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760B1 - 프로세싱 보드, 의료용 진단 장치, 및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세싱 보드, 의료용 진단 장치, 및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760B1
KR101626760B1 KR1020140152096A KR20140152096A KR101626760B1 KR 101626760 B1 KR101626760 B1 KR 101626760B1 KR 1020140152096 A KR1020140152096 A KR 1020140152096A KR 20140152096 A KR20140152096 A KR 20140152096A KR 101626760 B1 KR101626760 B1 KR 101626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board
photographing
sensing
unit
diagnostic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2178A (ko
Inventor
김명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760B1/ko
Priority to PCT/KR2015/009359 priority patent/WO2016072608A1/en
Priority to CN201580059724.6A priority patent/CN107072590A/zh
Priority to US14/851,087 priority patent/US10295975B2/en
Publication of KR20160052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94Means for identifying the diagnost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6Detection of faults or malfunction of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11Device bein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38Means for identifying the diagnostic device, e.g. barc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 A61B8/565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involving data transmission via 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 diagnostic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62Apparatus with built-i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6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or the detector unit being mounted to cei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7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tracking of position of the device or parts of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61B6/563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involving image data transmission via 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4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032CAN, canbus, controller area network bu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52Medical sc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의료용 진단 장치에 장착되는 프로세싱 보드는, 프로세싱 보드의 장착 위치, 장착 방향, 및 소비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보드의 아이디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세싱 보드, 의료용 진단 장치, 및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PROCESSING BOARD,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FOR THE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의료용 진단 장치에 장착되는 프로세싱 보드, 의료용 진단 장치, 및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진단 장치는 환자의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의료용 진단 장치는 엑스선 영상 장치, 초음파 진단 장치, 컴퓨터 단층촬영 장치 및 자기공명영상 장치 등이 있다.
이 중, 엑스선 영상 장치는 엑스선(X-ray)을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 기기이다. 엑스선 영상 장치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대상체 내부를 영상화한다. 따라서 의료용 엑스선 영상 장치는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대상체 내부의 상해 또는 질병 등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엑스선 영상 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x-ray source)를 대상체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촬영실링부(ceiling),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디텍터(x-ray detector)가 장착될 수 있는 촬영테이블(table) 및 촬영스탠드(stand)를 포함한다.
한편, 촬영실링부, 촬영테이블, 및 촬영스탠드에는 각각 프로세싱 보드가 장착되어 있고, 엑스선 영상 장치는 촬영실링부의 프로세싱 보드, 촬영테이블의 프로세싱 보드, 및 촬영스탠드의 프로세싱 보드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싱 보드를 포함하고 있다.
각 프로세싱 보드는 사용자 또는 메인 프로세싱 보드로부터 할당된 고유 아이디에 따라,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촬영실링부에 장착된 프로세싱 보드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기 위해, 엑스선 소스를 제어하고, 촬영테이블에 장착된 프로세싱 보드는 촬영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하고, 촬영스탠드에 장착된 프로세싱 보드는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엑스선 디텍터를 제어할 수 있다.
스스로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아이디를 설정하는 프로세싱 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각 프로세싱 보드가 감지된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아이디를 설정하고, 설정된 아이디를 메인 프로세싱 보드에 제공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에 장착되는 프로세싱 보드는, 프로세싱 보드의 장착 위치, 장착 방향, 및 소비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보드의 아이디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싱 보드는, 아이디를 다른 프로세싱 보드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는,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캔 통신을 이용하여 아이디를 다른 프로세싱 보드로 전송한다.
또한, 감지부는, 가속도 감지 센서, 마그네틱 감지 센서, 고도 감지 센서, 및 전류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가속도 감지 센서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중력의 작용 방향을 감지한다.
또한, 감지부는, 사용자의 턴온 또는 턴오프 조작에 기초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감지부의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아이디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저장부로부터 검출하여, 프로세싱 보드의 아이디로서 설정한다.
또한, 의료용 진단 장치는, 초음파 진단 장치, 자기공명 영상 장치, 및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프로세싱 보드는, 다른 프로세싱 보드에 프로세싱 보드의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는, 다른 프로세싱 보드로부터 프로세싱 보드의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는, 의료용 진단 장치 상에 장착되어, 장착된 위치, 장착된 방향, 및 소비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아이디를 설정하는 프로세싱 보드, 및 프로세싱 보드로부터 아이디를 수신하는 메인 프로세싱 보드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싱 보드에는, 장착된 위치, 장착된 방향, 및 소비 전류에 따라 다른 기대 출력값이 저장되어 있고, 프로세싱 보드는, 감지 결과와 기대 출력값을 비교하여 설치 오류를 판단한다.
또한, 의료용 진단 장치는, 메인 프로세싱 보드로부터 프로세싱 보드로부터 전송된 아이디를 수신하는 워크스테이션을 더 포함한다.
또한, 의료용 진단 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엑스선 소스를 대상체를 향해 이동시키는 촬영실링부,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디텍터가 장착되는 촬영테이블 및 촬영스탠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싱 보드는, 제 1 프로세싱 보드, 제 2 프로세싱 보드, 및 제 3 프로세싱 보드를 포함하고, 제 1 프로세싱 보드는 촬영실링부에 장착되고, 제 2 프로세싱 보드는 촬영스탠드에 장착되고, 제 3 프로세싱 보드는 촬영테이블에 장착된다.
