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559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559B1
KR101624559B1 KR1020100010637A KR20100010637A KR101624559B1 KR 101624559 B1 KR101624559 B1 KR 101624559B1 KR 1020100010637 A KR1020100010637 A KR 1020100010637A KR 20100010637 A KR20100010637 A KR 20100010637A KR 101624559 B1 KR101624559 B1 KR 101624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attern
heat
circuit board
ban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0698A (ko
Inventor
정성권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0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5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9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55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밴드와, 상기 본체에서 상기 밴드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열을 방열시키도록 상기 밴드의 내부에서 일 레이어를 형성하는 열방출부, 및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일레이어와 동일 레이어에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의 개량의 하나로,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장시간 동안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이동 단말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보다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방열 및 안테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밴드와, 상기 본체에서 상기 밴드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열을 방열시키도록 상기 밴드의 내부에서 일 레이어를 형성하는 열방출부, 및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일 레이어와 동일 레이어에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열방출부 및 안테나 패턴부는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방출부 및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일 레이어를 이루도록 각각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일 레이어 상에 형성되는 슬롯에 의하여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본체 내부의 전자소자와 열전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열전도 시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접지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열방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인덕터, 커패시터 및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는 안테나 패턴부 및 열방출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 및 열방출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를 상기 회로기판에 급전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탄성변형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부를 가압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커버 부재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로기판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전자소자와 상기 열방출부 사이에서 열전도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열방출부와 연결된다.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전자소자 주변의 차폐 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열방출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멀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밴드들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양측에 배치되는 밴드들에서 각각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패턴부는 각각 상기 밴드들의 양 모서리와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밴드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금속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금속 부재는 상기 열방출부와 열전도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열방출부와 서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안테나 패턴부 및 열방출부을 동일한 레이어에 형성시킴에 따라 보다 컴팩트한 와치형 이동 단말기를 구현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동일 모재로부터 안테나 패턴부 및 열방출부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 패턴부이 본체를 벗어나서 형성됨에 따라, 멀티 주파수 대역 중 금속에 대한 영향이 많은 주파수 대역의 송수신율이 보다 좋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하여, 금속 재질의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지지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상기 열방출부와 안테나 패턴부를 제작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7 및 8은 본 발명과 관련한 안테나의 구성의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와치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양측에 연결되는 밴드(120)을 포함한다.
본체(100)은 무선통신 모듈(181, 도 10 참조)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본체(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거나,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된다.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프론트 케이스(110)와 리어 케이스(1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1)는 유전체,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케이스부(111)의 하부에는 커버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부(111) 및 커버부(112)는 각종 전자부품이 내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밴드(120)는 사용자의 손목이나 팔 등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밴드(150)는 가죽(leather) 또는 고무(rubber)나 플라스틱(plastics),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단일층이 적층되어 다층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밴드(120)에는 손목이나 팔 등에 단말기 본체(110)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패스너(fastener;121)가 구비될 수 있다. 패스너(121)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패스너(121)가 버클 형태로 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체(110), 주로 케이스부(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영상 입력부(115) 또는 사용자 입력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케이스부(11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부는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부가 장착된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형성한다.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6)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6)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리어 케이스(112)에는 분리 가능한 커버(112a)와 접속단자(172)가 장착될 수 있다.
커버(112a)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2a)는 내부 부품의 수리시 분리할 수 있도록 리어 케이스(112)의 중앙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접속단자(172)는 외부 충전 장치 또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접속하여 단말기 본체(11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로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내부에는 각종 전자소자들이 장착되며, 전자소자들이 방출하는 열은 본체(110)의 내부 온도 및 케이스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방출부(130)를 구비한다.
열방출부(130)는 본체(110)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밴드(12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열방출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101)와 열전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전자소자(101)에서 발생한 열은 열전도에 의하여 본체(110)의 외부로 방출된다.
열방출부(130)는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베이스(131)와, 베이스(131)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32)를 포함한다.
