier equipped with ACF filter and operation method
KR20230063896A (en) 2021-10-28 2023-05-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CF based high capacity pollutant remova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KR20230063897A (en) 2021-10-28 2023-05-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ir purifier with improved antibacterial efficiency and oper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754A (en)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076B1 (en) a dust clearing device
KR101768009B1 (en) A Dust Clearing Device
US20060102000A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0605735B1 (en) Liquid air cleaner with anion generator
KR100482926B1 (en) Washer type air conditioner device
US20060102001A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1296799B1 (en) Wet type dust collector for air purifying apparatus
KR200432286Y1 (en) Air-cleaner using water-filter
KR100589788B1 (en) Water washing type air cleaner
KR100671844B1 (en) Water tank for liquid air-cleaner
KR200309268Y1 (en) An air purifier by waterwashing
KR101552148B1 (en) The rotary type air filtering apparatus for industrial
KR20120051887A (en) Air cleaner
CN205867984U (en) Flue gas minimum discharge absorption tower device
CN114599259A (en) Floor cleaner
JP2006175336A (en) Wet gas purifier
KR100640733B1 (en) Suction type liquid air-cleaner
KR20040034390A (en) Vacuum cleaner having water-cleaning function
KR100640728B1 (en) Scrubbing apparatus for liquid generator
KR100605730B1 (en) structure of removing a dust in a moisture-air cleaner
KR100640748B1 (en) Scrubbing apparatus for liquid generator
KR100640732B1 (en) Blower type liquid air-cleaner
KR20040049768A (en) An air purifier by waterwashing
KR100640729B1 (en) Scrubbing apparatus for liquid generator
KR100643888B1 (en) Air cleaner with liquid anion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