또한, 의료용 진단 장치는, 초음파 진단 장치, 자기공명 영상 장치, 및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은, 의료용 진단 장치 상에 장착된 프로세싱 보드의 장착 위치, 장착 방향, 및 소비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하는 단계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보드의 아이디를 설정하는 단계, 및 아이디를 다른 프로세싱 보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감지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중력의 작용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전송하는 단계는, 다른 프로세싱 보드에 프로세싱 보드의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은, 다른 프로세싱 보드로부터 프로세싱 보드의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일일이 촬영실링부, 촬영테이블, 및 촬영스탠드에 장착된 프로세싱 보드 각각에 대한 아이디를 수동으로 설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아이디가 설정된 프로세싱 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외관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엑스선 영상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조작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메인 프로세싱 보드(84), 워크스테이션(170),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보드(110)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보드가 장착된 엑스선 영상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11b)의 외관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싱 보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5는 가속도 감지 센서로 구현된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보드의 설치 오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가속도 감지 센서로 구현된 센서의 출력값에 대응하는 캔 통신 아이디에 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개시된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개시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영상 장치 및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후술된 실시 예들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진단 장치(100)는 대상체(ob)의 내부 또는 외부영상을 영상 촬영부(101, 102, 103, 104), 및 영상 촬영부(101, 102, 103, 104)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정합하는 워크스테이션(1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촬영부(101, 102, 103, 104)는 영상 장치(100)의 워크스테이션(17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영상 촬영부(101, 102, 103, 104)와 워크스테이션(170)은 각종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부(101, 102, 103, 104)는 워크스테이션(170)와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영상촬영부(101, 102, 103, 104)와 워크스테이션(170)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이동 통신 프로토콜,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로도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영상 촬영부(101, 102, 103, 104)는 대상체의 내부 영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영상 촬영부는 엑스선, 자기 공명 현상,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부(101, 102, 103, 104)는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장치, 양전자 단층 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장치, 단일 광자 컴퓨터 단층 촬영(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장치, 또는 유방촬영 장치(Mammography) 등과 같이 엑스선을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촬영부(101, 102, 103, 104)는 엑스선 영상 장치와 같이, 엑스선을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거나, 초음파을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촬영부(101, 102, 103, 104)는 다양한 방법으로 대상체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엑스선 촬영 방식을 적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를 의료용 진단 장치(100)의 일 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촬영 방식은 다른 내부 영상을 획득하는 다른 방법으로 치환,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더 많은 영상 획득 방법을 적용하여 영상을 할 수 있다
도 2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외관을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엑스선 영상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x-ray source, 70)를 대상체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검사실의 천장에 마련되는 촬영실링부(ceiling, 100-1),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디텍터(x-ray detector, 90)가 장착될 수 있는 촬영테이블(table, 100-3)과 촬영스탠드(stand, 100-2), 및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170)을 포함한다
촬영실링부(100-1)는 가이드레일(30), 이동캐리지(40), 포토프레임(50), 액츄에이터(actuator, 120, 124, 125), 엑스선 소스(70), 조작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30), 이동캐리지(40), 포스트프레임(50) 등은 엑스선 소스(70)를 대상체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가이드레일(30)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 1가이드레일(31)과 제 2가이드레일(32)을 포함한다. 제 1가이드레일(31)과 제 2가이드레일(32)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가이드레일(31)은 엑스선 영상 장치가 배치되는 검사실의 천장에 설치된다. 제 2가이드레일(32)은 제 1가이드레일(31)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1가이드레일(3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1가이드레일(31)에는 제 1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가이드레일(32)은 이 롤러(미도시)에 연결되어 제 1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 1가이드레일(3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 1방향(D1)이 정의되고, 제 2가이드레일(3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 2방향(D2)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 1방향(D1)과 제 2방향(D2)은 서로 직교하고 검사실의 천장과 평행할 수 있다.
이동캐리지(40)는 제 2가이드레일(3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 2가이드레일(32)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동캐리지(40)에는 제 2가이드레일(32)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캐리지(40)는 제 2가이드레일(32)과 함께 제 1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 2가이드레일(32)을 따라 제 2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다. 포스트프레임(50)은 이동캐리지(40)에 고정되어 이동캐리지(40)의 하측에 위치한다. 포스트프레임(50)은 복수개의 포스트(51, 52, 53, 54, 55)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포스트(51, 52, 53, 54, 55)는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포스트프레임(50)은 이동캐리지(40)에 고정된 채로 검사실의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50)의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제 3방향(D3)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 3방향(D3)은 제 1방향(D1) 및 제 2방향(D2)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대상체에 엑스선(X-RAY)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대상체는 사람이나 동물의 생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의해 그 내부 구조가 영상화 될 수 있는 것이면 대상체가 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상체를 사람으로 하여 이하 상술하기로 한다.
엑스선 소스(70)는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튜브(X-RAY TUBE, 71)와, 발생된 엑스선을 대상체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 7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엑스선 튜브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엑스선 소스(70)와 포스트프레임(50) 사이에는 회전조인트(60)가 배치된다.
회전조인트(60)는 엑스선 소스(70)를 포스트프레임(50)에 결합시키고 엑스선 소스(70)에 작용되는 하중을 지지한다. 회전조인트(60)는 포스트프레임(50)의 하단 포스트(51)와 연결되는 제 1회전조인트(61)와, 엑스선 소스(70)와 연결되는 제 2회전조인트(62)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회전조인트(61)는 검사실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프레임(5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 1회전조인트(61)는 제 3방향(D3)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 1회전조인트(61)의 회전 방향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는데, 새롭게 정의되는 제 4방향(D4)은 제 3방향(D3)과 평행한 축의 회전 방향이다.
제 2회전조인트(62)는 검사실의 천장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 2회전조인트(62)는 제 1방향(D1) 또는 제 2방향(D2)과 평행한 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 2회전조인트(62)의 회전 방향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는데, 새롭게 정의되는 제 5방향(D5)은 제 1방향 또는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의 회전 방향이다. 엑스선 소스(70)는 회전조인트(60)에 연결되어 제 4방향(D4) 및 제 5방향(D5)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소스(70)는 회전조인트(60)에 의하여 포스트프레임(50)에 연결되어 제 1방향(D1), 제 2방향(D2) 및 제 3방향(D3)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를 제 1방향(D1) 내지 제 5방향(D5)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액츄에이터(120, 124, 125)가 마련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20, 124, 125)에는 모터 및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드라이버가 포함될 수 있고, 모터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전기모터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120, 124, 125)는 각각의 방향에 대응하여 제 1, 2, 3, 4, 5액츄에이터(121, 122, 123, 124, 125)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액츄에이터(121, 122, 123, 124, 125)는 설계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가이드레일(32)을 제 1방향(D1)으로 이동시키는 제 1액츄에이터(121)는 제 1가이드레일(31) 주위에 배치되고, 이동캐리지(40)를 제 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액츄에이터(122)는 제 2가이드레일(32) 주위에 배치되고, 포스트프레임(50)의 길이를 제 3방향(D3)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 3액츄에이터(123)는 이동캐리지(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엑스선 소스(70)를 제 4방향(D4)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제 4액츄에이터(124)는 제 1회전조인트(61) 주위에 배치되고, 엑스선 소스(70)를 제 5방향(D5)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제 5액츄에이터(125)는 제 2회전조인트(62)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캐리지(40)를 이동시키는 제 1액츄에이터(121), 제 2액츄에이터(122), 및 제 3액츄에이터(123)를 이하 캐리지 액츄에이터(120)라 정의하기로 한다.