도 3에서 직선 화살표(H)는 열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전자소자(101)에서 발생한 열은 열전도에 의하여 베이스(131)로 전달되며, 전달된 열은 베이스(131)에서 연장부(132)로 열전도에 의하여 전달된다. 연장부(132)로 전달된 열은 대류에 의하여 외부로 전달되어 본체(11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110) 또는 밴드(120)에는 이동 단말기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안테나 패턴부(140, 도 4 참조)가 형성된다. 안테나 패턴부(14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특정 길이로 패턴화되는 방사체가 될 수 있다. 도 3에서 점선 화살표(S)는 무선 신호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며,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패턴부(140)는 열방출부(130)의 일부로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13)이 장착된 지지 프레임(150)이 장착된다. 지지 프레임(150)은 각종 전자부품(예를 들면, 회로기판, 디스플레이)을 수용하거나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지지 프레임(150)은 각종 전자 부품을 내장한 상태에서 프론트 케이스(111)에 조립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조립시 효율성과 간편함이 제공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5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13a)이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13)의 일측에는 스피커(114a)와, 카메라 모듈(115a)이 장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50)의 측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16)의 일 형태로서 돔 키(116a)를 갖는 돔 시트(116b)가 장착될 수 있다.
열방출부(130)는 본체(110),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150)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열전도 시트(133)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열전도 시트(133)는 단말기 본체의 열을 방열시키도록 밴드의 내부에서 일 레이어를 형성하게 된다.
열전도 시트(133)는 밴드(120)가 변형됨에 따라 함께 변형될 수 있도록 유연성(flexibility)이 높은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즉, 열전도 시트(133)는 유연성과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열전도 시트(133)로 구리 재질로 형성된 박막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2)에는 열전도 시트(133)가 관통하는 관통홀(11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밴드(120)에는 열전도 시트(133)가 삽입되는 삽입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 프레임(150)에서 연장된 열전도 시트(133)는 관통홀(112)을 통과하여 밴드(120)에 형성된 삽입홈(122)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열전도 시트(133)가 밴드에서 형성하는 일레이어와 동일 레이어에는 안테나 패턴부(140)가 배치된다. 안테나 패턴부(140)는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도전성 방사체(141)가 될 수 있으며, 도전성 방사체(141)는 열전도 시트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고, 밴드(120) 내부에 배치되며, 삽입홈(122)을 관통하여 관통홀(112)로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전도 시트(133)와 도전성 방사체(141)는 동일한 레이어를 형성하도록 각각 밴드(120) 내부의 동일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열전도 시트(133)와 도전성 방사체(141)는 동일한 레이어 상에 형성되는 슬롯(142, 도 5a 및 도 5b 참조)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어 진다. 또한, 열전도 시트(133)와 도전성 방사체(141)의 제작, 조립이 용이하도록 열전도 시트(133)와 도전성 방사체(141)는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는, 예를 들어 열전도 시트(133)와 도전성 방사체(141)가 슬롯(142)을 중심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열전도 시트(133)와 도전성 방사체(141)의 일면에 접착되는 테이프 부재가 될 수 있다.
도 5a은 도 4에 도시된 지지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b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상기 열방출부와 안테나 패턴부를 제작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열전도 시트(133)의 레이어와 동일 레이어에는 도전성 방사체(141)가 배치된다. 이하, 본 도면들에 제시된 일 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지지 프레임(150)의 내부, 구체적으로 디스프레이 모듈(113a)의 하측에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89)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189)는 본체(110)의 내부에 내장되는 내장 배터리의 형태로 구현되었으나,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배터리(189)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101)가 실장된 회로기판(118)이 장착된다. 회로기판(118)은 도전성 방사체(141)에 의하여 송수신된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안테나 패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회로기판(118)에는 탄성부재(161)가 장착될 수 있다.
탄성부재(161)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판 스프링이 될 수 있다. 탄성부재(161)는 도전성 방사체(141)를 회로기판(118)에 급전시키도록, 일단은 회로기판(118)과 연결되고, 타단은 탄성변형에 의하여 도전성 방사체(141)를 가압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밴드(120)가 본체(110)의 측면에서 결합된다면, 도전성 방사체(141)는 삽입홈(122)을 관통하여 관통홀(112)로 삽입되고, 도 5a와 같이, 본체의 내부에서 탄성부재(161)에 의하여 가압되어 회로기판(1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회로기판(118)에는 전자소자(101) 주변의 차폐 영역을 한정하는 커버 부재(162, 실드캔, 실드 케이스 등)가 장착될 수 있다. 커버 부재(16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회로기판(118)을 덮도록 배치되며, 회로기판(118)에 배치되는 전자소자와 열전도 시트(133)의 사이에서 열전도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열전도 시트(133)와 연결된다.