각각의 액츄에이터(121, 122, 123, 124, 125)는 엑스선 소스(70)를 제 1방향(D1) 내지 제 5방향(D5)으로 직선 또는 회전 이동시키도록 동력전달수단(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라킷, 샤프트 등 일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의 일 측면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부(80)가 마련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진단을 수행하는 자로서 의사, 엑스선사, 간호사 등을 포함하는 의료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엑스선 영상 장치(100)를 사용하는 자이면 모두 사용자가 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촬영실링부(100-1)는 가이드레일(30), 이동캐리지(40, 포토프레임(50), 액츄에이터(120, 124, 125), 및 엑스선 소스(70)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112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중앙 처리 장치(112a)는 내장된 프로세싱 보드(110-1)로서,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rard; PCB)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보드(110)는, 촬영스탠드(100-2), 및 촬영테이블(100-3)에도 내장되어 있을 수 있고, 내장된 위치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싱 보드(110)는 촬영스탠드(100-2), 및 촬영테이블(100-3)에도 내장된 것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스탠드(100-2), 및 촬영테이블(100-3)의 외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보드(110)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조작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조작부(80)는 버튼(83) 및 표시패널(8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버튼(83)을 누르거나 표시패널(81)을 터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엑스선 촬영에 관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각각의 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다. 표시패널(81)은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조작부(80)는 손잡이(82)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조작부(80)의 손잡이(82)를 파지하여 힘 또는 토크를 가함으로써 엑스선 소스(70)를 제 1방향(D1) 내지 제 3방향(D3)으로 직선 이동시키거나, 제 4방향(D4) 및 제 5방향(D5)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손잡이(82)가 조작부(80)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조작부(80)의 다른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조작부(8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 Processing Unit; GPU) 및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장치들은 내장된 프로세싱 보드(84)로서,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rard; PCB)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조작부(80)는 프로세싱 보드(84)를 포함하며 엑스선 소스(70)의 일 측면에 마련되므로 "Tube Head Board" 또는 "THU"라 칭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조작부(80)가 포함하는 프로세싱 보드(84)를 "메인 프로세싱 보드(84)"라 칭한다.
이러한 조작부(80)가 포함하는 메인 프로세싱 보드(84)는 촬영실링부(100-1), 촬영스탠드(100-2), 및 촬영테이블(100-3)에 각각 장착된 프로세싱 보드(110-2, 110-1, 110-3)와 연결되어 각 프로세싱 보드(110-2, 110-1, 110-3)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워크스테이션(170)은 입력부(171)와 디스플레이부(172)를 포함하여, 조작부(80)와 함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워크스테이션(170)을 통해 엑스선 촬영에 관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각각의 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워크스테이션(170)을 통해 촬영 부위에 따른 촬영조건을 설정하거나, 이동캐리지(40) 또는 엑스선 소스(70)의 이동 명령, 또는 엑스선 촬영의 시작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워크스테이션(170)을 통해 엑스선 촬영 과정에서 얻어진 영상들을 확인할 수 있다.
입력부(171)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스테이션(170)의 상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입력부(210)가 풋 스위치(foot switch) 및 풋 페달(foot pedal)등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워크스테이션(170)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71)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후술될 제 2표시부(172)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2)는 조작부(80)의 표시패널(81)과 마찬가지로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바 있듯이, 터치 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72)는 표시 장치 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워크스테이션(170)에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나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 Processing Unit; GPU)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장치 및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보드로서,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워크스테이션(170)은 엑스선 영상 장치(1)의 주요 구성요소를 수납하여 엑스선 영상 장치(1)의 동작을 위한 각종 판단을 수행하거나,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70)과 검사실 사이에는 엑스선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B)이 마련되어 있어, 엑스선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사용자는 차단막(B)을 통해 엑스선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보를 입력하거나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90)는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엑스선 디텍터(90)는 엑스선 촬영 시 촬영테이블(100-3) 또는 촬영스탠드(100-2)에 장착될 수 있다.
촬영테이블(100-3)에는 엑스선 디텍터(90)의 장착을 위한 테이블 장착부(15)가 마련되며, 테이블 장착부(15)는 촬영테이블(100-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촬영스탠드(100-2)에는 엑스선 디텍터(90)의 장착을 위한 스탠드 장착부(25)가 마련되며, 스탠드 장착부(25)는 촬영스탠드(100-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때, 촬영테이블(100-3)의 길이방향을 제 6방향(D6)으로, 촬영스탠드(100-2)의 길이방향을 제 7방향(D7)으로 각각 정의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90)가 장착된 테이블 장착부(15) 또는 스탠드 장착부(25)는 제 6방향(D6) 또는 제 7방향(D7)을 따라 이동하면서, 대상체의 전체 또는 특정 부위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테이블(100-3)은 촬영테이블(100-3)을 지지하며 촬영테이블(100-3)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지지대(12)를 포함하고, 지지대(12)에는 지지대(1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테이블 액츄에이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대(12)의 상하방향을 제 8방향(D8)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촬영스탠드(100-2) 및 촬영테이블(100-3)은 각각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중앙 처리 장치는 내장된 프로세싱 보드(110-2, 110-3)로서,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rard; PCB)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보드(110)는, 촬영스탠드(100-2), 및 촬영테이블(100-3)에 내장되어,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싱 보드(110)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상으로 엑스선 영상 장치의 외관을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촬영실링부(100-1), 촬영스탠드(100-2), 및 촬영테이블(100-3) 각각에 장착되는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촬영실링부(100-1)에 장착된 프로세싱 보드(110)를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 촬영스탠드(100-2)에 장착된 프로세싱 보드(110)를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 촬영테이블(100-3)에 장착된 프로세싱 보드(110)를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라 칭한다.
도 5는 메인 프로세싱 보드(84), 워크스테이션(170),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보드(110)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프로세싱 보드(THU, 84)는 촬영실링부(ceiling, 100-1), 촬영스탠드(stand, 100-2), 및 촬영테이블(table, 100-3) 각각에 장착된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를 제어하고,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워크스테이션(170)에 전송한다.
메인 프로세싱 보드(84)와 촬영실링부(100-1), 촬영스탠드(100-2), 및 촬영테이블(100-3) 각각에 장착된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는 캔(CAN)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싱 보드(84)와 워크스테이션(170)은 랜(LAN)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각 장치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근거리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근거리 통신망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망은 유선 이더넷을 포함하고,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및 캔 통신망(Controller Area Network; CAN)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망은AP(access point, 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AP(access point)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망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 랜 규격(IEEE802. 11x)을 지원한다.
근거리 통신망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망,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 적외선 통신망(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통신망,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직비(Zigbee)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프로세싱 보드(84)와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가 연결되는 경우, 메인 프로세싱 보드(84)가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를 각각 구별하기 위해,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는 각각 고유의 아이디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는 사용자로부터 수동으로 고유의 아이디를 설정 받을 수 있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는 자동으로 아이디를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는 각각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장착된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아이디를 설정한다.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가 장착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는 각각 감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보드가 장착된 엑스선 영상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6, 도 8 내지 도 11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가 촬영실링부(100-1), 촬영스탠드(100-2), 및 촬영테이블(100-3) 외부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는 촬영실링부(100-1), 촬영스탠드(100-2), 및 촬영테이블(100-3) 내부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된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는 각각 감지부(11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촬영실링부(100-1)에 장착된 제1 프로세싱 보드(110-1), 촬영스탠드(100-2)에 장착된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 및 촬영테이블(100-3)에 장착된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는 촬영실링부(100-1), 촬영스탠드(100-2), 또는 촬영테이블(100-3) 상에 장착된 위치, 장착된 방향, 및 소비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111)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감지부(111)는 가속도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가속도 감지 센서는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의 촬영실링부(100-1), 촬영스탠드(100-2), 및 촬영테이블(100-3) 상에서의 장착 위치 또는 장착 방향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한다.
도 7은 가속도 감지 센서가 감지하는 힘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좌표도이고, 도 8은 가속도 감지 센서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감지하는 경우 생성한 출력값에 대한 표이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가속도 감지 센서의 좌표계가 x축, y축, z축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경우, 가속도 감지 센서는 x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X방향임을 감지하고, x축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X방향임을 감지하고, y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Y방향임을 감지하고, y축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Y방향임을 감지하고, z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Z방향임을 감지하고, z축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Z방향임을 감지한다.
촬영실링부(100-1)에 장착된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의 좌표계가 도 6을 기준으로 제 8 방향(D8)이 z축, 제 1 방향(D1)이 y축이 되도록,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가 촬영실링부(100-1)에 장착된 경우, 가속도 감지 센서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Z방향임을 감지한다.
또한, 촬영스탠드(100-2)에 장착된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의 좌표계가 도 6을 기준으로 제 8 방향(D8)이 y축, 제 1 방향(D1)이 z축이 되도록,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가 촬영스탠드(100-2)에 장착된 경우, 가속도 감지 센서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Y방향임을 감지한다.
또한, 촬영테이블(100-3)에 장착된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의 좌표계가 도 6을 기준으로 제 8 방향(D8)이 z축, 제 1 방향(D1)이 y축이 되도록,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가 촬영테이블(100-3)에 장착된 경우, 가속도 감지 센서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Z방향임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가속도 감지 센서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감지하는 경우, 가속도 감지 센서는 도 8과 같은 출력값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수직 아래 방향이 +X방향이 되도록 프로세싱 보드(110)가 장착된 경우, 가속도 감지 센서는 중력을 감지하여 도 8의 (a)와 같은 출력값을 생성한다.
또한, 수직 아래 방향이 -X방향이 되도록 프로세싱 보드(110)가 장착된 경우, 가속도 감지 센서는 중력을 감지하여 도 8의 (b)와 같은 출력값을 생성한다.
또한, 수직 아래 방향이 Y방향이 되도록 프로세싱 보드(110)가 장착된 경우, 가속도 감지 센서는 중력을 감지하여 도 8의 (c)와 같은 출력값을 생성한다.
또한, 수직 아래 방향이 -Y방향이 되도록 프로세싱 보드(110)가 장착된 경우, 가속도 감지 센서는 중력을 감지하여 도 8의 (d)와 같은 출력값을 생성한다.
또한, 수직 아래 방향이 Z방향이 되도록 프로세싱 보드(110)가 장착된 경우, 가속도 감지 센서는 중력을 감지하여 도 8의 (e)와 같은 출력값을 생성한다.
또한, 수직 아래 방향이 -Z방향이 되도록 프로세싱 보드(110)가 장착된 경우, 가속도 감지 센서는 중력을 감지하여 도 8의 (f)와 같은 출력값을 생성한다.
한편, 수직 아래 방향이 X방향과 Y방향의 성분을 모두 포함하거나, Y방향과 Z방향의 성분을 모두 포함하거나, Y방향과 Z방향의 성분을 모두 포함하거나, X방향, Y방향, 및 Z방향의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가속도 감지 센서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출력값 크기를 갖는 방향을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감지한다.
예를 들어, 수직 아래 방향이 X방향, Y방향, 및 Z방향의 성분을 모두 포함하도록 프로세싱 보드(110)가 장착된 경우, 가속도 감지 센서는 도 8의 (g)와 같이, 출력값을 생성하고, 700mg 이상의 크기를 갖는 X방향을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 아래 방향이 X방향, Y방향, 및 Z방향의 성분을 모두 포함하도록 프로세싱 보드(110)가 장착된 경우, 가속도 감지 센서는 도 8의 (h)와 같이, 출력값을 생성하고, 700mg 이상의 크기를 갖는 -Z방향을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가속도 감지 센서의 출력값은 반드시 도 8의 표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가속도 감지 센서의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감지부(111)는 마그네틱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장착된 제 1 내지 제 3 자석(111-1, 111-2, 111-3)과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 간의 위치 관계에 따라 마그네틱 감지 센서는 상이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마그네틱 감지 센서의 좌표계가 x축, y축, z축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경우, 마그네틱 감지 센서는 x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자력에 대하여 +X방향임을 감지하고, x축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자력에 대하여, -X방향임을 감지하고, y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자력에 대하여 +Y방향임을 감지하고, y축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자력에 대하여, -Y방향임을 감지하고, z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자력에 대하여 +Z방향임을 감지하고, z축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자력에 대하여, -Z방향임을 감지한다.
촬영실링부(100-1)에 장착된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의 좌표계가 도 9를 기준으로 제 8 방향(D8)이 z축, 제 1 방향(D1)이 y축이 되도록,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가 촬영실링부(100-1)에 장착되고, 제 1 프로세싱 보드(100-1) 수직 아래에 자석(111-1)이 장착된 경우, 마그네틱 감지 센서는 자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Z방향임을 감지한다.
또한, 촬영스탠드(100-2)에 장착된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의 좌표계가 도 9를 기준으로 제 8 방향(D8)이 y축, 제 1 방향(D1)이 z축이 되도록,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가 촬영스탠드(100-2)에 장착되고, 제 2 프로세싱 보드(100-1) 수직 아래에 자석(111-2)이 장착된 경우, 마그네틱 감지 센서는 자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Y방향임을 감지한다.
또한, 촬영테이블(100-3)에 장착된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의 좌표계가 도 9를 기준으로 제 8 방향(D8)이 z축, 제 1 방향(D1)이 y축이 되도록,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가 촬영테이블(100-3)에 장착되고, 프로세싱 보드(100-3) 오른편에 자석(111-3)이 장착된 경우 경우, 마그네틱 감지 센서는 자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Y방향임을 감지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마그네틱 감지 센서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출력값 크기를 갖는 방향을 자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감지부(111)는 고도 감지 센서로도 구현될 수 있고, 고도 감지 센서는 지면으로부터 측정한 프로세싱 보드(110)의 고도 또는 높이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촬영실링부(100-1)에 장착된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b이고, 촬영스탠드(100-2)에 장착된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a이고, 촬영테이블(100-3)에 장착된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c인 경우, 고도 감지 센서는 촬영 실링부(100-1)에 장착된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의 높이가 b임을 감지하고, 촬영 스탠드(100-2)에 장착된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의 높이가 a임을 감지하고, 촬영 테이블(100-3)에 장착된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의 높이가 c임을 감지한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감지부(111)는 전류 센서로도 구현될 수 있고, 전류 센서는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 각각의 소비 전류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촬영실링부(100-1)에 장착된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는 이동캐리지(40), 포스트프레임(50), 엑스선 소스(70) 등 촬영실링부(100-1)에 장착된 다양한 구성 요소 또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를 이동캐리지(40), 포스트프레임(50), 엑스선 소스(70) 등에 공급한다.