커버 부재(162)는 일면이 개구된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자소자(101)가 배치된 영역을 덮는다. 커버 부재(162)는 차폐 영역의 전자소자(101)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 등을 차단하여, 전자소자(101)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다른 소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에 의하면, 커버 부재(162)는 열방출부(130)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전도 시트(133)는 커버 부재(162)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8)에 커버 부재(162)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열전도 시트(133)는 전자 소자(101)에 직접 부착되거나, 방열패드를 통해 부착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전자소자(101)는 커버 부재(162)의 내면에 접촉되어 커버 부재(162)에 열을 전달하거나, 방열패드를 매개로 하여 커버 부재(162)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 설명된 구조와 같이, 열방출부와 안테나 패턴부가 동일 레이어상에 형성됨에 따라, 동일 모재로부터 안테나 패턴부 및 열방출부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열방출부와 안테나 패턴부의 제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구리 시트의 배면에 아크릴 테이프를 부착한다. 다음, 도 6b와 같이, 에칭이 되지 않을 부분(즉, 방사체 및 열전도 시트가 될 부분)에 파라핀(왁스)를 도포한다. 그 후, 도 6c와 같이, 부식액 등을 이용하여 에칭 가공하여 슬롯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6d와 같이 파라핀을 제거하면,하나의 구리 시트가 에칭된 부분에 의하여 열방출부와 안테나 패턴부로 나누어지게 된다.
다시 도 5a를 참조하면, 안테나 패턴부(140)는 열방출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전성 방사체(141)의 양단 중 탄성부재와 멀리 위치하는 일단은 열전도 시트(133)와 연결된다. 또한, 열방출부(130)는 회로기판(118)의 접지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미도시). 즉, 열전도 시트(133)는 회로기판의 그라운드 확장판의 역할을 하게 되며, 도전성 방사체(141)가 열전도 시트(133)와 연결됨에 따라 도전성 방사체(141)의 접지 경로가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패턴부(140) 및 열방출부(130)의 사이에는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143)가 배치될 수 있다.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143)는 안테나 패턴부(140) 및 열방출부(13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신호가 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노이즈로부터 보호한다.
도 7 및 8은 본 발명과 관련한 안테나의 구성의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테나 패턴부(241, 242)는 멀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본체(210)의 양측에 배치되는 밴드들(220a, 220b)에 각각 형성된다.
안테나 패턴부(241, 242) 중 어느 하나는 다른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블루투스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안테나 패턴부(241, 242)는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인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주파수 대역은 1000 Mhz의 주파수 이하, 예를 들어 800 Mhz 내지 1000 Mhz 가 될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 될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은 1600 Mhz의 주파수 이상, 예를 들어 1600 Mhz 내지 2200 Mhz 가 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안테나 패턴부(341, 342, 343, 344)는 본체(310)의 양측에 배치되는 밴드들(320a, 320b)에서 각각 복수로 구비된다. 즉, 안테나 패턴부는 4개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이 때에, 복수의 안테나 패턴부(341, 342, 343, 344)는 각각 밴드들(320a, 320b)의 양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총 4가지의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패턴부가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체(410)의 내부에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자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열전도 시트(433) 및 도전성 방사체(441) 등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밴드(420)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금속 부재(470)가 배치된다. 금속 부재(470)는 히트싱크와 같이, 열을 방출하는 표면적이 넓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며, 열방출부, 구체적으로 열전도 시트(433)와 열전도 경로를 형성하도록 열전도 시트(433)와 서로 연결된다.