이하, 촬영실링부(100-1)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장치를 이하, 제 1 내지 제 6 장치(110-1a, 110-1b, 110-1c, 110-1d, 110-1e, 110-1f)라 한다.
또한, 촬영스탠드(100-2)에 장착된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는 스탠드 장착부(25), 엑스선 디텍터(90) 등 촬영스탠드(100-2)에 장착된 다양한 구성 요소 또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를 스탠드 장착부(25), 엑스선 디텍터(90) 등에 공급한다.
이하, 촬영스탠드(100-2)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장치를 이하, 제 7 내지 제 8 장치(110-2a, 110-2b)라 한다.
또한, 촬영테이블(100-3)에 장착된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는 테이블 액츄에이터, 엑스선 디텍터(90) 등 촬영스탠드(100-2)에 장착된 다양한 구성 요소 또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를 액츄에이터, 엑스선 디텍터(90) 등에 공급한다.
이하, 촬영테이블(100-3)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장치를 이하, 제 9 내지 제 12 장치(110-3a, 110-3b, 110-3c, 110-3d)라 한다.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가 포함하는 전류 센서는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로부터 제 1 내지 제 6 장치(110-1a, 110-1b, 110-1c, 110-1d, 110-1e, 110-1f)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고,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가 포함하는 전류 센서는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로부터 제 7 내지 제 8 장치(110-2a, 110-2b)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고,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가 포함하는 전류 센서는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로부터 제 9 내지 제 12 장치(110-3a, 110-3b, 110-3c, 110-3d)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한다.
도 12는 전류 센서로 구현된 감지부의 회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류 센서는 프로세싱 보드(110)로부터 공급된 전압(Vsupply; 예를 들어, 24V)으로부터 어느 한 장치(110a)에 공급되는 전류(i)를 감지하기 위해, 측정 저항(111-4), 증폭기(111-5), 및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컨버터(111-6)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111-5)는 장치(110a)에 연결된 측정 저항(111-4)의 양단의 전압차를 측정하고, ADC컨버터(111-6)는 증폭기(111-5)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노드(n)에 출력한다.
전류 센서는 노드(n)로부터 출력된 측정 저항(111-4)의 양단의 전압차와 측정 저항(111-4)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장치(110a)에 공급되는 전류(i)를 감지한다.
한편, 전류 센서의 회로도는 도 12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와 연결되는 장치의 개수는 도 11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감지부(111)는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 중 어느 하나가 엑스선 영상 장치(100) 상에 장착된 상태를 감지한다. 장착된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111)가 포함하는 센서(111a)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한편, 감지부(111)는 센서(111a)뿐만 아니라, 스위치(111b)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스위치(111b)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다른 값을 출력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11b)의 외관도이다.
도 13에 따르면, 스위치(111b)는 제 1 스위치(111b-1), 제 2 스위치(111b-2), 및 제 3 스위치(111b-3)을 포함하고, 각각의 스위치(111b-1, 111b-2, 111b-3)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턴온(ON) 또는 턴오프(OFF)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스위치(111b-1, 111b-2, 111b-3)는 턴온에 대응하는 1, 또는 턴오프에 대응하는 0을 이진수로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 1 스위치(111b-1)가 턴온, 제 2 스위치(111b-2)가 턴오프, 제 3 스위치(111b-3)가 턴오프된 경우, 각각의 스위치(111b-1, 111b-2, 111b-3)는 1, 0, 0을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 1 스위치(111b-1)가 턴오프, 제 2 스위치(111b-2)가 턴온, 제 3 스위치(111b-3)가 턴온된 경우, 각각의 스위치(111b-1, 111b-2, 111b-3)는 0, 1, 1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는 감지부(111)를 구비하여 프로세싱 보드(110)의 장착 상태에 따라, 그리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싱 보드(110)는 감지부(111)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함으로써, 자동으로 자신의 아이디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싱 보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4에 따르면, 프로세싱 보드(110)는 프로세싱 보드(110)의 장착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11), 프로세싱 보드(110)의 아이디를 설정하는 제어부(112), 감지부(111)의 출력값에 대응하는 아이디가 미리 저장된 저장부(113), 설정된 아이디를 메인 프로세싱 보드(84)로 전송하는 통신부(114)를 포함한다.
감지부(1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 감지 센서, 마그네틱 감지 센서, 고도 감지 센서, 또는 전류 센서로 구현된 센서(111a),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입력 받는 스위치(111b)를 포함한다.
제어부(112)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여러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112a)를 포함한다.
제어부(112)는 감지부(111)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보드(110)의 아이디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11)가 가속도 감지 센서로 구현된 경우,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가 포함하는 가속도 감지 센서가 중력의 작용 방향으로서 +Z방향을 출력하면, 제어부(112)는 +Z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예를 들어, 011)를 저장부(113)로부터 검출하여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의 아이디로서 설정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11)가 마그네틱 감지 센서로 구현된 경우,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가 포함하는 마그네틱 감지 센서가 자력의 방향으로서 +Z방향을 출력하면, 제어부(112)는 +Z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예를 들어, 011)를 저장부(113)로부터 검출하여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의 아이디로서 설정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11)가 고도 감지 센서로 구현된 경우,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가 포함하는 고도 감지 센서가 지면으로부터 높이로서 b를 출력하면, 제어부(112)는 b높이에 대응하는 아이디(예를 들어, 011)를 저장부(113)로부터 검출하여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의 아이디로서 설정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11)가 전류 센서로 구현된 경우,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가 포함하는 전류 센서가 소비 전류로서 제 1 내지 제 6 장치(110-1a, 110-1b, 110-1c, 110-1d, 110-1e, 110-1f)로 공급되는 전류의 합을 출력하면, 제어부(112)는 출력된 전류의 합에 대응하는 아이디(예를 들어, 011)를 저장부(113)로부터 검출하여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의 아이디로서 설정한다.
제어부(112)는 제 2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2, 110-3)에 대하여도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와 마찬가지로, 장착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아이디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11)의 출력값에 대응하는 아이디는 저장부(113)에서 검출되는 것뿐만 아니라, 통신부(114)를 통해 메인 프로세싱 보드(84)로부터 검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2)는 감지부(111)의 출력값을 통신부(114)를 통해 메인 프로세서(84)로 전송하고, 메인 프로세서(84)로부터 출력값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수신함으로써 프로세싱 보드(110)의 아이디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촬영실링부(100-1)에 장착된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 촬영스탠드(100-2)에 장착된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 및 촬영테이블(100-1)에 장착된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와 감지부(111)의 출력값을 비교하여,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 및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의 설치 오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5는 가속도 감지 센서로 구현된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보드의 설치 오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촬영실링부(Ceiling, 100-1)에 장착된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에 대하여 X방향이 미리 설정되고, 촬영스탠드(Stand, 100-2)에 장착된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에 대하여 -X방향이 미리 설정되고, 촬영테이블(Table, 100-3)에 장착된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에 대하여 Y방향이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가 포함하는 가속도 감지 센서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서 X방향을 출력하고,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가 포함하는 가속도 감지 센서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서 -X방향을 출력하고,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가 포함하는 가속도 감지 센서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서 Y방향을 출력한 경우, 미리 설정된 데이터와 가속도 감지 센서의 출력값이 동일하므로 제어부(112)는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가 엑스선 영상 장치(100) 상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가 포함하는 가속도 감지 센서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서 X방향을 출력하고,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가 포함하는 가속도 감지 센서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서 Z방향을 출력하고,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가 포함하는 가속도 감지 센서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서 Y방향을 출력한 경우,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에 대해 미리 설정된 데이터와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가 포함하는 가속도 감지 센서의 출력값이 상이하므로 제어부(112)는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가 비정상적으로 장착되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112)는 워크스테이션(170)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워크스테이션(170)이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72)가 사용자에게 설치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1)가 센서(111a) 외에 스위치(111b)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12)는 센서(111a)와 스위치(111b)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보드(110)의 설치 오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12)는 센서(111a)의 출력값에 대응하는 아이디와 스위치(111b)의 출력값을 비교하여 프로세싱 보드(110)의 설치 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가 포함하는 가속도 감지 센서로 구현된 센서(111a)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서 -X방향을 출력하고, -X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10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12)는 각각의 스위치(111b-1, 111b-2, 111b-3)의 출력값이 1, 0, 0로서 검출된 아이디(즉, 010)와 상이하므로,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가 비정상적으로 장착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112)는 워크스테이션(170)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워크스테이션(170)의 디스플레이부(172)가 사용자에게 설치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설정한 아이디를 기초로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가 메인 프로세싱 보드(84)와 접속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통신 아이디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6은 가속도 감지 센서로 구현된 센서의 출력값에 대응하는 캔 통신 아이디에 대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12)는 +X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001을 검출하고, 0001을 캔 통신에 적합한 11비트의 캔 통신 아이디(예를 들어, XXXXXXXXX01)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X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100을 검출하고, 0100을 캔 통신에 적합한 11비트의 캔 통신 아이디(예를 들어, XXXXXXXX100)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Y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100을 검출하고, 0100을 캔 통신에 적합한 11비트의 캔 통신 아이디(예를 들어, XXXXXXXXX10)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Y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110을 검출하고, 0110을 캔 통신에 적합한 11비트의 캔 통신 아이디(예를 들어, XXXXXXXX110)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Z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011을 검출하고, 0011을 캔 통신에 적합한 11비트의 캔 통신 아이디(예를 들어, XXXXXXXXX11)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는 -Z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101을 검출하고, 0101을 캔 통신에 적합한 11비트의 캔 통신 아이디(예를 들어, XXXXXXXX101)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캔 통신 아이디는 11비트 크기로 생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29비트 등 다양한 비트 크기로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6은 메인 프로세싱 보드(84)와 접속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통신 아이디로서 캔(CAN) 통신 아이디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어부(113)는 메인 프로세싱 보드(84)와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의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통신 아이디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저장부(113)에는 하나 이상의 감지부(111)의 출력값에 각각 대응하는 아이디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11)가 가속도 감지 센서 또는 마그네틱 감지 센서로 구현된 경우, 저장부(113)에는 +X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001, -X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100, +Y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010, -Y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110, +Z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011, -Z방향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101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1)가 고도 감지 센서로 구현된 경우, 저장부(113)에는 a높이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001, b높이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100, c높이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010, d높이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110, e높이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011, f높이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101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1)가 고도 감지 센서로 구현된 경우, 저장부(113)에는 i1전류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001, i2전류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100, i3전류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010, i4전류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110, i5전류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011, i6전류에 대응하는 아이디로서 0101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3)에는 촬영실링부(100-1)에 장착된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 촬영스탠드(100-2)에 장착된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 및 촬영테이블(100-1)에 장착된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 각각에 대한 감지부(111)의 기대 출력값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2)는 저장부(113)에 저장된 기대 출력값와 감지부(111)의 출력값을 비교하여, 제 1 프로세싱 보드(110-1), 제 2 프로세싱 보드(110-2), 및 제 3 프로세싱 보드(110-3)의 설치 오류를 판단한다.
이외에도, 저장부(113)에는 프로세싱 보드(110)를 제어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부(113)는 프로세싱 보드(110) 상에 장착된 각 구성요소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제어부(112)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4)는 제어부(112)에 의해 설정된 프로세싱 보드(110)의 아이디를 메인 프로세싱 보드(84)로 전송한다. 이 경우, 통신부(114)는 프로세싱 보드(110)의 아이디를 통신 네트워크 규격에 적합한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110-1, 110-2, 110-3)가 메인 프로세싱 보드(84)와 캔(CAN)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12)는 프로세싱 보드(110)의 아이디를 캔(CAN) 통신 아이디로 변환하고, 통신부(114)는 생성된 캔 통신 아이디를 메인 프로세싱 보드(84)에 전송한다.
캔 통신 아이디는 예를 들어, 11비트 또는 29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통신부(114)는 메인 프로세싱 보드(84)에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도 있다.
펌웨어는 프로세싱 보드(110)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포함하는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프로세싱 보드(110)는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함으로써, 프로세싱 보드(110)의 구성요소가 포함하는 하드웨어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싱 보드(110)가 메인 프로세싱 보드(84)와 캔(CAN)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통신부(114)는 캔 통신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통신부(114)는 통신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유선 통신 모듈, 무선 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보드가 엑스선 영상 장치의 촬영실링부, 촬영스탠드, 및 촬영테이블에 각각 장착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촬영실링부에 장착된 프로세싱 보드는 제 1 프로세싱 보드, 촬영스탠드에 장착된 프로세싱 보드는 제 2 프로세싱 보드, 촬영테이블에 장착된 프로세싱 보드는 제 3 프로세싱 보드라 칭한다.
또한, 촬영실링부의 조작부에 장착되어,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프로세싱 보드를 메인 프로세싱 보드라 칭한다.
우선, 메인 프로세싱 보드는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에 아이디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110).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한 프로세싱 보드에 아이디가 설정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S1110), 메인 프로세싱 보드는 아이디가 설정되어 있지 아니한 프로세싱 보드의 감지부를 작동시키고, 아이디가 설정되지 아니한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한 프로세싱 보드는 감지부로부터 프로세싱 보드의 장착 상태를 확인한다(S1120).