밴드에 부착되는 금속 부재(470)는 금속 데코레이션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열전도 시트(433)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여기서, 열전도 시트(433)는 밴드의 손목 착용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밴드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도 시트(433)는 그 자체로서 밴드(42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열전도 시트(433)에 사용자에게 열이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단열 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영상 입력부(115), 사용자 입력부(116), 전원공급부(189), 제어부(180), 무선통신 모듈(181), 메모리(184), 방송수신 모듈(185), 센싱유닛(186), 음향 입력부(187), 인터페이스(188)를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통신 모듈(18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8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83)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16)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제공한다. 사용자 입력부(116)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5)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8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18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17)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18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통신 모듈(181)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17)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와치형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와치형 이동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 및 GUI 등을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8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센싱유닛(186)은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개폐 상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전원 공급부(17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88)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88)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와치형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19)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와치형 이동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와치형 이동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84)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8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형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8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수신 모듈(18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8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18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89)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와치형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밴드;
    상기 본체에서 상기 밴드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열을 방열시키도록 상기 밴드의 내부에서 일 레이어를 형성하는 열방출부; 및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일 레이어와 동일 레이어에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방출부 및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일 레이어를 이루도록 각각 동일한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열방출부 및 안테나 패턴부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형성되는 슬롯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슬롯의 형상 또는 길이에 근거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특정 길이로 패턴화된 방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 및 안테나 패턴부는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본체 내부의 전자소자와 열전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열전도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접지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열방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 및 열방출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 및 열방출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를 상기 회로기판에 급전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탄성변형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부를 가압하며,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로기판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전자소자와 상기 열방출부 사이에서 열전도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열방출부와 연결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전자소자 주변의 차폐 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열방출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멀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밴드들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양측에 배치되는 밴드들에서 각각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패턴부는 각각 상기 밴드들의 양 모서리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금속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금속 부재는 상기 열방출부와 열전도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열방출부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00010637A 2010-02-04 2010-02-04 이동 단말기 KR101624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637A KR101624559B1 (ko) 2010-02-04 2010-02-04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637A KR101624559B1 (ko) 2010-02-04 2010-02-04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698A KR20110090698A (ko) 2011-08-10
KR101624559B1 true KR101624559B1 (ko) 2016-05-26

Family

ID=4492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637A KR101624559B1 (ko) 2010-02-04 2010-02-04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7006B2 (en) 2011-01-31 2014-07-22 Apple Inc. Wrist-wor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9729207B2 (en) 2013-10-31 2017-08-08 Amogreentech Co., Ltd. Heat dissipation member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KR102149394B1 (ko) * 2014-01-03 2020-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KR102206241B1 (ko) * 2014-05-12 2021-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152924B1 (ko) * 2014-05-28 2020-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도체를 이용한 안테나 및 전자 장치
US9612623B2 (en) 2014-09-16 2017-04-0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1659030B1 (ko) * 2014-09-16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102398958B1 (ko) 2015-04-27 202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1609642B1 (ko) * 2015-07-10 2016-04-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Nfc 안테나 일체형 방열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KR101887891B1 (ko) 2016-02-17 2018-08-13 주식회사 아모센스 휴대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백커버 일체형 안테나모듈
US20170347490A1 (en) * 2016-05-24 2017-11-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frequency antenna structure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surface area
KR102147792B1 (ko) * 2018-03-30 2020-08-25 삼성전기주식회사 경연성 기판 모듈
US10912204B2 (en) * 2018-03-30 2021-02-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rigid-flexible substrate module
TWI791130B (zh) * 2019-09-23 2023-02-01 胡文松 能以生物控溫的電子產品的殼體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9577A (ja) 1999-03-12 2000-09-22 Hitachi Ltd 携帯型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9577A (ja) 1999-03-12 2000-09-22 Hitachi Ltd 携帯型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698A (ko)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559B1 (ko) 이동 단말기
KR101622731B1 (ko) 이동 단말기
KR101587138B1 (ko) 이동 단말기
US9583825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101649636B1 (ko) 이동 단말기
US10658733B2 (en) Mobile terminal
KR102599774B1 (ko) 안테나, 안테나 주변에 배치되는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632408B1 (ko) 와치형 이동 단말기
KR101604704B1 (ko) 와치형 이동 단말기
KR101510700B1 (ko) 이동 단말기
KR20180021432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34042A (ko) 이동 단말기
CN101964446A (zh) 便携式终端
KR20090118764A (ko) 휴대 단말기
EP3651268A1 (en) Electronic device
KR20110003854A (ko) 이동 단말기
KR101373332B1 (ko)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562585B1 (ko) 이동 단말기
KR20070074714A (ko) 보조안테나를 내장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130076450A (ko) 이동 단말기
JP2007143086A (ja) 無線通信端末
KR20110010416A (ko) 이동 단말기
KR101728800B1 (ko) 이동 단말기용 안테나
KR101899971B1 (ko) 이동 단말기
CN116194980A (zh) 包括电子部件布置结构的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