예를 들어, 감지부가 가속도 감지 센서로 구현된 경우, 아이디가 설정되지 아니한 제 1 프로세싱 보드는 프로세싱 보드의 장착 상태로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가 마그네틱 감지 센서로 구현된 경우, 아이디가 설정되지 아니한 제 1 프로세싱 보드는 프로세싱 보드의 장착 상태로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장착된 자석의 프로세싱 보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가 고도 감지 센서로서 구현된 경우, 아이디가 설정되지 아니한 제 1 프로세싱 보드는 프로세싱 보드의 장착 상태로서, 지면으로부터 프로세싱 보드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가 전류 센서로서 구현된 경우, 아이디가 설정되지 아니한 제 1 프로세싱 보드는 프로세싱 보드의 장착 상태로서, 프로세싱 보드의 소비 전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아이디가 설정되지 아니한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한 프로세싱 보드는 감지부의 설치 오류를 판단한다(S1130).
구체적으로, 프로세싱 보드는 확인된 감지부의 출력값과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감지부의 출력값과 미리 저장된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S1130의 "예"), 사용자에게 설치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도록 워크스테이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140).
예를 들어, 촬영실링부 상에 장착되는 제 1 프로세싱 보드의 기대 출력값으로서 "-X방향"이 미리 저장되어 있고, 촬영실링부 상에 장착된 제 1 프로세싱 보드의 감지부가 가속도 감지 센서로 구현되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서 "+X방향"을 출력한 경우, 기대 출력값과 가속도 감지 센서의 출력값은 상이하므로, 제 1 프로세싱 보드는 비정상적으로 제 1 프로세싱 보드가 장착되었음(즉, 설치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워크스테이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촬영실링부 상에 장착되는 프로세싱 보드의 기대 출력값으로서 "-Z방향"이 미리 저장되어 있고, 촬영실링부 상에 장착된 제 1 프로세싱 보드의 감지부가 마그네틱 감지 센서로 구현되어 자력의 방향으로서 "+Y방향"을 출력한 경우, 기대 출력값과 마그네틱 감지 센서의 출력값은 상이하므로, 제 1 프로세싱 보드는 비정상적으로 제 1 프로세싱 보드가 장착되었음(즉, 설치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워크스테이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촬영실링부 상에 장착되는 제 1 프로세싱 보드의 기대 출력값으로서 "a높이"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촬영실링부 상에 장착된 제 1 프로세싱 보드의 감지부가 고도 감지 센서로 구현되어 제 1 프로세싱 보드의 높이로서 "b높이"을 출력한 경우, 기대 출력값과 고도 감지 센서의 출력값은 상이하므로, 제 1 프로세싱 보드는 비정상적으로 프로세싱 보드가 장착되었음(즉, 설치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워크스테이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촬영실링부 상에 장착되는 제 1 프로세싱 보드의 기대 출력값으로서 "200mA"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촬영실링부 상에 장착된 제 1 프로세싱 보드의 감지부가 전류 센서로 구현되어 소비 전류로서 "0.5mA"를 출력한 경우, 기대 출력값과 전류 센서의 출력값은 상이하므로, 제 1 프로세싱 보드는 비정상적으로 제 1 프로세싱 보드가 장착되었음(즉, 설치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워크스테이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촬영실링부 외에도 촬영스탠드, 촬영테이블 등 다양한 장치에 제 2 및 제 3 프로세싱 보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기대 출력값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아이디가 설정되지 아니한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한 프로세싱 보드는 확인된 감지부의 출력값과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감지부의 출력값과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동일한 경우(S1130의 "아니오"), 감지부의 출력값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설정한다(S1150).
감지부의 출력값에 대응하는 아이디는 저장부에서 검출되거나, 메인 프로세싱 보드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다.
이어서, 아이디가 설정된 프로세싱 보드는 설정된 아이디와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메인 프로세싱 보드에 전송한다(S1160).
이 경우, 아이디가 설정된 프로세싱 보드는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와 메인 프로세싱 보드 간의 통신 네트워크 규격에 적합하도록, 설정된 아이디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와 메인 프로세싱 보드가 캔(CAN)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아이디가 설정된 프로세싱 보드는 아이디를 11비트 또는 29비트의 크기를 갖는 통신 아이디로 변환하여 메인 프로세싱 보드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싱 보드로부터 수신한 아이디 및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워크스테이션에 전송한다(S1170).
이 경우, 메인 프로세싱 보드는 메인 프로세싱 보드와 워크스테이션 간의 통신 네트워크 규격에 적합하도록, 수신한 아이디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싱 보드와 워크스테이션이 랜(LAN)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메인 프로세싱 보드는 아이디를 랜 통신 규격에 적합한 통신 아이디로 변환하여 워크스테이션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워크스테이션은 수신한 프로세싱 보드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메인 프로세싱 보드를 통해, 아이디와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전송한 프로세싱 보드로 전송하고, 프로세싱 보드는 이를 수신한다(S1180).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싱 보드와 워크스테이션이 랜(LAN)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워크스테이션은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랜 통신 규격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인 프로세싱 보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프로세싱 보드와 메인 프로세싱 보드가 캔(CAN)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메인 프로세싱 보드는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캔 통신 규격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아이디와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전송한 프로세싱 보드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의료용 진단 장치
110: 프로세싱 보드
111: 감지부
111a: 센서
111b: 스위치
112: 제어부
112a: 중앙처리장치
113: 저장부
114: 통신부

Claims (20)

  1. 의료용 진단 장치에 장착되는 프로세싱 보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보드의 장착 위치, 장착 방향, 및 소비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싱 보드의 아이디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를 다른 프로세싱 보드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싱 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캔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아이디를 상기 다른 프로세싱 보드로 전송하는 프로세싱 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가속도 감지 센서, 마그네틱 감지 센서, 고도 감지 센서, 및 전류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감지 센서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중력의 작용 방향을 감지하는 프로세싱 보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의 턴온 또는 턴오프 조작에 기초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싱 보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아이디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프로세싱 보드의 아이디로서 설정하는 프로세싱 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진단 장치는, 초음파 진단 장치, 자기공명 영상 장치, 및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중 어느 하나인 프로세싱 보드.
  9.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프로세싱 보드에 상기 프로세싱 보드의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싱 보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다른 프로세싱 보드로부터 상기 프로세싱 보드의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는 프로세싱 보드.
  11. 의료용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진단 장치 상에 장착되어, 장착된 위치, 장착된 방향, 및 소비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아이디를 설정하는 프로세싱 보드; 및
    상기 프로세싱 보드로부터 아이디를 수신하는 메인 프로세싱 보드를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보드에는, 상기 장착된 위치, 상기 장착된 방향, 및 상기 소비 전류에 따라 다른 기대 출력값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싱 보드는, 상기 감지 결과와 상기 기대 출력값을 비교하여 설치 오류를 판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싱 보드로부터 상기 프로세싱 보드로부터 전송된 아이디를 수신하는 워크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를 대상체를 향해 이동시키는 촬영실링부;
    상기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디텍터; 및
    상기 엑스선 디텍터가 장착되는 촬영테이블 및 촬영스탠드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보드는, 제 1 프로세싱 보드, 제 2 프로세싱 보드, 및 제 3 프로세싱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로세싱 보드는 촬영실링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프로세싱 보드는 촬영스탠드에 장착되고,
    상기 제 3 프로세싱 보드는 촬영테이블에 장착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초음파 진단 장치, 자기공명 영상 장치, 및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의료용 진단 장치.
  17. 의료용 진단 장치 상에 장착된 프로세싱 보드의 장착 위치, 장착 방향, 및 소비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하는 단계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싱 보드의 아이디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디를 다른 프로세싱 보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중력의 작용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다른 프로세싱 보드에 상기 프로세싱 보드의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다른 프로세싱 보드로부터 상기 프로세싱 보드의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152096A 2014-11-04 2014-11-04 프로세싱 보드, 의료용 진단 장치, 및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KR101626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096A KR101626760B1 (ko) 2014-11-04 2014-11-04 프로세싱 보드, 의료용 진단 장치, 및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15/009359 WO2016072608A1 (en) 2014-11-04 2015-09-04 Processing board,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CN201580059724.6A CN107072590A (zh) 2014-11-04 2015-09-04 处理板、医疗诊断设备以及控制医疗诊断设备的方法
US14/851,087 US10295975B2 (en) 2014-11-04 2015-09-11 Processing board,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096A KR101626760B1 (ko) 2014-11-04 2014-11-04 프로세싱 보드, 의료용 진단 장치, 및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178A KR20160052178A (ko) 2016-05-12
KR101626760B1 true KR101626760B1 (ko) 2016-06-02

Family

ID=5585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096A KR101626760B1 (ko) 2014-11-04 2014-11-04 프로세싱 보드, 의료용 진단 장치, 및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95975B2 (ko)
KR (1) KR101626760B1 (ko)
CN (1) CN107072590A (ko)
WO (1) WO20160726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760B1 (ko) * 2014-11-04 2016-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세싱 보드, 의료용 진단 장치, 및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US10925561B2 (en) * 2017-11-17 2021-02-23 Konica Minolta Healthcare Americas, Inc. Portable digital radiography apparatus comprising a frame including a base, a digital radiography panel, and a computer
KR20190092706A (ko) * 2018-01-31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촬영장치
JP7032157B2 (ja) * 2018-02-02 2022-03-08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用画像診断装置及びx線照射制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643Y1 (ko) 2004-12-31 2005-04-22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차량용 개인 식별 제어 장치
JP2008000430A (ja) 2006-06-23 2008-01-10 Shimadzu Corp 回診用x線撮影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回診用x線撮影装置
JP2011523869A (ja) 2008-05-27 2011-08-25 ストライカー・コーポレーション 複数の医療機器を管理するための医療室無線管理配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12759C (zh) * 2006-04-13 2009-07-15 Ge医疗***环球技术有限公司 台装备识别方法和医疗成像装备
US7847277B2 (en) * 2007-07-30 2010-12-07 Fujifilm Corporation Radiation image capturing system
EP2249707B1 (en) * 2008-02-06 2022-03-30 Capis Sprl Device for automated screening of congenital heart diseases
JP5295602B2 (ja) * 2008-03-26 2013-09-18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撮影テーブルおよび撮影テーブル校正方法並びに撮影装置
WO2011132363A1 (ja) * 2010-04-19 2011-10-2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撮影用操作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x線撮影装置
US8243882B2 (en) * 2010-05-07 2012-08-1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association between autonomous detector and imaging subsystem
US20140191852A1 (en) * 2010-05-13 2014-07-10 Carestream Health, Inc. Method and system for phosphor plate identification in computed radiography
US8588687B2 (en) * 2010-10-15 2013-11-19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Coexistence of multiple radios in a medical device
KR20120093677A (ko) * 2011-02-15 2012-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및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의 위치보정 방법
JP2012205660A (ja) * 2011-03-29 2012-10-25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DE102011083408A1 (de) * 2011-09-26 2013-03-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Bildgebend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arstellung von Gefäßen bzw. Organen in einem Untersuchungsbereich eines Patienten
KR101272367B1 (ko) 2011-11-25 2013-06-07 박재열 전달 함수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의 보정 시스템 및 그의 보정 방법
WO2013161911A1 (ja) * 2012-04-24 2013-10-31 株式会社東芝 医用画像診断装置及びpet-mri装置
JP5985970B2 (ja) * 2012-11-30 2016-09-06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放射線断層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3219193B4 (de) * 2013-09-24 2017-10-19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s Röntgengeräts und Röntgengerät
KR102250094B1 (ko) * 2013-12-23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및 모바일 장치
KR20140057504A (ko) * 2014-03-24 201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및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의 위치보정 방법
KR101626760B1 (ko) * 2014-11-04 2016-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세싱 보드, 의료용 진단 장치, 및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643Y1 (ko) 2004-12-31 2005-04-22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차량용 개인 식별 제어 장치
JP2008000430A (ja) 2006-06-23 2008-01-10 Shimadzu Corp 回診用x線撮影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回診用x線撮影装置
JP2011523869A (ja) 2008-05-27 2011-08-25 ストライカー・コーポレーション 複数の医療機器を管理するための医療室無線管理配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24406A1 (en) 2016-05-05
WO2016072608A1 (en) 2016-05-12
US10295975B2 (en) 2019-05-21
CN107072590A (zh) 2017-08-18
KR20160052178A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244B1 (ko)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6760B1 (ko) 프로세싱 보드, 의료용 진단 장치, 및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KR20170115018A (ko) 엑스선 장치 및 엑스선 디텍터
CN106999126B (zh) X射线设备和x射线探测器
JP6367149B2 (ja) 放射線撮影装置および電子カセッテ
CN102258373B (zh) 手持x射线***接口装置和方法
KR20160095913A (ko)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438355B2 (ja) 放射線撮影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並びにコンソールおよびその作動方法
JP2019528900A (ja) 改良型撮像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3255659A (ja) 画像診断装置、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医療用寝台装置、及び寝台制御方法
KR101837450B1 (ko) 엑스선 영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엑스선 영상 시스템
CN109381210B (zh) 放射线摄影***及其工作方法
US10624603B2 (en) X-ray input apparatus, x-ray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x-ray input apparatus
KR102444291B1 (ko)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엑스선 디텍터 및 엑스선 영상 촬영 시스템
KR20140141249A (ko)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엑스레이 검출 영역 제어 방법
US20170303870A1 (en) X-ray ct system
JP6873742B2 (ja) 遠隔操作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システム
JP2015191555A (ja) 携帯型コンソール、携帯型コンソールの制御方法、携帯型コンソール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影スキル分析システム
US20180199909A1 (en) X-ray detector, x-ray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272055B1 (ko)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US11890126B2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KR20150098569A (ko) Ct기의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장치 및 ct기
US20200037980A1 (en) Photographing sequence determination supporting method, photographing sequence determination supporting program, and x-ray radiographic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KR20160059929A (ko) 엑스선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37487A (ko) 엑스선 촬영 장치 및 디텍터의 장착 위치 판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